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542B1 - Packet structure of wireless usb system - Google Patents

Packet structure of wireless usb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542B1
KR100898542B1 KR1020080018258A KR20080018258A KR100898542B1 KR 100898542 B1 KR100898542 B1 KR 100898542B1 KR 1020080018258 A KR1020080018258 A KR 1020080018258A KR 20080018258 A KR20080018258 A KR 20080018258A KR 100898542 B1 KR100898542 B1 KR 100898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wireless usb
data
packet
packe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82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영진
김해진
조대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콘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콘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콘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80018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54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5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6Notations for structuring of protocol data, e.g. abstract syntax notation one [ASN.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7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different data processing systems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e.g. protocol converters for incompatible systems, ope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UWB 기반의 무선 USB 시스템에서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UWB 기반으로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USB 디바이스 사이에 송수신될 때 사용되는 메시지 패킷 인터페이스로 인한 부하를 줄여 무선 USB의 데이터 전송률 지연을 줄일 수 있으며, 다양한 USB 규격을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et structure of a wireless USB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et packet interface that is used when a UWB-based wireless USB system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an application processor providing various service functions and a wireless USB device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a UWB. It can reduce the data transfer delay of wireless USB by reducing the load, and it can support various USB standards.

무선 USB, UWB, 초광대역, 패킷, 데이터, 인터페이스, 규격, 부하, MSC Wireless USB, UWB, Ultra Wideband, Packet, Data, Interface, Specification, Load, MSC

Description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구조{PACKET STRUCTURE OF WIRELESS USB SYSTEM}Packet structure of wireless USB system {PACKET STRUCTURE OF WIRELESS USB SYSTEM}

본 발명은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UWB 기반의 무선 USB 시스템에서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UWB 기반으로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USB 디바이스 사이에 송수신될 때 사용되는 메시지 패킷 인터페이스로 인한 부하를 줄여 무선 USB 성능 저하를 막고 다양한 USB 규격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et structure of a wireless USB syste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et structure of a wireless USB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et structure of a wireless USB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et structure of a wireless USB system that can reduce the load caused by a message packet interface to prevent wireless USB performance degradation and support various USB standards.

일반적으로 USB(Universal Serial Bus: 범용 직렬 버스)는 직렬 포트의 일종으로 기존의 외부 확장 포트(시리얼 혹은 패러럴)들의 느린 속도와 제한된 장치 연결 문제를 해결하여, 대용량 저장장치(MSC), 오디오 플레이어, 조이스틱, 키보드, 전화, 스캐너 및 프린터 등과 같은 주변장치와 컴퓨터 간을 연결하는 플러그 앤 플레이 인터페이스이다. In general, USB (Universal Serial Bus) is a type of serial port that solves the problem of slow speed and limited device connectivity of existing external expansion ports (serial or parallel). It's a plug-and-play interface that connects computers with peripherals such as joysticks, keyboards, phones, scanners, and printers.

이러한 USB는 모뎀, 프린터, 스캐너 등의 디바이스 만을 연결하기 위해서 사 용되었던 외부 확장 포트들과 달리 서로 다른 방식으로 연결하던 키보드, 모니터, 마우스, 프린터, 모뎀 등 주변기기들을 한 번에 연결할 수 있는 것으로서, PC 본체에 USB 접속기를 하나만 갖추고 있으면 성형 접속 또는 방사형 형태로 최대 127대의 주변 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Unlike external expansion ports used to connect only devices such as modems, printers, and scanners, USB can be connected to peripheral devices such as keyboards, monitors, mice, printers, and modems at once. If your PC has only one USB connector, you can connect up to 127 peripherals in a molded or radial form.

또한, 최근에는 컴퓨터 시스템과 외부 주변 장치를 접속시키기 위한 USB 케이블의 필요성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으로, 초광대역(Ultra Wide Band : UWB) 기술에 기반하는 무선 USB(wireless USB : WUSB)가 표준화 되었다. 무선 USB는 최대 10미터까지의 거리에 걸쳐 USB 2.0 표준에 필적하는 통신 속도(예를 들어, 최대 480Mbps)를 지향하고 있다.In recent years, wireless USB (WUSB) based on Ultra Wide Band (UWB) technology has been standardized in an effort to eliminate the need for a USB cable for connecting a computer system and an external peripheral device. Wireless USB is aiming for communication speeds comparable to the USB 2.0 standard (eg, up to 480 Mbps) over distances up to 10 meters.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USB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general wireless USB system.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USB 시스템은 UWB 기반으로 무선 USB 송수신을 담당하는 무선 USB 디바이스(20)와, 무선 USB 디바이스(20)로부터 송수신 데이터를 USB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이나 USB 기능을 구성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로 구성된다. As shown here, the wireless USB system includes a wireless USB device 20 that is in charge of wireless USB transmission and reception based on UWB, and an application processor 10 that configures a USB client application or a USB function to transmit / receive data from the wireless USB device 20. It is composed of

그리고, 무선 USB 디바이스(20)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 사이에는 버스 인터페이스에 의한 병렬 버스, SDIO 버스 등의 물리적 연결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 하게 된다. Further,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wireless USB device 20 and the application processor 10 by a physical connection such as a parallel bus or an SDIO bus by a bus interface.

이때 무선 USB 디바이스(20)는 Wimedia UWB의 MAC과 PHY 기술을 사용하여 최대 480Mbps 까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ireless USB device 20 may transmit data up to 480Mbps using the MAC and PHY technology of the Wimedia UWB.

그리고. 무선 USB 디바이스(20)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은 패킷 단위로 이루어진다.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wireless USB device 20 and the application processor 10 is performed in packet units.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패킷 포맷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할 경우 프로토콜로 인한 부하로 인해 데이터의 송수신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USB의 다양한 서비스 규격과 무선 USB 디바이스(20)에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전송되는 데이터의 내용이 다양할 경우 이를 지원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using a protocol of a packet format that is generally used, not only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ate is lowered due to the load due to the protocol, but also various functions of USB and the functions required for the wireless USB device 20 are requir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support when the contents of the transmitted data is variou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UWB 기반의 무선 USB 시스템에서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UWB 기반으로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USB 디바이스 사이에 송수신될 때 사용되는 메시지 패킷 인터페이스로 인한 부하를 줄여 무선 USB 성능 저하를 막고 다양한 USB 규격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mit and receive between an application processor providing various service functions in a UWB-based wireless USB system and a wireless USB device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UWB. It is to provide a packet structure of a wireless USB system to prevent the degradation of wireless USB performance by supporting the message packet interface used when the system is used, and to support various USB standards.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USB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무선 USB 디바이스 사이에 패킷 단위로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의 패킷 구조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의 패킷 ID를 나타내기 위한 패킷 아이디 영역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의 프로토콜 리비젼을 나타내기 위한 프로토콜 리비젼 영역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의 패킷 길이를 나타내기 위한 패킷 길이 영역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서비스 아이디 영역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한 인터페이스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cket ID area for indicating a packet ID of data interfaced with an application processor in a packet structure of data interfaced by a packet unit between an application processor and a wireless USB device of a wireless USB system. A protocol revision area for indicating a protocol revision of data interfaced with the application processor, a packet length area for indicating a packet length of data interfaced with the application processor, and a characteristic for data characteristics interfacing with the application processor. And an interface data area for indicating a service ID area and data interfaced with the application processor.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의 패킷 길이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추가로 발생되는 데이터 특성을 포함하기 위한 제 1예비 영역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preliminary area for adjusting the packet length of the data to be interfaced as well as including additionally generated data characteristics.

본 발명에서 제 1예비 영역은 6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pare area is allocated to 6 bytes.

본 발명에서 패킷 아이디 영역은 2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cket ID region is characterized by allocating 2 bytes.

본 발명에서 프로토콜 리비젼 영역은 1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ocol revision area is characterized by allocating 1 byte.

본 발명에서 패킷 길이 영역은 2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cket length region is characterized by allocating 2 bytes.

본 발명에서 서비스 아이디 영역은 1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ID area is characterized by allocating 1 byte.

본 발명에서 무선 USB 디바이스가 대용량 저장장치 기능을 갖고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대용량 저장장치를 위한 저장 미디어를 갖을 때 인터페이스 데이터 영역은 대용량 저장장치 기능을 위한 제어 명령을 나타내기 위한 명령어 아이디 영역과, 대용량 저장장치 기능을 위해 인터페이스되는 프로토콜의 리비젼을 나타내기 위한 MSC 프로토콜 리비젼 영역과, 대용량 저장장치 기능을 위한 저장 미디어의 논 리적 블록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LBA 영역과, 대용량 저장장치 기능을 위한 논리적 블록 어드레스의 블록 개수를 나타내기 위한 LBA 길이 영역과, 연속적인 논리적 블록 어드레스의 마지막 블록을 나타내기 위한 최종 블록 영역과, 대용량 저장장치 기능에 의해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ireless USB device has a mass storage function and the application processor has a storage medium for the mass storage device, the interface data area includes a command ID area for indicating a control command for the mass storage function, and a mass storage device. The MSC protocol revision area to indicate the revision of the protocol that is interfaced for the function, the LBA area to indicate the logical block address of the storage medium for the mass storage function, and the number of blocks of logical block addresses for the mass storage function. An LBA length area for indicating, a last block area for indicating the last block of consecutive logical block addresses, and a data area for indicating data interfaced by the mass storage function. The.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의 패킷 길이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추가로 발생되는 데이터 특성을 포함하기 위한 제 2예비 영역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preliminary area for adjusting the packet length of the data to be interfaced as well as including additionally generated data characteristics.

본 발명에서 제 2예비 영역은 3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pare area is characterized by allocating three bytes.

본 발명에서 명령어 아이디 영역은 1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and ID region is characterized by allocating 1 byte.

본 발명에서 MSC 프로토콜 리비젼 영역은 1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SC protocol revision area is characterized by allocating 1 byte.

본 발명에서 LBA 영역은 4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BA region is characterized by allocating 4 bytes.

본 발명에서 LBA 길이 영역은 2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BA length region is characterized by allocating 2 bytes.

본 발명에서 최종 블록 영역은 1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al block area is characterized by allocating one byte.

본 발명에서 데이터 영역은 512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area is characterized by allocating 512 bytes.

본 발명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무선 USB 디바이스의 시스템을 제어하고자 할 때 인터페이스 데이터 영역은 무선 USB 디바이스의 시스템 제어 명령을 나타내기 위한 시스템 명령어 아이디 영역과, 무선 USB 디바이스의 시스템 제어를 위 해 인터페이스되는 프로토콜의 리비젼을 나타내기 위한 시스템 프로토콜 리비젼 영역과, 무선 USB 디바이스의 시스템 제어를 위해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의 순서를 나타내기 위한 시퀀스 영역과, 무선 USB 디바이스의 시스템 제어 명령에 따라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한 시스템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pplication processor intends to control the system of the wireless USB device, the interface data area includes a system command ID area for indicating a system control command of the wireless USB device and a protocol interfaced for system control of the wireless USB device. A system protocol revision area for indicating a revision, a sequence area for indicating an order of data interfaced for system control of a wireless USB device, and system data for indicating data interfaced according to a system control command of a wireless USB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area.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의 패킷 길이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추가로 발생되는 데이터 특성을 포함하기 위한 제 3예비 영역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hird preliminary area for adjusting the packet length of the data to be interfaced as well as including additionally generated data characteristics.

본 발명에서 제 3예비 영역은 9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pare area is allocated 9 bytes.

본 발명에서 시스템 명령어 아이디 영역은 1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command ID field is characterized by allocating 1 byte.

본 발명에서 시스템 프로토콜 리비젼 영역은 1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protocol revision area is characterized by allocating 1 byte.

본 발명에서 시퀀스 영역은 1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quence area is characterized by allocating one byte.

본 발명에서 시스템 데이터 영역은 512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data area is characterized by allocating 512 bytes.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UWB 기반의 무선 USB 시스템에서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UWB 기반으로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USB 디바이스 사이에 송수신될 때 사용되는 메시지 패킷 인터페이스로 인한 부하를 줄여 무선 USB의 데이터 전송률 지연을 줄일 수 있으며, 다양한 USB 규격을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load caused by the message packet interface used whe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an application processor providing various service functions in a UWB-based wireless USB system and a wireless USB device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the UWB. It can reduce the data rate delay of USB and can support various USB standard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parts as in the prior art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names.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presented by way of example onl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capable of many modifications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cket structure of a wireless USB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무선 USB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와 무선 USB 디바이스(20) 사이에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는 무선 USB 디바이스(20)가 USB 서비스 규격을 포함하고 있을 경우의 서비스 데이터와, 무선 USB 디바이스(20)가 USB 서비스 규격을 포함하고 있지 않을 경우의 USB 데이터와, 무선 USB 상태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의 무선 USB 디바이스(20) 제어 데이터 등의 데이터 특성을 포함하고 데이터 패킷의 전송으로 인한 부하를 줄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패킷 구조를 정의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interfaced between the application processor 10 and the wireless USB device 20 of the wireless USB system includes service data when the wireless USB device 20 includes the USB service standard and the wireless USB device 20. ) And data characteristics such as wireless USB status information and control data of the wireless USB device 20 of the application processor 10 and the load due to the transmission of data packets. To reduce, we define the following packet structure: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와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의 패킷 ID를 나타내기 위해 2바이트가 할당된 패킷 아이디 영역(21, Magic ID) 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와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의 프로토콜 리비젼을 나타내기 위해 1바이트가 할당된 프로토콜 리비젼 영역(22, APIM PR ; Application Processor Interface Message Protocol Revision)과, 어프리케이션 프로세서(10)와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의 패킷 길이를 나타내기 위해 2바이트가 할당된 패킷 길이 영역(23, PACKET LENGTH)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와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서비스 아이디 영역(24, WUSB Service ID)과,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의 패킷 길이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추가로 발생되는 데이터 특성을 포함하기 위한 제 1예비 영역(25, Reserved)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와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해 524바이트가 할당된 인터페이스 데이터 영역(26, WUSB Interface ID)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here, a packet ID area 21 (Magic ID) allocated with 2 bytes to indicate a packet ID of data interfaced with the application processor 10 and a protocol revision of data interfaced with the application processor 10 are shown. An APIM PR (Application Processor Interface Message Protocol Revision) 22, which is allocated 1 byte to indicate a packet, and a packet allocated 2 bytes to indicate a packet length of data interfaced with the application processor 10. In addition to the length field 23 and the packet length, the service ID field 24 for indic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interfaced with the application processor 10 and the packet length of the data to be interfaced, is generated. A first reserved area 25 for storing data characteristics to be set, and an application program It comprises a stand 10 and a data interface 524 to indicate the byte is assigned to the interface data area (26, WUSB Interface ID).

이때 패킷 아이디 영역은 패킷 데이터가 직렬 전송될 경우 동기(sync)를 잡기 위한 코드로 활용된다. In this case, the packet ID area is used as a code for synchronizing when packet data is serially transmitted.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아이디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와 무선 USB 디바이스(20) 사이에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의 특성을 나타낸 테이블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3 is a table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interfaced between the application processor 10 and the wireless USB device 20 through the service ID.

본 실시예에서는 '0x01'인 경우 USB 가 대용량 저장장치(Mass Storage Class ; MSC) 사용될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0xFE'인 경우 무선 USB 디바이스(20)의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0x01' shows a case where a USB is used for a mass storage class (MSC), and '0xFE' shows a case where a USB is used to control the system of the wireless USB device 20. .

이와 같이 서비스 아이디 영역(24)을 통해 데이터 특성을 나타내며 이러한 데이터 특성에 따라 인터페이스 데이터 영역(26)의 패킷 구조도 달라지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data characteristics are represented through the service ID region 24, and the packet structure of the interface data region 26 also varies according to the data characteristics.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에서 무선 USB 디바이스가 대용량 저장장치 기능을 갖고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대용량 저장장치를 위한 저장 미디어를 갖을 때 인터페이스 데이터 영역의 패킷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cket structure of an interface data area when a wireless USB device has a mass storage function and an application processor has a storage medium for mass storage in the packet structure of the wireless USB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용량 저장장치 기능을 위한 제어 명령을 나타내기 위해 1바이트가 할당된 명령어 아이디 영역(41, CMD ID)과, 대용량 저장장치 기능을 위해 인터페이스되는 프로토콜의 리비젼을 나타내기 위해 1바이트가 할당된 MSC 프로토콜 리비젼 영역(42, MSC PR)과, 대용량 저장장치 기능을 위한 저장 미디어의 논리적 블록 어드레스(Logical Block Address ; LBA)를 나타내기 위해 4바이트가 할당된 LBA 영역(43, LBA;Logical Block Address)과, 대용량 저장장치 기능을 위한 논리적 블록 어드레스의 블록 개수를 나타내기 위해 2바이트가 할당된 LBA 길이 영역(44, LBA LENGTH)과, 연속적인 논리적 블록 어드레스의 마지막 블록을 나타내기 위한 최종 블록 영역(45, LAST BLK)과,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의 패킷 길이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추가로 발생되는 데이터 특성을 포함하기 위해 3바이트가 할당된 제 2예비 영역(46, Reserved)과, 대용량 저장장치 기능에 의해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해 512바이트가 할당된 데이터 영역(47, DAT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here, the command ID area 41 (CMD ID) allocated with 1 byte to indicate a control command for the mass storage function, and 1 to indicate a revision of a protocol interfaced for the mass storage function. LBA area 43 (LBA) with four bytes allocated to represent the logical block address (LBA) of the storage media for mass storage functionality and the MSC protocol revision area 42 (MSC PR) with bytes allocated. Logical Block Address), an LBA length area 44 (LBA LENGTH) with two bytes allocated to indicate the number of blocks of logical block addresses for mass storage functions, and the last block of consecutive logical block addresses. Last block region 45 (LAST BLK) for controlling the packet length of data to be interfaced, as well as additionally generated data characteristics. The second spare area 46, reserved for three bytes, is allocated, and the data area 47, DATA, allocated for 512 bytes to represent data interfaced by the mass storage device function.

도 5는 무선 USB 시스템이 대용량 저장장치 기능으로 사용될 때의 데이터 패킷 구조로써 명령어 아이디 영역(41)에 기록되는 명령어 아이디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5 is a table showing a command ID recorded in the command ID area 41 as a data packet structure when the wireless USB system is used as a mass storage function.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령어 아이디 영역(41)에는 무선 USB 시스템이 대용량 저장장치 기능으로 사용하기 위한 1바이트의 명령어 아이디들이 기록된다. As shown here, the command ID area 41 records a command ID of one byte for use by the wireless USB system as a mass storage function.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무선 USB 디바이스의 시스템을 제어하고자 할 때 인터페이스 데이터 영역의 패킷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cket structure of an interface data area when an application processor attempts to control a system of a wireless USB device in a packet structure of a wireless USB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USB 디바이스(20)의 시스템 제어 명령을 나타내기 위해 1바이트가 할당된 시스템 명령어 아이디 영역(61, CMD ID)과, 무선 USB 디바이스(20)의 시스템 제어를 위해 인터페이스되는 프로토콜의 리비젼을 나타내기 위해 1바이트가 할당된 시스템 프로토콜 리비젼 영역(62, SYSCON PR ; SYStem CONtrol Protocol Revision)과, 무선 USB 디바이스(20)의 시스템 제어를 위해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의 순서를 나타내기 위해 1바이트가 할당된 시퀀스 영역(63, SEQUENCE)과,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의 패킷 길이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추가로 발생되는 데이터 특성을 포함하기 위해 9바이트가 할당된 제 3예비 영역(64, RESERVED)과, 무선 USB 디바이스(20)의 시스템 제어 명령에 따라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해 512바이트가 할당된 시스템 데이터 영역(65, DAT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here, a system command ID area 61 (CMD ID) allocated with one byte to represent a system control command of the wireless USB device 20 is interfaced for system control of the wireless USB device 20. 1 to indicate a sequence of data to be interfaced for system control of the wireless USB device 20, and a system protocol revision area 62 (SYSCON PR; SYS CON PRl Protocol Revision) allocated with 1 byte to indicate a revision of the protocol. A sequence area 63 (SEQUENCE) allocated with bytes, a third reserved area 64 (RESERVED) with 9 bytes allocated to contain the data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generated as well as adjusting the packet length of the interfaced data, System data area 65, DA allocated 512 bytes to represent data interfaced according to the system control command of USB device 20 TA).

도 7은 무선 USB 시스템에서 무선 USB 디바이스의 시스템 제어를 위해 사용될 때의 데이터 패킷 구조로써 시스템 명령어 아이디 영역(61)에 기록되는 시스템 명령어 아이디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FIG. 7 is a table showing a system command ID recorded in the system command ID area 61 as a data packet structure when used for system control of a wireless USB device in a wireless USB system.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명령어 아이디 영역(61)에는 무선 USB 시스템이 무선 USB 디바이스(20)의 시스템 제어 명령을 위한 1바이트의 시스템 명령어 아이디들이 기록된다. As shown here, in the system command ID area 61, a system command ID of one byte for a system control command of the wireless USB device 20 is recorded in the wireless USB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USB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general wireless USB system.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로써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cket structure of a wireless USB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로써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에서 서비스 아이디 영역에 기록되는 서비스 아이디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3 is a table showing a service ID recorded in a service ID area in a packet structure of a wireless USB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로써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에서 대용량 저장장치 기능으로 인터페이스될 때 인터페이스 데이터 영역의 패킷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cket structure of an interface data area when interfaced to a mass storage function in a packet structure of a wireless USB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로써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에서 대용량 저장장치 기능으로 인터페이스될 때 인터페이스 데이터 영역의 명령어 아이디 영역에 기록되는 명령어 아이디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FIG. 5 is a table illustrating command IDs recorded in a command ID area of an interface data area when interfaced to a mass storage function in a packet structure of a wireless USB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로써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에서 무선 USB 디바이스의 시스템을 제어하고자 할 때 인터페이스 데이터 영역의 패킷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cket structure of an interface data area when a system of a wireless USB device is to be controlled in a packet structure of a wireless USB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로써 무선 USB 시스템에서 무선 USB 디바이스의 시스템 제어를 위해 사용될 때 인터페이스 데이터 영역의 명령어 아이디 영역에 기록되는 명령어 아이디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7 is a table illustrating command IDs recorded in the command ID area of the interface data area when used for system control of a wireless USB device in the wireless USB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20 : 무선 USB 디바이스10: application processor 20: wireless USB device

21 : 패킷 아이디 영역 22 : 프로토콜 리비젼 영역21: packet ID area 22: protocol revision area

23 : 패킷 길이 영역 24 : 서비스 아이디 영역23: packet length area 24: service ID area

25 : 제 1예비 영역 26 : 인터페이스 데이터 영역25: first spare area 26: interface data area

41 : 명령어 아이디 영역 42 : MSC 프로토콜 리비젼 영역41: Command ID Area 42: MSC Protocol Revision Area

43 : LBA 영역 44 : LBA 길이 영역43: LBA area 44: LBA length area

45 : 최종 블록 영역 46 : 제 2예비 영역45: final block area 46: second spare area

47 : 데이터 영역 61 : 시스템 명령어 아이디 영역47: data area 61: system command ID area

62 : 시스템 프로토콜 리비젼 영역62: system protocol revision area

63 : 제 3예비 영역 64 : 시스템 데이터 영역63: third spare area 64: system data area

Claims (23)

무선 USB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무선 USB 디바이스 사이에 패킷 단위로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의 패킷 구조에 있어서, In the packet structure of the data interfaced on a packet basis between the application processor of the wireless USB system and the wireless USB device,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상기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의 패킷 ID를 나타내기 위한 패킷 아이디 영역과, A packet ID area for indicating a packet ID of data to be interfaced with the application processor;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상기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의 프로토콜 리비젼을 나타내기 위한 프로토콜 리비젼 영역과, A protocol revision area for representing a protocol revision of the data interfaced with the application processor;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상기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의 패킷 길이를 나타내기 위한 패킷 길이 영역과, A packet length region for indicating a packet length of data to be interfaced with the application processor;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상기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서비스 아이디 영역과 A service ID area for indicating characteristics of the data interfaced with the application processor;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상기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한 인터페이스 데이터 영역An interface data area for representing data interfaced with the application processor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 Packet structure of the wireless USB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의 패킷 길이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추가로 발생되는 데이터 특성을 포함하기 위한 제 1예비 영역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 2. The packet structure of a wireless USB system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preliminary area for adjusting the packet length of the interfaced data as well as including additionally generated data characteristic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예비 영역은 6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 The packet structure of a wireless USB syste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spare area allocates 6 byt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아이디 영역은 2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 The packet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packet ID area allocates 2 byt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리비젼 영역은 1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 The packet structure of a wireless USB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ocol revision area allocates 1 by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길이 영역은 2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 2. The packet structure of a wireless USB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cket length region allocates 2 byt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아이디 영역은 1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 2. The packet structure of a wireless USB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rvice ID area is allocated one by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USB 디바이스가 대용량 저장장치 기능을 갖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대용량 저장장치를 위한 저장 미디어를 갖을 때 상기 인터페이스 데이터 영역은 The interface data area of claim 1, wherein the interface data area is configured when the wireless USB device has a mass storage function and the application processor has a storage medium for mass storage. 상기 대용량 저장장치 기능을 위한 제어 명령을 나타내기 위한 명령어 아이디 영역과, A command ID area for representing a control command for the mass storage device function; 상기 대용량 저장장치 기능을 위해 인터페이스되는 프로토콜의 리비젼을 나타내기 위한 MSC 프로토콜 리비젼 영역과, An MSC protocol revision area for indicating a revision of a protocol that is interfaced for the mass storage function; 상기 대용량 저장장치 기능을 위한 상기 저장 미디어의 논리적 블록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LBA 영역과, An LBA area indicating a logical block address of the storage medium for the mass storage function; 상기 대용량 저장장치 기능을 위한 상기 논리적 블록 어드레스의 블록 개수를 나타내기 위한 LBA 길이 영역과, An LBA length region for indicating the number of blocks of the logical block address for the mass storage function; 연속적인 상기 논리적 블록 어드레스의 마지막 블록을 나타내기 위한 최종 블록 영역과, A final block area for representing the last block of the contiguous logical block address; 상기 대용량 저장장치 기능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 영역A data area for representing data interfaced by the mass storage function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 Packet structure of the wireless USB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의 패킷 길이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추가로 발생되는 데이터 특성을 포함하기 위한 제 2예비 영역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 9. The packet structure of a wireless USB system according to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second preliminary area for adjusting the packet length of the interfaced data as well as including additionally generated data characteristic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예비 영역은 3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 10. The packet structure of claim 9, wherein the second spare area allocates 3 bytes.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아이디 영역은 1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 10. The packet structure of claim 8, wherein the command ID field allocates 1 byt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MSC 프로토콜 리비젼 영역은 1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 9. The packet structure of claim 8, wherein the MSC protocol revision area allocates 1 byt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LBA 영역은 4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 10. The packet structure of claim 8, wherein the LBA region allocates 4 bytes.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LBA 길이 영역은 2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 9. The packet structure of claim 8, wherein the LBA length region allocates two bytes.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블록 영역은 1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 9. The packet structure of claim 8, wherein the final block area allocates 1 byt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영역은 512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 10. The packet structure of claim 8, wherein the data area allocates 512 byt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무선 USB 디바이스의 시스템을 제어하고자 할 때 상기 인터페이스 데이터 영역은 The interface data area of claim 1, wherein when the application processor attempts to control a system of the wireless USB device, the interface data area is selected. 상기 무선 USB 디바이스의 시스템 제어 명령을 나타내기 위한 시스템 명령어 아이디 영역과, A system command ID area for representing a system control command of the wireless USB device; 상기 무선 USB 디바이스의 시스템 제어를 위해 인터페이스되는 프로토콜의 리비젼을 나타내기 위한 시스템 프로토콜 리비젼 영역과, A system protocol revision area for indicating a revision of a protocol that is interfaced for system control of the wireless USB device; 상기 무선 USB 디바이스의 시스템 제어를 위해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의 순 서를 나타내기 위한 시퀀스 영역과, A sequence area for indicating an order of data interfaced for system control of the wireless USB device; 상기 무선 USB 디바이스의 시스템 제어 명령에 따라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한 시스템 데이터 영역System data area for representing data interfaced according to the system control command of the wireless USB device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 Packet structure of the wireless USB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의 패킷 길이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추가로 발생되는 데이터 특성을 포함하기 위한 제 3예비 영역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 18. The packet structure of a wireless USB system according to claim 17, further comprising a third preliminary area for adjusting the packet length of the interfaced data as well as including additionally generated data characteristics.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예비 영역은 9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 19. The packet structure of claim 18, wherein the third spare area allocates nine bytes.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명령어 아이디 영역은 1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 18. The packet structure of claim 17, wherein the system command ID field allocates 1 byte.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프로토콜 리비젼 영역은 1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 18. The packet structure of claim 17, wherein the system protocol revision area allocates 1 byte.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영역은 1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 18. The packet structure of claim 17, wherein the sequence region allocates one byte.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데이터 영역은 512바이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시스템의 패킷 구조. 18. The packet structure of claim 17, wherein the system data area allocates 512 bytes.
KR1020080018258A 2008-02-28 2008-02-28 Packet structure of wireless usb system KR1008985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258A KR100898542B1 (en) 2008-02-28 2008-02-28 Packet structure of wireless usb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258A KR100898542B1 (en) 2008-02-28 2008-02-28 Packet structure of wireless usb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8542B1 true KR100898542B1 (en) 2009-05-20

Family

ID=40862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258A KR100898542B1 (en) 2008-02-28 2008-02-28 Packet structure of wireless usb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54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9699A (en) * 2004-11-03 2006-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host in coordinator-based wireless environment
KR100725932B1 (en) 2006-05-02 2007-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operating wireless usb apparatus and wireless usb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70086395A (en) * 2004-11-24 2007-08-27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Digital data interface device message forma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9699A (en) * 2004-11-03 2006-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host in coordinator-based wireless environment
KR20070086395A (en) * 2004-11-24 2007-08-27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Digital data interface device message format
KR100725932B1 (en) 2006-05-02 2007-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operating wireless usb apparatus and wireless usb apparatus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1193B2 (en) Enhanced wireless USB protocol and hub
US8838865B2 (en) Hot plug ad hoc computer resource allocation
US9483429B2 (en) Unified input/output controller for integrated wireless devices
US20030083013A1 (en) Bluetooth transparent bridge
CN100468981C (en) Multifunctional mobile phone based on general USB chip and its realizing method
EP2172011A1 (en) Operation of media interface to provide bidirectional communications
JP2006065859A (en) Extended usb protocol
JP2007280261A (en) Portable type virtual memory apparatus which makes equipment on network sharable
TWI362003B (en) Method, flash memory drive and system for bluetooth communication
EP2383673B1 (en) Mobile network access device, system and method
WO2003063461A1 (en) Apparatus for wireless connectivity using software modem
CN106339348B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mobile terminal interface expansion
KR20060012094A (en) Person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person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ed medium performing the same
CN204496922U (en) There is the mobile storage means of OTG function
KR100898542B1 (en) Packet structure of wireless usb system
KR20090032646A (en)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200976125Y (en) Virtual serial device
CN220290207U (en) USB-C multifunctional adapter
US20020188789A1 (en) Wireless modem device
WO2023024619A1 (en) Method for managing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 (pcie) device, and related apparatus
CN217034733U (en) Electronic equipment and OTA (over the air) upgrading system
KR2011000162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control packet
EP1682988A2 (en) Composite adapter for multiple peripheral functionality in portable computing system environments
EP4280487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KR100720709B1 (en) Wireless usb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