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462B1 - 컬이 형성된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 - Google Patents

컬이 형성된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462B1
KR100933462B1 KR1020090062861A KR20090062861A KR100933462B1 KR 100933462 B1 KR100933462 B1 KR 100933462B1 KR 1020090062861 A KR1020090062861 A KR 1020090062861A KR 20090062861 A KR20090062861 A KR 20090062861A KR 100933462 B1 KR100933462 B1 KR 100933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algae
hanji
fiber
paper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정용
조병욱
송봉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문화체육관광부장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문화체육관광부장관) filed Critical 대한민국(문화체육관광부장관)
Priority to KR1020090062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4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2Material of vegetable origin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21H11/12Pulp from non-woody plants or crops, e.g. cotton, flax, straw, bagass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21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of natural origin;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지의 생산과정에서 탈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컬을 형성한 홍조류 섬유를 배합하는 한지 생산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컬이 형성된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는 불투명도와 평활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탈수성이 양호하여 초지가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한지의 맛을 그대로 살릴 수 있고 기존의 한지처럼 보존성이 우수하여 서적 용지, 사전 용지, 보존용 인쇄용지 및 서예용이나 고급 화선지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지, 홍조류, 컬, 탈수성, 불투명도, 평활도

Description

컬이 형성된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Korean paper comprising curled red algae fiber}
본 발명은 컬이 형성된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에 관한 것이다.
한지는 닥나무, 삼지닥나무, 안피 및 마 등의 인피섬유를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우리나라 고유의 종이이다. 인피섬유는 화학펄프로 사용하는 침엽수의 섬유길이(3㎜)나 활엽수의 섬유길이(1㎜)보다 훨씬 긴 섬유길이(10㎜)를 가지고 있어서 목재 펄프에 비하여 조직 자체의 강도가 뛰어나고 섬유의 결합성도 뛰어나서 질긴 종이를 만들 수 있다.
한지는 일반종이보다 부드러운 감촉, 유연한 접힘, 강인성 및 먹물에 대한 발묵현상이 뛰어나고, 모든 색상을 발현할 수 있으며, 빠른 흡수성으로 물속에서도 질기며, 방음성과 계절에 따른 방한성과 보온성 등이 뛰어나 오랜 세월이 지나도 종이의 특성이 변하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특히 한지는 천년을 견디는 종이로 알려져 있으며,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의 경우 8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천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문화재적 가치를 지니는 한지로 기록되고 있다.
전통한지는 옛날 방식으로 만들어진 한지로서, 전통한지의 제조방법은 다음 과 같다.
먼저 닥나무, 삼지닥나무, 안피 등 한지 원료를 겨울철에 수확한다. 수확된 한지 원료를 닥무지 공정 처리한다. 닥무지 공정은 수증기를 이용하여 한지 원료를 찌는 과정으로, 원료로부터 인피섬유가 들어있는 껍질을 잘 벗겨내기 위한 것이다. 닥무지 공정이 끝나면 원료의 껍질을 벗겨낸다. 벗겨진 껍질을 흑피라고 한다. 흑피를 맑은 물로 충분히 세척한 후, 칼로 표피의 검은 부분들을 제거한다. 검은 부분과 먼지 및 불순물들이 깨끗이 제거된 껍질을 백피라고 한다.
상기 백피를 자비처리한다. 백피는 다양한 약품에 의해 자비처리될 수 있는데, 천연약품으로는 볏짚, 메밀대, 목화대, 콩대, 고추대 등을 태워서 잿물을 내려서 만든 육재를 사용할 수 있고, 일반 화학약품으로는 가성소다를 사용할 수 있다. 자비처리란 백피에 육재나 가성소다를 가하여 약 100℃에서 충분히 삶는 과정을 말한다. 천연약품인 육재 대신 일반 화학약품인 가성소다를 사용하여 자비처리한 백피는 더 깨끗하고 처리가 쉽지만 전통한지의 원료로는 볼 수 없다.
자비처리가 끝난 한지 원료는 세척공정을 거쳐 한지 원료에 포함된 모든 가용성 불순물들을 제거한다.
가용성 불순물이 제거된 한지 원료에 표백공정을 실시한다. 표백공정에는 햇빛을 이용한 일광표백과 차아염소산나트륨이나 이산화염소 등을 이용한 약품표백이 있다. 약품표백을 실시하는 경우 한지 원료의 셀룰로오스 분자량이 현저히 감소하여 오랜 보존성을 자랑하는 한지의 특성을 쉽게 잃어버릴 수 있다.
표백공정 후, 티고르기 작업을 실시하여 충분히 표백되지 못한 불순물들을 제거하여 한지 원료 섬유 처리를 완료한다.
상기 한지 원료 섬유에 고해 공정을 실시한다. 고해 공정은 닥방망이라는 몽둥이로 한지 원료 섬유를 쳐서 계속 짓이기는 공정으로, 한지의 강도를 높이고 한지의 균일성을 높이기 위한 필수적이며 전통적인 공정이다. 최근에는 한지 원료 섬유들의 길이를 짧게 만들며 균일성을 높이는 칼비터와 같은 기계들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고해 공정이 끝난 한지 원료 섬유를 지통에 넣고 대나무살로 만들어진 발로 한지를 뜬다. 이때 한지 원료 섬유는 닥풀이라는 천연첨가제와 함께 혼합하여 한지를 뜬다. 닥풀은 황촉규라는 식물의 뿌리에서 즙 형태로 얻어지며, 한지 원료 섬유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한지의 강도나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닥풀 대신에 PAM(polyacrylamide) 또는 PEO(polyethyleneoxide)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지를 뜨는 방법은 외발뜨기와 쌍발뜨기가 있는데, 보통 외발뜨기가 한국의 전통적인 한지제조방식이라고 알려져 있다. 외발뜨기 방식은 쌍발뜨기보다 강도가 더 우수하고 균일한 한지를 만들 수 있다. 외발뜨기나 쌍발뜨기로 제조된 한지의 물기를 뺀 후 뜨거운 철판에서 건조시키거나 햇빛으로 목판 위에서 건조시켜 한지를 완성한다.
상기 전통적인 처리과정으로 닥 섬유 등을 이용하여 한지를 제조하는 경우 인장강도, 파열강도, 내절도 등의 강도가 우수하고, 1000년 이상 보존할 수 있는 보존성이 우수한 한지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한지는 빛, 바람 및 습기 등과 같은 자연현상과 친화성이 강하여 바람이 잘 통하고 습기를 잘 흡수하여 예로부터 창호지로 많이 사용하여 왔다. 한지는 질과 호칭에 따라서 용도가 구분되는데, 문에 바르는 창호지, 족보, 불경, 고서의 영인(影印)으로 사용되는 복사지, 사군자나 화조(花鳥)를 그릴 때 사용되는 화선지(畵宣紙), 연하장이나 청첩장 등에 사용되는 태지(苔紙)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최근에는 전통한지의 원료에 폐지나 기타 저렴한 원료를 포함하여 저렴한 개량 한지를 제조하기도 한다. 일 예로, 감귤껍질, 유채꽃 잎사귀의 분말 및 삼을 이용한 다양한 한지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통적인 한지의 제조방법은 한지의 보존성에 있어서는 매우 우수하지만, 제조 과정이 까다롭고 인건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한지는 저평량으로 불투명도가 매우 낮다. 이러한 한지의 불투명도를 높이기 위하여, 종래에는 한지를 두껍게 만들거나 탄산칼슘, 백토, 탈크, 이산화티탄과 같은 충전제를 첨가하여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한지를 두껍게 만들 경우, 불투명도를 높일 수 있으나 가격이 매우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충전제를 사용하는 경우 저평량 한지 내에 충전제를 지속적으로 보유하기가 매우 어렵고, 일단 보유한다고 하더라도 접촉 등 가벼운 충격에 의해 한지에 포함된 충전제가 빠져나와 오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한지의 강도가 크게 훼손되어 개선효과를 얻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한지는 붓을 이용한 서예에는 적합하지만 대량 인쇄용으로 사용하기에는 평활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한지의 평활도를 높이기 위하여 면풀칠한 종이를 여러 장씩 겹쳐 놓고 도침기로 골고루 내리쳐 한지의 조직이 치밀해지고 표면에 윤이 나도록 도침 공정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상기 도침 공정에는 많은 기 술과 인력을 투입해야 하므로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한지의 불투명도 및 평활도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홍조류는 엽록소 외에 홍조소와 남조소를 함유하고 있어 붉은빛 또는 자줏빛을 띤 해초로서, 다른 조류보다 비교적 깊은 물에 서식하고, 크기가 비교적 작으며, 종류는 4000여 종으로 매우 다양하다. 홍조류는 녹조류나 갈조류보다 서식 범위가 넓어 얕은 수심에서부터 광선이 닿는 깊은 수심에까지 자생한다. 홍조류는 해조류 중에서도 근양사라고 불리우는 섬유를 많이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섬유는 지름이 수 마이크론으로 모든 홍조류에서 거의 일정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또한, 홍조류 섬유는 백색도 및 불투명도가 우수하고 홍조류 섬유 간 결합 능력도 우수하다. 홍조류 섬유의 결정성은 셀룰로오스 섬유와 유사하며, 특히 표백된 홍조류 섬유의 열적 특성은 셀룰로오스 섬유보다 더 우수하다. 홍조류로는 김, 우뭇가사리, 개우무, 새발, 꼬시래기, 가시우무, 비단풀, 단박, 도박, 국수나물, 돌가사리, 석묵 및 지누아리 등이 있다. 홍조류의 내부 젤 추출물은 식품의 첨가제, 건강보조식품, 한천 재료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를 발명하였다.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를 제조하면 불투명도와 평활도가 우수한 한지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는 불투명도 및 평활도가 우수한 반면 홍조류 섬유의 탈수성이 매우 좋지는 않아 그 생산성이 낮은 단점이 있으며, 특히 기계한지를 제조하는 경우 양산하는 데 문제가 있다.
이러한 홍조류 섬유의 탈수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분자 전해질로 구성된 탈수촉진제를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탈수촉진제를 가하는 경우 한지의 균일성이 저해될 뿐만 아니라, 화학 첨가제로 인해 한지가 갖는 친환경성이 훼손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까지 홍조류 섬유의 탈수성을 개선하여 한지에 적용한 연구 및 개발 사례는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불투명도 및 평활도가 우수하면서도 탈수성이 개선된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를 제공하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한지의 불투명도 및 평활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혼합되는 홍조류 섬유의 탈수성 개선 방안을 연구하던 중 기계적인 처리로 섬유에 컬을 형성시킴으로써 탈수성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밝히고, 컬을 형성시킨 홍조류 섬유를 한지 원료 섬유에 혼합하여 한지를 제조하였으며, 상기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가 불투명도와 평활도뿐만 아니라 탈수성이 우수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탈수성이 개선된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불투명도와 평활도가 우수한 한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컬을 형성한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여 제조된 탈수성이 향상된 한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컬을 형성한 홍조류 섬유가 한지 총 중량에 대해 1~50중량% 함유됨을 특징으로 한다. 1중량% 미만 함유되면 탈수성 향상 등의 효과가 미미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한지의 성질을 나타낸다고 하기가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컬을 형성한 홍조류 섬유의 ISO 백색도가 50~99%인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백색도가 50% 미만이면 인쇄용지 등으로 사용이 어렵고, 99%를 초과하면 홍조류 섬유의 표백 처리에 과다한 약품과 비용이 소요되므로 비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컬 형성 공정에 다양한 방법과 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니더(Kneader) 또는 디스펜서(Disperser)를 이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지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지가 수록지 또는 기계 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홍조류 섬유에 컬을 형성하여 탈수성을 향상시킨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홍조류 섬유의 컬 형성 공정이 니더(Kneader) 또는 디스펜서(Disperser)를 이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지는 탈수성이 개선된 홍조류 섬유를 한지 총 중량에 대해 1~5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지는 한지 원료 섬유와 탈수성이 개선된 홍조류 섬유를 혼합하여 고해 공정, 발뜨기 공정, 탈수 공정 및 건조 공정을 거쳐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록지 또는 기계 한지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발뜨기 공정에서는 홍조류 섬유의 탈수성이 개선된 만큼 굳이 탈수가 용이한 발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기존의 홍조류 섬유의 낮은 탈수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탈수성이 높은 발을 선택하여 사용할 필요가 없다. 외발뜨기나 쌍발뜨기 방식을 이용하여 수록지로 제조할 수 있고, 또는 초지기를 이용하여 기계 한지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한지 원료 섬유는 닥나무, 삼지닥나무, 안피 및 마 등의 인피섬유를 원료로 하여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다. 즉, 닥나무, 삼지닥나무, 안피 및 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을 닥무지 공정, 자비처리, 세척 공정, 표백 공정 및 티고르기를 거쳐 한지 원료 섬유를 제조한다.
상기 홍조류 섬유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754890호 및 제 10-811183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으로 제조하여 사용한다. 즉, 홍조류를 산성 용액 또는 알칼리성 용액에 일정시간 침지시킨 다음, 물로 세척 후 탈수시키고, 상기 탈수된 홍조류를 추출용매에 일정시간 침지시켜 젤을 추출한 다음, 상기 추출된 젤을 분리하고 잔사를 여러 단계로 표백 처리하고, 이를 수집하여 섬유화시켜서 홍조류 섬유를 얻는다. 이렇게 제조된 홍조류 섬유의 ISO 백색도는 50~99%인 것이 바람직하며, 80~99%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홍조류는 김, 우뭇가사리, 개우무, 새발, 꼬시래기, 가시우무, 비단풀, 단박, 도박, 국수나물, 돌가사리, 석묵 및 지누아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홍조류 섬유는 한지 총 중량에 대해 1~50중량%, 바람직하게는 5~30중량% 포함된다. 만일 홍조류 섬유의 함량이 50중량%를 초과하면 한지라고 하기가 어렵고, 1중량% 미만이면 불투명도와 평활도가 개선되지 않는다.
홍조류 섬유는 섬유의 길이가 짧고 폭이 좁은 이유로 지료의 탈수성이 불량 한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기계적인 처리를 거쳐 섬유가 휘고 비틀리는 컬(curl)이 형성되면 컬이 형성되지 않은 홍조류 섬유보다 탈수성이 양호하고 불투명도가 더욱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불투명도는 평량이 높을수록 더 커지는데, 본 발명에 따른 컬이 형성되어 탈수성이 개선된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는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한지에 비해 불투명도와 평활도가 높게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이 형성되어 탈수성이 개선된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는 무처리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에 비해 평량이 낮아도 불투명도가 높게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컬이 형성되어 탈수성이 개선된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는 홍조류 섬유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불투명도와 평활도가 높게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기계적 처리를 실시하여 컬을 도입한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는 불투명도와 백색도가 우수하므로 서적 용지, 사전 용지, 보존용 인쇄용지로 적합하며, 한지의 맛을 그대로 살릴 수 있고 보존성이 우수하므로 서예용이나 고급 화선지로서도 그 쓰임새를 넓혀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좀더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 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한지 원료섬유 제조 공정
닥나무를 하루 정도 물에 담가두어서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증기로 쪄 겉껍질 분리를 용이하게 하여 겉껍질을 벗겨낸 흑피를 10시간 정도 물에 담가 놓은 후 외피를 벗겨 백피를 제조하였다. 백피를 하루 정도 물에 불린 다음 엉킴을 막기 위하여 적당한 길이로 잘라 솥에 넣고, 볏짚, 콩대 등을 태운 재로 만든 잿물에 6시간 동안 삶았다.
그런 다음 섬유질 외의 당분, 회분 등을 제거하기 위해 흐르는 물에 반나절 정도 침지하거나 물을 2~3회 갈아주면서 잿물을 제거한 다음, 5일 가량 햇빛에 쬐어 흰색이 나타날 때까지 일광 탈색시켰다. 일광 표백한 닥을 건져내어 물기를 짜낸 뒤 평평한 판에 얹고 닥방망이로 쳐서 뭉친 섬유 다발을 풀어주고 티를 골라내었다.
실시예 2: 홍조류 섬유 추출 공정
홍조류를 pH 2-3의 산성용액에 일정시간 침지시켰다가 물로 세척한 후 탈수시켰다. 이 공정을 통하여 홍조류 내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홍조류 외피를 연화시켰다.
세척 및 탈수시킨 홍조류를 추출용매에 침지시켜 홍조류에 함유된 젤 성분을 추출용매로 추출시켰다. 이때 추출용매로는 물,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또는 케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홍조류에 포함된 젤 성분의 녹는점이 약 60℃이므로 추출용매의 온도는 60℃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젤 추출물을 제거한 후에는 표백 처리를 실시하였다. 표백 처리는 오존처리를 수행하는데 홍조류가 백색도 기준 60 이상이 될 때까지 오존 처리를 반복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과산화수소를 이용하고 환원제를 첨가하여 백색도 70 이상의 홍조류 섬유를 얻었다.
실시예 3: 홍조류 섬유에 컬을 형성하는 공정
홍조류 섬유의 탈수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홍조류 섬유 지료를 25중량%로 농축시켜 니더(kneader)에 공급하였다. 이때, 지료농도가 25중량% 미만이면, 농도가 낮아 니더에서 전단력이 충분히 발생하지 않을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지나치게 농도가 높으면 니딩 처리시 지료에 열이 과도하게 발생한다.
고농도의 지료를 니딩(kneading) 처리하는 것은 길이가 길지 않은 홍조류 섬유에 기계적으로 컬을 형성시키려는 것이다. 공정상, 바람직한 컬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니딩 시간을 조정하기 위하여 처리 횟수를 적어도 1회 이상 최대 6회까지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회 내지 3회 반복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3회 니딩 처리하였고, 지료의 파열강도는 40%, 인장강도는 30% 정도 증가하였다.
니딩 처리시 공정온도는 60 내지 70℃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 시예에서는 70℃로 3회 일본 야마모토백마제작소의 니더(kneader)를 이용하여 니딩 처리하였다.
니딩 처리된 지료에 농축시 회수해 두었던 백수를 가하여 다시 희석하여 1중량% 농도로 조정하고 2300rpm의 교반기로 10분간 완전히 해리시켰다.
실시예 4: 컬 형성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 제조 공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닥섬유 80중량부를 지통에 넣고, 여기에 상기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컬이 형성된 홍조류 섬유 20중량부를 가하여 통상적인 방법 즉, 고해 공정, 발뜨기 공정, 탈수 공정 및 건조 공정을 거쳐 한지 수록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무처리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닥섬유 80중량부를 지통에 넣고, 여기에 실시예 3의 공정을 거치지 아니한 실시예 2의 홍조류 섬유 20중량부를 첨가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한지 수록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 닥섬유만을 포함하는 한지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닥섬유 100중량부를 지통에 넣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한지 수록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한지의 물리적 및 광학적 성질 측정
본 발명에 따른 한지 및 비교예 1, 2 한지의 물리적 및 광학적 성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4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한 한지의 광학적 성질은 TAPPI standard T402 om-88에 따라 23±1℃, 상대습도 50±2%로 조절된 항온·항습실에서 조습 처리 후 측정하였다. 조습 처리된 시편을 TAPPI standard에 의거하여 Technidyne사의 컬러 터치(Color-Touch)를 이용하여 백색도(TAPPI T 452 om-98)와 불투명도(TAPPI T 452 om-96) 등의 광학적 성질을 측정하였다.
기계적 처리 전·후에 홍조류 섬유가 나타내는 탈수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지료의 여수도를 Canadian Freeness Test법(TAPPI T 227 om-99)에 근거하여 측정하였다. 아울러 기계적 처리 전후에 홍조류 섬유가 나타내는 탈수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지료의 보수도를 TAPPI USEFUL METHOD UM 256에 근거하여 측정하였다. 기계적 처리 전후에 홍조류 섬유가 나타내는 컬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TECHPAP사의 섬유장 분석기 (MorFi)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컬(%)을 계산하기 위한 공식을 도 1에 설명하였다. 컬(%)는 직선 상태에서 벗어난 섬유 형상의 전체적인 백분율을 나타낸다. 수학식 1은 컬(%)을 구하는 식으로서, CL은 섬유의 직선 거리를 나타내며, P는 외경을 의미한다.
Figure 112009042011797-pat00001
한지의 광학적 성질은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여수도는 표 2에 나타내었다.
백색도 불투명도
실시예 4 (컬 형성 홍조류 섬유 함유 한지) 80 85
비교예 1 (무처리 홍조류 섬유 함유 한지) 75 75
비교예 2 (일반 닥나무 한지) 70 65
보수도 여수도(mL CSF) 컬(%)
실시예 4 4.9 100 26
비교예 1 6.3 30 14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계적 처리를 실시한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실시예 4)의 불투명도와 백색도는 기존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비교예 1)나 닥섬유만을 포함하는 한지(비교예 2)에 비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는 닥섬유만을 포함하는 한지보다 불투명도와 백색도가 높은데 본 발명의 기계적 처리를 실시한 한지는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보다 더 우수한 불투명도와 백색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컬을 형성한 홍조류 섬유는 보수도가 20% 이상 저하되어 물을 적게 함유하며 섬유의 컬이 80% 이상 증가한 이유로 무처리 홍조류 섬유보다 여수성이 3배 이상 증가하여 종이 제조공정의 탈수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계적 처리를 실시하여 컬을 형성한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는 무처리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보다 불투명도와 백색도 및 탈수성이 크게 증가함으로써, 한지의 불투명도와 백색도 및 생산효율 개선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사료된다.
도 1은 컬(%)를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2는 컬을 형성하기 전의 홍조류 섬유 사진이다.
도 3은 닥섬유 100% 한지를 확대한 사진이다.
도 4는 컬을 형성하지 않은 홍조류 섬유 20중량%와 닥섬유 80중량%로 제조된 한지의 확대사진이다.
도 5는 컬을 형성한 홍조류 섬유 20중량%와 닥섬유 80중량%로 제조된 한지의 확대사진이다.

Claims (7)

  1. 컬을 형성한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여 제조된 탈수성이 향상된 한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컬을 형성한 홍조류 섬유는 한지 총 중량에 대해 1~50중량%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컬을 형성한 홍조류 섬유는 ISO 백색도가 50~9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컬을 형성한 홍조류 섬유는 니더(Kneader) 또는 디스펜서(Disperser)를 이용하여 컬을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지는 수록지 또는 기계 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
  6. 홍조류 섬유에 니더(Kneader) 또는 디스펜서(Disperser)를 이용하여 컬을 형성하여 탈수성을 향상시킨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 제조방법.
  7. 삭제
KR1020090062861A 2009-07-10 2009-07-10 컬이 형성된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 KR100933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861A KR100933462B1 (ko) 2009-07-10 2009-07-10 컬이 형성된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861A KR100933462B1 (ko) 2009-07-10 2009-07-10 컬이 형성된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3462B1 true KR100933462B1 (ko) 2009-12-23

Family

ID=41684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861A KR100933462B1 (ko) 2009-07-10 2009-07-10 컬이 형성된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4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329B1 (ko) 2008-07-25 2011-03-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
US9074324B2 (en) 2013-06-10 2015-07-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ayered tissue structures comprising macroalgae
KR101760213B1 (ko) 2016-06-23 2017-07-21 이동춘 농업용 친환경 섬유복합 멀칭지 및 그 제조방법
US11053643B2 (en) 2017-02-22 2021-07-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ayered tissue comprising non-wood fibe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6601A (ko) * 2003-11-13 2005-05-18 유학철 홍조류로 제조된 펄프와 종이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6601A (ko) * 2003-11-13 2005-05-18 유학철 홍조류로 제조된 펄프와 종이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329B1 (ko) 2008-07-25 2011-03-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
US9074324B2 (en) 2013-06-10 2015-07-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ayered tissue structures comprising macroalgae
KR101760213B1 (ko) 2016-06-23 2017-07-21 이동춘 농업용 친환경 섬유복합 멀칭지 및 그 제조방법
US11053643B2 (en) 2017-02-22 2021-07-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ayered tissue comprising non-wood fibers
US11634870B2 (en) 2017-02-22 2023-04-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ayered tissue comprising non-wood fib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9329B1 (ko)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
KR100754890B1 (ko) 홍조류를 이용한 펄프의 제조방법
JP5938979B2 (ja) 植物系原料の処理方法
KR100933462B1 (ko) 컬이 형성된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
CN105544282A (zh) 一种以构树皮为原料的造纸工艺方法
CN112779818A (zh) 一种加热烟草卷烟纸及加热烟草卷烟纸的制备方法
KR100811196B1 (ko) 외피가 두꺼운 홍조류를 이용한 펄프의 제조방법
KR100664887B1 (ko) 감귤껍질을 이용한 한지 및 그 제조 방법
ES2740005T3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papel, cartón o cartulina usando fibras liberianas de corteza de árbol baobab, fibras del fruto de baobab y fibras liberianas de higuera de Natal como materia prima de papel
CN107237211A (zh) 工带写专用半熟宣纸及其制作方法
CN107190557A (zh) 工笔画专用熟宣纸及其制作方法
KR100925743B1 (ko) 미표백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
KR100811200B1 (ko) 외피가 얇은 홍조류를 이용한 펄프의 제조방법
CN107177999B (zh) 人物花鸟画专用棉料宣纸及其制作方法
KR101360029B1 (ko) 한지를 이용한 승복 수의의 제조방법
CN113605144B (zh) 一种基于雁树皮纤维的开化纸制作方法
KR102293737B1 (ko) 무화과나무를 이용한 항균 지류와 이의 제조방법
KR101010978B1 (ko) 부들을 이용한 불투명한 종이의 제조방법
CN107354809A (zh) 书法专用特净宣纸及其制作方法
CN113605120A (zh) 一种葫芦藤纸的制作方法
Song Evaluation of conservation quality Eastern papers regarding materials and process
CN106283915B (zh) 一种竹基烟用内衬纸及其制备方法
CN112144313A (zh) 一种清洁造纸***及采用该***的清洁造纸方法
KR100481713B1 (ko) 배접지용 한지의 제조방법
KR101480698B1 (ko) 화장료용 한지 파우더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