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7744B1 - 협업 필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협업 필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744B1
KR100907744B1 KR1020060111793A KR20060111793A KR100907744B1 KR 100907744 B1 KR100907744 B1 KR 100907744B1 KR 1020060111793 A KR1020060111793 A KR 1020060111793A KR 20060111793 A KR20060111793 A KR 20060111793A KR 100907744 B1 KR100907744 B1 KR 100907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nt
preference
time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1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3140A (ko
Inventor
구만영
김선영
임성욱
김지환
이주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1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744B1/ko
Publication of KR20080043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3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협업 필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및 컨텐츠간 유사도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및 컨텐츠간 유사도 산출시 사용자의 속성과 컨텐츠의 속성 및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 시점을 반영한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정보 및 사용자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적용하고 보편타당한 사용자가 아니라고 판단된 사용자의 행위를 필터링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추천의 정확도를 높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추천을 받는 대상자를 확장하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60111793
협업 필터링, 추천 데이터, 사용자 선호도, 컨텐츠간 유사도

Description

협업 필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 AND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협업 필터링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협업 필터링을 위해 컨텐츠 이용 정보를 관리하는 테이블 구조의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선호도 산출시 적용된 시간가중치의 예,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에 예시된 컨텐츠 이용 정보들로부터 분리된 사용자별 컨텐츠 이용 정보를 관리하는 테이블 구조의 예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협업 필터링을 위한 사용자의 속성 분류 기준이 되는 사용자 정보 관리 테이블 구조의 예,
도 6a 내지 도 6b는 도 5에 예시된 사용자 속성 분류 기준에 의거하여 도 2에 예시된 컨텐츠 이용 정보들로부터 분리된 사용자 속성별 컨텐츠 이용 정보를 관리하는 테이블 구조의 예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협업 필터링을 위해 특정 컨텐츠들간의 유사도 분석결과를 관리하는 테이블 구조의 예,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협업 필터링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 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유사도 산출 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협업 필터링 시스템 105: 컨텐츠 제공 서버 인터페이스부
110: 컨텐츠 이용정보 저장부 115: 컨텐츠 이용정보 관리 DB
120: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 125: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관리 DB
130: 컨텐츠 유사도 산출부 135: 유사도 데이터 관리 DB
140: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 생성부 145: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 관리 DB
150: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 제공부
본 발명은 협업 필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속성과 컨텐츠의 속성,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 시점을 적절히 반영함으로써 추천의 정확도를 높이는 협업 필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이 급속도로 발달하면서 방대한 양의 정보가 사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찾는 것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또한 원하는 정보를 찾는다 하더라도 그 정보를 찾을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즉, 정보 검색 시간)이 증가하게 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정보 검색시간을 줄이고 사용자별로 그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 즉 그 사용자에게 가치 있는 데이터만을 제공하는 ‘개인화 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개인화 서비스’란 사용자가 묵시적 혹은 명시적으로 제공한 정보(예컨대, 사용자의 신상정보 및 선호도 등)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가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데이터만을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사용자별로 선별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추천한다’라고 정의한다.
‘협업 필터링’은 이러한 ‘개인화 서비스’의 일종으로서, 사용자들에게 추천할 데이터의 결정시 사용자 또는 컨텐츠들 간의 유사도를 이용하는 방법을 말한다. 즉 ‘협업 필터링’은 크게 사용자간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추천 데이터를 결정하는 ‘사용자간(user to user) 협업 필터링’과 컨텐츠간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추천 데이터를 결정하는 ‘컨텐츠간(item to item) 협업 필터링’또는 이들 두 가지를 병합한 협업 필터링으로 구분된다. ‘사용자간 협업 필터링’과 ‘컨텐츠간 협업 필터링’각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간 협업 필터링’은 사용자가 제공한 정보(예컨대, 사용자의 신상정보 및 선호도 등)를 이용하여 비슷한 패턴을 보이는 사용자들을 그룹으로 분류한 후 동일 그룹에 포함된 다른 사용자들의 컨텐츠 구매 정보 또는 컨텐츠 이용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의 추천 데이터를 결정한다. 즉 동일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들간에 교차 추천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간 협업 필터링’방식을 이용하는 추천 시스템에서, ‘사용자 1’과 ‘사용자 2’가 ‘그룹 1’에 포함되고 ‘사용자 1’이 ‘컨텐츠 2’를 구매한 경우 상기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 2’의 추천 데이터에 ‘컨텐츠 2’를 포함시킨다.
한편 ‘컨텐츠간 협업 필터링’은 동일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한 컨텐츠 쌍을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의 추천 데이터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간 협업 필터링’방식을 이용하는 추천 시스템에서, ‘사용자 1’이 ‘컨텐츠 1’과 ‘컨텐츠 2’를 동시에 구매한 경우 ‘사용자 2’가 ‘컨텐츠 1’을 구매하면 상기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 2’의 추천 데이터에 ‘컨텐츠 2’를 포함시킨다.
이러한 종래의 ‘협업 필터링’방법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의 ‘협업 필터링’ 방법은 소수 집단에 속한 사용자의 성향을 고려하지 않고 다수 사용자들의 성향에 치우친 추천 결과를 얻게 된다. 예를 들어 전체 100명의 사용자 중 ‘컨텐츠 1’과 ‘컨텐츠 2’를 동시에 선택하는 사용자가 80명, ‘컨텐츠 1’과 ‘컨텐츠 3’을 동시에 선택하는 사용자가 20명이라고 할 경우 종래의 ‘협업 필터링’방법에서는‘컨텐츠 1’과 ‘컨텐츠 2’의 조합이 ‘컨텐츠 1’과 ‘컨텐츠 3’보다 4배 정도 유사하다는 결과가 나온다. 즉 사용자의 속성(예컨대, 성별, 나이, 지역 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사용자의 수에 의해 유 사도를 산출한다. 따라서 상기 ‘컨텐츠 1’과 ‘컨텐츠 2’를 동시에 선택한 사용자 80명 중 여성이 70명, 남성이 10명이고, ‘컨텐츠 1’과 ‘컨텐츠 3’을 동시에 선택한 사용자 20명 중 여성이 5명, 남성이 15명이라면, 남성의 경우 ‘컨텐츠 1’과 ‘컨텐츠 3’을 함께 선택한 사람(15명)이 ‘컨텐츠 1’과 ‘컨텐츠 2’를 함께 선택한 사람(10명)보다 1.5배 정도 많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상기 사용자의 전체 수에 의해 산출된 결과에 따라 ‘컨텐츠 1’을 선택한 남성 사용자에게 ‘컨텐츠 3’이 아닌 ‘컨텐츠 2’를 추천하게 된다. 이는 남성 25명과, 여성 75명으로 구성된 전체 100명의 사용자들의 성향 분석시 성별을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소수 집단에 속한 남성 사용자의 성향이 반영되지 않고 다수 사용자인 여성의 성향에 치우친 결과를 얻는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협업 필터링’ 방법은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및 컨텐츠간의 유사도 산출시, 자신의 선호 분야에 맞추어 선별적으로 컨텐츠를 이용하지 않고 무작위로 컨텐츠에 접근하는 사용자(예컨대, 쇼핑몰 홍보자, 스팸 광고자 및 프로그램 개발자 등)의 컨텐츠 이용 정보를 그대로 적용함으로써 부정확한 결과를 유도하는 원인이 된다. 이로 인해 종래의 ‘협업 필터링’방법은 추천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들의 컨텐츠에 대한 선호 성향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데, 종래의 ‘협업 필터링’ 방법으로는 이를 적절히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종래에는 단순히 개별 컨텐츠의 이용 시점만을 이용하여 컨텐츠의 선호 성향을 결정함으로써, 유효한 컨텐츠 이용 내역 기간을 길게 설정할 경우 정확도가 떨어지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컨텐츠 이용 내역 기간을 짧게 설정할 경우 추천 컨텐츠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마지막으로 종래의 ‘협업 필터링’ 방법은 컨텐츠의 카테고리, 색상, 음악 장르 등과 같이 컨텐츠의 유사성을 짐작할 수 있는 컨텐츠의 속성을 이미 알고 있는 경우에도 컨텐츠의 유사도 산출시 단순히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 내역만을 참조한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유사도 산출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확한 추천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하는 협업 필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수 집단에 속한 사용자의 성향을 고려함으로써 소수 집단의 사용자들에게도 정확한 추천 결과를 제공하도록 하는 협업 필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정확한 결과를 유도하는 사용자의 행위를 제외시킴으로써 정확한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및 컨텐츠간 유사도를 산출하도록 하는 협업 필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간 이용 시간간격을 이용함으로써 컨텐츠간 유사도를 정확하게 산출하는 협업 필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의 유사성을 짐작할 수 있는 컨텐츠의 속성을 이용하 여 컨텐츠간 유사도를 정확하게 산출하는 협업 필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협업 필터링 방법은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사용자들의 컨텐츠 이용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과정; 상기 컨텐츠 이용 정보를 분석하여 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행위 및/또는 이용시간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행위 및/또는 이용 시간 정보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컨텐츠 각각에 대한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컨텐츠 이용 정보를 분석하여 함께 이용된 경우가 많은 컨텐츠 쌍을 판단하고, 상기 컨텐츠 쌍의 이용 형태 및 상기 쌍을 이루는 컨텐츠들 각각의 속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 쌍들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및 상기 컨텐츠 쌍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 과정은 상기 컨텐츠 이용 정보를 분석하여 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행위를 판단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행위별 선호도 가중치를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행위 각각에 적용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별 행위 선호도를 산출하는 단계; 컨텐츠들 각각의 이용 시간 정보를 판단하고, 그 이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 가중치를 적용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별 시간 선호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별 행위 선호도와 사용자별 시간 선호도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 과정은 미리 설정된 비정상 사용자 판단 기준에 의거하여 비정상 사용자 정보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 과정은 사용자 속성(예컨대, 성, 연령 및 지역 등)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 결과를 분리한 후 사용자 속성별 선호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간 가중치 적용 단계는 해당 컨텐츠의 가장 최근 이용시간과 현재 시간과의 간격에 반비례하는 시간 가중치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사도 산출 과정은 상기 컨텐츠 이용 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내에 동일 사용자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용된 서로 다른 2이상의 컨텐츠들 중 선택 가능한 2개의 컨텐츠 조합을 유사 컨텐츠 쌍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유사 컨텐츠 쌍에 대하여 동일 사용자에 의해 이용된 이용 시점간 간격에 반비례하는 시간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 컨텐츠 쌍을 이루는 컨텐츠들 각각의 속성에 따른 속성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사도 산출 과정은 상기 컨텐츠 쌍을 함께 이용한 사용자들의 수가 미리 설정된 소수 사용자 결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컨텐츠 쌍을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사 컨텐츠 쌍 결정 단계는 서로 다른 2이상의 컨텐츠들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내에 동일 사용자에 의해 연속적으로 사용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그 컨텐츠들 중 선택 가능한 2개의 컨텐츠 조합을 유사 컨텐츠 쌍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간 가중치 적용 단계는 상기 유사 컨텐츠 쌍에 대하여 동일 사용자에 의해 이용된 이용 시점간 간격을 판단하는 단계; 소정 시간 간격마다 그 시간 간격에 반비례하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 가중치 중 상기 이용 시점간 간격에 대응된 시간 가중치를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시간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속성 가중치 적용 단계는 상기 컨텐츠들이 속한 카테고리의 유사도에 비례하는 속성 가중치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협업 필터링 시스템은 사용자들에게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사용자들의 컨텐츠 이용 정보를 수신하는 컨텐츠 제공서버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들의 컨텐츠 이용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컨텐츠 이용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컨텐츠 이용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사용자들의 컨텐츠 이용 정보를 분석하여 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행위 및/또는 이용 시간 정보에 따른 가중치가 적용된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를 산출하는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 상기 컨텐츠 이용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사용자들의 컨텐츠 이용 정보를 분석하여 함께 이용된 경우가 많은 컨텐츠 쌍을 판단하고, 상기 컨텐츠 쌍의 이용 형태 및 상기 쌍을 이루는 컨텐츠들 각각의 속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 쌍들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컨텐츠 유사도 산출부; 및 상기 선호도 산출부의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결과와 상기 컨텐츠 유사도 산출부의 컨텐츠 쌍들의 유사도 산출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는 상기 컨텐츠 이용 정보를 분석하여 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행위를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행위별 선호도 가중치를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행위 각각에 적용하여 사용자별 행위 선호도를 산출한 후 그 사용자별 행위 선호도를 포함하는 컨텐츠 선호도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는 상기 컨텐츠 이용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들 각각의 이용 시간 정보를 판단하고, 그 이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 가중치를 적용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별 시간 선호도를 산출한 후 그 사용자별 시간 선호도를 포함하는 컨텐츠 선호도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는 미리 설정된 비정상 사용자 판단 기준에 의거하여 비정상 사용자 정보를 필터링한 후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는 사용자 속성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결과를 분리한 후 사용자 속성별 선호도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는 해당 컨텐츠의 가장 최근 이용 시간과 현재 시간과의 간격에 반비례하는 시간 가중치를 적용하여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텐츠 유사도 산출부는 상기 컨텐츠 이용 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내에 동일 사용자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용된 서로 다른 2이상의 컨텐츠들 중 선택 가능한 2개의 컨텐츠 조합을 유사 컨텐츠 쌍으로 결정한 후 그 유사 컨텐츠 쌍에 대하여 동일 사용자에 의해 이용된 이용 시점간 간격에 반비례하는 시간 가중치를 적용한 유사도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텐츠 유사도 산출부는 서로 다른 2이상의 컨텐츠들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내에 동일 사용자에 의해 연속적으로 사용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그 컨텐츠들 중 선택 가능한 2개의 컨텐츠 조합을 유사 컨텐츠 쌍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텐츠 유사도 산출부는 상기 유사 컨텐츠 쌍을 이루는 컨텐츠들 각각의 속성에 따른 속성 가중치를 적용한 유사도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텐츠 유사도 산출부는 상기 유사 컨텐츠 쌍을 함께 이용한 사용자 수가 미리 설정된 소수 사용자 결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유사 컨텐츠 쌍을 필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한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협업 필터링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협업 필터링 시스템(100)은 컨텐츠 제공서버 인터페이스부(105), 컨텐츠 이용정보 저장부(110), 컨텐츠 이용 정보 저장 관리 데이터베이스(DB: Data Base)(115),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120),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관리 DB(125), 컨텐츠 유사도 산출부(130), 유사도 데이터 관리 DB(135),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 생성부(140), 유사도 데이터 관리 DB(145) 및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 제공부(150)를 포함한다.
컨텐츠 제공서버 인터페이스부(105)는 사용자들에게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미도시)와의 인터페이싱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서버 인터페이스부(105)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사용자들의 컨텐츠 이용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컨텐츠 이용정보 저장부(110)로 전달하고,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 제공부(150)로부터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달한다. 이 때 컨텐츠 제공서버 인터페이스부(105)는 사용자들의 컨텐츠 이용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의 제공을 일정 시간 단위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텐츠 이용정보 저장부(110)는 사용자들의 컨텐츠 이용 정보를 저장/관리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서버 인터페이스부(105)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이용 정보를 컨텐츠 이용 정보 관리 DB(115)에 저장한다.
컨텐츠 이용 정보 관리 DB(115)는 컨텐츠 이용정보 저장부(110)를 통해 전달 된 사용자들의 컨텐츠 이용 정보를 저장/관리한다. 이때 컨텐츠 이용 정보 관리 DB(115)는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행위를 행위별로 구분한 3치원 배열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텐츠 이용 정보 관리 DB(115)에서 상기 컨텐츠 이용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 구조의 예가 도 2에 예시되어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상기 컨텐츠 이용 정보와 상기 컨텐츠 이용 정보 항목별로 가중치가 적용된 선호도 판단 결과를 함께 저장하는 테이블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특히, 도 2의 예에서는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행위 정보를 시간 순으로 정렬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컨텐츠 이용 정보는 임의의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이용시간, 상기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이용 대상이 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행위 정보(예컨대, 행위수, 행위 타입 및 행위별 가중치)를 포함한다. 이 때 언급되지 않은 시간선호도, 행위별 가중치, 행위 선호도 및 선호 점수는 상기 컨텐츠 이용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120)에서 산출한 결과로서,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120)에 대한 동작 설명시에 상기 언급되지 않은 항목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120)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은 컨텐츠 이용 정보(예컨대, 컨텐츠 이용시간, 그 사용자 및 이용 대상이 된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120)는 컨텐츠 이용 정보 관리 DB(115)에 저장된 사용자들의 컨텐츠 이용 정보를 분석한 후, 그 결과에 따라 가중치가 적용된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를 산출한다. 특히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120)는 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행위를 고려한 행위 선호도 및 컨텐츠 이용 시간 정보를 고려한 시간 선호도를 각각 산출한 후 그 두 값을 함께 고려한 사용자 선호도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120)는 상기 컨텐츠 이용 정보를 분석하여 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행위를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행위별 선호도 가중치를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행위 각각에 적용하여 사용자별 행위 선호도를 산출한다. 도 2에는 행위 타입 ‘읽기’, ‘구매’, ‘감상평 작성’에 대하여 행위별 가중치가 각각 ‘1’, ‘5’, ‘3’으로 설정된 경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행위별로 행위 선호도를 산출한 경우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의 예에서 첫 번째 항목에 등록된 컨텐츠 이용 정보는 ‘사용자 1’이 ‘컨텐츠 1’에 대하여 ‘읽기’, ‘구매’, ‘감상평 작성’의 행위를 모두 수행한 경우이므로 그들 각각에 설정된 가중치를 모두 합한 가중치 '9' 가 행위 선호도로 산출되었고, 두 번째 항목에 등록된 컨텐츠 이용 정보는 ‘사용자 3’이 ‘컨텐츠 1’에 대하여 ‘읽기’, ‘구매’의 행위를 수행한 경우이므로 그들 각각에 설정된 가중치를 합한 가중치 ‘6’이 행위 선호도로 산출되었다.
또한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120)는 상기 컨텐츠 이용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들 각각의 이용 시간 정보를 판단하고, 그 이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 가중치를 적용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별 시간 선호도를 산출한다. 이 때 상기 이용 시간 정보는 ‘특정 컨텐츠의 가장 최근 이용시간과 현재 시간과의 간격 ’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120)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특정 컨텐츠의 가장 최근 이용시간과 현재 시간과의 간격’ 반비례하는 시간 가중치를 적용하여 사용자별 시간 선호도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최근에 이용된 컨텐츠에 높은 가중치를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행위 선호도 및 시간 선호도를 함께 적용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산출한다. 도 2에서는 상기 행위 선호도 및 시간 선호도를 합한 값을 선호 점수로 산출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120)는 비정상 사용자 판단 기준을 미리 설정하고 그 기준을 만족하는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 정보는 필터링한다. 즉 상기 비정상 사용자로 판단된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 정보는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시 고려하지 않는다. 이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 중 일부가 스팸 광고와 같이 불특정한 다수에게 광고를 게재하는 등, 자신의 선호 분야에 맞추어 선별적으로 컨텐츠를 이용하지 않고 무작위로 컨텐츠에 접근할 경우, 컨텐츠 간의 연관도를 계산하는 데에 있어서 부정확한 결과를 유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120)는 사용자의 속성 또는 행위 형태에 의거하여 비정상 사용자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미리 설정하고 그 기준에 만족하는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 정보를 필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120)는 사용자의 직업이 해당 컨텐츠를 판매하는 온/오프라인 쇼핑몰 주인이거나 해당 컨텐츠를 개발하는 프로그램 개발자인 경우 또는 사용자의 국적이 해당 컨텐츠의 판매 대상국 이외의 국가인 경우 그 사용자를 비정상 사용자로 판단한다. 또한 사용자의 행위 형태를 분석하여 동일 컨텐츠에 대하여 최소 접근시간 간격 이내에 최대 접근횟수 이상 접근하는 행위 형태를 보이는 사용자 또는 최소 수행 시간 간격 이내에 최대 수행 횟수 이상 동일한 행위를 수행하는 사용자를 비정상 사용자로 판단한다. 특히 상기 동일 행위의 대상이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인 경우 상기 사용자를 비정상 사용자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예에서 'yy/mm/dd hh:mm:ss 6_1 ~ yy/mm/dd hh:mm:ss 6_3'의 시간간격이 미리 설정된 최소 접근시간 간격 이내이고 상기 최대 접근횟수가 3회라면, 도 2의 테이블 6번째부터 8번째 항목의 컨텐츠 이용 정보는 ‘동일 컨텐츠에 대하여 최소 접근시간 간격 이내에 최대 접근횟수 이상 접근하는 행위 형태’에 해당된다. 따라서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120)는 상기 항목을 필터링 대상으로 판단한다.
또한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120)는 소수 집단에 속한 사용자의 특성이 반영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 속성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 결과를 분리한 후 사용자 속성별 선호도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성, 연령 및 지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속성에 의해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 결과를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120)는 먼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가 표시된 컨텐츠 이용 정보 관리 테이블을 도 4a 내지 도 4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별로 분리한다. 즉, 도 4a는 도 2에 예시된 테이블로부터 ‘사용자 1’의 컨텐츠 이용 정보 및 선호도 정보를 분리한 예이고, 도 4b는 도 2에 예시된 테이블로부터 ‘사용자 3’의 컨텐츠 이용 정보 및 선호도 정보를 분리한 예이고, 도 4c는 도 2에 예시된 테이블로부터 ‘사용자 4’의 컨텐츠 이용 정보 및 선호도 정보를 분리한 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사용자별 컨텐츠 이용 정보 및 선호도 정보를 분리하였으면,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120)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정보 관리 테이블로부터 사용자들의 속성을 판단한 후 특정 사용자 속성이 동일한 사용자들에 대한 컨텐츠 이용 정보 및 선호도 정보 테이블을 병합함으로써 사용자 속성별 컨텐츠 이용 정보 및 선호도 정보 관리 테이블을 생성한다.
도 6a 및 도 6b는 상기 과정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속성별 컨텐츠 이용 정보 및 선호도 정보 관리 테이블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6a는 서울/경기 지역 여자의 컨텐츠 선호도를 관리하는 테이블을 예시하고, 도 6b는 충청 지역 남자의 컨텐츠 선호도를 관리하는 테이블을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 결과는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관리 DB(125)에 저장/관리된다.
컨텐츠 유사도 산출부(130)는 컨텐츠 이용 정보 관리 DB(115)에 저장된 사용자들의 컨텐츠 이용 정보를 분석하여 함께 이용된 경우가 많은 컨텐츠 쌍을 판단하고, 상기 컨텐츠 쌍의 이용 형태 및 상기 쌍을 이루는 컨텐츠들 각각의 속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 쌍들의 유사도를 산출한다.
이를 위해 컨텐츠 유사도 산출부(130)는 상기 컨텐츠 이용 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내에 동일 사용자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용된 서로 다른 2 이상의 컨텐츠들 중 선택 가능한 2개의 컨텐츠 조합을 유사 컨텐츠 쌍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그 유사 컨텐츠 쌍에 대하여 동일 사용자에 의해 이용된 이용 시점간 간격에 반비례하는 시간 가중치를 적용한 유사도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30일전 같은 날에 ‘컨텐츠 A’와 ‘컨텐츠 B’를 함께 사용한 사용자가 10인이고, 10일전에 ‘컨텐츠 C’를 사용하고 1일전에 ‘컨텐츠 D’를 사용한 사용자가 10인이라면 두 번째 경우가 더 최근에 일어난 일이지만 ‘컨텐츠 A’와 ‘컨텐츠 B’는 같은 날에 일어난 현상이므로 ‘컨텐츠 A’와 ‘컨텐츠 B’가 ‘컨텐츠 C’와 ‘컨텐츠 D’보다 더 유사도가 높게 계산되도록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이 때 컨텐츠 유사도 산출부(130)는 서로 다른 2이상의 컨텐츠들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내에 동일 사용자에 의해 연속적으로 사용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에 그 컨텐츠들 중 선택 가능한 2개의 컨텐츠 조합을 유사 컨텐츠 쌍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컨텐츠 유사도 산출부(130)는 클러스터링에 의해 상기 유사 컨텐츠 쌍을 결정하며, 상기 클러스터링 방법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피어슨 상관관계, 인기도차 방법, 코사인 유사도 방법 등 일반적인 협업 필터링에서 사용되는 모든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유사 컨텐츠 쌍을 생성하기 위핸 구체적인 클러스터링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컨텐츠 유사도 산출부(130)는 상기 유사 컨텐츠 쌍을 이루는 컨텐츠들 각각의 속성에 따른 속성 가중치를 적용한 유사도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컨텐츠 유사도 산출부(130)는 상기 유사 컨텐츠 쌍을 이루는 컨텐츠들이 속한 카테 고리의 유사도에 비례하는 속성 가중치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컨텐츠 A’, ‘컨텐츠 B’, ‘컨텐츠 C’, ‘컨텐츠 D’가 미술작품이라고 하고 행위 기록에 의해 계산된 순수한 ‘컨텐츠 A’와 ‘컨텐츠 B’간 유사도가 ‘0.3’, ‘컨텐츠 C’와 ‘컨텐츠 D’간 유사도가 ‘0.3’으로 동일하다고 할 때, ‘컨텐츠 A’는 서양화, ‘컨텐츠 B’는 동양화, ‘컨텐츠 C’는 조각, ‘컨텐츠 D’는 비디오 아트라고 한다면, ‘컨텐츠 A’와 ‘컨텐츠 B’가 그림이라는 이미 알려진 유사 속성이 있으므로, 컨텐츠 유사도 산출부(130)는 ‘컨텐츠 A’와 ‘컨텐츠 B’의 유사도 점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컨텐츠 C’와 ‘컨텐츠 D’보다 더 높은 유사도가 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컨텐츠 유사도 산출부(130)는 상기 유사 컨텐츠 쌍을 함께 이용한 사용자 수가 미리 설정된 소수 사용자 결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유사 컨텐츠 쌍을 필터링한다. 이는 소수 사용자에 의해 의도적으로 컨텐츠간 유사도가 실제와는 다르게 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정확한 컨텐츠 유사도를 산출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인 것이다. 이 때 컨텐츠 유사도 산출부(130)는 상기 소수 사용자들의 속성을 비교하여 그 속성이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 동일한 경우 상기 소수 사용자들의 속성 및 필터링된 컨텐츠 쌍 정보를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로 전달하여 해당 사용자 그룹의 선호도 정보로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소수의 사용자 그룹이라 하더라도 그 사용자들이 서로 공통적인 속성을 가지는 그룹이라면 그들의 성향을 고려해야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컨텐츠 유사도 산출부(130)에서 산출된 컨텐츠 쌍들의 유사도 산 출 결과는 유사도 데이터 관리 DB(135)에 저장/관리된다.
도 7은 이러한 유사도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테이블의 예로서, 본 발명에의한 유사도 데이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반 클러스터링 결과에 시간 가중치 및 속성 가중치를 부가한 값이므로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 생성부(140)는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관리 DB(125)에 저장된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결과와 유사도 데이터 관리 DB(135)에 저장된 컨텐츠 쌍들의 유사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때 상기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의 생성 방법은 이미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 생성부(140)는 상기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 생성 결과를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 관리 DB(145)에 저장한다.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 제공부(150)는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 관리 DB(145)에 저장된 생성부에서 생성된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를 컨텐츠 제공서버 인터페이스부(105)로 전달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협업 필터링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즉 도 8은 도 1에 예시된 협업 필터링 시스템에 의한 협업 필터링 과정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협업 필터링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컨텐츠들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행위 정보 및 컨텐츠들의 이용 형태에 따라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및 컨텐츠의 유사도를 산출하고, 그 결과에 의거하여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를 생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협업 필터링 방법은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사용자들의 컨텐츠 이용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과정(미도시)이 선행되어야 한다.
상기 컨텐츠 이용 정보가 저장되면 협업 필터링 시스템(100)은 그 컨텐츠 이용 정보를 분석하여 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행위 및/또는 이용시간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행위 및/또는 이용 시간 정보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컨텐츠 각각에 대한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를 산출한다(S100). 그리고 상기 컨텐츠 이용 정보를 분석하여 함께 이용된 경우가 많은 컨텐츠 쌍을 판단하고, 상기 컨텐츠 쌍의 이용 형태 및 상기 쌍을 이루는 컨텐츠들 각각의 속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 쌍들의 유사도를 산출한다(S200).
상기와 같이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및 컨텐츠 쌍의 유사도가 산출되면 협업 필터링 시스템(100)은 그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및 상기 컨텐츠 쌍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를 생성한다(S300). 그리고 그 사용자별 컨텐츠 추천 데이터 제공 조건을 만족하면 해당 사용자에게 컨텐츠 추천 데이터를 제공한다(S400). 이 때 상기 컨텐츠 추천 데이터 제공 조건은 해당 사용자가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근한 경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 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8에 예시된 컨텐츠 선호도 산출과정(S100)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협업 필터링 시스템(100)은 미리 저장된 컨텐 츠 이용 정보를 분석하여 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행위 정보를 저장한다(S110). 즉 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행위 정보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저장한다. 그리고 그 행위 종류에 따른 행위 가중치가 적용된 행위 선호도를 산출한다(S120). 이를 위해 협업 필터링 시스템(100)은 미리 설정된 행위별 선호도 가중치를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행위 각각에 적용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별 행위 선호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컨텐츠별 사용자 선호도 산출과정은 컨텐츠 이용 시간에 따른 시간 가중치가 적용된 시간 선호도를 산출한다(S130).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협업 필터링 시스템(100)은 컨텐츠들 각각의 이용 시간 정보를 판단하고, 그 이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 가중치를 적용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별 시간 선호도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별 행위 선호도와 사용자별 시간 선호도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를 산출한다.
한편 이와 같이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를 산출한 본 발명의 협업 필터링 시스템(100)은 비정상 사용자 정보를 필터링한 후(S140) 그 사용자 속성별 컨텐츠 선호도를 분석한다(S150). 이 때 상기 비정상 사용자 정보 필터링 및 사용자 속성별 컨텐츠 선호도 분석 과정은 도 1을 참조한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120)의 동작 설명시 언급된 바와 유사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과정은 비정상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이력 정보를 무시하면서 소수 집단의 컨텐츠 이용 성향을 고려함으로 써 보다 정확한 추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유사도 산출 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8에 예시된 컨텐츠 쌍의 유사도 산출과정(S200)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협업 필터링 시스템(100)은 미리 저장된 컨텐츠 이용 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내에 동일 사용자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용된 서로 다른 2이상의 컨텐츠들 중 선택 가능한 2개의 컨텐츠 조합을 유사 컨텐츠 쌍으로 결정한다(S210).
그리고 클러스터링된 컨텐츠 쌍에 대하여 이용시점간 간격에 반비례하는 시간 가중치를 부여하고(S220), 클러스터링된 컨텐츠 쌍에 대하여 그 속성에 따른 속성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S230) 상기 유사 컨텐츠 쌍을 이루는 컨텐츠들간의 유사도를 산출한다. 이 때 상기 클러스터링 과정(S210)과, 시간 및 속성 가중치 적용 과정(S220, S23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을 참조한 컨텐츠 유사도 산출부(130)의 동작 설명시 언급된 바와 유사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 때 상기와 같이 유사도를 산출한 본 발명의 협업 필터링 시스템(100)은 유사 컨텐츠 쌍으로 분류된 컨텐츠 쌍을 함께 이용한 사용자들의 수가 미리 설정된 소수 사용자 결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컨텐츠 쌍을 필터링(S240)한다. 이는 소수 사용자에 의해 의도적으로 컨텐츠간 유사도가 실제와는 다르게 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협업 필터링 시스템(100)은 상기 소수 사용자들의 속성을 비 교하여 그 속성이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 동일한 경우 상기 소수 사용자들의 속성 및 필터링된 컨텐츠 쌍 정보를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로 전달하여 해당 사용자 그룹의 선호도 정보로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소수의 사용자 그룹이라 하더라도 그 사용자들이 서로 공통적인 속성을 가지는 그룹이라면 그들의 성향을 고려해야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 때 상기 필터링에 대한 구체적인 처리 과정은 도 1을 참조한 컨텐츠 유사도 산출부(130)의 동작 설명시 언급된 바와 유사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락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및 컨텐츠간 유사도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및 컨텐츠간 유사도 산출시 사용자의 속성과 컨텐츠의 속성 및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 시점을 반영한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정보 및 사용자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적용하고 보편타당한 사용자가 아니라고 판단된 사용자의 행위를 필터링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추천의 정확도를 높이는 장점이 있다. 특히 소수 집단 의 사용자들에게도 정확한 추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추천을 받는 대상자를 확장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6)

  1. 협업 필터링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사용자들의 컨텐츠 이용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과정;
    상기 컨텐츠 이용 정보를 분석하여 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행위 및/또는 이용시간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행위 및/또는 이용 시간 정보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컨텐츠 각각에 대한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컨텐츠 이용 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내에 동일 사용자에 의해 연속적으로 사용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인 컨텐츠 쌍을 판단하고, 상기 컨텐츠 쌍의 이용 형태 및 상기 쌍을 이루는 컨텐츠들 각각의 속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 쌍들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및 상기 컨텐츠 쌍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 과정은
    상기 컨텐츠 이용 정보를 분석하여 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행위를 판단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행위별 선호도 가중치를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행위 각각에 적용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별 행위 선호도를 산출하는 단계;
    컨텐츠들 각각의 이용 시간 정보를 판단하고, 그 이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 가중치를 적용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별 시간 선호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별 행위 선호도와 사용자별 시간 선호도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 과정은
    미리 설정된 비정상 사용자 판단 기준에 의거하여 비정상 사용자 정보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사용자 정보 필터링 단계는
    비정상 사용자 판단을 위해 미리 설정된 비정상 사용자 속성을 만족하는 사용자를 비정상 사용자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사용자 속성은
    사용자의 직업이 해당 컨텐츠의 생성, 개발, 가공, 판매, 광고 중 적어도 하 나의 행위를 수행하는 직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사용자 속성은
    사용자의 국적이 해당 컨텐츠의 판매 대상국 이외의 국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사용자 속성은
    동일 컨텐츠에 대하여 최소 접근시간 간격 이내에 최대 접근횟수 이상 접근하는 행위 형태를 보이는 사용자 또는 최소 수행 시간 간격 이내에 최대 수행 횟수 이상 동일한 행위를 수행하는 사용자를 비정상 사용자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사용자 속성은
    상기 동일 행위의 대상이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인 경우 상기 사용자를 비정상 사용자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 과정은
    사용자 속성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 결과를 분리한 후 사용자 속성별 선호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속성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 단계는
    성, 연령 및 지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속성에 의해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 결과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방법.
  11. 제2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가중치 적용 단계는
    해당 컨텐츠의 가장 최근 이용시간과 현재 시간과의 간격에 반비례하는 시간 가중치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 산출 과정은
    상기 컨텐츠 이용 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내에 동일 사용자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용된 서로 다른 2이상의 컨텐츠들 중 선택 가능한 2개의 컨텐츠 조합을 유사 컨텐츠 쌍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유사 컨텐츠 쌍에 대하여 동일 사용자에 의해 이용된 이용 시점간 간격에 반비례하는 시간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 컨텐츠 쌍을 이루는 컨텐츠들 각각의 속성에 따른 속성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 산출 과정은
    상기 컨텐츠 쌍을 함께 이용한 사용자들의 수가 미리 설정된 소수 사용자 결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컨텐츠 쌍을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 산출 과정은
    상기 소수 사용자들의 속성을 비교하여 그 속성이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 동일한 경우 상기 필터링된 컨텐츠 쌍을 해당 사용자 그룹의 선호도 정보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방법.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컨텐츠 쌍 결정 단계는
    서로 다른 2이상의 컨텐츠들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내에 동일 사용자에 의해 연속적으로 사용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그 컨텐츠들 중 선택 가능한 2개의 컨텐츠 조합을 유사 컨텐츠 쌍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방법.
  16.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가중치 적용 단계는
    상기 유사 컨텐츠 쌍에 대하여 동일 사용자에 의해 이용된 이용 시점간 간격을 판단하는 단계;
    소정 시간 간격마다 그 시간 간격에 반비례하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 가중치 중 상기 이용 시점간 간격에 대응된 시간 가중치를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시간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방법.
  17.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가중치 적용 단계는
    상기 컨텐츠들이 속한 카테고리의 유사도에 비례하는 속성 가중치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방법.
  18. 협업 필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들에게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사용자들의 컨텐츠 이용 정보를 수신하는 컨텐츠 제공서버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들의 컨텐츠 이용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컨텐츠 이용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컨텐츠 이용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사용자들의 컨텐츠 이용 정보를 분석하여 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행위 및/또는 이용 시간 정보에 따른 가중치가 적용된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를 산출하는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
    상기 컨텐츠 이용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사용자들의 컨텐츠 이용 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내에 동일 사용자에 의해 연속적으로 사용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인 컨텐츠 쌍을 판단하고, 상기 컨텐츠 쌍의 이용 형태 및 상기 쌍을 이루는 컨텐츠들 각각의 속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 쌍들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컨텐츠 유사도 산출부; 및
    상기 선호도 산출부의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결과와 상기 컨텐츠 유사도 산출부의 컨텐츠 쌍들의 유사도 산출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 결과를 저장하는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관리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컨텐츠 쌍들의 유사도 산출 결과를 저장하는 유사도 관리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 관리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시스템.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달하는 사용자별 추천 데이터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시스템.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는
    상기 컨텐츠 이용 정보를 분석하여 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행위를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행위별 선호도 가중치를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행위 각각에 적용하여 사용자별 행위 선호도를 산출한 후 그 사용자별 행위 선호도를 포함하는 컨텐츠 선호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시스템.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는
    상기 컨텐츠 이용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들 각각의 이용 시간 정보를 판단하고, 그 이용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 가중치를 적용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별 시간 선호도를 산출한 후 그 사용자별 시간 선호도를 포함하는 컨텐츠 선호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시스템.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는
    미리 설정된 비정상 사용자 판단 기준에 의거하여 비정상 사용자 정보를 필터링한 후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는
    사용자의 직업이 해당 컨텐츠의 생성, 개발, 가공, 판매, 광고 중 적어도 하나의 행위를 수행하는 직종인 경우 그 사용자를 비정상 사용자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시스템.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는
    사용자의 국적이 해당 컨텐츠의 판매 대상국 이외의 국가인 경우 그 사용자를 비정상 사용자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시스템.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는
    동일 컨텐츠에 대하여 최소 접근시간 간격 이내에 최대 접근횟수 이상 접근하는 행위 형태를 보이는 사용자 또는 최소 수행 시간 간격 이내에 최대 수행 횟수 이상 동일한 행위를 수행하는 사용자를 비정상 사용자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는
    상기 동일 행위의 대상이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인 경우 상기 사용자를 비정상 사용자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시스템.
  2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는
    사용자 속성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결과를 분리한 후 사용자 속성별 선호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는
    성, 연령 및 지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속성에 의해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 결과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시스템.
  3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는
    해당 컨텐츠의 가장 최근 이용시간과 현재 시간과의 간격에 반비례하는 시간 가중치를 적용하여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시스템.
  3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유사도 산출부는
    상기 컨텐츠 이용 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내에 동일 사용자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용된 서로 다른 2이상의 컨텐츠들 중 선택 가능한 2개의 컨텐츠 조합을 유사 컨텐츠 쌍으로 결정한 후 그 유사 컨텐츠 쌍에 대하여 동일 사용자에 의해 이용된 이용 시점간 간격에 반비례하는 시간 가중치를 적용한 유사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유사도 산출부는
    서로 다른 2이상의 컨텐츠들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내에 동일 사용자에 의해 연속적으로 사용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그 컨텐츠들 중 선택 가능한 2개의 컨텐츠 조합을 유사 컨텐츠 쌍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시스템.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유사도 산출부는
    상기 유사 컨텐츠 쌍을 이루는 컨텐츠들 각각의 속성에 따른 속성 가중치를 적용한 유사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시스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유사도 산출부는
    상기 유사 컨텐츠 쌍을 이루는 컨텐츠들이 속한 카테고리의 유사도에 비례하는 속성 가중치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시스템.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유사도 산출부는
    상기 유사 컨텐츠 쌍을 함께 이용한 사용자 수가 미리 설정된 소수 사용자 결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유사 컨텐츠 쌍을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시스템.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유사도 산출부는
    상기 소수 사용자들의 속성을 비교하여 그 속성이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 동일한 경우 상기 소수 사용자들의 속성 및 필터링된 컨텐츠 쌍 정보를 상기 사용자별 컨텐츠 선호도 산출부로 전달하여 해당 사용자 그룹의 선호도 정보로 관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 시스템.
KR1020060111793A 2006-11-13 2006-11-13 협업 필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07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793A KR100907744B1 (ko) 2006-11-13 2006-11-13 협업 필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793A KR100907744B1 (ko) 2006-11-13 2006-11-13 협업 필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140A KR20080043140A (ko) 2008-05-16
KR100907744B1 true KR100907744B1 (ko) 2009-07-14

Family

ID=39661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1793A KR100907744B1 (ko) 2006-11-13 2006-11-13 협업 필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7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419B1 (ko) 2019-09-24 2020-04-03 주식회사 옵티마이즈 위치정보와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여행 동행 및 상품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98747A (ko) 2022-12-21 2024-06-28 주식회사 다정글로벌 향수 데이터 분석 기반 친환경 향수 제품 추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5644B2 (en) * 2008-07-14 2016-01-12 Qualcomm Incorporated Operator, device and platform independent aggregation, cross-platform translation, enablement and distribution of user activity catalogs
KR101030653B1 (ko) * 2009-01-22 2011-04-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정보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보정하는 사용자 기반 협업 필터링 추천 시스템
KR101043623B1 (ko) * 2009-03-18 2011-06-24 주식회사 케이티 컨텐츠 푸쉬 장치 및 방법
KR101216969B1 (ko) * 2009-08-19 2013-01-02 주식회사 디디에이치 상품 가격을 고려한 상품 추천시스템 및 그 추천방법
KR101132042B1 (ko) * 2010-08-31 2012-04-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협업 필터링기반의 추천 시스템에서 사용자 추천 그룹을 결정하는 방법
US9124590B2 (en) 2011-07-19 2015-09-01 Sk Planet Co., Ltd. Intelligen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KR101320094B1 (ko) * 2011-08-26 2013-10-18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높은 연관성을 가지는 아이템을 추천하는 사용자 기반의 추천 엔진
KR101334096B1 (ko) * 2011-08-26 2013-11-29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높은 연관성을 가지는 아이템을 추천하는 아이템 기반의 추천 엔진
KR101325242B1 (ko) * 2012-01-26 2013-11-05 주식회사 티브로드한빛방송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의 vod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2050738B1 (ko) * 2012-10-31 2019-12-0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상품 추천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협업 필터링 기반 상품 추천을 위한 장치
KR101450526B1 (ko) * 2012-12-28 2014-10-1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친구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2086041B1 (ko) * 2013-01-24 2020-03-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다중 기간별 사용자 선호도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추천 방법 및 그 장치
KR102179397B1 (ko) * 2013-05-06 2020-11-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상품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500874B1 (ko) * 2013-11-22 2015-03-1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 인지 컨텐츠 추천 시점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2466452B1 (ko) * 2015-04-23 2022-11-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627423B1 (ko) * 2016-03-18 2024-01-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00519B1 (ko) * 2017-10-27 2019-07-16 주식회사 코스콤 유사 성향 고객의 투자 패턴을 이용한 주식 종목 추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190119743A (ko) * 2018-04-13 2019-10-23 (주)스마일게이트스토브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N108985900B (zh) * 2018-07-16 2021-06-29 广州天高软件科技有限公司 基于运营业务的分时推荐方法
KR102174206B1 (ko) * 2018-10-29 2020-11-04 주식회사 케이에스씨 상품의 신뢰도를 고려한 온라인 상품 추천 방법 및 장치
KR102590517B1 (ko) * 2019-12-27 2023-10-17 주식회사 콜라보그라운드 컨텐츠서버와 crm서버 기반의 서비스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KR102607064B1 (ko) * 2020-09-29 2023-11-29 주식회사 뮤즈라이브 음악 관련 컨텐츠의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405105B1 (ko) * 2020-12-15 2022-06-07 주식회사 핀크 자산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산 관리 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202A (ko) * 2000-07-27 2002-05-04 요트.게.아. 롤페즈 3가지 방식의 매체 추천 방법 및 시스템 명세
KR20030003396A (ko) * 2001-06-30 2003-01-10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의 분야별 선호 프로파일을 이용한 컨텐츠 추천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202A (ko) * 2000-07-27 2002-05-04 요트.게.아. 롤페즈 3가지 방식의 매체 추천 방법 및 시스템 명세
KR20030003396A (ko) * 2001-06-30 2003-01-10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의 분야별 선호 프로파일을 이용한 컨텐츠 추천서비스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①퍼지 및 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2006.Vol. 16, No.2, pp164-171
②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10권 제2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419B1 (ko) 2019-09-24 2020-04-03 주식회사 옵티마이즈 위치정보와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여행 동행 및 상품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98747A (ko) 2022-12-21 2024-06-28 주식회사 다정글로벌 향수 데이터 분석 기반 친환경 향수 제품 추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140A (ko) 200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744B1 (ko) 협업 필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30267508A1 (en) Predictive recommendation system using absolute relevance
TWI409712B (zh) 以消費者推薦之社交網路行銷方法與裝置
US9892195B2 (en) Providing information via a network
KR101240122B1 (ko) 애드보케이트 추천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마케팅 방법 및 장치
US8676645B2 (en) Identification of users for advertising using data with missing values
US8650141B2 (en) System and method of segmenting and tagging entities based on profile matching using a multi-media survey
KR101865710B1 (ko) 소셜 네트워킹 엔진의 사용자들에게 콘텐츠를 다이렉팅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202967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recommendations
US200100130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uter-based marketing
US20180315059A1 (en) Method and system of managing item assortment based on demand transfer
US20140100950A1 (en) Method of testing online recommender system
US200902484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market analysis from anonymous behavior profiles
US20100312613A1 (en) Method of evaluating learning rate of recommender systems
Reimer et al. How online consumer segments differ in long-term marketing effectiveness
US11200593B2 (en) Predictive recommendation system using tiered feature data
US10592918B2 (en) Predictive recommendation system using tiered feature data
Roos et al. The effect of links and excerpts on internet news consumption
KR20030058660A (ko) 개인화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컨텐트 선호도를 이용한협업필터링 학습방법
KR100925511B1 (ko) 협업필터링을 이용한 컨텐츠 분류 방법 및 시스템
US20130262355A1 (en) Tool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semantic relationship indexes
Varki et al. The augmented latent class model: Incorporating additional heterogeneity in the latent class model for panel data
JP2000315212A (ja) 情報選別方法及びシステム、記録媒体
Rallabandi Consumer perceptions of sponsored listing and their impact on online marketplaces
Alizada Demystifying Search Engine Optimization-Online Retargeting Bo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