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4635B1 - 조습 장치 - Google Patents

조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4635B1
KR100924635B1 KR1020077029552A KR20077029552A KR100924635B1 KR 100924635 B1 KR100924635 B1 KR 100924635B1 KR 1020077029552 A KR1020077029552 A KR 1020077029552A KR 20077029552 A KR20077029552 A KR 20077029552A KR 100924635 B1 KR100924635 B1 KR 100924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dsorption heat
temperature
room temperature
d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9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3305A (ko
Inventor
노부키 마츠이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3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9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alternatively operating a heat exchanger in an absorbing/adsorbing mode and a heat exchanger in a regeneration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조습 장치(10)는, 2개의 흡착열교환기(51, 52)가 접속된 냉매회로(50)를 구비한다. 이 조습 장치(10)에서는, 응축기가 되는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 공기가 가습되며, 증발기가 되는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 공기가 제습된다. 제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설정값을 밑도는 경우와, 가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설정값을 웃도는 경우에, 급기온도의 실측값이 실내온도 설정값이 되도록 압축기(53)의 용량을 제어한다.
Figure R1020077029552
흡착제, 냉동주기, 제습, 가습, 쾌적성

Description

조습 장치{HUMIDITY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흡착제를 이용하여 습도 조절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조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조습 장치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흡착열교환기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조습 장치에서는 그 표면에 흡착제를 담지한 흡착열교환기가 냉매회로에 접속된다. 압축기를 운전시키면 냉매회로 내를 냉매가 순환하여, 증기압축 냉동주기가 이루어진다. 냉동주기를 실행하는 냉매회로에서 증발기가 되는 흡착열교환기에서는, 흡착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또, 응축기가 되는 흡착열교환기에서는, 그 표면의 흡착제가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흡착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에 부여된다.
그리고 이 조습 장치에서는, 증발기인 흡착열교환기에서 제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습운전과, 응축기인 흡착열교환기에서 가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가습운전이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4-294048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류의 조습 장치에서는, 공기의 제습이 증발기인 흡착열교환기에서 이루어진다. 때문에 이 흡착열교환기를 통과할 때, 공기의 습도뿐만이 아닌, 온도도 저하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습운전 중에 습도와 온도의 양쪽이 저하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해버리게 된다. 따라서, 실내의 냉방부하가 작은 상황에서 제습운전을 행할 경우에는, 실내온도가 지나치게 낮아져 쾌적성을 헤칠 우려가 있다.
또, 상기 조습 장치에서는, 공기의 가습이 응축기인 흡착열교환기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흡착열교환기를 통과할 때, 공기의 습도뿐만이 아닌 온도도 상승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가습운전 중에 습도와 온도의 양쪽이 상승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해버리게 된다. 따라서, 실내의 난방부하가 작은 상황에서 가습운전을 행할 경우, 실내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쾌적성을 헤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공기를 습도 조절할 때, 그 온도도 변화시켜버릴 가능성이 높은 조습 장치에서, 실내 쾌적성을 확보하는 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제 1, 제 2, 제 3, 제 5, 및 제 6 각 발명은, 흡착제를 담지하는 흡착열교환기(51, 52)가 접속되어 냉동주기를 실행하는 냉매회로(50)를 구비하며, 상기 냉매회로(50)의 냉매로 흡착열교환기(51, 52)의 흡착제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이 흡착제와 접촉하는 공기를 조습하고, 가습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가습운전, 또는 제습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습운전을 행하는 조습 장치를 대상으로 한다.
제 1 발명은, 그 대상으로 하는 조습 장치에서, 제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보다 소정온도 이상 낮을 경우, 또는 가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보다 소정온도 이상 높을 경우에 상기 냉매회로(50)의 압축기(53)를 정지시키는 제어수단(90)을 구비한다.
제 1 발명에서는, 냉매회로(50) 내를 냉매가 순환함으로써 냉동주기가 이루어진다. 냉매회로(50)에서 증발기가 된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는, 흡착열교환기(51, 52)에 담지된 흡착제가 냉매에 의해 냉각되고, 이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하는 공기 중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된다. 제습운전 중에는, 이 증발기가 된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된다. 또, 냉매회로(50)에서 응축기가 된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는, 흡착열교환기(51, 52)에 담지된 흡착제가 냉매에 의해 가열되고, 이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하는 공기에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부여된다. 가습운전 중에는, 이 응축기가 된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된다.
예를 들어, 춘추기와 같은 냉방부하가 작은 상황에서 제습운전을 행하면, 증발기인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할 때 온도가 저하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어,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을 밑도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제 1 발명의 제어수단(90)이 압축기(53) 운전을 정지시켜, 실내온도가 지나치게 저하되는 것을 회피한다. 또, 난방부하가 작은 상황에서 가습운전을 행하면, 응축기인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할 때 온도가 상승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어,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을 상회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제 1 발명의 제어수단(90)이 압축기(53)의 운전을 정지시켜, 실내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회피한다.
제 2 발명은, 그 대상으로 하는 조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매회로(50) 압축기(53)의 용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90)은, 제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보다 소정온도 이상 낮을 경우, 또는 가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보다 소정온도 이상 높을 경우에 상기 냉매회로(50) 압축기(53)의 용량을 저하시키는 온도제어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2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발명과 마찬가지로 냉매회로(50)에서 냉동주기가 이루어지며,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 공기의 제습이나 가습이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제어수단(90)은 온도제어동작을 행한다. 온도제어동작 중의 제어수단(90)은, 제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을 밑돌아버릴 경우에는, 압축기(53)의 용량을 저하시켜 냉매회로(50)의 냉매 순환량을 삭감하고, 증발기인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저하를 억제한다. 또, 온도제어동작 중의 제어수단(90)은, 가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을 상회해버릴 경우에는, 압축기(53)의 용량을 저하시켜 냉매회로(50)의 냉매 순환량을 삭감하고, 응축기인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상승을 억제한다.
제 3 발명은, 그 대상으로 하는 조습 장치에 있어서, 실내습도의 목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냉매회로(50) 압축기(53)의 용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90)은, 제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보다 소정온도 이상 낮을 경우에는 실내습도 목표값을 강제적으로 상승시키고, 가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보다 소정온도 이상 높을 경우에는 실내습도 목표값을 강제적으로 저하시키는 온도제어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3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발명과 마찬가지로 냉매회로(50)에서 냉동주기가 이루어지며,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 공기의 제습이나 가습이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제어수단(90)은 온도제어동작을 행한다. 온도제어동작 중의 제어수단(90)은, 제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을 밑돌아버릴 경우에는, 실내습도 목표값을 강제적으로 상승시킨다. 이 경우, 제어수단(90)은, 약간 높게 설정된 목표값에 기초하여 압축기(53) 용량을 제어한다. 이로써, 증발기인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의 열 교환량이 저하되어, 이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저하가 억제된다. 또, 온도제어동작 중의 제어수단(90)은, 가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을 상회해버릴 경우에는, 실내습도 목표값을 강제적으로 저하시킨다. 이 경우, 제어수단(90)은, 약간 낮게 설정된 목표값에 기초하여 압축기(53) 용량을 제어한다. 이로써, 응축기인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의 열 교환량이 저하되어, 이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상승이 억제된다.
제 4 발명은, 상기 제 2 또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90)은, 온도제어동작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해도, 제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보다 소정온도 이상 낮은 상태, 또는 가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보다 소정온도 이상 높은 상태가 계속될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53)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제 4 발명에서는, 온도제어동작 개시에서 소정시간 경과 후에 제어수단(90)이 실내온도 실측값과 설정값을 다시 비교한다. 그리고 제어수단(90)은, 이 시점에서도 실내온도 실측값과 설정값 사이에 어느 정도 차가 있을 경우에는, 압축기(53)의 운전을 계속하는 한 실내온도 변화를 피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압축기(53)를 정지시킨다.
제 5 발명은, 그 대상으로 하는 조습 장치에 있어서, 실내로의 급기온도가 소정의 목표 급기온도가 되도록 상기 냉매회로(50) 압축기(53)의 용량을 제어하는 용량제어동작이 가능한 제어수단(90)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90)은, 제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보다 소정온도 이상 낮을 경우에는, 목표 급기온도를 실내온도 설정값 이상의 값으로 설정하여 상기 용량제어동작을 행하고, 가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보다 소정온도 이상 높을 경우에는, 목표 급기온도를 실내온도 설정값 이하의 값으로 설정하여 상기 용량제어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5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발명과 마찬가지로 냉매회로(50)에서 냉동주기가 이루어지며,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 공기의 제습이나 가습이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제어수단(90)은 용량제어동작을 행한다. 용량제어동작 중의 제어수단(90)은, 제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을 밑돌아버릴 경우에는, 목표 급기온도를 실내온도 설정값 이상의 값으로 설정한다. 이 경우, 제어수단(90)은,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즉, 급기온도)가 약간 높게 설정된 목표 급기온도가 되도록, 압축기(53) 용량을 제어한다. 이로써, 제습운전 중에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여, 실내온도의 저하가 억제된다. 또, 용량제어동작 중의 제어수단(90)은, 가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을 상회해버릴 경우에는, 목표 급기온도를 실내온도 설정값 이하의 값으로 설정한다. 이 경우, 제어수단(90)은,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즉, 급기온도)가 약간 낮게 설정된 목표 급기온도가 되도록, 압축기(53) 용량을 제어한다. 이로써, 가습운전 중에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저하되어, 실내온도의 상승이 억제된다.
제 6 발명은, 그 대상으로 하는 조습 장치에 있어서, 제습운전 중에는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의 냉매 증발온도가 소정의 목표 증발온도가 되도록, 가습운전 중에는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의 냉매 응축온도가 소정의 목표 응축온도가 되도록 각각 상기 냉매회로(50) 압축기(53)의 용량을 제어하는 용량제어동작이 가능한 제어수단(90)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90)은, 제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보다 소정온도 이상 낮을 경우에는, 목표 증발온도를 실내온도 설정값 이상의 값으로 설정하여 상기 용량제어동작을 행하고, 가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보다 소정온도 이상 높을 경우에는, 목표 응축온도를 실내온도 설정값 이하의 값으로 설정하여 상기 용량제어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6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발명과 마찬가지로 냉매회로(50)에서 냉동주기가 이루어지며,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 공기의 제습이나 가습이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제어수단(90)은 용량제어동작을 행한다. 용량제어동작 중의 제어수단(90)은, 제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을 밑돌아버릴 경우에는, 목표 증발온도를 실내온도 설정값 이상의 값으로 설정한다. 이 경우, 제어수단(90)은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의 냉매증발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이상의 값이 되도록, 압축기(53) 용량을 제어한다. 이로써, 제습운전 중에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여, 실내온도 저하가 억제된다. 또, 용량제어동작 중의 제어수단(90)은, 가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을 상회해버릴 경우에는, 목표 응축온도를 실내온도 설정값 이하의 값으로 설정한다. 이 경우, 제어수단(90)은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의 냉매응축온도가 실내 설정온도 이하의 값이 되도록, 압축기(53) 용량을 제어한다. 이로써, 가습운전 중에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여, 실내온도 상승이 억제된다.
제 7 발명은, 상기 제 5 또는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90)은, 용량제어동작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해도, 제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보다 소정온도 이상 낮은 상태, 또는 가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보다 소정온도 이상 높은 상태가 계속될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53)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제 7 발명에서는, 용량제어동작 개시에서 소정시간 경과 후에 제어수단(90)이 실내온도 실측값과 설정값을 다시 비교한다. 그리고 제어수단(90)은, 이 시점에서도 실내온도 실측값과 설정값 사이에 어느 정도 차가 있을 경우에는, 압축기(53)의 운전을 계속하는 한 실내온도 변화를 피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압축기(53)를 정지시킨다.
제 8, 제 9, 및 제 10 각 발명은, 각각 흡착제를 담지하는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1, 52)가 접속된 냉매회로(50)를 구비하며,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1, 52)의 한쪽이 응축기가 되며 다른 쪽이 증발기가 되는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다른 쪽이 응축기가 되며 한쪽이 증발기가 되는 제 2 냉동주기 동작을 교대로 행하고, 응축기가 된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 공기를 가습하는 동시에, 증발기가 된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 공기를 제습하며, 제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습운전 또는 가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가습운전을 행하는 조습 장치를 대상으로 한다.
제 8 발명은, 그 대상으로 하는 조습 장치에서 제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보다 소정온도 이상 낮을 경우, 또는 가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보다 소정온도 이상 높을 경우에,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제 2 냉동주기 동작을 전환하는 시간간격을 단축하는 제어수단(90)을 구비한다.
제 8 발명에서는, 냉매회로(50) 내를 냉매가 순환함으로써 냉동주기가 이루어진다. 냉매회로(50)에서 증발기가 된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는, 흡착열교환기(51, 52)에 담지된 흡착제가 냉매에 의해 냉각되고, 이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된다. 또 냉매회로(50)에서 응축기가 된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는, 흡착열교환기(51, 52)에 담지된 흡착제가 냉매에 의해 가열되고, 이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하는 공기에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부여된다. 제 1 냉동주기 동작에서는,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 공기가 제습되며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 공기가 가습된다. 한편 제 2 냉동주기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 공기가 제습되며 제 2 흡착열교환기(51)에서 공기가 가습된다. 그리고 제습운전 중에는, 증발기인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한 공기가, 가습운전 중에는, 응축기인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한 공기가 각각 실내로 공급된다.
예를 들어, 춘추기와 같은 냉방부하가 작은 상황에서 제습운전을 행하면, 증발기인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할 때, 온도가 저하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어,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을 밑도는 경우가 있다. 또, 난방부하가 작은 상황에서 가습운전을 행하면, 응축기인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할 때 온도가 상승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어,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을 상회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 8 발명의 제어수단(90)이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제 2 냉동주기 동작의 시간간격을 단축한다.
여기에서, 흡착열교환기(51, 52)와,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하는 공기 사이에서는,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제 2 냉동주기 동작을 상호 전환한 직후에 비교적 많은 수분이 수수된다. 흡착열교환기(51, 52)에 수분이 흡착될 때 발생하는 흡착열은, 흡착되는 수분량이 많을수록 증가한다. 그리고 증발기인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는, 냉매가 흡열하는 흡착열이 증가한 만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저하 폭이 축소된다. 또 흡착열교환기(51, 52)로부터 수분을 탈리시키는 데 필요한 열은, 탈리되는 수분량이 많을수록 증가한다. 그리고 응축기인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는,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탈리시키는 데 필요한 열량이 증가한 만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상승 폭이 축소된다. 이로써, 제어수단(90)이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제 2 냉동주기 동작의 시간간격을 단축하면,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변화 폭이 작은 상태가 계속되게 되므로, 제습운전 중이면 실내로의 급기온도가 상승하며, 가습운전 중이면 실내로의 급기온도가 저하된다.
제 9 발명은, 그 대상으로 하는 조습 장치에 있어서, 제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보다 소정온도 이상 높을 경우, 또는 가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보다 소정온도 이상 낮을 경우에는,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제 2 냉동주기 동작을 전환하는 시간간격을 연장하는 제어수단(90)을 구비한다.
제 9 발명에서는, 상기 제 8 발명과 마찬가지로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제 2 냉동주기 동작이 교대로 실행되며,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 공기의 제습이나 가습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여름철과 같은 냉방부하가 큰 상황에서 제습운전을 행하면, 증발기인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할 때, 온도가 저하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어도,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을 상회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 겨울철과 같은 난방부하가 큰 상황에서 가습운전을 행하면, 응축기인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할 때 온도 상승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어도, 실내온도 실측값이 설정값을 밑돌아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 9 발명의 제어수단(90)이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제 2 냉동주기 동작의 시간간격을 연장한다.
상기 제 8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제 2 냉동주기 동작을 전환한 직후는 흡착열교환기(51, 52)와 공기 사이에서 수수되는 수분량이 증대하고, 이에 따라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할 때의 공기 온도변화 폭이 축소된다. 반대로 말하면,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제 2 냉동주기 동작을 전환하고 나서 잠시동안 시간이 경과하면, 흡착열교환기(51, 52)와 공기 사이에서 수수되는 수분량이 감소하며, 이에 따라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할 때의 공기 온도변화 폭이 확대된다. 그리고 제어수단(90)이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제 2 냉동주기 동작의 시간간격을 연장하면,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변화 폭이 커지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제습운전 중이면 실내로의 급기온도가 저하되며, 가습운전 중이면 실내로의 급기온도가 상승한다.
제 10 발명은, 그 대상으로 하는 조습 장치에 있어서, 제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보다 소정온도 이상 높을 경우, 또는 가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보다 소정온도 이상 낮을 경우에는,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제 2 냉동주기 동작을 교대로 전환하여 행하는 전환동작과, 제 1 냉동주기 동작 또는 제 2 냉동주기 동작만을 소정시간에 걸쳐 행하는 고정동작을 교대로 시키는 제어수단(90)을 구비한다.
제 10 발명에서는, 상기 제 8 발명과 마찬가지로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제 2 냉동주기 동작이 교대로 실행되며,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 공기의 제습이나 가습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9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여름철과 같은 냉방부하가 큰 상황에서는, 제습운전을 행하는 것만으로는 실내온도를 설정값까지 완전히 저하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 겨울철과 같은 난방부하가 큰 상황에서는, 가습운전을 행하는 것만으로는 실내온도를 설정값까지 완전히 저하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 10 발명의 제어수단(90)이 통상의 전환동작과 고정동작을 번갈아 행한다. 즉, 이와 같은 경우에는, 2개의 냉동주기 동작을 번갈아 전환하는 전환동작을 잠시동안 행한 다음, 냉동주기 동작을 전환하지 않고 고정시키는 고정동작을 잠시동안 행하고, 그 후 전환동작을 다시 시작하게 된다.
상기 제 9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제 2 냉동주기 동작을 전환하고 나서 잠시동안 시간이 경과하면,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할 때의 공기 온도변화 폭이 확대된다. 즉, 냉동주기 동작을 고정시키는 고정동작 중은, 2개의 냉동주기 동작을 전환하는 전환동작 중에 비해,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할 때의 공기 온도변화 폭이 확대된다. 그리고 제 10 발명의 제어수단(90)이 고정동작을 행하면, 고정동작 중은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변화 폭이 커지므로, 제습운전 중이면 실내로의 급기온도가 저하되며, 가습운전 중이면 실내로의 급기온도가 상승한다.
제 11 발명은, 흡착제가 담지된 흡착부재(51, 52, …)와, 이 흡착부재(51, 52, …)의 흡착제를 적어도 가열하기 위한 열원수단(50, 100, 153)을 구비하며, 상기 흡착부재(51, 52, …)의 흡착제와 접촉하는 공기를 조습하고, 가습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가습운전 또는 제습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습운전을 행하는 조습 장치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실내로의 급기온도가 소정의 목표 급기온도가 되도록 상기 열원수단(50, 100, 153)의 능력을 제어하는 능력제어동작이 가능한 제어수단(90)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90)은, 제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보다 소정온도 이상 낮을 경우에는, 목표 급기온도를 실내온도 설정값 이상의 값으로 설정하여 상기 용량제어동작을 행하고, 가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보다 소정온도 이상 높을 경우에는, 목표 급기온도를 실내온도 설정값 이하의 값으로 설정하여 상기 능력제어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제 11 발명에서는, 흡착부재(51, 52, …)를 통과할 때, 공기가 흡착부재(51, 52, …)의 흡착제와 접촉한다. 흡착부재(51, 52, …)에서,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면 공기가 제습된다. 또, 열원수단(50, 100, 153)에 의해 흡착부재(51, 52, …)의 흡착제를 가열하면, 이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에 의해 공기가 가습된다.
이 발명의 제어수단(90)은 능력제어동작을 행한다. 능력제어동작 중의 제어수단(90)은, 제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을 밑돌아버릴 경우에는, 목표 급기온도를 실내온도 설정값 이상의 값으로 설정한다. 이 경우, 제어수단(90)은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즉, 급기온도)가 약간 높게 설정된 목표 급기온도가 되도록, 열원수단(50, 100, 153)의 능력을 제어한다. 이로써, 제습운전 중에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여, 실내온도 저하가 억제된다. 또, 능력제어동작 중의 제어수단(90)은, 가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을 상회해버릴 경우에는, 목표 급기온도를 실내온도 설정값 이하의 값으로 설정한다. 이 경우, 제어수단(90)은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즉, 급기온도)가 약간 낮게 설정된 목표 급기온도가 되도록, 열원수단(50, 100, 153)의 능력을 제어한다. 이로써, 가습운전 중에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저하되어, 실내온도 상승이 억제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습 장치(10)의 운전 중에 실내공기 실측값이 설정값에서 벗어난 경우에는, 실내공기 실측값을 설정값에 근접시키기 위한 동작을 제어수단(90)이 행한다. 이로써, 처리대상 공기의 습도만이 아닌 온도도 변화시켜버리는 조습 장치(10)로부터 실내로 공기를 공급할 경우라도, 실내온도를 적절한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실내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5 발명에서, 용량제어동작 중의 제어수단(90)은, 실내로의 급기온도가 소정의 목표 급기온도가 되도록 압축기(53) 용량을 제어한다. 또, 상기 제 6 발명에서, 용량제어동작 중의 제어수단(90)은, 제습운전 중에는 냉매증발온도가, 가습운전 중에는 냉매응축온도가 각각 소정의 목표값이 되도록 압축기(53) 용량을 제어한다. 따라서 이들 발명에 의하면, 조습 장치(10)로부터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실내에 있는 사람이 지나치게 더위를 느끼거나 추위를 느끼지 않도록 하여, 실내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8 발명에서 제어수단(90)은, 2개 냉동주기 동작의 전환시간 간격을 단축함으로써, 실내공기 실측값을 설정값에 근접시킨다. 이로써,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의 제습량이나 가습량을 대략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이 공기의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발명에 의하면, 실내의 습도와 온도를 확실하게 적절한 범위로 할 수 있어, 실내 쾌적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냉매회로 구성을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며, (A)는 제 1 동작 중의 동작을 나타내고, (B)는 제 2 동작 중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2는, 흡착열교환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서의 가습운전 중의 제어기 동작을 나타낸 상태 천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제습운전 중의 제어기 동작을 나타낸 상태 천이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 제 1 변형예에서의 가습운전 중의 제어기 동작을 나타낸 상태 천이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가습운전 중의 제어기 동작을 나타낸 상태 천이도이다.
도 7은 제 3 실시형태에서의 가습운전 중의 제어기 동작을 나타낸 상태 천이도이다.
도 8은, 그 밖의 실시형태 제 1 변형예에 있어서 조습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며, (A)는 제 1 동작 중의 동작을 나타내고, (B)는 제 2 동작 중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9는, 그 밖의 실시형태 제 2 변형예에 있어서 조습유닛의 개략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조습 장치 50, 100 : 냉매회로(열원수단)
51, 52 : 흡착열교환기(흡착부재) 53 : 압축기
90 : 제어수단(제어기) 111 : 제 1 흡착소자(흡착부재)
112 : 제 2 흡착소자(흡착부재) 151 : 제 1 흡착핀(흡착부재)
152 : 제 2 흡착핀(흡착부재) 153 : 펠티에 소자(열원수단)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조습 장치(10)는, 제습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습운전과, 가습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가습운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조습 장치(10)는 냉매회로(50)를 구비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냉매회로(50)는, 제 1 흡착열교환기(51), 제 2 흡착열교환기(52), 압축기(53), 십자전환밸브(54), 및 전동팽창밸브(55)가 배치된 폐회로이다. 이 냉매회로(50)는, 충전된 냉매를 순환시킴으로써 증기압축 냉동주기를 행한다. 냉매회로(50)는 열원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냉매회로(50)에서 압축기(53)는, 그 토출측이 십자전환밸브(54)의 제 1 포트에, 그 흡입측이 십자전환밸브(54)의 제 2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의 한끝은 십자전환밸브(54)의 제 3 포트에 접속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의 다른 끝은 전동팽창밸브(55)를 개재하고 제 2 흡착열교환기(52)의 한끝 에 접속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2)의 다른 끝은 십자전환밸브(54)의 제 4 포트에 접속된다.
상기 십자전환밸브(54)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1(A)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1(B)에 나타낸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흡착열교환기(5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2)는 모두 크로스 핀식 핀튜브형 열교환기로 구성된다. 이들 흡착열교환기(51, 52)는, 동제의 전열관(58)과 알루미늄제 핀(57)을 구비한다. 흡착열교환기(51, 52)에 설치된 복수의 핀(57)은, 각각이 장방형 판상으로 형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나열된다. 또, 전열관(58)은, 각 핀(57)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각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는, 각 핀(57)의 표면에 흡착제가 담지되며, 핀(57)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가 핀(57) 표면의 흡착제와 접촉한다. 이 흡착제로는,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활성탄, 친수성의 관능기를 갖는 유기고분자재료 등, 공기 중의 수증기를 흡착할 수 있는 것이 이용된다. 이들 흡착열교환기(51, 52)는 흡착부재를 구성한다.
상기 조습 장치(10)는 제어수단으로서의 제어기(90)를 구비한다. 또, 이 조습 장치(10)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조습 장치(10)가 실내로부터 도입하는 실내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각각 계측하는 실내공기 온도센서 및 실내공기 습도센서와, 조습 장치(10)가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 온도를 계측하는 급기온도센서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90)에는, 실내공기 온도센서의 출력값(즉, 실내온도 실측값)과, 실내공기 습도센서의 출력값(즉, 실내습도의 실측값)과, 급기온도센서의 출력값(즉, 급기온도의 실측값)이 입력된다. 이 제어기(90)는, 실내온도 및 실내습도의 설정값과, 실내공기 온도센서, 실내공기 습도센서 및 급기온도센서의 출력값을 이용하여, 압축기(53)의 운전주파수를 제어한다. 압축기(53)의 운전주파수를 변경하면, 압축기(53)의 용량이 변화한다. 즉, 압축기(53)에 설치된 모터의 회전속도가 변화하여, 압축기(53)가 토출하는 냉매량(즉 냉매회로(50)의 냉매순환량)이 변화한다.
-운전동작-
본 실시형태의 조습 장치(10)에서는, 제습운전과 가습운전이 이루어진다. 제습운전 중이나 가습운전 중의 조습 장치(10)는, 도입한 실외공기(OA)를 조습하고 나서 공급급기(SA)로서 실내로 공급하는 동시에, 도입한 실내공기(RA)를 배출공기(EA)로서 실외로 배출한다. 즉, 제습운전 중이나 가습운전 중의 조습 장치(10)는, 실내의 환기를 행한다. 또, 상기 조습 장치(10)는, 제습운전 중과 가습운전 중의 양쪽에서,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소정의 시간간격(예를 들어, 3분 간격)으로 교대로 반복한다.
상기 조습 장치(10)는, 제습운전 중이면 제 1 공기로서 실외공기(OA)를, 제 2 공기로서 실내공기(RA)를 각각 도입한다. 또, 상기 조습 장치(10)는, 가습운전 중이면 제 1 공기로서 실내공기(RA)를, 제 2 공기로서 실외공기(OA)를 각각 도입한다.
우선, 제 1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동작 중에는 제 1 흡착열교환기(51)로 제 2 공기가, 제 2 흡착열교환기(52)로 제 1 공기가 각각 공급된다. 이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 대한 흡착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동작 중의 냉매회로(50)에서는, 십자전환밸브(54)가 제 1 상태로 설정되고, 제 1 냉동주기 동작이 이루어진다. 압축기(53)를 운전시키면, 냉매회로(50) 내에서 냉매가 순환한다. 구체적으로, 압축기(53)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 방열하여 응축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 응축된 냉매는, 전동팽창밸브(55)를 통과할 때 감압되고, 그 후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 흡열하여 증발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 증발한 냉매는 압축기(53)로 흡입되어 압축되며, 다시 압축기(53)로부터 토출된다.
이와 같이, 제 1 동작 중의 냉매회로(50)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51)가 응축기가 되며, 제 2 흡착열교환기(52)가 증발기가 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는, 핀(57) 표면의 흡착제가 전열관(58) 내의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한편,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는, 핀(57) 표면의 흡착제에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되어, 발생한 흡착열이 전열관(58) 내의 냉매에 흡열된다.
그리고, 제습운전 중이면,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 제습된 제 1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며, 제 1 흡착열교환기(51)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가습운전 중이면,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 가습된 제 2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며,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 수분을 빼앗긴 제 1 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다음에, 제 2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동작 중에는, 제 1 흡착열교환기(51)로 제 1 공기가, 제 2 흡착열교환기(52)로 제 2 공기가 각각 공급된다. 이 제 2 동작에서는,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 대한 흡착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동작 중의 냉매회로(50)에서는 십자전환밸브(54)가 제 2 상태로 설정되고, 제 2 냉동주기 동작이 이루어진다. 압축기(53)를 운전시키면, 냉매회로(50) 내에서 냉매가 순환한다. 구체적으로, 압축기(53)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 방열하여 응축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 응축된 냉매는, 전동팽창밸브(55)를 통과할 때 감압되고, 그 후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 흡열하여 증발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 증발한 냉매는, 압축기(53)로 흡입되어 압축되며, 다시 압축기(53)로부터 토출된다.
이와 같이, 냉매회로(50)에서는, 제 2 흡착열교환기(52)가 응축기가 되며, 제 1 흡착열교환기(51)가 증발기가 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는, 핀(57) 표면의 흡착제가 전열관(58) 내의 냉매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한편,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는, 핀(57) 표면의 흡착제에 제 1 공기 중 수분이 흡착되고, 발생한 흡착열이 전열관(58) 내의 냉매에 흡열된다.
그리고, 제습운전 중이면,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 제습된 제 1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며, 제 2 흡착열교환기(52)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가습운전 중이면,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 가습된 제 2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며,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 수분을 빼앗긴 제 1 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제어기의 동작-
우선, 가습운전 중의 제어기(90) 동작에 대해, 도 3의 상태 천이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내온도 실측값이 설정값보다 낮을 경우나 실내온도 실측값이 거의 설정값일 경우, 제어기(90)는 상태(S1)에서 대기한다. 상태(S1)에서 제어기(90)는, 실내습도 실측값(Rr)이 그 설정값(Rs)이 되도록 압축기(53)의 운전주파수를 조절한다. 또 상태(S1)에서 제어기(90)는, 실내온도 실측값(Tr)과 그 설정값(Ts)을 비교한다. 그리고 제어기(90)는 Tr>Ts-0.5의 관계가 성립되면 상태(S2)로 이행한다. 즉, 제어기(90)는, 실내온도 실측값(Tr)이 설정값(Ts)에 어느 정도 가까워지면 상태(S2)로 이행한다.
상태(S2)에서, 제어기(90)는, 예를 들어 수 분마다 실내온도 실측값을 감시한다. 이때, 제어기(90)는, 지난 회에 체크했을 때의 실내온도 실측값을 전회 실내온도(Tr’)로서 기억하고, 현재 실내온도 실측값(Tr)을 실내온도 설정값(Ts) 및 전회 실내온도(Tr’)와 비교한다. 그리고 제어기(90)는, Tr>Ts의 관계와 Tr>Tr’의 관계가 성립되면 상태(S3)로 이행한다. 즉, 제어기(90)는, 실내온도 실측값(Tr)이 설정값(Ts)을 상회하며, 더욱이 실내온도 실측값(Tr)이 상승경향에 있으 면 상태(S3)로 이행한다.
상태(S3)에서, 제어기(90)는 압축기(53) 용량을 제어할 때의 파라미터를 실내습도에서 급기온도로 변경하고, 급기온도의 실측값이 목표 급기온도가 되도록 압축기(53) 용량을 제어하는 동작을 시작한다. 이때, 제어기(90)는, 목표 급기온도의 값을 실내온도 설정값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은 압축기(53) 용량제어동작을 시작한 후, 제어기(90)는, 예를 들어 수 분마다 실내온도 실측값을 감시한다. 이때 제어기(90)는, 지난 회에 체크했을 때의 실내온도 실측값을 전회 실내온도(Tr’)로서 기억하고, 현재 실내온도 실측값(Tr)을 실내온도 설정값(Ts) 및 전회 실내온도(Tr’)와 비교한다.
상태(S3)에서, 제어기(90)는 Tr>Ts의 관계와 Tr>Tr’의 관계가 양쪽 성립되면 상태(S4)로 이행한다. 즉, 제어기(90)는, 실내온도 실측값(Tr)이 설정값(Ts)을 상회하며, 더욱이 실내온도 실측값(Tr)이 상승경향에 있으면, 상태(S4)로 이행한다. 한편, Tr≤Ts의 관계와 Tr≤Tr’의 관계가 양쪽 성립되면, 제어기(90)는 상태(S1)로 돌아온다. 즉, 제어기(90)는, 실내온도 실측값(Tr)이 설정값(Ts) 이하이며, 더욱이 실내온도 실측값(Tr)이 일정하거나 저하경향에 있으면, 실내습도를 파라미터로 한 압축기(53) 용량제어를 다시 시작한다. 그 이외의 경우, 제어기(90)는 상태(S3)인채 대기한다.
상태(S4)에서, 제어기(90)는 압축기(53)를 정지시킨다. 즉, 급기온도를 파라미터로 하여 압축기(53) 용량을 제어해도 실내온도 실측값이 설정값에 가까워지지 않을 경우는, 할 수 없이 압축기(53)를 정지시킨다.
여기에서, 상태(S4)에서 압축기(53)가 정지된 상태에서도, 조습 장치(10)에서는 공기의 유통경로 전환이 계속된다. 즉, 조습 장치(10)에서는、도입된 실외공기가 제 2 흡착열교환기(52)를 통과 후에 실내로 공급되는 동시에, 도입된 실내공기가 제 1 흡착열교환기(51)를 통과 후에 실외로 배출되는 동작과, 도입된 실외공기가 제 1 흡착열교환기(51)를 통과 후에 실내로 공급되는 동시에, 도입된 실내공기가 제 2 흡착열교환기(52)를 통과 후에 실외로 배출되는 동작이 교대로 반복되어 이루어진다.
상태(S4)에서, 제어기(90)는, 예를 들어 수 분마다 실내온도 실측값과 그 설정값(Ts)을 비교한다. 그리고 제어기(90)는, Tr≤Ts의 관계가 성립되면 상태(S3)로 돌아온다. 즉, 제어기(90)는, 실내온도 실측값(Tr)이 설정값(Ts) 이하로 되면, 상태(S3)로 돌아와 압축기(53)를 기동시키고, 급기온도를 파라미터로 한 압축기(53) 용량제어를 다시 시작한다.
다음으로, 제습운전 중의 제어기(90) 동작에 대해 도 4의 상태 천이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습운전 중에, 상태(S1)에서 상태(S4) 각각에서 제어기(90)가 행하는 동작은, 가습운전 중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제습운전 중의 제어기(90) 동작은, 각 상태간을 이행할 때의 조건이 가습운전 중의 조건과 다르다. 여기에서는, 제습운전 중의 제어기(90)에서 상태가 이행할 때의 조건을 설명한다.
상태(S1)에서, 제어기(90)는 실내온도 실측값(Tr)과 그 설정값(Ts)을 비교하여, Tr<Ts+0.5의 관계가 성립되면 상태(S2)로 이행한다. 즉, 제어기(90)는, 실 내온도 실측값(Tr)이 설정값(Ts)에 어느 정도 가까워지면 상태(S2)로 이행한다.
상태(S2)에서, 제어기(90)는 현재 실내온도 실측값(Tr)을 실내온도 설정값(Ts) 및 전회 실내온도(Tr’)와 비교하여, Tr<Ts의 관계와 Tr<Tr’의 관계가 양쪽 성립되면 상태(S3)로 이행한다. 즉, 제어기(90)는, 실내온도 실측값(Tr)이 설정값(Ts)을 밑돌며, 더욱이 실내온도 실측값(Tr)이 저하경향에 있으면, 상태(S3)로 이행한다.
상태(S3)에서, 제어기(90)는 현재 실내온도 실측값(Tr)을 실내온도 설정값(Ts) 및 전회 실내온도(Tr’)와 비교하여, Tr<Ts의 관계와 Tr<Tr’의 관계가 양쪽 성립되면 상태(S4)로 이행한다. 즉, 제어기(90)는, 실내온도 실측값(Tr)이 설정값(Ts)을 밑돌며, 더욱이, 실내온도 실측값(Tr)이 저하경향에 있으면, 상태(S4)로 이행한다. 한편, Tr≥Ts의 관계와 Tr≥Tr’의 관계가 양쪽 성립되면, 제어기(90)는 상태(S1)로 돌아온다. 즉, 제어기(90)는, 실내온도 실측값(Tr)이 설정값(Ts) 이상이며, 더욱이 실내온도 실측값(Tr)이 일정하거나 상승경향에 있으면, 실내습도를 파라미터로 한 압축기(53) 용량제어를 다시 시작한다. 그 이외의 경우, 제어기(90)는 상태(S3)인채 대기한다.
상태(S4)에서, 제어기(90)는 실내온도 실측값(Tr)과 그 설정값(Ts)을 비교하여, Tr≥Ts의 관계가 성립되면 상태(S3)로 돌아온다. 즉, 제어기(90)는, 실내온도 실측값(Tr)이 설정값(Ts) 이상으로 되면, 상태(S3)로 돌아와 압축기(53)를 기동시킨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습 장치(10)의 운전 중에 실내공기 실측값이 설정값에서 벗어난 경우에는, 실내공기 실측값을 설정값에 접근시키기 위한 동작을 제어기(90)가 행한다. 이로써, 처리대상 공기의 습도만이 아닌 온도도 변화시켜버리는 조습 장치(10)로부터 실내로 공기를 공급할 경우라도, 실내온도를 적절한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실내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제어기(90)에서는, 실내로의 급기온도가 소정의 목표 급기온도가 되도록 압축기(53)의 용량을 제어하는 동작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습 장치(10)로부터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온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실내에 있는 사람이 지나치게 더위를 느끼거나 추위를 느끼지 않도록 하여, 실내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기(90)가 다음과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이라도 된다.
도 5의 상태 천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습운전 중의 제어기(90)는, 상태(S3)에서의 동작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그 밖의 상태에서의 동작과, 각 상태 사이를 이행할 때의 조건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상태(S3)에서, 제어기(90)는 압축기(53) 운전주파수를 그 제어범위의 하한값으로 고정시킨다. 즉, 제어기(90)는 압축기(53)를 최저용량으로 운전시킨다. 압축기(53)를 최저용량으로 운전시키면 냉매회로(50)에서의 냉매순환량이 적어져, 응축기가 된 흡착열교환기(51, 52)의 냉매 방열량이 감소되고,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가 저하된다. 또, 증발기가 된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는 냉매 흡열량이 감소되고,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가 상승한다.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기(90)가 다음과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이라도 된다.
가습운전 중의 제어기(90)는, 상태(S3)에서의 동작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그 밖의 상태에서의 동작과, 각 상태 사이를 이행할 때의 조건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상태(S3)에서, 제어기(90)는 실내습도 설정값을 강제적으로 인하시켜, 실내습도 설정값이 인하된 설정값이 되도록 압축기(53) 용량을 제어한다. 실내습도 설정값이 낮아지면, 같은 운전상태라도 압축기(53)의 운전주파수가 약간 낮게 설정된다. 이로써, 냉매회로(50)에서의 냉매순환량이 적어져, 응축기가 된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의 냉매 방열량이 감소되고,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가 저하된다. 또, 증발기가 된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는 냉매 흡열량이 감소되고,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가 상승한다.
-제 1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기(90)가 다음과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이라도 된다.
가습운전 중의 제어기(90)는, 상태(S3)에서의 동작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또, 이 제어기(90)의 동작에서는 상태(S4)의 동작이 생략된다. 그 밖의 상태에서의 동작과, 각 상태 사이를 이행할 때의 조건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이 제어기(90)는, 상태(S3)에서 압축기(53)를 정지시킨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조습 장치(10)에 대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조습 장치(10)에서는, 냉매회로(50)에 고압센서와 저압센서가 접속된다. 고압센서는 압축기(53)의 토출측에 배치되며, 냉동주기의 고압압력을 계측한다. 저압센서는 압축기(53)의 흡입측에 배치되며, 냉동주기의 저압압력을 계측한다. 고압센서와 저압센서의 출력값은 각각 제어기(90)에 입력된다.
본 실시형태의 조습 장치(10)에서는, 제어기(90)의 동작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여기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제어기(90)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의 상태 천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습운전 중의 제어기(90)는, 상태(S3)에서의 동작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그 밖의 상태에서의 동작과, 각 상태 사이를 이행할 때의 조건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상태(S3)에서, 제어기(90)는 압축기(53) 용량을 제어할 때의 파라미터를 실내습도에서 냉매응축온도로 변경하고, 냉매응축온도(Tc)가 실내온도 설정값(Ts)이 되도록 압축기(53) 용량을 제어하는 동작을 시작한다. 구체적으로, 이 동작 중의 제어기(90)는, 냉매응축온도가 실내온도 설정값(Ts)일 경우의 냉매압력을 계산하고, 그 값을 목표압력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기(90)는 냉매응축압력의 실측값(Pc)이 목표압력이 되도록 압축기(53) 용량을 조절한다.
한편, 냉방운전 중의 제어기(90)는, 그 상태(S3)에서, 압축기(53) 용량을 제어할 때의 파라미터를 실내습도에서 냉매증발온도로 변경하고, 냉매증발온도(Te)가 실내온도 설정값(Ts)이 되도록 압축기(53) 용량을 제어하는 동작을 시작한다. 구체적으로, 이 동작 중의 제어기(90)는, 냉매증발온도가 실내온도 설정값(Ts)일 경우의 냉매압력을 계산하고, 그 값을 목표압력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기(90)는 냉매응축압력의 실측값(Pc)이 목표압력이 되도록 압축기(53) 용량을 조절한다.
[제 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제어기(90)의 동작을 변경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제어기(90) 동작에 대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도 7의 상태 천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제어기(90)에서는 상태(S4)가 추가된다. 그리고 도 7에서 상태(S1), 상태(S2), 상태(S3), 상태(S5)는, 각각 도 3의 상태(S1), 상태(S2), 상태(S3), 상태(S4)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의 제어기(90)는, 상태(S3)에서 Tr>Ts의 관계와 Tr>Tr’의 관계가 양쪽 성립되는 경우에 상태(S4)로 이행한다. 즉, 급기온도를 파라미터로 하여 압축기(53) 용량을 제어해도, 여전히 실내온도 실측값(Tr)이 설정값(Ts)을 상회하며, 더욱이 실내온도 실측값(Tr)이 일정하거나 상승경향에 있으면, 상태(S4)로 이행한다.
상태(S4)에서, 제어기(90)는 압축기(53) 운전주파수를 그 제어범위의 하한값으로 고정시킨다. 즉, 제어기(90)는 압축기(53)를 최저용량으로 운전시킨다. 압 축기(53)의 운전주파수를 하한값으로 고정시킨 후, 제어기(90)는, 예를 들어 수분걸로 실내온도 실측값을 감시한다. 이때, 제어기(90)는, 지난 회에 체크했을 때의 실내온도 실측값을 전회 실내온도(Tr’)로서 기억하고, 현재 실내온도 실측값(Tr)을 실내온도 설정값(Ts) 및 전회 실내온도(Tr’)와 비교한다.
상태(S4)에서, 제어기(90)는 Tr>Ts의 관계와 Tr>Tr’의 관계가 양쪽 성립되면 상태(S5)로 이행한다. 즉, 제어기(90)는, 실내온도 실측값(Tr)이 설정값(Ts)을 상회하며, 더욱이, 실내온도 실측값(Tr)이 상승경향에 있으면, 상태(S5)로 이행한다. 한편, Tr≤Ts의 관계와 Tr≤Tr’의 관계가 양쪽 성립되면, 제어기(90)는 상태(S1)로 돌아온다. 즉 제어기(90)는, 실내온도 실측값(Tr)이 설정값(Ts) 이하이며, 더욱이, 실내온도 실측값(Tr)이 일정하거나 저하경향에 있으면, 압축기(53)의 용량제어를 다시 시작한다. 그 이외의 경우, 제어기(90)는 상태(S4)인채 대기한다.
[제 4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제어기(90)의 동작을 변경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제어기(90) 동작에 대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어기(90)는, 상태(S3)에서의 동작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이 제어기(90)의 그 밖의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상태(S3)에서, 이 제어기(90)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상호 전환하는 시간간격을 단축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90)는, 그때까지 3분이었던 전환 간격을 2분으로 단축시킨다. 이 예에서, 냉매회로(50)에서는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제 2 냉동주기 동작의 전환간격이 3분에서 2분으로 단축된다.
여기에서, 흡착열교환기(51, 52)와,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하는 공기 사이에서는,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제 2 냉동주기 동작을 상호 전환한 직후에 비교적 많은 수분이 수수된다. 흡착열교환기(51, 52)에 수분이 흡착될 때 발생하는 흡착열은, 흡착되는 수분량이 많을수록 증가한다. 그리고 증발기가 된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는, 냉매가 흡열하는 흡착열이 증가한 만큼, 제 1 공기의 온도저하 폭이 축소된다. 또, 흡착열교환기(51, 52)로부터 수분을 탈리시키는 데 필요한 열은, 탈리되는 수분량이 많을수록 증가한다. 그리고 응축기가 된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는,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탈리시키는 데 필요한 열량이 증가한 만큼, 제 2 공기의 온도상승 폭이 축소된다.
이로써, 제어기(90)가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제 2 냉동주기 동작의 시간간격을 단축하면,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변화 폭이 작은 상태가 계속되게 되므로, 제습운전 중이면 실내로의 급기온도가 상승하며, 가습운전 중이면 실내로의 급기온도가 저하된다. 그 결과, 실내온도 실측값이 설정값에 가까워져간다.
-제 4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서 제어기(90)는, 2개 냉동주기 동작의 전환시간 간격을 단축함으로써, 실내공기 실측값을 설정값에 근접시킨다. 이로써,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의 제습량이나 가습량을 대략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이 공기의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실내의 습도와 온도를 확실하게 적절한 범위로 할 수 있어, 실내 쾌적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제어기(90)의 동작을 변경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제어기(90)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조습 장치(10)의 운전 중에 제어기(90)는, 예를 들어 수 분마다 실내온도 실측값과 그 설정값을 비교한다. 그리고 제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설정값을 상회하는 경우와, 가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설정값을 밑도는 경우에,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상호 전환하는 시간간격을 연장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90)는, 그때까지 3분인 전환간격을 4분으로 연장한다. 이 예에서, 냉매회로(50)에서는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제 2 냉동주기 동작의 전환간격이 3분에서 4분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4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제 2 냉동주기 동작을 전환한 직후는 흡착열교환기(51, 52)와 공기 사이에서 수수되는 수분량이 증대하고, 이에 따라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할 때의 공기 온도변화 폭이 축소된다. 반대로 말하면,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제 2 냉동주기 동작을 전환하고 나서 잠시동안 시간이 경과하면, 흡착열교환기(51, 52)와 공기 사이에서 수수되는 수분량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할 때의 공기 온도변화 폭이 확대된다. 그리고 제어기(90)가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제 2 냉동주기 동작의 시간간격을 연장하면,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변화 폭이 커지는 시간이 길어져, 제습운전 중이면 실내로의 급기온도가 저하되며, 가습운전 중이면 실내로의 급기온도가 상승한다. 그 결과, 실내온도 실측값이 설정값에 가까워져간다.
또, 여기에서는 냉동주기 동작 전환간격을 변경할 지의 여부를 판단할 때, 어느 한 시점에서의 실내온도 실측값과 설정 값의 차만을 고려하지만, 어느 시점의 실내온도 실측값과 설정값의 차와, 실내온도 실측값 변화경향과의 양쪽을 고려해도 된다. 이 경우, 제습운전 중이면, 실내온도 실측값이 설정값을 상회하며, 더욱이 실내온도 실측값이 상승경향에 있을 때, 제어기(90)가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상호 전환하는 시간간격을 연장한다. 또한 가습운전 중이면, 실내온도 실측값이 설정값을 밑돌며, 더욱이 실내온도 실측값이 저하경향에 있을 때, 제어기(90)가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상호 전환하는 시간간격을 연장한다.
-제 5 실시형태의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동주기 동작의 전환간격을 연장하는 대신 전환동작과 고정동작을 교대로 행하도록 해도 된다.
제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설정값을 웃도는 경우와, 가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설정값을 밑도는 경우에, 본 변형예의 제어기(90)는 전환동작과 고정동작을 번갈아 반복하여 실행한다. 전환동작 중의 조습 장치(10)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일정 시간간격으로 반복하여 실행한다.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의 전환을 소정 횟수(예를 들어, 5회) 행하면, 고정동작이 행해져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의 전환이 금지된다. 즉 고정동작 중의 냉매회로(50)에서는,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제 2 냉동주기 동작 중의 어느 한쪽이 소정 시간(예를 들어, 3분간)에 걸쳐 계속해서 행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제 2 냉동주기 동작을 전환하고 나서 잠시동안 시간이 경과하면,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할 때의 공기 온도변화 폭이 확대된다. 즉, 냉동주기 동작을 고정시키는 고정동작 중은, 2개의 냉동주기 동작을 전환하는 전환동작 중에 비해,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할 때의 공기 온도변화 폭이 확대된다. 이에 따라, 고정동작 중은 흡착열교환기(51, 52)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변화 폭이 커지므로, 제습운전 중이면 실내로의 급기온도 평균값이 저하되며, 가습운전 중이면 실내로의 급기온도 평균값이 상승한다. 그 결과, 실내온도 실측값이 설정값에 가까워져간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습 장치(10)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도 된다. 여기에서는 조습 장치(10)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변형예-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변형예의 조습 장치(10)는, 냉매회로(100)와 2개의 흡착소자(111, 112)를 구비한다. 냉매회로(100)는, 압축기(101)와 응축기(102)와 팽창밸브(103)와 증발기(104)가 차례로 접속된 폐회로이다. 냉매회로(100)에서 냉매를 순환시키면 증기압축 냉동주기가 이루어진다. 이 냉매회로(100)는 열원수단을 구성한다. 제 1 흡착소자(111) 및 제 2 흡착소자(112)는 제 올라이트 등의 흡착제를 구비하며, 각각 흡착부재를 구성한다. 또, 각 흡착소자(111, 112)에는 다수의 공기통로가 형성되며, 이 공기통로를 통과할 때 공기가 흡착제와 접촉한다.
이 조습 장치(10)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반복한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동작 중의 조습 장치(10)는, 응축기(102)에서 가열된 공기를 제 1 흡착소자(111)로 공급하고 흡착제를 재생하는 한편, 제 2 흡착소자(112)에 수분을 빼앗긴 공기를 증발기(104)에서 냉각한다. 또,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동작 중의 조습 장치(10)는, 응축기(102)에서 가열된 공기를 제 2 흡착소자(112)로 공급하고 흡착제를 재생하는 한편, 제 1 흡착소자(112)에 수분을 빼앗긴 공기를 증발기(104)에서 냉각한다. 그리고 이 조습 장치(10)는, 흡착소자(111, 112)를 통과할 때 제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습운전과, 흡착소자(111, 112)를 통과할 때 가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가습운전을 전환하여 실행한다.
-제 2 변형예-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변형예의 조습 장치(10)는 조습유닛(150)을 구비한다. 이 조습유닛(150)은, 펠티에(Peltier) 소자(153)와, 한 쌍의 흡착핀(151, 152)을 구비한다. 흡착핀(151, 152)은 이른바 히트싱크 표면에 제올라이트 등의 흡착제를 담지시킨 것이다. 이 흡착핀(151, 152)은 흡착부재를 구성한다. 펠티에 소자(153)는, 그 한 면 쪽에 제 1 흡착핀(151)이, 다른 면 쪽에 제 2 흡착핀(152)이 각각 접합된다. 펠티에 소자(153)에 직류를 흘리면, 2개 흡착핀(151, 152)의 한쪽이 흡열측이 되며, 다른 쪽이 방열측이 된다. 이 펠티에 소자(153)는 열원수단을 구성한다.
이 조습 장치(10)는 각각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반복한다. 제 1 동작 중의 조습유닛(150)은, 방열측인 제 1 흡착핀(151)의 흡착제를 재생하고 공기를 가습하는 한편, 흡열측인 제 2 흡착핀(152)의 흡착제에 수분을 흡착시켜 공기를 제습한다. 또 제 2 동작 중의 조습유닛(150)은, 방열측인 제 2 흡착핀(152)의 흡착제를 재생하고 공기를 가습하는 한편, 흡열측인 제 1 흡착핀(151)의 흡착제에 수분을 흡착시켜 공기를 제습한다. 그리고 이 조습 장치(10)는, 조습유닛(150)을 통과할 때 제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습운전과, 조습유닛(150)을 통과할 때 가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가습운전을 전환하여 실행한다.
여기에서, 이상의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범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흡착제를 이용하여 공기를 조습하는 조습 장치에 대해 유용하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각각 수분을 흡탈착하는 흡착제를 담지(擔持)하는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1, 52)가 접속된 냉매회로(50)를 구비하며,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1, 52)의 한쪽이 응축기가 되며 다른 쪽이 증발기가 되는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다른 쪽이 응축기가 되며 한쪽이 증발기가 되는 제 2 냉동주기 동작을 교대로 행하고,
    응축기가 된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 공기를 가습하는 동시에, 증발기가 된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 공기를 제습하며, 제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습운전 또는 가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가습운전을 행하는 조습 장치에 있어서,
    제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보다 소정온도 이상 낮을 경우, 또는 가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보다 소정온도 이상 높을 경우에,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제 2 냉동주기 동작을 전환하는 시간간격을 단축하는 제어수단(9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9. 각각 수분을 흡탈착하는 흡착제를 담지하는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1, 52)가 접속된 냉매회로(50)를 구비하며,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1, 52)의 한쪽이 응축기가 되며 다른 쪽이 증발기가 되는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다른 쪽이 응축기가 되며 한쪽이 증발기가 되는 제 2 냉동주기 동작을 교대로 행하고,
    응축기가 된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 공기를 가습하는 동시에, 증발기가 된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 공기를 제습하며, 제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습운전 또는 가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가습운전을 행하는 조습 장치에 있어서,
    제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보다 소정온도 이상 높을 경우, 또는 가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보다 소정온도 이상 낮을 경우에는,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제 2 냉동주기 동작을 전환하는 시간간격을 연장하는 제어수단(9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10. 각각 수분을 흡탈착하는 흡착제를 담지하는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1, 52)가 접속된 냉매회로(50)를 구비하며,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1, 52)의 한쪽이 응축기가 되며 다른 쪽이 증발기가 되는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다른 쪽이 응축기가 되며 한쪽이 증발기가 되는 제 2 냉동주기 동작을 교대로 행하고,
    응축기가 된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 공기를 가습하는 동시에, 증발기가 된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 공기를 제습하며, 제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습운전 또는 가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가습운전을 행하는 조습 장치에 있어서,
    제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보다 소정온도 이상 높을 경우, 또는 가습운전 중에 실내온도 실측값이 그 설정값보다 소정온도 이상 낮을 경우에는,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제 2 냉동주기 동작을 교대로 전환하여 행하는 전환동작과, 제 1 냉동주기 동작 또는 제 2 냉동주기 동작만을 소정시간에 걸쳐 행하는 고정동작을 교대로 시키는 제어수단(9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11. 삭제
KR1020077029552A 2005-05-24 2006-05-24 조습 장치 KR100924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50805 2005-05-24
JP2005150805A JP3995006B2 (ja) 2005-05-24 2005-05-24 調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305A KR20080023305A (ko) 2008-03-13
KR100924635B1 true KR100924635B1 (ko) 2009-11-02

Family

ID=37452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9552A KR100924635B1 (ko) 2005-05-24 2006-05-24 조습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118870A1 (ko)
EP (1) EP1898161A4 (ko)
JP (1) JP3995006B2 (ko)
KR (1) KR100924635B1 (ko)
CN (2) CN101163923B (ko)
AU (1) AU2006250450C1 (ko)
WO (1) WO20061266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2879A (ja) * 2007-07-19 2009-02-05 Daikin Ind Ltd 調湿装置
JP5018402B2 (ja) * 2007-10-31 2012-09-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2012118130A (ja) * 2010-11-29 2012-06-21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5229368B2 (ja) * 2011-09-29 2013-07-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CN102506488B (zh) * 2011-10-20 2014-01-22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空调器除湿模式的控制装置的控制方法
JP2014040969A (ja) * 2012-08-23 2014-03-06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JP5802339B2 (ja) * 2012-10-18 2015-10-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ES2614924T3 (es) * 2012-10-18 2017-06-02 Daikin Industries, Ltd. Acondicionador de aire
EP3758829A4 (en) * 2018-02-26 2021-12-01 Termotera Ltd. COOLING, WARMING AND HUMIDITY STABILIZATION USING HUMIDITY FLUCTUATIONS
JP7038306B2 (ja) * 2018-05-23 2022-03-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温度制御システム
CN113028698A (zh) * 2019-12-24 2021-06-25 广东顺德遨华电器有限公司 一种恒温恒湿冷藏柜及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9069A (ja) 2002-03-20 2003-10-02 Hitachi Ltd デシカント空調システム
JP2005055165A (ja) 2003-07-22 2005-03-03 Daikin Ind Ltd 調湿装置
JP2005127531A (ja) * 2003-10-21 2005-05-19 Daikin Ind Ltd 調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08338D0 (en) * 1989-04-13 1989-06-01 Motor Panels Coventry Ltd Control systems for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s
US5816065A (en) * 1996-01-12 1998-10-06 Ebara Corporation Desiccant assisted air conditioning system
US5950442A (en) * 1996-05-24 1999-09-14 Ebara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system
US6029467A (en) * 1996-08-13 2000-02-29 Moratalla; Jose M. Apparatus for regenerating desiccants in a closed cycle
US6204623B1 (en) * 1998-12-17 2001-03-20 The Holmes Group, Inc. Heater, humidifier or fan including a circu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thereof
JP3402281B2 (ja) * 1999-09-27 2003-05-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加湿機能を有する空気調和機
KR100529892B1 (ko) * 2003-03-17 2005-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3624910B2 (ja) * 2003-05-27 2005-03-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4179051B2 (ja) * 2003-05-27 2008-11-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3668763B2 (ja) * 2003-10-09 2005-07-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3668785B2 (ja) * 2003-10-09 2005-07-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N1254648C (zh) * 2003-12-05 2006-05-03 清华大学 一种并联型热泵调温调湿机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9069A (ja) 2002-03-20 2003-10-02 Hitachi Ltd デシカント空調システム
JP2005055165A (ja) 2003-07-22 2005-03-03 Daikin Ind Ltd 調湿装置
JP3668764B2 (ja) * 2003-07-22 2005-07-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2005127531A (ja) * 2003-10-21 2005-05-19 Daikin Ind Ltd 調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63923B (zh) 2012-01-04
CN101526247B (zh) 2012-06-27
AU2006250450A1 (en) 2006-11-30
CN101163923A (zh) 2008-04-16
JP3995006B2 (ja) 2007-10-24
AU2006250450C1 (en) 2011-11-24
AU2006250450B2 (en) 2009-11-26
WO2006126605A1 (ja) 2006-11-30
EP1898161A4 (en) 2014-11-05
KR20080023305A (ko) 2008-03-13
EP1898161A1 (en) 2008-03-12
US20090118870A1 (en) 2009-05-07
CN101526247A (zh) 2009-09-09
JP2006329469A (ja) 200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4635B1 (ko) 조습 장치
KR100959226B1 (ko) 공조 시스템
KR100959227B1 (ko) 공조 시스템
JP3864982B2 (ja) 空調システム
JP3624910B2 (ja) 調湿装置
KR100978441B1 (ko) 공조 시스템
KR101201010B1 (ko) 조습장치
JP4525465B2 (ja) 空調システム
KR20080014871A (ko) 공조 시스템
KR100978442B1 (ko) 조습 장치
JP4561476B2 (ja) 空調システム
JP4179051B2 (ja) 調湿装置
JP2006329583A (ja) 換気装置
JP2010156504A (ja) 空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