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946B1 - 캡슐 내시경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로부터 관심있는 데이터를 우선하여 단말기에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이미지 데이터 전송 프로세싱 방법 - Google Patents

캡슐 내시경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로부터 관심있는 데이터를 우선하여 단말기에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이미지 데이터 전송 프로세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946B1
KR100931946B1 KR1020090051226A KR20090051226A KR100931946B1 KR 100931946 B1 KR100931946 B1 KR 100931946B1 KR 1020090051226 A KR1020090051226 A KR 1020090051226A KR 20090051226 A KR20090051226 A KR 20090051226A KR 100931946 B1 KR100931946 B1 KR 100931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s
image
server
terminal
simila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Priority to KR1020090051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9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946B1/ko
Priority to US12/785,427 priority patent/US20110032259A1/en
Priority to EP10786346A priority patent/EP2440110A2/en
Priority to PCT/KR2010/003659 priority patent/WO2010143863A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1Capsule endoscopes for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61B1/0005Display arrangement combining images e.g. side-by-side, superimposed or ti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4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introduction into the body, e.g. by cathet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 내시경에 의하여 소화 기관을 촬영한 이미지들을 저장한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상기 이미지들을 전송하여 프로세싱하는 방법으로서, 서버에 전송된 촬영 이미지들을 2개 이상의 군으로 계층적으로 분할하는 이미지 계층분할단계와; 상기 이미지 계층분할단계에서 분할된 군별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이미지들을 전송하는 이미지 정상전송단계와;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들의 정보를 표시하는 이미지정보 표시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캡슐 내시경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로부터 진단을 위하여 단말기에 수신하는 과정에서 지루하게 기다리지 않고 특징적인 이미지 또는 관심있는 이미지를 우선하여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에도 진단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보다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이미지 데이터 전송 프로세싱 방법을 제공한다.
이미지 군 분할, 계층 분할, 맵뷰, 유사도, 이벤트, 상응도, 캡슐 내시경

Description

캡슐 내시경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로부터 관심있는 데이터를 우선하여 단말기에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이미지 데이터 전송 프로세싱 방법 {METHOD OF TRANSFER PROCESSING IMAGE DATA IN SERVER-CLIENT SYSTEM WITH EASILY AND PROMPTLY ENSURING IMAGES OF CONCERN FROM SERVER WHICH STORES IMAGE DATA PHOTOGRAPHED BY CAPSULE ENDOSCOPE}
본 발명은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이미지 데이터 전송 프로세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캡슐 내시경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로부터 진단을 위하여 단말기에 수신하는 과정에서 지루하게 기다리지 않고 특징적인 이미지 또는 관심있는 이미지를 우선하여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에도 진단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이미지 데이터 전송 프로세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소화 기관은 식도, 위장, 소장 (다시 말하면, 십이지장, 공장, 회장) 및 결장을 포함하는 몇가지 다른 기관으로 구성된다. 지금까지, 위경 검사법이나 푸쉬 엔테로스코피 콜로노스코피(push enteroscopy colonoscopy)와 같은 다양한 내시경 방법이 인체의 소화 기관을 시각적으로 보는 진단 도구로 지금까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 종래 방법들에 의해서는 소장을 시각적으로 살펴보는 데 있어서 정밀한 진단 검사를 위한 필요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처리하기 위해 제한된 한가지 접근법은 영상 비디오 기술을 무선 전송에 통합시킨 무선 캡슐 내시경(Wireless Capsule Endoscope, WCE)을 이용하는 것이었다. 특히, 무선 캡슐 내시경 방식은 예를 들어 직경이 11mm이고 길이가 25mm인 작은 캡슐을 사용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내시경(30)은 발광 다이오드(LED)와 마이크로 카메라를 탑재하여, 발광 다이오드에 의해 장기(41)의 내벽을 밝게 하고, 마이크로 카메라에 의해 소화 기관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피검사자(40)가 착용하고 있는 수신기(60)로 무선 전송한다.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는 프로세싱 시스템(1)으로 전송되어 전문가가 촬영된 이미지를 해석하여 병증이 있는지 여부를 진단한다.
이 때, 1~2명의 의사에 의해 운영되는 작은 규모의 병원이 아니라면, 대규모 병원 또는 중소 병원에서는 피검사자(40)로부터 수신기(60)에 수신된 소화 기관의 촬영 이미지를 진단을 담당하는 의사가 대기하고 있다가 바로 확인하는 것이 아니므로, 피검사자(40)의 소화기관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는 서버(50)의 기록 매체(54)에 저장해둔다. 그리고, 담당 의사가 촬영 이미지를 보면서 진단을 하고자 할 때에, 담당 의사는 서버(50)와 연결된 다수의 단말기(1,1')를 조작하여 서 버(50)에 저장되었던 촬영 이미지 데이터를 단말기(1,1')로 수신하여, 단말기(1,1')에 수신된 이미지를 살펴보며 진단하게 된다.
그러나, 캡슐 내시경(30)에 의해 촬영된 12여만장의 이미지 데이터는 용량이 4GB 내지 12GB나 되어, 서버(50)로부터 제한된 1대1 서버-단말기 모델에서조차 단말기(1,1')에 수신하는 데에는 5분 내지 10분이 소요되며, 특히 동시에 서버로(50)부터 여러 개의 단말기(1,1')로 다운로드를 받는 멀티 유저 환경에서는 전송의 병목 현상에 의하여 수십분 이상이 소요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촬영 이미지를 살펴보며 진단을 해야 하는 의사는 다운로드를 받는 동안에는 귀중한 시간을 낭비할 수밖에 없으며, 정해진 시간 내에 진단할 수 있는 건수가 줄어듦에 따라, 심리적으로 시간의 압박을 받아, 서버(50)로부터 단말기(1,1')에 다운로드를 받아 촬영 이미지를 살펴보는 시간을 충분히 투여하지 않아 부정확한 진단이 될 수도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서버-단말기 시스템 환경에서 촬영되어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멀티 유저 환경에서도 진단하고자 하는 의사가 불필요한 시간 손실 없이 서버에 저장되어 있던 이미지 데이터를 단말기에 수신하면서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상기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장치 등의 구성은 오로지 본 발명의 기술적 배경을 이해하기 위하여 기술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선행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캡슐 내시경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로부터 진단을 위하여 단말기에 수신하는 과정에서, 모든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때까지 지루하게 기다리지 않더라도, 과거에 진단된 피검사자의 병증이나 질병 등에 관한 특징적인 이미지 또는 관심있는 이미지를 우선하여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전체 이미지들 중 유사한 다수의 이미지들에 대해서는 이미지 변화가 큰 한 두개의 대표적인 이미지들을 추려 먼저 수신하여 진단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실상 이미지 전체를 수신하여 살펴볼 때 진단자가 눈여겨 볼 만한 이미지들의 요약본을 가장 먼저 수신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에도 진단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이미지 데이터 전송 프로세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서버에 저장되어 있던 캡슐 내시경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을 촬영 순서대로 다운로드를 받는 것이 아니라, 촬영 이미지들 중 유사한 것을 연속하여 다운로드하지 않고, 이미지들 간에 서로 차별되는 특징이 있는 이미지들 또는 특정한 병증에 근접한 이미지들을 우선하여 다운로드 받아 진단하는 의사가 다운로드 받는 중에도 이미지들의 병증을 다운로드하여 계층별로 특징적인 이미지들을 요약하고 진단할 수 있도록 하여, 진단 효율이 향상되며 진단 정확성을 높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캡슐 내시경에 의하여 소화 기관을 촬영한 이미지들을 저장한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상기 이미지들을 전송하여 프로세싱하는 방법으로서, 서버에 전송된 촬영 이미지들을 2개 이상의 군으로 계층적으로 분할하는 이미지 계층분할단계와; 상기 이미지 계층분할단계에서 분할된 군의 계층별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이미지들을 전송하는 이미지 정상전송단계와; 상기 이미지 정상전송단계 중에도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들을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이미지 전송 프로세싱 방법을 제공한다.
이는, 캡슐 내시경에 의해 촬영되어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소화 기관의 이미지들을 단말기에 수신하는 과정에서, 천편일률적으로 촬영 순서대로 이미지들을 수신하여 수신이 완료된 상태에서만 이미지들을 살펴보며 진단할 수 있는 종래의 방법과 달리, 서버에 촬영된 이미지들을 진단자가 관심있는 정도에 따라 이미지들을 2개 이상의 군(群)으로 계층적으로 분할하고, 진단자가 보다 관심있어 하는 계층의 군에 속하는 이미지들을 우선하여 서버로부터 단말기로 전송하여,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이미지들을 전송하는 동안에도 이미 관심있는 이미지들을 단말기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진단에 소요되는 시간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이미지들을 전송하는 동안에도 병증의 진단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진단과 함께 진단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 계층분할단계 중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 상기 서버에 저장된 이미지들이 인접한 다른 이미지와의 유사도를 추출하여, 상기 이미지들의 유사도의 영역별로 분할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이미지 정상전송단계는 유사도가 낮은 이미지들을 우선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아래 표와 같이 캡슐 내시경에 의해 20개의 이미지들이 촬영된 것으로 가정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이미지 계층분할단계에서는 상기 서버에 저장된 이미지들에 대하여 직전 이미지와의 유사한 유사도를 정량적인 수치로 산출한다. 이 때, 완전히 동일한 이미지는 100으로 유사도가 산출되도록 유사도 수치는 정규화된다.
이미지 번호 유사도 이미지 번호 유사도 이미지 번호 유사도 이미지 번호 유사도
이미지#1 0.0 이미지#6 98.5 이미지#11 20.9 이미지#16 99.5
이미지#2 7.0 이미지#7 92.2 이미지#12 78.5 이미지#17 97.6
이미지#3 80.1 이미지#8 80.4 이미지#13 88.2 이미지#18 92.4
이미지#4 79.2 이미지#9 50.2 이미지#14 92.3 이미지#19 48.6
이미지#5 99.7 이미지#10 50.3 이미지#15 94.6 이미지#20 56.7
즉, 이미지#1은 최초의 이미지이므로 직전 이미지와 유사도를 판별할 수 없어 유사도가 0.0이 되며, 이미지 #2는 이미지 #1에 대하여 유사도가 7%만큼 유사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미지 #5는 이미지 #4와 99.7%만큼 유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이미지들에 대하여, 이미지의 유사도가 낮으면 이미지의 급격한 장면 변환(scene change)을 의미하므로, 전체 이미지들의 요약본에 해당하는 유사도가 낮은 이미지들을 먼저 다운로드받아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새로운 패턴의 이미지들을 먼저 살펴볼 수 있게 되어, 보다 신속한 진단이 가능하게 되고 다운로드에 의해 손실되었던 시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진단자에 의하여 또는 미리 정해진 유사도 기준에 따라, 2개 이상의 군으로 이미지들을 분할하고, 유사도가 낮은 이미지들(즉, 유사한 이미지들을 배제하고 급격한 장면 변환이 있는 이미지들)의 군(群)을 가장 먼저 서버로부터 단말기로 전송하여, 피검사자의 소화 기관에 이상 징후가 있는지 여부를 이미지들을 서버로부터 단말기로 전송하는 동안에도 먼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먼저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다운로드할 제1군은 유사도가 50이하로, 두번째로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다운로드할 제2군은 유사도가 50초과 80이하로, 세번째로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다운로드할 제3군은 유사도가 80초과 97이하로, 네번째로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다운로드할 제4군은 나머지의 유사도를 갖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이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제1군 이미지#1, 이미지#2, 이미지#11, 이미지#19
제2군 이미지#4, 이미지#9, 이미지#10, 이미지#12, 이미지#20
제3군 이미지#3, 이미지#7, 이미지#8, 이미지#13, 이미지#14, 이미지#15, 이미지#18
제4군 이미지#5, 이미지#16, 이미지#17
이와 같이 유사도가 가장 낮은 제1군의 이미지를 먼저 서버로부터 단말기로 전송하여, 단말기에서 제1군의 이미지들을 확인함으로써 진단자는 각기 다른 양상을 보이는 이미지들만을 우선 먼저 살펴볼 수 있으며, 이를 살펴보는 동안에 그 다음으로 낮은 유사도를 갖는 제2군의 이미지들이 다운로드되어, 제1군의 이미지들 중 보다 자세히 살펴보고자 하는 이미지들을 제2군 등 하위 군의 이미지들이 다운로드되고, 이를 확인하며 진단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개략적으로 도5를 통해서도 그 개념을 설명하면, 서버의 기록 매체에 저장된 오리지널 이미지들(OS101)은 이미지 계층분할단계에서 이미지들의 유사도나 이벤트와의 상응도를 기준으로 나뉜 6개의 군(①영역,②영역,...⑥영역)으로 분할한다. 그리고 나서,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이미지를 전송할 때에는 촬영 순서대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이른 t=t1인 때에는 후술하는 S140단계에 의하여 6개로 나눈 영역 중 가장 유사도가 낮은 이미지들이 추려진 이미지들을 가장 먼저 단말기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단말기의 t=t1인 상태의 타임바(C101)에는 유사도가 가장 낮은 이미지들로 추려진 1단계 계층의 이미지들이 단말기에 수신되었다는 표시로서 수신된 이미지의 위치(C101a)가 표시된다. 그리고 나서, t=t2인 때에는 2단계 계층의 이미지들이 단말기에 전송되어, 이에 따라, 단말기의 t=t2인 상태의 타임바(C102)에는 2단계 계층의 이미지들이 단말기에 수신되었다는 표시로서 수신된 이미지의 위치(C102a)가 표시된다. 그리고, t=t3인 때에는 2단계 계층의 이미지들이 그 다음에 단말기에 전송하여, 이에 따라, 단말기의 t=t3인 상태의 타임바(C103)에는 3단계 계층의 이미지들이 단말기에 수신되었다는 표시로서 수신된 이미지의 위치(C103a)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이미지 계층 분할단계에서 미리 분할해둔 군(群)의 순서대로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이미지들을 전송하여 t=t6인 때에는 마지막 군인 마지막 단계 계층의 이미지들이 단말기에 전송되어, t=t6인 상태에서는 t=t6인 상태의 타임바(C106)에는 모든 이미지들이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수신되었다는 표시로서 모두 채워진 상태로 표시된다.
한편, 상기 이미지 계층분할단계는, 상기 서버에 저장된 이미지들이 하나 이상의 이벤트에 상응하는 정도를 추출하여, 상기 이미지들의 이벤트에 상응하는 정도를 기준으로 2개 이상의 군으로 분할하고, 상기 이미지 정상전송단계는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상응도가 높은 이미지들을 우선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는, 피검사자에게 의심되는 병증이 예상되어 이를 확인하려고 하거나 이미 알고 있는 병증의 경과를 확인하려는 경우에 매우 유용하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는 출혈(bleeding), 궤양(Ulcer), 폴립(Polyp), 암(cancer), 종양(tumor) 등과 같은 질병의 증상(즉, 병증)들이나 질병들 중 어느 하나 이상 또는 장기의 영역으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병증이나 질병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앞에 나열된 병증이나 증상으로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이벤트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캡슐 내시경 등으로부터 얻어진 장기 내부의 이미지들이 출혈, 궤양 등의 이벤트에 어느 정도 해당하는지를 분석하여, 이벤트 별로 이벤트에 상응하는 정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함으로써, 진단자는 다운로드되는 이미지들을 모두 다운로드 받은 후에 이를 하나하나 살펴보기 이전에도, 최초에 다운로드되는 이미지와 그 이미지의 위치를 타임바 또는 맵뷰를 통해 요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느 위치에서 어떠한 징후가 어느정도 있는지를 금방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벤트는 2개 이상에 대해 행해지는 것이 보다 종합적인 병증이나 질병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과적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상기 이미지들이 하나 이상의 이벤트와 “상응하는 정도” 또는 “상응도” 및 이와 유사하게 사용된 용어는 소화기관의 촬영 이미지들 각각이 증상이나 질병인 이벤트에 근접한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근접한 정도를 환산한 값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이미지들이 하나 이상의 이벤트와 상응하는 정도를 산출하는 단계에서는 각각의 이미지들이 이벤트에 상응하는 정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하여, 진단자에 의해 지정된 전송기준 이벤트에 상응하는 상응도가 높은 이미지들을 우선하여 서버로부터 단말기로 수신하도록 하고, 진단자는 단말기의 화면에 지정된 이벤트에 대한 상응도가 높은 이미지들을 먼저 보면서 진단을 시작할 수 있다.
이 때, 이벤트에 상응하는 정도는 정규화(normalization)된 값(index)으로 산출된다. 여기서, 이미지들의 각각이 다양한 여러 이벤트에 상응하는 정도를 분석하는 데 있어서, 2개 이상의 다양한 이벤트들에 상응하는 상응도를 정규화(normalization)된 값(index)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이미지들 각각이 여러 이벤트들에 대하여 상응하는 정도를 상호 비교하기 용이해지고, 이에 따라, 소화 기관의 촬영 이미지들이 어떠한 이벤트(병증이나 질병)에 가장 근접한 것인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벤트가 2개 이상으로 지정되더라도, 지정된 2개 이상의 전송기준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의 상응도 값에 치우친 결과로 산출되지 않고 지정된 2개 이상의 전송기준 이벤트의 각각의 상응도가 동일한 비율로 반영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소장에 출혈이 발생되었던 피검사자의 차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캡슐 내시경을 이용하여 소화기관을 촬영한 20개의 이미지들을 살펴보면서 진단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진단하고자 하는 의사는 무엇보다도 소화기관의 출혈이 어떻게 진전되었는지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캡슐 내시경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에 대하여 서버에서는 다양한 이벤트(예컨대, 출혈, 폴립, 궤양 등)에 대한 상응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하지만, 진단자에 의해 지정된 전송기준 이벤트가 '출혈'이라면, 출혈에 대한 상응도가 높은 순서대로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이미지들을 수신하게 된다.
상기 서버에 저장된 이미지들에 대하여 다양한 이벤트에 대한 상응도를 정량적인 수치로 산출되지만, 진단자에 의해 '출혈'이라는 이벤트가 전송기준 이벤트로 지정되었으므로, 상기 이미지 계층분할단계에서는 아래 표와 같이 20개의 이미지들에 대하여 지정된 '출혈'에 대한 이벤트에 대한 상응도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이미지 번호 지정이벤트에 대한 상응도 이미지 번호 지정이벤트에 대한 상응도 이미지 번호 지정이벤트에 대한 상응도 이미지 번호 지정이벤트에 대한 상응도
이미지#1 0.0 이미지#6 41.2 이미지#11 95.3 이미지#16 7.1
이미지#2 12.0 이미지#7 11.1 이미지#12 88.1 이미지#17 12.6
이미지#3 19.2 이미지#8 62.6 이미지#13 81.2 이미지#18 30.9
이미지#4 9.7 이미지#9 77.3 이미지#14 65.3 이미지#19 21.3
이미지#5 11.1 이미지#10 91.3 이미지#15 30.3 이미지#20 16.3
즉, 진단자에 의해 선택된 '출혈'이라는 이벤트에 가장 근접한 상응도를 갖는 것은 이미지 #11이다. 따라서, 이미지#11을 가장 먼저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전송하여 단말기의 화면에 이미지#11을 표시하고, 그리고 나서, '출혈'이라는 이벤트에 두번째로 상응도가 높은 이미지#10을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전송하여 단말기의 하면에 이미지#10을 표시한다. 즉, 진단을 담당하는 의사는 서버로부터 '출혈'이라는 지정된 전송기준 이벤트에 상응도가 가장 높은 이미지를 가장 먼저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다운로드받을 수 있게 되므로, 피검사자의 소화기관을 캡슐 내시경에 의해 촬영한 12여만장의 이미지들 중 가장 관심있는 이미지를 먼저 확인할 수 있게 되어, 다운로드 받는 시간이 모두 손실되던 종래와 달리 다운로드 받는 시초부터 어떠한 병증이 있는지를 곧바로 알 수 있게 되므로, 신속하면서 진단 효율이 매우 향상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 때, 진단자에 의하여 또는 미리 정해진 상응도 기준에 따라, 2개 이상의 군으로 이미지들을 분할하고, 유사도가 낮은 이미지들(즉, 유사한 이미지들을 배제하고 급격한 장면 변환이 있는 이미지들)의 군(群)을 가장 먼저 서버로부터 단말기로 전송하여, 피검사자의 소화 기관에 이상 징후가 있는지 여부를 이미지들을 군(群)별로 확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장 먼저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다운로드할 제1군은 상응도가 90이상으로, 두번째로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다운로드할 제2군은 상응도가 80초과 90이하로, 세번째로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다운로드할 제3군은 상응도가 60초과 80이하로, 네번째로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다운로드할 제4군은 나머지의 상응도를 갖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이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제1군 이미지#10, 이미지#11
제2군 이미지#12, 이미지#13
제3군 이미지#8, 이미지#9, 이미지#14
제4군 이미지#1, 이미지#2, 이미지#3, 이미지#4, 이미지#5, 이미지#6, 이미지#7, 이미지#15, 이미지#16, 이미지#17, 이미지#18, 이미지#19, 이미지#20
이와 같이 지정된 전송기준 이벤트에 대한 상응도가 가장 높은 제1군의 이미지를 먼저 서버로부터 단말기로 전송하여, 단말기에서 제1군의 이미지들을 확인함으로써 진단자는 관심있는 이벤트에 대하여 가장 상응도가 높은 이미지들만을 우선 다운로드받아 먼저 살펴볼 수 있으며, 이를 살펴보는 동안에 그 다음으로 낮은 유사도를 갖는 제2군의 이미지들이 다운로드되어, 제1군의 이미지들 중 보다 자세히 살펴보고자 하는 이미지들을 제2군 등 하위 군의 이미지들이 다운로드되면서 확인하며 의심되는 병증을 진단한 후 제2군 이하의 하위 군의 이미지를 통해 확진에 금방 이르는 진단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이미지들에 대한 이벤트의 상응도를 분석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이미지들의 스펙트럼 분석, 모션 유동 해석, 형상 해석, 파동(wavelet) 해석, 주파수 해석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2개 이상의 조합에 의하여 이상 유무가 있는지를 파악할 수도 있다. 소화기의 수축 패턴을 인식하는 것에 의해서도 분석될 수도 있다. 무선 캡슐 내시경의 비디오는 소장의 수축과 같은 소화 기관의 연속적인 운동을 기록하고, 쉽게 기록된 화상을 보여줄 수 있다. 서로 다른 소화 기관은 서로 다른 형태의 연동 운동을 하며 서로 다른 기능을 갖기 때문에 이들의 운동 패턴들은 서로 다르다. 예를 들면, 무선 캡슐 내시경의 화상으로부터 에너지에 기초한 특징적 형상을 주파수 도메인 영역에 추출할 수 있고, 그리고 나서, 수축을 특징화할 수 있는 고주파 컨텐트 (High Frequency Content, HFC) 기능을 사용하여 이벤트 경계를 감지하여, 이벤트에 상응하는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병증이 있는 대표 영상과 대비하는 것에 의하여 이벤트에 상응하는 정도를 분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장기 내에서 출혈이 발생되면, 정상적인 장기에 비하여 적색의 비중이 높아지므로, 적색의 비율이 비정상적으로 일정 비율 이상 높아질수록 출혈이 발생되었을 가능성이 보다 높아진다. 이 때, 일반적으로 이미지는 적색(R), 녹색(G), 청색(B)으로 구성되는데, 이들 화상을 이루는 색깔의 분포나 특정 색깔의 비율이 유사할수록 상응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를 위한 한 방법으로서, 화상 색깔의 분포에 따른 구간 분할은 화상 각각의 휘도(luminance)를 기준으로 주파수변환을 하여 화상 분포가 하나의 색지수(color index)로 표시할 수 있는 데, 이 색지수가 유사하면 화상의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간주하여, 색지수의 분포에 따라 이벤트와 상응하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휘도를 기준으로 주파수 변환된 이미지의 각각의 색지수가 이벤트의 색지수와 근접할수록 정량적인 상응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그리고, 상기 이벤트는 상기 이미지들이 위치한 장기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이미지들이 위치한 소화 기관의 장기 영역을 파악하는 한 방법으로서, 소화 기관의 장기가 천이되는 영역에서는 이미지의 휘도(luminance)를 기준으로 주파수변환을 하여 화상 분포가 반영되게 얻어진 색지수(color index)가 급격히 변화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색지수가 급격히 변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장기 영역을 식도, 위장, 십이지장, 소장, 대장 등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벤트에 각각의 이미지들이 위치한 장기의 영역을 포함함에 따라, 진단자에 의해 특정한 장기의 영역의 특정 병증에 대해 2개 이상으로 이벤트가 지정되었다면, 특정 장기 영역 내의 특정 병증에 부합하는 이미지들을 우선 서버로부터 단말기로 전송하여 단말기에는 그 조건에 부합하는 이미지들을 담당 진단 의사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전송된 이미지들의 위치를 단말기의 화면에 타임바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이를 통해, 단말기를 조작하면서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이미지들을 살펴보는 진단자는 캡슐 내시경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 중 단말기에 전송된 이미지들의 수와 전송된 이미지들의 해당 장기 위치를 다운로드되고 있는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표시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전송된 이미지들을 맵뷰로 표시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즉, 인접한 이미지의 유사도나 이벤트에 대한 상응도를 기준으로 계층적으로 분류된 이미지들을 맵뷰의 해당 위치에 표시함으로써, 진단자에게 관심있는 것이어서 서버로부터 먼저 전송되는 이미지들의 해당 위치를 손쉽게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확대하여 먼저 전송된 이미지들을 확인하여 진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전송된 이미지가 표시되는 맵뷰의 영역을 지정하면, 지정된 이미지를 최우선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이미지를 전송하는 도중이더라도, 진단자가 우선 전송된 이미지들을 보고 보다 높은 관심을 갖게 된 이미지 영역을 선택하면, 선택된 이미지들을 최우선적으로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진단자가 자기가 원하는 이미지가 전송될때까지 막연히 기다리지 않고 원하는 구간의 이미지 영역의 이미지들을 먼저 수신하여 진단할 수 있다.
그리고, 12여만장의 이미지들을 하나하나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그 위치를 기억하기도 어려우므로, 서버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들을 맵뷰에 표시하되, 단말기의 입력 기구에 의하여 상기 맵뷰의 일부를 확대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관심있는 이미지들의 위치와 함께 이미지의 상세 관찰을 동시에 병행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소화 기관의 이미지들을 촬영한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기록매체와; 상기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유사도나 이벤트에 상응하는 정도를 기준으로 계층적으로 구분하는 프로세싱 유닛과; 상기 이미지들을 계층적인 순서로 단말기에 전송하는 이미지 전송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전송 서버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와; 서버로부터 이미지들을 수신하는 대로 수신되는 이미지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되는 수신된 이미지들의 우선전송 영역을 설정하는 입력 유닛과; 상기 우선전송 영역이 설정되면 상기 서버에 우선전송영역의 정보를 전송하는 이미지 전송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우선전송영역을 우선적으로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캡슐 내시경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로부터 진단을 위하여 단말기에 수신하는 과정에서 지루하게 기다리지 않고 특징적인 이미지 또는 관심있는 이미지를 우선하여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에도 진단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이미지 데이터 전송 프로세싱 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서버에 저장되어 있던 캡슐 내시경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을 촬영 순서대로 다운로드를 받는 것이 아니라, 촬영 이미지들 중 유사한 것을 연속하여 다운로드하지 않고, 이미지들 간에 서로 차별되는 특징이 있는 이미지들 또는 특정한 병증에 근접한 이미지들을 우선하여 다운로드 받아 진단하는 의사가 다운로드 받는 중에도 이미지들의 병증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하여, 진단 효율이 향상되며 진단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서버에 저장되어 있던 캡슐 내시경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 중 계층적으로 분류된 이미지들의 순서대로 다운로드받아, 이를 일부 확대가 가능한 맵뷰에 표시함으로써, 수신된 이미지의 해당 위치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고 동시에 확대를 통해 해당 이미지에 병증이 있는지 여부를 동시에 알아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캡슐 내시경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 중 계층적으로 분류된 이미지들을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다운로드받아 이미지들을 보며 진단하는 동안에, 진단자에 의해 관심있는 영역의 이미지들이 지정되면 이 영역의 이미지들을 다른 이미지에 최우선하여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진단자의 진단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고 빠른 시간 내에 피검사자의 병증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캡슐 내시경 등에 의해 촬영된 소화 기관의 이미지를 검사하여 피검사자의 병증에 대한 진단에 짧은 시간 내에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소화 기관의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진단자가 다양한 조건에 부합하는 이미지들의 이벤트에 대한 정량적인 결과를 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조건에 부합하는 이미지들만을 추려서 먼저 다운로드받을 수 있으므로, 특정 질병에 대하여 먼저 상세 진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상술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버-단말기 시스템에서의 촬영 이미지 전송 프로세싱 방법(S100)은, 캡슐 내시경(30)으로부터 피검사자의 장기 내부를 촬영하는 이미지 촬영 단계(S110)와, 캡슐 내시경(30)으로부터 촬영 데이터를 수신기(60)에 획득한 후 이 촬영된 이미지들을 서버(50)의 기록 매체(54)에 저장하는 이미지 서버저장 단계(S120)와, 기록 매체(54)에 저장된 이미지들에 대하여 인접한 바로 이전의 이미지와 유사도를 분석하는 유사도분석단계(S130)와, 분석된 이미지들의 유사도별로 이미지들을 계층적인 다수의 군으로 분할하는 이미지 계층분할단계(S140)와, 최우선 전송 영역(116)이 지정되지 않았다면 이미지 계층 분할 단계(S140)에서 분할된 다수의 군(群)중 유사도가 가장 낮은 이미지들의 군부터 서버(50)로부터 호출된 단말기(1)에 전송하는 이미지 정상전송단계(S150)와, 서버(50)로부터 단말기(1)에 이미지들을 전송하는 동안에 최우선전송영역(116)이 지정되는 경우에 지정된 최우선전송영역(116)의 이미지들을 이미지 정상전송단계(S150)에서 예정된 이미지 전송 순서에 우선하여 서버(50)로부터 단말기에 최우선 전송영역(116)의 이미지들을 전송하는 최우선 전송단계(S160)와, 이미지 정상전송단계(S150) 및 최우선 전송단계(S160)에서 단말기(1)에 전송된 이미지들 및 그 정보를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 유닛(80)에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단계(S170)로 구성된다. 이 때, 이미지 정상전송단계(S150) 및 최우선 전송단계(S16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50)에 저장된 이미지들이 단말기(1)에 모두 전송될 때까지 반복된다.
상기 이미지 촬영 단계(S110)는 피검사자(40)가 캡슐 내시경(30)을 삼키면, 피검사자의 장기(41)의 연동 운동에 의해 캡슐 내시경(30)이 장기 내부를 이동하 고, 캡슐 내시경(30)에 장착된 발광 다이오드에 의해 밝혀진 장기 내부를 캡슐 내시경(30)에 장착된 카메라로 촬영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이미지 저장 단계(S120)는 캡슐 내시경(30)에 의해 장기(41) 내부를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인체를 매개로 하거나 무선 주파수 방식으로 피검사자(40)가 착용한 수신기(60)에 전송하고, 수신기(60)에서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다시 서버(50)로 전송하면 이미지 수신유닛(51)에서 촬영 이미지들을 수신하여, 서버(50)의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54)에 저장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사도분석단계(S130)는 서버(50)의 기록 매체(54)에 저장된 이미지들 중 인접한 바로 이전의 이미지와 유사한 정도를 프로세싱 유닛(55)의 유사도 정량분석부(55c)에서 정량적으로 수치화하여 분석한다. 이에 대해서는 표1을 예로들어 이미 앞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미지 계층분할단계(S140)는 유사도 분석단계(S130)에서 분석된 각 이미지들의 유사도에 근거하여 2개 이상의 군(群)으로 나누는 것이다. 이 때, 이미지 계층분할단계(S140)에서의 군은 여러 이미지들이 하나를 이루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이미지로 이루어진 군(사전적 의미는 복수의 이미지에 의해 군을 이룰 수 있지만,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의 군(群)은 하나의 이미지로도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함)도 있을 수 있다.
즉, 이미지 계층분할단계(S140)에서는 유사도가 낮은 것부터 하나하나의 이미지에 대해 전송순서를 정한 제1군, 제2군... 등으로 나뉠 수도 있으며, 유사도가 낮은 값의 범위의 다수의 이미지들이 제1군, 제2군... 등으로 나뉠 수도 있다. 이 에 대해서는 표2를 예로 들어 이미 앞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분할된 이미지들의 군(群)은 프로세싱 유닛(55)의 이미지 분할 기억부(55b)에 기억된다.
상기 이미지 정상전송단계(S150)는 이미지 전송순서가 이미지 계층분할단계(S140)에서 미리 정해진 대로 제1군, 제2군.. 순으로 서버(50)의 이미지 전송유닛(52)에 의해 서버(50)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단말기(1)에 전송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미지 정상전송단계(S150) 중에 진단자에 의해 최우선 전송 영역(116)이 지정되면, 이미지 정상전송단계(S150)는 최우선 전송 영역(116)의 이미지들(116a)이 수신될 때까지 중단되고, 최우선 전송 영역(116)의 이미지들(116a)이 모두 수신된 이후에 다시 재개된다. 이 때, 서버(5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들은 단말기(1) 본체(70)의 이미지 수신유닛(71)에 의해 수신되어 하드디스크 등의 기록매체(72)에 저장된다.
상기 최우선 전송단계(S160)는 서버(50)로부터 단말기(1)에 전송되고 있는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 유닛(80)에 표시되는 것을 진단하는 의사가 보고서, 병증으로 의심되거나 관심을 갖고 특정 영역을 보다 먼저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 진단 의사가 다른 이미지들보다 최우선으로 전송받고자 하는 영역을 최우선 전송영역(116)으로 마우스(91)나 키보드(92)와 같은 입력유닛(90)으로 지정하여 서버(50)에 전송하면, 서버(50)의 단말기 신호수신유닛(53)에서 이를 감지하여 전송하려고 대기하 고 있던 다른 이미지들보다 단말기(1)에서 지정된 최우선 영역(116)의 이미지들을 최우선으로 단말기(1)에 전송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입력 유닛(90)에 의해 지정된 최우선 전송영역(116)은 프로세싱 유닛(73)의 조건입력저장부(73b)에 의해 이루어지고, 입력된 최우선 전송영역(116)은 입력조건 전송부(73c)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서버(50)로부터 단말기(1)에 다운로드 중인 이미지들 중 진단 의사가 관심을 갖는 특정 영역을 어느때라도 최우선으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진단하는 과정에서 다운로드 시간동안 기다리느라 손실되는 시간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피검사자의 병증을 진단할 수 있게 되어 진단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미지 표시단계(S170)는 이미지 정상전송단계(S150)와 최우선 전송단계(S160)에서 서버(50)로부터 단말기(1)에 수신되는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 유닛(80)의 화면에 표시한다. 이 때, 전송되는 이미지들을 하나하나 큰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지만, 도6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되는 이미지들을 작은 이미지 형태로 표시하는 맵뷰로 표시하는 것이 수신된 이미지의 위치를 파악하고 동시에 확대하여 이미지를 상세히 관찰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미지 정상전송단계(S160)에 의해 서버(50)로부터 단말기(1)에 이미지들이 전송되보다 이를 디스플레이 유닛(80)에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단계(S170)를 이하에서 상술한다. 이미지 계층 분할 단계(S140)에서 유사도가 낮은 제1군의 이미지들이 가장 먼저 서버(50)의 이미지 전송유닛(52)에 의하여 단말기(1)의 본체(70)의 이미지 수신유닛(71)으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10d로 표시된 캡슐 내시경(30)에 의해 촬영된 순서에 관계없이, 유사도가 낮은 제1군의 이미지들이 서버(50)로부터 단말기(1)에 전송되어, 단말기(1)의 화면에는 맵뷰(110) 형태로 각 이미지의 위치에 제1군의 전송된 이미지들(111)이 표시된다. 이와 동시에, 타임바(120)에는 제1군 이미지들의 수신상태가 바(121)형태로 표시된다. 즉, 이미지의 변화가 가장 큰 이미지들이 가장 먼저 단말기(1)에 수신되어, 진단자는 피검사자(40)의 소화기관을 촬영한 이미지들 중 특징적인 이미지를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 유닛(80)을 통해 먼저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80)의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 표시 제어는 단말기(1)의 프로세싱 유닛(73)의 화상표시제어부(73a)에 의해 이루어진다.
참고로, 도6 이하에서는 5개의 이미지들에 대한 기둥 형태로 캡슐 내시경(30)의 촬영 순서에 따른 이미지가 맵뷰(110)에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하겠지만, 도6의 도면부호 110d'로 표시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캡슐 내시경(30)의 촬영 순서에 따른 이미지가 맵뷰(110)에 표시될 수도 있다. 즉, 맵뷰(110)에서 이미지들의 촬영 순서는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맵뷰(110)란 도면부호 110d 또는 도면부호 110d'와 같이 미리 정해 진 흐름의 순서대로 캡슐 내시경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축소하여 다수의 행과 열의 빈칸에 넣어 나열한 것을 말한다. 즉, 맵뷰(110)는 하나하나의 촬영 이미지들이 축소되어 촬영된 순서에 부합하는 위치에 표시되는 것이므로, 맵뷰(110)를 확대함으로써 단말기(1)에 수신된 이미지들의 상세 모양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타임바(120)는 각각의 이미지들의 위치를 전체 재생시간(120i)에 대해 표시한 것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군에 속하는 이미지들(111)이 모두 서버(50)로부터 단말기(1)에 전송되면, 그 다음에는 제1군보다는 유사도가 높지만 제3군보다는 유사도가 낮은 제2군에 속하는 이미지들이 서버(50)로부터 단말기(1)에 전송되고, 이에 따라, 유사도가 가장 낮은 (즉, 이미지 변화가 가장 큰) 제1군의 이미지들에 이어, 이미지 변화가 약간 더 작은 제2군의 이미지들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의 화면의 맵뷰(110)의 각 해당 위치(112)에 축소된 이미지들(111)로 표시된다. 이와 동시에, 타임바(120)에는 제2군 이미지들의 수신상태가 바(122)형태로 표시되어, 도6의 타임바(120)보다 더 촘촘한 수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2군에 속하는 이미지들(112)이 모두 서버(50)로부터 단말기(1)에 전송되면, 그 다음에는 제2군보다는 유사도가 높지만 제4군보다는 유사도가 낮은 제3군에 속하는 이미지들(113)이 서버(50)로부터 단말기(1)에 전송되고, 이에 따라, 제1군 및 제2군의 이미지들에 이어 이미지 변화가 약간 더 낮은 (즉, 유사도가 약간 더 높은) 제3군의 이미지들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의 화면의 맵뷰(110)의 각 해당 위치(113)에 축소된 이미지들(111)로 표시된다. 이와 동시에, 타임바(120)에는 제2군 이미지들의 수신상태가 바(122)형태로 표시되어, 도7의 타임바(120)보다 더 촘촘한 수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단자는 제2군의 이미지들(112)에 비해 보다 이미지의 변화가 덜한 제3군의 이미지들(113)을 통해 보다 많은 이미지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3군에 속하는 이미지들(113)이 모두 서버(50)로부터 단말기(1)에 전송되면, 순차적으로 제4군, 제5군.. 등의 유사도가 점점 높은 이미지들이 서버(50)로부터 단말기(1)에 전송되어 맵뷰(110)의 해당 위치에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이에 의하여,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의 화면의 맵뷰(110)의 모든 위치에 이미지들(111,112,113...)이 다운로드되어 축소된 이미지로 표시된다. 이와 동시에, 타임바(120)에는 모든 이미지들이 수신되었으므로, 타임바(120)의 전체가 모두 채워진다.
이와 같이, 이미지들의 유사도가 낮은 순서대로 서버(50)의 기록매체(54)에 저장되어 있던 이미지들이 단말기(1)에 전송되어,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 유닛(80)에 전송되는 이미지들이 맵뷰(110)의 형태로 표시되고 그 위치 정보가 타임바(120)에 표시됨으로써, 진단자는 서버(50)로부터 단말기(1)에 전송하는 동안에도, 진단자에게 눈길을 가장 끄는 이미지의 변화가 큰 화면을 가장 먼저 수신하여 확인하여 진단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진단 시간을 단축하고 진단 효율을 증대시키는 유리한 효과가 얻어진다.
여기서, 캡슐 내시경(30)에 의해 촬영된 12만장이나 되는 이미지들을 맵 뷰(110)의 해당 위치에 축소된 이미지들의 형태로 촘촘하게 위치시키더라도, 진단의사가 축소된 이미지들(111-113...)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에 의해서는 보다 정밀하게 진단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에 따라, 도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자가 다운로드 받아 화면(80)에 표시되는 이미지들(111,112)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110s)를 마우스 커서(92a)로 선택한 후 키보드의 "+"키 등 미리 지정한 키로 입력하여, 마우스 커서(92a)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110s)의 주변 이미지들(118)이 도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되어 표시된다. 도10b에서는 다운로드된 이미지들(111,112)을 확대한 상태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해지며, 나아가, 도10b의 확대된 화면상태에서도 도10a의 방법으로 또 다른 이미지를 선택하여 또 다시 추가로 확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축소된 형태로 맵뷰(110)에 표시된 이미지를 계속적으로 확대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한 관찰을 통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도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맵뷰(110)의 일부(118)가 확대되면, 확대되기 이전의 맵뷰(110) 상태로 환원시키기 위한 '복귀(back)' 버튼(131)이 화면(80)에 표시되어 복귀 버튼(131)을 마우스 커서(92a)로 더블클릭하는 것에 의해 확대되기 이전의 맵뷰(110)상태로 환원시키거나, 미리 지정한 키를 이용하여 이전의 맵뷰(110) 상태로 환원시킬 수 있다.
최우선 전송단계(S160)에 의해 서버(50)로부터 단말기(1)에 이미지들이 전송되보다 이를 디스플레이 유닛(80)에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단계(S170)를 이하에서 상술한다. 도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군과 제2군의 이미지들(111,112)을 서버(50)로부터 단말기(1)에 다운로드받아 맵뷰(110)의 해당위치에 축소된 형태로 디스플레이 한 상태에서, 진단자는 맵뷰(110)의 일부를 확대하는 것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피검사자(40)의 소화기관(41)의 촬영 이미지를 살펴볼 수 있다. 이 때, 진단 의사가 서버(50)로부터 단말기(1)에 다운로드받아 맵뷰(110)에 표시되는 촬영 이미지들 중 어느 이미지에 대해 병증이 있는 것으로 의심되어 관심이 많아진다면, 의심되는 이미지의 주변 이미지들을 먼저 확인하고 싶어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2개의 이미지(110s1, 110s2)를 마우스 커서(92a)로 지정하여 마우스(91)의 우측 버튼으로 지정하여,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된 이미지(110s1, 110s2) 사이에 촬영된 이미지들(즉, 도면부호 110d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지정된 2개의 이미지 사이의 이미지들)을 최우선 전송영역(116)으로 지정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맵뷰(110)에서 최우선 전송영역(116)이 지정되면,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된 최우선 전송 영역(116)에 대응하는 타임바(120)의 해당 영역(120fd)도 함께 표시되어, 최우선 전송 영역(116)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위치가 어디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맵뷰(110)에서 최우선 전송영역(116)이 지정되면,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우선 다운로드(Firstly Download)" 버튼(133)이 활성화된다.
이 때, 진단자가 "최우선 다운로드" 버튼(133)을 마우스 커서(92a)로 더블 클릭하면, 도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된 최우선 전송영역(116)의 이미지들(116a)이 다운로드되어 맵뷰(110)의 해당 위치를 축소된 이미지 형태로 채우게 된다. 최우선 전송영역(116)의 이미지들(116a)은 진단 의사에 의해 가장 관심을 갖는 이미지들이므로 신속하게 이들(116a)을 살펴보게 된다. 따라서, 이미 전술한 도10a 및 도10b에 나타난 방법을 이용하여 최우선 전송영역(116)의 이미지들을 확대하여 확인할 수도 있지만, 최우선 전송영역(116)의 이미지들(116a)의 다운로드가 종료되면, 도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의 화면(80)의 우측에 활성화되어 표시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Image Display)" 버튼(135)을 마우스 커서(92a)로 더블클릭하여 도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꺼번에 확대 화면(88)에 최우선 전송영역(116)의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된다. 이 때, 타임바(120)의 하부에 활성화되는 제어 버튼(137)을 이용하여, 앞으로 재생(137f), 뒤로 재생(137b), 멈춤(137c)으로 조작하여, 최우선 전송 영역(116)의 이미지들을 확대 화면(88)에 천천히 살펴보면서 진단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디스플레이 모드를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11d에 도시된 화면(80)의 우측에 활성화된 "복귀(back)" 버튼(131)을 마우스 커서(92a)를 더블 클릭하는 것에 의해 도11c에 도시된 화면으로 되돌릴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55a는 서버(50)의 기록 매체(54)에 저장되어 있던 이미지들을 단말기(1, 1')에 송신하고 단말기(1,1')로부터 최우선 전송영역(116)의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를 담당하는 프로세싱 유닛(55)의 송수신제어부(55a)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버-단말기 시스템에서의 촬영 이미지 전송 프로세싱 방법(S100)은 캡슐 내시경(3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50)로부터 진단을 위하여 단말기(1)에 수신하는 과정에서 지루하게 기다리지 않고 이미지 변화가 큰 특징적인 이미지를 우선하여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미지를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전송하는 동안에도 진단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비교적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이미지 변화가 큰 이미지들을 먼저 다운로드를 받아 화면(80)을 통해 이 이미지들을 확인하다가, 진단 의사가 관심있는 이미지를 발견한 경우에는 정해진 다운로드의 순서를 무시하고, 진단 의사가 지정한 최우선 전송영역(116)의 이미지들(116a)을 최우선적으로 다운로드받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단 의사의 관심에 부합하는 진단을 다운로드 시간 동안에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캡슐 내시경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 중 계층적으로 분류된 이미지들을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다운로드받아 이미지들을 보며 진단하는 동안에, 진단자에 의해 관심있는 영역의 이미지들이 지정되면 이 영역의 이미지들을 다른 이미지에 최우선하여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진단자의 진단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고 빠른 시간 내에 피검사자의 병증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버(50)에 저장되어 있던 캡슐 내시경(3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 중 계층적으로 분류된 이미지들의 순서대로 다운로드받아 축소된 이미지로 맵뷰(110)에 표시함으로써, 수신된 이미지의 해당 위치와 함께 이미지를 확대하여 병증이 있는지 여부를 한꺼번에 확인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서버-단말기 시스템에서의 촬영 이미지 전송 프로세싱 방법(S200)을 상술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서버-단말기 시스템에서의 촬영 이미지 전송 프로세싱 방법(S200)은, 캡슐 내시경(30)으로부터 피검사자의 장기 내부를 촬영하는 이미지 촬영 단계(S210)와, 캡슐 내시경(30)으로부터 촬영 데이터를 수신기(60)에 획득한 후 이 촬영된 이미지들을 서버(50)의 기록 매체(54)에 저장하는 이미지 서버저장 단계(S220)와, 기록 매체(54)에 저장된 이미지들에 대하여 다수의 이벤트에 대한 상응도를 분석하는 이벤트 상응도 분석단계(S230)와, 다운로드하고자 하는 기준이되는 전송기준 이벤트를 지정하는 전송기준 이벤트 지정단계(S240)와, 지정된 전송기준 이벤트에 대한 이미지들의 상응도별로 이미지들을 계층적인 다수의 군으로 분할하는 이미지 계층분할단계(S250)와,
최우선 전송 영역(116)이 지정되지 않았다면 이미지 계층 분할 단계(S140)에서 분할된 다수의 군(群)중 유사도가 가장 낮은 이미지들의 군부터 서버(50)로부터 호출된 단말기(1)에 전송하는 이미지 정상전송단계(S260)와, 서버(50)로부터 단말기(1)에 이미지들을 전송하는 동안에 최우선전송영역(116)이 지정되는 경우에 지정된 최우선전송영역(116)의 이미지들을 이미지 정상전송단계(S260)에서 예정된 이미지 전송 순서에 우선하여 서버(50)로부터 단말기에 최우선 전송영역(116)의 이미지들을 전송하는 최우선 전송단계(S270)와, 이미지 정상전송단계(S260) 및 최우선 전송단계(S270)에서 단말기(1)에 전송된 이미지들 및 그 정보를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 유닛(80)에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단계(S280)로 구성된다. 이 때, 이미지 정상 전송단계(S260) 및 최우선 전송단계(S270)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50)에 저장된 이미지들이 단말기(1)에 모두 전송될 때까지 반복된다.
상기 이미지 촬영 단계(S210) 및 상기 이미지 저장 단계(S220)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방법(S100)의 단계(S110, S120)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 상응도 분석 단계(S230)는 저장된 장기(41)의 이미지들이 미리 입력된 이벤트에 상응하는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여기서, 이벤트는 출혈(bleeding), 궤양(Ulcer), 폴립(Polyp), 암(cancer), 종양(tumor)과 같은 병증이나 질병 등을 의미한다.
장기(41) 내부의 촬영 이미지들이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정도를 분석하는 방법으로서는, 장기의 영역별로 특정 패턴(예를 들어, 장기의 연동운동에 따른 수축/팽창, 형상(shape), 여러 color 공간 분포, image intensity)의 변화를 통해, 이미지들의 스펙트럼 분석, 모션 유동 해석, 형상 해석, 파동(wavelet) 해석, 주파수 해석 등을 사용하여 증상이나 질병이 있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캡슐 내시경의 화상으로부터 에너지에 기초한 특징적 형상을 주파수 도메인 영역에 추출할 수 있고, 그리고 나서, 수축을 특징화할 수 있는 고주파 컨텐트 (High Frequency Content, HFC) 기능을 사용하여 이벤트 경계를 감지하여, 이벤트에 상응하는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병증이 있는 대표 영상과 대비하는 것에 의하여 이벤트에 상응하는 정도를 분석할 수도 있는데, 예컨대, 장기 내부에서 출혈이 발생되면, 정상적인 장기에 비하여 적색의 비중이 높아지므로, 적색 의 비율이 비정상적으로 일정 비율 이상 높아질수록 출혈이 발생되었을 가능성이 보다 높아지므로, 이들 이미지를 이루는 색깔의 분포나 특정 색깔의 비율이 유사할수록 상응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방법으로서, 각각의 이미지는 휘도(luminance)를 기준으로 주파수변환을 하여 화상 분포를 구할 수 있으며, 이 화상 분포도가 반영된 주파수 응답이 이벤트 별로 미리 입력된 대표 영상과 유사할수록 이벤트에 상응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방법 중 이벤트에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여, 피검사자(40)의 장기(41)를 촬영한 이미지들의 각각이 다수의 이벤트에 어느 정도 상응하는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벤트에 대한 상응도 분석은 서버(50)의 프로세싱 유닛(73)에서 행해진다.
상기 전송기준 이벤트 지정단계(S240)는, 이벤트 상응도 분석 단계(S230)에서 다양한 이벤트에 대하여 캡슐 내시경(30)에 의해 촬영된 12만장의 이미지들이 어느정도 부합하는지 산출되어 있지만, 이들 다수의 이벤트들 중 어느 이벤트를 기준으로 서버(50)로부터 단말기(1)에 전송할 것인지를 지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특정한 병증이나 질병이 의심되는 피검사자의 진단을 하는 경우나, 이미 초진에서 어떠한 질병이나 병증이 있는지 확인된 피검사자의 진단에 적합하다. 따라서, 이미 진단이 되었거나 의심되는 병증이나 질병이 있는 경우에 해당 병증이나 질병 등에 대한 이벤트를 전송기준 이벤트로 지정하여, 서버(50)로부터 진단할 때 사용하는 단말기(1)로 전송하는 동안에, 진단자가 가장 관 심있는 병증 등에 관한 이벤트에 대한 상응도가 높은 이미지들이 우선하여 전송하여 그 이미지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이미지 계층 분할 단계(S250)는 이벤트 상응도 분석단계(S230)에서 분석된 각 이미지들의 다양한 이벤트에 대해 정량적으로 정규화되어 분석된 상응도 중, 전송기준 이벤트 지정단계(S240)에서 지정된 전송기준 이벤트에 대한 상응도에 근거하여 2개 이상의 군(群)으로 나누는 것이다. 이 때, 이미지 계층분할단계(S250)에서의 군은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여러 이미지들이 하나를 이루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이미지로 이루어진 군(사전적 의미는 복수의 이미지에 의해 군을 이룰 수 있지만,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의 군(群)은 하나의 이미지로도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함)도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표3 및 표4를 통해 이미 앞에서 예시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미지 정상전송단계(S260)는 이미지에 대한 전송순서를 정한 제1군, 제2군.. 순으로 서버(50)의 이미지 전송유닛(52)에 의해 서버(50)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단말기(1)에 전송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미지 정상전송단계(S260) 중에 진단자에 의해 최우선 전송 영역(116)이 지정되면, 이미지 정상전송단계(S260)는 최우선 전송 영역(116)의 이미지들(116a)이 수신될 때까지 중단되고, 최우선 전송 영역(116)의 이미지들(116a)이 모두 수신된 이후에 다시 재개된다. 이 때, 서버(5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들은 단말기(1) 본체(70)의 이미지 수신유닛(71)에 의해 수신되어 하드디스크 등의 기록매체(72)에 저장된다.
상기 최우선 전송단계(S270)는 서버(50)로부터 단말기(1)에 전송되고 있는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 유닛(80)에 표시되는 것을 진단하는 의사가 보고서, 병증으로 의심되거나 관심을 갖고 특정 영역을 보다 먼저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 진단 의사가 다른 이미지들보다 최우선으로 전송받고자 하는 영역을 최우선 전송영역(116)으로 마우스(91)나 키보드(92)와 같은 입력유닛(90)으로 지정하여 서버(50)에 전송하면, 서버(50)의 단말기 신호수신유닛(53)에서 이를 감지하여 전송하려고 대기하고 있던 다른 이미지들보다 단말기(1)에서 지정된 최우선 영역(116)의 이미지들을 최우선으로 단말기(1)에 전송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미지 표시단계(S280)는 이미지 정상전송단계(S260) 및 최우선 전송단계(S270)에서 서버(5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들을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 유닛(80)의 화면에 표시한다. 이 때, 전송되는 이미지들을 하나하나 큰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지만, 전술한 제1실시예의 도6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수신되는 이미지들을 작은 이미지 형태로 표시하는 맵뷰로 표시하는 것이 수신된 이미지의 위치를 파악하고 동시에 확대하여 이미지를 상세히 관찰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실시예에 따른 서버-단말기 시 스템에서의 촬영 이미지 전송 프로세싱 방법(S200)의 이미지 표시 단계(S280)에서도, 도10a 및 도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맵뷰(110)의 일부를 확대하여 볼 수 있도록 하며, 도11a 내지 도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맵뷰(110)의 일부 영역을 최우선 전송영역(116)으로 지정하여 다른 이미지들의 다운로드에 우선하여 최우선적으로 다운로드받아 그 이미지들을 확인하게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서버-단말기 시스템에서의 촬영 이미지 전송 프로세싱 방법(S200)도 역시 캡슐 내시경(3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50)로부터 진단을 위하여 단말기(1)에 수신하는 과정에서 지루하게 기다리지 않고, 전송기준 이벤트에 대한 이미지들의 상응도가 높은 순서대로 서버(50)의 기록매체(54)에 저장되어 있던 이미지들이 단말기(1)에 전송되어,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 유닛(80)에 전송되는 이미지들이 맵뷰(110)의 형태로 표시되고 그 위치 정보가 타임바(120)에 표시됨으로써, 진단자는 서버(50)로부터 단말기(1)에 전송하는 동안에도, 진단자에게 가장 관심있는 이벤트에 대한 상응도가 높은 이미지들을 먼저 수신하여 확인하여 진단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진단 시간을 단축하고 진단 효율을 증대시키는 유리한 효과가 얻어진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관심있는 전송기준 이벤트에 부합하는 상응도가 높은 이미지들을 우선하여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미지를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전송하는 동안에도 진단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이미지들이 모두 다운로드되기 이전에 진단이 완료될 수 있을 정도로 진단 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전술한 방법을 이용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엔코딩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에 장착된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지침서를 포함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지침서,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및 이와 유사한 것들과 이들의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와 프로그램 지침서는 본 발명의 목적으로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어 제작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널리 알려진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와, 시디롬 디스크와 디브이디(DVD)와 같은 광학 매체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광자기 매체나, 롬(ROM), 램(RAM) 또는 플래쉬 메모리와 같이 프로그램 지침서를 저장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특별히 만들어진 하드웨어 장치나, 이와 유사한 것들일 수도 있다. 일례로서, 프로그램 지침서는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기계어(machine code)와 해석기를 이용하여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난이도의 코드를 함유한 파일들을 포함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들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작용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용하도록 설정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1은 캡슐 내시경을 이용하여 소화 기관의 이미지를 서버에 저장한 후, 서버에 저장된 이미지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버-단말기 시스템에서의 촬영 이미지 전송 프로세싱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3은 도2의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4는 도2의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5는 도2의 계층적 전송 방식의 개념을 도시한 개략도
도6은 도2의 제1군의 이미지들을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전송한 상태에서의 단말기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7은 도2의 제2군의 이미지들을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전송한 상태에서의 단말기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8은 도2의 제3군의 이미지들을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전송한 상태에서의 단말기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9는 도2의 나머지 이미지들을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전송한 상태에서의 단말기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10a 및 도10b는 단말기 화면의 맵뷰의 특정 영역을 확대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11a 내지 도11d는 단말기 화면의 맵뷰의 특정 영역을 최우선적으로 다운로드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단말기 시스템에서의 촬영 이미지 전송 프로세싱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1': 단말기 30: 캡슐 내시경
50: 서버 55c: 서버 프로세싱 유닛
80: 화면 110: 맵뷰
110s: 확대중심 이미지 111: 제1군 이미지
112: 제2군 이미지 113: 제3군 이미지
116: 우선 전송 영역 120: 타임바

Claims (13)

  1. 캡슐 내시경에 의하여 소화 기관을 촬영한 이미지들을 저장한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상기 이미지들을 전송하여 프로세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서버에 전송된 촬영 이미지들이 인접한 다른 이미지와의 유사도를 추출하여 상기 이미지들 사이의 유사도 별로 계층적인 2개 이상의 군으로 서버에서 자동 분할하는 이미지 계층분할단계와;
    상기 이미지 계층분할단계에서 분할된 2개 이상의 군들 중에 인접한 이미지와 유사도가 낮은 이미지들이 속하는 군의 이미지들을 우선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우선하여 전송하는 이미지 정상전송단계와;
    상기 이미지 정상전송단계 중에도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들을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이미지 전송 프로세싱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이미지들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단말기에 전송된 이미지들의 해당 위치를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나는 타임바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이미지 전송 프로세싱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표시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전송된 이미지들을 맵뷰의 해당 위치에 축소된 이미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이미지 전송 프로세싱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전송된 이미지가 표시되는 맵뷰의 일부 영역을 최우선 전송영역으로 지정하는 최우선 전송영역 지정단계와;
    상기 최우선 전송영역 지정단계에서 지정된 영역의 이미지들을 최우선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최우선 영역 이미지 정상전송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이미지 전송 프로세싱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최우선 전송영역 지정단계는,상기 맵뷰에서 지정된 영역을 타임바에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이미지 전송 프로세싱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단말기의 입력 기구에 의하여 상기 맵뷰의 일부를 확대하여 축소된 이미지를 확대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이미지 전송 프로세싱 방법.
  7. 제 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전송되는 이미지들 중 일부를 최우선 전송영역으로 지정하는 최우선 전송영역 지정단계와;
    상기 최우선 전송영역 지정단계에서 지정된 영역의 이미지들을 최우선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최우선 영역 이미지 정상전송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이미지 전송 프로세싱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최우선 전송영역 지정단계에서 지정된 최우선 전송 영역을 타임바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이미지 전송 프로세싱 방법.
  9. 소화 기관의 이미지들을 촬영한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기록매체와;
    상기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이미지들에 대하여 인접한 다른 이미지와의 유사도를 추출하여 상기 이미지들 사이의 유사도 별로 계층적인 2개 이상의 군으로 서버에서 자동 분할하는 프로세싱 유닛과;
    상기 이미지 계층분할단계에서 분할된 2개 이상의 군들 중에 인접한 이미지와 유사도가 낮은 이미지들이 속하는 군의 이미지들을 우선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우선하여 전송하는 이미지 전송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전송 서버.
  10.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와;
    서버로부터 이미지들을 수신하는 대로 수신되는 이미지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되는 수신된 이미지들의 우선전송 영역을 설정하는 입력 유닛과;
    상기 우선전송 영역이 설정되면 상기 서버에 우선전송영역의 정보를 전송하는 이미지 전송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최우선 전송영역을 우선적으로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단말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90051226A 2009-06-09 2009-06-10 캡슐 내시경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로부터 관심있는 데이터를 우선하여 단말기에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이미지 데이터 전송 프로세싱 방법 KR100931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226A KR100931946B1 (ko) 2009-06-10 2009-06-10 캡슐 내시경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로부터 관심있는 데이터를 우선하여 단말기에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이미지 데이터 전송 프로세싱 방법
US12/785,427 US20110032259A1 (en) 2009-06-09 2010-05-22 Method of displaying images obtained from an in-vivo imaging device and apparatus using same
EP10786346A EP2440110A2 (en) 2009-06-09 2010-06-08 Method of displaying images obtained from an in-vivo imaging device and apparatus using same
PCT/KR2010/003659 WO2010143863A2 (en) 2009-06-09 2010-06-08 Method of displaying images obtained from an in-vivo imaging device and apparatus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226A KR100931946B1 (ko) 2009-06-10 2009-06-10 캡슐 내시경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로부터 관심있는 데이터를 우선하여 단말기에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이미지 데이터 전송 프로세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1946B1 true KR100931946B1 (ko) 2009-12-15

Family

ID=41684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226A KR100931946B1 (ko) 2009-06-09 2009-06-10 캡슐 내시경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로부터 관심있는 데이터를 우선하여 단말기에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이미지 데이터 전송 프로세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946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3711A3 (en) * 2017-03-31 2018-11-29 Progenity Inc. Localiz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n ingestible device
KR102037303B1 (ko) * 2018-10-24 2019-10-28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캡슐 내시경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10835152B2 (en) 2014-09-25 2020-11-17 Progenity, Inc. Electromechanical pill device with localization capabilities
US10980739B2 (en) 2016-12-14 2021-04-20 Progenity, Inc. Treatment of a diseas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a chemokine/chemokine receptor inhibitor
US11007356B2 (en) 2018-11-19 2021-05-18 Progenity, Inc. Ingestible device for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 to the gastrointestinal tract
US11033490B2 (en) 2016-12-14 2021-06-15 Progenity, Inc. Treatment of a diseas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a JAK inhibitor and devices
US11134889B2 (en) 2016-12-14 2021-10-05 Progenity, Inc. Treatment of a diseas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a SMAD7 inhibitor
US11426566B2 (en) 2016-12-14 2022-08-30 Biora Therapeutics, Inc. Treatment of a diseas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a TLR modulator
US11523772B2 (en) 2016-12-14 2022-12-13 Biora Therapeutics, Inc. Treatment of a diseas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an immunosuppressant
US11547301B2 (en) 2016-12-07 2023-01-10 Biora Therapeutics, Inc. Methods for collecting and testing bacteria containing samples from with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US11597762B2 (en) 2016-12-14 2023-03-07 Biora Therapeutics, Inc. Treatment of a diseas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an IL-12/IL-23 inhibitor released using an ingestible device
US11596670B2 (en) 2017-03-30 2023-03-07 Biora Therapeutics, Inc. Treatment of a diseas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IL-10 or an IL-10 agonist
WO2023179438A1 (zh) * 2022-03-22 2023-09-28 重庆西山科技股份有限公司 内窥镜影像的同步传输方法和同步传输***
US11793420B2 (en) 2016-09-09 2023-10-24 Biora Therapeutics, Inc. Ingestible device for delivery of a dispensable substan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0755A (ja) 2003-06-26 2005-01-20 Given Imaging Ltd 生体内で撮影された画像ストリームの伝送を減らすための方法、画像データを伝送するための生体内装置、および生体内画像を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20080078078A (ko) * 2006-01-23 2008-08-26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캡슐형 의료 장치, 의료용 제어 장치, 의료용 화상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KR100886462B1 (ko) 2008-03-17 2009-03-04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캡슐 내시경을 이용한 진단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09050321A (ja) 2007-08-23 2009-03-12 Olympus Corp 画像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0755A (ja) 2003-06-26 2005-01-20 Given Imaging Ltd 生体内で撮影された画像ストリームの伝送を減らすための方法、画像データを伝送するための生体内装置、および生体内画像を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20080078078A (ko) * 2006-01-23 2008-08-26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캡슐형 의료 장치, 의료용 제어 장치, 의료용 화상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JP2009050321A (ja) 2007-08-23 2009-03-12 Olympus Corp 画像処理装置
KR100886462B1 (ko) 2008-03-17 2009-03-04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캡슐 내시경을 이용한 진단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35152B2 (en) 2014-09-25 2020-11-17 Progenity, Inc. Electromechanical pill device with localization capabilities
US11793420B2 (en) 2016-09-09 2023-10-24 Biora Therapeutics, Inc. Ingestible device for delivery of a dispensable substance
US11547301B2 (en) 2016-12-07 2023-01-10 Biora Therapeutics, Inc. Methods for collecting and testing bacteria containing samples from with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US11597762B2 (en) 2016-12-14 2023-03-07 Biora Therapeutics, Inc. Treatment of a diseas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an IL-12/IL-23 inhibitor released using an ingestible device
US11033490B2 (en) 2016-12-14 2021-06-15 Progenity, Inc. Treatment of a diseas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a JAK inhibitor and devices
US11134889B2 (en) 2016-12-14 2021-10-05 Progenity, Inc. Treatment of a diseas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a SMAD7 inhibitor
US11426566B2 (en) 2016-12-14 2022-08-30 Biora Therapeutics, Inc. Treatment of a diseas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a TLR modulator
US11523772B2 (en) 2016-12-14 2022-12-13 Biora Therapeutics, Inc. Treatment of a diseas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an immunosuppressant
US10980739B2 (en) 2016-12-14 2021-04-20 Progenity, Inc. Treatment of a diseas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a chemokine/chemokine receptor inhibitor
US11596670B2 (en) 2017-03-30 2023-03-07 Biora Therapeutics, Inc. Treatment of a diseas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IL-10 or an IL-10 agonist
US11363964B2 (en) 2017-03-31 2022-06-21 Progenity Inc. Localiz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n ingestible device
WO2018183711A3 (en) * 2017-03-31 2018-11-29 Progenity Inc. Localiz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n ingestible device
KR102037303B1 (ko) * 2018-10-24 2019-10-28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캡슐 내시경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11007356B2 (en) 2018-11-19 2021-05-18 Progenity, Inc. Ingestible device for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 to the gastrointestinal tract
US11439802B2 (en) 2018-11-19 2022-09-13 Biora Therapeutics, Inc. Ingestible device for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 to the gastrointestinal tract
WO2023179438A1 (zh) * 2022-03-22 2023-09-28 重庆西山科技股份有限公司 内窥镜影像的同步传输方法和同步传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946B1 (ko) 캡슐 내시경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로부터 관심있는 데이터를 우선하여 단말기에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이미지 데이터 전송 프로세싱 방법
CN1798334B (zh) 用于编辑从体内所获取的图像流的***和方法
US202103458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a study of a stream of in-vivo images
US84464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stream captured in-vivo
US20200320336A1 (en)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8918740B2 (en) Image management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capsule endoscope system
KR101708726B1 (ko) 생체내 영상들 일부 표시 시스템 및 방법
EP1847940A2 (en) System for assessing a patient condition and method for processing related data
JP5506912B2 (ja) 臨床決定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
US114781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ment and monitoring of a mucosal disease in a subjects gastrointestinal tract
US20090131746A1 (en) Capsule endoscope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image data thereof
US20110032259A1 (en) Method of displaying images obtained from an in-vivo imaging device and apparatus using same
CN104350742B (zh) 用于显示图像流的***和方法
US11776692B2 (en) Training data collection apparatus, training data collection method, program, training system, trained model, and endoscopic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22505205A (ja) 腸の病理学のための画像スコアリング
JPWO2012029265A1 (ja) 医療情報表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1273916B (zh) 评估患者状况的***和方法
KR100969510B1 (ko) 클라이언트 단말의 의료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및 그 방법
US20230206435A1 (e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astroscopy diagnosis supporting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gastrointestinal disease detection rate
Ambor et al.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stream captured in-vivo
EP1770570A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images in an image database
KR100931947B1 (ko) 캡슐 내시경에 의하여 촬영된 소화 기관 이미지들의 디스플레이 프로세싱 방법
CN101248452A (zh) 图像显示装置
US2022036173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endoscope apparatus
WO2023018344A1 (en) Automatic detection and differentiation/classification of the esophagus, stomach, small bowel and colon lesions in device-assisted enteroscopy using a convolutional neuronal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