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709B1 -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 - Google Patents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709B1
KR100923709B1 KR1020090072250A KR20090072250A KR100923709B1 KR 100923709 B1 KR100923709 B1 KR 100923709B1 KR 1020090072250 A KR1020090072250 A KR 1020090072250A KR 20090072250 A KR20090072250 A KR 20090072250A KR 100923709 B1 KR100923709 B1 KR 100923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thin plate
fastening
elastic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한
Original Assignee
영동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동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동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2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7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2분할 박판형 압륜구 및 이를 체결하는 제1,2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며, 아울러 그 조립이 매우 간단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박판 구조로 된 탄성부에 의하여 압륜 장치에 걸리는 인장력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어 압륜 장치의 뒤틀림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편수관의 이탈에 따라 수축하는 탄성부가 마련되어, 유체 압력이 클 경우에는 탄성부가 신장되며, 유체 압력이 낮은 경우에는 탄성부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도록 하여, 형태 변형의 누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 {THIN PLATE TYPE GRIPPING DEVICE FOR PIPE CONNECTING}
본 발명은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도관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편수관의 조립 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편수관(10)과 제2편수관(20)은 서로 동일한 형태이며, 제1편수관(10)의 좌측 단부에는 제2편수관(20)이 삽입되기 위한 확관부(11)가 형성되며, 아울러 확관부(11)에는 수밀패킹(30)이 장착되기 위한 패킹 장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제1편수관(10)의 우측 단부는 제2편수관(20)의 우측 단부와 동일한 형태이며, 제2편수관(20)의 좌측 단부는 제1편수관(10)의 좌측 단부와 동일한 형태이다.
이러한 연결 구조에 의하여 서로 조립되는 편수관의 연결 구조는 수밀패킹(30)에 의하여 편수관의 연결 부위로부터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지만, 편수관의 내부에 압력이 과다하게 걸릴 경우 편수관들이 서로 이탈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즉 제1편수관(10)과 제2편수관(20)이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편수관들의 내부에 과다한 유체 압력이 걸리면 제1편수관(10)과 제2편수관(20)을 서로 고정시키는 장치가 없다면 제1편수관(10)은 우측으로, 제2편수관(20)은 좌측으로 이동하여 서로 이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편수관들의 연결 구조에서는 편수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없다.
이러한 구조의 편수관들은 지중에 매설되거 혹은 지상에 노출되어 설치되는 경우 등의 어떠한 경우에도 편수관들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59262호 "편수관용 일체형 압륜장치"(2004년 8월 6일 등록)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이 기존의 편수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압륜장치는 대부분 각각의 편수관과 체결되는 밴드 형태의 압륜부와 상기 압륜부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막대 형태의 지지대로 이루어진다. 보통 지지대는 2개가 마련되어 서로 반대 방향에 설치되게 된다.
즉 막대 형태의 지지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한 쌍의 압륜부가 각각의 편수관을 고정시킴으로써 편수관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압륜장치는 편수관의 이탈을 방지한다는 목적에서는 타당 하지만, 편수관 내부에 과도한 압력이 걸려 편수관의 이탈력이 클때 문제가 된다.
즉 과도한 이탈력이 발생할 때 밴드 형태의 압륜부에 국부적인 인장응력의 집중이 발생하여 밴드 형태의 압륜부가 타원 형태로 변형되는 것은 물론이며 지지대 역시 뒤틀리거나 휘게 된다.
이러한 압륜부의 형태 변형 내지 지지대의 형태 변형은 편수부와 그 이웃한 부위에 국부 압착을 가하는 등 편수관의 변형을 초래할 염려가 있으며, 아울러 시공 불량 내지 불량 제품의 시공으로 오인될 가능성이 높으며, 또한 미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편수관 내부에 걸리는 유체 압력의 과다 상승은 간헐적으로 발생되며, 따라서 유체 압력의 과다 상승이 발생됨에 따라 압륜부 내지 지지대의 변형은 더욱더 성장하게 된다.
또한 밴드 형태의 압륜부의 타원 형태로의 변형은, 편수관의 불규칙 압착 내지 국부적 압착을 초래하며, 또한 패킹 장착부의 국부적 압착 및 이로 인한 형태 변형을 초래하여 수밀 자체를 위협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박판 구조로 된 탄성부에 의하여 압륜 장치에 걸리는 인장력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어 압륜 장치의 뒤틀림이 방지되며, 아울러 탄성부에 의하여 형태 복원이 가능하여 형태 변형의 누적이 발생하지 않는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횡단면이 평판 형태인 반원통 형태의 제1-1압륜부와, 상기 제1-1압륜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설되되 횡단면이 방사상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인 반원통 형태의 제1탄성부와, 상기 제1탄성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설되되 횡단면이 평판 형태이며 상기 제1-1압륜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반원통 형태의 제1-2압륜부와, 상기 제1-1압륜부의 원주방향 양단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제1-1체결부와, 상기 제1-2압륜부의 원주방향 양단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제1-2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 ; 횡단면이 평판 형태인 반원통 형태의 제2-1압륜부와, 상기 제2-1압륜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설되되 횡단면이 방사상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인 반원통 형태의 제2탄성부와, 상기 제2탄성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설되되 횡단면이 평판 형태인 반원통 형태의 제2-2압륜부와, 상기 제2-1압륜부의 원주방향 양단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제2-1체결부와, 상기 제2-2압륜부의 원주방향 양단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제2-2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분할 박판형 압륜구 ; 상기 제1-1체결부와 상기 제2-1체결부를 서로 체결하기 위한 제1체결수단 ; 상기 제1-2체결부와 상기 제2-2체결부를 서로 체결하기 위한 제2체결수단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 상기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는 하나의 강판의 판재 성형에 의하여 상기 제1-1압륜부, 상기 제1탄성부, 상기 제1-2압륜부, 상기 제1-1체결부, 상기 제1-2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며 ; 상기 제2분할 박판형 압륜구는 하나의 강판의 판재 성형에 의하여 상기 제2-1압륜부, 상기 제2탄성부, 상기 제2-2압륜부, 상기 제2-1체결부, 상기 제2-2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인 것 ; 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 상기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는, 하나의 강판의 판재 성형에 의하여 제1탄성부 및 상기 제1탄성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1-1압륜 접합부 및 제1-2압륜 접합부로 이루어진 제1탄성부용 박판과, 상기 제1탄성부용 박판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1-1압륜부와 상기 제1-1체결부로 형성된 제1-1압륜용 후판과, 상기 제1탄성부용 박판의 두께보다 두께운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1-2압륜부와 상기 제1-2체결부로 형성된 제1-2압륜용 후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1압륜부의 외주면에 상기 제1-1압륜 접합부가 면접촉되면서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2압륜부의 외주면에 상기 제1-2압륜 접합부가 면접촉되면서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 상기 제2분할 박판형 압륜구는, 하나의 강판의 판재 성형에 의하여 제2탄성부 및 상기 제2탄성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2-1 압륜 접합부 및 제2-2압륜 접합부로 이루어진 제2탄성부용 박판과, 상기 제2탄성부용 박판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1압륜부와 상기 제2-1체결부로 형성된 제2-1압륜용 후판과, 상기 제2탄성부용 박판의 두께보다 두께운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2압륜부와 상기 제2-2체결부로 형성된 제2-2압륜용 후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1압륜부의 외주면에 상기 제2-1압륜 접합부가 면접촉되면서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2압륜부의 외주면에 상기 제2-2압륜 접합부가 면접촉되면서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 ; 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 상기 제1탄성부는, 제1-1압륜부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부터 확관되는 제1-1경사부와, 상기 제1-1경사부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중간부와, 상기 제1중간부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부터 축관되어 상기 제1-2압륜부와 연결되는 제1-2경사부로 이루어지며 ; 상기 제2탄성부는 제2-1압륜부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부터 확관되는 제2-1경사부와, 상기 제2-1경사부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중간부와, 상기 제2중간부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부터 축관되어 상기 제2-2압륜부와 연결되는 제2-2경사부로 이루어지는 것 ; 이 바라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1-1압륜부에 판재 성형 가공에 의하여 다수의 제1-1협지편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1압륜부에 판재 성형 가공에 의하여 다수의 제2-1협지편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절개구멍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제1,2분할 박판형 압륜구 및 이를 체결하는 제1,2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며, 아울러 그 조립이 매우 간단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박판 구조로 된 탄성부에 의하여 압륜 장치에 걸리는 인장력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어 압륜 장치의 뒤틀림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편수관의 이탈에 따라 수축하는 탄성부가 마련되어, 유체 압력이 클 경우에는 탄성부가 신장되며, 유체 압력이 낮은 경우에는 탄성부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도록 하여, 형태 변형의 누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가 편수관에 조립된 상태의 개념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가 편수관에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압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기준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B-B기준 단면도이다.
본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는 크게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100)와, 제2분할 박판형 압륜구(200)와,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110)와 제2분할 박판형 압륜구(120)를 서로 체결하기 위한 볼트, 너트 등의 제1,2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100)의 형태와 제2분할 박판형 압륜구(200)의 형태는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100)를 위주로 설명하며, 제2분할 박판형 압륜구(200)에 대한 설명은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100)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100)는 제1-1압륜부(110), 제1-1경사부(120), 제1중간부(130), 제1-2경사부(140), 제1-2압륜부(150), 제1-1체결부(160), 제1-2체결부(170)로 이루어진다.
제1-1압륜부(110), 제1-1경사부(120), 제1중간부(130), 제1-2경사부(140), 제1-2압륜부(160)가 차례대로 연속하여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반원통 형태를 가진다. 즉 제1-1압륜부(110)의 길이방향 일측에 제1-1경사부(120)가 확관되면서 형성되며, 제1-1경사부(120)의 길이방향 일측에 제1중간부(130)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 면서 형성되며, 제1중간부(130)의 길이방향 일측에 제1-2경사부(140)가 축관되면서 형성되며, 제1-2경사부(140)의 길이방향 일측에 제1-2압륜부(150)가 형성된다.
제1-1압륜부(110)와 제1-2압륜부(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횡단면이 평판 형태를 가진다. 즉 제1-1압륜부(110)와 제1-2압륜부(160)는 제2분할 박판형 압륜구(200)와 조합되어 밴드 형태의 압륜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제1-2압륜부(160)는 제1-1압륜부(1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제1-1경사부(120), 제1중간부(130), 제1-2경사부(140)는 그 횡단면이 방사상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지면서 제1탄성부를 형성하게 된다.
제1탄성부는 본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가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반원통 형태의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100)는 정확한 180°의 원호각을 가지는 반원통 형태는 아니며, 약 170°~178°의 원호각을 가지는 반원통 형태이다. 이는 제1-1압륜부(110) 및 제1-2압륜부(150)가 편수관의 외주면을 압착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제1-1압륜부(110)의 원주방향 양단에는 방사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제1-1체결부(160)가 연장 형성되며, 제1-1체결부(160)에는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1-2압륜부(150)의 원주방향 양단에는 방사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제1-2체결부(170)가 연장 형성되며, 제1-2체결부(160)에는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제1-1압륜부(110)에는 다수의 제1-1협지편(111)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2압륜부(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 장착부(12)와의 간섭 구조에 의하여 좌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별도로 협지편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제1-2압륜부(150)가 패킹 장착부(12)로부터 조금 이격되어 장착되는 경우 제1편수관(10)이 그 이격된 거리만큼 슬라이딩될 수가 있기 때문에 제1편수관(10)의 축방향 신축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100)와 완전히 동일한 형태로 제2분할 박판형 압륜구(200)가 제공된다.
즉 제2분할 박판형 압륜구(200)는, 제1-1압륜부(110), 제1-1협지편(111), 제1-1경사부(120), 제1중간부(130), 제1-2경사부(140), 제1-2압륜부(150), 제1-1체결부(160), 제1-2체결부(170)와 대응하여, 제2-1압륜부, 제2-1협지편, 제2-1경사부, 제2중간부, 제2-2경사부, 제2-2압륜부, 제2-1체결부, 제2-2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100)는 하나의 강판을 판재 성형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즉 하나의 강판(두께 약 2mm)을 적절한 크기로 재단하여 일정한 형태를 형성한 후 펀칭 등에 의하여 제1-1체결부 내지 제1-2체결부 각각의 볼트구멍 및 제1-1협지편을 형성하고, 디프 드로잉 등에 의하여 제1탄성부(즉 제1-1경사부, 제1중간 부, 제1-2경사부 ) 등을 형성한 것이다.
제2분할 박판형 압륜구(200) 또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1,2분할 박판형 압륜구(100,200)가 제조된 후, 이를 편수관에 조립한다.
도 1과 같이 편수관(10)의 패킹 장착부(12)에 수밀 패킹(30)을 장착한 후, 편수관(10)의 확관부(11)에 편수관(20)의 우측 단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본 압륜장치가 조립된다.
제1-1압륜부(110) 및 제2-1압륜부가 편수관(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장착되며, 제1-2압륜부(150) 및 제2-2압륜부가 편수관(10)의 확관부(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장착된 후, 제1체결수단이 제1-1체결부(160)와 제2-1체결부를 체결하며, 제2체결수단이 제1-2체결부(170)와 제2-2체결부를 서로 체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2체결수단은 체결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다.
제1,2체결수단의 체결력에 의하여 제1-1압륜부(110)의 제1-1협지편(111)과 및 제2-1압륜부의 제2-1협지편이, 제1-2압륜부(150)와 제2-2압륜부가 편수관의 외주면을 강력하게 압착하면서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본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가 설치되면, 편수관의 연결부위가 본 압륜장치에 의하여 대부분 감싸인 구조로 되므로 그 외관이 매우 미려하게 된다.
아울러 본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는 매우 간단한 제조 공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조립이 매우 간단하다.
또한 이렇게 조립된 상태에서 편수관 내부의 유체압력이 상승할 경우 편수관의 이탈력에 의하여 제1-1압륜부(110)와 제1-1경사부(120)의 경사각, 제1-1경사부(120)와 제1중간부(130)의 경사각, 제1중간부(130)와 제1-2경사부(140)의 경사각이 작아지면서 본 압륜 장치의 전체적인 길이가 신장된다.
이렇게 본 압륜 장치가 신장되는 경우에도 원주 방향 전체에 걸쳐 인장력이 골고루 분산되므로 본 압륜 장치의 형태가 뒤틀리지 않게 된다.
아울러 다시 편수관 내부의 유체압력이 하강할 경우 강판에 의하여 제조된 본 제1,2분할 박판형 압륜구(100)의 탄성복원력에 따라 제1-1압륜부(110)와 제1-1경사부(120)의 경사각, 제1-1경사부(120)와 제1중간부(130)의 경사각, 제1중간부(130)와 제1-2경사부(140)의 경사각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본 압륜 장치의 전체적인 길이가 원래 상태로 복원된다.
따라서 유체압력의 잦은 상승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본 압륜 장치는 자신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이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거한 다른 실시예의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C-C기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가 도 4의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제1탄성부에 절개구멍(131)이 형성된다는 점이다. 물론 본 실시예의 제2분할 박판형 압륜구 또한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10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절개구멍(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절개구멍(131)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형태이다.
본 박판형 압륜장치가 편수관의 이탈력에 따라 뒤틀림 등이 발생되지 않기 위하여는 원주방향을 따라 균일한 인장력이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는 가급적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박판형 압륜장치, 특히 제1탄성부의 종단면 구조는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1탄성부(구체적으로는 제1-1경사부, 제1중간부, 제1-2경사부)가 디프 드로잉 과정에서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는 디프 드로잉은 강판의 두께가 줄어드는 만큼 그 면적이 넓어지게 되므로, 디프 드로잉에 따른 면적 증가율이 동일하지 않다면 강판의 두께 변화도 동일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제1-1경사부, 제1중간부, 제1-2경사부의 면적 증가율이 상이하다면 그 두께 변화 또한 상이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디프 드로잉 직전에 미리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구멍(131)을 형성하다면 디프 드로잉에 의한 면적 증가율을 거의 일치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원주방향으로 균등한 두께를 가지게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거한 또다른 실시예의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가 도 7의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제1탄성부에 형성된 절개구멍(131)의 형성 방향이 박판형 압륜구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형태의 절개구멍(131)은 탄성부에 더욱 강한 신축력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거한 또다른 실시예의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정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D-D 기준 단면도이며, 도 16은 도 14의 E-E 기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는 3개의 부품이 용접에 의하여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형태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는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100)는, 제1탄성부용 박판(100a)와 제1-1압륜용 후판(100b)와 제1-2압륜용 후판(100b)로 이루어진다.
물론 제2분할 박판형 압륜구(200) 또한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100)와 대응되어 제2탄성부용 박판과, 제2-1압륜용 후판과, 제2-2압륜용 후판으로 이루어진다.
제1탄성부용 박판(100a)은 반원통 형태의 제1-1압륜 접합부(120a)와, 제1-1경사부(120), 제1중간부(130), 제1-2경사부(140), 반원통 형태의 제1-2압륜 접합부(140a)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1탄성부용 박판(100a)은 하나의 강판의 판재 성형에 의하여 제작되며, 제1탄성부(120, 130, 140)의 양측에 제1-1,2압륜 접합부(120a, 140a)가 일 체로 형성된 형태이다.
제1-1압륜용 후판(100b)은 제1탄성부용 박판(100a)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제1-1압륜부(110)와 제1-1체결부(160)로 이루어진다.
제1-2압륜용 후판(100c)은 제1탄성부용 박판(100a)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제1-2압륜부(150)와 제1-2체결부(17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1압륜부(110)의 외주면에 제1-1압륜 접합부(120a)가 저항 용접 등에 의하여 면접촉되면서 일체로 형성되며, 제1-2압륜부(150)의 외주면에 제1-2압륜 접합부(140a)가 저항 용접 등에 의하여 면접촉되면서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박판형 압륜구를 이용하면 제1탄성부용 박판(100a)에 의한 신축성은 물론이며, 제1-1압륜용 후판(100b) 내지 제1-2압륜용 후판(100c)에 의한 견고한 클램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편수관의 이탈을 위한 압륜장치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가 편수관에 조립된 상태의 개념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가 편수관에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압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A기준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기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거한 다른 실시예의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C-C기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거한 또다른 실시예의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거한 또다른 실시예의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의 분리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조립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정면도,
도 15는 도 14의 D-D 기준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E-E 기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 110 : 제1-1압륜부
111 : 제1-1협지편 120 : 제1-1경사부
130 : 제1중간부 131 : 절개구멍
140 : 제1-2경사부 150 : 제1-2압륜부
160 : 제1-1체결부 170 : 제1-2체결부

Claims (6)

  1. 횡단면이 평판 형태인 반원통 형태의 제1-1압륜부와, 상기 제1-1압륜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설되되 횡단면이 방사상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인 반원통 형태의 제1탄성부와, 상기 제1탄성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설되되 횡단면이 평판 형태이며 상기 제1-1압륜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반원통 형태의 제1-2압륜부와, 상기 제1-1압륜부의 원주방향 양단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제1-1체결부와, 상기 제1-2압륜부의 원주방향 양단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제1-2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 ;
    횡단면이 평판 형태인 반원통 형태의 제2-1압륜부와, 상기 제2-1압륜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설되되 횡단면이 방사상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인 반원통 형태의 제2탄성부와, 상기 제2탄성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설되되 횡단면이 평판 형태인 반원통 형태의 제2-2압륜부와, 상기 제2-1압륜부의 원주방향 양단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제2-1체결부와, 상기 제2-2압륜부의 원주방향 양단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제2-2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분할 박판형 압륜구 ;
    상기 제1-1체결부와 상기 제2-1체결부를 서로 체결하기 위한 제1체결수단 ;
    상기 제1-2체결부와 상기 제2-2체결부를 서로 체결하기 위한 제2체결수단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
    상기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는 하나의 강판의 판재 성형에 의하여 상기 제1-1압륜부, 상기 제1탄성부, 상기 제1-2압륜부, 상기 제1-1체결부, 상기 제1-2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며 ; 상기 제2분할 박판형 압륜구는 하나의 강판의 판재 성형에 의하여 상기 제2-1압륜부, 상기 제2탄성부, 상기 제2-2압륜부, 상기 제2-1체결부, 상기 제2-2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인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
    상기 제1분할 박판형 압륜구는, 하나의 강판의 판재 성형에 의하여 제1탄성부 및 상기 제1탄성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1-1압륜 접합부 및 제1-2압륜 접합부로 이루어진 제1탄성부용 박판과, 상기 제1탄성부용 박판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1-1압륜부와 상기 제1-1체결부로 형성된 제1-1압륜용 후판과, 상기 제1탄성부용 박판의 두께보다 두께운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1-2압륜부와 상기 제1-2체결부로 형성된 제1-2압륜용 후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1압륜부의 외주면에 상기 제1-1압륜 접합부가 면접촉되면서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2압륜부의 외주면에 상기 제1-2압륜 접합부가 면접촉되면서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
    상기 제2분할 박판형 압륜구는, 하나의 강판의 판재 성형에 의하여 제2탄성부 및 상기 제2탄성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2-1압륜 접합부 및 제2-2압륜 접합부로 이루어진 제2탄성부용 박판과, 상기 제2탄성부용 박판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1압륜부와 상기 제2-1체결부로 형성된 제2-1압륜용 후판과, 상기 제2탄성부용 박판의 두께보다 두께운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2압륜부와 상기 제2-2체결부로 형성된 제2-2압륜용 후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1압륜부의 외주면에 상기 제2-1압륜 접합부가 면접촉되면서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2압륜부의 외주면에 상기 제2-2압륜 접합부가 면접촉되면서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
    상기 제1탄성부는, 제1-1압륜부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부터 확관되는 제1-1경사부와, 상기 제1-1경사부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중간부와, 상기 제1중간부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부터 축관되어 상기 제1-2압륜부와 연결되는 제1-2경사부로 이루어지며 ;
    상기 제2탄성부는 제2-1압륜부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부터 확관되는 제2-1경사부와, 상기 제2-1경사부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중간부와, 상기 제2중간부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부터 축관되어 상기 제2-2압륜부와 연결 되는 제2-2경사부로 이루어지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
    상기 제1-1압륜부에 판재 성형 가공에 의하여 다수의 제1-1협지편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1압륜부에 판재 성형 가공에 의하여 다수의 제2-1협지편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
    상기 제1탄성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
KR1020090072250A 2009-08-06 2009-08-06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 KR100923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250A KR100923709B1 (ko) 2009-08-06 2009-08-06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250A KR100923709B1 (ko) 2009-08-06 2009-08-06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3709B1 true KR100923709B1 (ko) 2009-10-27

Family

ID=41562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250A KR100923709B1 (ko) 2009-08-06 2009-08-06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7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490B1 (ko) * 2010-10-21 2013-01-22 (주)와이디아이 엘보형 편수이음관, 및 편수이음관의 연결구조
WO2014030829A1 (ko) * 2012-08-24 2014-02-27 Kang Suk-Keun 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
KR200479409Y1 (ko) * 2014-01-08 2016-01-26 강석근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
KR200489441Y1 (ko) * 2018-07-17 2019-06-19 공필주 배관용 클램프 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98A (ja) 1984-06-15 1986-01-08 Daito Kako Kk 感熱性孔版印刷用原紙
JPH08238032A (ja) * 1990-06-29 1996-09-17 Sumitomo Chem Co Ltd 継 手
KR20090085216A (ko) * 2008-02-04 2009-08-07 권혜숙 유연한 재질의 패킹을 갖는 배관용 이음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98A (ja) 1984-06-15 1986-01-08 Daito Kako Kk 感熱性孔版印刷用原紙
JPH08238032A (ja) * 1990-06-29 1996-09-17 Sumitomo Chem Co Ltd 継 手
KR20090085216A (ko) * 2008-02-04 2009-08-07 권혜숙 유연한 재질의 패킹을 갖는 배관용 이음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490B1 (ko) * 2010-10-21 2013-01-22 (주)와이디아이 엘보형 편수이음관, 및 편수이음관의 연결구조
WO2014030829A1 (ko) * 2012-08-24 2014-02-27 Kang Suk-Keun 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
KR200479409Y1 (ko) * 2014-01-08 2016-01-26 강석근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
KR200489441Y1 (ko) * 2018-07-17 2019-06-19 공필주 배관용 클램프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79749B (zh) 具有第一和第二构件以及公和母固定元件的构件连接体
KR100923709B1 (ko)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
CN100436919C (zh) 挤压连接装置
US20100244436A1 (en) Fitting for connecting a pipe
KR101224489B1 (ko) 편수관, 및 편수관과 이음관의 연결구조
US9085338B2 (en) Bicycle expander
CN101839381B (zh) 一种管连接用压轮组件
US8136211B2 (en) Clamping collar
KR101224490B1 (ko) 엘보형 편수이음관, 및 편수이음관의 연결구조
CN104344127A (zh) 易于部件组装的触发***式导管连接装置
KR200318911Y1 (ko) 파이프 고정 장치
US20160258466A1 (en) Method for Fastening Components
US4602811A (en) U-bolt clamp construction
DE502007005723D1 (de) Wellrohr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KR101709723B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90059092A (ko) 합성수지관 연결구
KR101279933B1 (ko) 합성수지관용 클램프
US8973227B2 (en) Process of fitting a collapsible clip to a sleeve of a piezoelectric actuator
KR200198059Y1 (ko) 고압호스 연결용 피팅
KR101944865B1 (ko) 스토퍼 링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장치
KR100344383B1 (ko) 프레스 성형으로 가공한 배관 이음용 커플링
EP3543578B1 (en) Composite anchoring body, pipeline connection device using anchoring body,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CN203907083U (zh) 一种新型卡箍接头
CN205274841U (zh) 缠绕机伸缩式调节杆
CN203463824U (zh) 一种塑钢缠绕管连接用不锈钢卡箍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