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910B1 - 도핑된 정공 전달층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 Google Patents

도핑된 정공 전달층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910B1
KR100890910B1 KR1020070138861A KR20070138861A KR100890910B1 KR 100890910 B1 KR100890910 B1 KR 100890910B1 KR 1020070138861 A KR1020070138861 A KR 1020070138861A KR 20070138861 A KR20070138861 A KR 20070138861A KR 100890910 B1 KR100890910 B1 KR 100890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hole transport
dopant
transport lay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성호
김영규
조귀정
최병대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70138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9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9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2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10K71/164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using vacuum deposi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제1전극; 상기 제1전극과 대향되어 배치된 제2전극; 및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개재되며, 적어도 발광층 및 정공 전달층을 포함하는 유기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로서, 상기 정공 전달층이 그 매트릭스와 이온결합에 의한 영구쌍극자 형성이 가능한 도펀트를 포함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공 전달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매트릭스 물질과 도펀트 물질 사이에 이온결합을 가져 영구쌍극자를 형성하므로 향상된 p형 도핑 특성을 나타내며, 장시간 구동시 안정한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정공 전달층 형성시 기존의 방법에 의하면 용액 상태화한 고분자나 유기염(salt)을 만들어 스핀코팅 등의 방법으로 형성하므로 재료 준비의 어려움 및 공정상에서 용액공정과 진공공정을 반복하는 어려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진공증착에 의해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상의 큰 제약을 받지 않고 대량 생산 적용이 가능하다.
도핑, 영구쌍극자, 정공 전달층

Description

도핑된 정공 전달층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 발광소자{A doped hole transporting layer an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employ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펀트가 첨가된 정공 전달층을 갖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정공 전달층의 매트릭스와 도펀트 사이의 이온 결합에 의한 영구쌍극자를 형성으로 향상된 p형 도핑 특성을 가지며 장시간 구동시 안정한 특성을 나타내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1987년 Tang 등에 의해 구동 전압 및 휘도 등의 특성이 실용화 수준에 이르는 결과가 발표된 이후 대면적 디스플레이로 발전시키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C. W. Tang 등, Appl. Phys. Lett., 51(12), 913(1987)).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기본적인 구조는 기판 위에 양극과 이에 대향된 음극 사이에 유기물질로 이루어진 얇은 층(통상적으로 1㎚ 내지 1㎛)들의 연속으로 구성된 유기층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정공 주입층, 정공 전달층, 발광층, 전자 전달층, 전자 주입층 등이 적층된 구조이다.
유기층 내의 유기물질이 저분자계 물질의 경우 진공 상태에서 진공 증착 등으로 형성되며 고분자계 물질의 경우 스핀코팅이나 잉크젯법으로 형성된다.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발광원리는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면, 애노드로부터 정공 주입층의 가전자대로 주입된 정공이 정공 전달층을 통과한 후 발광층으로 진행하고, 동시에 전자는 음극에서 전자 주입층으로 주입하여 전자 전달층을 통과한 후에 발광층의 전도대로 이동한다. 따라서 발광층에서 정공과 전자가 재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이러한 여기자가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전이하면서 빛을 방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 중 유기전계 발광소자 내의 정공 전달층은 정공을 발광층으로 원활히 이동시키는 역할과 발광층에 들어온 전자가 정공 전달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정공 전달층을 위한 물질로는 다음에 열거된 a-NPB, m-MTDATA, MeO-TPD, 2-TNATA, ZnPc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리뷰 문헌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Chemical reviews, 2007, vol.107, 953-1010):
a-NPB (N,N'-di(naphthalen-2-yl)-N,N'-diphenyl-benzidine,
Figure 112007093886836-pat00001
),
m-MTDATA (4,4',4"-tris(3-methylphenylphenylamino) triphenylamine,
Figure 112007093886836-pat00002
),
TPD (N,N'-diphenyl-N,N'-bis(3-methylphenyl)-1,1'-biphenyl-4,4'-diamine
,
Figure 112007093886836-pat00003
),
MeO-TPD (N,N,N',N'-tetrakis(4-methoxyphenyl)-benzidine,
Figure 112007093886836-pat00004
),
2-TNATA (4,4',4"-tris(2-naphthylphenylamino) triphenylamine,
Figure 112007093886836-pat00005
),
ZnPc (zinc phthalocyanine,
Figure 112007093886836-pat00006
).
또한 정공주입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Zhou 등에 의하면 p형 도핑된 비결정질 정공 전달층을 이용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OLED)를 개시하고 있다(Zhou 등, Appl. Phys. Lett., 78, 4, 410-412).
이에 따르면 억셉터인 F4-TCNQ(테트라플루오로-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과의 동시 증착에 의해 p형 도핑된, 다결정질 프탈로시아닌 및 비결정질 4,4',4'-트리스-(N,N-디페닐아민)트리페닐아민(TDATA)의 정공 전달층이 비도핑 매트릭스 물질의 전도도보다 큰 전도도를 산출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문헌에서 Zhou 등은 매트릭스 물질의 p형 도핑이 더 낮은 전압을 인가하여도 더 큰 전류 밀도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더 낮은 구동전압에서도 최대 전계 발광 효율을 유도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결과적으로, p형 도핑된 정공 전달층을 포 함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제어된 도핑으로 인해 매우 낮은 작동 전압과 향상된 발광 효율을 나타낸다.
이하에 종래 제안된 정공 전달층에 도핑되는 p형 도펀트 물질(억셉터)들을 열거하였다:
F4-TCNQ (2,3,5,6-tetrafluoro-7,7,8,8-tetracyanoquinodimethane,
Figure 112007093886836-pat00007
),
CN4-TTAQ (1,4,5,8-tetrahydro-1,4,5,8-tetrathia-2,3,6,7-tetracyanoanthraquinone,
Figure 112007093886836-pat00008
),
F4-DCNQI (N,N'-dicyano-2,3,5,6-tetrafluoro-1,4-quinonediimine,
Figure 112007093886836-pat00009
).
상기 열거된 도펀트 물질에서 알 수 있듯이 거의 대부분 전자친화도가 큰 원자(F4-TCNQ의 경우 불소)를 자체에 포함한 물질로서, 정공 전달 매트릭스 물질과 동시 증착하여 박막을 형성할 경우, 박막 내에서 매트릭스 물질로부터 전자를 끌어당기는 유도쌍극자를 형성하여 p형 도펀트로 작용하고 전도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하지만, 매트릭스 분자와의 결합력이 약한 반데르발스(van der Waals)힘 또 는 수소결합으로부터 유래한 것이므로 장시간 소자 구동시 도핑된 박막 내에서의 도펀트 농도구배 변화 등에 의해 특성이 변화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완으로서 대한민국특허 제622179호는 퀴논다이이민 유도체등과 같은 휘발성이 낮은 물질을 도핑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의 유도쌍극자가 p형 도펀트로 작용할 경우의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시간 구동시에도 소자 특성이 안정하고, 이온성 영구쌍극자를 형성함으로서 향상된 p형 도핑 특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제1전극; 상기 제1전극과 대향되어 배치된 제2전극; 및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개재되며, 적어도 발광층 및 정공 전달층을 포함하는 유기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로서, 상기 정공 전달층이 그 매트릭스와 이온결합에 의한 영구쌍극자 형성이 가능한 도펀트를 포함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공 전달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매트릭스 물질과 도펀트 물질 사이에 이온결합을 가져 영구쌍극자를 형성하므로 향상된 p형 도핑 특성을 나타내며, 장시간 구동시 안정한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정공 전달층 형성시 기존의 방법에 의하면 용액 상태화한 고분자나 유기염(salt)을 만들어 스핀코팅 등의 방법으로 형성하므로 재료 준비의 어려움 및 공정상에서 용액공정과 진공공정을 반복하는 어려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진공증착에 의해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상의 큰 제약을 받지 않고 대량 생산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낮은 구동 전압으로 작동될 수 있고 높은 발광 효율 및 장시간 안정한 소자특성을 갖도록 도핑된 정공 전달층을 기초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물질은 유기반도체 매트릭스(matrix)의 전기적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해 유기 도펀트로서 매트릭스 내에서 양이온 형태로 존재하여, 양전하 또는 정공의 수송에 적합한 전기 전도성 유기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매트릭스 물질로는 a-NPB, m-MTDATA, TPD, MeO-TPD, 2-TNATA, ZnPc 등과 같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정공 전달 물질을 사용하며, 또한 반도체특성을 갖는 홀 전도성 물질과 같은 적합한 다른 유기 물질도 사용될 수 있다.
정공 전달층에 도핑되는 도펀트 물질들은 아래에 열거된 것과 같은 술폰산 화합물을 포함한다:
CSA (10-camphorsulfonic acid,
Figure 112007093886836-pat00010
),
AMPSA (2-acrylamido-2-methyl-1-propanesulfonic acid,
Figure 112007093886836-pat00011
),
BSA (benzenesulfonic acid,
Figure 112007093886836-pat00012
)
PTSA (p-toluenesulfonic acid,
Figure 112007093886836-pat00013
)
SSA (5-sulfosalicylic acid,
Figure 112007093886836-pat00014
)
NSA (naphthalenesulfonic acid,
Figure 112007093886836-pat00015
),
DBSA (dodecylbenzenesulfonic acid,
Figure 112007093886836-pat00016
).
상기 도펀트 물질들은 매트릭스 물질과의 동시 증착시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증착 박막 내에서 이온성 결합을 띤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SA (10-camphorsulphonic acid)를 도펀트로 사용한 경우의 반응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93886836-pat00017
따라서, 기존의 유도쌍극자에 의해 p형 도펀트로 작용하는 F4-TCNQ 등과 달리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정공 전달층의 경우 매트릭스 물질과 도펀트 물질 사이 의 이온결합 형태로 영구쌍극자 형태로 존재함으로써 향상된 p형 도펀트 특성을 나타내며 안정한 소자특성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정공 전달층을 형성할 경우, 도펀트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흡광도 및 전도도가 변화하므로, 도핑은 도펀트 대 매트릭스의 몰 비 또는 부피 비로 1:1 내지 1:10000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1000 이내에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비율보다 도펀트 함량이 낮으면 정공전달층의 도핑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상기비율보다 높으면 흡광도 증가에 의한 발광 효율 감소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공 전달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형성 방법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통상적인 유기전계발광소자에서 사용하는 20 내지 100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층에는 통상적인 형광 및 인광 유기발광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정공 전달층의 성능 향상에 의해 정공의 이동속도가 증가하여 발광층 영역을 넘어갈 수 있으므로 이를 막기 위해 발광층과 전자 전달층 사이에 정공 차단층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핀(pin) 구조 또는 인버트(invert) 구조, 톱(top) 방출, 바텀(bottom) 방출 구조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또한 적용할 수 있는 기판도 유리 기판뿐만 아니라 플렉시블 기판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 및 물질의 종류에 의해 설명되었 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7)

  1.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 상에 정공 전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정공 전달층이 a-NPB, m-MTDATA, MeO-TPD, 2-TNATA 및 ZnPc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매트릭스 물질과, 상기 매트릭스 물질과 이온결합에 의한 영구쌍극자 형성이 가능한 도펀트를 동시 진공증착하여 형성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펀트는 술폰산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술폰산 화합물은 10-캠퍼술폰산(CSA, 10-camphorsulfonic acid), 2-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술폰산(AMPSA, 2-acrylamido-2-methyl-1-propanesulfonic acid), 벤젠술폰산(BSA, benzenesulfonic acid), p-톨루엔술폰산(PTSA, p-toluenesulfonic acid), 5-술포살리실산(SSA, 5-sulfosalicylic acid), 나프탈렌술폰산(NSA, naphthalenesulfonic acid), 도데실벤젠술폰산(DBSA, dodecylbenzenesulfonic acid)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전달층의 두께는 20 내지 1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펀트 대 상기 매트릭스 물질의 몰 비가 1:1 내지 1:1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070138861A 2007-12-27 2007-12-27 도핑된 정공 전달층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KR100890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861A KR100890910B1 (ko) 2007-12-27 2007-12-27 도핑된 정공 전달층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861A KR100890910B1 (ko) 2007-12-27 2007-12-27 도핑된 정공 전달층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0910B1 true KR100890910B1 (ko) 2009-04-02

Family

ID=40757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861A KR100890910B1 (ko) 2007-12-27 2007-12-27 도핑된 정공 전달층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9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3570A (ja) * 1999-02-23 2000-09-08 Junji Kido 電界発光素子
KR20050022332A (ko) * 2003-08-29 2005-03-0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전계발광소자 및 그것을 구비한 발광장치
JP2007207591A (ja) * 2006-02-02 2007-08-16 Seiko Epson Corp 発光装置の製造方法
KR20070117200A (ko) * 2006-06-07 2007-1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3570A (ja) * 1999-02-23 2000-09-08 Junji Kido 電界発光素子
KR20050022332A (ko) * 2003-08-29 2005-03-0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전계발광소자 및 그것을 구비한 발광장치
JP2007207591A (ja) * 2006-02-02 2007-08-16 Seiko Epson Corp 発光装置の製造方法
KR20070117200A (ko) * 2006-06-07 2007-1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6403B2 (en) Organic luminescent device including a first electrode, two or more organic layers and a second electrode and a production method for the same
US858696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aving high efficiency and process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030158B1 (ko) 유기 전자발광 부품
US8120242B2 (en) Transistor and process of producing the same, light-emitting device, and display
KR101362273B1 (ko) 유기 컴포넌트
TWI485899B (zh) 有機電致發光元件
US804004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178870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CN110492007B (zh) 一种吖啶化合物及其在机电致发光器件中的应用
KR101394868B1 (ko) 전류 증폭형 트랜지스터 소자 및 전류 증폭형 발광 트랜지스터 소자
US20090015150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1146598A (ja) 有機電界発光素子
US20130168645A1 (en) Gre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TWI667242B (zh) 有機電場發光電晶體(一)
KR100864140B1 (ko) 할로겐화 풀러렌 유도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1999709B1 (ko) 유기 발광 소자
KR100890910B1 (ko) 도핑된 정공 전달층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KR20210016971A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277670B1 (ko) 가스 차단층, 이를 기능층으로 포함하는 유기무기 반도체 소자, 이의 제조 방법 및 구동방법
KR102206852B1 (ko) 유기 발광 소자
US8735879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comprising at least two electroluminescent layers
KR20220169476A (ko) 능동형 oled 디스플레이
KR101626149B1 (ko) 유기발광소자 제조 방법 및 장치
KR20240022467A (ko) 시트 저항 부품
KR20230171509A (ko) 광전소자용 화합물, 이를 구비하는 광전소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