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128B1 - 가로수 보호용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가로수 보호용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128B1
KR100913128B1 KR1020070035901A KR20070035901A KR100913128B1 KR 100913128 B1 KR100913128 B1 KR 100913128B1 KR 1020070035901 A KR1020070035901 A KR 1020070035901A KR 20070035901 A KR20070035901 A KR 20070035901A KR 100913128 B1 KR100913128 B1 KR 100913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side
cover
ground
tre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2520A (ko
Inventor
송재우
Original Assignee
송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우 filed Critical 송재우
Priority to KR1020070035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128B1/ko
Publication of KR20080092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93Anchoring means for groun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2013/006Protecting plants with perfo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otan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나 보도블럭으로 포장되어 있는 도로에 심어진 가로수를 보호하기 위하여 가로수의 밑 부분에 설치되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용 구조물은, 분리, 결합이 가능한 복수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복수 개의 부분이 두꺼운 링의 형상으로 결합됨으로써 결합시 내측에 가로수위치공간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결합상태가 되도록 하단부를 가로수 주변의 지면에 묻고 상단부를 지상으로 돌출시킨 후 가로수위치공간에 흙을 채워 가로수의 돌출된 뿌리를 가릴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경계형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용 구조물은, 경계형성체를 통해 가로수의 밑둥치 주변이 콘크리트나 보도블럭 등으로 포장된 부분보다 돌출되도록 하면서도 밑둥치 주변의 흙이나 모래가 포장된 부분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 중 설치상태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
가로수, 보호, 구조물, 합성수지, 덮개

Description

가로수 보호용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Molding unit for protection of a roadside tree and its building method}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단면도
B : 사시도
도 2는 복수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분리, 결합가능하도록 된 본 발명의 경계형성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분리된 상태
B : 결합된 상태
도 3은 어느 한 지점의 트임을 발생시켜 내측으로 가로수를 위치시키고 다시 결속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경계형성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트임이 발생된 상태
B : 트임발생부가 결속된 상태
도 4는 본 발명의 경계형성체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경계형성체와 덮개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덮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경계형성체가 설치되고 가로수위치공간에 덮개가 씌워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개략도
도 8은 덮개의 결합수단인 홈과 돌기가 상, 하로 이동되어 결합될 수 있게 구현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는 덮개의 결합수단인 홈과 돌기가 좌, 우로 이동되어 결합된 후 걸림턱에 걸려 쉽게 분리될 수 없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고정말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고정말뚝의 개략도
B : 고정말뚝의 설치상태 개략도
도 11은 덮개의 가장자리와 경계형성체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가로수위치공간 일부가 덮개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2는 덮개를 이루는 내측형성체와 외측형성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덮개가 복수 개의 내측형성체와 복수 개의 외측형성체로 이루어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덮개의 결합상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가로수 2. 가로수위치공간
3. 지주목 4. 포장된 부분
4a. 보도블럭 5. 콘크리트 구조물
10. 덮개 11. 홈
12. 돌기 13. 가로수관통홀
14. 관통홀형성홈 15. 지지돌기
16. 미끄럼방지부 17a, 17b. 내측형성체
18a, 18b. 외측형성체 19a. 결합홀
19b. 결합돌기 20. 지주목설치홀
30. 빗물배수홀 40. 고정말뚝
41. 고정력강화부 50. 고정홀
60. 철심 100. 경계형성체
101. 가로수위치공간 102. 홈
103. 돌기 104, 105. 결속수단
106. 홈 107. 돌기
108. 말뚝삽입홀 110. 보조말뚝
본 발명은 콘크리트나 보도블럭으로 포장되어 있는 도로에 심어진 가로수를 보호하기 위하여 가로수의 밑부분에 설치되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심에는 상당히 많은 가로수가 설치되어 있는데 도심의 가로수는 가혹한 환 경에 처해 있는 실정이다.
이는 차량에서 발생되는 매연 등의 오염물질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가장 큰 원인은 콘크리트나 보도블럭으로 포장되어 있는 도로에 심어지는 특성상 물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고 뿌리가 숨을 쉬는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가로수의 밑부분을 콘크리트나 보도블럭으로 포장을 하지 않고 비포장 상태로 처리하며, 가로수 밑둥치 주변의 비포장된 부분은 대부분 포장된 부분보다 낮게 되어 있다. 그러나 뿌리가 솟아있는 가로수의 경우에는 콘크리트나 보도블럭으로 포장된 부분보다 낮게 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어 도 1과 같이 가로수 주변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해 놓고 가로수의 밑둥치 주변이 포장된 부분보다 돌출되게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을 사용한 방법은, 단순히 무거운 콘크리트 구조물을 맞대어 놓는 것이어서 빗물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과 구조물 사이의 틈새로 흙이 흘러나와 포장된 도로가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콘크리트 구조물의 위치가 틀어지면서 지저분해지고, 보행자가 길을 가다 걸려서 넘어지기도 하는데 이때 큰 사고로 연결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가로수의 줄기 밑부분에는 보호를 위한 덮개를 씌워 보호하고 있는 실정인데 상기와 같이 흙이 빗물에 흘러나오면 덮개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덮개가 그 본래의 기능을 할 수 없게 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가로수의 밑둥치 주변이 콘크리트나 보도블럭 등으로 포장된 부분보다 돌출되도록 하면서도 밑둥치 주변의 채움재, 예를 들면 해사(海沙), 흙이나 모래가 포장된 도로 부분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설치가 용이하며 사용 중 설치상태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가로수 보호용 구조물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용 구조물은, 일체로서 제조될 수 있고, 복수개의 개체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일체 또는 결합될 경우에는 내측에 가로수위치공간을 형성하는 사각이나 링등의 다양한 형상이 되고, 분리될 경우에는 내측 중심부에 가로수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하단부를 지면에 묻고 상단부를 지상으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두껍게 구현된 경계형성체(100)를 갖도록 함으로써 가로수 밑둥치 부분의 흙이 포장된 도로 부분으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경계형성체는, 분리, 결합이 가능한 복수 개의 부분 또는 일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체로 또는 복수 개의 부분이 결합됨으로써 내측에 가로수위치공간을 형성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 내측에 가로수위치공간이 형성되되 어느 한 지점의 트임과 결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결속수단(104,105)이 구비되어 있어 어느 한 지점의 트임을 발생시켜 내측으로 가로수를 위치시키고 다시 결속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가로수 밑둥치 주변을 포장된 도로보다 높게 형성하더라도 가로수 밑둥치 주변의 흙이 포장된 도로 부분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스틱재질을 가지게 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해서 보다 설치가 용이하고 또한 보행중 부딪치거나 넘어질 경우 위해를 크게 감소시킨 구조를 가지는 가로수 보호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 콘크리트 구조물을 사용한 방법은, 단순히 무거운 콘크리트 구조물을 맞대어놓는 것이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침하가 발생하여 높이가 맞지 않거나, 빗물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과 구조물 사이의 틈새로 흙이 흘러나왔던 것이다.
특히, 시간이 지날수록 틈새로 배출되는 흙의 양이 많으며, 흙의 유실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치상태가 흐트러지도록 하기 때문에 외부적인 충격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틈새가 커져 다량의 흙이 유실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이 가로수의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용 구조물은, 결합될 경우 내측에 가로수위치공간(101)을 형성하는 형상이 되고, 분리될 경우에는 내측 중심부에 가로수 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분리되는 형태가 되는 경계형성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와 같이 분리, 결합이 가능한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성하고, 복수 개의 부분이 결합시 내측에 가로수위치공간(101)을 형성하는 경계형성체(100)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고, 도 3과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이때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결속수단(104)의 구조는 도면에서와 같이 홈(102)에 돌기(103)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현하되 좌, 우, 전, 후로의 움직임에는 결속상태가 해제되지 않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고, 이미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경계형성체(100)는 도 3과 같이 내측에 가로수위치공간 (101)이 형성되는 두꺼운 링 또는 사각 또는 삼각등의 다양한 형상을 갖되, 어느 한 지점의 트임과 결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결속수단(105)이 구비되어 있어 어느 한 지점의 트임을 발생시켜 내측으로 가로수를 위치시키고 다시 결속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때 결속수단(105)은 도면에서와 같이 홈(106)에 돌기(107)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고, 이미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의 경계형성체는 플라스틱성분, 예를 들면 폐플라스틱, 엘라스토머, 고무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플라스틱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하며, 좋게는 엘라스토머나 고무 또는 이들의 재생품과 같이 연질의 무른 재질로 구현할 때 바 람직하다.(본 발명의 경계형성체(100)를 고무와 같이 무른 재질로 구현할 경우 안전사고 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되어 설치되는 경계형성체(100)를 통해 가로수 밑둥치 주변의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견고한 설치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경계형성체(100) 일부가 지면에 묻히고 일부는 지상으로 돌출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경계형성체(100)는, 하단부를 지면에 묻고 상단부를 지상으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두껍게 구현된다.
상기 경계형성체(100)에는 다수 개의 말뚝삽입홀(108)을 천공하고, 어느 방향이 상기 말뚝삽입홀(108)을 통과하여 지면에 박힘으로써 경계형성체(100)의 하단부가 땅에 묻힌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보조말뚝(11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경계형성체(100)를 갖는 가로수 보호용 구조물의 설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은 가로수 보호용 구조물을 설치할 때는, 우선 뿌리가 노출된 가로수(1)의 밑둥치 주변을 정돈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정돈단계를 실시한다.
정돈단계를 실시한 후 분리, 결합이 가능한 복수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복수 개의 부분이 두꺼운 링의 형상으로 결합됨으로써 결합 시 내측에 가로수 위치공간(101)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경계형성체(100) 하단부를 가로수 주변의 지면에 묻되 복수 개의 부분이 결합상태가 되면서 상단부가 지상으로 돌출되게 묻는 구조물설치단계를 실시한다.
구조물설치단계 후 경계형성체(100)의 가로수위치공간(101)에 채움재를 채워 가로수의 돌출된 뿌리가 가려지도록 하는 흙충진단계;를 실시한다.
흙충진단계를 실시하면 도 4와 같은 설치상태가 된다.
흙충진단계 후에는 가로수 보호를 위한 별도의 구조물들을 설치하는 작업을 시행할 수 있다.
물론,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채움재 충진 단계를 끝으로 가로수 보호용 구조물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채움재로서는 일반 흙이나 모래를 이용하여 충진시킬 수도 있지만, 고무칩, 고무분말, 해사, 자갈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하나이상의 성분을 혼합하여 채울 수 있으며, 특히 해사일 경우에는 잡초 등의 생존이 불가능하여 더욱 좋다.
도 3과 같은 일체형의 경계형성체를 갖는 경우는, 우선 뿌리가 노출된 가로수의 밑둥치 주변을 정돈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정돈단계를 실시한다.
정돈단계를 실시한 후 내측에 가로수위치공간(101)이 형성되는 두꺼운 링의 형상을 갖되 어느 한 지점의 트임과 결속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하는 결속수단(105)가 구비된 경계형성체(100)의 어느 한 지점에 트임을 발생시켜 내측의 가로수위치공간(101)에 가로수(1)를 위치시키고 다시 결속한 후 하단부를 가로수(1) 주변의 지면에 묻되 상단부를 지상으로 돌출시켜 묻는 구조물설치단계를 실시한다.
구조물설치단계 후 경계형성체(100)의 가로수위치공간(101)에 흙을 채워 가로수의 돌출된 뿌리가 가려지도록 하는 흙충진단계를 실시한다.
이 경우에도 흙충진단계 후에는 가로수 보호를 위한 별도의 구조물들을 설치 하는 작업을 시행할 수 있으며,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흙충진단계를 끝으로 가로수 보호용 구조물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가로수 위치공간에 채워진 흙 위에 덮개(10)를 씌워 잡초의 발생을 방지하고, 급속한 수분의 증발 및 지면이 어는 것을 방지하여 가로수가 가뭄이나 혹한의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가로수의 생장활동을 위해 형성된 가로수위치공간(101)에 씌워지는 덮개(10)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덮개(10)를 일반적인 가로수 보호용 덮개와 같이 철창식 구조로 구현하면, 가로수위치공간(101)의 흙이 포장된 도로 부분으로 이탈되어 가로수(1) 주변의 도로가 지저분해지는 문제점과, 잡초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소를 위하여 본 발명의 덮개(10)는 가로수위치공간(101)을 덮을 수 있도록 구현한다.
그런데 덮개(10)가 가로수위치공간(101)을 덮을 수 있도록 구현하면, 천공된 면적이 적기 때문에 덮개(10)의 무게는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고, 무게가 증가되면 설치는 상대적으로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덮개(10)를 비교적 가벼운 합성수지재로 구현하며, 적어도 2개의 부분 즉, 복수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구현한다.
도 6의 도면에서는 덮개(10)가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복수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덮개(10)가 상호 분리, 결합되도록 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홈(11)에 돌기(12)가 끼워져 결합되고 홈(11)으로부터 돌기(12)가 빠져나오면 분리되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홈(11)과 돌기(12)는 도 6과 같이 측면을 향해 형성되어 좌, 우 이동에 의해 분리, 결합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고, 도 8과 같이 상, 하를 향해 형성되어 상, 하 이동에 의해 분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 9와 같이 홈(11)과 돌기(12)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결합된 상태에서는 돌기(12)의 걸림턱이 홈(11)의 걸림턱에 걸려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덮개(10)를 결합하여 가로수위치공간(101)을 덮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덮개(10)를 이루는 복수 개의 부분이 결합될 경우 중심부에 가로수가 통과되는 가로수관통홀(13)이 형성되어야 한다.
또, 이러한 가로수관통홀(13)은 덮개(10)를 이루는 복수 개의 부분이 결합될 경우에만 형성되고 복수 개의 부분이 분리된 상태에서는 분할되어야 설치가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덮개(10)에는 가로수관통홀(13)의 분할된 형태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관통홀형성홈(14)이 형성되는데 관통홀형성홈(14)은 덮개(10)를 이루는 복수 개의 부분에 각각 형성된다.
가로수를 식재한 후에는 뿌리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주목(3)을 통해 가로수(1)를 잡아주어야 가로수의 활착이 빠르다.
이러한 지주목(3)은 그 하부가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그 기능을 온전히 수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덮개(10)에는 지주목 설치를 위한 지주목설치홀(20)이 형성된다.
이러한 지주목설치홀(20)은 가로수(1)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될 각각의 지주목(3) 하단부가 통과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3개의 지주목을 설치하는 구조에 대응되도록 가로수관통홀(13)을 중심으로 3방향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면에서와 같이 4개의 지주목을 설치하는 구조에 대응되도록 가로수관통홀(13)을 중심으로 4방향에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가로수위치공간(101)이 갖는 가장 큰 작용은 나무에 물을 공급하는 것이다.
즉, 가로수 주변의 포장된 도로 부분을 통해서는 빗물이 지하로 스며드는데 한계가 있어 가로수가 물을 원활하게 공급받지 못한다.
따라서 가로수위치공간(101)을 형성하여 그 가로수위치공간(101)으로 빗물 등이 스며들어 가로수가 물을 원활하게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가로수위치공간(101)을 덮는 것이므로, 덮개(10)에는 덮개(10) 상단부의 빗물이 하부의 가로수위치공간(101)으로 배수되도록 천공된 다수 개의 빗물배수홀(30)이 형성된다.
물론, 가로수관통홀(13)을 통해 빗물이 덮개(10)의 하부로 흘러들기는 하지만 가로수관통홀(13)이 가로수의 밑부분 직경보다 조금 큰 정도일 뿐이고, 가로수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가로수관통홀(13) 만으로는 빗물이 덮개(10) 의 하부로 흘러드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빗물배수홀(30)은 덮개(10)의 면적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통상의 가로수를 대상으로 형성되는 가로수위치공간(101)의 크기를 고려할 때 15 ~ 30개 정도가 바람직하다.
물론, 빗물배수홀(30)의 바람직한 수는 빗물배수홀(30)의 직경에 의해서도 달라지기는 하지만 빗물의 원활한 배수 및 잡초발생의 억제 등과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고려할 때 빗물배수홀(30)의 직경이 15 ~ 35㎜가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설치의 용이성 등을 위하여 덮개(10)를 비교적 가벼운 합성수지재로 구현하며, 덮개(10)가 복수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덮개(10)의 모든 부분을 결합시키더라도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으면 덮개(10)가 설치 위치에서 이탈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결합상태가 해제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현상의 방지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수 개의 고정말뚝(40)을 통해 덮개(10)가 가로수위치공간(101)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말뚝(40)의 설치를 위해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덮개(10)에는 다수 개의 고정홀(50)이 천공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고정말뚝(40)의 하부는 고정홀(50)을 관통하여 가로수위치공간(101)에 박혀 고정되고 상부는 덮개(10)의 고정홀(50) 상부에 걸리도록 구현된다.
고정말뚝(40) 중 가로수위치공간(101)에 박혀 고정되는 부분에, 그 직경이 작아졌다가 커지는 고정력강화부(41)가 형성될 경우 고정말뚝(40)의 고정력은 더욱 커진다.
즉, 고정말뚝(40)을 박아놓은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할 수록 고정력강화부(41)에 흙이 채워져 다져지므로 고정말뚝(40)의 고정력이 더욱 커지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력강화부(41)는 도 10과 같은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다수 개의 돌기가 형성된 형태 등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 5 및 도 6과 같이 덮개(10)의 하단부 가장자리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있어 가로수위치공간(101)에 묻혀 고정되는 지지돌기(15)가 형성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지지돌기(15)가 가로수위치공간(101)의 흙에 묻히는 것이므로 덮개(10)가 더욱 견고하게 설치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지지돌기(15)는 단단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가로수위치공간(101)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부를 가압(작업자가 올라서 힘을 가하거나 햄머 등의 도구로 때려서 가압)하면 가로수위치공간(101)의 흙 속으로 파고들어갈 수 있는 정도로 단단하게 구현하여 설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덮개(10)(10)는 도 12 및 도 13과 같이 가로수관통홀(13)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내측형성체(17a, 17b)와 내측형성체(17a, 17b)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외측형성체(18a, 18b)로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 다.
즉, 비교적 크기가 작은 복수 개의 내측형성체(17a, 17b)만을 통해 가로수관통홀(13)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이 내측형성체(17a, 17b)만으로는 가로수 주변의 가로수위치공간(101)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없으므로 내측형성체(17a, 17b)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외측형성체(18a, 18b)를 구비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복수 개의 내측형성체(17a, 17b)는 관통홀형성홈(14)이 형성되어 있고, 상호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복수 개의 부분이 결합될 경우 가로수관통홀(13)(14)을 형성한다.
또, 상기 외측형성체(18a, 18b)는 내측형성체(17a, 17b)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안쪽 가장자리가 연결되어 가로수 주변의 가로수위치공간(101) 중 내측형성체(17a, 17b)가 덮지 못하는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와 같은 내측형성체(17a, 17b)와 외측형성체(18a, 18b)가 연결됨에 있어 도 12 및 도 13과 같이 내측형성체(17a, 17b)의 상단부보다 외측형성체(18a, 18b)의 상단부가 높은 지점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빗물을 모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외측형성체(18a, 18b)의 일부가 내측형성체(17a, 17b)의 상부에 위치되어 내측형성체(17a, 17b)가 외측형성체(18a, 18b)에 걸려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내측형성체(17a, 17b)에 형성된 결합홀(19a)에 외측형성체(18a, 18b)에 형성된 결합돌기(19b)가 삽입되어 내측형성체(17a, 17b)와 외측형성체(18a, 18b)가 더욱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내측형성체(17a, 17b) 간의 결합은 홈과 돌기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내측형성체(17a, 17b)) 간의 결합력이 해제되지 않도록 결합부에는 철심(60)을 박아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철심을 박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내측형성체(17a, 17b) 자체를 철심(60)이 박히는 합성수지재로 구현하여야 한다.
물론, 내측형성체(17a, 17b) 대부분을 매우 강한 재질로 구현하되 일부 부분만을 철심(60)을 박을 수 있는 재질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 철심(60)이 박힐 부분에 홀이 천공되어 있도록 하여 철심(60)이 홀을 통과하여 가로수위치공간(101)에 박히도록 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덮개(10)를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형성체(17a, 17b)와 외측형성체(18a, 18b)로 구현할 경우 가로수의 근원부 직경 크기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관통홀형성홈(14)을 갖는 내측형성체(17a, 17b)를 선택하여 설치작업을 할 수 있다.
즉, 가로수는 근원부의 직경이 큰 것도 있고, 작은 것도 있으므로 가로수에 따라서 가로수관통홀(13)의 크기도 달라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덮개(10)가 도 11과 같이 구현되는 경우에는 가로수관통홀(13)의 크기를 달리할 수 없어 그 사용이 상당히 제한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도 12 및 도 13과 같이 내측형성체(17a, 17b)와 외측형성체(18a, 18b)를 갖는 형태로 구현하면 가로수관통홀(13)의 크기를 다르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덮개(10)의 상부 표면이 미끄럽지 않도록 표면이 거칠은 미끄럼방지부(16)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10)의 표면은 흑자색, 녹색, 주황색, 노란색 등으로 도색되어 표면에 칼라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색이 용이하도록 덮개(10)를 이피디엠(EPDM,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치글러-나타촉매로 혼성중합한 비결정성 고분자) 재질로 구현할 수 있으며, 상부 표면만 이피디엠 재질이 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덮개(10)의 도색이 용이하도록 구현한 후 2 ∼ 3년에 한 번씩 덮개(10)의 도색작업을 실시하면 도색만으로도 새로 설치된 듯한 미감을 줄 수 있다.
특히, 주변의 도로 색상이나 건물의 색상 등을 고려하여 도색함으로써 주변환경과 조화되는 미감을 줄 수 있다.
덮개(10)의 상부 표면에 색을 칠하여 칼라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색상이 오래가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내구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질(에폭시, 우레탄, 아크릴 등)이면서 안료나 도료가 혼합되어 색상이 부여된 칼라코팅재를 덮개(10)의 상부 표면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색상을 표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칼라코팅재 도포방법은 도로의 박층포장 등에 실시되는 것이므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 덮개(10)는 전체적으로 난연성 합성수지로 구현하여 화재가 발생되지 않 도록 할 수도 있고, 표면만을 난연성 합성수지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 덮개(10) 및 고정말뚝(40)은, 천연고무, EPDM, 부타디엔러버, 스티렌부타디엔고무(styrene-butadiene rubber, SBR), 염소화폴리에틸렌, EVA 등의 재질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물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필러로서 실리카, 화이트카본, 카본블랙, 탄산칼슘, 크레이, 탈크, 재생생지고무(recycling rubber), 생고무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난연제로서는 산화안티몬, 수산화알루미늄, 염화파라핀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덮개(10) 및 고정말뚝(40)을 성형함에 있어 폐합성수지를 성형의 원료로 사용할 수도 있고, 폐합성수지와 폐고무를 혼합하여 덮개(10) 및 고정말뚝(40)의 성형 원료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1은 가로수위치공간(101) 일부가 덮개(10)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을 고려할 때 도 11과 같은 형태보다는 도 7과 같은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덮개(10)를 설치하는 덮개설치단계는 흙충진단계를 실시한 후에 시행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경계형성체는, 결합될 경우 내측에 가로수위치공간을 형성하는 링의 형상이 되고, 분리될 경우 내측 중심부에 가로수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하단부를 지면에 묻고 상단부를 지상으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두껍게 구현되어 있다.
따라서 밑둥치 주변이 콘크리트나 보도블럭 등으로 포장된 부분보다 돌출되도록 하면서도 밑둥치 주변의 흙이나 모래가 포장된 부분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 중 설치상태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 가로수위치공간을 전체적으로 덮는 덮개가 구비된 구조를 통해서는, 흙이나 모래의 이탈로 인한 주변환경의 지저분해짐과 잡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급속한 수분의 증발 및 지면이 어는 것을 방지하여 가로수가 가뭄이나 혹한의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7)

  1. 가로수 보호를 위해 가로수 주변에 설치되는 구조물에 있어서,
    분리·결합이 가능한 복수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측에 가로수위치공간을 형성하도록 되어 결합되며, 하단부를 가로수 주변의 지면에 묻고 상단부를 지상으로 돌출시킨 후 가로수위치공간에 채움재를 채워 가로수의 돌출된 뿌리를 가릴 수 있도록 된 경계형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복수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되 홈에 돌기가 끼워져 결합되고 홈으로부터 돌기가 빠져나오면 분리되도록 되어 있으며, 결합될 경우 중심부에 가로수가 통과되는 가로수관통홀이 형성되도록 복수 개의 관통홀형성홈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되어 가로수위치공간을 덮을 수 있도록 된 합성수지 재질의 덮개와;
    상기 덮개에 형성되어 있되 가로수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될 각각의 지주목 하단부가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주목설치홀과;
    상기 덮개에 형성되어 덮개 상단부의 빗물이 하부의 가로수위치공간으로 배수되도록 된 빗물배수홀과;
    상기 덮개에 천공되어 있는 다수 개의 고정홀과;
    하부는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지면에 박혀 고정되고 상부는 덮개의 고정홀 상부에 걸리도록 된 고정말뚝;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말뚝 중 지면에 박혀 고정되는 부분에는 그 직경이 작아졌다가 커지는 고정력강화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용 구조물.
  2. 가로수 보호를 위해 가로수 주변에 설치되는 구조물에 있어서,
    내측에 가로수위치공간이 형성되는 두꺼운 링의 형상을 갖되 어느 한 지점의 트임과 결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결속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어느 한 지점의 트임을 발생시켜 내측으로 가로수를 위치시키고 다시 결속한 후 하단부를 가로수 주변의 지면에 묻고 상단부를 지상으로 돌출시켜 가로수위치공간에 채움재 채움으로써 가로수의 돌출된 뿌리를 가릴 수 있도록 된 경계형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복수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되 홈에 돌기가 끼워져 결합되고 홈으로부터 돌기가 빠져나오면 분리되도록 되어 있으며, 결합될 경우 중심부에 가로수가 통과되는 가로수관통홀이 형성되도록 복수 개의 관통홀형성홈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되어 가로수위치공간을 덮을 수 있도록 된 합성수지 재질의 덮개와;
    상기 덮개에 형성되어 있되 가로수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될 각각의 지주목 하단부가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주목설치홀과;
    상기 덮개에 형성되어 덮개 상단부의 빗물이 하부의 가로수위치공간으로 배수되도록 된 빗물배수홀과;
    상기 덮개에 천공되어 있는 다수 개의 고정홀과;
    하부는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지면에 박혀 고정되고 상부는 덮개의 고정홀 상부에 걸리도록 된 고정말뚝;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말뚝 중 지면에 박혀 고정되는 부분에는 그 직경이 작아졌다가 커지는 고정력강화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용 구조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부 표면이 이피디엠(EPDM) 재질로 되어 있고,
    상기 덮개의 하단부 가장자리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지면에 묻히는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용 구조물.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난연성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용 구조물.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70035901A 2007-04-12 2007-04-12 가로수 보호용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913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901A KR100913128B1 (ko) 2007-04-12 2007-04-12 가로수 보호용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901A KR100913128B1 (ko) 2007-04-12 2007-04-12 가로수 보호용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520A KR20080092520A (ko) 2008-10-16
KR100913128B1 true KR100913128B1 (ko) 2009-08-19

Family

ID=40153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901A KR100913128B1 (ko) 2007-04-12 2007-04-12 가로수 보호용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1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044B1 (ko) * 2010-12-29 2011-08-05 한국가로수보호 주식회사 미끄럼 방지 가로수보호덮개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556B1 (ko) * 2010-11-04 2013-04-01 동국정밀주식회사 수목보호용 매트 고정대
CN106665258A (zh) * 2017-01-09 2017-05-17 华侨大学 一种景观树木防台风加固装置及其实施方法
WO2019172699A1 (ko) 2018-03-09 2019-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CN109169620A (zh) * 2018-07-30 2019-01-11 安徽绿泉生态农业股份有限公司 一种绿化苗木幼苗中耕期除草装置
CN110073951A (zh) * 2019-06-03 2019-08-02 章鑫 一种沙漠治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8613A (ja) * 1995-02-24 1996-09-10 Nippon Chikou Kk 植栽装置
KR100525753B1 (ko) 2005-08-05 2005-11-03 (주)천일기술단 도로의 가로수의 보호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8613A (ja) * 1995-02-24 1996-09-10 Nippon Chikou Kk 植栽装置
KR100525753B1 (ko) 2005-08-05 2005-11-03 (주)천일기술단 도로의 가로수의 보호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044B1 (ko) * 2010-12-29 2011-08-05 한국가로수보호 주식회사 미끄럼 방지 가로수보호덮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520A (ko) 200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128B1 (ko) 가로수 보호용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888887B1 (ko) 가로수용 급수 및 급양 장치 및 가로수 보호 조립체
KR100737908B1 (ko) 합성수지 재질의 가로수 보호덮개
KR100776705B1 (ko) 가로수 및 산책로 주변 녹도 조성용 인조잔디의 고정장치및 그의 시공방법
KR20090000187U (ko) 식재가 가능한 도로 경계석
KR100905972B1 (ko) 합성수지 재질의 가로수 보호덮개의 시공방법
KR101959680B1 (ko) 방초 투수보도블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11106092A (ja) 防草構造体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877858B1 (ko) 도로변 경계석의 경사와 굴곡에 대응 가능한 수밀형 펜스
KR100655519B1 (ko) 가로수 보호 보도 블럭 시공 방법
KR100736388B1 (ko) 다기능 도로 경계석
KR100502060B1 (ko) 보차도 경계블럭
KR200450394Y1 (ko) 가로수 보호덮개
KR200429634Y1 (ko) 미끄럼 방지구를 갖는 가로수 보호용 덮개판
KR101089653B1 (ko) 가로수 보호용 보도블록의 시공방법
KR20090045792A (ko)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
KR100970494B1 (ko) 비탈면의 배수용 보호 블록
JP2009131233A (ja) 植物保護資材
KR101063923B1 (ko) 도로 성토부 법면의 슬라이딩 방지장치
KR20200121981A (ko) 친환경 야자매트용 고정안정로프핀.
KR101132766B1 (ko) 뿌리 성장 유도 수목보호대
KR100943221B1 (ko) 자전거 도로 및 주차장, 도로의 보도 등에 설치되는 잔디 식재형 고무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0361674Y1 (ko) 생태용 도로경계석
KR102610073B1 (ko) 블록 구조물
KR102631969B1 (ko) 울트라 경계석과 그 경계석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