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398B1 -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s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 Google Patents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s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398B1
KR100933398B1 KR1020070072357A KR20070072357A KR100933398B1 KR 100933398 B1 KR100933398 B1 KR 100933398B1 KR 1020070072357 A KR1020070072357 A KR 1020070072357A KR 20070072357 A KR20070072357 A KR 20070072357A KR 100933398 B1 KR100933398 B1 KR 100933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area
text
touch scree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3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108881A (en
Inventor
신근호
한영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157,370 priority Critical patent/US8018441B2/en
Publication of KR20080108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88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398B1/en
Priority to US14/026,360 priority patent/USRE45694E1/en
Priority to US14/857,607 priority patent/USRE48242E1/en
Priority to US17/063,280 priority patent/USRE49670E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 G06F3/043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in which generating transducers and detecting transducers are attached to a single acoustic waves transmission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제(Release)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에 드래그(Drag)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여, 드래그 이벤트의 발생 여부에 따라 해당 문자 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개별 입력 모드 및 상기 해당 문자 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사용자에게 원하는 입력 모드를 신속히 선택하여 보다 용이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input mode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ccordingly,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text area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a drag event occurs before a release event occurs, and according to whether a drag event occurs. One of an individual input mode for inputting any one character in the corresponding character group and a text input mode for inputting a word including any one character in the corresponding character group is performed. Such a method provides a user with a convenience of quickly selecting a desired input mode to input characters more easily.

문자 입력, 키패드, 입력 모드 전환, T9 Enter text, keypad, switch input mode, T9

Description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S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S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본 발명은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input mode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종래의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식 중 텍스트 입력 방식(이하 'T9' 방식이라 칭함)은 많이 쓰이는 단어들을 키 입력의 조합으로 출력하는 방식을 말한다. T9 방식은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미리 예측해주는 방식으로 기존의 문자 입력 방식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T9 방식에서 사용자는 해당 문자가 할당된 키를 한 번만 누름으로써 원하는 단어를 출력할 수가 있다. 이를 종래의 단말기에서의 키 입력부를 나타낸 도면인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 text input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9' method) among character input methods in a conventional terminal refers to a method of outputting a commonly used word by a combination of key inputs. The T9 method is a method for predicting a character to be input by a user in advance to improve the inconvenience of the existing character input method. In the T9 method, the user can output the desired word by pressing the key to which the character is assigned only once.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which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y input unit in a conventional terminal.

도 1과 같이 구성된 키 입력부에서 사용자는 'pizza'를 입력하고자 할 때, 각 문자가 포함된 숫자 키들을 '7,4,4,4,1,1,1,1,1,1,2'의 순서로 눌러야 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해당 문자가 할당된 키를 여러 번 눌러야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z'를 입력할 경우 사용자는 'wxyz'가 할당된 키(101)에서 'wxyz'의 4개의 문자 중 'z'를 선택하기 위하여 해당 키(101)를 네 번 눌러야 한다. 또한 같은 키에 할당된 어느 하나의 문자를 여러 번 입력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혼란을 줄 수가 있다. When the user wants to input 'pizza' in the key input unit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the numeric keys including each character are '7,4,4,4,1,1,1,1,1,1,2' Press in order. In other words, the user has to press the key to which the character is assigned several times in order to input the desired character. For example, when inputting 'z', the user must press the corresponding key 101 four times to select 'z' among four characters of 'wxyz' in the key 101 to which 'wxyz' is assigned. It can also be confusing to users if they enter any one character assigned to the same key multiple times.

하지만 T9 방식에서는 'p'가 할당된 키(104) 'i'가 할당된 키(103),'z'가 할당된 키(101) 및 'a'가 할당된 키(102)를 각각 한 번씩만 눌러 원하는 문자인 'pizza'를 출력할 수가 있다. 다시 말해, T9 방식에서 단말기는 사용자가 각각의 'p','i','z','z','a'의 문자가 포함된 숫자 키들인 '7','4','1','1','2'만 누르면 미리 저장된 사전을 검색함으로써 예측되는 단어인 'pizza'를 출력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T9 방식을 통해 기존의 문자 입력 방식을 사용할 때보다 좀 더 적은 키 입력으로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편의를 갖게 된다. However, in the T9 method, the key 104 assigned with 'p', the key 103 assigned with 'i', the key 101 assigned with 'z' and the key 102 assigned with 'a' are once each. You can print out the desired character 'pizza' by pressing it. In other words, in the T9 method, the terminal allows the user to enter the number keys '7', '4', and '1', each of which includes the letters 'p', 'i', 'z', 'z', and 'a'. If you press, '1', '2', it will output 'pizza', which is the word predicted by searching the pre-stored dictionary. Therefore, the user has the convenience of inputting desired characters with fewer key inputs than using the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method through the T9 method.

하지만 T9 방식에서는 사용자가 고유명사 등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T9 방식에서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예측되는 단어들만이 입력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선택하기 위하여 입력 방식을 전환해야만 한다. 즉, 사용자는 T9 방식을 사용하는 모드에서 문자들을 개별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해야지만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모드 전환을 위한 키를 추가로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여러 단어들로 이루어진 문장을 작성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모드 전환 키를 일일이 눌러야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키 눌림 횟수는 전체적으로 매우 증가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모드 전환 키를 눌러도 키 입력부에 표시되는 문자들의 구성 은 그대로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즉, 하나씩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되어도 하나의 키에는 여전히 2개 이상의 문자가 할당되어 있어 문자 선택에 따른 키 입력은 증가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However, in the T9 method, a problem occurs when a user tries to input a proper noun. In the T9 method, only words predicted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can be input, so the user must switch the input method to select a character to be input. That is, the user needs to switch from the mode using the T9 method to the mode in which the characters can be selected individually, but can input the desired characters. To do this, the user has to enter an additional key for mode switching. In particular, when the sentence is composed of several words, the user must press the mode switching key one by one, and thus, the number of key presses can be greatly increased as a whole. This is because even if the user presses the mode switch key, th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key input unit remain the same. That is, even if the mode is inputted one by one, two or more characters are still assigned to one key, and the key input according to the character selection is inevitably increased.

이처럼 종래의 단말기에서 사용자는 T9 모드에서 문자 입력시 고유명사 등의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모드 전환을 위한 별도의 동작을 수행해야만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드를 일일이 선택해가며 문자를 입력해야하므로 키 입력에 따른 수고가 더 요구된다. 게다가 문자를 하나씩 입력하기 위해서는 해당 문자가 출력될 때까지 여러 번의 키 입력이 필요하므로, 문자 입력 과정이 복잡해지고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As such, in a conventional terminal, a user must perform a separate operation for mode switching in order to input a desired character such as a proper noun when inputting a character in a T9 mode. Therefore, the user needs to select a mode and input characters, which requires more effort for key input. In addition, in order to input characters one by one, a plurality of key inputs are required until the corresponding characters are output, which causes a problem in that the character input process is complicated and time is delayed.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T9 모드에서 문자를 입력할 때 고유명사 등을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방법으로 모드를 변경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문자 입력 방법은 문자 입력시 매번 모드 변경을 위한 동작이 요구되므로, 그 과정이 번거롭고 문자 입력 시간을 지연시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키 입력부는 개별 입력 모드로 전환되더라도 문자를 선택하기 위해 여러 번의 키 입력이 필요하다는 구성적인 문제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a character is input in the T9 mode, the user has to change the mode in a separate method in order to input a proper noun. Accordingly, the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method requires an operation for changing the mode each time a character is input, which is cumbersome and delays the character input time. In addition, even if the conventional key input unit is switched to the individual input mode, there is a configuration problem that a plurality of key inputs are required to select a character.

따라서 본 발명은 원하는 입력 방식을 좀 더 간단하게 선택하여 빠른 동작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input mode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for selecting a desired input method more simply to input a character with a quick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T9 모드에서 원하는 문자를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모드로 신속히 전환함으로써 문자 입력 시간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input mode in th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for efficiently reducing the character input time by quickly switching to a mode that can selectively enter the desired character in the T9 mode to provide.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문자 영역들에 2개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을 각각 할당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가 발생한 경우 해제(Release)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에 드래그(Drag)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발생 여부에 따라 해당 문자 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개별 문자 입력 모드 및 상기 해당 문자 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xt input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n input mode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wherein the text areas generated by dividing an area on the touch screen into two or more areas. Assigning and displaying a character group including two or more characters in each of the characters, and dragging before a release event occurs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character regions. Drag) a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an event occurs, the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for inputting any one character in the character group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drag event occurs and a word including any one character in the character grou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performing any one of the text input mode for input All.

그리고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 모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문자 영역들에 상기 문자 그룹을 각각 할당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가 발생한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Count)하는 과정과, 상기 카운트된 시간이 미리 저장된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문자 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개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개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을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을 제외한 다른 문자 영역들에 각각 하나씩 할당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드래그(Drag) 이벤트 발생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이 표시된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속 한 문자를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미리 정해진 입력 에디터(Editor) 창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input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n input mode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the method comprising: in a text input mode for inputting a word including any one character from a character group including two or more characters; Allocating and displaying the character group in the character areas generated by dividing the area on the touch screen into two or more, and pressing an event in one of the character areas. ) When the press event occurs, and counting time from the time when the press event occurs, and when the counted time exceeds a pre-stored threshold value, inputs individual characters for inputting any one character from the corresponding character group. Switching to a mode, and the press event in a state of switch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Assigning and displaying characters of the text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one to each of the other text areas except for the text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and the text of the text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while a drag event is detected. Determining whether a release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displayed character areas, and output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area where the release event has occurred to a predetermined input editor window on the touch screen.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process.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문자 영역들에 2개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을 각각 할당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가 발생한 경우 해제(Release)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에 드래그(Drag)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당 문자 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개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을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 중 상기 체크된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가 표시된 상태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표시된 문자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racter input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input mode in a terminal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two or more characters in the character area generated by dividing the area on the touch screen into two or more Allocating and displaying each character group including a; and if a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character areas, a drag event occurs before a release event occurs Determining whether a drag event occurs; switching to an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for inputting any one character from a corresponding character group; and checking a distance and a direction of the drag event; A word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checked drag event among the characters of the text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And displaying a character, and outputting the displayed character when a release event occurs in a state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게다가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각 문자 영역에 표시되는 2개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고 있는 문자 그룹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각 문자 영역마다 상기 문자 그룹을 표시하고, 상기 각 문자 영역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 해제 이벤트(Release) 및 드래그(Drag) 이벤트를 발생하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문자 영역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제(Release)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에 드래그(Drag)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발생 여부에 따라 해당 문자 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개별 입력 모드 및 상기 해당 문자 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racter input device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input mode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the two displayed on each character area generated by dividing the area on the touch screen into two or more Memory for storing a character group containing the above characters, and the character group for each of the character area, and Press Event, Release event and Drag according to user input in each character area If the press event occurs in a touch screen that generates a Drag event and one of the text areas on the touch screen, it is determined whether a Drag event occurs before the Release event occurs. Individual to input one character from the character group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 drag event occurs Power mod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that performs either one of the modes of the text input mode for inputting a word comprising any one of the characters in the associated character group.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자 입력의 편의성과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를 비롯한 여러 입력 장치에 활용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convenience and speed of the text input by allowing the user to automatically select the desired input mod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vantage that can be utilized in various input devices including a terminal with a touch scree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제(Release)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에 드래그(Drag)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 단하여 드래그 이벤트의 발생 여부에 따라 해당 문자 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개별 입력 모드 및 상기 해당 문자 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사용자에게 원하는 입력 모드를 신속히 선택하여 보다 용이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input mode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ccordingly, when the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text area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a drag event occurs before the release event occurs. Accordingly, any one of an individual input mode for inputting any one character in the corresponding character group and a text input mode for inputting a word including any one character in the corresponding character group is performed. Such a method provides a user with a convenience of quickly selecting a desired input mode to input characters more easily.

이하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 구성도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inputting tex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를 참조하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는 무선부(200), 메모리(210), 터치 스크린(Touch Screen)(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무선부(200)는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apparatus for inputting a text includes a wireless unit 200, a memory 210, a touch screen 220, and a controller 230. First, the wireless unit 200 per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terminal.

그리고 메모리(210)는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Read Only Memory) 및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텍스트 입력 모드에서 사용되는 키 조합에 따른 단어들을 저장한다. 그리고 메모리(210)는 터치 스크린(220)의 문자 영역에 표시되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 영어 알파벳의 대문자와 소문자, 숫자 및 특수 문자들(이하, '문자'라 칭함)별로 구성된 문자 그룹을 저장한다. 문자 그룹은 문자 영역의 총 개수에 종속적으로 나누어진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문자 그룹의 개수는 문자 영역의 개수와 동일하게 생성이 되며, 문자 영역의 개수가 많을수록 하나의 문자 그룹을 구성하는 문자의 개수는 적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자 그룹의 개수는 터치 스크린(220)의 화면 크기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가장 효율적 인 개수로 조정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터치 스크린(220)의 3x3 문자 영역에 영어 알파벳 3개 내지 4개로 구성된 문자 그룹들이 표시가 된다. In addition, the memory 210 includes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for storing a plurality of programs and data, and is particularly used in a text inpu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words according to the key combination. The memory 210 stores a group of characters formed by consonants and vowels of Korean characters displayed in the character area of the touch screen 220, upper and lower case letters of English alphabet, numbers, and special charact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haracters'). do. Character groups are divided depending on the total number of character areas. Specifically, the number of character groups is generated equal to the number of character regions, and the larger the number of character regions, the smaller the number of characters constituting one character group. The number of character groups may be adjusted to the most efficient number for receiving characters from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screen size of the touch screen 220.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 groups consisting of three to four English alphabets are displayed on the 3x3 character area of the touch screen 220.

터치 스크린(220)은 화면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 화면을 말한다. 터치 스크린(220)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아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Icon) 및 문자로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터치 스크린(220)은 제어부(230)의 제어하에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는 문자 영역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 해제(Release) 이벤트 및 드래그(Drag) 이벤트를 발생한다. 여기서 프레스 이벤트는 문자 영역이 눌려지는 경우에 발생하게 된다. 즉, 프레스 이벤트는 문자 영역에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이 있을 경우에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해제 이벤트는 문자 영역의 눌림이 해제되는 경우 발생하며, 드래그 이벤트는 터치 스크린(220)에 표시된 문자 영역들 상에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이 있을 경우에 발생하게 된다.The touch screen 220 refers to a screen that detects the location of a person's hand or an object on a character or a specific loc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so that specific processing can be performed by the stored software. The touch screen 220 receives a touch input from a user and displays display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30, or displays an operation state and a plurality of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icons and text. In particular, the touch screen 22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displays a text area capable of receiving tex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30, and according to a user's input, press event, release event, and dragging. Raises the (Drag) event. Here, the press event is generated when the text area is pressed. That is, the press event is generated when there is a touch input by the user in the text area. On the other hand, the release event occurs when the pressing of the text area is released, the drag event occurs when the user's drag input on the text area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20.

제어부(230)는 터치 스크린(220)상에 출력된 문자 영역들에 2개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들을 각각 할당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에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여, 드래그 이벤트의 발생 여부에 따라 해당 문자 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개별 입력 모드 및 해당 문자 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 모드 중 어 느 하나의 모드를 수행한다.The controller 230 allocates and displays character groups each including two or more characters in the character regions output on the touch screen 220. The controller 230 determines whether a drag event occurs before a release event occurs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character areas, and inputs any one character from the corresponding character group according to whether a drag event occurs. One of the individual input modes and the text input mode for inputting a word including any one character from the corresponding character group is performed.

또한 제어부(230)는 전술한 바와는 다른 방법으로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Count)한다. 그러면 제어부(230)는 카운트된 시간이 미리 저장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개별 입력 모드 및 텍스트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In addition, when the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text areas in a manner different from that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230 counts the time from the time when the press event occurs. Then, the controller 230 determines whether the counted time exceeds a pre-stored threshold value, and performs one of the individual input mode and the text input mod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Details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3 is a control flowchart for automatically inputting a character by automatically switching an input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30)는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는 텍스트 입력 모드에서 300 단계로 진행하여 문자 영역마다 문자 그룹을 할당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텍스트 입력 모드는 문자 영역을 한 번씩만 눌러 원하는 단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드를 말하며, 본 발명에서는 T9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ler 230 proceeds to step 300 in a text input mode set as a default, and allocates and displays a character group for each character area. Herein, the text input mode refers to a mode for inputting a desired word by pressing the text area only once. In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of using the T9 metho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제어부(230)는 302 단계에서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프레스 이벤트는 문자 영역이 눌리는 경우에 발생한다. 제어부(230)는 만일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 304 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입력 시간을 측정한다. 여기서 터치 입력 시간은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부터 카운트(Count)되어 측정된다. 이렇게 측정된 시간은 문자 영역을 통한 터치 입력이 길게 입력되는지 또는 짧게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230)는 미리 저장된 임계값과의 비교를 통해 확인할 수가 있다. 즉, 제어부(230)는 측정된 시간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터치 입력이 길게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다면 터치 입력이 짧게 입력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제어부(230)는 306 단계에서 임계값 내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임계값 내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즉, 측정된 시간이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308 단계로 진행하여 개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개별 문자 입력 모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e controller 230 determines whether a press event occurs in step 302.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 event occurs when the character area is pressed. If a press event occurs, the controller 230 proceeds to step 304 to measure the touch input time. In this case, the touch input time is counted and measured from the time when the press event occurs. The measured time i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ouch input through the text area is long or short, and the controller 230 may check the comparison with a previously stored threshold value. That is, the controller 230 determines that the touch input is long when the measured time exceeds the threshold value, and otherwise determines that the touch input is short. Accordingly, the controller 230 determines whether a release event occurs within a threshold in step 306. When the release event does not occur within the threshold, that is, when the measured time exceeds the threshold, the controller 230 proceeds to step 308 to switch to the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Details of the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문자 입력 모드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inputting a character in an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와 같이 표시된 문자 영역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이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눌리게 되면, 제어부(230)는 310 단계로 진행하여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을 각각의 문자 영역에 표시한다. 이때 문자들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문자 영역들에 재할당되어 표시가 되는데, 특히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외에 다른 문자 영역들의 문자 그룹들이 표시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에 각각 하나씩 할당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는 전체 문자 영역을 사용자가 계속해서 볼 수 있도록 하여 문자 입력 후 다음 문자의 선택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문자를 입력하는 시간을 전체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서이다.If any one of the text areas displayed as shown in FIG. Mark on. In this case, the characters are reassigned to the existing character regions as shown in FIG. 4 (b) and displayed. In particular, in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character groups of other character regions are displayed in addition to the character region where the press event occurred. It can be assigned and displayed one by one. This is to reduce the time for inputting the text as a whole by allowing the user to continuously view the entire text area, thereby facilitating selection of the next character after inputting the text.

이와 같이 제어부(230)는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이 하나씩 표시된 상태에서 312 단계로 진행하여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314 단계로 진행하여 드래 그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표시자를 이동시킨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230 proceeds to step 312 in which the characters of the text area where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are displayed one by one to determine whether a drag event occurs. When the drag event occurs,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314 to move the indicator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drag event.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230)는 문자 영역에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에 따라 지시된 문자 영역이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이 각각 표시된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drag event occurs in the text area, the controller 230 determines which of the text areas in which the text area indicated by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drag event is displayed in the text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Determine if it is equal to one.

제어부(230)는 동일한 문자 영역이라고 판단되면 그 지시된 문자 영역을 하이라이트(Highlight)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하이라이트를 위해 표시자를 표시하는데, 여기서 표시자는 선택된 문자 영역을 시각적인 효과로 나타냄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문자 영역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표시자는 해당 키 영역의 테두리의 색을 변화시키거나 키 영역을 음영으로 표시함으로써 해당 키 영역이 선택되었음을 보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표시자를 통해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이 드래그 이벤트에 따라 하이라이트 되는 것이다. 여기서 하이라이트되는 문자 영역은 드래그 이벤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30)는 316 단계에서 표시자의 이동에 따라 입력 에디터 창에 문자를 출력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230)는 문자 영역이 하이라이트될 때마다 터치 스크린(220)상에 미리 정해진 입력 에디터(Editor) 창(400)에 하이라이트된 문자 영역의 문자를 출력하는 것이다. 따라서 입력 에디터 창(400)안에 출력되는 문자는 드래그 이벤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때 문자는 문자의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Cursor)의 해당 위치에 출력이 되며, 드래그 이벤트에 따라 커서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고 다만 출력되는 문자들만 변경될 뿐이다. 이처럼 제어부(230)는 문자 영 역이 하이라이트될 때마다 입력 에디터 창(400)에 하이라이트된 문자 영역의 문자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원하는 문자를 좀 더 정확하고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ame character area is the same, the controller 230 highlights the indicated character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dicator is displayed for highlighting, where the indicator is to display the selected text area with a visual effect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text area. For example, the indicator changes the color of the edge of the key area or displays the key area in shade to show that the key area is selected. Thus, through this indicator, any text area is highlighted according to the drag event. The highlighted text area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rag event. Accordingly, the controller 230 outputs a character to the input editor window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in step 316. In other words, whenever the text area is highlighted, the controller 230 outputs the text of the highlighted text area to the predetermined input editor window 400 on the touch screen 220. Therefore, the characters output in the input editor window 400 may vary depending on the drag event. In this case, the character is output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cursor indicating the input position of the character, and the position of the cursor is not changed according to the drag event, but only the output characters are changed. As such, the controller 230 outputs the text of the highlighted text area to the input editor window 400 whenever the text area is highlighted, thereby providing the user with the convenience of selecting the desired text more accurately and easily.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드래그 이벤트에 따라 문자들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제어부(230)는 318 단계로 진행하여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문자 영역을 드래그함으로써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고, 문자 영역의 눌림을 해제함으로써 선택된 문자를 입력한다. 따라서 제어부(230)는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후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감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제 이벤트의 발생은 곧 문자의 입력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230)는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318 단계로 진행하여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대응하는 문자를 출력하도록 한다. 도 4(c)를 참조하면, 드래그 이벤트로 인해 'jkl'이 표시된 문자 영역에서 'l'이 표시된 문자 영역으로 표시자가 이동된 상태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표시자가 위치한 문자 영역의 문자인 'l'이 입력 에디터 창(400)에 출력이 된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in which characters are output according to the drag event, the controller 230 determines whether a release event occurs in step 31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selects a desired character by dragging the character area and inputs the selected character by releasing the pressing of the character area. Therefore, the controller 230 detects whether a release event occurs after the drag event occur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ccurrence of the release event is used in the same sense as the input of the character. Accordingly, when the release event occurs, the controller 230 proceeds to step 318 to output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release event occurs. Referring to FIG. 4C, when the release event occurs while the indicator is moved from the character area where 'jkl' is displayed to the character area where 'l' is displayed due to the drag event, the character of the character area where the indicator is located is 'l' is output to the input editor window 400.

전술한 바와 같이 문자 영역이 눌리는 시간이 짧으면 사용자는 원하는 문자를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입력할 수가 있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는 원하는 문자 영역을 길게 누르기만 해도 한번에 단어를 입력할 수가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T9방식을 사용하여 원하는 단어를 바로 입력할 수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text area is pressed for a short time, the user may individually select and input a desired text. On the contrary, the user can enter a word at a time by simply pressing and holding the desired letter area. In other words, the user can directly enter a desired word using the T9 method.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230)는 306 단계에서 임계값 내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측정된 시간이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아 터치 입력이 짧게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320 단계로 진행한다. 320 단계에서 제어부(230)는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을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322 단계에서 확인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 단어를 검출하여 324 단계에서 검출된 단어를 출력한다. In detail, when the release event occurs within the threshold in step 306, the controller 230 determines that the touch input is short because the measured time does not exceed the threshold and proceeds to step 320. In step 320, the controller 230 checks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release event occurs. The controller 130 detects a word including any one of the characters identified in step 322 and outputs the word detected in step 32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230)는 'jkl'이 포함된 문자 영역이 첫 번째 문자의 입력을 위해 눌려진 것이라면,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한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카운트된 시간이 미리 저장된 임계값 이내인 경우 'jkl'이 포함된 문자 영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230)는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jkl'이 포함된 문자 영역의 문자인 'j','k','l'을 포함하는 단어를 검색한다. 여기서 제어부(230)는 j','k','l'로 시작되는 단어들 중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어느 하나의 단어를 검출하고, 검출된 단어를 입력 에디터 창(400)에 출력한다. 이때 입력 에디터 창(400)에는 사용 빈도가 높은 여러 개의 단어들이 표시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어느 하나의 단어가 출력될 수가 있으며, 다르게는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단어가 자동으로 선택되어 출력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f the character area including 'jkl' is pressed for input of the first character, the controller 230 counts a time from a time point at which a press event occurs. The controller 230 determines whether a release event occurs in the character area including 'jkl' when the counted time is within a previously stored threshol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lease event has occurred, the controller 230 searches for a word including 'j', 'k', and 'l' which ar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rea including 'jkl' where the release event occurs. Herein, the controller 230 detects one word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among words beginning with j ',' k ', and' l ', and outputs the detected word to the input editor window 400. At this time, the input editor window 400 may display a plurality of words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and may output one wor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lternatively, the word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may be automatically selected and output. .

한편, 제어부(230)는 개별 문자 입력 모드에서 'jkl'이 포함된 문자 영역이 첫 번째 문자의 입력을 위해 눌려진 것이 아닌 경우 즉, 사용자가 이미 다른 문자가 출력된 상태에서 추가로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메모리(210)에 저장된 키 조합에 따른 단어들을 참조하여 해당되는 단어를 검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미 's'가 출력된 상태에서 'tuv'가 할당된 문자 영역을 누르게 되면, 제어 부(230)는 미리 저장된 단어들을 참조하여 'tuv' 중 이미 출력된 's'와 조합되어 빈도 높게 사용되는 단어인 'sun'을 입력 에디터 창(400)에 출력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230 is a case in which the character area including 'jkl' is not pressed for the input of the first character in the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that is, the user inputs additional characters while another character is already output. In this case, the corresponding word is detected by referring to the words according to the key combination stored in the memory 210. For example, if the user presses a character area allocated to 'tuv' while the 's' is already output, the controller 230 may refer to pre-stored words and the previously output 's' among the 'tuv'. The word 'sun', which is frequently used in combination, is output to the input editor window 400.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개별 문자 입력 모드와 텍스트 입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별도의 키 입력이나 조작없이 자동으로 원하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어나 문자의 입력이 종료되어 스페이스 바(Space bar)에 의해 단어의 구분이 시작되면, 자동으로 텍스트 입력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 can automatically select a desired mode without a separate key input or manipulation for selecting the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and the text input mod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word or character is inputted and word classification is started by a space bar, the user can perform the above process again by automatically switching to the text input mode.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개별 문자 입력 모드에서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은 전술한 도 4의 경우와는 달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표시될 수가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s of a character area in which a press event occurs in an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may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5 unlike the case of FIG. 4 described abov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문자 입력 모드에서 문자들이 표시되는 방식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면, 문자 영역들에는 원래 표시된 문자 그룹 대신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이 각각 확대되어 표시가 될 수 있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characters in an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text area, characters of the text area where a press event has occurred may be enlarged and displayed in the text areas instead of the originally displayed text group.

제어부(230)는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이 가장 좌측에 위치한 경우, 도 5(a)에서와 같이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을 모두 우측에 일렬로 표시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도 5(b) 및 도 5(c)와 같이 하나의 문자 영역에 할당된 문자들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는 프레스 다운된 문자 영역을 둘러싼 인접한 문자 영역들에 문자들을 각각 확대시켜 표시할 수가 있다. When the text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is located at the leftmost side, the controller 230 may display all the characters of the text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in a line as shown in FIG. 5 (a). When the number of characters allocated to one character area is large, as shown in FIGS. 5B and 5C, the controller 230 enlarges the characters in adjacent character areas surrounding the pressed-down text area, respectively. Can be displayed.

도 5의 (a),(b) 및 (c)에서는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을 제외한 문자 영역들에 각각의 문자들이 확대 표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도 어느 하나의 문자가 확대되어 표시되는 것은 가능한 사항이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창 형식을 이용하여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이 표시될 수도 있다.In FIGS. 5A, 5B, and 5C, each character is enlarged and displayed in the text areas except the text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It is possible to display one character enlarged, and as shown in FIG. 6, characters of a character area in which a press event has occurred may be displayed using a popup window format.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문자 입력 모드에서 팝업창 형식으로 문자들이 표시되는 방식을 보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면,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을 중심으로 가로 또는 세로 형태의 팝업창이 출력된다. 즉, 제어부(230)는 팝업창 형태의 2개 이상의 문자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을 확대시켜 표시하는 것이다. 팝업창이 출력되는 방식은 한정되어 있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characters in a pop-up window format in an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6A and 6B,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text area, a popup window having a horizontal or vertical form is output based on the text area where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That is, the controller 230 enlarges and displays characters in the text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in two or more text areas in the form of a pop-up window. The manner in which the pop-up window is output is not limited, and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within a range for improving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개별 문자 입력 모드에서 프레스 다운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이 각각의 문자 영역에 재할당되어 표시되거나, 팝업창 형태의 2개 이상의 문자 영역에 확대되어 표시되는 등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영어 알파벳에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한글 및 특수 문자 등 다양한 종류의 문자들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한 사항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s of the text area pressed down in the individual text input mode are reassigned to each text area and displayed or enlarged in two or more text areas in the form of a pop-up window. It can be displayed in a way. In addition,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being limited to the English alphabet, it is also possible to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characters such as Korean and special characters.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프레스 이벤트 발생 후 시간을 카운트하여, 카운트된 시간을 중심으로 어느 하나의 모드가 수행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 시 예에 따라 프레스 이벤트 발생 후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에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어느 하나의 모드가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230)는 프레스 이벤트 발생 후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즉,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한번에 단어를 입력할 수 있는 텍스트 입력 모드를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이 된 경우에는 개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여 어느 하나의 문자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ime is counted after a press event occurs, and any one mode is performed based on the counted time. Howe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mode may be performed depending on whether a drag event occurs before the release event occurs after the press event occurs. Specifically, the controller 230 performs a text input mode in which a word can be input at a time when a release event occurs after a press event occurs, that is, when a drag event does not occu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ag event has occurred, the controller 230 switches to the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and receives any one character from the user.

한편, 이와는 달리 제어부(230)는 모드 전환시에 화면의 전환없이 드래그 이벤트만으로 어느 하나의 문자를 입력받을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230 may receive any one character only by the drag event without switching the screen when the mode is switch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래그 이벤트의 유무에 따라 선택된 모드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인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텍스트 입력 모드에서 제어부(230)는 700 단계로 진행하여 문자 영역마다 문자 그룹을 할당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702 단계에서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텍스트 입력 모드에서의 초기 화면은 도 8과 같이 나타난다. 도 8에서의 문자 영역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문자들이 중심적으로 표시되었으며, 기존의 문자 영역들과 같이 문자들이 어느 하나의 숫자와 함께 할당되는 것도 가능한 사항이다. Hereinafter, a control flowchart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a selected mod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rag ev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Referring to FIG. 7, in the text input mode, the controller 230 proceeds to step 700 and allocates and displays a character group for each character area. The controller 230 determines whether a press event occurs in step 7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itial screen in the text input mode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8. In the character area of FIG. 8, characters are centrally display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lso possible that characters are allocated together with any one number as in the existing character areas.

한편, 도 8에서는 전체 문자 영역들 중 특히 'ABC'가 표시된 문자 영역이 선택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전체 문자 영역들 중 'ABC'가 표시된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800)을 선택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텍스 트 입력 모드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을 선택할 경우에는 텍스트 입력 모드를 알리는 팝업창(810)이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수행중인 입력 모드를 인지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편의를 갖게 된다.Meanwhile, FIG. 8 exemplarily illustrates that a text area in which 'ABC' is displayed among all the text areas is selected. Then, the user can select any text area 800 in which 'ABC' is displayed among the text are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character area in the text input mode, a pop-up window 810 indicating the text input mode is output. Therefore, the user has the convenience of inputting a character by recognizing the current input mode.

이처럼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이 되면 704 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입력 시간을 측정한다. 즉, 제어부(230)는 프레스가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부터 카운트된 시간을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230)는 706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이 되면 708 단계로 진행하여 드래그 이벤트를 감지한다. 도 7과 같은 실시 예에서 드래그 이벤트는 텍스트 입력 모드에서 개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제어부(230)는 710 단계에서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이 되면, 712 단계로 진행하여 개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이어 제어부(230)는 714 단계에서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을 체크하고, 716 단계에서 체크된 거리 및 방향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문자를 팝업창에 표시한다. 이와 같은 개별 문자 입력 모드에서의 문자 선택 과정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s such,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text area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controller 230 proceeds to step 704 to measure the touch input time. That is, the controller 230 measures the time counted from the time when the press occurred. Accordingly, the controller 230 determines whether a release event occurs within a preset threshold time in step 706.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lease event has not occurred, the controller 230 proceeds to step 708 to detect the drag event. In the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the drag event is used as a reference for switching from the text input mode to the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Therefo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ag event occurs in step 710, the controller 230 proceeds to step 712 and switches to the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In operation 714, the controller 230 checks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drag event, and displays on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checked distance and direction in the popup window. The character selection process in the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for better understanding.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문자 입력 모드에서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전술한 도 8에서 사용자가 'ABC'가 표시된 문자 영역(800)을 눌러 해당 문자 영역을 선택하면, 제어부(230)는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에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감지하게 된다. 제어부(230)는 드래그 이 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개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을 하는데, 이때 모드가 전환되더라도 각 문자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들의 배열은 변경되지 않는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selecting and inputting a character in an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8, when the user selects the corresponding text area by pressing the text area 800 in which 'ABC' is displayed, the controller 230 detects whether a drag event occurs before the release event occurs. When the drag event occurs, the controller 230 switches to the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In this case, the arrangement of the characters displayed in each character area is not changed even when the mode is switched.

한편, 개별 문자 입력 모드에서 제어부(230)는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 중 어느 하나를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에 따라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9(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왼쪽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을 하게 되면, 제어부(230)는 'ABC' 중 가운데 위치한 문자인 'B'를 중심으로 왼쪽에 표시된 문자 'A'를 팝업창(900)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도 9(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해당 문자 영역에서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을 할 경우엔 가운데 위치한 문자인 'B'를 표시하며, 사용자가 오른쪽으로 드래그 입력을 할 경우엔 도 9(c)와 같이 'B'를 중심으로 오른쪽에 표시된 문자인 'C'를 팝업창에 표시한다. Meanwhile, in the individual text input mode, the controller 230 displays one of the characters of the text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drag event. For example, when the user drags in the left direction as shown in FIG. The popup window 900 is display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b), the controller 230 displays a letter 'B' located in the center when the user drags downward in the corresponding text area, and when the user drags right. As shown in Fig. 9 (c), 'C', which is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B', is displayed on the popup window.

한편, 하나의 문자 영역에 4개의 문자가 할당된 경우 즉, 'PQRS'가 표시된 문자 영역(910)을 예로 들면, 제어부(230)는 4개의 문자들 중 좌측으로부터 두 번째 위치한 문자인 'Q'를 중심으로 드래그 이벤트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문자를 팝업창에 표시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30)는 'PQRS'의 문자 영역에서 'Q'를 중심으로 오른쪽으로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면 'R'을 팝업창에 출력하고, 왼쪽으로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면 'P'를 팝업창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아래쪽으로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면 'Q'를 팝업창에 표시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S'를 입력받을 때 제어부(230)는 'Q'가 표시된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 값을 설정하여, 드래그 이벤트가 그 설정된 위치 값 이상의 거리에서 발생할 경우 비로소 대응되는 문자인 'S'를 출력하게 된다. 이 와 같은 과정은 물론 3개의 문자가 위치한 경우의 문자 입력 방식과 마찬가지로 상하좌우 방향에 대응하여 해당 문자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한 사항이다.On the other hand, if four characters are allocated to one character area, that is, for example, the character area 910 in which 'PQRS' is displayed, the controller 230 is the letter 'Q' which is the second character located from the left of the four characters. The text corresponding to the drag event is displayed on the popup window. In detail,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230 outputs a 'R' to a popup window when a drag event occurs to the right centering on the 'Q' in the character area of 'PQRS' and a drag event occurs to the left. Will print 'P' in the popup window. In addition, the controller 230 displays a 'Q' in a popup window when a drag event occurs downward. On the contrary, when receiving 'S', the controller 230 sets a position value away from the position at which the 'Q' is displayed by a specific distance, and when the drag event occurs at a distanc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position value, the corresponding character 'S' Will print '. In this process, as well as the character input method when three characters are located, it is also possible to input the corresponding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이처럼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따라 즉, 드래그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문자를 팝업창을 통해 표시하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원하는 문자가 팝업창에 표시될 때 문자 영역의 눌림을 해제하여 입력 에디터 창에 해당 문자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30)는 718 단계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여 720 단계에서 팝업창에 표시된 문자를 출력하게 된다.As such, the controller 230 displays on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drag input of the user, that is, the occurrence of the drag event through the pop-up window. Then, when the desired character is displayed in the popup window, the user can release the text area so that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s displayed in the input editor window. Accordingly, the controller 230 determines whether a release event occurs in operation 718 and outputs a character displayed in the popup window in operation 720.

한편, 제어부(230)는 706 단계에서 임계 시간 내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즉,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후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그대로 텍스트 입력 모드를 수행하기 위하여 722 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면 722 단계에서 제어부(230)는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을 확인하고, 724 단계로 진행하여 확인된 문자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 단어를 검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230)는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 영역(800)에 표시된 'ABC'중 어느 하나의 문자가 포함된 단어를 검출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230)는 726 단계로 진행하여 검출된 단어를 출력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230 proceeds to step 722 to perform the text input mode as it is when the release event occurs within the threshold time, that is, the release event occurs after the press event in step 706. In operation 722, the controller 230 checks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release event has occurred, and proceeds to operation 724 to detect a word including any one of the identified characters. Referring to FIG. 8, the controller 230 detects a word including any one letter of 'ABC' displayed in the character area 800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230 proceeds to step 726 to output the detected word.

이처럼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문자 입력 방식을 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원하는 문자를 최소한의 노력으로 선택하도록 하여 좀 더 빠른 속도로 용이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various types of text input methods to provide a user with the ability to easily input text at a higher speed by selecting the desired text with minimal effort.

도 1은 종래의 단말기에서의 키 입력부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key input unit in a conventional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3 is a control flow diagram for inputting characters by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문자 입력 모드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4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inputting a character in an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문자 입력 모드에서 문자들이 표시되는 방식을 보인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characters in an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문자 입력 모드에서 팝업창 형식으로 문자들이 표시되는 방식을 보인 도면,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characters in a pop-up window format in an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래그 이벤트의 유무에 따라 선택된 모드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7 is a control flowchart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a selected mod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rag ev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 입력 모드의 초기 화면을 보인 도면,8 illustrates an initial screen of a text inpu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문자 입력 모드에서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화면을 보인 도면.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selecting and inputting a character in an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4)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input mode in th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상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상의 영역을 3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문자 영역들에 3개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을 각각 할당하며, 상기 각각 할당된 문자 그룹의 3개의 문자를 해당되는 상기 문자 영역 내에 좌측, 중간, 우측에 일렬로 표시하는 과정과,Assigns a character group including three characters to the character regions generated by dividing the region on the touch screen into three or more, and assigns the three characters of the respective assigned character groups to the corresponding characters. Displaying them in a line on the left, middle, and right sides of the area; 상기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가 발생한 경우 해제(Release)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에 드래그(Drag)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a drag event occurs before a release event occurs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text areas; 상기 판단 결과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을 판단하며,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이 좌측 방향인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할당된 문자 그룹 중에서 좌측에 표시된 문자를 입력하며,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이 하측 방향인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할당된 문자 그룹 중에서 중간에 표시된 문자를 입력하며,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이 우측 방향인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할당된 문자 그룹 중에서 우측에 표시된 문자를 입력하는 개별 문자 입력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방법. When the drag event occur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direction of the drag event is determined, if the direction of the drag event is left direction, input the character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character group assigned to the character area where the press event occurred, the drag If the direction of the event is a downward direction, a character displayed in the middle of the group of characters assigned to the text area where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is input. If the direction of the drag event is a right direction, the text assigned to the text area where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And a step of performing an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for inputting a character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group.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Count)하는 과정과,Counting a time from a time point at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character areas; 상기 카운트된 시간이 미리 저장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he counted time exceeds a pre-stored threshold value;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문자 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개별 문자 입력 모드 및 상기 해당 문자 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방법.Performing one of an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for inputting any one character in the corresponding character group and a text input mode for inputting a word including any one character in the corresponding character group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Character input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input mode in th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ocess.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input mode in th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상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문자 영역들에 2개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을 각각 할당하여 표시하는 과정과,Allocating and displaying a character group including two or more characters in the character regions generated by dividing an area on the touch screen into two or more; 상기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Count)하는 과정과,Counting a time from a time point at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character areas; 상기 카운트된 시간이 미리 저장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he counted time exceeds a pre-stored threshold value;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문자 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개별 문자 입력 모드 및 상기 해당 문자 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과, Performing one of an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for inputting any one character in the corresponding character group and a text input mode for inputting a word including any one character in the corresponding character group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Process, 상기 개별 문자 입력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을 상기 문자 영역들에 각각 하나씩 할당하여 표시하는 과정과,Assigning and displaying characters of the text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one by one, when the individual text input mode is performed;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에 따라 지시된 문자 영역이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이 각각 표시된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he text area indica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drag event is the same as any one of the text areas in which the characters of the text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are respectively displayed; 상기 판단 결과 동일한 경우 상기 지시된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을 하이라이트(Highlight)하는 과정과,Highlighting any one of the indicated text areas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s the same; 상기 하이라이트된 문자 영역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를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미리 정해진 입력 에디터(Editor) 창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방법.When the release event occurs in the highlighted text area, and the character of the text area in which the release event has occurred, the step of outputting a predetermined input editor (Editor) window on the touch screen, comprising a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to automatically switch the input mode on the terminal.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이 각각 표시된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가 하이라이트될 때마다 상기 입력 에디터 창에 상기 하이라이트된 문자 영역의 문자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방법.And outputting a character of the highlighted character area to the input editor window whenever any one of the character areas in which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is displayed is highlighted. Character input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input mode in the terminal equipp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을 상기 문자 영역들에 각각 하나씩 표시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isplaying of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is performed one by one in the character areas.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을 상기 문자 영역들의 문자 그룹이 표시된 제 1 부분들을 제외한 제 2 부분들에 각각 표시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방법.Automatically switching the input mode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wherein the characters of the text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are displayed on the second parts except for the first parts in which the text group of the text areas is displayed. Character input metho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을 상기 문자 영역들에 각각 하나씩 표시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isplaying of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is performed one by one in the character areas. 상기 문자 영역들에 상기 문자 그룹 대신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을 각각 확대시켜 표시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방법.And automatically converts an input mode in th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wherein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are enlarged and displayed instead of the character group.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을 상기 문자 영역들에 각각 하나씩 표시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isplaying of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is performed one by one in the character areas.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을 팝업(Pop up)창 형태의 2개 이상의 문자 영역에 확대시켜 표시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input mode in th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character of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red in two or more character areas in the form of a pop-up window .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에 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해당 문자 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Switching to a text input mode for inputting a word including any one character from the corresponding character group when the release event occurs before the drag event occurs; 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검색하는 과정과,Searching for a word including a character in a character area in which the release event occurs; 상기 검색 결과로부터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어느 하나의 단어를 검출하는 과정과,Detecting one word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from the search result; 상기 검출된 단어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input mode in th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outputting the detected word.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input mode in th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2개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 모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문자 영역들에 상기 문자 그룹을 각각 할당하여 표시하는 과정과,In the text input mode for inputting a word including any one character from a character group including two or more characters, the character is divided into two or more character areas generated by dividing the area on the touch screen. Assigning and displaying groups individually, 상기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가 발생한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Count)하는 과정과,Counting a time from a time point at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character areas; 상기 카운트된 시간이 미리 저장된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문자 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개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Switching to an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for inputting any one character from a corresponding character group when the counted time exceeds a pre-stored threshold value; 상기 개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을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을 제외한 다른 문자 영역들에 각각 하나씩 할당하여 표시하는 과정과,Assigning and displaying characters of the text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in each of the other text areas except for the text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while being switched to the individual text input mode; 드래그(Drag) 이벤트 발생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이 표시된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a release event occurs in one of the text areas in which the characters of the text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are displayed while a drag event is detected; 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를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미리 정해진 입력 에디터(Editor) 창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s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input mode in the terminal with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output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release event occurred on a predetermined input editor window on the touch screen Input method. 제 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카운트된 시간이 미리 저장된 임계값 이내인 경우 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he release event occurs when the counted time is within a previously stored threshold value; 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검색하는 과정과,Searching for a word including a character of a character area in which the release event occurs when the release event occurs; 상기 검색 결과로부터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어느 하나의 단어를 검출하는 과정과,Detecting one word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from the search result; 상기 검출된 단어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input mode in th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outputting the detected word.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input mode in th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상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상의 영역을 3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문자 영역들에 3개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을 각각 할당하며, 상기 각각 할당된 문자 그룹의 3개의 문자를 해당되는 상기 문자 영역 내에 좌측, 중간, 우측에 일렬로 표시하는 과정과,Assigns a character group including three characters to the character regions generated by dividing the region on the touch screen into three or more, and assigns the three characters of the respective assigned character groups to the corresponding characters. Displaying them in a line on the left, middle, and right sides of the area; 상기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가 발생한 경우 해제(Release)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에 드래그(Drag)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a drag event occurs before a release event occurs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text areas; 상기 판단 결과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당 문자 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개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Switching to an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for inputting any one character from a corresponding character group when a drag event occur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을 체크하는 과정과,Checking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drag event; 상기 체크된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이 좌측 방향인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할당된 문자 그룹 중에서 좌측에 표시된 문자를 표시하며, 상기 체크된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이 하측 방향인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할당된 문자 그룹 중에서 중간에 표시된 문자를 표시하며, 상기 체크된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이 우측 방향인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할당된 문자 그룹 중에서 우측에 표시된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과, If the checked drag event is in the left direction, the character displayed on the left is displayed among the group of characters assigned to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If the checked drag event is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press event is generated. Displaying a character displayed in the middle of the character group assigned to the character area, and displaying the character displayed on the right side among the character group allocated to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red when the checked drag event is in the right direction; , 상기 문자가 표시된 상태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표시된 문자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방법. And if a release event occurs in a state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automatically outputting the input mode in th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제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Count)하는 과정과,Counting a time from a time point at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when the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character areas; 미리 저장된 임계 시간 이내에 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he release event occurs within a previously stored threshold time;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해당 문자 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방법.And performing a text input mode for inputting a word including any one character from the corresponding character group when the release event occur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Character input method to switch automatically.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isplaying of any one character is performed.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를 팝업(Pop up)창 형태의 문자 영역에 확대시켜 표시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input mode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expanding and displaying any one character in the text area of the pop-up window (Pop up window).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isplaying of any one character is performed. 상기 체크된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input mode in th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displaying any one of th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checked drag event. 제 8항 또는 제 12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입력 모드는The method of claim 8 or 12, wherein the text input mode is T9 입력 방식이 사용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input mode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mode is used T9 input method.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input mode in the terminal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상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상의 영역을 3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각 문자 영역에 표시되는 3개의 문자를 포함하고 있는 문자 그룹을 저장하는 메모리와,A memory for storing a character group including three characters displayed in each character area generated by dividing the area on the touch screen into three or more areas; 상기 각 문자 영역마다 상기 문자 그룹의 3개의 문자를 상기 문자 영역 내에 좌측, 중간, 우측에 일렬로 표시하고, 상기 각 문자 영역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 해제 이벤트(Release) 및 드래그(Drag) 이벤트를 발생하는 터치 스크린과,For each character area, thre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group are displayed in a line on the left, middle, and right sides of the character area, and a press event and a release event are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to each character area. And a touch screen that emits a Drag event, 상기 터치 스크린상의 문자 영역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에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을 판단하며,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이 좌측 방향인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할당된 문자 그룹 중에서 좌측에 표시된 문자를 입력하며,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이 하측 방향인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할당된 문자 그룹 중에서 중간에 표시된 문자를 입력하며,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이 우측 방향인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할당된 문자 그룹 중에서 우측에 표시된 문자를 입력하는 개별 문자 입력 모드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장치.When the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text areas on the touch screen, it is determined whether a drag event occurs before a release event occurs, and when the drag event occurs, the direction of the drag event is determined. If the drag event is in the left direction, the character displayed on the left side is input from the group of characters assigned to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If the drag event is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character is allocated in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A control unit for inputting a character displayed in the middle of the selected character group and inputting the character displayed on the right side among the character group allocated to the character area where the press event occurs when the drag event is in the right direction. Contains The character input device that automatically switches to the input mode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claim.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Count)하고, 상기 카운트된 시간이 미리 저장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문자 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개별 문자 입력 모드 및 상기 해당 문자 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장치.When the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character areas, the time is counted from the time when the press event occurs, and the determination is made by determining whether the counted time exceeds a previously stored threshold value. According to the result, one of the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for inputting any one character in the corresponding character group and the text input mode for inputting a word including any one character in the corresponding character group is performed. Character input device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input mode in th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input mode in the terminal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상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각 문자 영역에 표시되는 2개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고 있는 문자 그룹을 저장하는 메모리와,A memory for storing a character group including two or more characters displayed in each character area generated by dividing an area on the touch screen into two or more areas; 상기 각 문자 영역마다 상기 문자 그룹을 표시하고, 상기 각 문자 영역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 해제 이벤트(Release) 및 드래그(Drag) 이벤트를 발생하는 터치 스크린과,A touch screen displaying the character group for each character area and generating a press event, a release event, and a drag event in response to a user input in each character area; 상기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Count)하고, 상기 카운트된 시간이 미리 저장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문자 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개별 문자 입력 모드 및 상기 해당 문자 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When the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character areas, the time is counted from the time when the press event occurs, and the determination is made by determining whether the counted time exceeds a previously stored threshold value. According to a result, a controller for performing any one of an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for inputting any one character in the corresponding character group and a text input mode for inputting a word including any one character in the corresponding character group. Include,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별 문자 입력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문자 영역들에 각각 하나씩 할당하여 표시하고,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에 따라 지시된 문자 영역이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이 각각 표시된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지 판단하여 상기 지시된 영역을 하이라이트(Highlight)하고, 상기 하이라이트된 문자 영역에 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를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미리 정해진 입력 에디터(Editor) 창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장치.When the individual text input mode is performed, the controller allocates and displays each letter area one by one, and the text area indica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drag event is displayed on the text area where the press event occurred. Determining which one of the text areas is the same and highlighting the indicated area, and when the release event occurs in the highlighted text area,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text area where the release event occurs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device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input mode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output to a predetermined input editor (Editor) window.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이 각각 표시된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가 하이라이트될 때마다 상기 입력 에디터 창에 상기 하이라이트된 문자 영역의 문자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장치.Whenever any one of the text areas in which the characters of the text area where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is highlighted, the text of the highlighted text area is output to the input editor window. Character input device to switch modes automatically.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The device of claim 18, wherein the touch screen is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을 상기 문자 영역들의 문자 그룹이 표시된 제 1 부분들을 제외한 제 2 부분들에 각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장치.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 input mode of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are displayed on the second parts except for the first parts in which the character group of the character areas are displayed. Character input device to switch automatically.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The device of claim 18, wherein the touch screen is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문자 영역들에 상기 문자 그룹 대신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을 각각 확대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장치.Character input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input mode in a terminal with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acter area is enlarged and displayed instead of the character group in the character are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Device.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The device of claim 18, wherein the touch screen is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을 팝업(Pop up)창 형태의 2개 이상의 문자 영역에 각각 확대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장치.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 input mode is automatically applied to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wherein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are enlarged and displayed in two or more character areas in the form of a pop-up window. Character input device to switch to.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에 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당 문자 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 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검색하여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어느 하나의 단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장치.When the release event occurs before the drag event occurs, a mode is entered into a text input mode for inputting a word including any one character from the corresponding character group, and the word including the character of the character region in which the release event occurs. Character input device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input mode in th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any one word of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제 17항 또는 제 2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7 or 23,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텍스트 입력 모드에서 T9 입력 방식에 따라 상기 단어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문자 입력 장치.Character input device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input mode in th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word to the touch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T9 input method in the text input mode.
KR1020070072357A 2007-06-11 2007-07-19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s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1009333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57,370 US8018441B2 (en) 2007-06-11 2008-06-10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US14/026,360 USRE45694E1 (en) 2007-06-11 2013-09-13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US14/857,607 USRE48242E1 (en) 2007-06-11 2015-09-17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US17/063,280 USRE49670E1 (en) 2007-06-11 2020-10-05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56742 2007-06-11
KR1020070056742 2007-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881A KR20080108881A (en) 2008-12-16
KR100933398B1 true KR100933398B1 (en) 2009-12-22

Family

ID=40368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357A KR100933398B1 (en) 2007-06-11 2007-07-19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s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RE45694E1 (en)
KR (1) KR10093339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926B1 (en) 2011-08-23 2011-10-31 (주)케이앤피어소시에이티드 Arabic language touch screen keypad array for mobile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398B1 (en) * 2007-06-11 2009-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s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US8018441B2 (en) 2007-06-11 2011-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20100088647A (en) * 2009-01-31 2010-08-10 김호연 A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input and command input with touch screen
KR20110074822A (en) * 2009-12-26 2011-07-04 김기주 Recognition method of multi-touch of touch button on touch screen, text input method on touch screen and modifying method of object
KR101685975B1 (en) * 2010-04-27 201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key data thereof
KR101675374B1 (en) * 2010-06-10 2016-1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of a portable terminal
CN109101184A (en) 2011-06-15 2018-12-28 徐庸畅 For providing the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of keyboard layout
KR101771259B1 (en) * 2011-07-06 2017-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on a touch screen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thereof
US9547375B2 (en) * 2012-10-10 2017-01-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plit virtual keyboard on a mobile computing device
IN2014CH02016A (en) * 2014-04-18 2015-10-23 Samsung R & D Inst India Bangalore
US10929008B2 (en) * 2015-06-05 2021-02-23 Apple Inc. Touch-based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3784A (en) * 2002-03-29 2002-07-05 정희성 Method for characters input an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method thereby
KR20050119112A (en) * 2003-03-03 2005-12-20 엑스알고믹스 피티이 리미티드 Unambiguous text input method for touch screens and reduced keyboard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2784A (en) 1992-12-29 1994-07-22 Casio Comput Co Ltd Character inputting device
DE19615472A1 (en) 1996-04-19 1997-10-23 Frank Kampfmann Safety function element for a line
US5952942A (en) * 1996-11-21 1999-09-14 Motorola, Inc. Method and device for input of text messages from a keypad
US6169538B1 (en) * 1998-08-13 2001-01-0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keyboard and a text buffer on electronic devices
US6170000B1 (en) 1998-08-26 2001-01-02 Nokia Mobile Phones Ltd. User interface, and associated method, permitting entry of Hangul sound symbols
US6271835B1 (en) 1998-09-03 2001-08-07 Nortel Networks Limited Touch-screen input device
KR100532317B1 (en) 1998-12-24 2006-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US7821503B2 (en) * 2003-04-09 2010-10-26 Tegic Communications, Inc. Touch screen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US6562078B1 (en) 1999-06-29 2003-05-13 Microsoft Corporation Arrangement and method for inputting non-alphabetic language
US6606486B1 (en) * 1999-07-29 2003-08-12 Ericsson Inc. Word entry method for mobile originated short messages
KR100362747B1 (en) 2000-08-24 2002-11-2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inputting hangul character set in the mobile phone
JP2002108543A (en) 2000-09-21 2002-04-12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for inputting kana character
KR20030008873A (en) 2001-07-20 2003-01-29 (주)네이스텍 Word input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CN1407434A (en) 2001-09-07 2003-04-02 亿用软件技术(天津)有限公司 Numerical keyboard Chinese input method with 10 key places
US20090040184A9 (en) 2001-10-04 2009-02-12 Infogation Corporation Information entry mechanism
US7190351B1 (en) 2002-05-10 2007-03-13 Michael Gor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input
AU2003252548A1 (en) 2002-08-16 2004-03-03 Hoon-Kee Kang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using a software keyboard
KR100477852B1 (en) 2002-08-16 2005-03-22 강훈기 character input device for touch screen
JP3995093B2 (en) 2002-09-20 2007-10-24 富士通株式会社 Hangul character input method, Hangul character input device, Hangul character input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EP1567927B1 (en) * 2002-11-29 2013-07-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with displaced representation of touch area
US7098896B2 (en) * 2003-01-16 2006-08-29 Forword Input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stroke word-based text input
FI116168B (en) * 2003-03-03 2005-09-30 Flextronics Odm Luxembourg Sa Input of data
US20040183834A1 (en) * 2003-03-20 2004-09-23 Chermesino John C. User-configurable soft input applications
JP2004348695A (en) 2003-05-21 2004-12-09 Keiju Ihara Character input device of small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input method thereof
US7230607B2 (en) * 2003-06-12 2007-06-12 Katsuyasu Ono 6-key keyboard for touch typing
US7057607B2 (en) * 2003-06-30 2006-06-06 Motorola, Inc. Application-independent text entry for touch-sensitive display
JP2005078211A (en) 2003-08-28 2005-03-24 Fujitsu Ltd Chinese input program
US20050052431A1 (en) 2003-09-05 2005-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recognition
KR100651396B1 (en) 2003-09-05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Alphabet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593993B1 (en) * 2003-10-22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the character
KR100537280B1 (en) * 2003-10-29 2005-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in portable terminal
JP2005182487A (en) 2003-12-19 2005-07-07 Nec Software Chubu Ltd Character input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KR100506231B1 (en) 2004-01-12 200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100539904B1 (en) * 2004-02-27 200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Pointing device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method for using it
US7800588B2 (en) * 2004-05-07 2010-09-21 Min Ho Kim Function button and method of inputting letter using the same
JP3927203B2 (en) 2004-07-07 2007-06-06 拓郎 小川 A character input method and key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Roman character input method realized by arranging vowel keys so as to surround each consonant key without arranging them at fixed positions.
DE102004041895A1 (en) 2004-08-30 2006-03-16 Siemens Ag Mechanical input unit for a display unit with a pressure-sensitive surface
US7443386B2 (en) 2004-11-01 2008-10-28 Nokia Corporation Mobile phone and method
US7443316B2 (en) * 2005-09-01 2008-10-28 Motorola, Inc. Entering a character into an electronic device
US7554529B2 (en) * 2005-12-15 2009-06-30 Microsoft Corporation Smart soft keyboard
US7646315B2 (en) * 2006-06-08 2010-01-1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keypad manipulation
KR100770936B1 (en) * 2006-10-20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JP4743129B2 (en) 2007-01-25 2011-08-10 船井電機株式会社 Hologram recording medium, hologram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hologram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EP1953623B1 (en) * 2007-01-30 2018-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n touch keyboard
KR100933398B1 (en) * 2007-06-11 2009-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s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3784A (en) * 2002-03-29 2002-07-05 정희성 Method for characters input an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method thereby
KR20050119112A (en) * 2003-03-03 2005-12-20 엑스알고믹스 피티이 리미티드 Unambiguous text input method for touch screens and reduced keyboard sys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926B1 (en) 2011-08-23 2011-10-31 (주)케이앤피어소시에이티드 Arabic language touch screen keypad array for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RE48242E1 (en) 2020-10-06
KR20080108881A (en) 2008-12-16
USRE45694E1 (en) 2015-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398B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s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USRE49670E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1013910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EP1988444A2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10936086B2 (en)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by utilizing extension key and method thereof
KR2009001532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haracter delete function
EP2404230A1 (en) Improved text input
US9772691B2 (en) Hybrid keyboard for mobile device
US8589145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ggle of a selected data source, and associated method
KR201100180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screen in poratable terminal
KR20040082326A (en) Character arrangements, input methods and input device
KR2011010462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 in portable terminal
KR2009002029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function key
KR20110042893A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of terminal
US201800676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text entry with touch screen
KR102126831B1 (en) Chinese character input apparatus based on first-input-charact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5881831B2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in portable terminal
CA2541580C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ggle of a selected data source, and associated method
KR101475519B1 (en) Method for inputting korean
US10871899B2 (en) Input accepting device
KR101157084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by drag
KR20150062104A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EP1701241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of disambiguation choices, and associated method
KR20130025306A (en) Device for inputting data
KR100641185B1 (en) Korean literature input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