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726B1 -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726B1
KR100903726B1 KR1020060090935A KR20060090935A KR100903726B1 KR 100903726 B1 KR100903726 B1 KR 100903726B1 KR 1020060090935 A KR1020060090935 A KR 1020060090935A KR 20060090935 A KR20060090935 A KR 20060090935A KR 100903726 B1 KR100903726 B1 KR 100903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quality
information
evaluation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6243A (ko
Inventor
김선영
이진우
Original Assignee
(재)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주)투이컨설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주)투이컨설팅 filed Critical (재)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Priority to KR1020060090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726B1/ko
Publication of KR20080026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6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1Design,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of data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데이터 품질 관리 대상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품질 기준을 정확성, 일관성, 유용성, 접근성, 적시성 및 보안성 등을 포함하는 6개의 기준으로 분류하고, 각 데이터 품질 기준에 대한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또는 성숙 수준)를 낮은 수준부터 도입 단계(또는 제1 단계), 정형화 단계(또는 제2 단계), 통합화 단계(또는 제3 단계), 정량화 단계(또는 제4 단계) 및 최적화 단계(또는 제5 단계) 등 5개의 단계를 구분한 후,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대상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품질관리 수준을 상기 데이터 품질 기준별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도(또는 성숙수준)로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데이터 품질 관리 대상에 포함되는 데이터 품질관리 수준을 데이터 품질 기준별로 확인하거나, 부족한 부분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조직별로 원하는 기준에 대한 성숙도에 대한 개선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통해 계획적으로 데이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데이터, 품질, 관리, 대상, 성숙도

Description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System for Evaluating Data Quality Management Matur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품질 관리를 위한 프레임워크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전사적 데이터 품질 관리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데이터 품질 관리에 대한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기준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데이터 품질 관리에 대한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데이터 품질 관리에 대한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 간 상호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데이터 품질 관리에 대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 간 상호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데이터 품질 관리에 대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 간 상호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데이터 품질 관리에 대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 간 상호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데이터 품질 관리에 대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 간 상호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데이터 품질 관리에 대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 간 상호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700 :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 705 :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
710 :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 715 :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
720 :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 725 :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
730 : 저장매체 735 : 정보 입력수단
740 : 정보 검증수단
본 발명은 데이터 품질 기준과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상호 관계에 따라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는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업무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우리 주변의 많은 작업들에 대한 전산화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이러한 추세는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전산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업무 수행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술 접목을 통하여 기존의 업무 처리 방식을 보다 효과적인 방향으로 개선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전산의 적용은 단순 반복적인 업무뿐만 아니라, 핵심 업무에도 적용되고 있어, 일부 조직에서는 전산의 도움 없이 업무를 처리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업무 수행에 있어서, 전산의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업무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데이터가 전산 시스템에 보관되며, 업무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 또한 전산 시스템을 통하여 공급된다.
전산 시스템을 통한 데이터의 축적은 방대한 데이터를 여러 부문에서 필요에 따라 손쉽게 공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형태로의 가공 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업무의 복잡성 증가 및 처리량의 증가 등으로 인해 전산을 통하여 관리해야 하는 데이터의 종류 및 분량이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데이터 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하지만, 관리의 체계화를 수행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없을 정도로 전산에 대한 기대 사항들은 증가하고 있고, 단편적인 시스템 개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데이터 관리에 대한 어려움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또한, 데이터 관리의 체계화를 수행하기 위한 재정적 지원도 미비하고, 기술적인 한계도 존재하여 투자의 우선 순위에서 밀리는 실정이다. 그러다 보니 과거에는 전산을 통하여 제공되는 데이터는 항상 정확하다는 인식이 있었지만, 최근에는 이와는 정반대의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전산 시스템을 이용하는 많은 사용자들이 전산을 통하여 제공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불만이나 불편을 제기하고 있고, 우리 주변에서도 잘못된 데이터로 인하여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를 찾아볼 수 있다. 사용자들의 데이터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은 대략 다음과 같다.
(1) 정확하지 않아 신뢰할 수 없다.
(2) 정작 필요한 정보는 누락되어 있다.
(3) 원하는 정보가 아니거나 원하는 형태가 아니다.
(4) 제공 시점이 너무 느리다.
(5) 어딘가 있을 것 같은데 요청하면 받아볼 수 없다.
(6) 정보가 흘러 나가거나 일순간에 없어질 것 같아 불안하다.
전산 데이터에 대한 강한 믿음이 깨지면서 기대가 실망으로 변하고 있으며, 전산 시스템에 대한 인식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잘못된 데이터나 부족한 데이터는 업무 수행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 특히, 금전적인 데이터에 대한 오류는 조직에 막대한 손해를 끼칠 수도 있다.
데이터 관리의 어려움은 관련 대상이 많고 복잡하다는 것이다. 시스템이 동시 다발적으로 개발되다 보니 데이터가 여러 시스템에 흩어지게 되고, 분산된 데이터의 일관성 유지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또한, 데이터를 이용하는 사람이 많다 보니 잘못된 조작에 의한 데이터의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최신의 상태로 갱신되어야 하지만, 갱신 작업에서 누락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데이터의 진정한 의미를 모르고 잘못 사용하여 엉뚱한 결과를 얻기도 한다. 전산 애플리케이션은 한번 개발한 이후 요건의 변화가 발생하기 전까지는 고정적인 상태가 유지되지만, 데이터는 업무 처리에 따라 수시로 생성되고, 변경되고 없어진다. 그러므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한 대상이다.
그러나, 종래의 전산 시스템의 품질 관리는 전산 애플리케이션의 오류 발생 여부에만 간헐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상기 전산 시스템을 통해 생성, 변경, 소멸되는 데이터에 대한 품질관리는 전무한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 품질을 정확성, 일관성, 유용성, 접근성, 적시성 및 보안성 등을 포함하는 6개의 데이터 품질 기준과, 도입 단계(또는 제1 단계), 정형화 단계(또는 제2 단계), 통합화 단계(또는 제3 단계), 정량화 단계(또는 제4 단계) 및 최적화 단계(또는 제5 단계) 등 5개의 성숙도를 통해 평가하는 시스템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른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른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른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른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른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른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수단;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데이터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산출물을 검증하거나, 또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데이터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산출물을 검증하거나, 또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데이터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산출물을 검증하거나, 또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유용성 데이터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산출물을 검증하거나, 또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유용성 데이터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산출물을 검증하거나, 또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유용성 데이터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산출물을 검증하는 정보 검증수단; 상기 정보 입력수단으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른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 및 판독하여 각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데이터 품질 기준 도달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산출물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의 정확성에 대한 성숙도를 상기 검증된 성숙도 단계로 평가하는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 상기 정보 입력수단으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른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 를 수신 및 판독하여 각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데이터 품질 기준 도달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산출물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의 일관성에 대한 성숙도를 상기 검증된 성숙도 단계로 평가하는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 상기 정보 입력수단으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른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 및 판독하여 각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데이터 품질 기준 도달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산출물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의 유용성에 대한 성숙도를 상기 검증된 성숙도 단계로 평가하는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 상기 정보 입력수단으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른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 및 판독하여 각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데이터 품질 기준 도달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산출물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의 접근성에 대한 성숙도를 상기 검증된 성숙도 단계로 평가하는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 상기 정보 입력수단으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른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 및 판독하여 각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데이 터 품질 기준 도달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산출물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의 적시성에 대한 성숙도를 상기 검증된 성숙도 단계로 평가하는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 및 상기 정보 입력수단으로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른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 및 판독하여 각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데이터 품질 기준 도달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산출물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의 보안성에 대한 성숙도를 상기 검증된 성숙도 단계로 평가하는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필수 항목을 정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범위가 정의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필수 항목의 사전/사후 체크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사실성을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가 표준을 준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속성값의 연관성을 정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2 단계 정 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오류 원일에 대한 추적 및 대응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오너(Owner) 책임제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정확성 측정 지표를 개발하여 평가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오류 해결에 대한 지식 추적이 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오너의 성과 관리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오류 근본 원인 제거 작업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의 중복이 파악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식별자를 명확히 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흐름이 파악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중 중복 데이터에 대한 검증 및 대사 작업이 수행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참조 무결성이 적용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가 표준을 준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흐름을 검증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전사적인 차원의 중복 데이터가 파악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전사적인 데이터 흐름이 파악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오류 원인 추적 및 대응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표준 데이터 연계성을 파악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를 오너 중심으로 관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의 오류 해결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오너별 성과를 측정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중 중복 데이터의 근본 원인 제거 작업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참조 무결성이 최적화되었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흐름 대사가 최적화되었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요건을 정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요건에 대응하는 문제점을 파악하는지 확인하는 질의 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요건을 정형화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요건 대응을 위한 구조 관리를 정형화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요건에 체계적으로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활용도를 점검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요건을 전사적으로 조율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요건의 전사적인 연계성을 수립했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전사적인 데이터 구조를 수립했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활용의 향상을 위해 자원은 분배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요건에 대한 대응 지식을 축적했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요건의 구조적 대응에 대한 지식을 축적했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활용도를 평가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또는 질의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요건의 내부/외부 동향을 파악하고 반영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업계 최고 실시예를 수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활용도를 최적화하여 관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중 분산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사용자 뷰 구조를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사용자 데이터 활용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중 분산 데이터를 통합한 구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사용자 화면 구성을 표준화하여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사용자의 데이터 활용을 위한 매뉴얼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공유 환경을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중 분산 데이터를 전사적으로 통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메타 정보를 사용자와 공유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사용자 뷰의 통합 환경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능동적인 사용자 뷰를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를 통한 가치 창출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사용자 뷰의 측정 지표를 활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사용자의 활용 패턴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사용자 뷰를 최적화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사용자 뷰의 활용을 최적화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을 정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 관리가 수행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의 문제점을 파악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을 정형화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흐름 주기를 관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에 체계적으로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을 전사적으로 통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하여 전사적으로 데이터 흐름 주기를 관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비지능적 요건의 대응을 위해 전문가를 활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의 대응 지식을 축적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측정 지표를 활용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기술동향을 파악하고 적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흐름 주기를 최적화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보안 통제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대한 기본 수준의 식별 및 인증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백업계획을 수립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침해사고에 대한 복구계획을 수립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보안에 관련된 지침 및 절차를 수립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보안에 관련된 조직을 선정하고 업무분장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보안 감사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취약점 분석 및 조치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의 보안수준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 함하는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고급 수준의 식별 및 인증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정확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1 단계(또는 도입 단계)로 평가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정확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2 단계(또는 정형화 단계)로 평가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정확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3 단계(또는 통합화 단계)로 평가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정확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4 단계(또는 정량화 단계)로 평가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정확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5 단계(또는 최적화 단계)로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일관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1 단계(또는 도입 단계)로 평가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일관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2 단계(또는 정형화 단계)로 평가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일관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3 단계(또는 통합화 단계)로 평가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일관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4 단계(또는 정량화 단계)로 평가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 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일관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5 단계(또는 최적화 단계)로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유용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1 단계(또는 도입 단계)로 평가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유용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2 단계(또는 정형화 단계)로 평가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유용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3 단계(또는 통합화 단계)로 평가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유용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4 단계(또는 정량화 단계)로 평가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유용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5 단계(또는 최적화 단계)로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접근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1 단계(또는 도입 단계)로 평가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접근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2 단계(또는 정형화 단계)로 평가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접근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3 단계(또는 통합화 단계)로 평가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접근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4 단계(또는 정량화 단계)로 평가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접근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5 단계(또는 최적화 단계)로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적시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1 단계(또는 도입 단계)로 평가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적시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2 단계(또는 정형화 단계)로 평가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적시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3 단계(또는 통합화 단계)로 평가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적시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4 단계(또는 정량화 단계)로 평가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적시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5 단계(또는 최적화 단계)로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보안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1 단계(또는 도입 단계)로 평가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보안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2 단계(또는 정형화 단계)로 평가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보안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3 단계(또는 통합화 단계)로 평가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보안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4 단계(또는 정량화 단계)로 평가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서 상기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가 상기 정보 검증수단을 통해 검증되면,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보안성에 대한 성숙도를 제5 단계(또는 최적화 단계)로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 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 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품질 관리를 위한 프레임워크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데이터 품질 관리 대상을 데이터(Data Value), 데이터 구조(Data Hierarchy) 및 데이터관리 프로세스(Data Management Process) 등으로 분류 및 정의하고,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주체를 사용자(120)(User), 데이터베이스 관리자(115)(DataBase Administrator; DBA), 모델러(110)(Modeler), 데이터관리책임자(105)(Data Administrator; DA) 및 최고정보화임원(100)(Chief Information Officer; CIO)으로 분류 및 정의한 후, 각각의 데이터 품질 관리 주체가 각각의 데이터, 데이터 구조 및 데이터관리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데이터 품질 관리 대상을 관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적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데이터 품질 관리 주체를 각 데이터베이스 운용 기관의 특성에 맞게 정의하는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구조가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데이터 품질 관리 주체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품질 관리 관점에 따른 주체를 표현한 것으로서, 예컨대,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개괄적 관점으로 관리하는 주체가 상기 최고정보화임원(100)(CIO)에 해당하며,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개념적 관점으로 관리하는 주체가 상기 데이터관리책임자(105)(DA)에 해당하며,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논리적 관점으로 관리하는 주체가 상기 모델러(110)에 해당하며,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물리적 관점으로 관리하는 주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책임자(DBA)에 해당하며,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운용적 관점으로 관리하는 주체가 상기 사용자(120)에 해당할 것이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주체 중 최고정보화임원(100)(CIO)는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최상위 계층에 해당하는 품질 관리 주체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개괄적 관점에서 데이터 관리의 총괄, 데이터 관리 정책 및 지원 마련, 데이터 관리자간 이슈사항 조정 등의 역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주체 중 데이터관리책임자(105)(DA)는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상기 최고정보화임원(100)(CIO) 계층 하위에 해당하는 품질 관리 주체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개념적 관점에서 표준개발 및 형상관리, 검증 및 표준화 절차를 수립하고 운영하며, 또한 전사 데이터 모델을 통합하고, 각 데이터 요구사항에 대한 정리 및 기능별 데이터 관리자(Functional Data Management; FDA)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주체 중 데이터베이스관리자(DBA)는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관리책임자(105)(DA) 계층 하위에 해당하는 품질 관리 주체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논리적 관점에서 각 기능영역의 데이터 요구사항 및 이슈사항을 조정하고, 통합하며, 또한 해당 기능영역의 비즈니스 요건을 토대로 데이터 모델링을 수행하고, 데이터 표준을 확인하는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주체 중 사용자(120)는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상기 최하위(또는 데이터 베이스관리자(DBA) 하위) 계층에 품질 관리 주체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운용적 관점에서 데이터 원천, 운용 데이터 및 분석 데이터를 활용하며, 또한 상기 데이터에 대한 추가 요건을 요청하고, 상기 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여 나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대상 중 상기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운용기관 및 기업의 비전이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사용되는 전산화된 데이터, 또는 전산화에 필요한 데이터를 의미하며, 상기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데이터관리책임자(105)가 관리하는 표준 데이터,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모델러(110)가 관리하는 모델 데이터,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데이터베이스관리자(DBA)가 관리하는 관리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사용자(120)가 관리하는 업무 데이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대상 중 상기 데이터 구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상에 상기 데이터가 담겨져 있는 모양 및 틀로서, 상기 데이터를 취급하는 관점에 따라 구조가 달라지는데, 상기 데이터 구조는 사용자(120) 뷰(예컨대, 양식, 보고서, 화면, 장표 등), 모델(예컨대, 개괄, 개념, 참조, 논리, 물리), 데이터베이스 파일의 형태로 보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데이터 구조는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데이터관리책임 자(105)가 관리하는 개념 데이터 모델과 데이터 참조 모델,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모델러(110)가 관리하는 논리 데이터 모델,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데이터베이스관리자가 관리하는 물리 데이터 모델과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사용자(120)가 관리하는 사용자(120) 뷰(User View)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대상 중 상기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는 상기 데이터 및 데이터 구조의 품질을 안정적으로 유지 및 개선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품질 관리 주체가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처리하는 프로세스로서,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대상에 해당하는 데이터에는 상기 데이터의 현상적 값뿐만 아니라 구조적 값까지 포함되며, 상기 데이터 구조는 각 품질 관리 주체의 각 관점 별 데이터 구조로 세분화되고, 상기 데이터 품질 변화 관리 프로세스와 데이터 품질 개선 프로세스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는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데이터관리책임자(105)(DA)에 대응하는 데이터 표준 관리 프로세스와 요구사항 관리 프로세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데이터베이스관리자(DA)에 대응하는 데이터 모델 관리 프로세스와 데이터 흐름관리 프로세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데이터베이스관리자(DBA)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세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사용자(120)에 대응하는 데이터 활용 관리 프로세스 등을 포함하여 이루 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관리책임자(105)(DA)가 관리하는 표준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가 적용되는 정보시스템 상에서 사용하는 용어, 도메인, 코드 및 기타 데이터 관련요소에 대해 공통된 형식과 내용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표준 관련 데이터를 의미하며, 상기 정보시스템의 데이터 품질 확보를 위한 필수 요소로, 표준 데이터를 정의 및 관리함으로써, 데이터 간의 불일치와 데이터 오류를 방지하고 데이터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기관이나 기업 전사차원에서 단일하고 표준화된 정보시스템을 구현하게 함으로써, 데이터 통합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표준 데이터의 관리대상은 표준 단어(Word) 사전, 표준 도메인(Domain) 사전, 표준 용어(Term) 사전, 표준 코드 및 데이터 표준 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표준 데이터 관리대상의 표준 단어 사전은, 기업이나 기관에서 업무상 사용되며, 일정한 의미를 갖고 있는 최소 단위의 단어를 정의한 사전으로서, 상기 표준 단어를 정의함으로써 업무상 편의나 관습에 따라 동일한 단어를 서로 다른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예컨대, 자산 이관 시 "인수 자", "이관자"를 주는 곳과 받는 곳에서 서로 상반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 또는 하나의 단어에 다양한 의미를 부여(예컨대, "처리자")하여 사용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표준 데이터 관리대상의 표준 단어 사전에 대한 관리기준은, 표준성, 참조 가능성, 일반성 및 대표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준 데이터 관리대상의 표준 단어 사전에 대한 관리기준의 표준성은, 상기 표준 단어 사전에 정의되는 표준 단어는 정보시스템이 대상으로 하고 있는 업무 범위에서 사용하고 있거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적 의미의 단어 가운데에서 추출해야 하며, 지나치게 업무에 의존적이거나 방언을 사용해서는 안 되며 약어의 사용도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표준 데이터 관리대상의 표준 단어 사전에 대한 관리기준의 참조 가능성은, 상기 표준 단어 사전에 정의되는 표준 단어는 상기 기업이나 기관에서 새로운 업무를 정의할 때 참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표준 데이터 관리대상의 표준 단어 사전에 대한 관리기준의 일반성은, 상기 표준 단어 사전에 정의되는 표준 단어는 일반 단어와 의미상 크게 다르 지 않아 일반인도 단어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표준 데이터 관리대상의 표준 단어 사전에 대한 관리기준의 대표성은, 상기 표준 단어 사전에 정의되는 표준 단어는 동의어를 가질 수 있으나 표준 단어로 선언된 단어는 유사한 의미를 갖는 동의어들을 대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표준 데이터 관리대상의 표준 단어 사전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표준 단어는 전사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엔티티와 속성을 개별 단위로 하여 추출하고 논리명(한글명)을 기준으로 물리명(영문명, 영문약어명), 유사 용어까지 함께 정리하여 관리하며, 상기 표준 단어 사전에는 개별 단어 외에도 동의어, 유의어, 반의어 등과 같은 단어간의 구조도 함께 정의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표준 데이터 관리대상의 표준 도메인 사전은, 도메인(domain)이란 속성에 정의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값의 범위를 정의하는 사전으로서, 상기 표준 도메인은 전사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 가운데에 논리적 및 물리적으로 유사한 유형의 데이터를 그룹화하여 해당 그룹에 속하는 데이터의 유형과 길이를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표준 데이터 관리대상의 표준 도메인 사전에 대한 관리기준은, 표준성, 유일성 및 업무지향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준 데이터 관리대상의 표준 도메인 사전에 대한 관리기준의 표준성은, 상기 표준 도메인 사전에 정의되는 표준 도메인은 전사 차원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속성을 대상으로 정의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컨대, 은행의 계좌번호는 은행 하위 업무나 금융 상품에 따라 다르지 않으므로 표준 도메인을 정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준 데이터 관리대상의 표준 도메인 사전에 대한 관리기준의 유일성은, 상기 표준 도메인 사전에 정의되는 표준 도메인 중 동일한 내용의 중복 도메인이 서로 다른 이름으로 선언되지 않도록 관리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표준 데이터 관리대상의 표준 도메인 사전에 대한 관리기준의 유일성은, 상기 표준 도메인 사전에 정의되는 각 도메인은 업무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선언하여 관리 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컨대, 은행 계좌번호의 도메인은 '-'가 없이 정의하는 것 보다 적절한 의미를 나타내도록 '-' 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준 데이터 관리대상의 표준 도메인 사전을 관리하는 방법은, 전사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모든 데이터 속성 혹은 대표 속성 가운데에 DBMS에 동일한 형태로 구현되는 속성들을 추출하여 그룹화하고 표준화된 도메인을 선언하도록 관리하며, 모든 속성은 임의의 도메인에 할당되어야 하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메인에 복수로 할당되어서는 안되도록 관리하며, 상기 도메인은 복수개의 하위 도메인(복합 도메인)으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도메인이 여러 개의 도메인에 중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관리하며, 상기 속성과 도메인은 상호 매핑하도록 관리하며, 새로운 속성이 추가될 경우 해당 속성의 도메인을 선정 및 등록할 것을 권장하도록 관리하며, 또한 도메인의 삭제는 해당 도메인을 사용하고 있는 속성이 없을 경우에만 가능하도록 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표준 데이터 관리대상의 표준 용어 사전은, 업무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며 표준 단어를 조합해 정의한 용어(term)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표준 용어를 정의한 사전으로서, 여기서 상기 단어는 개별적이나 용어는 업무와 조직의 성격에 따라 그 조합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표준 용어 사전을 정의함으로써 기관이나 기업 내부에서 서로 상이한 업무 간에 의사소통이 필요한 경우 용어에 대한 이해 부족이나 혼란으로 유발되는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준 데이터 관리대상의 표준 용어 사전에 대한 관리기준은, 표준성, 일반성 및 업무지향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준 데이터 관리대상의 표준 용어 사전에 대한 관리기준의 표준성은, 상기 표준 용어 사전에 정의되는 용어 사용이나 의미의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전사차원의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표준 데이터 관리대상의 표준 용어 사전에 대한 관리기준의 일반성은, 상기 표준 용어 사전에 정의되는 용어가 지나치게 업무 관점으로 정의되어 직관적으로 이해가 힘들거나 의미상의 혼란을 초래해서는 안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일반적인 의미와 다르게 사용된 용어는 다른 용어로 대체해야 한다.
또한, 상기 표준 데이터 관리대상의 표준 용어 사전에 대한 관리기준의 업무지향성은, 상기 표준 용어 사전에 정의되는 용어는 업무를 반영하여 약어를 사용하거나 내부에서 별도로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단, 지나친 약어의 사용이나 신규 용어의 개발은 업무에 대한 이해도를 떨어뜨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상기 표준 데이터 관리대상의 표준 용어 사전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표준 용어는 전사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엔티티와 속성의 용어를 대상으로 표준 단어 사 전의 정의되어 있는 단어를 조합하여 생성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용어 사전은 엔티티 용어 사전과 속성 용어 사전으로 구분하여 정의 및 관리하며, 각각의 용어는 논리명(한글명)과 물리명(영문명)을 가지며, 용어의 범위 및 자격 형식 등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표준 데이터 관리대상의 표준 코드는,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는 데이터 값을 정형화하기 위해 정의된 기준에 따라 제한된 범위 내의 기호로 대치한 것을 의미하며, 상기 표준 코드에는 각 산업별로 법적 및 제도적으로 부여하여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코드뿐만 아니라 기관이나 기업 내부에서 정의하여 사용하는 코드가 대상이 된다.
여기서, 상기 표준 데이터 관리대상의 표준 코드에 대한 관리기준은, 재사용성, 일관성, 유일성 및 정보분석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준 데이터 관리대상의 표준 코드에 대한 관리기준의 재사용성은,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고 코드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기관이나 기업 자체적으로 코드를 정의해 사용하는 방법보다 표준화 기구나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정의한 코드를 활용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표준 데이터 관리대상의 표준 코드에 대한 관리기준의 일관성은, 상기 표준 코드에 대응하는 코드는 통일된 하나의 값으로 일관성 있게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컨대, '여부'를 나타낼 경우 'Y/N' 또는 '1/0' 등이 혼재하여 사용해서는 안 된다.
또한, 상기 표준 데이터 관리대상의 표준 코드에 대한 관리기준의 유일성은, 상기 표준 코드에 대응하는 코드는 유일하게 정의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만약 일한 내용의 코드가 중복되어 사용될 경우, 전사 차원의 데이터와 불일치(Inconsistency)하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준 데이터 관리대상의 표준 코드에 대한 관리기준의 정보분석성은, 가능한 범위의 데이터는 모두 코드화하여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텍스트로 직접 입력하는 값보다 코드를 참조해 입력하는 값의 비중이 높으면 높을수록 정보분석 시에 가치 있는 결과를 얻기가 쉽다.
상기 표준 데이터 관리대상의 표준 코드를 관리하는 방법은, 전사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코드와 표준화 기구나 정부 및 공공기관의 표준화 코드를 분석해 해당 표준화 코드의 활용 여부를 결정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코드는 표준화 팀에서 엄격한 기준에 따라 관리해야하며 사용자(120) 임의대로 코드 체계를 생성하거나 수정해서는 안되도록 관리하며, 상기 코드는 도메인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관리해야 하나 도메인에 값의 범위가 명확히 정의되어 있는 경우(예컨대, '여부'는 'Y/N'으로 표기)에는 특별히 코드화하여 관리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표준 데이터 관리대상의 데이터 표준 요소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축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관련요소에 대한 표준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데이터 관련요소 표준 대상은 논리 데이터 모델의 주제영역, 엔티티, 속성 관계명, 물리적 객체 대상인 Subject Areas, Relationships, Database & Instance, Indices, Constraints, Sequences, 사용자(120) 정의 Procedures & Functions, Synonyms, Views, Rollback Segments, Tablespaces, File Names, Script Names 등의 명명 규칙을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 운영에는 정작 시스템 운영에만 필요한 본질적 요소와 시스템 운영자가 필요에 의해 생성한 요소들이 혼재할 수 있는데, 상기 표준 데이터 관리대상의 데이터 표준 요소에 대한 관리기준은, 상기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본질적 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그램 수행 결과를 단순 적재하는 요소들은 문제 발생 시 역 추적에 필요하지만 시스템 운영의 필수 요소라고는 할 수 없으며, 상기 데이터 관련요소 중 관리 대상의 선별 기준은 시스템 운영에 필수적인 요소가 1차 대상이 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표준 데이터 관리대상의 데이터 표준 요소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요소를 정확히 선별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시스템의 설계 및 구축에 필요한 요소를 추출하여 표준이 필요한 요소를 정의하고 그 요소에 대해 업무적 표준을 정의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상기 모델러(110)가 관리하는 모델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가 적용되는 정보시스템 상에서 데이터 모델을 운용 및 관리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의미하며, 여기에는 데이터 참조 모델, 개념 데이터 모델, 논리 데이터 모델, 물리 데이터 모델에 대한 메타 데이터 및 DBMS 객체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모델 데이터는 데이터 모델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관리함으로써 데이터 구조에 대한 최신 정보를 유지하고 전사차원에서의 데이터 모델 공유 및 재사용을 극대화하며 체계적인 데이터 모델의 변경관리를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모델 데이터의 관리 기준은, 완전성, 일관성, 추적성, 상호연계성, 최신성 및 호환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델 데이터의 관리 기준의 완전성은, 상기 모델 데이터는 개념 데이터 모델, 논리 데이터 모델, 물리 데이터 모델,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모든 단계의 데이터 구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모델 데이터의 관리 기준의 일관성은, 상기 모델 데이터는 단어, 용어, 도메인 및 데이터 표준 요소를 준수해 정의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모델 데이터의 관리 기준의 추적성은, 상기 모델 데이터는 데이터 모델의 변경 이력에 대한 추적이 용이하고 과거 데이터 모델에 대한 활용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모델 데이터의 관리 기준의 상호연계성은, 상기 모델 데이터는 데이터 구조를 입체적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데이터 모델간의 상호 연관 관계를 표현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모델 데이터의 관리 기준의 최신성은, 상기 모델 데이터는 단계별 데이터 모델에 표현된 업무 규칙은 물론 실제 시스템에 구현된 데이터베이스와도 논리적으로 일치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모델 데이터의 관리 기준의 호환성은, 상기 모델 데이터는 표준 데이터, 관리 데이터와도 상호 호환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모델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데이터 구조와 구조를 표현하는 모델 데이터는 별개로 관리해야 하며, 상기 데이터 모델을 변경할 경우, 변경 전과 변경 후의 데이터 모델은 물론 영향을 받는 응용 프로그램과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의 이력 사항을 함께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관리자(DBA)가 관리하는 관리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가 적용되는 정보시스템 상에서 데이터베이스를 효과적으로 운영 및 관리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의미하며, 여기에는 사용관리 데이터, 장해 및 보안 관리 데이터, 성능 관리 데이터, 흐름 관리 데이터, 품질 관리 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상기 관리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사용 및 성능 관리, 데이터 흐름관리, 품질 관리에 대한 데이터를 조직 내에서 정의한 목표 값을 기준으로 수시 혹은 정해진 기준 시간에 따라 관리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활용 및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하나는 주로 기관이나 기업의 업무 과정에서 생성되는 운영계 시스템의 데 이터베이스이고, 다른 하나는 이러한 운영계 시스템으로부터 정보를 분석 및 추출하여 활용하는 분석계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이다.
상기 운영계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목적은 데이터베이스 사용자(120)들의 만족도를 충족시키기 위해 데이터 자체의 품질은 물론, 데이터를 효율적효과적으로 제공하는데 필요한 인터페이스 등 제반 서비스 품질을 확보하는 데 있으며, 상기 분석계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목적은 데이터의 효용성을 증대시키는 데 있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 관리 데이터는 이 가운데 운영계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초점을 두어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 데이터의 관리대상은 사용 관리 데이터, 장해 및 보안 관리 데이터, 성능관리 데이터, 흐름관리 데이터 및 품질 관리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관리 데이터 관리대상의 사용 관리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활용 가치와 사용자(120)의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관리되어야 할 데이터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 데이터 관리대상의 사용 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은, 데이터 활용도, 사용자(120) 만족도 및 문제 해결 소요 시간의 적절성 등을 포함하 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 데이터 관리대상의 사용 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데이터 활용도는, 주기적으로 데이터 사용 추세를 파악하고 결과 추이를 분석 및 관리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관리 데이터 관리대상의 사용 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사용자(120) 만족도는, 사용자(120)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만족도를 정기적으로 파악하고 결과 추이를 분석 및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관리 데이터 관리대상의 사용 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문제 해결 소요 시간의 적절성은, 문제 발생에서 확인까지 소요되는 시간과 문제 확인 후 해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점검함으로써, 상기 문제 해결 소요 기간은 데이터가 얼마나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관리되고 있는지를 가늠하도록 분석 및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관리 데이터 관리대상의 사용 관리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은, 일별, 주별, 월별로 데이터 변경 현황을 집계함으로써, 급격한 변화가 발생되는 시점을 분석하여 원인 및 추세, 예상되는 문제점과 대책을 세우도록 관리하며, 정기적으로 데이터베이스 사용상의 문제점과 개선 요구 사항을 분석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데 이터베이스 활용과 관련되어 발생되는 문제점을 점검할 수 있는 경로를 다양하게 정의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문제 원인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처리 작업 내용 및 결과(문제 정의, 관련 데이터베이스, 담당자와 관련자, 작업진행 상황 등)를 상세히 기록하도록 관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관리 데이터 관리대상의 장해 및 보안 관리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정상적인 상태 유지나 효과적인 사용을 방해하는 사건을 사전에 예방하거나 사건 발생시에 신속한 복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관리되어야 할 데이터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 데이터 관리대상의 장해 및 보안 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은, 주기적인 상태기록, 복구절차와 규칙 및 접근통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 데이터 관리대상의 장해 및 보안 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주기적인 상태기록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백업 주기, 백업 방법, 백업 데이터의 보관 및 복구 관련 기록을 관리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관리 데이터 관리대상의 장해 및 보안 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복구절차와 규칙은, 비상시 데이터 복구절차와 적용되는 규칙을 정의하여 관리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관리 데이터 관리대상의 장해 및 보안 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접근통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부 및 외부의 부적합한 사용자(120)로부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고 사용자(120)의 권한 및 등급을 관리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관리 데이터 관리대상의 장해 및 보안 관리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평가하여 중요도를 결정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중요도에 따라 일별, 주별, 월별로 백업할 데이터를 분류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백업 및 복구 절차를 확립하고 주기적으로 교육하며, 상기 적용 규칙은 최대한 상세히 기술하되 중복이나 모순이 없는지 확인하며, 상기 백업 데이터의 보관 장소는 가급적 네트워크 및 서버가 다른 시스템과 분리되도록 하며 안전장치를 설정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보안 규정을 수립하고 주기적으로 교육 및 홍보하며, 각 데이터베이스 별로 사용자(120)의 접근 권한을 명시하고 주기적으로 불법적인 접근을 검사하여 조치하도록 관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관리 데이터 관리대상의 성능관리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필수적으로 관리해야 할 데이터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 데이터 관리대상의 성능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은, 성능 향상 절차 및 성능 점검 주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 데이터 관리대상의 성능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성능 향상 절차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절차와 규칙을 정의하여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관리 데이터 관리대상의 성능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성능 점검 주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을 주기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의 성능 측정 기준과 측정 주기가 정의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관리 데이터 관리대상의 성능관리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성능 측정 기준을 정의하며, 상기 기준은 모두 정량화하도록 관리하며, 일별, 주별, 월별로 성능을 측정하고 그 추세를 분석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성능 향상을 위한 절차와 규칙(예컨대, 질의어 최적화, 데이터베이스 구조 변경 등에 대한 절차와 규칙 등)을 정비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에 따른 재구성 작업의 시기와 방법을 정의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스토리지(Storage)의 교체 및 확장 시기에 대한 규칙을 정의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관리 데이터 관리대상의 흐름관리 데이터는, 소정의 정보시스템 데이터를 다른 정보시스템으로 이동할 때 사용하는 소스 데이터와 타깃 데이터간의 매핑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 데이터 관리대상의 흐름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은, 소스 및 타깃 데이터의 매핑 규칙, 및 소스 및 타깃 데이터 정제 규칙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 데이터 관리대상의 흐름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소스 및 타깃 데이터의 매핑 규칙, 상기 데이터 이동이 필요한 모든 소스와 타깃을 정의하고 소스타깃간의 매핑 규칙을 정의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관리 데이터 관리대상의 흐름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소스 및 타깃 데이터 정제 규칙은, 상기 정의된 소스와 타깃의 매핑 규칙을 준수하고 이에 위배되는 데이터에 대한 정제(Cleansing) 규칙이 정의되어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관리 데이터 관리대상의 흐름관리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데 이터베이스에 대한 소스 데이터와 타깃 데이터간의 매핑 리스트를 작성하고, 타깃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소스 데이터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데이터 이동이 필요 없는 소스와 타깃이 매핑되어 있지 않은지 검사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삭제된 소스를 매핑 소스로 사용하고 있는지 검사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소스와 타깃의 데이터 구조가 동일한지 조사한다. 동일하지 않은 경우 변환 규칙을 적용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변환 규칙이 데이터 무결성 규칙을 준수하는지 검사하고, 그 결과가 데이터 정합성을 보장하는지 검사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관리 데이터 관리대상의 품질 관리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의 정합성을 확보하고 데이터 품질의 유지 및 개선을 위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관리되어야 할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품질 관리 데이터를 관리함으로써 데이터의 비효율적 사용을 예방하고 데이터의 운용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의 부정합성에 대한 데이터 품질 저하를 예방할 수 있으므로, 운용 시스템 전반의 데이터를 고품질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 데이터 관리대상의 품질 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은, 품질 기준, 품질 점검 주기, 품질 검증 절차와 규칙, 및 품질개선 절차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 데이터 관리대상의 품질 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품질 기준은, 상기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데이터의 품질 기준을 정의한다. 품질 기준은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등급을 두어 관리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관리 데이터 관리대상의 품질 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품질 점검 주기는,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를 지속적 및 정기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성능과 데이터 품질 등에 대한 측정 주기를 설정한다. 품질 점검 주기는 사용자(120)의 요구 수준을 반영하여 결정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관리 데이터 관리대상의 품질 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품질 검증 절차와 규칙는, 상기 정의된 품질 기준을 적용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검증 절차와 규칙을 정의한다. 여기에는 정의된 절차와 규칙을 따를 수 없는 예외 사항에 대한 조치 방안도 함께 고려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관리 데이터 관리대상의 품질 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품질개선 절차는, 상기 측정된 품질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데이터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고품질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절차와 방법을 정의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관리 데이터 관리대상의 품질 관리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데이터 품질 관리가 필요한 항목(예컨대, Entity Integrity, Referential Integrity, Domain Integrity, 속성, 컬럼의 Business Rule 적용, 엔티티, Table 정의에 따른 데이터 생성, 변경, 삭제 규칙, 트리거(trigger)등 사용자(120) 정의 DBMS 객체의 작동 여부, 데이터 복제 허용 시 원본 데이터와 복제 데이터간의 정합성 등)을 도출하도록 관리하며, 또한 항목별로 품질 기준에 벗어나는 부적합한 데이터에 대한 오류 수정 규칙을 정의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상기 사용자(120)가 관리하는 업무 데이터는, 기관이나 기업의 업무 및 비즈니스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데이터 흐름에 따라 원천, 운영, 분석 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업무 데이터는 정보시스템 정보의 근간인 데이터를 원천, 운영, 분석데이터와 같이 각각의 특성에 따라 적절히 분할하여 관리함으로써 데이터 관리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업무의 능률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업무 데이터의 관리대상은 원천(source) 데이터, 운영(operational) 데이터, 및 분석(analysis) 데이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업무 데이터 관리대상의 원천 데이터는, 상기 운영 업무 데이터의 원천이 되는 현실 세계의 데이터로서, 상기 원천 데이터에는 일반문서, PC에 저장된 데이터 원천 파일, 이메일 및 팩스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업무 데이터 관리대상의 원천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은, 원천 데이터의 보안성, 원천 데이터의 안전성, 및 원천 데이터의 신뢰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업무 데이터 관리대상의 원천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원천 데이터의 보안성은, 상기 원천 데이터는 시스템이나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객체에 의해 시스템적으로 관리되지 않아 허용되지 않은 사용자(120)에게 노출될 위험성이 많으므로 중요 원천데이터의 경우 보안에 각별히 유의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업무 데이터 관리대상의 원천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원천 데이터의 안전성은, 상기 원천 데이터는 재해 발생시 데이터 손실률이 높고 손실된 원천 데이터의 복구가 매우 어려우므로 중요 원천 데이터의 경우 안전 관리의 수준이 높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업무 데이터 관리대상의 원천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원천 데이터의 신뢰성은, 상기 원천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이와 관련된 근거를 정의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업무 데이터 관리대상의 원천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원천 데이터는 통합적 시스템에 의한 관리보다는 원천 업무 데이터 소유주의 개인이나 단체에 의해 관리하며, 상기 원천 데이터의 검색은 일반적으로 시스템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것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관리 체계를 명확히 정의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필요한 원천 데이터를 분류해 각 원천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과 생성, 변경, 소멸 규칙을 정의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업무 데이터 관리대상의 운영 데이터는, 기업이나 기관의 목표 달성 및 업무 수행을 위해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 관리하여 활용하는 데이터를 의미하며, 여기서 단순한 입출력 작업 처리를 위해 일시적으로 필요한 임시 데이터는 제외한다.
여기서, 상기 업무 데이터 관리대상의 운영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은, 정확성, 일관성, 최신성, 완전성, 사용 용이성, 및 검색 용이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업무 데이터 관리대상의 운영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정확성은, 실세계에 존재하는 원천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가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업무 데이터 관리대상의 운영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일관성은, 상기 데이터가 용어 정의, 규정, 표준, 속성 정의, 데이터 형식 등과 일치하도록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업무 데이터 관리대상의 운영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최신성은, 상기 제공되는 데이터는 가장 최근의 내용으로 갱신되도록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데이터의 최신성을 유지하기 위해 데이터에 최신성 등급(매우 중요, 중요, 보통)을 둘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무 데이터 관리대상의 운영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완전성은, 상기 정보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는 항목의 누락 없이 완전한 형태로 제공되도록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업무 데이터 관리대상의 운영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사용 용 이성은, 상기 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도움말, 고객지원 기능 등은 사용자(120)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제공되도록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업무 데이터 관리대상의 운영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검색 용이성은, 정보 시스템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검색 관련 제반 기능과 검색 조건에 따른 검색 결과 및 출력 방식이 정확하며 적절하도록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업무 데이터 관리대상의 운영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데이터의 정확성, 일관성, 최신성, 완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정의된 관리기준과 관리방법에 따라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점검 및 관리하며, 상기 사용 용이성과 검색 용이성은 성능관리 데이터의 관리기준과 관리방법을 따르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업무 데이터 관리대상의 분석 데이터는, 운영 데이터의 추출(extract), 변환(transformation), 적재(loading)등의 과정을 통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의미하며, 상기 분석 데이터가 기관이나 조직의 업무나 제반 활동을 신속하게 지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최신성과 정확성을 갖춰야 한다.
여기서, 상기 업무 데이터 관리대상의 분석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은, 분석 주기, 마감기한, 요약레벨, 주제지향성, 통합성, 시계열성, 및 비휘발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업무 데이터 관리대상의 분석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분석 주기는, 상기 분석용 데이터의 원천인 운영 데이터의 분석 및 변환 주기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업무 데이터 관리대상의 분석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마감기한은, 상기 운영 데이터를 분석용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 이용하는 운영 데이터의 특정 시점을 정의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업무 데이터 관리대상의 분석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요약레벨은, 상기 분석 데이터에 요구되는 요약 수준을 정의한다. 요약 수준은 운영 데이터의 범위와 깊이의 관점에서 고려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업무 데이터 관리대상의 분석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주제지향성은, 상기 분산되어 관리되는 운영 데이터를 통일된 주제 영역별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업무 데이터 관리대상의 분석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통합성은, 상기 분석 데이터를 동일하고 일관된 표준('남/여', '1/0')에 따라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업무 데이터 관리대상의 분석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시계열성은, 일정 시간 동안 축적된 데이터를 다양한 시점별로 정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업무 데이터 관리대상의 분석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비휘발성은, 상기 데이터의 삭제, 갱신이 빈번히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업무 데이터 관리대상의 분석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운영 데이터를 분석 데이터로 추출, 변환, 적재하는 규칙을 정의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분석 주기, 마감기한, 요약 레벨 등은 분석 대상 데이터의 규모나 특성, 활용 목적 등을 고려하여 정의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관리책임자(105)(DA)가 관리하는 개념 데이터 모델은,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가 적용되는 정보시스템의 업무 요건을 충족하는 데이터의 주제영역과 핵심 데이터 집합을 정의 하고 상호간의 관계를 정의한 모델을 의미한다.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은 건축물의 조감도와 같이 구축하고자 하는 업무 모델의 핵심 데이터 구조를 그림으로써, 전체 업무에 대한 큰 윤곽을 잡고 세부적인 단계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은 기관이나 기업의 업무 특성에 적합한 주제 영역과 핵심 데이터 집합과의 관계를 정의하여 향후에 정의하게 될 상세 논리 데이터 모델과 물리 데이터 모델과의 데이터 구조적 연결정보(alignment)를 지원하며, 주제 영역을 통해 전체 업무 범위와 업무 구성요소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의 관리대상은 주제 영역, 핵심 엔티티, 및 핵심관계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주제 영역은, 업무상 친밀도가 높은 데이터 집합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주제 영역에 대한 관리기준은, 원자성, 집중성, 및 업무지향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주제 영역에 대한 관리기준의 원자성은, 소정의 단위 주제 영역은 가급적 다른 주제 영역의 엔티티나 관계의 영향을 받지 않는 엔티티의 모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주제 영역에 대한 관리기준의 집중성은, 상기 단위 주제 영역 내의 엔티티와의 관계가 단위 주제 영역 내에 집중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주제 영역에 대한 관리기준의 업무지향성은, 상기 주제 영역을 명명하는데 있어 업무적 명확성을 나타내는 단수 단위로 명명할 수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주제 영역을 관리하는 방법은, 업무상 동일한 영역에서 다루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 엔티티 집합들을 하나의 주제 영역으로 선언하며, 주제 영역은 업무의 다양성에 따라 여러 개로 나뉘도록 관리하며, 일반적으로 업무를 명확히 구분하는 범위를 하나의 주제영역으로 정의하기도 하나 서로 다른 주제 영역 간에 공유하는 엔티티의 수가 가급적 적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핵심 엔테티는, 상기 업무 영역 내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데이터 집합으로 두 개 이상의 속성과 두 개 이상의 데이터 인스턴스를 가져야 하며 각각의 인스턴스는 개별적, 동질적, 독립적인 데이터 집합이며 영속적으로 존재하는 데이터 단위에 해당한다. 이 중 키 엔티티, 메인 엔티티인 핵심 엔티티는 업무의 근간이 되고 수많은 자식(업무, 트랜잭션) 엔티티를 만들 수 있는 상위 개념의 엔티티이다.
여기서,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핵심 엔티티에 대한 관리기준은, 집합성, 식별성, 영속성, 사용성, 및 관계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핵심 엔티티에 대한 관리기준의 집합성은, 상기 엔티티는 두 개 이상의 속성과 두 개 이상의 데이터 인스턴스를 갖는 데이터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핵심 엔티티에 대한 관리기준의 식별성은, 상기 엔티티는 하나 이상의 속성으로 엔티티의 각 데이터 인스턴스를 유일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핵심 엔티티에 대한 관리기준의 영 속성은, 상기 엔티티는 업무의 활동 주기에 따라 영속적으로 존재해야 하는 데이터 집합으로서, 상기 업무의 내용이 달라질 때 사라지거나 생성되어야 하는 데이터 집합은 상기 엔티티로서 선언하고 관리하기에 부적절하다.
또한,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핵심 엔티티에 대한 관리기준의 사용성은, 상기 엔티티는 업무 범위 내에서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데이터 집합으로서, 선언은 되었으나 사용되지 않는다면 엔티티로서의 존재 가치가 없다.
또한,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핵심 엔티티에 대한 관리기준의 관계성은, 상기 엔티티는 반드시 다른 엔티티와의 관계가 존재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관계가 없는 엔티티는 사용되지 않는 엔티티일 수 있으므로 사용성에 위배된다.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핵심 엔티티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엔티티는 업무의 문서, 장표, 인터뷰, 관련전문서적, DFD, 타 시스템, 보고서, 현장 조사로부터 수집되도록 관리하며, 상기 엔티티는 논리적인 단위로 정확히 분할하여 선언하되 하나의 엔티티가 의미상으로 다르게 보인다고 중복되게 선언되지 않도록 관리(즉, 하나의 엔티티가 상태에 따라 다르게 보인다면 데이터의 동질성을 파악하여 서브타입으로 하나의 엔티티로 선언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핵심 관계는, 상기 핵심 엔티티간의 논리적인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엔티티의 존재 형태나 상호 영향을 주는 업무 활동(Business Rule)과 현재나 가까운 장래에 유용한 관계를 한정적으로 표현하며, 관계 명칭과 선택 사양과 관계 형태(Degree)를 갖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관계형 데이터 모델에서 엔티티 간에는 반드시 상기 관계가 존재해야 한다.
여기서,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핵심 관계에 대한 관리기준은, 선택성, 형태성, 및 업무지향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핵심 관계에 대한 관리기준의 선택성은, 상기 관계는 ‘필수’와 ‘선택’을 구별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핵심 관계에 대한 관리기준의 형태성운, 상기 관계에는 1:1, 1:M, N:M의 형태(degree)가 정의되고 관리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핵심 관계에 대한 관리기준의 업무지향성은, 상기 관계는 두 엔티티 간의 존재가 상호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명확 히 표현(즉, 자식 엔티티의 인스턴스의 존재는 반드시 부모 인스턴스의 존재를 필요로 하나 부모 인스턴스의 존재는 자식 인스턴스의 존재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면 관계는 이와 같은 부모와 자식 엔티티간의 존재의 영향에 대하여 명확히 표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핵심 관계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핵심 관계는 개념 데이터 모델 단계에서는 M:M 관계를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고 M:M 관계가 해소된 엔티티를 포함하도록 관리하며, 핵심 관계는 부모와 자식관의 관계명을 반드시 정의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관계명은 구체적이어야 하며 엔티티간의 주는 쪽(부모)과 받는 쪽(자식)의 관계가 명확하도록 관리하며, 반드시 상기 관계를 갖는 데이터가 있어야 하는 경우와 관계를 갖는 대상 데이터가 없어도 되는 경우에 대한 선택성이 있도록 관리하며, 소정의 데이터와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대한 관계의 형태도 명확히 표현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는 본 도면1을 참조하면,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의 상위에 개괄 데이터 모델을 둘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개괄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 영역과 데이터 집합을 업무 영역에 국한하지 않고 전사적 관점에서 정의하거나, 및/또는 각 데이터 영역은 다른 데이터 영역과 관계를 갖거나, 및/또는 기관이나 기업의 이익 관점이 아닌 공익적인 관점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속성을 보다 원시화된 형태의 수준으로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관리책임자(105)(DA)가 관리하는 데이터 참조 모델은,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가 적용되는 정보시스템의 데이터 아키텍쳐 구축 및 유지관리를 위하여 각 조직간 사용하고 있는 데이터 모델의 상호 운영과 타 조직 데이터 모델의 참조 및 재사용을 목적으로 업무영역별, 주제영역별로 표준 데이터 집합과 관리 항목들을 정의한 데이터 모델을 의미한다.
상기 데이터 참조 모델은 신규 데이터 모델링 시 사전에 기본 정보를 확보함으로써 전체 모델링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참조 모델은 새로운 데이터 모델링 시 데이터 참조 모델을 활용함으로써 정보의 누락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참조 모델은 기존에 검증된 데이터 참조 모델을 이용하여 자사 데이터 모델의 오류를 확인하거나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참조 모델은 중앙 기관이나 부서에서 양질의 데이터 참조 모델을 채택활용함으로써 단기간에 하부 기관이나 부서 데이터 모델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참조 모델의 관리대상은 재사용이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 모델로 속성단위, 엔티티, ERD 전체 업무 영역 단위도 데이터 참조 모델이 될 수 있다. 또한 개념 데이터 모델, 논리 데이터 모델, 물리 데이터 모델도 데이터 참조 모델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참조 모델에 대한 관리기준은, 범용성, 단순성, 표준성, 정확성, 정보이용성, 및 분류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참조 모델에 대한 관리기준의 범용성은, 특정 업무의 특정 데이터에 대한 정보로, 범용적으로 다양한 업무 영역에서 참조할 수 있을 만한 것을 정의하여 관리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데이터 참조 모델에 대한 관리기준의 단순성은, 상기 효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특정 업무에 국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데이터 참조 모델에 대한 관리기준의 표준성은, 상기 표현되는 데이터 용어는 상식적이고 일반적인 수준에서 이해될 수 있는 용어를 사용하여 데이터 모델의 참조 활용성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데이터 참조 모델에 대한 관리기준의 정확성은, 참조의 성격을 가지는 모델인 만큼 관리되는 정보가 정확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데이터 참조 모델에 대한 관리기준의 정보이용성은, 단순히 엔티티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엔티티와 엔티티의 정의, 엔티티의 데이터 관리 규칙, 속성 정의도 함께 저장하여 참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데이터 참조 모델에 대한 관리기준의 분류성은, 상기 업무 영역과 업종은 물론 데이터 구조 각 단계와 데이터 참조 모델의 범위 내에서도 분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 참조 모델을 관리하는 방법은, 중앙 기관이나 상부 조직에서 정의하고 하부 기관이나 조직에서 공유활용 가능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상기 모델러(110)가 관리하는 논리 데이터 모델은,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가 적용되는 정보시스템의 개념 데이터 모델을 상세화하여 논리적인 데이터 집합, 관리항목, 관계를 정의한 모델을 의미한다.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은 전체 데이터 구조에서 가장 핵심을 이루는 모델로 서 전체 업무 범위와 업무 구성 요소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은 단계에서 데이터를 상세하게 정의관리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 중복과 데이터의 불일치(inconsistency)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에서 엔티티나 속성, 관계명을 표현하는 용어는 표준 데이터에서 명시한 표준 단어와 표준 용어 내에서 정의하며,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에는 현재의 업무가 구체적으로 반영되도록 하며, 물리 데이터 모델이나 데이터베이스의 객체는 변경하였으나 논리 데이터 모델에는 변경 사항을 반영하지 않는다면 논리 데이터 모델의 정확성이 떨어지고 결과적으로 관리하는 데이터의 품질에도 영향을 주게 되므로,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의 변경 사항에 대한 이력도 관리하도록 하며, 상기 이력이 관리되면 사안에 따라 과거 일정 시점의 논리 데이터 모델로 복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의 관리대상은, 주제영역, 엔티티, 관계, 및 속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주제영역은, 업무상 친밀도가 높은 데이터 집합을 하나의 주제 영역으로 선언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주제영역에 대한 관리기준은, 논리 데이터 모델의 주제 영역 관리기준 및 방법은 개념 데이터 모델 주제 영역 관리기준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엔티티는, 개념 데이터 모델의 정의를 포함하고 이력 관리와 동질성, 독립성 정보가 보다 더 상세히 파악된 서브 타입 정보가 추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엔티티에 대한 관리기준은, 완전성, 영속성, 식별성, 동질성, 및 정규화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엔티티에 대한 관리기준의 완전성은, 상기 개별적인 데이터 집합으로 두 개 이상의 속성과 두 개 이상의 인스턴스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엔티티에 대한 관리기준의 영속성은, 현재 관리하고 있는 데이터 집합이거나 앞으로도 관리할 데이터 집합을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엔티티에 대한 관리기준의 식별성은, 상기 엔티티의 인스턴스를 개별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속성이 존재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엔티티에 대한 관리기준의 동질성은, 소정의 데이터 집합인 엔티티가 동질의 데이터가 모인 데이터 집합을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엔티티에 대한 관리기준의 정규화는, 상기 엔티티가 일반적으로 3차 정규화까지 정규화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엔티티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의 관리방법을 따르며, 상기 정보의 상세화에 따라 엔티티 정의, 데이터 발생 규칙 등의 세부 정보를 추가 및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관계는, 개념 데이터 모델의 정의를 포함하고, 상세 논리 데이터 모델 단계에서 모든 M:M 관계는 해소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관계에 대한 관리기준은, 선택성, 관계형태, 및 관계명칭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관계에 대한 관리기준의 선택성은, 상기 관계가 필수와 선택으로 나누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필수 관계는 해당 관계를 갖는 인스턴스가 반드시 엔티티에 존재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관계에 대한 관리기준의 관계형태는, 상기 관계가 1:1 혹은 1:M, M:N의 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관계에 대한 관리기준의 관계명칭은, 상기 관계가 관계명이 명확한 경우, 표현에 있어 생략 가능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반드시 엔티티와 엔티티 간의 관계 설정 시 관계명을 갖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관계를 관리하는 방법은, 개념 데이터 모델의 관리방법을 따르도록 관리하며, 상기 관계에서 내포하는 비즈니스 룰을 상세 하게 정의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속성은, 엔티티 내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 항목들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속성에 대한 관리기준은, 원자성, 일관성, 무결성, 및 정보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속성에 대한 관리기준의 원자성은, 의미 있는 최소 단위까지 분할되어야 하며, 하나의 속성은 동시에 여러 상태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속성에 대한 관리기준의 일관성은, 소정의 속성은 하나의 데이터 유형을 가리키며 하나의 데이터만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속성에 대한 관리기준의 무결성은, 상기 참조되는 속성의 데이터는 해당 속성을 참조하는 속성의 데이터와 일치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속성에 대한 관리기준의 정보성은, 상기 업무 내에서 의미 있는 범위 내에서 상세화의 수준이 결정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속성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속성이 엔티티의 관리 항목 범위 내에서 초기에 결정된 후 사용자(120)의 요구에 따라 무분별하게 증가되지 않도록 관리하며, 상기 속성이 기존의 정보에서 추출이 가능하지 않을 때 새로 추가될 수 있고 속성의 상세화에 따라 엔티티가 추가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관리자(DBA)가 관리하는 물리 데이터 모델은,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가 적용되는 정보시스템의 DBMS의 특성과 성능을 고려하여 물리 데이터 모델을 구체화시킨 모델을 의미한다.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은 DBMS 선정 이후에 정의하며, 해당 DBMS에서 최상의 성능을 보장하고 물리 데이터 모델에서 저장하는 데이터의 물리적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여 설계하고 이를 관리한다.
또한,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은 실제 데이터 객체가 아니므로 소홀히 인식될 수 있으나 물리 데이터 모델이 1:1로 데이터베이스 객체로 선언되는 것이 아니므로 중요성을 가지고 관리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설계 단계에서 샘플 데이터를 이용하여 물리 데이터 모델의 정합성을 재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의 설계를 위해서는 업무 요건과 필요에 따라 사용자(120) 화면이 완성되어야 하므로 사용자(120) 애플리케이션과 상호 검증 하에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의 설계 시점은 애플리케이션의 설계나 업무 요건이 명확해지는 단계이므로 업무 요건을 반영한 물리 데이터 모델이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리 데이터 모델의 테이블명, 관계명, 컬럼명 등은 표준 데이터에서 명시한 표준 단어와 표준 용어 규칙에 따른 물리 명을 선언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리 데이터 모델에서는 무엇보다 도메인의 선언이 중요하며 도메인 규칙에 대한 충실한 준수는 물리 데이터 모델 내에서 유지하는 데이터를 고품질로 유지할 수 있는 필수 조건이 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의 관리대상은, 주제영역, 테이블, 관계, 및 컬럼(Column)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주제영역에 대한 관리기준은,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에서 정의한 하나의 주제영역이 물리 데이터 모델에서는 서로 다른 스키마나 서버로 분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서버의 하나의 스키마 내에서 테이블의 Naming Convention에 의하여 물리적 주제영역을 구분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물리 데이터 모델의 주제 영역 관리기준은 개념 데이터 모델과 논리 데이터 모델의 기준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주제영역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논리적인 주제 영역과 DBMS의 인스턴스 및 스키마와의 대응관계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테이블은, 상기 데이터의 물리적 특성 및 DBMS의 특성에 따라 하나의 테이블 혹은 서브타입이나 업무적 특성에 따라 하나 이상의 물리적 테이블로 분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테이블에 대한 관리기준은, 영속성 및 식별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테이블에 대한 관리기준의 영속성은, 상기 테이블의 데이터가 현재 관리하고 있는 데이터이며 앞으로도 관리될 필요가 있 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테이블에 대한 관리기준의 식별성은, 상기 테이블 내의 레코드들은 하나 이상의 컬럼 데이터에 의해 구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테이블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테이블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생명 주기와 일정 기간 유지 및 관리해야 할 데이터의 양과 같은 설계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관계는, 부모 테이블과 자식 테이블간의 데이터 생성, 삭제, 변경 규칙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관계에 대한 관리기준은, 생성규칙, 변경규칙, 및 삭제규칙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관계에 대한 관리기준의 생성규칙은, 상기 자식 테이블의 데이터 생성 시 부모 테이블에 참조되는 데이터가 반드시 존재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관계에 대한 관리기준의 변경규칙은, 상기 부모 테이블의 키 데이터가 변경되면 참조하는 자식 테이블의 참조 데이터는 같이 변경되거나 혹은 자식 데이터가 존재하면 부모 테이블의 키 데이터는 변경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관계에 대한 관리기준의 삭제규칙은, 상기 부모 테이블의 데이터가 삭제되면 해당 데이터를 참조하는 자식 테이블의 데이터가 함께 삭제되거나 혹은 자식 데이터가 존재하면 부모 테이블의 데이터는 삭제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관계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관계가 업무 규칙이므로 DBMS 수준에서 관리할 것인지 애플리케이션 수준에서 관리할지 여부를 먼저 결정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트리거에 의한 자동 변경은 DBMS 오류 시 추적이 어려우므로 가능한 최소화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컬럼은, 표준화된 도메인 내에서 업무 규칙이 반영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도록 정의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컬럼을 관리하는 방법은, 소정의 컬럼 데 이터는 같은 데이터 유형(type)과 데이터 표현을 갖도록 관리하며, 유사한 데이터 유형과 표현을 갖는 컬럼의 물리적 속성을 도메인으로 정의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관리자(DBA)가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가 적용되는 정보시스템의 물리 데이터 모델을 구현한 결과물이며 구축된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소를 의미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저장소인 테이블과 접근 속도를 보장하기 위한 인덱스, 비즈니스 규칙이 반영된 제약 사항 및 기타 데이터베이스 관련 객체를 정의하여 관리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를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관리대상은, 저장공간, 테이블, 제약조건, 인덱스, 트리거, DB 링크, 프로시져, 뷰, 동의어, 및 역할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저장공간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저장할 공간을 필요로 하는 테이블과 인덱스를 정의하는 영역(tablespace, data file)을 의미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운영하는 모든 데이터는 테이블과 인덱스로 구분되어 저장되며 데이터의 관리는 기본적으로 저장 공간의 관리에서 시작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저장공간에 대한 관리기준은, 안전성, 보안성, 확장성, 및 성능보장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저장공간에 대한 관리기준의 안전성은, 상기 저장 공간을 위한 시스템의 디스크 영역이 시스템의 타 프로그램 수행 영역으로부터 분리되어 안전하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보통의 업무 시스템은 DBMS 전용 서버를 운영하거나, 및/또는 상기 저장공간이 상기 데이터가 물리적으로 저장되는 실제 공간이므로 외부의 위협이나 재해로부터 저장 공간의 존재가 보호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저장공간에 대한 관리기준의 보안성은, 상기 저장공간이 데이터가 물리적으로 저장되는 실제 공간이므로 허가 받지 않은 프로그램이나 사용자(120)에 대하여 완전하게 접근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저장공간에 대한 관리기준의 확장성은, 상기 저장공간에서 상기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므로 저장 공간의 확장과 물리적 디스크 영역의 할당이 충분하게 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저장공간에 대한 관리기준의 성능보장은, 상기 대용량의 데이터가 DBMS 운영 중 수시로 호출되고 저장되므로 저장 공간을 할당한 물리적 디스크는 빠른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제품으로 적절한 구조적 배치가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저장공간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DBA는 관리기준에 따라 성능과 보안을 고려하여 시스템의 저장 공간을 수시로 확인하여 데이터의 최종 보안과 안전성을 제일의 목적으로 관리하며, 또한 개발자나 사용자(120)의 편의에 따라 무분별하게 데이터가 확장되는 것을 제어하고 적절한 수준의 저장 공간에 대한 백업도 병행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테이블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엔티티와 속성이 테이블로 정의되는데, 상기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클러스터, 파티션 등의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의 증가 추이에 따라 물리적 특성이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테이블에 대한 관리기준은, 주기성, 다양성, 보안성, 및 논리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테이블에 대한 관리기준의 주기성은, 상기 테이블 내의 데이터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 백업되거나 성능을 위해 재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테이블에 대한 관리기준의 다양성은, 상기 테이블 내의 데이터는 성능을 위하여 적절한 분산 전략과 테이블 저장 공간 정의 방식에 따라 파티션(Partition), 클러스터(Cluster), IOT(Index Organized Table)등 여러 형태로 정의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테이블에 대한 관리기준의 보안성은, 상기 테이블이 권한과 사용에 따라 제한된 범위의 사용자(120)에게 테이블 단위, 컬럼 단위로 접근, 생성, 변경, 삭제 규칙이 정의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테이블에 대한 관리기준의 논리성은, 상기 테이블의 추가와 컬럼의 추가가 반드시 논리 데이터 모델을 참조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루어지며,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을 근거로 하지 않은 DBMS상의 테이블과 컬럼의 추가는 무분별한 중복 데이터를 양산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데이터의 품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테이블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DBA가 관리기준에 따라 성능과 보안을 고려하여 테이블의 데이터를 관리해야 하며 개발자나 사용자(120)의 편의만을 고려해 무분별하게 테이블을 생성하지 않도록 적절하게 제한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제약조건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비 널(Not Null), 디폴트(Default), 외부 키 상수(Foreign Key Constraint), 및 체크(Check) 조건 등의 비즈니스 규칙이 컬럼에 정의할 것을 권장하나 테이블간의 관계 적용 제약 규칙은 애플리케이션과 병행하여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제약조건에 대한 관리기준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비 널(Not Null) 조건, 디폴트(Default), 외부 키(Foreign Key) 조건, 및 체크(Check) 조건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제약조건에 대한 관리기준의 비 널(Not Null) 조건은, 테이블에 데이터가 반드시 존재해야 하는 컬럼을 정의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제약조건에 대한 관리기준의 디폴 트(Default) 조건은, 상기 데이터가 반드시 존재해야 하는 컬럼에 확정 값을 정의할 수 없을 때 기본 데이터를 정의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제약조건에 대한 관리기준의 외부 키(Foreign Key) 조건은,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에서 정의한 관계의 입력, 삭제, 생성 규칙을 정의하여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제약조건에 대한 관리기준의 체크(Check) 조건은, 특정 컬럼에는 미리 정의한 데이터의 종류 혹은 범위 내의 데이터만 존재하도록 정의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제약조건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컬럼에 대한 제약 조건의 반영 역시 논리 데이터 모델의 속성 정의와 맞춰지도록 관리하며, 상기 관계에 대한 규칙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유지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인덱스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논리 데이터 모델에는 반영되어 있지 않으나 데이터의 접근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소의 하나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인덱스에 대한 관리기준은, 업무 요건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으나, 구성 하는 컬럼의 중복도가 높을수록 저장 공간의 낭비와 데이터 입력, 삭제, 갱신 시에 오히려 속도에 악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사용하는 상용 RDBMS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인덱스를 관리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B+Tree 형태로 유지되는데, 이 때 인덱스는 저장 공간의 재사용이 거의 없으므로 주기적으로 인덱스를 재 생성할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트리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과 연계되어서 미리 규정된 함수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트리거에 대한 관리기준은, 상기 트리거의 생성 시 BEFORE 키를 사용하여 Tuple(row, record)에 어떤 이벤트(event)가 발생하기 전에 기동될 수 있도록 규정 할 수 있으며, 반대로 AFTER키를 사용하여 이벤트 완료 후에 기동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트리거를 관리하는 방법은, 트리거가 실행될 때 다른 트리거가 연쇄적으로 기동될 수도 있다. 따라서 트리거의 생성과 사용은 신중하게 정의되어야 하며 잘못된 트리거의 사용으로 원하지 않는 결과를 얻을 수도 있으며, 또한 동일한 테이블에 동일한 이벤트를 지정하는 하나 이상의 트리거를 정의할 수 있으나, 이는 상기 트리거의 기동 순서를 예측할 수 없게 하므로 보다 당업자에 의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DB 링크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원격지에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여 한 곳의 서버에서 다른 서버에 있는 데이터를 하나의 SQL문 내에서 처리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DB 링크에 대한 관리기준은, 분산 서버 환경에서 하나의 서버에서 다른 서버 혹은 다른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에 위치하는 테이블의 데이터를 손쉽게 호출하고자 할 때 정의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DB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DB 링크가 제대로 생성되었으나 질의 시에 연결에 실패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므로, 실제 사용에서 작동여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며, 또한 DB 링크의 남용은 SQL 수행 속도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정보시스템의 성능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프로시져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함수(Function)와 프로시져(Procedure)는 사용자(120)가 정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함수와 프로시져는 프로그램 SQL문으로 작성되며, SQL문으로 해당 함수와 프로시져를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프로시져에 대한 관리기준은, 상기 테이블의 데이터는 SQL문에 의해서 입력, 수정, 삭제가 수행되나 복잡한 업무를 수행할 때 혹은 같은 유형의 SQL이 반복될 때 해당 SQL문을 함수나 프로시져로 정의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프로시져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함수와 프로시져는 공용성이 보다 강조되면 동의어 선언을 하여 다른 스키마에서 정의한 함수와 프로시져의 재사용률을 높이도록 관리하며, 상기 함수나 프로시져내에 잘못 사용한 SQL문장은 전체적인 수행 속도를 크게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성능 검증을 통해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뷰(View)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보기 위하여 생성한 객체로 물리적인 저장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사용자(120)가 정의한 SQL문의 수행 결과를 보여주는 가상의 데이터 영역으로서, 상용 RDBMS의 종류에 따라 실제 물리적인 저장 공간을 갖는 뷰도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뷰에 대한 관리기준은, 중요한 데이터에 대한 접근 제한과 데이터베이스의 복잡성 완화, 복잡한 데이터베이스 디자인의 숨김, 이질 데이터에 대한 분산 질의를 포함한 작업의 단순화를 위하여 생성하는 것을 포함 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뷰를 관리하는 방법은, 복합적인 뷰는 사용자(120)의 의도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고 전체적으로 수행되는 SQL의 업무를 파악하기 힘들게 하며 속도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중첩 뷰의 사용과 너무 복잡한 뷰의 사용은 자제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동의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에 대한 별명을 의미하며, 일반 동의어는 모든 유저가 만들 수 있으며, 소유권은 생성한 자만이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동의어는 PUBLIC을 사용한 동의어로, DBA만이 만들고 삭제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동의어에 대한 관리기준은, 주제 영역을 스키마로 정의했을 때 다른 스키마에 정의되어 있으나 업무상 자주 빈번하게 참조해야 하는 테이블 데이터에 대하여 동의어를 정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동의어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동의어는 하나의 객체를 여러 스키마에서 공용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생성할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스키마에서 생성된 객체에 읽기 권한이 있어도 객체에 대한 접근이 번거로울 때 동의어를 사용하여 간편화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역할(Role)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객체에 대한 생성, 삭제, 읽기, 변경 권한 규칙을 의미하며, 상기 역할을 부여하고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은 DBA가 가진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역할에 대한 관리기준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관리할 때는 사용의 편리함도 중요하나 테이블 내의 데이터의 보안과 관리도 중요하며, 권한 그룹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120)의 권한을 적절히 제안하여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보호하고 객체 내의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역할을 정의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대상의 역할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용 RDBMS에서는 자주 사용될 수 있는 것과 중요도가 높은 권한들을 묶어서 몇 개의 기본적인 역할을 제공하며, 상기 역할은 기본적으로 상용 RDBMS에서 제공하는 것을 사용하되 시스템 내의 보안 규칙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상기 사용자(120)가 관리하는 사용자(120) 뷰(View)는,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가 적용되는 정보시스템에서 상의 화면이나 출력물을 의미한다.
상기 사용자(120) 뷰는 데이터 품질 관리의 전반에 걸쳐 수행한 작업의 결과물이며, 사용자(120)에게 제공되는 최종 산출물이다. 따라서 데이터에 대한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사용자(120) 뷰는 사용자(120)가 요구하는 수준에 따라 개발 및 관리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120) 뷰의 관리대상은, 화면과 출력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120) 뷰 관리대상의 화면은, 상기 정보시스템이 생성한 최종 산출물의 제공 인터페이스로, 최종 사용자(120)(End User) 화면과 시스템 관리자용 화면이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120) 뷰 관리대상의 저장공간에 대한 관리기준은, 편의성, 검색성, 시스템 성능, 및 지원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120) 뷰 관리대상의 저장공간에 대한 관리기준의 편의성은, 상기 사용자(120) 화면을 통해 처리되는 모든 작업 절차는 직관적이고 편리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용자(120) 뷰 관리대상의 저장공간에 대한 관리기준의 검색성은, 상기 사용자(120)가 화면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색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용자(120) 뷰 관리대상의 저장공간에 대한 관리기준의 시스템 성능은, 상기 화면을 통해 처리되는 모든 작업이 적정한 속도와 성능(예컨대, 3초 이내의 응답)을 유지 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용자(120) 뷰 관리대상의 저장공간에 대한 관리기준의 지원성은, 사용자(120)가 작업 처리 중 필요에 따라 적절한 도움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용자(120) 뷰 관리대상의 화면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화면의 용도와 제약사항에 대한 정보는 물론 해당 화면에 대한 사용자(120) 요구사항과 도움말 등이 함께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120) 뷰 관리대상의 출력물은, 정보시스템을 통해 생성되는 산출물을 의미하며, 여기에는 보고서, 장표, 전표 등과 같은 산출물은 물론 해당 출력물을 생성하는 응용 프로그램까지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출력물은 최종 사용자(120)에게 제공되거나 정보시스템 내부에서 분석용으 로 활용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120) 뷰 관리대상의 저장공간에 대한 관리기준은, 상기 종이 출력물이 디지털 데이터의 훼손에 대비하여 데이터의 가치를 저장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 저장 도구이나 사고 시 복구율이 매우 낮으므로 종이형태의 출력물 관리에는 많은 비용과 인력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상기 출력물의 관리는 중요 정보일수록 종이 상태의 관리보다는 이미지 형태의 출력물을 병행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120) 뷰 관리대상의 출력물을 관리하는 방법은, 대부분의 출력물이 사용자(120) 화면을 통해 제공되므로, 해당 화면을 관리하는 것으로 출력물의 품질 관리를 갈음한다. 다만, 사용자(120) 화면이 없는 경우에는 출력물 생성에 관련된 업무와 출력물(예컨대, 스캔 받은 출력물)를 시스템 관리 툴을 통해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전사적 데이터 품질 관리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120)(User), 데이터베이스 관리자(115)(DataBase Administrator; DBA), 모델러(110)(Modeler), 데이터관리책임자(105)(Data Administrator; DA) 및 최고정보화임원(100)(Chief Information Officer; CIO)을 포함하는 품질 관리 주체가 상호 연동하여 데이터(Data Value) 및 데이터 구조(Data Hierarchy)에 대응하는 품질 관리 대상을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에 맞게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품질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다양한 데이터 품질 관리 시스템 구성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도면2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시스템은 소정의 DBMS(225)와 연계하여 상기 DBMS(22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품질을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각 품질 관리 주체 별로 관리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서버 시스템 형태로 실시되거나, 및/또는 소정의 기관 및/또는 기관에 구비된 DBMS(225)와 연계하여 상기 DBMS(22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품질을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각 품질 관리 주체 별로 관리하도록 하는 기업 전산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예컨대, 각 기관 및/또는 기업에 구비된 ERP 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의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품질 관리 주체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품질 관리 주체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에 따라 상호 연동하여 소정의 DBMS(225)를 관리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품질 관리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품질 관리 모듈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관리해야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DBMS(225)와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품질 관리 주체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은,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최고정보화임원(100)(CIO)이 이용하는 CIO 단말과,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데이터관리책임자(105)(DA)가 이용하는 DA 단말과,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모델러(110)가 이용하는 모델러(110) 단말과,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데이터베이스관리자(DBA)가 이용하는 DBA 단말과,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사용자(120)가 이용하는 사용자(120)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품질 관리 주체가 이용하는 각각의 단말은, 물리적으로 분류되는 단말이 아니라,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 임워크 상의 각 품질 관리 주체가 각각의 품질 관리 모듈에 접근하기 위한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품질 관리 주체가 이용하는 각각의 단말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예컨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및/또는 케이블 통신망)를 통해 상기 품질 관리 모듈과 통신 연결되는 데스크탑 컴퓨터 및/또는 노트북을 포함하는 유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및/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이동 통신망에 연결되는 이동 통신단말, 및/또는 IEEE 802.16x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에 연결되는 휴대 인터넷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각각의 단말은 각각의 품질 관리 모듈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입력 및/또는 선택하여 상기 품질 관리 모듈로 전송하기 위한 기능 구성(예컨대, 브라우져 프로그램과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의 특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품질 관리 주체가 이용하는 각각의 단말은,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각각의 품질 관리 모듈에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시스템이 소정의 DBMS(225)와 연계하여 상기 DBMS(22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품질을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각 품질 관리 주체 별로 관리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서버 시스템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단말과 상기 서버를 연결하는 유무선 통신망(또는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시스템이 소정의 기관 및/또는 기관에 구비된 DBMS(225)와 연계하여 상기 DBMS(22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품질을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각 품질 관리 주체 별로 관리하도록 하는 기업 전산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예컨대, 각 기관 및/또는 기업에 구비된 ERP 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단말과 상기 기업 전산시스템을 연결하는 유무선 통신망(또는 통신수단)과 상기 단말이 접근한 상기 기업 전산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품질 관리 주체 중 최고정보화임원(100)(CIO)가 이용하는 CIO 단말은,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CIO 품질 관리 모듈(200)에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CIO 품질 관리 모듈(20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CIO 단말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상기 DBMS(225)에 대한 데이터 품질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채널을 연결 및 관리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CIO 단말이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은 상기 CIO 단말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인터페이스 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채널을 통해 상기 CIO 단말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호환 문서 형태의 품질 관리 정책 설정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CIO 단말로부터 상기 품질 관리 정책 설정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또는 선택)된 소정의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CIO 단말이 CDMA 기반의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은 상기 CIO 단말과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및/또는 ME(Mobile Explorer)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인터페이스 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채널을 통해 상기 CIO 단말로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및/또는 HTML 호환 문서 형태의 품질 관리 정책 설정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CIO 단말로부터 상기 품질 관리 정책 설정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소정의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CIO 단말이 IEEE 802.16x 기반의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은 상기 CIO 단말과 상기 IEEE 802.16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인터페이스 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채널을 통해 상기 CIO 단말로 소정의 품질 관리 정책 설정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CIO 단말로부터 상기 품질 관리 정책 설정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소정의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CIO 품질 관리 모듈(200)은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과 연동하여 상기 CIO 단말에서 소정의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품질 관리 정책 설정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또는 추출)하여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처리 기능과,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과 연동하여 상기 CIO 단말에서 상기 품질 관리 정책 설정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는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품질 관리 정책 정보 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정책 설정 기능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처리 기능은 소정의 CIO 단말이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해 상기 CIO 품질 관리 모듈(200)에 접근시, 상기 CIO 단말에 구비된 기능구성(예컨대, CIO 단말에 구비된 브라우져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소정의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CIO 품질 관리 모듈(200)로 전송할 수 있는 소정의 품질 관리 정책 설정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DB(도시생략)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과 연동하여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품질 관리 정책 설정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CIO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CIO 단말은 상기 품질 관리 정책 설정 인터페이스 화면을 기반으로 소정의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며,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CIO 품질 관리 모듈(200)로 전송한다.
상기 정책 설정 기능은 상기 CIO 단말에서 상기 품질 관리 정책 설정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소정의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제공시,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과 연동하여 상기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신된 품질 관리 정책 정보는 상기 CIO 품질 관리 모듈(200)에 구비된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된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품질 관리 주체 중 데이터관리책임자(105)(DA)가 이용하는 DA 단말은,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DA 품질 관리 모듈(205)에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DA 품질 관리 모듈(20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DA 단말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상기 DBMS(225)에 대한 데이터 품질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채널을 연결 및 관리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DA 단말이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은 상기 DA 단말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인터페이스 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채널을 통해 상기 DA 단말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호환 문서 형태의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DA 단말로부터 상기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또는 선택)된 소정의 DA 품질 관리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DA 단말이 CDMA 기반의 무선 단말 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은 상기 DA 단말과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및/또는 ME(Mobile Explorer)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인터페이스 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채널을 통해 상기 DA 단말로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및/또는 HTML 호환 문서 형태의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DA 단말로부터 상기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소정의 DA 품질 관리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DA 단말이 IEEE 802.16x 기반의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은 상기 DA 단말과 상기 IEEE 802.16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인터페이스 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채널을 통해 상기 DA 단말로 소정의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DA 단말로부터 상기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소정의 DA 품질 관리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DA 품질 관리 모듈(205)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DA 품질 관리 운용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과 연동하여 상기 DA 단말에서 소정의 DA 품질 관리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또는 추출)하여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처 리 기능과,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해 상기 DA 단말로부터 상기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된 DA 품질 관리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CIO 품질 관리 모듈(200)에 구비된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DA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확인하는 DA 정책 확인 기능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A 품질 관리 모듈(205)은, 상기 품질 관리 관리대상 DBMS(225)로부터 상기 DA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준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 기능과, 상기 품질 관리 관리대상 DBMS(225)로부터 상기 DA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념 데이터 모델 정보 및/또는 데이터 참조 모델 정보를 확인하는 데이터 구조 확인 기능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A 품질 관리 모듈(205)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와 상기 DA 정책 확인 기능에 의해 확인된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데이터 추출 기능을 통해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준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품질 관리 기능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기능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와 상기 DA 정책 확인 기능에 의해 확인된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데이터 구조 확인 기능에 의해 확인된 개념 데이터 모델 정보 및/또는 데이터 참조 모델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DA 품질 관리 모듈(205)에 구비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는, 상기 품질 관리 관리대상 DBMS(225)로부터 상기 DA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여 추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준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는 표준 단어(Word) 사전, 표준 도메인(Domain) 사전, 표준 용어(Term) 사전, 표준 코드 및 데이터 표준 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표준 단어 사전은, 기업이나 기관에서 업무상 사용되며, 일정한 의미를 갖고 있는 최소 단위의 단어를 정의한 사전으로서, 상기 표준 단어를 정의함으로써 업무상 편의나 관습에 따라 동일한 단어를 서로 다른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예컨대, 자산 이관 시 "인수자", "이관자"를 주는 곳과 받는 곳에서 서로 상반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 또는 하나의 단어에 다양한 의미를 부여(예컨대, "처리자")하여 사용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표준 단어 사전에 대한 관리기준은, 표준성, 참조 가능성, 일반성 및 대표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표준 단어 사전에 대한 관리기준의 표준성은, 상기 표준 단어 사전에 정의되는 표준 단어는 정보시스템이 대상으로 하고 있는 업무 범위에서 사용하고 있거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적 의미의 단어 가운데에서 추출해야 하며, 지나치게 업무에 의존적이거나 방언을 사용해서는 안 되며 약어의 사용도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표준 단어 사전에 대한 관리기준의 참조 가능성은, 상기 표준 단어 사전에 정의되는 표준 단어는 상기 기업이나 기관에서 새로운 업무를 정의할 때 참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표준 단어 사전에 대한 관리기준의 일반성은, 상기 표준 단어 사전에 정의되는 표준 단어는 일반 단어와 의미상 크게 다르지 않아 일반인도 단어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
또한,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표준 단어 사전에 대한 관리기준의 대표성은, 상기 표준 단어 사전에 정의되는 표준 단어는 동의어를 가질 수 있으나 표준 단어로 선언된 단어는 유사한 의미를 갖는 동의어들을 대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표준 단어 사전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표준 단어는 전사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엔티티와 속성을 개별 단위로 하여 추출하고 논리명(한글명)을 기준으로 물리명(영문명, 영문약어명), 유사 용어까지 함께 정리하여 관리하며, 상기 표준 단어 사전에는 개별 단어 외에도 동의어, 유의어, 반의어 등과 같은 단어간의 구조도 함께 정의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표준 도메인 사전은, 도메인(domain)이란 속성에 정의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값의 범위를 정의하는 사전으로서, 상기 표준 도메인은 전사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 가운데에 논리적 및 물리적으로 유사한 유형의 데이터를 그룹화하여 해당 그룹에 속하는 데이터의 유형과 길이를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표준 도메인 사전에 대한 관리기준 은, 표준성, 유일성 및 업무지향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표준 도메인 사전에 대한 관리기준의 표준성은, 상기 표준 도메인 사전에 정의되는 표준 도메인은 전사 차원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속성을 대상으로 정의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컨대, 은행의 계좌번호는 은행 하위 업무나 금융 상품에 따라 다르지 않으므로 표준 도메인을 정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표준 도메인 사전에 대한 관리기준의 유일성은, 상기 표준 도메인 사전에 정의되는 표준 도메인 중 동일한 내용의 중복 도메인이 서로 다른 이름으로 선언되지 않도록 관리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표준 도메인 사전에 대한 관리기준의 유일성은, 상기 표준 도메인 사전에 정의되는 각 도메인은 업무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선언하여 관리 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컨대, 은행 계좌번호의 도메인은 '-'가 없이 정의하는 것 보다 적절한 의미를 나타내도록 '-' 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표준 도메인 사전을 관리하는 방법은, 전사 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모든 데이터 속성 혹은 대표 속성 가운데에 DBMS(225)에 동일한 형태로 구현되는 속성들을 추출하여 그룹화하고 표준화된 도메인을 선언하도록 관리하며, 모든 속성은 임의의 도메인에 할당되어야 하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메인에 복수로 할당되어서는 안되도록 관리하며, 상기 도메인은 복수개의 하위 도메인(복합 도메인)으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도메인이 여러 개의 도메인에 중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관리하며, 상기 속성과 도메인은 상호 매핑하도록 관리하며, 새로운 속성이 추가될 경우 해당 속성의 도메인을 선정 및 등록할 것을 권장하도록 관리하며, 또한 도메인의 삭제는 해당 도메인을 사용하고 있는 속성이 없을 경우에만 가능하도록 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표준 용어 사전은, 업무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며 표준 단어를 조합해 정의한 용어(term)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표준 용어를 정의한 사전으로서, 여기서 상기 단어는 개별적이나 용어는 업무와 조직의 성격에 따라 그 조합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표준 용어 사전을 정의함으로써 기관이나 기업 내부에서 서로 상이한 업무 간에 의사소통이 필요한 경우 용어에 대한 이해 부족이나 혼란으로 유발되는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표준 용어 사전에 대한 관리기준은, 표준성, 일반성 및 업무지향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표준 용어 사전에 대한 관리기준의 표준성은, 상기 표준 용어 사전에 정의되는 용어 사용이나 의미의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전사차원의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표준 용어 사전에 대한 관리기준의 일반성은, 상기 표준 용어 사전에 정의되는 용어가 지나치게 업무 관점으로 정의되어 직관적으로 이해가 힘들거나 의미상의 혼란을 초래해서는 안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일반적인 의미와 다르게 사용된 용어는 다른 용어로 대체해야 한다.
또한,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표준 용어 사전에 대한 관리기준의 업무지향성은, 상기 표준 용어 사전에 정의되는 용어는 업무를 반영하여 약어를 사용하거나 내부에서 별도로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단, 지나친 약어의 사용이나 신규 용어의 개발은 업무에 대한 이해도를 떨어뜨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표준 용어 사전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표준 용어는 전사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엔티티와 속성의 용어를 대상으로 표준 단어 사전의 정의되어 있는 단어를 조합하여 생성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용어 사전은 엔 티티 용어 사전과 속성 용어 사전으로 구분하여 정의 및 관리하며, 각각의 용어는 논리명(한글명)과 물리명(영문명)을 가지며, 용어의 범위 및 자격 형식 등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표준 코드는,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는 데이터 값을 정형화하기 위해 정의된 기준에 따라 제한된 범위 내의 기호로 대치한 것을 의미하며, 상기 표준 코드에는 각 산업별로 법적 및 제도적으로 부여하여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코드뿐만 아니라 기관이나 기업 내부에서 정의하여 사용하는 코드가 대상이 된다.
여기서,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표준 코드에 대한 관리기준은, 재사용성, 일관성, 유일성 및 정보분석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표준 코드에 대한 관리기준의 재사용성은,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고 코드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기관이나 기업 자체적으로 코드를 정의해 사용하는 방법보다 표준화 기구나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정의한 코드를 활용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표준 코드에 대한 관리기준의 일관성은, 상기 표준 코드에 대응하는 코드는 통일된 하나의 값으로 일관성 있게 사용하도록 하 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컨대, '여부'를 나타낼 경우 'Y/N' 또는 '1/0' 등이 혼재하여 사용해서는 안 된다.
또한,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표준 코드에 대한 관리기준의 유일성은, 상기 표준 코드에 대응하는 코드는 유일하게 정의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만약 일한 내용의 코드가 중복되어 사용될 경우, 전사 차원의 데이터와 불일치(Inconsistency)하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표준 코드에 대한 관리기준의 정보분석성은, 가능한 범위의 데이터는 모두 코드화하여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텍스트로 직접 입력하는 값보다 코드를 참조해 입력하는 값의 비중이 높으면 높을수록 정보분석 시에 가치 있는 결과를 얻기가 쉽다.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표준 코드를 관리하는 방법은, 전사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코드와 표준화 기구나 정부 및 공공기관의 표준화 코드를 분석해 해당 표준화 코드의 활용 여부를 결정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코드는 표준화 팀에서 엄격한 기준에 따라 관리해야하며 사용자(120) 임의대로 코드 체계를 생성하거나 수정해서는 안되도록 관리하며, 상기 코드는 도메인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관리해야 하나 도메인에 값의 범위가 명확히 정의되어 있는 경우(예컨대, '여부'는 'Y/N'으로 표기)에는 특별히 코드화하여 관리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데이터 표준 요소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축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관련요소에 대한 표준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데이터 관련요소 표준 대상은 논리 데이터 모델의 주제영역, 엔티티, 속성 관계명, 물리적 객체 대상인 Subject Areas, Relationships, Database & Instance, Indices, Constraints, Sequences, 사용자(120) 정의 Procedures & Functions, Synonyms, Views, Rollback Segments, Tablespaces, File Names, Script Names 등의 명명 규칙을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 운영에는 정작 시스템 운영에만 필요한 본질적 요소와 시스템 운영자가 필요에 의해 생성한 요소들이 혼재할 수 있는데,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데이터 표준 요소에 대한 관리기준은, 상기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본질적 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그램 수행 결과를 단순 적재하는 요소들은 문제 발생 시 역 추적에 필요하지만 시스템 운영의 필수 요소라고는 할 수 없으며, 상기 데이터 관련요소 중 관리 대상의 선별 기준은 시스템 운영에 필수적인 요소가 1차 대상이 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데이터 표준 요소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요소를 정확히 선별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시스템의 설계 및 구축에 필요한 요소를 추출하여 표준이 필요한 요소를 정의하고 그 요소에 대해 업무적 표준을 정의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DA 품질 관리 모듈(205)에 구비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는,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 및/또는 데이터 참조 모델 관리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는 주제 영역, 핵심 엔티티, 및 핵심관계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주제 영역은, 업무상 친밀도가 높은 데이터 집합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주제 영역에 대한 관리기준은, 원자성, 집중성, 및 업무지향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주제 영역에 대한 관리기준의 원자성은, 소정의 단위 주제 영역은 가급적 다른 주제 영역의 엔티티나 관계의 영향을 받지 않는 엔티티의 모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주제 영역에 대한 관리기준의 집중성은, 상기 단위 주제 영역 내의 엔티티와의 관계가 단위 주제 영역 내에 집중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주제 영역에 대한 관리기준의 업무지향성은, 상기 주제 영역을 명명하는데 있어 업무적 명확성을 나타내는 단수 단위로 명명할 수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주제 영역을 관리하는 방법은, 업무상 동일한 영역에서 다루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 엔티티 집합들을 하나의 주제 영역으로 선언하며, 주제 영역은 업무의 다양성에 따라 여러 개로 나뉘도록 관리하며, 일반적으로 업무를 명확히 구분하는 범위를 하나의 주제영역으로 정의하기도 하나 서로 다른 주제 영역 간에 공유하는 엔티티의 수가 가급적 적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핵심 엔테티는, 상기 업무 영역 내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데이터 집합으로 두 개 이상의 속성과 두 개 이상의 데이터 인스턴스를 가져야 하며 각각의 인스턴스는 개별적, 동질적, 독립적인 데이터 집합이며 영속적으로 존재하는 데이터 단위에 해당한다. 이 중 키 엔티티, 메인 엔티티인 핵심 엔티티는 업무의 근간이 되고 수많은 자식(업무, 트랜잭션) 엔티티를 만들 수 있는 상위 개념의 엔티티이다.
여기서,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핵심 엔티티에 대한 관리기준은, 집합성, 식별성, 영속성, 사용성, 및 관계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핵심 엔티티에 대한 관리기준의 집합성은, 상기 엔티티는 두 개 이상의 속성과 두 개 이상의 데이터 인스턴스를 갖는 데이터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핵심 엔티티에 대한 관리기준의 식별성은, 상기 엔티티는 하나 이상의 속성으로 엔티티의 각 데이터 인스턴스를 유일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핵심 엔티티에 대한 관리기준의 영속성은, 상기 엔티티는 업무의 활동 주기에 따라 영속적으로 존재해야 하는 데이터 집합으로서, 상기 업무의 내용이 달라질 때 사라지거나 생성되어야 하는 데이터 집합은 상기 엔티티로서 선언하고 관리하기에 부적절하다.
또한,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핵심 엔티티에 대한 관리기준의 사용성은, 상기 엔티티는 업무 범위 내에서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데이터 집합으로서, 선언은 되었으나 사용되지 않는다면 엔티티로서의 존재 가치가 없다.
또한,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핵심 엔티티에 대한 관리기준의 관계성은, 상기 엔티티는 반드시 다른 엔티티와의 관계가 존재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관계가 없는 엔티티는 사용되지 않는 엔티티일 수 있으므로 사용성에 위배된다.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핵심 엔티티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엔티티는 업무의 문서, 장표, 인터뷰, 관련전문서적, DFD, 타 시스템, 보고서, 현장 조사로부터 수집되도록 관리하며, 상기 엔티티는 논리적인 단위로 정확히 분할하여 선언하되 하나의 엔티티가 의미상으로 다르게 보인다고 중복되게 선언되지 않도록 관리(즉, 하나의 엔티티가 상태에 따라 다르게 보인다면 데이터의 동질성을 파악하여 서브타입으로 하나의 엔티티로 선언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핵심 관계는, 상기 핵심 엔티티간의 논리적인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엔티티의 존재 형태나 상호 영향을 주는 업무 활동(Business Rule)과 현재나 가까운 장래에 유용한 관계를 한정적으로 표현하며, 관계 명칭과 선택 사양과 관계 형태(Degree)를 갖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관계형 데이터 모델에서 엔티티 간에는 반드시 상기 관계가 존재해야 한다.
여기서,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핵심 관계에 대한 관리기준은, 선택성, 형태성, 및 업무지향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핵심 관계에 대한 관리기준의 선택성은, 상기 관계는 ‘필수’와 ‘선택’을 구별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핵심 관계에 대한 관리기준의 형태성운, 상기 관계에는 1:1, 1:M, N:M의 형태(degree)가 정의되고 관리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핵심 관계에 대한 관리기준의 업무지향성은, 상기 관계는 두 엔티티 간의 존재가 상호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명확히 표현(즉, 자식 엔티티의 인스턴스의 존재는 반드시 부모 인스턴스의 존재를 필요로 하나 부모 인스턴스의 존재는 자식 인스턴스의 존재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면 관계는 이와 같은 부모와 자식 엔티티간의 존재의 영향에 대하여 명확히 표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핵심 관계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핵심 관계는 개념 데이터 모델 단계에서는 M:M 관계를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고 M:M 관계가 해소된 엔티티를 포함하도록 관리하며, 핵심 관계는 부모와 자식관의 관계명을 반드시 정의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관계명은 구체적이어야 하며 엔티티간의 주는 쪽(부모)과 받는 쪽(자식)의 관계가 명확하도록 관리하며, 반드시 상기 관계를 갖는 데이터가 있어야 하는 경우와 관계를 갖는 대상 데이터가 없어도 되는 경우에 대한 선택성이 있도록 관리하며, 소정의 데이터와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대한 관계의 형태도 명확히 표현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는 본 도면1을 참조하면,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의 상위에 개괄 데이터 모델을 둘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개괄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 영역과 데이터 집합을 업무 영역에 국한하지 않고 전사적 관점에서 정의하거나, 및/또는 각 데이터 영역은 다른 데이터 영역과 관계를 갖거나, 및/또는 기관이나 기업의 이익 관점이 아닌 공익적인 관점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속성을 보다 원시화된 형태의 수준으로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데이터 참조 모델 관리정보는 재사용이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 모델로 속성단위, 엔티티, ERD 전체 업무 영역 단위도 데이터 참조 모델이 될 수 있다. 또한 개념 데이터 모델, 논리 데이터 모델, 물리 데이터 모델도 데이터 참조 모델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참조 모델에 대한 관리기준은, 범용성, 단순성, 표준성, 정확성, 정보이용성, 및 분류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참조 모델에 대한 관리기준의 범용성은, 특정 업무의 특정 데이터에 대한 정보로, 범용적으로 다양한 업무 영역에서 참조할 수 있을 만한 것을 정의하여 관리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데이터 참조 모델에 대한 관리기준의 단순성은, 상기 효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특정 업무에 국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데이터 참조 모델에 대한 관리기준의 표준성은, 상기 표현되는 데이터 용어는 상식적이고 일반적인 수준에서 이해될 수 있는 용어를 사용하여 데이터 모델의 참조 활용성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데이터 참조 모델에 대한 관리기준의 정확성은, 참조의 성격을 가지는 모델인 만큼 관리되는 정보가 정확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데이터 참조 모델에 대한 관리기준의 정보이용성은, 단순히 엔티 티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엔티티와 엔티티의 정의, 엔티티의 데이터 관리 규칙, 속성 정의도 함께 저장하여 참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데이터 참조 모델에 대한 관리기준의 분류성은, 상기 업무 영역과 업종은 물론 데이터 구조 각 단계와 데이터 참조 모델의 범위 내에서도 분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 참조 모델을 관리하는 방법은, 중앙 기관이나 상부 조직에서 정의하고 하부 기관이나 조직에서 공유활용 가능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터페이스 처리 기능은 소정의 DA 단말이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해 상기 DA 품질 관리 모듈(205)에 접근시, 상기 DA 단말에 구비된 기능구성(예컨대, DA 단말에 구비된 브라우져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소정의 DA 품질 관리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DA 품질 관리 모듈(205)로 전송할 수 있는 소정의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DB(도시생략)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과 연동하여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DA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DA 단말은 상기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기반으로 소정의 DA 품질 관리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며,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DA 품질 관리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DA 품질 관리 모듈(205)로 전송한다.
상기 DA 정책 확인 기능은 상기 DA 단말에서 상기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소정의 DA 품질 관리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제공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과 연동하여 상기 CIO 품질 관리 모듈(200)에 구비된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DA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추출 및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DA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품질 관리 정책 정보는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기능로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 추출 기능은 상기 품질 관리 관리대상 DBMS(225)로부터 상기 DA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준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표준 데이터는, 상기 DA 품질 관리 모듈(205)에서 사용하는 용어, 도메인, 코드 및 기타 데이터 관련요소에 대해 공통된 형식과 내용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표준 관련 데이터를 의미하며, 상기 정보시스템의 데이터 품질 확보를 위한 필수 요소로, 표준 데이터를 정의 및 관리함으로써, 데이터 간의 불일치와 데이터 오류를 방지하고 데이터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기관이나 기업 전사차원에서 단일하고 표준화된 정보시스템을 구현하게 함으로써, 데이터 통합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구조 확인 기능은 상기 품질 관리 관리대상 DBMS(225)로부터 상기 DA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념 데이터 모델 정보 및/또는 데이터 참조 모델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은, 상기 DA 품질 관리 모듈(205)의 업무 요건을 충족하는 데이터의 주제영역과 핵심 데이터 집합을 정의하고 상호간의 관계를 정의한 모델을 의미하고, 상기 데이터 참조 모델은,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가 적용되는 정보시스템의 데이터 아키텍쳐 구축 및 유지관리를 위하여 각 조직간 사용하고 있는 데이터 모델의 상호 운영과 타 조직 데이터 모델의 참조 및 재사용을 목적으로 업무영역별, 주제영역별로 표준 데이터 집합과 관리 항목들을 정의한 데이터 모델을 의미한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기능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와 상기 DA 정책 확인 기능에 의해 확인된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데이터 추출 기능을 통해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준 데이터를 관리하거나, 및/또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D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와 상기 DA 정책 확인 기능에 의해 확인된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데이터 구조 확인 기능에 의해 확인된 개념 데이터 모델 정보 및/또는 데이터 참조 모델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시되는 흐름도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품질 관리 주체 중 모델러(110)가 이용하는 모델러(110) 단말은,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모델러 품질 관리 모듈(210)에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모델러 품질 관리 모듈(21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모델러(110) 단말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상기 DBMS(225)에 대한 데이터 품질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채널을 연결 및 관리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모델러(110) 단말이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은 상기 모델러(110) 단말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인터페이스 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채널을 통해 상기 모델러(110) 단말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호환 문서 형태의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모델러(110) 단말로부터 상기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또는 선택)된 소정의 모델러(110) 품질 관리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모델러(110) 단말이 CDMA 기반의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은 상기 모델러(110) 단말과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및/또는 ME(Mobile Explorer)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인터페이스 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채널을 통해 상기 모델러(110) 단말로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및/또는 HTML 호환 문서 형태의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모델러(110) 단말로부터 상기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소정의 모델러(110) 품질 관리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모델러(110) 단말이 IEEE 802.16x 기반의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은 상기 모델러(110) 단말과 상기 IEEE 802.16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인터페이스 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채널을 통해 상기 모델러(110) 단말로 소정의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모델러(110) 단말로부터 상기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소정의 모델러(110) 품질 관리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모델러 품질 관리 모듈(2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델러(110) 품질 관리 운용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과 연동하여 상기 모델러(110) 단말에서 소정의 모델러(110) 품질 관리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또는 추출)하여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처리 기능과,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해 상기 모델러(110) 단말로부터 상기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된 모델러(110) 품질 관리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CIO 품질 관리 모듈(200)에 구비된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모델러(110)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확인하는 모델러(110) 정책 확인 기능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델러 품질 관리 모듈(210)은, 상기 품질 관리 관리대상 DBMS(225)로부터 상기 모델러(110)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델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 기능과, 상기 품질 관리 관리대상 DBMS(225)로부터 상기 모델러(110)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논리 데이터 모델 정보를 확인하는 데이터 구조 확인 기능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델러 품질 관리 모듈(210)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모델러(11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와 상기 모델러(110) 정책 확인 기능에 의해 확인된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데이터 추출 기능을 통해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델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품질 관리 기능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기능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모델러(11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와 상기 모델러(110) 정책 확인 기능에 의해 확인된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데이터 구조 확인 기능에 의해 확인된 논리 데이터 모델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모델러 품질 관리 모듈(210)에 구비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모델러(110) 품질 관리 운용 정보는, 상기 품질 관리 관리대상 DBMS(225)로부터 상기 모델러(110)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여 추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델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모델러(110) 품질 관리 운용 정보를 통한 상기 모델 데이터의 관리 기준은, 완전성, 일관성, 추적성, 상호연계성, 최신성 및 호환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델 데이터의 관리 기준의 완전성은, 상기 모델 데이터는 개념 데이터 모델, 논리 데이터 모델, 물리 데이터 모델,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모든 단계의 데이터 구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모델 데이터의 관리 기준의 일관성은, 상기 모델 데이터는 단어, 용어, 도메인 및 데이터 표준 요소를 준수해 정의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모델 데이터의 관리 기준의 추적성은, 상기 모델 데이터는 데이터 모델의 변경 이력에 대한 추적이 용이하고 과거 데이터 모델에 대한 활용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모델 데이터의 관리 기준의 상호연계성은, 상기 모델 데이터는 데이터 구조를 입체적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데이터 모델간의 상호 연관 관계를 표현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모델 데이터의 관리 기준의 최신성은, 상기 모델 데이터는 단계별 데이터 모델에 표현된 업무 규칙은 물론 실제 시스템에 구현된 데이터베이스와도 논리적으로 일치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모델 데이터의 관리 기준의 호환성은, 상기 모델 데이터는 표준 데이터, 관리 데이터와도 상호 호환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모델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데이터 구조와 구조를 표현하는 모델 데이터는 별개로 관리해야 하며, 상기 데이터 모델을 변경할 경우, 변경 전과 변경 후의 데이터 모델은 물론 영향을 받는 응용 프로그램과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의 이력 사항을 함께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모델러 품질 관리 모듈(210)에 구비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모델러(110) 품질 관리 운용 정보는,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는, 주제영역, 엔티티, 관계, 및 속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주제영역은, 업무상 친밀도가 높은 데이터 집합을 하나의 주제 영역으로 선언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주제영역에 대한 관리기준은, 논리 데이터 모델의 주제 영역 관리기준 및 방법은 개념 데이터 모델 주제 영역 관리기준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엔티티는, 개념 데이터 모델의 정의를 포함하고 이력 관리와 동질성, 독립성 정보가 보다 더 상세히 파악된 서브 타입 정보가 추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엔티티에 대한 관리기준은, 완전성, 영속성, 식별성, 동질성, 및 정규화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엔티티에 대한 관리기준의 완전성은, 상기 개별적인 데이터 집합으로 두 개 이상의 속성과 두 개 이상의 인스턴스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엔티티에 대한 관리기준의 영속성은, 현재 관리하고 있는 데이터 집합이거나 앞으로도 관리할 데이터 집합을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엔티티에 대한 관리기준의 식별성은, 상기 엔티티의 인스턴스를 개별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속성이 존재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엔티티에 대한 관리기준의 동질성은, 소정의 데이터 집합인 엔티티가 동질의 데이터가 모인 데이터 집합을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엔티티에 대한 관리기준의 정규화는, 상기 엔티티가 일반적으로 3차 정규화까지 정규화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엔티티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개념 데이터 모델의 관리방법을 따르며, 상기 정보의 상세화에 따라 엔티티 정의, 데이터 발생 규칙 등의 세부 정보를 추가 및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관계는, 개념 데이터 모델의 정의를 포함하고, 상세 논리 데이터 모델 단계에서 모든 M:M 관계는 해소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관계에 대한 관리기준은, 선택성, 관계형태, 및 관계명칭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관계에 대한 관리기준의 선택성은, 상기 관계가 필수와 선택으로 나누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필수 관계는 해당 관계를 갖는 인스턴스가 반드시 엔티티에 존재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관계에 대한 관리기준의 관계형태는, 상기 관계가 1:1 혹은 1:M, M:N의 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관계에 대한 관리기준의 관계명칭은, 상기 관계가 관계명이 명확한 경우, 표현에 있어 생략 가능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반드시 엔티티와 엔티티 간의 관계 설정 시 관계명을 갖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관계를 관리하는 방법은, 개념 데이터 모델의 관리방법을 따르도록 관리하며, 상기 관계에서 내포하는 비즈니스 룰을 상세하게 정의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속성은, 엔티티 내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 항목들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속성에 대한 관리기준은, 원자성, 일관성, 무결성, 및 정보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속성에 대한 관리기준의 원자성은, 의미 있는 최소 단위까지 분할되어야 하며, 하나의 속성은 동시에 여러 상태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속성에 대한 관리기준의 일관성은, 소정의 속성은 하나의 데이터 유형을 가리키며 하나의 데이터만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속성에 대한 관리기준의 무결성은, 상기 참조되는 속성의 데이터는 해당 속성을 참조하는 속성의 데이터와 일치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속성에 대한 관리기준의 정보성은, 상기 업무 내에서 의미 있는 범위 내에서 상세화의 수준이 결정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속성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속성이 엔 티티의 관리 항목 범위 내에서 초기에 결정된 후 사용자(120)의 요구에 따라 무분별하게 증가되지 않도록 관리하며, 상기 속성이 기존의 정보에서 추출이 가능하지 않을 때 새로 추가될 수 있고 속성의 상세화에 따라 엔티티가 추가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터페이스 처리 기능은 소정의 모델러(110) 단말이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해 상기 모델러 품질 관리 모듈(210)에 접근시, 상기 모델러(110) 단말에 구비된 기능구성(예컨대, 모델러(110) 단말에 구비된 브라우져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소정의 모델러(110) 품질 관리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모델러 품질 관리 모듈(210)로 전송할 수 있는 소정의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DB(도시생략)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과 연동하여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모델러(110)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모델러(110) 단말은 상기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기반으로 소정의 모델러(110) 품질 관리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며,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모델러(110) 품질 관리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모델러 품질 관리 모듈(210)로 전송한다.
상기 모델러(110) 정책 확인 기능은 상기 모델러(110) 단말에서 상기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소정의 모델러(110) 품질 관리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제공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과 연동하여 상기 CIO 품질 관리 모듈(200)에 구비된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모델러(110)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추출 및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모델러(110)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품질 관리 정책 정보는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기능로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 추출 기능은 상기 품질 관리 관리대상 DBMS(225)로부터 상기 모델러(110)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델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모델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가 적용되는 정보시스템 상에서 데이터 모델을 운용 및 관리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의미하며, 여기에는 데이터 참조 모델, 개념 데이터 모델, 논리 데이터 모델, 물리 데이터 모델에 대한 메타 데이터 및 DBMS(225) 객체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데이터 구조 확인 기능은 상기 품질 관리 관리대상 DBMS(225)로부터 상기 모델러(110)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논리 데이터 모델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은,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가 적용되는 정보시스템의 개념 데이터 모델을 상세화하여 논리적인 데이터 집합, 관리항목, 관계를 정의한 모델을 의미한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기능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모델러(11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와 상기 모델러(110) 정책 확인 기능에 의해 확인된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데이터 추출 기능을 통해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델 데이터를 관리하거나, 및/또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모델러(11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와 상기 모델러(110) 정책 확인 기능에 의해 확인된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데이터 구조 확인 기능에 의해 확인된 논리 데이터 모델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시되는 흐름도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품질 관리 주체 중 데이터베이스관리자(DBA)가 이용하는 DBA 단말은,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DBA 품질 관리 모듈(215)에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DBA 품질 관리 모듈(21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DBA 단말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상기 DBMS(225)에 대한 데이터 품질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채널을 연결 및 관리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DBA 단말이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은 상기 DBA 단말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인터페이스 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채널을 통해 상기 DBA 단말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호환 문서 형태의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DBA 단말로부터 상기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또는 선택)된 소정의 DBA 품질 관리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DBA 단말이 CDMA 기반의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은 상기 DBA 단말과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및/또는 ME(Mobile Explorer)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인터페이스 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채널을 통해 상기 DBA 단말로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및/또는 HTML 호환 문서 형태의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DBA 단말로부터 상기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소정의 DBA 품질 관리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DBA 단말이 IEEE 802.16x 기반의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은 상기 DBA 단말과 상기 IEEE 802.16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인터페이스 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채널을 통해 상기 DBA 단말로 소정의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DBA 단말로부터 상기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소정의 DBA 품질 관리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DBA 품질 관리 모듈(215)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DBA 품질 관리 운용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과 연동하여 상기 DBA 단말에서 소정의 DBA 품질 관리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또는 추출)하여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처리 기능과,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해 상기 DBA 단말로부터 상기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된 DBA 품질 관리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CIO 품질 관리 모듈(200)에 구비된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DBA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확인하는 DBA 정책 확인 기능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BA 품질 관리 모듈(215)은, 상기 품질 관리 관리대상 DBMS(225)로부터 상기 DBA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리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 기능과, 상기 품질 관리 관리대상 DBMS(225)로부터 상기 DBA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리 데이터 모델 정보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확인하는 데이터 구조 확인 기능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BA 품질 관리 모듈(215)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와 상기 DBA 정책 확인 기능에 의해 확인된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데이터 추출 기능을 통해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리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품질 관리 기능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기능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와 상기 DBA 정책 확인 기능에 의해 확인된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데이터 구조 확인 기능에 의해 확인된 물리 데이터 모델 정보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DBA 품질 관리 모듈(215)에 구비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는, 상기 품질 관리 관리대상 DBMS(225)로부터 상기 DBA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여 추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리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는 사용 관리 데이터, 장해 및 보안 관리 데이터, 성능관리 데이터, 흐름관리 데이터 및 품질 관리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사용 관리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활용 가치와 사용자(120)의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관리되어야 할 데이터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사용 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은, 데이터 활용도, 사용자(120) 만족도 및 문제 해결 소요 시간의 적절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사용 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데이터 활용도는, 주기적으로 데이터 사용 추세를 파악하고 결과 추이를 분석 및 관리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사용 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사용자(120) 만족도는, 사용자(120)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만족도를 정기적으로 파악하고 결과 추이를 분석 및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사용 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문제 해결 소요 시간의 적절성은, 문제 발생에서 확인까지 소요되는 시간과 문제 확인 후 해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점검함으로써, 상기 문제 해결 소요 기간은 데이터가 얼마나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관리되고 있는지를 가늠하도록 분석 및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사용 관리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은, 일별, 주별, 월별로 데이터 변경 현황을 집계함으로써, 급격한 변화가 발생되는 시점을 분석하여 원인 및 추세, 예상되는 문제점과 대책을 세우도록 관리하며, 정기적으로 데이터베이스 사용상의 문제점과 개선 요구 사항을 분석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활용과 관련되어 발생되는 문제점을 점검할 수 있는 경로를 다양하게 정의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문제 원인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처리 작업 내용 및 결과(문제 정의, 관련 데이터베이스, 담당자와 관련자, 작업진행 상황 등)를 상세히 기록하도록 관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장해 및 보안 관리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정상적인 상태 유지나 효과적인 사용을 방해하는 사건을 사전에 예방하거나 사건 발생시에 신속한 복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관리되어야 할 데이터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장해 및 보안 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은, 주기적인 상태기록, 복구절차와 규칙 및 접근통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장해 및 보안 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주기적인 상태기록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백업 주기, 백업 방법, 백업 데이터의 보관 및 복구 관련 기록을 관리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장해 및 보안 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복구절차와 규칙은, 비상시 데이터 복구절차와 적용되는 규칙을 정의하여 관리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장해 및 보안 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접근통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부 및 외부의 부적합한 사용자(120)로부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고 사용자(120)의 권한 및 등급을 관리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장해 및 보안 관리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평가하여 중요도를 결정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중요도에 따라 일별, 주별, 월별로 백업할 데이터를 분류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백업 데이터의 보관 장소는 가급적 네트워크 및 서버가 다른 시스템과 분리되도록 하며 안전장치를 설정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보안 규정을 수립하고 주기적으로 교육 및 홍보하며, 각 데이터베이스 별로 사용자(120)의 접근 권한을 명시하고 주기적으로 불법적인 접근을 검사하여 조치하도록 관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성능관리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필수적으로 관리해야 할 데이터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성능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은, 성능 향상 절차 및 성능 점검 주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성능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성능 향상 절차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절차와 규칙을 정의하여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성능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성능 점검 주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을 주기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데이 터베이스의 성능 측정 기준과 측정 주기가 정의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성능관리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성능 측정 기준을 정의하며, 상기 기준은 모두 정량화하도록 관리하며, 일별, 주별, 월별로 성능을 측정하고 그 추세를 분석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성능 향상을 위한 절차와 규칙(예컨대, 질의어 최적화, 데이터베이스 구조 변경 등에 대한 절차와 규칙 등)을 정비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에 따른 재구성 작업의 시기와 방법을 정의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스토리지(Storage)의 교체 및 확장 시기에 대한 규칙을 정의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흐름관리 데이터는, 소정의 정보시스템 데이터를 다른 정보시스템으로 이동할 때 사용하는 소스 데이터와 타깃 데이터간의 매핑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흐름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은, 소스 및 타깃 데이터의 매핑 규칙, 및 소스 및 타깃 데이터 정제 규칙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흐름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소스 및 타깃 데이터의 매핑 규칙, 상기 데이터 이동이 필요한 모든 소스와 타깃을 정의하고 소스타깃간의 매핑 규칙을 정의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흐름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소스 및 타깃 데이터 정제 규칙은, 상기 정의된 소스와 타깃의 매핑 규칙을 준수하고 이에 위배되는 데이터에 대한 정제(Cleansing) 규칙이 정의되어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흐름관리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소스 데이터와 타깃 데이터간의 매핑 리스트를 작성하고, 타깃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소스 데이터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데이터 이동이 필요 없는 소스와 타깃이 매핑되어 있지 않은지 검사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삭제된 소스를 매핑 소스로 사용하고 있는지 검사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소스와 타깃의 데이터 구조가 동일한지 조사한다. 동일하지 않은 경우 변환 규칙을 적용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변환 규칙이 데이터 무결성 규칙을 준수하는지 검사하고, 그 결과가 데이터 정합성을 보장하는지 검사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품질 관리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의 정합성을 확보하고 데이터 품질의 유지 및 개선을 위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관리되어야 할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품질 관리 데이터를 관리함으로써 데이터의 비효율적 사용을 예방하고 데이터의 운용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의 부정합성에 대한 데이터 품질 저하를 예방할 수 있으므로, 운용 시스템 전반의 데이터를 고품질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품질 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은, 품질 기준, 품질 점검 주기, 품질 검증 절차와 규칙, 및 품질개선 절차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품질 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품질 기준은, 상기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데이터의 품질 기준을 정의한다. 품질 기준은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등급을 두어 관리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품질 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품질 점검 주기는,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를 지속적 및 정기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성능과 데이터 품질 등에 대한 측정 주기를 설정한다. 품질 점검 주기는 사용자(120)의 요구 수준을 반영하여 결정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품질 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품질 검증 절차와 규칙는, 상기 정의된 품질 기준을 적용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검증 절차와 규칙을 정의한다. 여기에는 정의된 절차와 규칙을 따를 수 없는 예외 사항에 대한 조치 방안도 함께 고려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품질 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품질개선 절차는, 상기 측정된 품질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데이터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고품질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절차와 방법을 정의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품질 관리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데이터 품질 관리가 필요한 항목(예컨대, Entity Integrity, Referential Integrity, Domain Integrity, 속성, 컬럼의 Business Rule 적용, 엔티티, Table 정의에 따른 데이터 생성, 변경, 삭제 규칙, 트리거(trigger)등 사용자(120) 정의 DBMS(225) 객체의 작동 여부, 데이터 복제 허용 시 원본 데이터와 복제 데이터간의 정합성 등)을 도출하도록 관리하며, 또한 항목별로 품질 기준에 벗어나는 부적합한 데이터에 대한 오류 수정 규칙을 정의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DBA 품질 관리 모듈(215)에 구비된 저 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는,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는, 주제영역, 테이블, 관계, 및 컬럼(Column)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주제영역에 대한 관리기준은,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에서 정의한 하나의 주제영역이 물리 데이터 모델에서는 서로 다른 스키마나 서버로 분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서버의 하나의 스키마 내에서 테이블의 Naming Convention에 의하여 물리적 주제영역을 구분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물리 데이터 모델의 주제 영역 관리기준은 개념 데이터 모델과 논리 데이터 모델의 기준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 관리대상의 주제영역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논리적인 주제 영역과 DBMS(225)의 인스턴스 및 스키마와의 대응관계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테이블은, 상기 데이터의 물리적 특성 및 DBMS(225)의 특성에 따라 하나의 테이블 혹은 서브타입이나 업무적 특성에 따라 하나 이상의 물리적 테이블로 분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테이블에 대한 관리기준은, 영속 성 및 식별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테이블에 대한 관리기준의 영속성은, 상기 테이블의 데이터가 현재 관리하고 있는 데이터이며 앞으로도 관리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테이블에 대한 관리기준의 식별성은, 상기 테이블 내의 레코드들은 하나 이상의 컬럼 데이터에 의해 구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테이블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테이블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생명 주기와 일정 기간 유지 및 관리해야 할 데이터의 양과 같은 설계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관계는, 부모 테이블과 자식 테이블간의 데이터 생성, 삭제, 변경 규칙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관계에 대한 관리기준은, 생성규칙, 변경규칙, 및 삭제규칙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관계에 대한 관리기준의 생성규칙은, 상기 자식 테이블의 데이터 생성 시 부모 테이블에 참조되는 데이터가 반드시 존재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관계에 대한 관리기준의 변경규칙은, 상기 부모 테이블의 키 데이터가 변경되면 참조하는 자식 테이블의 참조 데이터는 같이 변경되거나 혹은 자식 데이터가 존재하면 부모 테이블의 키 데이터는 변경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관계에 대한 관리기준의 삭제규칙은, 상기 부모 테이블의 데이터가 삭제되면 해당 데이터를 참조하는 자식 테이블의 데이터가 함께 삭제되거나 혹은 자식 데이터가 존재하면 부모 테이블의 데이터는 삭제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관계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관계가 업무 규칙이므로 DBMS(225) 수준에서 관리할 것인지 애플리케이션 수준에서 관리할지 여부를 먼저 결정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트리거에 의한 자동 변경은 DBMS(225) 오류 시 추적이 어려우므로 가능한 최소화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컬럼은, 표준화된 도메인 내에서 업무 규칙이 반영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도록 정의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 관리정보의 컬럼을 관리하는 방법은, 소정의 컬럼 데이터는 같은 데이터 유형(type)과 데이터 표현을 갖도록 관리하며, 유사한 데이터 유형과 표현을 갖는 컬럼의 물리적 속성을 도메인으로 정의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는, 저장공간, 테이블, 제약조건, 인덱스, 트리거, DB 링크, 프로시져, 뷰, 동의어, 및 역할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저장공간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저장할 공간을 필요로 하는 테이블과 인덱스를 정의하는 영역(tablespace, data file)을 의미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운영하는 모든 데이터는 테이블과 인덱스로 구분되어 저장되며 데이터의 관리는 기본적으로 저장 공간의 관리에서 시작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저장공간에 대한 관리기준은, 안전성, 보안성, 확장성, 및 성능보장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저장공간에 대한 관리기준의 안전성은, 상기 저장 공간을 위한 시스템의 디스크 영역이 시스템의 타 프로그램 수행 영역으로부터 분리되어 안전하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보통의 업무 시스템은 DBMS(225) 전용 서버를 운영하거나, 및/또는 상기 저장공간이 상기 데이터가 물리적으로 저장되는 실제 공간이므로 외부의 위협이나 재해로부터 저장 공간의 존재가 보호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저장공간에 대한 관리기준의 보안성은, 상기 저장공간이 데이터가 물리적으로 저장되는 실제 공간이므로 허가 받지 않은 프로그램이나 사용자(120)에 대하여 완전하게 접근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저장공간에 대한 관리기준의 확장성은, 상기 저장공간에서 상기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므로 저장 공간의 확장과 물리적 디스크 영역의 할당이 충분하게 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저장공간에 대한 관리기준의 성능보장은, 상기 대용량의 데이터가 DBMS(225) 운영 중 수시로 호출되고 저장되므로 저장 공간을 할당한 물리적 디스크는 빠른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제품으로 적절한 구조적 배치가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저장공간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DBA는 관리기준에 따라 성능과 보안을 고려하여 시스템의 저장 공간을 수시로 확인하여 데이터의 최종 보안과 안전성을 제일의 목적으로 관리하며, 또한 개발자나 사용자(120)의 편의에 따라 무분별하게 데이터가 확장되는 것을 제어하고 적절한 수준의 저장 공간에 대한 백업도 병행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테이블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엔티티와 속성이 테이블로 정의되는데, 상기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클러스터, 파티션 등의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의 증가 추이에 따라 물리적 특성이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테이블에 대한 관리기준은, 주기성, 다양성, 보안성, 및 논리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테이블에 대한 관리기준의 주기성은, 상기 테이블 내의 데이터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 백업되거나 성능을 위해 재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테이블에 대한 관리기준의 다양성은, 상기 테이블 내의 데이터는 성능을 위하여 적절한 분산 전략과 테이블 저장 공간 정의 방식에 따라 파티션(Partition), 클러스터(Cluster), IOT(Index Organized Table)등 여러 형태로 정의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테이블에 대한 관리기준의 보안성은, 상기 테이블이 권한과 사용에 따라 제한된 범위의 사용자(120)에게 테이블 단위, 컬럼 단위로 접근, 생성, 변경, 삭제 규칙이 정의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테이블에 대한 관리기준의 논리성은, 상기 테이블의 추가와 컬럼의 추가가 반드시 논리 데이터 모델을 참조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루어지며, 상기 논리 데이터 모델을 근거로 하지 않은 DBMS(225)상의 테이블과 컬럼의 추가는 무분별한 중복 데이터를 양산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데이터의 품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테이블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DBA가 관리기준에 따라 성능과 보안을 고려하여 테이블의 데이터를 관리해야 하며 개발자나 사용자(120)의 편의만을 고려해 무분별하게 테이블을 생성하지 않도록 적절하게 제한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제약조건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비 널(Not Null), 디폴트(Default), 외부 키 상수(Foreign Key Constraint), 및 체크(Check) 조건 등의 비즈니스 규칙이 컬럼에 정의할 것을 권장하나 테이블간의 관계 적용 제약 규칙은 애플리케이션과 병행하여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제약조건에 대한 관리기준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비 널(Not Null) 조건, 디폴트(Default), 외부 키(Foreign Key) 조건, 및 체크(Check) 조건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제약조건에 대한 관리기준의 비 널(Not Null) 조건은, 테이블에 데이터가 반드시 존재해야 하는 컬럼을 정의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제약조건에 대한 관리기준의 디폴트(Default) 조건은, 상기 데이터가 반드시 존재해야 하는 컬럼에 확정 값을 정의할 수 없을 때 기본 데이터를 정의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제약조건에 대한 관리기준의 외부 키(Foreign Key) 조건은,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에서 정의한 관계의 입력, 삭제, 생성 규칙을 정의하여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제약조건에 대한 관리기준의 체크(Check) 조건은, 특정 컬럼에는 미리 정의한 데이터의 종류 혹은 범위 내의 데이터만 존재하도록 정의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제약조건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컬럼에 대한 제약 조건의 반영 역시 논리 데이터 모델의 속성 정의와 맞춰지도록 관리하며, 상기 관계에 대한 규칙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유지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인덱스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논리 데이터 모델에는 반영되어 있지 않으나 데이터의 접근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소의 하나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인덱스에 대한 관리기준은, 업무 요건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으나, 구성하는 컬럼의 중복도가 높을수록 저장 공간의 낭비와 데이터 입력, 삭제, 갱신 시에 오히려 속도에 악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사용하는 상용 RDBMS(225)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인덱스를 관리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B+Tree 형태로 유지되는데, 이 때 인덱스는 저장 공간의 재사용이 거의 없으므로 주기적으로 인덱스를 재 생성할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트리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과 연계되어서 미리 규정된 함수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트리거에 대한 관리기준은, 상기 트리거의 생성 시 BEFORE 키를 사용하여 Tuple(row, record)에 어떤 이벤트(event)가 발생하기 전에 기동될 수 있도록 규정 할 수 있으며, 반대로 AFTER키를 사용하여 이벤트 완료 후에 기동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트리거를 관리하는 방법은, 트리거가 실행될 때 다른 트리거가 연쇄적으로 기동될 수도 있다. 따라서 트리거의 생성과 사용은 신중하게 정의되어야 하며 잘못된 트리거의 사용으로 원하지 않는 결과를 얻을 수도 있으며, 또한 동일한 테이블에 동일한 이벤트를 지정하는 하나 이상의 트리거를 정의할 수 있으나, 이는 상기 트리거의 기동 순서를 예측할 수 없게 하므로 보다 당업자에 의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DB 링크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원격지에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여 한 곳의 서버에서 다른 서버에 있는 데이터를 하나의 SQL문 내에서 처리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DB 링크에 대한 관리기준은, 분산 서버 환경에서 하나의 서버에서 다른 서버 혹은 다른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에 위치하는 테이블의 데이터를 손쉽게 호출하고자 할 때 정의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DB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DB 링크가 제대로 생성되었으나 질의 시에 연결에 실패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므로, 실제 사용에서 작동여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며, 또한 DB 링크의 남용은 SQL 수행 속도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정보시스템의 성능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프로시져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함수(Function)와 프로시져(Procedure)는 사용자(120)가 정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함수와 프로시져는 프로그램 SQL문으로 작성되며, SQL문으로 해당 함수와 프로시져를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프로시져에 대한 관리기준은, 상기 테이블의 데이터는 SQL문에 의해서 입력, 수정, 삭제가 수행되나 복잡한 업무를 수행할 때 혹은 같은 유형의 SQL이 반복될 때 해당 SQL문을 함수나 프로시져로 정의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프로시져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함수와 프로시져는 공용성이 보다 강조되면 동의어 선언을 하여 다른 스키마에서 정의한 함수와 프로시져의 재사용률을 높이도록 관리하며, 상기 함수나 프로시져내에 잘못 사용한 SQL문장은 전체적인 수행 속도를 크게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성능 검증을 통해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뷰(View)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보기 위하여 생성한 객체로 물리적인 저장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사용자(120)가 정의한 SQL문의 수행 결과를 보여주는 가상의 데이터 영역으로서, 상용 RDBMS(225)의 종류에 따라 실제 물리적인 저장 공간을 갖는 뷰도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뷰에 대한 관리기준은, 중요한 데이터에 대한 접근 제한과 데이터베이스의 복잡성 완화, 복잡한 데이터베이스 디자인의 숨김, 이질 데이터에 대한 분산 질의를 포함한 작업의 단순화를 위하여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뷰를 관리하는 방법은, 복합적인 뷰는 사용자(120)의 의도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고 전체적으로 수행되는 SQL의 업무를 파악하기 힘들게 하며 속도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중첩 뷰의 사용과 너무 복잡한 뷰의 사용은 자제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동의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에 대한 별명을 의미하며, 일반 동의어는 모든 유저가 만들 수 있으며, 소유권은 생성한 자만이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동의어는 PUBLIC을 사용한 동의어로, DBA만이 만들고 삭제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동의어에 대한 관리기준은, 주제 영역을 스키마로 정의했을 때 다른 스키마에 정의되어 있으나 업무상 자주 빈번하게 참조해야 하는 테이블 데이터에 대하여 동의어를 정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동의어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동의어는 하나의 객체를 여러 스키마에서 공용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생성할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스키마에서 생성된 객체에 읽기 권한이 있어도 객체에 대한 접근이 번거로울 때 동의어를 사용하여 간편화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역할(Role)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객체에 대한 생성, 삭제, 읽기, 변경 권한 규칙을 의미하며, 상기 역할을 부여하고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은 DBA가 가진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역할에 대한 관리기준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관리할 때는 사용의 편리함도 중요하나 테이블 내의 데이터의 보안과 관리도 중요하며, 권한 그룹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120)의 권한을 적절히 제안하여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보호하고 객체 내의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역할을 정의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정보의 역할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용 RDBMS(225)에서는 자주 사용될 수 있는 것과 중요도가 높은 권한들을 묶어서 몇 개의 기본적인 역할을 제공하며, 상기 역할은 기본적으로 상용 RDBMS(225)에서 제공하는 것을 사용하되 시스템 내의 보안 규칙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터페이스 처리 기능은 소정의 DBA 단말이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해 상기 DBA 품질 관리 모듈(215)에 접근시, 상기 DBA 단말에 구비된 기능구성(예컨대, DBA 단말에 구비된 브라우져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소정의 DBA 품질 관리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DBA 품질 관리 모듈(215)로 전송할 수 있는 소정의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DB(도시생략)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과 연동하여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DBA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DBA 단말은 상기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기반으로 소정의 DBA 품질 관리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며,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DBA 품질 관리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DBA 품질 관리 모듈(215)로 전송한다.
상기 DBA 정책 확인 기능은 상기 DBA 단말에서 상기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소정의 DBA 품질 관리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제공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과 연동하여 상기 CIO 품질 관리 모듈(200)에 구비된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DBA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추출 및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DBA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품질 관리 정책 정보는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기능로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 추출 기능은 상기 품질 관리 관리대상 DBMS(225)로부터 상기 DBA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리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관리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DBA 품질 관리 모듈(215)에서 사용하는 용어, 도메인, 코드 및 기타 데이터 관련요소에 대해 공통된 형식과 내용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표준 관련 데이터를 의미하며, 상기 정보시스템의 데이터 품질 확보를 위한 필수 요소로, 관리 데이터를 정의 및 관리함으로써, 데이터 간의 불일치와 데이터 오류를 방지하고 데이터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 으로 하며, 또한 기관이나 기업 전사차원에서 단일하고 표준화된 정보시스템을 구현하게 함으로써, 데이터 통합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구조 확인 기능은 상기 품질 관리 관리대상 DBMS(225)로부터 상기 DBA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리 데이터 모델 정보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물리 데이터 모델은,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가 적용되는 정보시스템의 DBMS(225)의 특성과 성능을 고려하여 물리 데이터 모델을 구체화시킨 모델을 의미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가 적용되는 정보시스템의 물리 데이터 모델을 구현한 결과물이며 구축된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소를 의미한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기능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와 상기 DBA 정책 확인 기능에 의해 확인된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데이터 추출 기능을 통해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리 데이터를 관리하거나, 및/또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DBA 품질 관리 운용 정보와 상기 DBA 정책 확인 기능에 의해 확인된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데이터 구조 확인 기능에 의해 확인된 물리 데이터 모델 정보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정보 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시되는 흐름도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품질 관리 주체 중 사용자(120)가 이용하는 사용자(120) 단말은,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사용자 품질 관리 모듈(220)에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사용자 품질 관리 모듈(22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사용자(120) 단말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상기 DBMS(225)에 대한 데이터 품질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채널을 연결 및 관리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120) 단말이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은 상기 사용자(120) 단말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인터페이스 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120) 단말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호환 문서 형태의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120) 단말로부터 상기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또는 선택)된 소정의 사용자(120) 품질 관리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120) 단말이 CDMA 기반의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은 상기 사용자(120) 단말과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및/또는 ME(Mobile Explorer)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인터페이스 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120) 단말로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및/또는 HTML 호환 문서 형태의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120) 단말로부터 상기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소정의 사용자(120) 품질 관리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120) 단말이 IEEE 802.16x 기반의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은 상기 사용자(120) 단말과 상기 IEEE 802.16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인터페이스 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120) 단말로 소정의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120) 단말로부터 상기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소정의 사용자(120) 품질 관리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품질 관리 모듈(2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120) 단말에서 소정의 사용자(120) 품질 관리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또는 추출)하여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처리 기능과,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해 상기 사용자(120) 단말로부터 상기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된 사용자(120) 품질 관리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CIO 품질 관리 모듈(200)에 구비된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확인하는 사용자(120) 정책 확인 기능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품질 관리 모듈(220)은, 상기 품질 관리 관리대상 DBMS(225)로부터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업무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 기능과, 상기 품질 관리 관리대상 DBMS(225)로부터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120) 뷰 정보를 확인하는 데이터 구조 확인 기능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품질 관리 모듈(220)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와 상기 사용자(120) 정책 확인 기능에 의해 확인된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데이터 추출 기능을 통해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업무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품질 관리 기능을 구비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기능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와 상기 사용자(120) 정책 확인 기능에 의해 확인된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데이터 구조 확인 기능에 의해 확인된 사용자(120) 뷰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품질 관리 모듈(220)에 구비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는, 기관이나 기업의 업무 및 비즈니스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데이터 흐름에 따라 원천, 운영, 분석 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는 원천(source) 데이터, 운영(operational) 데이터, 및 분석(analysis) 데이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원천 데이터는, 상기 운영 업무 데이터의 원천이 되는 현실 세계의 데이터로서, 상기 원천 데이터에는 일반문서, PC에 저장된 데이터 원천 파일, 이메일 및 팩스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원천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은, 원천 데이터의 보안성, 원천 데이터의 안전성, 및 원천 데이터의 신뢰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원천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원천 데이터의 보안성은, 상기 원천 데이터는 시스템이나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객체에 의해 시스템적으로 관리되지 않아 허용되지 않은 사용자(120)에게 노출될 위험성이 많으므로 중요 원천데이터의 경우 보안에 각별히 유의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원천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원천 데이터의 안전성은, 상기 원천 데이터는 재해 발생시 데이터 손실률이 높고 손실된 원천 데이터의 복구가 매우 어려우므로 중요 원천 데이터의 경우 안전 관리의 수준이 높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원천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원천 데이터의 신뢰성은, 상기 원천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이와 관련된 근거를 정의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원천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원천 데이터는 통합적 시스템에 의한 관리보다는 원천 업무 데이터 소유주의 개인이나 단체에 의해 관리하며, 상기 원천 데이터의 검색은 일반적으로 시스템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것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관리 체계를 명확히 정의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필요한 원천 데이터를 분류해 각 원천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과 생성, 변경, 소멸 규칙을 정의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운영 데이터는, 기업이나 기관의 목표 달성 및 업무 수행을 위해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 관리하여 활용하는 데이터를 의미하며, 여기서 단순한 입출력 작업 처리를 위해 일시적으로 필요한 임시 데이터는 제외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운영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은, 정확성, 일관성, 최신성, 완전성, 사용 용이성, 및 검색 용이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운영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정확성은, 실세계에 존재하는 원천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가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운영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일관성은, 상기 데이터가 용어 정의, 규정, 표준, 속성 정의, 데이터 형식 등과 일치하도록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운영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최신성은, 상기 제공되는 데이터는 가장 최근의 내용으로 갱신되도록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데이터의 최신성을 유지하기 위해 데이터에 최신성 등급(매우 중요, 중요, 보통)을 둘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운영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완전성은, 상기 정보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는 항목의 누락 없이 완전한 형태로 제공되도록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운영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사용 용이성은, 상기 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도움말, 고객지원 기능 등은 사용자(120)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제공되도록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운영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검색 용이성은, 정보 시스템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검색 관련 제반 기능과 검색 조건에 따른 검색 결과 및 출력 방식이 정확하며 적절하도록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운영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데이터의 정확성, 일관성, 최신성, 완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정의된 관리기준과 관리방법에 따라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점검 및 관리하며, 상기 사용 용이성과 검색 용이성은 성능관리 데이터의 관리기준과 관리방법을 따르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분석 데이터는, 운영 데이터의 추출(extract), 변환(transformation), 적재(loading)등의 과정을 통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의미하며, 상기 분석 데이터가 기관이나 조직의 업무나 제반 활동을 신속하게 지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최신성과 정확성을 갖춰야 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분석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은, 분석 주기, 마감기한, 요약레벨, 주제지향성, 통합성, 시계열성, 및 비휘발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분석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분석 주기는, 상기 분석용 데이터의 원천인 운영 데이터의 분석 및 변환 주기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분석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마감기한은, 상기 운영 데이터를 분석용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 이용하는 운영 데이터의 특정 시점을 정의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분석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요약레벨은, 상기 분석 데이터에 요구되는 요약 수준을 정의한다. 요약 수준은 운영 데이터의 범위와 깊이의 관점에서 고려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분석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주제지향성은, 상기 분산되어 관리되는 운영 데이터를 통일된 주제 영역별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분석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통합성은, 상기 분석 데이터를 동일하고 일관된 표준('남/여', '1/0')에 따라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분석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시계열성은, 일정 시간 동안 축적된 데이터를 다양한 시점별로 정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분석 데이터에 대한 관리기준의 비휘발성은, 상기 데이터의 삭제, 갱신이 빈번히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의 분석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운영 데이터를 분석 데이터로 추출, 변환, 적재하는 규칙을 정의하도록 관리하며, 상기 분석 주기, 마감기한, 요약 레벨 등은 분석 대상 데이터의 규모나 특성, 활용 목적 등을 고려하여 정의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품질 관리 모듈(220)에 구비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는, 사용자(120) 뷰 관리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120) 뷰 관리정보는, 화면과 출력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120) 뷰 관리정보의 화면은, 상기 정보시스템이 생성한 최종 산출물의 제공 인터페이스로, 최종 사용자(120)(End User) 화면과 시스템 관리자용 화면이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120) 뷰 관리정보의 저장공간에 대한 관리기준은, 편의성, 검색성, 시스템 성능, 및 지원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120) 뷰 관리정보의 저장공간에 대한 관리기준의 편의성은, 상기 사용자(120) 화면을 통해 처리되는 모든 작업 절차는 직관적이고 편리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용자(120) 뷰 관리정보의 저장공간에 대한 관리기준의 검색성은, 상기 사용자(120)가 화면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색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용자(120) 뷰 관리정보의 저장공간에 대한 관리기준의 시스템 성능은, 상기 화면을 통해 처리되는 모든 작업이 적정한 속도와 성능(예컨대, 3초 이내의 응답)을 유지 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용자(120) 뷰 관리정보의 저장공간에 대한 관리기준의 지원성은, 사용자(120)가 작업 처리 중 필요에 따라 적절한 도움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용자(120) 뷰 관리정보의 화면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화면의 용도와 제약사항에 대한 정보는 물론 해당 화면에 대한 사용자(120) 요구사항과 도움말 등이 함께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120) 뷰 관리정보의 출력물은, 정보시스템을 통해 생성되는 산출물을 의미하며, 여기에는 보고서, 장표, 전표 등과 같은 산출물은 물론 해당 출력물을 생성하는 응용 프로그램까지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출력물은 최종 사용자(120)에게 제공되거나 정보시스템 내부에서 분석용으로 활용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120) 뷰 관리정보의 저장공간에 대한 관리기준은, 상기 종이 출력물이 디지털 데이터의 훼손에 대비하여 데이터의 가치를 저장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 저장 도구이나 사고 시 복구율이 매우 낮으므로 종이형태의 출력물 관리에는 많은 비용과 인력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상기 출력물의 관리는 중요 정보일수록 종이 상태의 관리보다는 이미지 형태의 출력물을 병행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120) 뷰 관리정보의 출력물을 관리하는 방법은, 대부분의 출력물이 사용자(120) 화면을 통해 제공되므로, 해당 화면을 관리하는 것으로 출력물의 품질 관리를 갈음한다. 다만, 사용자(120) 화면이 없는 경우에는 출력물 생성에 관련된 업무와 출력물(예컨대, 스캔 받은 출력물)를 시스템 관리 툴을 통해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터페이스 처리 기능은 소정의 사용자(120) 단말이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해 상기 사용자 품질 관리 모듈(220)에 접근시, 상기 사용자(120) 단말에 구비된 기능구성(예컨대, 사용자(120) 단말에 구비된 브라우져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소정의 사용자(120) 품질 관리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사용자 품질 관리 모듈(220)로 전송할 수 있는 소정의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DB(도시생략)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과 연동하여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사용자(120)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120) 단말은 상기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기반으로 소정의 사용자(120) 품질 관리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며,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사용자(120) 품질 관리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사용자 품질 관 리 모듈(220)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120) 정책 확인 기능은 상기 사용자(120) 단말에서 상기 품질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소정의 사용자(120) 품질 관리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제공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기능과 연동하여 상기 CIO 품질 관리 모듈(200)에 구비된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추출 및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품질 관리 정책 정보는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기능으로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 추출 기능은 상기 품질 관리 관리대상 DBMS(225)로부터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업무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업무 데이터는, 기관이나 기업의 업무 및 비즈니스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데이터 흐름에 따라 원천, 운영, 분석 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조 확인 기능은 상기 품질 관리 관리대상 DBMS(225)로부터 상기 사용자(120) 품질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120) 뷰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사용자(120) 뷰는,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가 적용되는 정보시스템의 개념 데이터 모델을 상세화하여 논리적인 데이터 집합, 관리항목, 관계를 정의한 모델을 의미한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기능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와 상기 사용자(120) 정책 확인 기능에 의해 확인된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데이터 추출 기능을 통해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업무 데이터를 관리하거나, 및/또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사용자(120) 품질 관리 운용 정보와 상기 사용자(120) 정책 확인 기능에 의해 확인된 품질 관리 정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의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데이터 구조 확인 기능에 의해 확인된 사용자(120) 뷰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시되는 흐름도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데이터 품질 관리에 대한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기준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관리되고 있는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의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편의상 "데이터 품질 기준"이라고 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품질 기준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과 활용성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유효성은 정확성과 일관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활용성은 유용성, 접근성, 적시성 및 보안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품질 기준은 데이터 유효성 측면의 정확성과 일관성, 그리고 데이터 활용성 측면의 유용성, 접근성, 적시성 및 보안성 등 총 6개의 데이터 품질 기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품질 기준의 유효성 관련 품질 기준은 정확성과 일관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품질 기준 중, 상기 정확성은 실 세계에 존재하는 객체(사건, 사물, 개념 등)의 값이 오류 없이 저장되어 있는지 관리하는 데 이터 품질 기준으로서, 본 도면3을 참조하면, 사실성, 적합성, 필수성 및 연관성 등과 같은 세부 품질 기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정확성의 세부 품질 기준 중, 상기 사실성은 상기 데이터가 실 세계의 사실과 동일한 값을 가지고 있도록 관리하는 데이터 품질 기준을 의미한다.
상기 사실성 오류는 데이터의 원천 오류, 입력 오류, 입력 프로세스 문제 등에서 비롯되며, 상기 사실성 향상을 위해서는 데이터 오너십 관리와 입력 프로세스 개선 등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정확성의 세부 품질 기준 중, 상기 적합성은 상기 데이터 값이 정해진 데이터 유효 범위를 충족하도록 관리하는 데이터 품질 기준을 의미한다.
상기 정합성 오류는 데이터가 표준 코드 값 또는 표준 도메인 값에 위배될 경우 발생하며, 상기 적합성 향상을 위해서는 표준 도메인 관리 및 표준 코드 관리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정확성의 세부 품질 기준 중, 상기 필수성은 조직의 업무 지원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필수 항목에 데이터의 누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데이터 품질 기준을 의미한다.
상기 필수성 오류는 데이터 수집 당시의 확인 부족이나 데이터베이스상의 "Not Null" 체크 조건의 누락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며, 데이터 별로 중요도를 선정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정확성의 세부 품질 기준 중, 상기 연관성은 연관 관계를 갖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데이터 항목간에 논리상의 오류가 없도록 관리하는 데이터 품질 기준을 의미한다.
상기 연관성 오류는 해지 일자가 가입 일자보다 앞서 있는 등과 같은 것으로서, 상기 연관성 확보를 위해서는 업무 규칙상의 데이터 연관 관계를 파악해 시스템에 반영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품질 기준 중, 상기 일관성은 정보시스템 내의 동일한 데이터 간에 불일치가 발생하지 않는지 관리하는 데이터 품질 기준으로서, 상기 일관성 오류는 데이터에 대한 정의가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데이터 참조무결성(Referential Integrity)이 불분명한 경우, 개별 시스템 단위로 설계 관리됨으로써 전사적 관점의 접근이 부족한 경우 등의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예컨대, 상기 일관성 오류는 조직 내의 구매부와 판매부에서 사용하는 ‘고 객’ 컬럼의 정의는 부서별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가 있는데, 구매부의 ‘고객’은 주로 기업 및 기관이 해당되며, 판매부의 ‘고객’은 개인 또는 기업이 해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서별로 요구하는 ‘고객’ 테이블의 속성이 달라질 수가 있으며, 같은 ‘고객’이면서도 분명하게 다른 ‘고객’으로 관리된다.
따라서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사적 관점의 데이터 용어 표준화, 데이터 구조의 전사적인 조율, 중복 데이터에 대한 관리 등을 통해 데이터간의 통일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일관성은 정합성, 일치성, 및 무결성 등과 같은 세부 품질 기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일관성의 세부 품질 기준 중, 상기 정합성은 기능, 의미, 성격이 동일한 데이터가 상호 동일한 용어와 형태로 정의되어 있음을 관리하는 데이터 품질 기준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일관성의 세부 품질 기준 중, 상기 일치성은 동일한 용어를 다르게 정의하여 사용하지 않도록 함을 관리하는 데이터 품질 기준을 의미한다.
예컨대, 남녀의 성별을 구분하는 용어인 성별 구분이 단위 시스템 별로 남녀 구분, 성별구분, 성별코드, 남녀코드로 용어가 서로 다르게 사용되면, 전사 관점에서 데이터 통합 시에 시스템 자원의 낭비를 가져오고 데이터 정확성의 확보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상기 일관성의 세부 품질 기준 중, 상기 무결성은 데이터 처리의 선후 관계가 명확하게 준수되고 있음을 관리하는 데이터 품질 기준을 의미한다.
예컨대, 선행 데이터가 존재해야 후속 처리가 가능한 경우가 있다. 고객의 주문 내역은 고객이 먼저 등록이 되어야만 생성 가능하며, 고객이 삭제되면 주문 내역도 함께 삭제되어야 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된다. 상기 무결성은 참조무결성을 데이터 구조 설계에 반영하고 데이터베이스나 프로그램을 통해 이를 구현함으로써 확보할 수 있다.
본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품질 기준의 유효성 관련 품질 기준은 유용성, 접근성, 적시성 및 보안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품질 기준 중, 상기 유용성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조직이 요구하는 데이터의 범위와 상세화 정도를 충족시킬 수 있음을 관리하는 데이터 품질 기준으로서, 상기 유용성 확보를 위해서는 사용자(120)의 요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상기 요건 관리는 사용자(120)들의 추상적인 요구를 구체화하여 관리하는 제반 활동을 의미하며, 도출된 요건을 정해진 기준과 원칙에 따라 요구사항 수행 범위와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반영하고 일련의 결과를 문서화하여 관리해야 한다.
본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유용성은 충분성, 유연성, 사용성 및 추적성 등과 같은 세부 품질 기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용성의 세부 품질 기준 중, 상기 충분성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가 사용자(120)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충분성의 확보를 위해서는 사용자(120)의 현재 요구사항뿐만 아니라, 업계의 동향을 참조하여 향후 발생 가능한 요구사항에 대해서도 사전에 준비해야 한다.
또한, 상기 유용성의 세부 품질 기준 중, 상기 유연성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가 사용자(120)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수용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구조는 다양한 요구사항과 업무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하 며 변경 사항에 발생시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유용성의 세부 품질 기준 중, 상기 사용성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실제 공급되는 데이터가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상기 사용성 향상을 위해서는 데이터 사용 현황 및 사용빈도를 분석하여 활용 빈도가 높은 데이터에 시스템 자원을 우선 배분하는 등의 활동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유용성의 세부 품질 기준 중, 상기 추적성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의 변경 내역이 관리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이력 관리를 수행하면 사용자(120)의 요구사항 변경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품질 기준 중, 상기 접근성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120) 만족도를 충족시키기 위해 데이터 자체의 품질은 물론, 데이터를 효율적 및 효과적으로 제공하는데 필요한 인터페이스 등 제반 서비스 품질을 확보하는 것을 관리하는 데이터 품질 기준으로서, 상기 접근성은 사용자(120)가 원하는 데이터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접근성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사용의 용이성 관점과 검색의 용이성 관점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상기 사용의 용이성은 정보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 도움말, 고객지원 등이 사용자(120)가 데이터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제공되고 있는지 관리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검색 용이성은 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검색 관련 제반 기능이 사용자(120)가 원하는 데이터를 손쉽고 편리하게 추출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되고 있는지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품질 기준 중, 상기 적시성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응답시간과 같은 비기능적 요구사항 그리고 데이터의 최신성 유지와 같은 품질 요건에 얼마나 잘 대처하고 있는지 관리하는 데이터 품질 기준으로서, 상기 적시성은 특히 운영시스템의 데이터를 분석 데이터로 변환하여 조직 내부의 의사 결정 등에 활용할 경우 상기 적시성의 중요성이 더욱 커진다. 만약 상기 적시성이나 최신성이 확보되지 못한 데이터로 조직의 중요한 의사 결정을 내리게 된다면, 상기 조직에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상기 적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 튜닝을 통한 성능 개선, 최적의 데이터 구조 유지, 자원의 효율성 확보를 위한 정보의 생명주기 관리 등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품질 기준 중, 상기 보안성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 상에서 외부 및 내부 요인으로부터 데이터를 적절히 보호하고 있는지 관리하는 데이터 품질 기준으로서, 상기 보안성에는 외부 침입이나 재난 등의 위험으로부터의 데이터 보호, 시스템의 에러나 장애 원인의 사전 차단, 에러나 장애 발생 시 데이터 사용의 중단 및 지연 최소화, 명확한 사용자(120) 권한 정의 등이 포함된다.
본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보안성은 보호성, 책임성 및 안정성 등과 같은 세부 품질 기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용성의 세부 품질 기준 중, 상기 보호성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의 훼손, 변조, 유출 등의 다양한 형태의 위협으로부터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유용성의 세부 품질 기준 중, 상기 책임성은 상기 도면1에 도시 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사용자(120) 접근 권한과 책임을 명확히 부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데이터 보호 및 사용자(120) 권한 접근 관리에서 중요한 것은 보호 대상에 대해 정확한 정의를 내리고, 이에 대한 관리 체계를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보안 활동은 관리적 보안 활동과 기술 및 물리적 보안 활동으로 구분할 수가 있는데, 상기 관리적 보안 활동은 사람, 문서, 재해복구계획 등을 주요 관리 대상으로 선정하여 이에 대한 조직 보안 규정 및 지침을 수립하여 시행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기술 및 물리적 보안 활동은 물리적 데이터베이스 저장소에 대한 출입 통제 관리와 외부에 의한 해킹 피해, 바이러스에 의한 피해로부터 보안 활동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유용성의 세부 품질 기준 중, 상기 안전성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에러나 장애를 사전에 차단하고 에러나 장애 발생 시 중단 및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체제로 운영함을 의미한다.
상기 데이터 소실 사고는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오류 발생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빠른 시간 안에 복구할 수 있는 절차 가 필요하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데이터 품질 관리에 대한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를 상기 도면3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라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에 대한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는 요구사항 관리, 데이터 구조 관리, 데이터 흐름 관리, 데이터베이스 관리, 데이터 활용 관리, 데이터 표준 관리, 데이터 오너십 관리, 사용자(120) 뷰 관리 등 8개의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각각의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 기준과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도면4에서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중, 상기 요구사항 관리는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120)의 요건을 도출 및 관리하는 프로세스로서, 상기 도면3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기준 중 유용성 데이터 품질 기준과 상관 관계를 가진다.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120)에게 유용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사용자(120)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파악해야 하는데, 상기 사용자(120)의 요건은 대개의 경우 추상적이거나 개념적으로 표현되며, 따라서 사용자(120)와의 지속적인 의견 교환을 통해 요건을 구체화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요구사항 관리에서 데이터 품질과 관련이 있는 세부 프로세스에는 기능적 요구사항 관리와 비기능적 요구사항 관리가 있다.
상기 기능적 요구사항 관리는 업무 처리과정에서 기능적으로 필요한 데이터 요건을 도출 및 조정하여 관리함을 의미하며, 상기 데이터에 대한 요건은 실무자, 중간관리자, 경영자 등 다양한 관리 계층에서 수렴되어야 한다.
상기 비기능적 요구사항 관리는 처리 시간, 응답 시간, 데이터 제공 주기 등과 같은 업무 내용적인 요건 이외에 요건을 도출 및 조정하여 관리함을 의미하며, 상기 비기능적 요구사항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풍부한 전산 자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투입 가능한 자원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비기능적 요건과 투입 자원의 비용 대비 효과를 고려해 효율성 있는 관리를 수행해야 한다.
본 도면4에서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중, 상기 데이터 구조 관리는 사용자(120)가 원하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데이터 모델 및 데이터베이스를 설계 및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데이터 구조는 도서관의 책 분류에 비유할 수 있다. 만약 책의 분류체계가 잘못되어 있다면, 아무리 좋은 책을 많이 가지고 있다고 해도 책의 보관이나 활용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역시 적절하게 설계 및 관리되지 않으면 데이터의 제공에 많은 제약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구조 관리에서 데이터 품질과 관련 있는 세부 프로세스에는 유연성 관리, 중복 관리, 참조 무결성 관리가 있다.
상기 유연성 관리는 예측 가능한 미래의 변화를 고려해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시각에서 데이터 구조를 도출해 관리함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조직의 업무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사용자(120)의 데이터에 대한 요건도 수시로 변경되는데, 요건이 바뀔 때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데이터 구조 를 변경해야 한다면 많은 혼선이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데이터 구조는 추가적인 데이터 요건에 대해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수용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유연성을 고려한 데이터 구조 설계가 필요하다.
상기 중복 관리는 동일한 데이터는 한 곳에만 존재하도록 관리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업무적 및 시스템적인 이유로 동일 데이터가 여러 곳에 존재하는 경우가 많으며, 상기 데이터의 중복이 발생하게 되면, 관리에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상기 중복된 데이터 간의 불일치가 발생하여 업무 혼선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복 관리는 일차적으로는 데이터 중복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며, 불가피하게 데이터 중복이 발생하였다면 중복 데이터 간의 일치성을 확보해야 한다.
즉, 중복 관리는 중복에 대한 사전적인 예방 및 중복 발생 시의 사후적인 관리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참조 무결성 관리는 데이터의 생성, 변경, 삭제 과정에는 작업의 선후 관계를 관리함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품의 등록과 판매의 경우, 상품의 판매 데이터는 상품 데이터가 사전에 등록되어 있어야만 입력될 수 있다. 즉, 데이터 간의 선후 관계를 파악해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이를 준수할 수 있도록 통제하는 참조무결성 관리는 데이터 품질 확보에 매우 중요한 활동이다.
상기 통합 관리는 전사적 시스템 관점에서 데이터 구조를 설계하고 관리함을 의미한다.
데이터 구조의 통합 관리는 개별 시스템 관점이 아니라 전사적인 조직 차원에서의 데이터 활용성 극대화를 목적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통합 관리는 데이터 구조 설계 이전에 고려되어야 하며, 시스템 별로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면 이를 통합하여 전체적인 관점에서 관리 및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본 도면4에서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중, 상기 데이터 흐름 관리는 소스 데이터를 타깃에 생성하거나 추출, 변환, 적재하는 제반 과정을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조직에 존재하는 시스템이 여러 개 일 수록 시스템간의 데이터 흐름도 많고 복잡해진다. 특히 데이터가 분산되어 있거나 중복이 많은 경우, 데이터 오류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품질 확보를 위해 데이터 흐름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데이터 흐름 관리를 위해서는 데이터 흐름에 대한 요건을 파악해 데이터 흐름을 통제하고 데이터 흐름의 처리 결과에 대한 정확성 확인이 병행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흐름 관리에서 데이터 품질과 관련이 있는 세부 프로세스에는 흐름 주기 관리와 흐름 대사 관리가 있다.
상기 흐름 주기 관리는 데이터 흐름의 주기를 파악해 필요한 시점에 필요한 흐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데이터 흐름은 즉시, 지연, 일별, 주별, 월별, 수시 등과 같은 다양한 업무 요건을 반영하고, 각 흐름간의 선후 관계를 고려하여 관리해야 한다.
상기 흐름 대사 관리는 정해진 요건에 따라 데이터 흐름이 정확히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 및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데이터 흐름에 대한 상세 내역이 관리되지 않으면 데이터 흐름 상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발견하거나 추적 하기 어렵다. 따라서 흐름 대사 관리를 통해 원 천 데이터와 목표 데이터 간의 대응 관계를 파악해 상호간의 데이터 흐름의 정확성을 확인하고 오류가 발생한 경우 원인을 추적하고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도면4에서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중, 상기 데이터 흐름 관리는 데이터 값이 실제로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운영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가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값에 대한 지속적인 변경이 일어나는 장소로서, 유동적이고 변화가 많으므로 다양한 상황에 대한 충분한 대응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에서 데이터 품질과 관련이 있는 세부 프로세스는 성능관리와 보안관리가 있다.
상기 성능 관리는 사용자(120)가 원하는 데이터를 원하는 시간에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수행하는 관리 활동을 의미한다.
즉, 상기 성능 관리는 데이터베이스의 처리 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성능의 최적화를 위한 튜닝 활동, 그리고 적정 성능 유지를 위해 필요한 전산 자원을 예측하고 자원 조달에 대한 계획, 배분, 관리 활동 등이 포함된다.
상기 보안 관리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가 오류 및 훼손 없이 안정적으로 서비스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에 대한 권한을 통제하거나 백업 및 장애 대책 등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발생한 문제로부터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본 도면4에서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중, 상기 데이터 활용 관리는 사용자(120)의 데이터 활용 현황을 파악하고 데이터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수행하는 관리 활동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활용 관리에서 데이터 품질과 관련이 있는 세부 프로세스는 업무 규칙 검증과 활용 모니터링이 있다.
상기 업무 규칙 검증은 데이터 품질 점검 기준 및 방법 정의, 데이터 품질 점검, 데이터 정제를 수행하는 일련의 작업을 의미한다.
상기 업무 규칙 검증을 통해 데이터의 비효율적 사용을 예방하고 데이터의 운용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품질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검증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품질 점검 기준과 방법이 정교하게 정의되어 있어야 하며 품질 점검 결과 발견된 오류를 체계적으로 추적 및 조치하는 절차가 강화되어야 한다.
상기 활용 모니터링은 사용자(120)의 만족도를 제고하고 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데이터 사용 현황을 모니터링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본 도면4에서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중, 상기 데이터 활용 관리는 데이터에 대한 공통된 시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데이터 표준화 원칙 정의, 표준화 원칙에 따른 표준 정의, 표준 변경, 표준 적용 통제 등을 수행하는 관리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상기 데이터 표준 관리와 관련성이 높은 데이터 품질 기준은 일관성 및 정확성이며, 데이터 관련자들 간의 공통된 용어와 기준을 사용하게 함으로써 데이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표준 관리 프로세스 가운데 데이터 품질과 관련된 세부 프로세스에는 용어 표준 관리와 도메인 및 코드 표준 관리가 있다.
상기 용어 표준 관리는 데이터를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를 표준화하여 모든 사람이 동일한 인식 하에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 관리에 수용되는 용어를 도출해 의미를 정의하고, 데 이터를 경유한 의사소통이나 산출물의 작성시에 표준화된 용어를 사용하게 함으로써 명확한 의사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제해야 한다.
상기 도메인 및 코드 표준 관리에서 상기 도메인 표준은 전사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 가운데에 논리적, 물리적으로 유사한 유형의 데이터를 그룹화하여 해당 그룹에 속하는 데이터의 유형과 길이를 정의한 것을 의미하고, 상기 코드 표준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는 데이터 값을 정형화하기 위해 정의된 기준에 따라 제한된 범위내의 기호로 대치한 것을 의미한다. 이 때, 표준 코드에는 각 산업별로 법적, 제도적으로 부여하여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코드뿐만 아니라 기관이나 기업 내부에서 정의하여 사용하는 코드가 대상이 된다.
본 도면4에서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중, 상기 데이터 오너쉽 관리는 데이터에 책임과 권한을 가진 오너(owner)를 선정해 상기 오너를 중심으로 데이터 품질관리 제반 절차나 과정을 정의하고 실행하는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여기서, 데이터 오너란 데이터의 생성, 변경, 활용, 삭제에 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 책임자를 의미한다.
상기 데이터 오너십 관리는 데이터 오너를 중심으로 데이터에 대한 품질 기준을 정의하고 데이터 처리 권한 및 프로세스를 통제하며 데이터 품질에 대한 사후 검증을 수행하여 데이터 오류에 대해 조치한다.
본 도면4에서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중, 상기 사용자(120) 뷰 관리는 사용자(120)가 최종적으로 데이터를 이용하는 환경에 대한 관리를 의미한다.
상기 사용자(120) 뷰 관리의 목적은 사용자(120)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 장벽을 최소화하여 데이터 활용을 극대화하는 데 있으며, 상기 사용자(120) 뷰는 사용자(120) 관점에서 설계 및 구현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120) 뷰를 구현하는 기술은 변화가 매우 빠른 만큼, 관련 기술 동향을 파악하여 시의 적절하게 적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면3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기준과 본 도면4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간 상호 관계를 도시하면, 표1과 같이 도시된다.
프로세스 품질기준 정확성 일관성 유용성 접근성 적시성 보안성
요구사항 관리 기능적 관리
비기능적 관리
데이터 구조 관리 유연성 관리
중복 관리
데이터 흐름 관리 참조 무결성 관리
통합 관리
데이터베이스 관리 흐름 주기 관리
흐름 대사 관리
데이터 활용 관리 성능 관리
보안 관리
데이터 표준 관리 업무 규칙 검증
활용 모니터링
데이터 오너십 관리 용어 표준 관리
도메인, 코드 표준관리
사용자 뷰 관리 데이터 오너십 관리
사용자 뷰 관리
표1을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중, 상기 요구사항 관리의 기능적 관리는 상기 도면3에 데이터 품질 기준의 유용성과 매칭되며, 상기 요구사항 관리의 비기능적 관리는 상기 도면3에 데이터 품질 기준의 적시성과 매칭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중, 상기 데이터 구조 관리의 유연성 관리는 상기 도면3에 데이터 품질 기준의 유용성과 매칭되며, 상기 데이터 구조 관리의 중복 관리는 상기 도면3에 데이터 품질 기준의 일관성과 매칭되며, 상기 데이터 구조 관리의 참조 무결성 관리는 상기 도면3에 데이터 품질 기준의 일관성과 매칭되며, 상기 데이터 구조 관리의 통합 관리는 상기 도면3에 데이터 품질 기준의 접근성과 매칭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중, 상기 데이터 흐름 관리의 흐름 주기 관리는 상기 도면3에 데이터 품질 기준의 적시성과 매칭되며, 상기 데이터 흐름 관리의 흐름 대사 관리는 상기 도면3에 데이터 품질 기준의 일관성과 매칭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중,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의 성능 관리는 상기 도면3에 데이터 품질 기준의 적시성과 매칭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의 보안 관리는 상기 도면3에 데이터 품질 기준의 보안성과 매칭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중, 상기 데이터 활용 관리의 업무 규칙 검증은 상기 도면3에 데이터 품질 기준의 정확성과 매칭되며, 상기 데이터 활용 관리의 활용 모니터링은 상기 도면3에 데이터 품질 기준의 유용성과 매칭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중, 상기 데이터 표준 관리의 용어 표준 관리는 상기 도면3에 데이터 품질 기준의 일관성과 매칭되며, 상기 데이터 표준 관리의 도메인 및 코드 표준 관리는 상기 도면3에 데이터 품질 기준의 정확성 및 일관성과 매칭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중, 상기 데이터 오너십 관리는 상기 도면3에 데이터 품질 기준의 정확성 및 일관성과 매칭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중, 상기 사용자(120) 뷰 관리는 상기 도면3에 데이터 품질 기준의 접근성과 매칭된다.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에 있어서, 상기 도면3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라 도면4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를 평가하여 도출되는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도면5에서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조직이 수행하고 있는 데이터 품질관리의 체계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성숙도가 높을수록 체계적이며 정교한 데이터 품질관리가 수행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는 데이터 품질관리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부분적인 데이터 품질관리 활동을 시행하는 데이터 품질관리 도입 단계(또는 제1 단계)와(500), 데이터 품질관리를 위한 제반 프로세스가 정형화되는 데이터 품질관리 정형화 단계(또는 제2 단계)와(505), 전사적인 연계 통합 관점에서 일관성 있는 데이터의 품질관리가 수행되는 데이터 품질관리 통합화 단계(또는 제3 단계)와(510), 정량적인 측정 방법을 통해 데이터 품질관리가 수행되는 데이터 품질관리 정량화 단계(또는 제4 단계)와(515), 데이터 품질관리 개선에 필요한 요소를 지속적으로 도출하고 적응하는 데이터 품질관리 최적화 단계(또는 제5 단계)(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에서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도입 단계(500)는, 데이터 품질관리의 초기 단계로 데이터 품질관리에 대한 문제점과 필요성을 부분적으로는 인지하고는 있지만 표준과 정형화된 프로세스가 미비하여 데이터의 품질관리는 담당자 개개인의 능력에 의존해 수행되는 단계로서, 기본적인 수준의 식별 및 인증, 백업계획이 수립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데이터의 오류 발생 소지가 높은 단계이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에서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정형화 단계(505)는, 데이터 품질관리를 위한 정책, 및 규정과 데이터 품질관리와 관련된 제반 프로세스가 정형화되어 있으며, 소정의 정의된 절차에 따라 기본적인 품질관리가 이루어지는 단계로서, 데이터의 품질 상태는 누락 및 오류 발생에 대해 기본적인 대응이 가능하며, 데이터 표준을 정의하여 단위 시스템 및 일부 조직에서 사용하고 있는 등 기본적인 운영 활동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에서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통합화 단계(510)는, 전사적인 연계 및 통합 관점에서 일관성 있는 데이터의 품질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데이터가 누락이나 오류 없이 서비스되는 단계로서, 데이터 표준이 조직 전체에 반영되어 있으며, 메타데이터가 활용되어 데이터 요소 간의 연계성이 확립되어 있고, 지속적인 성능, 보안, 재해 복구 등의 프로세스가 안정화돼 있으며 개선 작업이 수행되는 단계이다. 단,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통합화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의 제반 활동은 정성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나, 이것이 정량화되어 측정 관리 되지는 않는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에서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정량화 단계(515)는, 정량적인 방법을 통해 지속적/안정적으로 데이터 품질관리 제반 활동을 관리하며, 목표 달성 여부를 측정 확인하는 단계이다.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에서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최적화 단계(520)는, 품질관리 프로세스의 개선 사항을 지속적으로 도출하고 실행하며 평가를 통해 사후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로서, 현재의 관점에서 최적화뿐 아니라 지속적인 개선 노력을 통하여 미래의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도는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정확성, 일관성, 유용성, 접근성, 적시성, 보안성 등의 6이지로 데이터 품질 기준 별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도의 측정 방법은 품질 기준에 따라 상이한데, 이것은 각 기준 별로 데이터 품질에 영향을 주는 관련 프로세스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상기 도면4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와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도 간의 상호 관계를 정리하면 표2와 같다.
품질기준 품질관리 프로세스 성숙수준
1 2 3 4 5
정확성 데이터 활용 관리(업무 규칙 검증)
데이터 표준 관리(도메인, 코드 표준 관리)
데이터 오너십 관리
일관성 데이터 구조 관리(중복 관리)
데이터 구조 관리(참조 무결성 관리)
데이터 흐름 관리(흐름 대사 관리)
데이터 표준 관리(용어 표준 관리)
데이터 표준 관리(도메인, 코드 표준 관리)
데이터 오너십 관리
유용성 요구사항 관리(기능적 관리)
데이터 구조 관리(유연성 관리)
데이터 활용 관리(활용 모니터링)
접근성 사용자 뷰 관리
구조 관리(통합 관리)
적시성 요구사항 관리(비기능적 관리)
데이트 흐름 관리(흐름 주기 관리)
데이터베이스 관리(성능 관리)
보안성 데이터베이스 관리(보안 관리)
표2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정확성은 상기 도면4에 도시된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의 데이터 활용 관리(업무 규칙 검증), 데이터 표준 관리(도메인 및 코드 표준 관리) 및 데이터 오너십 관리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활용 관리(업무 규칙 검증)은 상기 정확성 데이터 품질 기준의 제1 단계와, 제2 단계와, 제3 단계와, 제4 단계 및 제5 단계 등과 관련이 있으며, 상기 데이터 표준 관리(도메인 및 코드 표준 관리)는 상기 정확성 데이터 품질 기준의 제2 단계와 관련이 있으며, 상기 데이터 오너십 관리는 상기 정확성 데이터 품질 기준의 제3 단계 및 제4 단계와 관련이 있다.
또한,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일관성은 상기 도면4에 도시된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의 데이터 구조 관리(중복 관리), 데이터 구조 관리(참조 무결성 관리), 데이터 흐름 관리(흐름 대사 관리), 데이터 표준 관리(용어 표준 관리), 데이터 표준 관리(도메인 및 코드 표준 관리) 및 데이터 오너십 관리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구조 관리(중복 관리)는 상기 일관성 데이터 품질 기준의 제1 단계, 제2 단계, 제3 단계, 제4 단계 및 제5 단계와 관련이 있으며, 상기 데이터 구조 관리(참조 무결성 관리)는 상기 일관성 데이터 품질 기준의 제1 단계, 제2 단계, 제3 단계, 제4 단계 및 제5 단계와 관련이 있으며, 상기 데이터 흐름 관리(흐름 대사 관리)는 상기 일관성 데이터 품질 기준의 제1 단계, 제2 단계, 제3 단계, 제4 단계 및 제5 단계와 관련이 있으며, 상기 데이터 표준 관리(용어 표준 관리)는 상기 일관성 데이터 품질 기준의 제2 단계 및 제3 단계와 관련이 있으며, 상기 데이터 표준 관리(도메인 및 코드 표준 관리)는 상기 일관성 데이터 품질 기준의 제2 단계 및 제3 단계와 관련이 있으며, 상기 데이터 오너십 관리는 상기 일관성 데이터 품질 기준의 제3 단계 및 제4 단계와 관련이 있다.
또한,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유용성은 상기 도면4에 도시된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의 요구사항 관리(기능적 관리), 데이터 구조 관리(유연성 관리) 및 데이터 활용 관리(활용 모니터링)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요구사항 관리(기능적 관리)는 상기 유용성 데이터 품질 기준의 제1 단계, 제2 단계, 제3 단계, 제4 단계 및 제5 단계와 관련이 있으며, 상기 데이터 구조 관리(유연성 관리)는 상기 유용성 데이터 품질 기준의 제3 단계와 관련이 있으며, 상기 데이터 활용 관리(활용 모니터링)는 상기 유용성 데이터 품질 기준의 제2 단계와 관련이 있다.
또한,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접근성은 상기 도면4에 도시된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의 사용자(120) 뷰 관리 및 구조 관리(통합 관리)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120) 뷰 관리는 상기 접근성 데이터 품질 기준의 제1 단계, 제2 단계, 제3 단계, 제4 단계 및 제5 단계와 관련이 있으며, 상기 구조 관리(통합 관리)는 상기 접근성 데이터 품질 기준의 제1 단계, 제2 단계 및 제3 단계와 관련이 있다.
또한,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적시성은 상기 도면4에 도시된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의 요구사항 관리(비기능적 관리), 데이터 흐름 관리(흐름 주기 관리)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성능 관리)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요구사항 관리(비기능적 관리)는 상기 적시성 데이터 품질 기준의 제1 단계, 제2 단계, 제3 단계, 제4 단계 및 제5 단계와 관련이 있으며, 상기 데이터 흐름 관리(흐름 주기 관리)는 상기 적시성 데이터 품질 기준의 제1 단계, 제2 단계, 제3 단계, 제4 단계 및 제5 단계와 관련이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성능 관리)는 상기 적시성 데이터 품질 기준의 제2 단계 및 제3 단계와 관련이 있다.
또한,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적시성은 상기 도면4에 도시된 상기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보안 관리)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보안 관리)는 상기 보안성 데이터 품질 기준의 제1 단계, 제2 단계, 제3 단계, 제4 단계 및 제5 단계와 관련이 있다.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데이터 품질 관리에 대한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 간 상호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를 상기 도면3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라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에 대한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해 요구되는 도면4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 간 상호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6을 참조하면, 도면4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 중 상기 데이터 활용 관리(활용 모니터링)은 요구사항 관리(기능적 관리) 및 사용자(120) 뷰 관리와 연관되며, 상기 사용자(120) 뷰 관리는 상기 요구사항 관리(기능적 관리)와 연관되며, 상기 데이터 구조 관리는 상기 요구사항 관리(기능적 관리) 및 데이터 표준 관리와 연관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관리되는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구조 관리 및 데이터 표준 관리와 연관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성능 관리)는 상기 데이터 및 요구사항 관리(비기능적 관리)와 연관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보안 관리)는 상기 데이터 및 요구사항 관리(비기능적 관리) 및 데이터 오너십 관리와 연관되며, 상기 데이터 활용 관리(업무 규칙 검증)은 상기 데이터 및 데이터 오너십 관리와 연관되며, 상기 데이트 흐름 관리는 상기 데이터 및 데이터 오너십 관리와 연관된다.
본 도면6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 간 상호관계를 기반으로 도면3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에 대한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8, 도면15, 도면22, 도면29, 도면36 및 도면43을 참조한다.
정보 검증수단(74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상기 도면3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기준과 상기 도면6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상호 관계에 따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는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본 도면7에 도시된 각각의 품질 평가 모듈은 상기 도면3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기준과 상기 도면6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상호 관계에 따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품질 평가 서버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도면7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품질 평가 서버와 상기 도면2에 도시된 전사적 품질 관리 시스템 상의 각 단말을 통신 연결하는 네트워크 수단(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본 도면7에 도시된 각각의 품질 평가 모듈은 상기 도면3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기준과 상기 도면6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상호 관계에 따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품질 평가 로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도면7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품질 평가 로직과 상기 도면2에 도시된 전사적 품질 관리 시스템 상의 각 품질관리 주체를 연결하는 업무처리 수단(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서(또는 서류) 교환 시스템)일 수 있다.
도면7을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정확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라 평가하는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일관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라 평가하는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유용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라 평가하는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접근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라 평가하는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적시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라 평가하는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상기 도면3에 도시된 보안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라 평가하는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품질 평가 모듈에서 제공하는 성숙도 단계별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성숙도 단계별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수단(735)과, 상기 성숙도 단계별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을 확인하여 상기 성숙도 단계별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성숙도 단계별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은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정확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대응하는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정확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대응하는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각각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을 검증하고, 상기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 검증결과에 대응하는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와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비교 및 인증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대한 정확성 성숙도 단계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확인된 정확성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은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일관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대응하는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일관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대응하는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각각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을 검증하고, 상기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 검증결과에 대응하는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와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비교 및 인증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대한 일관성 성숙도 단계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확인된 일관성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은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유용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대응하는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유용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대응하는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각각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을 검증하고, 상기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 검증결과에 대응하는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와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비교 및 인증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대한 유용성 성숙도 단계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확인된 유용성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은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접근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대응하는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접근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대응하는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각각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을 검증하고, 상기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 검증결과에 대응하는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와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비교 및 인증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성 성숙도 단계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확인된 접근성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은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적시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대응하는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적시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대응하는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각각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을 검증하고, 상기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 검증결과에 대응하는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와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비교 및 인증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대한 적시성 성숙도 단계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확인된 적시성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은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보안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대응하는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보안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대응하는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각각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을 검증하고, 상기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 검증결과에 대응하는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와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비교 및 인증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대한 보안성 성숙도 단계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확인된 보안성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데이터 품질 관리에 대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 간 상호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를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정확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라 상기 정확성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 간 상호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3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기준 중, 상기 정확성은 실 세계에 존재하는 객체(사건, 사물, 개념 등)의 값이 오류 없이 정확하게 저장되어 있음을 의미하며,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를 위해서는 상기 데이터가 실 세계의 사실과 같은 값을 보유하고 있는지(사실성), 코드 및 구분 값이 유효한 범위 내에 있는지(적합성), 반드시 존재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고 있는지(필수성), 연관 관계가 있는 항목의 논리상 오류는 없는지(연관성) 등을 확인해야 한다.
도면8을 참조하면, 도면6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 중 기 도면3에 도시된 정확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라 상기 정확성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는 데이터 활용 관리(업무 규칙 검증), 데이터 표준 관리(도메인, 코드 표준 관리), 데이터 오너십 관리 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활용 관리(업무 규칙 검증)는 업무 규칙 정의 및 검증을 통해 데이터의 정확성을 검증하는 프로세스이며, 상기 데이터 표준관리(도메인, 코드 표준 관리)는 코드 및 도메인의 표준 정의, 변경 및 운영하는 프로세스이며, 상기 데이터 오너십 관리는 데이터에 책임과 권한을 가진 오너를 선정해 오너를 중심으로 데이터 품질관리 제반 절차나 과정을 정의하고 실행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도면5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를 기반으로 상기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1 단계는 도입 단계로서, 데이터 품질관리의 문제점에 대해 인지하고 있으며, 관리가 필요한 업무 규칙을 정의해 검증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그러나 제반 활동이 담당자 개인적 또는 부분적으로 수행되며, 아직 정형화되어 있어 있지 못하다.
상기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2 단계는 정형화 단계로서, 관리가 필요한 업무 규칙을 명확히 식별해 표준화된 문서로 관리하며, 툴 등의 지원 도구를 활용해 체계적으로 검증 및 개선하는 단계이다. 또한 도메인 및 코드 표준을 정의해 문서로 관리하며 데이터베이스 상의 준수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개선하는 단계이다. 즉, 데이터 품질관리 검증 및 오류 개선과 관련된 제반 프로세스가 정형화되어 있다.
상기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3 단계는 통합화 단계로서, 관리가 필요한 업무 규칙에 대해 전사적 차원에서 검증을 수행하여 발생 오류의 원인을 추적해 분석하고, 오류 개선 현황을 문서화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단계이다. 즉, 전사적인 관점에서 데이터 품질관리 검증, 추적, 개선 관리가 안정적으로 운용되고 있어, 전사 차원의 데이터 품질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4 단계는 정량화 단계로서, 관리가 필요한 업무 규칙에 대한 검증 결과 또는 데이터 오류 개선 결과에 대해 정량적인 목표를 부여하고 측정 지표를 적용해 주기적으로 성과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또한 데이터 오류 내역을 지식화하여 관리하며 필요에 따라 관련 프로세스 담당자의 책임과 역할을 조정하는 단계이다. 즉, 전사 차원에서 정량적으로 데이터 품질관리 수행되고 있다.
상기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5 단계는 최적화 단계로서, 지식화(예컨대, 전사적으로 공유)되어 관리되고 있는 업무 규칙과 오류 패턴을 분석하여 데이터 품질관리 문제 발생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고 지속적인 프로세스 개선 활동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즉, 현재의 품질관리 최적화 뿐만 아니라 향후의 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도면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는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정확성 데이터 품질 기준과 상기 도면6에 도시된 정확성 품질관리 프로세스 상호 관계에 따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에 대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는 시스템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9에 도시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에서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시스템 상의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를 검증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와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비교 및 인증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에 대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는 주체를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따르는 본 도면9를 참조하면,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은, 상기 도면2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해당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수단(735)과, 상기 데이터 품질평가 주체에 해당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을 통해 입력된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산출물을 확인한 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검증수단(740)과,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을 통해 입력된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와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을 통해 입력된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에 대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는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 정보 검증수단(740) 및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은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호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예컨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및/또는 케이블 통신망)를 통해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과 통신 연결되는 데스크탑 컴퓨터 및/또는 노트북을 포함하는 유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및/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이동 통신망에 연결되는 이동 통신단말, 및/또는 IEEE 802.16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에 연결되는 휴대 인터넷 단말, 및/또는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연결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 및/또는 선택하여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로 제공하기 위한 기능 구성(예컨대, 브라우져 프로그램과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의 특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TCP/IP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CDMA 기반의 이동 통신망, 및/또는 IEEE 802.16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 및/또는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과 구비된 정확성 품질 평가 로직에 대응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전사적 데이터 품질 평가 업무 로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인터페이스 수단에 대응하는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 및 관리하는 인터페이스부(9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유선 네트워크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연결되는 웹서버의 기능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TCP/IP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90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호환 문서 형태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선택)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CDMA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90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및/또는 ME(Mobile Explorer)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및/또는 HTML 호환 문서 형태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IEEE 802.16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90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상기 IEEE 802.16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90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상기 DataTAC/Mobitex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전사적 데이터 품질 평가 업무 로직에 대응하여 데이터 품질 평가 기관에 구비된 정확성 품질 평가 로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9를 참조하면,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은 상기 인터페이스부(900)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여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905)와, 상기 인터페이스부(900)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는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9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905)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 구비된 기능구성(예컨대, 정보 입력수단(735)에 구비된 브라우져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로 전송할 수 있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900)와 연동하여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는 해당 성숙도 단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와, 각각의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사용자(120)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필수 항목을 정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범위가 정의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필수 항목의 사전/사후 체크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사실성을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가 표준을 준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속성값의 연관성을 정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오류 원일에 대한 추적 및 대응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오너 책임제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정확성 측정 지표를 개발하여 평가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오류 해결에 대한 지식 추적이 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오너의 성과 관리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오류 근본 원인 제거 작업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며,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로 전송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91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전송시, 상기 인터페이스부(900)와 연동하여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예컨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및/또는 케이블 통신망)를 통해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과 통신 연결되는 데스크탑 컴퓨터 및/또는 노트북을 포함하는 유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및/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이동 통신망에 연결되는 이동 통신단말, 및/또는 IEEE 802.16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에 연결되는 휴대 인터넷 단말, 및/또는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연결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 및/또는 선택하여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로 제공하기 위한 기능 구성(예컨대, 브라우져 프로그램과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의 특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TCP/IP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CDMA 기반의 이동 통신망, 및/또는 IEEE 802.16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 및/또는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과 구비된 정확성 품질 평가 로직에 대응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전사적 데이터 품질 평가 업무 로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은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인터페이스 수단에 대응하는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 및 관리하는 인터페이스부(9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은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유선 네트워크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연결되는 웹서버의 기능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TCP/IP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90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호환 문서 형태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선택)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CDMA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90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및/또는 ME(Mobile Explorer)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및/또는 HTML 호환 문서 형태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IEEE 802.16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90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상기 IEEE 802.16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90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상기 DataTAC/Mobitex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전사적 데이터 품질 평가 업무 로직에 대응하여 데이터 품질 평가 기관에 구비된 정확성 품질 평가 로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9를 참조하면,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900)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여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905)와, 상기 인터페이스부(900)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는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9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90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 구비된 기능구성(예컨대, 정보 검증수단(740)에 구비된 브라우져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로 전송할 수 있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900)와 연동하여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는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는 소정의 심사관이 해당 성숙도 단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사용자(120)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필수 항목을 정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설계문서(또는 ER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범위가 정의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설계문서(또는 ERD) 및/또는 코드정의 문서 또는 코드 테이블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필수 항목의 사전/사후 체크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설계문서(또는 ERD) 및/또는 필수 항목 점검 결과 기록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사실성을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사실성 점검 항목 목록 및/또는 사실성 점검 결과 기록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가 표준을 준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도메인 표준정의 문서 및/또는 코드 표준정의 문서(또는 코드 테이블) 및/또는 규정 관련 문서 및/또는 조직도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속성값의 연관성을 정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설계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오류 원일에 대한 추적 및 대응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오류 대응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오너 책임제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규정 문서 및/또는 요건 정의서 및/또는 점검결과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정확성 측정 지표를 개발하여 평가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측정 지표 정의 문서 및/또는 측정 결과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오류 해결에 대한 지식 추적이 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오류 지식 D/B(또는 오류 대응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오너의 성과 관리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오너 성과 관리 기준 문서 및/또는 오너 평가 결과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오류 근본 원인 제거 작업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오류 원인 제거 문서 및/또는 프로세스 개선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며,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로 전송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91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전송시, 상기 인터페이스부(900)와 연동하여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9를 참조하면, 상기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가 제공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와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정확성 성숙도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915)와, 상기 확인된 정확성 성숙도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9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확인부(915)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9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9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반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9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예컨대, 상기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9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9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도입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9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도입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또는, 상기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9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9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형화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9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형화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또는, 상기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9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9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통합화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9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통합화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또는, 상기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9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9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량화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9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량화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또는, 상기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9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9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최적화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9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최적화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도면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0은 상기 도면9에 도시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정확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10에서 상기 도면9에 도시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10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9에 도시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10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10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필수 항목을 정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범위가 정의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10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10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1020).
만약 상기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10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0 단계(미도입 단계)로 확인하고(10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0 단계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1035).
반면 상기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1025), 상기 평가모듈은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10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10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10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필수 항목을 정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설계문서(또는 ER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범위가 정의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설계문서(또는 ERD) 및/또는 코드정의 문서 또는 코드 테이블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10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1060).
만약 상기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10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0 단계(미도입 단계)로 확인하고(10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0 단계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1035).
반면 상기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1065), 상기 평가모듈은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1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1은 상기 도면9에 도시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정확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11에서 상기 도면9에 도시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11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9에 도시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11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11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필수 항목의 사전/사후 체크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사실성을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가 표준을 준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속성값의 연관성을 정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11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11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1120).
만약 상기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11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1 단계으로 확인하고(11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1135).
반면 상기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1125), 상기 평가모듈은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11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11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11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필수 항목의 사전/사후 체크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설계문서(또는 ERD) 및/또는 필수 항목 점검 결과 기록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사실성을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사실성 점검 항목 목록 및/또는 사실성 점검 결과 기록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가 표준을 준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도메인 표준정의 문서 및/또는 코드 표준정의 문서(또는 코드 테이블) 및/또는 규정 관련 문서 및/또는 조직도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속성값의 연관성을 정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설계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11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1160).
만약 상기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11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1 단계로 확인하고(11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1135).
반면 상기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1165), 상기 평가모듈은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1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2는 상기 도면9에 도시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정확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12에서 상기 도면9에 도시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12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9에 도시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12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12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오류 원일에 대한 추적 및 대응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오너 책임제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12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12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1220).
만약 상기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12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2 단계으로 확인하고(12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1235).
반면 상기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1225), 상기 평가모듈은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12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12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12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오류 원일에 대한 추적 및 대응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오류 대응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오너 책임제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규정 문서 및/또는 요건 정의서 및/또는 점검결과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12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1260).
만약 상기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12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2 단계로 확인하고(12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1235).
반면 상기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1265), 상기 평가모듈은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1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3은 상기 도면9에 도시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정확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13에서 상기 도면9에 도시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13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9에 도시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13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13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는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정확성 측정 지표를 개발하여 평가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오류 해결에 대한 지식 추적이 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오너의 성과 관리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13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13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1320).
만약 상기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13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3 단계으로 확인하고(13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1335).
반면 상기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1325), 상기 평가모듈은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13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13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13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정확성 측정 지표를 개발하여 평가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측정 지표 정의 문서 및/또는 측정 결과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오류 해결에 대한 지식 추적이 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오류 지식 D/B(또는 오류 대응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오너의 성과 관리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오너 성과 관리 기준 문서 및/또는 오너 평가 결과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13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1360).
만약 상기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13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3 단계로 확인하고(13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1335).
반면 상기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1365), 상기 평가모듈은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1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4는 상기 도면9에 도시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정확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14에서 상기 도면9에 도시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700)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14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9에 도시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14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14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오류 근본 원인 제거 작업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14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14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1420).
만약 상기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14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4 단계로 확인하고(14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1435).
반면 상기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1425), 상기 평가모듈은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14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14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14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오류 근본 원인 제거 작업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오류 원인 제거 문서 및/또는 프로세스 개선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14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1460).
만약 상기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14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4 단계로 확인하고(14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1435).
반면 상기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14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5 단계로 확인하고(147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1475).
도면1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데이터 품질 관리에 대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 간 상호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5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를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일관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라 상기 일관성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 간 상호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3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기준 중, 상기 일관성은 동일한 데이터간에 통일성이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의미하는 품질 기준으로서, 여기에는 서로 다른 곳에 존재하는 동일한 데이터가 항상 일치하는지(정합성), 동일한 용어를 동일하게 정의하여 사용하는지(일치성), 정의한 규칙에 맞게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무결성) 등을 확인해야 한다.
도면15를 참조하면, 도면6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 중 기 도면3에 도시된 일관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라 상기 일관성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는 데이터 구조 관리(중복 관리 / 참조무결성 관리), 데이터 흐름 관리(흐름 대사 관리), 데이터 표준 관리(용어 표준 관리 / 도메인, 코드 표준 관리) , 데이터 오너십 관리 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데이터 구조관리(중복 관리 / 참조무결성 관리)는 데이터 모델의 정의 및 변경 및 테이블과 레코드에 대한 제반 관리 활동을 정해진 원칙과 표준에 근거해 관리하는 프로세스이고, 데이터 흐름 관리(흐름 대사 관리)는 소스에서 타깃까지의 데이터 흐름에 대한 검증을 통해 소스와 타깃의 데이터를 대사하는 프로세스이며, 데이터 표준 관리(용어 표준 관리 / 도메인, 코드 표준 관리) 표준 원칙 정의 및 표준 정의, 표준 변경, 표준 적용 통제의 전 과정을 관리하는 프로세스이고, 마지막으로 데이터 오너십 관리는 보안, 업무 규칙, 데이터 흐름, 표준, 데이터베이스의 모든 데이터에 대해 책임과 역할을 지정하고 평가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도면5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를 기반으로 상기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1 단계는 도입 단계로서, 데이터 중복에 대한 정의, 데이터 간의 관계 정의가 포함된 테이블 및 컬럼 등에 대한 문서가 존재하고 중복 컬럼과 정의된 데이터간의 관계를 주기적으로 검증하는 단계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상의 프로그램과 매핑되는 구조간의 데이터 흐름에 대해 정의한 문서가 존재하며, 매핑 로직을 별도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검증하고 수행 결과 에러 리스트를 관리한다.
상기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2 단계는 정형화 단계로서, 전사 용어, 도메인, 코드를 정의한 문서가 있으며, 중복 데이터에 대한 정의와 데이터간의 관계 정의가 명시되어 있다. 또한 테이블 및 컬럼의 관계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는 정형화된 방법(ERD 등)이 존재하며 표준을 이용하여 구조에 대한 표준 준수 확인 절차를 수립하여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단계이다. 트리커나(Trigger)나 프로그램을 이용해 데이터의 일치성을 보장하며, 상기 데이터 흐름은 툴(Tool)이나 정형화된 방법에 의해 일괄 진행하며 매핑 로직에 대한 체크, 레이아웃(Layout) 변경 체크, 흐름 진행 시 작업상태 체크 등을 수행하고 흐름 모니터링 시 발생한 에러 통제방법 및 절차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3 단계는 통합화 단계로서, 표준에 정의된 테이블과 프로그램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고, 표준 변경 시에는 영향도 분석을 수행하며 비표준 내역을 조회할 수 있는 단계이다. 중복에 대한 정의와 데이터간의 관계가 명시되어 있고 테이블 및 컬럼의 관계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는 정형화된 방법(ERD 등)이 전사적으로 일관되게 존재하고 유지된다. 전사적 차원에서 표준에 대한 검증 결과 각종 오류에 대한 담당자를 추적하여 원인 분석을 수행하고 관련 담당자의 오류 개선 현황을 문서 또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전사적인 관점에서 데이터 검증, 오류 추적, 처리 상태가 정성적으로 관리되어 진다.
상기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4 단계는 정량화 단계로서, 표준 정의와 표준 준수, 테이블 및 컬럼의 관계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는 정형화된 방법(ERD 등)에 대한 검증의 오류 분석에 대한 정량적인 목표를 부여하고 측정지표를 이용해 주기적으로 성과 측정을 실시해 오류 결과를 지식화하며, 필요에 따라 역할과 책임을 조정하는 단계이다. 전사 관점에서 볼 때 정성적인 관리에서 정량적인 관리로 품질관리 수준이 발전되고 품질에 대한 성과가 명확히 측정되며 지식화 된다.
상기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5 단계는 최적화 단계로서, 지식화(예컨대, 전사적으로 공유) 되어 관리 되고있는 표준 정의와 표준 준수, 테이블 및 컬럼의 관계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는 정형화된 방법(ERD 등)에 대한 검증의 오류 패턴을 분석하여 근본 원인을 제거하고 관련 프로세스에 대한 개선 활동을 수행해 지속적으로 기록 및 관리하는 단계이다. 현재의 품질관리 최적화 뿐만 아니라 향후의 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정보 확인부(1615)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6은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일관성 데이터 품질 기준과 상기 도면6에 도시된 일관성 품질관리 프로세스 상호 관계에 따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에 대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는 시스템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1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16에 도시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에서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시스템 상의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를 검증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와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비교 및 인증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에 대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는 주체를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따르는 본 도면16을 참조하면,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은, 상기 도면2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해당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수단(735)과, 상기 데이터 품질평가 주체에 해당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을 통해 입력된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산출물을 확인한 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검증수단(740)과,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을 통해 입력된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와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을 통해 입력된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에 대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는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 정보 검증수단(740) 및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은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호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예컨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및/또는 케이블 통신망)를 통해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과 통신 연결되는 데스크탑 컴퓨터 및/또는 노트북을 포함하는 유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및/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이동 통신망에 연결되는 이동 통신단말, 및/또는 IEEE 802.16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에 연결되는 휴대 인터넷 단말, 및/또는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연결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 및/또는 선택하여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로 제공하기 위한 기능 구성(예컨대, 브라우져 프로그램과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의 특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TCP/IP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CDMA 기반의 이동 통신망, 및/또는 IEEE 802.16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 및/또는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과 구비된 일관성 품질 평가 로직에 대응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전사적 데이터 품질 평가 업무 로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인터페이스 수단에 대응하는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 및 관리하는 인터페이스부(16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유선 네트워크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연결되는 웹서버의 기능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TCP/IP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160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호환 문서 형태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선택)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CDMA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160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및/또는 ME(Mobile Explorer)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및/또는 HTML 호환 문서 형태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IEEE 802.16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160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상기 IEEE 802.16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160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상기 DataTAC/Mobitex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전사적 데이터 품질 평가 업무 로직에 대응하여 데이터 품질 평가 기관에 구비된 일관성 품질 평가 로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16을 참조하면,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은 상기 인터페이스부(1600)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여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1605)와, 상기 인터페이스부(1600)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는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16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1605)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 구비된 기능구성(예컨대, 정보 입력수단(735)에 구비된 브라우져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로 전송할 수 있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1600)와 연동하여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는 해당 성숙도 단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와, 각각의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사용자(120)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의 중복이 파악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식별자를 명확히 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흐름이 파악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중 중복 데이터에 대한 검증 및 대사 작업이 수행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참조 무결성이 적용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가 표준을 준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흐름을 검증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전사적인 차원의 중복 데이터가 파악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전사적인 데이터 흐름이 파악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오류 원인 추적 및 대응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표준 데이터 연계성을 파악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를 오너 중심으로 관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의 오류 해결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오너별 성과를 측정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중 중복 데이터의 근본 원인 제거 작업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참조 무결성이 최적화되었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흐름 대사가 최적화되었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며,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로 전송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161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전송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0)와 연동하여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예컨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및/또는 케이블 통신망)를 통해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과 통신 연결되는 데스크탑 컴퓨터 및/또는 노트북을 포함하는 유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및/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이동 통신망에 연결되는 이동 통신단말, 및/또는 IEEE 802.16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에 연결되는 휴대 인터넷 단말, 및/또는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연결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 및/또는 선택하여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로 제공하기 위한 기능 구성(예컨대, 브라우져 프로그램과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의 특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TCP/IP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CDMA 기반의 이동 통신망, 및/또는 IEEE 802.16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 및/또는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과 구비된 일관성 품질 평가 로직에 대응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전사적 데이터 품질 평가 업무 로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은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인터페이스 수단에 대응하는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 및 관리하는 인터페이스부(16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은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유선 네트워크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연결되는 웹서버의 기능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TCP/IP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160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호환 문서 형태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선택)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CDMA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160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및/또는 ME(Mobile Explorer)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및/또는 HTML 호환 문서 형태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IEEE 802.16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160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상기 IEEE 802.16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160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상기 DataTAC/Mobitex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전사적 데이터 품질 평가 업무 로직에 대응하여 데이터 품질 평가 기관에 구비된 일관성 품질 평가 로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16을 참조하면,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1600)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여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1605)와, 상기 인터페이스부(1600)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는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16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160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 구비된 기능구성(예컨대, 정보 검증수단(740)에 구비된 브라우져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로 전송할 수 있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1600)와 연동하여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는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는 소정의 심사관이 해당 성숙도 단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사용자(120)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의 중복이 파악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중복 데이터 목록(또는 ER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식별자를 명확히 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의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흐름이 파악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소스-타겟 매핑 정의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중 중복 데이터에 대한 검증 및 대사 작업이 수행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중복 데이터 파악 문서 및/또는 중복 데이터 대사 결과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참조 무결성이 적용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ERD(또는 참조 무결성 정의 문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가 표준을 준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코드 표준정의 문서(또는 코드 테이블) 및/또는 용어 표준 문서 및/또는 규정 관련 문서 및/또는 조직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흐름을 검증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소스-타겟 검증 시나리오 및/또는 소스-타겟 검증 결과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전사적인 차원의 중복 데이터가 파악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중복 데이터 처리 방안 문서(또는 개념모델 ERD) 및/또는 중복 데이터 일치성 검증결과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전사적인 데이터 흐름이 파악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흐름 처리 기준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오류 원인 추적 및 대응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오류 대응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표준 데이터 연계성을 파악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연계성 파악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를 오너 중심으로 관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규정(또는 점검결과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의 오류 해결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오류 지식 D/B(또는 오류 대응 문서) 및/또는 품질 측정 지표(또는 측정 결과 정리 문서) 및/또는 오류 대응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오너별 성과를 측정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오너 평가 결과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중 중복 데이터의 근본 원인 제거 작업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오류 원인 제거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참조 무결성이 최적화되었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오류 원인 제거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며,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로 전송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161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전송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0)와 연동하여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16을 참조하면, 상기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가 제공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와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일관성 성숙도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1615)와, 상기 확인된 일관성 성숙도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6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확인부(1615)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16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16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반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16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예컨대, 상기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16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16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도입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16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도입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또는, 상기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16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16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형화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16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형화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또는, 상기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16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16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통합화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16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통합화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또는, 상기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16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16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량화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16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량화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또는, 상기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16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16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최적화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16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최적화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도면1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7은 상기 도면16에 도시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일관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1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17에서 상기 도면16에 도시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17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16에 도시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17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17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의 중복이 파악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식별자를 명확히 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흐름이 파악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17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17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1720).
만약 상기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17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0 단계으로 확인하고(17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0 단계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1735).
반면 상기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1725), 상기 평가모듈은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17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17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17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의 중복이 파악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중복 데이터 목록(또는 ER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식별자를 명확히 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의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흐름이 파악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소스-타겟 매핑 정의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17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1760).
만약 상기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17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0 단계으로 확인하고(17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0 단계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1735).
반면 상기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1765), 상기 평가모듈은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1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8은 상기 도면16에 도시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일관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1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18에서 상기 도면16에 도시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18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16에 도시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18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18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중 중복 데이터에 대한 검증 및 대사 작업이 수행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참조 무결성이 적용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가 표준을 준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흐름을 검증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18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18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1820).
만약 상기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18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1 단계으로 확인하고(18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1835).
반면 상기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1825), 상기 평가모듈은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18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18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18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중 중복 데이터에 대한 검증 및 대사 작업이 수행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중복 데이터 파악 문서 및/또는 중복 데이터 대사 결과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참조 무결성이 적용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ERD(또는 참조 무결성 정의 문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가 표준을 준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코드 표준정의 문서(또는 코드 테이블) 및/또는 용어 표준 문서 및/또는 규정 관련 문서 및/또는 조직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흐름을 검증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소스-타겟 검증 시나리오 및/또는 소스-타겟 검증 결과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18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1860).
만약 상기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18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1 단계로 확인하고(18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1835).
반면 상기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1865), 상기 평가모듈은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1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9는 상기 도면16에 도시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일관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1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19에서 상기 도면16에 도시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19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16에 도시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19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19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전사적인 차원의 중복 데이터가 파악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전사적인 데이터 흐름이 파악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오류 원인 추적 및 대응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표준 데이터 연계성을 파악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를 오너 중심으로 관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19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19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1920).
만약 상기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19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2 단계으로 확인하고(19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1935).
반면 상기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1925), 상기 평가모듈은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19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19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19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전사적인 차원의 중복 데이터가 파악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중복 데이터 처리 방안 문서(또는 개념모델 ERD) 및/또는 중복 데이터 일치성 검증결과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전사적인 데이터 흐름이 파악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흐름 처리 기준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오류 원인 추적 및 대응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오류 대응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표준 데이터 연계성을 파악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연계성 파악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를 오너 중심으로 관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규정(또는 점검결과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19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1960).
만약 상기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19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2 단계로 확인하고(19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1935).
반면 상기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1965), 상기 평가모듈은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2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0은 상기 도면16에 도시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일관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0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1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20에서 상기 도면16에 도시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20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16에 도시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20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20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의 오류 해결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오너별 성과를 측정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20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20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2020).
만약 상기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20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3 단계으로 확인하고(20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2035).
반면 상기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2025), 상기 평가모듈은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20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20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20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의 오류 해결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오류 지식 D/B(또는 오류 대응 문서) 및/또는 품질 측정 지표(또는 측정 결과 정리 문서) 및/또는 오류 대응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오너별 성과를 측정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오너 평가 결과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20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2060).
만약 상기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20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3 단계로 확인하고(20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2035).
반면 상기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2065), 상기 평가모듈은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2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1은 상기 도면16에 도시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일관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1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21에서 상기 도면16에 도시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705)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21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16에 도시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21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21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중 중복 데이터의 근본 원인 제거 작업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참조 무결성이 최적화되었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흐름 대사가 최적화되었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21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21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2120).
만약 상기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21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4 단계로 확인하고(21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2135).
반면 상기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2125), 상기 평가모듈은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21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21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21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중 중복 데이터의 근본 원인 제거 작업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오류 원인 제거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참조 무결성이 최적화되었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오류 원인 제거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21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2160).
만약 상기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21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4 단계로 확인하고(21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2135).
반면 상기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21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5 단계로 확인하고(217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2175).
도면2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데이터 품질 관리에 대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 간 상호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를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유용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라 상기 유용성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 간 상호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3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기준 중, 상기 유용성은 제공 데이터가 조직 및 사용자(120)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충족 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의미하는 품질 기준이다. 즉, 요구사항에 적합한 충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지, 데이터 구조가 유연하여 다양한 요구사항을 수용할 수 있는 지, 사용 현황을 분석하여 관리하고 있는지 등을 확인해야 한다.
도면22를 참조하면, 도면6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 중 기 도면3에 도시된 유용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라 상기 유용성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는 요구사항 관리(기능적 관리), 데이터 구조 관리 (유연성 관리), 데이터 활용 관리(활용 모니터링) 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요구사항 관리(기능적 관리)는 기능적 업무 요건, 업무 및 시스템 분석, 우선 순위 결정 등을 관리하는 프로세스이며, 데이터 구조 관리 (유연성 관리)는 신규 요건 및 요건 변경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로 설계하기 위한 프로세스이고, 데이터 활용 관리(활용 모니터링)는 사용자(120)의 활용 현황을 모니터링하여 자원 배분 및 사용자(120)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도면5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를 기반으로 상기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1 단계는 도입 단계로서, 요구사항이 정의되는 단계로 사용자(120) 요건을 수집 및 처리하여 문서로 기록하며, 요건 대응상의 문제점 및 한계를 파악하여 이해 당사자간의 협의가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그러나 제반 활동이 않으며 담당자 개인적 또는 부분적으로 수행되며 정형화되어 있지 않은 단계이다.
상기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2 단계는 정형화 단계로서, 요건의 수집 및 확인, 요건에 대한 대응 절차가 수립되어 있으며 요건에 따른 변경 작업은 담당자의 승인을 얻어 실시하는 단계이다. 또한 사용자(120)를 위한 교육 및 가이드를 제공하며 데이터 활용 현황을 점검하여 사용자(120)의 불만이나 개선 요구 사항을 파악하여 조치하는 단계이다. 즉, 요구사항 관리와 관련된 제반 절차가 정형화되어 있는 단계이다.
상기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3 단계는 통합화 단계로서, 데이터 구조는 요구 사항을 기반으로 설계되며 신규 요구 사항의 발생이나 요건 변경에 따른 데이터 구조의 변경 영향도를 평가하고 있으며, 전사적인 데이터 구조 관리를 위한 조직이 존재하는 단계이다. 전사적인 요건 협의를 위한 조직과 절차가 정의되어 있으며 요건 대응을 위한 자원 배분의 우선 순위가 정의/관리되고 요구 사항과 프로젝트 계획 및 산출물 간의 양방향 추적 가능성이 유지된다. 즉 전사 차원의 데이터 구조 및 요건 관리가 수행되는 단계이다.
상기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4 단계는 정량화 단계로서, 조직 구성원에게 데이터 품질에 대한 정량적인 목표를 부여하고 측정 지표를 적용하여 주기적으로 성과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기능적 요건에 대한 대응 지식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지식화하고 필요에 따라 관련 담당자의 역할과 책임을 조정하는 단계이다. 전사 관점에서 정성적인 관리에서 정량적인 관리로 전이되고 품질에 대한 성과가 명확히 측정되고 지식화되는 단계이다.
상기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5 단계는 최적화 단계로서, 업계의 최고 실시예를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유지, 발전시키고 데이터 활용 기술 및 동향을 파악하여 적용하며 한정된 자원을 최적화하여 데이터 활용도를 극대화한다.
도면2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3은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유용성 데이터 품질 기준과 상기 도면6에 도시된 유용성 품질관리 프로세스 상호 관계에 따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에 대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는 시스템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2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23에 도시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에서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시스템 상의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를 검증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와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비교 및 인증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에 대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는 주체를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따르는 본 도면23을 참조하면,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은, 상기 도면2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해당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수단(735)과, 상기 데이터 품질평가 주체에 해당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을 통해 입력된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산출물을 확인한 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검증수단(740)과,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을 통해 입력된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와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을 통해 입력된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에 대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는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 정보 검증수단(740) 및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은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호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예컨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및/또는 케이블 통신망)를 통해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과 통신 연결되는 데스크탑 컴퓨터 및/또는 노트북을 포함하는 유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및/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이동 통신망에 연결되는 이동 통신단말, 및/또는 IEEE 802.16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에 연결되는 휴대 인터넷 단말, 및/또는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연결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 및/또는 선택하여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로 제공하기 위한 기능 구성(예컨대, 브라우져 프로그램과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의 특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TCP/IP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CDMA 기반의 이동 통신망, 및/또는 IEEE 802.16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 및/또는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과 구비된 유용성 품질 평가 로직에 대응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전사적 데이터 품질 평가 업무 로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인터페이스 수단에 대응하는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 및 관리하는 인터페이스부(23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유선 네트워크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연결되는 웹서버의 기능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TCP/IP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230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호환 문서 형태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선택)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CDMA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230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및/또는 ME(Mobile Explorer)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및/또는 HTML 호환 문서 형태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IEEE 802.16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230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상기 IEEE 802.16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230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상기 DataTAC/Mobitex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전사적 데이터 품질 평가 업무 로직에 대응하여 데이터 품질 평가 기관에 구비된 유용성 품질 평가 로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23을 참조하면,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은 상기 인터페이스부(2300)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여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2305)와, 상기 인터페이스부(2300)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는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23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2305)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 구비된 기능구성(예컨대, 정보 입력수단(735)에 구비된 브라우져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로 전송할 수 있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2300)와 연동하여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는 해당 성숙도 단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와, 각각의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사용자(120)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을 정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에 대응하는 문제점을 파악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을 정형화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 대응을 위한 구조 관리를 정형화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에 체계적으로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활용도를 점검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요건을 전사적으로 조율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의 전사적인 연계성을 수립했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전사적인 데이터 구조를 수립했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활용의 향상을 위해 자원은 분배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에 대한 대응 지식을 축적했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의 구조적 대응에 대한 지식을 축적했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활용도를 평가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의 내부/외부 동향을 파악하고 반영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업계 최고 실시예를 수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활용도를 최적화하여 관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며,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로 전송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231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전송시, 상기 인터페이스부(2300)와 연동하여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예컨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및/또는 케이블 통신망)를 통해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과 통신 연결되는 데스크탑 컴퓨터 및/또는 노트북을 포함하는 유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및/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이동 통신망에 연결되는 이동 통신단말, 및/또는 IEEE 802.16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에 연결되는 휴대 인터넷 단말, 및/또는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연결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 및/또는 선택하여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로 제공하기 위한 기능 구성(예컨대, 브라우져 프로그램과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의 특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TCP/IP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CDMA 기반의 이동 통신망, 및/또는 IEEE 802.16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 및/또는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과 구비된 유용성 품질 평가 로직에 대응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전사적 데이터 품질 평가 업무 로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은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인터페이스 수단에 대응하는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 및 관리하는 인터페이스부(23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은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유선 네트워크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연결되는 웹서버의 기능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TCP/IP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230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호환 문서 형태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선택)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CDMA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230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및/또는 ME(Mobile Explorer)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및/또는 HTML 호환 문서 형태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IEEE 802.16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230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상기 IEEE 802.16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230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상기 DataTAC/Mobitex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전사적 데이터 품질 평가 업무 로직에 대응하여 데이터 품질 평가 기관에 구비된 유용성 품질 평가 로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23을 참조하면,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2300)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여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2305)와, 상기 인터페이스부(2300)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는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23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230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 구비된 기능구성(예컨대, 정보 검증수단(740)에 구비된 브라우져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로 전송할 수 있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2300)와 연동하여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는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는 소정의 심사관이 해당 성숙도 단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사용자(120)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을 정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요구사항 정의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에 대응하는 문제점을 파악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요구사항 정의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을 정형화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규정(또는 절차) 및/또는 표준 문서 탬플릿 및/또는 조직 및/또는 요구사항 변경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 대응을 위한 구조 관리를 정형화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규정 관련 문서 및/또는 조직도 및/또는 요구사항 추적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에 체계적으로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구현일정 계획표(또는 진도관리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활용도를 점검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요구사항 추적 문서 및/또는 요구사항 접수/조치 문서 및/또는 교육 계획/결과 문서(또는 교육 교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요건을 전사적으로 조율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회의록 및/또는 조직 및/또는 요구사항 정의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의 전사적인 연계성을 수립했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요구사항 변경 이력 관리 문서(또는 요구사항 추적 문서) 및/또는 요구사항 정의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활용의 향상을 위해 자원은 분배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한 모니터링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의 구조적 대응에 대한 지식을 축적했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측정 지표 정의 문서 및/또는 데이터 활용도 평가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업계 최고 실시예를 수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업계 구조 정보 관련 문서 및/또는 데이터 구조 관련 기술 및 동향 파악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활용도를 최적화하여 관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며,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로 전송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231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전송시, 상기 인터페이스부(2300)와 연동하여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23을 참조하면, 상기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가 제공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와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유용성 성숙도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2315)와, 상기 확인된 유용성 성숙도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23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확인부(2315)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23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23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반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23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예컨대, 상기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23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23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도입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23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도입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또는, 상기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23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23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형화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23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형화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또는, 상기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23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23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통합화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23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통합화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또는, 상기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23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23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량화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23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량화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또는, 상기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23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23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최적화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23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최적화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도면2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4는 상기 도면23에 도시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유용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2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24에서 상기 도면23에 도시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24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23에 도시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24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24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을 정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에 대응하는 문제점을 파악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24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24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2420).
만약 상기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24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0 단계으로 확인하고(24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0 단계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2435).
반면 상기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2425), 상기 평가모듈은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24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24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24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을 정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요구사항 정의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에 대응하는 문제점을 파악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요구사항 정의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24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2460).
만약 상기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24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0 단계으로 확인하고(24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0 단계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2435).
반면 상기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2465), 상기 평가모듈은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2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5는 상기 도면23에 도시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유용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2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25에서 상기 도면23에 도시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25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23에 도시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25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25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을 정형화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 대응을 위한 구조 관리를 정형화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에 체계적으로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활용도를 점검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25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25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2520).
만약 상기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25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1 단계으로 확인하고(25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2535).
반면 상기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2525), 상기 평가모듈은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25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25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25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을 정형화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규정(또는 절차) 및/또는 표준 문서 탬플릿 및/또는 조직 및/또는 요구사항 변경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 대응을 위한 구조 관리를 정형화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규정 관련 문서 및/또는 조직도 및/또는 요구사항 추적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에 체계적으로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구현일정 계획표(또는 진도관리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활용도를 점검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요구사항 추적 문서 및/또는 요구사항 접수/조치 문서 및/또는 교육 계획/결과 문서(또는 교육 교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25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2560).
만약 상기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25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1 단계로 확인하고(25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2535).
반면 상기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2565), 상기 평가모듈은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2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6은 상기 도면23에 도시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유용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2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26에서 상기 도면23에 도시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26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23에 도시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26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26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요건을 전사적으로 조율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의 전사적인 연계성을 수립했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전사적인 데이터 구조를 수립했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활용의 향상을 위해 자원은 분배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26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26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2620).
만약 상기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26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2 단계으로 확인하고(26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2635).
반면 상기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2625), 상기 평가모듈은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26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26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26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요건을 전사적으로 조율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회의록 및/또는 조직 및/또는 요구사항 정의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의 전사적인 연계성을 수립했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요구사항 변경 이력 관리 문서(또는 요구사항 추적 문서) 및/또는 요구사항 정의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활용의 향상을 위해 자원은 분배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한 모니터링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26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2660).
만약 상기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26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2 단계로 확인하고(26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2635).
반면 상기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2665), 상기 평가모듈은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2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7은 상기 도면23에 도시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유용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2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27에서 상기 도면23에 도시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27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23에 도시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27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27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에 대한 대응 지식을 축적했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의 구조적 대응에 대한 지식을 축적했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활용도를 평가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27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27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2720).
만약 상기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27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3 단계으로 확인하고(27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2735).
반면 상기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2725), 상기 평가모듈은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27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27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27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의 구조적 대응에 대한 지식을 축적했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측정 지표 정의 문서 및/또는 데이터 활용도 평가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27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2760).
만약 상기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27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3 단계로 확인하고(27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2735).
반면 상기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2765), 상기 평가모듈은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2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8은 상기 도면23에 도시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유용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2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28에서 상기 도면23에 도시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710)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28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23에 도시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28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28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요건의 내부/외부 동향을 파악하고 반영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업계 최고 실시예를 수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활용도를 최적화하여 관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28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28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2820).
만약 상기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28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4 단계로 확인하고(28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2835).
반면 상기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2825), 상기 평가모듈은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28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28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28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업계 최고 실시예를 수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업계 구조 정보 관련 문서 및/또는 데이터 구조 관련 기술 및 동향 파악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활용도를 최적화하여 관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28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2860).
만약 상기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28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4 단계로 확인하고(28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2835).
반면 상기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28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5 단계로 확인하고(287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2875).
도면2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데이터 품질 관리에 대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 간 상호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9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를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접근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라 상기 접근성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 간 상호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3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기준 중, 상기 접근성은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120) 만족도를 충족시키기 위해 데이터 자체의 품질은 물론, 데이터를 효율적 및 효과적으로 제공하는데 필요한 인터페이스 등 제반 서비스 품질을 확보해야 한다. 상기 접근성은 사용자(120)가 원하는 데이터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품질 기준이다.
도면29를 참조하면, 도면6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 중 기 도면3에 도시된 접근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라 상기 접근성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는 사용자(120) 뷰 관리, 데이터 구조 관리(통합 관리)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사용자(120) 뷰 관리는 사용자(120)와 데이터간의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프로세스이며, 데이터 구조 관리(통합 관리)는 여러 시스템에 분산된 데이터를 일관된 관점의 데이터 구조로 통합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도면5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를 기반으로 상기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1 단계는 도입 단계로서, 메뉴 구조 및 사이트 맵이 제공되며 사용자(120) 뷰에 대한 참조 문서가 존재는 등 기본적인 사용자(120) 뷰가 제공되는 단계이다. 또한 분산 데이터에 대한 조회가 가능하며, 분산 데이터의 통합 및 변환 기준이 마련되어 있고 이를 조회할 수 있는 사용자(120) 뷰가 제공된다.
상기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2 단계는 정형화 단계로서, 표준화된 사용자(120) 뷰를 제공하며 사용자(120)의 데이터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해 주기적인 교육을 시행하고 사용자(120) 매뉴얼은 최신의 상태로 유지되는 단계이다. 분산된 데이터는 주제 지향적이고 통합된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로 제공되므로 사용자(120)가 손쉽게 접근하여 직접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된다.
상기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3 단계는 통합화 단계로서, 여러 시스템에 분산된 데이터가 통합된 사용자(120) 뷰로 제공되고 업무에 필요한 데이터 접근 채널이 보다 다양해지는 단계이다. 상기 분산 데이터도 전사 통합된 관점에서 분석이 가능하며 전산 조직에서 지원되는 기본 데이터 외에 사용자(120)의 고급 분석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고 데이터는 충분히 축적이 되어서 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정도로 성숙되어 있다. 기반이 되는 데이터 구조 또한 메타 정보가 사용자(120)에게 제공되어 공유된다.
상기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4 단계는 정량화 단계로서, 조직 구성원에게 데이터 품질에 대한 정량적인 목표를 부여하고 측정 지표를 적용하여 주기적으로 성과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측정 결과에 따라 접근성을 개선하고 사용자(120) 활용 패턴을 분석하여 필요에 따라 관련 담당자의 역할과 책임을 조정하는 단계이다. 전사 관점에서 정성적인 관리에서 정량적인 관리로 전이되고 품질에 대한 성과가 명확히 측정되고 지식화되는 수준이다.
상기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5 단계는 최적화 단계로서, 사용자(120) 뷰를 최적화하기 위해 최신 기술과 활용 현황을 접목하여 지속적인 프로세스 개선 활동을 수행하는 단계로서, 현재 상태의 최적화뿐 아니라 향후환경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수준이다.
도면3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0은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접근성 데이터 품질 기준과 상기 도면6에 도시된 접근성 품질관리 프로세스 상호 관계에 따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에 대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는 시스템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0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30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30에 도시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에서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시스템 상의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를 검증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와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비교 및 인증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에 대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는 주체를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따르는 본 도면30을 참조하면,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은, 상기 도면2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해당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수단(735)과, 상기 데이터 품질평가 주체에 해당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을 통해 입력된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산출물을 확인한 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검증수단(740)과,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을 통해 입력된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와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을 통해 입력된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에 대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는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 정보 검증수단(740) 및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은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호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예컨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및/또는 케이블 통신망)를 통해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과 통신 연결되는 데스크탑 컴퓨터 및/또는 노트북을 포함하는 유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및/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이동 통신망에 연결되는 이동 통신단말, 및/또는 IEEE 802.16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에 연결되는 휴대 인터넷 단말, 및/또는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연결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 및/또는 선택하여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로 제공하기 위한 기능 구성(예컨대, 브라우져 프로그램과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의 특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TCP/IP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CDMA 기반의 이동 통신망, 및/또는 IEEE 802.16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 및/또는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과 구비된 접근성 품질 평가 로직에 대응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전사적 데이터 품질 평가 업무 로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인터페이스 수단에 대응하는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 및 관리하는 인터페이스부(30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유선 네트워크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연결되는 웹서버의 기능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TCP/IP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300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호환 문서 형태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선택)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CDMA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300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및/또는 ME(Mobile Explorer)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및/또는 HTML 호환 문서 형태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IEEE 802.16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300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상기 IEEE 802.16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300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상기 DataTAC/Mobitex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전사적 데이터 품질 평가 업무 로직에 대응하여 데이터 품질 평가 기관에 구비된 접근성 품질 평가 로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30을 참조하면,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은 상기 인터페이스부(3000)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여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3005)와, 상기 인터페이스부(3000)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는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30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3005)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 구비된 기능구성(예컨대, 정보 입력수단(735)에 구비된 브라우져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로 전송할 수 있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3000)와 연동하여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는 해당 성숙도 단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와, 각각의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사용자(120)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중 분산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 뷰 구조를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 데이터 활용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중 분산 데이터를 통합한 구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 화면 구성을 표준화하여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의 데이터 활용을 위한 매뉴얼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공유 환경을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중 분산 데이터를 전사적으로 통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메타 정보를 사용자(120)와 공유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 뷰의 통합 환경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능동적인 사용자(120) 뷰를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를 통한 가치 창출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 뷰의 측정 지표를 활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의 활용 패턴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 뷰를 최적화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 뷰의 활용을 최적화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며,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로 전송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301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전송시, 상기 인터페이스부(3000)와 연동하여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예컨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및/또는 케이블 통신망)를 통해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과 통신 연결되는 데스크탑 컴퓨터 및/또는 노트북을 포함하는 유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및/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이동 통신망에 연결되는 이동 통신단말, 및/또는 IEEE 802.16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에 연결되는 휴대 인터넷 단말, 및/또는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연결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 및/또는 선택하여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로 제공하기 위한 기능 구성(예컨대, 브라우져 프로그램과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의 특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TCP/IP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CDMA 기반의 이동 통신망, 및/또는 IEEE 802.16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 및/또는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과 구비된 접근성 품질 평가 로직에 대응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전사적 데이터 품질 평가 업무 로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은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인터페이스 수단에 대응하는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 및 관리하는 인터페이스부(30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은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유선 네트워크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연결되는 웹서버의 기능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TCP/IP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300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호환 문서 형태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선택)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CDMA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300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및/또는 ME(Mobile Explorer)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및/또는 HTML 호환 문서 형태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IEEE 802.16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300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상기 IEEE 802.16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300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상기 DataTAC/Mobitex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전사적 데이터 품질 평가 업무 로직에 대응하여 데이터 품질 평가 기관에 구비된 접근성 품질 평가 로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30을 참조하면,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3000)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여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3005)와, 상기 인터페이스부(3000)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는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30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300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 구비된 기능구성(예컨대, 정보 검증수단(740)에 구비된 브라우져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로 전송할 수 있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3000)와 연동하여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는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는 소정의 심사관이 해당 성숙도 단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사용자(120)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중 분산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테이블 정의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 뷰 구조를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사용자(120) 메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 데이터 활용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사용자(120) 매뉴얼(또는 화면 관련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중 분산 데이터를 통합한 구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주제영역 정의 문서 및/또는 테이블 정의 문서(또는 ER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 화면 구성을 표준화하여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화면 표준 문서 및/또는 도움말 화면(또는 검색 화면, 또는 사용자(120) 설문 조사서, 또는 검색결과 출력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의 데이터 활용을 위한 매뉴얼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데이터 활용 교육 계획/결과 문서(또는 교육 교재) 및/또는 사용자(120) 매뉴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공유 환경을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조회 출(또는 설문 조사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중 분산 데이터를 전사적으로 통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EDW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메타 정보를 사용자(120)와 공유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메타 시스템 및/또는 사용자(120) 매뉴얼(또는 교육 교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 뷰의 통합 환경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포털 시스템 및/또는 KMS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능동적인 사용자(120) 뷰를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사용자(120) 매뉴얼(또는 설문 조사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 뷰의 측정 지표를 활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측정지표 정의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의 활용 패턴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패턴 분석 결과 문서(또는 화면 재구성 작업 결과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며,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로 전송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301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전송시, 상기 인터페이스부(3000)와 연동하여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30을 참조하면, 상기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가 제공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와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접근성 성숙도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3015)와, 상기 확인된 접근성 성숙도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30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확인부(3015)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0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0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반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0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예컨대, 상기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0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0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도입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0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도입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또는, 상기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0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0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형화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0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형화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또는, 상기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0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0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통합화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0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통합화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또는, 상기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0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0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량화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0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량화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또는, 상기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0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0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최적화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0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최적화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도면3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1은 상기 도면30에 도시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접근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30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31에서 상기 도면30에 도시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31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30에 도시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31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31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중 분산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 뷰 구조를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 데이터 활용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31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31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3120).
만약 상기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31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0 단계으로 확인하고(31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0 단계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3135).
반면 상기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3125), 상기 평가모듈은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31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31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31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중 분산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테이블 정의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 뷰 구조를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사용자(120) 메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 데이터 활용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사용자(120) 매뉴얼(또는 화면 관련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31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3160).
만약 상기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31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0 단계으로 확인하고(31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0 단계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3135).
반면 상기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3165), 상기 평가모듈은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3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2는 상기 도면30에 도시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접근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30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32에서 상기 도면30에 도시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32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30에 도시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32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32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중 분산 데이터를 통합한 구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 화면 구성을 표준화하여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의 데이터 활용을 위한 매뉴얼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공유 환경을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32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32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3220).
만약 상기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32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1 단계으로 확인하고(32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3235).
반면 상기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3225), 상기 평가모듈은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32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32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32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중 분산 데이터를 통합한 구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주제영역 정의 문서 및/또는 테이블 정의 문서(또는 ER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 화면 구성을 표준화하여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화면 표준 문서 및/또는 도움말 화면(또는 검색 화면, 또는 사용자(120) 설문 조사서, 또는 검색결과 출력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의 데이터 활용을 위한 매뉴얼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데이터 활용 교육 계획/결과 문서(또는 교육 교재) 및/또는 사용자(120) 매뉴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공유 환경을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조회 출(또는 설문 조사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32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3260).
만약 상기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32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1 단계로 확인하고(32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3235).
반면 상기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3265), 상기 평가모듈은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3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3은 상기 도면30에 도시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접근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30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33에서 상기 도면30에 도시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33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30에 도시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33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33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중 분산 데이터를 전사적으로 통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메타 정보를 사용자(120)와 공유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 뷰의 통합 환경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능동적인 사용자(120) 뷰를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를 통한 가치 창출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33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33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3320).
만약 상기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33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2 단계으로 확인하고(33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3335).
반면 상기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3325), 상기 평가모듈은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33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33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33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중 분산 데이터를 전사적으로 통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EDW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메타 정보를 사용자(120)와 공유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메타 시스템 및/또는 사용자(120) 매뉴얼(또는 교육 교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 뷰의 통합 환경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포털 시스템 및/또는 KMS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능동적인 사용자(120) 뷰를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사용자(120) 매뉴얼(또는 설문 조사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33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3360).
만약 상기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33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2 단계로 확인하고(33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3335).
반면 상기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3365), 상기 평가모듈은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3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4는 상기 도면30에 도시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접근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30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34에서 상기 도면30에 도시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34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30에 도시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34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34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 뷰의 측정 지표를 활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의 활용 패턴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34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34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3420).
만약 상기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34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3 단계으로 확인하고(34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3435).
반면 상기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3425), 상기 평가모듈은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34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34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34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 뷰의 측정 지표를 활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측정지표 정의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의 활용 패턴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패턴 분석 결과 문서(또는 화면 재구성 작업 결과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34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3460).
만약 상기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34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3 단계로 확인하고(34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3435).
반면 상기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3465), 상기 평가모듈은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3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5는 상기 도면30에 도시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접근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30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35에서 상기 도면30에 도시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715)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35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30에 도시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35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35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 뷰를 최적화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120) 뷰의 활용을 최적화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35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35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3520).
만약 상기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35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4 단계로 확인하고(35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3535).
반면 상기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3525), 상기 평가모듈은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35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35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35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35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3560).
만약 상기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35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4 단계로 확인하고(35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3535).
반면 상기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35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5 단계로 확인하고(357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3575).
도면3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데이터 품질 관리에 대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 간 상호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6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를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적시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라 상기 적시성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 간 상호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3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기준 중, 상기 적시성은 비기능적 요구사항(응답 시간, 실행 속도 등)과 데이터의 최신성과 같은 요건에 얼마나 절절히 대처하고 있는지를 의미하는 품질 기준이다.
도면36을 참조하면, 도면6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 중 기 도면3에 도시된 적시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라 상기 적시성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는 요구사항관리(비기능적 관리), 데이터 흐름 관리(흐름 주기 관리), 데이터베이스 관리(성능 관리) 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요구사항 관리(비기능적 관리) 프로세스는 업무의 내용적 요건 외에 처리시간, 응답시간, 데이터 제공 주기 등과 같은 비기능적인 요구사항을 관리하는 프로세스이며, 데이터 흐름 관리(흐름 주기 관리) 프로세스는 소스에서 타깃까지의 데이터 흐름에 대해서 수행 시기, 수행 주기 등을 관리하는 프로세스이다. 데이터베이스 관리(성능 관리) 프로세스는 데이터 처리 작업을 모니터링하고 성능의 최적화를 위한 튜닝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도면5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를 기반으로 상기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1 단계는 도입 단계로서, 비기능적인 요구사항이 정의되는 단계로 사용자(120) 요건이 수집되어 문서로 기록되며 요건에 대한 이해 당사자간의 확인 과정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또한 요건의 대응 상황이 파악되므로 요건의 처리 현황이 기록되며 요건 대응상의 문제점 및 한계를 파악하여 요건 당사자간의 협의가 이루어진다. 기본적인 데이터 흐름에 대한 스케줄 관리가 수행되어 이행 결과가 주기적으로 파악되고 조치된다.
상기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2 단계는 정형화 단계로서, 요건의 대응 절차가 정형화되고 데이터의 흐름 주기가 조율되며 적시성 관리를 위한 조직의 역할과 책임이 정의되는 단계이다. 요건 수집 및 확인 절차가 수립되며 요건 대응을 일정 계획을 수립해서 수행하고 주기적으로 운영 시스템을 튜닝 하는 등의 작업이 수행된다. 데이터 흐름의 주기는 명확히 정의되어 데이터의 분석 주기, 마감 기한, 요약 수준 등의 항목이 문서화되어 관리되며 흐름의 선후작업이 조율 된다.
상기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3 단계는 통합화 단계로서, 요건 대응을 위한 자원이 배분되고 자원 배분 계획이 우선 순위에 따라 수립되어 시행되는 단계이다. 전사적으로 데이터 흐름이 관리되고 역할과 책임이 명확하게 정의되며 비기능적 요건에 대한 전문적인 대응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상기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4 단계는 정량화 단계로서, 조직 구성원에게 데이터 품질에 대한 정량적인 목표 부여하고 측정 지표를 적용해 주기적인 성과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측정 결과에 따라 비기능적 요건 대응 지식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지식화하고 필요에 의해서는 그 역할과 책임을 조정한다. 전사 관점에서 정성적인 관리에서 정량적인 관리로 전이되고 품질에 대한 성과가 명확히 측정되고 지식화되고 있다.
상기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5 단계는 최적화 단계로서, 지속적으로 개선 요소를 발굴하고 튜닝 및 자원을 재분배하여 성능을 최적화하는 한편 데이터 흐름에 있어서는 불필요한 흐름의 원인을 제거하며 성능 향상을 위한 기술 동향을 파악하고 적용하는 단계이다.
도면3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7은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적시성 데이터 품질 기준과 상기 도면6에 도시된 적시성 품질관리 프로세스 상호 관계에 따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에 대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는 시스템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3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37에 도시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에서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시스템 상의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를 검증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와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비교 및 인증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에 대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는 주체를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따르는 본 도면37을 참조하면,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은, 상기 도면2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해당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수단(735)과, 상기 데이터 품질평가 주체에 해당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을 통해 입력된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산출물을 확인한 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검증수단(740)과,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을 통해 입력된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와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을 통해 입력된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에 대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는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 정보 검증수단(740) 및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은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호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예컨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및/또는 케이블 통신망)를 통해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과 통신 연결되는 데스크탑 컴퓨터 및/또는 노트북을 포함하는 유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및/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이동 통신망에 연결되는 이동 통신단말, 및/또는 IEEE 802.16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에 연결되는 휴대 인터넷 단말, 및/또는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연결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 및/또는 선택하여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로 제공하기 위한 기능 구성(예컨대, 브라우져 프로그램과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의 특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TCP/IP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CDMA 기반의 이동 통신망, 및/또는 IEEE 802.16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 및/또는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과 구비된 적시성 품질 평가 로직에 대응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전사적 데이터 품질 평가 업무 로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인터페이스 수단에 대응하는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 및 관리하는 인터페이스부(37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유선 네트워크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연결되는 웹서버의 기능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TCP/IP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370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호환 문서 형태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선택)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CDMA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370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및/또는 ME(Mobile Explorer)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및/또는 HTML 호환 문서 형태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IEEE 802.16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370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상기 IEEE 802.16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370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상기 DataTAC/Mobitex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전사적 데이터 품질 평가 업무 로직에 대응하여 데이터 품질 평가 기관에 구비된 적시성 품질 평가 로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37을 참조하면,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은 상기 인터페이스부(3700)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여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3705)와, 상기 인터페이스부(3700)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는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30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3705)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 구비된 기능구성(예컨대, 정보 입력수단(735)에 구비된 브라우져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로 전송할 수 있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3700)와 연동하여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는 해당 성숙도 단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와, 각각의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사용자(120)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을 정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 관리가 수행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의 문제점을 파악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을 정형화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흐름 주기를 관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에 체계적으로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을 전사적으로 통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전사적으로 데이터 흐름 주기를 관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비지능적 요건의 대응을 위해 전문가를 활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의 대응 지식을 축적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측정 지표를 활용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기술동향을 파악하고 적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흐름 주기를 최적화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며,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로 전송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301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전송시, 상기 인터페이스부(3700)와 연동하여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예컨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및/또는 케이블 통신망)를 통해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과 통신 연결되는 데스크탑 컴퓨터 및/또는 노트북을 포함하는 유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및/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이동 통신망에 연결되는 이동 통신단말, 및/또는 IEEE 802.16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에 연결되는 휴대 인터넷 단말, 및/또는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연결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 및/또는 선택하여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로 제공하기 위한 기능 구성(예컨대, 브라우져 프로그램과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의 특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TCP/IP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CDMA 기반의 이동 통신망, 및/또는 IEEE 802.16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 및/또는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과 구비된 적시성 품질 평가 로직에 대응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전사적 데이터 품질 평가 업무 로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은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인터페이스 수단에 대응하는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 및 관리하는 인터페이스부(37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은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유선 네트워크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연결되는 웹서버의 기능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TCP/IP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370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호환 문서 형태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선택)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CDMA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370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및/또는 ME(Mobile Explorer)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및/또는 HTML 호환 문서 형태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IEEE 802.16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370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상기 IEEE 802.16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370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상기 DataTAC/Mobitex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전사적 데이터 품질 평가 업무 로직에 대응하여 데이터 품질 평가 기관에 구비된 적시성 품질 평가 로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37을 참조하면,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3700)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여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3705)와, 상기 인터페이스부(3700)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는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30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370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 구비된 기능구성(예컨대, 정보 검증수단(740)에 구비된 브라우져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로 전송할 수 있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3700)와 연동하여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는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는 소정의 심사관이 해당 성숙도 단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사용자(120)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을 정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요구사항 정의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 관리가 수행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데이터 이행 스케즐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의 문제점을 파악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설문 조사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을 정형화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규정(또는 절차) 및/또는 표준 문서 탬플릿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흐름 주기를 관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데이터 흐름 작업 등록 문서 및/또는 모니터링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에 체계적으로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튜닝 결과 문서 및/또는 자원 투입 계획 문서 및/또는 성능 모니터링 결과 문서 및/또는 요구사항 정의서(또는 자원 배분 계획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을 전사적으로 통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표준 문서 탬플릿 및/또는 조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전사적으로 데이터 흐름 주기를 관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데이터 흐름 작업 등록 문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비지능적 요건의 대응을 위해 전문가를 활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성능 진단 문서 및/또는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의 대응 지식을 축적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요구사항 지식 D/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측정 지표를 활용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측정 지표 정의 문서 및/또는 데이터 활용도 평가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기술동향을 파악하고 적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기술동향 파악 문서 및/또는 자원투입 계획 문서(또는 자원배치 결과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며,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로 전송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301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전송시, 상기 인터페이스부(3700)와 연동하여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37을 참조하면, 상기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가 제공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와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적시성 성숙도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3715)와, 상기 확인된 적시성 성숙도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37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확인부(3715)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7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7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반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성숙도 단계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7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예컨대, 상기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7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7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도입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7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도입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또는, 상기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7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7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형화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7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형화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또는, 상기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7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7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통합화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7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통합화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또는, 상기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7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7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량화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7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량화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또는, 상기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7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7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최적화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7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최적화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도면3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8은 상기 도면37에 도시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적시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3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38에서 상기 도면37에 도시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38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37에 도시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38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38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을 정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 관리가 수행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의 문제점을 파악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38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38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3820).
만약 상기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38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0 단계으로 확인하고(38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0 단계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3835).
반면 상기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3825), 상기 평가모듈은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38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38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38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을 정의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요구사항 정의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 관리가 수행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데이터 이행 스케즐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의 문제점을 파악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설문 조사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38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3860).
만약 상기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38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0 단계으로 확인하고(38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0 단계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3835).
반면 상기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3865), 상기 평가모듈은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3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9는 상기 도면37에 도시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적시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3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39에서 상기 도면37에 도시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39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37에 도시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39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39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을 정형화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흐름 주기를 관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에 체계적으로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39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39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3920).
만약 상기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39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1 단계으로 확인하고(39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3935).
반면 상기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3925), 상기 평가모듈은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39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39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39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을 정형화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규정(또는 절차) 및/또는 표준 문서 탬플릿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흐름 주기를 관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데이터 흐름 작업 등록 문서 및/또는 모니터링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에 체계적으로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튜닝 결과 문서 및/또는 자원 투입 계획 문서 및/또는 성능 모니터링 결과 문서 및/또는 요구사항 정의서(또는 자원 배분 계획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39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3960).
만약 상기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39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1 단계로 확인하고(39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3935).
반면 상기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3965), 상기 평가모듈은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4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0은 상기 도면37에 도시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적시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0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3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40에서 상기 도면37에 도시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40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37에 도시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40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40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을 전사적으로 통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전사적으로 데이터 흐름 주기를 관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비지능적 요건의 대응을 위해 전문가를 활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40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40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4020).
만약 상기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40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2 단계으로 확인하고(40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4035).
반면 상기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4025), 상기 평가모듈은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40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40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40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을 전사적으로 통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표준 문서 탬플릿 및/또는 조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전사적으로 데이터 흐름 주기를 관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데이터 흐름 작업 등록 문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비지능적 요건의 대응을 위해 전문가를 활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성능 진단 문서 및/또는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40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4060).
만약 상기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40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2 단계로 확인하고(40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4035).
반면 상기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4065), 상기 평가모듈은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4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1은 상기 도면37에 도시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적시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3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41에서 상기 도면37에 도시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41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37에 도시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41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41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의 대응 지식을 축적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측정 지표를 활용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41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41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4120).
만약 상기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41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3 단계으로 확인하고(41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4135).
반면 상기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4125), 상기 평가모듈은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41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41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41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의 대응 지식을 축적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요구사항 지식 D/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측정 지표를 활용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측정 지표 정의 문서 및/또는 데이터 활용도 평가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41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4160).
만약 상기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41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3 단계로 확인하고(41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4135).
반면 상기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4165), 상기 평가모듈은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4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2는 상기 도면37에 도시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적시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3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42에서 상기 도면37에 도시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720)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42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37에 도시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42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42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기술동향을 파악하고 적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흐름 주기를 최적화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42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42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4220).
만약 상기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42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4 단계로 확인하고(42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4235).
반면 상기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4225), 상기 평가모듈은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42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42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42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기술동향을 파악하고 적용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기술동향 파악 문서 및/또는 자원투입 계획 문서(또는 자원배치 결과 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42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4260).
만약 상기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42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4 단계로 확인하고(42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4235).
반면 상기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42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5 단계로 확인하고(427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4275).
도면4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데이터 품질 관리에 대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 간 상호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3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를 상기 도면3에 도시된 보안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라 상기 보안성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 간 상호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3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기준 중, 상기 보안성은 내외부의 불법적이고 비인가된 위협으로부터 데이터의 기밀성, 무결성 및 가용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품질 기준으로, 데이터베이스 및 적재된 데이터를 허가되지 않은 일련의 행위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인적, 정책적, 물리적, 논리적 대응체계가 포함된다.
도면43을 참조하면, 도면6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 중 기 도면3에 도시된 보안성 데이터 품질 기준에 따라 상기 보안성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보안 관리)가 있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보안 관리)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오류 및 훼손 없이 안정적으로 서비스 할 수 있도록 데이터에 대한 생성, 변경, 백업 관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프로세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도면5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를 기반으로 상기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1 단계는 도입 단계로서, 보안 대상 및 기본적인 보안 수준이 정의되는 단계로, 보안 대상을 구분과 가치평가를 수행되는 단계이다. 시스템 단위의 접근통제를 기반으로 기본적인 수준의 식별 및 인증이 수행되고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한 백업계획이 수립된다.
상기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2 단계는 정형화 단계로서, 보안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조직 구성과 업무 분담, 지침 및 절차가 수립되는 단계로 보안 담당 조직 및 지침에 의한 정형화 된 보안이 적용되는 단계이다. 상기 접근 통제, 백업, 복구에 대한 모든 절차가 수립되며 보안 담당 조직원의 책임과 역할이 정의된다. 침해 사고 발생 시의 대응 절차 등 예상되는 모든 가능성에 대한 절차를 포함한다.
상기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3 단계는 통합화 단계로서, 전사적인 연계와 통합의 관점하에 일관성 있는 데이터의 보안 관리가 이루어지며 모든 사용내역에 대한 로깅 및 분석이 수행되는 단계이다. 보안 수준은 로깅 및 감사에 의하여 위협 요소가 분석되고 판단되며, 위협 요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보안 정책에 반영된다. 주기적으로 취약점에 대한 진단이 수행되고, 제거 가능한 위협 요소가 제거되며, 모든 행위에 대한 로깅 및 감사가 이루어 진다.
상기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4 단계는 정량화 단계로서, 데이터 보안 관리가 심화되는 단계이다. 각 업무 담당자의 권한을 서로 견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인가된 관리자에 대한 적절한 통제가 수행된다. 인증서 기반을 포함하여 복합적인 식별 및 인증이 수행되고, 내부자에 의한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한 방안이 수립된다. 관리자의 권한 분담 및 중요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가 적용되고 있다.
상기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제5 단계는 최적화 단계로서, 데이터 보안 관리가 완성되는 단계로 현재의 관점에서 최적화뿐 아니라 미래의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되는 단계이다. 현재 수행되고 있는 보안 수준을 평가하여 조직의 데이터 보호 목적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검증하여 보완하고, 계층적인 위협 관리 체계를 구축하여 예기치 못한 위협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어 체계를 완성한다.
도면4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4는 상기 도면3에 도시된 보안성 데이터 품질 기준과 상기 도면6에 도시된 보안성 품질관리 프로세스 상호 관계에 따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에 대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는 시스템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4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44에 도시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에서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시스템 상의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를 검증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와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비교 및 인증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에 대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는 주체를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따르는 본 도면44를 참조하면,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은, 상기 도면2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해당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수단(735)과, 상기 데이터 품질평가 주체에 해당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을 통해 입력된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산출물을 확인한 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검증수단(740)과,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을 통해 입력된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와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을 통해 입력된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전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에 대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는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 정보 검증수단(740) 및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은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호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예컨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및/또는 케이블 통신망)를 통해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과 통신 연결되는 데스크탑 컴퓨터 및/또는 노트북을 포함하는 유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및/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이동 통신망에 연결되는 이동 통신단말, 및/또는 IEEE 802.16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에 연결되는 휴대 인터넷 단말, 및/또는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연결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 및/또는 선택하여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로 제공하기 위한 기능 구성(예컨대, 브라우져 프로그램과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의 특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TCP/IP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CDMA 기반의 이동 통신망, 및/또는 IEEE 802.16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 및/또는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과 구비된 보안성 품질 평가 로직에 대응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전사적 데이터 품질 평가 업무 로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인터페이스 수단에 대응하는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 및 관리하는 인터페이스부(44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유선 네트워크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연결되는 웹서버의 기능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TCP/IP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440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호환 문서 형태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선택)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CDMA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440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및/또는 ME(Mobile Explorer)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및/또는 HTML 호환 문서 형태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IEEE 802.16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440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상기 IEEE 802.16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이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440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과 상기 DataTAC/Mobitex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전사적 데이터 품질 평가 업무 로직에 대응하여 데이터 품질 평가 기관에 구비된 보안성 품질 평가 로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44를 참조하면,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은 상기 인터페이스부(4400)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여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4405)와, 상기 인터페이스부(4400)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는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30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4405)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 구비된 기능구성(예컨대, 정보 입력수단(735)에 구비된 브라우져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로 전송할 수 있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4400)와 연동하여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는 해당 성숙도 단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와, 각각의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사용자(120)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보안 통제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대한 기본 수준의 식별 및 인증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백업계획을 수립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침해사고에 대한 복구계획을 수립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보안에 관련된 지침 및 절차를 수립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보안에 관련된 조직을 선정하고 업무분장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보안 감사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취약점 분석 및 조치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의 보안수준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고급 수준의 식별 및 인증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며,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로 전송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3010)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에서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전송시, 상기 인터페이스부(4400)와 연동하여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예컨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및/또는 케이블 통신망)를 통해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과 통신 연결되는 데스크탑 컴퓨터 및/또는 노트북을 포함하는 유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및/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이동 통신망에 연결되는 이동 통신단말, 및/또는 IEEE 802.16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에 연결되는 휴대 인터넷 단말, 및/또는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연결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 및/또는 선택하여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로 제공하기 위한 기능 구성(예컨대, 브라우져 프로그램과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의 특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TCP/IP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CDMA 기반의 이동 통신망, 및/또는 IEEE 802.16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 및/또는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과 구비된 보안성 품질 평가 로직에 대응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전사적 데이터 품질 평가 업무 로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은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인터페이스 수단에 대응하는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 및 관리하는 인터페이스부(44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은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유선 네트워크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연결되는 웹서버의 기능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TCP/IP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440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호환 문서 형태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선택)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CDMA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440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및/또는 ME(Mobile Explorer)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및/또는 HTML 호환 문서 형태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IEEE 802.16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440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상기 IEEE 802.16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이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440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과 상기 DataTAC/Mobitex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절차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전사적 데이터 품질 평가 업무 로직에 대응하여 데이터 품질 평가 기관에 구비된 보안성 품질 평가 로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44를 참조하면,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4400)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여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4405)와, 상기 인터페이스부(4400)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서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는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30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440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 구비된 기능구성(예컨대, 정보 검증수단(740)에 구비된 브라우져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로 전송할 수 있는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4400)와 연동하여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는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는 소정의 심사관이 해당 성숙도 단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사용자(120)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보안 통제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자산분석서 및/또는 ACL 목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대한 기본 수준의 식별 및 인증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사용자(120) 관리 목록 및/또는 툴 관리목록 및/또는 ACL 목록 및/또는 로그검토 보고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백업계획을 수립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백업 절차서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침해사고에 대한 복구계획을 수립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침해복구 절차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보안에 관련된 지침 및 절차를 수립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사용자(120) 관리 목록 및/또는 로그검토 보고서 및/또는 백업 절차서 및/또는 침해복구 절차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보안에 관련된 조직을 선정하고 업무분장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업무 분장서 및/또는 교육수행 내역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보안 감사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로그검토 보고서 및/또는 ACL 목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취약점 분석 및 조치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취약점 보고서 및/또는 ACL 목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의 보안수준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평가 내역서 및/또는 IT 보안 규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고급 수준의 식별 및 인증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ACL 목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며,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로 전송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3010)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에서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전송시, 상기 인터페이스부(4400)와 연동하여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44를 참조하면, 상기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은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가 제공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와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보안성 성숙도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4415)와, 상기 확인된 보안성 성숙도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44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확인부(4415)는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44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44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반면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성숙도 단계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44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예컨대, 상기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44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44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도입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44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도입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또는, 상기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44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44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형화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44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형화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또는, 상기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44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44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통합화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44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통합화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또는, 상기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44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44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량화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44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량화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또는, 상기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4415)는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상기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질의에 대하여 전체 포지티브 응답(All Positive Response)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부터 제공된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 유효성 확인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44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최적화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상기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Negative Response)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4415)는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이 해당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최적화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한다.
도면4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5는 상기 도면44에 도시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보안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4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45에서 상기 도면44에 도시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45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44에 도시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45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45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보안 통제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대한 기본 수준의 식별 및 인증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백업계획을 수립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45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45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4520).
만약 상기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45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0 단계으로 확인하고(45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0 단계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4535).
반면 상기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4525), 상기 평가모듈은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45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45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45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보안 통제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자산분석서 및/또는 ACL 목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대한 기본 수준의 식별 및 인증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사용자(120) 관리 목록 및/또는 툴 관리목록 및/또는 ACL 목록 및/또는 로그검토 보고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백업계획을 수립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백업 절차서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45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4560).
만약 상기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45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0 단계으로 확인하고(45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0 단계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4535).
반면 상기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4565), 상기 평가모듈은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4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6은 상기 도면44에 도시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보안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4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46에서 상기 도면44에 도시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46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44에 도시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46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46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침해사고에 대한 복구계획을 수립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보안에 관련된 지침 및 절차를 수립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보안에 관련된 조직을 선정하고 업무분장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46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46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4620).
만약 상기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46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1 단계으로 확인하고(46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4635).
반면 상기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4625), 상기 평가모듈은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46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46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46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침해사고에 대한 복구계획을 수립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침해복구 절차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보안에 관련된 지침 및 절차를 수립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사용자(120) 관리 목록 및/또는 로그검토 보고서 및/또는 백업 절차서 및/또는 침해복구 절차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보안에 관련된 조직을 선정하고 업무분장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업무 분장서 및/또는 교육수행 내역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46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4660).
만약 상기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46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1 단계로 확인하고(46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4635).
반면 상기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4665), 상기 평가모듈은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4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7은 상기 도면44에 도시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보안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4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47에서 상기 도면44에 도시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47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44에 도시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47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47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보안 감사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취약점 분석 및 조치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47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47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4720).
만약 상기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47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2 단계으로 확인하고(47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4735).
반면 상기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4725), 상기 평가모듈은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47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47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47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보안 감사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로그검토 보고서 및/또는 ACL 목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취약점 분석 및 조치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취약점 보고서 및/또는 ACL 목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47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4760).
만약 상기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47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2 단계로 확인하고(47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4735).
반면 상기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4765), 상기 평가모듈은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4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8은 상기 도면44에 도시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보안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4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48에서 상기 도면44에 도시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48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44에 도시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48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48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의 보안수준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48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거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48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4820).
만약 상기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48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3 단계으로 확인하고(48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4835).
반면 상기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4825), 상기 평가모듈은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48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48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48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의 보안수준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평가 내역서 및/또는 IT 보안 규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48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4860).
만약 상기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48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3 단계로 확인하고(48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4835).
반면 상기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4865), 상기 평가모듈은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4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9는 상기 도면44에 도시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품질관리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수단(735) 및 상기 보안성 품질평가 주체에 대응하는 정보 검증수단(740)이 상호 연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4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49에서 상기 도면44에 도시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725)을 편의상 "평가모듈"이라고 한다.
도면49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44에 도시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상의 평가모듈은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를 포함하는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490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으로 상기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49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고급 수준의 식별 및 인증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49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는 상기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한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질의에 대응하는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입력수단(735)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49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4920).
만약 상기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492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4 단계로 확인하고(49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4935).
반면 상기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4925), 상기 평가모듈은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성숙도를 평가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4940),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으로 상기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4945).
이후,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49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고급 수준의 식별 및 인증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질의에 대응하는 ACL 목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포지티브 응답, 또는 네가티브 응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가 모두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검증수단(740)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평가모듈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를 제공하고(49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의 유효성 확인결과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4960).
만약 상기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검증 정보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49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4 단계로 확인하고(493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4935).
반면 상기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에 대한 전체 포지티브 응답이 확인되면(예컨대, 모든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산출물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4965),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를 제5 단계로 확인하고(4970),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에 대한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관리 성숙도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730)에 저장한다(4975).
본 발명에 따르면, 전사적으로 운용하는 데이터 품질 관리 대상에 포함되는 데이터 품질을 정확성, 일관성, 유용성, 접근성, 적시성 및 보안성 등을 기준으로 평가하여 각 데이터 품질 기준별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도를 확인하거나, 부족한 부분을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사적으로 운용하는 데이터 품질 관리 대상에 포함되는 데이터 품질을 정확성, 일관성, 유용성, 접근성, 적시성 및 보안성 등을 기준으로 평가함으로써, 조직별로 원하는 기준에 대한 성숙도를 개선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통해 계획적으로 데이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데이터베이스에 구비되는 데이터에 대한 품질 평가 단계를 제1 내지 제5 단계의 성숙도 도달 단계로 구분하고, 상기 데이터에 대한 품질 평가 항목을 데이터베이스에 구비되는 데이터에 대한 정확성-원천 데이터와 실제 데이터가 동일함 평가-, 일관성-데이터의 용어, 규정, 표준, 속성, 형식이 필드 별로 일관됨 평가-, 유용성-데이터의 범위와 상세화 정도 평가-, 접근성-데이터베이스의 사용/검색의 용이함 평가-, 적시성-응답시간, 비기능적 요구사항, 최신 데이터 유지 평가- 및 보안성-외부 및 내부 요인에 의해 데이터 보호 평가-으로 구분하여 이루어진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한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로 출력된 제1 내지 제5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단계별 데이터 정확성 평가 정보를 각 단계별로 입력 처리하거나, 또는 단말로 출력된 제1 내지 제5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단계별 데이터 일관성 평가 정보를 각 단계별로 입력 처리하거나, 또는 단말로 출력된 제1 내지 제5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단계별 데이터 유용성 평가 정보를 각 단계별로 입력 처리하거나, 또는 단말로 출력된 제1 내지 제5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단계별 데이터 접근성 평가 정보를 각 단계별로 입력 처리하거나, 또는 단말로 출력된 제1 내지 제5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단계별 데이터 적시성 평가 정보를 각 단계별로 입력 처리하거나, 또는 단말로 출력된 제1 내지 제5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단계별 데이터 보안성 평가 정보를 각 단계별로 입력 처리하는 정보 입력수단;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구비된 데이터로부터 정확성 평가 산출물을 산출하고, 상기 정확성 평가 산출물이 상기 입력된 제1 내지 제5 단계별 정확성 평가 정보 중 어느 단계의 정확성 평가 정보와 매칭되는지 검증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구비된 데이터로부터 일관성 평가 산출물을 산출하고, 상기 일관성 평가 산출물이 상기 입력된 제1 내지 제5 단계별 일관성 평가 정보 중 어느 단계의 일관성 평가 정보와 매칭되는지 검증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구비된 데이터로부터 유용성 평가 산출물을 산출하고, 상기 유용성 평가 산출물이 상기 입력된 제1 내지 제5 단계별 유용성 평가 정보 중 어느 단계의 유용성 평가 정보와 매칭되는지 검증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구비된 데이터로부터 접근성 평가 산출물을 산출하고, 상기 접근성 평가 산출물이 상기 입력된 제1 내지 제5 단계별 접근성 평가 정보 중 어느 단계의 접근성 평가 정보와 매칭되는지 검증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구비된 데이터로부터 적시성 평가 산출물을 산출하고, 상기 적시성 평가 산출물이 상기 입력된 제1 내지 제5 단계별 적시성 평가 정보 중 어느 단계의 적시성 평가 정보와 매칭되는지 검증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구비된 데이터로부터 보안성 평가 산출물을 산출하고, 상기 보안성 평가 산출물이 상기 입력된 제1 내지 제5 단계별 보안성 평가 정보 중 어느 단계의 보안성 평가 정보와 매칭되는지 검증하는 정보 검증수단;
    상기 산출된 정확성 평가 산출물과 매칭되는 정확성 평가 정보가 입력된 정보 입력 단계를 상기 데이터의 정확성에 대한 성숙도 도달 단계로 표시하는 정확성 품질 평가 모듈;
    상기 산출된 일관성 평가 산출물과 매칭되는 일관성 평가 정보가 입력된 정보 입력 단계를 상기 데이터의 일관성에 대한 성숙도 도달 단계로 표시하는 일관성 품질 평가 모듈;
    상기 산출된 유용성 평가 산출물과 매칭되는 유용성 평가 정보가 입력된 정보 입력 단계를 상기 데이터의 유용성에 대한 성숙도 도달 단계로 표시하는 유용성 품질 평가 모듈;
    상기 산출된 접근성 평가 산출물과 매칭되는 접근성 평가 정보가 입력된 정보 입력 단계를 상기 데이터의 접근성에 대한 성숙도 도달 단계로 표시하는 접근성 품질 평가 모듈;
    상기 산출된 적시성 평가 산출물과 매칭되는 적시성 평가 정보가 입력된 정보 입력 단계를 상기 데이터의 적시성에 대한 성숙도 도달 단계로 표시하는 적시성 품질 평가 모듈;
    상기 산출된 보안성 평가 산출물과 매칭되는 보안성 평가 정보가 입력된 정보 입력 단계를 상기 데이터의 보안성에 대한 성숙도 도달 단계로 표시하는 보안성 품질 평가 모듈;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필수 항목을 정의하는지 확인하는 정확성 평가 정보와, 상기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 범위가 정의되는지 확인하는 정확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1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필수 항목의 사전/사후 체크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정확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사실성을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정확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가 표준을 준수하는지 확인하는 정확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속성값의 연관성을 정의하는지 확인하는 정확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2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의 오류 발생시 상기 오류 원인에 대한 추적 및 대응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정확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오너(Owner) 책임제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정확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3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정확성 측정 지표를 개발하여 평가하는지 확인하는 정확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오류 해결에 대한 지식 추적이 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정확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오너의 성과 관리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정확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4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오류 근본 원인 제거 작업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정확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5 단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단계 별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의 중복이 파악되는지 확인하는 일관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식별자를 명확히 하는지 확인하는 일관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흐름이 파악되는지 확인하는 일관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1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중 중복 데이터에 대한 검증 및 대사 작업이 수행되는지 확인하는 일관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참조 무결성이 적용되는지 확인하는 일관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가 표준을 준수하는지 확인하는 일관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흐름을 검증하는지 확인하는 일관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2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전사적인 차원의 중복 데이터가 파악되는지 확인하는 일관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전사적인 데이터 흐름이 파악되는지 확인하는 일관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오류 원인 추적 및 대응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일관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표준 데이터 연계성을 파악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일관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를 오너 중심으로 관리하는지 확인하는 일관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3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의 오류 해결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일관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오너별 성과를 측정하는지 확인하는 일관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4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중 중복 데이터의 근본 원인 제거 작업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일관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참조 무결성이 최적화되었는지 확인하는 일관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흐름 대사가 최적화되었는지 확인하는 일관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5 단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단계 별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요건을 정의하는지 확인하는 유용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요건에 대응하는 문제점을 파악하는지 확인하는 유용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1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요건을 정형화하는지 확인하는 유용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요건 대응을 위한 구조 관리를 정형화하는지 확인하는 유용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요건에 체계적으로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유용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활용도를 점검하는지 확인하는 유용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2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요건을 전사적으로 조율하는지 확인하는 유용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요건의 전사적인 연계성을 수립했는지 확인하는 유용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전사적인 데이터 구조를 수립했는지 확인하는 유용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활용의 향상을 위해 자원은 분배하는지 확인하는 유용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3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요건에 대한 대응 지식을 축적했는지 확인하는 유용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요건의 구조적 대응에 대한 지식을 축적했는지 확인하는 유용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활용도를 평가하는지 확인하는 유용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4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유용성 평가 정보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요건의 내부/외부 동향을 파악하고 반영하는지 확인하는 유용성 평가 정보와, 업계 최고 실시예를 수용하는지 확인하는 유용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활용도를 최적화하여 관리하는지 확인하는 유용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5 단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단계 별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중 분산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접근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사용자 뷰 구조를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접근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사용자 데이터 활용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접근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1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중 분산 데이터를 통합한 구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접근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사용자 화면 구성을 표준화하여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접근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사용자의 데이터 활용을 위한 매뉴얼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접근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공유 환경을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접근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2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중 분산 데이터를 전사적으로 통합하는지 확인하는 접근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메타 정보를 사용자와 공유하는지 확인하는 접근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사용자 뷰의 통합 환경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접근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능동적인 사용자 뷰를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접근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를 통한 가치 창출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접근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3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사용자 뷰의 측정 지표를 활용하는지 확인하는 접근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사용자의 활용 패턴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접근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4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사용자 뷰를 최적화하는지 확인하는 접근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사용자 뷰의 활용을 최적화하는지 확인하는 접근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5 단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단계 별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을 정의하는지 확인하는 적시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 관리가 수행되는지 확인하는 적시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의 문제점을 파악하는지 확인하는 적시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1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을 정형화하는지 확인하는 적시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흐름 주기를 관리하는지 확인하는 적시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에 체계적으로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적시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2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을 전사적으로 통합하는지 확인하는 적시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하여 전사적으로 데이터 흐름 주기를 관리하는지 확인하는 적시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비지능적 요건의 대응을 위해 전문가를 활용하는지 확인하는 적시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3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건의 대응 지식을 축적하는지 확인하는 적시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측정 지표를 활용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적시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4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기술동향을 파악하고 적용하는지 확인하는 적시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흐름 주기를 최적화하는지 확인하는 적시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5 단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단계 별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보안 통제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보안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대한 기본 수준의 식별 및 인증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보안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백업계획을 수립하는지 확인하는 보안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1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침해사고에 대한 복구계획을 수립하는지 확인하는 보안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보안에 관련된 지침 및 절차를 수립하는지 확인하는 보안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 보안에 관련된 조직을 선정하고 업무분장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보안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2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보안 감사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보안성 평가 정보와,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취약점 분석 및 조치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보안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3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의 보안수준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보안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4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
    데이터 품질 평가 대상 데이터에 대한 고급 수준의 식별 및 인증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보안성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제5 단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단계 별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확성 평가 산출물은,
    상기 제1 내지 제5 단계별 정확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각 단계별 데이터 정확성 평가 정보를 검증하기 위해 생성된 질의(Query)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리턴되는 응답(Response)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일관성 평가 산출물은,
    상기 제1 내지 제5 단계별 일관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각 단계별 데이터 일관성 평가 정보를 검증하기 위해 생성된 질의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리턴되는 응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유용성 평가 산출물은,
    상기 제1 내지 제5 단계별 유용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각 단계별 데이터 유용성 평가 정보를 검증하기 위해 생성된 질의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리턴되는 응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접근성 평가 산출물은,
    상기 제1 내지 제5 단계별 접근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각 단계별 데이터 접근성 평가 정보를 검증하기 위해 생성된 질의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리턴되는 응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적시성 평가 산출물은,
    상기 제1 내지 제5 단계별 적시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각 단계별 데이터 적시성 평가 정보를 검증하기 위해 생성된 질의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리턴되는 응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보안성 평가 산출물은,
    상기 제1 내지 제5 단계별 보안성 품질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각 단계별 데이터 보안성 평가 정보를 검증하기 위해 생성된 질의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리턴되는 응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KR1020060090935A 2006-09-20 2006-09-20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KR100903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935A KR100903726B1 (ko) 2006-09-20 2006-09-20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935A KR100903726B1 (ko) 2006-09-20 2006-09-20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243A KR20080026243A (ko) 2008-03-25
KR100903726B1 true KR100903726B1 (ko) 2009-06-19

Family

ID=39413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935A KR100903726B1 (ko) 2006-09-20 2006-09-20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7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180B1 (ko) * 2014-01-23 2014-07-22 주식회사 비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80062469A (ko) 2016-11-23 2018-06-11 이용우 업무 및 전산화 체계 최적화 진단 시스템
KR20220146923A (ko) 2021-04-26 2022-11-02 주식회사 글로벌제조혁신네트웍 검색키워드 다중 표기에 따른 우선순위 중심 선별문서 채택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292B1 (ko) * 2020-09-25 2022-06-23 (주)디엘정보기술 스마트공장 데이터 품질관리 방법
KR102639897B1 (ko) * 2021-03-11 2024-02-22 김기창 데이터 아키텍쳐 관리 시스템
CN115841275B (zh) * 2022-12-07 2023-09-05 北京鸿鹄元数科技有限公司 基于ai的数据管理水平的体检方法及装置
CN116433080B (zh) * 2023-03-17 2024-02-27 交通运输部规划研究院 交通运输规划行业的数据共享评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660914B1 (ko) * 2023-11-07 2024-04-24 김기창 대용량 데이터 활용을 위한 공통 코드 정비 및 정제와 설계 방법 및 서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5159A (ja) * 1993-09-30 1995-04-21 Omron Corp 情報処理装置
KR20020037810A (ko) * 2000-11-15 2002-05-23 신형인 인터넷을 이용한 영업정보 관리방법 및 그 장치
US6587847B1 (en) 1999-08-24 2003-07-01 Stream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knowledge u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5159A (ja) * 1993-09-30 1995-04-21 Omron Corp 情報処理装置
US6587847B1 (en) 1999-08-24 2003-07-01 Stream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knowledge use
KR20020037810A (ko) * 2000-11-15 2002-05-23 신형인 인터넷을 이용한 영업정보 관리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180B1 (ko) * 2014-01-23 2014-07-22 주식회사 비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80062469A (ko) 2016-11-23 2018-06-11 이용우 업무 및 전산화 체계 최적화 진단 시스템
KR20220146923A (ko) 2021-04-26 2022-11-02 주식회사 글로벌제조혁신네트웍 검색키워드 다중 표기에 따른 우선순위 중심 선별문서 채택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243A (ko) 2008-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ball et al. The data warehouse ETL toolkit
Harrington Relational database design and implementation
Vassiliadis Data warehouse modeling and quality issues
Batini et al. Methodologies for data quality assessment and improvement
US9734230B2 (en) Cross system analytics for in memory data warehouse
KR100903726B1 (ko)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CN111190881A (zh) 一种数据治理方法和***
Reeve Managing data in motion: data integration best practice techniques and technologies
US20120272329A1 (en) Obfuscating sensitive data while preserving data usability
US9773048B2 (en) Historical data for in memory data warehouse
Al-Barak et al. Database design debts through examining schema evolution
Mendling et al. A quantitative analysis of faulty EPCs in the SAP reference model
Martínez-Fernández et al. Towards automated data integration in software analytics
Hancock et al. Practical Business Intelligence with SQL Server 2005
KR100796906B1 (ko) 데이터베이스 품질관리 방법
Li Data quality and data cleaning in database applications
KR100796905B1 (ko) 데이터베이스 품질관리 시스템
KR100792322B1 (ko) 데이터베이스 품질관리 프레임워크
US11580479B2 (en) Master network techniques for a digital duplicate
Rodero et al. The Audit of the Data Warehouse Framework.
Asanka Database Design and Modeling with PostgreSQL
Van Der Aalst Process mining. Using real event data to X-ray business processes helps ensure conformance between design and reality
Destri et al. Development of a Reliability and Maintenance Database System for Offshore Well Equipment in Brazil: MINERVA, Phase 1
Ma et al. Differentiated Data Classification Management Framework
Mironeanu et al. GDPR Records of Processing Activities for Data Controll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