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844B1 - 필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844B1
KR100941844B1 KR1020080009045A KR20080009045A KR100941844B1 KR 100941844 B1 KR100941844 B1 KR 100941844B1 KR 1020080009045 A KR1020080009045 A KR 1020080009045A KR 20080009045 A KR20080009045 A KR 20080009045A KR 100941844 B1 KR100941844 B1 KR 100941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filter
electrode layer
flat panel
pane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3086A (ko
Inventor
권영국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9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1844B1/ko
Priority to JP2008126813A priority patent/JP2009181118A/ja
Priority to US12/291,278 priority patent/US20090190198A1/en
Priority to CNA2008101815733A priority patent/CN101498801A/zh
Priority to EP08172821A priority patent/EP2085812A2/en
Publication of KR20090083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7Arrangement of liquid crystal layers or cells in which the final condition of one light beam is achieved by the addition of the effects of two or more layers o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02Vessels; Containers; Shields associated therewith; Vacuum loc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4Means for improving contrast or colour purity, e.g. black matrix or light shield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시인성 및 명실 명암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필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필름 필터는 대향 배치되는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 관통홀을 구비하며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층; 및 관통홀에 배치되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계에 따라 광 투과율이 변화하는 블라인드 부재를 포함한다.
PDP, 필름 필터, 투과율, electro-optical layer, 광투과, 광차단

Description

필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장치{Film filter and flat panel displa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휘도를 높이면서 명실 명암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필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체방전(플라즈마) 현상을 이용한 평판 표시장치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존의 표시장치를 대표하는 CRT에 비해 대형화 및 박형화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 중의 하나로 지속적으로 연구개발되고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방전에 의해 구동하므로 강한 전자파를 방출하며, 이러한 전자파는 인체나 다른 전자기기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기존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방출하는 전자파를 법정 기준치 이하로 낮추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대부분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전자파와 근적외선을 차단하면서 동시에 외부광의 반사율을 낮추어 명실 명암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면 필터를 채용하고 있다.
전면 필터는 유리(glass)의 이용 유무에 따라 강화유리 필터와 필름 필터로 구분할 수 있는데, 강화유리 필터는 외부 충격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3㎜ 정도의 두께를 갖기 때문에 무겁고 설치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패널의 상판 유리와의 사이에 계면이 발생하고 계면에서의 빛의 굴절에 의해 영상이 이중으로 반사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필름 필터는 강화유리 필터와 대비할 때 경량화 및 박형화, 이중영상 개선 등의 장점이 있지만, 광효율 면에서 내부광과 외부광의 투과율이 같기 때문에 표시장치의 시인성 및 명실/암실 명암비(contrast ratio)를 향상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전면 필터는 광특성 향상을 위하여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색소 등으로 인해 대략 40~55%의 광 투과율을 갖는데, 이러한 광 투과율은 표시장치의 휘도를 낮추기 때문에 시인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면 필터의 광 투과율을 55%보다 높게 설계하면, 휘도는 높아지지만 강한 외광 산란에 의해 명실 명암비가 떨어져 고품위의 동영상 구현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평판 표시장치의 휘도를 높게 하는 경우에도 명실 명암비를 확보할 수 있는 필름 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한 필름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고휘도 특성을 가지면서 원하는 명실 명암비 및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표시장치의 시인면 상에 직접 부착되는 필름 필터로서,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층; 지지층의 양면에 배치되는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 및 관통홀에 삽입되며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을 통해 인가되는 전계에 따라 광 투과율이 변화하는 블라인드 부재를 포함하는 필름 필터가 제공된다.
상기 블라인드 부재는 분극성 입자, 광변색 소자, 및 전기 및 광변색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필름 필터는 반사 방지층 및/또는 눈부심 방지층으로 이루어진 상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필터는 색보정, 네온광 차단 및 근적외선 차단 중 어느 하나를 위한 상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필터는 상부층으로서 전자파 차폐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는 필름 필터를 기준으로 필름 필터가 부착될 평판 표시장치가 위치하는 쪽을 하부로 할 때 그 반대쪽을 의미한다.
상기 필름 필터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은 색보정, 네온광 차단 및 근적외선 차단 중 어느 하나를 위한 색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필터는 투명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필름은 전술한 상부층이나 전자파 차폐층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필름 필터는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 간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평판 표시장치 본체; 및 평판 표시장치 본체의 시인면 상에 부착되는 필름 필터를 포함하고, 필름 필터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필름 필터인 평판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필름 필터의 지지층은 흑색 계열의 색상을 구비하며, 평판 표시장치의 발광영역 및 비발광영역 중 상기 비발광영역에 상응하는 패턴 구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필름 필터는 평판 표시장치의 휘도를 높게 설계하는 경우에도 광 불투과영역으로 작용하는 흑색의 지지층과 전계 인가시 광 투과영역으로 작용하는 블라인드 부재에 의해 평판 표시장치의 명실/암실 명암비 및 시인성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물론, 강화유리 필터에 비해 필름 필터가 갖는 효과 예컨대, 평판 표시장치와의 계면 제거에 의한 이중 영상 제거의 효과와, 평판 표시장치의 경량화, 박형화 및 저비용화에 대한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 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투명하다는 용어는 완전히 투명하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투명으로 볼 수 있는 정도의 투과율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필름 필터(10)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전극층(11)과 제2 전극층(12), 제1 전극층(11)과 제2 전극층(12)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층(13)을 포함한다. 필름 필터(10)는 평판 표시장치의 시인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필름 필터(10)는 부착될 평판 표시장치의 휘도를 높이면서 원하는 명실 명암비 및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지층(13)이 광 투과영역과 광 비투과영역을 갖도록 패터닝 되어 있으며, 전술한 광 투과영역에는 인가되는 전계에 따라 광 투과율이 변화하는 블라이드 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필름 필터의 구조 및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필름 필터를 I-I'선을 따라 취한 단면에 대응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지지층(13)은 필름 필터(10)의 제1 전극층(11)과 제2 전극층(12) 사이에 배치되며 관통홀(14)을 구비한다. 지지층(13)은 관통홀(14)에 의 해 격자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도 3a 참조). 전술한 지지층(13)은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bonate),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TAC, triacetate cellulos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AP, cellulose acetate propionate)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층(13)은 내부광의 투과를 차단하고 외부광을 흡수할 수 있도록 흑색 계열의 색소(15)를 포함한다. 색소는 지지층(13)을 흑색으로 나타낼 수 있는 재료 즉, 가시 영역의 원하는 파장의 광을 흡수할 수 있는 일반의 염료 또는 안료이면 되며,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색소는 안트라퀴논계, 프탈로시아닌계, 메틴계, 아조메틴계, 옥사딘계, 아조계, 스티릴계, 쿠마린계, 포르피린계, 디벤조푸라논계, 디케토피롤로피롤계, 로다민계, 크산텐계, 피로메텐계 등의 유기 색소를 포함한다. 색소의 종류 및 농도는 색소의 흡수 파장 및 흡수 계수, 투명 층의 색조, 필름 필터에 요구되는 투과 특성 및 투과율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 의하면, 지지층(13)은 대략 격자 모양으로 패터닝된 흑색의 층으로 형성된다.
제1 전극층(11) 및/또는 제2 전극층(12)은 투명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 물질은 ITO(indium tin oxide), SnO2 등을 포함한다. 제1 전극층(11) 및/또는 제2 전극층(12)은 평판 표시장치의 화면으로 방출되는 전자파(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를 차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흑색, 흑색 계열 또는 흑색 계열의 색상은 입사되는 광 대부분을 차단 또는 흡수할 수 있는 색상뿐 아니라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광 투과율이 일정값 이하로 낮은 투과율을 갖는 색상을 의미한다.
블라인드 부재(16)는 지지층(13)의 관통홀(14)에 배치된다. 블라인드 부재(16)의 광 투과율은 제1 전극층(11)과 제2 전극층(12)을 통해 인가되는 전계에 따라 변화된다. 예를 들면 블라인드 부재(16)는 전계를 인가하면 투명해져 빛을 투과시키고, 전계를 인가하지 않으면 불투명해져 빛을 차단한다. 전술한 블라인드 부재(16)는 분극성 입자(Suspended Particle)나 광변색소자(photochromic device)나 전기광변색소자(electrochromic device) 등을 이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정분자와 고분자를 혼합하여 제작한 블라인드 부재(16)는 전계 미인가시 분극성 입자인 액정분자가 불규칙 브라운(random brownian) 운동을 하기 때문에 입사되는 광이 흡수 및 산란되어 낮은 광 투과율을 나타내고, 전계가 인가되면 액정분자가 전계방향으로 배열되어 투명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높은 광 투과율을 나타낸다.
전술한 분극성 입자를 이용하는 블라인드 부재(16)는 제1 전극층(11)과 제2 전극층(12)에 전계를 인가하여 광 투과율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점 이외에 추가적으로 99% 이상의 자외선을 차단하고 근적외선을 반사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 는다.
전술한 필름 필터(10)는 대기 모드 즉, 제1 도전층(11)과 제2 도전층(12)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모드에서 지지층(13)과 블라인드 부재(16)를 통해 실질적으로 내부광을 외부로 거의 투과시키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필름 필터(10)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부(17)로부터 제1 도전층(11)과 제2 도전층(12)에 전압이 인가될 때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되며, 이때 블라인드 부재(16)는 그것의 광 투과율이 변화하여 내부광을 외부로 투과시킨다. 그리고 외부광은 흑색의 지지층(13)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전술한 전압은 분극성 입자를 이용한 블라인드 부재(16)의 경우 대략 30~100V 교류 전압이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 필터(10)가 설치될 평판 표시장치의 복수의 픽셀이 배열되어 있는 패턴 구조 즉, 발광영역에 마주하도록 블라인드 부재(16)를 배열하고 상기 발광영역 이외의 영역 즉, 비발광영역에 마주하도록 지지층(13)을 패터닝하는 경우, 평판 표시장치의 작동시 픽셀의 패턴 구조에 상응하는 블라인드 부재(16)의 광 투과영역과, 상기 비발광영역에 상응하는 지지층(13)의 광 불투과영역을 통하여 평판 표시장치의 명실/암실 명암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평판 표시장치의 휘도를 높게 설정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블라인드 부재(16)의 광 투과영역과 지지층(13)의 광 불투과영역을 통하여 평판 표시장치의 원하는 명실 명암비 및 시인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필름 필터에 채용가능한 지지층 구조의 평면도 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지지층(13)은 평면에서 볼 때 일정 간격으로 서로 떨어져 배열되는 복수의 관통홀(14)을 구비한 격자 모양의 패턴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14)의 모양은 사각형으로 모두 동일하게 도시되어 있지만, 그 모양은 필름 필터가 설치될 평판 표시장치의 각각의 발광영역에 해당하는 각 픽셀 영역에 상응하여 다각형이나 원호를 포함하는 다각형 등으로 동일하게 또는 개별적으로 각각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지지층(13)의 모양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 필터가 설치될 평판 표시장치의 일방향의 픽셀 영역에 상응하여 관통홀(14a)이 일방향(도 4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라이프 형상을 구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필름 필터의 제조공정에 대한 단면도이다.
먼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펠릿을 290℃ 내지 300℃에서 용융시키고 압출기로 압축하여 200㎛ 두께의 필름을 제작한다. 그리고 이 필름을 다시 가열하면서 2축연신하여 두께 100㎛의 PET 필름(21)을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PET 필름(21)의 준비 공정과 유사한 공정을 통하여 색소가 포함된 흑색의 PET 필름(23a)을 준비한다. 예를 들면, PET 필름 제작시 PET 펠릿과 함께 소정 함량의 흑색 계열의 색소를 첨가하여 용융시켜 압착함으로써 흑색의 PET 필름을 제작할 수 있다.
다음,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한 PET 필름(21) 상에 도전막(22)을 형성한다. 도전막(22)은 전술한 제1 전극층 또는 제2 전극층에 대응한다. 그리고 도전막(22) 상에 흑색의 PET 필름(23a)을 부착한다. 부착은 롤-투-롤(roll to roll) 공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 식각(laser etching) 공정을 통해 흑색의 PET 필름(23a)을 패터닝하여 관통홀(24)을 형성함으로써 원하는 패턴 구조를 갖는 지지층(23)을 형성한다.
다음,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 프린팅법이나 잉크젯 프린팅법이나 증착법 등을 통해 관통홀(24)에 블라인드 부재(25)를 삽입한다.
다음,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 다른 투명한 PET 필름(27) 상에 또 다른 도전막(26)이 형성되어 있는 적층체를 지지층(23)과 블라인드 부재(25) 상에 부착하여 필름 필터를 제작한다.
한편, 전술한 제조공정에 있어서, 지지층(23)과 그 양면에 위치하는 도전막(22, 26) 및/또는 투명 필름(21, 27)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전막(22, 26)은 지지층(23)의 관통홀(24) 패턴(도 3a의 14 참조)에 상응하는 메인 패턴과 이 메인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버스 패턴(미도시)을 구비한 패턴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도전막(22, 26)은 지지층(23)을 사이에 두고 면 대칭되는 패턴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사진식각 등의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경우, 동일한 PET 재료로 이루어진 층들(21, 23, 27)이 서로 접촉하므로 소정 압력과 분위기 하에서 손쉽게 고강도로 부착될 수 있다.
또 한편, 본 실시예의 도전막(22, 26)은 투명 필름(21, 27)의 거의 전면에 각각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도전막(22, 26)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지지층(23)과 투명 필름(21, 27)을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필름 필터의 각 층들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실시예의 필름 필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관통홀(24)를 구비한 지지층(23)의 양면에 도전막(22, 26)이 붙은 투명 필름(21, 27)을 적층한 상태에서 외부와 관통홀(24)을 연결하는 작은 틈을 통해 블라인드 부재(25)를 관통홀(24)에 주입한 후 상기 틈을 막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블라인드 부재(25)는 모세관 현상이나 기압차에 의하여 관통홀(24)에 주입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필름 필터는 기본적인 필터 구조 이외에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A, B, C)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적인 필터 구조는 도 2a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필름 필터(10)를 의미하며, 이하의 설명에서 베이스층(10)이라 언급한다.
구체적으로, 필름 필터는 베이스층(10)의 일면(이하 하부면이라 한다)에 배치되는 제1 투명 필름(32a)을 포함한다. 제1 투명 필름(32a)은 도 4d의 투명 필름(21)에 대응한다. 제1 투명 필름(32a) 상에는 제1 접착층(30a)이 배치된다. 제1 접착층(30a)은 필름 필터를 평판 표시장치의 시인면에 직접 부착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필름 필터는 베이스층(10)의 타면(이하 상부면이라 한다)에 배치되는 제2 투명 필름(32b)을 포함한다. 제2 투명 필름(32b)은 도 4d의 투명 필름(27)에 대응한다.
제2 투명 필름(32b) 상에는 전자파 차단을 위한 전자파(EMI) 차폐층(34)이 배치된다. 전자파 차폐층(34)은 메쉬(mesh) 형태의 구리(Cu) 박막이나 기타 소정 패턴을 갖는 도전막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전자파 차폐층(34) 상에는 제2 접착층(30b)을 개재하여 제3 투명 필름(32c)이 배치된다. 제2 접착층(30b)과 제3 투명 필름(32c)은 그 위에 설치될 상부층을 지지하면서 그 상부층과 전자파 차폐층(34) 간의 접착력 향상과 그것들 간의 계면을 평탄하게 하기 위해 설치된다.
제3 투명 필름(32c) 상에는 색보정, 네온광 차단 및 근적외선 차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위한 컬러코팅층(36)이 배치된다. 컬러코팅층(36)은 가시광 영역에서 특정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염료나 안료와 같은 색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색소로는 네온의 여기(excited)시에 방출되는 약 585㎚ 파장 부근의 불필요한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시아닌계(cyanine based), 스쿠아릴륨계, 아조메틴계(azomethine based), 키산텐계, 옥소놀계, 아조계(azo based) 등의 화합물이 사용가능하다. 컬러코팅층(36) 상에는 제3 접착층(30c)을 개재하여 제4 투명 필름(32d)이 배치된다. 제3 접착층(30c)과 제4 투명 필름(32d)은 그 위에 설치될 또 다른 상부층을 지지하면서 그 상부층과 컬러코팅층(36) 간의 접착력 향상과 그것들 간의 계면을 평탄하게 하기 위해 설치된다.
한편, 전술한 제1 접착층(30a) 및/또는 제2 접착층(30b)에 상기 컬러코팅층(36)의 색소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컬러코팅층(36)과 이 컬러코팅층(36)의 상하면에 배치되는 제3 투명 필름(32c) 및 제3 접착층(30c)은 생략될 수 있다.
제4 투명 필름(32d) 상에는 반사 방지 및/또는 눈부심 방지를 위한 반사방지층(38)이 형성된다. 반사방지층(38)은 투과되는 광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외부광의 반사 및 난반사를 방지하도록 배치된다. 반사방지층(38)은 단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로 설치될 수 있는데, 단층 구조는 불소계 투명 고분자 수지나 불소화 마그네슘, 실리콘계 수지나 산화 규소의 박막 등을 1/4 파장의 광학 막두께로 배치한 것을 포함하며, 다층 구조는 굴절률이 다른 금속산화물, 불소화물, 규화물, 붕화물, 탄화물, 질화물, 황화물 등의 무기 화합물,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 수지, 또는 불소계 수지 등의 유기 화합물 박막을 2층 이상 배치한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반사방지층(38)의 형성에는 스퍼터링법, 이온도금법, 이온빔 어시스트법, 진공 증착법, 화학기상증착(CVD), 물리기상증착(PVD)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 필터는, 도 5에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반사방지층(38) 상에 배치되는 하드코팅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드코팅재는 여러 형태의 외력에 의한 스크래치(scratch) 방지를 위해 설치될 수 있으며,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록산계 폴리머를 이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고 또한, 올리고머(oligomer)와 같은 자외선 경화 수지를 이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강도 향상을 위하여 실리카(silica)계의 필러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하드코팅재는 반사방지층(38)에 삽입되거나 반사방지층(38)의 하부면 즉 반사방지층(38)과 제4 투명 필름(32d) 사이에 배치되거나 반사방지층(38)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드코팅재를 포함하는 반사방지층(38)은 그 두께가 너무 두껍지 않으면서 기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2~7㎛의 두께(T)를 구비하고, 그 광학적 특성이 헤이즈(haze)가 1~3% 정도로 낮고, 그 가시광 투과율이 30% 내지 90%이며, 그 외부광 반사율이 1~20% 정도로 낮으면서 유리 전이온도 이상의 내열성 및 연필경도 2~3H를 구비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필름 필터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평판 표시장치로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패널 본체(50)와 이 패널 본체(50)의 시인면에 부착되는 필름 필터(1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필름 필터(10)는 도 2a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필름 필터이다. 물론, 필름 필터(10)는 도 5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필름 필터로 대체될 수 있다.
패널 본체(50)는 대향 배치되는 상판(front plate)과 하판(back plate)을 포함한다. 상판은 제1 기판(substrate)(51)과 이 제1 기판(51)상에 배치되는 X-Y 전극(미도시), 제1 유전체층(52) 및 보호막(미도시)을 포함하며, 하판은 제2 기판(53)과 이 제2 기판(53)상에 배치되는 어드레스 전극(미도시), 제2 유전체층(54), 격벽(55) 및 형광체층(56)을 포함한다.
또한 패널 본체(50)는 상판과 하판의 결합 구조물을 지지하는 섀시베이스(chassis base)와 이 섀시베이스의 일면에 배치되며 패널을 구동하는 회로들로 이루어진 구동회로기판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패널 본체(50)의 상세한 구조 및 작동원리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필름 필터(10)의 블라인드 부재(16)가 채워진 지지층(13)의 관통홀(14)이 패널 본체(50)의 방전셀 영역 즉, 형광체(56)가 도포되어 있는 방전공간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지지층(13)이 격벽(55)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필름 필터(10)를 통해 패널 본체(50)의 명실 명암비가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패널 본체(50)의 휘도를 높이는 경우에도 명실 명암비 및 시인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필름 필터(10)의 제1 전극층(11)과 제2 전극층(12)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는 패널 본체(50) 내의 구동회로기판(57)에 탑재된 구동회로 또는 전원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패널 본체(50)를 구동시키는 구동회로의 작동 여부에 따라 필름 필터(10)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필름 필터(10)의 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필름 필터(10)의 작동을 위한 별도의 전원부를 생략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평판 표시장치로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FED), 진공형광표시관(VFD), 유기전기발광디스플레이(OLED), 액정표시장치(LC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가능하다.
전술한 발명에 대한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의 기재에 구속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필터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필름 필터의 구조 및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필름 필터에 채용가능한 지지층 구조의 평면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필름 필터의 제조공정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필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필름 필터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필름 필터 11 : 제1 전극층
12 : 제2 전극층 13 : 지지층
14, 14a : 관통홀 15 : 색소
16 : 블라인드 부재 17 : 전원부
30a, 30b, 30c : 접착층 32a, 32b, 32c, 32d : 투명필름
34 : 전자파 차폐층 36 : 색보정층
38 : 반사방지층

Claims (17)

  1.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층;
    상기 지지층의 양면에 배치되는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을 통해 인가되는 전계에 따라 광 투과율이 변화하는 블라인드 부재를 포함하는 필름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은 투명물질로 이루어지는 필름 필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물질은 ITO인 필름 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부재는 분극성 입자, 광변색 소자, 및 전기 및 광변색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필름 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 또는 상기 제2 전극층 상에 배치되는 반사 반지층, 눈부심 방지층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상부층을 더 포함하는 필름 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의 코팅 두께는 2~7㎛, 연필경도가 2~3H, 헤이즈가 1~3%인 필름 필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 일면에 배치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 일면에 배치되거나 상기 접착층에 포함되는 색보정, 네온광 차단 및 근적외선 차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위한 컬러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필름 필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 또는 상기 제2 전극층 상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필름 필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색보정, 네온광 차단 및 근적외선 차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위한 색소를 포함하는 필름 필터.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필름 필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평판 표시장치 본체; 및
    상기 평판 표시장치 본체의 시인면 상에 부착되는 필름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 필터는 제1항 내지 제9항,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름 필터인 평판 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필터의 지지층은 흑색 계열의 색상을 구비하며, 상기 평판 표시장치의 발광영역 및 비발광영역 중 상기 비발광영역에 상응하는 패턴 구조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표시장치 본체는 액정표시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전기발광 표시장치, 전계방출 표시장치 및 진공형광 표시관 중 어느 하나인 평판 표시장치.
KR1020080009045A 2008-01-29 2008-01-29 필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장치 KR100941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045A KR100941844B1 (ko) 2008-01-29 2008-01-29 필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장치
JP2008126813A JP2009181118A (ja) 2008-01-29 2008-05-14 フィルム状フィルタ及びこれを備える平板表示装置
US12/291,278 US20090190198A1 (en) 2008-01-29 2008-11-07 Film filter and flat panel display having the same
CNA2008101815733A CN101498801A (zh) 2008-01-29 2008-11-27 膜滤光器及具有该膜滤光器的平板显示器
EP08172821A EP2085812A2 (en) 2008-01-29 2008-12-23 Film Filter for a Flat Panel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045A KR100941844B1 (ko) 2008-01-29 2008-01-29 필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086A KR20090083086A (ko) 2009-08-03
KR100941844B1 true KR100941844B1 (ko) 2010-02-11

Family

ID=40751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045A KR100941844B1 (ko) 2008-01-29 2008-01-29 필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190198A1 (ko)
EP (1) EP2085812A2 (ko)
JP (1) JP2009181118A (ko)
KR (1) KR100941844B1 (ko)
CN (1) CN10149880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733B1 (ko) * 2008-04-14 2010-06-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필름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90125416A (ko) * 2008-06-02 2009-1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학 필터 및 그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WO2010003134A2 (en) 2008-07-03 2010-01-07 Masimo Laboratories, Inc. Protrusion, heat sink, and shielding for improving spectroscopic measurement of blood constituents
US8630691B2 (en) 2008-08-04 2014-01-14 Cercacor Laboratories, Inc. Multi-stream sensor front ends for noninvasive measurement of blood constituents
JP6096410B2 (ja) 2010-12-13 2017-03-15 コーニング精密素材株式会社Corning Precision Materials Co., Ltd. 平板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737576B (zh) * 2011-04-12 2014-12-10 神基科技股份有限公司 透明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US20140333991A1 (en) * 2012-01-19 2014-11-13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1448673B1 (ko) * 2012-12-07 2014-10-08 주식회사 엔케이이씨 전기 변색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48671B1 (ko) * 2012-12-07 2014-10-13 주식회사 엔케이이씨 전기 변색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216191B (zh) * 2013-05-31 2017-05-10 赛恩倍吉科技顾问(深圳)有限公司 电致变色膜
CN103529615B (zh) * 2013-11-06 2016-04-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JP6597373B2 (ja) 2015-06-19 2019-10-30 株式会社リコー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CN107636525A (zh) * 2015-07-08 2018-01-26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电泳隐私装置
KR102568924B1 (ko) 2016-06-14 2023-08-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룸미러 모듈
DE102016111159A1 (de) * 2016-06-17 2017-12-2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Displayanordnung und Verfahren zur Anzeige von Informationen
KR101982386B1 (ko) * 2016-10-31 2019-05-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CN110456548B (zh) * 2019-08-30 2022-04-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调光结构及其制备方法
CN112242098B (zh) * 2020-10-14 2022-08-05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面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13850A1 (fr) * 1996-09-26 1998-04-02 Asahi Glass Company Ltd. Plaque de protection d'ecran a plasma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KR20070111834A (ko) * 2006-05-19 2007-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필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9521A (en) * 1987-06-03 1990-04-24 Nippon Sheet Glass Co., Ltd. Electromagnetic device
JPH087391Y2 (ja) * 1990-03-09 1996-03-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粒子分散型表示素子
JPH05263572A (ja) * 1992-03-19 1993-10-12 Idemitsu Kosan Co Ltd フレキシブルブラインド
JP2006058896A (ja) * 2000-02-01 2006-03-02 Mitsui Chemicals Inc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354740A (ja) * 2003-05-29 2004-12-16 Fuji Photo Film Co Ltd 反射防止膜、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5157081A (ja) * 2003-11-27 2005-06-16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531796B1 (ko) * 2003-12-10 2005-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광셔터 및 그 구동방법
JP2005181933A (ja) * 2003-12-24 2005-07-07 Nisshinbo Ind Inc 光学フィルター
JP4604484B2 (ja) * 2003-12-25 2011-01-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光学素子
EP1779174A4 (en) * 2004-07-27 2010-05-05 E Ink Corp ELECTROOPTICAL DISPLAYS
TWI306533B (en) * 2005-03-15 2009-02-21 Ind Tech Res Inst A transflective electrophoresis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JP2007264628A (ja) * 2006-03-28 2007-10-11 Samsung Sdi Co Ltd フィルタ、そ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7148721A1 (ja) * 2006-06-22 2007-12-27 Pioneer Corporation 表示装置及び光学フィル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13850A1 (fr) * 1996-09-26 1998-04-02 Asahi Glass Company Ltd. Plaque de protection d'ecran a plasma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KR20070111834A (ko) * 2006-05-19 2007-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98801A (zh) 2009-08-05
US20090190198A1 (en) 2009-07-30
KR20090083086A (ko) 2009-08-03
JP2009181118A (ja) 2009-08-13
EP2085812A2 (en)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844B1 (ko) 필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장치
JP4739951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用フィルター及びこれを含んだ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870290B1 (ko) 시인성 향상 필름과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필터 및디스플레이 장치
KR101043692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JP2002323861A (ja) 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の製造方法
KR20090006451A (ko) 명암비 향상 광학시트, 이를 구비하는 필터, 및 상기 시트또는 필터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0962733B1 (ko) 필름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6350324A (ja) 直貼り型mrtフィルムフィルタ及びこれを備え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TW201003149A (en) Filt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090021693A (ko) 광학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049460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090056A (ko) 광 산란 기능을 갖는 반사방지 필름
JP2008304634A (ja) 光学シート
JP2010531465A (ja) 付着力が向上した光学シート、これを備えるフィルター、及びこれらのシートまたはフィルターを備える画像表示装置
KR20090065094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필터
US20070258160A1 (en) Filter for display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US8264145B2 (en) Display filter,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80164814A1 (en) Plasma display device with heat discharge prevention
KR20110000177A (ko) 열전소자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필터
KR100767687B1 (ko)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708701B1 (ko) 직부착 mrt 필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장치
US20080297023A1 (en) Filter for a plasma display apparatus
KR2004007429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 필터 및 제조 방법
KR2007011183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필터
KR20090052093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