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307B1 - 물주머니 기능을 갖는 인공석부 및 인공석부화분 - Google Patents

물주머니 기능을 갖는 인공석부 및 인공석부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307B1
KR100933307B1 KR1020090003916A KR20090003916A KR100933307B1 KR 100933307 B1 KR100933307 B1 KR 100933307B1 KR 1020090003916 A KR1020090003916 A KR 1020090003916A KR 20090003916 A KR20090003916 A KR 20090003916A KR 100933307 B1 KR100933307 B1 KR 100933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stone
water
stone
plant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6331A (ko
Inventor
이종섭
Original Assignee
이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섭 filed Critical 이종섭
Publication of KR20090106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인공석부 및 인공석부가 붙어 있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인공석부의 내부에 존재하는 내부 저장공간부에 급수공을 이용하여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이 인공석부의 점토층에 위치하고 있는 얇은 두께의 유출층을 통하여 외부로 지속적으로 배출된다. 인공석부는 다공성물질인 점토를 이용하며, 크기는 화분에 따라 다양하게 하고, 형상은 돌 모양으로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곡선이 형성되도록 제작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식물을 재배할 경우 적절한 시기에 물을 주지 못하여 식물이 말라 죽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으며, 직접 물을 주는 횟수를 줄일 수가 있다. 또 인공석부의 형상이 바위의 형상이기 때문에 돌 위에 뿌리를 내리고 자라는 석부식물을 키울 수 있으며, 재질 및 형상이 환경 친화적이기 때문에 식물의 주위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
인공석부, 화분, 물주머니, 석부식물

Description

물주머니 기능을 갖는 인공석부 및 인공석부화분{Automatic self watering plant pot}
본 발명은 별도의 조작 없이 일정하게 수분이 유통되는 인공석부 및 이 인공석부와 일체화된 식물 재배 화분에 관한 것이다.
식물을 재배할 경우 지속적으로 물을 주는 것이 중요하나, 관리 소홀이나 장기출타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물을 주지 못하여 식물이 말라 죽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예방하기 위해 식물에 자동으로 장기간 지속적으로 물을 주는 장치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113172호에 공지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물저장용기의 안과 밖에 걸쳐 설치된 호스의 내부로 섬유사로 제작된 심지가 삽입되어 있다.
심지의 양단 끝은 모두 호스 외부로 일정 길이 돌출된다. 따라서 물저장용기 내부 쪽에 돌출된 심지의 일단은 물저장용기의 바닥에 위치하고 다른 일단은 식물 의 토양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물저장용기의 물이 심지에 흡수되어 식물의 토양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물을 공급하는 심지와 저장하는 저장공간 외에 여러 부재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그 구성이 복잡하다. 그리고 그 생김새가 인공물의 형상이라 원예식물에 사용할 경우 주위 미관과 어울리지 않는다.
상기의 종래기술 외에도 돌 위에 자라는 식물에게 물을 주는 장치가 등록실용신안 20-0238301호에 공지된 바 있다.
이의 구성은 숯이나 수지로 속이 비어 있는 얇은 두께의 인조바위를 만들고, 그 내부에는 물을 빨아들여 저장할 수 있는 스폰지 등의 함수체로 채운다.
인조바위의 표면을 일정 부위 도려내고 도려낸 부위에 석부식물을 부착하면 석부식물의 뿌리가 함수체의 내부로 자리를 잡는다.
이에 따라 함수체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물이 함수체의 내부에 있는 뿌리로 물이 공급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석부식물을 부착시킬 부분을 직접 도려내어 식물을 부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석부식물을 키우기가 복잡하다. 그리고 부착된 석부식물의 뿌리가 지속적으로 물을 포함하고 있는 함수체의 속에 담겨져 있어서 물속에서 자라는 수생식물이 아닌 경우에는 뿌리가 썩을 수 있으며 함수체에 포함된 물도 썩을 수 있다.
그리고 인조석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함수체의 물이 식물로 전부 흡수되었을 시에는 함수체로 물을 공급하기가 어렵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돌 또는 돌형상의 고체로 형성되어 그 표면에 식물을 부착하여 재배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을 "석부"라고 정의한다. 또 석부에 부착하여 자라는 식물을 "석부식물"이라 정의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별도의 가공 없이 석부식물을 키울 수 있는 인공석의 기능을 가지고 있고, 심지나 기타 복잡한 기계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자동적으로 물을 공급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한 인공석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에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급수공과 배수공이 구비되며, 상기 저장공간부를 감싸는 점토층에는 수분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주머니 기능을 갖는 인공석부가 제공된다.
또한, 상술한 과제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에 토양이 충진되는 화분본체와; 상기 화분본체 상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저장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급수공과 배수공이 구비되며, 상기 저장공간부를 감싸는 점토층에는 수분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층이 형성된 인공석부를 포함하는 인공석부화분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인공석부는 상부에 위치한 급수공으로 물을 공급하면 내부의 저장공간부에 물이 저장되고 점토층에 형성된 유출층을 통하여 물이 외부로 지속적으로 유출되어 인공석부의 외면을 타고 흘러내려 인공석부 외면은 물론이고 토양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사람이 일일이 물을 공급하지 않아도 손쉽게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그리고 재질을 점토만을 사용하였기에 복잡한 구성없이 제작이 가능하고, 점토의 성질을 이용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자연스러운 곡선이 인공석부에 생성되어 있다. 그리고 형상이 돌 모양을 하고 있어서 돌 위에 뿌리를 내리고 사는 석부식물을 별도의 가공 없이 키울 수 있다.
그리고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공이 존재하여 물공급이 쉽고, 석부식물을 키우는 경우에도 스며나온 물이 외면을 따라 흘러내리며 식물에 물을 공급하기 때문에 뿌리가 물속에 잠겨서 썩는 경우가 생기지 않는다.
또한, 인공석부와 일체화된 화분의 경우는 인공석부를 화분과 접합되게 만들어 화분과 인공석부를 따로 관리하여 분실할 경우를 예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인공석부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인공석부 및 인공석부화분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인공석부는 다공성의 물질인 점토를 이용하여 제작하며 일반 토 기화분용 점토라면 어떤 것이든 가능하며 입자가 거친 산청토를 이용하면 물의 유출량을 늘릴 수 있다. 재료가 준비되면 점토를 잘 반죽하고 형상을 돌이나 산의 모양으로 다수의 굴곡부가 생기도록 만든다.
본 실시예의 인공석부는 내부에 빈공간이 생기도록 상부석부(2)와 바닥판(3)을 결합하여 형성한다. 상부석부(2)와 바닥판(3)의 두께는 10mm 정도로 하여 일반토기화분과 비슷한 강도로 만들며, 상부석부(2)는 외면(63)의 굴곡에 따라 약간의 두께 오차가 생길 수 있다. 이때 인공석부의 크기는 여러 종류의 화분들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
상부석부(2)의 상단에 10∼30mm 정도 직경의 급수공(5) 및 상부석부(2)의 바닥으로부터 20∼30mm 떨어진 위치에 10mm 정도 직경의 배수공(51)이 각각 1개씩 형성된다. 그리고 인공석부를 쉽게 만들 수 있는 석고 틀을 만들어 점토층(6)과 직경 20∼50mm 정도의 움푹 파인 홈형상의 유출층(61)이 인공석부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이때 점토층 외면(63)으로 유출층(61)이 표출되게 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들이 있다.
석고 틀에 의하여 별도의 작업 없이 쉽게 유출층(61)을 생성할 수 있고, 유출층(61)에 의해 발생된 굴곡부는 식물의 줄기나 뿌리가 쉽게 부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굴곡부는 미관상으로도 자연스러움을 더한다. 이렇게 형성된 유출층(61)은 두께가 3∼5mm 정도가 되며, 소정 간격으로 점토층(6) 전체에 다수 형성된다.
이때 유출층(61)의 두께를 3∼5mm 정도로 형성하는 이유는 3∼5mm 의 두께가 식물에 공급할 수 있는 적정량의 물이 유출될 수 있고, 쉽게 파손되지 않기 때문이며, 이는 발명자가 제작 경험으로부터 습득한 사실이다.
인공석부의 상부석부(2)가 제작 완료되면 바닥판(3)을 10mm 의 두께로 생성한다. 바닥판(3)에도 유출층(61)을 생성하되, 화분과 일체화되는 인공석부의 바닥판(3)에는 유출층(61)을 생성하지 않는다. 이렇게 형성한 인공석부를 약 1일 정도 그늘에서 건조시키고 600∼800℃에서 초벌구이를 하여 완성을 한다.
상술한 제작방법에 추가로 다음의 과정에 의하여 인공석부가 일체로 형성된 화분을 제조할 수 있다.
초벌구이 전에 점토로 인공석부보다 큰 바닥이 평평한 화분용기를 제조하고 화분용기의 내부에 1개 이상의 인공석부의 바닥을 붙인다. 이때 인공석부의 위치는 인공석부의 바닥 전체가 용기의 내부에 위치하거나, 일부는 화분용기의 테두리를 걸쳐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점토 화분용기에 인공석부를 붙인 뒤 초벌구이를 한다.
이렇게 제작된 인공석부의 배수구(51)를 적당한 크기의 고체물체로 막아서 물이 흘러나올 수 없도록 한다. 그리고 화분 안에 담겨 있는 토양의 알맞는 위치에 인공석부를 올려놓고, 인공석부의 상부 뒷면에 생성된 급수공(5)에 물을 주입한다.
인공석부의 내부에 형성된 저장공간부(4)에 물이 저장되고, 인공석부에 저장된 물은 점토층(6)에 위치하는 다수의 3∼5mm 두께의 유출층(61)을 통해서 물이 외부로 스며나온다.
이는 점토의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점토를 초벌굽기를 하면 미세한 다공성 조직이 형성되는데, 다공성조직은 석부 점토층(6)의 내면(62)에서 외면(63)까지 서로 연결되어 얽혀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형성 과정에 의하여 석부 점토층(6)에는 내면(62)에서 외면(63)까지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미세한 통로들이 생성되고 이러한 통로를 통하여 내부저장공간(4)에 있는 물이 석부 외면(62)으로 스며나오게 된다.
이때 점토층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다공성조직이 얽혀 형성되는 미세한 통로가 점토층의 내면(62)에서 외면(63)까지 연속하여 연결될 확률이 감소하므로 물이 스며나오는 양은 감소한다. 따라서 유출층(61) 즉, 3∼5mm 두께의 점토층에서는 외부로 물이 지속적으로 스며나오게 되며, 유출층(61) 이외의 두꺼운 점토층에서는 그 유출량이 소량으로서, 유출된 물은 곧 증발하게 된다. 이렇게 흘러나온 물은 인공석부의 외면(63)을 따라 바닥으로 흘러 내려 토양으로 물을 공급한다.
석부식물을 기를 경우는 돌 모양인 인공석부에 존재하고 있는 굴곡부에 식물을 부착하면 그 굴곡부로 석부식물의 뿌리가 자리잡게 된다. 인공석부의 내부에서 흘러나온 물은 인공석부의 외면(63)에 부착된 석부식물에게 물을 공급하면서 다시 인공석부의 외면(63)을 따라 흘려 내려 토양에 공급된다. 인공석부 및 화분의 관리상 목적으로 인공석부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제거해야 할 경우는 배수구(51)에 막아 두었던 고체물체를 제거하고, 배수구(51)를 통하여 물을 빼내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인공석부를 도시한 것으로, 별도의 화분용기가 없이 인공석부 자체만으로도 화분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이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인공석부는 점토석으로 이루어진 저장공간부(4)와, 이 저장공간부(4)의 일측에 구비되는 식생부(8)를 포함한다.
저장공간부(4)는 전체적으로 대략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그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소정 체적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이 저장공간부(4)의 상측은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공(5)이 개방 형성된다.
식생부(8)는 흙 등을 담아 식물이 서식할 있는 곳으로서, 식생부(8)에 서식하는 식물은 점토층으로 이루어진 저장공간부(4)의 벽면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물을 공급받아 생존할 수 있지만, 물의 공급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식생부(8)의 하측에 저장공간부(4)와 연통되는 물공급부(9)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물공급부(9)는 저장공간부(4)와 마찬가지로 점토층으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저장공간부(4)로부터 측방향에서 자연스럽게 식생부(8)로 스며드는 수분과 물공급부(9)를 통해 하방에서 공급되는 수분에 의해 식생부(8)에 물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식생부(8)의 바닥면에는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공(51)이 형성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9에 따르면 식생부(8)가 저장공간부(4)의 일측에 1개소 구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0 및 도 11과 같이 필요에 따라서 그 위치 및 갯수를 증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도 10과 같이 저장공간부(4)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식생부(8)가 대칭되게 위치될 수도 있고, 도 11과 같이 저장 공간부(4)와 2개의 식생부(8)가 서로 삼각 대형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각각의 식생부(8)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물공급부(9)가 저장공간부(4)와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인공석부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별도의 화분용기에 수용되어 사용할 수도 있다. 인공석부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저장공간부(4)와 식생부(8) 간의 연결부분을 제외하고 전체 외부 표면에는 유약 처리를 실시하여 방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인공석부를 화분용기에 구비할 경우에는 별도로 유약 처리를 실시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인공석부가 화분에 놓여진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인공석부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인공석부가 일체화된 화분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인공석부가 일체화된 화분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인공석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인공석부의 평면도.
도 8은 도 6의 "B-B'"선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6에 따른 인공석부의 사용 상태도.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도 6에 따른 인공석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 인공석부 2: 상부석부
3: 바닥판 4: 저장공간부
5: 급수공 51: 배수공
6: 점토층 61: 유출층
62: 내면 63: 외면
7: 화분용기 71: 화분용기배수구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도록 점토층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급수공이 형성된 저장공간부;
    상기 저장공간부의 주위에 식물이 서식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1개소 이상 마련되어 저장공간부로부터 수분을 공급받으며, 일측에는 배수공이 형성된 식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식생부의 하측에는 저장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점토층으로 이루어진 물공급부가 더 구비되고,
    1일간 그늘에서 건조 후 600~800℃에서 초벌구이를 하여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석부.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부와 식생부의 연결 부분을 제외한 점토층의 표면에는 유약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석부.
  8. 제5항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에 토양이 충진되는 화분본체를 더 구비하되, 상기 인공석부는 하부 중간에 내측으로 함몰된 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화본본체의 테두리가 상기 홈부에 삽입되게 결합되어 상기 인공석부의 일부가 상기 화분본체의 테두리를 걸쳐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석부
KR1020090003916A 2008-04-04 2009-01-16 물주머니 기능을 갖는 인공석부 및 인공석부화분 KR100933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31667 2008-04-04
KR1020080031667 2008-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331A KR20090106331A (ko) 2009-10-08
KR100933307B1 true KR100933307B1 (ko) 2009-12-22

Family

ID=41535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916A KR100933307B1 (ko) 2008-04-04 2009-01-16 물주머니 기능을 갖는 인공석부 및 인공석부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3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138B1 (ko) 2011-04-15 2014-03-07 김철재 식물 지지체
KR20200046895A (ko) 2018-10-26 2020-05-07 배철호 조경용 인공암
KR20200092610A (ko) 2019-01-25 2020-08-04 스파핸드유한회사 흔들리는 조경용 인공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530B1 (ko) * 2010-08-19 2010-10-07 박승관 산림조림용 물주머니
US20140048621A1 (en) * 2012-08-17 2014-02-20 William H. Burke Substantially concealed irrigation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653A (ko) * 1994-02-21 1995-09-15 윤석민 식물의 무토표경 재배법
JP2000050734A (ja) * 1998-08-07 2000-02-22 Kasada:Kk 植木鉢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44233Y1 (ko) * 1999-02-22 2001-09-13 이상배 가습을 겸한 급수화분
KR200238301Y1 (ko) * 2001-04-16 2001-10-11 강석열 석부작용 인조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653A (ko) * 1994-02-21 1995-09-15 윤석민 식물의 무토표경 재배법
JP2000050734A (ja) * 1998-08-07 2000-02-22 Kasada:Kk 植木鉢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44233Y1 (ko) * 1999-02-22 2001-09-13 이상배 가습을 겸한 급수화분
KR200238301Y1 (ko) * 2001-04-16 2001-10-11 강석열 석부작용 인조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138B1 (ko) 2011-04-15 2014-03-07 김철재 식물 지지체
KR20200046895A (ko) 2018-10-26 2020-05-07 배철호 조경용 인공암
KR20200092610A (ko) 2019-01-25 2020-08-04 스파핸드유한회사 흔들리는 조경용 인공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331A (ko) 200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6444B2 (ja) 植物の栽培状態を改善するための成形体
KR100933307B1 (ko) 물주머니 기능을 갖는 인공석부 및 인공석부화분
JP2014171471A (ja) 花器を植木鉢として使用するための技術
CN201682834U (zh) 一种组合型环保节水保肥花盆
KR200412714Y1 (ko) 돌출부 및 급수구가 형성된 이중 화분
JP3134687U (ja) 植木鉢給水具
JP2006174829A (ja) 簡易式養液栽培容器
US6701666B1 (en) System for domestic cultivation of exotic plants including in-ground irrigation and aeration system
CN2349768Y (zh) 土壤透气保湿花盆
KR200281182Y1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JP2003235360A (ja) 水面上に空間のある底面給水の植木鉢
CN212487454U (zh) 一种可自动吸水的花盆
KR200166854Y1 (ko) 장기급수기능을갖는화분
JPH0524275Y2 (ko)
KR200288917Y1 (ko) 습도유지 및 수위관찰 기능을 갖는 이중 화분
KR102538925B1 (ko) 저면급수 화분
CN203597149U (zh) 烤烟或作物栽种盆
CN205681988U (zh) 一种蓄水花盆
KR200230305Y1 (ko) 화분용 급수판
JP3084717U (ja) 植木鉢
JPH10178908A (ja) 栽培装置
CN209073030U (zh) 一种营养钵
CN208317558U (zh) 一种控水自给的园林花盆
CN208425249U (zh) 一种具有储水保湿防涝根功能的花盆
JP3144816U (ja) 水分誘導体とそれを用いた植木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