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078B1 - 소용량 폐 음식물 건조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소용량 폐 음식물 건조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078B1
KR100909078B1 KR1020070094696A KR20070094696A KR100909078B1 KR 100909078 B1 KR100909078 B1 KR 100909078B1 KR 1020070094696 A KR1020070094696 A KR 1020070094696A KR 20070094696 A KR20070094696 A KR 20070094696A KR 100909078 B1 KR100909078 B1 KR 100909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waste food
drying chamber
bracket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9452A (ko
Inventor
이기원
Original Assignee
이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원 filed Critical 이기원
Priority to KR1020070094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078B1/ko
Publication of KR20090029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vertical or steeply-inclined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이나 식당에서 소용량의 폐음식물을 건조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본체(10) 내부의 건조실(12)에 착탈되며 폐 음식물을 수용하는 건조통(20), 건조실 내부의 내기를 송풍기(35)에 의해 배출처리하는 배기관(30)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 일측의 가열발열부(40)에서 발생되는 고주파에 의해 건조실 내부의 폐 음식물을 가열 건조처리하되, 상기 건조통(20)의 저면과 건조실(12)의 하부면에 상호 대응되는 암수 자웅구조를 형성하여 상호 착탈 결합되게 구성하고, 상기 건조통(20) 저면에 내부의 폐 음식물과 접촉하는 열감지편(21), 상기 건조실(12) 저면에 열감지편과 접촉하는 열 감지센서(S)를 설치하여 건조통 내부 폐 음식물의 온도감지에 따라 가열발생부에 건조 처리작동을 제어하도록 하므로서, 건조통의 착탈 구조에 의해 사용의 편리성은 물론 폐 음식물의 교반, 고주파 가열 및 온도센서에 의한 폐 음식물 가열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함에 의해 폐 음식물의 처리양이나 수분 함유량에 관계 없이 일정한 건조 처리를 제공하여 사용 효율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Figure R1020070094696
폐 음식물, 건조, 교반, 고주파, 건조통, 온도센서, 착탈

Description

소용량 폐 음식물 건조처리장치{A DRYING TREATMENT APPRATUS FOR WASTE FOODS}
본 발명은 가정이나 식당에서 소용량의 폐음식물을 건조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가스렌지 타입의 본체 내부에 폐 음식물이 수용되는 건조통을 착탈하면서 폐 음식물을 교반 및 고주파로 가열 건조처리 하되, 상기 폐 음식물의 가열 온도를 온도센서가 직접 감지하여 폐 음식물의 상태에 따라 효과적으로 가열 제어함과, 가열발생부에서 발생되는 발열을 냉각 처리하므로 온도센서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여 장치의 사용 효율을 극대화하는 소용량 폐음식물 건조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지에서는 많은 양의 폐 음식물이 배출되고, 이 폐 음식물은 많은 수분을 함유한 상태로 버려져 각종 환경 요염의 주 원인이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폐 음식물의 처리를 위한 각종 기술들이 개시된바 있다.
즉, 상기 폐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을 모두 건조처리하므로 폐 음식물을 간편하게 처리하거나 퇴비 등의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 가능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폐 음식물 처리장치는 폐 음식물을 교반 및 히터에 의해 가열하므로 건조처리 하는 히터방식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상기 히터방식은 폐 음식물의 처리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비 효율성 때문에 최근 히터 대신 고주파 등을 이용하여 건조처리장치가 주로 개시되고 있다.
본 출원인은 고주파를 이용한 가스렌지 형태의 건조처리장치를 특허출원 제2005-33450호, 실용신안출원 제2005-34492호, 2027호, 71132호 및 제2006-11669호 등을 선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 및 본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고주파를 이용한 폐 음식물 건조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폐 음식물을 수용하는 건조통이 건조실 내부로 간편하게 착탈 사용함이 매우 불편하였다.
특히, 상기 건조통 내부로 교반익을 구비하여 상기 교반익만을 회전구동하는 경우에 상기한 착탈 구조가 더욱 복잡해질 수 밖에 없어 사용상의 불편함이 더가중되었다.
둘째, 상기 폐 음식물은 처리 양이나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함유된 수분의 양이 다르게 되는데, 상기 폐 음식물을 고르게 가열하지 못함과 폐 음식물에 따라 가열 시간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지 못하므로 폐 음식물의 건조 효율이 일정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상기 고주파에 의한 폐 음식물 건조처리 과정에서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금속 소재로 제작된 각 부품이 고주파에 노출되어 스파크 등을 발생하므로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상기 고주파에 의한 폐 음식물 건조처리 과정에서 고주파를 발생하는 가열발생부가 발열 작동하면서 건조실 부위의 온도를 상승시켜 건조실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의 오작동을 유발하게 되므로 폐 음식물의 건조처리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이다.
본 발명은 폐 음식물을 수용하는 건조통을 내부의 교반익만 회전작동하도록 하되, 건조실 내부에 용이하게 착탈하도록 하므로서 사용 편리성을 우수하게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폐 음식물의 처리 양이나 음식물 종류에 의한 수분 함유량에 따라 고주파에 의한 폐 음식물 가열 건조 상태를 직접 감지, 제어하면서 효과적으로 건조처리하므로 사용 효율성을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고주파에 의한 건조처리과정에서 고주파에 노출되는 부분의 금속소재 부품을 어스처리하여 스파크 발생 등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고주파에 의한 건조처리과정에서 가열발생부의 발열 작동을 냉각처리하므로 건조실의 온도센서 오작동을 방지하여 효과적인 제어작동으로 작동 효율성을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측에 도어와 하부에는 각형 조립홈을 관통 형성하는 브라켓을 고정 설치하여 상기 각형 조립홈에 하부 구동모터의 모터축 상단에 결합된 각형 결합구가 결합 설치되는 건조실을 내부에 갖는 본체, 상기 건조실 내부에 암수 자웅구조 착탈 결합되고 폐 음식물을 수용하는 건조통이 형성되되, 상기 건조통 저면에는 상기 각형 조립홈에 대응되는 각형 조립돌기부를 돌출 형성하는 브라켓을 고정 설치하며, 상기 브라켓의 중앙으로 회전가능케 장착된 회전축 상단에 건조통 내부의 교반익과 하단에 구동모터의 결합구에 대응되는 각형 조립홈을 형성하는 결합구를 설치하여 상기 각형 조립돌기부와 각형 조립홈이 각형 조립홈과 결합구에 착탈 결합되게 형성되고,
상기 건조통 저면에 설치되어 폐 음식물과 접촉하는 열감지편, 상기 건조실 하부에 설치되어 열감지편과 접촉하는 열 감지센서에 의해 폐 음식물의 온도 감지로 가열발생부를 제어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건조실 내부의 내기를 송풍기에 의해 외부로 배출처리하는 배기관을 형성하되, 상기 본체 일측의 가열발열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에 의해 건조실 내부의 폐 음식물을 가열 건조처리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건조통은 내부의 교반익, 회전축, 결합구 및 브라켓과 상기 교반익과 폐 음식물을 절단 처리하도록 건조통 내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커터를 금속재로 구성하되, 상기 커터와 브라켓은 어스선으로 연결하고, 상기 브라켓과 결합구는 건조실의 금속재 브라켓과 결합구와 접촉되어 고주파에 대해 어스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용량 폐음식물 건조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러한 본 발명은, 폐 음식물을 수용하는 건조통을 건조실 내부에 간편하게 착탈 사용하므로 사용 편리성은 물론 음식물의 처리 양이나 음식물 종류에 의한 수분 함유량에 따라 폐 음식물 가열 건조 상태를 직접 감지, 제어하면서 가열하므로 일률절이고 효과적으로 건조 처리하여 사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게 되고,
또한, 고주파에 노출되는 부분의 금속소재 부품을 어스처리하여 스파크 발생 등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고주파를 발생하는 가열발생부의 발열 작동을 냉각처리하므로 건조실의 온도센서 오작동을 방지하여 효과적인 제어작동으로 작동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폐 음식물 건조처리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도어(11)와 내부에 건조실(12)을 갖는 본체(10), 상기 건조실 내부에 착탈되며 폐 음식물을 수용하는 건조통(20), 상기 건조실 내부의 내기를 송풍기(35)에 의해 외부로 배출처리하는 배기관(30)을 형성하되, 상기 본체 일측의 가열발생부(40)에서 발생되는 고주파에 의해 건조실 내부의 폐 음식물을 가열 건조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건조통(20)의 저면과 건조실(12)의 하부면에는 상호 대응되는 암수 자웅구조를 형성하여 상호 착탈 결합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건조실(12) 하부에는 각형 조립홈(13a)을 관통 형성하는 브라켓(13)을 고정 설치하여 상기 조립홈 중앙에 하부 구동모터(M)의 모터축 상단에 결합된 각형 결합구(14)를 설치하고,
상기 건조통(20) 저면에는 상기 각형 조립홈(13a)에 대응되는 각형 조립돌기부(15a)를 돌출 형성하는 브라켓(15)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15)의 중앙으로 회전가능케 장착된 회전축(16) 상단에 건조통(20) 내부의 교반익(22)과 하단에 구동모터(M)의 결합구(14)에 대응되는 각형 조립홈(18a)을 형성하는 결합구(18)를 설치하여 상기 각형 조립돌기부(15a)와 각형 조립홈(18a)이 각형 조립홈(13a)과 결합구(14)에 착탈 결합되게 구성되고,
상기 건조통(20) 저면에는 건조통 내부의 폐 음식물과 접촉하는 열감지편(21)을 설치하고, 상기 건조실(12) 저면에는 상기 열감지편과 접촉하는 열 감지센서(S)를 설치하여 건조통 내부 폐 음식물의 온도감지에 따라 가열발생부에 건조 처리작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건조실(12) 하부에 설치되는 브라켓(13)의 상부에는 전방측을 향해 개방되어 건조통(20)의 각형 돌기부(15a)가 각형 조립홈(13a)에 삽입됨을 안내하는반구형 띠 형태의 가이드돌기(13b)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통(20)은 비 전도체로 제작하고, 내부의 교반익(22), 회전 축(16), 결합구(18) 및 브라켓(15)과 상기 교반익과 폐 음식물을 절단 처리하도록 건조통(20) 내벽면에 설치되는 커터(23)는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금속재로 구성하되, 상기 커터(23)와 브라켓(15)은 어스선(50)으로 연결하고, 상기 브라켓(15)과 결합구(18)는 건조실의 금속재 브라켓(13)과 결합구(14)와 접촉되어 고주파에 대해 어스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10) 일측의 가열발생부(40)는 저면에 상부를 향해 냉각팬(42)과 상부에 내기를 송풍기(45)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기관(43)을 설치하여 가열 발생부를 냉각 처리하는 냉각수단(41)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열발생부(40)는 고주파 발생을 위해 트랜서, 마그네트론, 고주파발생기 등을 집약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건조장치는 씽크대(5)의 하부로 설치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건조실(12)에 연결된 배기관(30)은 씽크대 배수관에 연결되어 건조실 내기를 배수관을 통해 배출하되, 상기 배기관(30)의 단부에는 차단기(36)를 마련하여 수분이나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개폐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에 마련되는 온도센서(S)는 폐 음식물의 가열 건조를 감지하여 가열발생부(40)를 제어하되 과열 방지를 위해 고주파를 단계적으로 조사하면서 계절별, 음식물의 처리양 또는 수분 함유량에 따라 고주파의 조사 시간을 달리하면서 건조 과정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즉, 예를들면 1차 모드에서 고주파를 3분 온작동한 후 1분 오프작동하고, 차 모드에서 고주파를 1분 30초 온작동한 후 30초 오프작동하며, 3차 모드에서 1분 온 작동한 후 30초 오프 작동한 후 종료하게 되는 과정을 거치되, 상기 각 단계별 고주파 조사 시간을 달리하며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가정이나 식당에서 수거된 폐 음식물을 건조통(20)에 담은 후에 상기 건조통(20)을 건조실(12) 내부에 장착한다.
이는 상기 건조통(20) 저면의 브라켓(15)에 돌출 형성된 각형 조립돌기(15a)를 건조실(10) 하부의 브라켓(13)에 형성된 각형 조립홈(13a)에 삽입하는 형태로 장착한다.
이때 상기 브라켓(13)의 각형 조립홈(13) 주위에는 전방측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반구형 띠 형태의 가이드돌기(13b)가 형성되어 상기 건조통(20)의 각형 조립돌기(15a)를 브라켓의 각형 조립홈(13a)에 용이하게 안내하여 상기 건조통(20)을 회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각형 조립돌기(15a)를 각형 조립홈(13a)에 맞추어 삽입 장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건조통(20)의 각형 조립돌기(15a)를 각형 조립홈(13a)에 삽입 장착시, 구동모터(M)의 모터축 상단에 결합된 각형 결합구(14)에 건조통(20) 회전축 하단의 결합구(18)에 형성된 각형 조립홈(18a)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폐 음식물을 수용한 건조통(20)을 건조실(12) 내부에 장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작부(미도시)에 의해 건조 작동을 선택하면, 배기관(30) 상의 차단기(36)가 개방되고 송풍기(35)가 작동된다.
그리고 가열발생부(40)에서 고주파를 발생하여 건조실(12) 내로 조사하므로 폐 음식물을 건조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구동모터(M)의 구동으로 회전축(16)이 건조통(20) 내부의 교반익(22)을 회전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건조통(20)은 정지된 상태이다.
즉, 상기 건조통(20)의 내부에 수용된 폐 음식물을 교반익(22)이 교반하면서 고주파에 의한 폐 음식물을 가열 건조하는 과정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교반익(22)은 건조통(20) 내부의 커터(23)와 함께 폐 음식물을 파쇄처리하므로 상기 폐 음식물의 건조처리를 더 효과적으로 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주파에 의해 건조통(20)의 내부의 폐 음식물을 건조처리시, 상기 폐 음식물의 양 또는 상기 폐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 양에 따라 고주파 가열에 의한 건조 시간이 달라지게 되는데, 이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므로서 폐 음식물의 건조 효율을 일정하게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본체(10)에 마련된 온도센서(S)가 폐 음식물의 가열 온도를 감지하여 가열발생부(40)의 고주파 조사 작동 등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온도선세(S)는 건조통(20) 저면에 마련된 열감지편(21)에 밀착되어 설치되므로 상기 건조통(20) 내부의 폐 음식물의 가열 온도를 직접적으로 감지 하므로 더욱 정확한 제어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작동은, 예를 들면 1차 모드에서 고주파를 3분 온작동한 후 1분 오프작동하고, 2차 모드에서 고주파를 1분 30초 온작동한 후 30초 오프작동하며, 3차 모드에서 1분 온작동한 후 30초 오프 작동한 후 종료하게 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온도센서(S)에 의한 상기 폐 음식물의 가공 온도를 감지하므로 상기한 고주파 조사 시간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므로 상기 폐 음식물을 일정하고 효과적으로 건조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폐 음식물의 건조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도어(11)를 개방하여 건조통(20)을 장착시의 역방향으로 들어 올려 건조통의 각형 조립돌기부(15a)와 각형 조립홈(18a)이 건조실의 각형 조립홈(13a)과 결합구(14)에서 분리되면서 건조통을 인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건조통(20)을 전자파에 대해 보호하기 위해 비 전도체로 제작하되, 그 밖에 건조통 내부의 교반익(22), 회전축(16), 결합구(18) 및 브라켓(15)과 상기 교반익과 폐 음식물을 절단 처리하기 위해 건조통 내벽면에 설치되는 커터(23)는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금속재로 제작할 수 밖에 없다.
그런데 상기한 금속재 부품은 고주파에 의해 스파크를 발생하는 등의 안전상 문제로 인해 상기 커터(23)와 브라켓(15)은 어스선(50)으로 연결하고, 상기 브라켓(15)과 결합구(18)는 건조실의 금속재 브라켓(13)과 결합구(14)와 접촉되어 하나로 연결되게 어스처리하므로서 종래 스파크 발생에 의한 각종 안전 사고를 방 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폐 음식물의 건조과정에서 상기 가열발생부(40)에서 고열이 발생하여 온도센서(S) 등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가열발생부(40) 저면에서 상부로 냉각팬(42)에 의한 냉각과정을 행하게 된다.
즉, 상기 냉각팬(42)에 가열발생부(40)를 냉각처리하고, 상기 냉각 작동된 내기는 송풍기(45)에 의해 배기관(4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므로서 폐 음식물의 건조 처리과정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건조통 착탈 구조 보여주는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착탈 구조를 보여주는 요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건조실에 설치되는 브라켓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건조통을 보여주는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건조통 12: 건조실
13, 15: 브라켓 13a: 각형 조립홈
14: 결합구 15a: 각형 조립돌기부
16: 회전축 18: 결합구
18a: 각형 조립홈 20: 건조통
22: 교반익 30,43: 배기관
35,45: 송풍기 40: 가열발생부
42: 냉각팬 50: 어스선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정정)
    일측에 도어(11)와 하부에는 각형 조립홈(13a)을 관통 형성하는 브라켓(13)을 고정 설치하여 상기 각형 조립홈에 하부 구동모터(M)의 모터축 상단에 결합된 각형 결합구(14)가 결합 설치되는 건조실(12)을 내부에 갖는 본체(10), 상기 건조실 내부에 암수 자웅구조 착탈 결합되고 폐 음식물을 수용하는 건조통(20)이 형성되되, 상기 건조통(20) 저면에는 상기 각형 조립홈(13a)에 대응되는 각형 조립돌기부(15a)를 돌출 형성하는 브라켓(15)을 고정 설치하며, 상기 브라켓(15)의 중앙으로 회전가능케 장착된 회전축(16) 상단에 건조통(20) 내부의 교반익(22)과 하단에 구동모터(M)의 결합구(14)에 대응되는 각형 조립홈(18a)을 형성하는 결합구(18)를 설치하여 상기 각형 조립돌기부(15a)와 각형 조립홈(18a)이 각형 조립홈(13a)과 결합구(14)에 착탈 결합되게 형성되고,
    상기 건조통(20) 저면에 설치되어 폐 음식물과 접촉하는 열감지편(21), 상기 건조실 하부에 설치되어 열감지편과 접촉하는 열 감지센서(S)에 의해 폐 음식물의 온도 감지로 가열발생부를 제어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건조실 내부의 내기를 송풍기(35)에 의해 외부로 배출처리하는 배기관(30)을 형성하되, 상기 본체 일측의 가열발열부(40)에서 발생되는 고주파에 의해 건조실 내부의 폐 음식물을 가열 건조처리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건조통(20)은 내부의 교반익(22), 회전축(16), 결합구(18) 및 브라켓(15)과 상기 교반익과 폐 음식물을 절단 처리하도록 건조통 내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커터(23)를 금속재로 구성하되, 상기 커터(23)와 브라켓(15)은 어스선(50)으로 연결하고, 상기 브라켓(15)과 결합구(18)는 건조실의 금속재 브라켓(13)과 결합구(14)와 접촉되어 고주파에 대해 어스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용량 폐음식물 건조처리장치.
  5. (삭제)
KR1020070094696A 2007-09-18 2007-09-18 소용량 폐 음식물 건조처리장치 KR100909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696A KR100909078B1 (ko) 2007-09-18 2007-09-18 소용량 폐 음식물 건조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696A KR100909078B1 (ko) 2007-09-18 2007-09-18 소용량 폐 음식물 건조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452A KR20090029452A (ko) 2009-03-23
KR100909078B1 true KR100909078B1 (ko) 2009-07-23

Family

ID=40696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696A KR100909078B1 (ko) 2007-09-18 2007-09-18 소용량 폐 음식물 건조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0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2162A (en) 1987-04-14 1987-10-27 Cuisinarts, Inc. Salad spinner dryer apparatus rotated by speed reducing friction drive for use wih food processors
KR20030048666A (ko) * 2001-12-12 2003-06-25 (주)라이스텍 열풍 및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건조장치
KR200422465Y1 (ko) 2006-05-11 2006-07-26 김정호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KR100660023B1 (ko) * 2006-02-27 2006-12-20 주식회사 시스웍스 마이크로파 음식물 건조 처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2162A (en) 1987-04-14 1987-10-27 Cuisinarts, Inc. Salad spinner dryer apparatus rotated by speed reducing friction drive for use wih food processors
KR20030048666A (ko) * 2001-12-12 2003-06-25 (주)라이스텍 열풍 및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건조장치
KR100660023B1 (ko) * 2006-02-27 2006-12-20 주식회사 시스웍스 마이크로파 음식물 건조 처리기
KR200422465Y1 (ko) 2006-05-11 2006-07-26 김정호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452A (ko) 2009-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463B1 (ko) 음식물찌꺼기 살균건조처리장치
KR101634741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20100071381A (ko) 대용량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0909078B1 (ko) 소용량 폐 음식물 건조처리장치
JPH11333415A (ja) 生ゴミ処理機
JPWO2005007311A1 (ja) 飲食物に関した廃棄物処理装置
KR200476804Y1 (ko) 음식물 처리장치
JP2007075722A (ja) 生ごみ処理装置
JP3233151B2 (ja) 厨芥処理機
JP3914808B2 (ja) 生ゴミ処理装置
KR100512256B1 (ko) 대용량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20862320U (zh) 一种厨余机
KR2010010681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및 장치
CN215843381U (zh) 一种厨余垃圾处理器
CN218705845U (zh) 一种可加热式的垃圾桶
JP2004042019A (ja) 生ゴミ処理装置
JP3939585B2 (ja) 生ゴミ処理装置
JP2004057922A (ja) 生ごみ処理機
KR2013014249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JP2648659B2 (ja) 有機物の小型分解乾燥装置
JP3319130B2 (ja) 厨芥処理装置
JP3954889B2 (ja) 生ゴミ処理装置
KR101630875B1 (ko) 저온 촉매 필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CN211385204U (zh) 一种带有烘干功能的垃圾破碎机
JP3108273B2 (ja) 生ゴミ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