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854B1 -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 Google Patents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854B1
KR100897854B1 KR1020070092487A KR20070092487A KR100897854B1 KR 100897854 B1 KR100897854 B1 KR 100897854B1 KR 1020070092487 A KR1020070092487 A KR 1020070092487A KR 20070092487 A KR20070092487 A KR 20070092487A KR 100897854 B1 KR100897854 B1 KR 100897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regulator
brush
sleeve holder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7340A (ko
Inventor
조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미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미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미코스
Priority to KR1020070092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854B1/ko
Publication of KR20090027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1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cosmetics brushes, e.g. mascara, nail polish, eye shadow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된 전단부(11)를 가지며, 개방된 후단부(12)가 밀봉 캡(2)으로 폐쇄되는 슬리이브 홀더(1)와, 상기 슬리이브 홀더의 개방된 전단부 내에 고정되고 선단부로는 다공성 농도 조절체 고정부(31)가 구비되고 후단부의 플렌지(32)와의 사이로는 외측 원주상에 다수의 화장료 조절 홈(35)이 구비된 조절기(3)와, 상기 슬리이브 홀더의 개방된 선단부를 통해 외부로 뽀족한 단부가 노출되게 고정되는 인조모인 화장용 브러시(5)와, 상기 조절기의 화장료 조절 홈의 일부와 소통되게 축선(L) 방향으로 형성된 구멍에 끼워지는 연결 코어(6)와, 상기 조절기의 후단부와 밀봉 캡 사이에 형성되고 액체 화장료가 저장되는 화장료 저장부(7)와, 상기 화장용 브러시(5)와 조절기(3)에 구비된 연결 코어(6)와의 사이에 상호 연계 설치되어 화장료 저장부로부터 화장용 브러시에 대해 비중이 상이한 액체 화장료의 배합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 공급하기 위한 다공성 농도 조절체(3)와, 상기 화장료 저장부 내에 저장되는 화장료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동되도록 구비되는 볼(8) 및 상기 슬리이브 홀더의 개방된 전단부에 화장용 브러시를 보호하기 위하여 탈착 가능하게 씌워지는 브러쉬 보호용 캡(9)으로 구성하여 비중이 상이한 액체 화장료의 배합 사용에 따른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여 발색 변화없이 고르고 안정된 화장이 가능하도록 한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이다.
Figure R1020070092487
액체 화장료, 다공성 농도 조절체, 아이라이너, 조절기, 볼, 모세관 현상

Description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Tool for applying liquid cosmetic material}
본 발명은 연결 코어와 화장용 브러시 사이에 다공성 농도 조절체를 연결 설치하여 비중이 상이한 여러 액체 화장료를 배합 사용하더라도 배합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화장료를 촉감이 양호한 화장용 브러시에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도포구의 일 예로는 아이라이너(eye-liner)나 보디 페인팅 등의 화장도구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눈 화장에 사용되는 아이라이너 등과 같은 도포구는, 주로 염료(染料)나 안료(顔料)를 사용하여 제조된 액체성 화장료가 이용된다. 그러나 염료를 사용하여 화장료를 제조하는 경우 화장시 피부 침착 기능에 상당한 문제가 있어 현재에는 주로 안료를 사용하여 제조하고 있다. 액체성 화장 안료로는 카본 블랙이나 티탄 블랙, 산화철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카본 블랙은 발암물질이 의심되고 있고, 또 티탄 블랙은 그 허용 유무가 국가적으로 큰 차이가 나고 있어 그 사용이 현저하게 제한 또는 기피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아이라이너 등의 도포구에 사용되는 액체성 화장안료로서, 인체에 무해하고, 무기안료인 미세입자상의 블랙 산화철(black color oxidized steel)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블랙 산화철만을 사용하여 액체 화장료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발색력(發色力), 은폐력(隱蔽力), 휘발력(揮發力) 등이 매우 낮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다양한 칼라(color)를 제공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블랙 산화철에 더하여 황색 산화철((yellow color oxidized steel), 녹색 산화철(green color oxidized steel), 청색 산화철(blue color oxidized steel), 적색 산화철(red color oxidized steel), 갈색 산화철(brown color oxidized steel) 등을 적정하게 선택 혼합하여 액체성 화장료로 제조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각 산화철들은 분자량이나 비중 차이에 의해 일정한 점도나 농도의 유지가 곤란하기 때문에 이를 구조적으로 일정하게 유지 공급하지 못하면, 결국 화장시 화장 발색(發色)이 일정하지 못하고, 또 다양한 칼라의 표현이 상당히 어렵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한 문제는 아이라이너 도포구 용도로서 사용되고 있는 펜 타입 구조의 경우, 안료의 점도를 매우 낮게 하여야 하는데 물 보다 비중이 높은 안료를 쉽게 분산(分散)시키는 것이 기술적으로 매우 어렵게 되고, 또 이를 해결하는 것이 해당 업계에서는 하나의 기술적인 선결 과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액체성 화장료를 이용하여 눈 화장을 하기 위해 화장료 저장부로 부터 액체성 화장료를 중개 심과 삼투압 방식의 조절기를 이용하여 전방으로 구비된 다공성 도포체나 채색 붓에 공급하여 눈 화장을 하는 화장재료용 용기나 아이라이너가 알려져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5-10819호(인용문헌 1)에, 슬리이브 홀더의 내부 후방으로 화장료 저장부를 구비하고, 이의 전방으로 화장료 저 장부 및 다공성 도포체와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코어가 구비된 조절기 및 다공성 도포체를 순차적으로 장치하여 액체성 화장료를 다공성 도포체로 공급시켜 화장할 수 있도록 한 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인용문헌 1은, 그 용기 구조(도 1 참조)상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즉, 화장료 저장부에 저장된 화장료가 삼투압 방식의 조절기 및 이 조절기의 중앙에 관통 설치된 연결 코어를 통해 전방으로 구비된 붓 형태의 다공성 도포체로 직접 공급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공률이 낮은 연결코어의 구조상 일정한 농도의 배합비율이 유지되는 상태로 다공성 도포체에 대한 화장료의 지속적인 공급이 불가능할 뿐 아니라 화장료의 불규칙한 공급으로 인해 안정되고 일률적인 화장 상태, 예컨대 안정된 발색의 제공이 어렵게 되고, 또 붓 형태의 도포체로서 다공성 소재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브러시 타입의 도포체에 비하여 화장에 따른 피부 촉감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눈 부분은 미세한 촉각을 갖기 때문에 다른 부분의 얼굴 화장과 달리 붓 형태의 다공성 도포체를 이용하여 눈 화장을 하는 경우 더욱 심하다. 또한, 화장료 저장부에 저장된 화장료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한 볼 등의 혼합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물 보다 비중이 높아 쉽게 침전되는 화장재료를 필요시 신속하게 혼합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특히 다공성 도포체와 일단 부가 연결되게 구비된 연결 코어의 타단 부가 화장료 저장부 내부로 일정 길이 만큼 노출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쇠 구슬과 같은 볼(ball)을 내장하여 흔들어주는 경우, 볼이 이의 연장 단부를 당연히 타격하게 되고, 이는 연결 코어가 슬리이브 홀더의 전면 개방단의 내부에 끼 워진 다공성 도포체를 전방으로, 예컨대 다공성 도포체 방향으로 밀어내는 결과를 초래하여 관련한 구성부재의 조립 안정성을 크게 해치게 된다. 또한, 슬리이브 홀더의 내부로 조절기의 설치시 플렌지가 상기 슬리이브 홀더의 내벽 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고정지지 되기 때문에 화장 재료용 용기를 수평으로 놓아두는 경우 화장료 저장부내의 잔존 화장재료가 연결 코어의 축선 방향 아래로 머물게 되는 경우 연결 코어를 통한 다공성 도포체로의 화장재료 공급이 중단되기 때문에 다공성 도포체의 흡수력을 크게 저하시키게 되고, 또한 이러한 문제는 용기가 거꾸로 세워지는 경우에도 화장료 저장부 내의 화장료의 잔류량이 적어 하부로 몰리게 되기 때문에 이 역시 화장료 저장부 내측으로 연장되게 끼워진 연결 코어가 화장료 속에 묻히지 않게 되어 전방의 다공성 도포체에 대한 화장재료의 공급이 중단되어 질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다. 이렇게 다공성 도포체로의 화장재료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붓 형태의 다공성 도포체는 그 성질상 흡수력을 급격하게 상실하게 되고, 이러한 점은 신속하고 안정된 화장을 방해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등의 여러 가지 구조적인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기타 인용문헌 1에 제시된 다른 용기 구조, 더욱 구체적으로는 인용문헌 1의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용기 구조들 역시 그 구조상 조절기 및 연결 코어를 이용하여 봇 형태의 다공성 도포체에 대해 화장료를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위에서 지적한 제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붓 형태의 다공성 도포체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는 경우, 무엇보다도 화장시 화장 분 등의 이물질이 다공성 도포체에 달라붙는 현상에 의해 화장 촉감을 현저하게 떨어뜨릴 뿐 아니라 이물질에 의해 기공이 차단됨에 따라 액체 화장료의 원활한 공급이 불가능하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를 피할 수 없고, 이러한 문제는 특히, 도포구의 사용 수명을 현저하게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81544호(인용문헌 2)에, 용기 본체에 장입된 잉크를 조절기와 필터 닙을 이용하여 전방의 채색 붓으로 공급하는 아이라이너가 개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인용문헌 2 역시 필터 닙을 통해서만 채색 붓으로 잉크를 공급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인용문헌 1의 용기 구조와 마찬가지로 채백 붓에 대해 잉크의 배합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로 공급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채색 붓의 경우, 기공률이 매우 낮기 때문에 필터 닙 만을 이용하여서는 잉크의 공급이 일정하지 않고, 그로 인해 발색이 일정하지 않아 결국, 안정되고 신속한 화장이 어렵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필터 닙의 일단 부가 잉크의 내부에 묻히도록 연장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화장료의 혼합에 따른 볼을 내장하여 사용하는 경우, 구성부재의 조립 안정성을 크게 해치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 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이를 종합하면, 종래 알려지고 있는 인용문헌 1,2는 그 구조적인 한계에 의해 일정한 농도로 배합된 화장료의 지속적이고 안정된 공급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화장력을 현저하게 저하시키게 되고, 또 이러한 문제는 제품의 품질 저하로 이어져 제품의 경쟁력을 크게 상실하게 됨은 물론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의 신뢰도 및 구매력의 상실로 이어져 영업적으로도 상당한 악영향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포체로서 촉감이 양호한 인조모인 브러시를 이용하고, 이 브러시와 조절기에 구비된 연결 코어와의 사이에 연결 코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공률이 높은 다공성 농도 조절체를 개재시켜 줌으로써 브러시에 대해 비중이 상이한 화장료의 배합 사용시에도 일정한 농도를 갖는 화장료의 지속적인 공급이 가능하게 되어 화장에 따른 발색 변화를 방지하면서 항상 안정되고 신속한 화장이 가능하게 되어 제품의 높은 품질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장료가 저장되는 화장료 저장부로는 화장료의 신속한 혼합을 위한 볼을 내장하고, 또 조절기와 연계되는 모세관 홈을 형성하여 도포구의 보관상태나 화장료의 잔류량에 관계없이 다공성 농도 조절체를 통한 브러시로의 화장료 공급이 항상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액체 화장료의 침전 방지를 위해 도포구를 흔들어 주더라도 볼에 의한 연결 코어의 타격이 방지되어 브러시를 포함한 구성 부재의 조립 안정성이 크게 확보되면서도 화장료의 침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화장료 흡수체로부터 화장료를 공급하는 경우에도 다공성 농도 조절체를 통한 안정된 배합 농도가 유지되는 상태로 화장료를 브러시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실시 예의 본 발명은, 개방된 전단부를 가지 며, 개방된 후단부가 밀봉 캡으로 폐쇄되는 슬리이브 홀더와; 상기 슬리이브 홀더의 개방된 전단부 내에 고정되고 선단부로는 다공성 농도 조절체 고정부가 구비되고 후단부의 플렌지와의 사이로는 외측 원주상에 다수의 화장료 조절 홈이 구비된 조절기와; 상기 슬리이브 홀더의 개방된 선단부를 통해 외부로 뽀족한 단부가 노출되게 고정되는 인조모인 화장용 브러시와; 상기 조절기의 화장료 조절 홈의 일부와 소통되게 축선 방향으로 형성된 구멍에 끼워지되 플렌지의 후단보다 연장되지 않게 설치되는 연결 코어와; 상기 조절기의 후단부와 밀봉 캡 사이에 형성되고 액체 화장료가 저장되는 화장료 저장부와; 상기 화장용 브러시와 조절기에 구비된 연결 코어와의 사이에 상호 연계 설치되어 화장료 저장부로부터 화장용 브러시에 대해 비중이 상이한 액체 화장료의 배합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 공급하기 위한 다공성 농도 조절체와; 상기 화장료 저장부 내에 저장되는 화장료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동되도록 구비되는 볼(ball); 및 상기 슬리이브 홀더의 개방된 전단부에 화장용 브러시를 보호하기 위하여 탈착 가능하게 씌워지는 브러시 보호용 캡으로 이루어진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에 의해 충분히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농도 조절체는 슬리이브 홀더의 다공성 농도 조절체 고정부에 끼워진 고정체를 중심으로 화장용 브러시 후단으로 일정 깊이 끼워진 유동체가 화장용 브러시의 움직임에 대해 수동적으로 움직이면서 액체 화장료를 상기 화장용 브러시에 대해 공급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농도 조절체는 조절기에 구비된 연결 코어에 비하여 더 높은 기공률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절기의 플렌지 후면 중앙으로는 볼이 안착되는 볼 시트 면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조절기의 축선 방향의 구멍에 끼워지는 연결 코어의 후단부는 상기 볼 시트 면에 미치지 못하도록 근접되게 설치하여 화장료 저장부에 내장되는 볼의 유동시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조립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절기의 플렌지로는 원주면으로 다수개의 슬릿을 방사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화장료 저장부로는 다수개의 모세관 홈이 형성되어 짐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플렌지로 형성되는 슬릿과, 상기 화장료 저장부로 형성되는 모세관 홈은 화장료의 공급이 원활하도록 서로 일치되게 조립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슬릿과 모세관 홈이 서로 일치되게 조립되도록 하기 위하여 플렌지 외주면을 다각 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플렌지가 안착되는 슬리이브 홀더의 안착부 역시 대응 다각 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저장부로 형성되는 모세관 홈은 직선 또는 나선형 중 어느 하나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슬리이브 홀더의 외주면으로는 캡 정지 돌출 테를 경계로 하여 장축의 지주 캡이 더 결합되어 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기는, 슬리이브 홀더의 개방된 전단부 내에 고정되고 선단 부로는 다공성 농도 조절체 고정부가 구비되고, 외측 원주 상으로는 다수의 화장료 조절 홈이 형성되며, 후단부의 플렌지로는 방사상의 슬릿 및 볼 시트 면이 구비되어 지며, 상기 화장료 조절 홈으로는 그 전단부부터 후단부까지 연장한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릿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통풍 슬롯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2실시 예의 본 발명은, 개방된 선단부 및 개방된 후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후단부가 밀봉 캡에 의해 폐쇄되는 슬리이브 홀더와; 상기 슬리이브 홀더의 선단부 내에 끝이 뽀족한 선단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고정 설치된 인조모의 화장용 브러시와; 상기 화장용 브러시와 밀봉 캡 사이로 형성되는 화장료 저장부와; 상기 슬리이브 홀더로 형성되는 화장료 저장부 내의 화장료 흡수체로부터 화장료를 상기 화장용 브러시로 공급하기 위하여 일단 부가 상기 화장료 흡수체에 꽂아지도록 연결 구성된 연결 코어와; 상기 화장용 브러시 및 연결 코어와의 사이에 연계 설치되어 상기 연결 코어를 통해 공급되는 화장료를 흡수 저장하여 배합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다공성 농도 조절체; 및 상기 슬리이브 홀더의 개방된 전단부에 화장용 브러시를 보호하기 위하여 탈착 가능하게 씌워지는 브러시 보호용 캡; 을 포함하여 조립 구성되는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에 의해 충분히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기에 구비된 연결 코어와 화장용 브러시 사이로 연결 코어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기공률이 높게 제조되는 다공성 농도 조절체를 상호 연결 설치함으로써 상이한 비중을 갖는 여러 액체 화장료를 배합 사용하더라도 화 장료의 배합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로 촉감이 양호한 소재의 화장용 브러시에 대해 안정되게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화장료의 안정된 공급은 화장료의 배합 분산으로 인한 발색 변화를 방지하면서도 신속하고 고른 화장이 가능하게 되는 현저한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다공성 농도 조절체를 소프트하게 제작하고, 또 일단 부가 화장용 브러시의 내부에 일정 깊이 수용되는 상태로 연결 코어와 상호 연결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화장료 저장부로부터 화장료의 신속한 흡수 저장이 가능함과 동시에 그 수용 단부가 브러시와 함께 움직이는 것에 의해 화장료가 기공률이 낮은 브러시에 대해 짜지면서 공급되어 짐에 따라 브러시에 대한 화장료 공급이 더욱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화장료 저장부로 형성된 모세관 홈과 조절기의 플렌지로 형성된 슬릿에 의해 상기 화장료 저장부 내에 저장된 액상의 화장료는 잔류량이나 도포구의 휴대 보관 상태에 전혀 관계없이 연결 코어를 통해 항상 화장용 브러시로 지속적인 공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장용 브러시는 화장이 가능한 상태로 항상 촉촉하게 유지되고 있어 신속한 화장이 가능할 뿐 아니라 화장료 저장부 내에 충전된 화장료의 전량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또 볼에 의한 화장료의 침전이 방지되어 화장료의 안정된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화장용 브러시로 화장료를 공급하기 위하여 조절기에 끼워진 연결 코어는 화장료 저장부 내로 노출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화장료의 침전 방지를 위해 유동되는 볼에 전혀 간섭을 받지 않게 되어 조립 안정성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화장용 브러시로의 화장료 공급이 안정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 볼에 의한 화장료의 신속한 혼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슬리이브 홀더의 안착부와 조절기의 플렌지를 동일한 다각면으로 형성하고 이에 맞추어 화장료 저장부의 모세관 홈이나 상기 플렌지의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모세관 홈이나 슬릿은 동일한 위치로 직접 연계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다공성 농도 조절체의 구비로 인해 화장료 저장부에 별도의 화장료 흡수체를 구비한 구조의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라 하더라도 화장료를 화장용 브러시에 대해 배합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포체로서 인조모의 브러시를 사용하고, 또 다공성 농도 조절체에 의해 항상 액체 화장료가 공급되어 짐에 따라 화장시, 브러시의 모(毛) 사이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현상이 방지되어 안정된 화장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의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에 대하여 제1 및 제2 실시 예로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 예의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A)(B)는 액체 화장료의 저장상태를 달리하고, 조절기의 유무 차이만이 있을 뿐 비중이 상이한 여러 액체 화장료의 배합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상태로 화장료를 촉감이 양호한 화장용 브러시로 공급하는 구조 는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A)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바,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A)는, 개방된 전단부(11) 및 개방된 후단부(12)를 갖는 슬리이브 홀더(1)를 포함한다. 상기 슬리이브 홀더(1)의 개방된 후단부(12)는 밀봉 캡(2)에 의해 폐쇄되어 진다. 상기 슬리이브 홀더(1)의 개방된 전단부(11) 내부로는 조절기(3)가 끼워져 있다. 이 조절기(3)의 전단부로는 다공성 농도 조절체 고정부(31)가 구비되어 있고, 또 그 후단부의 플렌지(32)로는 축선 방향(L)의 후면 중앙으로 볼 시트 면(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기(3)의 다공성 농도 조절체 고정부(31)로는 이후 설명되는 연결 코어(6)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기공률(氣孔率)을 갖는 다공성 농도 조절체(4)의 일단 부가 끼워져 있다. 다공성 농도 조절체(4)는 높은 기공률에 의해 액체 화장료의 높은 흡수 저장능력을 가지도록 다공성 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다공성 농도 조절체(4)는 이후 설명되는 연결 코어(6)와 화장 브러시(5)와의 사이에 연결 개재되어 액체 화장료의 원활한 공급을 중개하게 된다.
다공성 농도 조절체(4)는, 다공성 농도 조절체 고정부(31)에 끼워지는 고정체(41)와, 이 고정체와 연이어지도록 일방으로 뽀족하게 연장 형성되고 다공성 농도 조절체 고정부(31)보다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유동체(42)로 이루어져 있다. 유동체(42)는, 특히 고정체(41)에 비하여 직경이 작고 끝이 뽀족하도록 일정 길이로 연장형성되고 부드러운 소재로 제조되기 때문에 적은 외력의 작용에 의해서도 쉽게 휘어지면서 화장료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도 9참조)
조절기(3)의 전방, 예를 들어 다공성 농도 조절체 고정부(31)의 전단으로는, 화장용 브러시(5)가 브러시 케이스(41)에 의해 보호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통상 인조 모(毛)로 제작되는 화장용 브러시(5)는 각 인조 모 가닥이 나이론 수지나 폴리부티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PBT)로 부터 얻어지는 방사(紡絲:spinning)를 이용하여 끝이 뽀족하게 약품 및 열처리하고 이를 필요한 만큼 다발로 묶음한 것이 이용된다. 이러한 인조 모는 소재 특성상 양호한 화장료의 흡수 및 텐션력이 발휘될 수 있다. 화장용 브러시(5)는 PP수지재의 브러시 케이스(51) 내부에 끼워지는 부분이 다발로 묶음되어 일체로 접착 고정되어 지고, 슬리이브 홀더(1)의 전단부로 노출되는 단부는 항상 뽀족하게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브러시 케이스(51)는 슬리이브 홀더(1)의 전단부(11) 내부에 형성된 단차부(11a)에 상호 걸려지게 장착되어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조립된다.
그리고, 브러시 케이스(51)의 내부로 끼워지는 화장용 브러시(5)의 후단부로는 다공성 농도 조절체(4)의 유동체(42)가 일정 깊이 끼워지도록 조립된다. 이로써 화장용 브러시(5)와 다공성 농도 조절체(4)는 액체 화장료의 공급이 가능해지게 된다.
상기 조절기(3)의 다공성 농도 조절체 고정부(31)와 플렌지(32)의 축선(L)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구멍(34)으로는 연결 코어(6)가 끼워져 있다. 연결 코어(6)는 일반적으로 아크릴 또는 폴리에스터 섬유 등과 같은 섬유질 소재로 제조된다. 이러한 연결 코어(6)는 그 전체 길이를 따라서 화장료가 흡수되고 배출되어 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소재로 제조되는 연결 코어(6)는 다공성 농도 조절체(4)에 비하여 기공률이 낮다. 따라서, 연결 코어(6) 만을 이용하여 비중이 상이한 여러 화장료가 배합된 액체 화장료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로 화장용 브러시(5)로 공급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연결 코어(6)는 화장료 저장부(7)로부터 액상의 화장료를 상기 화장용 브러시(5)로 공급하기 위하여 그 전단부가 상기 다공성 농도 조절체(4)의 후단부와 연계되게 꽂아지고, 그 후단부는 상기 플렌지(32)의 볼 시트면(33)에 못 미치는 위치까지 끼워져 있다.
상기 조절기(3)의 플렌지(32)와 밀봉 캡(2) 사이로는 액체용 화장료가 저장되는 화장료 저장부(7)가 구비되어져 있다. 상기 화장료 저장부(7)로는 상기 연결 코어(6)로 액체 화장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모세관 홈(71)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화장료 저장부(7) 내로는 액상의 화장료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쇠구슬 형태의 볼(8)이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이브 홀더(1)의 개방된 전단부(11)로는 화장용 브러시(5)를 보호하기 위한 브러시 보호용 캡(9)이 탈착 가능하게 씌워져 있는 구성이다.
슬리이브 홀더(1)의 외주면으로는, 바람직하게는 캡 정지 돌출 테(13)를 기준으로 그 후단부 외주면으로는 장축의 지주 캡(10)이 개방 단부를 통해 압입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지주 캡(10)은 슬리이브 홀더(1)의 후단부 길이가 단축으로 형성되는 경우, 그 길이가 짧아 손으로 잡고 화장하기에 불편한 경우 이를 보완하거나, 또는 슬리이브 홀더(1)의 외관 장식을 위해 압입 설치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지주 캡(10)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 고, 또 외부 장식을 위해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 그 외주면으로 소비자의 취향을 고려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도금 또는 도장 처리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는 슬리이브 홀더(1)의 전단부(11)로부터 브러시 보호용 캡(9)이 분리 제거된 상태로서, 이러한 브러시 보호용 캡(9)의 분리를 통해 화장용 브러시(5)가 외부로 노출되어 지고, 상기 브러시(5)로는 연결 코어(6) 및 다공성 농도 조절체(4)을 통해 화장료 저장부(7)로부터 액상의 화장료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지고, 이러한 화장료의 공급을 통해 화장용 브러시(5)는 항상 화장료가 촉촉하게 흡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신속한 화장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화장시, 화장용 브러시(5)로는 다공성 농도 조절체(4)에 의해 일정한 배합 농도가 유지된 화장료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지기 때문에 비중이 상이한 여러 화장료를 배합 사용하더라도 화장에 따른 발색 변화없이 고른 화장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다공성 농도 조절체(4)의 유동체(42)는 화장용 브러시(5)의 후방부에 일정 깊이 꽂아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브러시 케이스(41)에 대해 화장용 브러시(5)의 노출 단부가 휘어지는 경우, 동시에 휘어지면서 압축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압축 과정에서 다공성 농도 조절체(4)에 흡수되어 있던 액체 화장료가 더욱 안정되고 신속하게 공급되어 질 수 있는 것이어서, 화장 안정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슬리이브 홀더(1)의 전단부(11) 내부로는 이에 삽입 설치되는 조절기(3)의 안정된 설치를 위한 스토퍼(14,15)가 내주면으로 약간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15)로는 상기 조절기(3)의 플렌지(32)가 밀착지지 되 는 계단식의 안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슬리이브 홀더(1)의 내주면에 삽입 설치되는 조절기(3)에 있어서, 다공성 농도 조절체 고정부(31) 및 플렌지(32)는 양 스토퍼(14)(15) 및 안착부(16) 사이에 끼워지도록 안정되게 설치되어 진다.(도 1 및 도 2 참조)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슬리이브 홀더(1)의 화장료 저장부(7)로는, 예컨대 조절기(3)의 플렌지(32) 단부와 밀봉 캡(2)과의 사이 공간으로는 모세관 현상(capillarity)에 의해 액상의 화장료가 표면 장력(表面張力)의 영향에 의해 상승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다수의 모세관 홈(71)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러한 모세관 홈(71)은 화장료 저장부(7)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모세관 홈(71)은 도면상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된 형태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나선형으로도 형성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모세관 홈(71)은 화장료 저장부(7)의 내주에 대해 세장(細長) 홈 형태로 요설되며, 또 방사상으로 고루 분포되어 진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기(3)의 구성을 보인 도면들로서,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조절기(3)는 전단부에 관체 형태의 브러쉬 고정부(31)가 구비되어 있고, 그 후단부로는 플렌지(32)가 구비되어 있고, 이 플렌지(33)의 후면 중앙 센터, 예컨대 축선 방향으로는 볼 시트 면(33)이 형성되어 있다. 볼 시트면(33)은 화장료 저장부(7)에 충전된 화장료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볼(8)이 안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볼 시트면(33)은 축선 방향을 향해 좁아지 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다음, 도 6을 참조하면, 플렌지(32)로는 화장료 저장부(7)에 형성된 모세관 홈(71)과 연계되는 슬릿(32a)이 방사상으로 세절되어 있다. 여기서 슬릿(32a)은 상기 화장료 저장부(7)의 모세관 홈(71)과 동일한 수 및 위치로 형성하여 상기 화장료 저장부(7)의 모세관 홈(71)을 따라 이동된 화장료가 상기 슬릿(32a)과 직접 연계되어 결 코어(6)로 공급되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조절기(3)의 다공성 농도 조절체 고정부(31)와 플렌지(32) 와의 사이로는 일정한 간격의 화장료 공급 조절 홈(35)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화장료 공급 조절 홈(35)으로는 모세관 현상(capillarity)이 발휘되도록 그 전단부부터 후단부까지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슬릿(36)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원주의 외 측 상부로는 축선(L) 방향으로 연장한 통풍슬롯(37)이 상기 슬릿(36) 과는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슬릿(36)과 통풍 슬롯(37)은 물론 조절기(3)의 다공성 농도 조절체 고정부(31)가 끼워진 슬리이브 홀더(1)의 전단부(11)와의 사이로 형성되는 미세한 틈새(39)를 통해서 화장료 저장부(7)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진다. 그리고 액체 화장료가 저장된 화장료 저장부(7) 내로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 온도 등의 변화로 인해 화장료 저장부(7)의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의 차가 발생되는 경우, 조절기(3) 내의 화장료 공급 조절 홈(35)과 화장료 저장부(7)와의 사이로는 화장료가 흘러들어가서 압력 변화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조절기(3)의 모세관 작용(삼투압 현상)을 통해 대기압이나 대기 온도 등의 급작스러운 변화에도 화장료가 화장용 브러시(5)로 과도하게 공급되 거나 누출되는 것이 구조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보호용 캡(9)에 대하여 설명한다. 브러시 보호용 캡(9)은, 기본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캡(91)과, 상기 외캡(91) 내에 이동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내캡(92)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외캡(91)과 내캡(92)과의 사이에 오므려지게 설치된 압축 코일 스프링(93)을 포함한다. 내캡(92)은 항상 압축 코일 스프링(93)의 스프링력에 의해 외캡(91)에 형성된 스토퍼(94)에 압입 되어져 계합된다. 브러쉬 보호용 캡(9)은, 외캡(91)의 개구단부가 슬리이브 홀더(1)에 형성된 캡 정지 돌출 테(13)에 계합될 때까지 밀어 끼워진다. 또한 외캡(91)의 내 측에 계합부(95)가 형성되고, 상대 측의 슬리이브 홀더(1)의 전단부(11) 외주면으로 형성된 피 계합부(11b)에 계합되어 진다.(도 1 참조)
이렇게 해서 도 2에 도시된 상태의 브러시 보호용 캡(9)을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이브 홀더(1)의 전단부(11)에 덮으면, 외캡(91)의 계합부(95)와 상기 전단부(11)로 형성된 피 계합부(11b)가 상호 계합된다. 이때 내캡(92)은 그 개구단부가 이의 내부로 삽입되는 슬리이브 홀더(1)의 전단부(11) 외주면에 걸려져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93)을 압축시키면서 어느 정도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게 되어 부더로운 장착이 가능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슬리이브 홀더(1)의 전단부(11) 외 측으로 노출되어진 화장용 브러시(5)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슬리이브 홀더(1)에 대한 조절기(3)의 조립시 화장료 저장부(7)로 형성된 방사상의 모세관 홈(71)과 플렌지(32)로 형성되는 방사상의 슬릿(32a)이 동일한 위치로 연계되어 지도록 하기 위하여 안착부(16)의 내주면과, 이에 삽설 지지 되는 상기 플렌지(32)의 외주면을 동일한 다각 면으로 형성하여 안정된 조립성을 추구할 수도 있다.
이렇게 안착부(16)와 플렌지(32)의 외주면을 다각 면으로, 예컨대 상기 화장료 저장부(7)의 모세관 홈(71)이 8등분으로 균등하게 나누어지게 설계되었다면, 상기 플렌지(32)에 형성되는 슬릿(32a) 역시 이에 맞추어 8등분으로 균등하게 형성되도록 8각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조절기(3)를 슬리이브 홀더(1) 내에 집어넣어 조립하는 경우 상기 모세관 홈(71)과 슬릿(32a)이 서로 어긋남 없이 직접 연계되어 지도록 조립 구성함에 따라 모세관 작용에 의해 상승 이동되는 액체 화장료의 공급이 더욱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A)의 조립 및 작용 상태를 살펴본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조립 과정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밝혀둔다.
먼저, 도 5의 조절기(3)로 형성된 다공성 농도 조절체 고정부(31) 내에 다공성 농도 조절체(4)의 고정체(41)를 끼워 고정한다. 그리고, 브러시 케이스(51) 내에 다발로 묶음된 화장용 브러시(5)의 일단 부를 삽입 고정한다. 그런 다음 조절기(3)의 축선 방향으로 형성된 구멍(34)으로 연결 코어(6)을 끼운다. 이때 연결 코어(6)의 선단부는 다공성 농도 조절체(4)의 후단부에 연계되어 지게 꽂고, 타 단부는 조절기(3)의 플렌지(32)로 형성된 볼 시트면(33)에 조금 못 미치는 위치까지 끼워 조립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장용 브러시(5)가 고정된 브러시 케이스(41) 및 조절기(3)를 슬리이브 홀더(1)의 후단부(12) 쪽에서 전단부(11) 내부까지 순차적으로 밀어 넣는다. 물론, 화장용 브러시(5)는 브러시 케이스(41)의 구조 변경, 예컨대 분할 절단선을 형성하여 내측으로 오므려지게 한 다음 슬리이브 홀더(1)의 선단부(11) 쪽의 공간을 통해 반대로 밀어 끼워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면, 슬리이브 홀더(1)의 전단부(11) 외 측으로는 화장용 브러시(5)의 뽀족한 선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지게 브러시 케이스(51)가 단차부(11b) 와의 사이에 고정지지 되고, 또 조절기(3)는 슬리이브 홀더(1)에 형성된 양 스토퍼(14,15)와의 사이에 다공성 농도 절체 고정부(31)의 후단 및 플렌지(31)의 후단이 각각 안정되게 걸림 설치된다. 이때 플렌지(32)는 안착부(16)에 안착지지 된다. 상기한 슬리이브 홀더(1) 내부에 조절기(3)를 고정 설치하는 것에 의해 조절기(3)의 연결코어(6) 선단부와 화장용 브러시(5)의 후단부 사이로는 다공성 농도 조절체(4)가 상호 연결 설치되어 액체 화장료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조절기(3)의 후단부로는 화장료 저장부(7)가 구비되고, 이 화장료 저장부(7)로는 액상의 화장료를 충전시킨 다음 침전 방지를 위한 볼(8)을 넣고 마지막으로 그 후단부(12)를 밀봉 캡(2)으로 막아 차단한다. 그리고, 슬리이브 홀더(1)의 외주 면으로는 장축의 지주 캡(10)을 필요에 따라 고정 설치하는 과정을 통해 조립이 완료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조립함으로써 브러시 보호용 캡(9)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부품의 조립이 간단하게 완료되어 지는 것이며, 상기 슬리이브 홀더(1)의 전단부(11)에 대해 화장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과 같이 브러시 보호용 캡(9)을 덮어주는 것에 의해 화장용 브러시(5)는 안정하게 보호되어 지는 것이며, 또 화장을 하고자 하 는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브러시 보호용 캡(9)을 슬리이브 홀더(1)의 전단부(11)로부터 분리하면 화장용 브러시(4)의 뽀족한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져 화장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화장용 브러시(5)로는 화장료 저장부(7)로부터 적량의 액체 화장료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지게 되는데, 이는 조절기(3)에 구비된 연결 코어(6) 및 다공성 농도 조절체(4)를 통해 지속적으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고, 화장료 저장부(7) 내에 저장된 액체 화장료의 잔류 량이나 도포구의 휴대 보관 상태에 전혀 관계없이 상시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화장료 저장부(7)에 저장된 액체 화장료는 도포구를 거꾸로 세우거나, 또는 수평으로, 또는 비스듬하게 놓여지는 상태로 휴대 보관하더라도 상기 화장료 저장부(7)의 내주 면에 길이 방향으로 고루 분포 형성된 모세관 홈(71)에 닿아있게 됨으로써, 상기 액체 화장료는 모세관 작용에 의해 상기 저장부(7)의 모세관 홈(71)을 따라 이동되어 지고, 또 상기 모세관 홈(71)을 따라 이동되어 지는 화장료는 이와 연계되어진 상기 조절기(3)의 플렌지(32)로 형성된 슬릿(32a)을 통해 연결 코어(6)로 중개되어 진다. 따라서, 연결 코어(5)로 중개된 화장료는 조절기(3)의 삼투압 작용에 의해 그 흐름성이 조절되면서 상기 연결 코어(6)를 통해 그 전방으로 구비된 다공성 농도 조절체(4)로 흡수 저장되어 지고, 다공성 농도 조절체(4)에 흡수 저장된 액체 화장료는 다시 그 전방의 화장용 브러시(5)로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짐에 따라 상기한 화장용 브러시(5)는 화장료가 항상 촉촉하게 베어 있는 상태가 유지되어 진다.
한편, 연결 코어(6)와 화장용 브러시(5) 사이로 개재된 다공성 농도 조절체(4)에 의해, 설령 액체 화장료가 비중이 상이한 여러 화장료를 배합 사용되더라도, 화장료는 연결 코너(6)를 통해 일차적으로 기공률이 높은 상기 다공성 농도 조절체(4)에 흡수 저장되고, 이렇게 다공성 농도 조절체(4)에 흡수 저장된 화장료는 배합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로 화장용 브러시(5)에 공급이 이루어짐에 따라 비중이 상이한 화장료의 공급에도 전혀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되고, 또 일정한 배합 농도의 화장료 공급을 통해 화장시 발색 변화가 심하지 않고 일정하게 됨은 물론 종래 붓 형태의 다공성 도포체와는 달리 모 사이가 화장분 등의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현상 없이 안정된 액체 화장료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다공성 농도 조절체(4)의 유동체(42)는 스프트하게 제작되고, 또 화장용 브러시(5)의 후단부에 일정 깊이 파고 들어가는 형태로 연결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화장용 브러시(5)의 솔질 시 도 9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휘어지면서 이에 머금고 있는 액체 화장료를 짜내는 형태로 공급함하게 됨에 따라 화장용 브러시(5)에 대한 액체 화장료의 공급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다공성 농도 조절체(4)를 통해 일정한 배합 농도의 화장료 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항상 촉촉하게 젖어 있는 화장료 브러시(5)에 의해 종래와 같이 별도의 화장료 공급 동작 없이도 신속하고 안정된 화장이 가능하게 되고, 또 화장용 브러시(5)로 공급되는 화장료는 조절기(3)의 모세관 작용에 의해 그 대기압이나 온도 등의 갑작스러운 변화에도 능동적으로 대응하면서 항상 적량의 화장료가 공급 조절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화장료 저장부(7) 내에 잔류되고 있는 액상의 화장료는 화장료 저장부(7)에 형성된 모세관 홈(71)과 항상 접하고 있기 때문에 도포구의 보관 형태에 관계없이 화장료는 연결 코어(6)로 상시 공급되어 질 수 있기 때문에 전량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장료 저장부(7) 내에 저장된 화장료는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간헐적으로 흔들어 주어야 하는바, 이는 그 내부에 수용된 볼(8)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볼(8)은 유동시 조절기(3)의 플렌지(32)로 형성된 볼 시트면(33)에 맞닿게 되어 이의 근접 위치까지만 일단 부가 끼워진 연결 코어(6)을 전혀 타격하지 않게 되어, 상기 연결 코어(6)을 비롯하여 이와 연계되어진 전방의 다공성 농도 조절체(4) 및 화장용 브러시(5)에 대한 조립 안정성을 해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화장용 브러시(5)는 그 선단 일부가 브러시 케이스(51)로 커버되고 있기 때문에 항상 화장에 적정한 텐션력을 상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장용 브러시(4)로 공급되고 있는 화장료는, 특히 도포구를 휴대하고 있는 중에도 압축 코일 스프링(93)으로 탄력 설치되는 내캡(92)에 의해 단단히 밀폐되어 지기 때문에 건조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B)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 예의 도포구 역시 기본적으로 제1실시 예의 도포구(A)와 마찬가지로 다공성 농도 조절체(4)를 이용하여 화장료를 화장용 브러시(5)로 공급하는 점에서 같다. 다만, 액체 화장료 자체를 공급하는 시스템의을 가지는 관계로, 조절기(3), 침전 방지를 위한 볼(8)이 제외된 구성의 차이만을 갖는다. 제2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은 동일 유사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제2실시 예에 따른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B)는, 슬리이브 홀더(1)의 선단부(11) 내측으로 화장용 브러시(5), 다공성 농도 조절체(4) 및 연결 코어(6)가 순차적으로 조립 구성되고, 상기 연결 코어(6)의 후단부는 슬리이브 홀더(1)의 후방 내측으로 설치된 화장료 흡수체(11)에 묻혀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화장료 흡수체(11)는 별도의 케이스(11a) 내에 고정되어 지고, 그 후방으로는 스톱 파이프(12) 및 밀봉 캡(2)의 순차적인 조립을 통해 화장료 저장부(6)에 유동되지 않도록 단단히 밀봉 지지되어 진다. 그리고, 슬리이브 홀더(1)의 선단부(11)로는 브러시 보호용 캡(9)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진 구성이다. 브러시 보호용 캡(9)은 제1실시 예와 달리 압축 코일 스프링이 없이 내캡(92) 및 외캡(91)의 조립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제2실시 예의 도포구 역시 화장용 브러시(5)와 연결 코어(6)와의 사이에 다공성 농도 조절체(4)가 상호 연결 설치됨으로 인해 화장료 흡수체(11)에 흡수 저장된 화장료가 설령, 상이한 비중을 갖는 화장료라 하더라도 상기 다공성 농도 조절체(4)에 일차 흡수 저장된 상태에서 화장용 브러시(5)로의 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장료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실시 예의 도포구(B)의 경우, 액체 화장료가 화장료 흡수체(11)에 흡수 저장된 상태로 공급되기 때문에 제1실시 예의 도포구(A)와 같이 액 체 상태의 화장료 자체를 공급하는 구조에 채용되어 화장료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기(3) 및 볼(8)의 구성이 불필요하고, 또한 화장료 저장부(7)로 형성되는 모세관 홈(71)의 구성도 불필요하게 되어, 화장료 공급구조를 보다 간단히 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은 브러시 보호용 캡이 결합된 상태의 조립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브러시 보호용 캡이 분리된 상태의 조립 종단면도이며,
도 3은 슬리이브 홀더의 발췌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선내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조절기의 발췌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있어서, 플렌지의 슬릿 구조를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B-B선 내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8은 슬리이브 홀더의 안착부 및 조절기의 플렌지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이기 위한 도 1의 C-C선 내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시 화장용 브러시에 의해 다공성 농도 조절체의 유동체가 함께 휘어져 화장료를 공급하는 상태를 보인 발췌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의 조립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A,B: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1: 슬리이브 홀더
2: 밀봉 캡 3: 조절기
4: 다공성 농도 조절체 5: 화장용 브러쉬
6: 연결 코어 7: 화장료 저장부
8: 볼 9: 브러쉬 보호용 캡
10: 지주 캡 11: (슬리이브 홀더)전단부
12: (슬리이브 홀더)후단부 16: 안착부
31: 다공성 농도 조절체 B고정부 32: 플렌지
32a: (플렌지)슬릿 33: 볼 시트면
34: 구멍 35: 화장료 조절 홈
36: 슬릿 37: 통풍슬롯
71: 모세관 홈

Claims (14)

  1. 개방된 전단부를 가지며, 개방된 후단부가 밀봉 캡으로 폐쇄되는 슬리이브 홀더와;
    상기 슬리이브 홀더의 개방된 전단부 내에 고정되고 선단부로는 다공성 농도 조절체 고정부가 구비되고 후단부의 플렌지와의 사이로는 외측 원주상에 다수의 화장료 조절 홈이 구비된 조절기와;
    상기 슬리이브 홀더의 개방된 선단부를 통해 외부로 뽀족한 단부가 노출되게 고정되는 인조모인 화장용 브러시와;
    상기 조절기의 화장료 조절 홈의 일부와 소통되게 축선 방향으로 형성된 구멍에 끼워지되 플렌지의 후단보다 연장되지 않게 설치되는 연결 코어와;
    상기 조절기의 후단부와 밀봉 캡 사이에 형성되고 액체 화장료가 저장되는 화장료 저장부와;
    상기 화장용 브러시와 조절기에 구비된 연결 코어와의 사이에 상호 연계 설치되어 화장료 저장부로부터 화장용 브러시에 대해 비중이 상이한 액체 화장료의 배합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 공급하기 위한 다공성 농도 조절체와;
    상기 화장료 저장부 내에 저장되는 화장료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동되도록 구비되는 볼(ball); 및
    상기 슬리이브 홀더의 개방된 전단부에 화장용 브러시를 보호하기 위하여 탈착 가능하게 씌워지는 브러시 보호용 캡;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 체 화장료용 도포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농도 조절체는 슬리이브 홀더의 다공성 농도 조절체 고정부에 끼워진 고정체를 중심으로 화장용 브러시 후단으로 일정 깊이 끼워진 유동체가 화장용 브러시의 움직임에 대해 수동적으로 움직이면서 액체 화장료를 상기 화장용 브러시에 대해 공급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농도 조절체는 조절기에 구비된 연결 코어에 비하여 더 높은 기공률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의 플렌지 후면 중앙으로는 볼이 안착되는 볼 시트 면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조절기의 축선 방향의 구멍에 끼워지는 연결 코어의 후단부는 상기 볼 시트 면에 미치지 못하도록 근접되게 설치하여 화장료 저장부에 내장되는 볼의 유동시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조립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의 플렌지로는 원주면으로 다수개의 슬릿을 방사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화장료 저장부로는 다수개의 모세관 홈이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로 형성되는 슬릿과, 상기 화장료 저장부로 형성되는 모세관 홈은 화장료의 공급이 원활하도록 서로 일치되게 조립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과 모세관 홈이 서로 일치되게 조립되도록 하기 위하여 플렌지 외주면을 다각 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플렌지가 안착되는 슬리이브 홀더의 안착부 역시 대응 다각 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저장부로 형성되는 모세관 홈은 직선 또는 나선형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 홀더의 외주면으로는 캡 정지 돌출 테를 경계로 하여 장축의 지주 캡이 더 결합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10. 개방된 전단부 및 개방된 후단부가 밀봉 캡으로 폐쇄되는 슬리이브 홀더와;
    상기 슬리이브 홀더의 개방된 전단부 내에 고정되고 선단 부로는 다공성 농도 조절체 고정부가 구비되고, 외측 원주 상으로는 다수의 화장료 조절 홈이 형성 되며, 후단부의 플렌지로는 방사상의 슬릿 및 볼 시트 면이 구비되어 지며, 상기 화장료 조절 홈으로는 그 전단부부터 후단부까지 연장한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릿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통풍 슬롯을 포함하는 조절기와;
    상기 조절기의 다공성 농도 조절체 고정부 내에 일단 부가 끼워 고정되되 액체 화장료의 배합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 공급하기 위한 다공성 농도 조절체와;
    끝이 뽀족한 선단부가 슬리이브 홀더의 선단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고정되고, 후단부로는 상기 다공성 농도 조절체의 일단이 끼워지도록 연계 설치되는 인조모인 화장용 브러시와;
    상기 조절기의 축선 방향으로 형성된 구멍에 끼워지되 그 일 단부는 상기 다공성 농도 조절체의 후단부에 꽂아지고, 또 타단 부는 상기 볼 시트 면에 못 미치도록 끼워진 연결 코어와;
    상기 조절기의 후단부와 밀봉 캡 사이에 형성되고 그 내주 면으로는 상기 조절기의 플렌지에 형성된 슬릿과 상호 연계되어 지게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모세관 홈이 구비되어 지고, 그 내부로는 화장료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한 볼이 내장된 화장료 저장부; 및
    상기 슬리이브 홀더의 개방된 전단부에 화장용 브러시를 보호하기 위하여 탈착 가능하게 씌워지는 브러시 보호용 캡;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의 슬릿은 상기 화장료 저장부의 모세관 홈과 동일한 수 및 위치로 형성하여 상기 화장료 저장부의 모세관 홈을 따라 이동된 화장료가 상기 슬릿에 직접 연계되어 공급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농도 조절체는 슬리이브 홀더의 다공성 농도 조절체 고정부에 끼워진 고정체를 중심으로 화장용 브러시 후단으로 일정 깊이 끼워진 유동체가 화장용 브러시의 움직임에 대해 수동적으로 움직이면서 액체 화장료를 상기 화장료 브러시에 대해 공급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 홀더의 외주 면으로는 캡 정지 돌출 테를 경계로 하여 장축의 지주 캡이 더 결합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14. 개방된 선단부 및 개방된 후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후단부가 밀봉 캡에 의해 폐쇄되는 슬리이브 홀더와;
    상기 슬리이브 홀더의 선단부 내에 끝이 뽀족한 선단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고정 설치되는 인조모의 화장용 브러시와;
    상기 슬리이브 홀더에 구비된 화장용 브러시와 밀봉 캡 사이로 형성되는 화 장료 저장부와;
    상기 화장료 저장부 내에 구비되는 화장료 흡수체에 흡수 저장된 화장료를 상기 화장용 브러시로 공급하기 위하여 일단 부가 상기 화장료 흡수체에 꽂아지도록 연결 구성된 연결 코어와;
    상기 화장용 브러시 및 연결 코어와의 사이에 연계 설치되어 상기 연결 코어를 통해 공급되는 화장료를 흡수 저장하여 배합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다공성 농도 조절체; 및
    상기 슬리이브 홀더의 개방된 전단부에 화장용 브러시를 보호하기 위하여 탈착 가능하게 씌워지는 브러시 보호용 캡;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KR1020070092487A 2007-09-12 2007-09-12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KR100897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487A KR100897854B1 (ko) 2007-09-12 2007-09-12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487A KR100897854B1 (ko) 2007-09-12 2007-09-12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340A KR20090027340A (ko) 2009-03-17
KR100897854B1 true KR100897854B1 (ko) 2009-05-15

Family

ID=40694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487A KR100897854B1 (ko) 2007-09-12 2007-09-12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8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415Y1 (ko) 2010-09-07 2012-03-23 주식회사 리치코스 아이라이너 브러시 구조
KR20140060016A (ko) 2012-11-09 2014-05-1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의 성능 측정 방법
KR102175091B1 (ko) * 2019-06-26 2020-11-05 조지원 펄입자가 이동되는 홈이 형성된 펄가이드부재 삽입형 도포구
KR102187398B1 (ko) * 2019-07-29 2020-12-04 조지원 중계심 일체형 도포체를 구비한 아이라이너
KR20210137644A (ko) 2020-05-11 2021-11-18 김명웅 아이라이너용 믹싱볼 자동 투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866B1 (ko) * 2012-04-20 2013-06-17 주식회사 신환코스텍 화장용 아이라이너 용기
KR101226806B1 (ko) * 2012-10-05 2013-01-25 양하석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
KR101226853B1 (ko) * 2012-10-15 2013-02-07 양하석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
KR101464934B1 (ko) * 2014-04-18 2014-12-04 주식회사 버디전자 아이라이너
KR200475064Y1 (ko) * 2014-07-24 2014-11-07 주식회사 버디전자 아이라이너
KR102379109B1 (ko) * 2016-02-26 2022-03-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어플리케이터
KR101934867B1 (ko) * 2016-08-17 2019-04-05 김명자 아이 라이너
CN107772753B (zh) * 2016-08-25 2023-12-15 洽兴包装工业(中国)有限公司 具有蓄液功能的液体眼线笔
CN109527772A (zh) * 2019-01-21 2019-03-29 中山市梦柳姿化妆品有限公司 一种料体分离式自动眼线液笔
KR102175072B1 (ko) * 2019-06-26 2020-11-05 조지원 펄입자가 이동되는 홈이 형성된 이중 구획 잉크조절기를 구비한 도포구
KR102332597B1 (ko) * 2019-12-31 2021-12-29 에스티비인터네셔널 주식회사 화장 도구
JP2022108160A (ja) 2021-01-12 2022-07-25 株式会社トキワ 液状化粧料容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4121A (ja) * 1995-01-11 1996-09-03 L'oreal Sa 粘性化粧品用アプリケーター
KR100238717B1 (ko) 1993-10-13 2000-01-15 가와까미게에 화장재료용 용기
KR200335626Y1 (ko) 2003-07-15 2003-12-11 조삼현 리필용 화장솔
KR20050073785A (ko) * 2004-01-12 2005-07-18 이승배 향수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8717B1 (ko) 1993-10-13 2000-01-15 가와까미게에 화장재료용 용기
JPH08224121A (ja) * 1995-01-11 1996-09-03 L'oreal Sa 粘性化粧品用アプリケーター
KR200335626Y1 (ko) 2003-07-15 2003-12-11 조삼현 리필용 화장솔
KR20050073785A (ko) * 2004-01-12 2005-07-18 이승배 향수 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415Y1 (ko) 2010-09-07 2012-03-23 주식회사 리치코스 아이라이너 브러시 구조
KR20140060016A (ko) 2012-11-09 2014-05-1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의 성능 측정 방법
KR102175091B1 (ko) * 2019-06-26 2020-11-05 조지원 펄입자가 이동되는 홈이 형성된 펄가이드부재 삽입형 도포구
KR102187398B1 (ko) * 2019-07-29 2020-12-04 조지원 중계심 일체형 도포체를 구비한 아이라이너
KR20210137644A (ko) 2020-05-11 2021-11-18 김명웅 아이라이너용 믹싱볼 자동 투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340A (ko) 2009-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854B1 (ko)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KR200475064Y1 (ko) 아이라이너
US8075215B2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a product
KR101464934B1 (ko) 아이라이너
EP0622035B1 (en) Applicator system for fluid cosmetic material
JPS6234509A (ja) 液体製品とくに爪用ワニスの塗布装置
KR101274866B1 (ko) 화장용 아이라이너 용기
CN104902782A (zh) 用于化妆品的两部分式涂敷器
WO2020116604A1 (ja) 中継芯、筆先ユニット及び液体塗布具
JP7426928B2 (ja) 2つの化粧品を塗布するためのキャップ及びバイアルのアプリケータシステム
CN108113171B (zh) 液状化妆品容器
KR102187398B1 (ko) 중계심 일체형 도포체를 구비한 아이라이너
JP5588718B2 (ja) 液体塗布具の筆先構造
KR102175091B1 (ko) 펄입자가 이동되는 홈이 형성된 펄가이드부재 삽입형 도포구
KR20120000691U (ko) 세필 브러시 타입 아이라이너
TWM578532U (zh) Brush pen structure
CN205728632U (zh) 双头美妆笔
KR102379109B1 (ko) 화장용 어플리케이터
CN215913604U (zh) 眼线笔笔头及眼线笔
JP2022108160A (ja) 液状化粧料容器
TWM538348U (zh) 直液式雙頭化妝筆
CN216147427U (zh) 化妆笔引水芯和化妆笔
CN208957090U (zh) 一种眉笔
JP2011135928A (ja) 塗布具
CN2822982Y (zh) 卡式毛刷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