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1940B1 - Nonpoint source pollutants treating apparatus for bridge - Google Patents

Nonpoint source pollutants treating apparatus for bri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940B1
KR100891940B1 KR1020080122705A KR20080122705A KR100891940B1 KR 100891940 B1 KR100891940 B1 KR 100891940B1 KR 1020080122705 A KR1020080122705 A KR 1020080122705A KR 20080122705 A KR20080122705 A KR 20080122705A KR 100891940 B1 KR100891940 B1 KR 100891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rainwater
bridge
locking jaw
poin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7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경택
Original Assignee
(주)한솔환경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솔환경건설 filed Critical (주)한솔환경건설
Priority to KR1020080122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94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9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A nonpoint source pollutant treating device for a bridge is provided to replace a screen, minimize the amount of discharged foreign materials, and to manufacture the device simply. A nonpoint source pollutant treating device includes a hollow guiding pipe(110) a hollow installation member(130), one or more screens(140), a bypass pipe(160), a filtering member(170), and a filtering mesh member(150). A guide pipe is protruded to up and down and includes a first locking projection(133) and a second locking projection(137). The filtering member is formed to a plate shap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ltering holes(171). The guide pipe comprises a first guide part(111) of hollow, a second tapered part(112), a first taper part(117) and a second guide part(119).

Description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NONPOINT SOURCE POLLUTANTS TREATING APPARATUS FOR BRIDGE}NONPOINT SOURCE POLLUTANTS TREATING APPARATUS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교량에 설치되어 교량으로부터 낙하하는 우수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oi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for bridg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npoi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for bridges capable of removing foreign matter from rainwater falling from the bridge.

일반적으로 도시 지역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은 크게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별된다.In general, pollutants occurring in urban areas are classified into point sources and nonpoint sources.

상기에서 점오염원은 가정하수와 산업폐수 등은 배출관을 통해 방류되므로 오염원의 발생 지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오염원을 의미하며, 이러한 점오염원은 오염농도가 매우 높다 하더라도 발생지점이 특정되어 있기 때문에 집중적인 정화를 통하여 용이한 수질처리를 할 수 있다.In the above point, the point source refers to a pollutant that can easily identify the point of occurrence of pollutants since household sewage and industrial wastewater a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Purification allows easy water treatment.

이와 반대로 비점오염원은 강우 시 지표면에 노출된 오염물질이 우수와 함께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오염원으로 강우 초기에 발생량이 집중되는 특성이 있어 처리가 상당히 어려운 오염원이다. In contrast, non-point sources are pollutants exposed to the surface during rainfall and rainwater flows into sewage pipes, which are difficult to treat due to their concentration in the early stages of rainfall.

현재 교량에 적용되고 있는 비점오염원 저감 시설물의 대부분은 별다른 처리 시설 없이 토양 등으로 침투시키는 침투형 저감시설이다. 이러한 침투형 저감시설은 교량의 상판에 마련된 우수 집수장치와 그 우수 집수장치와 연결된 배관을 포함하고 있으며, 우수 집수장치를 통해 유입된 우수가 배관을 통하여 이동한 후, 교량 근처의 토양으로 배출되는 형식이다. 이러한 침투형 저감시설은 매우 효율이 낮은 시스템으로서 실질적인 비점오염원의 저감 효과는 매우 적다. 한편, 상술한 침투형 저감시설도 주로 육상 교량에만 설치되고, 하천 상의 교량의 경우에는 교량의 상판에 마련된 우수 집수장치에 유입된 우수를 모두 그대로 하천으로 흘러보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교량용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은 실질적으로는 거의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야 하며, 설치되어 있더라도 유명무실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Most non-point source reduction facilities currently applied to bridges are infiltration type reduction facilities that infiltrate into the soil without any treatment facilities. Such an infiltration type reduction facility includes a stormwater collecting device provided on the upper plate of the bridge and a pipe connected to the stormwater collecting device, and the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stormwater collecting device moves through the piping and is discharged into the soil near the bridge. Format. Such an infiltration type abatement facility is a very inefficient system, and there is little practical reduction of nonpoint source. 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infiltration type reduction facility is also mainly installed only on land bridges, and in the case of bridges on rivers, most of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rainwater collecting device provided on the upper plate of the bridges flows directly into the rivers. Therefore, bridge non-point source abatement facilities should be regarded as practically rarely installed.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ridge non-poi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non-poi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for a bridge shown in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는 우수 유입관(10), 처리관(20) 및 안내관(30)으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non-poi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1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mposed of a rainwater inlet pipe 10, a treatment pipe 20, and a guide pipe 30.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우수 유입관(10)의 상단부는 교량의 상판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우수가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우수 유입관(10)의 상단부는 교량의 상판에 위치하되 우수가 잘 유입될 수 있도록, 주변보다 약간 낮은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수 유입관(10)의 하단부에는 처리관 연결공(12)이 형성된 저면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우수 유입관(10)의 상단부에 는 거름망부재(40)가 설치되는데, 상기 거름망부재(40)는 우수 유입관(10)의 상단부로부터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며, 우수와 함께 우수 유입관(10)으로 유입되는 부유물을 걸러내는 작용을 한다.1 and 2,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rainwater inlet pipe 10 is disposed to face the upper plate of the bridge and rainwater is introduced. Therefore, the upper end of the rainwater inlet pipe 10 is located on the upper plate of the bridge, it is preferable to be located in a position slightly lower than the surrounding so that rainwater can be introduced well. The bottom 11 of the rainwater inlet pipe 10 is formed with a processing pipe connecting hole 12 is formed. The upper end of the rainwater inlet pipe 10 is provided with a sieve member 40, the strainer member 40 is coupled to be separated and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rainwater inlet pipe 10, rainwater with rainwater It serves to filter the floating matter flowing into the pipe (10).

상기 처리관(20)은 바닥판(21)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단면이 원형인 측면판(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처리관 연결공(12)도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측면판(22)의 상단부는 상기 우수 유입관(10)의 처리관 연결공(12)과 결합되는데, 상기 처리관(20)의 측면판(22) 상단부의 높이가 상기 우수 유입관(10)의 저면부(11)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부(24)가 형성되어 돌출부(24)가 상기 저면부(11)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측면판(22)에는 상기 바닥판(21)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지점부터 상기 우수 유입관(10)의 저면부(11)까지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관통공은 상기 우수 유입관(10)의 저면부(11)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일정 높이를 가진 직사각형 형상의 다수의 제1 관통공(23)과, 상기 제1 관통공(23)의 하부에 위치하며 아래로 내려갈수록 점진적으로 그 지름이 작아지는 다수의 제2 관통공(25)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측면판(22)에 형성된 관통공들 중 상기 제2관통공(25)이 형성된 부분의 하단부에는, 측면판(22)의 내주를 감싸는 오일필터(29)가 구비된다. 상기 오일필터(29)로는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21)은 그 바닥판(21)의 전면적에 걸쳐서 상기 측면판(22)에 형성된 제2 관통공(25) 중 가장 작은 관통공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다수의 배수공(26)을 포함하고 있다.The processing tube 20 is composed of a bottom plate 21 and a side plate 22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plate. The process pipe connection hole 12 is also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22 is coupled with the processing pipe connecting hole 12 of the rainwater inlet pipe 10, the height of the upper side of the side plate 22 of the treatment pipe 20 is the rainwater inlet pipe 10 The protrusion 24 is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bottom 11 of the bottom face 11 so that the protrusion 24 is caught by the bottom 11. The side plate 22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rom the point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21 to the bottom portion 11 of the rainwater inlet pipe 10, the through hole is the rainwater inlet pipe Located directly below the bottom portion 11 of the (10),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23 of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through holes 23 and down It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25 whose diameters gradually decrease. An oil filter 29 surroundi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ide plate 22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portion in which the second through hole 25 is formed among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side plate 22. As the oil filter 29, a nonwoven fabric or the like may be used. The bottom plate 21 includes a plurality of drain holes 26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smallest one of the second through holes 25 formed in the side plate 22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21. Doing.

상기 우수 유입관(10)의 상부에는 거름망부재(40)가 설치되어 있으나, 거름 망부재(40)는 우수 유입관(10)의 상단부로부터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거름망부재(40)를 제거하고, 처리관(20)을 외부로 유출할 수 있다.The upper part of the rain inlet pipe 10 is provided with a sieve member 40, but the sieve mesh member 40 is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rain inlet pipe 10, the sieve member 40 ) May be removed, and the treatment tube 20 may flow out.

상기 바닥판(21)과 측면판(22)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내부에 측면판(22) 내측으로 유입된 우수가 상기 처리관(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나선형의 형상의 나선판(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된다. 상기 처리관(20)의 최상단에는 거름망부재(40)와 유사한 형상으로서, 거름망부재(40)의 망의 매쉬보다는 작은 매쉬를 가지는 처리관망부재(50)을 설치하여, 거름망부재(40)에 걸러지지 아니한 부유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Spiral to guide rainwater flowing into the side plate 22 inside the space formed by the bottom plate 21 and the side plate 22 to move downward while rotating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processing tube 20 A spiral plate (not shown) is provided. The uppermost end of the processing tube 20 has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sieve network member 40, and installs a sieve network member 50 having a smaller mesh than the mesh of the sieve network member 40, and filters the sieve network member 40. It should be used to filter out unsupported floats.

종래 기술에 의한 교량형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의 우수 유입관(10)에 유입된 우수는 일단 저면부(11)에 저장되었다가 처리관(20)으로 유입된다. 상기 처리관(20)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부유물 중 상기 거름망부재(40)에 의해 걸러지지 아니한 부유물은 처리관(20)의 상단에 마련된 처리관망부재(50)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이때 처리관망부재(50)의 메쉬보다 작은 부유물은 처리관(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처리관(20)에 유입된 우수는 나선판을 따라 하방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관(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우수의 일부는 측면판(22)에 형성된 제2 관통공(25)들을 통해 처리관의 외부로 배출되게 되며, 제2 관통공(25)에 그 제2 관통공(25)보다 크기가 작은 부유물들은 걸린 채로 우수만이 배출되게 된다. 이때, 제2 관통공(25)들을 통해 배출된 우수의 일부는 측면판(22)의 외벽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일부는 안내관(30)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나선판을 따라 처리관(20)의 하부 로 이동된 우수 중 하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2 관통공(25)들을 통하여 배출되지 아니한 우수는 처리관(20)의 바닥판의 상부에 일정시간 고여 있다가, 최하단부의 제2 관통공(25)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데, 제2 관통공(25)의 하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측면판(22)의 내주에는 오일필터(29)가 마련되어 있어서, 우수 내의 휘발유성분이나 각종 오일성분이 오일필터(29)에 흡착되게 되고, 우수만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강수량이 아주 큰 경우에는 처리관의 제2 관통공(25)이나 배수공(26)을 통해서 배출되는 우수보다 처리관(20)의 상부로 유입되는 우수의 양이 더 많아질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처리관(20)의 상단부에 마련된 제1 관통공(23)을 통해 우수를 배출할 수 있게 하여, 우수가 교량의 상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rainwater inlet tube 10 of the bridge type non-poi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stored in the bottom surface 11 and then flows into the treatment tube 20. Among the floating matters contained in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processing pipe 20, the floating material not filtered by the strain screen member 40 is filtered by the processing pipe network member 50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rocessing pipe 20. At this time, the floats smaller than the mesh of the processing pipe network member 50 are introduced into the processing pipe 20.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processing pipe 20 is moved downwardly while rotating spirally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processing pipe 20 as shown in Figure 2 downward along the spiral plate. At this time, part of the rain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rocessing tube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s 25 formed in the side plate 22, the second through hole 25 is smaller in size than the second through hole 25 Only the rainwater is discharged with the suspended matter. At this time, part of the rainwate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s 25 is moved downward along the outer wall of the side plate 22, and part is moved downward along the guide tube 30. Rainwater that was not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25 in the process of mov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ainwater mov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ocessing tube 20 along the spiral plate is fix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ottom plate of the processing tube 20. Then,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25 of the lower end, the oil filter 29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ide plate 22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through hole 25 , The gasoline component or various oil components in the rainwater is adsorbed to the oil filter 29, so that only the rain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n the other hand, if the precipitation is very large, the amount of rainwater flowing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processing pipe 20 may be more than the rainwate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25 or the drain hole 26 of the processing pipe, where The rainwate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3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rocessing pipe 20 to prevent the rainwater from flowing back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종래 기술에 의한 교량형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는 우수에 원심력을 발생시켜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제2 관통공(25)을 통하여 우수가 배출될 때 우수와 함께 이물질이 함께 배출되는 구조이며,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은 우수가 오일필터(29)를 통과하는 구조이므로 오일필터(29)의 성능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bridge type non-poi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ior art generates a centrifugal force in the rainwat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rainwater, which is complicated in structure, and with rainwater when the rain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25. It is a structure in which foreign matters are discharged together, and since the rainwater having no foreign matters removed passes through the oil filter 29,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erformance of the oil filter 29 is drastically lowe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원심력을 발생시키지 않는 구조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거되는 구조이며, 스크린의 교체가 용이한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structure that does not generate a centrifugal force,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manufacture, the structure is removed foreign matter contained in rainwater, the bridge is easy to replace the scree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poi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는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하로 이격된 제1 걸림턱과 제2 걸림턱을 구비하는 중공의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구비되는 거름부재와, 상기 안내관의 내측으로 상기 거름부재로부터 하부로 이격되어 상기 제1 걸림턱에 걸리어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린과, 상기 안내관의 내측에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하부로 이격되어 상기 제2 걸림턱에 걸리어 구비되는 거름망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거름부재는 판상으로서 복수의 통공인 거름공이 형성되며; 상기 스크린은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상부 양단으로부터 좌우 상방향 양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와, 상기 각 경사부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1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부와, 상기 오목부와 경사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에는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on-poi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ollow guide tube having a first catching jaw and a second catching jaw protruded inwardly and spaced up and down, and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pipe. A filtering member provided in the opening, at least one screen spaced downward from the filtering member inwardly of the guide tube to be caught by the first locking jaw, and spaced downward from the screen inside the guide tub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rainer member is caught to the second locking jaw; The filtering member has a plate-like filtering hole is forme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e screen includes a concave portion formed conca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inclined portion extending inclined in both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both end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ncave portion, and a catching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an end of each inclined portion to be caught on the first locking jaw. And a side plate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concave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perforations are formed in the inclined portion.

상기에서 스크린은 경사부로부터 타공의 상부로 연장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cree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ojection extending from the inclined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ion.

상기에서 타공은 스크린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부에 형성된 장공이며, 상기 스크린은 타공의 상단에서 경사부로부터 타공의 상부로 연장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erforation is a long hole formed in the inclined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reen, the scree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ojection extending from the inclined portion to the top of the perforated at the top of the perforated.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는 제1 걸림턱과 제2 걸 림턱 사이에 하나의 제3 걸림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걸림턱에 걸리어 설치되는 상기 스크린을 하나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non-poi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hird catching jaw between the first catching jaw and the second catching jaw, and the screen is caught by the third catching jaw.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본 발명에 따르는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00)는 구조가 간단하며, 스크린(140)이 원형 단면을 가지지 않으므로 제조가 간단하며, 원심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하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스크린(140)의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non-poi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100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and since the screen 140 does not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manufacturing is simple, and it is possibl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rainwater without generating centrifugal force.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rainwater can be minimized to be discharged to the bottom, and the screen 140 can be easily replaced.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의 세로 방향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스크린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구비되는 스크린의 변형 예로서 도 6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구비되는 스크린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경사부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구비되는 스크린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n-poi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n-poi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for bridges shown in Figure 3, Figure 5 is a bridge for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creen provided in the non-poi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6 as a modified example of the screen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screen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screen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AA line.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00)는 양단이 개구된 중공의 안내관(110)과, 상기 중공의 안내관(110)의 내 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린(140)과, 상기 중공의 안내관(110)의 내부에 상기 스크린(140)으로부터 하부로 이격하여 구비되는 거름망부재(150)와, 상기 중공의 안내관 상부에 구비되는 거름부재(170)로 이루어진다. 상기 거름부재(170)는 상기 스크린(140)과 이격되어 상기 스크린(140)의 상부로 구비된다. 상기 거름부재(170)는 안내관(110)의 개구된 상부에 삽입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non-poi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100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guide tube 110 having both ends opened and an inside of the hollow guide tube 110. One or more screens 140 and a sieve member 150 provided to be spaced downward from the screen 140 in the interior of the hollow guide tube 110, and a filtering member provided on the hollow guide tube. Consists of 170. The filtering member 170 is spaced apart from the screen 140 and provided as an upper portion of the screen 140. The filtering member 170 is inserted into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guide tube 110.

상기 안내관(110)의 내측으로는 상하로 이격된 제1 걸림턱(133)과 제2 걸림턱(137)이 내향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거름망부재(150)는 안내관(110)의 개구된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제2 걸림턱(137)에 걸리면서 안내관(110)의 내측으로 설치된다. 상기 스크린(140)은 안내관(110)의 개구된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제1 걸림턱(135)에 걸리면서 안내관(110)의 내측으로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140)의 하부와 거름망부재(150)는 서로 상하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 걸림턱(133)과 제2 걸림턱(137) 사이에 또 하나의 제3 걸림턱(135)을 구비하고, 상기 제3 걸림턱(135)에 걸리어 설치되는 또 하나의 스크린(140)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Inside the guide tube 110, the first locking jaw 133 and the second locking jaw 137 spaced vertically are protruded inwardly. The strainer member 150 is inserted from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guide tube 110 and is installed inside the guide tube 110 while being caught by the second locking step 137. The screen 140 is inserted from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guide tube 110 and is installed inside the guide tube 110 while being caught by the first locking step 135. As shown in FIG. 4, the lower part of the screen 140 and the sieve member 15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vertically. The non-poi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100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other third locking jaw 135 between the first locking jaw 133 and the second locking jaw 137, and the third locking It is possible to have another screen 140 that is hooked to the jaw 135.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관(110)은 상하로 개구된 중공체이다. 상기 안내관(110)은 개구된 내측 상단에 턱부(115)가 형성된 중공의 제1 안내부(111)와, 상기 제1 안내부(111)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며 하부로 갈수록 내측 중공부의 단면적이 감소하는 제1 테이퍼부(117)와, 상기 제1 테이퍼부(117)의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하는 제2 안내부(119)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안내부(119)의 하부에는 제2 안내부(119)의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며 하부 로 갈수록 내측 중공부의 단면적이 감소하는 제2 테이퍼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테이퍼부(117)의 하부와 상기 제2 테이퍼부(112)의 상부로 제2 안내부(119)에는 상하로 이격하여 2개의 측면공(114)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공(114)에 바이패스관(160)이 연결 설치된다. 강수량이 폭증하는 경우 스크린(140)을 통과하지 못하고 넘쳐 흐르는 경우 넘친 우수는 상기 바이패스관(160)을 통하여 하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1 안내부(111)의 측방으로는 2개의 삽입공(113)이 서로 대향하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113)에 교각 구조물(S)을 삽입하여 교각의 하부로 본 발명에 따르는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안내관(110)은 합성수지, 금속, 콘크리트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우수에 의하여 부식되지 않는 재질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3 and FIG. 4, the guide tube 110 is a hollow body that is opened up and down. The guide tube 110 has a hollow first guide portion 111 having a jaw portion 115 formed at an inner top of the opening, and extends downward from a lower end of the first guide portion 111, and has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hollow portion toward the bottom thereof. The decreasing first taper portion 117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119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taper portion 117.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guide portion 119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aper portion 11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guide portion 119 and decreas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hollow portion toward the lower portion. Two side holes 114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vertically in the second guide part 119 by the lower part of the first taper part 117 and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taper part 112. Bypass pipe 160 is connected to the installation. In case of precipitation, the rainwater overflows when it overflows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creen 140 and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bypass pipe 160. Two insertion holes 113 may be formed to face the first guide part 111 to face each other. By inserting the bridge structure (S) into the insertion hole 113 can be installed to the non-point source processing apparatus for the bridg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ridge. The guide tube 110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metal, concrete, etc.,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corrode by rain.

상기 거름부재(170)는 판상으로서 복수의 거름공(171)이 형성되며, 상기 턱부(115)에 걸리면서 안내관(1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우수는 상기 거름공(171)을 통하여 상기 안내관(110) 내로 유입된다. 거름공(171)을 통과하면서 우수에 포함된 길이가 길거나 부피가 큰 이물질이 1차로 걸러지게 된다. The filtering member 170 is a plate-like plural filtering holes 171 is formed, is caught on the jaw portion 115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tube 110. Rainwater is introduced into the guide tube 110 through the manure 171. The long or bulky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rainwater is first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hole 171.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관(110)의 제2 안내부(119) 내측으로는 중공의 설치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재(130)는 안내관(110)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2 안내부(119) 내로 삽입되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부재(130)에 상기 제1 걸림턱(133)과 제2 걸림턱(137)이 상하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걸림턱(133)과 제2 걸림턱(137) 사이에 제3 걸림턱(13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설치부재(130)는 합성수지나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 으로 제조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a hollow installation member 130 may be provided inside the second guide part 119 of the guide pipe 110. The installation member 13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portion 119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tube 110, as shown in Figure 4 the first locking step 133 and the first to the installation member 130 2 locking step 137 may be provided spaced up and down. A third locking jaw 135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locking jaw 133 and the second locking jaw 137. The installation member 130 may be made of a metal such as synthetic resin or stainless steel.

안내관(110)의 개구된 상부로부터 거름망부재(150)를 삽입하여 상기 제2 걸림턱(137)에 걸리도록 설치하고, 스크린(140)을 삽입하여 제1 걸림턱(133)에 걸리도록 설치하며, 상단 턱부(155)에 거름부재(170)가 차례로 걸리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걸림턱(133)과 상기 제2 걸림턱(137) 사이에 제3 걸림턱(135)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제3 걸림턱(135)에 또 하나의 스크린(140)을 걸리게 설치한다.Insert the sieve member 150 from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guide tube 110 to be hooked to the second hooking jaw 137, and is installed to hook to the first hooking jaw 133 by inserting the screen 140 And, the upper jaw portion 155 is installed so as to take the filtering member 170 in sequence. In addition, when the third locking jaw 135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locking jaw 133 and the second locking jaw 137, another screen 140 is caught by the third locking jaw 135. Install.

상기 거름망부재(15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이 뚫린 판상인 지지부재(153)와, 상기 지지부재(153)의 구멍에 구비되는 거름망(15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거름망(151)은 우수에 포함된 오일 등을 제거할 수 있는 부직포와 같은 재질로 제조한다.As shown in FIG. 4, the strainer member 150 includes a support member 153 having a plate shape with holes, and a strainer 151 provided in the hole of the support member 153. The strainer 151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nonwoven fabric to remove oil and the like contained in rainwater.

상기 제1 걸림턱(133)에 걸리어 안내관(110)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스크린(14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141)와, 상기 오목부(141)의 양쪽 상단으로부터 상방향 양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143)와, 상기 경사부(143)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걸림부(14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141)와 경사부(143) 양단에 측판(147)을 구비한다. 상기 측판(147)에는 손잡이공(147a)이 형성되어 스크린(140)을 보수 교체하기 위하여 인출할 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길이 방향"은 도 6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양측의 상기 걸림부(145)가 제1 걸림턱(133)에 걸리어 스크린(140)은 안내관(110)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경사부(143)에는 복수의 타공(149)이 형성된다. 안내관(110)에 설치될 때 상기 타 공(149)을 통하여 우수가 하부로 배출된다.The screen 140 which is caught by the first locking jaw 133 and installed into the inside of the guide tube 110 has a concave portion 141 which is conca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5 and 6, And an inclined portion 143 extending inclined upwardly from both upper ends of the concave portions 141 and a catching portion 145 extending out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143. The side plate 147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ncave portion 141 and the inclined portion 143. The side plate 147 is preferably formed with a handle hole (147a) to be gripped when withdrawing the screen 140 for replacement. In the above, the “length direction” mean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n FIG. 6. The locking portions 145 of both sides are caught by the first locking jaw 133 so that the screen 140 is installed inside the guide tube 110. A plurality of perforations 149 are formed in the inclined portion 143. Rainwater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hole 149 when installed in the guide pipe 110.

본 발명에 따르는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00)에 구비되는 스크린(14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부(143)에 형성된 타공(149)의 상부로 연장된 돌기부(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142)는 경사부(143)로부터 타공(149)의 상부로 연장된다. 상기 돌기부(142)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공(149)을 향하여 오목지게 만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공(149)의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경사부(143)의 상부로 연장된 돌기부(142)를 구비함으로써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서 낙하한 우수는 경사부(143)를 따라 오목부(141)를 향하여 하향 유동할 때(A), 타공(149)을 통하여 낙하하지 않게 되고 오목부(141)까지 이르게 된다. 그리고 오목부(141)에서 머무를 수 있는 시간을 가지며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오목부(141)로 침전하게 된다. 그리고 초기에는 가장 낮은 위치의 타공(149)을 통하여 하부로 유출되고 유입량이 증가하면 점차로 상부에 형성된 타공(149)을 통하여 유출된다. 따라서 이물질이 제거된 우수가 유출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스크린(140)이 상하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경우 더 많은 이물질을 제거한 우수를 하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The screen 140 provided in the non-poi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100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142 extending to an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ion 149 formed in the inclined portion 143 as shown in FIG. 7. It may include. The protrusion 142 extends from the inclined portion 143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ion 149. As shown in FIG. 7, the protrusion 142 may be formed to be concave and curved toward the perforation 149. The protrusion 142 may be incli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ion 149 as illustrated in FIG. 8. As shown in FIG. 4 and FIG. 7, the rain drops fall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inclined portion 141 along the inclined portion 143 are provided by the protrusion 142 exte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clined portion 143 as described above. When flowing downward (A), it does not fall through the perforation 149 and reaches the recess 141. And there is a time to stay in the recess 141 and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rain is settled to the recess 141. Initially, it is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through the lowest hole perforation 149 and gradually flows out through the perforation 149 formed at the upper portion when the inflow amount increases. Therefore, rainwater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have been removed is leaked. As shown in FIG. 4, when two or more screens 140 are installed spaced apart up and down, the rainwater having more foreign matters removed can be discharged downward.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00)에 구비되는 스크린(140)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에서 상기 스크린(140)의 양단에 구비되는 측판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14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141)와, 상기 오목 부(141)의 양측 상단으로부터 좌우 측으로 상방향 외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부(143)와, 상기 경사부(143)의 상단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 걸림부(145)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부(143)에는 타공(149)이 형성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타공(149)은 길이 방향으로 따라 경사부(143)에 길게 형성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타공(149)의 상단에서 경사부(143)로부터 타공(149)의 상부로 연장된 돌기부(142)를 구비한다. 상기 돌기부(142)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길이를 갖는다.9 and 10 show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screen 140 provided in the non-poi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100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9, illustration of side plate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creen 140 is omitted. As shown in FIG. 9, the screen 14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formed with a concave portion 141 formed in a concave shape, and an inclined portion provided to be inclined upward and outward from left and right sides from both upper ends of the concave portion 141 ( 143 and a locking portion 145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143 to both sides, and the perforated portion 149 is formed in the inclined portion 143. As shown in FIG. 9, the perforation 149 is elongated in the inclined portion 14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0, the protrusion 142 extends from the inclined portion 143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ion 149 at the upper end of the perforation 149. The protrusion 142 has a length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부에서 낙하한 우수는 경사부(143)에 의하여 도 10에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A 경로를 따라 오목부(141)로 유입하며, 유입된 우수가 가장 낮은 높이의 타공(149)에 이르면 양측에서 B경로를 따라 유출되어 낙하한다. 따라서 A 경로를 따라 유입된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거된 후, 우수는 B경로를 따라 배출된다. 유입되는 우수가 증가하면 점차 높은 위치의 타공(149)을 통하여도 우수가 배출된다.Rainfall falling from the upper portion is introduced into the recess 141 along the A path as shown in FIG. 10 by the inclined portion 143, and when the rainwater introduced reaches the hole 149 of the lowest height It flows out along path B on both sides and falls. Therefore, after the foreign matter included in the rainwater introduced along the A path is removed, the rainwater is discharged along the B path. When the rainwater flowing in increases, the rain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perforation 149 of the higher position.

상기에서와 같이 타공(149)의 상부로 연장된 돌기부(142)를 구비함으로써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에 제거되어 타공(149)을 통하여 하부로 유출되므로 스크린(140)의 하부에 설치된 거름망부재(150)의 기능이 이물질에 의하여 저하되는 시간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구조가 간단하고 원심력을 발생시키지 않는 구조로 하면서도 이물질에 포함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by having the protrusion 142 exte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ed 149 is removed to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rainwater is discharged to the lower through the perforated 149 so that the strainer member 150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creen 140 The function of) can be extended to the time that the deterioration by the foreign matter. 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is simple and does not generate centrifugal force, bu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foreign matter.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원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는 본원 발명의 권리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should be interpreted as belonging to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n-poi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non-poi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n-poi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의 세로 방향 단면도이다.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n-poi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for bridges shown in FI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스크린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reen provided in the non-poi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에 구비되는 스크린의 변형 예로서 도 6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6 as a modified example of the screen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구비되는 스크린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경사부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8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inclined portion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screen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구비되는 스크린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screen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Claims (4)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하로 이격된 제1 걸림턱(133)과 제2 걸림턱(137)을 구비하는 중공의 안내관(110)과, 상기 안내관(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구비되는 거름부재(170)와, 상기 안내관(110)의 내측으로 상기 거름부재(170)로부터 하부로 이격되어 상기 제1 걸림턱(133)에 걸리어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린(140)과, 상기 안내관(110)의 내측에 상기 스크린(140)으로부터 하부로 이격되어 상기 제2 걸림턱(137)에 걸리어 구비되는 거름망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거름부재(170)는 판상으로서 복수의 통공인 거름공(171)이 형성되며; 상기 스크린(14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141)와, 상기 오목부(141)의 상부 양단으로부터 좌우 상방향 양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143)와, 상기 각 경사부(143)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1 걸림턱(133)에 걸리는 걸림부(145)와, 상기 오목부(141)와 경사부(143)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측판(147)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143)에는 복수의 타공(14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00).It is provided in the hollow guide tube 110 and the opening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tube 110 protruding inward and spaced vertically spaced up and down the first locking jaw 133 and the second locking jaw 137 Filtering member 170, at least one screen 140 which is spaced downward from the filtering member 170 to the inside of the guide tube 110 to be caught on the first locking jaw 133 and the guide On the non-poi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for bridges 100 including a sieve member 150 which is spaced downward from the screen 140 to the inner side of the pipe 110 and is caught by the second locking step 137. In; The filtering member 170 has a plate-like filtering hole 171 is forme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e screen 140 includes a recess 141 recess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 inclined portion 143 extending inclined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both ends of an upper portion of the recess 141, and the respective inclined portions ( And an engaging portion 145 extending outward from an end of the 143 to be caught by the first engaging jaw 133, and side plates 147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concave portion 141 and the inclined portion 143. And, the inclined portion 143, the non-point source processing apparatus 100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erforations 149 are form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140)은 경사부(143)로부터 타공(149)의 상부로 연장된 돌기부(1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00).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creen (140) further comprises a protrusion (142) extending from the inclined portion (143)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ion (14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149)은 스크린(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부(143)에 형성된 장공이며, 상기 스크린(140)은 타공(149)의 상단에서 경사부(143)로부터 타공(149)의 상부로 연장된 돌기부(1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00).According to claim 1, The perforation 149 is a long hole formed in the inclined portion 14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reen 140, the screen 140 is from the inclined portion 143 at the top of the perforation 149 The non-poi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100 for a bridge, further comprising a protrusion 142 extending to an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ion 14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턱(133)과 제2 걸림턱(137) 사이에 하나의 제3 걸림턱(13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걸림턱(135)에 걸리어 설치되는 상기 스크린(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00).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hird locking jaw 135 between the first locking jaw 133 and the second locking jaw 137 and installed by being caught by the third locking jaw 135. Non-point source processing apparatus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creen (140).
KR1020080122705A 2008-12-04 2008-12-04 Nonpoint source pollutants treating apparatus for bridge KR1008919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705A KR100891940B1 (en) 2008-12-04 2008-12-04 Nonpoint source pollutants treating apparatus for b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705A KR100891940B1 (en) 2008-12-04 2008-12-04 Nonpoint source pollutants treating apparatus for brid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1940B1 true KR100891940B1 (en) 2009-04-08

Family

ID=40757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705A KR100891940B1 (en) 2008-12-04 2008-12-04 Nonpoint source pollutants treating apparatus for bri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1940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604B1 (en) * 2009-08-19 2012-03-21 대일산업(주) A sanitation facility of first rainwater-spilled water for bridge
KR101226906B1 (en) * 2012-07-10 2013-02-07 한국과학기술원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food wastes and night soils
KR101614687B1 (en) * 2015-07-06 2016-04-22 주식회사 휴먼네트워크 W-type screen device installed in rainwater purifying equipment
KR101846420B1 (en) * 2017-09-21 2018-04-06 (주)이앤씨 Non-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for abutment mounting
KR102052574B1 (en) * 2019-08-08 2019-12-05 에스와이테크놀러지 주식회사 Buried type water sampling apparatu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958Y1 (en) 1998-05-18 2000-12-01 이상종 Road water collector having grit chamber
KR200288227Y1 (en) 2002-05-27 2002-09-09 김재현 A trash collector for a drainage hole
KR100713591B1 (en) 2005-04-11 2007-05-04 주식회사 차세대환경 Purifier for manhole
KR100720138B1 (en) 2006-07-20 2007-05-18 이현숙 Non-point source pollutant cleaning machine for brid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958Y1 (en) 1998-05-18 2000-12-01 이상종 Road water collector having grit chamber
KR200288227Y1 (en) 2002-05-27 2002-09-09 김재현 A trash collector for a drainage hole
KR100713591B1 (en) 2005-04-11 2007-05-04 주식회사 차세대환경 Purifier for manhole
KR100720138B1 (en) 2006-07-20 2007-05-18 이현숙 Non-point source pollutant cleaning machine for bridg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604B1 (en) * 2009-08-19 2012-03-21 대일산업(주) A sanitation facility of first rainwater-spilled water for bridge
KR101226906B1 (en) * 2012-07-10 2013-02-07 한국과학기술원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food wastes and night soils
KR101614687B1 (en) * 2015-07-06 2016-04-22 주식회사 휴먼네트워크 W-type screen device installed in rainwater purifying equipment
KR101846420B1 (en) * 2017-09-21 2018-04-06 (주)이앤씨 Non-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for abutment mounting
KR102052574B1 (en) * 2019-08-08 2019-12-05 에스와이테크놀러지 주식회사 Buried type water sampling apparatu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781B1 (en)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for bridge or manhole
KR100920689B1 (en) The apparatus of prevent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rainwater for drain type
KR20120081116A (en) Stormwater filt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0891940B1 (en) Nonpoint source pollutants treating apparatus for bridge
KR100649180B1 (en) The sewer overflows disposal plant using inclined plates sedimentation
KR101746524B1 (en)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 for the road and bridge
KR101244122B1 (en) Back washing type apparatus for dispos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using floating decanter
KR101327526B1 (en) Water treatment structure
KR101683816B1 (en) A sanitation facility of first rainwater-spilled water for bridge
KR101098900B1 (en) Drain for bridge
KR20100086610A (en) Non-point pollution decrease facilities by using a turbulent flow and filtration function
KR100762981B1 (en) Nonpoint pollution decrease apparatus in link canal
JP2009185454A (en) Separating device
KR20190092108A (en) A sanitation facility of first rainwater-spilled water for bridge
KR200424846Y1 (en) the sewer overflows disposal plant using inclined plates sedimentation
KR101231458B1 (en) Street inlet
KR101081568B1 (en) First flush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158632B1 (en) Non-Point Source decrease equipment
KR200452034Y1 (en)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KR100883616B1 (en) Storm water treatment device with screen for adulteration filtering
KR101218770B1 (en) Screen for waste automatic separating function
KR100786378B1 (en) Stormwater control unit modifying a manhole
KR20110024784A (en) Purifying device for non-point material
KR20100047032A (en)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KR20100122372A (en) Storm water treatment device with cylindrical screen for adulteration filt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