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2611B1 - 표적 리간드로서 폴릭산이 도입된 유전자 전달체용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적 리간드로서 폴릭산이 도입된 유전자 전달체용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2611B1
KR100882611B1 KR1020060112418A KR20060112418A KR100882611B1 KR 100882611 B1 KR100882611 B1 KR 100882611B1 KR 1020060112418 A KR1020060112418 A KR 1020060112418A KR 20060112418 A KR20060112418 A KR 20060112418A KR 100882611 B1 KR100882611 B1 KR 100882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ble chitosan
low molecular
gene
molecular weigh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2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3638A (ko
Inventor
나재운
정특래
장미경
김동곤
허선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토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토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토라이프
Priority to KR1020060112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2611B1/ko
Priority to PCT/KR2007/005711 priority patent/WO2008060096A1/en
Priority to US12/514,351 priority patent/US20100040694A1/en
Publication of KR20080043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3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24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beta-D-Glucans; (beta-1,3)-D-Glucans, e.g. paramylon, coriolan, sclerotan, pachyman, callose, scleroglucan, schizophyllan, laminaran, lentinan or curdlan; (beta-1,6)-D-Glucans, e.g. pustulan; (beta-1,4)-D-Glucans; (beta-1,3)(beta-1,4)-D-Glucans, e.g. lichenan;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272-Acetamido-2-deoxy-beta-glucan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3Chitin, i.e. 2-acetamido-2-deoxy-(beta-1,4)-D-glucan or N-acetyl-beta-1,4-D-glucosamine; Chitosan, i.e. deacetylated product of chitin or (beta-1,4)-D-glucosamin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 A61K47/5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the modifying agent being also a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i.e. the entire conjugate being a codrug, i.e. a dimer, oligomer or polymer of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compounds
    • A61K47/5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the modifying agent being also a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i.e. the entire conjugate being a codrug, i.e. a dimer, oligomer or polymer of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compounds one of the codrug's components being a vitamin, e.g. niacinamide, vitamin B3, cobalamin, vitamin B12, folate, vitamin A or retin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2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 A61K47/6927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 A61K47/692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 A61K47/693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nanoparticle being a polymer
    • A61K47/693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nanoparticle being a polymer the polymer being a polysaccharide, e.g. starch, chitosan, chitin, cellulose or pect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87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co-transform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87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co-transformation
    • C12N15/88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co-transformation using microencapsulation, e.g. using amphiphile liposome ves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적 리간드로서 폴릭산이 도입된 유전자 전달체용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는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의 강한 반응성으로 인해 폴릭산의 도입이 용이하므로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독성이 없고, 유전자 전달체로 사용할 수 있는 크기에 적합하며, DNA와 결합하여 복합체를 이루고, 높은 유전자 발현효율을 나타내고, 암세포 등의 종양 세포에 풍부하게 발현되는 폴릭산 수용체로 인해 표적하기 용이하므로 유전자 전달체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 폴릭산, 유전자 전달체

Description

표적 리간드로서 폴릭산이 도입된 유전자 전달체용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Low molecular water soluble chitosan nanoparticles for delivery of gene carrier modified with folate as a target ligan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의 FT-IR 스펙트럼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의 1H NMR 스펙트럼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의 입자 크기 및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의 복합체의 TEM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와 DNA의 복합체의 이동성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H 6.2에서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 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와 DNA의 복합체의 발현 효율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H 6.2에서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의 세포 생존 가능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주요 도면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LMWSC: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FA: 폴릭산
본 발명은 표적 리간드로서 폴릭산이 도입된, 유전자 전달체용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전자 치료는 치료유전자를 체내의 원하는 장기로 전달하여 세포 내에서 새로운 단백질이 발현되도록 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유전자 치료는 일반적인 약물에 의한 치료에 비해서 우수한 선택성을 가질 수 있고 다른 치료법으로는 조절하기 힘든 질병의 치료율 및 치료속도를 개선하여 오랜 기간 동안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전자 치료는 질병의 증상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고 질병의 원인을 치료하여 제거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전자 치료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치료 유전자를 원하는 표적 세포로 전달하여 높은 발현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유전자 전달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전자 전달체는 독성이 낮거나 없어야 하며, 유전자를 선택적이고 효과적으로 원하는 세포에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유전자 전달체는 크게 바이러스성과 비바이러스성으로 나눌 수 있다.
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체는 레트로 바이러스(RV), 아데노 바이러스(AV), 아데노 바이러스와의 복합체(AAV)들로 구성되며, 발현율 및 지속성 면에서 매우 우수하나 면역반응과 인체 내 독성 및 체내 축적 등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R.S. Kevin, Gene therpy, 34, 247-268(2003); E. Marshall, Gene therapy's growing pains, Science, 269, 1050-1055(1995)]. 일례로 1999년에 펜실베니아 대학에서는 아데노 바이러스를 이용한 유전자 치료를 하던 중, 18세의 소년이 죽는 사고가 발생하여 미국 식품 안전청과 국립보건원에 의해 아데노 바이러스를 이용한 모든 유전자 치료 임상실험이 중단되는 사건이 있었다.
이러한 사고를 계기로 안전한 유전자 전달체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가하면서 비바이러스성 전달체에 대한 연구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상기 비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체는 주로 양이온성 지질 또는 고분자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음이온성인 DNA와 이온결합에 의해 복합체를 형성하여 세포 내로 전달된다. 양이온성 리포좀 등의 비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체는 바이러스성 전달체에 반하여 생분해성, 낮은 독성, 비면역원성, 사용상의 간편함 등의 장점을 가지나, 바이러스성 전달체에 비하여 유전자의 전달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K. Morimoto, M. Nishikawa, S. Kawakami, T. Nakano, Y. Hattori, S. Fumoto, F. Yamashita and M. Hashida, Molecular weight-dependent gene transfetion activity of unmodified and galactosylated polyethylenimine on hapatoma cells and mouse liver, Mol. Therpy, 7, 254-261(2003)].
따라서 유전자의 전달 효율이 높은 비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체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편, 키토산은 글루코오스아민(glucosamine)의 피라노스(pyranose) 단위체가 β-1,4 결합된 것으로서, 글루코오스아민 잔기가 5,000 개 이상 결합된 분자량이 100만 이상이고 다가의 양이온을 가진 다당류(polysaccharide) 계열의 생체고분자물질로 게 껍질이나 새우와 같은 갑각류 및 오징어를 포함하는 수산계로부터 추출할 수 있으며, 그 분자 구조로 볼 때 다당류의 일종인 셀룰로오스와 유사한 구조로서, 생체 친화성이 우수하여 면역 반응시 거부 반응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의약 산업에 응용되고 있고, 최근 미국의 FDA에서 식품으로서 인증을 받은 후, 키토산은 21세기의 중요한 생물산업 및 생체의료용 물질로 응용되고 있다.
특히, 20,000 ∼ 100,000 이내의 특정 분자량의 범위를 가진 키토산은 강한 생리활성 기능을 띠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건강 식품분야, 식ㆍ음료 분야, 화장품 분야, 보건위생 분야 및 의약품 분야에 대한 응용성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특징 및 장점을 갖는 키토산은 서로 이웃하는 분자가 강한 수소결합으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물에 녹지 않는 불용성 물질로서, 종래 이러한 키토산을 녹이기 위하여 젖산, 초산, 프로피온산, 포름산, 아스코르브산, 및 주석산을 포함하는 유기산 및 염산, 질산 및 황산으로 구성되는 무기산을 사용함으로 생체에 응용하는 데 제한을 주고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획기적인 수용성 키토산을 개발하고 이를 특허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41270호).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41270호는 "1) 키토산 올리고당의 유기산 또는 무기산 염의 용액을 염기인 트리알킬 아민으로 처리하고, 2) 상기 용액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키토산 올리고당에 결합되어 있는 유기산 또는 무기산이 트리알킬 아민 염의 형태로 제거된 키토산 올리고당을 회수하고, 3) 상기에서 산이 제거된 키토산 올리고당 용액을 무기산 처리 후, 활성화된 탄소/이온교환수지(activated carbon/ion exchange resin) 컬럼으로 정제하여 1,000 ∼100,000 Da의 분자량을 가진 순수한 수용성 유리 아민 키토산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은 독성이 없어서 생체적합하고, 물에 잘 녹기 때문에 증류수 등에 녹여 주사할 수 있어 용매에 의한 독성이 전혀 없으며 체내에 존재하는 라이소자임에 의해 분해가 잘 되고, 면역거부반응이 없다는 장점이 있어 치료유전자를 안전하게 체내에 전달할 수 있는 유전자 전달체로서 우수한 가능성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키토산 자체로는 특정세포를 표적할 수 없어서 정상세 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폴릭산(folate, folic acid)은 프터로산(pteroic acid)과 글루탐산(glutamic acid)이 결합한 형태로서 핵산 합성, 아미노산 대사와 단일 탄소 전달을 포함하는 여러 세포 대사에 기질이 되는 중요한 비타민 중 하나이다. 상기 폴릭산은 사람에게는 필수적인 영양소이며 핵산을 합성하고 에너지를 형성하고 적혈구를 생성하는 데 꼭 필요하며, 세포증식과 성장에 특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많은 암세포 및 종양 세포에는 상기 폴릭산에 대하여 높은 친화도를 갖기 위하여 폴릭산 수용체(FR)가 풍부하게 발현되는 바, 이는 세포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증식하기 위해서는 많은 영양소와 빠른 대사작용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정상조직에서는 상기 폴릭산 수용체가 작게 분포하므로 상기 폴릭산 수용체는 종양세포 표식자(marker)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P. Caliceti, S. Salmaso, A. Semenzato, T. Carofiglio, R. Fornasier, M. Fermeglia, M. Ferrone, and S. Pricl, Bioconjugate Chem., 14, 899(2003); S. Wang, R. J. Lee, C. J. Mathias, M. A. Green, and P. S. Low, Bioconjugate Chem., 7, 56(1996)].
이에, 본 발명자들은 특정 암세포를 표적하여 치료유전자를 안전하게 체내에 전달할 수 있는 유전자 전달체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하던 중, 상기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에 폴릭산을 도입하여 구형의 코어-쉘(core-shell) 형태의 나노입자를 형성함으로써 유전자 전달체로 사용할 수 있는 크기에 적합하며, DNA와 결합하여 복합체를 이루고, 높은 유전자 발현효율을 나타내고, 암세포 등의 종양 세포에 풍부하게 발현되는 폴릭산 수용체로 인해 표적하기 용이하므로 유전자 전달체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과 폴릭산의 컨쥬게이트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적 리간드로서 폴릭산이 도입된 유전자 전달체용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의 사슬에 소수성기로서 폴릭산을 도입하여 코어-쉘 형태의 자기회합체로 구성된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에 유전자가 봉입된 수용성 키토산 유전자 복합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 및 상기 수용성 키토산 유전자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과 폴릭산의 컨쥬게이트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6083318407-pat00001
또한, 본 발명은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의 사슬에 소수성기로서 폴릭산을 도입하여 구성되는 유전자 전달체용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전달체용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는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의 사슬에 소수성기로서 폴릭산이 도입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과 폴릭산의 구성 비율은 90~110 : 0.5~1.5의 무게 비율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범위에서 유전자를 전달하기 위해 온전한 자기회합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전달체용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는 친수성을 나타내는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과 소수성을 나타내는 폴릭산이 함께 공존하는 양친성 물질의 특성을 나타내며, 이는 수용액 상에서 소수성 코어와 친수성 쉘의 형태를 갖는 자기회합체의 나노 입자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형의 코어-쉘 형태가 갖는 구조적 특성에 의해,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의 내부에 DNA 등의 유전자가 봉입되어 수용성 키토산 유전자 복합체를 형성하여 상기 유전자의 전달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은 500 ~ 100,000 Da의 분자량을 갖는 순수한 유리 아민기를 갖는 저분자량의 수용성 키토산이 바람직하고, 1,000 ~ 50,000 Da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불수용성인 키토산 올리고당의 유기산 또는 무기산 염의 용액을 염기로 처리하고, 이를 유기용매로 처리하여 상기 키토산 올리고당에 결합되어 있는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상기 염기 염의 형태로 제거한 키토산 올리고당을 회수하고, 간단한 처리 후 정제하여 얻어지는 수용성 키토산으로서, 본 발명자들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41,270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 크기는 효과적인 유전자 전달을 위해 50 ~ 250 nm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50 ~ 150 n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나노입자가 유전자 전달체로서 세포의 엔도좀(endosome)에 들어갈 수 있다[NAH, Jae-Woon et al., J. of Cont . Rel ., 78, 273-284(2002)].
상기 수용성 키토산 유전자 복합체는 효과적인 형성을 위해 상기 유전자와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가 1:2 ~ 1:50의 무게 비율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에서 전기 영동 실험시 이동성이 느려지면서 복합체가 완전히 형성되어 DNA 등의 유전자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도 4 참조).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3)에 폴릭산(2)을 부가하여 아마이드 결합을 형성하여 상기 화학식 1의 컨쥬게이트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전자 전달체용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112006083318407-pat00002
이하, 상기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3)을 DMSO(dimethyl sulfoxide)에 용해시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용액을 준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용액은 적당량의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3)을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DMSO를 첨가하여 교반하여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용액을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3)은 본 발명자들의 상기 등록특허 제4,412,705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3)은 유전자를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분자량이 500 ~ 100,000 Da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00 ~ 50,000 Da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폴릭산(2)을 EDC(1-ethyl-(3-3-dimethyl aminopropyl) carbodiimide hydrochloride)에 용해시킨 용액을 준비한다. 구체적으로 폴릭산(2) 용액은 DMSO 용매에 폴릭산 및 EDC를 첨가하여 용해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폴릭산의 양은 상기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에 대한 적당한 몰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EDC의 양은 상기 폴릭산의 양의 1.2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행은 빛이 차단된 암실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폴릭산이 빛과 반응하여 분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제조된 상기 폴릭산 용액과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용액을 혼합, 교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전달체용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릭산 용액과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용액의 혼합은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용액을 교반시키면서 상기 폴릭산 용액을 서서히 적하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혼합량은 상기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과 폴릭산이 90~110 : 0.5~1.5 의 무게 비율로 구성되도록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혼합은 빛에 의해 폴릭산이 분해되지 않도록 빛이 차단된 암실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은 상기 두 용액의 혼합에 의해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가 물리적인 힘에 의해 파괴되지 않도록 적당한 시간 동안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10 ~ 15시간 동안 수행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전달체용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화합물은 투석 및 동결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증류수로 약 3 ~ 5일 동안 투석함으로써 부생성물을 제거한 후, 동결건조 할 수 있다. 이때, 동결건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동결건조 방법 또는 동결건조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그 결과 부생성물이 제거된 고체형태의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나노입자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는 50 nm ~ 250 nm 범위의 크기를 갖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 범위에서 세포의 엔도좀에 들어가기 적합하여 체내 유전자 전달체로서의 기능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수용성 키토산 유전자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키토산 유전자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조된 유전 자 전달체용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에 유전자를 봉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전자와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는 1:2 ~ 1:50의 무게 비율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체내 유전자 전달체로서의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는 50 nm ~ 250 nm 범위의 크기의 나노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는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의 강한 반응성으로 인해 폴릭산의 도입이 용이하므로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독성이 없고(도 6 참조), 유전자 전달체로 사용할 수 있는 크기에 적합하며(도 3 참조), DNA와 결합하여 복합체를 이루고(도 4 참조), 높은 유전자 발현효율을 나타내고(도 5 참조), 암세포 등의 종양 세포에 풍부하게 발현되는 폴릭산 수용체로 인해 표적하기 용이하므로 유전자 전달체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LMWSC -FA) 나노입자의 제조
분자량이 10,000 Da이고 탈아세틸화도가 97%인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LMWSC)을 (주)키토라이프(KITTOLIFE Co. Ltd.)에서 제공받아 사용하였고, 폴릭산(folic acid, FA)은 approx. 98%를 사용하였으며, EDC는 시그마 케미컬사(Sigma chemical co., 분자량 191.7) 제품을 사용하였다. 기타 시약들은 일급시약을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먼저, 분자량이 10,000 Da인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50 mg을 증류수 1 ㎖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DMSO 10 ㎖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여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용액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상온의 암실에서 DMSO 2 ㎖에 폴릭산을 상기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50 mg에 대하여 3%의 몰비로 넣고, 상기 폴릭산의 몰비의 1.2배의 EDC 용액을 넣은 후 용해시켜 폴릭산 용액을 준비하였다.
이후, 상기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용액에 상기 폴릭산 용액을 천천히 첨가하고 상온의 암실에서 하루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이 끝난 후, 상기 반응용액을 햇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증류수로 4일 동안 투석한 후, 동결건조기(77510-03, LABCONCO사, USA)에서 3일 동안 동결건조하여 고체형태의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를 40 ~ 60 mg(70 ~ 80%) 얻었다.
< 실시예 2 ~ 4>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의 제조
상기 폴릭산을 상기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50 mg에 대하여 각각 5%, 10% 및 15%의 몰비로 넣어 폴릭산 용액을 준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를 얻었다.
< 실시예 3>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유전자 복합체의 제조
셀에 멸균수를 넣고 상기 실시예 1 ~ 4의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를 넣은 후, pEGFP-N1인 DNA(Clontech, Palo Alto, CA)를 첨가하여 전체 부피를 20 ㎕가 되게 하여 30초 동안 교반시킨 후, 30분 동안 4 ℃에서 놓아둠으로써 복합체 형성을 유발시켰다. 이때 상기 DNA와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의 혼합 비율은 무게비 1:4로 하였다.
< 실시예 4 ~ 7>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유전자 복합체의 제조
상기 DNA와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의 혼합 비율을 각각 1:8, 1:12, 1:20 또는 1:40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 실험예 1>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의 FT - IR 측정
상기 실시예 1 ~ 4에서 제조된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의 합성 여부를 FT-IR를 이용하여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 ~ 4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KBr과 100:1의 비율로 혼합하여 10 분 동안 교반한 후, 60 ℃에서 12시간 동안 감압하여 수분을 제거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를 FT-IR 분광 분석기(Shimadzu사, FR-IR 8700, 일본)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릭산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1550 cm-1에서 나타나는 아민기의 피크가 줄어들고, 상대적으로 아미드 I의 흡수 피크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의 아민기에 폴릭산의 카복실기가 결합하여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이로부터, 실시예 1 ~ 4에서 제조된 물질은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임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의 유리아민기에 효율적으로 폴릭산이 치환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2>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의 1 H NMR 측정 및 정량분석
상기 실시예 1 ~ 4에서 제조된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의 합성 여부를 1H NMR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 ~ 4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D2O와 DCl의 혼합용매(D2O:DCl=3:1 부피비)에 용해하여 298 K에서 1H NMR 분석기(AVANCE 400(400MHz), Bruker사, 독일)로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1H NMR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상기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의 탈아세틸화도(degree of deacetylation, DDA(%)) 및 상기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에 치환된 폴릭산의 치환도(degree of substitution, DS(%))를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DDA (%)= 1-(1.5 ppm의 아세트아미드기의 수소 면적비/2.5 ppm의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의 수소 면적비)
DS (%)=(1.5 ppm의 아세트아미드기의 수소 면적비/8.4 ppm의 폴릭산의 수소 면적비)
상기 DDA 및 DS의 측정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탈아세틸화도(%) 치환도(%)
실시예1 96.38 2.48
실시예2 96.29 4.20
실시예3 96.33 9.22
실시예4 96.12 13.74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 4의 화합물의 1H NMR 스펙트럼에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의 1번과 2번 탄소의 수소가 4.3 ppm과 2.6 ppm에서 각각 나타났으며, 3.4 ~ 3.1 ppm에서는 상기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의 3 ~ 6번 탄소의 수소가 확인되었다. 또한 7.3 ppm에서 폴릭산의 1번 탄소의 수소가 나타났으며, 3.6 ppm에서 폴릭산의 2 ~ 3번 수소, 6.1 ppm에서 폴릭산의 4 ~ 5번 수소, 6.4 ppm에서 폴릭산의 6 ~ 7번 수소 및 3.1 ppm에서 폴릭산의 8번 수소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실시예 1 ~ 4에서 제조된 물질은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폴릭산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치환도(DS)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상기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의 유리아민기에 효율적으로 폴릭산이 치환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3>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의 크기 및 형태 측정
상기 실시예 1 ~ 4에서 제조된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의 형태, 크기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동결건조된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를 1 mg/㎖의 농도로 증류수에 분산시킨 후, 광산란(Dynamic Light scattering)에 의한 ELS-8000(Otsuka, Electronics사, 일본)를 이용하여 상기 나노입자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의 크기 및 형태를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JEOL JEM-2000 FX-II)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상기 측정 및 관찰 결과를 도 3a도 3b에 나타내었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의 크기는 평균 110 nm 정도이고, 매우 좁은 분포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의 형태는 구형의 형태를 가지며, 크기는 100 nm 정도로 광산란에 의한 결과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상기 나노입자는 유전자 전달체로 사용할 수 있는 크기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4>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의 유전자 복합체 형성 확인
본 발명에 따른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가 유전자 전달체로서 DNA와 결합하여 유전자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pEGFP-N1인 DNA(Clontech, Palo Alto, CA)와 상기 실시예 1 ~ 4에서 제조된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의 혼합 비율을 무게비 1:1, 1:4, 1:8 또는 1:12로 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유전자 복합체 형성을 유발시켰다.
반응 후, 상기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와 DNA가 복합체를 형성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1% 아가로스 겔을 이용하여 100 V에서 30분 동안 전기영동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체가 형성되지 않은 플라스미드 DNA(naked plasmid DNA)는 정상적인 이동성을 나타내었으나,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와 DNA의 복합체의 경우, 무게비가 1:1을 제외한 그 이상의 무게비에서 이동성이 느려짐으로써 복합체가 완전히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는 DNA와 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유전자를 전달하는 유전자 전달체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5>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의 유전자 발현 효율 측정
본 발명에 따른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와 DNA의 복합체에 대하여 세포 내의 유전자 발현 효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5% CO2에 37 ℃로 유지된 배양기에서 10% FBS(fetal bovine serum)와 항생제가 들어있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양액에 인간 배아신장 세포(HEK-293)를 배양시킨 후, 24 웰 플레이트에 세포를 4 × 104 cells/well로 시딩(seeding)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배양기를 pH 6.2 및 pH 7.0으로 분류하여 DMEM(+) 배양액으로 갈아준 후, 각 웰에 실시예 6 또는 실시예 7의 복합체를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pH 6.2 웰의 배양액을 pH 7.0 DMEM(+)으로 갈아주었다. 이후, 3일 동안 세포의 유전자 발현 효율을 형광현미경(OlympusIX 71, Olympus, 일본)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 결과 시간이 지날수록 유전자 발현 효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6> MTT 분석
본 발명에 따른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의 독성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MTT 분석 실험을 수행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에 1×104 cells/well의 농도로 HEK-293 세포를 시딩한 후, 하루 동안 5% CO2 농도, 37 ℃에서 배양하였다. 여기에 실시예 1 ~ 4의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를 최종농도가 1, 0.1. 0.01, 0.001 및 0.0001 mg/㎖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이후, 2일, 3일 및 5일 간격으로 다음과 같이 MTT 분석을 수행하였다.
각 웰 플레이트에 3 mg/㎖의 농도로 제조된 MTT 50 ㎕을 첨가한 후, 37 ℃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등액은 모두 제거하고 DMSO 100 ㎕씩 96 웰에 넣고 10분간 방치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microplate reader; VERSA MAX)로 측정하였다. 세포의 생존가능성(cell viability)은 다음의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세포의 생존가능성(%)=(OD570(샘플)/OD570(대조군)) ×100
여기서 OD570(샘플)은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를 처리한 웰로부터 측정한 OD 값을 의미하여 OD570(대조군)은 단지 PBS 완충액으로만 처리한 웰로부터 측정한 OD값을 의미한다.
상기 실험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 4의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가 첨가된 세포 생존율은 모두 대조군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릭산이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는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의 강한 반응성으로 인해 폴릭산의 도입이 용이하므로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독성이 없고, 유전자 전달체로 사용할 수 있는 크기에 적합하며, DNA와 결합하여 복합체를 이루고, 높은 유전자 발현효율을 나타내고, 암세포 등의 종양 세포에 풍부하게 발현되는 폴릭산 수용체로 인해 표적하기 용이하므로 유전자 전달체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유리 아민기(-NH2)를 가지며 1,000 내지 50,000 Da의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의 사슬에 소수성기로서 폴릭산을 도입하여 코어-쉘 형태의 자기 회합체로 구성된 하기 화학식 1 의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와, 유전자의 이온 간 상호작용에 의한 수용성 키토산 유전자 복합체:
    [화학식 1]
    Figure 112008047114278-pat00012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와 유전자가 1:2 ~ 1:50의 무게 비율로 구성되는 수용성 키토산 유전자 복합체.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가 DNA인 것인 수용성 키토산 유전자 복합체.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유리 아민기(-NH2)를 가지며 1,000 내지 50,000 Da의 저분자량의 수용성 키토산(3)에 폴릭산(2)를 첨가, 교반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얻은 화합물(1)을 투석 및 동결 건조하여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와 유전자의 이온 간 상호작용에 의한 유전자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전자 전달체용 수용성 키토산 유전자 복합체의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112008047114278-pat00013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와 유전자가 1:2 ~ 1:50의 무 게 비율로 구성되는 유전자 전달체용 수용성 키토산 유전자 복합체의 제조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DNA인 것인 유전자 전달체용 수용성 키토산 유전자 복합체의 제조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전달체용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는 50 nm ~ 250 nm 범위의 크기를 갖는 유전자 전달체용 수용성 키토산 유전자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20060112418A 2006-11-14 2006-11-14 표적 리간드로서 폴릭산이 도입된 유전자 전달체용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82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418A KR100882611B1 (ko) 2006-11-14 2006-11-14 표적 리간드로서 폴릭산이 도입된 유전자 전달체용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07/005711 WO2008060096A1 (en) 2006-11-14 2007-11-14 Low-molecular weight, water-soluble chitosan nanoparticle for gene delivery with folic acid conjugaed thereto as target ligan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12/514,351 US20100040694A1 (en) 2006-11-14 2007-11-14 Low-molecular weight, water-soluble chitosan nanoparticle for gene delivery with folic acid conjugaed thereto as target ligan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418A KR100882611B1 (ko) 2006-11-14 2006-11-14 표적 리간드로서 폴릭산이 도입된 유전자 전달체용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638A KR20080043638A (ko) 2008-05-19
KR100882611B1 true KR100882611B1 (ko) 2009-02-12

Family

ID=39401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2418A KR100882611B1 (ko) 2006-11-14 2006-11-14 표적 리간드로서 폴릭산이 도입된 유전자 전달체용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040694A1 (ko)
KR (1) KR100882611B1 (ko)
WO (1) WO20080600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21018T3 (es) 2007-02-19 2017-06-30 Marine Polymer Technologies, Inc. Composiciones hemostáticas y regímenes terapéuticos
MX342912B (es) 2010-04-15 2016-10-19 Marine Polymer Tech Inc Aplicaciones antibacterianas de nanofibras de poli-n-acetilglucosamina.
AU2013203247A1 (en) * 2010-11-06 2013-05-09 Marine Polymer Technologie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nanopolymer-based nucleic acid delivery
US20140127310A1 (en) 2011-04-15 2014-05-08 Marine Polymer Technologies, Inc. Treatment of disease with poly-n-acetylglucosamine nanofibers
KR101383324B1 (ko) 2011-11-10 2014-04-28 주식회사 종근당 신규한 유전자 전달용 조성물
KR101601035B1 (ko) 2013-02-28 2016-03-08 주식회사 종근당 키토산 및 액상결정 형성 물질을 포함하는 유전자 전달용 조성물
RU2642786C2 (ru) * 2015-01-30 2018-01-2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М.В. Ломоносова" (МГУ) Стабилизатор липосомальных суспензий
US9862780B1 (en) 2017-01-24 2018-01-09 Jord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rocess of producing and method of using soluble high molecular-weight chitosan
CN107375940B (zh) * 2017-07-18 2020-11-03 福州大学 以粘附因子icam-1为靶点的纳米药物制备及其应用
KR102604038B1 (ko) * 2021-05-07 2023-11-20 주식회사 키토라이프 트로폴론이 담지된 키토산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6532A (en) 1996-02-14 1998-04-07 Furda; Ivan Multifunctional fat absorption and blood cholesterol reducing formulation comprising chitosan
US6130321A (en) 1998-07-10 2000-10-10 Vanson, Inc. High tap density chitosan, and methods of production
US6323189B1 (en) 1998-07-30 2001-11-27 E-Nutriceuticals, Inc. Chitosan-containing liqui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
US20060105049A1 (en) * 2004-11-12 2006-05-18 Valorisation Recherche Hscm & Universite De Montreal Folic acid-chitosan-DNA nanoparticl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4037B1 (en) * 1996-05-17 2001-02-06 Genemedicine, Inc. Chitosan relat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nucleic acids and oligonucleotides into a cell
US7345165B2 (en) * 2001-09-25 2008-03-18 Jae Woon Nah Method for preparing water-soluble free amine chitosan
FR2841137B1 (fr) * 2002-06-20 2004-08-13 Bioalliance Pharma Systeme de vectorisation comprenant des nanoparticules de taille homogene d'au moins un polymere et d'au moins un polysaccharide charge positiv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6532A (en) 1996-02-14 1998-04-07 Furda; Ivan Multifunctional fat absorption and blood cholesterol reducing formulation comprising chitosan
US6130321A (en) 1998-07-10 2000-10-10 Vanson, Inc. High tap density chitosan, and methods of production
US6323189B1 (en) 1998-07-30 2001-11-27 E-Nutriceuticals, Inc. Chitosan-containing liqui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
US20060105049A1 (en) * 2004-11-12 2006-05-18 Valorisation Recherche Hscm & Universite De Montreal Folic acid-chitosan-DNA nanop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60096A1 (en) 2008-05-22
US20100040694A1 (en) 2010-02-18
KR20080043638A (ko) 2008-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2611B1 (ko) 표적 리간드로서 폴릭산이 도입된 유전자 전달체용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Liang et al. pH-responsive injectable hydrogels with mucosal adhesiveness based on chitosan-grafted-dihydrocaffeic acid and oxidized pullulan for localized drug delivery
Ahmad et al. Recent advancement and development of chitin and chitosan-based nanocomposite for drug delivery: Critical approach to clinical research
Nangare et al. Pharmaceutical applications of citric acid
Chen et al. Recent advances in epsilon-poly-L-lysine and L-lysine-based dendrimer synthesis, modification, and biomedical applications
Allawadhi et al. Biomedical applications of polysaccharide nanoparticles for chronic inflammatory disorders: Focus on rheumatoid arthritis, diabetes and organ fibrosis
CN102552105B (zh) 一种级联脑部靶向药物递送***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179471B1 (ko) 자기 집합체 고분자 나노입자를 이용한 siRNA 전달 시스템
Anirudhan et al. Modified chitosan-hyaluronic acid based hydrogel for the pH-responsive Co-delivery of cisplatin and doxorubicin
CN110801431B (zh) 一种核-壳型智能纳米递送***的构建及应用
Shahzadi et al. Facile synthesis of copolymerized cellulose grafted hydrogel doped calcium oxide nanocomposites with improved antioxidant activity for anti-arthritic and controlled release of doxorubicin for anti-cancer evaluation
JP2011524446A (ja) ポリグリコールで修飾されたキトサンオリゴ糖脂肪酸グラフト体、その調製方法およびその使用
CN104667289B (zh) 一种抗肿瘤药物载体及其使用方法
Elhassan et al. Engineering hybrid nanosystems for efficient and targeted delivery against bacterial infections
Ehsanimehr et al. Synthesis of pH-sensitive nanocarriers based on polyacrylamide grafted nanocrystalline cellulose for targeted drug delivery to folate receptor in breast cancer cells
CN105641710B (zh) Ha/rgd修饰的靶向氧化石墨烯双载药复合材料制备方法
CN113018251A (zh) 一种具有pH和谷胱甘肽双重响应的双药物控释***及其制备方法
KR100831391B1 (ko)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을 함유한 키토산 복합체 및 그제조방법
Ganie et al. Review on anti-cancer and anti-microbial applications of curdlan biomaterials
Roy et al. Chitosan anchored nanoparticles in current drug development utilizing computer-aided pharmacokinetic modeling: case studies for target specific cancer treatment and future prospective
CN109464676B (zh) 一种壳寡糖光敏靶向纳米粒的制备方法及产品
KR101586866B1 (ko) 약물 전달을 위한 pH-민감성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Verma et al. 1, 3-Beta-Glucans: Drug Delivery and Pharmacology
Shariatinia Functionalized chitosan in drug delivery
KR101447130B1 (ko) 메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이 그라프트된 키토산 공중합체에 메토트렉세이트가 담지된 고분자 미셀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