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586B1 -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586B1
KR100883586B1 KR1020080099073A KR20080099073A KR100883586B1 KR 100883586 B1 KR100883586 B1 KR 100883586B1 KR 1020080099073 A KR1020080099073 A KR 1020080099073A KR 20080099073 A KR20080099073 A KR 20080099073A KR 100883586 B1 KR100883586 B1 KR 100883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culvert
separation plate
pipe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담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담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담이앤씨
Priority to KR1020080099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5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가 유동하는 공간과 우수가 유동하는 공간을 완전히 분리하여 오수와 우수가 서로 섞이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청천시 오수의 적정 유속을 확보하여 퇴적 및 취기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제조가 용이하고, 운반 및 관리가 용이하며, 재료 투입량을 절감할 수 있는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한편, 시공이 용이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시공할 수 있으며, 오수를 배출하는 오수관들이 하수암거의 양측벽면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도 구조적인 변경없이 더욱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는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수암거의 하측 모서리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헌치부(haunch portion) 상측으로 이어진 수직벽부에 고정되며 상기 하수암거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고정부와, 상기 헌치부에 내측으로 이어지는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기 하수암거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면 고정부와, 상기 측면 고정부와 저면 고정부를 서로 연결하여 관로를 형성하는 관형성부로 이루어져, 서로 길이방향으로 조립되면서 하수암거의 하부 모서리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오수를 분리 배출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오수분리판과;
상기 오수분리판의 측면 고정부와 하수암거의 수직벽부 사이 및, 상기 오수분리판의 저면 고정부와 하수암거의 바닥면 사이에 개재되어 오수의 우수 측으로의 침투를 방지하는 차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가 제공된다.
하수암거, 부착, 우오수, 분리

Description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Pipe Assembly of Culvert for Seperating Raindrops and Sewage}
본 발명은 하수암거에 부착되어 우수와 오수를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와 오수가 합류되는 하수암거에 부착되어 우수(雨水)와 오수(汚水)가 서로 섞이지 않고 분리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하수를 처리하는 방식은 분류식과 합류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분류식은 우수관과 오수관을 별도로 부설하여 오수를 오수처리장으로 이송하는 방식으로, 우수와 오수를 별도로 분리하여 배출하므로 토사유입이 적고, 수질 관리및 통제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합류식은 우수 및 오수를 합류식 단일 관거를 통해 이송하여 하수암거(下水暗渠) 또는 하수관거(下水管渠)로 배출하는 방식으로, 하수암거 또는 하수관거로 배출된 우오수는 하천으로 유입되기 전 우수토실에서 차집, 이송되어진 후 하수종말 처리장에서 정화된 후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합류식 하수 처리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오수뿐만 아니라 정화가 필요없는 우수도 함께 하수종말 처리장에서 처리해야 하므로, 하수처리장치의 용량을 크게 설계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둘째, 하수암거의 통수단면적이 우천시의 우수량을 기준으로 계획되어 있기 때문에 청천시에 적정 유속 확보가 어렵고, 이로 인해 건기시 유기물과 무기물, 토사 등이 퇴적된 후 부패되어 유해가스 및 악취를 발생시켜 민원을 야기하게 되며, 환경을 오염시킨다.
셋째, 우천시에는 하수 배출량이 증가하여 차집관로를 통해서 하수처리장으로 수송되고 남은 하수가 우수토실에서 월류하여 공공수역으로 방류되며, 특히 우천시 초기강우에 의해 하수암거 내의 퇴적물이 우수와 함께 일시에 하천으로 유입되어 물고기 폐사 및 하천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를 일으킨다.
이에 실용신안등록 0184310호(공개번호 20-1999-0039390)에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하수암거(C) 내에 폐비닐로 제작되는 오수차단 블록(1)을 바닥면에 시공하여 오수(S)와 우수(R)를 분리하는 '하수구용 오수차단 블록'이 개시되었다.
하지만, 실용신안등록 0184310호에 개시된 하수구용 오수차단 블록은 하수암거 내부를 2개의 공간으로 분리시키지만, 오수차단 블록의 상단부가 개방되어 2개의 공간이 서로 연통되므로, 우천시에 두 공간의 오수와 우수가 오수차단 블록의 개방된 상단부를 넘어 서로 섞여서 외부로 배출되고, 이에 따라 하천오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하수암거 내에 퇴적된 퇴적물의 악취 확산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0184310호에 개시된 하수구용 오수차단 블록은 하수암거 를 오수가 유동하는 공간과 우수가 유동하는 공간의 두 부분으로만 구획하므로, 하수암거의 양측으로 오수관을 연결할 수 없기 때문에, 하수암거의 양측면에 오수관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는 시공이 불가능하거나, 오수관들이 모두 하수암거의 일측 벽면으로 연결되도록 오수관 재시공 공사를 해야하는 문제도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한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등록 073360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오수가 유동하는 공간과 우수가 유동하는 공간을 완전히 분리하여 오수와 우수가 서로 섞이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청천시 오수의 적정 유속을 확보하여 퇴적 및 취기 확산을 방지하고, 오수를 배출하는 오수관들이 하수암거의 양측벽면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도 구조적인 변경없이 시공할 수 있는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를 제공한 바 있다.
하지만, 상기한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는 앞서 언급한 실용신안등록 0184310호에 개시된 고안에 비해서는 그 구성 및 기능이 현저히 향상되었고 상대적으로 쉽게 시공 가능하지만, 여전히 몇 가지 구조적 단점이 있어 이를 더욱 개선시킬 필요성이 있다.
즉, 상기 등록특허의 하우암거 부착식 오우수 분리장치는 폐형(Loop type)구조로서, 제조가 용이하지 아니하고, 제조품이 차지하는 부피가 커서 운반 및 관리가 용이하지 않으며, 폐형을 이루기 위해 비교적 많은 재료가 투입되어야 하므로 제조 원가가 높아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오수가 유동하는 공간과 우수가 유동하는 공간을 완전히 분리하여 오수와 우수가 서로 섞이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청천시 오수의 적정 유속을 확보하여 퇴적 및 취기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제조가 용이하고, 운반 및 관리가 용이하며, 재료 투입량을 절감할 수 있는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가 용이하고, 기존 기술에 비해 보다 낮은 비용으로 시공할 수 있으며, 오수를 배출하는 오수관들이 하수암거의 양측벽면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도 구조적인 변경없이 더욱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는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수암거의 하측 모서리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헌치부(haunch portion) 상측으로 이어진 수직벽부에 고정되며 상기 하수암거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고정부와,
상기 헌치부에 내측으로 이어지는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기 하수암거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면 고정부와,
상기 측면 고정부와 저면 고정부를 서로 연결하여 관로를 형성하는 관형성부로 이루어져, 서로 길이방향으로 조립되면서 하수암거의 하부 모서리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오수를 분리 배출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오수분리판과;
상기 오수분리판의 측면 고정부와 하수암거의 수직벽부 사이 및, 상기 오수분리판의 저면 고정부와 하수암거의 바닥면 사이에 개재되어 오수의 우수 측으로의 침투를 방지하는 차수수단(遮水手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차수수단은 수팽창성 지수제 또는 고무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 고정부와 저면 고정부에는 고정용 앵커볼트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오수분리판은 상호 연결시, 각 오수분리판 끝단부를 서로 맞대어 잇되, 이음부를 차수 처리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조립되는 오수분리판의 조립부위에는 차수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오수분리판의 상호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수단 구성의 제1형태는, 오수분리판의 일측 단부에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다른 오수분리판의 일측 단부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삽입부가 다른 오수분리판의 일측 단부로 삽입될 때 다른 오수분리판의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차수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링재와, 상기 삽입부가 다른 오수분리판의 일측 단부로 삽입될 때 상기 다른 오수분리판의 측면 고정부와 저면 고정부와 각각 포개어지면서 고정용 앵커볼트에 의해 함께 체결되는 측면 연결편 및 저면 연결편을 포함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결합수단 구성의 제2형태는, 중앙의 이음부와, 상기 이음부 양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중앙의 이음부에 대해 단차지게 형성되어 서로 연결될 양측 오수분리판의 각 단부가 삽입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 혹은 양측 오수분리판의 각 단부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양측 오수분리판의 각 단부가 수용부로 삽입될 때 대응면에 밀착되면서 차수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링재를 포함하는 소켓형 결합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우오수 분리장치는, 일단부가 상기 하수암거 내로 오수를 배출하는 오수관과 인접하게 설치되며, 타단부가 상기 오수분리판의 관형성부로 연통되게 설치되어, 오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를 오수분리판 내측 공간으로 유도하는 오수유도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수유도관은, 상기 오수관의 끝단부 하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아치형의 집수부와; 일단이 상기 집수부의 하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오수분리판의 관형성부와 연통되며, 양단이 하수암거의 벽면에 밀착되게 고정되면서 하수암거의 벽면과 함께 관로를 형성하는 원통형의 연결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우수 분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오수분리판이 하수암거의 일측 또는 양측 하부 모서리 부분에 견착되어 부착되므로 하수암거의 통수단면적 축소를 최소화하면서 오수와 우수를 완전히 분리하여 배출시킬 수 있으며, 하수암거 내에서 오수가 유동하는 유로가 밀폐되어 있으므로 오수의 취기가 확산되는 현상이 방지되며, 보건위생상으로도 효과적이다.
둘째, 오수분리판이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져 하수암거 내에서 간단히 조립되고, 앵커볼트 등에 의해 용이하게 부착되므로 시공이 매우 용이하며, 시공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중장비 등을 동원할 필요없이 오수분리판과 오수유도관 등을 운반하여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우수하고, 공기가 단축되며, 민원발생 등의 문제도 없어진다.
셋째, 오수분리판 내측 공간이 하수암거의 나머지 공간과 완전히 분리되어 우천시 하수암거내에서 오수와 우수의 혼합 현상이 방지되므로, 하천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수처리장내로 유입되는 물의 수질을 향상시켜 하수처리장에서의 운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넷째, 오수분리판에 의해 형성된 유로 단면적이 다른 부분보다 축소되어 있다. 따라서, 수량이 적은 청천(晴天)시에도 오수분리판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오수의 흐름이 빠르게 되어 최소 유속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오수 유로의 바닥면에 토사 등의 이물질이 퇴적되는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오수가 유동하는 공간이 밀폐되어 있어 퇴적물 및 오수에 의한 취기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오수분리판이 하수암거의 양측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하수암거의 양측벽부에 오수관이 연결되는 경우라도 구조적 변경을 가하지 않고 오수를 양측으로 원활하게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여섯째, 기존의 도시들의 경우, 오수와 우수를 분리 배출하려면 이미 조성된 하수암거를 철거하고 나서 우수관과 오수관을 별도로 설치하는 완전 분류식 전환하 지 않으면 안 되는데, 완전 분류식으로의 전환은 경제성·시공성 면에서 적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오수분리판의 설치만으로 분류식으로 시공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우수와 오수를 분리 배출할 수 있게 되는 본 발명은 분류식화에 따른 공사비에 비해 현저히 낮은 비용으로 시공할 수 있어 경제성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이며, 시공시 교통장애에 따른 민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분류식으로 시공할 경우 수반되는 기존 하수암거의 철거에 따른 폐기물 발생이 없어 환경 측면에서도 매우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오수 분리장치가 하수암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하수암거(C)의 양측벽면에는 오수가 배출되는 오수관(P)들이 연통되게 설치되며, 하수암거(C)의 각 모서리부분에는 응력을 분산하고 강도를 보강하는 헌치(H)(haunch)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헌치(H)는 설계사양에 따라 다양한 경사각도를 갖지만, 대부분의 경우 대략 45°정도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우오수 분리장치는 하수암거(C)의 양측 하부 모서리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개의 오수분리판(10)과, 상기 하수암거(C)의 측벽면을 통해 연결된 오수관(P)의 끝단부로부터 상기 오수분리판(10) 중 어느 하나로 연통되게 설치되어 오수관(P)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오수분리판(10) 내측 공간으로 안내하는 오수유도관(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상기 오수분리판(10)들과 오수유도관(20)들은 오수관(P)이 하수암거(C)의 일측 벽면에만 연결되는 경우에는 하수암거(C)의 양측에 설치되지 않고 한쪽 모서리 부분에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수분리판(10)들은 소정의 길이, 예를 들어 약 2.5m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들이 복수개가 길이방향으로 조립되어 사용된다. 상기 오수분리판(10)은 물과 접촉하여도 잘 부식되지 않고 적정 강성을 갖는 PVC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오수분리판(10)은 하수암거의 하측 모서리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헌치부(haunch portion)(도 2 참조) 상측으로 이어진 수직벽부에 고정되며 상기 하수암거(C)(도 2 참조)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고정부(15)와, 상기 헌치부에 내측으로 이어지는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기 하수암거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면 고정부(16)와, 상기 측면 고정부와 저면 고정부를 서로 연결하여 관로를 형성하는 관형성부(1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서로 길이방향으로 조립되면서 하수암거의 하부 모서리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오수를 분리 배출하도록 하는 오수분리판(10)의 측면 고정부(15)와 하수암거(C)의 수직벽부 사이 및, 상기 오수분리판(10)의 저면 고정부(16)와 하수암거(C)의 바닥면 사이에는 오수의 우수 측으로의 침투를 방지하는 차수수단(30)이 개재된다.
상기 차수수단(30)은 수팽창성 지수제 또는 고무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측면 고정부(15)와 저면 고정부(16)에는 고정용 앵커볼트(17)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홀(15a, 16a)들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관형성부(14)에는 외부에서 작업자가 오수분리판(10) 내측의 오수관로 를 청소하거나 토사 등의 이물질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개구부(14a)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4a)에는 개폐도어(18)가 개구부(14a)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도어(18)는 개구부(14a)의 일측에 힌지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회전 운동에 의해 개구부(14a)를 개폐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개구부(14a)를 개폐할 수도 있으며, 잠금 작용이 이루어지는 뚜껑형태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개폐도어(18) 역시 닫은 상태에서는 수밀성을 갖추도록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오수분리판(10)들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으로서, 오수분리판(10) 중 하류측 오수분리판(10)의 일측 단부에 상류측의 다른 오수분리판(10')의 일측 단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19)가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19)의 외주면에는 삽입부(19)가 상류측의 다른 오수분리판(10')의 일측 단부로 삽입될 때 오수분리판(10')의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실링재(19c)가 부착된다. 상기 실링재(19c)는 고무나 실리콘러버와 같이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재질에 한정을 두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삽입부(19)의 외측에는 다른 오수분리판(10)의 일측 단부로 삽입될 때 상기 다른 오수분리판(10)의 측면 고정부(15)와 저면 고정부(16)와 각각 포 개어지면서 고정용 앵커볼트(17)에 의해 함께 체결되는 측면 연결편(19a) 및 저면 연결편(19d)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 연결편(19a) 및 저면 연결편(19d)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른 오수분리판(10)의 일측 단부의 측면 고정부(15)와 저면 고정부(16)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포개어지게 되는데, 이때, 측면 연결편(19a) 및 저면 연결편(19d)의 체결홀(19b)들은 각각 다른 오수분리판(10)의 일측 단부의 측면 고정부(15)와 저면 고정부(16)의 체결홀(15a, 16a)들과 일치하게 되고, 이 체결홀(15a, 16a, 19b)들을 통해 고정용 앵커볼트(17)가 체결됨으로써 서로 일체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오수분리판(10)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오수분리판(10)의 일단에 축관되는 경우와 같은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된 삽입부(19)가 형성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와 반대로 오수분리판(10)의 일단부에 외측으로 확관되면서 단차지게 형성되는 형태로서 다른 오수분리판의 일단이 이 확관된 단차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오수유도관(20)은, 상기 오수관(P)의 끝단부 하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집수부(21)와, 상단이 상기 집수부(21)의 하부와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오수분리판(10) 중 어느 하나의 관형성부(14)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연결관부(22)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관부(22)는 하수암거(C)의 벽면과 함께 관로를 형성하도록 반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그의 양단이 앵커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하수암거(C)의 벽면에 밀착되게 고정된다. 상기 연결관부(22)는 반드시 반원통형으로 이루어질 필 요는 없으나, 우천시의 우수의 흐름을 고려하여 우수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는 유선형의 곡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수부(21)는 아치형을 예시하였으나, 원형을 이룰 수도 있으며, 상기 연결관부(22) 역시 반원통형을 예시하였으나, 원통형을 이룰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집수부(21)는 오수관(P)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가 연결관부(22) 내측으로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도록 오수(S)를 모으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집수부(21)는 오수관(P)의 끝단부를 완전히 밀폐시키지 않고 상부를 일정 정도 개방시키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집중 호우와 같은 다량의 우수가 발생하는 우천시 오수관(P)을 통해 오수와 우수가 섞여서 배출될 때 집수부(21) 외측으로 흘러넘치면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집수부(21)는 연결관부(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와 다르게 집수부(21)가 연결관부(22)와 개별체로 형성되어 오수관(P)의 관경이나 설계 사양에 따라 오수관(P)에 대한 높이가 조절되어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오우수 분리장치에 따르면, 오수관(P)을 통해 배출된 오수가 오수유도관(20)의 집수부(21)와 연결관부(22)를 통해 오수분리판(10) 내측 공간으로 유입되고, 이어서 오수분리판(10)에 의해 형성된 오수 유로를 통해 처리장 또는 방류지점까지 흘러가게 되므로, 오수(S)와 우수(R)가 서로 섞이지 않고 분리되어 배출된다.
또한, 상기 오우수 분리장치는 하수암거(C) 내에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여러 개의 오수분리판(10)을 서로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매우 간단하고, 중장비 등 별도의 추가 장비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한편, 전술한 오우수 분리장치의 실시예에서 상기 오수분리판(10)은 측면 고정부(15)와 저면 고정부(16)의 체결홀(15a, 16a)을 통해 고정용 앵커볼트(17)를 하수암거(C)의 측벽면과 바닥면에 체결함으로써 하수암거(C)의 모서리 부분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하지만, 이와 다르게 상기 오수분리판(10)은 밴드나 스트립을 이용하여 하수암거(C)에 고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의 오수분리판(10)은 관형성부(14)가 2개의 평면이 서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대체로 직육면체 형태를 이루도록 되어 있지만,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관형성부(14) 전체가 원호형태의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는 곡면으로, 측면부는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9는 오수분리판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오수분리판 결합수단(40)은 서로 연결될 두 개의 오수분리판 양단부가 삽입되는 일종의 소켓 구조를 이루게 된다.
즉,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오수분리판 결합수단(40)은, 중앙의 이음부(41)와, 상기 이음부 양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중앙의 이음부에 대해 단차지게 형성되어 서로 연결될 양측 오수분리판의 각 단부가 삽입되는 수용부(42)와, 상기 수용부(42)의 내주면 혹은 양측 오수분리판의 각 단부의 외주면에 부착되 어 양측 오수분리판의 각 단부가 수용부로 삽입될 때 대응면에 밀착되어 차수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링재(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재(43)는 수팽창성 지수제 또는 고무, 실리콘러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청천시 오수분리판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통해 합류식 하수암거 내에서 오수가 완전히 우수와는 분리 배출되며, 청천시 오수의 적정 유속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토사 등의 이물질 퇴적 방지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퇴적에 의한 악취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개의 오수분리판(10)을 서로 길이방향으로 보다 쉽게 조립하여 하수암거(C)의 양측 하부 모서리 부분에 앵커볼트 등으로 간단히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이 매우 간단하고 쉬워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 합류식 하수암거가 조성된 기존의 도시들도 하수암거의 철거 및 재시공 없이도, 우수와 오수를 분리 배출할 수 있게 됨으로써 분류식으로 시공했을 때의 효과도 누릴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컨대, 상기에서는 실시예로서 오수분리판(10)의 상호 연결을 위해 삽입부(19)를 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단순한 연결 형태로서 상기 삽입부 없이 각 오수분리판(10) 끝단부를 서로 맞대어 잇되 이음 부(50)는 수팽창성 지수제 등의 차수수단(30)으로 차수처리한 연결구조도 가능한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오우수 분리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하수암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우수 분리장치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 하수암거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오우수 분리장치의 오수분리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오수분리판들이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3의 오수분리판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도 2의 오우수 분리장치의 오수유도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우수 분리장치의 오수분리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우수 분리장치의 오수분리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오우수 분리장치의 오수분리판 결합수단인 결합용 소켓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C : 하수암거 H : 헌치(haunch)
P : 오수관 R : 우수
S : 오수 10 : 오수분리판
11 : 헌치대응부 12 : 측면부
13 : 저면부 14 : 관형성부
15 : 측면 고정부 16 : 저면 고정부
17 : 고정용 앵커볼트 18 : 개폐도어
19 : 삽입부 20 : 오수유도관
21 : 집수부 22 : 연결관부
30 : 차수수단 40 : 오수분리판 결합수단
41: 이음부 42: 수용부
43: 실링재

Claims (9)

  1. 하수암거의 하측 모서리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헌치부(haunch portion) 상측으로 이어진 수직벽부에 고정되며 상기 하수암거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고정부와,
    상기 헌치부에 내측으로 이어지는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기 하수암거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면 고정부와,
    상기 측면 고정부와 저면 고정부를 서로 연결하여 관로를 형성하는 관형성부로 이루어져, 서로 길이방향으로 조립되면서 하수암거의 하부 모서리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오수를 분리 배출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오수분리판과;
    상기 오수분리판의 측면 고정부와 하수암거의 수직벽부 사이 및, 상기 오수분리판의 저면 고정부와 하수암거의 바닥면 사이에 개재되어 오수의 우수 측으로의 침투를 방지하는 차수수단(遮水手段: waterproofing means);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수단은 수팽창성 지수제 또는 고무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고정부와 저면 고정부에는 고정용 앵커볼트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분리판은 상호 연결시, 각 오수분리판 끝단부를 서로 맞대어 잇되, 이음부를 차수 처리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조립되는 상기 오수분리판의 연결부위에는 차수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오수분리판의 상호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오수분리판의 일측 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조립되는 다른 오수분리판의 일측 단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삽입부가 조립되는 다른 오수분리판의 일측 단부로 삽입될 때 그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차수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링재와, 상기 삽입부가 다른 오수분리판의 일측 단부로 삽입될 때 상기 다른 오수분리판의 측면 고정부와 저면 고정부와 각각 포개어지면서 고정용 앵커볼트에 의해 함께 체결되는 측면 연결편 및 저면 연결편 을 포함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중앙의 이음부와, 상기 이음부 양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중앙의 이음부에 대해 단차지게 형성되어 서로 연결될 양측 오수분리판의 각 단부가 삽입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 혹은 양측 오수분리판의 각 단부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양측 오수분리판의 각 단부가 수용부로 삽입될 때 대응면에 밀착되면서 차수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링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오수 분리장치는,
    일단부가 상기 하수암거 내로 오수를 배출하는 오수관과 인접하게 설치되며, 타단부가 상기 오수분리판의 관형성부로 연통되게 설치되어, 오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를 오수분리판 내측 공간으로 유도하는 오수유도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유도관은,
    상기 오수관의 끝단부 하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집수부와; 일단이 상기 집수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오수분리판의 관형성부와 연통되며, 양단이 하수암거의 벽면에 밀착되게 고정되면서 하수암거의 벽면과 함께 관로를 형성하는 원통형의 연결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
KR1020080099073A 2008-10-09 2008-10-09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 KR100883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073A KR100883586B1 (ko) 2008-10-09 2008-10-09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073A KR100883586B1 (ko) 2008-10-09 2008-10-09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3586B1 true KR100883586B1 (ko) 2009-03-17

Family

ID=40697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073A KR100883586B1 (ko) 2008-10-09 2008-10-09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5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838B1 (ko) * 2016-10-25 2018-05-17 김현숙 오우수 분리벽 보강장치
KR102065002B1 (ko) * 2019-04-01 2020-01-10 경기도 성남시 맨홀 유입부의 악취비산억제장치
CN111424569A (zh) * 2020-04-02 2020-07-17 武汉圣禹排水***有限公司 一种用于箱涵的截污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906Y1 (ko) 2003-10-07 2004-02-11 김동수 하수도 오수분류박스
KR200356480Y1 (ko) 2004-03-17 2004-07-15 주식회사 한조엔지니어링 우,오수 합성용 오수관로 구조
KR100733608B1 (ko) 2007-03-12 2007-06-28 주식회사 도담이앤씨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906Y1 (ko) 2003-10-07 2004-02-11 김동수 하수도 오수분류박스
KR200356480Y1 (ko) 2004-03-17 2004-07-15 주식회사 한조엔지니어링 우,오수 합성용 오수관로 구조
KR100733608B1 (ko) 2007-03-12 2007-06-28 주식회사 도담이앤씨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838B1 (ko) * 2016-10-25 2018-05-17 김현숙 오우수 분리벽 보강장치
KR102065002B1 (ko) * 2019-04-01 2020-01-10 경기도 성남시 맨홀 유입부의 악취비산억제장치
CN111424569A (zh) * 2020-04-02 2020-07-17 武汉圣禹排水***有限公司 一种用于箱涵的截污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3373B1 (en) Stormwater pollu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2200336B1 (ko) 악취 및 빗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빗물받이 및 그 제조방법
US20090279954A1 (en) Debris and sediment reduction apparatus for water drainage systems
KR100883586B1 (ko)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
JP6069779B2 (ja) 多層式下水道管
KR101663691B1 (ko) 파형 강관을 이용한 도로 측구
KR101215995B1 (ko) 오수 및 우수의 배수시스템
KR100733281B1 (ko) 도로의 친환경적인 배수로 구조
US20110135392A1 (en) Modular, scalable liquid management system
CN207608784U (zh) 一种沥青道路的排水装置
KR100733608B1 (ko)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
JP7467228B2 (ja) 配管構造
CN205329832U (zh) 带过滤框的雨水口
KR100655740B1 (ko) 역류 및 악취방지맨홀
KR20190076949A (ko) 프랑스식 배수구를 포함하는 하수 설비 시스템을 위한 장치
CA2732245A1 (en) Modular, scalable liquid management system
KR200340906Y1 (ko) 하수도 오수분류박스
JP2014009490A (ja) 雨水貯溜配管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排水桝
KR101562759B1 (ko) 우수토실용 벽체플레이트 조립체
KR100918668B1 (ko) 하수암거 교차부에서의 하수암거 부착식 오우수분리관 연결구조
KR101361472B1 (ko) 오수 및 우수의 배수시스템
CN108560676A (zh) 一种塑胶排污***和塑胶排雨水***
KR101668220B1 (ko) 하수,오수,폐수관용 세정장치
KR100931929B1 (ko) Frp보강재가 구비된 가변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이를 이용한 맨홀
KR100906196B1 (ko) 하수암거 교차부에서의 하수암거 부착식 오우수분리관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