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699B1 - 다기능 연결구 - Google Patents

다기능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699B1
KR100906699B1 KR1020070089302A KR20070089302A KR100906699B1 KR 100906699 B1 KR100906699 B1 KR 100906699B1 KR 1020070089302 A KR1020070089302 A KR 1020070089302A KR 20070089302 A KR20070089302 A KR 20070089302A KR 100906699 B1 KR100906699 B1 KR 100906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onnecting rod
mounting
connection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4340A (ko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철 filed Critical 이상철
Priority to KR1020070089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699B1/ko
Publication of KR20090024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1906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entral spherical, semispherical or polyhedral connect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5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nodes and str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건축용 조립구조물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다기능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봉(100)과 장착구(200)를 상호 반대 방향으로 맞물려 회전시켜 이루어지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100)은 다각기둥 형상의 연결본체(110); 및, 상기 연결본체(110)의 일면 이상에 형성되는 피삽입단(120); 으로 구성되되, 상기 피삽입단(120)은 상기 연결본체(110)의 일면에 결합되는 회전유도링(122); 기 회전유도링(122)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회전유도링(122)을 덮을 수 있는 크기의 정다각형 형상이되, 중앙부는 회전유도링(122)의 내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천공되고, 모서리는 장착구(200)의 회전판(222) 내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절취된 걸림판(125)이 구비된 이동방지막(124); 및, 상기 회전유도링(122)과 이동방지막(124)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홈(126);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구(200)는 다면체 형상의 장착본체(210); 및, 상기 장착본체(210)의 일면 이상에 형성되는 삽입단(220); 으로 구성되되, 상기 삽입단(220)은 상기 장착본체(210) 일면에서 장착본체(210)의 중심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에서 중앙부를 천공하여 형성되는 회전판(222); 상기 회전판(222)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봉(100)의 이동방지막(124)이 삽입가능하도록 중앙부가 이동방지막(124)의 외주면의 형상을 따라 천공되되, 상기 회전판(222)의 천공된 중앙부의 외곽을 일부 덮을 수 있는 장착걸림막(224); 및, 상기 회전판(222) 및 장착걸림막(224) 중앙부의 천공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봉(100)의 이동방지막(124)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한 것으로 상기 삽입홈(126)에 안착되는 삽입돌기(227)가 구비된 삽입링(226);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건축구조물, 조립구조물, 연결구

Description

다기능 연결구{Multi-functional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토목건축용 조립구조물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다기능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봉(100)과 장착구(200)를 상호 반대 방향으로 맞물려 회전시켜 이루어지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100)은 다각기둥 형상의 연결본체(110); 및, 상기 연결본체(110)의 일면 이상에 형성되는 피삽입단(120); 으로 구성되되, 상기 피삽입단(120)은 상기 연결본체(110)의 일면에 결합되는 회전유도링(122); 기 회전유도링(122)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회전유도링(122)을 덮을 수 있는 크기의 정다각형 형상이되, 중앙부는 회전유도링(122)의 내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천공되고, 모서리는 장착구(200)의 회전판(222) 내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절취된 걸림판(125)이 구비된 이동방지막(124); 및, 상기 회전유도링(122)과 이동방지막(124)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홈(126);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구(200)는 다면체 형상의 장착본체(210); 및, 상기 장착본체(210)의 일면 이상에 형성되는 삽입단(220); 으로 구성되되, 상기 삽입단(220)은 상기 장착본체(210) 일면에서 장착본체(210)의 중심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에서 중앙부를 천공하여 형성되는 회전판(222); 상기 회전판(222)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봉(100)의 이동방지막(124)이 삽입가능하도록 중앙부가 이동방지막(124)의 외주면의 형상을 따라 천공되되, 상기 회전판(222)의 천공된 중앙부의 외곽을 일부 덮을 수 있는 장착걸림막(224); 및, 상기 회전판(222) 및 장착걸림막(224) 중앙부의 천공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봉(100)의 이동방지막(124)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한 것으로 상기 삽입홈(126)에 안착되는 삽입돌기(227)가 구비된 삽입링(226);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토목건축 구조물이나 조립구조물 등에서 서로 분리되어 있는 두 개 이상의 부재를 일체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연결구조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결구조의 일례로 피삽입단을 삽입단에 끼워 넣는 형태의 연결구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연결구는 연결구의 크기에 오차가 있는 경우 부착 과정에서 쉽게 분해되거나, 서로 반대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의 세기를 조절하기가 어려워 탈착 과정에서 부재의 탈착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구의 구조가 견고하지 않아서 외부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변형이 일어나기 쉬운 편이었다.
아울러 연결구조를 구성하는 피삽입단과 삽입단의 구조상 연결구의 규격이 제한되어 있어 다양한 형상의 구조물을 제작하기 어려웠다.
그리고 평면 형상 또는 입체 형상의 구조물을 제작하는 경우, 내부에서 외부로 조립해 나가는 과정을 택하고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 처음에 의도했던 형상과는 다른 형태의 구조물이 제작될 수도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삽입단과 피삽입단의 간단한 회전만으로도 이웃하는 부재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체결이 완료된 이후에는 삽입돌기가 삽입홈에 안착되기 때문에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에 의하여 연결봉과 장착구가 분리되지 않는 견고한 형태의 다기능 연결구를 제공한다.
둘째, 연결 부재의 구조와 규격이 다양하여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고, 부재의 크기에 제약 없이 다양하고 자유로운 형태의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다기능 연결구를 제공한다.
셋째, 외관을 먼저 형성한 다음에 내부 지지구조를 끼워 맞출 수 있어, 어떠한 형상의 구조물이든 자유자재로 조립할 수 있는 다기능 연결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결봉(100)과 장착구(200)를 상호 반대 방향으로 맞물려 회전시켜 이루어지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100)은 다각기둥 형상의 연결본체(110); 및, 상기 연결본체(110)의 일면 이상에 형성되는 피삽입단(120); 으로 구성되되, 상기 피삽입단(120)은 상기 연결본체(110)의 일면에 결합되는 회전유도링(122); 상기 회전유도링(122)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회전유도링(122)을 덮을 수 있는 크기의 정다각형 형상이되, 중앙부는 회전유도링(122)의 내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천공되고, 모서리는 장착구(200)의 회전판(222) 내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절취된 걸림판(125)이 구비된 이동방지막(124); 및, 상기 회전유도링(122)과 이동방지막(124)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홈(126);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구(200)는 다면체 형상의 장착본체(210); 및, 상기 장착본체(210)의 일면 이상에 형성되는 삽입단(220); 으로 구성되되, 상기 삽입단(220)은 상기 장착본체(210) 일면에서 장착본체(210)의 중심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에서 중앙부를 천공하여 형성되는 회전판(222); 상기 회전판(222)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봉(100)의 이동방지막(124)이 삽입가능하도록 중앙부가 이동방지막(124)의 외주면의 형상을 따라 천공되되, 상기 회전판(222)의 천공된 중앙부의 외곽을 일부 덮을 수 있는 장착걸림막(224); 및, 상기 회전판(222) 및 장착걸림막(224) 중앙부의 천공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봉(100)의 이동방지막(124)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한 것으로 상기 삽입홈(126)에 안착되는 삽입돌기(227)가 구비된 삽입링(226);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결구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본 발명의 다기능 연결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웃하는 부재를 간단 한 회전만으로도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고, 부재의 체결이 완료된 이후에는 삽입돌기가 삽입홈에 안착되기 때문에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에 의하여 연결봉과 장착구가 분리되지 않는 견고한 형태의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다기능 연결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연결 부재의 구조와 규격이 다양하여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고, 부재의 규격에 제약 없이 다양하고 자유로운 형태의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다기능 연결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외관을 먼저 형성한 다음에 내부 지지구조를 끼워 맞출 수 있으므로, 어떠한 형상의 구조물이든 자유자재로 쉽게 조립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 연결구는 토목건축 구조물이나 조립구조물을 비롯하여 완구 등의 다양한 분야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연결봉(100)과 장착구(200)를 상호 반대 방향으로 맞물려 회전시켜 이루어진다.
연결봉(100)은 도1의 (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본체(110)와 피삽입단(120)으로 구성된다. 이중 연결본체(110)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제작되고, 피삽입단(120)은 연결본체(110)의 하나 이상의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피삽입단(120)은 장착구(200)의 삽입단(220)과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기 연 결본체(110)의 일면에 결합되는 회전유도링(122), 상기 회전유도링(122)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회전유도링(122)을 덮을 수 있는 크기의 정다각형 형상이되, 중앙부는 회전유도링(122)의 내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천공되고, 모서리는 장착구(200)의 회전판(222)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절취된 걸림판(125)이 구비된 이동방지막(124), 상기 회전유도링(122)과 이동방지막(124)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홈(126)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걸림판(125)은 연결봉(100)과 장착구(200)의 체결이 완료된 다음에 장착구(200)의 장착걸림막(224)에 걸리는 부분으로 연결봉(100)의 이탈을 방지하며, 삽입홈(126)은 장착구(200)의 삽입돌기(227)가 직접 체결되는 부분이다. 즉, 걸림판(125)이 구비된 이동방지막(124)과 삽입홈(126)에 의하여 연결봉(100)과 장착구(200)가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1의 (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장착구(200)는 다면체 형상의 장착본체(210)와 삽입단(220)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장착본체(210)는 정육면체 또는 6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가능하다. 그리고 삽입단(220)은 장착본체(210)의 하나 이상의 면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장착본체(210) 일면에서 장착본체(210)의 중심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에서 중앙부를 천공하여 형성되는 회전판(222), 상기 회전판(222)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봉(100)의 이동방지막(124)이 삽입가능하도록 중앙부가 이동방지막(124)의 외주면의 형상을 따라 천공되되, 상기 회전판(222)의 천공된 중앙부의 외곽을 일부 덮을 수 있는 장착걸림막(224), 상기 회전판(222) 및 장착걸림막(224) 중앙부의 천공 부분에 형 성되어 상기 연결봉(100)의 이동방지막(124)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한 것으로 상기 삽입홈(126)에 안착되는 삽입돌기(227)가 구비된 삽입링(226)으로 이루어진다.
연결구를 구성하는 연결봉(100)과 장착구(200)의 결합을 도1의 (c)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1의 (c)은 연결봉(100)과 장착구(200)를 결합하기 위한 실시예로 이동방지막(124)은 정사각형의 모서리를 절취하여 형성되는 도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통상 이동방지막(124)은 장착걸림막(224)은 통하여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회전판(222)에 결합이 된 후에는 회전판(222)의 중앙에 천공된 부분을 따라 회전가능한 모양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때 이동방지막(124)이 장착걸림막(224)에 쉽게 삽입이 되고, 회전판(222)에 결합된 후에는 탈착이 어렵도록 이동방지막(124)의 외주면과 장착걸림막(224)의 내주면은 상호 포개어지는 요철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2a와 도2b는 피삽입단(120)이 결합된 장착구(200)와 삽입단(220)이 결합된 연결봉(100)의 실시예이다.
즉, 본 발명의 다기능 연결구에서는 장착구(200)의 장착본체(210) 일면 또는 대면하는 한 쌍의 면에 피삽입단(1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봉(100)의 연결본체(110) 측면에는 삽입단(220)이 형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가능하다. 특히, 연결본체(110)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삽입단(220)은 연결본체(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크기의 연결봉(100)과 장착구(200)를 상호 결합하여 연결구를 완성할 수 있다. 즉, 연결봉(100)의 측면에 작은 크기의 장착구(200)를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본체(110) 측면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본체(110)의 내측으로 연결홈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연결홈에는 보다 견고하게 부재가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본체(110)의 측면과 연직으로 만나는 연결홈의 일면에 연결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요철을 형성하여 둔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홈에 장착구(200)가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별도의 연결편을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연결편은 연결홈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그 일면은 연결홈에 형성된 요철의 형상과 포개어지는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연결편의 상부에는 피삽입단(120)이 결합되는데, 상기 연결편과 피삽입단(120)은 상기 연결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둘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요철이 형성된 연결편 부분을 연결봉(100)에 먼저 결합하고, 나머지 연결편 부분을 연결홈에 끼워 넣어 장착구(200)가 연결봉(200)과 결합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도4는 다수의 연결봉(100)과 장착구(200)를 상호 결합하여 형성되는 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연결봉(100)과 장착구(200)를 상하좌우로 적층하여 구조체 내외부의 벽체, 바닥 등 다양한 면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원하는 형상의 평면도나 입면도 등 필요한 면체를 우선 조립하고 각 면체의 모서리 부분을 상호 결합하여 전체적인 입체형상을 완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을 구성하는 삽입단(220)의 삽입링(226)에는 도5와 같이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삽입링(226)은 삽입링(226)의 외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삽입돌기(227)가 삽입링(226)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삽입돌기(227)가 형성된 삽입링(226) 부분은 신축가능한 탄력링(226a)(도5의 (a))이거나, 삽입링(226)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막대 형상으로서,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스프링이 장착되고, 양단에 삽입링(226)의 외측으로 돌출가능한 삽입돌기(227)가 구비된 용수철링(226b)(도5의 (b))이거나, 삽입링(226)의 내측에 설치되는 폐다각형으로서, 다각형을 구성하는 선분이 삽입링(226)의 중심을 향하여 절곡되어, 폐다각형의 모서리가 삽입링(226)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가능한 삽입돌기(22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링(226c)(도5의 (c))이거나, 크기가 다른 두 개의 사각형을 45도 방향으로 포개어 만든 형상의 외곽선을 따라 형성되는 도형으로서, 크기가 큰 사각형의 모서리가 삽입링(226)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가능한 삽입돌기(22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링(226d)(도5의 (d))일 수 있다. 삽입링(226)이 피삽입단(120)의 회전유도링(122)과 이동방지막(124)의 내주면을 회전할때 삽입돌기(227)가 수축하였다가 삽입홈(126)에 끼워지면서 이완되어 고정된다.
한편, 이동방지막(124)과 회전판(222)을 각각 자석과 금속 또는 금속과 자석으로 제작하여 자성에 의하여 연결봉(100)과 장착구(200)를 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6 및 도7은 연결봉(100)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6 및 도7에서와 같이 연결봉(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연결봉(100)의 길이는 연결본체(11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그 실시예로 도6과 같이 연결본체(110) 내부에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는 형태를 이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외곽선이 완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내부에 스프링이 장착된 부재를 압축된 상태로 끼워 넣어 하나의 조립품을 완성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의 양단 부분에 위치하는 피삽입단(120)은 도6의 (b)와 같이 연결본체(110) 내부에 위치하는 피삽입단 이동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곡선 부재도 제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별도로 피삽입단(120)의 과도한 이동 및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본체(110)의 내측면에 피삽입단 전도방지부를 마련하여 둘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봉(100)의 길이 조절을 위한 다른 실시예로 도7과 같이 연결본체(110)의 측면을 따라 중앙 부분이 절단되는 형태로 제작하여, 각각의 절단된 부재의 절단면을 통하여 연결본체(110)에 양단이 삽입되는 연결나사(112)를 연결본체(110)에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8은 회전가능한 피삽입단(120)이 구비된 연결봉(100)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즉 연결봉(100)의 연결본체(110)는 원기둥 형상으로, 연결본체(110)의 측면 을 따라 회전가능한 한 쌍의 피삽입단(120)이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하여(도8의 (a)), 바퀴나 톱니바퀴 등의 곡선 형태를 제작할 때 사용가능하다(도8의 (b)).
한편, 본 발명의 다기능 연결구에 사용되는 연결봉(100)이나 장착구(200)는 원반형상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일례로써 연결봉(100)의 연결본체(110)는 원반 형상으로 제작하고, 연결본체(110)의 측면은 다수의 피삽입단(120)이 결합되는 형태로 제작한다.
마지막으로 도9는 연결본체(110) 부분에 연결봉(100)과 장착구(20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삽입돌기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연결구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여기에서 도9의 (a)는 장착구(200)의 단면도와 연결봉(100)의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이고, 도9의 (b)는 연결봉(100)의 정면도와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삽입돌기이탈방지장치는 연결봉(100)과 장착구(20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연결봉(100)의 피삽입단(120)이 장착된 면을 관통하여 연결본체(110)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돌기이탈방지부(D) 및, 상기 삽입돌기이탈방지부(D)의 일면에 연결되는 것으로 연결본체(110) 내측에 삽입되되, 연결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수축가능한 스프링(E)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삽입돌기이탈방지부(D)은 장착구(200)의 삽입돌기(227)가 연결봉(100)의 피삽입단(120)에 삽입될 때 연결본체(110) 내측으로 삽입되고, 장착구(200)의 삽입돌기(227)가 삽입홈(126)에 안착될 때 삽입링(226)의 천공된 내측 부분의 확장으로 인한 스프링(E) 의 후퇴로 삽입링(226) 내측의 천공된 부분을 채우게 된다. 도9의 (a)에서 좌측의 도면이 도시하는 단면도에서는 탄력링(226a)을 사용한 경우의 장착구(200)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장착구(200)의 삽입돌기(227)가 임의의 외력에 의해 중심축 방향으로 이탈되면서 발생하는 연결구의 구조적 불안정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돌기이탈방지장치는 상기 연결본체(110)의 측면에 설치되는 회전조절손잡이부(A)와 상기 회전조절손잡이부(A)의 일면에 연결되는 것으로, 연결본체(110) 측면 및 삽입돌기이탈방지부(D)의 측면을 관통하여 연결본체(110)에 연직으로 삽입되는 측면연결부(B) 및, 상기 측면연결부(B)의 일면에 연결되는 것으로, 삽입돌기이탈방지부(D)의 내측에 삽입되는 이탈방지걸림편(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회전조절손잡이부(A)는 측면연결부(B)와 연동되어 이탈방지걸림편(C)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즉, 연결봉(100)과 장착구(200)를 분리하는 경우나 삽입돌기이탈방지부(D)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연결본체(110) 측면에 설치되는 회전조절손잡이부(A)를 90°회전시키도록 한다. 이 경우 연결본체(110) 내부에 설치된 이탈방지걸림편(C)이 회전조절손잡이부(A)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삽입돌기이탈방지부(D)을 연결본체(110) 내부로 삽입시키게 되므로 도9의 (a)와 (b)의 우측 도면과 같은 형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하며, 토목건축 구조물, 조립구조물 외에 조립식 완구, 가구, 단추, 클립, 병마개, 벽걸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가능하다.
도1의 (a), (b) 및 (c)는 각각 연결봉(100)과 장착구(200) 및 이들 상호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a는 피삽입단(120)이 결합된 장착구(200)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2b는 삽입단(220)이 결합된 연결봉(100)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2b의 (a)와 (b)는 각각 연결봉(100)의 평면도와 측면도.
도3의 (a) 및 (b)는 각각 다수의 연결봉(100)과 장착구(200)를 결합하여 형성되는 도형 및 연결홈에 결합되는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다수의 연결봉(100)과 장착구(200)를 결합하여 형성되는 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5는 삽입링(226)의 형상에 따른 장착구(200)의 삽입단(220)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6은 연결봉(100)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7은 연결봉(1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8의 (a) 및 (b)는 각각 회전가능한 피삽입단(120)이 구비된 연결봉(100)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9는 삽입돌기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연결구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연결봉 110: 연결본체
112: 연결나사 120: 피삽입단
122: 회전유도링 124: 이동방지막
125: 걸림판 126: 삽입홈
200: 장착구 210: 장착본체
220: 삽입단 222: 회전판
224: 장착걸림막 226: 삽입링
226a: 탄력링 226b: 용수철링
226c: 절곡링 226d: 복합링
227: 삽입돌기

Claims (8)

  1. 연결봉(100)과 장착구(200)를 상호 반대 방향으로 맞물려 회전시켜 이루어지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100)은
    다각기둥 형상의 연결본체(110); 및,
    상기 연결본체(110)의 일면 이상에 형성되는 피삽입단(120); 으로 구성되되,
    상기 피삽입단(120)은
    상기 연결본체(110)의 일면에 결합되는 회전유도링(122);
    상기 회전유도링(122)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회전유도링(122)을 덮을 수 있는 크기의 정다각형 형상이되, 중앙부는 회전유도링(122)의 내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천공되고, 모서리는 장착구(200)의 회전판(222) 내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절취된 걸림판(125)이 구비된 이동방지막(124); 및,
    상기 회전유도링(122)과 이동방지막(124)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홈(126);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구(200)는
    다면체 형상의 장착본체(210); 및,
    상기 장착본체(210)의 일면 이상에 형성되는 삽입단(220); 으로 구성되되,
    상기 삽입단(220)은
    상기 장착본체(210) 일면에서 장착본체(210)의 중심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 격된 부분에서 중앙부를 천공하여 형성되는 회전판(222);
    상기 회전판(222)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봉(100)의 이동방지막(124)이 삽입가능하도록 중앙부가 이동방지막(124)의 외주면의 형상을 따라 천공되되, 상기 회전판(222)의 천공된 중앙부의 외곽을 일부 덮을 수 있는 장착걸림막(224); 및,
    상기 회전판(222) 및 장착걸림막(224) 중앙부의 천공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봉(100)의 이동방지막(124)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한 것으로 상기 삽입홈(126)에 안착되는 삽입돌기(227)가 구비된 삽입링(226);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결구.
  2. 제1항에서,
    상기 장착구(200)의 장착본체(210)는 일면 또는 대면하는 한 쌍의 면에 피삽입단(120)이 형성되거나, 연결봉(100)의 연결본체(110)는 측면에 삽입단(2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결구.
  3. 제1항에서,
    연결봉(100)의 연결본체(110) 측면은 연결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본체(110)의 내측으로 연결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홈이 형성하는 면 중에서 연결본체(110)의 측면과 연직으로 만나는 일면은 연결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결구.
  4. 제3항에서,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는 것으로, 일면이 상기 연결홈에 형성된 요철의 형상과 포개어지는 장방형의 연결편; 및,
    상기 연결편 상부에 결합되는 피삽입단; 이 포함되되,
    상기 연결편과 피삽입단은 상기 연결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결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삽입링(226)은
    삽입링(226)의 외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삽입돌기(227)가 삽입링(226)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삽입돌기(227)가 형성된 삽입링(226) 부분은 신축가능한 탄력링(226a),
    삽입링(226)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막대 형상으로서,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스프링이 장착되고, 양단에 삽입링(226)의 외측으로 돌출가능한 삽입돌기(227)가 구비된 용수철링(226b),
    삽입링(226)의 내측에 설치되는 폐다각형으로서, 다각형을 구성하는 선분이 삽입링(226)의 중심을 향하여 절곡되어, 폐다각형의 모서리가 삽입링(226)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가능한 삽입돌기(22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링(226c),
    크기가 다른 두 개의 사각형을 45도 방향으로 포개어 만든 형상의 외곽선을 따라 형성되는 도형으로서, 크기가 큰 사각형의 모서리가 삽입링(226)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가능한 삽입돌기(22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링(226d)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결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연결봉(100)의 연결본체(110)는 연결봉(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결구.
  7.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연결봉(100)은
    상기 연결봉(100)의 피삽입단(120)이 장착된 면을 관통하여 연결본체(110)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돌기이탈방지부(D); 및,
    상기 삽입돌기이탈방지부(D)의 일면에 연결되는 것으로 연결본체(110) 내측에 삽입되되, 연결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수축가능한 스프링(E); 으로
    이루어지는 삽입돌기이탈방지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돌기이탈방지부(D)은 장착구(200)의 삽입돌기(227)가 연결봉(100)의 피삽입단(120)에 삽입될 때 연결본체(110) 내측으로 삽입되고, 장착구(200)의 삽입돌기(227)가 삽입홈(126)에 안착될 때 삽입링(226)의 천공된 내측 부분의 확장으로 인한 스프링(E)의 후퇴로 삽입링(226) 내측의 천공된 부분을 채우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결구.
  8. 제7항에서,
    상기 삽입돌기이탈방지장치는
    상기 연결본체(110)의 측면에 설치되는 회전조절손잡이부(A);
    상기 회전조절손잡이부(A)의 일면에 연결되는 것으로, 연결본체(110) 측면 및 삽입돌기이탈방지부(D)의 측면을 관통하여 연결본체(110)에 연직으로 삽입되는 측면연결부(B); 및,
    상기 측면연결부(B)의 일면에 연결되는 것으로, 삽입돌기이탈방지부(D)의 내측에 삽입되는 이탈방지걸림편(C); 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조절손잡이부(A)는 상기 측면연결부(B)와 연동되어 상기 이탈방지걸림편(C)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결구.
KR1020070089302A 2007-09-04 2007-09-04 다기능 연결구 KR100906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302A KR100906699B1 (ko) 2007-09-04 2007-09-04 다기능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302A KR100906699B1 (ko) 2007-09-04 2007-09-04 다기능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340A KR20090024340A (ko) 2009-03-09
KR100906699B1 true KR100906699B1 (ko) 2009-07-07

Family

ID=40693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302A KR100906699B1 (ko) 2007-09-04 2007-09-04 다기능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6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70566B (zh) * 2012-12-24 2015-02-11 唐文姬 可装在座椅或床的扶手中的转盘装置
KR102006922B1 (ko) * 2015-07-10 2019-08-05 박종길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KR102018283B1 (ko) * 2018-05-31 2019-11-04 (주)유로보 우선순위 단어 인식 알고리즘 방식을 채용한 인공지능 비즈니스 챗봇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813Y1 (ko) 2005-12-29 2006-03-31 (주)핸스건설 강관 버팀보 중간 이음구조
KR100631797B1 (ko) 2005-04-26 2006-10-12 이성애 실린더형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연결구조
KR100731346B1 (ko) 2005-11-29 2007-06-25 일 광 하 조립식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797B1 (ko) 2005-04-26 2006-10-12 이성애 실린더형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연결구조
KR100731346B1 (ko) 2005-11-29 2007-06-25 일 광 하 조립식 구조물
KR200412813Y1 (ko) 2005-12-29 2006-03-31 (주)핸스건설 강관 버팀보 중간 이음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340A (ko) 2009-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2007C2 (ru) Фикс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ъем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деталей элементов конструкции между собой
US7413493B2 (en) Magnetic building block
US20170339916A1 (en) Kit for modular housing for cats
KR101911038B1 (ko) 내진용 석재패널 고정 구조체
BRPI1002309A2 (pt) sistema de componentes
KR20100136535A (ko) 완구 블록, 완구 블록 연결 요소 및 완구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완구 블록 요소
KR100906699B1 (ko) 다기능 연결구
JP2007160067A (ja) 幾何構造システム
EP2759324B1 (en) Sawtooth structure and toy block comprising the structure
JP2008180382A (ja) 弾性締結具及びこれを用いたアクチュエータモジュール
KR20120097088A (ko) 자석 블록 완구의 블록 구성물 및 동 구성물을 포함한 자석 블록 완구
JP2017119088A (ja) 磁石が内蔵されるブロック玩具におけるブロック間の接合のための表面構造
US8458869B2 (en) Adjustable connector
KR20100011415U (ko) 천장패널의 고정구조
JP2023040206A (ja) スクリーン
JP4466410B2 (ja) 組立式コンテナ
KR200389109Y1 (ko) 자성체를 이용하는 유희용구세트
KR101015569B1 (ko) 다기능 연결구
KR102523296B1 (ko) 조립 어셈블리
KR200480804Y1 (ko) 조립식 완구의 부품과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결합부재
KR20110101739A (ko)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
US3664073A (en) Building panel construction and securement means therefor
JP2019052737A (ja) パイプジョイント
JP2003339478A (ja) ベッド装置
KR102292681B1 (ko) 회전형 자석을 구비한 조립식 완구용 조립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