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595B1 - motor - Google Patents

mo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595B1
KR100883595B1 KR1020070018822A KR20070018822A KR100883595B1 KR 100883595 B1 KR100883595 B1 KR 100883595B1 KR 1020070018822 A KR1020070018822 A KR 1020070018822A KR 20070018822 A KR20070018822 A KR 20070018822A KR 100883595 B1 KR100883595 B1 KR 100883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motor
mold
stator assembly
upp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8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78946A (en
Inventor
김한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8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595B1/en
Publication of KR20080078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9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5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6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consisting of printed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가 용이하고 효율 및 내구성을 증진시킨 모터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컴팩트하게 구성하여 취급 및 사용이 편리하며 소음과 진동 특성을 향상시킨 모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tor that is easy to manufacture and promotes efficiency and durabilit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 having a compact configuration, easy to handle and use, and improved noise and vibration characteristics.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테이터와 몰드부를 포함하여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스테이터 어셈블리; 상면에 통전부가 실장되며,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의 상부에 안착되는 피씨비;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와 결합되어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의 상부 개방부를 밀폐시키는 상부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브라켓 상면 중 일부분에는 강도 보강 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ator assembly including a stator and a mold part is integrally formed, and an open part is formed on an upper side thereof; A current carrying portion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CB and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tator assembly; And an upper bracket coupled to the stator assembly to seal the upper opening of the stator assembly, and a portion of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bracket may include a strength reinforcing rib.

모터, 스테이터 어셈블리, 몰드부, 브라켓, 피씨비, 조립, 리브 Motor, Stator Assembly, Mold, Bracket, PC, Assembly, Rib

Description

모터{motor}Mo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테이터의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or shown in FIG. 1; FI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테이터 어셈블리와 피씨비가 결합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or assembly and the PC shown in FIG.

도 4는 도 2의 I-I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2;

도 5는 도 3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FIG. 3;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스테이터의 부분 확대도;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stator shown in FIG. 3; FI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사시도와 커넥터 부분의 확대도;7 is an enlarged view of a perspective view and a connector portion of a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평면도;8 is a plan view of a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사시도와 상부 브라켓과 몰드부 결합 부분의 확대도;9 is an enlarged view of a perspective view of the motor and the upper bracket and the mold portion engag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사시도와 상부 브라켓과 몰드부 결합 부분의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erspective view of the motor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upper bracket and the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스테이터 어셈블리 110: 스테이터100: stator assembly 110: stator

113, 114, 115, 116: 전원핀 117: 더미핀113, 114, 115, 116: Power pin 117: Dummy pin

118: 위치 결정 돌기 119: 코일118: positioning projection 119: coil

130: 몰드부 131, 132: 몰드부 개방부130: mold part 131, 132: mold part opening part

200: 피씨비 210 : 통전부 200: PC 210: power supply unit

230: 커넥터 300: 로터 어셈블리230: connector 300: rotor assembly

310: 로터 313: 회전축310: rotor 313: rotation axis

410, 420: 브라켓 600: 토션 스프링410, 420: bracket 600: torsion spring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가 용이하고 효율 및 내구성을 증진시킨 모터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컴팩트하게 구성하여 취급 및 사용이 편리한 모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tor that is easy to manufacture and promotes efficiency and durabilit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 that is compact in construction and easy to handle and use.

일반적으로 모터는 스테이터와 로터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서 로터가 회전하여 그 회전력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상기 로터의 회전력은 회전축을 통하여 부하를 구동시키게 된다.In general, a motor refers to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outside by rotating the rotor by electromagnetic interaction between the stator and the rotor. Her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or drives the load through the rotating shaft.

한편, 상기 스테이터는 일반적으로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권선된 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는 인슐레이터 또는 보빈을 통해서 상기 코일과 전기적인 절연이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stator generally includes a stator core and a coil wound around the stator core. Here, the stator core i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coil through an insulator or bobbin.

그러나, 상기 스테이터와 로터가 적어도 일부분은 모터 외관을 이루는 브라켓에 수용되는데, 외부적인 환경이나 진동 등에 의해서 상기 코일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코일의 손상뿐만 아니라 상기 코일이나 스테이 터 코어를 통해서 외부로 전기가 통하게 되는 누전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However, at least a part of the stator and the rotor are accommodated in a bracket forming a motor appearance, and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the coil is damaged by an external environment or vibration. In addition to the damage of the coil,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electric leakage may be generated through which the electric current passes through the coil or the stator core.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테이터 코어, 코일 그리고 인슐레이터를 조립하여 스테이터를 형성한 후, 상기 스테이터를 통째로 몰딩하여 하나의 스테이터 어셈블리를 형성한 모터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모터를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테이터 몰딩 타입 모터라고 하겠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motor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stator core, a coil, and an insulator are assembled to form a stator, and then the molded stator is formed to form one stator assembly. Such a motor will be referred to as a stator molding type moto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한편, 일반적으로 모터에서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 경우 이러한 제어장치는 모터 자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모터가 적용된 제품 자체에 구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general, the motor requires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motor, in which case such a control device may be included in the motor itself, it may be provided in the product itself applied motor.

이러한 제어장치는 기판(피씨비, PCB) 등에 형성되는데, 이러한 피씨비가 내장된 모터에 있어서는 스테이터 몰딩 타입 모터를 구현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왜냐하면 적어도 몰딩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코일과 상기 피씨비 간에는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를 구현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Such a control device is formed on a substrate (PCB, PCB) and the like, and it is not easy to implement a stator molding type motor in the motor in which the PC is embedded. This is because an electrical connection must be made between at least the coil located inside the molding and the PC, since it is not easy to implement.

아울러, 설령 이러한 연결이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그 신뢰성의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even if such a connection is made, there is a problem of reliability.

또한, 이러한 스테이터 몰딩 타입 모터의 경우 조립 공정이 복잡하여 조립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으며, 아울러 조립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높았다.In addition, such a stator molding type motor has a problem in that the assembly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assembly is not easy,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a defect may occur in the assembly process.

본 발명은 전술한 피씨비가 내장된 스테이터 몰딩 타입 모터에 있어서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ll the problems in the stator molding type motor incorporating the above-described PC.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증가된 모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tor that is easy to manufacture and assemble to increase productivity.

또한, 본 발명은 스테이터 어셈블리에 보다 용이하게, 견고하게, 그리고 정확한 위치에 피씨비를 결합시킬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tor capable of coupling the PC to the stator assembly more easily, firmly and accurately.

그리고, 본 발명은 소음이나 진동 특성을 향상시킨 모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tor with improved noise or vibration characteristic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테이터와 몰드부를 포함하여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부와 하부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스테이터 어셈블리;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의 상부에 안착되는 피씨비;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의 하부 개방부로 삽입되어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터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의 상부와 하부의 개방부를 각각 밀폐시키는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tor assembly including a stator and a mold part, the stator assembly having an open part formed at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thereof; A PCB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tator assembly; A rotor assembly inserted into the lower opening of the stator assembly and rotatably provided in the stator assembly; And it provides a motor comprising an upper bracket and a lower bracket for sealing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of the stator assembly,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로터 어셈블리는,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 내부에 위치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는, 중공의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구비되어 코일이 권선되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rotor assembly may include a rotor positioned inside the stator assembly and a rotation shaft that is integrally rotated with the rotor. The stator may include a hollow stator core and an insulator provided in the stator core to which a coil is wound.

상기 몰드부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인슐레이터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몰드부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 중 상기 로터와 마주보는 면은 노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노출면은 상기 스테이터와 로터 사이의 에 어갭(공극)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공극 부분에 몰드부가 형성되면 상기 에어갭을 적정 수준으로 형성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The mold part is formed to surround the stator core and the insulator. However, the mold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surface of the stator core facing the rotor is exposed. Because the exposed surface forms an air gap (void) between the stator and the rotor, it is very difficult to form the air gap to an appropriate level if the mold portion is formed in this void portion.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인슐레이터에 구비되고, 상기 몰드부의 형성 시 상기 몰드부의 상부로 노출되어 상기 피씨비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일단 인슐레이터를 포함하는 스테이터를 몰드부로 감싸게 되면 스테이터에 대한 피씨비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위치 결정 보스를 통해서 몰드부가 형성된다고 하더라도 스테이터에 대하여 정확한 위치에 피씨비를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피씨비에는 상기 위치 결정 보스에 대응되는 위치 결정 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ulator is provided, including a positioning boss that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ld portion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PCB when forming the mold portion. That is, once the stator including the insulator is wrapped in the mold par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act position of the PC with respect to the stator. Therefore, even if the mold part is formed through the positioning boss, it is possible to fix the PC ratio at the correc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tator. And it will be preferable that the position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ing boss is formed in the PC.

여기서, 상기 위치 결정 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임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위치 결정 보스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positioning boss is preferably at least one. In addition, the positioning boss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sulator.

그리고, 상기 몰드부는 BMC 몰딩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mold part may be formed by BMC molding.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인슐레이터에 구비되고, 상기 몰드부의 형성 시 일단이 상기 몰드부의 상부로 노출되어 상기 피씨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핀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핀은 상기 인슐레이터를 관통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ulator, and when forming the mold portion, one end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ld portion preferably comprises a pi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C. And the pin is preferably formed to penetrate the insulator.

상기 핀은 전도체로 형성되어 스테이터에 권선된 코일과 피씨비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핀이 피씨비에 솔더링됨으로써 상기 피씨비가 스테이터 어셈블리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pin is formed of a conductor and serve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il wound around the stator and the PC. In addition, the pin is soldered to the PCB to serve to secure the PCB is coupled to the stator assembly.

여기서, 상기 핀의 타단은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결선되고, 상기 몰드부의 내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핀의 타단이 상기 코일과 연결된 상태로 몰드부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핀의 일단이 몰드부 상부로 노출되면 상기 코일의 모든 부분은 몰드부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 중 일부가 몰드부 외부로 노출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몰드부 형성시 코일이 손상되는 우려가 없게 되며, 특히 코일의 말단, 즉 피씨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의 손상될 우려가 없게 된다.Here, the other end of the pi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it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mold portion. That is, the other end of the pin is located inside the mold part in a state connected to the coil, and when one end of the pin is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mold, all parts of the coil are located inside the mold part. Therefore, some of the coils do not need to be exposed outside the mold part. 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damaging the coil when forming the mold part, and in particular, there is no fear of damaging the end of the coil, that is, the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C.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스테이터에 몰드부를 형성하여 일체로 이루어지는 스테이터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의 상부에 피씨비를 안착시키는 제2단계;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의 상부 개방부를 상부 브라켓으로 밀폐시키는 제3단계; 로터 어셈블리를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의 하부로 삽입하는 제4단계;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의 하부 개방부를 하부 브라켓으로 밀폐시키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lso comprises a first step of forming a stator assembly formed integrally by forming a mold portion on the stator; A second step of seating a PC on an upper portion of the stator assembly; Sealing the upper opening of the stator assembly with an upper bracket; Inserting a rotor assembly into the bottom of the stator assembly; And it provides a motor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fifth step of sealing the lower opening of the stator assembly with a lower bracket.

여기서, 상기 제4단계 이전에 로터에 회전축을 결합시켜 로터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단계와 제4단계 사이에 상기 로터에 구비된 영구자석을 착자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Here, before the fourth step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coupling the rotation axis to the rotor to form a rotor assembly. And magnetizing the permanent magnet provided in the rotor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steps.

또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피씨비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보스, 그리고 상기 피씨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몰드부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stator assembly may be formed such that at least one of the positioning boss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PCB and the pi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CB may be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ld part.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스테이터와 몰드부를 포함하여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스테이터 어셈블리; 상면에 통전부가 실장되며,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의 상부에 안착되는 피씨비;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와 결합되어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의 상부 개방부를 밀폐시키는 상부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브라켓 상면 중 일부분에는 강도 보강 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lso comprises a stator assembly including a stator and a mold part, the stator assembly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on; A current carrying portion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CB and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tator assembly; And an upper bracket coupled to the stator assembly to seal the upper opening of the stator assembly, wherei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racket is provided with a strength reinforcing rib.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a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크게 스테이터 어셈블리(100), 로터 어셈블리(300), 그리고 피씨비(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tor assembly 100, a rotor assembly 300, and a PC 200.

즉,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100)에 대해서 상기 로터 어셈블리(300)가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피씨비는 상기 로터 어셈블리(3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 기능을 수행한다.That is, the rotor assembly 30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stator assembly 100. In this case, the PCB performs a control function of allowing the rotor assembly 300 to rotate.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100)는 스테이터(110)과 몰드부(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몰드부는 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BMC(Bulk Molding Compound) 몰딩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tator assembly 100 includes a stator 110 and a mold 130. The mold part may be formed of a resin material or the like, and preferably, may be formed of a bulk molding compound (BMC) molding.

상기 스테이터(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터 코어(111), 인슐레 이터(112), 그리고 스테이터 코일(119)(이하 "코일"이라 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stator 110 includes a stator core 111, an insulator 112, and a stator coil 119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il”).

상기 스테이터 코어(111)는 일반적으로 전기 강판 등을 적층하여 형성하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티스들이 형성되어 상기 티스들에 코일(119)이 권선된다. 여기서, 상기 티스들과 스테이터 코어(111) 간의 절연과 상기 코일(119) 권선의 용이를 위해서 인슐레이터(112)가 구비된다.The stator core 111 is generally formed by stacking an electrical steel sheet or the like. Although not shown, teeth are formed so that the coil 119 is wound around the teeth. Here, an insulator 112 is provided for insulation between the teeth and the stator core 111 and for ease of winding of the coil 119.

이러한 인슐레이터(112)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1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삽입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테이터 코어(111)가 인서트되어 몰딩됨으로써 상기 스테이터 코어(11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이러한 인서트 몰딩으로 스테이터 코어(111)와 인슐레이터(112)를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들이 하나의 스테이터 어셈블리(110)을 이루게 되어 물리적으로 분리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조립 시 취급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인슐레이터(112)를 별도의 피스(piece)로 형성하여 스테이터 코어(111)에 결합시키는 경우보다는 후술하는 몰드부 형성이 매우 용이한 장점도 있다.The insulator 112 may b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tator core 111, respectively, and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tator core 111 by inserting and molding the stator core 111. That is, when the stator core 111 and the insulator 112 are integrally formed by such insert molding, they form a single stator assembly 110 and are very difficult to be physically separat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andling is very easy during assembly. In addition, rather than forming the insulator 112 in a separate piece (couple) to the stator core 111,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very easy to form a mold to be described later.

도 2에는 인슐레이터(112)가 상기 스테이터 코어(111)에 인서트 몰딩되어 일체로 형성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insulator 112 is insert molded into the stator core 111 to be integrally formed.

한편, 상기 인슐레이터(112)를 통하여 스테이터 코어(111)에는 코일(119)이 권선되는데, 상기 코일(119)을 외부 전원 등과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 즉, 코일이 권선되기 시작되고 종료되는 코일(119)의 말단(121)이 외부 전원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Meanwhile, a coil 119 is wound around the stator core 111 through the insulator 112, and a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the coil 119 to an external power source is required. That is, a configuration is required for the terminal 121 of the coil 119, which starts and ends the winding of the coil,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이는 상기 코일(119)에 단상 전원이 인가되거나 3상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관계없으나, 설명의 편의상 상기 코일은 3상의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를 한정하여 설명한다. 즉, 상기 코일이 u, v, w 상의 전원과 연결되는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는 인버터 등을 통하여 모터를 구동하는 형태에서는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는 u, v, w 상 각각에 코일이 형성된 형태의 스테이터(110)가 도시되어 있다.This is irrespective of whether single-phase power or three-phase power is applied to the coil 119. Howe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il is limited to a case where three-phase power is applied. That is, the form in which the coil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on u, v, and w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Since this is a general matter in the form of driving a motor through an invert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2 shows a stator 110 having a coil formed on each of u, v, and w phases.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스테이터(110)가 몰드부(130) 내부에 위치되는 형태의 모터에 특히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스테이터(110)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몰드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터(110)와 몰드부(130)가 일체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스테이터 어셈블리(100)를 형성하게 된다. 도 1에는 스테이터(110)과 몰드부(130)이 분리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먼저 스테이터(110)를 형성한 후 몰드부(130)를 형성함으로써 양자가 하나의 어셈블리를 이루는 스테이터 어셈블리(100)를 형성하게 된다.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preferable for the motor in the form in which the stator 110 is located inside the mold 130. That is, the mold unit 130 is formed to surround the stator 110 from the outside, and the stator 110 and the mold unit 130 are integrally formed. Thus, one stator assembly 100 is formed. Although the stator 110 and the mold part 130 are shown in a separated form in FIG. 1, the stator assembly 100 is formed by forming the mold part 130 first and then forming the mold part 130. ).

이러한 몰드부(130)는 모터의 외형 일부분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몰드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절연 성능 및 내수성이 매우 우수하다. 아울러, 코일(119)이 권선된 스테이터(110)를 감싸 외부와 격리시키기 때문에 코일 손상 및 누전 등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The mold 130 forms a part of the outer shape of the motor. Here, since the mold part may be formed of a resin material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the insulation performance and water resistance are very excellent. In addition, since the coil 119 surrounds the wound stator 110 and is isolated from the outside, coil damage and a short circuit may be effectively prevented.

한편, 상기 몰드부(130)는 스테이터(110)를 둘러싸되, 상기 스테이터 코어(111) 중 로터(310)와 마주보는 면(120)은 감싸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면(120)과 로터의 외주면 사이에는 공극(air gap)이 형성되는데, 모터의 효율이나 소음, 진동 측면에서 상기 공극은 그 공차가 매우 높게 유지됨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형 그대로(타발에 의해 형성된 그대로)의 상기 면(120)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mold 130 is surrounded by the stator 110,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120 facing the rotor 310 of the stator core 111 is formed so as not to wrap. This is because an air gap is formed between the surface 12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because the air gap is preferably maintained at a very high level in terms of efficiency, noise, and vibration of the motor. 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keep the surface 120 as it is (as formed by the punching) as it is.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코일(119)을 외부 전원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에서는 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러한 핀은 상기 코일(119)에 인가되는 전원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 v, w 3 상의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의 구동이 제어된다며 적어도 3개의 핀이 구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s a configura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il 119 to an external power source or the like,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n. Here, the pin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type of power applied to the coil 119. For example, at least three pins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motor by applying power on u, v, and w 3.

이러한 핀으로서 도 2에는 u, v, w 각 상의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핀(113, 114, 115)이 도시되어 있다.2, power pins 113, 114, and 115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coils on u, v, and w phases are illustrated.

본 발명에 따른 모터에 있어서, 스테이터(110)는 몰드부(130)로 감싸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코일의 말단 부분만 몰드부(130) 밖으로 노출되도록 형성하기는 매우 어렵다. 왜냐하면, 코일 자체의 강성이 약하기 때문에 몰드부(130) 형성시 코일 말단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며, 아예 몰드부(130) 내부에 묻혀 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코일(119)의 말단(121)은 먼저 상기 전원핀(113, 114, 115)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핀이 몰드부(130) 밖으로 노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or 110 may be formed to be wrapped in the mold part 130, in which case it is very difficult to form only the end portion of the coil to be exposed out of the mold part 130. This is because, due to the weak rigidity of the coil itself, the coil end may be damaged when the mold part 130 is formed, and may be buried inside the mold part 130 at all. Therefore, the end 121 of the coil 119 is firs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pins 113, 114, and 115, and the power pin is preferab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ld 130.

상기 핀, 특히 전원핀들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 봉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핀은 인슐레이터(112)와 일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인슐레이터(112)가 몰딩되어 형성될 때, 상기 전원핀들이 인서트 되어 상기 인슐레이터(1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전원핀들은 상기 인슐레이터(112)를 관통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pins, in particular the power pins may be in the form of a rod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the power pin is preferably made integral with the insulator 112. In other words, when the insulator 112 is molded and formed, the power pins may be inserted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sulator 112. This form is shown in Figure 2, in particular the power pins are preferably formed to penetrate the insulator 112.

여기서, 상기 전원핀(113, 114, 115)의 하단, 즉 일단은 코일(119)의 말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원핀의 일단에 코일의 말단이 감길 수 있으며, 솔더링 등을 통해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lower end, that is, one end of the power pins 113, 114 and 11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il 119. Specifically, one end of the coil may be wound around one end of the power pin, and may be connected through soldering or the like.

한편, 상기 전원핀의 일단과 코일 말단 부분의 전기적 연결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전원핀의 일단은 모두 몰드부(130) 내부에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one end of the power pin and the coil end portion is damaged, it is preferable that all of one end of the power pin is located in the mold 130.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핀의 일단은 상기 코일 말단(121)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몰드부(130)에 의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원핀(113, 114, 115)의 상단, 즉 타단은 상기 몰드부(130)의 외부로 노출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원핀은 몰드부(130) 형성 시 손상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4, one end of the power pi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end 121, it is preferable that the mold 13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upper end, that is, the other end of the power pins 113, 114, and 115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ld unit 130. Here, the power pin preferably has sufficient rigidity so as not to be damaged when the mold part 130 is formed.

따라서, 상기 코일(119)은 말단(121)이 전원핀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몰드부(130)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상기 전원핀의 타단은 몰드부(130)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전원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Therefore, the coil 119 is positioned inside the mold 130 after the terminal 12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ower pin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other end of the power pin is outside the mold 130. It is exposed to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한편, 상기 전원핀(113, 114, 115)의 타단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부(130)의 외부, 특히 몰드부(130)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몰드부(13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개방부(131, 132)가 형성되는 데, 상기 상부 개방 부(131)를 통하여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100), 특히 몰드부(130)와 상기 피씨비(200)가 결합될 수 있다. 물론, 관점에 따라서 상기 상부 개방부를 하부 개방부라고 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other ends of the power pins 113, 114, and 115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ld unit 130, in particular, the upper portion of the mold unit 130, as shown in FIGS. 3 to 4. That is, the mold 130 has opening portions 131 and 132 form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respectively, and the stator assembly 100, in particular, the mold portion 130 and the PCB are formed through the upper opening portion 131. 200 may be combined. Of course, depending on the point of view, the upper opening may be referred to as a lower opening.

여기서, 상기 몰드부(130)의 외부로 노출된 전원핀의 타단은 피씨비에 형성된 홀(220)에 삽입된다. 상기 피씨비에는 전기 패턴들이 형성되는데, 상기 홀(220)에 상기 전원핀이 삽입됨으로써 양자간에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물론, 보다 확실한 연결을 위해 솔더링이 더 이루어질 수도 있다.Here, the other end of the power pi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ld 130 is inserted into the hole 220 formed in the PC. Electrical patterns are formed in the PCB, and the power pin is inserted into the hole 220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wo. Of course, soldering may be made for a more secure connection.

이러한, 전원핀(113, 114, 115)과 홀(220)들의 결합을 통하여 피씨비(200)가 몰드부(130)와 결합 된다. The PCB 200 is coupled to the mold 130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power pins 113, 114, and 115 and the holes 220.

한편, 이 경우 u, v, w 각 상의 코일 말단들이 각각 피씨비(200)와 연결되는 것과 아울러, 상기 각 상의 코일들이 이루는 중성점이 상기 피씨비(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필요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모터에 있어서 상기 전원핀은 중성점 전원핀(116)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성점 전원핀(116)은 다른 전원핀(113, 114, 115)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기적 연결도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in this case, the coil ends of each of the u, v, and w phases are connected to the PC 200, and the neutral point formed by the coils of the respective phases need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C 200. Therefore, by this need, the power pin in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neutral power pin (116). The neutral power pin 116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other power pins 113, 114, and 115, and electrical connections may be made in the same shape.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위치 결정 보스(11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결정 보스(118)는 피씨비(200)가 정확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Here,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positioning boss 118. This positioning boss 118 performs a function of positioning the PC 200 in the correct posi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스테이터(110)는 몰드부(130) 내부에 위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테이터(110)에 대한 피씨비(200)의 위치를 정확히 맞추기가 어렵다. 따 라서, 로터(310) 또는 로터 어셈블리(300)에 대한 피씨비(200)의 위치를 정확히 맞추기도 어렵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ator 110 may be located inside the mold unit 130,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atch the position of the PC 200 with respect to the stator 110.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atch the position of the PC 200 with respect to the rotor 310 or the rotor assembly 300.

일반적으로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장치들이 피씨비(200)에 구비되는데, 특히 상기 피씨비(200)에는 로터(310)의 위치를 센싱하는 홀센서(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홀센서는 로터(310)의 영구자석(311)이 회전함에 따라 달라지는 자속을 센싱하여 로터의 위치를 센싱한다. 즉, 이러한 로터의 위치를 기초로 하여 모터 구동이 제어된다.In general, control devices for driving a motor are provided in the PCB 200, and in particular, the PCB 200 may be provided with a hall sensor (not shown) that senses the position of the rotor 310. The Hall sensor senses the position of the rotor by sensing the magnetic flux that changes as the permanent magnet 311 of the rotor 310 rotates. That is, the motor drive is controll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is rotor.

따라서, 이러한 홀센서는 정확한 로터(310)의 위치를 센싱하기 위하여 상기 로터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매우 중요하다. 다시 말하면, 홀센서가 구비된 피씨비(200)의 스테이터(110)이나 로터(310)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상기 피씨비(200)가 상기 몰드부(130)의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Therefore, such a Hall sensor is very important relative position to the rotor in order to sense the exact position of the rotor 310. In other word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PC 200 with the Hall sensor with respect to the stator 110 or the rotor 310 is very important.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PC 200 is coupled to the correct position of the mold 130.

물론, 이러한 피씨비(200)의 위치 결정은 전술한 전원핀(113, 114, 115, 116)과 후술하는 더미핀이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을 형성하는 경우 전원핀(113, 114, 115)은 어느 일측에 치우쳐 형성되며, 중성점 전원핀(116)은 그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전원핀들이나 더미핀 만으로 피씨비의 위치 결정을 하는 것은 오차 발생의 여지가 있게 된다. 아울러, 솔더링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그 과정에서도 오차가 더욱 커질 수 있다.Of course, the positioning of the PC 200 may be performed by the above-described power pins 113, 114, 115, and 116 and a dummy pin described later. However, in the case of forming the coil as shown in FIG. 2, the power pins 113, 114, and 115 are biased on either side, and the neutral power pin 116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thereof. In this case, positioning of the PCB using only the power pins or the dummy pins may cause an error. In addition, when soldering is performed, the error may be further increased in the process.

따라서, 먼저, 피씨비의 위치를 결정한 후 이러한 솔더링 등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위치 결정 보스(118)을 포함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first, afte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PCB, such soldering is preferably made. For this purpose,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 positioning boss 118.

상기 위치 결정 보스(118)는 피씨비(200)의 결합 위치를 보다 정확히 결정하기 위하여 복수 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2 에는 두 개의 위치 결정 보스(118)가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위치 결정 보스는 피씨비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과 아울러, 피씨비(200)가 몰드부(130)와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 결정 보스(110)는 서로 반대 편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전술한 전원핀들과의 관계에서 그 위치가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반영한 것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The positioning boss 118 is preferably provided in plurality in order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PC 200. 2 shows an example in which two positioning bosses 118 are formed. These positioning bosses may perform a function of determining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PCB, and the function of allowing the PCB 200 to be coupled with the mold unit 13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ing bosses 110 are form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 position of the positioning boss 110 is determined in relation to the power pins described above. This is illustrated in FIG. 2.

한편, 상기 위치 결정 보스(118)도 상기 인슐레이터(121)와 일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인슐레이터 형성시 상기 위치 결정 보스(118)도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위치 결정 보스(118)도 피씨비에 형성된 위치 결정 홈(221) 내지 위치 결정 홀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몰드부(13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ing boss 118 is also made integral with the insulator 121. That is, the positioning boss 118 is also formed when forming the insulator. Since the positioning boss 118 is also coupled to the positioning grooves 221 to the positioning holes formed in the PC,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ing boss 118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ld 130.

또한, 상기 피씨비와 상기 위치 결정 보스(118)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즉, 상기 위치 결정 홈(221)에는 전기적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피씨비는 먼저 상기 위치 결정 보스에 결합 된 후, 솔더링 등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위치 결정 보스는 상기 위치 결정 홈(221)에 억지 끼워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CB and the positioning boss 118 are not electrically connected. That is, no electrical pattern is formed in the positioning groove 221. The PC is first coupled to the positioning boss, and then soldering is perform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ing boss is forcibly fitted into the positioning groove 221.

상기 몰드부(130)과 피씨비(200)가 결합될 때, 양자 간에는 일정한 간격이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피씨비(200)의 하면에는 전자 소자 등의 핀이 삽 입되어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몰드부(130)의 상부 개방부(131)에 형성된 상부 개방면(133)에 직접 피씨비(200)이 안착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When the mold unit 130 and the PC 200 are coupled, it is preferable that a constant interval is maintained between them. This is because pins such as electronic elements are inserted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PC 200 to protrud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prevent the PC 200 from being directly seated on the upper opening surface 133 formed on the upper opening 131 of the mold 130.

따라서, 피시비(200)의 외각에는 이러한 전자 소자 등의 핀이나 전기 패턴들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피씨비(200)와 상기 개방면(133) 사이의 간격을 형성하기 위한 단차부(13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단차부(134)는 상기 개방면(133)의 외각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refore, since pins or electrical patterns such as electronic devices are not formed at the outer surface of the PCB 200, a stepped portion 134 for forming a gap between the PC 200 and the open surface 133 is preferably formed. Do. Of course, the stepped portion 134 is preferab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en surface 133.

한편, 상기 단차부(134)는 일정한 면적의 평면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단차부(134) 평면이 상기 피씨비(200)의 하면과 면접촉됨으로써 보다 견고히 피씨비가 고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전술한 핀들(113, 114, 115, 116)이나 더핀, 그리고 위치 결정 돌기도 상기 단차부(134)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상기 몰드부(130)과 피씨비(200)이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그 결합 위치 또한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tep portion 134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plane of a certain area. This is because the plane of the stepped portion 134 may be firmly fixed by being in surfac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C 200. In addition, the pins 113, 114, 115, and 116, the pin, and the positioning protrusion described above may also be formed in the stepped part 134. Through this, the mold unit 130 and the PC 200 may be more stably coupled, and the coupling position may be accurately determined.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로터 어셈블리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otor assembly of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상기 로터 어셈블리(300)는 로터(310)와 회전축(3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터(300)은 로터 코어(3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터(30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를 따라 영구자석(310)이 부착된 영구자석 로터(300)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터 코어(312)의 중심부에는 회전축(313)이 구비되며, 일반적으로 상기 회전 축(313)은 상기 로터 코어(312)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rotor assembly 300 may include a rotor 310 and a rotation shaft 313. The rotor 300 may include a rotor core 312. Here, the rotor 30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as shown in Figure 1 may be a permanent magnet rotor 300 is attached to the permanent magnet 310 along the outer periphery. In addition, a rotation shaft 313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rotor core 312, and in general, the rotation shaft 313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the rotor core 312.

한편, 상기 로터 어셈블리(300)는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1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이너(inner) 로터 타입 모터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스테이터 코어(111)에는 로터가 위치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될 것이다. Meanwhile, the rotor assembly 300 may be rotatably provided in the stator assembly 100. In this case,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ferred to as an inner rotor type motor. In this case, the stator core 111 will have a hollow in which the rotor can be located.

그리고, 상기 로터 어셈블리(300)가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30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베어링(314)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314)는 후술하는 상부(410) 또는 하부 브라켓(420)과 결합되어, 상기 로터 어셈블리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베어링(314)은 상기 상부(410) 또는 하부 브라켓(420)과 결합되어 상기 로터 어셈블리(300)가 회전축(313)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또한 수행한다. In addition, a bearing 314 may be included as 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rotor assembly 300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stator assembly 300. The bearing 314 is coupled to the upper 410 or the lower bracket 42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rotor assembly is rotatably supported. In addition, the bearing 314 is combined with the upper 410 or the lower bracket 420 also serves to prevent the rotor assembly 300 is moved to the rotation shaft 313.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anufacturing method of a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일단, 전술한 스테이터 어셈블리(100)와 로터 어셈블리(300)을 형성한다. 물론, 피씨비(300)도 형성될 것이다. 상기 구성들을 형성한 후 모터의 조립이 이루어질 것이다.First, the stator assembly 100 and the rotor assembly 300 are formed. Of course, the PC 300 will also be formed. After forming the configurations, assembly of the motor will be made.

먼저, 스테이터 어셈블리(100)의 상부에 피씨비(200)를 안착시킨다. 즉, 스테이터 어셈블리(100)의 상부 개방부(131)을 통하여 피씨비(200)이 안착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 개방부(131)의 크기 내지 형상은 상기 피씨비(200)의 크기 내지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개방부(131)는 피씨비 결 합을 위한 것이므로 피씨비가 작은 경우 상기 개방부(131)의 크기가 클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First, the PCB 200 is seated on the top of the stator assembly 100. That is, the PC 200 will be seated through the upper opening 131 of the stator assembly 100. Here, the size or shape of the upper opening 131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r shape of the PC 200. That is, since the opening part 131 is for the PCB ratio combining, it is not necessary that the size of the opening part 131 is large when the PC ratio is small.

또한, 상기 피씨비(200)의 중심에는 관통홀(230)이 형성되는 데, 이는 상기 회전축(313)이 관통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230)의 크기는 회전축(313)이 진동되더라도 상기 피씨비(200)과 간섭되지 않고, 베어링(314)가 통과될 수 있는 정도이면 족하다. 즉, 상기 로터 어셈블리가 상기 피씨비(200)의 상부로부터 결합되지 않으므로, 상기 관통홀(230)의 크기 특히 내경은 상기 로터(310)의 크기 특히 외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23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C 200, for the rotation shaft 313 to pass through.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230 may be sufficient to allow the bearing 314 to pass through without being interfered with the PC 200 even if the rotating shaft 313 is vibrated. That is, since the rotor assembly is not coupled from the top of the PC 200,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230, especially the inner diameter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rotor 310, particularly the outer diameter.

이 후, 스테이터 어셈블리(100)과 피씨비(200)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상부 브라켓(410)이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100)과 결합되어 상기 상부 개방부(131)을 밀폐하게 된다. 그러나, 여기서의 밀폐는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100) 내부를 외부와 격리시킨다는 의미이지, 공기나 수분의 유입을 완전히 차단한다는 의미에서의 밀폐만은 아니다. Thereafter, when the stator assembly 100 and the PC 200 are coupled, the upper bracket 410 is coupled to the stator assembly 100 to seal the upper opening 131. However, the seal here means to isolate the inside of the stator assembly 100 from the outside, but is not only a seal in the sense of completely blocking the inflow of air or moisture.

스테이터 어셈블리(100), 피씨비(200), 그리고 상부 브라켓(410)의 결합이 끝나면,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100)의 하부 개방부(132)를 통하여 로터 어셈블리(300)가 삽입된다. 즉, 피씨비(200)가 결합되는 방향과 로터 어셈블리(300)가 결합되는 방향이 반대가 되므로, 서로 간섭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로터 어셈블리(300) 결합으로 인해 피씨비의 손상 우려가 방지된다.After the coupling of the stator assembly 100, the PC 200, and the upper bracket 410 is completed, the rotor assembly 300 is inserted through the lower opening 132 of the stator assembly 100. That is, si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PC 200 is coupled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tor assembly 300 is coupled is opposite, the interference is not interfered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fear of damage to the PCB due to the rotor assembly 300 is prevented.

그리고, 로터 어셈블리가 삽입되면 베어링(314)를 통해서 로터 어셈블리(300)의 위치가 결정되며, 이 후 하부 브라켓(420)이 스테이터 어셈블리(100)의 하부 개방부(132)를 밀폐하게 된다. 그리고, 로터 어셈블리의 축 방향으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추가 구성으로 이 링(E-ring)이 회전축(313)의 말단에 끼워지게 된다.When the rotor assembly is inserted, the position of the rotor assembly 300 is determined through the bearing 314, and then the lower bracket 420 seals the lower opening 132 of the stator assembly 100.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movement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or assembly, the ring (E-ring) is fitted to the end of the rotation shaft 313.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상부 브라켓(410)과 하부 브라켓(420)에는 진동 방지를 위한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쿠션(510, 520)이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necessary, the upper bracket 410 and the lower bracket 420 may be combined with a cushion (510, 520) made of a rubber material for preventing vibration.

한편, 본원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피씨비(200)와 로터 어셈블리(300)의 결합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로터(310)의 영구자석(311)을 착자시키고 바로 모터를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피씨비(200)와 스테이터 어셈블리(100)을 결합한 후 영구자석 착자 후, 바로 로터 어셈블리를 스테이터 어셈블리(100)에 결합시켜 모터의 조립을 완성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PC 200 and the rotor assembly 300 is differ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magnetize the permanent magnet 311 of the rotor 310 and immediately assemble the motor. That is, after combining the PC 200 and the stator assembly 100, and after permanent magnet magnetization,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combine the rotor assembly to the stator assembly 100 to complete the assembly of the motor.

따라서, 영구자석 착자 후 모터 조립을 위한 후속 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상기 영구자석(310)에 이물질 등이 부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영구자석이 착자된 로터 어셈블리(300)의 결합 시 피씨비(200)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subsequent process for assembling the motor after the permanent magnet magnetization can be minimized, foreign matter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ttached to the permanent magnet 310, and when the permanent magnet magnetized rotor assembly 300 is combined. Damage to the PC 200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아울러, 피씨비(200)이 조립 후 로터 어셈블리(300)가 조립되기 때문에 피씨비와 스테이터 어셈블리의 결합이 매우 용이하다. 왜냐하면, 먼저 로터 어셈블리(300)를 스테이터 어셈블리(100)에 결합한 후, 피씨비(200)을 결합한다는 것은 그만큼 로터 착자 후의 후속 공정이 늘어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착자된 영구자석(310)과의 관계에서 피씨비(200)의 손상 우려가 발생되며, 작업성이 매우 떨어질 것이기 때문이다.In addition, since the rotor assembly 300 is assembled after the PC 200 is assembled, the combination of the PC and the stator assembly is very easy. This is because, after first coupling the rotor assembly 300 to the stator assembly 100 and then coupling the PC 200, the subsequent process after the rotor magnetization increases accordingly.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gnetized permanent magnet 310 and the damage of the PC 200 is generated, because the workability will be very poor.

이하에서는, 전술한 더미피(117)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ummy blood 117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 등과 연결되는 전원핀(113, 114, 115, 1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원핀과 동일한 형태로 별도의 더미핀(117)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더미핀(117)은 상기 코일(119)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코일(119)과는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wer pin 113, 114, 115, 116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In addition, the dummy pin 117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same form as the power pin. Here, the dummy pin 117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119. Of course, the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coil 119 may be made as necessary.

이러한 더미핀(117)은 복수 개의 전원핀들과 함께 안정적으로 피씨비(200)가 스테이터 어셈블리(1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dummy pin 117 is to perform a function to be stably coupled to the stator assembly 100 with the plurality of power pins PC 200.

한편, 상기 더미핀(117)은 전원핀들과 마찬가지로 피씨비(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더미핀(117)은 스테이터 코어(111)를 접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테이터 코어(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피씨비(200)와 커넥터(230)을 통해서 접지 구조를 이룰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ummy pin 117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C 200, like the power pins. In this case, the dummy pin 117 may perform a function of grounding the stator core 111. That is, the stator core 11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form a ground structure through the PC 200 and the connector 230.

도 6을 통하여 이러한 접지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This groun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먼저, 더미핀(117)은 다른 전원핀(113, 114, 115, 116)들과 마찬가지로 인슐레이터(112)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일단은 몰드부(130) 내부에 위치되고 타단은 몰드부(130)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First, the dummy pin 117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insulator 112 like the other power pins 113, 114, 115, and 116. In addition, one end may be located in the mold 130 and the other end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ld 130.

여기서, 상기 더미핀(117)의 일단은 스테이터 코어(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기적 연결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선 일단이 상기 더미핀(117)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선 타단은 상기 스테이터 코어(111)에 솔더링될 수도 있다. Here, one end of the dummy pin 117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tator core 111. Such an electrical connection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one end of the wir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ummy pin 117,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may be soldered to the stator core 111.

그러나, 보다 용이한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토션 스프링(6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션 스프링(600)의 중심부는 상기 더미핀(117)의 타단에 삽입되고, 토션 중심부의 양단은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111)에 접촉될 수 있다. 즉, 접촉된 상태에서는 상기 토션 스프링(600) 양단이 탄성 변형이 이루어진 후이므로, 그 탄성력에 의해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상기 토션 스프링(600)은 전도체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However, torsion springs 600 may be provided for easier electrical connection. A center of the torsion spring 600 may be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dummy pin 117, and both ends of the torsion center may extend upward to contact the stator core 111. That is, in the contacted state, since both ends of the torsion spring 600 are elastically deformed, the contacted state may be maintained by the elastic force. Of course, the torsion spring 600 should be formed of a conductor.

한편, 상기 토션 스프링(600)의 양단과 스테이터 코어(111)의 전기적 연결을 보다 신뢰성 있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테이터 코어(111)에는 포켓부(6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켓부(610)에 상기 토션 스프링(600)의 양단이 삽입됨으로써 몰드부(130) 시에 상기 토션 스프링(600)이 상기 더미핀(117) 타단에서 빠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토션 스프링의 양단은 탄성 변형 후 상기 포켓부(610)에 삽입될 것이므로, 탄성력에 의해서 전기적 접촉이 유지될 것이다.Meanwhile, in order to more reliably maintai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both ends of the torsion spring 600 and the stator core 111, a pocket part 610 may be formed in the stator core 111. By inserting both ends of the torsion spring 600 into the pocket part 610, the torsion spring 600 may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falling off the other end of the dummy pin 117 during the mold part 130. Of course, both ends of the torsion spring will be inserted into the pocket 610 after the elastic deformation, the electrical contact will be maintained by the elastic force.

그리고, 보다 확실히 토션 스프링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토션 스프링(600)의 양단은 상기 포켓부(610)을 완전히 관통하고, 관통된 부분은 굽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테이터(110)의 어느 방향으로 몰드부(130)이 형성되는지 관계없이 토션 스프링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In order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torsion spring from falling out, both ends of the torsion spring 600 completely pass through the pocket part 610, and the penetrated portion may be bent. In this case, the torsion spring may be prevented from falling out regardless of which direction the mold part 130 is formed in the stator 110.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상기 스테이터 코어(600)은 상기 토션 스프링(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은 다시 상기 더미핀(11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스테이터 코어(111)의 접지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더미핀(117)의 일단은 피씨비(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피씨비에 형성된 전기 패턴과 상기 커넥터(도 7 등 참조)를 통해서 접지 구조가 완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refore, the stator core 6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rsion spring 600 through the structure, and the torsion spring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ummy pin 117 again, so that the ground structure of the stator core 111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form. And, if necessary, one end of the dummy pin 117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C 200, the ground structure may be completed through the electrical pattern formed on the PC and the connector (see FIG. 7, etc.).

도 5에는 피씨비에 형성된 5개의 커넥터 연결부(240)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5개의 전선 슬롯(232)이 형성된 커넥터(230)가 도시되어 있다. 즉, 이러한 5개의 커넥터 연결부와 전선 슬롯은 각각 u, v, w 전원, 중성점, 그리고 접지점을 위한 구성이라고 볼 수 있다.5 shows five connector connections 240 formed in the PC, and FIG. 7 shows a connector 230 in which five wire slots 232 are formed. That is, these five connector connections and wire slots can be regarded as configurations for u, v, w power supplies, neutral points, and ground points, respectively.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에 따르면 더미핀(117)과 커넥터(230)을 통하여 용이하게 접지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form the ground structure through the dummy pin 117 and the connector 230.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몰드부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bracket of the motor and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bracket and the mold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브라켓(410)과 하부 브라켓(420)은 동일한 형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그 크기는 상부 개방부(131)과 하부 개방부(132)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으나, 그 형상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몰드부(130)과의 결합 구조도 양자가 동일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ure 1, the upper bracket 410 and the lower bracket 420 may be formed of the same shape, the same material. That is, the size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upper opening 131 and the lower opening 132, the shape may be the same. Therefore, the coupling structure with the mold 130 may also be the same.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부 브라켓 구조(410)와 상기 브라켓과 몰드부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Therefore, hereinafter, only the upper bracket structure 410 and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bracket and the mold part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모터에 있어서, 상부 브라켓(41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 브라켓은 예를 들어 철판, 강판 또는 스테인리스 강판 중 어느 하나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bracket 410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upper bracket may be formed by pressing any one of, for example, an iron sheet, a steel sheet, or a stainless steel sheet.

상기 상부 브라켓(410)은 몰드부(130)의 상부 개방부(131)를 덮어 모터 내부를 외부와 격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모터 외부의 측면과 상면의 일부분은 상기 몰드부(130)가 차지하게 되며, 상기 상면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상부 브라켓(410)이 차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모터 외부의 하면의 일부분은 하부 브라켓(420)이 차지하게 된다.The upper bracket 410 covers the upper opening 131 of the mold 130 to isolate the inside of the motor from the outside. That is, a part of the side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ide of the motor is occupied by the mold unit 13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is occupied by the upper bracket 410. Of course,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outside of the motor is occupied by the lower bracket 420.

한편, 상기 피씨비(200)의 상부에는 통전부가 실장된다. 즉, 상기 피씨비 상면에 일정 거리를 두고 통전부가 실장되는데, 이러한 통전부와 상기 상부 브라켓(410)의 하면 사이의 거리는 좁아지게 된다. 물론, 상부 브라켓(410)의 높이를 키우면 이러한 거리는 커질 수 있으나, 이 경우 전체적인 모터의 높이가 커지게 되므로 컴팩트한 모터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브라켓(410)의 높이는 상기 몰드부(130)의 높이 보다는 적어도 같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nductive part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C 200. That is, the conductive part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CB,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nductive par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racket 410 is narrowed. Of course, this distance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upper bracket 410,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satisfy the compact motor because the height of the overall motor is increased. Therefore, the height of the upper bracket 410 is preferably formed to be at least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mold 130.

상기 상부 브라켓(410)의 중앙부에는 베어링(314)가 수용되는 베어링 수용부(45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베어링 수용부(450)에 베어링(314)가 수용됨으로써 로터 어셈블리(300)가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10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로터 어셈블리(300)의 회전축(313)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In the center of the upper bracket 410, it is preferable that a bearing accommodating portion 450 in which the bearing 314 is accommodated is formed. That is, the bearing 314 is accommodated in the bearing accommodation portion 450 so that the rotor assembly 300 is rota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stator assembly 100. In addition, movement of the rotor assembly 300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313 is limited.

여기서, 상기 로터 어셈블리(300)가 회전함에 따라서 진동이 발생되고, 이러한 진동이 상기 베어링(314)을 통하여 베어링 수용부(450)에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브라켓(410)에 진동이 발생될 우려가 있고, 이러한 진동에 의해서 소음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왜냐하면, 상기 상부 브라켓(410)은 금속 판 등으로 형성되므로 떨림에 의한 소음이 발생될 소지가 크기 때문이다. Here, vibration is generated as the rotor assembly 300 rotates, and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bearing accommodation portion 450 through the bearing 314. Therefore, there is a fear that vibration may occur in the upper bracket 410, and noise may be generated by such vibration. This is because the upper bracket 410 is formed of a metal plate, etc., because it is likely to generate noise due to tremor.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상부 브라켓(410)은 이러한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큰 강성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상부 브라켓(410)의 두께를 키우기 보다는 리브(420) 등을 형성하여 강성을 키우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리브(420) 등을 통하여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강성을 키워 진동 및 소음 특성을 개선한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리브(420) 등을 통하여 방열 특성을 향상시킨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Therefore, the upper bracket 410 of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large rigidity in order to minimize such vibration and noise. However, rather than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upper bracket 410, it is more preferable to increase the rigidity by forming the rib 420 and the lik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tor having improved weight and rigidity and improved vibration and nois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ribs 420 and the like.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a motor having improved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through such ribs 420.

한편, 상기 리브(420)는 상기 상부 브라켓(410)의 상면에서 하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향 돌출되어 형성되는 경우에는 전체적인 모터의 높이가 커지므로 컴팩트한 모터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함몰된 리브(420)에 의해서 상기 상부 브라켓(410)과 상기 피씨비의 상면과의 거리는 좁아질 수 밖에 없다. 특히 상기 피씨비(200) 상면에 실장된 통전부(210)과의 거리는 더욱 좁아질 수 밖에 없다. On the other hand, the rib 420 is preferably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racket 410. This is because, when formed to protrude upward, the height of the overall motor increases, making it difficult to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compact motor. However,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bracket 4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CB is narrowed by the recessed rib 420. In particular, the distance from the energization unit 210 mounted on the PC 200 is inevitably narrower.

상기 통전부(210)는 전력 소자(예를 들어, 인버터를 위한 스위칭 소자)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전력 소자는 전류가 흐르는 소자이므로 누전의 우려를 해소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도체로 형성되는 상부 브라켓(410)과는 충분한 절연 거리가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The energization unit 210 may be a power device (for example, a switching device for an inverter). Since the power device is a current flowing device,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fear of leakage.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a sufficient insulation distance from the upper bracket 410 formed of the conductor should be ensured.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410)의 상면에는 일정 부분에만 하향으로 함몰된 리브(410)들이 형성되고, 일부분에는 리브(410)가 형성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n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ribs 410 recessed downward in only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racket 410 are formed, and ribs 410 not formed in a portion thereof.

예를 들어, 상기 리브(4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정 반경을 갖는 원주 방향 리브들이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원주 방향 리브 들은 반경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ribs 410 may be formed radially as shown in FIG. 8.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ribs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may be form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such circumferential ribs may be form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즉, 다시 말하면 상기 리브(420)들은 통전부와 마주보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그 형태와 배열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리브(420)들은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상부 브라켓(410) 형성 시 동시에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In other words, the ribs 420 are preferably formed only in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for the portion facing the energizing portion, and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ribs 420 may be variously modified. In addition, the ribs 420 may be formed at the same time when the upper bracket 410 is formed through the press working.

한편,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전부(210)는 피씨비(200)의 외각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상부 브라켓(41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소정 각도 구간에는 이러한 리브(420)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상기 소정 각도 구간은 상기 통전부(210)의 원주 방향 폭에 대응되어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리브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설명의 편의상 평면부(460)라 한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7 to 10, the energization unit 210 may be located at the outer shell of the PC 200. Therefore, in this case, the rib 420 may not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angle s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upper bracket 410. Of course, the predetermined angular section will be determined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tial width of the energization portion 210. Here, the portion where the rib is not formed is referred to as a planar portion 46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따라서, 상기 상부 브라켓(410)과 상기 통전부(210) 사이의 절연 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평면부(460)는 상기 통전부(210)과 마주보도록 위치되어야 한다. 즉, 몰드부(130)의 상부에 상부 브라켓(410)이 결합될 때, 상기 평면부(460)는 바로 상기 통전부(210)과 마주보도록 결합되어야 한다.Therefore, in order to secure an insulation distance between the upper bracket 410 and the energization part 210, the flat part 460 should be positioned to face the energization part 210. That is, when the upper bracket 41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ld 130, the flat portion 460 should be coupled to face the current conducting portion 210 immediately.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터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이 특정 위치 에서만 상기 몰드부(1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위치 결정부(231, 4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부 브라켓(410)과 상기 몰드부(130)에 구비되어 양자가 특정 위치, 즉 상기 평면부(460)가 상기 통전부(210)과 마주보는 위치에서만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o this end, in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bracket is made to include a positioning unit 231, 430 to be coupled to the mold 130 only at a specific position. That is, the positioning unit is provided in the upper bracket 410 and the mold unit 130 so that both are coupled only at a specific position, that is, the plane portion 460 facing the conducting unit 210. Perform.

이러한 위치 결정부는 상기 몰드부의 상부 개방부(131)의 형상과 이러한 형상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 브라켓(410)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몰드부의 상부 개방부(131)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하나의 돌기(231)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돌기가 수용되도록 상기 상부 브라켓의 외주연에서 반경 방향으로 절개된 하나의 홈(4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물론, 이러한 돌기(231)은 상부 브라켓(410)에 형성되고, 홈(430)은 몰드부(13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positioning part may have a shape of the upper opening 131 of the mold part and a shape of the upper bracket 410 corresponding to the shape. For example, when one protrusion 231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upper opening 131 of the mold part, one groove cut radially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bracket to accommodate the protrusion. 430 may be formed. This structure is shown in FIG. Of course, the protrusion 231 may be formed in the upper bracket 410, and the groove 430 may be formed in the mold 13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몰드부(130)와 피씨비(200)과 결합되어 외부 전원과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2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넥터(230)의 일단은 상기 몰드부(130)의 외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몰드부(13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몰드부(130)의 상부에는 커넥터(230)와의 결합을 위한 커넥터 결합부(135)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커넥터 결합부(135)은 몰드부(130)의 상부 일부를 절개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230)의 상부 형상은 몰드부(130)의 상부 형상, 특히 상부 개방부(131)을 형성하는 몰드부(130)의 외각 형성과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230 coupled to the mold unit 130 and the PC 200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In this case, one end of the connector 230 is located outside the mold 130,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inside the mold 130. To this end, as shown in FIGS. 3 and 5, the connector coupling part 135 for coupling with the connector 230 is preferably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mold part 130. The connector coupling part 135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mold part 130 is cut ou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hape of the connector 230 is the same as the outer shape of the mold part 130 forming the upper shape of the mold part 130, especially the upper opening part 131.

그리고, 전술한 위치 결정부(231, 430)의 일부는 몰드부(130)가 아닌 상기 커넥터(230)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른 부분의 몰드부(130)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위치 결정부는 몰드부(130)의 상부와 상부 브라켓을 특정 위치에서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므로, 조립자가 그 특정 위치를 미리 파악하고 조립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조립 과정에서 상부 브라켓(410)의 특정 위치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나(예를 들어 전술한 평면부나 홈 등을 통하여), 몰드부 상부의 특정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In addition, some of the above-described positioning parts 231 and 430 may be formed in the connector 230 instead of the mold part 130. More specifically,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mold part 130 positioning part of another part is formed. This is because the positioning unit is configured to couple the upper and upper brackets of the mold unit 130 only at a specific position, and therefore it is easier for the assembler to grasp the specific position in advance and assemble it. In other words, the specific position of the upper bracket 410 can be easily identified in the assembling process (for example, through the above-described flat portion or groove), but it may not be easy to identify the specific posi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ld portion. to be.

따라서, 커넥터(230)에 이러한 위치 결정부를 둔다면 몰드부 상부의 특정 위치를 커넥터(230)를 통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fore, if the positioning unit in the connector 230, the specific posi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ld will be easily identified through the connector 230.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몰드부(130)와 상부 브라켓(410)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mold 130 and the upper bracket 4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0.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몰드부(130) 상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개방부(131)가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 개방부(131)를 통하여 스테이터 어셈블리(100) 내부가 외부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브라켓(410)은 상기 상부 개방부(131)를 밀폐시킨다. 여기서, 상기 상부 브라켓(410)은 일반적인 모터에서와 같이 상기 개방부(131)에 억지 끼움 되거나, 강제 압입 되어 결합 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개방부(131)를 통하여 수분이 내부로 유입될 여지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분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몰드부(130)과 상부 브라켓(410)의 결합 구조가 요구된다.The upper opening 131 is formed on the mold 130 of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inside of the stator assembly 100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upper opening 131. The upper bracket 410 seals the upper opening 131. Here, the upper bracket 410 is forcibly fitted to the opening portion 131 as in a general motor, it is possible to be forced to be combined.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room for moisture to flow through the opening 131. Therefore, a coupling structure of the mold 130 and the upper bracket 410 is required to prevent the inflow of water.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상부 개방부(131)는 구체적으로 상기 몰드부(130)의 상부에 내경이 다른 내측 내벽(136)과 외측 내벽(137)의 상단이 서로 단차지도록 일정한 평면부(138)로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외측 내벽(137)의 상단이 상기 내측 내벽(136)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평면부(138)의 일정 부분은 상기 내측 내벽(136)의 상단으로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upper opening 131 of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flat portion (step) so that the upper ends of the inner inner wall 136 and the inner inner wall 137 having different inner diamete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ld 130. 138).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outer inner wall 137 is formed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inner inner wall 136.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planar portion 138 is formed as an upper end of the inner inner wall 136.

한편, 상기 상부 브라켓(410)은 상기 상부 개방부(131)를 덮도록 형성되므로, 그 형상은 상기 상부 개방부(131)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부 개방부(131)이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상부 브라켓(410)도 원형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upper bracket 410 is formed to cover the upper opening 131, its shape should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upper opening 131. Therefore, when the upper opening 131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upper bracket 410 should also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여기서, 상기 상부 브라켓(410)의 외경은 몰드부(130)의 개방부(131) 외측 내벽 내경 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상부 브라켓(410)의 외경은 몰드부(130)의 개방부(131)의 내측 내벽 내경 보다는 커야할 것이다. Here,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bracket 410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er wall of the opening portion 131 of the mold 130. Of course,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bracket 410 should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inner wall of the opening 131 of the mold 130.

한편, 상기 상부 브라켓(410)의 반경 방향 말단(441)의 일정 부분은 상기 평면부(138)에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브라켓(410)의 외경이 상기 외측 내벽(137)의 내경 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브라켓(410)의 반경 방향 말단(441)과 상기 외측 내벽 사이에는 일정 거리의 갭(d)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갭(d)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수지물이 도포된다.Meanwhile, a portion of the radial end 441 of the upper bracket 410 is seated on the flat portion 138. 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bracket 410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er inner wall 137, a gap d of a predetermined distance is formed between the radial end 441 of the bracket 410 and the outer inner wall. Although not shown, a resin is applied to the gap d.

여기서, 상기 수지물은 상기 몰드부(130)과 상기 브라켓(410)을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갭(d)을 통하여 수분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수지물은 이러한 특징을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 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지물은 에폭시 수지가 될 수도 있으며 실리콘 재질일 수도 있다. Here, the resin material performs a function of coupling the mold unit 130 and the bracket 410 and also prevents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inside through the gap d. Therefore, the resin material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that can satisfy these characteristics. For example, the resin material may be an epoxy resin or a silicon material.

또한, 이러한 갭(d)에 충분한 양의 수지물이 도포될 수 있도록 상기 평면부(138) 중 외각 부분에 원주 방향을 따라 홈(139)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홈(139)을 통해서 상기 브라켓(410)의 두께 이상으로 수지물이 도포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홈(139)의 깊이와 폭에 대응되는 양의 수지물이 충분히 도포될 수 있어 수분 침투 방지 기능과 결합 기능이 더욱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수지물이 흘러 넘치게 되어 외관 불량이나 결합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groove 139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outer portion of the planar portion 138 so that a sufficient amount of the resin material may be applied to the gap d. That is, the resin may be applied to the thickness of the bracket 410 or more through the groove 139. In addition, since the resin material in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depth and width of the groove 139 may be sufficiently applied, the moisture penetration prevention function and the coupling function may be further enhanced. Of course, the resin may overflow and may prevent appearance defects and bonding defects in advance.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139)의 폭은 상기 갭의 폭 보다 큰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갭(d) 부분의 하측에 형성되되 그 폭이 상기 갭 보다 크게 형성되면 상기 수지물이 상기 브라켓(410)의 반경 반향 말단(441)의 두께 부분뿐만 아니라 하면의 일정 부분까지 도포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상부 브라켓(410) 또는 상기 상부 개방부(131)과 접촉하는 수지물의 면적을 더욱 넓힐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수분 침투 방지 기능과 결합 기능이 더욱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Further, as shown in FIG. 10, the width of the groove 139 is more preferab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gap. Because the gap (d)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gap is formed larger than the gap is that the resin is applied to a certain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as well as the thickness of the radially opposite end 441 of the bracket 410 Because it is possible. Therefore, the area of the resin material in contact with the upper bracket 410 or the upper opening 131 can be further increased. Through this, the water penetration prevention function and the coupling function may be further enhanced.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2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넥터(230)은 상기 몰드부(130)의 내부에 고정되는 피씨비(200)와 결합되어 외부 전원을 상기 피씨비(200)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커넥터는 상기 몰드부(130)의 상부에 형성된 커넥터 결합부(135)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230)의 상부 형상은 상기 개방부(131)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상기 브라켓(410)이 상기 몰드부뿐만 아니라 커넥터(230)과도 결합되기 때문에 커넥터(230)가 더욱 견고히 몰드부(130)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전술한 브라켓의 위치 결정부(예를 들어 커넥터에 형성된 돌기(231))로 인해서 어느 정도의 형상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230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or 230 is coupled to the PC 200 fixed inside the mold 130 to perform a function of supplying external power to the PC 200. In addition, the connector is coupled to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135 formed on the mold portion 130. Therefore, the upper shape of the connector 230 is preferably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opening 131. Through this, since the bracket 410 is coupled not only to the mold part but also to the connector 230, the connector 230 may be more firmly fixed to the mold part 130. Of course, due to the positioning portion (for example, the protrusion 231 formed in the connector) of the bracket described above, the shape to some extent may vary.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몰드부(130)에 상부 개방부(131)뿐만 아니라 하부 개방부(132)가 더 형성될 수 있음은 전술하였다. 여기서, 상기 하부 개방부(132)와 하부 브라켓(420)과의 결합 구조도 전술한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하부 브라켓을 통한 수분 침투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반드시 이와 동일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물론 반대로 하부 브라켓(420)을 통해서만 수분 침투의 우려가 있다면 전술한 구조는 하부 브라켓(420) 결합 구조에만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at the lower opening 132 as well as the upper opening 131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mold 130. Here,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lower opening 132 and the lower bracket 420 may also be the same as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However, it may not necessarily be the same if there is no fear of moisture penetration through the lower bracket. On the contrary, if there is a fear of moisture penetration only through the lower bracket 420,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may be applied only to the lower bracket 420 coupling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몰드부 개방부(131, 132)와 브라켓(410, 420)은 전술한 수분 침투 방지를 위한 구조와 함께 억지 끼워짐 구조 내지는 강제 압입 구조(이하 설명의 편의상 "기계적 결합 구조"라 한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먼저 브라켓이 개방부에 기계적으로 결합된 후 전술한 수지물 도포 등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mold openings 131 and 132 and the brackets 410 and 420 of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interference fit structure or a forced indentation structure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for preventing water penet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mechanical coupling structure"). It may be made to include). That is, the bracket may be mechanically coupled to the opening first, and then the above-described resin coating may be performed.

이러한, 기계적 결합 구조는 전술한 갭(d)이 브라켓의 원주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아울러 수지물 도포를 수행할 때 브라켓이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Such a mechanical coupling structure performs a function of uniformly forming the aforementioned gap 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racket, and also prevents the bracket from being moved when the resin is applied.

여기서, 상기 기계적 결합 구조는 상기 내측 내벽(136)과 상기 내측 내 벽(136)에 삽입되는 절곡부(440)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절곡부(440)는 브라켓(410, 420)의 반경 방향 말단의 반경 방향 내측에 하향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절곡부(440)가 상기 내측 내벽(136)에 삽입되어 일차적으로 브라켓이 몰드부(130)에 고정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mechanical coupling structure may be formed through the bent portion 440 inserted into the inner inner wall 136 and the inner inner wall 136. The bent portion 440 may be formed to be bent dow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adial ends of the bracket (410, 420). That is, the bent portion 440 is inserted into the inner inner wall 136 so that the bracket is first fixed to the mold portion 130.

한편, 상기 절곡부(440)는 상기 브라켓(410, 4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강성을 높이는 기능 또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bent portion 440 may also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rackets 410 and 420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bracket.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가 용이하고, 컴팩트하게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can form an external appearance compactly.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테이터를 절연 재질의 몰드부로 감싸기 때문에 보다 안전하고 사용이 용이한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Seco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fer and easier to use motor because the stator is wrapped in a mold of an insulating material.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테이터 어셈블리에 대해서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피씨비를 결합시킬 수 있고, 몰드부 형성시 코일의 손상을 방지하여 전기적 연결에 보다 높은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Thi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otor that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PCB in the correc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tator assembly, and can provide a higher reliability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by preventing damage to the coil when forming the mold portion.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 및 사용 시 발생 될 수 있는 불량을 방지하여 신뢰성이 향상된 모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아울러 내구성이 증진된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Fourth,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otor with improved reliability by preventing defects that may occur during manufacture and use, and can also provide a motor with improved durability.

다섯째, 모터의 제조 단계에 있어서 가능한 최후 단계에서 로터의 영구자석 착자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 과정에서 발생 될 수 있는 문제 를 최소화할 수 있다. Fifth, since the permanent magnet magnetization of the rotor can be carried out in the last possible step in the manufacturing step of the motor, it is easy to manufactu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roblems that can occu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여섯째, 모터의 제조 단계에서 로터 어셈블리의 결합 방향과 피씨비의 결합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로터 어셈블리의 결합 시 피씨비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Sixth, since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rotor assembly and the coupling ratio of the PCB in the manufacturing step of the motor is different, the interference with the PCB when the rotor assembly is minimized.

일곱째, 브라켓에 리브를 형성하여 강도 보강으로 인한 소음 및 진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브라켓의 결합 위치가 결정되어 피씨비와 절연 거리를 확보하여 보다 신뢰성이 있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Seventh,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noise and vibration characteristics due to the strength reinforcement by forming a rib in the bracket, and also to determine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bracket to provide a more reliable motor by securing the PCB ratio and the insulation distance.

Claims (10)

스테이터와 몰드부를 포함하여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스테이터 어셈블리;A stator assembly including a stator and a mold part, the stator assembly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on; 상면에 통전부가 실장되며,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의 상부에 안착되는 피씨비; 그리고 A current carrying portion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CB and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tator assembly; And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와 결합되어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의 상부 개방부를 밀폐시키는 상부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An upper bracket coupled to the stator assembly to seal an upper opening of the stator assembly, 상기 상부 브라켓 상면 중 일부분에는 강도 보강 리브가 형성되며,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racket is formed with a strength reinforcing rib, 상기 상부 브라켓 상면 중 강도 보강 리브가 형성되지 않은 평면부는 상기 통전부의 상부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The planar portion of the upper bracket on the top of the strength reinforcement ribs is not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the motor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부 브라켓은 금속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The upper bracket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상부 브라켓은 철판, 강판 또는 스테인리스 강판 중 어느 하나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The upper bracket is a mo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pressing any one of the steel sheet, steel sheet or stainless steel shee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강도 보강 리브는 상기 상부 브라켓의 상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됨을 특 징으로 하는 모터.The strength reinforcing rib is a mo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racket.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강도 보강 리브는 방사 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And said strength reinforcing rib is formed in a radial direc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평면부가 상기 통전부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만 상기 상부 브라켓이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와 결합되도록 하는 위치 결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And a positioning unit for allowing the upper bracket to be engaged with the stator assembly only when the planar portion is positioned above the energizing portion.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의 측면에 구비되어 외부의 전원을 상기 피씨비로 공급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And a connector provided at a side of the stator assembly to supply external power to the PC.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위치 결정부는,The positioning unit, 상기 상부 브라켓에 형성된 홈; 그리고A groove formed in the upper bracket; And 상기 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커넥터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And a protrusion formed in the connector to correspond to the groove.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위치 결정부는,The positioning unit, 상기 상부 브라켓에 형성된 돌기; 그리고A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bracket; And 상기 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커넥터에 형성됨 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And a groove formed in the connector to correspond to the protrusion.
KR1020070018822A 2007-02-26 2007-02-26 motor KR1008835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822A KR100883595B1 (en) 2007-02-26 2007-02-26 mo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822A KR100883595B1 (en) 2007-02-26 2007-02-26 mo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946A KR20080078946A (en) 2008-08-29
KR100883595B1 true KR100883595B1 (en) 2009-02-13

Family

ID=39880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822A KR100883595B1 (en) 2007-02-26 2007-02-26 mo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59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609B1 (en) * 2010-06-17 2012-01-31 주식회사 지앤제이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otor
KR101301451B1 (en) * 2011-12-28 2013-08-28 삼성전기주식회사 Vibration mo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251U (en) * 1997-01-31 1998-10-15 김광호 Motor housing
KR20040010793A (en) * 2004-01-06 2004-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direct drive motor in washing machine
KR20040065529A (en) * 2004-04-19 2004-07-22 (주)키네모숀 A brushless dc motor
KR20050038242A (en) * 2003-10-21 2005-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Structure for rotor of motor using wash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251U (en) * 1997-01-31 1998-10-15 김광호 Motor housing
KR20050038242A (en) * 2003-10-21 2005-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Structure for rotor of motor using washing machine
KR20040010793A (en) * 2004-01-06 2004-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direct drive motor in washing machine
KR20040065529A (en) * 2004-04-19 2004-07-22 (주)키네모숀 A brushless dc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946A (en) 200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599B1 (en) motor
US9496762B2 (en) Motor
US7714470B2 (en) Resolver and brushless motor
KR100362808B1 (en) Resin molded 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1588089B (en) Motor
WO2017033917A1 (en) Motor
JP5384958B2 (en)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83597B1 (en) motor
JP2006129590A (en)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armature
JP2007318987A (en) Motor and pump comprising magnetic sensor, method of manufacturing st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otor and pump
JPWO2005107049A1 (en) Brushless motor
JP6047751B2 (en) Brushless motor
JP2014007941A (en) Brushless motor and fuel pump using it
CN101588100A (en) Motor
JP2018042362A (en) Stator unit, motor, and fan motor
KR100883595B1 (en) motor
KR100883596B1 (en) motor
JP5532534B2 (en) Insulator, motor stator and motor provided with the same
KR100883598B1 (en) motor
CN101588096A (en) Motor
CN101588088A (en) Motor
JPS5849074A (en) Brushless motor
KR20080078945A (en) Motor
CN101572459A (en) Motor
KR100845852B1 (en)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