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7967B1 - Transfer device fir moving cart system - Google Patents

Transfer device fir moving car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7967B1
KR100887967B1 KR1020070105531A KR20070105531A KR100887967B1 KR 100887967 B1 KR100887967 B1 KR 100887967B1 KR 1020070105531 A KR1020070105531 A KR 1020070105531A KR 20070105531 A KR20070105531 A KR 20070105531A KR 100887967 B1 KR100887967 B1 KR 100887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rail
lifting
frame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5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균
나광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5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796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9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41/00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according to classes B21, B23, or B24
    • B23Q41/02Features relating to transfer of work between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A transfer apparatus of the system for transferring cart is provided to prevent the lifting table from being turned over since the obstacle on the transfer rail is sensed by the obstacle detection means. A transfer apparatus of the system for transferring cart comprises an obstacle detection means. The obstacle detection means is formed in the both bottom sides of the transfer frame(31) corresponding to each transfer roller(53). The obstacle detection means senses the obstacle on the transfer rail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The obstacle detection means includes a sensing plate which one side of the mounting bracket is hinged to, and which the upper end is always contacted with the detection roller of the limit switch, a spring rod which one side of the sensing plate is inserted to, a spring which is inserted in the spring rod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down side of the sensing plate.

Description

대차 이송 시스템의 트랜스퍼 장치{TRANSFER DEVICE FIR MOVING CART SYSTEM}TRANSFER DEVICE FOR BALANCE TRANSFER SYSTEM {TRANSFER DEVICE FIR MOVING CART SYSTEM}

본 발명은 대차 이송 시스템의 트랜스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를 이송하는 대차 이송 시스템의 샤시라인에서 의장라인으로 대차를 자동으로 이동시켜 주는 대차 이송 시스템의 트랜스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apparatus of a balance transfer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nsfer apparatus of a balance transfer system for automatically moving a balance from a chassis line of a balance transfer system for transferring a vehicle body to a design line.

일반적으로 자동차 메이커에서 자동차를 생산하기까지의 모든 양산라인은 2만 여개의 부품을 수많은 조립공정을 통하여 조립함으로써 이루어진다.In general, all mass production lines from automobile makers to automobiles are made by assembling 20,000 parts through numerous assembly processes.

이러한 차량의 양산라인에서, 특히, 샤시라인과 의장라인은 차체를 이송하기 위하여 대차를 운용하는 대차 이송 시스템을 적용한다.In mass production lines of such vehicles, in particular, the chassis line and the design line apply a trolley transfer system that operates a trolley to transfer the body.

도 1은 일반적인 버스 차량의 샤시라인과 의장라인을 도시한 개념도로써, 샤시라인(L1)에서는 버스 차체의 각부를 용접하거나 샤시부품을 조립하게 되며, 의장라인(L2)에서는 차체의 각종 전장부품 등을 장착하게 된다. FIG. 1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chassis line and a design line of a general bus vehicle. In the chassis line L1, each part of a bus body is welded or a chassis part is assembled. Will be fitted.

그런데, 종래의 대차 이송 시스템은 상기한 샤시라인(L1)의 공정작업을 완료한 버스 차체를 샤시라인(L1)에 나란히 배치되는 의장라인(L2)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별도의 트랜스퍼 장치(T)를 적용하게 되나, 종전의 오버헤드 행거(미도시)나 드 롭 리프트(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버스 차체를 이송하기에는 버스 차체의 중량이 너무 커서 장비의 내구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버스 차체의 크기가 과대하여 이송장비의 설치공간 및 장비의 사이즈가 너무 커지는 단점이 있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bogie transfer system is to move the bus body that has completed the process of the chassis line (L1) to a separate transfer device (T) to move to the design line (L2)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chassis line (L1). However, the weight of the bus body is too large to transfer the bus body using a conventional overhead hanger (not shown) or a drop lift (not show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transfer equipment and the size of the equipment is too large.

이에 따라, 차체를 이송하는 대차 이송 시스템의 샤시라인(L1)에서 의장라인(L2)으로 대차(C)를 간편하게 자동 이동시켜 주는 별도의 트랜스퍼 장치(T)의 개발이 요구된다. 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a separate transfer device (T) for easily and automatically moving the cart (C) from the chassis line (L1) of the balance transfer system for transferring the vehicle body to the design line (L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에 의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면의 샤시라인과 의장라인의 각 이송레일을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배치되는 트랜스퍼 레일로 연결하고, 피딩유닛을 통하여 샤시라인의 이송레일로부터 대차를 공급받아 리프팅유닛을 통하여 상승시킨 상태로, 주행유닛을 통하여 트랜스퍼 레일을 따라 주행하여 다시 의장라인에서 하강한 후, 의장라인 상의 이송레일로 자동 투입시켜 주는 대차 이송 시스템의 트랜스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by the above-described demand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each conveying rail of the chassis line and the design line of the bottom surface with a transfer rail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and to feed the feeding unit. The truck is supplied from the conveying rail of the chassis line and raised through the lifting unit, and it moves along the transfer rail through the traveling unit, descends from the design line again, and automatically feeds the conveyance rail on the design line. It is to provide a transfer device of the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랜스퍼 레일 상의 장애물을 자동 감지하여 대차의 전복 및 탈선을 방지하며, 리프팅유닛의 동력 전달축 파손을 감지하여 리프팅 테이블의 전복을 방지하고, 유지 보수를 위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대차 이송 시스템의 트랜스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detect obstacles on the transfer rail to prevent overturning and derailment of the truck, to detect the breakage of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of the lifting unit to prevent the overturning of the lifting table, and save time and cost for maintenance It is to provide a transfer device of the balance transfer system to enabl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 공정을 따라 바닥면에 종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샤시라인의 이송레일과 의장라인의 이송레일을 연결하여 차체를 로딩한 대차를 샤시라인의 이송레일로부터 의장라인의 이송레일로 이동시켜 주는 대차 이송 시스템의 트랜스퍼 장치에 있어서,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nnected to the conveying rail of the chassis line and the design line of the chassis lin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each process to load the car body loaded bogie from the chassis of the conveying rail In the transfer device of the bogie conveying system to move to the conveying rail of the line,

상기 샤시라인의 이송레일 선단의 바닥면 하부에 베이스 프레임을 통하여 구성되며, 횡방향으로 주행레일을 갖는 리프팅 테이블을 모터구동에 의해 승하강시키는 제1리프팅유닛; 상기 의장라인의 이송레일 선단의 바닥면 하부에 베이스 프레임 을 통하여 구성되며, 횡방향으로 주행레일을 갖는 리프팅 테이블을 모터구동에 의해 승하강시키는 제2리프팅유닛; 상기 제1리프팅유닛과 제2리프팅유닛 사이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리프팅유닛과 제2리프팅유닛의 각 주행레일을 연결하는 트랜스퍼 레일; 상기 샤시라인 및 의장라인의 각 이송레일에 일치되도록 상부면 중앙 양측에 종방향으로 피딩레일을 구비하여 상기 대차가 반입 또는 반출되는 트랜스퍼 프레임; 상기 트랜스퍼 프레임의 내부에 구성되며, 클램퍼를 통하여 상기 대차 상의 일측을 규제한 상태로, 모터구동에 의해 상기 샤시라인의 이송레일로부터 트랜스퍼 프레임으로 대차를 반입하거나, 상기 트랜스퍼 프레임으로부터 의장라인의 이송레일로 대차를 반출하는 피딩유닛; 상기 트랜스퍼 프레임의 하부에 구성되며, 모터구동에 의해 트랜스퍼 롤러를 구동하여 상기 제1,제2리프팅유닛의 주행레일과 트랜스퍼 레일을 따라 트랜스퍼 프레임을 이송하도록 주행하는 주행유닛을 포함한다.A first lifting unit configured to be lowered by a motor driving a lifting table configured to have a running rail in a transverse direction through a base frame under the bottom surface of the tip of the transfer rail of the chassis line; A second lifting unit configured to lift and lower a lifting table having a running rail in a transverse direction by a motor drive, the base frame being disposed under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transfer rail of the design line; A transfer rail disposed on a predetermined height from a bottom surface between the first lifting unit and the second lifting unit to connect the traveling rails of the first lifting unit and the second lifting unit; A transfer frame having a feeding ra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a center of an upper surface thereof so as to correspond to each transfer rail of the chassis line and the design line; It is configured inside the transfer frame, and one side of the trolley is regulated through a clamper, and the trolley is brought into the transfer frame from the transfer rail of the chassis line by a motor drive, or the transfer rail of the design line from the transfer frame. Feeding unit for carrying out the balance to the; It is configur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fer frame, and includes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transfer roller to drive the transfer frame along the running rail and the transfer rail of the first, second lifting unit by a motor drive.

상기 각 트랜스퍼 롤러에 대응하여 트랜스퍼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트랜스퍼 레일 상의 장애물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기로 출력하는 장애물감지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장애물감지수단은 상기 각 트랜스퍼 롤러에 대응하는 트랜스퍼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 상기 장착 브라켓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 상기 장착 브라켓의 중앙 일측에 힌지 브라켓을 통하여 일측이 힌지 체결되고, 상단은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감지롤러에 상시 접촉되는 감지판; 상기 장착 브라켓의 하부 일측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감지판의 일측이 끼워져 설치되는 스프링 봉; 상기 스프링 봉에 끼워져 상기 감지판의 하부 일측 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transfer rollers, the lower side of the transfer frame includes obstacle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n obstacle on the transfer rail and outputting a signal to a controller, wherein the obstacle detecting means includes a transfer frame corresponding to each transfer roller. Mounting brackets mounted on both lower sides thereof; A limit switch installed at an upper side of the mounting bracket; A sensing plate having one side hinged to the center one side of the mounting bracket through a hinge bracket, and an upper end of which is constantly in contact with the sensing roller of the limit switch; A spring rod mounted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mounting bracket and fitted with one side of the detection plat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pring inserted into the spring rod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sensing plate.

그리고 상기 제1리프팅유닛 또는 제2리프팅유닛에는 각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축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동력 전달축의 파손을 감지하는 축 파손감지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축 파손감지수단은 상기 각 동력 전달축의 선단에 장착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각도로 다수개의 감지도그를 설치하여 상기 동력 전달축과 함께 회전하는 도그 휠; 상기 도그 휠의 감지도그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감지도그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기로 출력하는 근접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lifting unit or the second lifting unit includes a shaft breakage detecting means configured to detect breakage of the power transfer shaft, which is configured between a power transmission shaft for transmitting power and the base frame, wherein the shaft breakage detecting means includes: A dog wheel mounted at the front end of each of the power transmission shafts and installed with a plurality of sensing dogs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rotate together with the power transmission shafts; And a proximity sensor mounted on one side of the base frame in response to a detection dog of the dog wheel to detect the detection dog and output a signal to a controller.

또한, 상기 제1리프팅유닛 및 제2리프팅유닛은 상기 샤시라인 및 의장라인의 각 이송레일 선단의 바닥면 하부에 구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중앙에 구성되는 리프팅모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베이스 프레임과 다수개의 링크바로 연결되며, 상부면에는 횡방향으로 주행레일을 구성하는 리프팅 테이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각 모서리부에 2개를 한 조로 하여 구성되며, 상기 리프팅모터와 동력 전달축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리프팅 테이블을 승하강 구동시키는 승하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lifting unit and the second lifting unit may include a base frame which is formed under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end of each conveyance rail of the chassis line and the design line; A lifting motor configured at an upper center of the base frame; A lifting tabl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and connected to the base frame by a plurality of link bars, the upper surface comprising a lifting rail configured in a transverse direction; It is composed of a pair of two in each corner portion of the bas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motor is connected via a power transmission shaft and the lifting means for driving the lifting table in relation to the base frame.

여기서,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리프팅 테이블의 하부면 각 모서리부에 하향하여 설치되는 스파이럴 축;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 각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상기 각 스파이럴 축이 치합되며, 상기 동력 전달축과 연결되어 회전 구동하는 스파이럴 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Here, the lifting means is a spiral shaft which is installed downward on each corn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ifting table; It is installed in each corn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is meshed with each spiral shaft, it is made of a spiral housing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and rotationally driven.

그리고 상기 피딩유닛은 상기 트랜스퍼 프레임의 상부 후방 일측에 구성되며, 회전축에는 구동 스프로킷이 장착되는 피딩모터; 상기 트랜스퍼 프레임의 내부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되어 상호 피딩체인으로 연결되는 전,후방 아이들 스프로킷; 상기 후방 아이들 스프로킷과 회전축으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 스프로킷과 구동체인으로 연결되는 피동 스프로킷; 상기 피딩체인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대차의 일측을 규제하여 가이더를 따라 트랜스퍼 프레임의 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대차를 트랜스퍼 프레임 상에 반입하거나 반출하는 클램퍼로 이루어진다.And the feeding unit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upper rear of the transfer frame, the feeding shaft is mounted to the rotating shaft drive sprocket; Front and rear idle sprockets which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inner front and the rear of the transfer frame and connected to the mutual feeding chains; A driven sprocket connected to the rear idle sprocket and a rotation shaft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sprocket and a driving chain; It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feeding chain is configured to clamp one side of the trolley to move the front and rear of the transfer frame along the guider, and to carry in or take out the trolley on the transfer frame.

상기 주행유닛은 상기 트랜스퍼 프레임의 내부 후방 일측에 구성되며, 회전축에는 구동 스프로킷이 장착되는 주행모터; 상기 트랜스퍼 프레임의 하부 전후방 양측에 구성되어 제1,제2리프팅유닛의 각 주행레일과 트랜스퍼 레일을 따라 구름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트랜스퍼 롤러; 상기 양측 전후방의 트랜스퍼 롤러를 각각 연결하며, 각각은 양단부에서 상호 스프로킷을 통하여 체인 연결되는 동력축; 상기 일측의 동력축 상에 피동 스프로킷을 구성하고, 상기 구동 스프로킷와 피동 스프로킷을 상호 연결하는 주행체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ing unit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inner rear of the transfer frame, the driving motor is mounted to the rotating shaft drive sprocket; Transfer rollers formed on both front and rear sides of the transfer frame and configured to make rolling contact with each running rail of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units along the transfer rail; A power shaft connecting the transfer rollers of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each of which is chained through a sprocket at each end; A driving sprocket is formed on the power shaft of the one side, and the driving sprocket and the driving sprocke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대차 이송 시스템의 트랜스퍼 장치에 의하면, 바닥면의 샤시라인과 의장라인의 각 이송레일을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배치되는 트랜스퍼 레일로 연결하고, 피딩유닛을 통하여 샤시라인의 이송레일로부터 대차를 공급받아 리프팅유닛을 통하여 상승시킨 상태로, 주행유닛을 통하여 트랜스퍼 레일을 따라 주행하여 다시 의장라인에서 하강한 후, 의장라인 상의 이송레일로 자동 투입시켜 주도록 구성하여 대차 이송 시스템의 샤시라인에서 의장라인으로 대차를 간편하게 자동 이동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transfer apparatus of the trolley | bogie convey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the chassis line of a bottom surface and each conveyance rail of a design line are connected with the transfer rail arrange |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a floor surface, and a chassis line is provided through a feeding unit. Balanced conveying system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truck from the conveying rail of the lifter and ascend through the lifting unit, drive along the transfer rail through the traveling unit, descend from the chairman line, and automatically put it into the conveyer rail on the chairman line. It has the effect of easily and automatically moving the truck from the chassis line to the design line.

또한, 종전의 오버헤드 행거나 드롭 리프트 등을 배제하여 버스 차체와 같이, 중량이 큰 차체에 대해서도 그 내구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그 설치공간 및 장비의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not possible to guarantee the durability of a heavy vehicle body, such as a bus body by eliminating the conventional overhead hang or drop lif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ize of the installation space and equipment.

또한, 본 발명의 대차 이송 시스템의 트랜스퍼 장치는 트랜스퍼 레일 상의 장애물을 자동 감지하여 대차의 전복 및 탈선을 방지하며, 리프팅유닛의 동력 전달축 파손을 감지하여 리프팅 테이블의 전복을 방지하는 등, 유지 보수를 위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ransfer device of the trolley convey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detects obstacles on the transfer rail to prevent overturning and derailment of the trolley, and by detecting the breakage of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of the lifting unit to prevent overturning of the lifting table. There is an effect to save time and money for.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 장치의 정면 구성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 장치의 리프팅유닛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2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of a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nd 4 are a side view and a plan view of a lifting unit of th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 장치의 부분 측면도, 부분 정면도 및 부분 평면도이다.5 to 7 are partial side views, partial front views, and partial plan views of a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 시스템의 트랜스퍼 장치는 각 공정을 따라 바닥면에 종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샤시라인(L1)의 이송레일과 의장라인(L2)의 이송레일을 연결하여 차체(1)를 로딩한 대차(C)를 샤시라인(L1)의 이송레일로부터 의장 라인(L2)의 이송레일로 이동시켜 주게 된다. The transfer apparatus of the bogie convey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nects the conveying rail of the chassis line (L1) and the conveying rail of the design line (L2)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bottom surface according to each process to connect the vehicle body (1) The loaded cart C is moved from the transfer rail of the chassis line L1 to the transfer rail of the design line L2.

이러한 트랜스퍼 장치(T)의 구성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샤시라인(L1)의 이송레일 선단의 바닥면 하부에 베이스 프레임(BF)을 통하여 제1리프팅유닛(LU1)이 구성되고, 상기 의장라인(L2)의 이송레일 선단의 바닥면 하부에는 베이스 프레임(BF)을 통하여 제2리프팅유닛(LU2)이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2, the transfer device T includes a first lifting unit LU1 formed through the base frame BF at the bottom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transfer rail of the chassis line L1. The second lifting unit LU2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of the transfer rail of the design line L2 through the base frame BF.

상기 제1리프팅유닛(LU1) 및 제2리프팅유닛(LU2)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샤시라인(L1) 및 의장라인(L2)의 각 이송레일 선단의 바닥면 하부에 상기한 베이스 프레임(BF)이 구성된다. The first lifting unit LU1 and the second lifting unit LU2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a specific configuration thereof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transfer rails of the chassis line L1 and the design line L2. One base frame BF is constructed.

상기 각 베이스 프레임(BF)의 상부 중앙에는, 도 3과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팅모터(11)가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BF)의 상부에는 리프팅 테이블(13)이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BF)과의 사이에 양측부와 양측 중앙이 각각 링크바(15)로 연결된다. As shown in FIGS. 3 and 4, a lifting motor 11 is configured at an upper center of each base frame BF, and a lifting table 13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BF. Both side portions and both center portions thereof are connected to the base frame BF by link bars 15, respectively.

상기한 리프팅 테이블(13)은 그 상부면에 횡방향으로 2개의 주행레일(17)을 구성한다. The lifting table 13 constitutes two running rails 17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its upper surface.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BF)의 각 모서리부에는 2개를 한 조로 하여 승하강수단(19)이 구성되어 상기 리프팅모터(11)와 동력 전달축(21)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BF)에 대하여 리프팅 테이블(13)을 승하강 구동시키게 된다.And each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base frame (BF) is a pair of two lifting means 19 is configured through the lifting motor 11 and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21 is connected to the base frame (BF) The lifting table 13 is driven up and down relative to the lifting table 13.

즉, 상기 승하강수단(19)은 상기 리프팅 테이블(13)의 하부면 각 모서리부에 하향하여 스파이럴 축(23)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BF)의 상부면 각 모서리부에는 스파이럴 하우징(25)이 설치되어 상기 각 스파이럴 축(23)이 스파이럴 하 우징(25)에 치합되어 설치된다. That is, the elevating means 19 is provided with a spiral shaft 23 is installed downward in each corn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ifting table 13, the spiral housing (on each corn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BF) 25) is installed so that each of the spiral shaft 23 is engaged with the spiral housing 25 is installed.

상기 스파이럴 하우징(25)은 상기 동력 전달축(21)을 통하여 리프팅모터(11)와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된다. The spiral housing 25 is connected to the lifting motor 11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21 and configured to receive a rotational driving force.

그리고 상기 제1리프팅유닛(LU1)과 제2리프팅유닛(LU2) 사이에는 트랜스퍼 레일(27)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리프팅유닛(LU1)과 제2리프팅유닛(LU2)의 각 주행레일(17)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a transfer rail 27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lifting unit LU1 and the second lifting unit LU2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a bottom surface, so that the first lifting unit LU1 and the second lifting unit LU2 are disposed. Each running rail 17 of is configured to connect with each other.

또한,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샤시라인(L1) 및 의장라인(L2)의 각 이송레일에 일치되도록 상부면 중앙 양측에 종방향으로 피딩레일(29)을 구비하는 트랜스퍼 프레임(31)이 구비되는데, 상기 트랜스퍼 프레임(31)에는 상기 피딩레일(29)을 따라 대차(C)가 반입 또는 반출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5 to 7, the transfer frame having a feeding rail 29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to match the respective conveying rails of the chassis line (L1) and the design line (L2) A 31 is provided, and the transfer frame 31 is configured to carry or unload the cart C along the feeding rail 29.

한편, 상기 트랜스퍼 프레임(31)의 내부에는 피딩유닛(33)이 구성되는데, 상기 피딩유닛(33)은 클램퍼(35)를 통하여 상기 대차(C) 상의 일측을 규제한 상태로, 모터구동에 의해 상기 샤시라인(L1)의 이송레일로부터 트랜스퍼 프레임(31)으로 대차(C)를 반입하거나, 상기 트랜스퍼 프레임(31)으로부터 의장라인(L2)의 이송레일로 대차(C)를 반출하도록 구성된다. Meanwhile, a feeding unit 33 is configured inside the transfer frame 31, and the feeding unit 33 is in a state of restricting one side on the trolley C through the clamper 35 by driving the motor. The trolley | bogie C is carried in to the transfer frame 31 from the conveyance rail of the chassis line L1, or the trolley | bogie C is carried out from the transfer frame 31 to the conveyance rail of the design line L2.

이러한 피딩유닛(33)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트랜스퍼 프레임(31)의 상부 후방 일측에 피딩모터(37)가 구성되며, 이 피딩모터(37)의 회전축에는 구동 스프로킷(39)이 장착된다. In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feeding unit 33, the feeding motor 37 is configur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transfer frame 31, and the driving sprocket 39 is mount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feeding motor 37.

또한, 상기 트랜스퍼 프레임(31)의 내부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전방 아이들 스프로킷(41)과 후방 아이들 스프로킷(43)이 구성되어 상호 피딩체인(45)으로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In addition, a front idle sprocket 41 and a rear idle sprocket 43 are respectively formed at the inner front and the rear of the transfer frame 31 so as to be capable of power transmission to the mutual feeding chain 45.

여기서, 상기 후방 아이들 스프로킷(43)의 회전축 타단에는 피동 스프로킷(미도시)이 장착되며, 이 피동 스프로킷(미도시)은 상기 구동 스프로킷(39)과 구동체인(47)으로 상호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Here, a driven sprocket (not shown) is mounted at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rear idle sprocket 43, and the driven sprocket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drive sprocket 39 and the drive chain 47 so as to mutually transmit power. do.

상기 피딩체인(45)의 일측에는 상기 대차(C)의 일측을 규제하여 가이더(49)를 따라 트랜스퍼 프레임(31)의 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대차(C)를 트랜스퍼 프레임(31) 상에 반입하거나 반출하는 클램퍼(35)가 장착된다. One side of the feeding chain 45 regulates one side of the trolley C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of the transfer frame 31 along the guider 49, and carry the trolley C on the transfer frame 31. A clamper 35 for carrying out is mounted.

그리고 상기 트랜스퍼 프레임(31)의 하부에는 주행유닛(51)이 구성되는데, 상기 주행유닛(51)은 모터구동에 의해 트랜스퍼 롤러(53)를 구동하여 상기 제1,제2리프팅유닛(LU1,LU2)의 주행레일(17)과 트랜스퍼 레일(27)을 따라 트랜스퍼 프레임(31)을 이송하여 주행시키게 된다.In addition, a driving unit 51 is formed below the transfer frame 31, and the driving unit 51 drives the transfer roller 53 by motor driving to drive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units LU1 and LU2. The transfer frame 31 is transported and driven along the running rail 17 and the transfer rail 27.

상기한 주행유닛(51)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트랜스퍼 프레임(31)의 내부 후방 일측에 주행모터(55)가 구성되며, 이 주행모터(55)의 회전축에는 구동 스프로킷(57)이 장착된다. In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traveling unit 51, a traveling motor 55 is configured at one rear side of the transfer frame 31, and a driving sprocket 57 is mounted on the rotation shaft of the traveling motor 55.

또한, 상기 트랜스퍼 프레임(31)의 하부 전후방 양측에는 트랜스퍼 롤러(53)가 구성되어 제1,제2리프팅유닛(LU1,LU2)의 각 주행레일(17)과 트랜스퍼 레일(27)을 따라 구름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ransfer rollers 53 are formed on both front and rear sides of the transfer frame 31 to contact the rolling rails 17 and the transfer rails 27 of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units LU1 and LU2. It is configured to.

상기 양측 전후방의 트랜스퍼 롤러(53)는 각각 동력축(59)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며, 양측 동력축(59)은 그 양단부에서 상호 스프로킷(S)을 통하여 체인(61) 연결되어 동력 전달 가능하게 구성된다. The transfer rollers 53 at both front and rear sid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power shaft 59, and both power shafts 59 are connected to the chain 61 through mutual sprockets S at both ends thereof to be configured to transmit power. do.

또한, 상기 일측의 동력축(59) 상에는 피동 스프로킷(63)이 구성되고, 이 피동 스프로킷(63)은 상기 구동 스프로킷(57)와 상호 주행체인(65)으로 연결되어 주행모터(55)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a driven sprocket 63 is configured on the power shaft 59 of the one side, and the driven sprocket 63 is connected to the driving sprocket 57 and the mutual driving chain 65 to rotate the driving motor 55. It is configured to receive.

그리고 상기 각 트랜스퍼 롤러(53)에 대응하여 트랜스퍼 프레임(31)의 하부 양측에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트랜스퍼 레일(27) 상의 장애물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기(미도시)로 출력하는 장애물감지수단(A)이 구성된다.In addition,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transfer rollers 53,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fer frame 31, as shown in FIG. 8, an obstacle on the transfer rail 27 is detected and the signal is output to a controller (not shown). Obstacle detecting means (A) is configured.

상기 장애물감지수단(A)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각 트랜스퍼 롤러(53)에 대응하는 트랜스퍼 프레임(31)의 하부 양측에 각각 장착 브라켓(71)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 브라켓(71)의 상부 일측에는 리미트 스위치(72)가 설치되며, 상기 장착 브라켓(71)의 중앙 일측에는 힌지 브라켓(73)을 통하여 감지판(74)의 일측이 힌지 체결되고, 이 감지판(74)의 상단은 상기 리미트 스위치(72)의 감지롤러(75)에 상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In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obstacle detecting means (A), the mounting brackets 71 are mount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transfer frame 31 corresponding to the transfer rollers 53, respectively, and on the upper one side of the mounting brackets 71. A limit switch 72 is installed, and one side of the sensing plate 74 is hinged to a central one side of the mounting bracket 71 through a hinge bracket 73, and an upper end of the sensing plate 74 is the limit switch. Maintains contact with the sensing roller 75 of 72 at all times.

또한, 상기 장착 브라켓(71)의 하부 일측에는 스프링 봉(76)이 장착되는데, 상기 스프링 봉(76)에는 상기 감지판(74)의 일측이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 봉(76)에는 스프링(77)이 끼워져 상기 감지판(74)의 하부 일측을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 spring rod 76 is mounted on one lower side of the mounting bracket 71, and one side of the sensing plate 74 is fitted to the spring rod 76, and a spring (76) is provided on the spring rod 76. 77 is inserted and configured to elastically support a lower side of the sensing plate 74.

여기서, 상기 스프링(77)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감지판(74)이 트랜스퍼 레일(27) 상의 장애물에 의해 밀리게 되면, 상기 감지판(74)의 상단이 상기 리미트 스위치(72)의 감지롤러(75)와 상시 접촉된 상태가 풀리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리미트 스위치(72)는 장애물 감지신호를 제어기로 출력 하도록 이루어진다.Here, the spring 77 is preferably made of a coil spring, if the sensing plate 74 is pushed by an obstacle on the transfer rail 27, the upper end of the sensing plate 74 is the limit switch 72 In this case, the state in which the sensor roller 75 is normal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released. Accordingly, the limit switch 72 is configured to output an obstacl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그리고 상기 제1리프팅유닛(LU1)과 제2리프팅유닛(LU2)에는,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축(2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BF) 사이에 동력 전달축(21)의 파손을 감지하는 축 파손감지수단(B)이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power is transmitted to the first lifting unit LU1 and the second lifting unit LU2 between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21 and the base frame BF for transmitting the respective powers. A shaft breakage detecting means (B) for detecting breakage of the shaft 21 is configured.

상기 축 파손감지수단(B)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각 동력 전달축(21)의 선단에 도그 휠(81)이 장착되는데, 이 도그 휠(81)은 그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각도로 다수개의 감지도그(82)를 설치하여 상기 동력 전달축(21)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shaft breakage detecting means (B) is a dog wheel 81 is mounted on the tip of each of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21, the dog wheel 81 is a plurality of sensing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dog 82 is configur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21.

또한, 상기 도그 휠(81)의 감지도그(82)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BF) 상의 일측에는 센서 브라켓(83)을 통하여 근접센서(84)가 장착되는데, 상기 근접센서(84)는 상기 감지도그(82)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기(미도시)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proximity sensor 84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base frame BF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dog 82 of the dog wheel 81 through the sensor bracket 83, and the proximity sensor 84 is the The sensing dog 82 is configured to sense and output the signal to a controller (not shown).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대차 이송 시스템의 트랜스퍼 장치의 작동은, 도 10을 통하여 설명한다. Therefore, operation of the transfer apparatus of the trolley | bogie conveyance system which has a structure as mentioned above is demonstrated through FIG.

먼저, 샤시라인(L1)의 각 공정작업을 완료한 차체(1)는 대차(C)를 통하여 샤시라인(L1)의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승 작동한 제1리프팅유닛(LU1)의 리프팅 테이블(13) 상의 트랜스퍼 프레임(31) 상부로 반입된다.(S1) First, the vehicle body 1 that has completed each process work of the chassis line L1 moves along the conveyance rail of the chassis line L1 through the bogie C, and lifts the first lifting unit LU1 that has been lifted up. It is carried in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frame 31 on the table 13. (S1)

이때, 상기 제1리프팅유닛(LU1)의 리프팅 테이블(13) 상에 위치된 트랜스퍼 프레임(31) 상부로 대차(C)가 반입되는 작동은 피딩유닛(33)의 클램퍼(35)가 대 차(C)의 하부 일측을 규제한 상태로 피딩모터(37)가 구동하면, 대차(C)는 트랜스퍼 프레임(31) 상의 피딩레일(29)을 따라 반입된다.(S2)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carrying the cart C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fer frame 31 located on the lifting table 13 of the first lifting unit LU1 is performed by the clamper 35 of the feeding unit 33. When the feeding motor 37 is driven with the lower one side of C) regulated, the cart C is carried along the feeding rail 29 on the transfer frame 31. (S2)

이러한 상태로, 상기 주행유닛(51)의 주행모터(55)가 구동하면, 트랜스퍼 프레임(31) 하부의 각 트랜스퍼 롤러(53)가 구동하여 제1리프팅유닛(LU1)의 주행레일(17)과 트랜스퍼 레일(27)을 따라 트랜스퍼 프레임(31)이 이동하여(S3), 대차(C)를 로딩한 트랜스퍼 프레임(31)을 상승한 제2리프팅유닛(LU2)의 리프팅 테이블(13) 상의 주행레일(17)까지 이동시키게 된다.(S4)In this state, when the driving motor 55 of the traveling unit 51 is driven, the transfer rollers 53 under the transfer frame 31 are driven to drive the driving rail 17 of the first lifting unit LU1 and The transfer frame 31 moves along the transfer rail 27 (S3), and the running rail on the lifting table 13 of the second lifting unit LU2 that lifts the transfer frame 31 loaded with the cart C. 17) (S4)

이어서, 상기 제2리프팅유닛(LU2)의 리프팅 테이블(13)은 하강 작동하며, 상기 트랜스퍼 프레임(31) 상의 대차(C)는 의장라인(L2)의 이송레일로 반출된다.(S5) Subsequently, the lifting table 13 of the second lifting unit LU2 is moved downward, and the cart C on the transfer frame 31 is carried out to the transfer rail of the design line L2.

이때도, 상기 제2리프팅유닛(LU2)의 리프팅 테이블(13) 상에 위치된 트랜스퍼 프레임(31) 상부로부터 대차(C)가 반출되는 작동은 상기 피딩유닛(33)의 클램퍼(35)가 대차(C)의 하부 일측을 규제한 상태로 피딩모터(37)가 역구동하면, 대차(C)는 트랜스퍼 프레임(31) 상의 피딩레일(29)을 따라 의장라인(L2)의 이송레일로 반출된다.(S6)In this case, the operation in which the cart C is taken ou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fer frame 31 located on the lifting table 13 of the second lifting unit LU2 is performed by the clamper 35 of the feeding unit 33. When the feeding motor 37 is driven back with the lower side of (C) regulated, the cart C is carried out to the conveyance rail of the design line L2 along the feeding rail 29 on the transfer frame 31. (S6)

이와 같이, 차체(1)를 로딩한 대차(C)를 샤시라인(L1)의 이송레일로부터 의장라인(L2)의 이송레일로 이동시킨 트랜스퍼 프레임(31)은 상기 주행유닛(51)의 주행모터(55)가 역구동하면, 트랜스퍼 프레임(31) 하부의 각 트랜스퍼 롤러(53)가 역구동하여 제2리프팅유닛(LU2)의 주행레일(17)과 트랜스퍼 레일(27)을 따라 트랜스퍼 프레임(31)이 이동하여(S7), 대차(C)가 없는 상태의 트랜스퍼 프레임(31)을 상승한 제1리프팅유닛(LU1)의 리프팅 테이블(13) 상의 주행레일(17)로 복귀시키게 된 다.(S8)In this way, the transfer frame 31 which moves the trolley | bogie C which loaded the vehicle body 1 from the conveyance rail of the chassis line L1 to the conveyance rail of the design line L2 is a traveling motor of the said traveling unit 51. When 55 is driven back, the transfer rollers 53 under the transfer frame 31 are driven back to move the transfer frame 31 along the traveling rail 17 and the transfer rail 27 of the second lifting unit LU2. ) Is moved (S7), and the transfer frame 31 without the cart C is returned to the traveling rail 17 on the lifting table 13 of the first lifting unit LU1. )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대차(C)의 이송과정 중에서, 상기 장애물감지수단(A)은 상기 트랜스퍼 레일(27) 상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기로 출력함으로써 주행모터(55)를 정지시켜 대차(C)의 전복 및 트랜스퍼 프레임(31)의 탈선을 방지하게 되며, 축 파손감지수단(B)은 제1,제2리프팅유닛(LU1,LU2)의 각 동력 전달축(21)이 파손되는 경우,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리프팅모터(11)를 정지시킴으로써, 리프팅 테이블(13)의 전복을 방지하고, 파손된 동력 전달축(21)에 대해서만 신속히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during the transfer process of the truck (C) as described above, the obstacle detecting means (A) detects an obstacle on the transfer rail 27,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by driving the drive motor 55 ) To prevent overturning of the trolley C and the derailment of the transfer frame 31, and the shaft breakage detecting means B includes the respective power transmission shafts 21 of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units LU1 and LU2. ), If it is broken, quickly detects this and stops the lifting motor 11, thereby preventing the lifting table 13 from overturning and performing maintenance only on the damaged power transmission shaft 21. .

도 1은 일반적인 대차 이송 시스템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general balance transfer system.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 장치의 정면 구성도이다.2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of a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 장치의 리프팅유닛의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of the lifting unit of th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 장치의 리프팅유닛의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of the lifting unit of th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 장치의 부분 측면도이다.5 is a partial side view of a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 장치의 부분 정면도이다.6 is a partial front view of a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 장치의 부분 평면도이다.7 is a partial plan view of a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 장치에 적용되는 장애물감지수단의 확대도이다. 8 is an enlarged view of an obstacle detecting means applied to a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 장치에 적용되는 축 파손감지수단의 확대도이다. 9 is an enlarged view of the shaft breakage detecting means applied to th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 장치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10 is a step-by-step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삭제delete 각 공정을 따라 바닥면에 종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샤시라인의 이송레일과 의장라인의 이송레일을 연결하여 차체를 로딩한 대차를 샤시라인의 이송레일로부터 의장라인의 이송레일로 이동시켜 주도록 상기 샤시라인의 이송레일 선단의 바닥면 하부에 베이스 프레임을 통하여 구성되며, 횡방향으로 주행레일을 갖는 리프팅 테이블을 모터구동에 의해 승하강시키는 제1리프팅유닛; 상기 의장라인의 이송레일 선단의 바닥면 하부에 베이스 프레임을 통하여 구성되며, 횡방향으로 주행레일을 갖는 리프팅 테이블을 모터구동에 의해 승하강시키는 제2리프팅유닛; 상기 제1리프팅유닛과 제2리프팅유닛 사이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리프팅유닛과 제2리프팅유닛의 각 주행레일을 연결하는 트랜스퍼 레일; 상기 샤시라인 및 의장라인의 각 이송레일에 일치되도록 상부면 중앙 양측에 종방향으로 피딩레일을 구비하여 상기 대차가 반입 또는 반출되는 트랜스퍼 프레임; 상기 트랜스퍼 프레임의 내부에 구성되며, 클램퍼를 통하여 상기 대차 상의 일측을 규제한 상태로, 모터구동에 의해 상기 샤시라인의 이송레일로부터 트랜스퍼 프레임으로 대차를 반입하거나, 상기 트랜스퍼 프레임으로부터 의장라인의 이송레일로 대차를 반출하는 피딩유닛; 상기 트랜스퍼 프레임의 하부에 구성되며, 모터구동에 의해 트랜스퍼 롤러를 구동하여 상기 제1,제2리프팅유닛의 주행레일과 트랜스퍼 레일을 따라 트랜스퍼 프레임을 이송하도록 주행하는 주행유닛을 포함하는 대차 이송 시스템의 트랜스퍼 장치에 있어서,According to each process, the chassis loaded with the vehicle body by connecting the conveying rail of the chassis lin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design line is moved from the conveying rail of the chassis line to the conveying rail of the design line. A first lifting unit configured to move the lifting table up and down by a motor drive, the lifting table having a running rail in a transverse direction, the base frame being disposed under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fer rail tip of the line; A second lifting unit configured to move the lifting table lowered by a motor drive, the lifting table having a running rail in a transverse direction, the base frame being disposed under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transfer rail of the design line; A transfer rail disposed on a predetermined height from a bottom surface between the first lifting unit and the second lifting unit to connect the traveling rails of the first lifting unit and the second lifting unit; A transfer frame having a feeding ra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a center of an upper surface thereof so as to correspond to each transfer rail of the chassis line and the design line; It is configured inside the transfer frame, and one side of the trolley is regulated through a clamper, and the trolley is brought into the transfer frame from the transfer rail of the chassis line by a motor drive, or the transfer rail of the design line from the transfer frame. Feeding unit for carrying out the balance to the; It is configur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fer frame, the balance transfer system including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transfer roller to drive the transfer frame along the transfer rail and the transfer rail of the first, second lifting unit by a motor drive In the transfer device, 상기 각 트랜스퍼 롤러에 대응하여 트랜스퍼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트랜스퍼 레일 상의 장애물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기로 출력하는 장애물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이송 시스템의 트랜스퍼 장치.The lower transfer device of the balance transf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obstacle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n obstacle on the transfer rail and outputting a signal to a controller corresponding to each transfer roller.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장애물감지수단은 The obstacle detecting means 상기 각 트랜스퍼 롤러에 대응하는 트랜스퍼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Mounting brackets mounted on both lower sides of a transfer frame corresponding to each transfer roller; 상기 장착 브라켓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 A limit switch installed at an upper side of the mounting bracket; 상기 장착 브라켓의 중앙 일측에 힌지 브라켓을 통하여 일측이 힌지 체결되고, 상단은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감지롤러에 상시 접촉되는 감지판;A sensing plate having one side hinged to the center one side of the mounting bracket through a hinge bracket, and an upper end of which is constantly in contact with the sensing roller of the limit switch; 상기 장착 브라켓의 하부 일측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감지판의 일측이 끼워져 설치되는 스프링 봉;A spring rod mounted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mounting bracket and fitted with one side of the detection plate; 상기 스프링 봉에 끼워져 상기 감지판의 하부 일측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이송 시스템의 트랜스퍼 장치.Transfer device of the balance transf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spring inserted into the spring rod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sensing plate.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리프팅유닛 또는 제2리프팅유닛에는 The first lifting unit or the second lifting unit 각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축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동력 전달축의 파손을 감지하는 축 파손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이송 시스템의 트랜스퍼 장치.Transfer device for the balance transfer system comprising a shaft breakage detecting means configured between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for transmitting each power and the base frame to detect the breakage of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축 파손감지수단은 The shaft breakage detecting means 상기 각 동력 전달축의 선단에 장착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각도로 다수개의 감지도그를 설치하여 상기 동력 전달축과 함께 회전하는 도그 휠;A dog wheel mounted at the front end of each of the power transmission shafts and installed with a plurality of sensing dogs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rotate together with the power transmission shafts; 상기 도그 휠의 감지도그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감지도그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기로 출력하는 근접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이송 시스템의 트랜스퍼 장치. And a proximity sensor mounted on one side of the base frame in response to a detection dog of the dog wheel, and configured to detect the detection dog and output a signal to a controller.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리프팅유닛 및 제2리프팅유닛은 The first lifting unit and the second lifting unit 상기 샤시라인 및 의장라인의 각 이송레일 선단의 바닥면 하부에 구성되는 베이스 프레임;A base frame configured under the bottom surface of each transfer rail front end of the chassis line and the design line;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중앙에 구성되는 리프팅모터;A lifting motor configured at an upper center of the base frame;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베이스 프레임과 다수개의 링크바로 연결되며, 상부면에는 횡방향으로 주행레일을 구성하는 리프팅 테이블;A lifting tabl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and connected to the base frame by a plurality of link bars, the upper surface comprising a lifting rail configured in a transverse direction;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각 모서리부에 2개를 한 조로 하여 구성되며, 상기 리프팅모터와 동력 전달축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리프팅 테이블을 승하강 구동시키는 승하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이송 시스템의 트랜스퍼 장치.Balanced conveyance,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pair of two in each corner portion of the base frame, the lifting motor is connected to the lifting motor through a power transmission shaft for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the lifting table relative to the base frame Transfer device of the system.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승하강수단은 The lifting means is 상기 리프팅 테이블의 하부면 각 모서리부에 하향하여 설치되는 스파이럴 축;A spiral shaft installed downward at each corner of a lower surface of the lifting table;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 각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상기 각 스파이럴 축이 치합되며, 상기 동력 전달축과 연결되어 회전 구동하는 스파이럴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이송 시스템의 트랜스퍼 장치.And a spiral housing which is installed at each corn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to engage the respective spiral shafts and is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to rotate.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피딩유닛은 The feeding unit 상기 트랜스퍼 프레임의 상부 후방 일측에 구성되며, 회전축에는 구동 스프로킷이 장착되는 피딩모터;A feeding motor configured at an upper rear side of the transfer frame and having a driving sprocket mounted on a rotating shaft; 상기 트랜스퍼 프레임의 내부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되어 상호 피딩체인으로 연결되는 전,후방 아이들 스프로킷;Front and rear idle sprockets which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inner front and the rear of the transfer fram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eeding chain; 상기 후방 아이들 스프로킷과 회전축으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 스프로킷과 구동체인으로 연결되는 피동 스프로킷;A driven sprocket connected to the rear idle sprocket and a rotation shaft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sprocket and a driving chain; 상기 피딩체인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대차의 일측을 규제하여 가이더를 따라 트랜스퍼 프레임의 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대차를 트랜스퍼 프레임 상에 반입하거나 반출하는 클램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이송 시스템의 트랜스퍼 장치.And a clamper configured to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feeding chain and configured to clamp one side of the trolley to move the front and rear of the transfer frame along a guider, and to carry or unload the trolley on the transfer frame.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주행유닛은 The driving unit 상기 트랜스퍼 프레임의 내부 후방 일측에 구성되며, 회전축에는 구동 스프로킷이 장착되는 주행모터;A driving motor configured at one inner rear side of the transfer frame and equipped with a driving sprocket at a rotation shaft; 상기 트랜스퍼 프레임의 하부 전후방 양측에 구성되어 제1,제2리프팅유닛의 각 주행레일과 트랜스퍼 레일을 따라 구름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트랜스퍼 롤러;Transfer rollers formed on both front and rear sides of the transfer frame and configured to make rolling contact with each running rail of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units along the transfer rail; 상기 양측 전후방의 트랜스퍼 롤러를 각각 연결하며, 각각은 양단부에서 상호 스프로킷을 통하여 체인 연결되는 동력축; A power shaft connecting the transfer rollers of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each of which is chained through a sprocket at each end; 상기 일측의 동력축 상에 피동 스프로킷을 구성하고, 상기 구동 스프로킷와 피동 스프로킷을 상호 연결하는 주행체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이송 시스템의 트랜스퍼 장치.And a traveling chain configured to form a driven sprocket on the one power shaft and interconnect the drive sprocket and the driven sprocket.
KR1020070105531A 2007-10-19 2007-10-19 Transfer device fir moving cart system KR1008879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531A KR100887967B1 (en) 2007-10-19 2007-10-19 Transfer device fir moving car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531A KR100887967B1 (en) 2007-10-19 2007-10-19 Transfer device fir moving car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7967B1 true KR100887967B1 (en) 2009-03-12

Family

ID=40697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531A KR100887967B1 (en) 2007-10-19 2007-10-19 Transfer device fir moving car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796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4825A (en) * 2022-02-22 2022-10-21 浙江西图盟数字科技有限公司 Rotary logistics channel based on automatic motor contro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1249A (en) * 1989-11-17 1991-07-11 Honda Motor Co Ltd Pallet transport equipment
JPH09175642A (en) * 1995-12-26 1997-07-08 Daifuku Co Ltd Conveyance facility which uses movable body
KR100774392B1 (en) 2006-08-08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ayout system for workplace of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1249A (en) * 1989-11-17 1991-07-11 Honda Motor Co Ltd Pallet transport equipment
JPH09175642A (en) * 1995-12-26 1997-07-08 Daifuku Co Ltd Conveyance facility which uses movable body
KR100774392B1 (en) 2006-08-08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ayout system for workplace of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4825A (en) * 2022-02-22 2022-10-21 浙江西图盟数字科技有限公司 Rotary logistics channel based on automatic motor contro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5214825B (en) * 2022-02-22 2023-09-15 浙江西图盟数字科技有限公司 Rotary logistics channel based on automatic motor control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2838B2 (en) Vehicle transport method
JP5212836B2 (en) Work transfer equipment
KR100692150B1 (en) Drop lift system
CN109436657B (en) Workpiece conveying vehicle capable of automatically steering and lifting
CN109436656B (en) Workpiece conveying vehicle
CN109572866B (en) Axle production line automatic feeding device
JP6514575B2 (en) Vehicle carrier
KR100887967B1 (en) Transfer device fir moving cart system
KR101404796B1 (en) Automatic Guided Vehicles
CN112744566A (en) Roller conveyor belt chain turnover mechanism
KR100879069B1 (en) A suppling apparatus of tire for vehicles
JP2003072608A (en) Assembling carrying device for automobile and the like
JP3906900B2 (en) Car assembly conveyor
JP5391036B2 (en) Article conveying device
CN109911490B (en) Spinning cake warehouse transfer system
JP3246422B2 (en) Transfer device
JPS5937407Y2 (en) Load transport equipment
JP4450200B2 (en) Transport cart with lifting function
JP3503728B2 (en) Guided structure of carrier
JP2937991B1 (en) Carriage transport trolley
CN214494758U (en) Roller conveyor belt chain turnover mechanism
JP5633957B2 (en) Parts transport system
JP3273700B2 (en) Monorail transfer device
JP3066188B2 (en) Article transfer device
JP3731701B2 (en) Goods storag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