KR100943905B1 -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3905B1
KR100943905B1 KR1020080011714A KR20080011714A KR100943905B1 KR 100943905 B1 KR100943905 B1 KR 100943905B1 KR 1020080011714 A KR1020080011714 A KR 1020080011714A KR 20080011714 A KR20080011714 A KR 20080011714A KR 100943905 B1 KR100943905 B1 KR 100943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key
displayed
key buttons
search word
ite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5841A (ko
Inventor
신동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1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905B1/ko
Priority to CA2639915A priority patent/CA2639915C/en
Priority to TW097139221A priority patent/TWI497395B/zh
Priority to US12/252,049 priority patent/US8175652B2/en
Priority to CN2008101691552A priority patent/CN101505551B/zh
Priority to EP08168407.8A priority patent/EP2088754B1/en
Publication of KR20090085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각종 명령이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및 그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 내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하고 많은 아이템들 중에서 원하는 아이템이 사용자에 의해 편리하게 검색되어 해당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각종 명령이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및 그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
단말기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잡한 기능들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복잡한 기 능만큼이나 다양하고 많은 전화번호, 메시지, 멀티미디어 파일 등(이하, 이를 통칭하여 "아이템"이라고 함)이 상기 단말기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에 저장된 다양하고 많은 아이템들 중에서 원하는 아이템이 사용자에 의해 편리하게 검색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계속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단말기 내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하고 많은 아이템들 중에서 원하는 아이템이 사용자에 의해 편리하게 검색되어 해당 기능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가상키버튼들이 디스플레이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검색어의 적어도 일부가 입력될 경우,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관련되는 아이템들이 상기 가상키버튼들의 배경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정 기능을 위한 복수의 가상키버튼들이 디스플레이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소정 기능과 관련된 아이템들이 소정 기준 순서대로 상기 가상키버튼들의 배경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가상키버튼들이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및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검색어의 적어도 일부가 입력될 경우,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관련되는 아이템들이 상기 가상키버튼들의 배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정 기능을 위한 복수의 가상키버튼들이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기능과 관련된 아이템들이 소정 기준 순서대로 상기 가상키버튼들의 배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 내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하고 많은 아이템들 중에서 원하는 아이템이 사용자에 의해 편리하게 검색되어 해당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비휴대 단말기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단말기가 휴대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 따른 구성은 휴대용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면 상기 비휴대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상기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휴대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휴대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휴대 단말기(100)와 휴대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 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비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 대신에 유선 인터넷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 및 유선 인터넷 모듈을 통칭하여 인터넷 모듈라고도 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 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 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는 터치 스크린으로 기능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휴대 단말기의 방위, 휴대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 출력 모듈(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모듈(151)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출력모듈(153)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출력모듈(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출력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출력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성 출력 모 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통화내역, 전화번호부,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단말기 내의 다양한 기능에 따른 아이템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아이템들은 사용빈도순, 최근사용순, 최근저장순 등으로 소팅되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어 상기 아이템들이 검색되어 실행되는 것에 대해서는 다시 나중에 설명된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인스턴트 메시지 통신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는 제1바디(200)와, 상기 제1바디(20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5)를 포함한다.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2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 1 프론 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200), 구체적으로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에는 디스플레이모듈(151), 음향출력모듈(152), 카메라(121) 또는 제1 사용자 입력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이미 도 1과 관련되어 설명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음향출력모듈(152)은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바디(200)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205)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와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205), 구체적으로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215)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235))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사용자 입력부(245),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210, 215, 245))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21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215)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사용자 입력부(245)는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에 대해서는 이미 도 1과 관련되어 전술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235)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 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바디(205)의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후면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는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바디의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50)와 거울(255)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250)는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255)는 사용자가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235)에는 음향출력모듈 (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음향출력모듈(152)는 제1바디(200)의 음향출력모듈(152)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 신호 수신용 안테나(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260)는 제2바디(205)(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200)의 제 1 리어 케이스(225) 측에는 제1바디(200)와 제2바디(20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265)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265)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205)의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 등이 제2바디(20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60, 121 내지 250, 1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200), 주로는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205)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바디의 카메라(121)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바디의 카메라(12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용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4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4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 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GPS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중에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에 대한 실시예에 대해 살펴본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을 계속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또는 그 화면을 이하에서는 도면부호 400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제 1 실시예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 대해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의 제 1 실시예가 구현되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6의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400)에는 대기모드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상기 대기모드의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400)에서는 상기 휴대단말기(100)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능에 관한 제 1 내지 4 아이콘들(401, 402, 403, 404)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제 1 아이콘(401)은 메뉴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것이고, 제 2 아이콘(402)는 통화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것이고, 제 3 아이콘(403)은 메시지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것이고, 제 4 아이콘(404)은 전화번호부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모드들 각각에 대해서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아이콘들 중에서 예컨대 제 2 아이콘이 선택되어 상기 휴대단말기(100)가 통화 모드로 진입한다.
그러면, 도 6의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에는 상기 통화 모드를 위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즉, 상기 터치스크린(400)에는 전화번호 입력을 위한 가상의 제 1 키버튼들( 이하 "가상키버튼"이라고도 함)(410)과,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따른 통화 연결을 위한 가상의 제 2 키버튼들(420)이 디스플레이된다[S51]. 상기 키버튼들 각각에는 상기 키버튼의 식별자(예를 들면, 제 1 키버튼들의 각각을 지칭하는 숫자)가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키버튼의 식별자라 함은, 키버튼 각각을 지칭하는 숫자, 문자 기호를 의미한다.
제 1 키버튼(410)을 예컨대 숏터치함으로써 소망의 전화번호(010 1234 5678)가 입력되기 시작한다[S52]. 상기 소망 전화번호의 제 1 일부(010 12)가 입력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소망 전화번호의 제 1 일부를 포함하는 아이템(즉, 전화번호)들을 상기 메모리부(160)에서 검색한다.
그리고, 도 6의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들(또는 이들과 관련된 정보들)이 각각 제 1 키버튼들(410)의 배경에 디스플레이된다[S53]. 즉, 상기 하나의 검색된 전화번호(또는 이와 관련된 정보)는 하나의 키버튼을 점유하도록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정보들은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들과 관련되어 저장된 상대방의 이미지 또는 이름(이에 한정되지 않음)일 수 있다. 도 6의 (6-3)에서는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들과 관련된 상대방의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됨이 예시되어 있다.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상기 정보는 상대방의 이미지인 것으로 가정하고 이하 설명을 계속한다.
도 6의 (6-3)에서는 상기 소망 전화번호의 제 1 일부에 따라 검색된 전화번호들의 갯수가 제 1 키버튼들의 갯수보다 많은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의 (6-3)에서는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들 중에서 소정의 기준 순서(예들 들면, 최근사용순, 최빈사용순, 최근저장순, 상대방 이름의 자모음순 등)에 따라 제 1 키버튼들의 갯수만큼의 검색된 상위순위의 전화번호들의 해당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됨이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의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들이 제 1 키버튼들의 배경에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배경에도 불구하고 제 1 키버튼들의 식별자들이 시각적으로 상기 이미지와 용이하게 구별되도록 하기 위해 각각 제 1 키버튼들의 일측으로 치우쳐 디스플레이된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식별자들의 색상이 제 1 키버튼의 각 이미지의 주요 색상에 대해 보색이 되도록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상기 식별자들이 상기 이미지와 용이하게 구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 다음, 상기 소망 전화번호가 더욱 입력된다. 상기 소망 전화번호의 제 1 일부(010 12)를 포함하는 제 2 일부(010 1234)가 입력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소망 전화번호의 제 2 일부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들을 상기 메모리부(160)에서 다시 검색한다.
그리고, 도 6의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시 검색된 전화번호들의 해당 이미지들이 각각 제 1 키버튼들(410)의 배경에 다시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하나의 검색된 전화번호의 해당 이미지가 하나의 키버튼을 점유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소망 전화번호의 제 2 일부에 따라 검색된 전화번호들의 갯수는 상기 소망 전화번호의 제 1 일부에 따라 검색된 전화번호들의 갯수와 같거나 적을 것임은 분명하다.
도 6의 (6-4)에서는 상기 소망 전화번호의 제 2 일부에 따라 검색된 전화번호들의 갯수가 제 1 키버튼들의 갯수보다 적은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의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나의 검색된 전화번호의 해당 이미지가 하나의 키버튼을 점유하는 경우에는, 해당 이미지를 가지지 않는 키버튼이 있을 수 있다. 이 때, 해당 이미지가 없는 키버튼은 빈칸으로 비워두거나 해당 이미지가 점유되지 않음이 표시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6의 (6-4)의 제 1 키버튼들의 해당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소망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상기 소망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점유하고 있는 키버튼을 롱터치한다.
그러면, 도 6의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망의 전화번호로 전화통화 연결이 시도된다.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제 1 변형예에 대해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의 제 1 실시예의 제 1 변형예가 구현되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7의 (7-1)에서는, 상기 소망 전화번호의 제 1 일부에 따라 검색된 전화번호들의 갯수가 제 1 키버튼들의 갯수보다 많은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들 중에서 해당 이미지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의 이름이 그 대신에 디스플레이됨이 예시되어 있다.
이 때, 도 7의 (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의 소정 부분이 플릭(flick)된다.
그러면, 도 7의 (7-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의 (7-1)에서 디스플레이되지 않았던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들(즉, 후순위의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들)이 그 순위대로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플릭되는 경우에만 후순위의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들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제 2 키버튼들(420)의 좌측 키버튼(421)이 터치될 때 후순위의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들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제 2 변형예에 대해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의 제 1 실시예의 제 2 변형예가 구현되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8의 (8-1)에서는 상기 소망 전화번호의 제 2 일부에 따라 검색된 전화번호들의 갯수(예를 들면, 5개)가 제 1 키버튼들의 갯수(예를 들면, 12)보다 적은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의 해당 정보들이 각각 하나 이상의 키버튼을 점유하도록 구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 1 키버튼들(410)이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들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즉 5개)의 그룹들(410A, 410B, 410C, 410D, 410E)로 나뉘어진다. 상기 그룹들은 가능한 균등하게 나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론적으로 균등 하게 나뉘어지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8의 (8-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한 균등하도록 나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의 해당 정보들은 상기 5개의 그룹을 하나씩 점유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소망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정보가 상기 5개의 그룹 중 한 그룹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한 그룹에 속하는 임의의 키버튼이 롱터치되면 상기 소망 전화번호로 통화 연결이 시도된다.
도 8의 (8-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망의 전화번호의 제 2 일부(010 1234)를 포함하는 제 3 일부(010 1234 5)가 입력되고, 상기 소망 전화번호의 제 3 일부에 따라 검색된 전화번호들의 갯수가 2개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도 8의 (8-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키버튼들(410)이 두 개의 그룹(410E, 410G)으로 균등하게 나뉘어지고, 상기 검색된 2개의 전화번호들에 해당하는 정보들은 상기 두 개의 그룹(410E, 410G)을 각각 점유하도록 구성된다.
도 8의 (8-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망의 전화번호 전부가 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도 8의 (8-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키버튼들(410)이 하나의 그룹(410H)으로 구분되고, 상기 소망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정보가 상기 하나의 그룹(410H)을 점유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는 상기 통화 모드에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이의 제 1, 2 변형예가 적용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상기 통화 모드에서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에 대해 도 9를 참조하면서 이하 제 1 실시예의 제 3 변형예로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의 제 1 실시예의 제 3 변형예가 구현되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앞서 살펴본 도 6의 (6-1)의 대기모드 화면에서, 상기 전화번호부 모드 진입을 위한 제 4 아이콘(404)이 터치된다.
그러면, 도 9의 (9-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에는 전화번호부 모드에 따른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9의 (9-1)에서는, 도 6의 (6-2)에서와는 달리, 숫자 입력을 위한 가상키버튼들 대신에 문자 입력을 위한 가상키버튼들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즉, 상기 터치스크린(400)에는 문자 입력을 위한 가상의 제 1 키버튼들(410)과, 상기 입력된 문자에 따른 검색 또는 통화 연결을 위한 가상의 제 2 키버튼들(420)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키버튼들 각각에는 상기 키버튼의 식별자(예를 들면, 제 1 키버튼들의 각각을 지칭하는 문자 또는 기호)가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스크린(400)에는 상기 입력된 문자가 디스플레이되기 위한 텍스트 박스(430)가 더욱 디스플레이된다.
제 1 키버튼(410)을 예컨대 숏터치함으로써 소망의 상대방 이름(Jane)가 입력되기 시작한다. 상기 소망 상대방 이름의 제 1 일부(Ja)가 입력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도 9의 (9-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색된 상대방들과 관련된 정보들이 각각 제 1 키버튼들(410)의 배경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정보들이 제 1 키버튼들(410)의 배경에 디스플레이됨은 이미 자세히 전술되었으므로, 이에 대해서 는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가 전화통화 모드, 전화번호부 모드를 예를 들어 설명되었다. 제 1 실시예에서 입력되는 전화번호 또는 상대방 이름은 소정의 아이템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어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검색어는 전화번호 또는 상대방 이름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검색어가 멀티미디어 파일 이름, 이메일 주소 등으로 확대되는 경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예컨대 멀티미디어 모드 및 이메일 모드로 확대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이상에서는 검색된 아이템들이 제 1 키버튼들(410)의 배경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에 대해 설명되었으나, 제 2 키버튼들(420)의 배경에도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2 실시예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대해 살펴본다. 도 10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의 제 2 실시예가 구현되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11의 (1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400)에는 대기모드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상기 대기모드 화면의 제 1 내지 4 아이콘들(401, 402, 403, 404)에 대해서는 이미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아이콘들 중에서 예컨대 제 2 아이콘(402)이 선택되어 상기 휴대단말기(100)가 통화 모드로 진입한다[S101].
그러면, 도 11의 (1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에는 상기 통화 모드에 따른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즉, 제 1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에는 전화번호 입력을 위한 가상의 제 1 키버튼들(410)과,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따른 통화 연결을 위한 가상의 제 2 키버튼들(420)이 디스플레이된다[S102].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키버튼들(410)을 통해 소망의 전화번호가 입력되기 전에,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들의 정보가 소정의 기준 순서(예들 들면, 최근사용순, 최빈사용순, 최근저장순, 상대방 이름의 자모음순 등)에 따라 제 1 키버튼들(410)의 배경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다[S103].
그 다음, 도 11의 (1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키버튼들(410)을 통해 소망의 전화번호의 일부가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소망 전화번호의 일부를 포함하는 아이템(즉, 전화번호)들을 상기 메모리부(160)에서 검색한다.
그리고, 도 11의 (1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들과 관련된 정보들이 각각 제 1 키버튼들(410)의 배경에 상기 소정의 기준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된다.
그 이하의 절차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의 제 1 실시예가 구현되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의 제 1 실시예의 제 1 변형예가 구현되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의 제 1 실시예의 제 2 변형예가 구현되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의 제 1 실시예의 제 3 변형예가 구현되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의 제 2 실시예가 구현되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Claims (16)

  1. 식별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가상키버튼들이 디스플레이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검색어의 적어도 일부가 입력될 경우,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관련되는 아이템들이 상기 가상키버튼들의 배경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템들이 상기 가상키버튼들의 배경에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가상키버튼들의 각 식별자가 해당 가상키버튼에 디스플레이되고,
    계속하여 상기 검색어가 더 입력됨에 따라 상기 더 입력된 검색어에 관련되는 아이템들이 상기 가상키버튼들의 배경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더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되는 아이템들이 소정 기준 순서대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되는 아이템들이 사용빈도 또는 자모음 순서대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되는 아이템들 각각이 하나의 상기 가상키버튼을 점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되는 아이템들의 갯수가 상기 가상키버튼들의 갯수보다 많은 경우,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되는 갯수의 아이템들 중에서 상위 순위의 일부 아이템들이 순서대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되는 아이템들의 갯수가 상기 가상키버튼들의 갯수보다 적은 경우,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되는 아이템들이 점유하지 않는 상기 가상키버튼들에는 해당 이미지가 없음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7. 식별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가상키버튼들이 디스플레이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검색어의 적어도 일부가 입력될 경우,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관련되는 아이템들이 상기 가상키버튼들의 배경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관련되는 아이템들의 제 1 갯수가 상기 가상키버튼들의 제 2 갯수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 2 갯수의 가상키버튼들이 제 1 갯수의 그룹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 1 갯수의 아이템들 각각이 각 그룹을 점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키버튼들 중 하나가 롱터치되는 경우, 상기 롱터치된 가상키버튼의 배경에 디스플레이된 아이템에 따른 소정의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어는 전화번호부의 전화번호 또는 상대방 이름, 또는 파일의 이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템들이 이미지로서 상기 가상키버튼들의 배경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자가 상기 이미지와 시각적으로 구별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자가 상기 가상키버튼의 일측에 치우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3. 소정 기능을 위한 복수의 가상키버튼들이 디스플레이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소정 기능과 관련된 아이템들이 소정 기준 순서대로 상기 가상키버튼들의 배경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검색어의 적어도 일부가 입력될 경우, 상기 소정 기능과 관련된 아이템들 중에서, 상기 검색어의 적어도 일부와 관련된 아이템들이 이미지로서 상기 가상키버튼들의 배경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아이템들이 상기 가상키버튼들의 배경에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가상키버튼들의 각 식별자가 해당 가상키버튼에 디스플레이되고,
    계속하여 상기 검색어가 더 입력됨에 따라 상기 더 입력된 검색어에 관련되는 아이템들이 상기 가상키버튼들의 배경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더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4. 삭제
  15. 식별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가상키버튼들이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및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검색어의 적어도 일부가 입력될 경우,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관련되는 아이템들이 상기 가상키버튼들의 배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템들이 상기 가상키버튼들의 배경에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가상키버튼들의 각 식별자가 해당 가상키버튼에 디스플레이되고,
    계속하여 상기 검색어가 더 입력됨에 따라 상기 더 입력된 검색어에 관련되는 아이템들이 상기 가상키버튼들의 배경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16. 소정 기능을 위한 복수의 가상키버튼들이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기능과 관련된 아이템들이 소정 기준 순서대로 상기 가상키버튼들의 배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검색어의 적어도 일부가 입력될 경우, 상기 소정 기능과 관련된 아이템들 중에서, 상기 검색어의 적어도 일부와 관련된 아이템들이 이미지로서 상기 가상키버튼들의 배경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아이템들이 상기 가상키버튼들의 배경에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가상키버튼들의 각 식별자가 해당 가상키버튼에 디스플레이되고,
    계속하여 상기 검색어가 더 입력됨에 따라 상기 더 입력된 검색어에 관련되는 아이템들이 상기 가상키버튼들의 배경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080011714A 2008-02-05 2008-02-05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943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714A KR100943905B1 (ko) 2008-02-05 2008-02-05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A2639915A CA2639915C (en) 2008-02-05 2008-09-30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W097139221A TWI497395B (zh) 2008-02-05 2008-10-13 終端機及其控制方法
US12/252,049 US8175652B2 (en) 2008-02-05 2008-10-15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08101691552A CN101505551B (zh) 2008-02-05 2008-10-23 终端及其控制方法
EP08168407.8A EP2088754B1 (en) 2008-02-05 2008-11-05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714A KR100943905B1 (ko) 2008-02-05 2008-02-05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841A KR20090085841A (ko) 2009-08-10
KR100943905B1 true KR100943905B1 (ko) 2010-02-24

Family

ID=40394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714A KR100943905B1 (ko) 2008-02-05 2008-02-05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75652B2 (ko)
EP (1) EP2088754B1 (ko)
KR (1) KR100943905B1 (ko)
CN (1) CN101505551B (ko)
CA (1) CA2639915C (ko)
TW (1) TWI4973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772B1 (ko) * 2008-10-16 2015-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524085B2 (en) 2009-05-21 2016-12-20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Hand-held device with ancillary touch activated transformation of active element
KR101595029B1 (ko) 2009-11-18 2016-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TW201237732A (en) * 2011-03-11 2012-09-16 Sunplus Technology Co Ltd Nine-square arrangement virtual input system using a remote control
US20130265238A1 (en) * 2012-04-05 2013-10-10 Motorola Mobility, Inc.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Visual Speed Dial
KR101512011B1 (ko) * 2013-08-22 2015-04-1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 단말에서 BLF(Busy Lamp Field)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그 장치, 그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JP5835310B2 (ja) * 2013-12-12 2015-12-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CN104807134B (zh) * 2014-01-26 2017-06-3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运行模式自定义控制方法及***
TWI602111B (zh) * 2014-06-10 2017-10-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使用者介面的色彩設定方法
KR102355935B1 (ko) * 2015-02-27 2022-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 입력에 기반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N106155340A (zh) * 2015-03-23 2016-11-2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键盘设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4283A (ko) * 1998-11-28 2000-06-15 구자홍 저장된 이미지를 이용한 화상통신기기의 단축 다이얼 방법
KR20050051463A (ko) * 2003-11-27 2005-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폰북 검색방법
KR20060031472A (ko) * 2004-10-08 2006-04-1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미지 단축 다이얼링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와 그 방법
KR20070015338A (ko) * 2005-07-30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화번호 저장 장치 및이를 이용한 통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2573A (en) 1994-01-25 1996-11-05 U S West Advanced Technologies, Inc. Removable user interface for use with interactive electronic devices
CA2149162A1 (en) * 1994-06-20 1995-12-21 Donald Marion Ke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reating new pages in a touch screen based telephony product having a hierarhical repertory
KR100390646B1 (ko) * 1999-12-02 2003-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폰에서 발신 방법
GB0116083D0 (en) * 2001-06-30 2001-08-2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Text entry method and device therefor
KR20030031643A (ko) * 2001-10-15 2003-04-23 주식회사 어필텔레콤 전화번호 검색방법
TWI238348B (en) * 2002-05-13 2005-08-21 Kyocera Corp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a
CN2641957Y (zh) * 2003-05-16 2004-09-15 北京赛福同舟科技有限公司 无键盘双屏手机
KR100626533B1 (ko) * 2004-03-04 2006-09-2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다이얼 표시 방법
US20050289480A1 (en) 2004-06-25 2005-12-2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navigational keystrokes in electronic devices
US20060123359A1 (en) * 2004-12-03 2006-06-08 Schatzberger Richard J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user interactive visual interface
US20060271867A1 (en) * 2005-05-27 2006-11-30 Wang Kong Q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therefore
US7869832B2 (en) * 2005-10-07 2011-01-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nforming users of functions and characters associated with telephone keys
TW200805131A (en) * 2006-05-24 2008-01-16 Lg Electronics Inc Touch screen device and method of selecting files thereon
CN1937647A (zh) 2006-06-29 2007-03-28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模拟按键手机及其按键模拟方法
US7710293B2 (en) * 2006-09-11 2010-05-0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for accessing contact information
GB2446651A (en) 2007-02-16 2008-08-20 Jonathan Seal User interface to enable mobile phones to be accessible by users with visual, cognitive, or physical impairment
KR101376894B1 (ko) * 2007-02-28 201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이얼링 방법 및 터치스크린을 구비한이동통신단말기
US7805681B2 (en) * 2007-07-12 2010-09-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thumbnail image for an audiovisual fi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4283A (ko) * 1998-11-28 2000-06-15 구자홍 저장된 이미지를 이용한 화상통신기기의 단축 다이얼 방법
KR20050051463A (ko) * 2003-11-27 2005-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폰북 검색방법
KR20060031472A (ko) * 2004-10-08 2006-04-1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미지 단축 다이얼링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와 그 방법
KR20070015338A (ko) * 2005-07-30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화번호 저장 장치 및이를 이용한 통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39915C (en) 2013-01-22
CA2639915A1 (en) 2009-08-05
CN101505551A (zh) 2009-08-12
CN101505551B (zh) 2012-11-14
TWI497395B (zh) 2015-08-21
EP2088754A1 (en) 2009-08-12
US20090197647A1 (en) 2009-08-06
EP2088754B1 (en) 2016-04-06
TW200935295A (en) 2009-08-16
KR20090085841A (ko) 2009-08-10
US8175652B2 (en) 201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3905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87527B1 (ko) 단말기 및 그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KR100988377B1 (ko) 이동단말기의 메뉴관리 장치 및 방법
EP197624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touch scre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s thereof
KR101526965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8751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76182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0722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대화 보관함 검색방법
KR2009012072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KR2009003362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19888A (ko) 이동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090052673A (ko) 단말기,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10002429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키패드 표시 방법
KR10162455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프라이버시 정보 관리방법
KR101578000B1 (ko) 단말기,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54557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키패드 표시 방법
KR2011000513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타 아이콘화 방법
KR2010003688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정보 전달방법
KR20100040126A (ko) 이동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외부단말기 사용환경 설정방법
KR20090033619A (ko) 휴대 단말기,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09009922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74464B1 (ko) 메뉴바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메뉴바 표시방법
KR10152192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영상 검색방법
KR10148046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정보 제공방법
KR20100064938A (ko) Uma단말기 및 그의 배터리 소모 절감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