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5806B1 -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분산적 공간 다중화 및 분산적공간 다이버시티 수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분산적 공간 다중화 및 분산적공간 다이버시티 수행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5806B1
KR100915806B1 KR1020060087981A KR20060087981A KR100915806B1 KR 100915806 B1 KR100915806 B1 KR 100915806B1 KR 1020060087981 A KR1020060087981 A KR 1020060087981A KR 20060087981 A KR20060087981 A KR 20060087981A KR 100915806 B1 KR100915806 B1 KR 100915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mitter
ofdm
frames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3872A (ko
Inventor
신오순
이종혁
이주현
윤상보
권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7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5806B1/ko
Priority to US11/853,967 priority patent/US9203554B2/en
Publication of KR20080023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1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7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using interleaving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6Co-operative diversity, e.g. using fixed or mobile stations as r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4Concatenated codes
    • H04L1/0065Serial concatenated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7R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178Arrangements involving sequence estimation techniques
    • H04L25/03248Arrangements for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other apparatus
    • H04L25/03292Arrangements for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other apparatus with channel estimation circui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분산적 공간 다중화 및 분산적 공간 다이버시티 수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송신기는, 송신 데이터를 외부 부호화하는 외부 부호기와, 상기 외부 부호기로부터의 데이터를 인터리빙하는 외부 인터리버와, 상기 외부 인터리버로부터의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프레임들 각각을 내부 부호화하는 내부 부호기와, 상기 내부 부호기로부터의 계층적 부호화된 프레임들 각각을 해당 중계기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60087981
다중홉 릴레이, 분산적 공간 다중화, 분산적 공간 다이버시티, 계층적 부호화

Description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분산적 공간 다중화 및 분산적 공간 다이버시티 수행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ED SPATIAL MULTIPLEXING AND DISTRIBUTED SPATIAL DIVERSITY IN MULTI-HOP RELAY SYSTEM}
도 1은 N-1개의 중계기들을 이용한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하나의 프레임이 전송되는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분산적 공간 다이버시티 시스템에서 하나의 프레임이 전송되는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분산적 공간 다중화 시스템에서 하나의 프레임이 전송되는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계층적 부호화된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송신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송신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수신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셀룰러 시스템의 상향링크에서 하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중계기가 하나인 경우의 적용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셀룰러 시스템의 하향링크에서 하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중계기가 하나인 경우 적용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셀룰러 시스템의 상향링크에서 하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중계국이 2개인 경우 적용예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은 다중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셀룰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산적 공간 다중화(distributed spatial multiplexing)와 분산적 공간 다이버시티(distributed spatial diversity)를 동시에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 한 것이다.
3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전송률보다 더 높은 전송률을 지원하고 서비스 가능한 영역(coverage)을 확장하기 위해 새로운 4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많은 선진 국가의 연구소와 기업들은 향후 4세대 표준화를 위해 이미 경쟁적으로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고주파 영역에서 동작하는 4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은 높은 경로 손실로 인하여 전송률과 서비스 영역이 제한되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 다중홉(multi-hop)을 이용한 신호 전달 방식이 연구되고 있다. 다중홉을 이용한 기술은 중계기(RS : Relay Station)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릴레이 함으로써 경로 손실을 줄여 고속 데이터 통신을 가능케 하며, 기지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말(MS : Mobile Station)로도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서비스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은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 데이터를 중계해주는 하나 이상의 중계기가 필요하다. 셀룰라 시스템에서 중계기는 기지국 및 사용자 단말과 구분되는 별도의 장치가 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이 다른 사용자 단말에 대한 중계기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두 노드간 통신은 송신기-중계기, 중계기-중계기, 중계기-수신기의 직렬적인 무선 링크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 1은 N-1개의 중계기들을 이용한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하나의 프레임이 전송되는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프레임의 전송은 N개의 단위 자원(resource unit) 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단위 자원은 시간 또는 주파수축 상에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시간 슬롯(time slot)으로 단위자원을 구성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슬롯1에서는 송신기가 중계기1로 프레임을 전송하고, 슬롯(N-1)에서는 중계기(N-2)가 이전 슬롯에서 수신된 프레임을 중계기(N-1)로 전송하며, 슬롯N에서는 중계기(N-1)가 이전 슬롯에서 수신된 프레임을 수신기로 전송한다.
대표적으로, 다중홉 릴레이 기술은 크게 증폭 및 포워드(Amplify & Forward) 방식과 디코드 및 포워드(Decode & Forward)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증폭 및 포워드 방식은 중계기가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RF신호를 단순히 증폭하여 수신기로 릴레이 전송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구현은 비교적 간단하지만 중계기에서 신호와 함께 잡음도 동시에 증폭되어 잡음확장(noise enhancement) 문제를 가진다. 반면, 디코드 및 포워드 방식은 중계기가 수신된 신호를 먼저 복조 및 복호(decoding)한 다음 다시 변조 및 부호화(encoding)하여 릴레이 전송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디코드 및 포워드 방식은 증폭 및 포워드 방식에 비해 구현 복잡도는 높고 오류전파(error propagation)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오류전파 문제는 링크제어 프로토콜을 잘 설계함으로써 극복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디코드 및 포워드 방식은 증폭 및 포워드 방식에 비해 유연한 기술 확장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선택적 중계(selection relaying) 방식과 점진적 중계(incremental relaying) 방식은 디코드 및 포워드 방식에 링크제어 프로토콜을 첨가한 대표적인 예이다.
최근, 디코드 및 포워드 방식의 발전된 형태로서, 다중홉 릴레이 기술에 송 신 안테나 다이버시티(transmit antenna diversity) 개념을 적용한 상호 협력적 다이버시티(cooperation diversity) 기술이 제안된바 있다. 이는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직접 통신과 다중홉 통신을 결합한 형태로서,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 다수의 신호 전달 경로들을 형성하여 다중홉 전송으로 인한 이득과 동시에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고자 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송신기와 중계기가 공간상에서 분산된 형태의 다중안테나를 형성하여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분산적 공간 다이버시티(DSD : Distributed Spatial Diversity)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해서는 시공간 부호(STC : space-time coding)와 같은 송신 다이버시티 기술의 적용이 요구된다.
도 2는 분산적 공간 다이버시티 시스템에서 하나의 프레임이 전송되는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1 구간에서는 송신기가 중계기1로 프레임을 전송하고, 슬롯 2 구간에서는 송신기와 중계기1이 시공간 부호화된 신호를 중계기2로 전송하며, 슬롯 N 구간에서는 송신기와 중계기들(중계기1∼중계기(N-1))이 시공간 부호화된 신호를 동시에 수신기로 전송함으로써,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는다.
상술한 증폭 및 포워드 방식 또는 디코드 및 포워드 방식을 이용한 다중홉 릴레이 기술 및 분산적 공간 다이버시티 기술의 기본 전제 조건은 송신시간과 수신구간이 서로 분리되어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신신호가 수신신호에 비해 전력이 훨씬 크기 때문에 중계기가 동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동시에 송 수신하는 것은 하드웨어적으로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송신기-중계기, 중계기-중계기의 통신을 위한 별도의 무선 자원이 할당되어야 한다. 이는 수신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오버헤드(overhead)로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다중홉 릴레이 및 분산적 공간 다이버시티 기술은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직접 전송에 비해 보다 신뢰성 있는 전송을 할 수 있는 반면, 상기한 오버헤드로 인하여 전송률 저하를 야기한다. 예를 들어, 중계기가 하나인 경우 송신기-중계기, 중계기-수신기의 링크를 통해 같은 전송률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직접 전송의 50%의 전송률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한 전송률 저하 문제는 링크간 적응변조 기술 등을 통해 완화될 수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노드간 채널 정보 피드백(feedback)과 복잡한 시그널링(signalling)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구현이 복잡하다. 분산적 공간 다중화 기술은 지리적으로 분산된 안테나에 다이버시티 대신에 다중화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전송률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송신기와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가 서로 다른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는 것을 허용하고 다중안테나를 구비한 수신기가 다중 입출력(MIMO : Multi-input multi-output) 검출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데이터를 검출하도록 함으로써 높은 전송률을 달성할 수 있다.
도 3은 분산적 공간 다중화 시스템에서 하나의 프레임이 전송되는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 1구간 동안 송신기는 중계기1로 프레임1을 전송하고, 중계기1은 이를 검출하여 버퍼에 저장한다. 슬롯 2 구간동안 송신기는 프레임 2를 중계기 2로 전송하고, 중계기 2는 이를 검출하여 버퍼에 저장한다. 이 과정을 (N-1)번 반복하면, (N-1)개의 중계기들은 서로 다른 프레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슬롯 N 구간동안 송신기는 프레임 N을 전송하고, 중계기들은 버퍼에 저장된 서로 다른 프레임들을 동시에 전송한다. 결과적으로, N개의 프레임들을 N개의 슬롯 구간동안 전송하기 때문에 직접 전송과 동일한 전송률을 달성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분산적 공간 다이버시티 기술은 시공간 부호를 통해 동일 프레임을 여러 중계기 경로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공간상의 다이버시티를 얻을 수 있지만, 직접 전송에 비해 N배의 전송률 저하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분산적 공간 다중화 기술은 서로 다른 프레임을 서로 다른 중계기 경로로 전송하고 수신기에서 MIMO검출을 통해 검출함으로써, 직접 전송과 동일한 전송률을 얻을 수 있지만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각 기술이 갖는 장점을 모두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 분산적 공간 다이버시티 기술의 다이버시티 이득과 분산적 공간 다중화 기술의 높은 전송률을 모두 달성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분산적 공간 다이버시티 기술의 다이버시티 이득과 공간 다중화 기술의 높은 전송률을 모두 지원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계층적 부호화(hierarchical coding)를 이용해 전송 프레임을 생성하고, 이를 분산적 공간 다중화 기술을 이용해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계층적 부호화를 이용해서 송신 정보를 여러 중계 경로를 거쳐 송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송신기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를 외부 부호화하는 외부 부호기와, 상기 외부 부호기로부터의 데이터를 인터리빙하는 외부 인터리버와, 상기 외부 인터리버로부터의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프레임들 각각을 내부 부호화하는 내부 부호기와, 상기 내부 부호기로부터의 계층적 부호화된 프레임들 각각을 해당 중계기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중계기에 있어서, 송신기로부터 계층적 부호화된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부터의 계층적 부호화된 프레임을 상기 송신기에서 행한 내부 부호화의 역으로 복호하여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을 검출하는 내부 복호기와, 상기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을 설정시간에 수신기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수신기 장치에 있어서, 송신기와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로부터 서로 다른 프레임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프레임들을 연접하여 하나의 데이터 블록으로 출력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부터의 데이터 블럭을 상기 송신기에서 행한 인터리빙의 역으로 디인터리빙하여 심볼들의 위치를 복원하는 디인터리버와, 상기 디인터리버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송신기에서 행한 부호화의 역으로 복호화하는 복호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송신기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를 외부 부호화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부호화된 데이터를 외부 인터리빙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인터리빙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분할된 프레임들 각각을 내부 부호화하는 과정과, 상기 내부 부호화된 프레임들 각각을 해당 중계기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통신 방법 있어서, 송신기로부터 계층적 부호화된 프레임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계층적 부호화된 프레임을 상기 송신기에서 행한 내부 부호화의 역으로 복호화하여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을 설정시간에 수신기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수신기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기와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로부터 서로 다른 프레임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프레임들을 하나의 데이터 블록으로 연접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블록을 상기 송신기에서 행한 인터리빙의 역으로 디인터리빙하여 심볼들의 위치를 복원하는 과정과, 상기 디인터리빙된 데이터를 상기 송신기에서 행한 부호화의 역으로 복호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통신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구비하며, 송신 데이터를 외부 부호화한후 인터리빙하고, 상기 인터리빙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분할하여 내부 부호화하며, 상기 내부 부호화된 프레임들 각각을 해당 중계기로 송신하는 송신기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구비하며, 상기 송신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수신하여 내부 복호화하고, 상기 내부 복호화된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 시간구간에서 수신기로 전송하는 중계기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구비하며, 상기 송신기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중계기로부터 서로 다른 프레임들을 수신하여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프레임들을 연접하여 디인터리빙하며, 상기 디인터리빙된 데이터를 복호하여 상기 송신기가 송신한 상기 송신 데이터를 복원하는 상기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송신기가 계층적 부호화(hierarchical coding)를 이용해 전송 프레임들을 생성하고, 이를 분산적 공간 다중화 기술을 이용해 수신기로 전송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살펴보면, 송신 데이터를 계층적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송신기,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검출하고 이를 재구성하여 수신기로 전송하는 (N-1)개의 중계기들(중계기1, 중계기2, ..., 중계기(N-1)), 송신기 및 중계기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MIMO검출에 의해 검출하고 데이터를 복원하는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송신기는 MT개의 안테나들을 구비하고, 중계기n은 Mn개의 안테나들을 구비하며, 수신기는 MR개의 안테나들을 구비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계층적 부호화된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a)를 참조하면, N개의 프레임들은 하나의 외부 부호(outer code) 블록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부호화는 부호화 및 인터리빙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N개의 프레임들의 정보를 N 슬롯 구간동안 확산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각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은 다시 내부 부호(inner code) 및 변조(modulation)가 행해진 후 해당 중계기로 전송되며, 두 노드 사이의 링크에는 하나의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이 전송된다.
다음으로 (b)를 참조하면, 슬롯 1구간동안 송신기는 외부 및 내부 부호화된(계층적 부호화된) 프레임 1을 중계기1로 전송하고, 상기 중계기1은 내부 부호에 대해서만 복호하여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 1을 버퍼에 저장한다. 마찬가지로, 슬롯 2구간동안 상기 송신기는 외부 및 내부 부호화된 프레임 2를 중계기2로 전송하고, 상기 중계기 2는 내부 부호에 대해서만 복호하여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 1을 버퍼에 저장한다. 이 과정을 (N-1)번 반복하면, (N-1)개의 중계기들은 서로 다른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을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슬롯 n에서 중계기 n이 수신하는 신호
Figure 112006065756997-pat00001
은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6065756997-pat00002
여기서,
Figure 112006065756997-pat00003
은 외부 및 내부 부호화된 프레임 n에 해당하는 전송 심볼을 나타내고,
Figure 112006065756997-pat00004
은 송신기와 중계기 n간의 채널을 나타내며,
Figure 112006065756997-pat00005
은 중계기 n에서의 잡음신호를 나타낸다. 중계기 n은
Figure 112006065756997-pat00006
를 내부 복호하여 외부 부호화된 신호
Figure 112006065756997-pat00007
를 버퍼에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슬롯 N구간에서 송신기는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 N을 전송하고, 중계기들은 버퍼에 저장된 서로 다른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을 동시에 전송한다. 따라서, 슬롯 N에서 수신기가 수신하는 신호
Figure 112006065756997-pat00008
는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6065756997-pat00009
여기서,
Figure 112006065756997-pat00010
은 중계기 n과 수신기 사이의 채널을 나타내고,
Figure 112006065756997-pat00011
은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채널을 나타내며,
Figure 112006065756997-pat00012
은 송신기가 전송하는 외부 부호화된 신호를 나타내며,
Figure 112006065756997-pat00013
은 수신기에서의 잡음신호를 나타낸다.
상기 수신기는 송신기와 (N-1)개의 중계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서로 다른 프레임들의 데이터열
Figure 112006065756997-pat00014
을 MIMO검출을 이용하여 복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슬롯 N에서 송신기 및 특정 중계기가 프레임 전송에 참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총 K개의 노드들이 슬롯 N에서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을 경우, (N-K)개의 프레임들을 N개의 슬롯 구간동안 전송한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경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송신기와 중계기가 다중 안테나를 구비하는 경우, 각각의 링크에서 다이버시티와 다중화 기술을 결합하여 다수의 프레임들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슬롯 n에서 송신기는 중계기 n으로 최대
Figure 112008006700083-pat00015
개의 서로 다른 외부 및 내부 부호화된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슬롯 N에서는 분산적 공간 다중화 기술을 이용하여 최대
Figure 112008006700083-pat00016
개의 서로 다른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들을 전송할 수 있는데, 실제 전송하는 총 프레임 수는
Figure 112008006700083-pat00017
보다 같거나 작아야 한다.
이하, 송신기, 중계기 및 수신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송신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스크램블러(500), 계층적 부호화기(510), 변조기(520), 다중안테나 신호 처리기(530), 복수의 OFDM변조기들(540-1 내지 5401-MT), 복수의 RF처리기들(550-1 내지 550-MT)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OFDM변조기는 사용자 다중 접속 방식에 따라 CDMA변조기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은 OFDM기반의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스크램블러(500)는 송신 데이터를 소정 코드로 스크램블링(scrambling)하여 출력한다. 계층적 부호화기(510)는 상기 스크램블러(550)로부터의 소정 사이즈의 데이터를 외부 부호화(outer coding)한 후 프레임 단위로 분할하고,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들 각각을 내부 부호화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외부 부호기(512)는 상기 스크램블러(500)로부터의 데이터를 소정 사이즈 단위(N 프레임 단위)로 외부 부호화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부호기(512)는 길쌈(convolutional)부호기, 터보(turbo)부호기, CTC(convolutional turbo code)부호기, LDPC(low density parity check)부호기 등과 같은 채널 부호기로 실시될 수 있다. 외부 인터리버(510)는 상기 외부 부호기(512)로부터의 심볼들을 소정 규칙에 의해 인터리빙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인터리버(510)는 송신 데이터가 여러 중계 경로를 통해 송신될 수 있도록 심볼들의 위치를 교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내부 부호기(518)는 상기 외부 인터리버(510)로부터의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내부 부호화하여 출력한다. 이때, 부호율은 해당 중계기와의 링크상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내부 인터리버(518)는 상기 내부 부호기(516)로부터의 프레임 데이터를 소정 규칙에 의해 인터리빙하여 출력한다.
변조기(520)는 상기 계층적 부호화기(510)로부터의 부호 심볼들을 소정 변조방식으로 변조하여 변조 심볼들을 발생한다. 예를들어, 상기 변조기(520)는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32QAM 등과 같은 변조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다중안테나 신호 처리기(530)는 상기 변조기(520)로부터의 변조 심볼들을 다중 안테나 신호 처리하여 복수의 안테나 신호들을 발생한다. 예를들어, 상기 다중안테나 신호처리기(530)는 STC(Space Time Coding), VBLAST(Vertical-Bell Labs Layered Space Time) 등과 같은 MIMO 방식을 이용해서 복수의 안테나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OFDM변조기들(540-1 내지 540-MT) 각각은 상기 다중안테나 신호 처리기(530)로부터의 해당 안테나 신호를 OFDM변조하여 OFDM심볼을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OFDM변조는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연산, CP(Cyclic Prefix) 삽입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복수의 RF처리기들(550-1 내지 550-MT) 각각은 대응되는 OFDM변조기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RF(Radio Frequency)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대응되는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층적 부호화기(510)에서 생성되는 서로 다른 외부 및 내부 부호화된 프레임들 각각은 해당 시간 구간(슬롯 구간)에서 해당 중계기로 전송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외부 부호화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프레임들 모두를 다시 내부 부호화하여 중계기들과 수신기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상기 분할된 프레임들중 마지막 슬롯에서 수신기로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은 내부 부호화를 거치지 않고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을 그대로 수신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는 스위치들(600-1 내지 600-Mn), 수신 RF처리기들(602-1 내지 602-Mn), OFDM복조기들(606-1 내지 606-Mn), 채널추정기(604), 다중 안테나 신호처리기(608), 복조기(610), 내부 인터리버(612), 내부 복호기(614), 데이터 버퍼(616), 변조기(618), 다중 안테나 신호처리기(620), OFDM변조기들(622-1 내지 622-Mn), 송신 RF처리기들(624-1 내지 624-Mn)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스위치들(600-1 내지 600-Mn)은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 송신 및 수신 RF 처리기 사이의 스위칭을 담당하며,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는 듀플렉서(duplexer)로 대체되어야 한다. 상기 스위치들(600-1 내지 600-Mn) 각각은 수신 구간 동안 해당 안테나의 신호를 대응되는 수신 RF처리기로 전달하며, 송신 구간 동안에는 해당 송신 RF처리기로부터의 신호를 대응되는 안테나로 전달한다.
복수의 수신 RF처리기들(600-1 내지 600-Mn) 각각은 해당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대역의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샘플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채널추정기(604)는 수신 RF처리기(602-1 내지 602-Mn)들로부터의 특정 신호(예 : 프리앰블 신호)를 이용해서 동기 및 채널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동기 및 채널 값을 다중 안테나 신호 처리기(608)로 제공한다. 여기서, 시간영역의 신호를 가지고 채널 추정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가지고 채널 추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 OFDM복조기들(606-1 내지 606-Mn) 각각은 대응되는 수신 RF처리기로부터의 신호를 OFDM복조하여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부반송파 값들)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OFDM복조는 CP 제거,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다중안테나 신호 처리기(608)는 상기 OFDM복조기들(606-1 내지 606-Mn)로부터의 신호들을 MIMO검출에 따라 복조하여 하나의 데이터열을 발생한다. 이때, 상기 다중안테나 신호 처리기(608)는 상기 채널추정기(702)로부터의 채널 값을 이용해서 MIMO검출을 수행한다. 복조기(610)는 상기 다중안테나 신호 처리기(608)로부터의 데이터열을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복조(demodulation)하여 출력한다.
내부 디인터리버(612)는 상기 복조기(610)로부터의 심볼들을 송신기에서 수행한 내부 인터리빙의 역으로 디인터리빙하여 출력한다. 내부 복호기(614)는 상기 내부 디인터리버(612)로부터의 심볼들을 상기 송신기에서 수행한 내부 부호화의 역으로 복호(decoding)하여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되는 데이터는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 데이터이다. 한편, 상기 내부 복호기(614)에서 출력되는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 데이터는 수신기로 릴레이 전송되기 위해서 데이터 버퍼(616)에 저장된다.
상기 데이터 버퍼(616)는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 데이터를 버퍼링하며, 릴레이 전송시간에 도달시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변조기(618)는 상기 데이터 버퍼(616)로부터의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 데이터를 소정 변조방식으로 변조하여 변조 심볼들을 발생한다. 예를들어, 상기 변조기(618)는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32QAM 등과 같은 변조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다중안테나 신호 처리기(620)는 상기 변조기(618)로부터의 변조 심볼들을 다 중 안테나 신호 처리하여 복수의 안테나 신호들을 발생한다. 예를들어, 상기 다중안테나 신호처리기(620)는 STC(Space Time Coding), VBLAST(Vertical-Bell Labs Layered Space Time) 등과 같은 MIMO 방식을 이용해서 복수의 안테나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OFDM변조기들(622-1 내지 622-Mn) 각각은 상기 다중안테나 신호 처리기(620)로부터의 해당 안테나 신호를 OFDM변조하여 OFDM심볼을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OFDM변조는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연산, CP(Cyclic Prefix) 삽입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복수의 송신 RF처리기들(624-1 내지 624-Mn) 각각은 대응되는 OFDM변조기로부터의 샘플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RF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대응되는 스위치로 출력한다. 즉, 상기 복수의 송신 RF처리기들(624-1 내지 624-Mn)로부터의 신호들을 스위치들(600-1 내지 600-Mn)을 거쳐 복수의 안테나들을 통해 송신된다.
이와 같이, 중계기는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내부 및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을 내부 부호에 대해서만 복호하여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을 주어진 시간 구간(슬롯 구간)에 수신기로 릴레이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되는 수신기는 도 5와 같은 송신기에서 송신되는 프레임 및 도 6과 같은 중계기들에서 송신되는 프레임들을 MIMO검출을 통해 수신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는 RF처리기들(700-1 내지 700-MR), 채널추정기(702), OFDM복조기들(704-1 내지 704-MR), 다중안테나 신호 처리기(706), 복조기(708), 외부 인터리버(710), 외부 복호기(712), 디스크램블러(7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복수의 RF처리기들(700-1 내지 700-MR) 각각은 해당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대역의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샘플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채널추정기(702)는 상기 RF처리기들(700-1 내지 700-MR)로부터의 특정 신호(예 : 프리앰블 신호)를 이용해서 동기 및 채널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동기 및 채널 값을 다중 안테나 신호 처리기(706)로 제공한다. 상기 OFDM복조기들(704-1 내지 704-MR) 각각은 대응되는 RF처리기로부터의 신호를 OFDM복조하여 부반송파 값들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OFDM복조는 CP 제거,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다중안테나 신호 처리기(706)는 상기 OFDM복조기들(704-1 내지 704-MR)로부터의 신호들을 MIMO검출 방식에 따라 복조하여 복수의 프레임들을 검출하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을 연접하여 하나의 데이터열을 발생한다. 상기 MIMO검출 방식으로, ML(Maximum Likelihood), MML(Modified ML), ZF(Zero Forcing), MMSE(Minimum Mean Square Error) 등이 있으며, 상기 다중안테나 신호 처리기(706)는 상기 채널추정기(702)로부터의 채널 값을 이용해서 MIMO검출을 수행한다.
복조기(708)는 상기 다중안테나 신호 처리기(706)로부터의 데이터열을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복조(demodulation)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복조기(708)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앞서 도 5의 외부 인터리버(514)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이다.
외부 디인터리버(710)는 상기 복조기(708)로부터의 심볼들을 송신기에서 수행한 외부 인터리빙의 역으로 디인터리빙하여 출력한다. 외부 복호기(712)는 상기 외부 디인터리버(710)로부터의 심볼들을 상기 송신기에서 수행한 외부 부호화의 역으로 복호(decoding)하여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되는 데이터는 앞서 도 5의 스크램블러(50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추정 데이터)이다. 디스크램블러(714)는 상기 외부 복호기(714)로부터의 데이터를 소정 코드로 디스크램블링(de-scrambling)하여 송신기가 송신한 데이터를 복원하여 출력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송신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송신기는 801단계에서 소정 길이(예 : N 프레임)의 데이터를 소정 부호화 방식으로 외부 부호화(outer coding)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기는 803단계에서 상기 외부 부호화된 데이터를 소정 규칙에 따라 외부 인터리빙 한다. 이와 같이 외부 인터리빙을 통해 심볼들의 위치를 교환하는 이유는, 송신 데이터가 여러 중계 경로를 통해 송신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외부 인터리빙을 수행한후, 상기 송신기는 805단계에서 상기 외부 인터리빙된 데이터를 N개의 프레임들로 분할한다. 이후, 상기 송신기는 807단계에서 상기 분할된 프레임 데이터 각각을 소정 부호화 방식에 따라 내부 부호화(inner coding)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기는 809단계에서 상기 내부 부호화된 프레임 데이터 각각을 소정 규칙에 따라 내부 인터리빙한다.
이와 같이, 내부 인터리빙을 수행한후, 상기 송신기는 811단계에서 상기 내부 인터리빙된 프레임 데이터(계층적 부호화된 프레임 데이터) 각각을 해당 시간 구간(슬롯 구간)에서 해당 중계기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분할된 프레임들중 마지막 슬롯에서 수신기로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은 내부 부호화를 거치지 않고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을 그대로 수신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해당 슬롯 구간에 도달시, 중계기는 901단계에서 송신기로부터 계층적 부호화된 프레임을 수신한다.
상기 송신기로부터 프레임이 수신되면, 상기 중계기는 903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계층적 부호화된 프레임 데이터를 상기 송신기에서 수행한 내부 인터리빙의 역으로 디인터리빙한다. 이와 같이, 내부 디인터리빙을 수행한후, 상기 중계기는 905단계에서 상기 내부 디인터리빙된 데이터를 상기 송신기에서 수행한 내부 부호 화의 역으로 복호하여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을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중계기는 907단계에서 상기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을 수신기로 릴레이 전송하기 위해서 버퍼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중계기는 909단계에서 릴레이 전송시간에 도달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릴레이 전송 시간에 도달시, 상기 중계기는 9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버퍼에 저장된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을 상기 수신기로 전송한다. 이때, 송신기 및 다른 중계기들도 서로 다른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들을 상기 수신기로 전송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수신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수신기는 1001단계에서 수신시간에 도달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수신시간에 도달시, 상기 수신기는 1003단계로 진행하여 송신기와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이후, 상기 수신기는 1005단계에서 상기 송신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MIMO 검출 방식에 따라 복조하여 복수의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들을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기는 1007단계에서 상기 검출된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들을 연접하고, 상기 송신기에서 수행한 외부 인터리빙의 역으로 디인터리빙하여 심볼들을 원래의 위치들로 복원한다. 이후, 상기 수신기는 1009단계에서 외부 디인터리빙된 데이터를 상기 송신기에서 수행한 외부 복호화의 역으로 복호하여 상기 송신기가 송신한 데이터를 복원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송신기가 (N-1)개의 중계기들로 서로 다른 프레임들을 전송하고, 상기 송신기와 상기 (N-1)개의 중계기들(또는 (N-K)개의 중계기들)이 동시에 서로 다른 프레임을 수신기로 전송하는 분산적 공간 다중화 기법을 제안한다. 이와 같이, 분산적 공간 다중화를 통해 동시 전송 구간에서 최대 N배의 전송률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직접 전송과 같은 전송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층적 부호화된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정보가 여러 경로를 통해 수신기에 도달하도록 함으로써 분산적 공간 다이버시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보나 나은 이해를 돕기 위한 실제 적용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셀룰러 시스템의 상향링크에서 사용자(송신기)와 기지국(수신기) 사이에 하나의 중계국이 구성된 경우의 적용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사용자 단말)와 중계기는 각각 1개의 안테나를 구비하며, 수신기(기지국)는 2개의 수신안테나들을 구비한다. 슬롯 1구간 동안 사용자 터미널은 중계기로 외부 및 내부 부호화된 프레임 1을 전송한다. 그리고 슬롯 2 구간 동안 사용자 터미널은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 2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중계기는 슬롯 1 구간에서 받아서 재구성한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 1을 동시에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슬롯 2 구간에서 사용자 터미널과 중계기로 이루어진 2개의 송신 안테나와 기지국의 2개의 수신안테나는 2×2 다중 입출력(MIMO) 환경을 형성한다. 즉, 슬롯 2 구간에서 수신기(기지국)는 최대 우도(maximum likelihood) 또는 다른 MIMO 검출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두 프레임들을 검출하고 외부 부호를 복호화여 최종적으로 사용자 터미널이 송신한 2개의 프레임들을 복원한다.
도 12는 셀룰러 시스템의 하향링크에서 기지국(송신기)과 사용자(수신기) 사이에 하나의 중계국이 구성된 경우의 적용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중계기 및 사용자 터미널은 각각 2개의 안테나들을 구비한다. 슬롯 1 구간동안 기지국은 중계기로 외부 및 내부 부호화된 프레임 1을 전송하고, 기지국의 2개의 송신 안테나와 중계기의 2개의 수신 안테나는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는데 사용한다. 그리고 슬롯 2 구간 동안 기지국은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 2를 사용자 터미널로 전송하고, 중계기는 슬롯 2 구간동안 받아서 재구성한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1을 동시에 사용자 터미널로 전송한다. 이때, 기지국과 중계기는 각각 2개의 송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신 다이버시티 이득을 획득하고, 사용자 터미널은 최대 우도 또는 다른 MIMO 검출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두 프레임들을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검출된 두 프레임들을 외부 복호하여 최종적으로 기지국이 송신한 2개의 프레임들을 복원한다.
도 13은 셀룰러 시스템의 상향링크에서 사용자(송신기)와 기지국(수신기) 사이에 두 개의 중계국들이 구성된 경우의 적용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4개의 안테나, 중계기1은 2개의 안테나, 중계기 2는 1개의 안테나, 사용자 터미널은 2개의 안테나를 구비한다. 사용자 터미널은 슬롯 1 구간동안 공간 다중화를 통해 중계기1로 외부 및 내부 부호화된 프레임1과 프레임2를 동시에 전송하고, 슬롯 2 구간동안 중계기 2로 외부 및 내부 부호화된 프레임 3을 전송한다. 그리고, 슬롯 3 구간동안 중계기1은 이전 슬롯에서 수신하여 재구성한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1과 프레임2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동시에 중계기2는 이전 슬롯에서 수신하여 재구성한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 3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한편, 슬롯 3 구간동안 사용자 터미널은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기지국은 중계기1과 중계기 2로부터 4개의 안테나들로 수신되는 신호를 최대 우도 또는 다른 MIMO검출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3개의 프레임들을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검출된 3개의 프레임들을 외부 복호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 터미널이 송신한 3개의 프레임들을 복원한다. 여기서, 기지국의 안테나가 4개인 것으로 가정하였지만, 안테나가 3개인 경우도 중계기1과 중계기2로부터 수신되는 3개의 서로 다른 프레임들을 MIMO 검출을 통해 복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중홉 릴레이 통신시스템에서 분산적 공간 다중화를 제공함과 동시에, 계층적 부호화를 이용해서 분산적 공간 다이버시티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직접 통신과 같은 전송률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다이버시티 이득을 통해 데이터 에러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3)

  1.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송신기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를 외부 부호화하는 외부 부호기와,
    상기 외부 부호기로부터의 데이터를 인터리빙하는 외부 인터리버와,
    상기 외부 인터리버로부터의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프레임들 각각을 내부 부호화하는 내부 부호기와,
    상기 내부 부호기로부터의 계층적 부호화된 프레임들 각각을 해당 중계기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분할된 프레임들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상기 내부 부호화하지 않고 수신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내부 부호화기로부터의 계층적 부호화된 프레임들 각각을 내부 인터리빙하는 내부 인터리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내부 부호화기로부터의 계층적 부호화된 프레임들을 변조(modulation)하는 변조기와,
    상기 변조기로부터의 데이터를 OFDM변조하는 OFDM변조기와,
    상기 OFDM변조기로부터의 데이터를 RF처리하여 송신하는 RF처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내부 부호화기로부터의 계층적 부호화된 프레임들을 변조(modulation)하는 변조기와,
    상기 변조기로부터의 데이터를 다중 안테나 신호 처리하여 복수의 안테나 신호들을 발생하는 처리기와,
    상기 처리기로부터의 복수의 안테나 신호들을 각각 OFDM변조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OFDM변조기들과,
    상기 복수의 OFDM변조기들로부터의 신호들을 각각 RF처리하여 해당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복수의 RF처리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계층적 부호화된 프레임들 각각을 서로 다른 시간구간에 해당 중계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중계기에 있어서,
    송신기로부터 계층적 부호화된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부터의 계층적 부호화된 프레임을 상기 송신기에서 행한 내부 부호화의 역으로 복호하여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을 검출하는 내부 복호기와,
    상기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을 설정 시간에 수신기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처리하는 RF처리기와,
    상기 RF처리기로부터의 데이터를 OFDM복조하는 OFDM복조기와,
    상기 OFDM복조기로부터의 데이터를 복조(demodulation)하는 복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조기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송신기에서 행한 내부 인터리빙의 역으로 디인터리빙하여 출력하는 내부 디인터리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내부 복호기로부터의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을 저장하기 위한 버퍼와,
    상기 버퍼로부터의 프레임을 변조(modulation)하는 변조기와,
    상기 변조기로부터의 데이터를 OFDM변조하는 OFDM변조기와,
    상기 OFDM변조기로부터의 데이터를 RF처리하여 송신하는 RF처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송신기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를 외부 부호화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부호화된 데이터를 외부 인터리빙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인터리빙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분할된 프레임들 각각을 내부 부호화하는 과정과,
    상기 내부 부호화된 프레임들 각각을 해당 중계기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프레임들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은 상기 내부 부호화하지 않고 수신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과정은,
    상기 내부 부호화된 프레임들 각각을 내부 인터리빙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과정은,
    상기 내부 부호화된 프레임들을 변조(modulation)하는 과정과,
    상기 변조된 데이터를 OFDM변조하는 과정과,
    상기 OFDM변조된 데이터를 RF처리하여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과정은,
    상기 내부 부호화된 프레임들을 변조(modulation)하는 과정과,
    상기 변조된 데이터를 다중 안테나 신호 처리하여 복수의 안테나 신호들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안테나 신호들을 각각 OFDM변조하는 과정과,
    상기 OFDM변조된 신호들을 각각 RF처리하여 복수의 안테나들을 통해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과정은, 상기 내부 부호화된 프레임들 각각을 서로 다른 시간구간에 해당 중계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통신 방법 있어서,
    송신기로부터 계층적 부호화된 프레임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계층적 부호화된 프레임을 상기 송신기에서 행한 내부 부호화의 역으로 복호화하여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을 설정 시간에 수신기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과정은,
    상기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OFDM복조하는 과정과,
    상기 OFDM복조된 데이터를 복조(demodulation)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과정은,
    상기 복조된 데이터를 상기 송신기에서 행한 내부 인터리빙의 역으로 디인터리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과정은,
    상기 OFDM복조된 데이터를 MIMO검출 방식에 따라 복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과정은,
    상기 외부 부호화된 프레임을 버퍼링하는 과정과,
    상기 버퍼링된 프레임을 변조(modulation)하는 과정과,
    상기 변조된 데이터를 OFDM변조하는 과정과,
    상기 OFDM변조된 데이터를 RF처리하여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수신기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기와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로부터 서로 다른 프레임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프레임들을 하나의 데이터 블록으로 연접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블록을 상기 송신기에서 행한 인터리빙의 역으로 디인터리빙하여 심볼들의 위치를 복원하는 과정과,
    상기 디인터리빙된 데이터를 상기 송신기에서 행한 부호화의 역으로 복호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로부터 상기 수신기의 안테나 개수보다 작거나 같은 개수의 서로 다른 프레임들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과정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통해 수신되는 RF신호들을 각각 기저대역신호로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기저대역신호들을 각각 OFDM복조하는 과정과,
    상기 OFDM복조된 신호들을 MIMO검출 방식에 따라 복조하여 복수의 프레임들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을 연접하여 하나의 데이터열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열을 복조(demodulation)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된 데이터를 코드로 디스크램블링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KR1020060087981A 2006-09-12 2006-09-12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분산적 공간 다중화 및 분산적공간 다이버시티 수행 장치 및 방법 KR100915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981A KR100915806B1 (ko) 2006-09-12 2006-09-12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분산적 공간 다중화 및 분산적공간 다이버시티 수행 장치 및 방법
US11/853,967 US9203554B2 (en) 2006-09-12 2007-09-12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distributed spatial multiplexing and distributed spatial diversity in multi-hop rela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981A KR100915806B1 (ko) 2006-09-12 2006-09-12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분산적 공간 다중화 및 분산적공간 다이버시티 수행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872A KR20080023872A (ko) 2008-03-17
KR100915806B1 true KR100915806B1 (ko) 2009-09-07

Family

ID=39169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981A KR100915806B1 (ko) 2006-09-12 2006-09-12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분산적 공간 다중화 및 분산적공간 다이버시티 수행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03554B2 (ko)
KR (1) KR1009158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466B1 (ko) * 2007-10-08 2009-07-02 한국과학기술원 차세대 셀룰라 통신시스템에서의 중계 통신방법
US8391201B2 (en) * 2007-12-17 2013-03-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 time computation at a relay station
US8718541B2 (en) * 2007-12-31 2014-05-06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optimal location and configuration of infrastructure relay nodes in wireless networks
EP2106035A1 (en) * 2008-03-28 2009-09-30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Communica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20090325479A1 (en) * 2008-06-25 2009-12-31 Qualcomm Incorporated Relay antenna indexing for shared antenna communication
EP2481164A1 (en) * 2009-09-24 2012-08-01 Universität Duisburg-Essen Method, relay station and system for transmitting signals between a first signal source and a second signal source
US9036567B2 (en) * 2010-02-03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Logical channel mapping for increased utilization of transmission resources
CN102957719B (zh) * 2011-08-23 2016-08-1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WO2016129975A2 (en) * 2015-02-13 2016-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tter and additional parity generating method thereof
WO2017161280A1 (en) * 2016-03-18 2017-09-21 Kyocer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ual-coding for dual-hops channe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3716A (ko) * 2004-12-03 2006-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순환 지연다이버시티를 제공하는 중계기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이용한 방송 중계망
KR20060085130A (ko) * 2005-01-22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다중 송신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2749B1 (en) * 1999-09-29 2003-01-28 Trw Inc. Downlink transmission and reception techniques for a processing communication satellite
US6697985B1 (en) * 2000-10-04 2004-02-24 Actelis Networks Inc. Predictive forward error correction redundancy
US8670390B2 (en) * 2000-11-22 2014-03-11 Genghiscomm Holdings, LLC Cooperative beam-forming in wireless networks
US6839007B2 (en) * 2001-11-01 2005-01-04 Qualcomm Incorporated Inner coding of higher priority data within a digital message
PL1627511T3 (pl) * 2003-05-28 2008-07-31 Ericsson Telefon Ab L M Sposób i struktura bezprzewodowej sieci telekomunikacyjnej wykorzystującej przekazywanie kooperacyjne
US7366462B2 (en) * 2003-10-24 2008-04-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amlessly switching reception between multimedia stream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E0303602D0 (sv) * 2003-12-30 2003-12-30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arrangement in self-organizing cooperative network
US7555035B2 (en) * 2004-08-31 2009-06-30 Ntt Docomo, Inc.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relay node
KR100594051B1 (ko) * 2004-11-26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송수신 안테나를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효율적인 간섭 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
US8826093B2 (en) * 2005-01-19 2014-09-02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aving method for coded transmission
US7451361B2 (en) * 2005-01-27 2008-11-1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ward error correction in a content distribution system
US20070140292A1 (en) * 2005-12-17 2007-06-21 Sestok Charles K Iv De-interleaver synchronization methods and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3716A (ko) * 2004-12-03 2006-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순환 지연다이버시티를 제공하는 중계기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이용한 방송 중계망
KR20060085130A (ko) * 2005-01-22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다중 송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03554B2 (en) 2015-12-01
US20080062909A1 (en) 2008-03-13
KR20080023872A (ko) 2008-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5806B1 (ko)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분산적 공간 다중화 및 분산적공간 다이버시티 수행 장치 및 방법
KR101641803B1 (ko) Sc-fdma 전송 다이버시티 시스템 및 방법
US20180069615A1 (en) Adaptive Transmission Systems and Methods
US8559994B2 (en) Multi-antenna scheduling system and method
CN101505206A (zh) 联合模拟网络编码的中继方法、基站和用户设备
US2012015537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RU261799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широковещательных сигнал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ема широковещательных сигналов, способ для передачи широковещательных сигналов и способ для приема широковещательных сигналов
JP5734990B2 (ja) Ofdmシステムにおけるalamoutiブロック符号を復号するための方法と受信器
KR100902698B1 (ko) Stfbc-ofdm 시스템 및 그 통신 방법
KR20080025963A (ko)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운영모드 결정 장치 및 방법
Lu et al. Generalized interrelay interference cancelation for two-path successive relaying systems
KR100843251B1 (ko)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신호 송신 장치 및 방법
KR101311411B1 (ko) 협력 stbc-ofdm 신호 중계 방법, 수신 방법, 릴레이 장치, 수신 장치 및 송수신 시스템
Zhong et al. Delay-tolerant distributed linear convolutional space-time code with minimum memory length under frequency-selective channels
Dietl et al. A quantize-and-forward scheme for future wireless relay networks
KR101375732B1 (ko) 중계 방식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동기 오차 제거장치 및 방법
Sharma et al. Performance Review of MIMO-WiMAX
Mugelan et al. Performance Enhancement of Multi-Antenna Relay Link in LTE Het-Net
Wu et al. Linear dispersion codes for asynchronous cooperative mimo systems
Liu et al. Cooperative communication using complementary punctured convolutional (cpc) codes over wireless fading channels
Sharma et al. ANALYSIS OF WiMAX SYSTEM AUGMENTED WITH SPATIAL MULTIPLEXING AND SPATIAL DIVERSITY
Farès et al. MIMO systems for turbo coded cooperation over orthogonal and non-orthogonal channels
Zhong et al. Delay-tolerant distributed linear convolutional space-time code under frequency-selective channels
Nithya et al. Analysis of Hybrid Mobile Satellite System using SFC
Wilson et al. Cooperative Turbo-Coded Divers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