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3031B1 - An attachable input device on mobile unit - Google Patents

An attachable input device on mobile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3031B1
KR100943031B1 KR1020080082532A KR20080082532A KR100943031B1 KR 100943031 B1 KR100943031 B1 KR 100943031B1 KR 1020080082532 A KR1020080082532 A KR 1020080082532A KR 20080082532 A KR20080082532 A KR 20080082532A KR 100943031 B1 KR100943031 B1 KR 100943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protective cover
mouse
connection par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5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건용
남호정
Original Assignee
남건용
남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건용, 남호정 filed Critical 남건용
Priority to KR1020080082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03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0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n attachable input device on a mobile unit is provided to embody a wireless mouse function by the power source from a mobile terminal. CONSTITUTION: A first protective cover(100) is attached to a single-side of the portable phone(300). A plurality of input units(114) outputs the signal generated by pressurized or rotation. The first connection unit(225)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ellular phone. The second connection unit(226) is applied the power source from outside. A light receiving element(212) of the optical sensor(210) senses the light which is emitted from the emitting device(211) and is reflected to the floor side and the position signal is outputted. A mouse mo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microprocessor(220) is acknowledged as the location of the mouse pointer and selection of the mouse menu is processed.

Description

휴대단말기 부착용 입력장치{An attachable input device on mobile unit}An attachable input device on mobile uni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부착용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우스 기능이 탑재된 휴대단말기 보호커버를 휴대단말기에 부착하여 휴대단말기를 무선마우스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기 부착용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for attaching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put device for attaching a mobile terminal to attach a protective cover equipped with a mouse func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used as a wireless mouse.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는 가입 등록된 시스템의 해당 기지국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내에서 이동교환국의 감시와 제어와 스위칭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 경로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으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항상 직접 휴대할 수 있는 첨단 무선통신장비이다.The mobile terminal for mobile communication is an instant wireless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with a desired party anytime and anywhere through a communication path established by monitoring, control and switching of a mobile switching center within a service area formed by a corresponding base station of a registered system. It is a high-tec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always be carried directly.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통신을 위해 개인이 항상 휴대하고는 있지만 통신에 직접 사용되는 시간이 비교적 매우 작아 활용도가 낮기 때문에 휴대단말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부가서비스와 부가기능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로 다양한 부가서비스와 부가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휴대단말기에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부가장치들을 탑재하여야 하지만, 이동성 확보를 위한 휴대단말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라는 난관에 부닥치게 되었다. Although these portable terminals are always carried by individuals for communication, the time used for direct communication is relatively small, so the utilization is low, and various additional services and additional functions are continuously developed and provide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refore, in order to use a variety of additional services and additional functions as a portable terminal, additional devices capable of implementing various functions in the portable terminal have to be equipped, but a problem of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securing mobility has been encountered.

특히,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게 되는 휴대단말기의 특성을 활용하여 휴대단말 기에 마우스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노트북 컴퓨터 등의 마우스로 사용하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In particular, a technology for using a mouse such as a notebook computer has been proposed by implementing a mouse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by utilizing characteristics of a portable terminal that a user always carries.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휴대단말기 내에 마우스 기능을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꼭 필요하지 않은 사용자들에게는 무용지물이 되기 쉽다. 또한, 휴대단말기 표면에 마우스 버튼이나 휠 등이 장착되기 때문에 휴대단말기의 외관을 해치고, 사용상 불편함을 느끼게 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technology tends to be useless to users who do not need it because a mouse function is mounted in the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since a mouse button, a wheel, etc. are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impaired and the user may feel inconvenience in us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에 마우스 기능을 탑재하여 필요에 따라 휴대단말기에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외관을 저해하지 않는 동시에 휴대단말기를 고유의 목적으로 사용하는데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부착용 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mouse function in a protective cover for protecting a mobile terminal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as necessary, without impairing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put device for attaching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made to feel inconvenient to use it for its own purpose.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부착용 입력장치는, 배터리와 무선통신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 및 마우스 동작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인접한 컴퓨터로 마우스 동작정보를 전송해주는 기능을 갖는 소프트웨어가 내장된 휴대폰과; 상기 휴대폰의 일면에 부착되고, 가압 또는 회전에 의해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입력부를 구비하는 제1 보호커버와; 상기 휴대폰의 타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2 보호커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몸체 일측에 상기 휴대폰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접속부와, 상기 제1접속부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제2접속부와, 몸체 내부에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되어 바닥면에서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수광소자로 구성되는 광센서부 및 상기 입력부와 상기 광센서부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컴퓨터의 드라이버에 의해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 및 마우스 메뉴의 선택으로 인식되는 마우스 동작정보로 가공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제2 보 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put device for attach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battery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 software having a function of recogniz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mouse oper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mouse operation information to an adjacent comput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With a built-in mobile phone; A first protective cover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mobile phone and having a plurality of input parts for outputting a selection signal by pressing or rotating; A first connection part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protective cover, a first connec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to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Through a light sensor unit consisting of a connecting portion, a light emitting device for emitting light inside the body and a light receiving device for det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refl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outputting a position signal through the input unit and the light sensor unit And a second protective cover having a microprocessor which receives the output signal and processes the mouse signal into mouse movement information which is recognized by a driver of a computer and selection of a mouse menu.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부착용 입력장치는,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폰과; 상기 휴대폰의 일면에 부착되고, 가압 또는 회전에 의해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입력부를 구비하는 제1 보호커버와; 상기 휴대폰의 타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2 보호커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몸체 일측에 상기 휴대폰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접속부와, 상기 제1접속부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제2접속부와, 몸체 내부에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되어 바닥면에서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수광소자로 구성되는 광센서부와, 상기 입력부 및 상기 광센서부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컴퓨터의 드라이버에 의해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 및 마우스 메뉴의 선택으로 인식되는 마우스 동작정보로 가공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가공된 마우스 동작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한 제3접속부를 구비하는 제2 보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input device for attach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a battery; A first protective cover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mobile phone and having a plurality of input parts for outputting a selection signal by pressing or rotating; A first connection part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protective cover, a first connec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to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An optical sensor unit comprising a connection unit, a light emitting element emitting light in the body,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emitting a position signal by detecting light refl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input unit and the optical sensor unit. A microprocessor for receiving a signal outputted through the microprocessor and processing the mouse mo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driver of the computer as the position of the mouse pointer and the selection of the mouse menu, and the mouse motion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icroprocessor connected to the microprocessor. Includes; a second protective cover having a third connection for transmitting to a compu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부착용 입력장치는,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폰과; 상기 휴대폰의 일면에 부착되고, 몸체 일면에 가압 또는 회전에 의해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입력부를 구비하는 제1 보호커버와; 상기 휴대폰의 타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2 보호커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몸체 일측에 상기 휴대폰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접속부와, 상기 제1접속부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제2접속부와,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되어 바닥면에서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수광소자로 구성되는 광 센서부와; 상기 입력부와 상기 광센서부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컴퓨터의 드라이버에 의해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 및 마우스 메뉴의 선택으로 인식되는 마우스 동작정보로 가공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가공된 마우스 동작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 보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input device for attach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a battery; A first protective cover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mobile phone and having a plurality of inputs on one surface of the mobile phone to output a selection signal by pressing or rotating; A first connection part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protective cover, a first connec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to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An optical sensor unit comprising a connection part, a light emitting device emitting light, and a light receiving device emitting a position signal by sensing light refl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The microprocessor and the mouse operation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icroprocessor are processed by receiving a signal output through the input unit and the optical sensor unit into the mouse opera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driver of the computer as the position of the mouse pointer and the selection of the mouse menu. And a second protective cover configured to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computer.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부착용 입력장치는, 휴대단말기 보호커버에 무선마우스 기능을 탑재하여 필요에 따라 휴대단말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무선마우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휴대단말기 내에 마우스 기능을 탑재하지 않고도 휴대단말기를 무선마우스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The input device for attach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wireless mouse function on the protective cover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can be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portable terminal as necessary to implement the wireless mouse function. The terminal can be used as a wireless mou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부착용 입력장치는, 보호 커버에 마우스 기능만 탑재하고 휴대단말기 내에 탑재된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휴대단말기의 기능에 따라 입력장치를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input device for attach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ount the mouse function on the protective cover and u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mounted in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input device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The effect is that the width can be widen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although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following example, unless the summary is exceed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부착용 마우스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use for attach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적외선 통신모듈 또는 블루투스 모듈이 탑재된 휴대폰에 부착되어 무선마우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입력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input device capable of implementing a wireless mouse function attached to a cellular phone equipped with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or a Bluetooth modul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부착용 입력장치는, 배터리(미도시)가 장착된 휴대폰(300)과, 휴대폰(300)의 일면에 부착되어 가압 또는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입력부(114)를 구비하는 제1 보호커버(100)와, 휴대폰(300)의 타면에 부착되며, 몸체 일측에 휴대폰(30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접속부(225)와, 제1접속부(225)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제2접속부(226)와, 몸체 일면에 장착되어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211)와 발광소자(211)에서 방출되어 바닥면에서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수광소자(212)로 구성되는 광센서부(210) 및 입력부(114)와 광센서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컴퓨터의 드라이버에 의해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 및 마우스 메뉴의 선택으로 인식되는 마우스 동작정보를 가공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20)를 구비하는 제2 보호커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n input device for attach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mobile phone 300 equipped with a battery (not shown) and one surface of the mobile phone 300 by pressing or rotating. The first protective cover 100 having a plurality of input unit 114 for outputting the generated signal,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30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300 on one side of the body 225, a second connector 226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225 to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and a light emitting element 211 and a light emitting element 211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to emit light. Receives a signal from the optical sensor unit 210 and the input unit 114 and the optical sensor unit 210 is composed of a light receiving element 212 to output the position signal by det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bottom surface to receive a computer Caused by the position of the mouse pointer and the selection of the mouse menu by the driver Claim 2 is configured to include a protective cover 200, the mouse operation information to a microprocessor 220 for processing.

휴대폰(300)은 몸체 일면, 예를 들어 배면에 배터리(미도시)가 부착되어 있고, 몸체 일측에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포트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휴대폰(300)의 몸체 내부에는 노트북, 데스크탑 등 다양한 종류의 컴퓨터, 텔레비젼, 휴대폰 주변기기 등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이 내장되어 있고,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서 가공된 마우스 동작정보를 인식하여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인접한 컴퓨터로 전송해줄 수 있도록 미리 내려 받아 놓은 소프트웨어가 내장되어 있다. 이때, 무선통신모듈은 적외선 통신모듈 또는 블루투스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The mobile phone 300 has a battery (not shown)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ody, for example, and a power port for connecting a power source to charge the battery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In addi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is built in the body of the mobile phone 300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various types of computers, televisions, mobile phone peripherals, such as a laptop and a desktop, and is processed by the microprocessor 220. It downloads the pre-downloaded software to recognize the mouse movement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adjacent comput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be configured as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or a Bluetooth module.

제1 보호커버(100)는 휴대폰(300)의 일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휴대폰(300)의 형태를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고, 홈의 가장자리에는 휴대폰(3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돌기 등의 고정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보호커버(100)는 휴대폰(300)의 일면 전체를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해당 기종의 휴대폰에만 부착하거나, 또는 휴대폰의 일부만을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기종의 휴대폰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first protective cover 100 has a groove formed along the shape of the mobile phone 300 so as to b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mobile phone 300, and fixing protrusions such as fixing protrusions to be fixed to the mobile phone 300 at the edge of the groove. Fixing means are formed. The first protective cover 100 is configured to c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mobile phone 300 can be attached only to the mobile phone of the corresponding model, or configured to cover only a part of the mobile phone can be attached to the mobile phone of various models have.

또한, 제1 보호커버(100)의 일면에는 다수 개, 예를 들어 한 쌍의 버튼과 휠 등의 입력수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입력수단을 가압 또는 회전시킴에 따라 전달되는 입력정보를 선택신호로 출력하는 입력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input means, for example, a pair of buttons and a wheel,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100, and therein, input information transmitted by pressing or rotating the input means is selected. An input unit 114 for outputting a signal is formed.

제2 보호커버(200)는 휴대폰(300)의 타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일면에는 휴대폰(300)의 형태를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고, 홈의 가장자리에는 휴대폰(3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돌기 등의 고정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보호커버(200)는 휴대폰(300)을 마우스로 사용하는 중에도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휴대폰(300)의 일부, 즉 스피커와 마이크 부분이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하며, 이러한 구성은 휴대폰(300)의 제2 보호커버(200)를 휴대폰(300)의 일부에만 감쌀 수 있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스피커와 마이크 부분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00 has a groove formed along one side of the mobile phone 300 so that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00 can be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300, and a fixing protrusion for fixing the mobile phone 300 to the edge of the groove. And fixing means are forme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00 should be configured such that a part of the mobile phone 300, that is, a speaker and a microphone part, can be exposed so that a call can be made while using the mobile phone 300 as a mouse.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00) may be formed to cover only a part of the mobile phone 300, or may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forming a through hole in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part.

제2 보호커버(200)의 내부에는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211)와, 발광소 자(211)로부터 방출된 빛을 감지하는 수광소자(212)로 구성되는 광센서부(210)가 장착되어 있으며, 제2 보호커버(200)에는 광센서부(210)를 노출시키는 소정 크기의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수광소자(212)는 발광소자(211)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바닥면에 반사되어 입사되면, 이를 감지하여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신호를 출력한다. Inside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00 is mounted an optical sensor unit 210 composed of a light emitting element 211 for emitting light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212 for det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211.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00 is provided with a hole (not shown)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o expose the optical sensor unit 210. W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211 is inciden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212, the light receiving element 212 detects this and outputs a position signal of the mouse pointer.

또한, 제2 보호커버(200)에는 휴대폰(300)과 제2 보호커버(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접속부(225)와, 제1접속부(225)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제2접속부(226) 및 입력부(114)와 광센서부(210)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컴퓨터의 드라이버에 의해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 및 마우스 메뉴의 선택으로 인식되는 마우스 동작정보로 가공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20)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0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25 a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25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obile phone 300 an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00 to supply power from the outside. Receives signals output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unit 226 and the input unit 114 and the optical sensor unit 210 for receiving and processes the mouse opera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driver of the computer as the position of the mouse pointer and the selection of the mouse menu. A microprocessor 220 is provided.

제1접속부(225)에는 휴대폰(300)의 전원포트에 연결할 수 있도록 소정 길이의 케이블(122)이 연장되거나, 또는 직접 휴대폰 전원포트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1접속부(225)를 통해 휴대폰(300)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제1 보호커버(100)와 제2 보호커버(200)에 전원을 공급해준다. 또한, 제1접속부(225)는 마이크로프로세서(220)에서 가공된 마우스 동작정보를 휴대폰(300)으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도 한다.The cable 122 of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extended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225 to be connected to the power port of the mobile phone 300, or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power port, and the mobile phone 300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unit 225.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of) to supply power to the first protective cover 100 an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00. In addition, the first connector 225 also serves as a passage for transferring the mouse operation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microprocessor 220 to the mobile phone (300).

제2접속부(226)는 휴대폰(300)의 전원포트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 케이블, 예를 들어 휴대폰 구매 시 제공되는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컴퓨터나 콘센트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은 컴퓨터나 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제2 보호커버(200)와 제1 보호커버(100)에 인가하는 동시에 휴대폰(300) 배터리의 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휴대폰(300) 배터리 충전은 제1보호커버(100) 및 제2보호커버(200)를 휴대폰(300)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제2보호커버(200)에 마련되어 있는 제2접속부(226)를 통해 언제든지 수행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on unit 226 is configured in the same form as the power port of the mobile phone 300 and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computer or an outlet using a cable, for example, a power supply provided when the mobile phone is purchased. B,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let, an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00 and the first protective cover 100 are applied to the mobile phone 300 to charge the battery. Battery charging of the mobile phone 300 is performed at any time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art 226 provided in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00 without removing the first protective cover 100 an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00 from the mobile phone 300. Can be performed.

제2 보호커버(200)와 제1 보호커버(100)의 소정 위치에는 제2 보호커버(200)와 제1 보호커버(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커넥터(223)가 연결되어 있으며, 커넥터(223)를 통해 입력부(114)에서 출력되는 선택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220)로 전송해준다. The connector 223 which electrically connects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00 and the first protective cover 100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00 and the first protective cover 100. The sel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input unit 114 is transmitted to the microprocessor 220 through 223.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부착용 마우스의 이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mobile terminal attached mou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휴대폰(300)의 전면 및 배면에 제2 보호커버(200)와 제1 보호커버(100)를 각각 부착한다. 이때, 제2 보호커버(200)와 제1 보호커버(100)는 커넥터(223)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커넥터(223)를 통해 전원을 공유하고 제1 보호커버(100)의 입력부(114)에서 가압 또는 회전에 의해 출력되는 선택신호를 전달받는다.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00 and the first protective cover 100 are attach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obile phone 300,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00 and the first protective cover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or 223, share the power through the connector 223 and the input portion 114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100 ) Receives a selection signal output by pressing or rotating.

휴대폰(300)에 제1 보호커버(100)와 제2 보호커버(200)가 부착되면, 제2 보호커버(200)의 제1접속부(225)를 휴대폰(300)의 전원포트에 연결한다. When the first protective cover 100 an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00 are attached to the mobile phone 300, the first connection part 225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00 is connected to the power port of the mobile phone 300.

휴대폰(300)과 제1 보호커버(100) 및 제2 보호커버(200)가 서로 연결되면, 휴대폰(300)의 키입력부를 조작하여 해당 소프트웨어, 즉 휴대폰(300)에 미리 내려받아 놓은 마우스 동작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제1접속부(225)를 통해 휴 대폰(300) 배터리로부터 전원 공급받고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서 가공된 마우스 동작정보 전달을 수행한다.When the mobile phone 300, the first protective cover 100 an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mouse operation previously downloaded to the corresponding software, that is, the mobile phone 300 by manipulating the key input unit of the mobile phone 300. By driving the software associated with the mouse 300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300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unit 225 to perform the processing of the mouse operation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microprocessor 220.

제1 보호커버(100)에 구비되는 버튼(110) 및 휠(112)의 동작을 통해 출력되는 선택신호와 제2 보호커버(200)의 광센서부(210)를 통해 출력되는 위치신호가,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서 컴퓨터(400) 드라이버에서 인식할 수 있는 마우스 동작정보로 가공되어 휴대폰(300)으로 전달되면 휴대폰(300) 몸체에 내장되어 있는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컴퓨터(400)로 전송해준다. The selection signal output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button 110 and the wheel 112 provided in the first protective cover 100 and the position signal output through the optical sensor unit 210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00, When the microprocessor 220 is processed into mouse operation information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computer 400 driver and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phone 300, the microprocessor 220 transmits the mouse motion information to the computer 4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embedded in the body of the mobile phone 300. .

또한, 휴대폰(300)의 배터리가 소모되어 충전을 필요로 하는 경우나, 휴대폰(300)을 마우스로 사용하는 동안 휴대폰(300)에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가 소모되어 충전을 필요로 하는 경우 등 언제든지 제1보호커버(100)나 제2보호커버(200)를 휴대폰(300)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제2접속부(226)에 전원공급장치를 연결하여 제1보호커버(100) 및 제2보호커버(200)에 전원을 공급받는 동시에 배터리를 충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300 is depleted and needs to be charged, or when the battery mounted on the mobile phone 300 is depleted and needs to be charged while using the mobile phone 300 as a mouse, 1 The first protective cover 100 an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00 by connecting a power supply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26 without removing the protective cover 100 or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00 from the mobile phone 300. The battery can also be charged at the same time.

한편, 휴대폰에 적외선 통신모듈 또는 블루투스 모듈과 같은 무선통신모듈이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데이터전송 케이블을 통해 휴대폰의 전원포트 이외의 데이터 전송포트와 컴퓨터를 연결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가공된 마우스 동작정보를 컴퓨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휴대폰에는 마우스 동작에 관련된 소프트웨어가 미리 설치되어 있어야함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ellular phone is not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or a Bluetooth module, the mouse operation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icroprocessor by connecting a data transmission port other than the mobile phone's power port to a computer through a data transmission cable Can also be transferred to a computer. At this time, the mobile phone must be pre-installed with software related to the mouse oper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부착용 마우스의 내부 구성 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단말기 부착용 마우스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use for attach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mouse for attaching a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부착용 마우스는, 제3접속부(227)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부착용 마우스의 내부 구성과 동일하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휴대폰(310) 내부에는 적외선 통신모듈 또는 블루투스 모듈과 같은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되어 있지 아니하며, 이 경우에는 휴대단말기 부착용 마우스가 유선마우스로 사용되게 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mouse for attaching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attaching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connector 227. Same as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ouse. The mobile phone 310 used herein does not hav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or a Bluetooth module, and in this case, a mouse for attaching a mobile terminal is used as a wired mouse.

제3접속부(227)는 제2보호커버(200)의 일측에 휴대폰의 전원포트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며, 제2보호커버(200) 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220)에 연결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220)에서 가공된 마우스 동작정보를 컴퓨터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227 is configured in the same form as the power port of the mobile phone on one side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00, is connected to the microprocessor 220 inside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00, the microprocessor 220 It acts as a passage for transferring the processed mouse movement information to the computer.

제3접속부(227)에는 휴대단말기 구매시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케이블을 통해 인접한 컴퓨터에 연결되며, 마이크로프로세서(220)에서 가공된 마우스 동작정보를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400)로 전송한다. The third connection unit 227 is connected to an adjacent computer through a cable for data transmission provid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purchased, and transmits the mouse operation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icroprocessor 220 to the connected computer 400.

이때도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휴대폰(310)을 마우스로 사용하고 있는 동안 휴대폰(310) 배터리를 충전해야하는 경우, 제2보호커버(200)의 제2접속부(225)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아 제1보호커버(100) 및 제2보호커버(200)에 전원을 공급받는 동시에 배터리를 충전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as in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mobile phone 310 needs to be charged while the mobile phone 310 is used as a mouse,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art 225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00. The first protective cover 100 an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00 may be supplied with power and charge the battery.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부착용 마우스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use for attach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무선통신모듈이 탑재되지 않은 일반적인 휴대폰에 부착되어 무선마우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입력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input device capable of implementing a wireless mouse function by being attached to a general mobile phone without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부착용 입력장치는, 배터리(미도시)가 장착된 휴대폰(340)과, 휴대폰(340)의 일면에 부착되어 가압 또는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입력부(146)를 구비하는 제1 보호커버(100)와, 휴대폰(340)의 타면에 부착되어 휴대폰(3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몸체 일측에 휴대폰(34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접속부(247)와, 제접속부(247)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제2접속부(248)와, 몸체 일면에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243)와 발광소자(243)에서 방출되어 바닥면에서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수광소자(244)로 구성되는 광센서부(242)와, 입력부(146) 및 광센서부(24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컴퓨터의 드라이버에 의해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 및 마우스 메뉴의 선택으로 인식되는 마우스 동작정보를 가공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41)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241)에서 가공된 마우스 동작정보를 컴퓨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246)를 구비하는 제2 보호커버(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5, an input device for attach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ttached to a mobile phone 340 equipped with a battery (not shown) and one surface of the mobile phone 340 by pressing or rotating. The first protective cover 100 having a plurality of input unit 146 for outputting the generated signal, and is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34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340, the mobile phone 340 on one side of the body A first connection part 247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a second connection part 248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247 to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and a light emitting element 243 for emitting light to one surface of the body; From the light sensor unit 242 consisting of a light receiving element 244 for det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243 and refl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outputs a position signal, from the input unit 146 and the light sensor unit 242 Position and mouse position of mouse pointer by driver of computer by receiving output signal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40 includes a microprocessor 241 for processing mouse motion information recognized as a selection of a mouse menu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6 for transmitting the mouse motion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icroprocessor 241 to a comput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휴대폰(340)은 몸체 일면, 예를 들어 배면에 배터리(미도시)가 부착되어 있으며, 몸체 일측에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포트가 형성되어 있다. The mobile phone 340 has a battery (not shown)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ody, for example, a rear side thereof, and a power port for connecting a power source to charge the battery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제1 보호커버(140)는 휴대폰(340)의 배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일면에는 휴대폰(340)의 형태를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고, 홈의 가장자리에는 휴대폰(34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돌기 등의 고정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보호커버(140)는 휴대폰(340)의 일면 전체를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해당 기종의 휴대폰에만 부착하거나, 또는 휴대폰의 일면 일부만을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기종의 휴대폰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first protective cover 140 has a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obile phone 340 to b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340, and a fixing protrusion for fixing to the mobile phone 340 at the edge of the groove. And fixing means are formed. The first protective cover 140 is configured to wrap the entire surface of the mobile phone 340 to be attached only to the mobile phone of the corresponding model, or to cover only a portion of the mobile phone to be attached to the mobile phone of various models Can be.

또한, 제1 보호커버(140)의 일면에는 다수 개, 예를 들어 한 쌍의 버튼과 휠 등의 입력수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입력수단을 가압 또는 회전시킴에 따라 전달되는 입력정보를 선택신호로 출력하는 입력부(146)가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input means, for example, a pair of buttons and a wheel,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140, and therein, input information transmitted by pressing or rotating the input means is selected. An input unit 146 for outputting a signal is formed.

제2 보호커버(240)는 휴대폰(340)의 전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일면에는 휴대폰(300)의 형태를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고, 홈의 가장자리에는 휴대폰(34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돌기 등의 고정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보호커버(240)는 휴대폰(340)을 마우스로 사용하는 중에도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휴대폰(340)의 일부, 즉 스피커와 마이크 부분이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하며, 이러한 구성은 휴대폰(340)의 제2 보호커버(240)를 휴대폰(340)의 일부에만 감쌀 수 있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스피커와 마이크 부분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40 has a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obile phone 340 to be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phone 340, and a fixing protrusion for fixing the mobile phone 340 to the edge of the groove. And fixing means are forme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40 must be configured such that a part of the mobile phone 340, that is, a speaker and a microphone, can be exposed so that a call can be made even while using the mobile phone 340 as a mouse.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40 may be formed to cover only a part of the mobile phone 340, or may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forming a through hole in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또한, 제2 보호커버(240)에는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243)와, 발광소자(243)로부터 방출된 빛을 감지하는 수광소자(244)로 구성되는 광센서부(242)와, 휴대폰(340)과 제1 보호커버(1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접속부(247)와, 제1접속부(247)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제2접속부(248)와, 입력부(146)와 광센서부(242)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컴퓨터의 드라이버에 의해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 및 마우스 메뉴의 선택으로 인식되는 마우스 동작정보로 가공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41)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241)에서 가공된 마우스 동작정보를 컴퓨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246)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40 has a light sensor unit 242 composed of a light emitting element 243 for emitting light, a light receiving element 244 for sen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243, and a mobile phone A first connection part 247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340 and the first protective cover 140, a second connection part 248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247 to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and an input part; The microprocessor 241 and the microprocessor which receive signals output through the optical sensor unit 146 and the optical sensor unit 242 and process the mouse mo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driver of the computer as the position of the mouse pointer and the selection of the mouse menu.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6 for transmitting the mouse operation information processed at 241 to a computer is provided.

제1접속부(247)는 케이블(145)을 통해, 또는 직접 휴대폰(340)의 전원포트와 연결되어 휴대폰(340)에 장착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제1 보호커버(140)와 제2 보호커버(240)에 전원을 공급해준다. The first connector 247 is connected to the power port of the mobile phone 340 directly or through a cable 145 to receive power from a battery mounted in the mobile phone 340 to protect the first protective cover 140 and the second protection. It supplies power to the cover 240.

제2 보호커버(240)와 제1 보호커버(140)의 소정 위치에는 제2 보호커버(240)와 제1 보호커버(1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커넥터(245)가 연결되어 있으며, 커넥터(245)를 통해 입력부(146)에서 출력되는 선택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241)로 전송해준다. A connector 245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40 and the first protective cover 140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40 and the first protective cover 140. The sel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input unit 146 is transmitted to the microprocessor 241 through the 245.

무선통신부(24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41)에서 가공된 마우스 동작정보, 즉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신호 및 선택신호를 컴퓨터의 드라이브에 의해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 및 마우스 메뉴의 선택으로 인식되는 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컴퓨터로 전송해준다. 이때, 무선통신부(246)는 적외선 통신모듈 또는 블루투스모듈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구비되어 있는 통신모듈의 종류에 따라 선택되어 동작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6 perform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mouse operation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icroprocessor 241, that is, a signal recognized by the computer's drive as a position of the mouse pointer and a selection of a mouse menu by a computer drive. To the computer via the method. 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6 may be configured as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or a Bluetooth module, and may be selected and operate according to the type of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computer.

제2접속부(248)는 제2보호커버(240) 일측에 휴대폰(340)의 전원포트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 케이블, 예를 들어 휴대폰 구매 시 제공되는 전원공급장치를 통해 컴퓨터나 콘센트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1보호커버(140)와 제2보호커버(240)를 휴대폰(340)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제2보호커버(240)에 구비되어 있는 제2접속부(248)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제2 보호커버(240)와 제1 보호커버(140)에 전원을 공급하는 동시에 휴대폰(34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on part 248 is configured in the same form as the power port of the mobile phone 340 on one side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40 and can be connected to a computer or an outlet through a cable, for example, a power supply provided when the mobile phone is purchased. The second connection part 248 provided in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40 without having to remove the first protective cover 140 an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40 from the mobile phone 340 through this configuration.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second protective cover 240 and the first protective cover 140 to supply power to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340 can be charged at the same tim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부착용 마우스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use for attach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부착용 마우스의 이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mobile terminal attached mou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부착용 마우스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use for attach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부착용 마우스의 이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mobile terminal attached mous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부착용 마우스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use for attach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0, 140 : 제1 보호커버 110 : 버튼100, 140: first protective cover 110: button

112 : 휠 114, 140 : 입력부112: wheel 114, 140: input unit

127 : 데이터전송 커넥터 122, 145 : 케이블127: data transmission connector 122, 145: cable

200, 240 : 제2 보호커버 210, 242 : 광센서부 200, 240: second protective cover 210, 242: optical sensor

211, 243 : 발광소자 212, 244 : 수광소자211 and 243 light emitting elements 212 and 244 light receiving elements

220, 241 : 마이크로 프로세서 223, 245 : 커넥터 220, 241: microprocessor 223, 245: connector

225, 247 : 제1접속부 226, 248 : 제2접속부225, 247: first connection part 226, 248: second connection part

227 : 제3접속부 246 : 무선통신부 227: third connection unit 246: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00, 310, 340 : 휴대폰 400 : 컴퓨터300, 310, 340: mobile phone 400: computer

Claims (11)

배터리와 무선통신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 및 마우스 동작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인접한 컴퓨터로 마우스 동작정보를 전송해주는 기능을 갖는 소프트웨어가 내장된 휴대폰과; A mobile phone having a battery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therein, the software having a function of recogniz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mouse oper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mouse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adjacent comput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상기 휴대폰의 일면에 부착되고, 가압 또는 회전에 의해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입력부를 구비하는 제1 보호커버와;A first protective cover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mobile phone and having a plurality of input parts for outputting a selection signal by pressing or rotating; 상기 휴대폰의 타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1 보호커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몸체 일측에 상기 휴대폰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접속부와, 상기 제1접속부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제2접속부와, 몸체 내부에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되어 바닥면에서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수광소자로 구성되는 광센서부 및 상기 입력부와 상기 광센서부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컴퓨터의 드라이버에 의해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 및 마우스 메뉴의 선택으로 인식되는 마우스 동작정보로 가공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제2 보호커버;A first connection part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protective cover, a first connec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to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Through a light sensor unit consisting of a connecting portion, a light emitting device for emitting light inside the body and a light receiving device for det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refl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outputting a position signal through the input unit and the light sensor unit A second protective cover having a microprocessor which receives the output signal and processes the mouse signal into a mouse opera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a driver of a computer as a position of a mouse pointer and a selection of a mouse menu;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부착용 입력장치.Input device for attaching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배터리가 장착되고, 인접한 컴퓨터로 마우스 동작정보를 전송해주는 기능을 갖는 소프트웨어가 내장된 휴대폰과;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a battery and embedded with software hav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mouse operation information to an adjacent computer; 상기 휴대폰의 일면에 부착되고, 가압 또는 회전에 의해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입력부를 구비하는 제1 보호커버와;A first protective cover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mobile phone and having a plurality of input parts for outputting a selection signal by pressing or rotating; 상기 휴대폰의 타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1 보호커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몸체 일측에 상기 휴대폰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접속부와, 상기 제1접속부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제2접속부와, 몸체 내부에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되어 바닥면에서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수광소자로 구성되는 광센서부 및 상기 입력부와 상기 광센서부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컴퓨터의 드라이버에 의해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 및 마우스 메뉴의 선택으로 인식되는 마우스 동작정보로 가공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제2 보호커버;A first connection part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protective cover, a first connec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to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Through a light sensor unit consisting of a connecting portion, a light emitting device for emitting light inside the body and a light receiving device for det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refl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outputting a position signal through the input unit and the light sensor unit A second protective cover having a microprocessor which receives the output signal and processes the mouse signal into a mouse opera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a driver of a computer as a position of a mouse pointer and a selection of a mouse menu;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Consists of including 상기 휴대폰은 데이터 전송 케이블을 통해 상기 컴퓨터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가공된 마우스 동작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전송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부착용 입력장치.And the mobile phone is connected to the computer through a data transmission cable to transmit the mouse operation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icroprocessor to the computer.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폰과;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a battery; 상기 휴대폰의 일면에 부착되고, 가압 또는 회전에 의해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입력부를 구비하는 제1 보호커버와;A first protective cover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mobile phone and having a plurality of input parts for outputting a selection signal by pressing or rotating; 상기 휴대폰의 타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1 보호커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몸체 일측에 상기 휴대폰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접속부와, 상기 제1접속부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제2접속부와, 몸체 내부에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되어 바닥면에서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수광소자로 구성되는 광센서부와, 상기 입력부 및 상기 광센서부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컴퓨터의 드라이버에 의해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 및 마우스 메뉴의 선택으로 인식되는 마우스 동작정보로 가공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가공된 마우스 동작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한 제3접속부를 구비하는 제2 보호커버;A first connection part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protective cover, a first connec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to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An optical sensor unit comprising a connection unit, a light emitting element emitting light in the body,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emitting a position signal by detecting light refl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input unit and the optical sensor unit. A microprocessor for receiving a signal outputted through the microprocessor and processing the mouse mo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driver of the computer as the position of the mouse pointer and the selection of the mouse menu, and the mouse motion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icroprocessor connected to the microprocessor. A second protective cover having a third connecting portion for transmitting to a computer;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부착용 입력장치.Input device for attaching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적외선 통신모듈 또는 블루투스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부착용 입력장치.Input device for attaching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or Bluetooth modul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입력부는,The input unit, 한 쌍의 버튼과 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부착용 입력장치.Input device for attaching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air of buttons and wheels.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제1접속부는,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가공된 마우스 동작정보를 상기 휴대폰으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폰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2 보호커버 및 제1 보호커버로 인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부착용 입력장치.And transmitting the mouse operation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icroprocessor to the mobile phone,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and applying the power to the second protective cover and the first protective cover.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폰과;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a battery; 상기 휴대폰의 일면에 부착되고, 몸체 일면에 가압 또는 회전에 의해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입력부를 구비하는 제1 보호커버와;A first protective cover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mobile phone and having a plurality of inputs on one surface of the mobile phone to output a selection signal by pressing or rotating; 상기 휴대폰의 타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1 보호커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몸체 일측에 상기 휴대폰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접속부와, 상기 제1접속부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제2접속부와,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되어 바닥면에서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수광소자로 구성되는 광센서부와; 상기 입력부와 상기 광센서부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컴퓨터의 드라이버에 의해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 및 마우스 메뉴의 선택으로 인식되는 마우스 동작정보로 가공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가공된 마우스 동작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 보호커버;A first connection part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protective cover, a first connec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to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An optical sensor unit comprising a connection unit, a light emitting element emitting light,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emitting a position signal by sensing light refl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The microprocessor and the mouse operation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icroprocessor are processed by receiving a signal output through the input unit and the optical sensor unit into the mouse opera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driver of the computer as the position of the mouse pointer and the selection of the mouse menu. A second protective cover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computer;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부착용 입력장치.Input device for attaching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무선통신부는,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적외선 통신모듈 또는 블루투스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부착용 입력장치.Input device for attaching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or Bluetooth module.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입력부는,The input unit, 한 쌍의 버튼과 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부착용 입력장치.Input device for attaching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air of buttons and wheels.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1접속부는,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상기 휴대폰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2 보호커버 및 제1 보호커버로 인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부착용 입력장치.Input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and applied to the second protective cover and the first protective cover. 제 1 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제2접속부는,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상기 컴퓨터 또는 콘센트에 연결되어 상기 컴퓨터 또는 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2 보호커버 및 제1 보호커버로 인가해주는 동시에 상기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부착용 입력장치.And an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computer or an outlet to receive power from the computer or the outlet to supply the second protective cover and the first protective cover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KR1020080082532A 2008-08-22 2008-08-22 An attachable input device on mobile unit KR1009430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532A KR100943031B1 (en) 2008-08-22 2008-08-22 An attachable input device on mobile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532A KR100943031B1 (en) 2008-08-22 2008-08-22 An attachable input device on mobile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3031B1 true KR100943031B1 (en) 2010-02-18

Family

ID=42083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532A KR100943031B1 (en) 2008-08-22 2008-08-22 An attachable input device on mobile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3031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477B1 (en) * 2011-11-03 2013-02-07 이고앤컴퍼니(주) Case having mouse function interconnecting mobile
KR101253723B1 (en) * 2012-06-29 2013-04-12 김기영 Smart mouse apparatus
KR101277278B1 (en) * 2013-02-06 2013-06-20 이민찬 Cell phone case with multi-function
KR101361310B1 (en) * 2012-11-02 2014-02-11 김현철 Cable device for mouse
DE102017010237A1 (en) * 2017-10-30 2019-05-02 Alessandro Piras Mobile Phone Ca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8776A (en) * 2003-03-05 2004-09-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 method for treatment of sewage and wastewater
KR20070027062A (en) * 2005-08-29 2007-03-09 박문수 Celluler phone a scan ma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8776A (en) * 2003-03-05 2004-09-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 method for treatment of sewage and wastewater
KR20070027062A (en) * 2005-08-29 2007-03-09 박문수 Celluler phone a scan mau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477B1 (en) * 2011-11-03 2013-02-07 이고앤컴퍼니(주) Case having mouse function interconnecting mobile
KR101253723B1 (en) * 2012-06-29 2013-04-12 김기영 Smart mouse apparatus
WO2014003359A1 (en) * 2012-06-29 2014-01-03 Kim Gi Young Smart mouse device
US9417715B2 (en) 2012-06-29 2016-08-16 Gi Young Kim Smart mouse device having an optical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KR101361310B1 (en) * 2012-11-02 2014-02-11 김현철 Cable device for mouse
WO2014069705A1 (en) * 2012-11-02 2014-05-08 Kim Hyunchul Cabled mouse device
KR101277278B1 (en) * 2013-02-06 2013-06-20 이민찬 Cell phone case with multi-function
DE102017010237A1 (en) * 2017-10-30 2019-05-02 Alessandro Piras Mobile Phone C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86922B (en) Portable sound equipment
US9939850B2 (en) Accessor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80316177A1 (en) Mouse-type mobile phone
KR101521539B1 (en) Smart watch coupling earphone
KR20160052183A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100943031B1 (en) An attachable input device on mobile unit
CN102053665A (en) Portable terminal
CN209594090U (en) Electronic equipment
CN112449264B (en) Earphone storage box, wireless earphone, earphone assembly and earphone assembly interaction method
US20160277052A1 (en) Modular Portable Power Device
CN109587992A (en) Electronic equipment
US20180356881A1 (en) Pairing of wireless earpiece to phone or other device
US11921553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heat dissipation structure
KR101637368B1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US9977528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 sensor
WO2019201217A1 (en) Electronic device
KR20180020653A (en) Mobile terminal
US7266392B2 (en) Reconfigurable peripheral device for use with wireless apparatus
CN111935928B (en) Wristwatch type communication terminal
CN111989906A (en) Electronic device
WO2020235805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orce sensor
CN110165451B (en) Fix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of BTB connector
CN209659369U (en) Kato Mechanism Combination part and mobile terminal
CN114153334A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thereof
CN108810219B (en) Terminal protective sleeve, terminal and application auxiliar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