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233B1 -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233B1
KR100889233B1 KR1020080082066A KR20080082066A KR100889233B1 KR 100889233 B1 KR100889233 B1 KR 100889233B1 KR 1020080082066 A KR1020080082066 A KR 1020080082066A KR 20080082066 A KR20080082066 A KR 20080082066A KR 100889233 B1 KR100889233 B1 KR 100889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water
piezo
upward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찬
Original Assignee
이홍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찬 filed Critical 이홍찬
Priority to KR1020080082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2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233B1/ko
Priority to US13/057,311 priority patent/US20110143308A1/en
Priority to PCT/KR2009/004142 priority patent/WO2010021464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44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using fluid other than turbine drive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88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sinus or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2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inus lif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73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44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using fluid other than turbine drive fluid
    • A61B2017/1648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using fluid other than turbine drive fluid as cutting j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3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 A61B2090/036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abutting on tissue or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악동 막이 천공되는 현상이나 상악동 막이 상악동 하면의 바닥과 긴밀히 붙어있어 박리가 잘 되지 않는 현상, 또한 상악동 내에 해부학적으로 존재하는 격벽(septum)에 막의 장력을 넘어 가해지는 수직 상방으로의 힘으로 인해 막이 천공되는 현상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해소하면서도 상악동의 잔존골에 수직의 홀을 형성하거나 형성된 홀을 확장하기에 용이하여 추후에 골이식재의 충전이 용이해지고, 나아가 결과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률을 종래보다 더욱 높일 수 있고, 또한 스토퍼를 배치함으로써 치조골 쪽으로 절삭되어 삽입되는 인서트 팁의 과도한 삽입 깊이를 제한하여 상악동 막에 과도하고도 우발적인 힘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길이가 다양한 스토퍼를 사용함으로써 완벽하게 안전한 시술이 가능한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악동 막의 거상을 위한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유로가 내부에 구비된 인서트 폴; 및 상기 인서트 폴의 단부에 마련되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물분사구와, 상기 다수의 물분사구와 상기 물공급유로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유로를 구비한 인서트 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임플란트, 스토퍼, 워킹파트, 홀딩파트, 상악동, 피조, 피에조, 홀, 확장

Description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PIEZO INSERT FOR OPERATING AN IMPLANT SURGICAL OPERATION}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악동 막이 천공되는 현상이나 상악동 막이 상악동 하면의 바닥과 긴밀히 붙어있어 박리가 잘 되지 않는 현상, 또한 상악동 내에 해부학적으로 존재하는 격벽(septum)에 막의 장력을 넘어 가해지는 수직 상방으로의 힘으로 인해 막이 천공되는 현상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해소하면서도 상악동의 잔존골에 수직의 홀을 형성하거나 형성된 홀을 확장하기에 용이하여 추후에 골이식재의 충전이 용이해지고, 나아가 결과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률을 종래보다 더욱 높일 수 있고, 또한 스토퍼를 배치함으로써 치조골 쪽으로 절삭되어 삽입되는 인서트 팁의 과도한 삽입 깊이를 제한하여 상악동 막에 과도하고도 우발적인 힘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길이가 다양한 스토퍼를 사용함으로써 완벽하게 안전한 시술이 가능한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일련의 시술을 가리킨다.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인 픽스츄어(fixture)를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임플란트 시술(임플란트, 인공치아 시술이라고도 함)은, 소정의 드릴을 사용하여 식립위치를 천공한 후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식립하여 뼈에 골융합시킨 다음, 픽스츄어에 지대주(abutment)를 결합시킨 후에, 지대주에 최종 보철물을 씌움으로써 완료된다.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은 치과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매김을 하였으며, 임플란트와 관련된 여러 개념들과 기술들은 거듭된 발전을 이루고 있다.
임플란트 시술에 있어 비교적 용이한 케이스는 숙련도가 낮은 기술자라도 무난히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보편화되었다.
그러나 아직 몇몇 테마들은 해결해야 할 과제를 갖고 있는데, 상악동과 관련된 임플란트 시술의 경우가 대표적인 경우이다.
상악구치부의 임플란트 시술 시 잔존골의 수직적 부족으로 인해 상악동 속으로의 이식이 필요한 경우를 자주 접하게 된다. 상악동의 이식술은 이미 보편화된 시술인데, 크게 두 가지의 경우가 있다.
그 중 한 가지는 오스테오톰을 이용한 이식술이고, 다른 한 가지는 광대뼈 하방에 측면 윈도우를 형성한 후 직접 상악동 막을 거상하여 상악동 하연과 상악동 막 사이에 골이식재를 충전하는 시술이다.
한편, 임플란트 시술에서 잔존골의 높이가 현저히 낮은 경우에는 보다 넓은 플랩 디자인(flap design)과 측면 접근을 통한 시술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윈도우 형성 시 혈관의 파열, 격막(septum)의 존재, 매우 민감한 상악동 막의 거상 과정 등으로 인해 쉽게 접근하기가 어렵다. 또한 넓은 시술부위로 인한 기회 감염의 증가, 시술 중과 시술 후의 환자의 불편함 역시 상당하다. 또한 윈도우를 형성하는 것 자체가 상악골 측면 부위를 인위적으로 제거하여 혈류를 차단시킴으로써 이식된 골입자가 골화되는 과정에 필수적인 유용한 영양 기반(nutritional base)을 줄여 오랜 치유와 골화 기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여러 단점들을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선구자들에 의해 여러 가지로 시도되고 있고 현재까지도 연구되고 있다고 보고 되고 있다.
일 예로, 부치사바티니(Bucci Sabattini)는 상악구치부에서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 상악동 이식술이 필요한 경우 주입 가능한 접합물질(injectable graft material)을 상악동 내로 주입함으로써 상악동 막을 이완시키고 골이식재를 채울 수 있었다고 보고하였다(BucciSabattini, Salvatorelli. New simplified technique for major augmentation of the maxillary sinus. 35th Annual Meeting of the Continental European Division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Dental Research. 1999. 참조). 이는 수압(hydraulic pressure)을 이용한 전형적인 형태라 하겠다.
레온쵠(Leon Chen)은 그의 논문(Leon Chen, Jennifer Cha. An 8-Year Retrospective Study: 1100 PatientsReceiving 1557 Implants Using the Minimally Invasive Hydraulic Sinus Condensing Technique. J Periodontol 2005;76:482-491. 참조)에서 1100여 케이스에서 1557개의 임플란트 식립에서 하이스피드를 이용하여 상악동 하연을 갈아낸 후 상악동 막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악동 이식을 진행하였으며 아주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술식을 하이드럴릭 사이너스 콘덴싱(Hydraulic Sinus Condensing)이라고 명명하였다. 이는 기존의 오스테오톰 테크닉처럼 치조제에서 접근하는 방법이지만 전혀 새로운 시도였다고 평할 수 있겠다.
그런데, 레온쵠의 방법은 임상가에 따라 몇 가지 단점을 지적하면서 서로 다른 견해를 보여주기도 했다. 상당히 예민한 술식이라는 점과 고속의 핸드피스를 사용함에 따라 필연적으로 함께 자리를 차지하는 냉각수에 대한 오염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 가장 큰 단점이라 하겠다. 특히 골이식재에 대한 이러한 오염은 상악동 속에 이식골과 함께 내제되어 술식 후 지연된 감염을 일으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어떤 경우에는 페기종(emphysema)의 가능성이 우려될 수 있으며, 잔존골이 6~7mm 이상의 경우에서 시행하기에는 핸드피스 헤드의 물분사구 위치에 따라 골가열(bone heating)을 막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
한편, 1990년대 후반 토렐라(Torrella)는 측면 접근의 상악동 시술을 초음파 장치(ultrasonic device)를 이용하여 이전의 방식에 비해 임상적으로 편리함을 보 고 하였다(Torrella F, Pitarch J, Cabanes G, Anita E. Ultrasonic osteotomy for the surgical approach of the maxillary sinus: A technical note.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8;13;697-700. 참조).
그리고 버셀로티(Vercellotti)는 보다 개선된 피에조디바이스(piezoelectric device)를 이용한 상악골 이식에서 보다 편리하고 술식 또한 임상에 적용하기에 수월함을 기존 회전식 기구와 비교하여 설명하였다(Vercellotti T,De Paoli S, Nevins M. The piezoelectric bony window osteotomy and sinus floor elevation: Introduction of a new technique for simplification of the sinus augmentation procedure.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2001;21:561 567. 참조).
2003년 손동석 교수는 이 피에조디바이스를 이용한 상악동 이식케이스를 국내에 소개해서 주목을 받았다(치과임상2002. 참조). 이 피에조디바이스는 연조직, 즉 상악동 막과 닿을 때도 천공이나 찢어질 가능성이 현저히 낮으므로 윈도우 형성 시 그리고 그 후 상악동 막의 거상 시 민감한 상악동 막의 보호에 유리하다고 치과 임상저널에 보고하였다.
여기서 저자는 피에조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악동 이식을 시행하면서도 그 접근방법에 있어 기존의 방법과 달리 임플란트를 식립할 위치에서 접근하는 방식을 시도하여 술자나 환자 모두에게 종래와 비교하여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종합해볼 때, 임플란트 시술을 시행함에 있어, 기존의 상악동 골이식(sinus graft) 시술과 비교해 볼 때 피에조디바이스를 이용한 즉,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의 피에조 팁을 이용하여 치조정 접근법(crestal approach)인 OSC 방법으로 시행한 결과 매우 우수한 결과를 얻은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즉, 환자는 수술부위의 최소화로 인하여 수술 후 붓지 않고 그로 인하여 당연히 동통도 적었고, 또한 광대뼈 하방의 골을 절개하는 방법(window technique)이 아닌 관계로 수술하는 의사도 편하며 수술 부위가 협소하기 때문에 감염의 기회도 훨씬 줄어들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시술 후의 임플란트 성공률도 높아졌으므로 매우 유용한 방법이었다고 평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법이 적용된다 하더라도, 상악동 막에 도달하기 위해 골을 절삭해 들어가는 과정에서 잔존골의 계측을 잘못하거나 혹은 방사선 상에서 보여 지는 수치와 다른 오차로 인해 또한 상악동 막 근처의 골을 절삭하기 위해 과도한 힘을 가한경우 상악동 막에 우발적으로 힘이 가해져서 상악동 막이 천공되는 현상, 상악동 막의 안전을 유지하며 상악동 근처의 뼈를 모두 절삭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악동 막이 상악동 하면의 바닥과 긴밀히 붙어있어 박리가 잘 되지 않는 현상, 또한 상악동 내에 해부학적으로 존재하는 격벽(septum)에 막의 장력을 넘어 가해지는 수직 상방으로의 힘으로 인해 막이 천공되는 현상 등의 일부 문제점이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시술 과정에서의 문제점일 수도 있지만, 특히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의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야기되는 경우가 더욱 많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예컨대, 기존의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의 경우, 물이 끝부분에서 나오도록 한 피에조 팁은 강한 물줄기가 상방에서만 나오는 관계로 상악동 막을 위로 만 밀게 되는데, 상악동 하연에 상악동 막이 견고히 붙어 있는 경우나 막이 얇은 경우에는 막을 위로만 올리는 힘으로 인해 막의 천공이 일어나는 케이스의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막이 약하거나 상악동 하연과 긴밀히 붙어 있을 경우에는 위로만 나오는 물의 수압으로 인해 막이 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부위의 막, 즉 들어 올리고자 하는 막의 위쪽이 아닌 옆쪽 즉, 상악동 아래쪽을 먼저 박리하면 막의 장력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상악동 측벽의 막은 비교적 부착도가 약하므로 이렇게 되면 천공이 일어나는 것을 저지하면서도 막을 쉽게 들어 올릴 수가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따라서 상악동 막이 잘 박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피에조 인서트와 같이 상방으로만 물을 쏘아 막에 가해지는 힘을 증가시키기 보다는 상악동 근처에서 물을 측방으로 쏘아주는(분사하는) 것이 더욱 유리하다 할 수 있으며, 측방이라 하더라도 수평 측방을 포함하여 다양한 각도로 물을 분사하는 것이 유리하다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방으로 분사되는 물은 보조적으로만 사용해야 할 것이며 물의 분사 방향이 상방이라 할지라도 가급적 여러 각도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유리할 것이라 예상된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악동 막이 천공되는 현상이나 상악동 막이 상악동 하면의 바닥과 긴밀히 붙어있어 박리가 잘 되지 않는 현상, 또한 상악동 내에 해부학적으로 존재하는 격벽(septum)에 막의 장력을 넘어 가해지는 수직 상방으로의 힘으 로 인해 막이 천공되는 현상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해소하면서도 상악동의 잔존골에 수직의 홀을 형성하거나 형성된 홀을 확장하기에 용이하여 추후에 골이식재의 충전이 용이해지고, 나아가 결과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률을 종래보다 더욱 높일 수 있는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를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악동 막이 천공되는 현상이나 상악동 막이 상악동 하면의 바닥과 긴밀히 붙어있어 박리가 잘 되지 않는 현상, 또한 상악동 내에 해부학적으로 존재하는 격벽(septum)에 막의 장력을 넘어 가해지는 수직 상방으로의 힘으로 인해 막이 천공되는 현상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해소하면서도 상악동의 잔존골에 수직의 홀을 형성하거나 형성된 홀을 확장하기에 용이하여 추후에 골이식재의 충전이 용이해지고, 나아가 결과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률을 종래보다 더욱 높일 수 있는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조골 쪽으로 절삭되어 삽입되는 인서트 팁의 과도한 삽입 깊이를 제한하여 상악동 막에 과도하고도 우발적인 힘을 방지하여 완벽하게 안전한 시술이 가능한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상악동 막의 거상을 위한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유로가 내부에 구비된 인서트 폴; 및 상기 인서트 폴의 단부에 마련되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물분사구와, 상기 다수의 물분사구와 상기 물공급유로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유로를 구비한 인서트 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서트 팁은 그 외면이 골을 절삭하는 절삭면을 형성하며, 상기 인서트 폴과 연결된 부분이 부분적으로 절취된 구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물분사구는, 상기 인서트 팁의 중앙 또는 하부 영역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측방향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다수의 측방향 물분사구; 및 상기 인서트 팁의 상부 영역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방향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상방향 물분사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방향 물분사구는 다수의 상방향 물분사구이며, 상기 다수의 측방향 물분사구와 상기 다수의 상방향 물분사구는 상기 인서트 팁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간 규칙적인 배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어느 한 측방향 물분사구와 어느 한 상방향 물분사구를 잇는 가상의 물분사 각도는 90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연결유로는, 상기 다수의 측방향 물분사구와 상기 물공급유로를 상호간 연결하는 다수의 측방향 연결유로; 및 상기 다수의 상방향 물분사구와 상기 물공급유로를 상호간 연결하는 다수의 상방향 연결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측방향 연결유로들의 물유동공간과 상기 상방향 연결유로들의 물유동공간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상기 측방향 연결유로들의 물유동공간이 상기 상방향 연결유로들의 물유동공간에 비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방향 연결유로들은 상기 물공급유로 측으로부터 상기 측방향 물분사구 측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거나 커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유로와 맞닿는 상기 다수의 연결유로들의 단부는 상기 물공급유로에 대해 나란한 상태, 교차된 상태 및 경사진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상방향 연결유로의 입구단의 높이는 수평이 아닌 위치에서 상기 다수의 측방향 연결유로의 입구단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인서트 폴에 연결되는 손잡이용 인서트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 폴에 마련되며, 치조골 쪽으로 절삭되어 삽입되는 상기 인서트 팁의 과도한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 폴은, 단부에 상기 인서트 팁이 형성된 워킹 파트(working part); 및 홀딩 파트(holding part)를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홀딩 파트의 단부에 상기 홀딩 파트의 나머지 부분보다 그 반경 방향의 길이가 더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 폴의 워킹 파트와 홀딩 파트는 상호간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 폴의 워킹 파트와 홀딩 파트의 착탈 방식은, 나사 체결 방식, 후크 결합 방식 및 압입 방식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한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인서트 폴의 워킹 파트와 홀딩 파트는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서트 폴과 상기 인서트 폴에 마련되며, 치조골 쪽으로 절 삭되어 삽입되는 상기 인서트 팁의 과도한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악동 막이 천공되는 현상이나 상악동 막이 상악동 하면의 바닥과 긴밀히 붙어있어 박리가 잘 되지 않는 현상, 또한 상악동 내에 해부학적으로 존재하는 격벽(septum)에 막의 장력을 넘어 가해지는 수직 상방으로의 힘으로 인해 막이 천공되는 현상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해소하면서도 상악동의 잔존골에 수직의 홀을 형성하거나 형성된 홀을 확장하기에 용이하여 추후에 골이식재의 충전이 용이해지고, 나아가 결과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률을 종래보다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서트 폴에 스토퍼를 배치함으로써 치조골 쪽으로 절삭되어 삽입되는 상기 인서트 팁의 과도한 삽입 깊이를 제한하여 상악동 막에 과도하고도 우발적인 힘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길이가 다양한 스토퍼를 사용함으로써 완벽하게 안전한 시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들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 1은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식립될 부위로서 치조골의 잔존골이 작아 상악동 골이식이 필요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도면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를 이용하여 상악동 막을 거 상시켜 골이식 충전공간을 형성한 상태의 도면이다.
임플란트 시술 시 참조부호 "P"의 방향으로 임플란트, 보다 구체적으로는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식립하게 된다.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식립한 후에는 픽스츄어가 주변이 뼈와 골융합되도록 일정 시간을 대기한 후, 원하는 상태로 골융합이 이루어지면 픽스츄어에 지대주(abutment)를 결합시킨 후에, 지대주에 최종 보철물을 씌움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시술 과정은 일반적인 경우, 즉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식립될 부위(1)의 치조골(2)이 충분한 경우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별도의 조치 없이 상기의 방법대로 임플란트 시술을 순서대로 진행하면 된다.
하지만, 도 1과 같이,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식립될 부위(1)의 치조골(2)이 충분치 못해, 다시 말해 도 1의 A와 같이 잔존골이 작은(좁은, 폭이 좁은,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상악동(3)의 상악동 막(4)을 도 2와 같은 형태로 거상시켜(들어올려) 골이식 충전공간(5)을 확보한 후에, 이 골이식 충전공간(5)으로 골이식을 수행하여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식립될 수 있는 기반을 다진 후에 상기와 같은 임플란트 시술을 시행해야 한다.
참고로, 상악동(3)이란 주지된 바와 같이 광대뼈 안쪽의 빈 공간을 의미하며, 상악동 막(4)은 상악동(3)의 내면에 붙어있는 얇은 막을 가리킨다.
물론, 이러한 일련의 시술 방법은, 종래에서도 일반적으로 진행되던 방법이다. 하지만, 도 2와 같이, 상악동 막(4)을 거상시켜 골이식 충전공간(5)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10)를 이용하여 치조정 접근법(crestal approach)인 OSC 방법으로 시행해야 하는데,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미도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상악동 막(4)에 도달하기 위해 골을 절삭해 들어가는 과정에서 잔존골의 계측을 잘못하거나 혹은 방사선 상에서 보여 지는 수치와 다른 오차로 인해 또한 상악동 막(4) 근처의 골을 절삭하기 위해 과도한 힘을 가한경우 상악동 막(4)에 우발적으로 힘이 가해져서 상악동 막(4)이 천공되는 현상, 상악동 막(4)의 안전을 유지하며 상악동(3) 근처의 뼈를 모두 절삭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악동 막(4)이 상악동(3) 하면의 바닥과 긴밀히 붙어있어 박리가 잘 되지 않는 현상, 또한 상악동(3) 내에 해부학적으로 존재하는 격벽(septum)에 막의 장력을 넘어 가해지는 수직 상방으로의 힘으로 인해 막이 천공되는 현상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면서도 상악동(3)의 잔존골에 수직의 홀을 형성하거나 형성된 홀을 확장하기에 용이하여 추후에 골이식재의 충전이 용이해지고, 나아가 결과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률을 종래보다 더욱 높일 수 있는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10)를 제안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10)의 제1 실시예에 대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인서트 팁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 트(10)는, 크게 인서트 폴(20), 인서트 팁(30) 및 인서트 바디(40)를 구비한다.
인서트 폴(20)은, 인서트 팁(30) 및 인서트 바디(4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써 얇은 관상체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 폴(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악동(3)으로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절곡된 구조를 갖는다. 절곡 구조는 완전한 "ㄱ"자 절곡 구조여도 좋고 혹은 완만한 절곡 구조여도 좋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후자의 구조를 적용하고 있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인서트 폴(20)은 일자형 막대 구조를 가질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인서트 폴(20)의 내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동 막(4)의 거상을 위한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유로(21)가 형성되어 있다.
인서트 팁(30)의 설명에 앞서 인서트 바디(40)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인서트 바디(40)는 인서트 폴(20)에 연결되어 손잡이로 활용될 수 있는 부분이다.
즉 인서트 바디(40)는 상악동 막(4)의 거상을 위해, 시술자가 파지하는 부분일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인서트 폴(20)의 후단을 잡고 시술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인서트 바디(40)가 반드시 마련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
다만, 본 실시예와 같이, 인서트 바디(40)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시술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와 같이, 인서트 바디(40)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인서트 폴(20)보다는 그 부피를 크게 제작하여 파지하기에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에 더하여 인서트 바디(40)의 측면에 미끌림 방지 수단을 더 마련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미끌림 방지 수단은 패드의 형태나 혹은 홈의 형태 중에서 어떠한 것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참고로,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10)는 골(뼈)을 절삭하면서 물의 분사에 의해 상악동 막(4)을 거상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일정한 동력원이 요구된다.
동력원은 인서트 바디(40)에 충전식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혹은 본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된 피에조 메인장치의 핸드피스(미도시)와의 연결에 의해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가 일반적일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피에조 메인장치에서 발생된 전기적 진동을 전달받아서 기계적으로 진동하는 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한편, 인서트 팁(30)은 실질적으로 도 2와 같이 상악동 막(4)을 거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인서트 팁(30)은 인서트 폴(20)의 단부에 마련되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물분사구(31,32)와, 다수의 물분사구(31,32)와 물공급유로(21)를 해당하는 것끼리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유로(33,34)를 구비한다.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 팁(30)은 실질적으로 도 2와 같이 상악동 막(4)을 거상시키는 부분이다. 이러한 인서트 팁(30)은 그 외면이 골을 절삭하는 절삭면(30a)을 형성하며, 인서트 폴(20)과 연결된 부분이 부분적으로 절취된 구 형상을 갖는다.
물론, 인서트 팁(30)의 형상이 구 형상에 제한될 필요는 없으므로 구 형상과 유사한 타원 형상 등도 인서트 팁(30)의 형상으로 충분히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을 보면, 마치 꽃 봉우리와 같은 형태의 인서트 팁(30)이 도시되어 있으나 아래의 설명과 같은 방식으로 물이 분사될 수만 있다면 도면의 형상에서 벗어나 다양한 형상으로 인서트 팁(30)을 제작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 인서트 팁(30)에 대한 권리범위가 반드시 도면의 형상에 제한을 받을 필요는 없는 것이다.
여기서, 인서트 팁(30)의 외면은 골을 절삭하는 절삭면(30a)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때의 절삭면(30a)이란 선단이 날카롭게 가공된 것을 의미할 뿐 도시된 형상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다시 말해, 인서트 팁(30)의 외면에 형성된 절삭면(30a)의 형상은 도시된 것을 떠나 다양하게 가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서트 팁(3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파인 형태로 가공된 절삭면(30a)을 개시하고 있을 뿐이다.
이러한 구조는 인서트 팁(30)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다. 예컨대, 천공 작업을 임플란트용 드릴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인서트 팁(30)의 외면에 절삭면(30a)이 굳이 형성될 필요는 없다. 이 경우라면, 인서트 팁(30)은 단순히 둥근 형태면 그것으로 충분하며, 그 외면의 적당한 위치에 물분사구(31,32)가 형성되면 된다.
한편, 인서트 팁(30)에 형성된 물분사구(31,32)와 연결유로(33,34)에 대해 살펴보면, 우선 본 실시예의 인서트 팁(30)에서 물분사구(31,32)는 다수 개 마련되고 잇다.
종래 기술의 경우, 하나의 중앙 물분사구(미도시)만이 마련된 경우가 있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물분사구(31,32)를 다수 개 마련하는 경우에는 상악동 막(4)에 가해지는 압력이 일측으로 편중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수의 물분사구(31,32)는 인서트 팁(30)의 중앙 또는 하부 영역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측방향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다수의 측방향 물분사구(31)와, 인서트 팁(30)의 상부 영역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방향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다수의 상방향 물분사구(32)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측방향 물분사구(31)와 상방향 물분사구(32)는 인서트 팁(30)의 둘레 방향을 따라 6개씩 마련되고 있지만, 이의 개수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할 수는 없다. 특히, 상방향 물분사구(32)는 굳이 6개까지 형성할 필요는 없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의 편의성을 위해 6개를 마련하고 있는 것이다.
보다 원활한 상악동 막(4)의 거상을 위해, 즉 상악동 막(4)에 가해지는 물의 압력이 균일해질 수 있도록 측방향 물분사구(31)들과 상방향 물분사구(32)들은 인서트 팁(3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간 규칙적인 배열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배열 구조를 적용하게 될 경우, 물분사(spray)를 전체적으로 보면 상악동 막(4)에 압력을 고르게 주어, 즉 도 5의 점선 아크와 같이 균일한 압력이 제공되기 때문에 단위면적당 막에 가해지는 힘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파스칼의 원리에 충실한 형태가 될 수 있는데, 특히 측방향 물분사구(31)들에 의해 측방향에서 분사되는 물의 압력으로 인해 상악동(3) 하연의 막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상방향 물분사구(32)들에 의한 상방향으로의 물줄기는 상악동 막(4)의 거상용이라기보다는 인서트 팁(30)이 상악동 막(4)에 직접 닿지 않게 하는 역할이 더 크다 할 수 있는데,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또한 구 형상 혹은 타원 형상의 인서트 팁(30)에 측방향 물분사구(31)들과 상방향 물분사구(32)들을 형성함에 있어, 측방향 물분사구(31)와 상방향 물분사구(32)를 잇는 가상의 물분사 각도는 90도 이하로 설계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는 반복 시험에 의해 얻어진 결과로서, 물줄기가 90도 이내의 다양한 각도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시술자 마다 상이한 상악동(3) 하연의 다양한 모양에 모두 다 적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다수의 연결유로(33,34)는, 다수의 측방향 물분사구(31)와 물공급유로(21)를 상호간 연결하는 다수의 측방향 연결유로(33)와, 다수의 상방향 물분사구(32)와 물공급유로(21)를 상호간 연결하는 다수의 상방향 연결유로(34)를 구비한다.
이처럼 다수의 측방향 연결유로(33)와 다수의 상방향 연결유로(34)를 형성함에 있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 연결유로(33)들의 물유동공간이 상방향 연결유로(34)들의 물유동공간에 비해 크게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측방향 연결유로(33)들의 물유동공간과 상방향 연결유로(34)들의 물유동공간이 실질적으로 동일 하도록 형성해도 무방하다.
또한 이에 더하여 특히 측방향 연결유로(33)들은 물공급유로(21) 측으로부터 측방향 물분사구(31) 측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거나 커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물공급유로(21)를 통해 들어온 물이 다수의 측방향 연결유로(33)와 다수의 상방향 연결유로(34)를 통해 다수의 측방향 물분사구(31)와 다수의 상방향 물분사구(32)를 통해 분사될 때 분사되는 물의 양과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방안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분사되는 물이 상방향으로는 비교적 적게 가고 측방향으로는 비교적 많이 가도록 하기 위해 측방향 연결유로(33)는 넓게 형성하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물의 입구 면적을 넓히기 위해 입구의 단면을 경사지게 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비해 상방향 연결유로(34)는 측방향 연결유로(33)에 비해 직경도 좁으며 물이 모이지 않도록 물이 밀려오는 쪽으로 위치되고 있다.
그리고 도 5의 경우, 측방향 연결유로(33)들은 물공급유로(21) 측으로부터 측방향 물분사구(31) 측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것에 대해 도시하고 있는데, 이럴 경우에는 측방향 물분사구(31)를 통해 분사되는 물의 압력이나 속도가 높아지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물공급유로(21)의 형태를 적절하게 조절하게 되면 물의 속도 혹은 파워를 조절하기에 충분한 것이다.
상방향 연결유로(34)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것과 달리, 그 출구의 모양을 달리하면 물이 나오는 형태의 모양을 여러 가지로 변형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본 실시예와 같이 상방향 연결유로(34)를 다수 개로 적용함으로써 상악동 막(4)의 한 곳으로 힘이 집중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물공급유로(21)와 맞닿는 다수의 연결유로(33,34)들의 단부는 물공급유로(21)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특히, 물공급유로(21)로부터 들어오는 물과 만나는 면적을 크게 하여 물이 쉽게 측방향 연결유로(33)들을 통해 측방향으로 나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방향 연결유로(34)의 입구단의 높이를 수평이 아닌 측방향 연결유로(33)들의 입구단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상방향 연결유로(34) 쪽으로 가는 물의 양이 작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물공급유로(21)와 맞닿는 다수의 연결유로(33,34)들의 단부는 물공급유로(21)에 대해 나란한 상태 또는 교차된 상태로 마련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1과 같은 상악동(3)의 조건 하에서 도 2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10)를 배치하면서 동작시키게 되면, 절삭 및 물분사의 유기적인 메커니즘에 의해 상악동 막(4)을 용이하게 거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물분사의 방식이 종래와는 다르게 구현됨에 따라, 상악동 막(4)이 천공되는 현상이나 상악동 막(4)이 상악동(3) 하면의 바닥과 긴밀히 붙어있어 박리가 잘 되지 않는 현상, 또한 상악동(3) 내에 해부학적으로 존재하는 격벽(septum)에 막의 장력을 넘어 가해지는 수직 상방으로의 힘으로 인해 막이 천공되는 현상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해소하면서도 상악동(3)의 잔존골에 수직의 홀을 형성하거나 형성된 홀을 확장하기에 용이하여 추후에 골이식재의 충전이 용이해지고, 나아가 결과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률을 종래보다 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이다.
한편, 도 1과는 다르게 잔존골이 좀 있기는 있으나 부족하여 골이식이 필요한 상태에서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미도시)를 이용하여 뼈를 갈아내면서 상악동 막(4)을 안전하게 노출시키는 시도를 하는 도중, 인서트 팁(30)에 적절치 못한 힘을 가해 상악동 막(4)이 천공되는 경우가 종종 야기된다. 이는 아무리 숙련자라 하더라도 종종 발생될 수 있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무한정 시술자의 경험에만 의존할 수는 없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10a)에 스토퍼(50)를 더 적용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10a)의 경우, 인서트 폴(20)에는 치조골(2, 도 1 및 도 2 참조) 쪽으로 절삭되어 삽입되는 인서트 팁(30)의 과도한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50)가 더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50)의 위치는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는데, 이러한 스토퍼(50)가 마련되는 경우 인서트 팁(30)에 적절치 못한 힘을 가한다 하더라도 스토퍼(50)가 치조골(2)의 외연에 부딪히기 때문에 인서트 팁(30)의 과도한 삽입 깊이가 제한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인서트 팁(30)의 무리한 가압으로 인해 상악동 막(4)이 천공 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스토퍼를 배치함으로써 치조골 쪽으로 절삭되어 삽입되는 상기 인서트 팁의 과도한 삽입 깊이를 제한하여 상악동 막에 과도하고도 우발적인 힘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길이가 다양한 스토퍼를 사용함으로써 완벽하게 안전한 시술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인서트 폴(20)은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단부에 인서트 팁(30)이 형성된 워킹 파트(20a, working part)와, 워킹 파트(20a)와는 분리된 홀딩 파트(20b, holding part)로 나뉠 수 있는데, 이 경우 스토퍼(50)는 홀딩 파트(20a)의 단부에 홀딩 파트(20a)의 나머지 부분보다 그 반경 방향의 길이가 더 크게 마련되어 상기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상호 분리된 워킹 파트(20a)와 홀딩 파트(20b)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호간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이들의 착탈 방식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체결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즉, 워킹 파트(20a)와 홀딩 파트(20b) 중 어느 한 쪽에는 수나사산(S1)을, 그리고 다른 한 쪽에는 암나사산(S2)을 형성시켜 이들 나사산들이 상호 나사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도 6과 같은 어셈블리를 만들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워킹 파트(20a)에 수나사산(S1)을, 그리고 홀딩 파트(20b)에 암나사산(S2)을 형성시키고 있으나,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인서트 폴(20)을 워킹 파트(20a)와 홀딩 파트(20b)와 나누어 제작하고 이들이 나사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도 1의 A 부분의 크기를 미 리 측정한 후, 그에 부합되는 길이를 갖는 워킹 파트(20a)를 선택하여 홀딩 파트(20b)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록 비숙련자라 하더라도 상악동 막(4)의 손상 없이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워킹 파트(20a)와 홀딩 파트(20b)의 착탈 방식은, 통상의 나사 체결 방식을 벗어나 후크 결합 방식 또는 압입 방식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며, 경우에 따라, 워킹 파트(20a)와 홀딩 파트(20b)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경우라도 스토퍼(50)가 형성되도록 하면 그것으로 족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식립될 부위로서 치조골의 잔존골이 작아 상악동 골이식이 필요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도면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를 이용하여 상악동 막을 거상시켜 골이식 충전공간을 형성한 상태의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인서트 팁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식립될 부위 2 : 치조골
3 : 상악동 4 : 상악동 막
5 : 골이식 충전공간 10 :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
20 : 인서트 폴 30 : 인서트 팁
31,32 : 물분사구 33,34 :연결유로
30 : 인서트 팁 40 : 인서트 바디
50 : 스토퍼

Claims (16)

  1. 상악동 막의 거상을 위한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유로가 내부에 구비된 인서트 폴; 및
    상기 인서트 폴의 단부에 마련되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물분사구와, 상기 다수의 물분사구와 상기 물공급유로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유로를 구비한 인서트 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팁은 그 외면이 골을 절삭하는 절삭면을 형성하며, 상기 인서트 폴과 연결된 부분이 부분적으로 절취된 구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물분사구는,
    상기 인서트 팁의 중앙 또는 하부 영역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측방향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다수의 측방향 물분사구; 및
    상기 인서트 팁의 상부 영역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방향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상방향 물분사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방향 물분사구는 다수의 상방향 물분사구이며,
    상기 다수의 측방향 물분사구와 상기 다수의 상방향 물분사구는 상기 인서트 팁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간 규칙적인 배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
  5. 제3항에 있어서,
    어느 한 측방향 물분사구와 어느 한 상방향 물분사구를 잇는 가상의 물분사 각도는 9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연결유로는,
    상기 다수의 측방향 물분사구와 상기 물공급유로를 상호간 연결하는 다수의 측방향 연결유로; 및
    상기 다수의 상방향 물분사구와 상기 물공급유로를 상호간 연결하는 다수의 상방향 연결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측방향 연결유로들의 물유동공간과 상기 상방향 연결유로들의 물유동공간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상기 측방향 연결유로들의 물유동공간이 상기 상방향 연결유로들의 물유동공간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 용 피에조 인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 연결유로들은 상기 물공급유로 측으로부터 상기 측방향 물분사구 측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거나 커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유로와 맞닿는 상기 다수의 연결유로들의 단부는 상기 물공급유로에 대해 나란한 상태, 교차된 상태 및 경사진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한 상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상방향 연결유로의 입구단의 높이는 수평이 아닌 위치에서 상기 다수의 측방향 연결유로의 입구단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
  10. 제1항에 있어서,
    인서트 폴에 연결되는 손잡이용 인서트 바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폴에 마련되며, 치조골 쪽으로 절삭되어 삽입되는 상기 인서트 팁의 과도한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폴은,
    단부에 상기 인서트 팁이 형성된 워킹 파트(working part); 및
    홀딩 파트(holding part)를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홀딩 파트의 단부에 상기 홀딩 파트의 나머지 부분보다 그 반경 방향의 길이가 더 크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폴의 워킹 파트와 홀딩 파트는 상호간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폴의 워킹 파트와 홀딩 파트의 착탈 방식은, 나사 체결 방식, 후크 결합 방식 및 압입 방식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한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폴의 워킹 파트와 홀딩 파트는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
  16. 삭제
KR1020080082066A 2008-08-21 2008-08-21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 KR100889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066A KR100889233B1 (ko) 2008-08-21 2008-08-21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
US13/057,311 US20110143308A1 (en) 2008-08-21 2009-07-24 Piezo insert for implant surgical operation
PCT/KR2009/004142 WO2010021464A2 (ko) 2008-08-21 2009-07-24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066A KR100889233B1 (ko) 2008-08-21 2008-08-21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9233B1 true KR100889233B1 (ko) 2009-03-16

Family

ID=40698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066A KR100889233B1 (ko) 2008-08-21 2008-08-21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143308A1 (ko)
KR (1) KR100889233B1 (ko)
WO (1) WO2010021464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0629A2 (ko) * 2009-03-26 2010-09-30 Yi Tae-Kyoung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
KR101039265B1 (ko) 2009-07-17 2011-06-07 이한우 상악동 막의 거상을 위한 인서트
KR101198082B1 (ko) 2011-08-09 2012-11-0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임플란트용 인공뼈 주입기구
KR20180030600A (ko) * 2015-08-12 2018-03-23 베 운트 하 덴탈베르크 뷔르무스 게엠베하 치과 또는 치과 수술용 초음파 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211B1 (ko) * 2008-06-26 2009-02-18 이달호 상악동 거상 시술용 피조톰
KR102136498B1 (ko) * 2019-11-26 2020-07-21 메디허브 주식회사 상악동 내막 수압 거상기구
USD974558S1 (en) 2020-12-18 2023-01-03 Stryker European Operations Limited Ultrasonic knif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74094A1 (en) 2000-07-03 2002-01-23 Americo Yuiti Katayama Constructive disposition introduced in an auxiliary device applied in dental surgeries for implants
KR100630304B1 (ko) 2006-04-04 2006-10-02 안상훈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
KR100757002B1 (ko) 2007-06-28 2007-09-07 이홍찬 피조디바이스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용 피조 인서트 및피조 패커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7082A (en) * 1953-05-15 1960-08-02 Epstein Herman Crystal driven dental tool
US2787833A (en) * 1955-04-08 1957-04-09 Frank G Reineke Inlay cutting device
DE8233133U1 (de) * 1982-11-25 1983-06-01 Grafelmann, Hans L., 2800 Bremen Zahnmedizinisch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Kieferschlitzen, in die Implantate eingesetzt werden
US5122134A (en) * 1990-02-02 1992-06-16 Pfizer Hospital Products Group, Inc. Surgical reamer
US5242302A (en) * 1992-02-03 1993-09-07 Riehm Vincent J Amalgam condenser tool
DE4447698B4 (de) * 1994-02-27 2005-04-14 Hahn, Rainer, Dr.Med.Dent. Medizinisches Werkzeug
US5484281A (en) * 1994-03-21 1996-01-16 Renow; Alex Showerhead tooth cleansing apparatus
DE69727816T2 (de) * 1996-07-18 2004-08-05 Implant Innovations, Inc., Palm Beach Gardens Motorisch angetriebene osteotomiewerkzeuge zum verdichten von knochengewebe
US5876201A (en) * 1997-08-28 1999-03-02 Wilson; Audrey J. Dental device and methods
EP1110509A1 (en) * 1999-12-21 2001-06-27 Tomaso Vercellotti Surgical device for bone surgery
US6498421B1 (en) * 2001-06-15 2002-12-24 Amega Lab, L.L.C. Ultrasonic drilling device with arc-shaped probe
US6659674B2 (en) * 2001-09-14 2003-12-09 Conair Corporation Oral irrigator and brush assembly
US6722822B2 (en) * 2002-08-20 2004-04-20 The Young Industries, Inc. System for pneumatically conveying bulk particulate materials
ITMI20051172A1 (it) * 2005-06-21 2006-12-22 Fernando Bianchetti "dispositivo chirurgico piezoelettrico e metodo per la preparazione di sito implanta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74094A1 (en) 2000-07-03 2002-01-23 Americo Yuiti Katayama Constructive disposition introduced in an auxiliary device applied in dental surgeries for implants
KR100630304B1 (ko) 2006-04-04 2006-10-02 안상훈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
KR100757002B1 (ko) 2007-06-28 2007-09-07 이홍찬 피조디바이스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용 피조 인서트 및피조 패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0629A2 (ko) * 2009-03-26 2010-09-30 Yi Tae-Kyoung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
WO2010110629A3 (ko) * 2009-03-26 2011-03-03 Yi Tae-Kyoung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
KR101039265B1 (ko) 2009-07-17 2011-06-07 이한우 상악동 막의 거상을 위한 인서트
KR101198082B1 (ko) 2011-08-09 2012-11-0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임플란트용 인공뼈 주입기구
KR20180030600A (ko) * 2015-08-12 2018-03-23 베 운트 하 덴탈베르크 뷔르무스 게엠베하 치과 또는 치과 수술용 초음파 툴
KR102019304B1 (ko) 2015-08-12 2019-09-06 베 운트 하 덴탈베르크 뷔르무스 게엠베하 치과 또는 치과 수술용 초음파 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1464A2 (ko) 2010-02-25
WO2010021464A3 (ko) 2010-05-06
US20110143308A1 (en)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233B1 (ko)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
JP5162663B2 (ja) 上顎洞膜挙上用ドリル
US75103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axillary sinus elevation
CN102341059B (zh) 植牙用一体型牙槽骨切开撑开器
KR100884211B1 (ko) 상악동 거상 시술용 피조톰
US20090181343A1 (en) Flexible tooling for use in maxillary sinus elevation procedure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02584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nus lift procedure
US8702423B2 (en) Cortical drilling
KR20090096767A (ko)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지그
WO2012075614A1 (zh) 一种头部帶有凸缘的种植体
US8226409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ntal implant installation
US20150182311A1 (en) Oval platform dental implant system and its components
TW201302167A (zh) 直接調節上頜竇粘膜能夠使上頜竇粘膜向所需的方向安全地提升到所需程度的安全上頜竇粘膜提升器及利用該安全上頜竇粘膜提升器的手術方法
US20090069834A1 (en) Auxiliary tool for formation of implant pre-hole
Chen et al. A one-drill system for predictable osteotomy and immediate implant placement
Biglioli et al. Repair of a perforated sinus membrane with a palatal fibromucosal graft: a case report
US20110295294A1 (en) Ultrasonic tip for minimally invasive crown lengthening
KR20100119593A (ko) 치조골 두께 측정자
KR101254650B1 (ko) 상악동막 수동 거상기구
KR101027579B1 (ko) 안전한 상악동 거상을 위한 골조직 확공기
KR20210010024A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키트
US20110244428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dental implants
US20230141066A1 (en) Dental implant to be placed in the posterior upper jaw
US20230372067A1 (en) Dental implant for preserving bone and improving osseointegration
KR100936678B1 (ko) 임플란트 수술용 잇몸 및 점막 견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