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564B1 - The public address for broadcast controlling mike filtering - Google Patents

The public address for broadcast controlling mike filte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564B1
KR100908564B1 KR1020090005868A KR20090005868A KR100908564B1 KR 100908564 B1 KR100908564 B1 KR 100908564B1 KR 1020090005868 A KR1020090005868 A KR 1020090005868A KR 20090005868 A KR20090005868 A KR 20090005868A KR 100908564 B1 KR100908564 B1 KR 100908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microphone
mixer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8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철
차보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5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5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5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4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A microphone filtering control broadcasting device for removing the noises of the loud sound is provided to extract and remove the noises of the loud sound by analyzing frequency deviation and installing a condenser microphone and dynamic microphone. A second mixer is comprised of first and secondary amplifier. A first amplifier varies an amplifier through variable resistance varying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speech signal of the electro-dynamic microphone. A second amplifier varies an amplifier through variable resistance varying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speech signal of the electro-dynamic microphone. A third mixer mixes the output of the first and the second amplifier. A main controller varies rate of the first and the second amplifier rate and outputs voice signal.

Description

마이크 필터링 제어 방송장치 { The public address for broadcast controlling mike filtering }{The public address for broadcast controlling mike filtering}

본 발명은 방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원발생장치(마이크, MICROPHONE) 또는 음원재생장치(CD PLAYER, CASSETTE DECK, DIGITAL TUNER 등)를 통해 발생된 음원신호는 튜닝, 변조, 증폭의 과정을 거쳐 증폭된 전기 신호를 스피커가 음향신호로 전환시켜 청취자에게 음향이 들리게 되는 구조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oadcast apparatus, wherein a sound source signal generated through a sound source generator (microphone, microphone) or a sound player (CD player, cassette deck, digital tuner, etc.) is amplified through a process of tuning, modulation, and amplification. The speaker converts an electric signal into an acoustic signal so that sound can be heard by the listener.

구내방송장치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일체형 보다는 랙(RACK) 타입으로 각각 고유기능을 갖는 판넬(PANEL, 또는 모듈(MODULE)로 지칭된다)들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조합(조립)하여 하나의 일체형 랙 타입으로 구성한다.The structure of the premises broadcasting device is generally a rack type rather than an integrated type, and a unitary rack type by combining (assembling) a panel (called a panel or a module) each having unique functions at the user's convenience. Consists of.

통상적으로 구내(전관)방송장치의 경우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In general, in the case of the premises broadcasting system, the basic configuration is as follows.

AUTO BLOWER : 랙(RACK) 내부의 온도가 상승할 경우 수동 또는 자동적으로 팬을 동작시킴으로써 시스템 전체를 안정하게 운용한다.AUTO BLOWER: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rack rises, the entire system is operated stably by operating the fan manually or automatically.

MONITOR PANEL : 파워앰프 각각의 스피커를 모니터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 기능이 있는 것으로 보통 모니터 스피커 일체형으로 배율 선택스위치(0dB, -6dB, -12dB, -18dB, -24dB)로 모니터 스피커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MONITOR PANEL: It has a selection switch function to monitor each speaker of power amplifier. It is a monitor speaker type that can control monitor speaker output with magnification selection switch (0dB, -6dB, -12dB, -18dB, -24dB). .

음원재생장치 : DIGITAL TUNER, CASSETTE DECK, CD PLAYER 등이 있다.Sound source playback device: DIGITAL TUNER, CASSETTE DECK, CD PLAYER.

EMERGENCY PANEL : 화재자동감지기와 연결하여 화재발생시 최우선으로 비상경보음을 송출한다.EMERGENCY PANEL: Connected with the automatic fire detector, it sends the emergency alarm sound in the highest priority in case of fire.

CHIME & SIREN : 챠임은 시작과 끝을 알리며, 비상 또는 경보 방송용으로 파상 및 평판의 사이렌 신호음을 발생한다.CHIME & SIREN: The chime signals the beginning and the end, and generates siren tones of wave and flat plate for emergency or alarm broadcasting.

PROGRAM EXCHANGER : 본 기기는 REMOTE, TIMER 등이 입력될 때 자동으로 신호를 자동 절환 시켜주며, 파워 앰프 출력 신호를 개별 스위치와 전체 스위치, 그룹 스위치로 스피커를 동작시킨다.PROGRAM EXCHANGER: This unit automatically switches the signal when REMOTE, TIMER, etc. are input, and operates the speaker with the power amplifier output signal by individual switch, all switch and group switch.

또한, 입력된 신호의 우선 순위를 정해놓아 우선 순위가 늦은 신호를 차단하고 우선 순위가 가장 빠른 신호만 출력되며, 일반 방송, 원격제어, 타이머의 입력제어 기능으로 신호를 제어하며, 1개의 그룹 스위치로 다수의 스피커 회선을 동작할 수 있다.In addition, by setting the priority of the input signal, it blocks the signal with the lower priority and outputs only the signal with the highest priority, and controls the signal by the input control function of general broadcasting, remote control, and timer Can operate multiple speaker lines.

POWER DISTRIBUTOR : RACK SYSTEM에 장착된 제반 기기의 전원을 종합적으로 제어한다.POWER DISTRIBUTOR: Controls the power of various devices installed in the rack system comprehensively.

BATTERY CHARGER MODULE : 본 기기는 비상전원으로 비축하는 배터리의 전압이 일정 전압 이하이면 자동으로 충전을 시작하고 일정전압 이상이면 자동으로 충전을 정지하는 과충전 방지기능이 있어 배터리 보호가 가능하다.BATTERY CHARGER MODULE: This device has an overcharge protection function that automatically starts charging when the voltage stored in the emergency power supply is below a certain voltage and automatically stops charging when the battery voltage is below a certain voltage.

공판넬(BLANK PANEL) : 본 판넬은 국제 규격의 표준 RACK CABINET에 장착되는 판넬이며, 표준형 RACK CABINET에 각종 기기를 설치하고 남는 공간을 메우기도 하며, 또한 자연적으로 발열하는 각종 기기들의 가운데에 설치하여 기기간의 열전도를 줄이는 기능을 가지며 모든 크기는 국제규격인 기준에 준하여 제작된다.BLANK PANEL: This panel is installed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rack cabinet.It is installed in the standard rack cabinet and fills up the remaining space.It is also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devices that naturally generate heat. It has the function of reducing the heat conduction between devices, and all sizes are manufactured according to international standard.

RACK CABINET : 본 기기는 EIA 표준 규격의 음향기기 장착용 RACK CABINET이며 상·하 크기와 좌·우의 크기는 표준규격에 준하여 제작한다.RACK CABINET: This equipment is a rack cabinet for the installation of sound equipment of EIA standard. The size of top, bottom and left and right a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tandard.

EM. BATTERY : 비상전원용 축전지EM. BATTERY: Battery for emergency power

마이크(MICROPHONE) :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음원발생장치MICROPHONE: Sound source generator that converts voice into electric signal

프리앰프(PRE AMP) : 주 음량에 4밴드 EQ가 있어 보다 좋은 음색의 연출이 가능하며, 콘덴서 마이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전원이 공급되어지며, AC/DC 겸용으로 정전이 되어도 DC +24V의 배터리에 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우선 방송기능을 내장하여 다른 외부입력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동작하도록 한다.PRE AMP: 4 band EQ at the main volume for better sounding, power supply for condenser microphones, and AC / DC combined power supply for DC + 24V batteries By using the built-in broadcasting function, it operates preferentially with respect to other external inputs.

오디오 구성에서, 증폭을 담당하는 오디오 기기를 앰프(amplifier), 또는 증폭기라고 칭하며, 작은 전기 신호를 큰 전기 신호로 증폭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증폭기는 모든 전자회로의 기본이며, 전자공학에서도 이 앰프의 해석과 설계에 중요한 비중을 할당하고 있다.In an audio configuration, an audio device in charge of amplification is called an amplifier or amplifier, and serves to amplify a small electrical signal into a large electrical signal. Therefore, the amplifier is the basis of all electronic circuits, and electronics also assigns an important weight to the analysis and design of the amplifier.

오디오 기기에서 앰프는 전치 증폭기(프리앰프(pre amplifier))와 전력 증폭기(파워앰프(power amplifier))로 나뉘며, 이 두가지의 앰프가 하나의 장치 안에 있으면, 인테그레이티드(integrated)증폭기라고 한다. 그리고, 인테그레이티드 증폭기에 튜너까지 있으면, 리시버라고 한다.In audio equipment, amplifiers are divided into preamplifiers (pre amplifiers) and power amplifiers (power amplifiers). When these two amplifiers are in a single device, they are called integrated amplifiers. If the integrated amplifier has a tuner, it is called a receiver.

오디오 기기의 출력은 일단 전치 증폭기에서 증폭되고 다른 조절까지 더해져서 전력 증폭기로 보내어진다. 전력 증폭기에서는 스피커에 큰 전력을 보내 전기적 신호의 전압과 전류를 동시에 증폭한다. 오디오의 음질은 증폭기에 사용된 회로 방식, 재료의 품질, 증폭 소자의 종류에 따라 많이 달라진다.The output of the audio device is once amplified in the preamplifier and added to other controls and sent to the power amplifier. The power amplifier sends a large amount of power to the speaker to amplify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electrical signal simultaneously. Audio quality depends a lot on the circuitry used in the amplifier, the quality of the material, and the type of amplifier.

상술한 두 종류의 증폭기 사이에는 다른 기기가 끼어들 수 있는 데, 이퀄라이저(equalizer), 다이내믹 익스팬더(dynamic expander), 서라운드 프로세서(surround processor)등이 그것들이다.Other devices may intervene between the two types of amplifiers described above, such as equalizers, dynamic expanders, and surround processors.

이퀄라이저는 오디오 시스템의 새로운 주역으로 등장하여 이미 오래 전부터 이용되어 오고 있다. 최근 그 이용도가 더욱 많아져 수십 종류가 되며, 성능과 디자인 면에서도 우수성을 자랑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몇 년전만 하여도 음향기기 중에서는 일종의 액세서리(accessory)였으나, 이제는 오디오 시스템의 일부분으로 확고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Equalizers have been around for a long time since they emerged as the new leaders in audio systems. In recent years, its use is more and more dozens of types, boasting excellent in terms of performance and design. These products were a kind of accessory in acoustics only a few years ago, but they are now a firm part of the audio system.

일반적으로 오디오 기기에 있어서는 음역이 낮은 16Hz에서 음역이 높은 32kHz사이에서 5개에서 32가지 정도의 주파수를 중심으로 하여 증폭도를 올려주거나, 내려주는 기능을 갖고 있는 기기를 이퀄라이저 증폭기라고 한다. 즉, 재생되는 음질을 듣는 사람의 취향에 맞춰 음을 만들어 들을 수 있는 것이 이퀄라이저이다.In general, in the case of an audio device, an equalizer amplifier is a device having a function of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amplification level from 5 to 32 frequencies between 16Hz and 32kHz, which is low in the range. In other words, the equalizer is capable of making sounds according to the tastes of the listeners.

A/V설비는 각종 행사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음향/영상설비를 최적 수준으로 구성함으로써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AUDIO PART는 유선/무선 마이크(MICROPHONE), 스피커(SPEAKER), 앰프(amplifier) 등에 오디오 믹서(AUDIO MIXER), 음원재생장치(DIGITAL TUNER, CASSETTE DECK, CD PLAYER)등이 랙 타입으로 조합되며, VIDEO PART는 영상지원장비(VTR & DVD), PROJECTOR, SCREEN 등이 추가된다.The A / V facility is designed to achieve the effect by configuring the audio / video equipment to the optimum level to effectively support various events. Audio mixers (AUDIO MIXER) and sound source playback devices (DIGITAL TUNER, CASSETTE DECK, CD PLAYER) are combined in rack type.

방송장치는 방송장치가 구비되는 현장의 특수성과 여건에 따라 일체형을 사용하거나, 상기의 모듈(판넬)들을 적의 조합하여 랙 안에 삽입하여 여건에 맞게 조 립하여 사용한다.The broadcasting device uses an integrated type according to the specificity and conditions of the site where the broadcasting device is provided, or the modules (panels) are assembled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s by inserting the above modules (panels) into a rack.

상기 예는 통상적인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 것으로 다양한 장비들이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우기도 한다.The above example shows an example of a general configuration, and various equipments are called various names.

본 발명은 방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랙 타입의 구내방송장치에 있어서 마이크(MICROPHONE)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보통 다이나믹 마이크와 콘덴서 마이크를 주로 사용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oadcasting apparatus. In the rack type premises broadcasting apparatus, microphones (MICROPHONE) are various, but usually use dynamic microphones and condenser microphones.

다이내믹마이크는 기본적으로 스피커의 구조와 비슷하여, 구조가 단순하고 충격, 온도, 습도에 강하고 큰 음압에도 잘 견딘다. 소리의 특징은 마이크의 구조상 중역은 약간 증가하는 반면 10kHz 이상의 고음특성은 좋지 않다. 보통 이퀄라이저로 보상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목소리를 테스트해보면 약간 답답하거나 코가 막힌 듯한 소리로 들린다.The dynamic microphone is basically similar to the speaker's structure, which is simple in structure, resistant to shock,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withstands high sound pressure. The sound is characterized by a slight increase in midrange due to the microphone's structure, while a high-pitched tone above 10kHz is not good. In general, if you test your voice without compensating for the equalizer, it may sound a bit stuffy or stuffy.

콘덴서마이크는 진동판이 얇고 금속성이기 때문에 습도와 온도에 민감하다. 또 다이내믹마이크와는 달리 팬텀파워(DC48V)와 같이 전기를 공급해 주어야 한다.Condenser microphones are sensitive to humidity and temperature because the diaphragm is thin and metallic. Unlike dynamic microphones, they must be supplied with electricity like phantom power (48 VDC).

그렇기 때문에 무게도 무겁고 내부회로도 복잡해서 공연용으로는 많이 쓰지 않는 반면 감도와 주파수응답이 저음부터 고음까지 매우 좋아 고음질용으로 많이 사용한다.Because of its heavy weight and complicated internal circuits, it is not used much for performances, but its sensitivity and frequency response is very good from low to high, so it is used for high quality.

그러나, 감도와 주파수응답이 좋다는 것은 거꾸로 말하면 원치 않는 소리들도 수음하게 되어 소리를 조금만 높이려고 해도 피드백이 생겨 하울링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good sensitivity and frequency response mean that unwanted sounds are also picked up, and even if you try to raise the sound a little, feedback occurs and howling occurs.

또한, 행사 진행이나 교회 등에서 연설자가 연설 중에 '삑∼' 하고 갑자기 귀청이 심하게 울리게 나는 하울링이 발생하는 경우를 자주 접한다.In addition, I often see howling occurs when the speaker 'sings' during the event or the church, and suddenly the ears are loud.

그 원인을 잡기 위해 어떤 경우 많은 교회들이 수 천에서 수 억의 시설투자를 하기도 하지만 아무리 고가의 비싼 제품들을 적용한다 해도 역시 소리가 나는데 그 원인은 기기의 이상 작동이 아니라 연설자가 마이크 사용을 잘못해서 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In many cases, many churches invest thousands to hundreds of millions of dollars to find the cause, but no matter how expensive products are applied, they also sound, not because of malfunctioning devices, but because the speaker is using the microphone incorrectly. I have a lot of cases.

감도와 주파수 특성이 좋고 특히, 연설자가 고개를 돌리며 말을 해도 잘 수음되는 지향성이 좋은 콘덴서 마이크를 사용할 경우 마이크에 대고 말을 하는 둥근 부분은 전원이 들어가서 작동이 시작되면 자기장이 형성되는데, 보통 마이크를 쓰는 사람들이 잠깐 쉰다든지 반주가 흐르는 사이에 무심코 마이크의 둥근 부분을 손으로 잡거나 감싸면 여지없이 '삑∼' 하는 강한 하우링이 울린다.Especially when using a condenser microphone that has good sensitivity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can be well-received even when the speaker turns his head, the round part that speaks to the microphone forms a magnetic field when power is turned on and starts to operate. If you take a break for a while or accompaniment flows unintentionally holding or wrapping the round part of the microphone, a strong howling that sounds '삑 ~' will no longer ring.

왜냐하면 아무리 좋은 마이크라도 성능에 상관없이 입력부위를 손으로 감쌀 때 자기장이 강하게 장애를 받으면서 불안정해지고, 이때 불안정해진 자기장이 이상 전류로 변화가 일면서 그 이상신호가 앰프로 입력되면서 강한 굉음을 발생하게 된다.No matter how good the microphone is, the magnetic field is strongly disturbed when the input is wrapped by hand, regardless of the performance, and the unstable magnetic field is transformed into an abnormal current and the abnormal signal is input into the amplifier, causing a strong noise. do.

또한, 마이크를 감싸지 않았는데도 굉음이 발생하는 경우도 가끔 있는데, 그런 때는 마이크를 재빨리 공간이동으로라도 약간 움직여주면 괜찮아진다. 하지만 가장 근본 원인은 마이크 자루부분을 잡을 때 둥근 입력부위에 너무 가까이 잡거나 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이 굉음의 소리는 사실 비싼 제품일수록 흡입력이 좋기 때문에 더 크게 난다.Also, sometimes there are loud noises even if you don't wrap the microphone, but if you move the microphone a little quickly, it's okay. But the root cause is that you get too close to the round input when you hold the sack of the mic, and the sound of this loudness is actually bigger because the more expensive the product, the better the suction power.

또한, 사람의 회화영역은 100Hz ∼ 8KHz 이나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주요회화영역은 300Hz ∼ 3KHz로 이중 500Hz ∼ 4KHz 부분이 중요하며, 어음 명료도의 80% 이상을 좌우하는 것으로 에너지는 작지만 고주파 부분이 대화음 이해에 중요한 부분으로 정상인의 귀는 500Hz ∼ 4KHz 부분이 가장 민감하게 작용한다.In addition, the human conversation area is 100Hz to 8KHz, but the main conversational areas that are commonly used are 300Hz to 3KHz, of which 500Hz to 4KHz are important, and 80% of speech intelligibility is important. An important part of understanding the sound of the normal person's ears are most sensitive to 500Hz ~ 4KHz.

그래서 명료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 없는 또는 중요하지 않은 영역의 주파수대에 잡음이 섞여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필터링을 하는데 현재 사용되는 주요 필터로 아래와 같은 4종류의 필터가 대표적으로 사용된다.Therefore, the following four types of filters are representatively used as the main filters currently used to filter to prevent noise from mixing into unnecessary or insignificant frequency bands to improve clarity.

LPF(Low Pass Filter) : 차단주파수 보다 낮은 주파수를 통과시키는 필터.LPF (Low Pass Filter): A filter that passes a frequency lower than the cutoff frequency.

HPF(High Pass Filter) : 차단주파수 보다 높은 주파수를 통과시키는 필터HPF (High Pass Filter): Filter that passes higher frequency than cutoff frequency

BPF(Band Pass Filter) : 일정한 범위의 주파수만 통과시키는 필터BPF (Band Pass Filter): Filter that passes only a certain range of frequencies

BEF(Band Elimination Filter) : 일정한 범위의 주파수만 차단시키는 필터BEF (Band Elimination Filter): Filter that cuts only a certain range of frequencies

상기와 같은 필터의 기술을 응용한 것으로 출원번호 10-2005-7023101 '음질 조정 장치 및 음질 조정 방법' 이 있어, 청구항을 중심으로 보면 입력된 음성 신호에서의 소정의 제 1 주파수 대역 성분의 레벨에 근거하여 그 유무를 판정하고, 또한 상기 입력된 음성 신호에서의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이상의 제 2 주파수 대역 성분의 레벨에 근거하여 그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성분이 없고, 또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성분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입력된 음성 신호에서의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이상의 제 2 주파수 대역의 성분을 감쇠시켜, 제 2 주파수 대역이 감쇠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성분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입 력된 음성 신호에서의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성분을 감쇠시키지 않고서 상기 입력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음질 조정 장치가 있다.The application of the above-described filter technology is described in the application number 10-2005-7023101 'sound quality adjusting device and sound quality adjusting method', the center of the claims to the level of the predetermined first frequency band component in the input voice signal A judging unit that judg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ase on the basi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ase unit based on a level of a second frequency band component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frequency band in the input voice signal; When there is no component of the band and there is the second frequency band component, the voice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attenuated by attenuating the component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frequency band in the input voice signal. The second note in the input voice signal when the signal is output and the determination section determines that there is a component of the first frequency band Without can not attenuate the component of a band, there is the type of a control section for outputting a speech signal sound quality adjusting apparatus.

본 발명의 목적은 잡음 요소를 제거하고 최상의 음질로 방송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ltimately remove the noise element and broadcast with the best sound quality.

그러나, 각각의 분리된 기능을 하나의 랙 안에 조합하여 하나의 기능을 구현하는 랙 타입의 경우 잡음 요소를 제거하고 최상의 음질로 방송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모듈별로 개선하여 하나의 랙으로 통합 구현하여야 하는 특성을 갖으며, 아래의 것은 모두 원치 않는 음을 발생하는 잡음 요소이다.However, in the case of a rack type that combines each separated function into one rack and implements one function, in order to implemen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move noise elements and broadcast in the best sound quality, each module can be improved by one. It is characteristic that it should be integrated into the rack of. The following are all noise elements that generate unwanted sound.

1. 콘덴서 마이크에서 발생하는 하울링1. Howling from the condenser microphone

2. 콘덴서 마이크와 다이나믹 마이크의 장단점2.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condenser microphones and dynamic microphones

3. 음성발성시 낮은 명료도3. Low intelligibility when voiced

4. 최대화된 볼륨을 모르고 기기 작동시(POWER ON) 발생하는 굉음과 스피커의 손상4. Loudness and speaker damage that occur when the unit is turned on without knowing the maximum volume.

5. 파워앰프의 파워트랜지스터(POWER TR)의 과열로 발생하는 열잡음 및 파손5. Thermal noise and damage caused by overheating of power transistor (POWER TR) of power amplifier

6. 디머(DIMMER)를 ON 시키고 구내방송을 할 경우 발생하는 하울링6. Howling that occurs when DIMMER is turned ON and broadcasts on campus

7. 모니터 스피커에 의해 발생하는 하울링7. Howling caused by monitor speakers

8. 3-WAY 스피커의 명료도8. Clarity of 3-WAY Speaker

9. 대용량 아날로그앰프의 열잡음 및 스피커별 개별제어9. Thermal noise of individual analog amplifier and individual control by speaker

마이크로프로세서란 TTL이나 CMOS IC들은 정해진 특성대로만 움직이는 데 비 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관리자가 프로세서내에 프로그램을 주입해서 자신이 원하는 동작 특성을 구현 할 수 있는 것으로, 컴퓨터의 CPU처럼 명령을 내릴 수 있기도 하고 특정 명령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제어를 위한 주제어부의 제어명령을 입력하여 입력된 제어명령(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를 하는 주요 구성이다.A microprocessor is a TTL or CMOS IC that operates only on certain characteristics, whereas a microprocessor allows an administrator to inject a program into the processor to achieve the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It is possible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of the main control unit for the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configuration to control according to the input control command (program).

종래기술의 문헌 정보Literature Information of the Prior Art

[문헌1] 출원번호 10-2005-7023101 '음질 조정 장치 및 음질 조정 방법'[Document 1] Application No. 10-2005-7023101 'Sound quality adjusting device and sound quality adjusting method'

본 발명은 최상의 음질을 재현하여 스피커를 통해서 방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in order to reproduce the best sound quality through the speaker.

콘덴서 마이크에서 발생하는 하울링을 최소화하는 필터링 기술로 콘덴서마이크의 노이즈 부분을 추출하여 위상 반전한 노이즈와 다이나믹마이크, 콘덴서마이크의 음성 시그널을 혼합하여 다이나믹마이크와 콘덴서마이크의 음질을 혼합한 균질된 음성에 콘덴서 마이크의 노이즈를 제거하며, 다이나믹마이크와 콘덴서마이크의 출력 특성을 가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Filtering technology that minimizes howling generated from condenser microphone, extracts noise part of condenser microphone, mixes inverted phase noise, dynamic microphone and condenser microphone voice signal, and mixes the sound quality of dynamic microphone and condenser microphone. It removes the noise of the condenser microphone and has the effect of adding and subtracting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dynamic microphone and the condenser microphone.

종래의 선행기술 출원번호 10-2005-7023101 '음질 조정 장치 및 음질 조정 방법' 은 하나의 마이크 또는 단일특성으로 입력된 음성시그널을 저역주파수의 유무에 따라 무조건 고역 주파수를 커트 시키는 기술로 치찰음을 제거하려는 것으로, 본 발명과 같이 콘덴서마이크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과 발명의 목적에 서 차이가 나며, 방법 역시 일률적으로 고역 주파수를 커트 시키는 것과 달리 노이즈를 위상 반전하여 노이즈제거 및 2종류 마이크의 평탄특성을 얻는 것 등 많은 면에서 차이가 있다.The prior art patent application No. 10-2005-7023101 'sound quality control device and sound quality control method' is a technology that cuts the sibilant sound by unconditionally cutting high frequency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low frequency of a voice signal input with a single microphone or a single characteristic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condenser microphon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urpose of the invention, and the method also removes the noise by inverting the phase and flattens the two kinds of microphones, unlike to uniformly cut the high frequency.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cluding gaining characteristics.

또한 단순한 위상반전 노이즈제거 기술이 아닌 이종(異種)마이크의 평탄특성을 얻음과 동시에 콘덴서마이크의 노이즈제거와 출력 특성을 상황에 맞게 믹싱한다.In addition, it obtains the flatness characteristics of heterogeneous microphones, rather than the simple phase inversion noise cancellation technology, and mixes the noise reduction and output characteristics of condenser microphon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콘덴서 마이크에서 발생하는 하울링을 최소화하는 필터링 기술로 콘덴서 마이크와 다이나믹 마이크를 동시에 설치하여 주파수 편차를 분석하여 고음의 '삑-' 하는 노이즈를 추출하고 제거하며 서로다른 마이크의 특성을 균질화한다.It is a filtering technology that minimizes howling occurring in condenser microphones. It simultaneously installs condenser microphones and dynamic microphones, analyzes frequency deviation, extracts and removes high-pitched noise, and homogenizes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microphones.

위상반전 후 다시 가산(혼합)기를 거쳐 노이즈만 추출하여 다시 가산하는 단순한 노이즈제거 기술이 아닌 서로 다른 특성의 마이크를 혼합하여 노이즈를 추출하는 노이즈의 추출과 제거 및 서로 다른 특성의 균질화을 통해 단점은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며 장점은 최대한 살리는 것으로 서로 다른 특성의 균질화 과정에서 혼합비율도 관리자에 의해 최적화가 가능하게 한다.Rather than a simple noise canceling technique that extracts and adds only the noise after phase inversion and then adds it back together, the disadvantages are relatively reduced through the extraction and removal of noise that extracts noise by mixing microphon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the homogenization of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 advantage is that the mixing ratio can be optimized by the manager during the homogenization of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행사 진행이나 교회 등에서 연설자가 연설 중에 '삑∼' 하고 갑자기 귀청이 심하게 울리게 나는 하울링이 발생하는 경우를 자주 접하는데, 그 원인을 잡기 위해 어떤 경우 많은 교회들이 수 천에서 수 억의 시설투자를 하기도 하지만 아무리 고가의 비싼 제품들을 적용한다 해도 역시 소리가 나는데 그 원인은 기기의 이상 작동이 아니라 연설자가 마이크 사용을 잘못해서 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마이크라도 성능에 상관없이 입력부위를 손으로 감쌀 때 자기장이 강하게 장애를 받으면서 불안정해지고, 이때 불안정해진 자기장이 이상 전류로 변화가 일면서 그 이상신호가 앰프로 입력되면서 강한 굉음을 발생하게 된다.I often see howling happening when the speaker 'speaks' during speeches and churches, and suddenly the ears are loud.In some cases, many churches have invested thousands to hundreds of millions of facilities to find the cause. However, no matter how expensive the products are, they also sound, because the speaker is not working properly, but the speaker is using the microphone incorrectly. Even when the microphone is wrapped around the input by hand, regardless of its performance, the magnetic field is strongly disturbed and becomes unstable.At this time, the unstable magnetic field is changed to an abnormal current and an abnormal signal is input into the amplifier, causing a strong noise.

본 발명은 프리앰프에서 잡음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자동제어 필터링 효과를 갖으며, 콘덴서 마이크와 다이나믹 마이크의 장점만을 살려 음을 균질화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utomatic control filtering effect to selectively remove only noise from the preamplifier, and homogenizes the sound utilizing only the advantages of the condenser microphone and the dynamic microphone.

콘덴서 마이크에서 발생하는 하울링을 최소화하는 필터링 기술로 콘덴서마이크의 노이즈 부분을 추출하여 위상 반전한 노이즈와 다이나믹마이크, 콘덴서마이크의 음성 시그널을 혼합하여 다이나믹마이크와 콘덴서마이크의 음질을 혼합한 균질된 음성에 콘덴서 마이크의 노이즈를 제거하며, 다이나믹마이크와 콘덴서마이크의 출력 특성을 가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Filtering technology that minimizes howling generated from condenser microphone, extracts noise part of condenser microphone, mixes inverted phase noise, dynamic microphone and condenser microphone voice signal, and mixes the sound quality of dynamic microphone and condenser microphone. It removes the noise of the condenser microphone and has the effect of adding and subtracting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dynamic microphone and the condenser microphone.

종래의 선행기술 출원번호 10-2005-7023101 '음질 조정 장치 및 음질 조정 방법' 은 하나의 마이크 또는 단일특성으로 입력된 음성시그널을 저역주파수의 유무에 따라 무조건 고역 주파수를 커트 시키는 기술로 치찰음을 제거하려는 목적을 갖는 것으로, 본 발명은 콘덴서마이크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과 발명의 목적에서 차이가 나며, 방법 역시 일률적으로 고역 주파수를 커트 시키는 것과 노이즈를 위상 반전하여 노이즈제거 및 2종류 마이크의 평탄특성을 얻는 것 등 많은 면에서 차이가 있다.The prior art patent application No. 10-2005-7023101 'sound quality control device and sound quality control method' is a technology that cuts the sibilant sound by unconditionally cutting high frequency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low frequency of a voice signal input with a single microphone or a single characteristic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object of the invention to remove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condenser microphone, and the method also uniformly cuts the high frequency and noise by phase inverting the noise and flatness of the two microphones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cluding gaining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콘덴서 마이크와 다이나믹 마이크를 동시에 설치하여 주파수 편차를 분석하여 고음의 '삑-' 하는 노이즈를 추출하고 제거하고 서로 다른 마이크의 특성을 균질화 하는 것으로 노이즈의 추출방식이 서로 다른 이종(異種)마이크의 주파수 편차라는 점에서 종래기술과 확연한 차이점이 있다. 위상반전 후 다시 가산(혼합)기를 거쳐 노이즈만을 추출하여 다시 가산하는 단순한 노이즈제거 기술이 아닌 서로 다른 특성을 혼합하여 노이즈를 추출하며 노이즈의 제거와 서로 다른 특성의 균질화을 통해 단점은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며 장점은 최대한 살리는 것으로 서로 다른 특성의 균질화 과정에서 혼합비율도 관리자에 의해 최적화가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이하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condenser microphone and a dynamic microphone at the same time to analyze the frequency deviation to extract and remove the high-pitched '삑-' noise and to homogenize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microphones different noise extraction method (서로)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prior art in that it is the frequency deviation of the microphone. After the phase inversion, the noise is extracted by mixing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rather than the simple noise removal technology that extracts only the noise after adding (mixing) again, and the disadvantages are relatively reduced through the removal of noise and homogenization of different characteristics. Is to maximize the mixing ratio in the process of homogenization of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as possible by the administrato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의 (a)는 다이나믹마이크음성시그널을 주파수별로 그래픽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FIG. 1 (a) shows a graphic of a dynamic microphone voice signal for each frequency.

(b)는 콘덴서마이크음성시그널을 위상반전기를 통과한 것으로 주파수별로 그래픽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b) shows the condenser microphone voice signal that passes through the phase inverter and is graphic for each frequency.

(c)는 (a), (b)를 혼합한 믹싱시그널로 마이크 특성에 의한 작은 레벨 차이와 콘덴서마이크의 하울링 발생에 따른 노이즈 성분이 관리자 입력레벨에 의해 추출된다.(c) is a mixing signal in which (a) and (b) are mixed, and a small level difference due to microphone characteristics and noise components due to howling of a condenser microphone are extracted by the manager input level.

도 2는 주파수별 음성에너지 및 음성명료도 표이다.Figure 2 is a table of voice energy and voice intelligibility for each frequency.

도 3은 출원번호 10-2005-7023101 '음질 조정 장치 및 음질 조정 방법' 에서 입력된 단일 음성시그널을 저역과 고역으로 나누어 저역주파수대역에 성분이 없을 경우 고역주파수 출력을 커트시키며 레벨을 감쇠시키는 발명의 예로 치찰음을 판단 하면 고역주파수의 일률적인 커트를 중심으로 하는 발명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FIG. 3 is an invention for dividing a single voice signal inputted from Application No. 10-2005-7023101 'Sound Quality Control Device and Sound Quality Adjustment Method' into a low range and a high range to cut a high frequency output and attenuate a level when there is no component in a low frequency band. Determination of sibilant sound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showing an example of the invention centered on a uniform cut of a high frequency.

본 발명은 콘덴서마이크, 다이나믹마이크, 위상반전기, 제1혼합기, 제2혼합기, 제3혼합기, 레벨미터, 주제어부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denser microphone, a dynamic microphone, a phase inverter, a first mixer, a second mixer, a third mixer, a level meter, and a main control part.

입출력회로의 구성은 통상의 방법으로 사용되는 무접점계전기(SSR)를 이용하여 회로망을 구성하는 것으로 출력특성 등에 따라 입력되는 회로를 달리 구성하는 것으로 무접점계전기를 사용한다.The input / output circuit is composed of a contactless relay (SSR) used in a conventional manner. The input / output circuit uses a contactless relay by differently configuring an input circuit according to output characteristics.

콘덴서마이크, 다이나믹마이크로 부터 출력되는 음성시그널을 프리앰프에서 입력받아 콘덴서마이크에서 입력받은 음성시그널은 콘덴서마이크음성시그널이라 칭하고, 다이나믹마이크에서 입력받은 음성시그널은 다이나믹마이크음성시그널이라 칭한다.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condenser microphone and the dynamic microphone is input from the preamplifier, and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condenser microphone is called the condenser microphone voice signal, and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dynamic microphone is called the dynamic microphone voice signal.

다이나믹마이크에서 입력받은 다이나믹마이크음성시그널은 제2혼합기내 제1증폭기에 입력된다.The dynamic microphon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dynamic microphone is input to the first amplifier in the second mixer.

콘덴서마이크음성시그널은 위상반전기에 입력 후 출력 받은 위상반전된 콘덴서마이크음성시그널과 다이나믹마이크음성시그널을 제1혼합기에 입력 후 출력한 시그널인 믹싱시그널은 이종(異種)마이크의 특성 차에 의한 작은 레벨 차이를 나타내는 마이크 특성에 따른 차이의 노이즈(도 1의 (c) 참조)와 콘덴서마이크에 '삑∼' 하는 강한 하울링이 섞여있을 경우 콘덴서마이크의 노이즈(도 1의 (c) 참조)가 출력된다.The condenser microphone voice signal is a signal obtained by inputting and outputting a phase-inverted condenser microphone audio signal and a dynamic microphone audio signal received after input to a phase inverter to a first mixer.The mixing signal is a small level due to the difference in characteristics of heterogeneous microphones. The noise of the condenser microphone (see (c) in Fig. 1) is output when the noise of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icrophone characteristic showing the difference is mixed (see Fig. 1 (c)) and the strong howling '삑 to' is mixed in the condenser microphone. .

믹싱시그널을 레벨미터에 입력 후 주제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프로그램 입력한 입력값인 관리자 입력레벨(일 실시 예로 10dB) 이상의 믹싱시그널이 출력될 경우, 믹싱시그널과 콘덴서마이크음성시그널을 제2혼합기내 제2증폭기로 입력하여 콘덴서 마이크의 노이즈를 상쇄시킨다. 결론적으로, 이 콘덴서마이크의 노이즈 부분은 다이나믹마이크음성시그널만 출력되는 결과를 갖게 된다.When the mixing signal is input to the level meter and the mixing signal of the controller input level (10 dB in one embodiment), which is an input value programmed into the microprocessor of the main control unit, is output, the mixing signal and the condenser microphone voice signal are output in the second mixer. Input to the amplifier to cancel the noise of the condenser microphone. In conclusion, the noise portion of the condenser microphone results in only the dynamic microphone voice signal being output.

관리자 입력 레벨 이하로 믹싱시그널이 출력될 경우, 콘덴서마이크음성시그널만 제2혼합기내 제2증폭기로 입력된다. 결론적으로, 콘덴서마이크음성시그널과 다이나믹마이크음성시그널의 평탄특성을 갖는 음성시그널이 출력되는 결과를 갖게 된다.When the mixing signal is output below the manager input level, only the condenser microphone audio signal is input to the second amplifier in the second mixer. As a result, a voice signal having the flat characteristics of the condenser microphone voice signal and the dynamic microphone voice signal is output.

제2혼합기는 제1증폭기, 제2증폭기로 구성된다.The second mixer is composed of a first amplifier and a second amplifier.

제1증폭기는 관리자에 의해 다이나믹마이크음성시그널의 증폭도를 가변하는 가변저항을 통해 증폭도를 가변하여 제3혼합기로 입력한다.The first amplifier is input by the manager to the third mixer by varying the amplification degree through a variable resistor for varying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dynamic microphone voice signal.

제2증폭기는 관리자에 의해 콘덴서마이크음성시그널의 증폭도를 가변하는 가변저항을 통해 증폭도를 가변하여 제3혼합기로 입력한다.The second amplifier is input by the manager to the third mixer by varying the amplification degree through a variable resistor for varying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condenser microphone voice signal.

제3혼합기는 제2혼합기의 제1증폭기와 제2증폭기의 출력을 입력받아 믹싱하여 최종출력 한다.The third mixer receives the outputs of the first amplifier and the second amplifier of the second mixer, mixes the final outputs.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는 관리자의 가변에 의해 제2혼합기내 제1증폭기의 증폭도와 제2증폭기의 증폭도 비율을 가변하여 최종 튜닝된 음성시그널을 출력한다.The main controller, which is composed of microprocessors, changes the amplification ratio of the first amplifier and the second amplifier in the second mixer according to the variable of the manager and outputs the final tuned voice signal.

일 실시 예로, 콘덴서마이크에 노이즈가 심하고 다이나믹마이크의 특성이 좋은 여건의 경우 다이나믹마이크 80% 콘덴서마이크 20%의 출력레벨로 증폭도를 조 정하여 최종적으로 제3혼합기를 통해 출력되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8:2의 비율로 출력되는 것을 의미한다.In one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the condenser microphone is nois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ynamic microphone are good, the amplification degree is adjusted to the output level of the dynamic microphone 80% condenser microphone 20% and finally output through the third mixer. Means to be output at the ratio of 2.

주제어부는 비교기를 통해 관리자가 입력한 입력레벨과 믹싱시그널의 출력레벨을 비교하여 입력레벨 이상일 경우 믹싱시그널 및 콘덴서마이이크음성시그널을 무접점계전기로 회로를 구성하여 제2혼합기내 제2증폭기로 입력하는 회로망을 구성한다.The main control unit compares the input level input by the administrator through the comparator with the output level of the mixing signal, and when the input level is higher than the input level, the mixing signal and the condenser microphone voice signal are composed of a solid-state relay and input into the second amplifier in the second mixer. Configure the network.

관리자 입력레벨 이하로 믹싱시그널이 출력될 경우, 무접점 계전기로 회로망을 구성하여 콘덴서마이이크음성시그널만을 제2혼합기내 제2증폭기로 입력하는 주제어부를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필터링 제어 방송장치이다.When the mixing signal is output below the manager input level, the microphone filtering control broadcasting apparatus comprising a main control unit configured to input a condenser microphone voice signal to the second amplifier in the second mixer by forming a network with a solid state relay.

무접점계전기는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입력 1개를 출력 2개중 하나의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 솔리드스테이트릴레이(SSR), 트라이악(TRIAC) 등이 사용된다.The solid state relay can control input and output. One input can select one of two outputs, and solid state relay (SSR) and triac (TRIAC) are used.

일 실시 예로, 콘덴서마이크, 다이나믹마이크는 하나의 하우징(몸체) 안에 콘덴서마이크와 다이나믹마이크를 일체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필터링 제어 방송장치이다.In one embodiment, the condenser microphone and the dynamic microphone are microphone filtering control broadcasting apparatuses in which a condenser microphone and a dynamic microphone are integrated in one housing (body).

일 실시 예로, 프리앰프내 설치되어 최종 튜닝된 음성시그널은 파워앰프를 통해 증폭되어 스피커를 통해 음성시그널이 음성으로 복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필터링 제어 방송장치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oice signal installed in the preamplifier and the final tuned voice signal may be amplified by the power amplifier, and the voice signal is demodulated through the speaker.

일 실시 예로, 콘덴서마이크, 다이나믹마이크, 위상반전기, 제1혼합기, 제2혼합기, 주제어부로 구성되어; 콘덴서마이크, 다이나믹마이크로 부터 출력되는 음 성시그널을 입력받아 콘덴서마이크에서 입력받은 콘덴서마이크음성시그널; 다이나믹마이크에서 입력받은 다이나믹마이크음성시그널; 콘덴서마이크음성시그널을 위상반전기에 입력 후 출력 받은 위상반전된 콘덴서마이크음성시그널; 위상반전된 콘덴서마이크음성시그널과 다이나믹마이크음성시그널을 제1혼합기에 입력 후 출력한 믹싱시그널; 믹싱시그널을 제2혼합기로 입력 및 콘덴서마이크음성시그널과 다이나믹마이크음성시그널을 제2혼합기에 입력하여 콘덴서마이크음성시그널과 다이나믹마이크음성시그널의 평균에 믹싱시그널이 차감되어 콘덴서마이크음성시그널과 다이나믹마이크음성시그널의 균질된 시그널에 노이즈성분인 믹싱시그널이 차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필터링 제어 방송장치이다.In one embodiment, a condenser microphone, a dynamic microphone, a phase inverter, a first mixer, a second mixer, and a main controller; A condenser microphone voice signal received from a condenser microphone by receiving a voice signal output from a condenser microphone or a dynamic microphone; Dynamic Mic Voice Signal input from Dynamic Mic; A phase-inverted condenser microphone audio signal received after inputting a condenser microphone audio signal to a phase inverter; A mixing signal in which a phase-inverted condenser microphone audio signal and a dynamic microphone audio signal are input to the first mixer and then output; Input the mixing signal to the second mixer and input the condenser microphone voice signal and the dynamic microphone voice signal to the second mixer, and the mixing signal is subtracted from the average of the condenser microphone voice signal and the dynamic microphone sound signal, so that the condenser microphone voice signal and the dynamic microphone voice signal The microphone filtering control broadca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ixing signal of the noise component is subtracted from the homogeneous signal of the signal.

도 1의 (a)는 다이나믹마이크음성시그널을 주파수별로 그래픽한 예Figure 1 (a) is an example of the dynamic microphone audio signal for each graphic

(b)는 콘덴서마이크음성시그널을 위상반전기를 통과한 예(b) shows an example of passing a condenser microphone voice signal through a phase inverter

(c)는 (a), (b)를 혼합한 믹싱시그널 및 관리자 입력레벨 예(c) shows an example of mixing signal and manager input level in which (a) and (b) are mixed.

도 2는 주파수별 음성에너지 및 음성명료도 표2 is a table of voice energy and speech intelligibility for each frequency

도 3은 출원번호 10-2005-7023101 '음질 조정 장치 및 음질 조정 방법' 에서 저역주파수대역에 성분이 없을 경우 고역주파수 출력을 커트시키는 발명의 예Figure 3 is an example of the invention to cut the high frequency output when there is no component in the low frequency band in the application number 10-2005-7023101 'sound quality adjusting device and sound quality adjusting method'

Claims (4)

콘덴서마이크, 다이나믹마이크, 위상반전기, 제1혼합기, 제2혼합기, 제3혼합기, 레벨미터, 주제어부로 구성되어;A condenser microphone, a dynamic microphone, a phase changer, a first mixer, a second mixer, a third mixer, a level meter, and a main controller; 콘덴서마이크, 다이나믹마이크로 부터 출력되는 음성시그널을 입력받아 콘덴서마이크에서 입력받은 콘덴서마이크음성시그널;A condenser microphone voice signal received from a condenser microphone by receiving a voice signal output from a condenser microphone or a dynamic microphone; 다이나믹마이크에서 입력받은 다이나믹마이크음성시그널은 제2혼합기내 제1증폭기에 입력;The dynamic microphon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dynamic microphone is input to the first amplifier in the second mixer; 콘덴서마이크음성시그널은 위상반전기에 입력 후 출력 받은 위상반전된 콘덴서마이크음성시그널;The condenser microphone audio signal includes a phase inverted condenser microphone audio signal received after being input to a phase inverter; 위상반전된 콘덴서마이크음성시그널과 다이나믹마이크음성시그널을 제1혼합기에 입력 후 출력한 믹싱시그널;A mixing signal in which a phase-inverted condenser microphone audio signal and a dynamic microphone audio signal are input to the first mixer and then output; 믹싱시그널을 레벨미터에 입력 후 관리자 입력레벨 이상의 믹싱시그널이 출력될 경우, 믹싱시그널과 콘덴서마이크음성시그널을 제2혼합기내 제2증폭기로 입력;Inputting the mixing signal to the level meter and outputting a mixing signal of a manager input level or higher, and inputting the mixing signal and the condenser microphone voice signal to the second amplifier in the second mixer; 관리자 입력 레벨 이하로 믹싱시그널이 출력될 경우, 콘덴서마이크음성시그널만 제2혼합기내 제2증폭기로 입력;When the mixing signal is output below the manager input level, only the condenser microphone voice signal is input to the second amplifier in the second mixer; 제2혼합기는 제1증폭기, 제2증폭기로 구성되어;The second mixer consists of a first amplifier and a second amplifier; 제1증폭기는 관리자에 의해 다이나믹마이크음성시그널의 증폭도를 가변하여 제3혼합기로 입력;The first amplifier is input by the manager to the third mixer by varying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dynamic microphone voice signal; 제2증폭기는 관리자에 의해 콘덴서마이크음성시그널의 증폭도를 가변하여 제3혼합기로 입력;The second amplifier is input by the manager to the third mixer by varying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condenser microphone voice signal; 제3혼합기는 제2혼합기의 제1증폭기와 제2증폭기의 출력을 입력받아 믹싱하여 최종출력 하며;The third mixer receives and mixes the outputs of the first amplifier and the second amplifier of the second mixer and finally outputs them;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는 관리자의 가변에 의해 제2혼합기내 제1증폭기의 증폭도와 제2증폭기의 증폭도 비율을 가변하여 최종 튜닝된 음성시그널을 출력 및 비교기를 통해 관리자가 입력한 입력레벨과 믹싱시그널의 출력을 비교하여 입력레벨 이상일 경우 믹싱시그널 및 콘덴서마이이크음성시그널을 무접점계전기로 회로를 구성하여 제2혼합기내 제2증폭기로 입력하고, 관리자 입력레벨 이하로 믹싱시그널이 출력될 경우, 무접점 계전기로 회로를 구성하여 콘덴서마이이크음성시그널만을 제2혼합기내 제2증폭기로 입력하는 주제어부를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필터링 제어 방송장치The main control part composed of microprocessors varies the amplification ratio of the first amplifier and the second amplifier in the second mixer according to the variable of the manager, and mixes the final tuned voice signal with the input level input by the manager through the output and comparator. When the output of the signal is compared and the input level is higher than the input signal, the mixing signal and the condenser microphone voice signal are composed of a solid-state relay and the circuit is input to the second amplifier in the second mixer, and the mixing signal is output below the manager input level. A microphone filtering control broadcasting apparatus comprising a main control unit for constructing a circuit using a solid-state relay and inputting only a condenser microphone voice signal to a second amplifier in a second mixer. 제 1 항에 있어서, 콘덴서마이크, 다이나믹마이크는 하나의 하우징 안에 콘덴서마이크와 다이나믹마이크를 일체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필터링 제어 방송장치The microphone filtering control broadcasting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condenser microphone and the dynamic microphone integrate the condenser microphone and the dynamic microphone in one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프리앰프내 설치되어 최종 튜닝된 음성시그널은 파워앰프를 통해 증폭되어 스피커를 통해 음성시그널이 음성으로 복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필터링 제어 방송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voice signal installed in the preamplifier and the final tuned voice signal is amplified by the power amplifier so that the voice signal is demodulated through the speaker. 삭제delete
KR1020090005868A 2009-01-23 2009-01-23 The public address for broadcast controlling mike filtering KR1009085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868A KR100908564B1 (en) 2009-01-23 2009-01-23 The public address for broadcast controlling mike filte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868A KR100908564B1 (en) 2009-01-23 2009-01-23 The public address for broadcast controlling mike filte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8564B1 true KR100908564B1 (en) 2009-07-21

Family

ID=41337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868A KR100908564B1 (en) 2009-01-23 2009-01-23 The public address for broadcast controlling mike filte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56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653B1 (en) * 2012-05-18 2013-04-17 아이에스(주) Eco-broadcasting system in a compan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471A (en) * 1999-03-16 2000-10-16 김재명 Voice pag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471A (en) * 1999-03-16 2000-10-16 김재명 Voice pag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653B1 (en) * 2012-05-18 2013-04-17 아이에스(주) Eco-broadcasting system in a compan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8335B2 (en) Active noise control and customized audio system
US20170345406A1 (en) Method, system and item
JP3134254B2 (en) Concert audio system
JP2003319500A (en) Enhanced sound processing system used with sound radiator
KR100260224B1 (en) Howling preventing apparatus
CN110268727A (en) Configurable mostly band compressor framework with advanced circular processing function
JPH02718B2 (en)
US20220272464A1 (en) Mobile phone based hearing loss correction system
KR101606546B1 (en) Remote sound tun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wireless microphone
KR100908306B1 (en) The preamp mixing multi-audio
KR100908564B1 (en) The public address for broadcast controlling mike filtering
JP200822819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playback sound
US10476609B2 (en) Telecoil hum filter
KR100919621B1 (en) The public address for speech effector
JP5928102B2 (en) Sound adjustment device, sound adjustment method, and sound adjustment program
KR20100102780A (en) The public address for broadcast controlling howling
KR100907578B1 (en) The speaker controlling output of power
KR100898497B1 (en) The public address preventing speaker being broken in speaker being started
JP2004096342A (en) Sound level adjustment system
KR20100103105A (en) The speaker controlling output of power
KR20100103035A (en) The public address for effector
JPH0832115B2 (en) Automatic volume control device for loudspeaker broadcasting equipment
KR20100103101A (en) The public address preventing speaker being broken in speaker being started
KR101519435B1 (en) The apparatus for blocking standby power of activespeaker
JP4299728B2 (en) Audio signal characteristic adjust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