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102B1 - Diplexer and combiner for mutli-band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iplexer and combiner for mutli-band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102B1
KR100899102B1 KR1020080115374A KR20080115374A KR100899102B1 KR 100899102 B1 KR100899102 B1 KR 100899102B1 KR 1020080115374 A KR1020080115374 A KR 1020080115374A KR 20080115374 A KR20080115374 A KR 20080115374A KR 100899102 B1 KR100899102 B1 KR 100899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 filter
band
frequency
diplexer
frequenc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3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진영
이정원
이운하
김규용
Original Assignee
에프투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투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프투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5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10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1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2Coaxial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01P1/2136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using comb or interdigital filters; using cascaded coaxial cav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4Coaxial reson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두 신호를 상호변조왜곡(PIMD) 없이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다이플렉서 및 이를 이용하여 다수의 주파수 대역을 통합/분리할 수 있는 다중 대역 주파수 공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유형에 따른 다이플렉서는, 도전성 하우징; 및 상기 도전성 하우징 내에 나란히 인접하여 설치된 저역통과필터와 대역통과필터를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저역통과필터는 동축 선로를 이용한 스텝형 필터이고, 상기 대역통과필터는 다수의 동축 공진기들을 포함하는 동축 공진기형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11537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plexer capable of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two signals hav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without intermodulation distortion (PIMD) and a multi-band frequency common apparatus that can integrate / separate multiple frequency bands using the same. A diplexer according to one typ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ductive housing; And a low pass filter and a band pass filter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conductive housing, wherein the low pass filter is a stepped filter using a coaxial line, and the band pass filter is a coaxial resonator type including a plurality of coaxial resonat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Figure R1020080115374

Description

다이플렉서 및 다이플렉서를 구비한 다중 대역 주파수 공용기{Diplexer and combiner for mutli-band having the same}Multiplexer and combiner for mutli-band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이플렉서 및 이를 구비하는 다중 대역 주파수 공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두 신호를 상호변조왜곡(PIMD; 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없이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다이플렉서 및 이를 이용하여 다수의 주파수 대역을 통합/분리할 수 있는 다중 대역 주파수 공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plexer and a multi-band frequency common device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 diplexer capable of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two signals hav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without having a 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PIM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band frequency common unit that can integrate / separate multiple frequency bands.

최근 무선통신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무선통신 서비스의 종류도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FM 대역부터, 소방/무선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주파수공용통신(TRS; Trunked Radio System), 및 개인이동통신용으로 사용되는 셀룰라(Cellular) 무선통신나 PCS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WCDMA, 와이브로(Wibro), 무선 LAN, 지상파 DMB 등과 같은 무선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무선통신 서비스는 각각에 할당된 고유의 주파수 대역이 있다. 예를 들어, FM 대역은 88~108Mhz, 지상파 DMB는 174.512~215.504Mhz, TRS는 806~866Mhz, 셀룰라는 824~894Mhz, PCS는 1750~1870Mhz, WCDMA는 1.920~2.200GHz이며, 와이브로는 2.3~2.4GHz, 그리고 무선 LAN은 2.4~2.5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다.Recently, as the demand for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increases, the types of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are also very diverse. For example, from the FM band, Trunked Radio System (TRS), which is mainly used for firefighting / wireless, and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and PCS, which are used for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recently, WCDMA, WiBro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WiBro, wireless LAN, and terrestrial DMB are being provided. These various kinds of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have their own frequency bands assigned to each. For example, FM band is 88 ~ 108Mhz, terrestrial DMB is 174.512 ~ 215.504Mhz, TRS is 806 ~ 866Mhz, cellular is 824 ~ 894Mhz, PCS is 1750 ~ 1870Mhz, WCDMA is 1.920 ~ 2.200GHz, and WiBro is 2.3 ~ 2.4 GHz and wireless LANs use the 2.4-2.5GHz frequency band.

이러한 무선통신 서비스는 통상적으로, 전체 서비스 지역을 다수의 서비스 영역으로 나누고 각각의 서비스 영역을 담당하는 기지국이 그 영역 내의 무선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대형 건물의 경우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증폭하여 무선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중계기들이 추가적으로 설치된다. 중계기는 각각의 무선통신 서비스의 종류마다 그 특성과 역할이 조금씩 다르며, 따라서 무선통신 서비스의 종류마다 전용의 중계기들이 마련된다.Such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is typically configured to divide an entire service area into a plurality of service areas and to allow a base station in charge of each service area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with a wireless terminal in the area. In addition, in the case of large buildings, a plurality of repeaters are additionally installed to amplify the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and provide it to the wireless terminal. The repeater has a slightly different characteristic and role for each type of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Therefore, dedicated repeaters are provided for each type of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한편, 중계기에는 기지국과의 신호 송수신을 위한 링크 안테나와 무선 단말기와의 신호 송수신을 위한 서비스 안테나가 연결된다. 통상적으로,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링크 안테나와 중계기 사이의 신호 전송은 RF 전송선로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무선통신 서비스마다 별도의 RF 전송선로를 이용할 경우, 케이블의 설치가 매우 복잡해진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수의 주파수 대역을 통합/분리할 수 있는 주파수 공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주파수 공용기를 사용할 경우, 안테나로부터 주파수 공용기까지 단일 RF 전송선로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고, 단일 RF 전송선로를 통해 전송된 다중 대역의 신호를 주파수 공용기가 각각의 중계기로 분배한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중계기로부터의 신호를 주파수 공용기가 통합하여 단일 RF 전송선로를 통해 다중 대역의 신호를 안테나로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peater is connected to the link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base station and the service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wireless terminal. Typically, the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link antenna and the repeater installed in the building is via the RF transmission line. In this case, when a separate RF transmission line is used for each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of different frequency bands, the cable is very complicated to install. To alleviate this inconvenience, a frequency commoner that can integrate / separate multiple frequency bands can be used. In the case of using the frequency sharer, th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antenna to the frequency sharer through a single RF transmission line, and the multi-band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ingle RF transmission line is distributed to each repeater. Similarly, the signal from each repeater can be integrated by the frequency sharer to transmit multiband signals to the antenna via a single RF transmission line.

지금까지 주파수 공용기는 FM 대역부터 3세대(3G) 이동통신인 WCDMA까지의 주파수 대역을 통합/분리하였으나, 최근에 와이브로와 무선 LAN 서비스가 시작되어 이 주파수 대역까지 통합/분리가 가능한 주파수 공용기가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와이브로 주파수 대역을 통합할 경우, 주파수 공용기의 다이플렉서에서 발생하는 PIMD (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신호가 문제가 된다. 다이플렉서는 서로 다른 두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분리/통합하기 위한 장치로서, 지금까지는 PCB 기판 위에 캐패시터와 인덕터를 실장한 PCB 타입의 다이플렉서를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PCB 타입의 다이플렉서는 PIMD 신호를 억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KTF 3G의 경우, Rx 대역이 1920~1960Mhz이고 Tx 대역이 2150~2170Mhz인데, 2.3~2.4GHz의 와이브로 대역과 KTF 3G의 Tx 대역 신호가 상호변조왜곡을 일으키면 KTF 3G의 Rx 대역 범위에 있는 신호가 발생하여 수신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Until now, frequency commoners have integrated / separated frequency bands from FM bands to WCDMA, the third generation (3G) mobile telecommunications, but recently, WiBro and wireless LAN services have begun, requiring frequency commoners that can be integrated / separated to these frequency bands. It is becoming. However, when integrating the WiBro frequency band, the problem is that the 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PIMD) signal generated from the diplexer of the frequency common unit is a problem. The diplexer is a device for separating / integrating signals of two different frequency bands. Up to now, a diplexer has used a PCB type diplexer mounted with a capacitor and an inductor on a PCB substrate. However, the PCB type diplexer does not suppress the PIMD signal. For example, in the case of KTF 3G, the Rx band is 1920-1960Mhz and the Tx band is 2150-2170Mhz. If the WiBro band of 2.3-2.4GHz and the Tx band signal of KTF 3G cause intermodulation distortion, they are in the Rx band range of KTF 3G. A signal is generated, which reduces the reception qualit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변조왜곡이 억제된 다이플렉서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plexer in which intermodulation distortion is suppresse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변조왜곡이 억제된 다이플렉서를 이용한 주파수 공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requency common apparatus using a diplexer in which intermodulation distortion is suppressed.

본 발명의 한 유형에 따른 다이플렉서는, 도전성 하우징; 및 상기 도전성 하우징 내에 나란히 인접하여 설치된 저역통과필터와 대역통과필터를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저역통과필터는 동축 선로를 이용한 스텝형 필터이고, 상기 대역통과필터 는 다수의 동축 공진기들을 포함하는 동축 공진기형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iplexer according to one typ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ductive housing; And a low pass filter and a band pass filter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conductive housing, wherein the low pass filter is a stepped filter using a coaxial line, and the band pass filter is a coaxial resonator type including a plurality of coaxial resonat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역통과필터의 동축 선로는 서로 상이한 제 1 직경 및 제 2 직경을 갖는 부분이 반복하여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axial line of the low pass filter may be repeatedly formed portions having different first diameter and second diameter.

여기서, 제 1 직경을 갖는 부분과 제 2 직경을 갖는 부분 중 굵은 부분은 캐패시터부이며 가는 부분은 인덕터부일 수 있다.Here, the thick portion of the portion having the first diameter and the portion having the second diameter may be a capacitor portion, and the thin portion may be an inductor portion.

또한, 상기 대역통과필터의 다수의 동축 공진기들은 캐스케이드 연결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axial resonators of the band pass filter may be installed in a cascade connection method.

상기 다이플렉서는, 상기 저역통과필터와 대역통과필터의 일측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 1 커넥터, 상기 저역통과필터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 2 커넥터, 및 상기 대역통과필터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 3 커넥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diplexer includes a first connector common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w pass filter and the band pass filter, a second connector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 pass filter, and a third connection to the other side of the band pass filter. The connector may further be provided.

또한, 상기 다이플렉서는, 상기 제 1 커넥터와 대역통과필터 사이 또는 상기 제 1 커넥터와 저역통과필터 사이에 연결된 매칭용 캐패시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diplexer may further include a matching capacitor connect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band pass filter or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low pass filter.

상기 다이플렉서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나란히 인접하여 설치된 저역통과필터와 대역통과필터 사이를 가로막도록 형성된 격벽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diplexe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and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wall formed so as to intersect between the low pass filter and the band pass filter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유형에 따른 주파수 공용기는 상술한 구조의 다이플렉서를 입력측과 출력측 중 적어도 한 곳에서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requency sharer according to another ty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 input side and the output diplexer.

예컨대, 상기 주파수 공용기는, 공통 선로로부터의 신호를 제 1 주파수 대역과 제 2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하는 입력측 다이플렉서;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분리하는 멀티플렉서; 및 상기 멀티플렉서에 의해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부터 분리된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 중 하나와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결합하는 출력측 다이플렉서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requency common unit may include an input side diplexer for separating a signal from a common line into a first frequency band and a second frequency band; A multiplexer for separating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into the signal of at least two frequency bands; And an output side diplexer for coupling one of the signals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one of the signals of the at least two frequency bands separated from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by the multiplexer.

여기서, 상기 멀티플레서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 3 내지 제 5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분리하는 트리플렉서일 수 있다.The multiplexer may be a triplexer that separates a signal of a second frequency band into a signal of a third to fifth frequency band.

예컨대, 상기 제 1 및 제 2 주파수 대역은 각각 88~1GHz와 1.7~2.5GHz의 범위에 있으며, 상기 제 3 내지 제 5 주파수 대역은 각각 1.7~2.2GHz, 2.3~2.360GHz 및 2.4~2.5GHz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frequency bands are in the range of 88-1 GHz and 1.7-2.5 GHz, respectively, and the third and fifth frequency bands are 1.7-2.2 GHz, 2.3-2.360 GHz and 2.4-2.5 GHz, respectively. Can be in range.

이 경우, 상기 출력측 다이플렉서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제 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결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utput side diplexer may combine the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ignal of the third frequency band.

또한, 상기 주파수 공용기는, 제 4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 6 및 제 7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분리하는 듀플렉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requency comm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duplexer for separating signals of the fourth frequency band into signals of the sixth and seventh frequency bands.

여기서, 제 6 주파수 대역은 예컨대 2300~2327MHz이며, 제 7 주파수 대역은 예컨대 2331.5~2358.5MHz일 수 있다.Here, the sixth frequency band may be, for example, 2300 to 2327 MHz, and the seventh frequency band may be, for example, 2331.5 to 2358.5 MHz.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트리플렉서는 제 3 내지 제 5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각각 통과시키는 대역통과필터들을 포함하며, 상기 듀플렉서는 제 6 및 제 7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각각 통과시키는 대역통과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iplexer includes bandpass filters for passing signals in the third to fifth frequency bands, respectively, and the duplexer includes bandpass filters for passing signals in the sixth and seventh frequency bands, respectively. can do.

여기서, 상기 대역통과필터들은 동축 공진기형 필터일 수 있다.Here, the band pass filters may be a coaxial resonator type filter.

본 발명에 따르면, 동축 선로를 이용한 스텝형 저역통과필터와 동축 공진기를 이용한 대역통과필터로 다이플렉서를 구성함으로써 다이플렉서의 PIMD 신호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이플렉서를 주파수 공용기에 적용할 경우, 와이브로와 무선 LAN의 주파수 대역까지도 통합/분리할 수 있는 주파수 공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MD signal of the diplexer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by constructing the diplexer with the stepped low pass filter using the coaxial line and the band pass filter using the coaxial resonator. Accordingly, when the diplex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frequency shar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requency sharer capable of integrating / separating even the frequency bands of the WiBro and wireless LA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플렉서 및 다이플렉서를 구비한 다중 대역 주파수 공용기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multi-band frequency common device having a diplexer and a diplex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공용기(100)의 예시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공용기(100)는 공통 선로(101)로부터의 신호를 제 1 주파수 대역과 제 2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하는 입력측 다이플렉서(110),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 3 내지 제 5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분리하는 트리플렉서(120), 제 4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 6 및 제 7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분리하는 듀플렉서(130), 및 제 1 주파수 대역과 제 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결합하는 출력측 다이플렉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출력측 다이플렉서(140)의 신호는 제 1 단자(141)를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듀플렉서(130)에서 분리된 제 6 및 제 7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트리플렉서(120)에서 분리된 제 5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각각 제 2 내지 제 4 단자(142~144)를 통해 외부의 중계기 또는 다른 무선 신호 처리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First,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emplary structure of a frequency commo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frequency shar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side diplexer 110 and a second frequency band that separate a signal from a common line 101 into a first frequency band and a second frequency band. A triplexer 120 that separates the signal into signals of the third to fifth frequency bands, a duplexer 130 that separates the signals of the fourth frequency band into signals of the sixth and seventh frequency bands, and a first frequency band. It may include an output side diplexer 140 for coupling the signal of the third frequency band. In this structure, the signal of the output side diplexer 140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terminal 141. In addition, the signals of the sixth and seventh frequency bands separated from the duplexer 130 and the signals of the fifth frequency band separated from the triplexer 12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to fourth terminals 142 to 144. May be transmitted to a repeater or other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

예컨대, 제 1 주파수 대역은 88~1GHz의 범위에 있을 수 있으며, 제 2 주파수 대역은 1.7~2.5GHz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제 3 주파수 대역은 1.7~2.2GHz 범위의 2세대(2G)/3세대(3G) 이동통신용 주파수 대역일 수 있으며, 제 4 주파수 대역은 2.3~2.360GHz 범위의 와이브로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또한, 제 5 주파수 대역은 2.4~2.5GHz 범위의 무선 LAN 주파수 대역(즉, ISM 대역)일 수 있다. 한편, 듀플렉서(130)에 의해 제 4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분리된 제 6 및 제 7 주파수 대역은 각각 2300~2327MHz 범위의 KT 와이브로 대역과 2331.5~2358.5MHz의 SKT 와이브로 대역일 수 있다. 따라서, 듀플렉서(130)는 두 와이브로 서비스 대역에 대해 공통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와이브로 공유기라고 볼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frequency band may be in the range of 88-1 GHz,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may be in the range of 1.7-2.5 GHz. In addition, the third frequency band may be a frequency band for second generation (2G) / 3 generation (3G) mobile communication in the range of 1.7 to 2.2 GHz, and the fourth frequency band may be a wibro frequency band in the range of 2.3 to 2.360 GHz. In addition, the fifth frequency band may be a wireless LAN frequency band (ie, ISM band) in the range of 2.4 to 2.5 GHz. Meanwhile, the sixth and seventh frequency bands separated from the fourth frequency band by the duplexer 130 may be the KT WiBro band of 2300 to 2327 MHz and the SKT WiBro band of 2331.5 to 2358.5 MHz,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duplexer 130 may be regarded as a WiBro router providing services in common to both WiBro service bands.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공유기(100)는 서비스 대상 및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는 트리플렉서(120)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입력 신호를 2개 이상(예컨대, 4개)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분리하는 멀티플렉서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출력측 다이플렉서(140)는 멀티플렉서에 의해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부터 분리된 2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 중에서 하나와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결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파수 대역의 범위를 더욱 세분하거나 또는 주파수 대역을 더 추가할 수도 있다.However, the frequency shar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sig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ervice target and type. For example, although the triplexer 120 is illustrated in FIG. 1, it may be a multiplexer that separates an input signal into two or more (eg, four) frequency band signals. In this case, the output-side diplexer 140 may be designed to combine the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with one of the signals of two or more frequency bands separated from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by the multiplexer.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further subdivide the range of frequency bands or add more frequency bands.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의 PCB 타입의 다이플렉서는 PIMD 신호를 충분히 억제하지 못하기 때문에, 기존의 주파수 공유기에서는 3G 이동통신용 주파수 대역과 와이브로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송수신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공유기(100)는 PIMD 신호를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다이플렉서를 사용한다. 특히, 주파수 공유기(100)의 입력측 다이플렉서(110)에 이러한 다이플렉서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입력측 다이플렉서(110)를 위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입력측 다이플렉서(110)의 구조는 출력측 다이플렉서(140)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두 다이플렉서(110,140)는 동일한 것일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ventional PCB type diplexer does not sufficiently suppress the PIMD signal, the existing frequency sharer cannot simultaneously transmit and receive the 3G mobile communication frequency band and the WiBro frequency band. Therefore, the frequency shar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new type of diplexer capable of suppressing the PIMD signal. In particular, the diplexer is preferably applied to the input side diplexer 110 of the frequency sharer 100. Therefore, below, the input side diplexer 110 will be mainly described.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input side diplexer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output side diplexer 140 as it is. Therefore, the two diplexers 110 and 140 may be the same.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입력측 다이플렉서(11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입력측 다이플렉서(110)는 금속성 재료로 이루어진 도전성 하우징(111) 내에 나란히 인접하여 설치된 저역통과필터(113)와 대역통과필터(114)를 구비한다. 여기서, 하우징(111)은, 예컨대, 알루미늄, 황동 또는 철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본체의 표면에 알루미늄(Al)이나 은(Ag)과 같이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을 도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히 인접하여 설치된 저역통과필터(113)와 대역통과필터(114) 사이에는 하우징(111)의 내벽에 일체로 형성되어 연장된 격벽(115)이 배치되어 있다. 격벽(115)은 저역통과필터(113)와 대역통과필터(114) 사이를 가로막아 두 필터(113,114) 사이의 간섭을 방지한다.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put side diplexer 110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input side diplexer 110 includes a low pass filter 113 and a band pass filter 114 installed side by side in a conductive housing 111 made of a metallic material. Here, the housing 111 may be used by plating a metal having excellent conductivity such as aluminum (Al) or silver (Ag) on the surface of a body made of a metal such as aluminum, brass or iron,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2, a partition wall 115 integrally formed and extended on an inner wall of the housing 111 is disposed between the low pass filter 113 and the band pass filter 114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side by side. The partition wall 115 intersects between the low pass filter 113 and the band pass filter 114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two filters 113 and 114.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측 다이플렉서(110)의 저역통과필터(113)는 동축 선로를 이용한 스텝형 필터이다. 예컨대, 저역통과필터(113)의 동축 선로에는 서로 상이한 두 개의 직경을 갖는 부분(113a,113b)이 반복하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는 부분은 인덕터의 역할을 하는 인덕터부(113a)이며, 굵은 부분은 캐패시터의 역할을 하는 캐패시터부(113b)이다. 이렇게 동축 선로를 따라 인덕터와 캐패 시터가 반복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저역통과필터(113)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저역통과필터(113)의 차단 주파수는 인덕터부(113a)와 캐패시터부(113b)의 길이 및 직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저역통과필터(113)의 차단 주파수는 1GHz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low pass filter 113 of the input diplexer 110 is a stepped filter using a coaxial line. For example, in the coaxial line of the low pass filter 113, portions 113a and 113b having two different diameters are formed repeatedly. Here, the thin portion is the inductor portion 113a serving as the inductor, and the thick portion is the capacitor portion 113b serving as the capacitor. Thus, since the inductor and the capacitor are repeatedly arranged along the coaxial line, the low pass filter 113 can function. In this case, the cutoff frequency of the low pass filter 113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ngth and diameter of the inductor 113a and the capacitor 113b. For example, the cutoff frequency of the low pass filter 113 may be 1 GHz.

한편, 입력측 다이플렉서(110)의 대역통과필터(114)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동축 공진기(114a)들을 포함하는 동축 공진기형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동축 공진기(114a)는 입구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형 공진기일 수 있다. 다수의 동축 공진기(114a)는 캐시케이드 연결 방식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는 예시적으로 7개의 동축 공진기(114a)가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동축 공진기(114a)의 개수 및 직경은 원하는 주파수 응답 특성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측 다이플렉서(110)의 대역통과필터(114)는 1.7~2.5GHz 대역의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Meanwhile, as the band pass filter 114 of the input side diplexer 110, as shown in FIG. 2, a coaxial resonator type filter including a plurality of coaxial resonators 114a may be used. The coaxial resonator 114a may be an open resonator with an inlet open. A plurality of coaxial resonators 114a are arranged in a line in a cascaded manner. In the drawing, seven coaxial resonators 114a are shown as an example. However, the number and diameter of the coaxial resonator 114a may vary depending on the desired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For example, the bandpass filter 114 of the input side diplexer 110 may be designed to pass only the frequency of the 1.7 ~ 2.5GHz band.

하우징(111)의 일측에는 저역통과필터(113)와 대역통과필터(114)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 1 커넥터(11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11)의 반대측에는 저역통과필터(113)에 연결되는 제 2 커넥터(118)와 대역통과필터(114)에 연결되는 제 3 커넥터(119)가 더 배치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3 커넥터(112,118,119)와 저역통과필터(113) 및 대역통과필터(114)의 연결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와이어(116)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One side of the housing 111 has a first connector 112 which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low pass filter 113 and the band pass filter 114 is disposed. In addition, a second connector 118 connected to the low pass filter 113 and a third connector 119 connected to the band pass filter 114 are further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ousing 111. The first to third connectors 112, 118, and 119, the low pass filter 113, and the band pass filter 114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ductive wire 116.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커넥터(112)와 대역통과필터(114) 사이에는 매칭용 캐패시터(117)가 더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역통과필터(114)를 통과 하지 못하고 대역통과필터(114)로부터 반사된 신호는 와이어(116)를 통해 다시 저역통과필터(113)로 입력되는데, 이 반사된 신호가 저역통과필터(113)로 직접 입력되는 신호와 위상 매칭이 되지 않을 경우, 저역통과필터(113)에서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저역통과필터(113)를 통과하지 못하고 저역통과필터(113)로부터 반사된 신호는 와이어(116)를 통해 다시 대역통과필터(114)로 입력되는데, 이 반사된 신호가 대역통과필터(114)로 직접 입력되는 신호와 위상 매칭이 되지 않을 경우, 대역통과필터(114)에서 노이즈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직접 입력된 신호와 반사된 신호 사이의 위상 매칭을 위하여, 캐패시터(117)를 더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캐패시터(117)는, 예컨대, 테프론(teflon)과 같은 유전체 박막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에는 제 1 커넥터(112)와 대역통과필터(114) 사이에 캐패시터(117)가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 1 커넥터(112)와 저역통과필터(113) 사이에 캐패시터(117)를 배치할 수도 있다. 도 4는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입력측 다이플렉서(110)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matching capacitor 117 is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112 and the band pass filter 114. The signal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band pass filter 114 and is reflected from the band pass filter 114 is input to the low pass filter 113 through the wire 116, and the reflected signal is passed to the low pass filter 113. When phase matching with a signal directly input is not performed, noise may occur in the low pass filter 113. Similarly, a signal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low pass filter 113 and is reflected from the low pass filter 113 is input to the band pass filter 114 again through the wire 116, and the reflected signal is input to the band pass filter 114. If the phase is not matched with the signal directly input to the), the noise is generated in the band pass filter 114. Therefore, the capacitor 117 may be further disposed for phase matching between the directly input signal and the reflected signal. The capacitor 117 may use, for example, a dielectric thin film such as teflon. Although FIG. 3 shows a capacitor 117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112 and the band pass filter 114, the capacitor 117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112 and the low pass filter 113. You can also place it. 4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input-side diplexer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다이플렉서(110)는 동축 선로를 이용한 스텝형 저역통과필터(113)와 동축 공진기들을 갖는 대역통과필터(114)를 하나의 하우징(111) 내에 독립적으로 구현하였기 때문에,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두 신호 사이의 상호변조왜곡(PIMD)을 유효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Since the diplexer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dependently implements a stepped low pass filter 113 using a coaxial line and a band pass filter 114 having coaxial resonators in one housing 111 independent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the intermodulation distortion (PIMD) between two signals having different band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파수 공용기(100)의 트리플렉서(120)는, 예컨대, 제 3 내지 제 5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각각 통과시키는 대역통과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공용기(100)의 듀플렉서(130)도 역시 제 6 및 제 7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각각 통과시키는 대역통과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트리플렉서(120)와 듀플렉서(130)의 대역통과필터들은, 다이플렉서(110)의 대역통과필터(114)와 마찬가지로, 동축 공진기형 필터일 수 있다. 특히, 트리플렉서(120)와 듀플렉서(130)는 각각의 대역통과필터들이 하나의 하우징 내에 결합된 결합형 필터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iplexer 120 of the frequency commoner 100 may include, for example, band pass filters that pass signals of the third to fifth frequency band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duplexer 130 of the frequency commo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include bandpass filters for passing signals in the sixth and seventh frequency bands, respectively. Here, the bandpass filters of the triplexer 120 and the duplexer 130 may be a coaxial resonator type filter, similar to the bandpass filter 114 of the diplexer 110. In particular, the triplexer 120 and the duplexer 130 may be a combined filter in which the respective bandpass filters are combined in one housing.

도 5 및 도 6은 트리플렉서(120)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및 도 6을 참조하면, 트리플렉서(120)는 하부 하우징(121a)을 갖는 하부 트리플렉서(120a)와 상부 하우징(121b)을 갖는 상부 트리플렉서(120b)로 나뉘어 있다. 하부 하우징(121a)에는 동축 공진기들로 구성된 제 1 및 제 2 대역통과필터(123,124)가 나란하게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대역통과필터(123,124) 사이에는 하부 하우징(121a)으로부터 연장된 격벽(125a)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 1 및 제 2 대역통과필터(123,124) 사이를 가로막는다. 또한, 상부 하우징(121b)에는 동축 공진기들로 구성된 제 3 및 제 4 대역통과필터(126,127)가 나란하게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 3 및 제 4 대역통과필터(126,127) 사이에는 상부 하우징(121b)으로부터 연장된 격벽(125b)이 상기 제 3 및 제 4 대역통과필터(126,127) 사이를 가로막는다.5 and 6 exemplarily illustrate the structure of the triplexer 120. 5 and 6, the triplexer 120 is divided into a lower triplexer 120a having a lower housing 121a and an upper triplexer 120b having an upper housing 121b. In the lower housing 121a, first and second band pass filters 123 and 124 formed of coaxial resonators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 partition wall 125a extending from the lower housing 121a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nd pass filters 123 and 124, thereby intercepting the first and second band pass filters 123 and 124. In addition, the third and fourth bandpass filters 126 and 127, which are formed of coaxial resonators, may be disposed in the upper housing 121b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A partition 125b extending from the upper housing 121b intersects the third and fourth bandpass filters 126 and 127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bandpass filters 126 and 127.

도 5 및 도 6에는 하부 트리플렉서(120a)와 상부 트리플렉서(120b)가 별개로 제조되어 조립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7의 절개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몸체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때, 하부 트리플렉서(120a)와 상부 트리플렉서(120b)의 각각의 공진기들은 바깥쪽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예컨대, 도 7에서 하부 트리플렉서(120a)의 공진기들의 개방된 입구는 아래쪽을 향하고, 상부 트리플렉서(120b)의 공진기들의 개방된 입구는 위쪽을 향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은 하부 및 상부 커버를 사용하여 하부 트리플렉서(120a)와 상부 트리플렉서(120b)를 밀봉한다.5 and 6 show that the lower triplexer 120a and the upper triplexer 120b ar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assembled, as shown in the cutaway perspective view of FIG. 7. . At this time, each of the resonators of the lower triplexer 120a and the upper triplexer 120b is disposed to face outward. For example, in FIG. 7, the open inlet of the resonators of the lower triplexer 120a faces downward, and the open inlet of the resonators of the upper triplexer 120b faces upward. Then, the lower triplexer 120a and the upper triplexer 120b are sealed using lower and upper covers, which are not shown.

여기서 트리플렉서(120)의 일측에서 하부 하우징(121a)과 상부 하우징(121b) 사이에 입력측 커넥터(122)가 배치될 수 있다. 입력측 커넥터(122)는 제 1 내지 제 4 대역통과필터(123,124,126,127)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또한, 하부 하우징(121a)의 타측에는 제 1 및 제 2 대역통과필터(123,124)와 공통으로 연결된 하나의 출력측 커넥터(128a)가 배치된다. 반면, 상부 하우징(121b)의 타측에는 제 3 및 제 4 대역통과필터(126,127)와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출력측 커넥터(128b, 128c)가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input side connector 12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wer housing 121a and the upper housing 121b on one side of the triplexer 120. The input side connector 122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first to fourth band pass filters 123, 124, 126, and 127. In addition, one output side connector 128a connected in common with the first and second band pass filters 123 and 124 is disposed at the other side of the lower housing 121a. On the other han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housing 121b, two output side connectors 128b and 128c may be disposed to be separately connected to the third and fourth bandpass filters 126 and 127, respectively.

이러한 구조에서, 제 1 대역통과필터(123)는 예컨대 2G용의 1750~1870MHz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킬 수 있으며, 제 2 대역통과필터(124)는 3G용의 1920~2200MHz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트리플렉서(120)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 중에서 2G용 신호와 3G 신호만을 분리한 후, 이들을 결합하여 제 3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서 출력측 다이플렉서(140)에 제공한다. 또한, 제 3 대역통과필터(126)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 중에서 제 4 주파수 대역인 2.3~2.360GHz 만을 통과시킬 수 있으며, 제 4 대역통과필터(127)는 제 5 주파수 대역인 2.4~2.5GHz 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 도 8은 이러한 트리플렉서(120)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n such a structure, the first bandpass filter 123 may pass a 1750-1870 MHz frequency band for 2G, and the second bandpass filter 124 may pass a 1920-2200 MHz frequency band for 3G. . Therefore, the triplexer 120 separates only the 2G signal and the 3G signal from the signals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combines them to provide the output side diplexer 140 as a signal of the third frequency band. In addition, the third band pass filter 126 may pass only 2.3 to 2.360 GHz, which is the fourth frequency band, from among the signals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the fourth band pass filter 127 may be 2.4 to 2.5, which is the fifth frequency band. Only GHz can pass. 8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riplexer 120.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듀플렉서(130)도 역시 트리플렉서(120)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듀플렉서(130)의 경우, 2300~2327MHz의 제 6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는 대역통과필터(131)와 2331.5~2358.5MHz의 제 7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는 대역통과필터(132)로 구성된다.Although not shown, the duplexer 130 may also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triplexer 120. However, the duplexer 130 includes a band pass filter 131 for passing through a sixth frequency band of 2300 to 2327 MHz and a band pass filter 132 for passing through a seventh frequency band of 2331.5 to 2358.5 MHz.

지금까지, 본원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모범적인 실시예가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설명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다양한 다른 변형이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To date, exemplary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invention and do not limit it.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and described description. This is because various other modifications may occu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공용기의 예시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emplary structure of a frequency comm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파수 공용기에서 사용되는 다이플렉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diplexer used in the frequency common device shown in FIG. 1.

도 3은 도 2의 다이플렉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FIG.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diplexer of FIG. 2.

도 4는 도 2의 다이플렉서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the diplexer of FIG. 2.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주파수 공용기에서 사용되는 트리플렉서의 예시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exemplary structure of the triplexer used in the frequency common device shown in FIG.

도 7은 트리플렉서의 예시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절개 사시도이다.7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emplary structure of a triplexer.

도 8은 도 5 내지 도 7의 트리플렉서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8 is a configuration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the triplexer of FIGS. 5 to 7.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주파수 공용기 110,140.....다이플렉서100 ..... frequency common 110,140 ..... diplexer

111.....하우징 112,118,119.....커넥터111 ..... Housing 112,118,119 ..... Connector

113.....저역통과필터 113a.....인덕터부113 ..... Low pass filter 113a ..... Inductor part

113b.....캐패시터부 114.....대역통과필터113b ..... Capacitor section 114 ..... Bandpass filter

115.....격벽 116.....와이어115 ..... bulkhead 116 ..... wire

117.....캐패시터 120.....트리플렉서117 ..... Capacitor 120 ..... Triplexer

130.....듀플렉서130 ..... duplexer

Claims (16)

서로 다른 두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분리/통합하는 다이플렉서에 있어서,In a diplexer for separating / integrating signals of two different frequency bands, 도전성 하우징; 및Conductive housings; And 상기 도전성 하우징 내에 나란히 인접하여 설치된 저역통과필터와 대역통과필터를 구비하는 것으로,And a low pass filter and a band pass filter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conductive housing, 상기 저역통과필터는 동축 선로를 이용한 스텝형 필터이며,The low pass filter is a stepped filter using a coaxial line, 상기 대역통과필터는 다수의 동축 공진기들을 포함하는 동축 공진기형 필터이고,The bandpass filter is a coaxial resonator type filter including a plurality of coaxial resonators, 상기 저역통과필터와 대역통과필터는 그 일단이 서로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으며,One end of the low pass filter and the band pass filt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common, 상기 저역통과필터의 동축 선로는 서로 상이한 제 1 직경 및 제 2 직경을 갖는 부분이 반복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직경을 갖는 부분과 제 2 직경을 갖는 부분 중 굵은 부분은 캐패시터부이며 가는 부분은 인덕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플렉서.The coaxial line of the low pass filter is repeatedly formed with portions having a first diameter and a second diamete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 thick portion of the portion having the first diameter and the portion having the second diameter is a capacitor portion and a thin portion. A diplex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uctor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대역통과필터의 다수의 동축 공진기들이 캐스케이드 연결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플렉서.A plurality of coaxial resonators of the bandpass filter is installed in a cascade connection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저역통과필터와 대역통과필터의 일측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 1 커넥터, 상기 저역통과필터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 2 커넥터, 및 상기 대역통과필터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 3 커넥터를 더 구비하는 다이플렉서.And a first connecto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w pass filter and the band pass filter in common, a second connector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 pass filter, and a third connector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band pass filter. Flexor.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제 1 커넥터와 대역통과필터 사이 또는 상기 제 1 커넥터와 저역통과필터 사이에 연결된 매칭용 캐패시터를 더 구비하는 다이플렉서.And a matching capacitor connect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band pass filter or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low pass filt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나란히 인접하여 설치된 저역통과필터와 대역통과필터 사이를 가로막도록 형성된 격벽을 더 구비하는 다이플렉서.And a partition wall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the partition wall being formed to intersect between the low pass filter and the band pass filter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이플렉서를 입력측과 출력측 중 적어도 한 곳에 구비하는 주파수 공용기.A frequency commoner comprising the diplex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4 to at least one of an input side and an output side. 공통 선로로부터의 신호를 제 1 주파수 대역과 제 2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하는 입력측 다이플렉서;An input side diplexer for separating a signal from a common line into a first frequency band and a second frequency band;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분리하는 멀티플렉서; 및A multiplexer for separating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into the signal of at least two frequency bands; And 상기 멀티플렉서에 의해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부터 분리된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 중 하나와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결합하는 출력측 다이플렉서를 포함하며,An output-side diplexer for coupling one of at least two frequency band signals separated from the signal of a second frequency band by the multiplexer and a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상기 입력측 다이플렉서와 출력측 다이플렉서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이플렉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공용기.At least one of the input side diplexer and the output side diplexer is a diplex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to 7.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멀티플렉서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 3 내지 제 5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분리하는 트리플렉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공용기.And wherein the multiplexer is a triplexer that separates signals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into signals of the third to fifth frequency bands.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제 1 및 제 2 주파수 대역은 각각 88~1GHz와 1.7~2.5GHz의 범위에 있으며, 제 3 내지 제 5 주파수 대역은 각각 1.7~2.2GHz, 2.3~2.360GHz 및 2.4~2.5GHz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공용기.The first and second frequency bands are in the range of 88-1 GHz and 1.7-2.5 GHz, respectively, and the third and fifth frequency bands are in the range of 1.7-2.2 GHz, 2.3-2.360 GHz and 2.4-2.5 GHz, respectively. Featuring frequency commoners.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출력측 다이플렉서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제 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공용기.And said output side diplexer combines a signal of a first frequency band and a signal of a third frequency band.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제 4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 6 및 제 7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분리하는 듀플렉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공용기.And a duplexer for separating signals of the fourth frequency band into signals of the sixth and seventh frequency bands.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제 6 주파수 대역은 2300~2327MHz, 제 7 주파수 대역은 2331.5~2358.5M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공용기.The sixth frequency band is 2300 ~ 2327 MHz, the seventh frequency b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2331.5 ~ 2358.5 MHz.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트리플렉서는 제 3 내지 제 5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각각 통과시키는 대역통과필터들을 포함하며, 상기 듀플렉서는 제 6 및 제 7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각각 통과시키는 대역통과필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공용기.The triplexer includes bandpass filters for passing signals in the third to fifth frequency bands, respectively, and the duplexer includes bandpass filters for passing signals in the sixth and seventh frequency bands, respectively. Frequency common.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대역통과필터들은 동축 공진기형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공용기.And said bandpass filters are coaxial resonator type filters.
KR1020080115374A 2008-11-19 2008-11-19 Diplexer and combiner for mutli-band having the same KR1008991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374A KR100899102B1 (en) 2008-11-19 2008-11-19 Diplexer and combiner for mutli-band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374A KR100899102B1 (en) 2008-11-19 2008-11-19 Diplexer and combiner for mutli-band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9102B1 true KR100899102B1 (en) 2009-05-27

Family

ID=40862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374A KR100899102B1 (en) 2008-11-19 2008-11-19 Diplexer and combiner for mutli-band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102B1 (en)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4990A (en) * 2011-09-29 2013-04-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Multi broadband combiner and tuning structure applied therein
KR101295180B1 (en) * 2012-05-31 2013-08-09 주식회사 이너트론 Low pass filter with variable resonator for harmonic rejection and mutiple-band pass filter with it
KR101302496B1 (en) 2011-09-29 2013-09-02 주식회사 티큐브 Multi broadband combiner and DC bypass structure applied therein
CN103311623A (en) * 2012-03-15 2013-09-18 江苏江佳电子股份有限公司 Medium combiner
KR101334955B1 (en) * 2012-10-16 2013-11-29 주식회사 이너트론 Diplex filter of assembly type
KR101494446B1 (en) 2013-11-11 2015-02-23 주식회사 이너트론 Multiplexer with common port feeding structure
WO2016126045A1 (en) * 2015-02-05 2016-08-11 김규용 Multiplexer and low pass filter for multiplexer
KR101964143B1 (en) * 2018-08-06 2019-08-08 알에프디바이스주식회사 Hybrid radio frequency filter
KR102122811B1 (en) * 2019-12-17 2020-06-15 (주)이랑텍 5G common combine Filter with high combine PIMD performance and Filtering method thereof
WO2020238078A1 (en) * 2019-05-31 2020-12-03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Band14 signal suppression circuit and smart terminal device
KR102285497B1 (en) * 2020-05-14 2021-08-03 주식회사 엘트로닉스 Coaxial microwave filter and communication device with the same
WO2023282372A1 (en) * 2021-07-09 2023-01-12 주식회사 엘트로닉스 Coaxial high-pass filter and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2974A (en) * 1998-09-11 2000-04-25 무라타 야스타카 dielectric filter, composite dielectric filter,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00008550U (en) * 1998-10-23 2000-05-15 구관영 Channel Filter for CD-A with Harmonic Interference Rejection
KR20010023684A (en) * 1997-09-04 2001-03-26 무라타 야스타카 Multimodal Dielectric Resonance Device, Dielectric Filter, Composite Dielectric Filter, Synthesizer, Distributo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10023327A (en) * 1997-09-04 2001-03-26 무라타 야스타카 Multi-mode Dielectric Resonance Devices, Dielectric Filter, Composite Dielectric Filter, Synthesizer, Distributor, and Communication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3684A (en) * 1997-09-04 2001-03-26 무라타 야스타카 Multimodal Dielectric Resonance Device, Dielectric Filter, Composite Dielectric Filter, Synthesizer, Distributo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10023327A (en) * 1997-09-04 2001-03-26 무라타 야스타카 Multi-mode Dielectric Resonance Devices, Dielectric Filter, Composite Dielectric Filter, Synthesizer, Distributor, and Communication Equipment
KR20000022974A (en) * 1998-09-11 2000-04-25 무라타 야스타카 dielectric filter, composite dielectric filter,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00008550U (en) * 1998-10-23 2000-05-15 구관영 Channel Filter for CD-A with Harmonic Interference Rejection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973B1 (en) * 2011-09-29 2018-07-1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Multi broadband combiner and Tuning structure applied therein
KR101302496B1 (en) 2011-09-29 2013-09-02 주식회사 티큐브 Multi broadband combiner and DC bypass structure applied therein
KR20130034990A (en) * 2011-09-29 2013-04-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Multi broadband combiner and tuning structure applied therein
CN103311623A (en) * 2012-03-15 2013-09-18 江苏江佳电子股份有限公司 Medium combiner
KR101295180B1 (en) * 2012-05-31 2013-08-09 주식회사 이너트론 Low pass filter with variable resonator for harmonic rejection and mutiple-band pass filter with it
KR101334955B1 (en) * 2012-10-16 2013-11-29 주식회사 이너트론 Diplex filter of assembly type
KR101494446B1 (en) 2013-11-11 2015-02-23 주식회사 이너트론 Multiplexer with common port feeding structure
US9325048B2 (en) 2013-11-11 2016-04-26 Innertron, Inc. Multiplexer with common port feeding structure
US10446897B2 (en) 2015-02-05 2019-10-15 Kyu Young Kim Multiplexer and low pass filter for multiplexer
KR101684061B1 (en) * 2015-02-05 2016-12-07 김규용 Muliplexer and low pass filter for the same
KR20160096458A (en) * 2015-02-05 2016-08-16 김규용 Muliplexer and low pass filter for the same
US10340569B2 (en) 2015-02-05 2019-07-02 Kyu Yong KIM Multiplexer and low pass filter for multiplexer
WO2016126045A1 (en) * 2015-02-05 2016-08-11 김규용 Multiplexer and low pass filter for multiplexer
KR101964143B1 (en) * 2018-08-06 2019-08-08 알에프디바이스주식회사 Hybrid radio frequency filter
WO2020238078A1 (en) * 2019-05-31 2020-12-03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Band14 signal suppression circuit and smart terminal device
US11881880B2 (en) 2019-05-31 2024-01-23 Huizhou Tcl Mobile Communication Co., Ltd. Band14 signal suppression circuit and smart terminal device
KR102122811B1 (en) * 2019-12-17 2020-06-15 (주)이랑텍 5G common combine Filter with high combine PIMD performance and Filtering method thereof
CN112993503A (en) * 2019-12-17 2021-06-18 伊兰泰克公司 5G universal 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coupling mode filter and filtering method
CN112993503B (en) * 2019-12-17 2022-03-08 伊兰泰克公司 5G general coupling filter
KR102285497B1 (en) * 2020-05-14 2021-08-03 주식회사 엘트로닉스 Coaxial microwave filter and communication device with the same
WO2023282372A1 (en) * 2021-07-09 2023-01-12 주식회사 엘트로닉스 Coaxial high-pass filter and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102B1 (en) Diplexer and combiner for mutli-band having the same
US6185434B1 (en) Antenna filtering arrangement for a dual mode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6943746B2 (en) Radio device and antenna structure
EP3439110B1 (en) Filter feed network and base-station antenna
US7903592B2 (en) Systems and methods of efficient band amplification
KR101919456B1 (en) Dielectric ceramic waveguide duplexer
CA3135484C (en) Antenna system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8125296B2 (en) Radio device antenna filter arrangement
EP0938153A1 (en) Bandpass filter, duplexer , high-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s device
KR101007935B1 (en) Monoblock dielectric multiplexer for multi-band
WO2014018759A1 (en) Transmitter for point-to-point radio system
US8144060B2 (en) Multiple feedpoint antenna
US20210336314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tacked ceramic resonator radio frequency filter for wireless communications
JP2020123968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commonly used filter,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use of filter
KR20050050076A (en) Dual band antenna system
JPH11186819A (en) Band rejection filter and duplexer
KR100561634B1 (en) Waveguide diplexer of electric plane junction structure with inductive iris
KR100541068B1 (en) Repeater having dielectric filter
CN116469876A (en) Packaged antenna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729969B1 (en) Repeater having dielectric band stop resonators
Kapusuz et al. Substrate-Integrated-Waveguide Diplexer Filter for SATCOM-on-the-Move
KR102122811B1 (en) 5G common combine Filter with high combine PIMD performance and Filtering method thereof
CN113228408A (en) Medium duplexer
CN105789775A (en) Ultra wideband dual-frequency pass-band filter based on dual-mode stepped impedance stud resonator
KR102499805B1 (en) Feeder sharing device and feeder sha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