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218B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218B1
KR100918218B1 KR1020070108387A KR20070108387A KR100918218B1 KR 100918218 B1 KR100918218 B1 KR 100918218B1 KR 1020070108387 A KR1020070108387 A KR 1020070108387A KR 20070108387 A KR20070108387 A KR 20070108387A KR 100918218 B1 KR100918218 B1 KR 100918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plate
layer
light
transparent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5616A (ko
Inventor
츠네오 스즈키
야스야 미타
노리유키 벳시
와타루 요코야마
미노루 도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35500A external-priority patent/JP490510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080055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10Registration, licensing, or lik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면측 상에 형성되며 디스플레이될 디자인에 대응하는 패턴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갖는 투명판; 투명판의 후면측 및 투명판의 오목부를 제외한 영역 상에 배치되며, 투명판에 대향하는 표면에서 광반사성을 갖는 제 1 반사재; 투명판의 후면측 및 투명판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영역 상에 배치되며, 투명판에 대향하는 면에서 광반사성을 갖는 제 2 반사재; 및 조명되는 경우, 투명판의 오목부를 제외한 영역으로부터 투명판의 전면측으로 광을 방출하지 않으면서 투명판의 오목부를 통해 투명판의 전면측으로 광을 방출하며, 투명판의 후면 측상에 배치되는 광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문자 또는 도형과 같은 디스플레이될 물체를 밝게 디스플레이하며, 조명되지 않는 경우 외관에서 향상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JP 05-238325A 에는, 투명 전면 커버가 설비되는 발광 장식품, 하프 미러가 제공되는 라이트 가이드, 및 LED 가 개시되며, 여기서, 투명 전면 커버는 후면에 형성된 오목부를 갖고, 오목부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하고 차광층이 투명 전면 기판의 후면 상에 형성되고, 라이트 가이드가 전면 커버의 후면측 상에 배치되고, LED 가 라이트 가이드의 후면측 상에서 광원으로서 배치된다. LED 로부터 발광된 광은 라이트 가이드에 의해 분산되고, 하프 미러를 통해 통과하고 전면 커버의 오목부를 통해 외부로 출사된다. LED 가 발광하지 않는 경우, 외부광이 하프 미러에 의해 반사되는 전면 커버의 오목부를 통과하여, 오목부를 통해 다시 외부로 출사된다.
따라서, 발광 장식품은 전면 커버의 오목부를 밝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또한 전면 커버의 오목부로 입사된 외부광을 반사할 수 있다.
그러나, JP 05-238325A 에 따른 발광 장식품에서는, 발광 장식품이 조명되지 않는 경우, 발광 장식품에 입사된 외부광이 전면 커버의 오목부를 제외한 영역에서는 차광층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전면 커버의 오목부에 입사된 외부광이 하프 미러에 의해 반사되는 동안 전면 커버의 오목부와 오목부를 제외한 영역이 현저하게 상이해 보인다. 따라서, 전면 커버 상의 오목부를 제외한 영역과 오목부 사이의 재료의 차이가 강조되어, 발광 장식품이 외관상 열화되는 문제점이 유발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내재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행해졌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되지 않는 경우의 외관을 향상시키면서 조명된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물체로서의 디자인을 밝게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되는 경우에도 외부광의 휘도보다 낮은 휘도 (예를 들어, 10 cd 이하의 휘도) 로 조명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여, 광원이 발광하고 있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밝은 환경에서 조명되지 않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또 다른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후면측 상에 형성되며 디스플레이될 디자인에 대응하는 패턴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갖는 투명판; 투명판의 후면측 및 투명판의 오목부를 제외한 영역 상에 배치되며, 투명판에 대향하는 면에서 광반사성을 갖는 제 1 반사재; 투명판의 후면측 및 투명판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영역 상에 배치되며, 투명판에 대향하는 면에서 광반사성을 갖는 제 2 반사재; 및 조명되는 경우, 투명판의 오목부를 제외한 영역으로부터 투명판의 전면측으로 광을 방출하지 않으면서 투명판의 오목부를 통해 투명판의 전면측으로 광을 방출하며, 투명판의 후면 측상에 배치되는 광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되지 않는 경우의 외관을 향상시키면서 조명된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물체로서의 디자인을 밝게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명되는 경우에도 외부광의 휘도보다 낮은 휘도 (예를 들어, 10 cd 이하) 로 조명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여, 광원이 발광하고 있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밝은 환경에서 조명되지 않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후면 (1b) 측 상에 형성된 오목부 (2) 를 갖는 투명판 (1) 을 포함한다. 오목부 (2) 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디자인에 대응하는 패턴에 따라 형성된다. 차광층 (3) 이,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외하고 투명판 (1) 의 후면 (1b) 상에 제공된다. 차광층 (3) 은, 투명판 (1) 의 후면 (1b) 에 대향하는 전면 (3a) 에서 광반사성을 갖는다. 차광층 (3) 의 후면 (3b) 상에는, 투명판 (1) 의 전체 표면을 가로질러 하프 미러층 (4) 이 제공된다. 또한, 광원 (5) 이 하프 미러층 (4) 의 후면측 상에 제공된다. 차광층 (3) 및 하프 미러층 (4) 은 디자인 형성층 A 를 형성한다.
투명판 (1) 은,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로 구성된 투명 수지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유리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투명판 (1) 을 형성하는 재료는, 투명하고 오목부 (2) 가 형성될 수 있는한 제한되지 않는다.
광반사성을 갖는 차광층 (3) 은,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외하고 투명판 (1) 의 후면 (1b) 상에서 Al, Cr 또는 Mo 과 같은 금속재를 증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차광층 (3) 은,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외하고 투명판 (1) 의 후면 (1b) 에 부착되는, 전술한 금속재로 구성된 시트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프 미러층 (4) 은 Al, Cr 또는 Mo 과 같은 금속재로 구성되는 하프 미러 시트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하프 미러층 (4) 또한, 광원 (5) 의 전면 상에 Al, Cr 또는 Mo 와 같은 금속재를 증착 또는 스퍼터링 퇴적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디자인 형성층 A 를 형성하는 하프 미러층 (4) 및 차광층 (3) 은, 필름 시트형 형상 또는 박판형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예를 들어, 투명 시트재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도 있고, 이러한 적층은 투명판 (1) 과 광원 (5) 사이에 삽입될 수도 있다. 적어도 투명판 (1) 의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에 하프 미러층 (4) 이 제공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따라서, 하프 미러층 (4) 및 차광층 (3) 을 투명 시트재 상에 또는 광원 (5) 의 전면 상에 제공하는 경우, 하프 미러층 (4) 은 투명판 (1) 의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 상에, 차광층 (3) 은 투명판 (1) 의 오목부 (2) 를 제외한 영역 상에, 각각 그 영역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가 적어도 투명판 (1) 의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에 발광할 수 있는한 임의의 타입의 디바이스가 광원 (5) 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예로는, LED 를 갖거나 어레이로 설정된 형광 튜브를 갖는 디바이스, 및 라이트 가이드에 의해 LED 또는 형광 튜브로부터 광을 가이드하는 디바이스가 포함된다. 또한,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디바이스와 같은 면 발광 디바이스 또한 광원 (5) 으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투명판 (1) 의 오목부 (2) 에 의해 형성된 디자인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투명판 (1) 의 전면 (1a) 이 예를 들어 내부로 향하는 방식으로 차량 등의 내부에 배치된다.
광원 (5) 이 발광하지 않는 경우, 오목부 (2) 에 의해 형성된 디자인은 외부광을 수단으로 투명판 (1) 을 통해 식별될 수 있다. 이 때, 광반사성을 갖는 차광층 (3) 이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외하고 투명판 (1) 의 후면 (1b) 상에 제공되기 때문에, 투명판 (1) 을 통과한 후 차광층 (3) 에 도달한 외부광 L1 은 차광층 (3) 의 전면 (3a) 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투명판 (1) 을 통과하고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투명판 (1) 의 오목부 (2) 에 대향하도록 하프 미러층 (4) 이 제공되기 때문에, 투명판 (1) 을 통과한 후 오목부 (2) 에 도달한 외부광 L2 는 오목부 (2) 를 통해 하프 미러층 (4) 에 입사하고, 하프 미러층 (4) 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다시 투명판 (1) 을 통과함으로써 외부로 방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광이 오목부 (2) 를 제외한 영역으로 입사했는지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입사했는지 여부에 무관하게, 외부광은 투명판 (1) 의 후면 (1b) 측 상에서 유사하게 반사된다. 따라서, 오목부 (2) 에 의해 형성된 디자인에 대응하는 부분과 디자인을 제외한 부분이 동일한 재료로 구성된 것처럼 보인다. 또한, 오목부 (2) 에 기인하여, 디자인에 대응하는 부분은 나머지 부분에 대해 엠보싱되는 것처럼 보이며, 이것은, 금속판을 스탬핑함으로써 디자인이 형성된 것같은 인상을 준다.
차광층 (3) 과 하프 미러층 (4) 이 서로 더 근접한 반사율을 갖는 경우, 오목부 (2) 에 의해 형성된 디자인에 대응하는 부분과 디자인 이외의 부분은 서로 더 유사하게 보인다. 따라서, 차광층 (3) 과 하프 미러층 (4) 이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사율을 갖는 경우, 금속판을 스탬핑함으로써 디자인이 형성되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전술한 효과는 최대가 된다.
또한, 차광층 (3) 과 하프 미러층 (4) 이 서로 근접한 반사 스펙트럼을 갖는 경우, 오목부 (2) 에 의해 형성된 디자인에 대응하는 부분과 나머지 부분은 색조에서 서로 더 유사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판을 스탬핑함으로써 디자인이 형성되는 것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차광층 (3) 및 하프 미러층 (4) 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사 스펙트럼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광원 (5) 이 발광을 시작하는 경우, 도 1 의 점선으로 표시된, 광원 (5) 으로부터 발광된 광 L3 은 하프 미러층 (4) 을 통과하고, 차광층 (3) 이 존재하지 않는 오목부 (2) 를 통해 투명판 (1) 에 입사하여, 투명판 (1) 을 통과한 후 외부로 방출된다. 이 때, 오목부 (2) 를 제외한 영역에서는, 광원 (5) 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차광층 (3) 에 의해 차단되고, 따라서, 오목부 (2) 에 의해 형성된 디자인에 대응하는 부분만 조명되는 것으로 보인다.
즉, 광원 (5) 이 발광하지 않는 경우, 금속판을 스탬핑함으로써 디자인이 형성된 것처럼 보이고, 이것은, 광이 디자인을 통해 투과하지 않는 인상을 야기한다. 그러나, 광원 (5) 이 발광을 시작하는 경우, 디자인에 대응하는 부분만 조명되고, 따라서 외관상 향상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달성한다.
제 2 실시형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층 (6) 이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패턴층 (6) 은, 투명판 (1) 의 후면 (1b) 상의 전체 표면을 가로질러 커버하도록, 즉,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과 오목부 (2) 를 제외한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 모두를 가로질러 커버하도록 투명판 (1) 과 차광층 (3)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 패턴층 (6) 은 전체 표면 상에 제공되는 헤어라인 패턴 등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광투명성을 갖는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차광층 (3), 하프 미러층 (4), 및 패턴층 (6) 이 디자인 형성층 A 를 형성한다.
전술한 구조에 있어서, 광원 (5) 이 발광하지 않는 경우, 투명판 (1) 을 통과하여 차광층 (3) 및 오목부 (2) 에 도달하는 외부광 L1 및 외부광 L2 는, 각각 패턴층 (6) 을 통과하여 차광층 (3) 의 전면 (3a) 및 하프 미러층 (4) 에 의해 반사되고, 각각 패턴층 (6) 및 투명판 (1) 을 다시 통과한 후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패턴층 (6) 상의 패턴은 오목부 (2) 에 의해 형성된 디자인 및 디자인을 제외한 부분 상에 겹쳐진 것으로 보이고, 이것은, 이러한 부분들이 동일한 재료로 구성된 것처럼 보이게 하는 효과를 더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헤어라인 패턴이 제공되는 패턴층 (6) 이 사용되는 경우, 헤어라인 처리된 알루미늄판을 스탬핑함으로써 디자인이 형성된 것처럼 보이게 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더 고급스러운 품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패턴층 (6) 상에 제공되는 패턴은 헤어라인 패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이한 형상 및 사이즈를 갖는 다양한 패턴이 또한 패턴층 (6)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더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벽, 바닥, 또는 천장에 제공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둘러싼 영역의 패턴과 유사한 패턴을 갖는 패턴층 (6) 이 이용되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주위 영역과 더 조화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 미러층 (4), 차광층 (3) 및 패턴층 (6) 은, 필름 시트형 형상 또는 박판형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투명 시트재 B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도 있고, 이러한 적층은 디자인 형성층 A 으로서 투명판 (1) 과 광원 (5) 사이에 삽입될 수도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4 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는, 도 1 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와 같이 차광층 (3) 의 후면 (3b) 측 상에 하프 미러층 (4) 을 제공하는 대신에, 하프 미러층 (4) 이 투명판 (1) 의 후면 (1b) 과 차광층 (3) 의 전면 (3a) 사이에 제공되고, 차광층 (3) 및 하프 미러층 (4) 이 디자인 형성층 A 를 형성한다. 제 1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하프 미러층 (4) 이 투명판 (1) 의 전체 표면을 가로질 러 제공되고, 차광층 (3) 이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외하고 투명판 (1) 에 제공된다.
광원 (5) 이 발광하지 않는 경우, 오목부 (2) 에 의해 형성된 디자인은 외부광을 수단으로 투명판 (1) 을 통해 식별될 수 있다. 오목부 (2) 를 제외한 영역에서 투명판 (1) 을 통과하여 하프 미러층 (4) 에 도달한 외부광 L1, 및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투명판 (1) 을 통과하여 하프 미러층 (4) 에 도달한 외부광 L2 모두는 하프 미러층 (4) 의 표면 상에서 반사하여 투명판 (1) 을 다시 통과한 후 외부로 방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외부광 L1 및 외부광 L2 모두는 오목부 (2) 를 제외한 영역 및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 모두에서 공통 하프 미러층 (4) 에 의해 반사된다. 즉, 외부광 L1 및 외부광 L2 는 동일한 반사율로 반사되어, 오목부 (2) 에 의해 형성된 디자인에 대응하는 부분 및 디자인을 제외한 부분이 동일한 재료로 구성된 것처럼 보이게 하고, 디자인에 대응하는 부분은 오목부 (2) 에 기인하여 나머지 부분에 비해 엠보싱된 것으로 보이게 하여 금속판을 스탬핑함으로써 디자인이 형성된 인상을 준다.
광원 (5) 이 발광을 시작하는 경우, 도 4 의 점선으로 표시된, 광원 (5) 으로부터 발광된 광 L3 은 하프 미러층 (4) 를 통과하고, 오목부 (2) 를 통해 투명판 (1) 에 입사하고, 투명판 (1) 을 통과한 후 외부로 방출된다. 이 때, 오목부 (2) 를 제외한 영역에서는, 광원 (5) 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차광층 (3) 에 의해 차단되고, 따라서, 오목부 (2) 에 의해 형성된 디자인에 대응하는 부분만 조명되는 것으로 보인다.
제 3 실시형태에 따르면, 광원 (5) 이 발광하지 않는 경우, 외부광 L1 및 외부광 L2 은, 차광층 (3) 의 전면 (3a) 상에 배치되는 하프 미러층 (4) 상에서 반사되고, 따라서, 차광층 (3) 은 제 1 실시형태에서와 달리 광반사성을 가질 필요가 없다. 따라서, 차광층 (3) 은 광을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재료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자인 형성층 A 를 형성하는 하프 미러층 (4) 및 차광층 (3) 은, 필름 시트형 형상 또는 박판형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예를 들어, 투명 시트재 상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도 있고, 이러한 적층은, 하프 미러층 (4) 이 투명판 (1) 에 대향하는 방식으로 투명판 (1) 과 광원 (5) 사이에 삽입될 수도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표면 상에 제공되는 헤어라인 패턴 등을 갖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패턴층 (6) 이 전술한 제 3 실시형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패턴층 (6) 은, 투명판 (1) 의 후면 (1b) 상에서 전체 표면을 가로질러 커버하도록, 즉,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 및 오목부 (2) 를 제외한 영역 모두를 가로질러 커버하도록, 투명판 (1) 과 하프 미러층 (4)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차광층 (3), 하프 미러층 (4) 및 패턴층 (6) 이 디자인 형성층 A 를 형성한다.
전술한 구조에 있어서, 광원 (5) 이 발광하지 않는 경우, 오목부 (2) 를 제외한 영역에서 투명판 (1) 을 통과하여 하프 미러층 (4) 에 도달하는 외부광 L1, 및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투명판 (1) 을 통과하여 하프 미러층 (4) 에 도달하는 외부광 L2 모두는, 패턴층 (6) 을 통과하여 하프 미러층 (4) 에 의해 반사되고, 패턴층 (6) 및 투명판 (1) 을 다시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제 2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패턴층 (6) 상의 패턴은 오목부 (2) 에 의해 형성된 디자인 및 디자인을 제외한 부분 상에 겹쳐져 보이고, 이것은 이러한 부분들이 동일한 재료로 구성된 것처럼 보이게 하는 효과를 더 향상시킨다.
또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층 (6) 은 투명 시트재 B 상에 형성될 수도 있고, 하프 미러층 (4) 및 차광층 (3) 은, 필름 시트형 형상 또는 박판형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투명 시트 B 의 하부면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도 있고, 이러한 적층은 디자인 형성층 A 로서 투명판 (1) 과 광원 (5) 사이에 삽입될 수도 있다.
제 5 실시형태
도 7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는, 도 1 에 도시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하프 미러층 (4) 및 광원 (5) 대신에, 미러형 면 발광 디바이스 (7) 가 광원으로서 차광층 (3) 의 후면 (3b) 상에 제공된다. 제 5 실시형태에서는, 디자인 형성층 A 가 차광층 (3) 에 의해 형성된다.
면 발광 디바이스 (7) 는, 투명 전극층 (9),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층 (10) 및 반사 전극층 (11) 을 투명 기판 (8) 상에 적층함으로써 획득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슨스 소자 (12; 이하, "유기 EL 소자 (12)" 라 함) 를 포함한다. 보호층 (13) 이 유기 EL 소자 (12) 의 전체를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투명 기판 (8) 은, 투명판 (1) 및 저지층 (3) 에 대향하는 면 발광 디바이스 (7) 의 전면 (7a) 으로서 그 후면을 갖는다.
전술한 구조에 있어서, 투명 기판 (8) 은 재료가 가시광에 대해 투명성을 갖는한 임의의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재료의 예로는 유리 및 수지가 포함된다. 투명 전극층 (9) 은 재료가 적어도 가시광에 대해 투명성을 갖고 전극으로서의 기능을 갖는한 임의의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TO 가 투명 전극층 (9) 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채택될 수도 있다.
유기층 (10) 은 단지 발광층을 포함하는 단일층 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고, 또는, 발광층, 및 홀 주입층, 홀 수송층, 홀 주입 및 수송층, 홀 저지층, 전자 주입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저지층 중 하나 이상이 적층되는 다중층 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발광층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Alq3 또는 DCM 과 같은 적어도 공지의 유기 발광재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홀 주입층, 홀 수송층, 홀 주입 및 수송층, 홀 저지층, 전자 주입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저지층 각각은 적절한 공지의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반사 전극층 (11) 은 재료가 적어도 가시광에 대해 반사성을 갖고 전극으로서의 기능을 갖는한 임의의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l, Cr, Mo, Al 합금, 또는 Al 및 Mo 의 적층이 반사 전극층 (11) 을 형성하는데 채택될 수도 있다.
보호층 (13) 은, 예를 들어, 질화 규소, 산화질화 규소, 산화 규소의 플라즈 마 CVD 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한다. 면 발광 디바이스 (7) 가 발광하지 않는 경우, 오목부 (2) 에 의해 형성되는 디자인은 외부광을 수단으로 투명판 (1) 을 통해 식별될 수 있다. 이 때, 광반사성을 갖는 차광층 (3) 이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외하고 투명판 (1) 의 후면 (1b) 상에 제공되기 때문에, 투명판 (1) 을 통과한 후 차광층 (3) 에 도달한 외부광 L1 은 차광층 (3) 의 전면 (3a) 에 의해 반사되어 투명판 (1) 을 다시 통과한 후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유기 EL 소자 (12) 의 반사 전측층 (11) 이, 투명판 (1) 의 오목부 (2) 에 대향하도록 제공되기 때문에, 투명판 (1) 을 통과한 후 오목부 (2) 에 도달한 외부광 L2 는 오목부 (2) 를 통과하고, 유기 EL 소자 (12) 의 투명 기판 (8), 투명 전극층 (9) 및 유기층 (10) 을 더 통과한다. 그 후, 외부광 L2 은 반사 전극층 (11) 에 의해 반사되어 유기층 (10), 투명 전극층 (9), 투명 기판 (8), 오목부 (2) 및 투명판 (1) 을 다시 통과하고 외부로 방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광이 오목부 (2) 를 제외한 영역에 입사하든지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에 입사하든지에 무관하게, 외부광은 투명판 (1) 의 전면 (1b) 측 상에서 유사하게 반사된다. 따라서, 오목부 (2) 에 의해 형성된 디자인에 대응하는 부분 및 디자인을 제외한 부분이 동일한 재료로 구성된 것처럼 보인다. 또한, 오목부 (2) 에 기인하여, 디자인에 대응하는 부분은 나머지 부분에 대해 엠보싱된 것으로 보이고, 이것은, 금속판을 스탬핑함으로써 디자인이 형성된 것과 같은 인상을 준다.
차광층 (3) 및 유기 EL 소자 (12) 의 반사층 (11) 이 서로 더 근접한 반사율을 갖는 경우, 오목부 (2) 에 의해 형성된 디자인에 대응하는 부분 및 디자인을 제외한 부분은 서로 더 유사하게 보인다. 따라서, 차광층 (3) 및 유기 EL 소자 (12) 의 반사 전극층 (11) 이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사율을 갖는 경우, 금속판을 스탬핑함으로써 디자인이 형성되는 것처럼 보이는 전술한 효과는 최대가 된다.
한편, 전류가 유기 EL 소자 (12) 의 투명 전극층 (9) 과 반사 전극층 (11) 사이를 통과하여 유기 EL 소자 (12) 를 턴온하는 경우, 유기층 (10) 에 의해 발광된 광 L3 은 투명 전극층 (9) 에 직접 입사되거나 또는 반사 전극층 (11) 에 의해 반사된 후 투명 전극층 (9) 에 입사되고, 투명 기판 (8) 을 통과한 후 면 발광 디바이스 (7) 의 전면 (7a) 으로부터 더 방출된다. 광 L3 은, 차광층 (3) 이 존재하지 않는 오목부 (2) 를 통과한 후 투명판 (1) 에 입사하고, 투명판 (1) 을 통과한 후 외부로 방출된다. 이 때, 오목부 (2) 를 제외한 영역에서는, 면 발광 디바이스 (7) 로부터 발광된 광이 차광층 (3) 에 의해 차단되고, 따라서, 오목부 (2) 에 의해 형성된 디자인에 대응하는 부분만 조명된 것으로 보인다.
즉, 면 발광 디바이스 (7) 가 발광하지 않는 경우, 금속판을 스탬핑함으로써 디자인이 형성되는 것처럼 보이고, 이것은, 광이 디자인을 통해 투과하지 않는 인상을 준다. 그러나, 면 발광 디바이스 (7) 가 발광을 시작하는 경우, 디자인에 대응하는 부분만 조명되어, 외관상 향상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달성한다.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유기 EL 소자 (12) 를 사용하는 면 발광 디바이스 (7) 가 광원으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곡면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두께를 용이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것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차량 등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제 6 실시형태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표면 상에 제공되는 헤어라인 패턴 등을 갖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패턴층 (6) 이 전술한 제 5 실시형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패턴층 (6) 은, 투명판 (1) 의 후면 (1b) 상의 전체 표면을 가로질러 커버하도록, 즉,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 및 오목부 (2) 를 제외한 영역 모두를 가로질러 커버하도록 투명판 (1) 과 차광층 (3)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 6 실시형태에서는, 차광층 (3) 및 패턴층 (6) 이 디자인 형성층 A 를 형성한다.
전술한 구조에 있어서, 면 발광 디바이스 (7) 가 발광하지 않는 경우, 투명판 (1) 을 통과하여 차광층 (3) 및 오목부 (2) 에 도달하는 외부광 L1 및 외부광 L2 모두는, 각각 패턴층 (6) 을 통과하여 차광층 (3) 의 전면 (3a) 및 유기 EL 소자 (12)의 반사 전극층 (11) 에 의해 반사되고, 각각 패턴층 (6) 및 투명판 (1) 을 다시 통과한 후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제 2 실시형태 및 제 4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패턴층 (6) 상의 패턴은 오목부 (2) 에 의해 형성된 디자인 및 디자인을 제외한 부분에 겹쳐져 보이고, 이러한 부분들이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효과를 더 향상시킨다.
또한, 디자인 형성층 A 를 형성하는 패턴층 (6) 및 차광층 (3) 은, 필름 시 트형 형상 또는 박판형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예를 들어, 투명 시트재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도 있고, 이러한 적층은, 패턴층 (6) 이 투명판 (1) 에 대향하는 방식으로 투명판 (1) 과 면 발광 디바이스 (7) 사이에 삽입될 수도 있다.
제 7 실시형태
도 9 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는, 도 7 에 도시된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투명판 (1) 의 후면 (1b) 상에 배치되는 차광층 (3) 이 생략되고, 미러형 면 발광 디바이스 (7) 가 그 전면 (7a) 으로부터 투명판 (1) 의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으로만 광을 방출시킨다.
면 발광 디바이스 (7) 는, 유기 EL 소자 (12) 의 투명 전극층 (9) 과 유기층 (10) 사이에서 패턴-형성되는, 전기적 절연체로 형성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절연층 (14) 을 포함한다. 절연층 (14) 은, 투명판 (1) 의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존재하지 않고 오목부 (2) 를 제외한 영역에만 존재하도록 패터닝된다.
이렇게 제공된 절연층 (14) 에 기인하여, 전류가 유기 EL 소자 (12) 의 투명 전극층 (9) 과 반사 전극층 (11) 사이를 통과하여 유기 EL 소자 (12) 를 턴온시키는 경우, 유기 EL 소자 (12) 는 유기층 (10) 으로부터 투명판 (1) 의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발광한다.
면 발광 디바이스 (7) 가 발광하지 않는 경우, 오목부 (2) 에 의해 형성된 디자인은 외부광을 수단으로 투명판 (1) 을 통해 식별될 수 있다. 절연층 (14) 이 광투명성을 갖기 때문에, 오목부 (2) 를 제외한 영역에서 투명판 (1) 을 통과하 여 면 발광 디바이스 (7) 에 도달하는 외부광 L1, 및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투명판 (1) 을 통과하여 면 발광 디바이스 (7) 에 도달하는 외부광 L2 모두는, 유기 EL 소자 (12) 의 반사 전극층 (11) 에 의해 반사되어 투명판 (1) 을 통과한 후 외부로 방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외부광 L1 및 외부광 L2 모두는 오목부 (2) 를 제외한 영역 및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공통 반사 전극층 (11) 에 의해 반사된다. 즉, 외부광 L1 및 외부광 L2 는 동일한 반사율로 반사되고, 이것은, 오목부 (2) 에 의해 형성되는 디자인에 대응하는 부분 및 디자인을 제외한 부분을 동일한 재료로 구성된 것처럼 보이게 하고, 오목부 (2) 에 기인하여, 디자인에 대응하는 부분이 나머지 부분에 대해 엠보싱된 것으로 보이게 하여, 금속판을 스탬핑함으로써 디자인이 형성되는 것과 같은 인상을 준다.
한편, 전류가 유기 EL 소자 (12) 의 투명 전극층 (9) 과 반사 전극층 (11) 사이를 통과하여 유기 EL 소자 (12) 를 턴온시키는 경우, 유기 EL 소자 (12) 는 유기층 (10) 으로부터 투명판 (1) 의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발광한다. 광 L3 은 투명 전극층 (9) 에 직접 입사되거나, 또는 반사 전극층 (11) 에 의해 반사된 후 투명 전극층 (9) 에 입사되고, 투명 기판 (8) 을 통과한 후 면 발광 디바이스 (7) 의 전면 (7a) 으로부터 더 방출된다. 그 후, 광 L3 이 오목부 (2) 를 통과한 후 투명판 (1) 에 입사되고, 투명판 (1) 을 통과한 후 외부로 방출된다. 이 때, 오목부 (2) 를 제외한 영역에서는, 절연층 (14) 에 기인하여 광이 유기층 (10) 에 의해 발광되지 않고, 따라서, 오목부 (2) 에 의해 형성된 디자인에 대응하는 부분만 조명되는 것으로 보인다.
즉, 면 발광 디바이스 (7) 가 발광하지 않는 경우, 금속판을 스탬핑함으로써 디자인이 형성되는 것처럼 보이고, 이것은 광이 디자인을 통해 투과하지 않는 인상을 준다. 그러나, 면 발광 디바이스 (7) 가 발광을 시작하는 경우, 디자인에 대응하는 부분만 조명되어, 외관상 향상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달성한다.
제 8 실시형태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표면 상에 제공되는 헤어라인 패턴 등을 갖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패턴층 (6) 이 전술한 제 7 실시형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패턴층 (6) 은, 투명판 (1) 의 후면 (1b) 측 상에서 전체 표면을 가로질러 커버하도록, 즉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 및 오목부 (2) 를 제외한 영역 모두를 가로질러 커버하도록 투명판 (1) 과 면 발광 디바이스 (7)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전술한 구조에 있어서, 면 발광 디바이스 (7)가 발광하지 않는 경우, 오목부 (2) 를 제외한 영역에서 투명판 (1) 을 통과하여 면 발광 디바이스 (7) 에 도달하는 광 L1, 및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투명판 (1) 을 통과하여 면 발광 디바이스 (7) 에 도달하는 광 L2 모두는 패턴층 (6) 을 통과하여 유기 EL 소자 (12) 의 반사 전극층 (11) 에 의해 반사되고, 패턴층 (6) 및 투명판 (1) 을 다시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제 2, 제 4 및 제 6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패턴층 (6) 상의 패턴은 오목부 (2) 에 의해 형성된 디자인 및 디자인을 제외한 부분 상에서 겹쳐져 보이고, 이것은 이러한 부분들이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효과를 더 향상시킨다.
제 9 실시형태
전술한 제 7 및 제 8 실시형태 각각에서 이용되는 면 발광 디바이스 (7) 는, 유기 EL 소자 (12) 의 투명 전극층 (9) 과 유기층 (10) 사이에 패턴-형성되는 절연층 (14) 를 포함한다. 다른 방법으로,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 절연체로 구성되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절연층 (14) 이 유기 EL 소자 (12) 의 유기층 (10) 과 반사 전극층 (11) 사이에 패턴-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도, 광은 유기층 (10) 으로부터 투명판 (1) 의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발광되어, 제 7 및 제 8 실시형태와 유사한 효과를 생성한다.
또한,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EL 소자 (12) 의 투명 전극층 (9) 은 투명판 (1) 의 오목부 (2) 를 제외한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도, 광은 유기층 (10) 으로부터 투명판 (1) 의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발광되어, 제 7 및 제 8 실시형태와 유사한 효과를 생성한다.
또한,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EL 소자 (12) 의 유기층 (10) 은 투명판 (1) 의 오목부 (2) 를 제외한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도 있다. 투명판 (1) 의 오목부 (2) 를 제외한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유기 EL 소자 (12) 의 투명 전극층 (9) 및 반사 전극층 (11) 은 그 사이에 배치되는 미도시된 절연층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도, 광은 투명판 (1) 의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발광되어, 제 7 및 제 8 실시형태와 유사한 효과를 생성한다.
제 10 실시형태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도 1 에 도시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체적 확산판 (15) 을 추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획득된다. 체적 확산판 (15) 은, 차광층 (3) 및 하프 미러층 (4) 으로 형성되는 디자인 형성층 A 와 광원 (5) 사이에 배치된다.
체적 확산판 (15) 은 광의 휘도를 흡수하면서 광원 (5) 으로부터 발광된 광을 확산시키고, 비즈와 같은 다중 필러를 포함하는 반투명 수지 또는 표면 상에 어스패러티를 갖는 반투명 수지로 형성된다.
체적 확산판 (15) 은 디자인 형성층 A 와 광원 (5) 사이에 제공되어, 낮은 휘도 균일성을 갖는 광원 (5) 이 이용되는 경우에도 투명판 (1) 의 오목부 (2) 에 의해 형성되는 디자인을 균일하게 조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체적 확산판 (15) 은 휘도를 흡수하여, 낮은 휘도로 조명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달성한다.
또한, 체적 확산판 (15) 에 기인하여 기계적 강도가 증가되기 때문에, 투명판 (1) 은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투명판 (1) 의 두께가 감소되는 경우, 투명판 (1) 의 표면 (1a) 과 오목부 (2) 사이의 거리 또한 감소되어 깊이감이 감소되고, 이것은, 금속판을 스탬핑함으로써 디자인이 형성되는 것과 같은 더 현저한 인상을 제공한다.
또한, 체적 확산판 (15) 의 투과 스펙트럼이 적절하게 선택되면, 동일한 광 원 (5) 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임의의 발광색을 획득할 수도 있다.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적 확산판 (15) 이 광원 (5) 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광원 (5) 과 체적 확산판 (15) 사이에 틈 d 를 생성하는 경우, 광원 (5) 의 휘도에서의 변동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디자인을 균일하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예를 들어, 로드가 인가될 수도 있는, 자동차와 같은 차량의 스커프판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광원 (5) 과 체적 확산판 (15) 사이의 틈 d 에 기인하여, 투명판 (1) 의 전면 (1a) 에 인가된 로드로부터 광원 (5) 이 보호된다. 틈 d 는, 투명판 (1) 에 인가된 로드에 기인하여 투명판 (1) 및 체적 확산판 (15) 이 변형되는 경우에도 체적 확산판 (15) 이 광원 (5) 의 전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충분히 클 필요가 있다.
더 상세하게는,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에 형성된 계단 (16) 을 갖고 상단이 개방되는 케이스 (17) 의 바닥에 광원 (5) 이 고정되고, 디자인 형성층 A 및 투명판 (1) 이 계단 (16)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광원 (5) 과 체적 확산판 (15) 사이에 틈 d 를 생성한다. 투명판 (1) 은 케이스 (17) 의 상단에 초음파 용접되어, 체적 확산판 (15) 및 디자인 형성층 A 가 케이스 (17) 의 계단 (16) 과 투명판 (1) 사이에 개재되고, 그 결과 밀봉된 케이스 구조가 획득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케이스 (17) 및 투명판 (1) 은 모듈로 집적되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계적 강도를 전체적으로 증가시키고, 이것은, 수분 또는 먼지와 같은 외부 물체가 광원 (5) 과 체적 확산판 (15)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케이스 (17) 의 뒷면에 부착되는 접착 테이프 (18) 를 사용하여 차량 등의 설치 표면에 고정될 수도 있고, 디자인은,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등으로 구성된 금속판 (19) 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전술한 구조는, 디자인 형성층 A 와 광원 (5) 사이에 체적 확산판 (15) 을 제공하고 체적 확산판 (15) 을 광원 (5) 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함으로써, 제 2 내지 제 4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 11 실시형태
도 17 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체적 확산판 (15) 을 제공함으로써 획득된다. 체적 확산판 (15) 은 디자인 형성층 A 를 형성하는 차광층 (3) 의 후면측 상에 배치되고, 면 발광 디바이스 (7) 가 틈 d 에 의해 체적 확산판 (15) 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2 파장 이상의 휘도 피크를 갖는 유기 EL 소자가 면 발광 디바이스 (7) 의 유기 EL 소자 (12) 로 사용되는 경우, 유기 EL 소자 (12) 는 파장을 생성하는 전기적 특성에서 상이한 재료로 형성되고, 이것은, 유기 EL 소자 (12) 가 더 낮은 전압에서 구동되는 경우 채도에서의 변동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안정된 발광 상태를 획득할만큼 충분히 높은 특정한 전압량이 인가될 필요가 있고, 낮은 휘도에서는 안정된 발광을 달성하기가 어렵다. 반대로, 제 11 실시형태에 서는, 체적 확산판 (15) 이 휘도를 흡수하여, 채도를 안정시킬만큼 충분히 높은 전압이 유기 EL 소자 (12) 에 인가되는 경우에도 낮은 휘도에서 조명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물체에 기인하여 유기 EL 소자에 다크 스팟이 생성될 수도 있지만, 다크 스팟은 체적 확산판 (15) 에 기인하여 눈에 띄지 않을 수 있고, 이것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면 발광 디바이스 (7) 는 유리 등으로 구성된 투명 기판 (8) 을 사용하며, 이것은, 체적 확산판 (15) 이 제공되고 틈 d 가 체적 확산판 (15) 과 면 발광층 (7) 사이에 형성되기 때문에, 투명판 (1) 에 인가되는 로드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구조는, 디자인 형성층 A 와 광원 (5) 사이에 체적 확산판 (15) 을 제공하고, 체적 확산판 (15) 을 광원 (5) 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함으로써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 12 실시형태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체적 확산판 (15) 을 적용함으로써 획득된다. 체적 확산판 (15) 은 투명판 (1) 과 면 발광 디바이스 (7) 사이에 배치되고, 틈 d 는 체적 확산판 (15) 과 면 발광 디바이스 (7) 사이에 형성된다.
이 경우에도, 체적 확산판 (15) 에 기인하여, 낮은 휘도에서 조명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달성할 수 있어서, 다크 스팟이 눈에 띄지 않게하여 디바이스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면 발광 디바이스 (7) 의 투명 기판 (8) 이 투명판 (1) 에 인가되는 로드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구조는, 투명판 (1) 과 광원 (5) 사이에 체적 확산판 (15) 을 제공하고, 이 체적 확산판 (15) 을 광원 (5) 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함으로써 제 8 또는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 13 실시형태
도 19 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투명판 (1) 의 후면 (1b) 상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위치결정핀 (31), 및 차광층 (3) 및 하프 미러층 (4) 을 포함하는 디자인 형성층 A 에 형성된 위치결정홀 (32) 을 추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획득된다. 투명판 (1) 상의 위치결정핀 (31) 은 디자인 형성층 A 의 위치결정홀 (32) 에 삽입되어, 투명판 (1) 과 디자인 형성층 A 를 서로 위치시킨다. 위치결정핀 (31) 및 위치결정홀 (32) 은 위치결정 수단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판 (1) 및 디자인 형성층 A 를 케이스 (17) 에 탑재하는 경우, 투명판 (1) 및 디자인 형성층 A 가 케이스 (17) 에 서로 독립적으로 부착되면, 케이스 (17) 에 투명판 (1) 의 탑재시 발생하는 치수 편차 및 케이스 (17) 에 디자인 형성층 A 의 탑재시 발생하는 치수 편차가 투명판 (1) 과 디자인 형성층 A 사이에서 큰 치수 편차로 합산된다. 제 13 실시형태에 따른 위치결정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투명판 (1) 과 디자인 형성층 A 사이의 탑재 편차를 감소시켜 디자인을 더 양호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제 2 내지 제 6, 제 10 및 제 11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는, 투명판 (1) 과 디자인 형성층 A 사이의 탑재 편차를 감소시키도록, 위치결정핀 (31) 은 투명판 (1) 의 후면 (1b) 상에 형성될 수도 있고, 위치결정홀 (32) 은 도 19a 및 도 19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자인 형성층 A 에 형성될 수도 있다.
위치결정 수단은 위치결정핀 (31) 및 위치결정홀 (32) 의 조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2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형 부분 (33) 이 투명판 (1) 의 후면 (1b) 의 외부 에지 상에 형성될 수도 있고, 디자인 형성층 A 이 이 계단형 부분 (33) 에 의해 한정된 공간에 피팅되어, 투명판 (1) 과 디자인 형성층 A 사이의 탑재 편차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제 14 실시형태
도 21 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투명판 (1) 의 후면 (1b) 상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위치결정핀 (31), 면 발광 디바이스 (7) 의 투명 기판 (8) 에 형성된 위치결정홀 (34) 을 추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획득된다. 투명판 (1) 상의 위치결정핀 (31) 은 면 발광 디바이스 (7) 의 위치결정홀 (34) 에 삽입되어, 투명판 (1) 과 면 발광 디바이스 (7) 를 서로 위치시킨다. 위치결정핀 (31) 및 위치결정홀 (34) 은 위치결정 수단을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위치결정 수단에 기인하여, 투명판 (1) 과 면 발광 디바이스 (7) 사이의 탑재 편차가 감소되어 디자인을 더 양호하게 보이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제 8, 제 9 및 제 12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도, 위치결정핀 (31) 이 투명판 (1) 의 후면 (1b) 상에 형성될 수도 있고, 위치결정홀 (34) 이 면 발광 디바이스 (7) 에 형성되어, 투명판 (1) 과 면 발광 디바이스 (7) 사이의 탑재 편차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위치결정 수단은 위치결정핀 (31) 및 위치결정홀 (34) 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20 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유사하게, 투명판 (1) 의 후면 (1b) 의 외부 에지 상에 계단형 부분 (33) 이 형성되고, 면 발광 디바이스 (7) 가 이 계단형 부분 (33) 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에 피팅되어, 투명판 (1) 과 면 발광 디바이스 (7) 사이의 탑재 편차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제 15 실시형태
도 22 는 본 발명의 제 15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금속판 (19) 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디자인이 디스플레이되는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에 적용된다. 제 15 실시형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따르면, 차광층 (3) 에 사용될 재료의 색은, 금속판 (19) 과 차광층 (3) 이 유사한 색조로 보이도록 선택된다.
전술한 구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그 주변 상에 제공되는 금속 판 (19) 와 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어서, 외관상 향상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제 2 내지 제 6, 제 10, 제 11, 및 제 13 실시형태의 차광층 (3) 에 대한 재료의 색, 또는 제 7 내지 제 9, 제 12 및 제 14 실시형태의 면 발광 디바이스 (7) 의 반사 전극층 (11) 에 대한 재료의 색 또한 금속판 (19) 의 색조와 유사한 색조를 나타내도록 선택될 수 있다.
제 16 실시형태
도 23 은 본 발명의 제 16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자인 형성층 A 가 투명판 (1) 의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반투명층 (35) 을 포함하도록,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변형함으로써 획득된다. 반투명층 (35) 은 차광층 (3) 과는 상이한 색을 가지고, 그에 따라, 투명판 (1) 의 오목부 (2) 와 그 오목부 (2) 를 제외한 영역 사이의 차이가 강조되어, 식별될 디자인에 향상된 공간 효과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제 2 내지 제 6, 제 10, 제 11 및 제 13 실시형태 각각에서는, 투명판 (1) 의 오목부 (2) 에 대응하는 영역에 반투명층 (35) 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7 실시형태
전술한 제 1 내지 제 16 실시형태 각각에 따르면, 투명판 (1) 의 후면 (1b) 측 상에 형성되는 오목부 (2) 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예를 들어, 도 2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 (2) 가 형성될 수도 있고, 여기서 오목부 (2) 는 C-챔퍼링을 통해 45 도 챔퍼링된 코너 (21) 를 가지며, 이것은 오목부 (2) 에 의해 형성되는 디자인의 윤곽을 더 선명하게 하여, 스탬핑된 금속판으로 디자인이 구성되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더 향상된 효과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 (2) 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R-챔퍼링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 (2) 가 코너 (22) 에 곡선 형상을 제공하도록 R-챔퍼링된 코너 (22) 를 가질 수도 있고, 또는 도 2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 (2) 가 전체적으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술한 바와 동일한 효과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2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챔퍼링을 통해 각각 45 챔퍼링된 코너를 갖는 한 쌍의 오목부 (2) 가 서로 근접하게 제공되는 경우, 투명판 (1) 에 입사하는 외부광 L4 가 오목부 (2) 각각의 C-챔퍼링된 부분에서 반사되도록 생성되고, 투명판 (1) 의 외부로 방출됨을 유의해야 한다. 전술한 외부광 L4 에 기인하여, C-챔퍼링된 부분이 나머지 부분보다 더 높은 휘도로 조명되어 디자인이 어색하게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경우가 존재할 수도 있다.
전술한 관점에서, 도 2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부 (24) 및 곡면부 (23) 가 각진 인터페이스부 E 를 형성하도록 오목부 (2) 가 곡면부 (23) 에 접속되는 평탄부 (24) 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오목부 (2) 가 R-챔퍼링되는 경우, 또는 도 2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 (2) 가 평탄부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디자인은 더 명확하게 디스플레이하여 디자인의 공간 효과를 보 장하면서 광이 곡면부 (23) 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곡면부의 길이 L 에 대한 곡면부 (23) 의 높이 H 가 실질적으로 H/L = 1/10 내지 1/20 을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 (2) 는 디스플레이될 디자인에 따라 선택되는 임의의 단면 형상일 수도 있다. 디자인을 평탄한 것으로 보이게 하는 반사를 억제하기 위해 오목부 (2) 를 R-챔퍼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자인을 공간적으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또는 디자인의 윤곽을 더 명확하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오목부 (2) 가 C-챔퍼링될 수도 있다. 반사를 억제하면서 디자인을 공간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오목부 (2) 를 평탄부만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상세하게는, 2 이상의 디자인이 서로 근접하게 위치되는 경우, 오목부 (2) 가 평탄부 및 곡면부로 형성되고, 서로 인접한 평탄부 및 곡면부가 각진 인터페이스부를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8 실시형태
도 29 는 본 발명의 제 18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는, 투명판 (1) 의 오목부 (2) 가 광원 (5) 에 의해 조명될 디자인의 사이즈보다 소정량 W 만큼 크게 형성된다. 더 상세하게는, 조명될 디자인의 사이즈가 차광층 (3) 의 개구부 (3c) 에 의해 정의되기 때문에, 투명판 (1) 의 오목부 (2) 는 차광층 (3) 의 개구부 (3c) 보다 소정량 W 만큼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디자인 형성층 A 과 투명판 (1) 사이에 탑재 편차 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광원 (5) 에 의해 조명될 디자인이 투명판 (1) 의 오목부 (2) 에지에 부분적으로 놓여지는 상황을 방지하여 디자인의 외관상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광층 (3) 의 개구부 (3c) 가 투명판 (1) 의 오목부 (2) 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투명판 (1) 의 오목부 (2) 가 도 2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에서 C-챔퍼링되는 경우에, 오목부 (2) 의 C-챔퍼링된 부분 상에 조사되는 광의 양이 감소된다. 그 결과, C-챔퍼링된 부분이 더 어둡게 보이므로 디자인의 디스플레이시에 공간 효과가 강조된다.
전술한 제 18 실시형태는 전술한 제 1 내지 제 17 실시형태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내지 제 9, 제 12 및 제 14 실시형태 각각에서는, 저면발광형 (bottom-emission type) 유기 EL 디바이스를 갖는 면 발광 디바이스 (7) 가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면 발광 디바이스 (7) 와 같은 상면발광형 (top-emission type) 유기 EL 디바이스를 갖는 미러형 면 발광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도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유기 EL 디바이스 대신에 무기 EL 디바이스를 갖는 미러형 면 발광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 는 도 30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커프판 S, 예를 들어, 차량 등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18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 가 스커프판 S 에 설치되고, 예를 들어 차종 또는 회사명을 나타내는 문자가 디스 플레이되는 경우, 그 문자는 조명되는 않을 때 금속판을 스탬핑함으로써 형성된 것처럼 보인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 가 조명되는 경우 문자에 대응하는 부분이 발광하여 디스플레이된 문자의 외관을 향상시킨다. 또한, 문자가 조명되는 경우에도 외부광의 휘도보다 낮은 휘도로 조명되어, 광원이 발광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 가 조명되지 않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 는 문자뿐 아니라, 로고, 마크, 기하학적 문양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 는 차량의 내부 조명으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 가 스커프판 S 에 설치되는 경우, 문이 개방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 가 조명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 가 문의 개폐와 함께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 는 스커프판 S 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제 5 내지 9, 제 12, 및 제 14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유기 EL 소자 (12) 를 사용하는 면 발광 디바이스 (7) 가 광원으로서 이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두께가 감소되고 곡면 형상으로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것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설치될 수 있는 장소의 다양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자동차와 같은 차량뿐만 아니라 빌딩, 가구, 전기 제품 등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설치 장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 는 각각,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 각각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를 각각 도시하는 단면도.
도 3 은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 및 도 5 는 각각,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 및 제 4 실시형태 각각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를 각각 도시하는 단면도.
도 6 은 제 4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 내지 도 11 은 각각, 본 발명의 제 5 내지 제 9 실시형태 각각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를 각각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 는 제 9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 은 제 9 실시형태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 는 제 10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 는 제 10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6 은 제 10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 시하는 단면도.
도 17 내지 도 19 는 각각, 본 발명의 제 11 내지 제 13 실시형태 각각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를 각각 도시하는 단면도.
도 19a 및 도 19b 는 제 13 실시형태의 변형예 각각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를 각각 도시하는 단면도.
도 20 은 제 13 실시형태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1 내지 24 는 본 발명의 제 14 내지 제 17 실시형태 각각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를 각각 도시하는 단면도.
도 25 는 제 17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이용되는 투명판의 오목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6 은 제 17 실시형태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이용되는 투명판의 오목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7 은, 2 개의 오목부가 서로 근접하여 제공되는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을 도시하는 도면.
도 28 은 제 17 실시형태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이용되는 투명판의 오목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9 는 본 발명의 제 18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0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차량의 스커프 판에 적용 된 차량의 내부를 도시하는 부분 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투명판 2 : 오목부
3 : 차광층 4 : 하프 미러층
5 : 광원 6 : 패턴층
7 : 면 발광 디바이스 8 : 투명 기판
9 : 투명 전극층 10 : 유기층
11 : 반사 전극층 12 : 유기 EL 소자
13 : 보호층 14 : 절연층
15 : 체적 확산판 16 : 계단
17 : 케이스 18 : 접착 테이프
19 : 금속판 31 : 위치결정핀
32 : 위치결정홀 33 : 계단형 부분

Claims (26)

  1. 디스플레이될 디자인에 대응하는 패턴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오목부가 후면측 상에 형성된 투명판;
    상기 투명판의 후면측 및 상기 투명판의 오목부를 제외한 영역 상에 배치되며, 상기 투명판에 대향하는 면에서 광반사성을 갖는 제 1 반사재;
    상기 투명판의 후면측 및 상기 투명판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영역 상에 배치되며, 상기 투명판에 대향하는 면에서 광반사성을 갖는 제 2 반사재; 및
    상기 투명판의 후면측 상에 배치되고, 조명되는 경우, 상기 투명판의 오목부를 제외한 영역으로부터 상기 투명판의 전면측으로 광을 방출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투명판의 오목부를 통해 상기 투명판의 전면측으로 발광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재는 상기 투명판에 대향하는 전면에서 광반사성을 가지는 차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반사재는 하프 미러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제 1 반사재의 후면측 및 상기 제 2 반사재의 후면측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재는 하프 미러층의 후면측 상에 배치되는 차광층 및 하프 미러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반사재는 하프 미러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제 1 반사재의 후면측 및 상기 제 2 반사재의 후면측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재는 상기 투명판에 대향하는 전면에서 광반사성을 갖는 차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그 후면측 상에 반사층을 포함하며 전면으로부터 발광하는 미러형 면 발광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형 면 발광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반사재의 후면측 및 적어도 상기 투명판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반사재는 상기 미러형 면 발광 디바이스의 반사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그 후면측 상에 반사층을 포함하며 전면으로부터 상기 투명판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영역으로만 발광하는 미러형 면 발광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반사재 및 상기 제 2 반사재 각각은 상기 미러형 면 발광 디바이 스의 반사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재 및 상기 제 2 반사재는 서로 동일한 반사율을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재 및 상기 제 2 반사재는 서로 동일한 반사 스펙트럼을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소망하는 패턴이 제공되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패턴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광학적으로 투명한 패턴층은 상기 투명판과 상기 제 1 반사재 사이, 및 상기 투명판과 상기 제 2 반사재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투명판의 후면측 상의 전체 표면에 걸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형 면 발광 디바이스는,
    상기 반사층을 형성하는 반사 전극층을 포함하는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디바이스;
    투명 전극층; 및
    상기 반사 전극층 및 상기 투명 전극층 사이에 개재되는 발광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형 면 발광 디바이스는,
    상기 반사층을 형성하는 반사 전극층을 포함하는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디바이스;
    투명 전극층; 및
    상기 반사 전극층과 상기 투명 전극층 사이에 개재되는 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 전극층은 상기 투명판의 오목부를 제외한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부분적으로 제거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형 면 발광 디바이스는,
    상기 반사층을 형성하는 반사 전극층을 포함하는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디바이스;
    투명 전극층;
    상기 반사 전극층과 상기 투명 전극층 사이에 개재되는 발광층; 및
    상기 투명판의 오목부를 제외한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투명 전극층 및 상기 반사 전극층 중 하나와 상기 발광층 사이에 제공되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절연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의 색과 상이한 색을 갖는 반투명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반투명층은 상기 투명판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영역 상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과 상기 광원 사이에 배치되는 체적 확산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체적 확산층은 상기 광원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재 및 상기 제 2 반사재는, 상기 투명판으로부터 분리되어 제공되는 박막 부재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과 상기 박막 부재를 서로 위치시키는 위치결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재 및 상기 제 2 반사재는, 상기 투명판으로부터 분리되어 제공되는 박막 부재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과 상기 박막 부재를 서로 위치시키는 위치결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재는, 상기 투명판으로부터 분리되어 제공되는 박막 부재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과 상기 박막 부재를 서로 위치시키는 위치결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과 상기 면 발광 디바이스를 서로 위치시키는 위치결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의 오목부는 C-챔퍼링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의 오목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R-챔퍼링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의 오목부는 복수의 평탄부 및 복수의 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평탄부 각각 및 상기 복수의 곡면부 각각은 서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5. 제 24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상기 복수의 평탄부 각각 및 상기 복수의 곡면부 각각은 서로 연결되어 각진 인터페이스부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의 오목부는 상기 광원에 의해 조명되는 디자인의 사이즈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070108387A 2006-12-13 2007-10-26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0918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35500A JP4905105B2 (ja) 2006-04-28 2006-12-13 表示装置
JPJP-P-2006-00335500 2006-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616A KR20080055616A (ko) 2008-06-19
KR100918218B1 true KR100918218B1 (ko) 2009-09-21

Family

ID=39271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387A KR100918218B1 (ko) 2006-12-13 2007-10-26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932726A3 (ko)
KR (1) KR100918218B1 (ko)
CN (1) CN1012019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02730A1 (de) * 2010-02-25 2011-08-31 Weidmann Plastics Tech Ag Beleuchtbares Bauteil.
JP2022550041A (ja) * 2019-09-26 2022-11-30 コベストロ・インテレクチュアル・プロパティ・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アンド・コー・カーゲー 半透明の金属化意匠表面
CN114071905A (zh) * 2020-08-04 2022-02-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壳体组件和电子设备
CN115107888B (zh) * 2022-08-12 2023-11-07 浙江极氪智能科技有限公司 前盖结构以及车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8325A (ja) * 1992-03-02 1993-09-17 Tokai Rika Co Ltd 発光装飾品
JPH0683274A (ja) * 1992-09-04 1994-03-25 Tokai Rika Co Ltd 発光表示装置
KR20010094908A (ko) * 2000-04-07 2001-11-03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반투과 액정 표시장치
JP2006039285A (ja) 2004-07-28 2006-02-09 Kojima Press Co Ltd 装飾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0220A (en) 1979-04-26 1980-12-23 Barry Smith Reflector with illuminated indicia
JPH03287427A (ja) * 1990-04-02 1991-12-18 Toyoda Gosei Co Ltd 装飾品
JP4596100B2 (ja) * 2000-09-28 2010-12-08 豊田合成株式会社 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8325A (ja) * 1992-03-02 1993-09-17 Tokai Rika Co Ltd 発光装飾品
JPH0683274A (ja) * 1992-09-04 1994-03-25 Tokai Rika Co Ltd 発光表示装置
KR20010094908A (ko) * 2000-04-07 2001-11-03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반투과 액정 표시장치
JP2006039285A (ja) 2004-07-28 2006-02-09 Kojima Press Co Ltd 装飾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01997B (zh) 2011-01-12
EP1932726A3 (en) 2009-12-16
KR20080055616A (ko) 2008-06-19
EP1932726A2 (en) 2008-06-18
CN101201997A (zh) 200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1394B2 (en) Display device
KR101431107B1 (ko)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20200035770A1 (en) Displ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8618727B2 (en)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US7752791B2 (en) Display device
US6971758B2 (en) Illumination device
KR101338738B1 (ko) 발광 플라스틱 글레이징
US20050212414A1 (en)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with slight color shifting
KR100918218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040217681A1 (en) Display device with light-shielding substrat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5758082B2 (ja) 発光装置
US20100118521A1 (en) Illuminated window
JP7184818B2 (ja) 車両用灯具
CN113066830A (zh)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JP2005134789A (ja) 装飾部材
CN114420876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TW201031246A (en) OLED device with adjustable color appearance
US10100985B2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for lighting
JP2000035347A (ja) メータ構造
KR20180103774A (ko) 조명 간판
CN111081897B (zh) 一种oled屏体
CN105276481A (zh) 发光装置和车辆用灯具
KR100877377B1 (ko) 도어 스커프
JP6078274B2 (ja) 有機elモジュール及び鏡面部材
JP2018135012A (ja) 車両用加飾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