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2070B1 -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2070B1
KR100892070B1 KR1020070084519A KR20070084519A KR100892070B1 KR 100892070 B1 KR100892070 B1 KR 100892070B1 KR 1020070084519 A KR1020070084519 A KR 1020070084519A KR 20070084519 A KR20070084519 A KR 20070084519A KR 100892070 B1 KR100892070 B1 KR 100892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laser beam
displacement
beam splitter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0085A (ko
Inventor
정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소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소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소닉
Priority to KR1020070084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070B1/ko
Priority to JP2010521765A priority patent/JP2011510520A/ja
Priority to PCT/KR2008/004034 priority patent/WO2009025450A1/en
Priority to CN2008800236341A priority patent/CN101690250B/zh
Publication of KR20090020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렌즈가 내장된 액츄에이터의 변위량과 경사여부를 측정하여 불량품을 보다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는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검사장치는,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변위 또는 틸팅여부를 검사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레이저빔을 이용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에 내장된 렌즈홀더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측정부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내장된 상기 렌즈홀더가 경사지게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틸팅측정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틸팅측정부는, 제2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발진부와; 상기 제2레이저빔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일부를 상기 액츄에이터로 반사시키는 빔스플리터와; 상기 액츄에이터로부터 반사된 제2레이저빔을 수광하여 액츄에이터의 경사여부를 측정하는 관측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 변위측정, 틸팅측정, 고정, 검사

Description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검사장치 { Apparatus for test of actuator for mobile phone camera }
본 발명은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렌즈가 내장된 액츄에이터의 변위량과 경사여부를 측정하여 불량품을 보다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는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과 같은 소형의 통신기기에는 소형의 카메라에 액츄에이터가 장착된다.
도 16은 종래의 일반적인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구조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는, 피사체의 배율을 변환시키기 위한 다수의 렌즈들로 이루어진 렌즈군(500)과, 렌즈군(500)을 장착하여 광축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렌즈홀더(550)와, 고정부(600)와, 고정부(600)에 지지되어 렌즈 홀더(550)를 광축방향으로 유동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부상시키며 렌즈 홀더(550)가 정확히 광축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판스프링(650)과, 렌즈 홀더(550)에 지지되어 고정부(600)를 광축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부(600)에 고정되는 자석(710)과, 렌즈 홀더(550)에 고정되며 제어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때 자석(710)로부터 나오는 자속을 받아 렌즈 홀더(550)를 광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힘을 발생시키기 위한 코일(7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자석(710)의 자속을 효율적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요크(73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액츄에이터는 접속단자를 통해 코일(720)에 전류가 인가되면, 자석(710)로부터 나오는 자속의 영향으로 코일(720)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전자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코일(720)이 고정된 상기 렌즈 홀더(550)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액츄에이터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는 상기 렌즈군(500)을 광축방향으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 액츄에이터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미지센서(800)에 촬상되는 영상이 선명하게 되도록 한다.
이미지센서(800)에 촬상되는 영상이 선명하기 위해서는 액츄에이터가 정확하게 구동되어야 하는데, 이는 상기 렌즈군(500)이 장착되는 렌즈홀더(550)가 얼마나 정확하게 작동되는가에 달려있다.
즉, 상기 렌즈홀더(550)는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정확하게 상승하거나 하강하여야 하고, 이미지 센서(800)와 평행하게 다시 말해 경사없이 수평하게 장착되어야 한다.
위와 같이 액츄에이터의 변위량과 경사여부(즉 틸팅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변위량과 틸팅여부를 각각의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검사하였다.
따라서, 액츄에이터를 검사함에 있어서, 작업자가 두 번의 검사작업을 하여야 하는바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고, 또한 두 개의 장비를 구입하여야 하는바 비용이 많이 들며, 장비의 구조가 복잡하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액츄에이터가 유동되지 않도록 안착시키는 안착부의 크기가 미리 형성되어 있고, 액츄에이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자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다양한 크기의 액츄에이터를 검사할 경우 각각의 액츄에이터에 맞는 안착부 및 전원공급단자를 모두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액츄에이터를 안착부에 안착하여 상기 액츄에이터가 측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더라도,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액츄에이터의 변위량과 틸팅여부를 동시에 검사하고, 다양한 크기의 액츄에이터에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액츄에이터가 상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검사장치는,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변위 또는 틸팅여부를 검사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레이저빔을 이용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에 내장된 렌즈홀더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측정부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내장된 상기 렌즈홀더가 경사지게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틸팅측정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틸팅측정부는, 제2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발진부와; 상기 제2레이저빔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일부를 상기 액츄에이터로 반사시키는 빔스플리터와; 상기 액츄에이터로부터 반사된 제2레이저빔을 수광하여 액츄에이터의 경사여부를 측정하는 관측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빔스플리터는, 상기 제1레이저빔과 제2레이저빔이 조사되는 제1빔스플리터와, 상기 제1빔스플리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빔스플리터로부터 반사된 제2레이저빔이 조사되는 제2빔스플리터로 이루어지되, 상기 액츄에이터로부터 반사된 제2레이저빔은 다시 상기 제2빔스플리터에 조사되고 반사됨으로서 상기 관측부에 수광된다.
상기 제1레이저빔과 제2레이저빔은 상기 액츄에이터에 이격되게 조사된다.
상기 제2빔스플리터는 상기 제1빔스플리터의 정하부에서 옆으로 치우치게 배치되어, 상기 제1레이저빔은 조사되지 않고 상기 제2레이저빔만이 조사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검사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액츄에이터의 변위량과 틸팅여부를 동시에 검사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검사장치를 이용한 다양한 크기의 액츄에이터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가 측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상방향으로 유동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일방향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타방향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배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가 지지부재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검사방법을 계략적으로 도시한 계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 터(60) 검사장치는, 변위측정부(10)와, 틸팅측정부(20)와, 안착부(30)와, 전원공급부(4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변위측정부(10)는, 상기 액츄에이터(60)에 전원을 공급할 경우 액츄에이터(60) 내부에 장착된 렌즈홀더의 변위량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액츄에이터(60)에 전원을 공급하였을 경우 렌즈홀더가 일정한 변위를 가지면서 이동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변위측정부(10)는 공지된 변위센서(12)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변위센서(12)는 keyence사의 레이저식변위센서를 사용하면 충분하다.
상기 변위측정부(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위센서(12)에서 방사되는 제1레이저빔(17)이 액츄에이터(60)에 조사되도록 하고, 상기 액츄에이터(60)로부터 반사된 제1레이저빔(17)을 상기 변위센서(12)에서 다시 수광하여 액츄에이터(60)의 변위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60)의 렌즈홀더에 조사된 제1레이저빔(17)이 반사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렌즈홀더에 반사체를 장착한다.
상기 틸팅측정부(20)는, 상기 액츄에이터(60)에 내장된 렌즈홀더가 경사지게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레이저를 이용하여 액츄에이터(60)에 내장된 렌즈홀더의 경사여부를 측정한다.
상기 틸팅측정부(20)는, 레이저발진부(21)와 관측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이저발진부(21)는 제2레이저빔(27)을 발생시키는 것이고, 상기 관측 부는 상기 액츄에이터(60)로부터 반사된 제2레이저빔(27)을 수광하여 렌즈홀더의 경사여부를 관측하는 CCD카메라(25)와 CCD카메라(25)가 연결된 모니터(미도시) 등과 같은 장치로 이루어진다.
상기 CCD카메라(25)는 상기 액츄에이터(60)의 렌즈홀더에 장착된 반사체부터 반사된 제2레이저빔(27)의 입사각을 측정하여 렌즈홀더의 경사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레이저발진부(21)와 CCD카메라(25)는 상기 변위센서(12)의 설치위치와 동일하게, 상기 액츄에이터(60)에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제2레이저빔(27)을 조사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60)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간단한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변위센서(12)와의 설치공간상의 중복 문제로 인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발진부(21)는 상기 변위센서(12)의 하부 후방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제2레이저빔(27)을 조사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때에는, 상기 레이저발진부(21)에서 방사되는 제2레이저빔(27)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빔스플리터를 사용한다.
상기 빔스플리터는 레이저빔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일부를 90도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빔스플리터는 제1빔스플리터(23)와, 제2빔스플리터(24)로 이루어지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빔스플리터(23)에는 제1레이저빔(17)과 제2레이저빔(27) 모두가 조사되고, 상기 제2빔스플리터(24)에는 제1레이저빔(17)은 조사됨이 없이 상기 제2레이저빔(27)만 조사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빔스플리터(24)는 상기 제1빔스플리터(23)의 정하부에서 약간 옆으로 치우치게 배열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레이저빔(17)이 조사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상기 제1레이저빔(17)과 제2레이저빔(27)이 상호 겹쳐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위센서(12)에서 조사된 제1레이저빔(17)은 상기 제1빔스플리터(23)를 투과하여 상기 액츄에이터(60)에 조사되고, 이는 다시 렌즈홀더에 장착된 반사체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변위센서(12)로 다시 수광됨으로서 렌즈홀더의 변위량을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발진부(21)에서 방사된 제2레이저빔(27)은 상기 제1빔스플리터(23)에 의해 90도 전환되어 아래방향으로 조사되고, 이는 상기 제2빔스플리터(24)를 투과하여 상기 액츄에이터(60)에 조사된다.
상기 액츄에이터(60)에 조사된 제2레이저빔(27)은 반사되어 상기 제2빔스플리터(24)에 조사되고, 이는 다시 90도 방향전환되어 상기 CCD카메라(25)에 수광된다.
이때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발진부(21)와 CCD카메라(25)가 전후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검사장치는 구성 모두가 도 5에 도시된 지지부재(70)에 고정 장착되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CCD카메라(25)와 액츄에이터(60)가 안착되는 상기 안착부(30)와 레이저발진부(21)가 전후방으로 직선배열 때문에 장비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질 뿐만 아니라, CCD카메라(25)를 지지부재(70)에 고정시키기가 어렵고 또한 지지부재(70)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발진부(21)는 상기 변위센서(12)의 하부 후방 즉 안착부(20)의 후방에 배치하고, 상기 CCD카메라(25)는 상기 레이저발진부(21)의 90방향 즉 상기 안착부(20)의 측면방향에 배치하도록 하여, 검사장치의 모든 구성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70)에 쉽게 고정되도록 하고 그 전체적인 크기를 줄이도록 한다.
이때에는 상기 안착부(2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조사되는 제2레이저빔(27)의 방향을 90도 변환시키기 위해 미러(22)를 사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빔스플리터(23)의 분할면과 상기 제2빔스플리터(24)의 분할면 즉 반사 및 투과되는 면은, 도 6에 도시된 분할면과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게 설치한다.
즉, 검사장치의 정면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레이저발진부(21)에서 방사되어 상기 미러(22)에 의해 반사된 제2레이저빔(27)은 상기 제1빔스플리터(23)와 제2빔스플리터(24)를 통해 최종적으로 검사장치의 측방향에 설치된 상기 CCD카메라(25)에 수광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빔스플리터의 구조와 도 7에 도시된 빔스플리터의 구조를 비교하여 보면, 도 6에 도시된 구조는 CCD카메라(25)가 검사장치의 전방에 배치된 경우의 구조이고, 도 7은 CCD카메라(25)가 검사장치의 측면에 배치된 경우 즉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조이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D카메라(25)를 검사장치의 측방향에 배치함으로서, 장비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지지부재(70)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면서 다른 구성요소를 고정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변위측정부(10)와 틸팅측정부(20)를 이용하여 액츄에이터(60)의 변위량과 틸팅여부(자세하게는 렌즈홀더의 변위량과 틸팅여부)를 검사함으로서, 렌즈홀더가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하지 않거나 경사지게 장착된 경우의 불량 액츄에이터(60)를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안착부(30)와 전원공급부(40)의 일방향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안착부(30)와 전원공급부(40)의 타방향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안착부(30)와 전원공급부(40)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안착부(30)와 전원공급부(40)의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30)의 구조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가 액츄에이터를 고정시키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측면도이며, 도 15는 도 13의 정면도이다.
상기 안착부(30)는 액츄에이터(60)가 안착되는 부분이고, 상기 전원공급부(40)는 상기 안착부(30)에 안착된 액츄에이터(60)에 전원을 공급하여 렌즈홀더를 구동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부(40)의 상면에는 상기 안착부(30)에 안착된 액츄에 이터(60)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5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안착부(30)는 다양한 크기의 액츄에이터(60)가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면에 가변되는 조절부(3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조절부(31)는 상기 안착부(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안착부(30)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축(32)에 상기 조절부(3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절부(31)가 3개로 이루어져, 상기 액츄에이터(60)의 양측면과 전면(즉 상기 전원공급부(40)의 반대쪽 면)에 접하여 상기 조절부(31)가 옆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상기 전원공급부(40)는 전후슬라이더(41)와, 제1상하슬라이더(42)와, 제2상하슬라이더(45)와, 제1좌우슬라이더(43)와, 제2좌우슬라이더(46)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후슬라이더(41)는 베이스(47)에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안착부(3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전후슬라이더(41)의 전후방향 이동은 공압 또는 유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75)에 의해 이동된다.
상기 제1상하슬라이더(42)는 상기 전후슬라이더(41)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전후슬라이더(41)에는 상방향으로 다수개의 상하가이드봉(4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상하슬라이더(42)는 상기 상하가이드봉(48)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좌우슬라이더(43)는 상기 제1상하슬라이더(42)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상하슬라이더(42)에는 좌우가이드봉(4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좌우슬라이더(43)는 상기 좌우가이드봉(49)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상기 제1좌우슬라이더(43)는 2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안착부(30)에 안착되는 액츄에이터(6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자(44)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위와 같이 슬라이딩되는 상기 제1상하슬라이더(42)와 제1좌우슬라이더(43)에 의해 전원공급단자(44)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액츄에이터(60)에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후슬라이더(41)에는 상기 제2상하슬라이더(45)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전후슬라이더(41)에는 상방향으로 다수개의 상하가이드봉(4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상하슬라이더(45)는 상기 상하가이드봉(48)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좌우슬라이더(46)는 상기 제2상하슬라이더(45)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상하슬라이더(45)에는 좌우가이드봉(4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좌우슬라이더(46)는 상기 좌우가이드봉(49)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상기 제2좌우슬라이더(46)는 2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상부에는 각각 상기 고정부(50)가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50)와 전원공급부(40)의 힌지결합점 자세하게는 상기 고정부(50)와 제2좌우슬라이더(46)의 힌지결합점의 후방에는 상기 고정부(50)와 제2좌우슬라이더(46)의 상면 사이에 스프링(52)이 장착되어 상기 고정부(50)에 탄성력을 부가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50)는 2개로 이루어져 상기 액츄에이터(60)의 상면을 고정시키거나 측면을 고정시킬 수 있고, 또한 4개로 이루어져 상면과 측면을 모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50)는 2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50)의 전단 즉 상기 안착부(30) 방향으로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고 동시에 위쪽에서 아랫쪽으로 경사지게 장착되어,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30)에 안착되는 액츄에이터(60)의 상부모서리에 접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상기 고정부(50)의 수를 줄이면서 액츄에이터(60)의 측면과 상면을 모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50)가 상기 안착부(30) 방향으로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고 동시에 위쪽에서 아랫쪽으로 경사지게 장착되는 것은, 상기 스프링(5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50)가 회전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50)의 전단의 저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얇아지게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전원공급부(40)가 액츄에이터(60)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고정부(50)의 경사면이 상기 액츄에이터(60)를 부드럽게 타면서 누를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이, 상기 제2상하슬라이더(45)와 제2좌우슬라이더(46)에 의해 고정부(50)가 상하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됨으로서, 액츄에이터(60)에 형성된 다양한 위치의 접속단자(64)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공급단자(44)를 조정하여 용이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위센서(12), CCD카메라(25), 레이저발진부(21), 안착부(30), 전원공급부(40) 등은 모두 상기 지지부재(70)에 전후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작업자로 하여금 액츄에이터(60)에 맞게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하여 알아본다.
검사하고자 하는 액츄에이터(60)를 상기 안착부(30)에 안착시키고, 상기 조절부(31)를 이동시켜 상기 액츄에이터(60)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상기 실린더(75)를 이용하여 상기 전후슬라이더(41)를 상기 안착부(3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60)에 형성된 접속단자(64)에 상기 전원공급단자(44)가 접촉하도록 상기 제1상하슬라이더(42)와 제1좌우슬라이더(43)를 조정하고, 또한 상기 고정부(50)가 상기 액츄에이터(60)의 상부 양측모서리에 접하도록 상기 제2상하슬라이더(45)와 제2좌우슬라이더(46)를 조정하면서 상기 전원공급부(40)를 안착 부(3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전원공급부(40)가 상기 안착부(30)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상기 고정부(50)는 경사면이 상기 액츄에이터(60)의 상부 양측모서리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액츄에이터(60)가 측방향 및 상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상기 전원공급단자(44)는 액츄에이터(60)의 접속단자(64)에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액츄에이터(6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원공급단자(44) 및 접속단자(64)를 통해 상기 액츄에이터(60)에 전원을 공급하면 상기 액츄에이터(60)에 내장된 렌즈홀더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변위센서(12)를 이용하여 제1레이저빔(17)을 상기 액츄에이터(60)에 조사한다.
상기 제1레이저빔(17)은 일부가 상기 제1빔스플리터(23)를 투과한 후 상기 액츄에이터(60)에 내장된 렌즈홀더에 조사되고, 이는 렌즈홀더에 장착된 반사체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변위센서(12)에 수광됨으로서 렌즈홀더의 변위량을 측정하게 된다.
이때, 렌즈홀더의 변위는 상기 전원공급단자(4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렌즈홀더를 상하방향으로 구동시켜 그 변위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또한, 액츄에이터(60)의 틸팅여부 자세하게는 액츄에이터에 내장된 렌즈홀더의 틸팅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상기 레이저발진부(21)에서 제2레이저빔(27)을 조사하면, 상기 제2레이저빔(27)은 상기 미러(22)에 반사되어 상기 제1빔스플리터(23)에 조사된다.
상기 제1빔스플리터(23)에 조사된 제2레이저빔(27) 중 일부는 90도 반사되어 상기 제2빔스플리터(24)에 조사되고, 그 중 일부는 제2빔스플리터(24)를 투과하여 상기 액츄에이터(60)에 조사된다.
액츄에이터(60)에 조사된 제2레이저빔(27)은 렌즈홀더의 반사체에 반사되어 상기 제2빔스플리터(24)에 다시 조사되고, 그 중 일부는 상기 제2빔스플리터(24)에 의해 90도 반사되어 상기 CCD카메라(25)에 수광된다.
상기 CCD카메라(25)에서는 상기 수광된 제2레이저빔(27)의 각도를 측정하여 렌즈홀더가 액츄에이터(60)에 경사지게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변위측정부(10)와 틸팅측정부(20)에 의해 액츄에이터(60)를 검사함으로서, 렌즈홀더의 변위량이 불량이거나 렌즈홀더가 경사지게 장착된 액츄에이터(60)를 쉽게 선별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액츄에이터의 변위측정과 틸팅여부 검사는 각각 따로따로 할 수도 있고,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제1레이저빔(17)과 제2레이저빔(27)이 상기 빔스플리터(23,24)에 의해 상호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조사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본 발명인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검사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일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타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가 지지부재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검사방법을 계략적으로 도시한 계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안착부와 전원공급부의 일방향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안착부와 전원공급부의 타방향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안착부와 전원공급부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안착부와 전원공급부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의 구조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가 액츄에이터를 고정시키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측면도,
도 15는 도 13의 정면도,
도 16은 종래의 일반적인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변위측정부, 12 : 변위센서, 17 : 제1레이저빔, 20 : 틸팅측정부, 21 : 레이저발진부, 22 : 미러, 23 : 제1빔스플리터, 24 : 제2빔스플리터, 25 : CCD카메라, 27 : 제2레이저빔, 30 : 안착부, 31 : 조절부, 32 : 지지축, 40 : 전원공급부, 41 : 전후슬라이더, 42 : 제1상하슬라이더, 43: 제1좌우슬라이더, 44 : 전원공급단자, 45 : 제2상하슬라이더, 46 : 제2좌우슬라이더, 47 : 베이스, 48 : 상하가이드봉, 49 : 좌우가이드봉, 50 : 고정부, 52 : 스프링, 53 : 경사면, 60 : 액츄에이터, 64 : 접속단자, 70 : 지지부재, 75 : 실린더.

Claims (4)

  1.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변위 또는 틸팅여부를 검사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레이저빔을 이용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에 내장된 렌즈홀더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측정부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내장된 상기 렌즈홀더가 경사지게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틸팅측정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틸팅측정부는,
    제2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발진부와;
    상기 제2레이저빔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일부를 상기 액츄에이터로 반사시키는 빔스플리터와;
    상기 액츄에이터로부터 반사된 제2레이저빔을 수광하여 액츄에이터의 경사여부를 측정하는 관측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빔스플리터는,
    상기 제1레이저빔과 제2레이저빔이 조사되는 제1빔스플리터와,
    상기 제1빔스플리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빔스플리터로부터 반사된 제2레이저빔이 조사되는 제2빔스플리터로 이루어지되,
    상기 액츄에이터로부터 반사된 제2레이저빔은 다시 상기 제2빔스플리터에 조사되고 반사됨으로서 상기 관측부에 수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검사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저빔과 제2레이저빔은 상기 액츄에이터에 이격되게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검사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빔스플리터는 상기 제1빔스플리터의 정하부에서 옆으로 치우치게 배치되어, 상기 제1레이저빔은 조사되지 않고 상기 제2레이저빔만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검사장치.
KR1020070084519A 2007-08-22 2007-08-22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검사장치 KR100892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519A KR100892070B1 (ko) 2007-08-22 2007-08-22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검사장치
JP2010521765A JP2011510520A (ja) 2007-08-22 2008-07-09 携帯電話カメラ用アクチュエーターの検査装置
PCT/KR2008/004034 WO2009025450A1 (en) 2007-08-22 2008-07-09 Test apparatus of actuator for mobile phone camera
CN2008800236341A CN101690250B (zh) 2007-08-22 2008-07-09 手机摄像机促动器的检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519A KR100892070B1 (ko) 2007-08-22 2007-08-22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085A KR20090020085A (ko) 2009-02-26
KR100892070B1 true KR100892070B1 (ko) 2009-04-07

Family

ID=40687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519A KR100892070B1 (ko) 2007-08-22 2007-08-22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20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807B1 (ko) * 2011-12-28 2015-04-0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모듈 통합검사장치
KR102329643B1 (ko) * 2020-05-15 2021-11-22 주식회사 아노시스 모바일카메라용 오토포커싱 또는 손떨림 방지장치의 특성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DE102021212985A1 (de) * 2021-11-18 2023-05-25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amera und Kamer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4165A (ja) 2003-05-21 2005-01-06 Nec Viewtechnology Ltd 傾斜角度測定装置を有するプロジェクタ
JP2005006272A (ja) 2003-05-21 2005-01-06 Nec Viewtechnology Ltd 傾斜角度測定装置を有するプロジェクタ
JP2006319544A (ja) 2005-05-11 2006-11-24 Olympus Imaging Corp 撮像素子の傾き測定装置及びその測定方法
KR20070112633A (ko) * 2006-05-22 2007-11-2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4165A (ja) 2003-05-21 2005-01-06 Nec Viewtechnology Ltd 傾斜角度測定装置を有するプロジェクタ
JP2005006272A (ja) 2003-05-21 2005-01-06 Nec Viewtechnology Ltd 傾斜角度測定装置を有するプロジェクタ
JP2006319544A (ja) 2005-05-11 2006-11-24 Olympus Imaging Corp 撮像素子の傾き測定装置及びその測定方法
KR20070112633A (ko) * 2006-05-22 2007-11-2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085A (ko)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088B1 (ko) 카메라 모듈의 검사장치
KR100896447B1 (ko)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검사장치
KR102461129B1 (ko) 주사 프로브 현미경
CN111060294B (zh) 一种荧光显微物镜综合测试平台
KR100892070B1 (ko)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검사장치
KR100924116B1 (ko) 카메라 모듈 완성품의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210099172A (ko) 반도체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측면들의 검사를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1591939B1 (ko)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
EP1568983A1 (en) Instrument for testing solid-state imaging device
KR102064797B1 (ko) 광학 측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광학 검사 장치
KR101885471B1 (ko) 카메라모듈 검사장치
KR100871617B1 (ko)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검사장치
KR100795400B1 (ko) 표시용 패널의 점등 검사장치
KR101277205B1 (ko) 핸드폰 카메라의 액츄에이터 검사장치
KR101415942B1 (ko) 카메라모듈 검사 및 초점 조정장치
KR101874942B1 (ko) 패키지된 반도체 칩 검사장치
TWI748667B (zh) 光學檢測系統
KR20170047141A (ko) 렌즈모듈 검사장치
CN114166754A (zh) 用于线扫瞄自动光学检测***的自动对焦装置
KR101394398B1 (ko) 카메라 모듈 조정 장치 및 그의 셋팅 방법
JP2011510520A (ja) 携帯電話カメラ用アクチュエーターの検査装置
KR101897084B1 (ko) 검사장비용 동축 조명장치
US20150323320A1 (en) Flying sensor head
KR200447751Y1 (ko) 3d 비전 인스펙션장치의 초점조절장치
CN114485476B (zh) 一种晶圆测量设备、***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