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5555B1 - Apparatus of Controlling Optical Power for Display using Diffraction Modul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Controlling Optical Power for Display using Diffraction Modul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5555B1
KR100905555B1 KR1020060110641A KR20060110641A KR100905555B1 KR 100905555 B1 KR100905555 B1 KR 100905555B1 KR 1020060110641 A KR1020060110641 A KR 1020060110641A KR 20060110641 A KR20060110641 A KR 20060110641A KR 100905555 B1 KR100905555 B1 KR 100905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image
output
ligh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6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42350A (en
Inventor
한규범
윤상경
양행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0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5555B1/en
Publication of KR20080042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23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5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by tracing or scanning a light beam on a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13Details of control of colour illumination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7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light modulating optical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의 출력 값을 주변 조명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하여 화질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광 출력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output control apparatus in a display system using a diffractive light modulator to optimize the image quality characteristics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output value of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ambient lighting environment.

주변 조명 환경, 회절형 광변조기, 색온도, 목표 색온도 Ambient light environment, diffractive light modulator, color temperature, target color temperature

Description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의 광 출력 제어 장치{Apparatus of Controlling Optical Power for Display using Diffraction Modulation}Apparatus of Controlling Optical Power for Display using Diffraction Modul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출력 제어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 응용되는 1패널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system using a one-panel diffraction type optical modulator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light outpu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프로젝션 제어부의 블럭 구성도.FIG. 2 is a block diagram of the projection control unit of FIG. 1. FIG.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광 출력 제어장치의 내부 블럭도.Figure 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light outpu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광 출력 제어방법의 흐름도.4 is a flow chart of a light outpu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목표 색온도에 따른 출력비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n output ratio according to a target color temperatur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2, 310 : 입력부 200, 320 : 휴대 단말 제어계112, 310: input unit 200, 320: portable terminal control system

201 : 감마 기준 전압 저장부 202 : 영상 입력부201: gamma reference voltage storage unit 202: image input unit

206 : 영상 보정부 206: image correction unit

208 : 엘리멘트별 보정 데이터 저장부208: correction data storage unit for each element

210 : 영상 데이터/동기신호 출력부 210: video data / synchronous signal output unit

212 : 상부 전극 전압 범위 조정부212: upper electrode voltage range adjustment unit

214 : 하부 전극 전압 조정부 216, 350 : 광원 제어부214: lower electrode voltage adjusting unit 216, 350: light source control unit

218 : 스캐닝 제어부 222 : 광변조기 구동회로218: scanning control unit 222: optical modulator driving circuit

224, 360 : 광원 구동회로 226 : 스캐너 구동회로224, 360: light source driving circuit 226: scanner driving circuit

330 : 메모리 330: memory

본 발명은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의 광 출력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원의 출력 값을 주변 조명 환경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화질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의 광 출력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output control apparatus for a display using a diffractive light modul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using a diffractive light modulator to optimize image quality by adjusting an output value of a light source according to an ambient lighting environment. A light output control apparatus.

최근, 반도체 소자 제조공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미러, 마이크로 렌즈 및 스위치등의 마이크로 광학부품과 마이크로 관성센서, 마이크로 바이오칩 및 마이크로 무선통신소자를 제작하는 마이크로 머시닝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Recently, micromachining technology for manufacturing micro optical components such as micro mirrors, micro lenses and switches, micro inertial sensors, micro biochips and micro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rocesses has been developed.

여기서, 마이크로 미러는 상하방향, 회전방향 및 미끄러지는 방향 등의 동적 및 정적인 운동에 따라 여러 가지로 운용된다. 상하방향의 운동은 위상보정기나 회절기 등으로 응용되고, 기울어지는 방향의 운동은 스캐너나 스위치, 광신호 분배기, 광신호 감쇠기 및 광원 어레이 등으로 응용되며, 미끄러지는 방향의 운동은 광차페기나 스위치, 광신호 분배기 등으로 응용된다.Here, the micro mirror is opera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dynamic and static movement of the vertical direction,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sliding direction. Up and down motion is applied to phase compensator and diffractometer, and tilting motion is applied to scanner, switch, optical signal splitter, optical signal attenuator and light source array, and sliding motion is light shield or switch. , Optical signal splitter, etc.

이러한, 마이크로 미러의 일 예로 블룸 등의 미국특허번호 제5,311,160호에 개시되어 있는 반사형 변형 가능 격자 광변조기가 있다. One example of such a micromirror is the reflective deformable grating light modulator disclosed in US Pat. No. 5,311,160 to Bloom et al.

한편, 상술한 광변조기는 여러 가지 응용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응용에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optical modulator has a variety of applications, the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should be considered in this applic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주변 조명 환경을 고려하여 광원 출력 값을 조절함으로써 화질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의 광 출력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meet the above needs, and provides a light output control apparatus for a display using a diffractive light modulator to optimize image quality characteristics by adjusting the light source output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ambient lighting environment. For the purpose of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목표 색온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기본 조명 조건에서 얻어진 광원별 출력비와, 조명 환경 조건이 변하는 경우에 목표 색온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광원별 출력비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사용자로부터 조명 환경 조건을 입력받는 환경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받은 조명 환경 조건에 따른 광원별 출력비를 상기 메모리에서 읽어와서 출력하는 광원 제어부; 및 상기 광원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광원별 출력비에 따라 광원을 구동하는 광원 구동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splay system using a diffractive optical modulator, to achieve the target color temperature, the output ratio for each light source obtained in the basic lighting conditions and the target color temperature when the lighting environment conditions change A memory storing an output ratio for each light source required to perform the operation; An environment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 illumination environment condition from a user; A light source controller configured to read an output ratio of each light source according to an illumination environment condition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from the memory and output the read ratio; And a light source driving circuit for driving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output ratio for each light source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controll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출력 제어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 응용되는 1패널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system using a one-panel diffraction type optical modulator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light outpu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출력 제어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 응용되는 1패널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12), 메모리(114),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16), 이미지 센서 모듈 프로세서(118), 디스플레이부(120),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 광변조기 프로젝터(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display system using a one-panel diffraction type optical modulator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optical outpu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12, and a memory 114. ), A base band processor 116, an image sensor module processor 118, a display unit 120, a multimedia processor 122, and an optical modulator projector 130.

무선 통신부(110)는 외부 시스템과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키 입력부(112)는 외부에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며, 메모리(114)는 영상 데이터 등의 데이터들을 저장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system, the key input unit 112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and the memory 114 stores data such as image data.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16)와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는 영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1패널 방식의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인 광변조기 프로젝터(130)의 프로젝션 제어부(140) 등을 제어하여 영상 이미지가 스크린(160)에 투사되도록 한다. 이러한,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16) 및/또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는 휴대 단말 제어계(도 2에서 도면부 호 200으로 표시됨)로 부를 수 있다.The baseband processor 116 and the multimedia processor 122 allow the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or the projection control unit 140 of the optical modulator projector 130 which is a display system using a one-panel diffraction type optical modulator. And the like so that the video image is projected onto the screen 160. The baseband processor 116 and / or the multimedia processor 122 may be referred to as a portable terminal control system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200 in FIG. 2).

이미지 센서 모듈 프로세서(118)는 구비된 카메라 등으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처리하여 처리된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16)나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로 전송한다.The image sensor module processor 118 processes the image input from the provided camera and transmits the processed image image data to the baseband processor 116 or the multimedia processor 122.

디스플레이부(120)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화면상으로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20 displays the video image data supplied from the multimedia processor 122 on the screen.

광변조기 프로젝터(130)는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16)의 제어에 의해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이미지 데이터에 따른 영상 이미지를 1패널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하여 생성한 후에 생성된 영상 이미지를 확대하여 스크린(160)에 투사한다. 이러한, 광변조기 프로젝터(130)는 프로젝션 제어부(140) 및 광변조 광학계(150)로 구성된다.The optical modulator projector 130 generates an image image according to the imag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multimedia processor 122 by the control of the baseband processor 116 using a one-panel diffraction type optical modulator, and then generates the image image. Magnify and project onto screen 160. The light modulator projector 130 includes a projection control unit 140 and a light modulation optical system 150.

프로젝션 제어부(140)는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16)로부터 입력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16)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이미지 데이터에 따른 영상을 광변조 광학계(150)가 생성하도록 광변조 광학계(150)를 제어한다. The projection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optical modulation optical system 150 so that the optical modulation optical system 150 generates an image according to the imag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multimedia processor 116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band processor 116. To control.

이러한, 프로젝션 제어부(14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영상 입력부(202), 감마 기준전압 저장부(204), 영상 보정부(206), 엘리멘트별 보정 데이터 저장부(208), 영상 데이터/동기신호 출력부(210), 상부 전극 전압 범위 조정부(212), 하부 전극 전압 조정부(214), 광원 제어부(216), 스캐닝 제어부(218), 광변조기 구동회로(222), 광원 구동회로(224), 스캐너 구동회로(226)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 2, the projection control unit 140 includes an image input unit 202, a gamma reference voltage storage unit 204, an image correction unit 206, elemental correction data storage unit 208, and image data / synchronization. Signal output unit 210, upper electrode voltage range adjusting unit 212, lower electrode voltage adjusting unit 214, light source control unit 216, scanning control unit 218, optical modulator driving circuit 222, light source driving circuit 224 And a scanner driving circuit 226 is provide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광변조 광학계(150)는 프로젝션 제어부(14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 이미지를 확대하여 스크린(160)에 투사한다. 이러한, 광변조 광학계(150)는 광원계(151), 조명 광학부(152), 회절형 광변조기(153), 슐리렌 광학부(154), 투영 및 스캐닝 광학부(155)로 구성된다.Meanwhile, the optical modulation optical system 150 generates an image imag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projection control unit 140, enlarges the generated image image, and projects the generated image image on the screen 160. The light modulation optical system 150 includes a light source system 151, an illumination optical unit 152, a diffractive light modulator 153, a schlieren optical unit 154, and a projection and scanning optical unit 155.

광원계(151)는 프로젝션 제어부(140)로부터 공급되는 광원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적색(R), 녹색(G) 및 청색(B) 광원을 생성하여 출사하고, 조명 광학부(152)는 광원계(151)에서 출사된 광을 회절형 광변조기(153)에 입사시킨다. The light source system 151 generates and emits red (R), green (G), and blue (B) light sources according to the light source switching control signal supplied from the projection control unit 140, and the illumination optical unit 152 emits light. The light emitted from 151 is incident on the diffractive light modulator 153.

회절형 광변조기(153)는 프로젝션 제어부(140)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 신호, 기준전압, 하부전극 전압,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에 따라 조명 광학부(152)에서 입사된 광을 회절시켜(즉, 조명 광학부(152)가 입사된 광을 회절시켜 복수의 회절차수를 갖는 회절광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복수의 회절차수의 회절광중에서 어느 한 차수 또는 복수 차수의 회절광이 원하는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영상 이미지를 생성한다.The diffractive light modulator 153 diffracts the light incident from the illumination optical unit 152 according to the image data signal, the reference voltage, the lower electrode voltage,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supplied from the projection control unit 140 ( That is, the illumination optical unit 152 diffracts the incident light to form diffracted light having a plurality of diffraction orders. In this case, any one or multiple orders of diffraction light among the plurality of diffraction orders are desired. Create an image) Create a video image.

슐리렌 광학부(154)는 회절형 광변조기(153)에서 생성된 복수 차수의 회절광에서 원하는 차수의 회절광을 통과시킨다.The schlieren optical unit 154 passes the diffracted light of the desired order in the plurality of orders of the diffracted light generated by the diffractive light modulator 153.

투영 및 스캐닝 광학부(155)는 슐리렌 광학부(154)를 통과한 회절광으로 이루어진 영상 이미지를 스크린(160)에 투사한다.The projection and scanning optics 155 project an image of the diffraction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chlieren optics 154 onto the screen 160.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제어 장치가 구비된 프로젝션 제어부의 구성도로서, 그 구성에 대해서는 위에서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감마 기준전압 저장부(204), 영상 보정부(206), 엘 리멘트별 보정 데이터 저장부(208), 상부 전극 전압 범위 조정부(212), 하부 전극 전압 조정부(214), 영상 데이터/동기신호 출력부(210)는 영상 출력부로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전극 전압 범위 조정부(212)와 하부 전극 전압 조정부(214)는 기준전압 출력부로 볼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키 입력부(112)와, 휴대 단말 제어계(200)와, 메모리(114)와, 광원 제어부(216) 그리고 광원 구동 회로(224)는 광 출력 제어 장치로 볼 수 있으며, 도 3이 이를 도시하고 있다.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rojection control unit including an optical outpu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thereof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the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below. Here, the gamma reference voltage storage unit 204, the image correction unit 206, the correction data storage unit 208 for each element, the upper electrode voltage range adjusting unit 212, the lower electrode voltage adjusting unit 214, and the image data The synchronous signal output unit 210 may be referred to as an image output unit. In addition, the upper electrode voltage range adjusting unit 212 and the lower electrode voltage adjusting unit 214 may be regarded as reference voltage output units. In addition, the key input unit 112,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 system 200, the memory 114, the light source control unit 216 and the light source driving circuit 224 can be seen as a light output control device. This is illustrated.

먼저, 영상 입력부(202)는 광변조 광학계(150)와 휴대 단말 제어계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First, the image input unit 202 performs an interface function between the optical modulation optical system 150 and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 system.

프로젝션 제어부(140)의 영상 입력부(202)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22)로부터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동시에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수평 동기 신호(Hsync)를 입력받는다.The image input unit 202 of the projection controller 140 receives image image data from the multimedia processor 122 and simultaneously receives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nd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그리고, 프로젝션 제어부(140)의 영상 보정부(206)는 횡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종방향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트랜스포즈(또는 영상 피봇팅(pivoting))을 수행하여 횡방향으로 입력된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종방향의 영상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처럼 영상 보정부(206)에서 데이터 트랜스포즈가 필요한 이유는 회절형 광변조기(153)에서 출사하는 주사선은 복수의 픽셀(일예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가 480*640인 경우에 480개의 픽셀)에 대응되는 스캐닝 회절 점광이 세로로 배열되어 있어 가로 방향으로 스캔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이다. The image correction unit 206 of the projection control unit 140 performs a data transpose (or image pivoting) for converting the image image data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inp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video image data is converted into vertical video image data and output. The reason why data transpose is necessary in the image corrector 206 is that the scan line output from the diffractive optical modulator 153 corresponds to a plurality of pixels (for example, 480 pixels when the input image data is 480 * 640). This is because the scanning diffraction point lights are arranged vertically so as to scan and displa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한편, 감마 기준 전압 저장부(204)에는 상부 전극(감마) 기준전압과 하부 전 극(감마) 기준전압이 저장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상부 전극(감마) 기준전압이란 회절형 광변조기(153)의 광변조기 구동회로(222)가 엘리멘트별로 영상 데이터의 계조도에 따른 인가 전압을 출력할 때 참조하는 상부 전극 기준전압을 의미하며, 하부 전극 기준전압이라 회절형 광변조기(153)의 하부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말한다.On the other hand, the gamma reference voltage storage unit 204 stores the upper electrode (gamma) reference voltage and the lower electrode (gamma) reference voltage, wherein the upper electrode (gamma) reference voltage is the diffraction type optical modulator 153 It refers to the upper electrode reference voltage which is referred to when the optical modulator driving circuit 222 outputs the applied voltage according to the gradation degree of the image data for each element. Refers to the voltage being

이러한 감마 기준 전압 저장부(204)에 상부 전극 기준전압과 하부 전극 기준전압을 저장하여 회절형 광변조기(153)의 광변조기 구동회로(222)가 계조도에 따른 인가전압을 출력할 때 참조하도록 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회절형 광변조기(153)에서 출사되는 회절광의 광세기가 인가되는 전압의 전압레벨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하지 않고 비선형적으로 변하는 감마특성이 나타내기 때문이다.The gamma reference voltage storage unit 204 stores the upper electrode reference voltage and the lower electrode reference voltage for reference when the optical modulator driving circuit 222 of the diffractive optical modulator 153 outputs the applied voltage according to the gray level. This is necessary because the light intensity of the diffracted light emitted from the diffractive light modulator 153 exhibits a gamma characteristic that does not change linearly but varies linearly with the voltage level of the applied voltage.

이와 같은 상황에서 광변조기 구동회로(222)는 영상 데이터/동기신호 출력부(210)에서 영상 데이터의 계조도가 입력되면 이에 매칭되는 상부 전극 전압을 얻기 위하여 상부 전극 전압 범위 조정부(212)를 통하여 제공되는 상부 전극 기준전압을 참조하여 해당 계조도에 대응되는 상부 전극 전압을 얻는다. 이때, 상부 전극 전압 범위 조정부(212)는 감마 기준전압 저장부(204)에 저장되어 있는 상부 전극 기준전압을 읽어와서 읽어온 상부 전극 기준전압을 광변조기 구동회로(222)로 출력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회절형 광변조기(153)에는 하부전극 전압 조정부(214)로부터 하부 전극 전압이 제공되고 있다. 즉, 하부 전극 전압 조정부(214)는 감마 기준 전압 저장부(204)에 저장된 하부 전극 기준 전압을 읽어와서 회절형 광변조기(153)의 하부 전극에 제공한다. In such a situation, the optical modulator driving circuit 222 receives the upper electrode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gray level of the image data from the image data / synchronization signal output unit 210 through the upper electrode voltage range adjusting unit 212. An upper electrode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gray level is obtained by referring to the provided upper electrode reference voltage. In this case, the upper electrode voltage range adjusting unit 212 reads the upper electrode reference voltage stored in the gamma reference voltage storage unit 204 and outputs the read upper electrode reference voltage to the optical modulator driving circuit 222. At the same time, the lower electrode voltage is provided to the diffractive optical modulator 153 from the lower electrode voltage adjusting unit 214. That is, the lower electrode voltage adjusting unit 214 reads the lower electrode reference voltage stored in the gamma reference voltage storage unit 204 and provides the lower electrode reference voltage to the lower electrode of the diffractive optical modulator 153.

이에 따라, 회절형 광변조기(153)는 광변조기 구동회로(222)에서 제공되는 상부 전극 전압과 하부 전극 전압 조정부(214)에서 제공되는 하부 전극 전압에 의해 구동되어 입사되는 입사광을 변조하여 회절광을 형성한다.Accordingly, the diffraction type optical modulator 153 is driven by the upper electrode voltage provided by the optical modulator driving circuit 222 and the lower electrode voltage provided by the lower electrode voltage adjusting unit 214 to modulate incident light incident to the diffracted light. To form.

한편, 엘리멘트별 보정 데이터 산출부(208)에 저장된 엘리멘트별 보정 데이터는 영상 보정부(206)가 영상 입력부(202)에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여 보정된 출력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참조하는 것으로 테이블로 작성될 수 있다.The element-specific correction data stored in the element-specific correction data calculator 208 is referred to by the image corrector 206 to correct the image data input from the image input unit 202 to generate corrected output image data. Can be created as a table.

그리고, 영상 데이터/동기 신호 출력부(210)는 영상 보정부(206)에서 출력하는 영상 데이터를 광변조기 구동회로(222)로 제공한다. The image data / synchronization signal output unit 210 provides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image correction unit 206 to the optical modulator driving circuit 222.

또한, 영상 데이터/동기 신호 출력부(210)는 영상 보정부(206)로부터 입력받은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한다.In addition, the image data / synchronization signal output unit 210 receives and outputs a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and a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received from the image correcting unit 206.

한편, 광원 제어부(216)는 영상 데이터/동기신호 출력부(210)로부터 수직 동기신호와 수평 동기신호가 입력되면 그에 따라 구동회로(224)를 제어하여 광원 구동회로(224)가 광원을 스위칭하도록 한다. 이때, 광원 제어부(216)는 메모리(114)에 저장된 초기 목표 색온도에 따른 R광원과, G광원과, B광원의 출력비를 읽어와서 그에 해당하는 광원 스위칭 신호를 구동회로(224)로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light source controller 216 controls the driving circuit 224 according to the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and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from the image data / synchronization signal output unit 210 so that the light source driving circuit 224 switches the light source. do. At this time, the light source controller 216 reads output ratios of the R light source, the G light source, and the B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initial target color temperature stored in the memory 114, and provides a corresponding light source switching signal to the driving circuit 224.

여기에서, 메모리(114)에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목표 색온도가 저장되어 있으며, 암실 조건에서 목표 색온도에 따라 결정된 적색(R), 녹색(G) 및 청색(B) 광원의 출력비가 기본 값으로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암실 조건에서 목표 색온도, 일예로 목표 색온도가 10000k인 경우에 결정된 적색, 녹색, 청색 광원의 출력비는 주변 조명 환경이 변화된 경우에 적절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다. Here, the memory 114 stores a target color temperature preset by the user, and the output ratios of the red (R), green (G), and blue (B) light source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arget color temperature under dark conditions are stored as default values. It is. In such dark room conditions, the output ratios of the red, green, and blue light sources determined when the target color temperature, for example, the target color temperature is 10000k are often not appropriate when the ambient lighting environment is chang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주변 조명 환경이 변화된 경우에 그에 적합한 목표 색온도에 따른 적절한 적색, 녹색, 청색 광원의 출력비를 결정하기 위하여 미리 메모리(114)에 여러 가지 주변 조명 환경의 밝기 조건(일예로, 백열등 밝기 조건, 형광등 밝기 조건, 백열등/형광등 밝기 조건)에 따라 적색(R), 녹색(G) 및 청색(B) 광원의 출력비가 저장하여 놓고 사용자가 주변 조명 환경을 입력하면 그에 따라 적절한 적색, 녹색, 청색 광원의 출력비를 출력하도록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determine an output ratio of a suitable red, green, and blue light source according to a target color temperature suitable when the ambient lighting environment is changed, the brightness conditions of various ambient lighting environments (for example, incandescent lamps) are previously set in the memory 114. Depending on the brightness condition, fluorescent brightness condition, incandescent / fluorescent brightness condition, the output ratios of the red (R), green (G) and blue (B) light sources are stored and when the user enters the ambient lighting environment, the appropriate red, green The output ratio of the blue light source is output.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3.

한편, 스캐닝 제어부(218)는 영상 데이터/동기신호 출력부(210)로부터 수직 동기신호와 수평 동기신호가 입력되면 그에 따라 스캐너 구동회로(226)를 제어하여 스캐너 구동회로(226)가 투영 및 스캐닝 광학부(155)의 스캐너(미도시)를 구동하도록 한다.Meanwhile, when the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and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are input from the image data / synchronization signal output unit 210, the scanning control unit 218 controls the scanner driving circuit 226 accordingly to project and scan the scanner driving circuit 226. The scanner (not shown) of the optical unit 155 is driven.

그리고, 광변조기 구동회로(222)는 영상 데이터/동기신호 출력부(210)에서 영상 데이터(계조도)가 입력되면, 상부 전극 전압 범위 조정부(212)에서 제공되는 상부 전극 기준전압을 참조하여 그에 따른 상부 전극의 구동전압을 생성하여 회절형 광변조기(153)로 출력한다.When the image data (gray level) is input from the image data / synchronization signal output unit 210, the optical modulator driving circuit 222 refers to the upper electrode reference voltage provided from the upper electrode voltage range adjusting unit 212. The driving voltage of the upper electrode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diffraction type optical modulator 153.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원 출력 제어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원 출력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light source outpu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 chart of a light source outpu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원 출력 제어장치는, 키 입력부(310)와, 단말 제어계(320)와, 메모리(330)와, 디스플레이부(340), 광원 제어부(350) 그리고 광원 구동 회로(360)를 포함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3, a light source outpu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input unit 310, a terminal control system 320, a memory 330, a display unit 340, and a light source controller 350. And a light source driving circuit 360.

여기에서, 키 입력부(310)는 사용자 등이 휴대용 단말기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서는 단말 제어계(320)가 주변 조명 환경 선택 메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제공된 메뉴를 이용하여 주변 조명 환경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Herein, the key input unit 310 allows a user or the like to input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portable terminal,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provided by the user when the terminal control system 320 provides the user with an ambient lighting environment selection menu. Use to select the ambient lighting environment.

그리고, 단말 제어계(320)는 사용자에게 주변 조명 환경 선택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키입력부(310)를 이용하여 주변 조명 환경을 선택하는 경우에 선택된 주변 조명 환경에 대한 정보를 광원 제어부(350)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단말 제어계(320)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주변 조명 환경의 유형은 일예로 백열등 조명 조건, 백열등/형광등 조명 조건 등 여러 가지 주변 조명 환경 조건의 제공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키입력부(310)를 사용하여 제공된 여러 가지 주변 조명 환경 조건에서 원하는 주변 조명 환경 조건을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 system 320 provides a user with an ambient light environment selection menu, and when the user selects an ambient light environment using the key input unit 310, the terminal control system 320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ambient light environment to the light source controller 350. To send. Here, the type of the ambient lighting environment that the terminal control system 320 provides to the user may provide various ambient lighting environment conditions such as incandescent lighting conditions, incandescent / fluorescent lighting conditions, and the like. The user may select a desired ambient lighting environment condition from the various ambient lighting environment conditions provided using the key input unit 310.

한편, 메모리(330)에는 목표 색온도가 설정되어 있으며(일예로 10000k가 일반적이다), 설정된 목표 색온도를 달성하기 위한 적색, 녹색, 청색의 출력 비율의 기본값과, 다양한 주변 조명 환경 조건에 따라 지정된 적색, 녹색, 청색의 출력 비율을 저장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mory 330 has a target color temperature set (for example, 10000k is common), and the red, green, and blue output ratios for achieving the set target color temperature, and red designated according to various ambient lighting environment conditions. It stores the output ratio of green, blue.

일반적으로, 목표 색온도를 달성하기 위한 적색, 녹색, 청색의 출력 비율을 결정하는 방법은 다음의 두가지가 있다. 그 방법은 1) 암실 조건에서 설정된 목표 색온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각 색상의 파장과 광학계 효율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방법과, 2) 암실 조건에서 휘도측정기를 이용하여 Trial-and -Error 방법을 통해 측정하여 얻는 방법이다. In general, there are two methods for determining the output ratio of red, green, and blue to achieve the target color temperature. The method is to 1) calculate the wavelength and optical efficiency of each color to determine the target color temperature set in the dark room conditions, and 2) measure by the Trial-and -Error method using the luminance meter in the dark room conditions. How to get.

첫번째 방법은 목표 색온도가 결정되면, RGB 각 광원의 파장, 광학계 효율을 결정하여 R/G/B 출력의 비율을 계산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계산된 비율과 실제 사용하는 R/G/B의 광출력 중 최소 출력값을 이용하여 최대 밝기를 출력하면석 목표 색온도 비율을 유지하도록 한다.In the first method, when the target color temperature is determined, the wavelength and optical efficiency of each RGB light source are determined to calculate the ratio of the R / G / B output. When the maximum brightness is output using the calculated ratio and the minimum output value of the light output of R / G / B actually used, the target color temperature ratio is maintained.

그리고, 두번째 방법은 목표 색온도가 결정되면, R/G/B 광출력 중에서 최소 출력값ㅇ르 갖는 색상의 전력을 고정한 후에 다음으로 나머지 두가지 색상의 출력을 조절해 가면서 계측기로 색좌표(2차원, X선도, Y선도)를 측정한다. 이때, 최종적으로 목표 색좌표(여기서 색좌표는 색온도로 환산된다. 일예로 도 5의 그래프에서 색좌표 (X, Y)=(0.279, 0.292) 정도면 색온도 10000k로 환산된다)에 해당하는 점(오차 범위 이내로)로 들어오게 되면, 그때의 R/G/B 인덱스(인가 전류값)을 기록하여 암실 조건에서 R/G/B 인덱스로 설정한다.In the second method, when the target color temperature is determined, the power of the color having the minimum output value among the R / G / B light outputs is fixed, and then the color coordinates (two-dimensional, X-ray diagram) are adjusted by adjusting the output of the remaining two colors. , Y diagram). At this time,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color coordinates (where the color coordinates are converted to color temperature. For example, if the color coordinates (X, Y) = (0.279, 0.292) in the graph of FIG. 5 is converted to the color temperature of 10000k), within an error range. ), The current R / G / B index (applied current value) is recorded and set to the R / G / B index under dark conditions.

이와 같이 암실 조건에서 얻은 적색, 녹색, 청색의 출력 비율을 메모리(330)는 기본값으로 저장하고 있으며, 프로젝션 모드가 시작되는 초기에 초기값으로 광원 제어부(350)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암실 조건에서 얻은 적색, 녹색, 청색의 출력비율을 실제 사용하는 광원 출력 명세를 이용하여 실제 목표 색온도조건에서 사용할 R/G/B 출력비를 결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this way, the output ratios of red, green, and blue obtained in the dark room condition are stored in the memory 330 as a default value, and the light source controller 350 may be used as an initial value at the beginning of the projection mode.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e R / G / B output ratio to be used under the actual target color temperature conditions by using the light source output specification that actually uses the red, green, and blue output ratios obtained in the dark room conditions.

그러나, 이처럼 암실 조건에서 목표 색온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위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측정한 출력비는 주변 조명 환경이 암실 조건이 아닌 경우에는 원하는 목표 색온도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많이 있다. However, the output ratio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in order to achieve the target color temperature in the dark room conditions may not be able to obtain the desired target color temperature when the ambient lighting environment is not dark room conditions.

따라서, 메모리(330)에는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암실 조건이 아닌 다른 명실 조건에서 목표 색온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광원의 출력비를 저장하고 있다. 이때, 명실 조건에서 목표 색온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광원의 출력비를 결정하는 방법은 다음의 두가지가 있는데, 위에서 설명한 암실 조건에서 목표 색온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출력비를 설정하는 방법과 조명 환경의 상이 이외에는 동일하다.Therefore, the memory 330 stores the output ratio of the light source in order to achieve the target color temperature in the bright room condition other than the dark room condition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re are two methods for determining the output ratio of the light source to achieve the target color temperature in the bright room condition, except that the method of setting the output ratio to achieve the target color temperature in the dark room condition described above is different from the lighting environment.

그 방법은 1 명실 조건에서 설정된 목표 색온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각 색상의 파장과 광학계 효율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방법과, 2) 명실 조건에서 휘도측정기를 이용하여 Trial-and -Error 방법을 통해 측정하여 얻는 방법이다. The method is calculated by using the wavelength of each color and the efficiency of the optical system to determine the target color temperature set under the 1-room condition, and 2) by the Trial-and-Error method using the luminance meter under the clear-room condition. It is a way.

여기에서, 바람직하게, 명실 조건에서 목표 색온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출력비를 설정하는 방법은 휘도측정기를 이용하여 Trial-and -Error 방법을 통해 측정한 출력비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Here, preferably, the method of setting the output ratio in order to achieve the target color temperature in a bright room condition is advantageous to use the output ratio measured by the Trial-and-Error method using a luminance meter.

이와 같이 명실 조건에서 얻은 적색, 녹색, 청색의 출력 비율을 메모리(330)에 저장되어 있으며, 광원 제어부(350)는 메모리(330)에 저장된 출력비를 참조할 수가 있다. 물론, 명실 조건에서 얻은 적색, 녹색, 청색의 출력비율을 실제 사용하는 광원 출력 명세를 이용하여 실제 목표 색온도조건에서 사용할 R/G/B 출력비를 결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red, green, and blue output ratios obtained in the clear condition are stored in the memory 330, and the light source controller 350 may refer to the output ratios stored in the memory 330.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e R / G / B output ratio to be used under the actual target color temperature conditions by using the light source output specification that actually uses the output ratios of red, green, and blue obtained in the clear condition.

다음으로, 광원 제어부(350)는 프로젝션 모드가 시작되는 경우에 메모리(330)에 저장되어 있는 적색, 녹색, 청색의 출력비의 기본값을 읽어와서 광원 구동회로(350)로 출력한다.Next, when the projection mode is started, the light source controller 350 reads the default values of the output ratios of red, green, and blue stored in the memory 330 and outputs them to the light source driving circuit 350.

그리고, 광원 제어부(350)는 휴대 단말 제어계(320)로부터 주변 조명 환경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그에 해당하는 적색, 녹색, 청색의 출력비를 메모리(330)에 서 읽어와서 광원 구동회로(360)로 출력한다.When the information about the ambient lighting environment is input from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 system 320, the light source controller 350 reads output ratios of red, green, and blue from the memory 330 to the light source driving circuit 360. Output

이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원 출력 제어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3 and 4, the operation of the light source outpu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휴대 단말 제어계(320)는 사용자에게 주변 조명 환경 선택 메뉴를 제공하게 된다(단계 S110). 이때, 휴대 단말 제어계(320)는 사용자에게 선택 가능한 주변 조명 환경으로 자연광 조건, 형광등 조명 조건, 백열등 조명 조건, 형광등/백열등 조명 조건 등의 여러 가지 사용 가능한 조명 환경을 디스플레이부(34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First,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 system 320 provides a user with an ambient lighting environment selection menu (step S110). In this case,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 system 320 is a user-selectable ambient lighting environment through the display unit 340 through various available lighting environments, such as natural light conditions, fluorescent lighting conditions, incandescent lighting conditions, fluorescent / incandescent lighting conditions, etc. To provide.

그러면, 사용자는 입력부(310)를 사용하여 휴대 단말 제어계(32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부(340)을 통하여 제공되는 다양한 조명 환경 조건에서 현재 조명 환경 조건을 선택한다(단계 S120).Then, the user selects the current lighting environment conditions from the various lighting environment conditions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unit 340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 system 320 using the input unit 310 (step S120).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부(310)를 사용하여 제공되는 다양한 조명 환경 조건에서 현재 조명 환경 조건을 선택하게 되면, 휴대 단말 제어계(320)는 광원 제어부(350)로 선택된 조명 환경 조건을 제공한다(단계 S130).As such, when the user selects the current lighting environment condition from the various lighting environment conditions provided using the input unit 310,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 system 320 provides the selected lighting environment condition to the light source controller 350 (step) S130).

그러면, 광원 제어부(350)는 메모리(330)에 저장된 선택된 주변 조명 환경에 따른 적색, 청색, 녹색의 출력비를 읽어와서 그에 따른 광원 구동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광원 구동회로(360)로 제공한다(단계 S140, 150).Then, the light source controller 350 reads an output ratio of red, blue, and green according to the selected ambient lighting environment stored in the memory 330, generates a light source driving control signal, and provides the same to the light source driving circuit 360 (step). S140, 150).

이에 따라, 광원 구동회로(360)는 광원계를 구동하여 원하는 적색, 녹색, 청색의 출력비에 따른 광을 생성하여 출사하도록 한다(단계 S160).Accordingly, the light source driving circuit 360 drives the light source system to generate and emit light according to the desired red, green, and blue output ratios (step S160).

한편, 여기에서는 메모리(330)에 기본값을 저장하고 그외에 여러 가지 조명 환경 조건에 따른 다른 출력비를 저장하고 있으며, 프로젝션 모드가 수행될 때마다 주변 조명 환경값을 입력하는 동작이 반복되도록 구현하였지만, 이와 달리 주변 조명 환경값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에 선택된 주변 조명 환경값에 따른 적색, 녹색, 청색의 출력비를 기본값으로 저장하도록 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is case, the default value is stored in the memory 330 and other output ratios according to various lighting environment conditions, and the operation of inputting the ambient lighting environment value is repeated every time the projection mode is performed. Alternatively, when there is a selection for the ambient lighting environment value, the output ratio of red, green, and blue according to the selected ambient lighting environment value may be stored as a default valu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색온도에 따른 광원의 컬러별 출력비를 다양한 조명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구비하도록 하여 화질 특성을 최적화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ratio for each color of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color temperature may be appropriately provided according to various lighting environments to optimize the image quality characteristic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 조명 환경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원하는 색온도 특성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t the desired color temperatu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by providing a function to allow the user to select the ambient lighting environmen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user's convenience.

Claims (7)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따른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프로젝션 제어부; 및 상기 프로젝션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광을 생성하고 생성된 광을 회절형 광변조기를 사용하여 변조하여 영상을 생성하며 생성된 영상을 스크린에 투사하면서 스캐닝하는 광변조 광학계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젝션 제어부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와, 상기 영상 입력부로부터 영상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데이터 트랜스포즈하여 출력하는 영상 보정부; 및 상기 영상 보정부에서 입력된 영상 신호에 따라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를 구동하는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광변조기 구동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A projection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image data and generates and outputs a driv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image data; And an optical modulation optical system configured to generate light according to a driving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projection control unit, modulate the generated light using a diffraction type optical modulator, generate an image, and scan while projecting the generated image on a screen. The projection controller may include an image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 image signal, and an image correction unit configured to data-transpose and output the input image signal when the image signal is input from the image input unit; And an optical modulator driving circuit for outputting a driving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diffractive optical modulator according to the image signal input from the image correcting unit, wherein the display system using the diffractive optical modulator comprises: 목표 색온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기본 조명 조건에서 얻어진 광원별 출력비와, 조명 환경 조건이 변하는 경우에 목표 색온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광원별 출력비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A memory for storing the output ratio for each light source obtained in the basic lighting condition to achieve the target color temperature, and the output ratio for each light source required for achieving the target color temperature when the lighting environment conditions change; 사용자로부터 조명 환경 조건을 입력받는 환경 입력부; An environment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 illumination environment condition from a user;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받은 조명 환경 조건에 따른 광원별 출력비를 상기 메모리에서 읽어와서 출력하는 광원 제어부; 및 A light source controller configured to read an output ratio of each light source according to an illumination environment condition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from the memory and output the read ratio; And 상기 광원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광원별 출력비에 따라 광원을 구동하는 광원 구동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광 출력 제어 장치.And a light source driving circuit for driving a light source according to an output ratio for each light source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controll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조명 환경 조건에 따른 광원 출력비는 해당 조명 환경 조건에서 목표 색온도를 달성하기 위한 광원 출력비를 각 광원의 파장과, 광학계의 효율을 이용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출력 제어 장치. And a light source output ratio according to an illumination environment condition stored in the memory using the wavelength of each light source and the efficiency of an optical system to determine a light source output ratio for achieving a target color temperature in a corresponding illumination environment condi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조명 환경 조건에 따른 광원 출력비는 해당 조명 환경 조건에서 목표 색온도를 달성하기 위한 광원 출력비를 휘도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출력 제어 장치.And a light source output ratio according to an illumination environment condition stored in the memory is determined by measuring a light source output ratio for achieving a target color temperature in a corresponding illumination environment condition by using a luminance met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본 조명 조건은 암실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출력 제어 장치.And said basic lighting condition is a dark room condi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명 환경 조건은 백열등 실내 조명 조건과, 형광등 실내 조명 조건과, 형광등/백열등 실내 조명 조건 중에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출력 제어 장치.The lighting environment condition is one of incandescent indoor lighting conditions, fluorescent indoor lighting conditions, fluorescent light / incandescent indoor lighting condition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output control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HHP(hand held phone), PDA(personal data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노트북등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출력 제어 장치.The display system may be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hand held phone (HHP), a personal data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laptop, and the like.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환경 입력부는,The environment input unit, 사용자로부터 조명 환경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An input unit for receiving lighting environment information from a user; 상기 사용자에게 조명 환경 선택 메뉴를 제공하고 제공된 메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조명 환경을 입력받아 상기 광원 제어부로 전송하는 휴대 단말 제어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광 출력 제어 장치.And a portable terminal control system configured to provide a lighting environment selection menu to the user and to receive the lighting environment through the input unit and to transmit the lighting environment to the light source controller using the provided menu.
KR1020060110641A 2006-11-09 2006-11-09 Apparatus of Controlling Optical Power for Display using Diffraction Modulation KR1009055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641A KR100905555B1 (en) 2006-11-09 2006-11-09 Apparatus of Controlling Optical Power for Display using Diffraction Modul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641A KR100905555B1 (en) 2006-11-09 2006-11-09 Apparatus of Controlling Optical Power for Display using Diffraction Modul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350A KR20080042350A (en) 2008-05-15
KR100905555B1 true KR100905555B1 (en) 2009-07-02

Family

ID=39649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641A KR100905555B1 (en) 2006-11-09 2006-11-09 Apparatus of Controlling Optical Power for Display using Diffraction Modul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555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0121A (en) * 1999-08-24 2001-04-1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Terminal unit, system and method for reproducing colors on the network
KR20040012870A (en) * 2001-05-29 2004-02-11 코닥 폴리크룸 그래픽스 엘엘씨 Display system for soft proofing of colour images with compensation of illumination conditions, especially also with compensation of display emission deviation
KR20050037784A (en) * 2003-10-20 2005-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5528733A (en) * 2001-12-19 2005-09-22 カラー・キネティッ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light emiss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0121A (en) * 1999-08-24 2001-04-1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Terminal unit, system and method for reproducing colors on the network
KR20040012870A (en) * 2001-05-29 2004-02-11 코닥 폴리크룸 그래픽스 엘엘씨 Display system for soft proofing of colour images with compensation of illumination conditions, especially also with compensation of display emission deviation
JP2005528733A (en) * 2001-12-19 2005-09-22 カラー・キネティッ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light emission
KR20050037784A (en) * 2003-10-20 2005-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350A (en) 200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3500B2 (en) Projector apparatus and light source control method thereof
US7605828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gray scale discontinuities in contrast enhancing screens affected by ambient light
WO2014171134A1 (en) Projection-type video display apparatus
JP6019859B2 (en) Projector and light emission control method in projector
US8184136B2 (en) Image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multiple light sources emitting different colors to display color images in color sequential display method
CN103543581B (en) The light-emitting control method of projector and projector
JP2006113535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1047716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08002452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color characteristics of display system using diffractive optical modulator
CN104637457A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JP2008096805A (en) Projector and projector system
JP2006330177A (en) Display device and projector
JP2003125317A (en) Video projection system, video projection method, video signal processor,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video projector, and video projection method
JP2008203308A (en) Video signal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KR100905555B1 (en) Apparatus of Controlling Optical Power for Display using Diffraction Modulation
JP2008026355A (en) Light source control device
KR20070075630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4066805A (en) Projector and emission control method in projector
JP2017010057A (en) Projector and projector light emission control method
JP2011150111A (en) Image processor,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5652500B2 (en) Light source device, projection device, projection method and program
KR100890302B1 (en) Apparatus for White Balance Controlling of Display System using Diffraction Modulation
KR100815332B1 (en) White Balance Controlling Method of Display System having Individual Red, Green and Blue Laser Diode Light Source
KR100843377B1 (en) Source output modulator of display that utilizes optical modulator of 1 panel form
KR100878913B1 (en) Apparatus of Controlling Lightness for Display using Diffraction Mod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