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666B1 - The fixing Device for Endotracheal Tube - Google Patents

The fixing Device for Endotracheal Tub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666B1
KR100902666B1 KR1020080124881A KR20080124881A KR100902666B1 KR 100902666 B1 KR100902666 B1 KR 100902666B1 KR 1020080124881 A KR1020080124881 A KR 1020080124881A KR 20080124881 A KR20080124881 A KR 20080124881A KR 100902666 B1 KR100902666 B1 KR 100902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heal tube
fixing device
present
w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8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110723A (en
Inventor
강신범
Original Assignee
강신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범 filed Critical 강신범
Priority to KR1020080124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666B1/en
Publication of KR20080110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07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6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Mouthpieces
    • A61M16/0493Mouthpiece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tube from damage caused by the patient's teeth, e.g. bite bl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7Tube stabiliz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1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means specifically adapted to a part of the human body
    • A61M2025/02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means specifically adapted to a part of the human body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mou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관튜브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삽입공을 포함하는 중공의 몸체와, 상기 몸체 외주면 상에 형성되며 환자의 치아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는 윗날개 및 아랫날개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몸체와 결합가능한 고정용 캡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하여, 삽입된 기관튜브의 견고한 고정을 가능하게 하며, 엎드린 자세(Prone Position)의 수술 등에 있어서도 기관튜브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치과나 성형외과 및 이비인후과 등의 병원에서 입안을 수술하거나 편도선 수술 등을 하는 경우에도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간단히 이동하거나, 분리 및 재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술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기관튜브 고정장치에 치아보호부재를 형성하여 수술시 치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cheal tube fixing device,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includes a hollow body including an insertion hole, and the upper wing and the lower wing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and spaced apart between the patient's teeth; By adding a fixing cap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body as needed, it enables a firm fixation of the inserted tracheal tube, and allows the tracheal tube to be firmly fixed even in surgery of a prone position. In the case of dental surgery, plastic surgery and otorhinolaryngology, even when operating the mouth or tonsil surgery,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can be easily moved, detached and recombined to facilitate the operation. Tooth protection member formed on the fix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o protect the teeth during surgery .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삽입공을 포함하는 중공의 몸체와, 상기 몸체 외주면 상에 형성되며 환자의 치아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는 윗날개 및 아랫날개와 치아를 보호하는 치아보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is a hollow body including an insertion hole, and teeth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to protect the teeth with the upper and lower wings spaced apart between the patient's teeth.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tective member.

기관튜브(Endotracheal Tube), 기관(Trachea), 커프(Cuff),치아보호부재 Endotracheal Tube, Trachea, Cuff, Tooth Protection

Description

기관튜브 고정장치{The fixing Device for Endotracheal Tube}The fixing device for endotracheal tube

본 발명은 기관튜브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삽입공을 포함하는 중공의 몸체와, 상기 몸체 외주면 상에 형성되며 환자의 치아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는 윗날개 및 아랫날개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몸체와 결합가능한 고정용 캡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하여, 삽입된 기관튜브의 견고한 고정을 가능하게 하며, 엎드린 자세(Prone Position)의 수술 등에 있어서도 기관튜브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치과나 성형외과 및 이비인후과 등의 병원에서 입안을 수술하거나 편도선 수술 등을 하는 경우에도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간단히 이동하거나, 분리 및 재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술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기관튜브 고정장치에 치아보호부재를 형성하여 수술시 치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cheal tube fixing device,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includes a hollow body including an insertion hole, and the upper wing and the lower wing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and spaced apart between the patient's teeth; By adding a fixing cap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body as needed, it enables a firm fixation of the inserted tracheal tube, and allows the tracheal tube to be firmly fixed even in surgery of a prone position. In the case of dental surgery, plastic surgery and otorhinolaryngology, even when operating the mouth or tonsil surgery,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can be easily moved, detached and recombined to facilitate the operation. Tooth protection member formed on the fix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o protect the teeth during surgery .

도 1은 기도확보를 위해 사용되는 기관튜브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관튜브는 전술한 바와 같이 크기에서 차이가 있을 뿐, 산소공급용 어댑터(1001), 튜브(1002), 커프(1003), 그리고 커프팽창용밸브(1005)를 포함한다. 상기 커프(1003)는 필요에 따라 구비되거나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상기 커프(1003)가 구비되 지 않은 경우에는 별도로 상기 기관튜브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 갖춰져야 한다.1 shows a tracheal tube used for airway acquisition. The tracheal tube only differs in size as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n adapter 1001 for oxygen supply, a tube 1002, a cuff 1003, and a cuff expansion valve 1005. The cuff 1003 may or may not be provided as necessary, and if the cuff 1003 is not provided, a means for fixing the tracheal tube should be separately provided.

상기 산소공급용 어댑터(1001)는 기관튜브가 환자의 기도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된 후 산소공급장치와 연결됨으로써 환자에게 산소 및 흡입마취제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튜브(1002)는 Clear PVC, Siliconized PVC 또는 Clear Polyurethane 등의 인체에 무해한 성분을 가진 물질로 제작되고 상기 산소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산소 및 흡입마취제가 환자의 폐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도관의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커프(1003)는 상기 기관튜브를 고정하는 역할과 기관을 폐쇄시켜 기관튜브를 통해 투입된 산소 또는 마취제 등의 가스가 폐로부터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물질이 폐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상기 튜브(1002)와 마찬가지로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만들어져야 하고, 환자의 기관벽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프(1003)만으로는 상기 기관튜브 정확하고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 실정이다. 상기 커프팽창용밸브(1005)는 기관튜브를 환자의 기도에 삽입한 후 주사기를 통해 상기 커프(1003)에 공기를 불어넣음으로써 상기 커프(1003)의 팽창을 통해 상기 기관튜브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사기와 결합가능한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oxygen supply adapter 1001 is connected to the oxygen supply device after the tracheal tube is fixed a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patient's airway serves to supply oxygen and inhalation anesthetic to the patient, the tube 1002 is Clear PVC , Siliconized PVC or Clear Polyurethane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serves as a conduit to allow oxygen and inhalation anesthetics supplied from the oxygen supply device to reach the lungs of the patient. The cuff 1003 serves to fix the tracheal tube and to close the trachea to prevent a gas such as oxygen or anesthetics introduced through the tracheal tube from flowing back from the lung and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lung. Like the tube 1002, it should be made of a material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should be configured to minimize the pressure on the tracheal wall of the patient. However, as described abov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and firmly fix the tracheal tube using only the cuff 1003. The cuff expansion valve 1005 inserts the tracheal tube into the patient's airway and blows air into the cuff 1003 through a syringe so that the tracheal tube can be fixed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cuff 1003. To provide a passage that is engageable with the syringe.

도 2는 기관튜브가 환자의 기도(2003)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며, 상기 기관튜브를 원하는 위치에 삽입시킨 후에는 상기 커프팽창용밸브(1005)에 주사기를 연결하고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커프(1003)를 팽창시킴으로써 기관튜브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기관튜브의 삽입시에는 상기 기관튜브가 식도(2001)에 삽입되지 않도록 매우 세심한 주의를 해야하고, 상기 커프(1003)가 팽창된 후 및 팽창되기 전의 모습을 도 3 및 도 4에 도시하였다.Figure 2 shows the tracheal tube is inserted into the patient's airway (2003), after inserting the tracheal tube in the desired position by connecting a syringe to the cuff expansion valve (1005) to inject air The cuff 1003 is inflated to secure the tracheal tube. When the tracheal tube is inserted, great care must be taken to prevent the tracheal tube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esophagus 2001, and the state after the cuff 1003 is expanded and before expansion is shown in FIGS. 3 and 4.

기관 튜브 등과 같은 삽관 장치는 다양한 의료 상황에서 이용되어 지는데 산소, 의약품 등 및 치료를 요하는 환자의 기도에 막히지 않은 도관을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대부분의 상황, 특히 응급상황(Emergency State) 및 마취를 위한 기관삽관(Intubation) 시에서 적절한 기도 유지는 생사를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문제로 볼 수 있는데 환자에게 통기 루트를 제공하고 기도를 고정시킬 수단을 제시하지 못할 경우 이는 결국 되돌릴 수 없는 뇌손상으로 이어지게 되며, 최악의 경우 사망에 이르는 치명적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환자를 수술하는 경우, 상기 수술의 시행 전 환자의 의식 소실, 감각 차단, 운동 차단 및 반사 차단을 위해 여러 가지 약물들을 적절히 사용하여 수술에 필요한 최적의 생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마취 과정은 필수적 과정으로 볼 수 있는데, 본 발명과 관련한 기관튜브는 전술한 마취 유형 중 전신마취, 특히 흡입마취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도구 중 하나이다. 즉, 전신마취는 기도를 통해 투여된 전신마취제가 흡수되어 뇌에서 일정한 농도에 도달하면 의식을 잃게 되며 마취가 시작되는 과정을 말하는데, 이러한 전신마취에 있어서는 기도 유지가 가장 중요하므로 대부분 기관 내에 튜브를 삽관한 다음, 손이나 또는 인공호흡기를 사용하여 조절호흡을 시행하게 되므로 기관튜브는 전신마취 전 반드시 구비되고, 상태가 체크되야 할 중요한 도구가 된다. 또한, 기관튜브를 사용하게 되는 의료상황도 상당히 광범위하여, 먼저 모든 종류의 수술에 있어 전신마취가 필요한 경우라면 기관튜브가 사용된다고 보아도 무방하며, 폐환기 부전이 있을 때 환기를 보조하기 위하여 또는 후두반사가 적절하지 못할 때 폐를 보호하고자 하는 경우, 위 내용물의 흡입 위험성이 높은 환자의 경우, 개흉술같은 양압환기가 필요한 수술의 경우, 수술할 때 환자의 체위가 좌위·측와위 또는 Trendelenburg 체위인 경우, 마스크로는 기도확보가 어렵고 양압환기를 제공하기 어려운 경우, 두경부 혹은 기도에 대한 수술을 할 때 기도유지가 요구되는 경우, 그리고 마취의가 수술시야로부터 조금 떨어져 있어야 할 경우나 기도확보가 어려운 환자를 수술할 때 기관튜브가 사용된다. Intubation devices, such as tracheal tubes and the like, are used in a variety of medical situations and are primarily intended to provide oxygen, medicine, and the like, an unobstructed conduit in the airway of a patient in need of treatment. In most situations, especially during emergency state and anesthesia for anesthesia, proper airway maintenance is an important issue that can affect life and death. Failure to do so can lead to irreversible brain damage and, at worst, fatal consequences for death. In addition, when operating a patient, an anesthesia process is essential to maintain optimal physiological conditions necessary for surgery by appropriately using various drugs for loss of consciousness, sensory blockage, motion blockage and reflex blockage before the operation. In view of the process, the tracheal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of the indispensable tools for general anesthesia, especially inhalation anesthesia. In other words, general anesthesia refers to a process in which anesthesia administered through the airway is absorbed and reaches a certain concentration in the brain, causing loss of consciousness and anesthesia is started. After intubation, controlled breathing is performed using a hand or a ventilator, so the tracheal tube is an important tool that must be provided and checked before general anesthesia. In addition, the medical conditions in which tracheal tubes are used are quite extensive, so if general anesthesia is needed for all kinds of surgery, tracheal tubes may be used, and to assist ventilation or larynx in case of pulmonary ventilation failure. If you want to protect your lungs when the reflex is not adequate, for patients who are at high risk for inhalation of the gastric contents, for surgery that requires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such as thoracotomy, if the patient's position is at the left, side, or Trendelenburg position, It is difficult to secure airway with a mask and provide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if airway maintenance is required when performing surgery on the head and neck, or if the anesthesiologist needs to keep a little distance from the operation field, Tracheal tubes are used for surgery.

이러한 기관튜브는 기도 내 흡입을 막을 수 있다는 점, 인공환기시 사강(Dead Space, 가스교환이 일어나지 않는 공간)을 최소로 할 수 있고, 폐의 확장력이 좋아져 효과적인 환기를 할 수 있다는 점, 기도내 직접흡입이 가능하고 위팽만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 그리고 안면과의 밀착 필요가 없으므로 장시간의 기도관리가 유리하다는 점 등을 볼 때 다른 인공호흡 용구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갖는다. These tracheal tubes can prevent inhalation in the airways, minimize dead space (space where no gas exchange occurs) during artificial ventilation, improve lung expansion, and provide effective ventilation. Direct inhalation is not possible and only swelling does not occur, and since there is no need for close contact with the airway, it has many advantages in comparison with other ventilation devices.

기관 튜브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polyvinyl chloride로 만든 일회용 튜브이며, 체온에서 기도의 모양에 따라 틀에 맞게 변형되고, 튜브의 내면이 매끄러워서 흡입용 도관이나 굴곡성 기관지 경에 쉽게 통과할 수 있다. 기관 튜브의 크기는 튜브의 내경(ID : Internal Diameter)이 되는데 밀리미터로 측정해서 0.5mm 마다 번호를 붙이며 일부제품은 French 크기로 표시되어 있는데 기관 튜브의 원주 즉 외경(OD : Outer Diameter)에 따라 원주율을 곱한 수치가 번호가 된다. 따라서 같은 French 크기라도 튜브벽의 두께에 따라 기능공간인 내경이 달라지게 되며, 기낭이 부착된 튜브는 성인이나 나이 든 소아에서 사용하는데, 기낭을 팽창시켜 폐쇄 회로를 유지시켜 주고, 폐환기의 조절을 용이하게 해주며, 구토물이나 혈액의 흡입가능성을 줄여준다. 기낭이 없는 기관튜브는 8세 이하에서 사용하는데 기관의 허혈을 막기 위해 임상적으로 기관튜브 누출압을 이용한다. 기관튜브의 적절한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은 내경(ID, mm) = (16 + 나이) × 1/4 공식을 쓰거나 소아의 새끼손가락의 끝마디의 굵기나 콧구멍의 크기를 보아 정한다. 성인 남자의 경우 ID. 7.5~8.5 Fr, 성인 여자의 경우 ID. 7.0~7.5 Fr, 그리고 소아의 경우 ID. 4.0~5.5 Fr이 적당하다.The most commonly used tracheal tube is a disposable tube made of polyvinyl chloride, which is deformed to fit the shape of the airway at body temperatur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is smooth so that it can easily pass through suction conduits or flexible bronchoscopes. The size of the tracheal tube is the ID (Internal Diameter) of the tube, measured in millimeters and numbered every 0.5 mm. Some products are labeled in French size, depending on the circumference of the tracheal tube (OD: Outer Diameter). The number multiplied by becomes the number. Therefore, even in the same French size, the inner diameter of the functional space varies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tube wall, and the tube attached to the bladder is used in adults or older children, and the air sacs are expanded to maintain a closed circuit and control lung ventilation. It helps to reduce the likelihood of inhalation of vomiting or blood. Tracheal tubes without air sacs are used under 8 years of age and clinically use tracheal tube leakage pressure to prevent tracheal ischemia. The proper size of the tracheal tube can be determined by using the formula ID, mm = (16 + age) x 1/4, or by looking at the thickness of the little fingertip or the nostril of the child. ID for an adult man. 7.5-8.5 Fr, ID for an adult woman. 7.0-7.5 Fr, and ID for children. 4.0 ~ 5.5 Fr is suitable.

이제 기관튜브의 삽입방법 및 고정방법, 그리고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Now we will look at the insertion and fixing method of the tracheal tube, and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기관튜브 삽입을 위해서는 먼저 튜브의 선택과 준비 과정을 거쳐야 한다. 적합한 기관 튜브의 선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크기를 결정하고, 장갑, 안면보호 마스크, 가운 등을 착용한 상태에서 환자의 머리 위치를 중립이나 약간 신전된 자세에 위치시키고 목이 과 신전 되지 않도록 하며 적절하게 손으로 기도를 유지시키도록 한다. 이어서 멸균용 흡입 장비를 준비하고, 후두경의 날, 몸체, 전등 등을 확인하며 특히 기관튜브의 커프(Cuff)가 새는지 확인해야 한다. 고정장비, 교합저지기, 주사기, 스타일렛(탐침), 윤활제, 청진기, 흡입기와 팁 등을 준비한다.To insert a tracheal tube, the tube must first be selected and prepared. The choice of a suitable tracheal tube is sized, taking into account several factors as described above, with the patient's head in a neutral or slightly extended position with gloves, face masks, gowns, etc. Keep your hands in prayer properly. The sterilization suction equipment should then be prepared, check the laryngoscope blade, body, lamp, etc., especially the cuff of the tracheal tube. Prepare fixtures, articulators, syringes, stylets, lubricants, stethoscopes, inhalers and tips.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든 준비가 마쳐지면, 이제 기관튜브를 삽입하게 되는데 먼저 환자의 머리와 목을 약간 신전시키며, 이 경우 외상시에는 경추를 움직이지 않도록 매우 주의해야 한다. 다음으로, 후두경을 왼손에 잡고 환자의 입 오른쪽에 서부터 왼쪽으로 움직이며 혀를 왼쪽으로 밀치는데, 구강 내 분비물이 많은 경우에는 흡입을 실시한다. 후두경이란 성문을 직접 보기 위해 이용하는 도구를 말하며 손잡이와 날 및 광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후두경은 날에 따라 이를 구분하는데 직형날(Straight Blades)와 곡형날(Curved Blades)의 두 종류가 있으며 기도의 해부학적 구조가 개인마다 다르고, 선천적·후천적 질병에 따라 구조가 변하므로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 후두경 날의 형태, 광원, 굴곡성 등에 특성을 가진 후두경이 구비되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적절한 후두경을 준비하고 후두경 날을 천천히 조심스럽게 삽입한 후에는 환자의 아래턱이 올라갈 정도로 후두경을 들어올리며, 후두경 날을 지렛대처럼 사용하는 경우 이와 연부조직의 손상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Once all the preparations have been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tracheal tube is now inserted, but first the patient's head and neck are slightly extended, in which case very careful not to move the cervical spine during trauma. Next, hold the laryngoscope in your left hand and move it from the right side of the patient's mouth to the left, pushing the tongue to the left. If there is a lot of intraoral discharge, inhalation is performed. Laryngoscope is a tool used to directly view the gate and consists of a handle, blade and light source. There are two types of laryngoscopes, which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blades: straight blades and curved blades.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airway varies from person to person, and the structure changes according to congenital and acquired diseases. Laryngoscopes with characteristics such as the shape of the laryngoscope blade, light source, and flexibility should be provided. As described above, after preparing the proper laryngoscope and slowly and carefully inserting the laryngoscope blade, lift the laryngoscope so that the lower jaw of the patient rises, and use the laryngoscope blade as a lever, which may cause damage to the soft tissue. do.

다음으로 노출된 성문에서 눈을 떼지 않은 채 기관튜브를 조심스럽게 입안으로 집어넣는데, 집어넣는 동안 보조자에게 윤상연골 누르기(셀릭법)를 하면 더욱 효과적이며 위액의 역류를 방지한 상태에서 엄지와 검지, 중지로 연골의 양쪽 옆 부분을 잡고 눌러주며 기관튜브가 완전히 삽입될 때까지 이를 유지해야한다.Next, carefully insert the tracheal tube into your mouth without taking your eyes off the exposed gate, which is more effective if you press the cricoid cartilage (Celic) on your assistant during the insertion, while your thumb, index finger, Hold the media on both sides of the cartilage with a stop and hold it until the tracheal tube is fully inserted.

기관튜브를 기도 내로 삽입시킬 시에는 반드시 기관튜브가 성문으로 들어가는 것을 눈으로 확인해야 하며, 기관튜브의 끝이 성문을 통과하면 1~2 Cm 정도 더 짚어 넣고 스타일렛을 제거한다. 이 경우 기관튜브 삽입의 이상적인 깊이는 기관튜브의 끝이 성문과 용골(Carnia, 카니아)의 중간지점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기관튜브삽관은 가능한 한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로 삽관하도록 하며, 호흡이 있는 환자의 경우 거친 삽관이 후두의 경련을 초래할 수 있는바 삽관을 너무 서둘러서는 안된다.When inserting the tracheal tube into the airway, make sure to check visually that the tracheal tube enters the gate. When the end of the tracheal tube passes through the gate, insert the stem 1 ~ 2 cm further and remove the stylet. In this case, the ideal depth of tracheal tube insertion is such that the end of the tracheal tube is located midway between the gate and Carnia. In addition, tracheal tube intubation should be used to prevent infection as much as possible, and in patients with respiratory tract, the intubation should not be too hasty, as coarse intubation can cause laryngospasm.

삽관을 마친 후에는 저항이 느껴질 때까지 커프(Cuff)를 팽창시키고 주사기를 제거하는데, 커프(Cuff)는 삽관 후 바로 팽창하여 기도 내 흡입을 방지하도록 하며, 커프(Cuff)의 지나친 팽창은 점막의 손상, 기도와 식도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After intubation, the cuff is inflated and the syringe is removed until resistance is felt. The cuff is inflated immediately after intubation to prevent inhalation in the airways. Care should be taken as this may lead to injury, damage to the airways and esophagus.

다음으로, 기관튜브의 옆부분에 삽입한 깊이를 표시하고 삽입 깊이를 측정, 표시하며 폐의 양쪽과 위에 대한 호흡음을 청진하여 적절하게 삽관되었는 지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위치를 변경하도록 한다. 적절한 기관튜브의 삽입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양쪽의 호흡음이 균등한지 여부, 환기시 복부음이 들리지 않는지 여부, 배기시 튜브에 서리가 끼는지 여부, 환기시 가슴이 충분히 팽창하는지 여부, 그리고 삽관시 튜브가 성문을 통해 들어가는 것을 직접 확인했는지 여부(구강 삽관의 경우)를 통해 알 수 있다.Next, mark the depth of insertion into the side of the tracheal tube, measure and mark the depth of insertion, and auscultate the respiratory sounds on both sides of the lung to confirm proper intubation and reposition if necessary. Checking for proper tracheal tube insertion includes: whether the breathing sounds are equal on both sides, whether abdominal sounds are heard during ventilation, whether the tube is frosted during exhaustion, whether the chest is fully inflated during ventilation, and This can be determined by the fact that the tube was directly seen through the gate at intubation (for oral intubation).

마지막으로 기관튜브가 어긋나지 않도록 계속해서 손으로 고정한 채 유지해야하며, 삽관 후에는 환자가 튜브를 물어 질식되는 것을 막기 위해 교합저지기(Bite Block)를 삽입하고 기관튜브를 고정하게 된다. 또한, 무호흡 환자의 경우 삽관을 위해 인공환기가 정지되는 시간은 30초를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Finally, the endotracheal tube must be kept fixed by hand to prevent misalignment. After intubation, a bite block is inserted and the tracheal tube is fixed to prevent the patient from biting the tube.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for apnea patients, the time to stop artificial ventilation for intubation should not exceed 30 seconds.

기관튜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 장점을 갖는 반면, 수술 후 여러 합병증을 일으키기도 하는데 상기 합병증 중 대표적인 예가 인후통(Sore Throat)과 애성(Hoarseness) 이다. 인후통(Sore Throat)과 애성(Hoarseness)은 기관 내 삽관을 이용한 전신마취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 인후통은 대개 72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회복되는 일시적인 합병증이지만 환자에게는 상당한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수술 후 인후통의 빈도는 24~65%, 애성은 13~40%로 보고자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많은 환자에게서 나타난다는 것이 이미 알려진 바이며, 발생원인으로는 기관 튜브의 직경, 커프의 종류, 윤활제의 사용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전술한 원인 중 커프의 과다한 증폭이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는바, 이러한 인후통을 저감시키는 방안으로 종래에는 커프에 Lidocaine을 주입하여 Lidocaine이 커프막을 통해 확산되어 기도점막에 마취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인후통을 감소시켜 주는 방법 등을 시도하여 왔으나 최근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어, 결국 인후통의 저감방안으로 가장 바람직한 것은 커프의 적절한 팽창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커프를 적절하게 팽창시키기 위해서는 커프가 기관 튜브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임을 고려할 때 기관튜브를 정확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일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종래에는 커프의 위치고정을 위해 커프에만 의존하다 보니, 산소와 마취제 등의 가스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최소한의 팽창 범위를 넘어서서 과도하게 팽창시키는 경향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Tracheal tubes have several advantages as described above, but also cause various complications after surgery. Representative examples of such complications are sore throat and hoarseness. Sore Throat and Hoarseness are complications that can occur after general anesthesia with endotracheal intubation. Sore Throat is a temporary complication that usually recovers naturally after 72 hours, but can cause significant discomfort for the patient.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sore throat is 24 to 65%, and love is 13 to 40%. It is known that many patients, although it varies depending on the reporter, are known to cause the diameter of the tracheal tube, the type of cuff and the lubricant. Use etc. are mentioned. In particular, excessive amplification of the cuff is known as a major cause of the above-mentioned causes. In order to reduce such a sore throat, conventionally, by injecting Lidocaine into the cuff, Lidocaine diffuses through the cuff membrane, thereby reducing anesthesia to the airway mucosa. In recent years, the method has been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After all, the most preferred method for reducing sore throat is proper swelling of the cuff. However, in order to properly inflate the cuff, accurate and firm fixation of the tracheal tube should be preceded given that the cuff is a component for securing the tracheal tube. However, in the related art, since only the cuff depends on the position of the cuff, there is a tendency to over-expand it more than the minimum expansion range that can prevent the reverse flow of gases such as oxygen and anesthetics.

또한, 실제 의료 상황에 있어서 기관 튜브의 적절한 선택, 삽입 및 고정은 매우 어려운 일로써 비록 숙련되고 노련한 의사라 하더라도 기도가 고정되어야 하는 상황 또는 인체적 다양성으로부터 기인한 많은 요소들에 의해 실수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는 것이 현실이다. 즉, 기관 튜브를 환자의 기도로 끼워 넣는 작업을 하는 동안 오직 인체 후두의 미세한 시각에 의존하게 되므로 자칫 기관 튜브를 식도 에 삽입할 가능성도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proper selection, insertion, and fixation of tracheal tubes in real medical situations is very difficult, and even a skilled and seasoned physician may frequently make mistakes due to many factors resulting from the situation in which the airway should be fixed or from human diversity. It is a reality that can be done. In other words, during the operation of inserting the tracheal tube into the patient's airway, only the microscopic view of the human larynx may allow the tracheal tube to be inserted into the esophagus.

게다가, 기관 튜브를 과도하게 삽입하면 튜브가 한쪽 폐로 연결되는 혈관에만 삽입됨으로써, 공기가 기관 튜브를 통해 양쪽 폐로 공기가 공급돼야 함에도 불구하고 한쪽 폐로만 공급되어, 환자가 생명을 잃을 수도 있는 치명적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의사가 직접 기관튜브를 삽입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적절하게 삽입된 기관튜브를 환자가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건드려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이며, 결국, 기관 튜브를 견고하게 고정시키지 못함으로써 여러가지 치명적 의료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볼 수 있다.In addition, excessive insertion of tracheal tubes inserts the tubes only into the blood vessels that connect them to one lung, so that air can only be delivered to one lung, even though the air must be supplied to both lungs through the tracheal tube, resulting in a fatal consequence that could result in patient loss of life. May cause. This problem can occur not only when the doctor inserts the tracheal tube directly, but also because the patient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touches the appropriately inserted tracheal tube, and in the end, various fatal medical accidents by failing to firmly fix the tracheal tube It can be seen that the reality that can occur.

또한, 기관 튜브를 올바로 삽입한 경우라 하여도, 삽입한 기관 튜브를 고정함에 있어서는 별개의 어려움이 뒤따르게 되는데, 종래에는 보통 기관 튜브 주위를 반창고로 감고 입 주위 피부에 반창고를 붙임으로써 고정하는 방법을 따른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반창고를 입 주위 피부에 붙이는 경우 삽입한 기관 튜브가 입안에 확실하게 고정이 되지 않아 튜브가 빠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가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 튜브를 손으로 빼는 경우가 생겨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다. 특히, 소아나 영유아의 경우 튜브의 조그만 이동에 의해서도 튜브가 기관 밖으로 빠져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며, 반창고로 인하여 피부가 약한 환자의 경우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으며, 이러한 예는 임상적으로 다수 보고된 바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tracheal tube is correctly inserted, there is a separate difficulty in fixing the tracheal tube inserted. In the related art, a method of fixing a tracheal tube around the tracheal tube with a band-aid and a band-aid on the skin around the mouth is conventionally fixed. Has been followed. However, if the band-aid is attached to the skin around the mouth, the inserted tracheal tube is not securely fixed in the mouth, which may cause the tube to fall out, and the patient may un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pull out the tube by hand. It may cause a situat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hildren or infants, a small movement of the tube may cause the tube to fall out of the trachea, and an emergency may occur, and in a patient with weak skin due to a band-aid, contact dermatitis may occur. Many such examples have been reported clinically.

또한, 반창고로 기관 튜브를 고정하기 위해 보통 두 사람이 협조하여 튜브고정을 하게 되므로 인력낭비도 심하고, 기관 내 가래 등의 분비물을 제거할 때 환자 가 고통스러워 목 등을 움직일 때 튜브가 흔들려 빠질 위험성도 있으며, 환자의 타액분비물에 의해 반창고 붙인 부위가 잘 떨어지기도 하며, 특히 소아나 영유아의 경우 전술한 문제점은 더욱 심각한 상황이었다. In addition, two people cooperate to fix the tracheal tube with a band-aid, so the tube fixation is severe, and the risk of tube shaking when the patient moves around the neck due to pain when removing secretions such as sputum in the trachea In addition, the bandage attached by the patient's saliva secretion is well off, especially in the case of children and infants, the above-mentioned problem was a more serious situation.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써 기관 튜브를 입에서 목 둘레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기관 튜브에 튜브고정밴드를 부착시키는 방법을 통해 환자의 머리에 밴드를 감아 기관 튜브를 고정시키는 방법 등이 고려되었으나, 이러한 방법에 의하더라도 기관 튜브를 정확한 위치에 완벽하게 고정시키는 일은 현실적으로 매우 힘든 것이었으며, 이론적으로 기관 튜브의 정확한 고정이 이뤄진다고 볼 수 있더라도 고정된 기관튜브를 치료과정상 필요에 따라 이동하여 재고정시키는 경우 밴드를 해체하고 기관튜브를 재배치한 후 다시 밴드를 감게 되므로 응급을 다투는 의료상황에서 이러한 과정은 매우 번거롭고 어려운 일이 되어 바람직한 방법으로는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게다가 전술한 교합저지기의 사용에 있어서, 상기 교합저지기는 환자가 튜브를 물어 질식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일종의 통기를 위한 도관(Air Way)으로서의 역할도 담당하는데 종래기술에서는 입안 또는 기도 내 이물질 제거를 위한 흡입(Suction) 작업이 요구될 경우, 상기 교합저지기의 삽입 후 생기는 공간을 이용하여 흡입(Suction) 작업을 하는 방법을 따랐다. 그러나 이러한 흡입(Suction) 작업은 밴드 등을 사용하여 기관튜브를 고정하는 종래 방법에 의할 시 흡입(Suction) 작업을 위한 공간확보 측면에서나 흡입(Suction) 장비의 이동 측면에서 볼 때 매우 불편하고 비효율적인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As an attempt to solve these problems, a method of fixing the tracheal tube by winding the band around the patient's head by attaching a tube fixing band to the tracheal tube to fix the tracheal tube from the mouth to the circumference has been considered. However, even with this method, it was practically difficult to completely fix the tracheal tube in the correct position, and although the theoretical fixation of the tracheal tube could be done accurately, the fixed tracheal tube was moved and reconsidered as needed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In case of dismantling the band and rearranging the tracheal tube, the band is rewound, so in an emergency medical situation, this process is very cumbersome and difficult, and thus may not be the preferred method. In addition, in the use of the above-described occlusal brace, the occlusal brace not only prevents the patient from choking the tube, but also serves as a kind of air way for aeration. When the suction (Suction) for the work is required, using the space created after the insertion of the occlusal blocking (Suction) was followed. However, such suction work is very inconvenient and inefficient in terms of securing space for suction work or in terms of movement of suction equipment when using a conventional method of fixing a tracheal tube using a band or the like. It can be seen as a way.

또한, 입안을 수술하거나, 환자를 엎드려 놓고(Prone Position) 수술하는 경우 단순한 밴드 부착만으로는 수술이 곤란하거나 고정된 기관 튜브가 움직일 가능성이 증대되는바, 종래기술만으로는 신속, 정확한 의료 행위가 어려워지는 심각한 결점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환자를 엎드려 놓고(Prone Position) 수술하는 경우에 있어 더욱 심각해지는데 단순한 밴드 부착방식 만으로는 삽입된 기관튜브를 완벽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결국 수술진행 중 기관튜브가 분리되어 환자에게 돌이킬 수 없는 손상, 더 나아가서는 생명마저 잃을 수 있는 잠재적 위험가능성이 항상 상존해 왔다고 볼 수 있으며, 게다가 종래기술은 기관 튜브를 견고하게 고정시키지 못하므로 커프(Cuff)의 과다 팽창으로 인해 전술한 기관 튜브 삽입 후 발생하는 여러 합병증, 특히 인후통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surgery on the mouth or surgery on the patient's face (Prone Position), a simple band attachment increases the likelihood that the operation is difficult or the fixed tracheal tube is moved. There was a flaw. This problem is especially acute when the patient is placed on the position (Prone Position) and the surgical procedure is not possible to completely fix the inserted tracheal tube by simple band attachment, so the tracheal tube can be detached and returned to the patient during the operation.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lways a potential risk of missing damage, and moreover, even the loss of life, and furthermore, the prior art does not firmly hold the tracheal tube, so the tracheal tube insertion described above due to over-expansion of the cuff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provide a solution for a number of complications, especially sore throat.

또한 기관 튜브가 요구되는 의료상황이란 대게 수초에 따라 환자의 생명이 좌우되는 매우 긴박한 응급상황임을 고려한다면 전술한 종래기술과 같이 밴드를 감는 방식으로 기관 튜브를 고정하는 방법은 고정의 신속성 및 정확성을 담보하기 어려우므로 현실적으로 따르기 어려운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와 더불어 치과나 성형외과 또는 이비인후과 분야에서 입속을 수술하거나 편도선 수술 등을 하는 경우, 고정된 기관튜브를 움직이는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매우 번거롭고 어려운 작업이 될 뿐 아니라, 입안 또는 기관내 가래 등의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는 경우에도 밴드 부착방식과 같은 종래기술은 고정된 밴드의 해체 및 기관튜브의 재삽입, 그리고 삽입된 기관튜브의 재고정 과정상 해결하기 어려운 많은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In addition, considering that a medical situation in which a tracheal tube is required is a very urgent emergency in which a patient's life depends on a few seconds, a method of fixing a tracheal tube by winding a band as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 may provide a rapid and accurate fixation. There is a serious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follow because it is difficult to secure, and in addition, in the case of dental surgery, plastic surgery or otolaryngology, moving the fixed tracheal tube is very cumbersome and difficult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even if it is necessary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mouth or endotracheal sputum, conventional techniques such as band attachment method can solve the process of dismantling the fixed band, reinsertion of the endotracheal tube, and reassembly of the endotracheal tube. That contains many difficult problems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응급상황 및 마취를 위한 기관튜브 삽관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기관튜브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그리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urately and quickly and firmly fix the tracheal tube when tracheal tube intubation for emergency and anesthesia is required It is to provide a tube tube fixing device that can b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기술과 같이 2인 이상이 협력하여 기관튜브를 고정해야 하는 번거롭고, 별개의 노동력을 요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술자 혼자서 편리하고 정확하게 기관튜브를 고정할 수 있는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operator to fix the tracheal tube conveniently and accurately by the operator alone, by allowing two or more people to work together to fix the tracheal tube, which requires a separate and laborious process. It is to provide a tube fixing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관튜브 고정장치에 수개의 다기능 홀을 포함시킴으로써 고정된 기관튜브를 더욱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흡입(Suction)작업이 요구되는 경우에 있어서 간단하고 편리하게 흡입(Suction)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lude a plurality of multifunctional holes in the tube tube fixing device to more securely fix the tube tube fixed, and when suction is required simply and conveniently It is to provide a tracheal tube fixing device that allows for auction work.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아랫날개의 실시 태양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관튜브가 사용되는 환경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는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여 다변화되는 응급상황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embodiment of the lower wing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tracheal tube fixing device that can vary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and uses of the tracheal tube emergency diversified It is to provide an engine tube fixing device that can respond appropriately to the situ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삽입된 기관튜브를 견고히 고정한 후에도 필요에 의해 치아를 따라서 상기 기관튜브 고정 장치를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술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operation by allowing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to be freely moved along the tooth as needed even after the tracheal tube is firmly fixed using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provide an engine tube fixing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삽입된 기관튜브를 견고히 고정한 후 치아를 보호할 수 있는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cheal tube fixing apparatus which can secure teeth after firmly fixing the tracheal tube inserted using the tracheal tube fix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안을 수술하거나 삽입된 기관튜브가 삽입위치에서 이탈될 가능성이 높은 경우의 수술, 즉 환자를 엎드려 놓고(Prone Position) 수술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도 안정적이고 신뢰도가 높은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삽입된 기관튜브의 고정위치를 정확히 유지할 수 있는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ble and reliable tracheal tube even when surgery is performed in the mouth or when an inserted tracheal tube is likely to be displaced from the insertion position, that is, when the patient is placed on a prone position. By providing a fixing device to provide a tube tube fixing device that can accurately maintain the fixed position of the inserted tub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윗날개의 자유로운 이동을 통해 다양한 환자의 구강구조 및 치아구조에 적절히 대응가능하고, 별도의 기도유지도구 없이도 자연스럽게 기도유지가 가능한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cheal tube fixation device capable of appropriately responding to oral structures and dental structures of various patients through free movement of the upper blade, and naturally maintaining the airway without a separate airway gu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장치를 통해 기관튜브를 정확하고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어서 커프의 과도한 팽창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과도한 팽창에 의한 인후통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cheal tube fixing device that can accurately and safely secure the tracheal tube through a fixing device to minimize excessive expansion of the cuff and to prevent sore throat due to excessive expansion. .

본 발명은 앞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the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삽입공을 포 함하는 중공의 몸체와, 상기 몸체 외주면 상에 형성되며 환자의 치아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는 윗날개 및 아랫날개와 상기 날개 사이에 형성되어 치아를 보호하는 치아보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llow body including an insertion hole, and the upper wing and the lower wing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spaced apart between the patient's teeth and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ooth protection member formed between the wings to protect the teeth.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치아보호부재는 교합부의 외주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환자의 치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oth protection member is formed integral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cclusal portion and includes a body portion to protect the teeth of the patient.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치아보호부재는 윗날개 방향으로 몸체부를 "┐┌"형상으로 연장·절곡시켜 상부연장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oth protection member forms an upper extension by extending and bending the body portion in a "┐┌" shape in the upper wing direction.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치아보호부재는 아랫날개 방향으로 몸체부를 "┙┕"형상으로 연장·절곡시켜 하부연장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oth protection member forms a lower extension by extending and bending the body portion in a "┙┕" shape in the lower wing direction.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치아보호부재는 몸체부를 윗날개와 아랫날개 방향으로 모두 연장·절곡시켜 상부연장부와 하부연장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oth protection member extends and bends both the body portion in the upper and lower wing directions to form an upper extension portion and a lower extension portion.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치아보호부재는 몸체부를 윗날개와 아랫날개 방향으로 모두 연장·절곡시켜 상부연장부와 하부연장부를 형성한 후 상기 하부연장부를 더 연장·절곡하여 아랫날개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extends and bends the body portion in the direction of upper and lower wings to form the upper extension and the lower extension, and further extend the lower extens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cover the entire lower wing by extension and bending.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치아보 호부재는 몸체부를 윗날개와 아랫날개 방향으로 모두 연장·절곡시켜 상부연장부와 하부연장부를 형성한 후 상기 상부연장부를 더 연장·절곡하여 윗날개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and bends both the body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wing and the lower wing to form the upper extension part and the lower extension part, and then the upper extension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cover the entire upper wing by extending and bending.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캡용중공부를 갖는 고정용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용 캡과 상기 몸체의 결합에 의해 삽입된 기관튜브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ine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xing cap having a hollow portion for the capping of the engine tube, the engine inser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ixing cap and the body. It is characterized by fixing the tube.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기관튜브 삽입 후 상기 삽입공에 소정의 삽입부재를 더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haracterized by inserting a predetermined insertion member into the insertion hole after the tracheal tube is inserted.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기관튜브 삽입 후 상기 몸체와 기관튜브를 상호 소정의 접착부재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fter the tracheal tube is inserted, the body and the tracheal tube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dhesive member.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몸체는 제1몸체 및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가 상호 결합되어 삽입된 기관튜브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ine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s firmly coupled to the tube inserted into each other firm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몸체부와 상부연장부와 하부연장부를 갖는 치아보호부재가 제1몸체와 제2몸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tooth protection member having a body portion, an upper extension portion, and a lower extension portion is formed o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제1몸체는 압입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는 압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According to a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body includes a press-in protrusion and the second body includes a press-in groove.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압입돌기의 크기는 상기 압입홈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ou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ine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indentation protrusion is larger than that of the indentation groove.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제1몸체는 요면(凹面)을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는 철면(凸面)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f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body includes a concave surface, and the second body includes an iron surface.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제1몸체는 래치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는 래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ix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ine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body includes a latch protrusion and the second body includes a latch groove.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몸체는 돌출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결합부는 절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ven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ine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includes a protrusion coupling portion, and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includes an incision groove.

본 발명의 제 18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고정용 캡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진행할수록 반경이 증가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igh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ine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cap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whose radius in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고정용 캡은 내주면 상에 나사산을 가지고, 상기 몸체는 일정 외주면 상에 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nine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ine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 has a screw threa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body includes a screw thread on a predetermin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고정용 캡의 내주면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진행할수록 반경이 증가하는 경사면을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wentie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ine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cap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which increases in radius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reof.

본 발명의 제 2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 일정 위치에 압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용 캡은 그 내주면의 일정 위치에 상기 압입홈에 대응하는 압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wenty-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ine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in groov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and the fixing cap has a press-in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press-in groov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본 발명의 제 2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압입돌기의 크기는 상기 압입홈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wenty-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ine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indentation protrusion is larger than that of the indentation groove.

본 발명의 제 23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은 요면(凹面)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용 캡의 내주면은 철면(凸面)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wenty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includes a concave surf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cap includes an iron surface.

본 발명의 제 2 4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은 래치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용 캡의 내주면은 래치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ine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includes a latch groov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cap includes a latch protrusion.

본 발명의 제 25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고정용 캡은 제1고정용 캡 및 제2고정용 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용 캡 및 상기 제2고정용 캡이 상기 몸체를 사이에 두고 상호 결합되어 삽입된 기관튜브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wenty-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cap for fixing and the second cap for fixing, and the first cap for fixing and the second cap for fix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rgan tube is fixed to each other inserted through the body therebetween.

본 발명의 제 26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제1고정용 캡은 압입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용 캡은 압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wenty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ine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fixing cap includes a press-in protrusion, and the second fixing cap includes a press-in groove.

본 발명의 제 27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압입 돌기의 크기는 상기 압입홈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wenty-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ine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indentation protrusion is larger than that of the indentation groove.

본 발명의 제 28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제1고정용 캡은 요면(凹面)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용 캡은 철면(凸面)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wenty-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ine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fixing cap includes a concave surface, and the second fixing cap includes an iron surface. .

본 발명의 제 29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제1고정용 캡은 래치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용 캡은 래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wenty-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ine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fixing cap includes a latch protrusion, and the second fixing cap includes a latch groove.

본 발명의 제 30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윗날개는 상기 몸체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몸체 외주면은 수개의 몸체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윗날개가 상기 몸체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어 다양한 환자의 구강구조나 치아구조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hirtie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pper blade is spaced apart from the bod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includes several body projections, the upper wing is mov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used in oral structure or tooth structure of a variety of patients.

본 발명의 제 3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몸체 외주면 및 상기 윗날개 내주면은 나사산을 포함하여, 상기 윗날개가 상기 몸체 외주면을 따라 이동 및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hirty-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upper wing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clude a thread, so that the upper wing can be moved and fix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본 발명의 제 3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아랫날개와 결합되는 기도유지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hirty-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further includes an airway holding portion coupled to the lower wing.

본 발명의 제 33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기도유지구는 상기 기관튜브가 삽입되는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의 양측에 형성된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hirty-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way support includes a hollow portion into which the tracheal tube is inserted and wing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llow portion.

본 발명의 제 34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윗날개는 수개의 다기능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hirty-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wing further comprises several multifunctional holes.

*본 발명의 제 35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아랫날개는 수개의 다기능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hirty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wing further includes several multifunctional holes.

본 발명의 제 36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고정용 캡은 그 하단을 절개한 안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hirty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cap includes a guide surface cut at its lower end.

본 발명의 제 37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아랫날개는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의 삽입, 분리시 수축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통한 기관튜브의 고정시에는 팽창상태가 되도록 하는 벌룬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hirty-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lower blade to be in a contracted state whe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is inserted or removed, and when the tracheal tube is fixed through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lloon is made to be in an expanded state.

본 발명의 제 38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윗날개는 수개의 다기능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hirty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wing further comprises several multifunctional holes.

본 발명의 제 39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윗날개 및 상기 아랫날개는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기구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hirty-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nstrument insertion unit formed by cutting one side of the upper blade and the lower wing.

본 발명의 제 40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기구삽입부는 원형 또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ort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rument insertion portion is circular or elliptical.

본 발명의 제 4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몸체 일측은 커프 팽창을 위한 도관을 결합하기 위한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According to a forty-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of the body further comprises an insertion groove for coupling a conduit for cuff expansion.

본 발명의 제 4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삽입홈은 삽입되는 상기 도관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orty-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groove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conduit into which it is inserted.

본 발명의 제 43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커프팽창용도관을 결합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된 몸체부를 갖는 치아보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orty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ooth protection member having a body portion having an insertion groove for coupling the cuff expansion conduit.

본 발명의 제 44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몸체는 절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orty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includes an incision groove.

본 발명의 제 45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고정용 캡의 내주면은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orty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ine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cap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본 발명의 제 46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고정용 캡은 그 일측이 상기 몸체의 일측에 부분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orty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ine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of the fixing cap is partial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ody.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above configuration.

본 발명은 종래에 기관튜브를 단순히 상기 커프 및 고정테입 만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방법에서 벗어나 상기 고정용 캡 및 상기 몸체를 이용하여 기관튜브가 보다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삽입된 기관튜브가 빠질 수 있는 가능성 및 고정위치에서 벗어날 가능성을 낮출 뿐만 아니라, 환자가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 튜브를 손으로 빼냄으로써 심각한 상황이 초래될 수 있는 가능성을 차단하는 효 과를 가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can be pulled out by allowing the tracheal tube to be more firmly fixed by using the fixing cap and the body, instead of the conventional method of simply fixing the tracheal tube using only the cuff and the fixing tape. In addition to reducing the likelihood and possibility of deviation from the fixed position, the patient has the effect of blocking the possibility that serious situations may arise by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removing the tube by hand.

본 발명은 고정테입 없이도 기관튜브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고정테입 사용시의 문제점 중 하나인 접촉성 피부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기관튜브의 삽입시에도 상기 캡용 중공부 및 상기 삽입공을 따라 간단히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삽입된 기관튜브의 고정시에도 상기 고정용 캡을 돌리는 것만으로도 상기 본체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2명 이상이 작업해야하는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여 인건비를 낮추고 응급상황 등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contact dermatitis, which is one of the problems in using the above-mentioned fixing tape by allowing the fixation of the tracheal tube without fixing tape, and the hollow part for the cap and the cap even when the tracheal tube is inserted. It can be easily inserted along the insertion hole, and even when fixing the inserted tracheal tube to be firmly combined with the main body simply by turning the fixing cap by overcoming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that two or more people must work It can lower the cost and promote effective response to emergencies.

본 발명은 상기 커프의 과도한 팽창없이도 삽입된 기관튜브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관튜브 사용시 중대한 문제점인 인후통 등의 후유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환자를 엎드려 놓고(Prone Position) 수술하거나 입속을 수술해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삽입된 기관튜브가 움직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이고 편안한 환경에서 수술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the inserted tracheal tube without excessive swelling of the cuff to obtain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sequelae, such as sore throat, which is a significant problem when using the tracheal tube, prone position surgery (Prone Position) Or even if you need to operate the mouth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operation in a stable and comfortable environment by preventing the inserted tracheal tube to move.

본 발명은 수개의 다기능홀을 포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정줄을 사용하여 삽입된 기관튜브의 보다 견고한 고정을 도모하거나 흡입(Suction)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간단하고 편리하게 흡입(Suction)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lude several multi-functional holes, so that even when suction work is required, the suction tube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fixed even if the suction tube is more securely fixed.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본 발명은 삽입된 기관튜브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도 종래와 같이 고정된 기관튜브의 해체 및 재고정 작업 없이도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간단히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술 등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insertion of the tracheal tube is required to make it easy to move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without dismantling and re-assembling the fixed tracheal tube as in the prior art to facilitate the convenience of surgery, etc. Have

본 발명은 별도의 기도유지도구 없이도 자연스럽게 기도유지가 가능한 상태에서, 삽입되는 기관튜브의 견고한 고정까지 도모할 수 있는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tracheal tube fixing device that can achieve a firm fixation of the tracheal tube to be inserted in a state that can naturally maintain the airway without a separate airway guide.

본 발명은, 고정장치를 통해 기관튜브를 정확하고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어서 커프의 과도한 팽창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과도한 팽창에 의한 인후통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and safely secure the tracheal tube through the fixing device to minimize the excessive expansion of the cuff and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sore throat due to excessive expansion.

본 발명은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삽입된 기관튜브를 견고히 고정한 후 시술할 때 치아나 구강의 천정이나 잇몸 등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secured to the ceiling or gums of teeth or mouth when the procedure after firmly fixing the inserted tracheal tube using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Applicants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몸체(1), 윗날개(3) 및 아랫날개(5)와 치아보호부재(7)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5,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 the upper wing (3) and the lower wing (5) and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상기 몸체(1)는 중공 형상으로, 바람직하게는 중공 원통 형상이고, 기관튜브 삽입을 위한 삽입공(11)을 가지며, 상기 윗날개(3)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결합부(16a)와, 상기 윗날개(3) 및 상기 아랫날개(5) 사이에 위치하는 교합부(16b)를 포함한다.The body 1 has a hollow shape, preferably a hollow cylindrical shape, has an insertion hole 11 for inserting the tracheal tube, protruding coupling portion 16a protruding upward of the upper wing 3, and the upper wing. And an occlusal portion 16b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blade 5 and the lower blade 5.

상기 삽입공(11)은 상기 몸체(1)를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으로써 기관튜브의 삽입을 위해 요구되며 삽입되는 기관튜브의 직경(d)에 맞추어 그 직경(11D)이 결정되어야 한다.The insertion hole 11 is a hole penetrating the body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required for insertion of the tracheal tube, and its diameter 11D should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ameter d of the tracheal tube to be inserted.

후술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삽입공(11)의 직경(11D)은 각각 달라질 수 있는바, 이하에서 상술하기로 한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 diameter 11D of the insertion hole 11 may vary,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상기 돌출결합부(16a)는 상기 윗날개(3) 상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으로, 기관튜브 고정작업 완료시 환자의 치아 밖으로 돌출되게 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환자의 치아나 구강구조에 적합하도록 상기 윗날개(3)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 구비된다.The protruding coupling portion 16a is a portion protruding upward of the upper wing 3, protruding out of the patient's teeth when the tracheal tube fixing operation is completed, and is suitable for the tooth or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ove the upper blade 3 is provided so as to.

상기 교합부(16b)는 상기 윗날개(3) 및 상기 아랫날개(5)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기관튜브 고정작업 완료시 환자의 치아에 맞물리게 되고, 또한 상기 윗날개(3)의 이동시 그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The occlusal portion 16b is a portion located between the upper wing 3 and the lower wing 5 to be engaged with the patient's teeth when the tracheal tube fixing operation is completed, and the length of the upper wing 3 when the upper wing 3 is moved. Can vary.

상기 교합부(16b)는 중공 형상으로, 바람직하게는 중공 원통 형상이며,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 사용시 치아가 맞물리는 부분이다. 따라서 환자가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상기 교합부(16b)를 강하게 무는 경우에도 삽입된 기관튜브까지 맞물리게 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방해하는 일이 없도록 다소 강성을 지닌 재질로 만들어져야 한다.The bite portion 16b has a hollow shape, preferably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is a portion where teeth are engaged whe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refore, even if the patient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biting the occlusal portion (16b) strongly, it should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somewhat rigi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inhalation of air by engaging the inserted tracheal tube.

또한 상기 교합부(16b)의 길이(L)는 환자의 치아가 상기 윗날개(3) 및 상기 아랫날개(5) 사이에 위치하되, 윗날개가 치아의 전면에 그리고 아랫날개가 치아의 뒷면에 접하도록 하여 고정장치가 전후(C방향, 도 44 참조)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좌우(B방향, 도 43 참조)로의 이동은 가능하게 하는 정도로 형성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length L of the occlusal portion 16b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wing 3 and the lower wing 5 of the patient, so that the upper wing is in front of the tooth and the lower wing is in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tooth. Therefore, the fixing device should be formed to such an extent as to allow movement to the left and right (B direction, see FIG. 43) while preventing the fixing device from moving back and forth (C direction, see FIG. 44).

더욱이, 환자의 치아가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의 이동을 방해할 정도 로 강하게 상기 교합부(16b)를 물고 있는 것은 아니므로, 치과 또는 성형외과 상의 입안 수술 내지는 편도선 수술 또는 흡입(Suction) 작업을 요하는 경우 등에 있어 고정된 기관튜브의 이동이 필요한 때에도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치아를 따라 간단히 이동시킴으로써 수술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Furthermore, since the teeth of the patient are not biting the occlusal portion 16b so strongly as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tracheal tube ancho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ral surgery or tonsil surgery or suction operation in dental or plastic surgery When the fixed tracheal tube needs to be moved, for example, whe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y moved along the tooth, surgical convenience can be achieved.

종래기술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교합저지기의 사용시 발생하는 공간을 이용하여 상기 흡입(Suction) 작업 등을 실시하였는데 이는 공간상의 제약 및 이동의 곤란성으로 인해 상기 흡입(Suction) 작업등이 매우 힘들고 비효율적으로 이뤄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본 발명은 기관튜브 고정장치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suction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space generated when using the occlusal brace, which is very difficult and inefficient due to space limitation and difficulty of movement.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only be achieved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is problem by ensuring the free movement of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상기 치아보호부재(7)는 상기 교합부(16b)의 외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환자가 교합부(16b)를 강하게 물때 또는 고정장치를 물고 좌우로 이동할 때 등의 상황에서 환자의 치아가 상하는 일이 없도록 형성하는데 다소 탄성을 가지며 부드러운 재질인 실리콘, 고무재, 우뢰탄 등의 탄성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occlusal portion 16b so that the patient's teeth may be damaged in situations such as when the patient bites the occlusal portion 16b strongly or when the patient bites the fixing devic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elastic body such as silicon, rubber material, thunder coal, etc., which has a somewhat elasticity and is soft to form it.

상기 치아보호부재(7)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합부(16b)의 외주면에 일체형 또는 착탈가능하게 형성되어 환자의 치아가 상기 치아보조부재(7)의 몸체부(71)를 물개함으로써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필요에 따라 이동하며 시술할 때 치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is formed integrally or detachab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cclusal portion 16b as shown in FIG. 6A so that the patient's teeth seal the body portion 71 of the tooth assisting member 7.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tect the teeth when moving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as needed.

도 6b는 상기 치아보호부재(7)의 다른 실시예로써, 환자가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물었을 때 상기 치아의 바깥쪽을 보호하기 위하여 윗날개(3) 방향으로 몸체부(71)를 연장하여 절곡시킨 것으로 즉, "┐┌"형상으로 연장·절곡시켜 상부연 장부(72)를 형성한 것이다.Figure 6b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by extending the body portion 71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wing (3) to protect the outside of the tooth when the patient bites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That is, the upper extension part 72 is formed by extending | folding and bending in a "┐┌" shape.

상기와 같이 치아보호부재(7)에 상부연장부(72)를 구비함으로써 시술할 때 상기 탄성체로 이루어진 치아보호부재(7)의 몸체부(71)에 의해 치아의 끝부분과 상부연장부(72)에 의해 치아의 바깥쪽을 함께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upper end portion 72 of the tooth by the body portion 71 of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made of the elastic body when the procedure is provided by the upper extension portion 72 to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as described above ) To protect the outside of the tooth together.

도 6c는 상기 치아보호부재(7)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환자가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물었을 때 상기 치아의 안쪽을 보호하기 위하여 아랫날개(5) 방향으로 몸체부(71)를 연장하여 절곡시킨 것으로 즉, "┙┕"형상으로 연장·절곡시켜 하부연장부(73)를 형성한 것이다. Figure 6c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extending the body portion 71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wing (5) to protect the inside of the tooth when the patient bites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That is, the lower extension portion 73 is formed by extending and bending in the shape of " ┙┕ ".

상기와 같이 치아보호부재(7)에 하부연장부(73)를 구비함으로써 시술할 때 상기 탄성체로 이루어진 치아보호부재(7)의 몸체부(71)에 의해 치아의 끝부분과 하부연장부(73)에 의해 치아의 안쪽을 함께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lower end portion 73 and the lower end portion 73 of the tooth by the body portion 71 of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made of the elastic body when the procedure by providing a lower extension portion 73 to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as described above ) To protect the inside of the tooth together.

도 6d는 상기 치아보호부재(7)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환자가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물었을 때 상기 치아의 바깥쪽과 안쪽 모두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치아보호부재(7)의 몸체부(71)를 윗날개(3)와 아랫날개(5) 방향으로 모두 연장·절곡시켜 상부연장부(72)와 하부연장부(73)를 형성한 것이다.Figure 6d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to protect both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tooth when the patient bites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body of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The upper part 72 and the lower extension part 73 are formed by extending and bending the part 71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wing 3 and the lower wing 5.

상기와 같이 치아보호부재(7)에 상부연장부(72)와 하부연장부(73)를 형성함으로써 시술할 때 상기 탄성체로 이루어진 치아보호부재(7)의 몸체부(71)에 의해 치아의 끝부분과 상부연장부(72)에 의해 치아의 바깥쪽을 하부연장부(73)에 의해 치아의 안쪽을 함께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tip of the tooth by the body portion 71 of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made of the elastic body during the procedure by forming the upper extension portion 72 and the lower extension portion 73 in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portion of the tooth by the portion and the upper extension portion 72 is to protect the inner side of the tooth together by the lower extension portion 73.

도 6e는 상기 치아보호부재(7)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환자가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물었을 때 상기 치아의 바깥쪽과 안쪽, 잇몸 안쪽을 모두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치아보호부재(7)의 몸체부(71)를 윗날개(3)와 아랫날개(5) 방향으로 모두 연장·절곡시켜 상부연장부(72)와 하부연장부(73)를 형성한 후 상기 하부연장부(73)를 더 연장·절곡하여 아랫날개(5)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한 것이다.Figure 6e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when the patient bites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for protecting both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tooth, the inside of the gum (the tooth protection member ( The body portion 71 of 7) extends and bends both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blade 3 and the lower blade 5 to form the upper extension portion 72 and the lower extension portion 73, and then the lower extension portion 73 To further extend and bend is formed to surround the entire lower wing (5).

상기와 같이 치아보호부재(7)에 상부연장부(72)와 하부연장부(73)를 형성함으로써 시술할 때 상기 탄성체로 이루어진 치아보호부재(7)의 몸체부(71)에 의해 치아의 끝부분과 상부연장부(72)에 의해 치아의 바깥쪽을 하부연장부(73)에 의해 치아의 안쪽과 함께 잇몸 안쪽을 함께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tip of the tooth by the body portion 71 of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made of the elastic body during the procedure by forming the upper extension portion 72 and the lower extension portion 73 in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portion of the tooth by the portion and the upper extension portion 72 is to protect the inside of the gum together with the inner side of the tooth by the lower extension portion 73.

상기에서 아랫날개(5) 전체를 하부연장부(73)로 감싸는 것은 시술시 딱딱한 아랫날개(5)가 환자의 구강내 천정에 상처를 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entire lower wing 5 is wrapped in the lower extension 73 in order to prevent the hard lower wing 5 from hurting the oral ceiling of the patient during the procedure.

도 6f는 상기 치아보호부재(7)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환자가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물었을 때 상기 치아의 바깥쪽과 안쪽, 입술안쪽 모두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치아보호부재(7)의 몸체부(71)를 윗날개(3)와 아랫날개(5) 방향으로 모두 연장·절곡시켜 상부연장부(72)와 하부연장부(73)를 형성한 후 상기 상부연장부(73)를 더 연장·절곡하여 윗날개(3)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한 것이다.Figure 6f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to protect both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tooth, the inside of the lip when the patient bites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After extending and bending the body portion 71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blade (3) and the lower blade (5) to form the upper extension portion 72 and the lower extension portion 73, the upper extension portion 73 Further extension and bending is formed to surround the entire upper wing (3).

상기와 같이 치아보호부재(7)에 상부연장부(72)와 하부연장부(73)를 형성함으로써 시술할 때 상기 탄성체로 이루어진 치아보호부재(7)의 몸체부(71)에 의해 치아의 끝부분과 상부연장부(72)에 의해 치아 바깥쪽과 입술안쪽을 하부연장부(73)에 의해 치아의 안쪽을 함께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tip of the tooth by the body portion 71 of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made of the elastic body during the procedure by forming the upper extension portion 72 and the lower extension portion 73 in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portion and the inner side of the lip by the portion and the upper extension portion 72 will be to protect the inner side of the tooth together by the lower extension portion 73.

상기에서 윗날개(3) 전체를 상부연장부(72)로 감싸는 이유는 시술시 딱딱한 윗날개(3)가 환자의 입술안쪽에 상처를 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entire upper wing 3 is wrapped in the upper extension 72 is to prevent the hard upper wing 3 from hurting the inside of the patient's lips during the procedure.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에 삽입되는 기관튜브의 직경(d)이 상기 삽입공(11)의 직경(11D)보다 작은 경우 소정의 삽입부재(100)를 삽입하여 기관튜브를 고정하는 예를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7, when the diameter (d) of the tracheal tube is inserted into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11D) of the insertion hole 11 by inserting a predetermined insertion member 100 tracheal tube You can see an example of fixing the.

즉, 사용되는 다양한 기관튜브의 직경(d)에 맞추어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 것이나, 상기 직경(d)보다 상기 삽입공(11)의 직경(11D)이 큰 경우라 하여도, 소정의 상기 삽입부재(100)를 상기 삽입공(11)과 상기 기관튜브간의 간극에 끼워넣음으로써 삽입된 기관튜브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it is most preferable to provide the engine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diameter (d) of the various engine tubes used, but the diameter (11D) of the insertion hole 11 is larger than the diameter (d) Even in this case, by inserting the predetermined insertion member 100 into the gap between the insertion hole 11 and the tracheal tub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ow of the tracheal tube inserted.

또한, 삽입되는 상기 삽입부재(100)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응급상황 발생시 종이 등을 끼워넣어서 간극을 메우는 일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type of the insertion member 100 to be inserted is not limit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fill in the gap by inserting a paper or the lik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도 8을 참조하면,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기관튜브의 직경(d)이 상기 삽입공(11)의 직경(11D)보다 작은 경우, 소정의 고정부재(200)를 기관튜브(1002)의 둘레를 감은 뒤 다시 고정장치에 부착고정함으로서 기관튜브의 유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8, when the diameter d of the tracheal tube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11D of the insertion hole 11, as described above, the predetermined fixing member 200 is moved around the tracheal tube 1002. It may also be possible to prevent the flow of the tracheal tube by winding it and then reattaching it to the fixture.

또한, 상기 고정부재(200)의 종류에도 제한이 없으며, 간단히 반창고 등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In addition, the type of the fixing member 200 is not limited, and may be simply used a band-aid or the like.

도 9,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윗날개(3) 및 상기 아랫날개(5)의 실시태양을 알 수 있다.9, 10 and 11, embodiments of the upper wing 3 and the lower wing 5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상기 윗날개(3)는 환자 치아의 전면(외부에서 보이는 면)에, 그리고 상기 아 랫날개(5)는 환자 치아의 뒷면(설측면)에 접하는 부분으로써,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가 전후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삽입된 기관튜브의 위치 변동을 차단하며 동시에 좌우로의 이동을 허용하여 필요에 따라 구강내 세척이나 흡입(Suction)작업 등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upper wing (3)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viewed from the outside) of the patient teeth, and the lower wing (5) is in contact with the back (lingual side) of the patient teeth,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back and forth It prevents the change of the inserted tracheal tube 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allows the movement to the left and right to conveniently perform oral cleaning or suction work as needed.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윗날개(3) 및 상기 아랫날개(5)는 상기 몸체와 결합되는 중공부를 포함하고 타원형 또는 원형 또는 프로펠러형으로 제작가능 하다.9 and 10, the upper wing 3 and the lower wing 5 includes a hollow portion coupled to the body and can be manufactured in an oval or circular or propeller type.

타원형날개의 경우, 후술하는 다기능 홀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원형날개의 경우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의 이동범위가 넓어질 수 있고, 프로펠레형날개의 경우 치아에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짐으로 인해 삽입되는 기관튜브의 안정적 고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언하건대 전술한 도 9 및 도 10의 날개는 상기 윗날개(3) 및 상기 아랫날개(5)로 모두 사용가능하다.In the case of the elliptical w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ize of the multi-function hole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increased, the circular wing can be widened the movement range of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tooth in the case of the propeller wing This widening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a stable fixation of the inserted tracheal tube. In addition, the wing of Figures 9 and 10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s both the upper blade (3) and the lower blade (5).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아랫날개(5)의 실시태양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1, it can be seen an embodiment of the lower wing (5)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의 상기 아랫날개(5)의 경우 환자의 구강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아랫날개(5) 형상이 부드러운 곡면으로 처리됨으로써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 삽입시에도 환자에게 구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며, 삽입부재에 대한 거부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11의 상기 아랫날개(5)는 다른 경우와 마찬가지로 내측에 상기 몸체(1) 삽입을 위한 중공부가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관통하여 형성되고 있으며, 동일 형상의 부재를 상기 윗날개(3)로 이용하여도 무방하나 상기 아랫날개(5)로 이용하는 경우와 같은 장점은 별로 없을 것이다.In the case of the lower wing 5 of FIG. 11, the lower wing 5 inserted into the patient's mouth is treated with a soft curved surface so that vomiting does not occur to the patient even whe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resistance to absence. In addition, the lower wing 5 of Figure 11 is formed through the hollow portion for inserting the body (1)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as in the other cases, using the same shape as the upper wing (3) Although it may be any advantage, such as when using the lower wing (5) will not have much advantage.

상기에도 치아보호부재(7)가 형성되는데, 상기 치아보호부재(7)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가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물었을 때 상기 치아의 바깥쪽과 안쪽, 안쪽 잇몸을 모두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치아보호부재(7)의 몸체부(71)를 윗날개(3)와 곡면으로 처리된 아랫날개(5) 방향으로 모두 연장·절곡시켜 상부연장부(72)와 하부연장부(73)를 형성한 후 상기 하부연장부(73)를 더 연장·절곡하여 곡면으로 처리된 아랫날개(5)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한 것이다.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is also formed.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includes both the outer, inner and inner gums of the tooth when the patient bites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as shown in FIG. 12. To protect and to extend and bend the body portion 71 of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blade (3) and the lower blade (5) treated with a curved surface, the upper extension portion 72 and the lower extension portion After the 73 is formed, the lower extension portion 73 is further extended and bent to surround the entire lower wing 5 treated with a curved surface.

상기에서 아랫날개(5) 전체를 하부연장부(73)로 감싸는 이유는 상기에서와 같이 시술시 딱딱한 아랫날개(5)가 환자의 구강내 천정에 상처를 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reason why the entire lower wing 5 is wrapped in the lower extension 73 is to prevent the hard lower wing 5 from hurting the oral ceiling of the patient during the procedure as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이 치아보호부재(7)에 상부연장부(72)와 하부연장부(73)를 형성함으로써 시술할 때 등에도 상기 탄성체로 이루어진 치아보호부재(7)의 몸체부(71)에 의해 치아의 끝부분과 상부연장부(72)에 의해 치아의 바깥쪽을 하부연장부(73)에 의해 치아의 안쪽과 함께 안쪽 잇몸을 함께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By forming the upper extension portion 72 and the lower extension portion 73 in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as described above, the teeth by the body portion 71 of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made of the elastic body, etc. The outer portion of the tooth by the end portion and the upper extension portion 72 of the lower extension portion 73 will be to protect the inner gum together with the inner side of the tooth.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의 모습을 알 수 있다. 도 13의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몸체(1)를 둘로 나누어 일측 끝단을 맞닿게 한 것으로, 제1몸체(1a) 및 제2몸체(1b)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3, it can be seen the appearance of the engine tub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FIG. 13 divides the body 1 into two to abut one end, and includes a first body 1a and a second body 1b.

이 경우, 상기 몸체(1)와 결합된 상기 윗날개(3) 및 상기 아랫날개(5)도 반으로 나누어 각각 상기 제1몸체(1a) 및 상기 제2몸체(1b)에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upper wing 3 and the lower wing 5 coupled to the body 1 are also preferably divided in half so as to couple to the first body 1a and the second body 1b, respectively. .

상기 제1몸체(1a)는 상기 제2몸체(1b)와 결합하기 위한 압입돌기(13a)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1b)는 상기 압입돌기(13a)와 결합하기 위한 압입홈(13b)을 포함한다.The first body 1a includes an indentation protrusion 13a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body 1b, and the second body 1b for indentation groove 13b for coupling with the indentation protrusion 13a. ).

상기 압입돌기(13a) 및 상기 압입홈(13b)의 개수나 형상은 사실상 제한이 없으며 상호 끼워맞춤되어 상기 제1몸체(1a) 및 상기 제2몸체(1b)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1회용 의료기구의 범주에 속함을 고려할 때, 상기 압입돌기(13a)의 크기를 대응되는 상기 압입홈(13b)의 크기보다 다소 크도록 하여 억지 끼워맞춤이 되도록 구성하도록 한다.The number or shape of the indentation protrusion 13a and the indentation groove 13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it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body 1a and the second body 1b are not separated. In additio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idered to belong to the category of disposable medical devices, the size of the indentation projection (13a) to be somewhat larger than the size of the corresponding indentation groove (13b) for interference fit. It should be configured as possible.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압입돌기(13a) 및 상기 압입홈(13b)에 갈음하여 요면(凹面, 15b) 및 철면(凸面, 15a)을 포함한 경우를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it can be seen that the concave surface 15b and the concave surface 15a are replaced with the indentation protrusion 13a and the indentation groove 13b.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제1몸체(1a) 및 상기 제2몸체(1b)를 결합시키는 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Press-Button 방식, 즉 똑딱단추 방식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Combining the first body (1a) and the second body (1b) in this way it will be understood in a generally known Press-Button method, that is, a snap button metho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압입돌기(13a) 및 상기 압입홈(13b)에 갈음하여 래치돌기(17a) 및 래치홈(17b)를 포함한 경우를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it can be seen that the latch protrusion 17a and the latch groove 17b are replaced with the press-in protrusion 13a and the press-in groove 13b.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제1몸체(1a) 및 상기 제2몸체(1b)를 결합시키는 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래치방식의 결합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즉, 핸드폰의 밧데리 교환 방식 등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는 예가 래치방식이며,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래치돌기(17a)가 상기 래치홈(17b)으로 강제적으로 밀어넣어지면서 상호 결속되어 상기 제1몸체(1a) 및 상기 제2몸체(1b) 간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Combining the first body (1a) and the second body (1b) in this way will be understood to be a coupling of a generally known latch method. That is, an example widely used in the battery replacement method of the mobile phone is a latch method,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ch protrusion 17a is forcibly pushed into the latch groove 17b to bind to each other to form the first body 1a. And firm coupling between the second body 1b.

*전술한 사항에 있어 도면상으로는, 상기 제1몸체(1a)가 상기 압입돌기(13a), 철면(凸面) 및 상기 래치돌기(17a)를 포함하는 예를 들고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제2몸체(1b)에 포함될 수도 있는 것으로, 다만 상기 제1몸체(1a) 및 상기 제2몸체(1b)에 포함되는 구성이 서로 대응되어 상호 결합 될 수 있으면 충분하다.In the above-described matters, the first body 1a includes an example of the press-in protrusion 13a, the convex surface and the latch protrusion 17a in the drawings. It may be included in (1b), but it is sufficient if the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first body (1a) and the second body (1b) can be mutually coupl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또한, 도 13, 도 14 또는 도 15의 구성을 채택하여 상기 제1몸체(1a) 및 상기 제2몸체(1b)를 결합하는 경우, 결합 완료시 형성되는 상기 몸체(1)의 상기 삽입공 직경(11D)는 상기 삽입공(11)에 삽입되는 상기 기관튜브의 직경(d)보다 다소 작도록 하여 상기 제1몸체(1a) 및 상기 제2몸체(1b)의 결합시 삽입된 기관튜브(1002)를 압착하도록 하여 다른 수단의 도움없이도 기관튜브(1002)가 견고하게 몸체상에 고정되게 한다. 물론 앞서 본 다른 고정 방식도 채택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body (1a) and the second body (1b) by adopting the configuration of Figure 13, 14 or 15, the insertion hole diameter of the body (1) formed when the coupling is completed 11D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d) of the tracheal tu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 the tracheal tube 1002 inserted when the first body (1a) and the second body (1b) is coupled ), So that the tracheal tube 1002 is firmly fixed on the body without the aid of other means. Of course, it is obvious that other fixed methods can be adopted.

또한 상기에도 치아보호부재(7)가 형성되는데 도 6a에서 도 6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아보호부재(7)를 몸체부(71)만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상부연장부(72)를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하부연장부(73)를 형성한 것, 뭄체부(71)와,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하되 하부연장부(73)를 더 연장하여 아랫날개(5)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한 것, 몸체부(71)과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하되 상부연장부(72)를 형성하여 윗날개(3) 전체를 감싸도록 한 것 중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is also formed in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as shown in Fig. 6a to 6f formed only the body portion 71, the body portion 71 and the upper extension portion 72 ), The body portion 71 and the lower extension portion 73 is formed, the body portion 71, and the upper and lower extension portion (72, 73) formed, the body portion 71 And upper and lower extension parts 72 and 73, but the lower extension part 73 is further extended to cover the entire lower wing 5, the body part 71 and the upper and lower extension parts 72. , 73, but the upper extension portion 72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entire upper wing 3 can be selected and formed as needed.

도 16,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제1몸체(1a) 및 상기 제2몸체(1b) 를 완전히 둘로 나눈 후, 전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함으로써 삽입된 기관튜브를 고정하는 경우를 알 수 있으며, 상기 압입돌기(13a), 철면(凸面) 및 상기 래치돌기(17a) 등에 관한 사항 및 도시된 구성을 택할 시의 장점은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Referring to Figures 16, 17 and 18, after the first body (1a) and the second body (1b) is completely divided into two, in the case of fixing the inserted tracheal tube by the same method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advantages of the matters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indentation projection (13a), the convex surface () 面) and the latch projection (17a) and the like shown in the above description is omitted.

또한 상기에도 치아보호부재(7)가 형성되는데 도 6a에서 도 6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아보호부재(7)를 몸체부(71)만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상부연장부(72)를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하부연장부(73)를 형성한 것, 뭄체부(71)와,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하되 하부연장부(73)를 더 연장하여 아랫날개(5)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한 것, 몸체부(71)과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하되 상부연장부(72)를 형성하여 윗날개(3) 전체를 감싸도록 한 것 중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is also formed in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as shown in Fig. 6a to 6f formed only the body portion 71, the body portion 71 and the upper extension portion 72 ), The body portion 71 and the lower extension portion 73 is formed, the body portion 71, and the upper and lower extension portion (72, 73) formed, the body portion 71 And upper and lower extension parts 72 and 73, but the lower extension part 73 is further extended to cover the entire lower wing 5, the body part 71 and the upper and lower extension parts 72. , 73, but the upper extension portion 72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entire upper wing 3 can be selected and formed as needed.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윗날개(3)가 상기 몸체(1)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를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몸체(1) 외주면은 몸체돌기(18)를 가지고, 상기 윗날개(3)는 상기 몸체(1)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된다.Referring to FIG. 19, it can be seen that the upper blade 3 mov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 in which cas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 has a body protrusion 18 and the upper wing 3. Is coupled to the body 1 and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interval.

이처럼 상기 윗날개(3)가 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하는 이유는 환자마다 다른 치아구조나 구강구조상의 차이점에 기인하는 것이며, 즉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교합부(16b)가 환자의 치아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윗날개(3) 및 상기 아랫날개(5)가 환자 치아를 사이에 두고 각각 치아에 접촉하는 구성을 택하도록 함으로써, 삽입된 기관튜브의 견고한 고정을 가능토록 하고, 기관튜브 삽입 후에도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가 환자 치아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바, 만약 상기 윗날개(3) 및 상기 아랫날개(5)의 간격이 지나치게 벌어지는 경우, 즉 환자 치아를 사이에 두고 각각 환자 치아에 접촉하지 않는 경우라던가 그 간격이 너무 좁아 환자의 치아가 삽입되지 않는다면 전술한 목적의 달성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upper wing 3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s due to differences in tooth structure or oral structure that is different from patient to patient, that is,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occlusal portion 16b engaged with the patient's teeth. The upper wing 3 and the lower wing 5 in the state to take the configuration in contact with each tooth with the patient's teeth in between, thereby enabling a firm fixation of the inserted tracheal tube, the present invention even after tracheal tube insertion Its main purpose is to allow the tracheal tube fixation device to move freely along the patient's teeth, if the gap between the upper wing 3 and the lower wing 5 is excessively spaced, i.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ives if the contact is not made or if the interval is too narrow and the patient's teeth are not inserted. All.

따라서,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환자의 구강속으로 삽입한 후, 상기 윗날개(3)를 조절함으로써 전술한 목적의 달성이 가능해지며, 개별 환자마다 별도로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맞춤 제작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의료환경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refore, by inserting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by adjusting the upper blade (3)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o make a custom tailored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ach individual patient Without doing so,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a tracheal tube fixing device that can cope suitably with various medical environments.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 외주면과 상기 윗날개(3)를 소정 간격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윗날개(3)에 무리한 힘을 주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이동가능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최상 그리고 최하의 몸체돌기(18)는 그 사이에 위치된 몸체돌기(18)보다 더 돌출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윗날개(3)의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the figure, it is preferable to mov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upper wing 3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as to be conveniently movable without applying excessive force to the upper wing 3, and the upper and lower bodies The protrusion 18 may limit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upper blade 3 by allowing it to protrude more than the body protrusion 18 positioned therebetween.

또한, 상기 몸체(1) 외주면을 따라 상기 윗날개(3)가 이동하는 방식은 일반적인 강제이동, 즉 힘을 가함으로써 각각의 상기 몸체돌기(18)에 상기 윗날개(3)가 걸리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해하면 된다.In addition, the manner in which the upper blade 3 is mov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 is understood as a general forced movement, that is, a method in which the upper blade 3 is hung on each of the body protrusions 18 by applying a force. Just do it.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몸체돌기에 접촉하는 상기 윗날개(3)의 부분(31)에 상기 몸체돌기(18)에 상보적인 형상을 부가할 수도 있다.예컨대, 상기 몸체돌기의 선단이 볼록한 곡면이면 상기 윗날개의 부분(31)도 상기 몸체돌기의 선단에 상보적인 오목한 곡면을 이루게 된다. Referring to FIG.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body protrusion 18 may be added to the portion 31 of the upper wing 3 in contact with the body protrusion. If the tip of the body protrusion is a convex surface, the portion 31 of the upper blade also forms a concave curved surface complementary to the tip of the body protrusion.

이처럼, 상기 윗날개(3)에 상기 몸체돌기(18)에 상보적인 형상을 포함시키는 것은, 상기 윗날개(3)가 상기 몸체돌기(18)를 타고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As such, the inclusion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body protrusion 18 in the upper wing 3 is to allow the upper wing 3 to move more easily on the body protrusion 18.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1) 외주면 및 상기 윗날개(3) 내주면이 나사산을 포함한 경우를 알 수 있으며, 상기 몸체(1)와 상기 윗날개(3)는 나사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나사진행방향으로 상기 윗날개(3)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윗날개(3)의 이동을 보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it can be seen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blade 3 include a screw thread, and the body 1 and the upper blade 3 are screw-coupled to be threaded as necessary. By rotating the upper blade 3 can be ensured to move the upper blade (3).

이 경우, 상기 윗날개(3)의 회전에 걸림이 없도록 환자의 구강구조를 고려하여 상기 윗날개(3)의 크기 및 형상을 맞추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며, 전술한 상기 몸체돌기(18)의 경우와 마찬가지 이유로 상기 윗날개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몸체(1) 외주면의 일정 위치에만 상기 나사산(19a)을 형성한다.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fit the size and shape of the upper wing 3 in consideration of the oral structure of the patient so as not to catch the rotation of the upper wing 3, the same as the case of the body protrusion 18 described above For this reason, the thread 19a is formed onl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 so as to limit the movement range of the upper blade.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의 태양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아랫날개(5)에 결합된 소정의 기도유지구(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22, it can be seen the aspect of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case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is a predetermined airway holding 70 coupled to the lower wing (5) It includes.

상기 기도유지구(70)는 수술시 또는 응급상황시 혀가 말려 기도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일반적인 Air-Way장치의 구성을 그대로 따르며, 이처럼 상기 기도유지구(70)를 포함시킬 경우 환자가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 혀로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밀어내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이고 확고하게 환자의 기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The airway retainer 70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airway from being blocked by the tongue during surgery or in an emergency, and follows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Air-Way device as it is. Thus, when the airway retainer 70 is included, the patient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se of pushing the tracheal tube fix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tongue, and has the advantage of maintaining the patient's airway stably and firmly.

또한, 환자의 기도확보가 최우선시 되는 응급상황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 관튜브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기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본 발명의 장점을 그대로 지닌채 삽입되는 기관튜브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even in an emergency situation where the patient's airway is prioritized, the use of the tube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ensures the airway and allows the fixation of the tracheal tube inserted with the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t is. The effect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의 경우, 상기 기도유지구(70)까지 관통하여 기관튜브를 삽입해야 하는바, 상기 기관튜브가 상기 기도유지구로 삽입될 수 있는 통로로서 역할을 하는 중공부(703)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중공부(703)는 상기 기도유지구의 일정 위치 바람직하게는 중심을 따라 형성되는 원통형상을 가지는 부분으로서 상기 기관튜브(1002)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In the case of the tracheal tube fix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heal tube is to be inserted through the airway holding region 70, and the hollow portion 703 serving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tracheal tube can be inserted into the airway holding region. May be formed. The hollow portion 703 is a portion having a cylindrical shape formed along a predetermined position, preferably along the center, of the airway holding portion, and the tracheal tube 1002 is inserted.

또한, 상기 기도유지구(70)는 날개(701)를 포함하여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부(703)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포함하여, 상기 날개(701)가 환자의 혀와 접촉하도록 함으로서 날개와 혀간의 접촉면적을 넓히고 결국 기도유지구가 환자의 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여 응급상황에 효율적으로 기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irway support 70 includes a wing 701, preferably on each side of the hollow portion 703, one by one, so that the wing 701 is in contact with the tongue of the patient between the wing and the tongue The contact area is widened and the airway maintenance area is securely settled on the patient's tongue so that the airway can be efficiently secured in an emergency situation.

또한 상기에도 치아보호부재(7)가 형성되는데 도 6a에서 도 6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아보호부재(7)를 몸체부(71)만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상부연장부(72)를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하부연장부(73)를 형성한 것, 뭄체부(71)와,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하되 하부연장부(73)를 더 연장하여 아랫날개(5)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한 것, 몸체부(71)과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하되 상부연장부(72)를 형성하여 윗날개(3) 전체를 감싸도록 한 것 중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is also formed in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as shown in Fig. 6a to 6f formed only the body portion 71, the body portion 71 and the upper extension portion 72 ), The body portion 71 and the lower extension portion 73 is formed, the body portion 71, and the upper and lower extension portion (72, 73) formed, the body portion 71 And upper and lower extension parts 72 and 73, but the lower extension part 73 is further extended to cover the entire lower wing 5, the body part 71 and the upper and lower extension parts 72. , 73, but the upper extension portion 72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entire upper wing 3 can be selected and formed as needed.

도 24를 참조하면,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수개의 다기능 홀(31,51)을 포함할 수 있는데 도면상에는 상기 윗날개(3) 및 상기 아랫날 개(5) 모두에 상기 다기능 홀이 포함된 모습을 도시하였다. Referring to FIG. 24, the engine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several multi-function holes 31 and 51 as necessary. In the drawing, both the upper blade 3 and the lower blade 5 are multifunctional. The figure includes a hall.

상기 윗날개(3)에 포함된 상기 다기능 홀(31)은 상기 윗날개(3) 외측에 구비되며, 주로 고정줄을 연결하여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더욱 견고히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흡입(Suction) 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The multi-function hole 31 included in the upper wing 3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upper wing 3, mainly to connect the fixing line to more firmly fix the engine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r suction (Suction) Used when you want to work.

또한 상기에도 치아보호부재(7)가 형성되는데 도 6a에서 도 6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아보호부재(7)를 몸체부(71)만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상부연장부(72)를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하부연장부(73)를 형성한 것, 뭄체부(71)와,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하되 하부연장부(73)를 더 연장하여 아랫날개(5)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한 것, 몸체부(71)과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하되 상부연장부(72)를 형성하여 윗날개(3) 전체를 감싸도록 한 것 중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is also formed in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as shown in Fig. 6a to 6f formed only the body portion 71, the body portion 71 and the upper extension portion 72 ), The body portion 71 and the lower extension portion 73 is formed, the body portion 71, and the upper and lower extension portion (72, 73) formed, the body portion 71 And upper and lower extension parts 72 and 73, but the lower extension part 73 is further extended to cover the entire lower wing 5, the body part 71 and the upper and lower extension parts 72. , 73, but the upper extension portion 72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entire upper wing 3 can be selected and formed as needed.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만으로도 삽입된 기관튜브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나 수개의 다기능 홀이 포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관튜브의 보다 견고한 고정을 도모하고자 한 것이며, 또한 종래에는 기관튜브 삽입 후 환자의 입속에 침이나 기타 분비물 등이 고이는 경우 내지 치과, 성형외과 기타 이비인후과에서 입안을 수술하거나 편도선 수술을 하는 경우 등에 있어 흡입(Suction)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 고정된 기관튜브를 해체하거나 상기 기관튜브의 주위로 흡입(Suction) 장치를 별도로 삽입하여 흡입(Suction)작업을 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따랐는 바,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개의 다기능 홀을 둠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It will be obvious that the tracheal tube can be firmly fixed with only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is intended to further secure the tracheal tube by allowing several multifunctional holes to be included. If a needle or other secretion builds up in the patient's mouth or if suction is to be performed in the mouth, tonsil surgery, etc. in a dentistry, plastic surgery or other otorhinolaryngology, the fixed tracheal tube is dismantled or the organ Inconvenience, such as the suction (Suction) work by inserting the suction device separately around the tube has been followed, the present invention solved this problem by providing several multi-function holes as described above.

즉,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에 의해 기관튜브의 견고한 고정이 이뤄진 경우라도, 엎드린 상태(Prone Position)의 수술 등과 같이 삽입된 기관튜브의 유동 가능성이 높은 경우 상기 다기능 홀(31)에 상기 고정줄을 결합함으로써 보다 완벽한 기관튜브의 고정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물론, 상기 고정줄의 사용은 본 발명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에 의해 삽입된 기관튜브의 고정이 이뤄진 후에 상기 다기능 홀(31)에 상기 고정줄을 끼워넣고 고정시킨 후 상기 고정줄을 목둘레에 감아 고정시킴으로써 이뤄지게 된다.That is, even when the tracheal tube is firmly fixed by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ssibility of flow of the tracheal tube inserted, such as surgery in a prone position, is high, the multifunctional hole 31 is fixed. By joining the strings, a more complete fixation of the tracheal tube is possible. Of course, the use of the fixing line is after the fixing of the tracheal tube inserted by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fixing line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multi-function hole 31 and fixed to the neckline This is accomplished by rolling up and fixing.

또한, 상기 다기능홀(31)은 흡입(Suction) 작업에 불편함이 없도록 흡입용 도구가 쉽게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도록 구성해야 한다. In addition, the multi-function hole 31 should be configured to have a diameter such that the suction tool can be easily inserted so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the suction operation.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삽입된 기관튜브를 고정한 후, 수술 등의 진행에 따라 입안 또는 기관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삽입된 기관튜브를 해체함이 없이 상기 다기능홀(31)을 통해 상기 흡입(Suction) 장치의 튜브를 삽입하고 흡입(Suction) 함으로써 종래 기관튜브가 삽입된 상태에서의 흡입(Suction) 과정상 난점을 해결하였다. After fixing the inserted tracheal tube using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mouth or tracheal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surgery, the multifunctional hole 31 without dismantling the inserted tracheal tube By inserting the tube of the suction device through the suction and suction to solve the difficulty in the suction process in the conventional tracheal tube inserted state.

또한, 도면상 상기 다기능 홀(31)은 두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 수를 늘릴 수 있으며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고 볼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function hole 31 in the drawing is shown in two, but the number can be increased if necessary and there is no limit to the number.

상기 아랫날개(5)에 포함된 상기 다기능 홀(51)의 경우도, 상기 윗날개(3)의 상기 다기능 홀(31)과 하는 역할이 동일하지만, 상기 아랫날개(5)의 상기 다기능 홀(51)은 주로 흡입(Suction) 작업을 위해 포함된 구성인바 고정줄을 거는데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multi-function hole 51 included in the lower wing 5, the same function as the multi-function hole 31 of the upper wing 3 is performed, but the multi-function hole 51 of the lower wing 5 is the same. ) Is a component included mainly for suction work, so it is not suitable to be used for hanging the fixing line.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다기능 홀(31,51)에 갈음하여 기구삽입부(33,53)가 포함된 경우를 알 수 있으며, 상기 기구삽입부(33,53)는 직경이 큰 도구, 즉 기관지경과 같이 직경이 커서 상기 다기능 홀(31,51)로 관통시키기 어려운 도구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Referring to FIG. 25, it can be seen that the multi-function holes 31 and 51 are replaced with the tool insertion parts 33 and 53, and the device insertion parts 33 and 53 are tools having a large diameter, that is, It is used when a tool, such as a bronchoscope, has a large diameter and is difficult to penetrate through the multifunctional holes 31 and 51.

또한, 상기 윗날개(3) 및 상기 아랫날개(5)가 상기 기구삽입부(33,53)를 포함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상기 몸체(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윗날개(3) 및 상기 아랫날개(5)의 일측으로 편향시켜 형성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upper wing 3 and the lower wing 5 includes the instrument insertion portion 33, 53, the body 1, as shown, the upper wing 3 and the lower as shown It may be formed by deflecting to one side of the blade (5).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가 상기 아랫날개(5)에 갈음하여 벌룬(6)을 포함한 경우를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26,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lloon 6 in place of the lower wing 5.

상기 벌룬(6)은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의 삽입시에는 수축된 상태로 구비되었다가 삽입 후 소정의 주사기 등을 통해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됨으로써 상기 아랫날개(5)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The balloon 6 is provided in a contracted state whe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is inserted and then expanded by air injected through a predetermined syringe or the like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lower wing 5. do.

또한, 상기 벌룬(6)은 팽창시 침 또는 이물질이 기도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마취제의 투여시 마취제가 공기 중으로 확산됨으로써 원하는 마취효과를 제대로 얻을 수 없는 문제점까지도 해결할 수 있는 기능을 담당한다.In addition, the balloon 6 is responsible for preventing the saliva or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airway when inflated, and the anesthetic is diffused into the air during administration of the anesthetic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desired anesthetic effect cannot be properly obtained.

도면상에는 상기 벌룬(6)에 공기가 삽입되는 통로인 튜브 및 밸브를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커프(1003) 팽창을 위해 마련된 튜브 및 상기 커프팽창용밸브(1005)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따르면 될 것이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tube and a valve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inserted into the balloon 6, this is similar to the tube and the cuff expansion valve 1005 provided for expanding the cuff 1003 shown in FIG. Will follow the configuration.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몸체(1) 일측 외주면에 삽입홈(12)이 형성된 경우를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7,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insertion groove 12 is formed in on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1).

상기 커프(1003)의 팽창을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프팽창용밸브(1005)와 상기 커프(1003)를 연결하는 커프팽창용도관(1004)이 필요한데, 상기 삽입홈(12)은 상기 커프팽창용도관(1004)을 수납하기 위해 구비된 구성이다.In order to expand the cuff 1003, a cuff expansion conduit 1004 connecting the cuff expansion valve 1005 and the cuff 1003 is required as shown in FIG. 1, and the insertion groove 12 is It is a structure provided for accommodating the cuff expansion conduit 1004.

즉, 상기 기관튜브(1002)와 상기 커프팽창용도관(1004)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기관튜브의 경우 상기 삽입홈(12)은 필요치 않을 것이나, 상기 기관튜브(1002)만을 삽입하고 상기 커프팽창용도관(1004)을 통해 상기 커프팽창용밸브(1005)와 상기 커프(1003)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상기 커프팽창용도관(1004)을 상기 삽입홈(12)에 삽입시킴으로써 간단하고, 간결하게 상기 커프(1003)를 팽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tracheal tube in which the tracheal tube 1002 and the cuff expansion conduit 1004 are integrally formed, the insertion groove 12 will not be necessary, but only the tracheal tube 1002 is inserted and the cuff expansion is used. When connecting the cuff expansion valve 1005 and the cuff 1003 through the pipe 1004, the cuff expansion conduit 100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2 simply and concisely. It becomes possible to inflate 1003.

또한 상기에도 치아보호부재(7)가 형성되는데 상기 치아보호부재(7)는 커프팽창용도관(1004)을 수납하기 위한 삽입홈(12)이 형성된 몸체부(71)만 형성한 것, 상기 몸체부(71)와 상부연장부(72)를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하부연장부(73)를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하되 하부연장부(73)를 더 연장하여 아랫날개(5)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한 것, 몸체부(71)과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하되 상부연장부(72)를 형성하여 윗날개(3) 전체를 감싸도록 한 것 중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is also formed in the tooth protection member 7 is formed only the body portion 71 is formed with the insertion groove 12 for receiving the cuff expansion conduit 1004, the body The part 71 and the upper extension part 72 formed, the body part 71 and the lower extension part 73 formed, the body part 71 and the upper and lower extension parts 72 and 73 Formed to form, to form the body portion 71 and the upper and lower extension portions (72,73) but to further extend the lower extension portion 73 to cover the entire lower wing (5), body portion ( 71) and the upper and lower extension parts 72 and 73 are formed, but the upper extension part 72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entire upper wing 3 and may be selected and formed as necessary.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가 고정용 캡(9)을 포함하는 경우를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8,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engine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cap (9).

상기 고정용 캡(9)은 2단으로 된 중공 원통 형상을 가지며, 기관튜브 삽입을 위한 캡용 중공부(91)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1)의 상기 돌출결합부(16a)와 결합된 다.The fixing cap 9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in two stages, and includes a hollow portion 91 for cap insertion of the tracheal tube, and is coupled to the protruding coupling portion 16a of the body 1. .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가 상기 고정용 캡(9)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돌출결합부(16a)의 직경보다 상기 고정용 캡(9)의 직경을 다소 작게 구성하고, 상기 돌출결합부(16a)가 가압력에 의해 탄성변형가능한 재질 예컨대 고무,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재질로 제작한 후 억지 끼워 맞춤 형식으로 상기 돌출결합부(16a) 및 상기 고정용 캡(9)을 결합하면 상기 고정용 캡(9)이 상기 돌출결합부(16a)를 가압하여 돌출결합부(16a)가 수축하여 삽입공(11)을 수축시킴으로서 상기 삽입공에 삽입된 기관튜브(1002)가 돌출결합부에 의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는 돌출결합부의 재질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적용가능하다. Whe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xing cap 9, the diameter of the fixing cap 9 is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16a, and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 16a)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by pressing force, such as rubber, polyurethane, etc., and then, when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16a and the fixing cap 9 are combined in an interference fit type, the fixing cap ( 9) pressurizes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16a so that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16a contracts and contracts the insertion hole 11 so that the tracheal tube 1002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can be firmly fixed by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Can be. Such a protruding portion of the material is easily applicable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돌출결합부(16a)는 절개홈(14)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9, the protrusion coupling part 16a includes a cutout groove 14.

상기 절개홈(14) 포함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억지 끼워 맞춤을 통해 상기 돌출결합부(16a) 및 상기 고정용 캡(9)을 결합하면, 상기 고정용 캡(9)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돌출결합부(16a)가 상기 절개홈(14)을 사이에 두고 수축하여 삽입된 상기 기관튜브(1002)를 견고하게 결합한다. 이와 같는 실시예는 앞서 본 도 28의 실시예와 같이 돌출결합부의 재질을 탄성재질로 할 필요가 없게 된다. When the cutting groove 14 is includ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16a and the fixing cap 9 are coupled through an interference fit, the pressing force of the fixing cap 9 is increased.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16a firmly couples the tracheal tube 1002 inserted into and contracted with the cutting groove 14 interposed therebetween. Such an embodiment does not need to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s the material of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as in the embodiment of FIG. 28.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14)은 상기 고정용 캡(9)이 사용되는 어떠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적용가능한 사항이며 이하에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engine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ting groove 14 is applicable to any embodiment in which the fixing cap 9 is used,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도 30 내지 도 3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용 캡(9)의 실시 태양을 알 수 있다.30 to 35, an embodiment of the fixing cap 9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용 캡(9)은 내주면에 나사산(92a)을 가진다.Referring to Fig. 30, the fixing cap 9 has a thread 92a on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이 경우, 상기 고정용 캡(9)과 결합되는 상기 돌출결합부(16a)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산(92a)에 대응하는 나사산(161a)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러한 나사산에 의한 결합시, 상기 돌출결합부(16a) 및 상기 고정용 캡(9)의 결합 편의성과 견고한 결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this case,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ding coupling portion 16a coupled to the fixing cap 9 should include a thread 161a corresponding to the thread 92a. At the time of coupling by the thread,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coupling convenience of the protrusion coupling part 16a and the fixing cap 9 and the firm coupling property.

도 31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용 캡(9)은 내주면에 경사면(92b)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1, the fixing cap 9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92b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경사면(92b)은 상기 고정용 캡(9)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반경이 증가하는 경사를 가지는데, 이처럼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가 상기 경사면(92b)을 포함하는 경우, 체결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경사면(92b)이 상기 돌출결합부(16a)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돌출결합부(16a) 및 상기 고정용 캡(9)의 결합시 삽입된 기관튜브의 보다 견고한 고정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경사면(92b)에는 나사산을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나사결합의 진행에 따라 삽입되는 기관튜브의 고정력이 더욱 강해지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 inclined surface 92b has an inclination of increasing radiu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cap 9. Thus, when the engine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inclined surface 92b, the fastening proceeds. Accordingly, the inclined surface 92b pressuriz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ding coupling portion 16a to achieve a more firm fixation of the inserted tracheal tube when the protruding coupling portion 16a and the fixing cap 9 are coupled to each other. Has an effec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lude a screw thread on the inclined surface (92b)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achieve an effect that the fixing force of the engine tube to be inserted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screw coupling becomes stronger.

도 32,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용 캡(9)은 각각 압입돌기(93a), 철면(94b) 및 래치돌기(95a)를 포함하는 경우를 알 수 있다.32, 33 and 34, it can be seen that the fixing cap 9 includes a press-fit protrusion 93a, a convex surface 94b and a latch protrusion 95a, respectively.

이 경우, 각각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용 캡(9)과 결합되는 상기 돌출결합부(16a)에는 각각 압입홈(93b), 요면(94a) 및 래치홈(95b)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In this case, as shown in each drawing,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16a coupled to the fixing cap 9 includes a press-fit groove 93b, a concave surface 94a, and a latch groove 95b, respectively. Should be

상기 고정용 캡(9) 하측에 상기 압입돌기(93a), 상기 철면(94b) 및 상기 래치돌기(95a)를 포함시키는 이유는 상기 돌출결합부(16a)와의 결합시 결합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including the indentation protrusion 93a, the convex surface 94b and the latch protrusion 95a under the fixing cap 9 is to facilitate the coupling when the protrusion cap 16a is coupled to the protrusion 16a. to be.

또한 상기 고정용 캡(9)과 상기 돌출결합부(16a)에 포함되는 각 구성이 바뀌는 경우, 즉 상기 고정용 캡(9)이 압입홈(미도시), 요면(미도시) 및 래치홈(미도시)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결합부(16a)가 상기 압입돌기, 철면 및 래치돌기를 포함하는 경우라도 무방하다. In addition, when the respective configurations included in the fixing cap 9 and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16a are changed, that is, the fixing cap 9 is a press-fit groove (not shown), a concave surface (not shown), and a latch groove ( Not shown), and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16a may include the press-fit protrusion, the convex surface, and the latch protrusion.

상기 고정용 캡(9)과 상기 돌출결합부(16a) 간의 결합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며, 즉 상기 압입돌기와 압입홈 간의 끼워맞춤 또는 상기 요면과 철면 간의 Press-Button 방식 결합 또는 상기 래치돌기와 래치홈 간의 래치방식에 의한 결합을 따르는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matters of the coupling between the fixing cap 9 and the protruding coupling portion 16a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fitting between the indentation protrusion and the indentation groove or the press-button coupling between the concave surface and the convex surface or the latch. The latch is coupled by the latch method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latch groov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용 캡(9) 하단은 안내면(92c)을 포함하는데, 상기 안내면(92c)은 상기 고정용 캡(9)을 상기 몸체(1)에 체결할 때 상기 몸체(1)의 선단과 최초 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고정용 캡(9)이 상기 몸체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위치설정이 가능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35, the lower end of the fixing cap 9 includes a guide surface 92c, which guides the body 1 when fastening the fixing cap 9 to the body 1.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tip of the first), the fixing cap 9 can be accurately and easily positioned on the body.

도 3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도면이다. 도 3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고정용 캡(9)은 그 일측이 연결띠(15)를 통해 상기 몸체의 일정위치에 피봇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어서, 앞서 본 다양한 결합방식에 의해 캡(9)이 상기 돌출결합부(16a)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캡과 몸체가 붙어 있어서 캡의 분실우려가 없는 등 취급상의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다. 36 is a view of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4, the fixing cap 9 is pivotally attached at one side thereof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ody through a connecting strip 15, and thus, the cap 9 is formed by various coupling method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be coupled to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16a). Such an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convenience in handling such that the cap and the body are attached so that there is no fear of losing the cap.

도 37 내지 도 39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용 캡(9)은 상기 고정용 캡(9)을 반 분한 제1고정용 캡(9a) 및 제2고정용 캡(9b)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용 캡(9a)은 각각 압입돌기(96a), 요면(97a) 및 래치돌기(98a)를 포함한다.37 to 39, the fixing cap 9 includes a first fixing cap 9a and a second fixing cap 9b that are half of the fixing cap 9. The one fixing cap 9a includes a press-in protrusion 96a, a concave surface 97a and a latch protrusion 98a,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2고정용 캡(9b)은 일단이 상기 제1고정용 캡(9a)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닿은 상태에서 각각 상기 압입돌기(96a), 상기 요면(97a) 및 상기 래치돌기(98a)에 대응하는 압입홈(96b), 철면(97b) 및 래치홈(98b)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용 캡(9a) 및 상기 제2고정용 캡(9b)은 각각 상기 압입돌기와 압입홈 간의 끼워맞춤 또는 상기 요면과 철면 간의 Press-Button 방식 결합 또는 상기 래치돌기와 래치홈 간의 래치방식에 의한 결합에 의해 결합되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fixing cap 9b has the indentation protrusion 96a, the concave surface 97a, and the latching protrusion 98a, respectively, with one end of the second fixing cap 9b at least partially in contact with the first fixing cap 9a. And a press-fit groove 96b, a convex surface 97b and a latch groove 98b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fixing cap 9a and the second fixing cap 9b are respectively formed between the press-in protrusion and the press-in groove. It is coupled by a fitting or by a press-button coupling between the concave surface and the convex surface or by a latching method between the latch protrusion and the latch groove.

이처럼 상기 고정용 캡(9)을 상기 제1고정용 캡(9a) 및 상기 제2고정용 캡(9b)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소정의 체결요소를 통해 결합하는 경우, 삽입되는 기관튜브의 직경(d)을 상기 캡용 중공부(91)의 직경(91D, 도 12a 참조)보다 작게하고 돌출결합부가 가압력에 의해 탄성변형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결합시 기관튜브의 견고한 고정을 도모할 수 있다. 물론, 앞서 본 절개홈(14)의 구성과 나사산의 구성을 추가로 가질 수도 있음은 너무나 자명하다. As such, when dividing the fixing cap 9 into the first fixing cap 9a and the second fixing cap 9b and combining them again through a predetermined fastening element, the diameter of the tracheal tube to be inserted d )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low portion 91 for the cap (91D, see Fig. 12a) and by allowing the protruding coupling portion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by the pressing force, it is possible to achieve a firm fixation of the tracheal tube when engaged. Of course, it is too obvious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cutting groove 14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thread can be further seen.

도 40 내지 도 42를 참조하면, 상기 제1고정용 캡(9a) 및 상기 제2고정용 캡(9b)을 완전히 둘로 나누고, 이를 다시 결합하는 예를 알 수 있으며 도 35 내지 도 37에 나타낸 사항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40 to 42, an example of completely dividing the first fixing cap 9a and the second fixing cap 9b into two and recombining them may be seen. Since it is the same a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 37 내지 도 42에 도시된 상기 고정용 캡(9)에 의할 경우, 상기 돌출결합부(16a)의 외경은 상기 고정용 캡(9)의 내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상기 제1고정용 캡(9a) 및 상기 제2고정용 캡(9b)의 결합시 상기 돌출결합부(16a)에 억지끼워맞 춤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37 to 42, the outer diameter of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16a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xing cap 9 so that the first fixing cap ( 9a) and the second fixing cap 9b, it is preferable to force the fitting to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16a).

또한 도 37 내지 도 42에 도시된 상기 고정용 캡(9)의 경우 상기 돌출결합부(16a)와 압입방식, Press-Button방식, 또는 래치방식에 의해 결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며, 이는 앞서 수차례 살펴본 것과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fixing cap 9 illustrated in FIGS. 37 to 42 may be coupled to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16a by a press-fit method, a press-button method, or a latch method. As it has been seen several times before,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출원인은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가 사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Applicants will now be described a method in which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많은 실시태양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태양 중 고정용 캡(9)이 구비된 실시예에 한정하여 도 43과 도 4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겠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하에서 설명하는 사항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너무나도 명백하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umber of embodiments. Hereinafter, the engine tube fix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3 and 45 only to the embodiment in which the cap 9 for fixing is provided. It will be described the case of using, it is too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 described below.

기관튜브가 사용되어야 할 응급상황 또는 입속을 수술하는 등의 상황발생시 먼저 환자의 입을 벌린 후, 상기 몸체(1)를 환자의 입속으로 삽입한다. When an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an endotracheal tube should be used or an operation such as operating an oral cavity occurs, first, the patient's mouth is opened, and then the body 1 is inserted into the patient's mouth.

상기 몸체(1)의 삽입시 상기 윗날개(3) 하단이 환자 치아의 전면에 위치되어야 하고,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교합부(16b)의 길이가 조절되어 환자의 치아에 맞물리도록 상기 아랫날개(5)의 상단은 자연스럽게 환자 치아의 후면과 접촉되도록 한다. When inserting the body (1) the lower end of the upper blade (3) should be located in front of the patient teeth, as described above the length of the bite 16b is adjusted to engage the patient's teeth to the lower wing (5) The top of the cuff is naturally in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patient's teeth.

다음으로, 후두경 등을 사용하여 기관튜브의 정확한 삽입깊이를 파악하며 상기 캡용 중공부(91) 및 상기 삽입공(11)를 관통하여 기관튜브(1002)를 밀어 넣는 다. Next, using the laryngoscope or the like to determine the exact insertion depth of the tracheal tube and pushes the tracheal tube 1002 through the hollow portion 91 for the cap and the insertion hole 11.

상기 기관튜브가 정확한 깊이까지, 예컨대 상기 커프(1003)가 성대를 통과하여 1~2 Cm 정도 들어가는 위치까지 삽입된 경우 기관튜브를 밀어넣는 것을 멈추고 상기 커프팽창용밸브(1005)에 주사기를 결합하고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커프(1003)를 팽창시킴으로써 기관튜브를 임시로 고정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고정용 캡(9)과 상기 돌출결합부(16a)를 결합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나사결합 하는 경우 상기 고정용 캡(9)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고정용 캡(9)과 상기 몸체(1) 간의 결합이 이뤄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고정용 캡(9) 내주면에는 이미 마련된 상기 경사면(92b)이 존재하는 경우 그리고 돌출결합부가 탄성재질로 된 경우 그리고 돌출결합부에 절개홈(14)이 구비된 경우 등에는, 나사결합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돌출결합부(16a)가 수축되므로 상기 삽입공(11)이 수축되면서 기관튜브의 외주를 견고하게 파지하게 된다. When the tracheal tube is inserted to the correct depth, for example, the position where the cuff 1003 passes through the vocal cords and enters about 1 to 2 cm, stop pushing the tracheal tube and couple the syringe to the cuff expansion valve 1005. Air is injected to inflate the cuff 1003 to temporarily fix the tracheal tube. Subsequently, the fixing cap 9 and the protruding coupling portion 16a are coupled to each other. When scre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cap 9 is rotated by rotating the fixing cap 9.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body (1) is made.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clined surface 92b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cap 9 and when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cuts on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In the case where the groove 14 is provided,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16a is contracted as the screw coupling proceeds, so that the insertion hole 11 is contracted to firmly grip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racheal tube.

따라서 상기 고정용 캡(9)과 상기 몸체(1) 간의 나사결합이 완료된 경우 상기 기관튜브(1002)는 상기 몸체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나아가 상기 몸체의 아랫날개(5)가 치아(T)의 뒷면에 그리고 윗날개(3)가 치아(T)의 전면에 접하여 고정장치(1)의 전후(화살표 C방향, 도 44 참조)유동이 없을 정도로 견고히 고정되므로, 환자가 몸을 뒤척이거나 무의식적으로 삽입된 기관튜브를 빼내려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삽입된 기관튜브의 위치에는 전혀 변동이 없게 된다. 이와 같이, 기관튜브는 고정장치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커프(1003)를 산소와 마취제 등의 가스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만 팽창시키면 되어서, 과도한 커프 팽창으로 인한 인후통 등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screw coupling between the fixing cap (9) and the body (1) is completed, the tracheal tube (1002) is firmly fixed to the body and further the lower wing (5) of the body is the back of the tooth (T) And the upper wing 3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tooth T and firmly fixed so that there is no flow before and after the fixing device 1 (arrow C direction, see FIG. 44), so that the patient has turned over or unknowingly inserted the organ. Even when trying to pull out the tube, there is no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inserted tracheal tube. Thus, since the tracheal tube is firmly fixed by the fixing device, the cuff 1003 is expanded only to the extent that the gas such as oxygen and anesthetics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back, thereby preventing side effects such as sore throat due to excessive cuff inflation. can do.

또한, 전술한 사항에서 강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삽입된 기관튜브를 고정하더라도,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화살표 B 방향)으로 치아를 따라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치과, 성형외과 기타 이비인후과 등의 수술에 있어 수술공간확보 및 흡입(Suction) 작업 등의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 even when the inserted tracheal tube is fixed using the tracheal tube fix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highlighted in the foregoing, as shown in FIG. 43, the tracheal tube fixing apparatus along the teeth in the right and left (arrow B direction) Since it can be moved freely, it is possible to obtain a very advantageous effect in terms of securing the surgical space and suction work in the surgery of dental, plastic surgery and other otolaryngology.

또한,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도유지구(7)를 구비한 고정장치의 경우에는, 기도유지구의 날개(71)와 중공부(73)가 혀와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여 혀를 가압함으로서 혀가 말려서 기관튜브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앞서 본 바와 같은 효과를 추가로 가질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5, in the case of the fixing device having the airway holder 7, the wing 71 and the hollow portion 73 of the airway holder are contacted with the tongue in a large area to press the tongue. The tongue can be curled to prevent the tracheal tube from being shifted, and at the same time, it can further have the same effect as previously see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God.

도 1은 기관튜브 및 커프 팽창시 사용되는 주사기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syringe used for inflation of the tracheal tube and cuff

도 2는 환자에게 기관튜브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커프가 팽창된 후, 도 4는 커프가 팽창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tracheal tube is inserted into the patient,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after the cuff is expanded, Figure 4 before the cuff is infla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engine tub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 중 치아보호부재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6A to 6F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 tooth protect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7 and 8 are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engine tub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윗날개 또는 아랫날개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upper wing or the lower w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윗날개 또는 아랫날개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upper wing or the lower w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랫날개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lower w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도 11의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engine tub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도 15, 도 16, 도 17 및 도 18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14, 15, 16, 17 and 18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engine tub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몸체돌기에 따라 윗날개의 이동이 가능함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19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at the upper blade is movable according to the body protrus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9의 단면도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9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사산을 따라 윗날개의 이동이 가능함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Figure 21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at the upper blade can be moved along the thr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도유지구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2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way maintenance is combin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은 도 2의 A-A선을 따른 절단 단면도FIG. 2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윗날개 및 아랫날개에 다기능 홀이 포함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multi-function hole in the upper and lower wing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윗날개 및 아랫날개에 기구삽입부가 포함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instrument insertion portion is included in the upper and lower wing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랫날개에 갈음하여 벌룬이 포함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2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lloon is replaced by the lower wing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삽입홈이 포함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that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캡이 추가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2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xing cap is add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개홈이 포함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2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tting groove is included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0 내지 도 3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캡의 다양한 실시예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30 to 3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fixing c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7, 도 38 및 도 3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캡이 회동가능하도록 반분되고 끝단이 맞닿은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37, 38 and 39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c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half to be rotatable and the ends abut

도 40, 도 41 및 도 4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캡이 완전히 반분된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40, 41 and 4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various examples in which the fixing c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ly half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가 환자의 치아를 따라 좌우로 이동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정면도Figure 43 is a front view showing that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ved left and right along the patient's teeth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가 사용된 상태의 측단면도.Figure 4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using a tube tub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도유지구를 가진 기관튜브 고정장치가 사용된 상태의 측단면도.Figure 4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using a tracheal tube holding device having an airway holding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몸체 11 : 삽입공1: body 11: insertion hole

11D : (삽입공) 직경 12 : 삽입홈11D: (insertion hole) Diameter 12: Insertion groove

13a,93a,96a : 압입돌기 13b,93b,96b : 압입홈13a, 93a, 96a: Indentation protrusion 13b, 93b, 96b: Indentation groove

14 : 절개홈 18 : 몸체돌기14: incision groove 18: body protrusion

15a,94a,97a : 요면 15b,94b,97b : 철면15a, 94a, 97a: concave surface 15b, 94b, 97b: iron surface

16a : 돌출결합부 16b : 교합부16a: protruding coupling portion 16b: occlusal portion

17a,95a,98a : 래치돌기 17b,95b,98b : 래치홈17a, 95a, 98a: Latch protrusion 17b, 95b, 98b: Latch groove

19a : 나사산 3 : 윗날개19a thread 3: upper wing

31 : 다기능 홀 33 : 기구삽입부 31: multi-function hole 33: instrument insertion part

5 : 아랫날개 51 : 다기능 홀5: lower wing 51: multi-function hall

53 : 기구삽입부 6 : 벌룬53: instrument insertion part 6: balloon

7 : 치아보호구 9 : 고정용 캡7: tooth protector 9: fixing cap

70 : 기도유지구 70: prayer area

91 : 캡용 중공부 91D : (캡용 중공부)직경 91: hollow portion for cap 91D: (hollow portion for cap) diameter

92a : 나사산 92b : 경사면92a: Thread 92b: Slope

92c : 안내면 1001 : 산소공급용어댑터92c: guide surface 1001: oxygen supply adapter

1002 : 기관튜브 1003 : 커프1002: tracheal tube 1003: cuff

1004 : 커프팽창용도관 1005 : 커프팽창용밸브1004: Cuff expansion pipe 1005: Cuff expansion valve

2001 : 식도 2003 : 기도2001: Esophagus 2003: Prayer

Claims (9)

기관튜브 고정장치에 있어서, 삽입공을 포함하는 중공의 몸체와, 상기 몸체 외주면 상에 형성되며 환자의 치아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는 윗날개 및 아랫날개와, 상기 날개 사이에 형성되어 치아를 보호하는 치아보호부재와, 캡용중공부를 갖는 고정용 캡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돌출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용 캡과 상기 몸체의 돌출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삽입된 기관튜브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튜브 고정장치In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the hollow body including the insertion hole, the upper wing and the lower wing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and spaced apart between the patient's teeth, teeth formed between the wings to protect the teeth And a fixing cap having a protective member and a hollow portion for the cap, wherein the body includes a protruding coupling portion, and fixes the tracheal tube inserted by the coupling of the fixing cap and the protruding coupling portion of the body. Tracheal tube fixtur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치아보호부재는 교합부의 외주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환자의 치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튜브 고정장치The tooth protection member is formed integral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cclusal part, the tracheal tube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ody portion to protect the patient's teeth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치아보호부재는 윗날개 방향으로 몸체부를 "┐┌"형상으로 연장·절곡시켜 상부연장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튜브 고정장치The tooth protection member is a tracheal tube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xtension by bending and extending the body portion "┐┌" shape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wing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치아보호부재는 아랫날개 방향으로 몸체부를 "┙┕"형상으로 연장·절곡시켜 하부연장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튜브 고정장치The tooth protection member is a tracheal tube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is formed by extending and bending the body portion "┙┕"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wing;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치아보호부재는 몸체부를 윗날개와 아랫날개 방향으로 모두 연장·절곡시켜 상부연장부와 하부연장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튜브 고정장치The tooth protection member is a tube tube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xtension portion and the lower extension portion formed by extending and bending the body portion in both the upper wing and the lower wing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치아보호부재는 몸체부를 윗날개와 아랫날개 방향으로 모두 연장·절곡시켜 상부연장부와 하부연장부를 형성한 후 상기 하부연장부를 더 연장·절곡하여 아랫날개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튜브 고정장치The tooth protection member is formed by extending and bending the body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wing and the lower wing to form the upper extension and the lower extension, and further extending and bending the lower extension to form a wrap around the entire lower wing Tube fixtur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치아보호부재는 몸체부를 윗날개와 아랫날개 방향으로 모두 연장·절곡시켜 상부연장부와 하부연장부를 형성한 후 상기 상부연장부를 더 연장·절곡하여 윗날개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튜브 고정장치The tooth protection member extends and bends both the body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wing and the lower wing to form the upper extension part and the lower extension part, and further extends and bends the upper extension part to form the tracheal tu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cover the entire upper wing. Fixtur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돌출결합부는 절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튜브 고정장치Tracheal tube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comprises a cutt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정용 캡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진행할수록 반경이 증가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튜브 고정장치The fixing cap is a tracheal tube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clined surface which increases in radius from the top to the bottom
KR1020080124881A 2008-12-09 2008-12-09 The fixing Device for Endotracheal Tube KR1009026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881A KR100902666B1 (en) 2008-12-09 2008-12-09 The fixing Device for Endotracheal T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881A KR100902666B1 (en) 2008-12-09 2008-12-09 The fixing Device for Endotracheal Tub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213A Division KR100902665B1 (en) 2007-01-31 2007-01-31 The fixing Device for Endotracheal Tu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723A KR20080110723A (en) 2008-12-19
KR100902666B1 true KR100902666B1 (en) 2009-06-15

Family

ID=40369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881A KR100902666B1 (en) 2008-12-09 2008-12-09 The fixing Device for Endotracheal Tub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66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2012A1 (en) * 2012-10-18 2014-04-24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Apparatus for fixing endotracheal tube
KR102042185B1 (en) 2019-05-09 2019-11-07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Multi endotracheal tube hold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7272B (en) * 2011-09-13 2015-06-24 王秋筠 Safe teeth cushion for endotracheal intubation
CN107754066A (en) * 2017-10-20 2018-03-06 上海市肺科医院 A kind of modified form bite-block
KR20190108376A (en) * 2018-03-14 2019-09-24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Laryngeal mask
KR102588892B1 (en) * 2021-06-29 2023-10-13 (재)예수병원유지재단 Fixing device for carthe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0529A (en) * 1979-03-26 1981-06-02 Rudolph Muto Endotracheal tube stabilizer
US4944313A (en) * 1989-09-06 1990-07-31 E-Z-Em, Inc. Single-use annular mouthpiece
US6533761B2 (en) 2000-05-31 2003-03-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Catheter securing device and bite block
US6755191B2 (en) 2000-02-22 2004-06-2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Securing device for an endotracheal tub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0529A (en) * 1979-03-26 1981-06-02 Rudolph Muto Endotracheal tube stabilizer
US4944313A (en) * 1989-09-06 1990-07-31 E-Z-Em, Inc. Single-use annular mouthpiece
US6755191B2 (en) 2000-02-22 2004-06-2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Securing device for an endotracheal tube
US6533761B2 (en) 2000-05-31 2003-03-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Catheter securing device and bite bloc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2012A1 (en) * 2012-10-18 2014-04-24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Apparatus for fixing endotracheal tube
KR101404668B1 (en) 2012-10-18 2014-06-09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Apparatus for Fixing Endotracheal Tube
KR102042185B1 (en) 2019-05-09 2019-11-07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Multi endotracheal tube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723A (en) 2008-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454B1 (en) The fixing device for endotracheal tube
JP4468391B2 (en) Endotracheal tube fixation device
US68602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dotracheal intubation using a light wand and curved guide
AU2015310984B2 (en) Sealing mechanism for anaesthetic airway devices
US3915173A (en) Intubation device for the inhalation of gasses
US11623058B2 (en) Lower jaw thrusting, mandibular protracting, tongue holding, universal oropharyngeal airway device
US484833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ulmonary ventilation of a patient concurrent with fiberoptic respiratory tract examination and tracheal intubation
US8640692B2 (en) Oropharyngeal device for assisting oral ventilation of a patient
KR100902666B1 (en) The fixing Device for Endotracheal Tube
WO2019162024A1 (en) Snorkel ventilating airway and bite-block
KR20170109393A (en) Apparatus for fixing endotracheal tube
KR100902665B1 (en) The fixing Device for Endotracheal Tube
Greenberg Facemask, nasal, and oral airway devices
RU2565820C1 (en) Respiratory mouth piece
CN220025819U (en) Tracheal catheter fixing device
Tripathy et al. Supraglottic Airway Devices
Gupta et al. Masks and Airways
Sandberg et al. Airway assessment and management
US20190125995A1 (en) Oral Airway
CN105079932A (en) Multifunctional trachea cannula
Dickison IMPROVISED AIRWAY MANAGEMENT
Poopalalingam et al. Managing the Difficult Airway in an Emergency Se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