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829B1 - 옹벽 조립체 - Google Patents

옹벽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829B1
KR100938829B1 KR1020090041400A KR20090041400A KR100938829B1 KR 100938829 B1 KR100938829 B1 KR 100938829B1 KR 1020090041400 A KR1020090041400 A KR 1020090041400A KR 20090041400 A KR20090041400 A KR 20090041400A KR 100938829 B1 KR100938829 B1 KR 100938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lock
block member
plate portion
base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대섭
Original Assignee
유황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황섭 filed Critical 유황섭
Priority to KR1020090041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8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28Shapes rectang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기초본체판부와, 상기 기초본체판부의 표면에 위치되며 상기 기초본체판부와는 다른 색상과 불규칙한 형상으로 돌출되는 표면을 가지는 기초표면판부와, 상기 기초본체판부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기초돌기판부와, 상기 기초돌기판부의 하방인 동시에 상기 기초본체판부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기초돌기판부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기초버팀판부를 가지는 기초단위블럭부재와, 상기 기초단위블럭부재의 상방이면서 그 기초단위블럭부재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후방에 위치되며,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상단본체판부와, 상기 상단본체판부의 표면에 위치되며 상기 상단본체판부와는 다른 색상과 불규칙한 형상으로 돌출되는 표면을 가지는 상단표면판부와, 상기 상단본체판부의 하방으로 돌출되며, 그 폭의 중앙부위에는 상기 기초돌기판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가지며, 그 하단은 상기 기초버팀판부와 접촉되는 상단하부결합판부와, 상기 상단본체판부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상단돌기판부와, 상기 상단돌기판부의 하방인 동시에 상기 상단본체판부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상단돌기판부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상단버팀판부를 가지는 상단단위블럭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복수개의 기초단위블럭부재와 복수개의 상단단위블럭부재가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옹벽을 형성하며, 상기 상단단위블럭부재의 상방에 인접되는 상단단위블럭부재가 접층될 때에는 상기 삽입홈에 인접되는 상단단위블럭부재의 상단돌기판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기초단위블럭부재와 상단단위블럭부재는, 상기 기초단위블럭부재와 상단단위블럭부재를 성형하기 위한 본체성형틀의 전면에 상기 기초표면판부와 상단표면판부를 성형하기 위한 표면모양성형틀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성형틀 내에 설치된 표면모양성형틀에 인조석 모르타르재료를 투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표면모양성형틀에 인조석 모르타르재료를 투입한 상기 본체성형틀 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상기 기초단위블럭부재 및 상단단위블럭부재의 조립 축조를 위한 조립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성형틀 내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표면모양성형틀에 투입된 인조석 모르타르재료와 본체성형틀에 투입된 콘크리트 모르타르재료를 양생하는 단계와, 상기 인조석 모르타르재료와 콘크리트 모르타르재료의 양생 후에 본체성형틀과 표면모양성형틀을 상호 탈형시키는 단계를 거쳐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조립식으로 옹벽을 제조함으로써 뒷채움토사하중과 마찰력으로 구조적 안정을 도모하고, 다양한 공사 현장의 여건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옹벽을 조립할 수 있으며, 그 표면에 다양한 색상이나 문양을 표현할 수가 있어서 수려한 미관을 가져서 보는 이의 환기를 유발하여 도시 미관에 기여할 수 있으며, 별도의 대리석이나 인조석 등을 접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제조 경비와 제조 시간이 절약될 수 있으며, 조경을 위한 화초 등을 심을 수 있어 고급스럽고 미관이 수려한 옹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옹벽 조립체{Breast wall assembly}
본 발명은 옹벽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으로 옹벽을 제조함으로써 뒷채움토사하중과 마찰력으로 구조적 안정을 도모하고, 다양한 공사 현장의 여건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옹벽을 조립할 수 있으며, 그 표면에 다양한 색상이나 문양을 표현할 수가 있어서 수려한 미관을 가져서 보는 이의 환기를 유발하여 도시 미관에 기여할 수 있으며, 별도의 대리석이나 인조석 등을 접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제조 경비와 제조 시간이 절약될 수 있으며, 조경을 위한 화초 등을 심을 수 있어 고급스럽고 미관이 수려한 옹벽을 제공할 수 있는 옹벽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지가 적은 국내에서는 언덕이나 산의 낮은 경사면을 깎아서 학교나 주택 등의 건물을 짓고 있으며, 경사면을 깎아서 건물을 지을 때에는 깎아서 평지로 만든 곳에 건물을 짓고, 그 건물 뒤에서 콘크리트와 만든 옹벽이나 축대를 쌓아 깎아 내린 경사면으로부터 흙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국내에는 산이 전 국토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관계로 각종의 도로를 만들 때에는 이러한 옹벽이 자주 사용되고 있으며, 옹벽의 사용은 여러 용도와 목적 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콘크리트 옹벽은 현장에서 거푸집설치, 철근배근, 레미콘타설, 양생, 거푸집해체, 뒤메우기 작업을 거쳐서 시공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작업을 거치는 종래의 콘크리트 옹벽은 그 시공방법이 복잡하며, 현장에서 인부들의 기술능력의 한계, 원거리로의 레미콘수송, 뒤메우기 작업시의 작업공간협소, 배수통로 형성의 애로 등으로 옹벽을 축조하는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조립식 옹벽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그 형상이 복잡하여 설치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 옹벽이나 조립식 옹벽은 그 색상이 콘크리트 색으로 일색되어 도시의 미관을 해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회피하기 위해서 옹벽의 표면에 자연석 등을 접착시키는 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이는 시간과 비용이 너무 과다하게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조립식으로 옹벽을 제조함으로써 뒷채움토사하중과 마찰력으로 구조적 안정을 도모하고, 다양한 공사 현장의 여건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옹벽을 조립할 수 있으며, 그 표면에 다양한 색상이나 문양을 표현할 수가 있어서 수려한 미관을 가져서 보는 이의 환기를 유발하여 도시 미관에 기여할 수 있으며, 별도의 대리석 이나 인조석 등을 접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제조 경비와 제조 시간이 절약될 수 있으며, 조경을 위한 화초 등을 심을 수 있어 고급스럽고 미관이 수려한 옹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조립체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기초본체판부와, 상기 기초본체판부의 표면에 위치되며 상기 기초본체판부와는 다른 색상과 불규칙한 형상으로 돌출되는 표면을 가지는 기초표면판부와, 상기 기초본체판부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기초돌기판부와, 상기 기초돌기판부의 하방인 동시에 상기 기초본체판부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기초돌기판부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기초버팀판부를 가지는 기초단위블럭부재와, 상기 기초단위블럭부재의 상방이면서 그 기초단위블럭부재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후방에 위치되며,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상단본체판부와, 상기 상단본체판부의 표면에 위치되며 상기 상단본체판부와는 다른 색상과 불규칙한 형상으로 돌출되는 표면을 가지는 상단표면판부와, 상기 상단본체판부의 하방으로 돌출되며, 그 폭의 중앙부위에는 상기 기초돌기판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가지며, 그 하단은 상기 기초버팀판부와 접촉되는 상단하부결합판부와, 상기 상단본체판부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상단돌기판부와, 상기 상단돌기판부의 하방인 동시에 상기 상단본체판부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상단돌기판부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상단버팀판부를 가지는 상단단위블럭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복수개의 기초단위블럭부재와 복수개의 상단단위블럭부재가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옹벽을 형성하며, 상기 상단단위블럭부재의 상방에 인접되는 상단단위블럭부재가 접층될 때에는 상기 삽입홈에 인접되는 상단단위블럭부재의 상단돌기판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기초단위블럭부재와 상단단위블럭부재는, 상기 기초단위블럭부재와 상단단위블럭부재를 성형하기 위한 본체성형틀의 전면에 상기 기초표면판부와 상단표면판부를 성형하기 위한 표면모양성형틀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성형틀 내에 설치된 표면모양성형틀에 인조석 모르타르재료를 투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표면모양성형틀에 인조석 모르타르재료를 투입한 상기 본체성형틀 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상기 기초단위블럭부재 및 상단단위블럭부재의 조립 축조를 위한 조립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성형틀 내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표면모양성형틀에 투입된 인조석 모르타르재료와 본체성형틀에 투입된 콘크리트 모르타르재료를 양생하는 단계와, 상기 인조석 모르타르재료와 콘크리트 모르타르재료의 양생 후에 본체성형틀과 표면모양성형틀을 상호 탈형시키는 단계를 거쳐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조립체의 상기 기초단위블럭부재의 일측단에는 그 기초단위블럭부재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기초측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기초단위블럭부재의 타측단에는 그 기초단위블럭부재의 측면으로부터 함몰되는 기초측면삽입홈을 가져서, 상기 복수개의 기초단위블럭부재가 상호 횡방향으로 결합될 때, 상기 어느 하나의 기초단위블럭부재의 기초측면돌기가 인접하는 기초단위블럭부재의 기초측면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상단단위블럭부재의 일측단에는 그 상단단위블럭부재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단측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단위블럭부 재의 타측단에는 그 상단단위블럭부재의 측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상단측면삽입홈을 가져서, 상기 복수개의 상단단위블럭부재가 상호 횡방향으로 결합될 때, 상기 어느 하나의 상단단위블럭부재의 상단측면돌기가 인접하는 상단단위블럭부재의 상단측면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조립체의 상기 상단단위블럭부재의 하단에는 조경을 위한 수목을 심을 수 있도록 관통된 구멍인 조경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조립체의 상기 조경관통공은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조립체에 의하면, 조립식으로 옹벽을 제조함으로써 뒷채움토사하중과 마찰력으로 구조적 안정을 도모하고, 다양한 공사 현장의 여건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옹벽을 조립할 수 있으며, 그 표면에 다양한 색상이나 문양을 표현할 수가 있어서 수려한 미관을 가져서 보는 이의 환기를 유발하여 도시 미관에 기여할 수 있으며, 별도의 대리석이나 인조석 등을 접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제조 경비와 제조 시간이 절약될 수 있으며, 조경을 위한 화초 등을 심을 수 있어 고급스럽고 미관이 수려한 옹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 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조립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조립체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조립체의 기초단위블럭부재를 도시한 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조립체의 상단단위블럭부재를 도시한 사시도를,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조립체의 사용 모습을 도시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조립체(100)는 기초단위블럭부재(10)와, 상단단위블럭부재(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기초단위블럭부재(10)는 기초본체판부(11)와, 기초표면판부(12)와, 기초돌기판부(13)와, 기초버팀판부(1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기초본체판부(11)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기초표면판부(12)는 상기 기초본체판부(11)의 표면에 위치되며 상기 기초본체판부(11)와는 다른 색상과 불규칙한 형상으로 돌출되는 표면을 가진다.
상기 기초돌기판부(13)는 상기 기초본체판부(11)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기초버팀판부(14)는 상기 기초돌기판부(13)의 하방인 동시에 상기 기초 본체판부(11)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기초돌기판부(13)보다 넓은 폭을 가진다.
상기 상단단위블럭부재(20)는 상기 기초단위블럭부재(10)의 상방이면서 그 기초단위블럭부재(10)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후방에 탑재되는 것으로서, 상단본체판부(21)와, 상단표면판부(22)와, 상단하부결합판부(23)와, 상단돌기판부(24)와, 상단버팀판부(2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단본체판부(21)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상단표면판부(22)는 상기 상단본체판부(21)의 표면에 위치되며 상기 상단본체판부(21)와는 다른 색상과 불규칙한 형상으로 돌출되는 표면을 가진다.
상기 상단하부결합판부(23)는 상기 상단본체판부(21)의 하방으로 돌출되며, 그 폭의 중앙부위에는 상기 기초돌기판부(13)가 삽입되는 삽입홈(232)을 가지며, 그 하단은 상기 기초버팀판부(14)와 접촉되는 것이다.
상기 상단돌기판부(24)는 상기 상단본체판부(21)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상단버팀판부(25)는 상기 상단돌기판부(24)의 하방인 동시에 상기 상단본체판부(21)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상단돌기판부(24)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복수개의 기초단위블럭부재(10)와 복수개의 상단단위블럭부재(20)가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옹벽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단단위블럭부재(20)의 상방에 인접되는 상단단위블럭부재(20)가 적층될 때에는 상기 삽입홈(232)에 인접되는 상단단위블럭부재(20)의 상단돌기 판부(24)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삽입홈(232)에 기초돌기판부(13) 내지 상단돌기판부(24)가 삽입되므로, 상기 기초단위블럭부재(10)와 상단단위블럭부재(20) 간의 결합과, 상기 상단단위블럭부재(20)와 상방으로 인접되는 상단단위블럭부재(20) 간의 결합이 더욱 견고히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기초단위블럭부재(10)의 일측단에는 그 기초단위블럭부재(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기초측면돌기(15)가 형성되며, 상기 기초단위블럭부재(10)의 타측단에는 그 기초단위블럭부재(10)의 측면으로부터 함몰되는 기초측면삽입홈(27)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기초단위블럭부재(10)가 상호 횡방향으로 결합될 때, 상기 어느 하나의 기초단위블럭부재(10)의 기초측면돌기(15)가 인접하는 기초단위블럭부재(10)의 기초측면삽입홈(27)에 삽입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기초단위블럭부재(10) 간의 횡방향으로의 결합력이 더욱 증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단단위블럭부재(20)의 일측단에는 그 상단단위블럭부재(2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단측면돌기(26)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단위블럭부재(20)의 타측단에는 그 상단단위블럭부재(20)의 측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상단측면삽입홈(27)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상단단위블럭부재(20)가 상호 횡방향으로 결합될 때, 상기 어느 하나의 상단단위블럭부재(20)의 상단측면돌기(26)가 인접하는 상단단위 블럭부재(20)의 상단측면삽입홈(27)에 삽입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상단단위블럭부재(20) 간의 횡방향으로의 결합력이 더욱 증대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단단위블럭부재(20)의 하단에는 조경을 위한 화초 등의 수목을 심을 수 있도록 관통된 구멍인 조경관통공(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경관통공(30)은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조립체(100)는 다음과 같이 옹벽을 형성한다.
먼저, 상기 기초단위블럭부재(10)들을 횡방향으로 결합을 시키면서 각각의 기초단위블럭부재(10)들을 인접하는 단단한 지반 등에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위치 고정시킨다.
이어서, 상기 기초단위블럭부재(10)의 상방이면서 약간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상단단위블럭부재(20)들을 탑재시키면서 상기 상단단위블럭부재(20)들을 횡방향으로 계속하여 결합을 시킨다.
이 때, 상기 삽입홈(232)에 기초돌기판부(13)가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것은 물론이며, 이러한 결합으로 인하여 상기 기초단위블럭부재(10)와 상단단위블럭부재(20) 간의 결합이 더욱 견고히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기초단위블럭부재(10)와 상단단위블럭부재(20) 간의 결합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엇갈리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상단단위블럭부재(20)들을 원하는 길이만큼 횡방향으로 계속하 여 결합시키고, 또한 원하는 높이만큼 종방향으로 계속하여 결합시키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단단위블럭부재(20)의 하단에는 조경을 위한 수목을 심을 수 있도록 관통된 구멍인 조경관통공(3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삭막한 옹벽을 지양하고 친환경적이고 친근감 있는 옹벽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기초단위블럭부재(10)와 상단단위블럭부재(20)는 다음과 같은 공정을 거쳐서 제조된다.
먼저, 상기 기초단위블럭부재(10)와 상단단위블럭부재(20)를 성형하기 위한 본체성형틀의 전면에 상기 기초표면판부(12)와 상단표면판부(22)를 성형하기 위한 표면모양성형틀을 설치한다.
이어서, 상기 본체성형틀 내에 설치된 표면모양성형틀에 인조석 모르타르재료를 투입시킨다.
이어서, 상기 표면모양성형틀에 인조석 모르타르재료를 투입한 상기 본체성형틀 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상기 기초단위블럭부재(10) 및 상단단위블럭부재(20)의 조립 축조를 위한 조립부재를 설치한다.
이어서, 상기 본체성형틀 내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투입한다.
이어서, 상기 표면모양성형틀에 투입된 인조석 모르타르재료와 본체성형틀에 투입된 콘크리트 모르타르재료를 양생시킨다.
이어서, 상기 인조석 모르타르재료와 콘크리트 모르타르재료의 양생 후에 본체성형틀과 표면모양성형틀을 상호 탈형시키면, 본 실시예와 같은 상기 기초단위블 럭부재(10)와 상단단위블럭부재(20)가 간단하고도 저렴하고도 용이하게 제조되는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색상과 모양을 가지는 상기 기초표면판부(12)와 상단표면부(22)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미관이 수려한 옹벽을 제조할 수 있으며, 도시나 도로의 미관을 더욱 아름답게 표현하면서도, 또한 그 제조에 많은 비용이나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조립체의 기초단위블럭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조립체의 상단단위블럭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조립체의 사용 모습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기초단위블럭부재 11. 기초본체판부
12. 기초표면판부 13. 기초돌기판부
14. 기초버팀판부 15. 기초측면돌기
16. 기초측면삽입홈 20. 상단단위블럭부재
21. 상단본체판부 22. 상단표면판부
23. 상단하부결합판부 24. 상단돌기판부
25. 상단버팀판부 26. 상단측면돌기
27. 상단측면삽입홈 30. 조경관통공

Claims (4)

  1.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기초본체판부와,
    상기 기초본체판부의 표면에 위치되며 상기 기초본체판부와는 다른 색상과 불규칙한 형상으로 돌출되는 표면을 가지는 기초표면판부와,
    상기 기초본체판부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기초돌기판부와,
    상기 기초돌기판부의 하방인 동시에 상기 기초본체판부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기초돌기판부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기초버팀판부를 가지는 기초단위블럭부재;
    상기 기초단위블럭부재의 상방이면서 그 기초단위블럭부재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후방에 위치되며,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상단본체판부와,
    상기 상단본체판부의 표면에 위치되며 상기 상단본체판부와는 다른 색상과 불규칙한 형상으로 돌출되는 표면을 가지는 상단표면판부와,
    상기 상단본체판부의 하방으로 돌출되며, 그 폭의 중앙부위에는 상기 기초돌기판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가지며, 그 하단은 상기 기초버팀판부와 접촉되는 상단하부결합판부와,
    상기 상단본체판부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상단돌기판부와,
    상기 상단돌기판부의 하방인 동시에 상기 상단본체판부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상단돌기판부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상단버팀판부를 가지는 상단단위블럭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복수개의 기초단위블럭부재와 복수개의 상단단위블럭부재가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옹벽을 형성하며,
    상기 상단단위블럭부재의 상방에 인접되는 상단단위블럭부재가 접층될 때에는 상기 삽입홈에 인접되는 상단단위블럭부재의 상단돌기판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기초단위블럭부재와 상단단위블럭부재는,
    상기 기초단위블럭부재와 상단단위블럭부재를 성형하기 위한 본체성형틀의 전면에 상기 기초표면판부와 상단표면판부를 성형하기 위한 표면모양성형틀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성형틀 내에 설치된 표면모양성형틀에 인조석 모르타르재료를 투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표면모양성형틀에 인조석 모르타르재료를 투입한 상기 본체성형틀 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상기 기초단위블럭부재 및 상단단위블럭부재의 조립 축조를 위한 조립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성형틀 내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표면모양성형틀에 투입된 인조석 모르타르재료와 본체성형틀에 투입된 콘크리트 모르타르재료를 양생하는 단계와,
    상기 인조석 모르타르재료와 콘크리트 모르타르재료의 양생 후에 본체성형틀과 표면모양성형틀을 상호 탈형시키는 단계를 거쳐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단위블럭부재의 일측단에는 그 기초단위블럭부재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기초측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기초단위블럭부재의 타측단에는 그 기초단위블럭부재의 측면으로부터 함몰되는 기초측면삽입홈을 가져서,
    상기 복수개의 기초단위블럭부재가 상호 횡방향으로 결합될 때, 상기 어느 하나의 기초단위블럭부재의 기초측면돌기가 인접하는 기초단위블럭부재의 기초측면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상단단위블럭부재의 일측단에는 그 상단단위블럭부재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단측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단위블럭부재의 타측단에는 그 상단단위블럭부재의 측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상단측면삽입홈을 가져서,
    상기 복수개의 상단단위블럭부재가 상호 횡방향으로 결합될 때, 상기 어느 하나의 상단단위블럭부재의 상단측면돌기가 인접하는 상단단위블럭부재의 상단측면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단위블럭부재의 하단에는 조경을 위한 수목을 심을 수 있도록 관통된 구멍인 조경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경관통공은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조립체.
KR1020090041400A 2009-05-12 2009-05-12 옹벽 조립체 KR100938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400A KR100938829B1 (ko) 2009-05-12 2009-05-12 옹벽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400A KR100938829B1 (ko) 2009-05-12 2009-05-12 옹벽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8829B1 true KR100938829B1 (ko) 2010-01-26

Family

ID=41810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400A KR100938829B1 (ko) 2009-05-12 2009-05-12 옹벽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8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8622A (zh) * 2019-04-30 2019-09-20 安徽省公路桥梁工程有限公司 桩板式挡墙及其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7544A (ko) * 1996-07-11 1997-06-24 정재영 끈보강재(String Frictional Anchor System)를 이용한 보강토공법
KR19990064846A (ko) * 1999-05-14 1999-08-05 이정수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
KR200328589Y1 (ko) 2003-07-03 2003-09-29 주식회사 다인건설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KR20050088025A (ko) * 2004-02-28 2005-09-01 (주)레코기술 블록 및 그를 가지는 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7544A (ko) * 1996-07-11 1997-06-24 정재영 끈보강재(String Frictional Anchor System)를 이용한 보강토공법
KR19990064846A (ko) * 1999-05-14 1999-08-05 이정수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
KR200328589Y1 (ko) 2003-07-03 2003-09-29 주식회사 다인건설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KR20050088025A (ko) * 2004-02-28 2005-09-01 (주)레코기술 블록 및 그를 가지는 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8622A (zh) * 2019-04-30 2019-09-20 安徽省公路桥梁工程有限公司 桩板式挡墙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7965B2 (ja) 複数要素から成る擁壁ブロック
CA2755333C (en) Multi-component retaining wall block with natural stone appearance
KR101151520B1 (ko) 금형틀에 의한 전면에 자연석재판이 장착된 패널의 제조방법
KR101903460B1 (ko) 전면 천연 대리석 또는 안료가 섞인 백시멘트 또는 포틀랜드 시멘트로 만든 전면부재와 결합하는 보강토 블럭
KR100990517B1 (ko) 조립식 친환경 식생블록
KR101066752B1 (ko) 일체형 콘크리트 거푸집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28436B1 (ko) 조립식 옹벽블록
KR20100073220A (ko) 전면자연석이 부착된 옹벽블록
KR100938829B1 (ko) 옹벽 조립체
KR101215838B1 (ko)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20050035408A (ko) 전면 구배 조정수단이 구비된 식재 옹벽블록
KR102263958B1 (ko) 옹벽용 조립식 블록 시공방법
KR20060131194A (ko) 옹벽의 축조방법
JP3537398B2 (ja) 組立柵工
KR101047283B1 (ko) 식생축조블록과 보강용 식생축조블록을 이용한 옹벽의 시공방법
KR100662028B1 (ko)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KR100746128B1 (ko) 식생공간을 포함하는 견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견치블록의축조방법
JPH09195289A (ja) 補強土壁面ブロックおよび補強土壁面構造
KR200396208Y1 (ko)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옹벽블록
KR101107279B1 (ko)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옹벽 및 절토지반에서 이를 이용한 옹벽 축조공법
KR100264386B1 (ko) 자연석만을 이용한 보강토옹벽의 구축공법및 그 구축구조
KR200146327Y1 (ko)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
JP3140759U (ja) 外構用基礎構築体
KR100778066B1 (ko) 옹벽을 이루는 단위 블록체
CN211815301U (zh) 可快速拼装的铺装模框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