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456B1 - 스프링 반향기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스프링 반향기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456B1
KR100934456B1 KR1020070135311A KR20070135311A KR100934456B1 KR 100934456 B1 KR100934456 B1 KR 100934456B1 KR 1020070135311 A KR1020070135311 A KR 1020070135311A KR 20070135311 A KR20070135311 A KR 20070135311A KR 100934456 B1 KR100934456 B1 KR 100934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wire
vibration unit
magnetic cor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5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944A (ko
Inventor
박종환
박현
Original Assignee
박종환
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환, 박현 filed Critical 박종환
Priority to CN200810081033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1345046B/zh
Priority to US12/072,043 priority patent/US8131003B2/en
Publication of KR20090005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2Damping circuit arrangements for transducers, e.g. motional feedback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H04R7/20Securing diaphragm or cone resiliently to support by flexible material, springs, cords, or str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 반향기 및 그 조립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스프링 반향기는 케이싱 내에 구동 트랜스듀서와 픽업 트랜스듀서가 장착되고, 구동 트랜스듀서와 픽업 트랜스듀서에 진동가능하게 코일 스프링이 결합된다. 구동 트랜스듀서와 픽업 트랜스듀서는 각각 진동유닛과 자기코어를 구비한다. 진동유닛은 절결홈을 통해 지지판에 와이어가 직접 납땜고정되는 지지판을 구비한다. 진동유닛과 자기코일은 모듈화되어, 케이싱에 미끄럼방식으로 삽입고정된다.
지지판, 스프링, 자석, 케이싱, 자기코어

Description

스프링 반향기 및 그 조립방법 {Spring Reverberator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프링 반향기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 부품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 조립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스프링 반향기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동감있는 음향효과를 얻기 위하여 전자 악기나 오디오용 믹서 등에 여러 가지 이펙터(effector)가 사용되는데, 그 중에서 음에 반향을 더해주는 장치를 반향기라 한다. 반향기에는 여러 가지 타입이 있지만, 스프링 반향기가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반향효과(reverb effect)를 제공한다.
도1은 종래의 스프링 반향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프링 반향기(100)는 구동 트랜스듀서(10)와 픽업 트랜스듀서(20)를 구비하는데, 이 구동 트랜스듀서(10)와 픽업 트랜스듀서(20)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32)이 진동가능하게 걸려있다. 이러한 종래의 스프링 반향기는 구동 트랜스듀서(10)가 음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기계적인 진동으로 변환시켜서 코일 스프링(32)에 전달하고, 픽업 트랜스듀서(20)는 코일 스 프링(32)으로부터 전달된 기계적인 진동을 코일 스프링(32)에 의한 반향효과가 더해진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도2는 도1의 종래의 스프링 반향기의 구동 트랜스듀서(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의 구동 트랜스듀서(10)는 지지프레임(50)을 구비한다. 지지프레임(50)에는 자기코어(70)가 고정되는데, 자기회로로서 기능하도록 자기코어(70)는 중간다리부(74)에 코일(76)을 구비한다. 지지프레임(50)은 코일 스프링(32a, 32b)과 반대방향으로 길게 뻗어있는 관형상부(52)를 구비한다. 와이어(65)의 일단은 이 관형상부(52) 내로 뻗어있고, 관형상부(52) 내에서 예컨대 걸림턱(미도시)에 밀착되는 와셔(66)와 납땜에 의해 고정된다. 와이어(65)의 타단은 코일 스프링(32a)과 결합하도록 고리(65a) 형상으로 되어 있다. 와이어(65)의 고리(65a) 근방에는 환형상의 영구자석(62)이 접착제로 와이어(65)에 고정되는데, 영구자석(62)은 자기코어(70)의 다리부들(72, 74) 사이의 자기공극 내에 (또는 다리부들(74, 76) 사이의 자기공극 내에) 위치된다. 또한 고무재질의 진동흡수용 댐퍼 링(64)이 와이어(65)에 꽉 끼워맞춰져 관형상부(52) 내에서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다시 도2를 참조하면서, 종래의 스프링 반향기에서 구동 트랜스듀서(10)를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환형상의 영구자석(62)을 와이어(65)에 끼우고 고리(65a) 근방에서 접착제로 고정한다. 이어서 와이어(65)에 댐퍼 링(64)을 꽉 끼워 맞추고, 이 댐퍼 링(64)을 지지프레임(50)의 관형상부(52)로 밀어 넣어 관형상부(52)내의 소정위치 (바람직하게는 걸림턱)에 위치시킨다. 한편, 댐퍼 링(64)은 관형상부(52)로 밀어 넣어지기 전에 와이어(65) 상에서 자석(62)과의 간격이 소정의 길이로 조정되어, 자석(62)은 관형상부(52) 내로 삽입되지 않고 자기코어(70)의 다리부들(72, 74) 사이의 자기공극 내에 (또는 다리부들(74, 76) 사이의 자기공극 내에) 위치되도록 한다. 고리(65a)가 형성되지 않은 와이어(65)의 다른 쪽 끝은 관형상부(52)를 관통하여 관형상부(52) 바깥으로 빠져나오게 한다. 이와 같이 빠져나온 와이어(65)에 고정와셔(66)를 끼우고 이 고정와셔(66)를 관형상부(52)의 걸림턱까지 밀어넣는다. 이어서 고정와셔(66)와 와이어(65)를 납땜함으로써 자석(62)은 지지프레임(50)에 진동가능하게 한쪽 끝이 고정된다. 이어서 자기코어(70)를 지지프레임(50)에 나사 등으로 고정하는데, 자기코어(70)에는 코일이 감긴 보빈(76)이 장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코어는, 자기코어(70)의 다리부들(72, 74) 사이의 자기공극 내에 (또는 다리부들(74, 76) 사이의 자기공극 내에) 자석(62)이 위치되도록 지지프레임(5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구동트랜스듀서(10)가 조립된다. 종래의 스프링 반향기에 있어서, 구동 트랜스듀서(10)와 픽업 트랜스듀서(20)는 그 구조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픽업트랜스듀서(10)도 구동트랜스듀서(10)와 마찬가지로 조립된다. 좀더 자세한 내용은 본 출원인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5,539,830호의 개시내용을 참조하기 바란다.
그런데, 이 종래의 스프링 반향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부품들을 순서에 맞추어 조립하여야 하며, 고정와셔(66)가 관형상부(52)의 걸림턱에 밀착된 상태 에서 고정와셔(66)와 와이어(65)를 납땜하여야 하므로, 조립에 고도의 숙련된 손재주가 요구되고 조립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영구자석(62)의 정확한 진동(vibration)을 위해서 영구자석(62)의 축은 자기코어(70)의 다리부들(72와 74, 또는 74와 76) 사이에서 수평을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조립작업에 있어서, 자석(62)이 와이어(65)의 고리(65a) 근방에 접착제로 고정된 상태에서 댐퍼 링(64)이나 고정와셔(66)를 위치조정하거나 또는 관형상부(52)에 끼워넣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와이어(65)에 비틀림 응력이 가해져 자석(62)의 축방향이 비틀어질 수 있다. 게다가, 와이어(65)는 대단히 가늘기 때문에 (대략 직경이 1mm 이하임), 비틀어진 축방향을 조정하기 위하여 자석(65)을 반대방향으로 돌리는 경우, 와이어(65)가 끊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관형상부를 상부가 개방된 U자 형상부를 구비한 지지프레임을 고안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에게 허여된 미국특허공보 제5,539,830호를 역시 참조할 것). 이 개량된 지지프레임은 관형상부를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하여 와이어와 고정와셔의 납땜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도2의 지지프레임에 비하여 조립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을 가진다. 그러나, 이 개량된 지지프레임을 사용하더라도 순차적으로 조립하여야 하며 댐퍼 링의 위치를 조정하여야 하고 또한 자석의 축비틀어짐이 발생할 수 있어서, 조립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지는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지프레임과 케이싱의 구조를 변경하여 조립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스프링 반향기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프링 반향기에 오디오신호 입출력 커넥터를 구비하여 스프링 반향기와 오디오 소스와의 거리에 대응하도록 한 스프링 반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반향기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장착되는 구동 트랜스듀서와, 상기 케이싱에 장착되는 픽업 트랜스듀서, 및 상기 구동 트랜스듀서와 픽업 트랜스듀서에 진동가능하게 결합된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구동 트랜스듀서와 픽업 트랜스듀서는 각각 진동유닛과 자기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절결홈을 구비한 지지판과, 상기 절결홈을 통해 지지판에 일단이 직접 납땜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코일 스프링의 자유단이 결합되도록 고리형상을 갖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고리 근방에서 와이어에 고정된 영구자석 및 상기 와이어의 일단과 상기 영구자석 사이에서 상기 와이어에 빡빡하게 끼워지는 댐퍼 링을 포함하며, 상기 자기코어는 코일을 감은 보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은 진동유닛 안착부와 자기코어 안착부 및 보빈안착부를 구비하여,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진동유닛 안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보빈은 상기 보빈 안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자기코어는 상기 자기코어 안착부에 각각 장착된다.
지지판은 절결홈 근방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열손실 방지용 슬롯을 구비한다. 케이싱의 진동유닛 안착부 측면에는 지지판을 가이드하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지지판은 내홈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케이싱의 진동유닛 안착부 측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지지판은 걸림턱에 대응하는 탄성 돌기를 구비한다.
보빈은 그 일측에 외부 음원과의 접속을 위한 한 쌍의 리드가 고정되고, 이 한쌍의 리드는 각각 코일의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프링 반향기를 조립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절결홈을 구비한 지지판과, 상기 절결홈을 통해 지지판에 일단이 직접 납땜고정되고 타단은 코일 스프링의 자유단이 결합되도록 고리형상을 갖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고리 근방에서 와이어에 고정된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한 쌍의 진동유닛을 준비하는 단계;와, 진동유닛 안착부와 자기코어 안착부 및 보빈안착부가 각각 길이방향의 양 끝부분에 형성된 케이싱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진동유닛의 각 지지판을 상기 케이싱의 진동유닛 안착부에 각각 눌러넣는 단계;와, 코일이 감긴 보빈을 상기 케이싱의 보빈 안착부에 장착하는 단계;와, 자기코어를 상기 케이싱의 자기코어 안착부에 밀어 넣는 단계; 및 상기 진동유닛의 와이어의 고리에 코일 스프링의 각 자유단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케이싱을 제공하는 단계는 진동유닛을 준비하는 단계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유닛을 준비하는 단계는, 와이어의 일단과 자석 사이에서 와이어에 댐퍼 링을 빡빡하게 끼우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
한편 코일 스프링의 각 자유단을 결합시키는 단계는 한 쌍의 진동유닛을 준비하는 단계 동안에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스프링 반향기는 와이어와 지지판의 납땜작업이 개방된 공간에서 행해지므로 관형상부(52)의 좁은 내경 내에서 이루어지는 종래의 납땜작업에 비하여 작업시간이 상당히 단축되며 납땜작업에 고도의 숙련도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프링 반향기는 지지판의 돌출부보다 높거나 낮게 납땜된 불량의 경우를 육안으로도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프링 반향기는 모듈화된 진동유닛과 자기코어를 케이싱에 밀어넣는 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나사 등의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는 종래의 스프링 반향기에 비하여 조립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프링 반향기는 와이어를 지지하는 지지판의 구조를 극히 간단하게 하고 부품들을 모듈화함으로써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3은 본 발명의 스프링 반향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4는 도3의 지지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프링 반향기(300)는 케이싱(310)과 이 케이싱(310)에 수납되는 구동 트랜스듀서와 픽업 트랜스듀서, 및 구동 트랜스듀서와 픽업 트랜스듀서에 진동가능하게 결합된 코일 스프링(332, 333)을 구비한다.
구동 트랜스듀서는 진동유닛(322a)과 자기코어(370a)를 구비하는데, 픽업 트랜스듀서도 구동 트랜스듀서와 마찬가지로 진동유닛(322b)과 자기코어(370b)를 구비한다. 구동 트랜스듀서와 픽업 트랜스듀서의 각 진동유닛(322a. 322b)은 지지판(350a, 350b)과 지지판(350a, 350b)에 와이어(365a, 365b)를 통해 진동가능하게 결합된 자석(362a, 362b) 및 댐퍼 링(364a, 364b)을 각각 구비한다. 또한, 자기코어(370a, 370b)는 코일이 감긴 보빈(375a, 375b)을 구비한다.
도3과 함께 지지판을 도시하는 도4를 참조하면, 지지판(350a, 350b)은 평판으로 되어 있고 와이어(365a, 365b)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그 외주로부터 안쪽으로 길게 잘라낸 절결홈(352, 353)을 구비한다. 도4에는 절결홈(352, 353)이 2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결홈(352, 353)의 개수는 결합될 코일 스프링(332, 333)의 개수에 대응한다. 절결홈(352, 353)의 폭은 와이어(365a, 365b)의 지름(대략 1mm 이하)보다 약간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지지판(350a, 350b)에 납땜고정시키기 위하여 와이어(365a, 365b)를 절결홈(352, 353)의 안쪽으로 집어넣을 때, 절결홈(352, 353)의 길이방향 측면들이 와이어(365a, 365b)를 가이드하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를 손쉽게 절결홈(352, 353)의 안쪽(도4에서 슬롯(354, 355)쪽)으로 깊숙히 집어넣을 수 있다.
지지판(350a, 350b)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354, 355)을 구비한다. 슬롯(354, 355)은 절결홈(352, 353)에 집어넣은 와이어(365a, 365b)를 지지판(350a, 350b)에 납땜고정할 때, 납땜 주변의 지지판의 표면적을 줄여서 열손실을 방지하고 땜납이 넓게 퍼지는 것을 방지하여 용이하게 납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슬롯(354, 355)은 와이어(365a, 365b)가 납땜되는 곳 근방에서 절결홈(352, 353)의 안쪽을 감싸듯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판(350a, 350b)은 아래쪽에 돌출부(356)를 구비한다. 한편 아래에서 설명될 케이싱(310)의 진동유닛 안착부(312) 측면에는 지지판(350a, 350b)의 돌출부(356)를 가이드하는 안내홈(도5의 314)이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판(350a, 350b)을 케이싱(310)의 진동유닛 안착부(312)에 눌러넣을 때 지지판(350a, 350b)의 돌출부(356)가 안내홈(314)에 맞물려 가이드되어 지지판(350a, 350b)을 케이싱(310)에 용이하게 밀어넣을 수 있게 되고, 또한 지지판(350a, 350b)을 케이싱(310)에 밀어넣은 후 지지판(350a, 350b)이 케이싱(310)의 폭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돌출부(356)의 높이를 소정의 높이(즉, 절결홈(352, 353)에서 와이어(365a, 365b)와 지지판(350a, 350b)이 납땜될 때 가장 바람직한 납땜의 높이)로 하면, 이 돌출부(356)보다 높거나 낮게 납땜된 불량의 경우를 육안으로도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지지판(350a, 350b)은 또한 그 상부에 탄성돌기(357)가 형성되어 있는데, 탄성돌기(357)는 지지판(350a, 350b)을 펀칭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탄성돌기(357)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350a, 350b)을 케이싱(310)의 진동유닛 안착부(312)로 밀어넣은 후 지지판(350a, 350b)이 케이싱(310)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케이싱(310)의 걸림턱(도5의 315)에 걸린다.
지지판(350a, 350b)에는 와이어(365a, 365b)를 통해 자석(362a, 362b)이 진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절결홈(352, 353)을 통해 와이어(365a, 365b)의 일단이 지지판(350a, 350b)에 직접 납땜고정된다. 와이어(365a, 365b)의 타단(366a, 366b)은 고리형상을 갖는데, 이 와이어의 고리(366a, 366b)에 코일 스프링(332, 333)의 자유단이 결합된다. 한편, 와이어의 고리(366a, 366b) 근방에는 와이어(365a, 365b)에 접착제로 고정된 영구자석(362a, 362b)이 구비된다. 와이어(365a, 365b)의 일단과 자석(362a, 362b) 사이에는 와이어(365a, 365b)에 빡빡하게 끼워지는 댐퍼 링(364a, 364b)을 포함하는데, 댐퍼 링(364a, 364b)은 자석(362a, 362b)의 과도한 진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 트랜스듀서와 픽업 트랜스듀서의 자기코어(370a, 370b)는 각각 케이싱(310)의 자기코어 안착부(318a, 318b)에 수용된다. 자기코어(370a, 370b)의 아래쪽 다리부(371a, 371b)에 보빈(375a, 375b)이 끼워지는데, 보빈(375a, 375b)에는 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코일(도6의 376)이 감겨있다. 보빈(375a, 375b)의 측면에는 포켓(도6의 377)이 구비되고, 이 포켓(377)에 전자 악기와 같은 외부 음원과의 접속을 위한 한 쌍의 리드(378)가 접착제 등으로 고정된다. 한 쌍의 리드(378)는 각각 코일(376)의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보빈(375a, 375b)은 케이싱(310)의 보빈 안착부(319a, 319b)에 안착되는데, 한쌍의 리드(도6의 378)가 보빈안착부(319a, 319b) 바닥에 형성된 구멍(미도시)을 통해 케이싱(310)에 끼워진다. 한편, 종래의 반향기는 보빈의 코일 전선이 외부로 길게 노 출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외부로 노출되는 전선의 길이는 제조시에 이미 결정되므로 사용자가 외부음원과 반향기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전선의 길이를 변경하는 것이 힘들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반향기는 한 쌍의 리드(378)에 커넥터를 통해 외부음원의 신호선이 접속되므로, 외부음원의 신호선을 연장시켜서 반향기와 외부음원 사이의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케이싱(31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350a, 350b)과 지지판(350a, 350b)에 와이어(365a, 365b)를 통해 진동가능하게 결합된 자석(362a, 362b) 및 댐퍼 링(364a, 364b)을 구비하는 진동유닛(322a. 322b)과 자기코어(370a, 370b)를 각각 구비하는 구동 트랜스듀서와 픽업 트랜스듀서, 및 구동 트랜스듀서와 픽업 트랜스듀서에 진동가능하게 결합된 코일 스프링(332, 333)을 수용한다. 케이싱(310)은 그 길이방향 양 끝에 진동유닛 안착부(312a, 312b)와 자기코어 안착부(318a, 318b)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진동유닛 안착부(312a, 312b)는 지지판(350a, 350b)을 위한 안내홈(314)을 구비하는데, 안내홈(314)은 케이싱(310) 일측면, 바람직하게는 케이싱(310)의 양끝 안쪽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홈(314)은 지지판(350a, 350b)의 돌출부(356)에 대응하는 표면을 가지는데, 예컨대 돌출부(356)가 반구형인 경우 안내홈의 표면도 이에 맞추어 오목한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판(350a, 350b)을 케이싱(310)에 밀어넣을 때 지지판(350a, 350b)의 돌출부(356)가 안내홈(314)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지지판(350a, 350b)이 케이싱(310) 내에서 용이하게 제자리에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지지판(350a, 350b)이 케이싱(310)에 삽입된 후, 돌출부(356)와 안내홈(314)이 맞물리면서 지지판(350a, 350b)이 케 이싱(310) 내에서 폭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싱(310)은 또한 자기코어 안착부(318a, 318b)를 구비한다. 자기코어 안착부(318a, 318b)는 케이싱(310)의 폭방향으로 일측면이 개방되어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개방된 측면을 통해 자기코어(370a, 370b)가 삽입된다. 자기코어 안착부(318a, 318b)는 바닥부의 폭이 자기코어(370a, 370b)의 다리부(371a, 371b)의 폭과 대략 일치한다. 따라서, 자기코어(370a, 370b)를 자기코어 안착부(318a, 318b)에 미끄럼방식으로 용이하게 밀어넣을 수 있다. 자기코어(370a, 370b)는 자기코어 안착부(318a, 318b)에 위치된 후 접착제 등으로 케이싱(310)에 고정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케이싱(310)은 방진을 위하여 덮개를 구비할 수도 있고, 이는 당업자라면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코어 안착부(318a, 318b)의 개방된 측면쪽으로 케이싱(310)의 바닥 부분에 보빈 안착부(319a, 319b)가 형성되어 있다. 코일이 감긴 보빈(375a, 375b)은 자기코어 안착부(318a, 318b)에 자기코어(370a, 370b)가 장착되기 전에 케이싱(310)의 보빈 안착부(319a, 319b)에 안착되는데, 한쌍의 리드(도6의 378)가 보빈안착부(319a, 319b) 바닥에 형성된 구멍(미도시)을 통해 케이싱(310)에 끼워진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스프링 반향기를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프링 반향기를 조립하기 위해서 먼저 진동유닛(322a. 322b)을 준비한다. 진동유닛(322a. 322b)은 환형상의 영구자석(362a, 362b)을 와이어(365a, 365b)를 통과시켜서 와이어의 고리(366a, 366b) 근방에 위치시킨 후 접착제로 고정하고, 댐퍼 링(364a, 364b)도 마찬가지로 와이어(365a, 365b)를 통과시켜서 와이어의 소정위치에 위치시키고, 이어서 와이어(365a, 365b)의 일단을 절결홈을 통과시킨 상태에서 지지판(350a, 350b)과 와이어(365a, 365b)를 납땜으로 고정한다. 이를 도2에 도시된 종래의 조립방법과 비교하면, 종래에는 지지프레임(50)의 기다란 관형상부(52)에 와이어(65)를 통과한 댐퍼링(64)을 밀어넣고 관형상부(52)의 출구쪽에서 와셔링(66)에 와이어(65)를 통과시킨 후 와셔링(66)과 와이어(65)를 납땜으로 고정하는데, 기다란 관형상부(52)의 좁은 내경 내에서 납땜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납땜작업에 고도의 숙련도 및 시간이 요구된다. 그러나, 도3 및 도4에 도시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기다란 관형상부를 가진 지지프레임을 절결홈(352, 353)을 가진 편평한 금속제의 지지판(350a, 350b)으로 대체하고 영구자석(362a, 362b)이 접착고정된 와이어(365a, 365b)를 절결홈(352 또는 353)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와이어(365a, 365b)를 지지판(350a, 350b)에 납땜하는 방식을 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납땜작업이 개방된 공간에서 행해지므로 관형상부(52)의 좁은 내경 내에서 이루어지는 종래의 납땜작업에 비하여 작업시간이 상당히 단축되며 고도의 숙련도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지지판(350a, 350b)의 돌출부(356)보다 높거나 낮게 납땜된 불량의 경우를 육안으로도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는 점은 상술하였다.
그리고, 케이싱(310)의 진동유닛 안착부(312a, 312b)에 지지판(350a, 350b)을 밀어넣는다. 이 때 지지판(350a, 350b)의 돌출부(356)가 케이싱(310)의 오목 부(314)에 의해 안내되면서 지지판(350a, 350b)의 케이싱(310)내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며, 지지판(350a, 350b)이 케이싱(310)에 삽입된 후 지지판(350a, 350b)의 돌출부(356)가 케이싱(310)의 오목부(314)와 맞물려서 폭방향으로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은 상술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판(350a, 350b)을 케이싱(310)에 밀어넣는 것만으로 진동유닛(322a. 322b)을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판(350a, 350b)이 진동유닛 안착부(312a, 312b)에 삽입되면, 지지판(350a, 350b)의 탄성돌기(도4의 357)가 진동유닛 안착부(312a, 312b)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턱(도5의 315)에 걸린다. 이에 의해 지지판(350a, 350b)이 진동유닛 안착부(312a, 312b)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코일이 감긴 보빈(375a, 375b)을 케이싱(310)의 보빈 안착부(319a, 319b)에 끼워넣는다. 이 때 한쌍의 리드(도6의 378)가 보빈안착부(319a, 319b) 바닥에 형성된 구멍(미도시)을 통해 케이싱(310)에 끼워져 외부의 커넥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케이싱(310) 밖으로 노출된다.
다음에, 케이싱(310)의 자기코어 안착부(318a, 318b)의 개방된 측면으로부터 자기코어(370a, 370b)를 밀어넣는다. 자기코어 안착부(318a, 318b)의 바닥부의 폭은 자기코어(370a, 370b)의 다리부(371a, 371b)의 폭보다 약간 더 넓게 형성되어, 자기코어(370a, 370b)가 미끄럼방식으로 자기코어 안착부(318a, 318b)에 삽입된다. 한편, 자기코어(370a, 370b)가 안착부(318a, 318b)에 미끄러져 들어갈 때 자기코어(370a, 370b)의 다리부(371a, 371b)가 보빈(375a, 375b)을 관통하여 보빈(375a, 375b)이 다리부(371a, 371b)에 끼워지도록 보빈(375a, 375b)의 높이가 설정된다. 자기코어(370a, 370b)는 안착부(318a, 318b)에 삽입된 후, 예컨대 접착제 등으로 케이싱(310)에 고정된다. 한편 자기코어(370a, 370b)는 안착부(318a, 318b)에 삽입될 때 와이어(365a, 365b)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자기코어 안착부(318a, 318b)의 개방된 측면쪽으로 다리부가 형성되지 않고 개방되어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케이싱(310)에 진동유닛(322a, 322b)과 자기코어(370a, 370b)가 삽입된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332, 333)의 각 자유단을 와이어의 고리(366a, 366b)에 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스프링 반향기가 조립된다. 이와 달리 코일 스프링(332, 333)은 진동유닛(322a, 322b)을 조립한 후 케이싱(310)에 삽입하기 전에 미리 와이어의 고리(366a, 366b)에 걸 수도 있다.
이상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내에서 각종 변경 및 개량이 가능하다.
도1은 종래의 스프링 반향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2는 도1의 종래의 스프링 반향기의 구동 트랜스듀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스프링 반향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도3의 지지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도3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은 도3의 보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케이싱 322a. 322b: 진동유닛
350a, 350b: 지지판 352, 353 : 절결홈
356 : 돌출부 357 : 돌기
365a, 365b: 와이어 366a, 366b: 와이어의 고리
362a, 362b영구자석 332, 333: 코일 스프링
312a, 312b: 진동유닛 안착부 318a, 318b: 자기코어 안착부
375a, 375b: 보빈 378: 리드

Claims (9)

  1.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장착되는 구동 트랜스듀서와, 상기 케이싱에 장착되는 픽업 트랜스듀서, 및 상기 구동 트랜스듀서와 픽업 트랜스듀서에 진동가능하게 결합된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트랜스듀서와 픽업 트랜스듀서는 각각 진동유닛과 자기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절결홈을 구비한 지지판과, 상기 절결홈을 통해 지지판에 일단이 직접 납땜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코일 스프링의 자유단이 결합되도록 고리형상을 갖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고리 근방에서 와이어에 고정된 영구자석 및 상기 와이어의 일단과 상기 영구자석 사이에서 상기 와이어에 빡빡하게 끼워지는 댐퍼 링을 포함하며,
    상기 자기코어는 코일을 감은 보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은 진동유닛 안착부와 자기코어 안착부 및 보빈 안착부를 구비하여,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진동유닛 안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보빈은 상기 보빈 안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자기코어는 상기 자기코어 안착부에 장착되는, 스프링 반향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절결홈 근방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열손실 방지용 슬롯을 구비하는, 스프링 반향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진동유닛 안착부 측면에는 상기 지지판을 가이드하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안내홈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스프링 반향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진동유닛 안착부 측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는 탄성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반향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그 일측에 외부 음원과의 접속을 위한 한 쌍의 리드가 고정되고, 이 한쌍의 리드는 각각 상기 코일의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스프링 반향기.
  6. 적어도 하나의 절결홈을 구비한 지지판과, 상기 절결홈을 통해 지지판에 일단이 직접 납땜고정되고 타단은 코일 스프링의 자유단이 결합되도록 고리형상을 갖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고리 근방에서 와이어에 고정된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한 쌍의 진동유닛을 준비하는 단계;
    진동유닛 안착부와 자기코어 안착부 및 보빈안착부가 각각 길이방향의 양 끝부분에 형성된 케이싱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진동유닛의 각 지지판을 상기 케이싱의 진동유닛 안착부에 각 각 눌러넣는 단계;
    코일이 감긴 보빈을 상기 케이싱의 보빈 안착부에 장착하는 단계;
    자기코어를 상기 케이싱의 자기코어 안착부에 밀어 넣는 단계; 및
    상기 진동유닛의 와이어의 고리에 코일 스프링의 각 자유단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스프링 반향기의 조립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유닛을 준비하는 단계보다 상기 케이싱을 제공하는 단계가 먼저 수행되는, 스프링 반향기의 조립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유닛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과 상기 영구자석 사이에서 상기 와이어에 댐퍼 링을 빡빡하게 끼우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스프링 반향기의 조립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각 자유단을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진동유닛을 준비하는 단계 동안에 수행되는, 스프링 반향기의 조립방법.
KR1020070135311A 2007-07-09 2007-12-21 스프링 반향기 및 그 조립방법 KR100934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8100810338A CN101345046B (zh) 2007-07-09 2008-02-22 弹簧混响器及其装配方法
US12/072,043 US8131003B2 (en) 2007-07-09 2008-02-22 Spring reverberator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280 2007-07-09
KR20070011280 2007-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944A KR20090005944A (ko) 2009-01-14
KR100934456B1 true KR100934456B1 (ko) 2010-01-06

Family

ID=40247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5311A KR100934456B1 (ko) 2007-07-09 2007-12-21 스프링 반향기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34456B1 (ko)
CN (1) CN1013450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36320A (zh) * 2015-09-29 2016-02-17 南通大学 一种弹簧混响模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8989A (en) * 1980-10-16 1982-04-27 Toshiba Corp Microphone with echo device
KR960001260Y1 (ko) * 1993-12-17 1996-02-09 박종환 스프링형 반향기의 일체형진동소자 장착구조
KR970000151Y1 (ko) * 1994-05-16 1997-01-06 박종환 스프링형 반향기의 설치구조
JP2006334383A (ja) * 2005-06-06 2006-12-14 Hiroshi Takahashi 音の残響装置を内蔵した玩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079Y2 (ko) * 1980-12-23 1988-05-20
US4762046A (en) * 1987-06-16 1988-08-09 Les Entreprises Roberto Aspri Ltee Sound reverberator device for detachable connection to the strings of a string musical instrument
KR950019416A (ko) * 1993-12-17 1995-07-24 배순훈 전자렌지의 관상형 히터 설치구조
KR20040099180A (ko) * 2004-08-13 2004-11-26 윤부상 스프링형 잔향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8989A (en) * 1980-10-16 1982-04-27 Toshiba Corp Microphone with echo device
KR960001260Y1 (ko) * 1993-12-17 1996-02-09 박종환 스프링형 반향기의 일체형진동소자 장착구조
KR970000151Y1 (ko) * 1994-05-16 1997-01-06 박종환 스프링형 반향기의 설치구조
JP2006334383A (ja) * 2005-06-06 2006-12-14 Hiroshi Takahashi 音の残響装置を内蔵した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45046A (zh) 2009-01-14
CN101345046B (zh) 2011-10-05
KR20090005944A (ko)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1664B2 (en) Receiver having an improved bobbin
JP5972007B2 (ja) ギアユニット
US6507261B1 (en) Coil bobbin for current transformer
JP4205086B2 (ja) ライン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34456B1 (ko) 스프링 반향기 및 그 조립방법
US11153689B2 (en) Loudspeak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oudspeaker
US8131003B2 (en) Spring reverberator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GB2146451A (en) Lens frame hold device
US3638149A (en) Vibrating reed selector having improved component structure
KR200432596Y1 (ko) 스피커
US3954273A (en) Phonograph pickup cartridge
GB2146847A (en) Electrical inductance device
JP2001284142A (ja) トランス及びトランスを備えた電源装置
KR102586612B1 (ko) 이어폰모듈
JP2004512753A (ja) 変換器を電気接続するためのばね接点用の接点保持手段をもつ電気音響変換器
JP3429864B2 (ja) コイル
JPS6241360Y2 (ko)
JPH09213406A (ja) 充電端子台
US4272652A (en) Moving coil type stereophonic pickup cartridge
JPH082973Y2 (ja) リニアリティコイル
US20070008633A1 (en) Objective lens holder and pickup apparatus having same
EP1450579A1 (en) Vibration dampening receiver assembly
KR960001260Y1 (ko) 스프링형 반향기의 일체형진동소자 장착구조
KR200229635Y1 (ko) 비 납땜방식으로 조립된 스피커
EP1185140A3 (en) Electroacustic transdu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