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1441B1 -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1441B1
KR100881441B1 KR1020070029953A KR20070029953A KR100881441B1 KR 100881441 B1 KR100881441 B1 KR 100881441B1 KR 1020070029953 A KR1020070029953 A KR 1020070029953A KR 20070029953 A KR20070029953 A KR 20070029953A KR 100881441 B1 KR100881441 B1 KR 100881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layer
fixing member
bar
too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7359A (ko
Inventor
크레지미르 미스타
Original Assignee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97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7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06Needle bars; Sinker ba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24Sinker heads; Sinke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플라스틱 층(1)으로부터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플라스틱을 경화시키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4,5)를 바(bar) 안에 설치하는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의 제조방법과 편물도구 바가 개시된다. 제조가 단순화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경화공정 이전에 상기 플라스틱 층(1) 안에 삽입된다.

Description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Method of manufacturing synthetic resin knitting means bar and synthetic resin knitting means bar}
도 1은 고정부재가 삽입된 플라스틱 층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상기 플라스틱 층의 사시도이고,
도 3은 프레스 틀(press form) 안에 삽입된 상기 플라스틱 층을 도시하고,
도 4는 완성된 바(bar)의 단면도이며,
도 5는 상기 완성된 바의 또 다른 위치에서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층으로부터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플라스틱을 경화시키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를 바 안에 설치하는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섬유강화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층을 구비한 하나의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층을 통하여 신장되는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과 편물도구 바는 독일특허출원서 DE 41 11 108 A1에 기재되어 있다. 다른 구성요소들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암나사산편(female thread pieces) 또는 암나사산(female thread)을 구비한 틀(form body)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각각 하나의 강화실을 포함하는 패드(pad)에 의해 강화된 밴드로 덮여진다. 밴드를 이루는 플라스틱이 경화될 경우, 상기 플라스틱을 관통하여 홀들이 뚫리며, 이 홀들은 상기 암나사산편의 암나사산과 일치해야 한다. 배치를 쉽게 하기 위해서, 상기 홀들은 상기 플라스틱과 암나사산용 홀들에 의해서 동시에 구멍이 뚫어질 수 있고, 그 후, 각각 하나의 나사산이 상기 암나사산에 조여질 수 있다.
이러한 제조방법은 비교적 비용이 많이 든다. 플라스틱을 경화시킨 이후에는 일련의 공정들이 더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형태에서는, 나사를 나사산 안에 돌려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홀에 구멍을 뚫을 때 재료가 항상 충분히 고정된 상태를 보장하도록 비교적 크기가 큰 암나사산편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바의 질량을 증가시킨다. 크기가 작은 암나사산편을 사용할 경우에는, 매우 정확한 배치가 필요한데, 이에 따라 비용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의 제조를 단순화하는데 있다.
본 과제는 서두에서 언급한 종래기술의 방법에서 고정부재를 경화공정 이전에 플라스틱 층 안에 삽입함으로써 해결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재는 항상 정확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비교적 작은 크기의 고정부재로도 충분하다. 상기 고정부재는 플라스틱이 경화되기 이전에 삽입되므로, 플라스틱이 경화될 때 상기 고정부재는 자동적으로 함께 경화되고, 따라서 함께 고정된다. 상기 플라스틱은 상기 고정부재를 매우 단단히 둘러쌀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는 비교적 높은 고정력을 가지고 상기 편물도구 바의 플라스틱 안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 큰 힘이 상기 고정부재에 작용할 경우에도 비교적 작은 크기의 고정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기 작은 크기의 고정부재가 매우 안정적으로 바 안에 고정되기 때문이다. 실질적으로, 홀을 너무 크게 형성하여 바의 적재 용량이 불필요하게 약화될 위험성은 생기지 않는다.
상기 고정부재가 평평한 상태로 있으면서,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플라스틱 층 안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평평한 물질은 공간적으로 형성된 물질보다 쉽게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은 비용으로써 상기 고정부재를 매우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층과 함께 경화공정에 사용된 틀에 삽입되는 하나의 캐리어에 고정할 경우에도 장점이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고정부재의 위치는 상기 캐리어에 의해서 정해지므로, 이에 따라, 비교적 정확한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캐리어는 경화공정 중에도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된 상태에 있다. 경화공정 이후, 상기 캐리어는 상기 틀과 함께 상기 바로부터 제거되고 상기 바로부터 해제된다. 이는, 또한, 외부에서 상기 고정부재를 잡기 위한 개구부가 견고히 유지되는 것을 자동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구부를 추후에 형성하기 위한 추가적인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다.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캐리어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완성된 바를 편물기계의 다른 부재에 연결하는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 기하학적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부재가 내부나사산을 구비할 경우, 상기 캐리어는 나사의 도움을 받아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다른 고정 기하학적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재를 삽입하기 전에 상기 플라스틱 층 안에 하나의 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섬유강화된 플라스틱 층의 섬유구조는 모든 경우에 국부적으로 방해받거나 중단된다. 그외에도, 상기 섬유들은 밀리거나 옮겨지지 않는다. 상기 플라스틱 층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는 다수의 프리프레그(prepreg) 또는 탄화섬유패드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를 삽입하기 전에 홀을 형성하면, 섬유의 전체 연결은 더 이상 방해받지 않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섬유들을 국부적으로 나누거나 옮겨서 배치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상기 홀에 구멍을 뚫을 경우에 그러하다. 일반적으로, 홀을 뚫으면 비교적 매끈한 단면 모서리가 형성되므로, 상기 섬유구조 안에서의 방해는 실제로 국부적으로 상기 홀에만 제한된다.
대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은 홈을 파서 형성할 수도 있다. 홈을 팔 때는, 뾰족한 끝과, 상기 뾰족한 끝에 이어져서 바람직하게는 원뿔 형태로 직경이 증가하는 부분을 갖는 도구가 상기 층을 통과하여 압박된다. 이때, 상기 강화섬유들은 파괴되지 않고, 측면으로 밀리는데, 이에 따라, 바는 추후에 높은 안정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 강화섬유들이 층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질 경우, 홀의 주변부에서도 홈을 파는 데 있어서 언급할 만한 약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상기 강화섬유는 세로 신장 방향에서 옆으로만 밀릴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도구의 직경은 최종적으로 상기 고정부재의 직경 정도의 크기로 선택된다.
상기 고정부재에 인접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층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의 지지 플랜지에 의해서 확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플랜지를 고정부재에 사용하면, 그외에는 경화공정 중에 상기 고정부재에 단단히 인접하는 플라스틱에 단단히 둘러싸이는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경화된 플라스틱으로부터 둘러싸이는 것에 비하여 높은 안전성이 제공된다. 추가적인 보강부재를 사용하면, 상기 고정부재의 주변부의 플라스틱이 국부적으로 보강되고, 이에 따라, 바에 추가적인 부재들을 나중에 고정시키거나 바를 편물기계에 고정시킬 때, 손상의 위험 없이 더 큰 힘을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공동(cavity)을 구비할 경우, 프레스 공정 시, 플라스틱을 섬유와 함께 공동에 밀어넣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바에서 더 잘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재는 원뿔 형태로 진행하는 축과 함께 사용하여 상기 플라스틱이 경화 공정 시에 삼각형의 제거부의 횡단면 안으로 흐르도록 하여, 상기 고정부재가 더 잘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내부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프레스 틀(press form) 안에 상기 플라스틱 층을 삽입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프레스 공정 시 내부 압력으로 힘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바는, 바의 몸체의 내부 안에서 틀(form body)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폐쇄된 공동 단면(hollow cross-section)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이 비어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바의 질량은 작게 유지될 수 있다. 내부압력의 발생은 플라스틱 층을 프레스하는데 필요한 힘을 가하는 데 충분하다. 내부 압력이 발생함으로써, 일반적으로, 특히 상기 고정부재에서 상기 플라스틱을 배치되기 원하는 곳으로 흐르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플라스틱 층과 함께 호스를 상기 프레스 틀 안에 삽입하고, 상기 플라스틱 층을 상기 호스 둘레에 둘러싸고, 상기 호스에는 압력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스가 팽창되면, 상기 플라스틱 층을 내부로부터 상기 프레스 틀에 대하여, 그리고, 상기 프레스 틀 안에 삽입된 캐리어에 대하여 프레스하여, 비교적 작은 벽 강도에서도 바가 충분한 안정성을 가지도록 한다.
본 과제는 서두에서 언급한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에서 상기 고정부재가 층 안에 경화됨으로써 해결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이를테면 상기 층의 구성요소이다. 한편으로는, 상기 고정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층을 관통하여 신장하여, 기하하적 배치 상으로 상기 층의 구성요소가 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플라스틱의 프레스 공정 시 상기 플라스틱에 의해서 단단히 둘러싸여서, 상기 플라스틱이 상기 고정부재과 함께 완전 평면으로 붙어버리게 된다. 이것은 몸체 안의 고정부재에게 매우 높은 고정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몸체의 내부 안에서 지지 플랜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플랜지는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몸체로부터 빠져나올 가능성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 플랜지는 추가적으로 일종의 형태말단부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는 힘들을 비교적 크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 플랜지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 플랜지는 외부로부터는 접근가능하지 않고, 이에 따라, 방해받거나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랜지는 고정부재와 90°보다 작은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의 형성은 제조를 더 간단하게 한다.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플라스틱 층 안으로 삽입할 때, 상기 고정부재는 비교적 작은 영역에서만 상기 플라스틱 층 위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플라스틱이 적어도 바의 세로 신장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영역에서 상기 지지 플랜지까지의 공간까지 완전히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의 직접적인 주변부에서는 상기 고정부재의 하중을 상기 바에서 더욱 증대시키는 경화부가 생기게 된다. 이 하중은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영역에 추가로 플라스틱 층으로써 형성된 층들을 포개어서 마지막으로 국부적으로 일정한 경화부들이 생기도록 할 경우에 더욱 증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층으로부터 완전히 돌출되는 샤프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고정부재에 비교적 긴 고정 길이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가 바의 외측에서 끝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바는 매끈한 외측면을 가지게 되어, 사용자에게 일어날 수 있는 방해 또는 상해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적다.
상기 샤프트는 원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고정부재에 작용할 수 있는 힘의 증대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몸체의 플라스틱은 프레스 공정 시 상기 원뿔 형태의 축에 대하여 완전히 인접하며, 스위치의 수용을 위하여 바깥 쪽으로 줄어드는 깔대기 형태의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몸체는, 내부로부터 상기 몸체에 접해있고 상기 고정부재를 내부로부터 덮는 호스가 배치되어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스는 상기 바를 프레스할 때 상기 내부공간에 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때, 상기 호스는 상기 바에 부착되고, 경우에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와도 부착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호스는 내부공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들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층(1)의 확대되고 평평한 형태를 도시한다. 도 4와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도시된 횡단면은 완성된 바의 횡단면에 상응하는 층을 도시한다. 상기 층(1)은 여기서 프리프레그(prepreg)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 층(1)은 이후의 설명에서 실제로 다수의 층들에서 구성되었다 하더라도 "층"으로도 명명될 것이다. 이 경우, 강화섬유들은 모든 각각의 층에서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층의 상기 섬유들은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진다. 상기 층(1)의 두께는 예를 들면, 2mm 일 수 있다.
상기 층(1)에는 다수의 홀(2,3)이 뚫려 있다. 고정부재(4,5)가 각각의 홀을 관통한다. 상기 홀(2,3)은, 상기 층(1)을 뾰족한 도구로 관통시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상기 층(1)의 강화섬유들은 절단되지 않고 측면으로 밀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는 원뿔 형태의 샤프트(6)와 지지 플랜지(7)를 구비하는데, 상기 지지 플랜지(7)는 고정축(8)과 예각을 이룬다.
상기 고정부재(5)는 원통형의 샤프트(9)와, 지지 플랜지(7)보다 어느 정도 적게 신장된 지지 플랜지(10)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층(1)에는 다수의 보강부재들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층(1)의 세로 신장 방향으로 평행하게 신장되고 상기 고정부재(4)의 양쪽에 배치된 두 개의 스트립(strip)(11,12)이 중요하다. 상기 스트립(11,12)은 상기 고정부재(4)의 지지 플랜지(7)로부터 확장되도록, 다시 말해서, 상기 플랜지(7)가 상기 스트립(11,12) 위로 지지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스트립(11,12) 사이에는 간격(13)이 존재한다. 상기 간격(13)의 영역에서 상기 지지 플랜지(7)는 스트립(11,12) 이나 상기 층(1) 중 어느 곳에도 닿지 않는다. 상기 스트립(11,12)은 상기 층과 똑같이 형성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해서,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진 섬유들을 구비한 UD-프리프레그의 다수의 층들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립(11,12) 또한 2mm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5)의 영역에서는 상기 고정부재(5)를 완전히 둘러싸는 또 하나의 보강부재(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4)는 홀들(3)이 뚫리기 전에 상기 층(1) 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재(14)는 상기 스트립(11,12)과 똑같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4,5)를 상기 홀들(2,3)에 고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캐리어(15,16)가 구비된다. 각각의 캐리어(15,16)는 상기 층(1)의 상기 플랜지(7,10)가 놓인 곳의 반대쪽에서 상기 층(1)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나사 볼트(17,18)는 상기 캐리어(15,16)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재(4,5)의 내부나사산(19,20) 안으로 조여진다. 이때, 상기 나사 볼트(17,18)는 상기 고정부재(4,5)가 샤프트(6,9)와 함께 상기 캐리어(15,16) 위로 똑바로 서도록 바짝 조여질 수 있다.
또 다른 보강부재(21)가 상기 층(1)의, 상기 스트립(11,12)에 상응하는 배치에 해당하는 다른 종방향의 모서리를 따라서 배치된다.
상기 고정부재(4,5), 상기 스트립(11,12), 및 상기 보강부재(14,21)를 구비하는 층(1)은 상기 캐리어(15,16)와 함께 하나의 프레스 틀(22) 안에 삽입된다. 상기 프레스 틀(22)은 상부(23)와 하부(24)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23)에는 상기 캐리어(16)를 위한 제거부(25)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24)에는 상기 캐리어(15)를 위한 제거부(26)가 구비된다(도 3 참조).
상기 층(1)은 상기 프레스 틀(22)에 삽입되어, 이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27)이 생기고 상기 층(1)이 두 보강부재(14,21)의 영역에서 겹쳐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4)와 상기 스트립(11,12) 사이에는 각각 작은 공동(28)이 더 구비된다.
상기 내부공간(27)에는 호스(29)가 삽입된다. 상기 호스(29)에는 상기 층(1)과 상기 보강부재(14,21)의 상기 스트립(11,12)의 플라스틱이 아직 성형가능할 동안 압력이 가해진다. 물론, 상기 호스는 상기 층을 도시된 스트립 안에 삽입하기 이전에도 삽입할 수 있다. 상기 프레스 틀(22)은 상기 호스(29)에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에는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며 마찬가지로 압력을 받는다. 이때, 종방향의 모서리를 따른 상기 층(1)의 영역은 그 사이에 위치한 상기 보강부재(14,21)에 의하여 위로 프레스된다. 상기 층(1)은 상기 호스(29) 안을 지배하는 압력에 의해서 내부로부터 상기 프레스 틀(22)에 대하여 프레스되므로, 연속적으로, 도 4와 5에 도시된 것처럼, 바(3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트립(11,12)의 플라스틱이 상기 보강부재(4)의 상기 지지 플랜지(7)까지의 영역을 완전히 채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4)는 상기 층(1)과 상기 스트립(11,12)을 관통하고 상기 바(30)의 외측(31)에서 매끈하게 끝난다. 이것은 간단한 방식으로 상기 캐리어(15)가 상기 외측(31)에 대하여 경계선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스 틀(22)과 캐리어(15,16) 사이에 생성된 균열에 의해서 과잉의 플라스틱은 밀어낼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4,21)와 함께 종방향의 모서리를 따라서 상기 층(1)의 영역들은 단지 하나의 고정부분(32)만을, 예를 들면 바늘(33)과 같은 편물도구를 수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바늘은 클램프(34)와 나사 볼트(35)의 도움을 받아 상기 고정부분(3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호스(29)는 상기 바(30)의 내부에 머무를 수 있다. 상기 호스(29)는 상기 고정부재(4)를 덮어서 상기 고정부재(4)에 의해서 바(30)의 내부가 오염될 위험이 적도록 한다.
도 5는 상기 고정부재(4)의 외부에서의 상기 바(30)의 단면을 도시한다. 상기 간격(13)의 영역에서 바닥면(36)의 벽 강도가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고정부재(4)가 구비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것은 그리 중요하지 않다.
상기 고정부재(5)의 지지 플랜지(10)는 말하자면 모든 측면에서 플라스틱에 의해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 플랜지(5)가 완전히 형태 맞춤식으로 상기 고정부분(32) 안에 유지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5)의 상기 샤프트(9)는 상기 바(30)의 외측으로 끝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합성 수지 편물도구 바를 더 간단한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9)

  1. 플라스틱 층으로부터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플라스틱을 경화시키고, 적어도 한 개의 고정부재를 바(bar) 안에 설치하는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경화 공정 이전에 상기 플라스틱 층 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가 평평한 상태로 있으면서 상기 플라스틱 층 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경화에 사용되는 성형체에 상기 층과 함께 삽입되는 캐리어 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캐리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완성된 바를 편물기계의 또다른 부재들에 연결하는 고정부재의 고정기하학적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를 삽입하기 전에, 상기 플라스틱 층에 하나의 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에 구멍이 뚫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홈을 파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 인접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층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의 지지 플랜지에 의해서 확장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는, 프레스 공정시 섬유를 구비한 플라스틱을 밀어 넣을 공동(cavity)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층을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프레스 틀에 삽입하고 프레스 공정 시에 상기 내부 공간에 내부 압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층과 함께 호스를 상기 프레스 틀 안에 삽입하고,
    상기 플라스틱 층을 상기 호스 둘레에 둘러싸고,
    상기 호스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의 제조방법.
  12. 섬유강화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층을 구비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층을 통하여 신장되는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로서,
    상기 고정부재(4,5)는 상기 층(1) 안에 굳혀져 있고, 상기 고정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층을 관통하여 신장됨으로써, 기하학적으로 상기 층의 구성 요소가 되며, 상기 층의 섬유강화된 플라스틱은 면 전체적으로 상기 고정 부재에 붙어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5)는 상기 몸체의 내에서 하나의 지지 플랜지(7,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랜지(7)는 고정축(8)과 90°미만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은 적어도 상기 플라스틱 편물 도구 바의 세로 신장 방향으로 평행한 영역에서 공간(28)을 상기 지지 플랜지(7)까지 완전히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5)는 하나의 샤프트(shaft)(6,9)를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층(1)을 완전히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6,9)는 상기 바(30)의 외측(31)에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6)는 원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내부공간(27)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상기 몸체에 내부로부터 인접하고 상기 고정부재(4)를 내부로부터 덮는 호스(29)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
KR1020070029953A 2006-03-28 2007-03-27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 KR1008814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14147A DE102006014147B4 (de) 2006-03-28 2006-03-28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Kunststoff-Wirkwerkzeugbarre und Kunststoff-Wirkwerkzeugbarre
DE102006014147.4 2006-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359A KR20070097359A (ko) 2007-10-04
KR100881441B1 true KR100881441B1 (ko) 2009-02-06

Family

ID=3851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953A KR100881441B1 (ko) 2006-03-28 2007-03-27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854913A1 (ko)
KR (1) KR100881441B1 (ko)
CN (1) CN101046031B (ko)
DE (1) DE102006014147B4 (ko)
TW (1) TWI3204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44673B4 (de) * 2010-09-08 2014-01-09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Wirkwerkzeugbarren-Reparaturset und Wirkwerkzeugbarre
DE102010045049B4 (de) * 2010-09-10 2012-10-04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Wirkwerkzeugbarre
CN104131409A (zh) * 2014-07-12 2014-11-05 常德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经编机的成圈工具
EP3354782B1 (de) * 2017-01-25 2019-08-07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Wirkwerkzeugbarre und verfahren zum montieren von wirkwerkzeugen
EP3421653B1 (de) 2017-06-26 2019-09-18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Wirkwerkzeugbarre
ES2927820T3 (es) * 2020-11-06 2022-11-11 Karl Mayer Stoll R&D Gmbh Barra de herramientas de género de punto para una máquina de punto por urdimb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5246A (en) 1988-12-01 1991-02-26 Karl Mayer Testilmaschinenfabrik Gmbh Warp knitting machine with at least one bar
DE4111108A1 (de) 1991-04-05 1992-10-08 Erbsloeh Julius & August Als geschlossenes hohlprofil aus verstaerktem kunststoff ausgebildeter traeg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83319B (de) * 1982-09-07 1987-06-25 Fischer Gmbh Rohrfoermiger hohlkoerper aus faserverstaerktem kunststoff, insbesondere strukturbauteil fuer ein fahrzeug, zur uebertragung von druck-,zug-,biege- und torsionskraeften
DE20314470U1 (de) * 2003-09-18 2003-11-20 Mayer Malimo Textilmaschf Barre aus faserverstärktem Kunststoff-Hohlprofil
DE502004006772D1 (de) * 2004-05-27 2008-05-21 Mayer Textilmaschf Wirkwerkzeug-Bar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5246A (en) 1988-12-01 1991-02-26 Karl Mayer Testilmaschinenfabrik Gmbh Warp knitting machine with at least one bar
DE4111108A1 (de) 1991-04-05 1992-10-08 Erbsloeh Julius & August Als geschlossenes hohlprofil aus verstaerktem kunststoff ausgebildeter trae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36434A (en) 2007-10-01
CN101046031A (zh) 2007-10-03
EP1854913A1 (de) 2007-11-14
DE102006014147A1 (de) 2007-10-11
KR20070097359A (ko) 2007-10-04
CN101046031B (zh) 2010-09-01
TWI320435B (en) 2010-02-11
DE102006014147B4 (de) 200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441B1 (ko)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
CN105793019B (zh) 用于制造压力容器的方法以及压力容器
US8168027B2 (en) Fibre-reinforced joint
US7682256B2 (en) Flange design for filament wound composite shaft
JP5008722B2 (ja) 航空宇宙のための繊維複合材部品の製造方法
KR100685457B1 (ko) 편직 공구 바아
JP5681617B2 (ja) ナット付き繊維強化樹脂部材の製造方法
US20150300389A1 (en) Method for connecting parts relative to one another
CA2975572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fibre reinforced composite structures
JP2018501978A (ja) 物体の相互結合方法
US20190084191A1 (en) Method for Producing Drive Belts
US20150314506A1 (en) Component with sealing plug and method for moulding a component insert
US10987881B2 (en) Method for immobilising a preform in a mould
JP3732953B2 (ja) 樹脂強化繊維の引抜成形法および引抜成形機
CN108025467A (zh) 热固性复合材料制成的诸如管的空心型材构件和对应方法
KR101229626B1 (ko) 초음파 피닝 장치 및 방법
JP4103801B2 (ja) エネルギー吸収体
ES2785563T3 (es) Elemento de conexión para un componente de plástico compuesto de fibras
JP2005193755A (ja) エネルギー吸収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1173137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rive belts
DE102015120429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Formteils aus einem Faserverbundwerkstoff
EP3245049A1 (de) Einlegeelement für ein faserverstärktes rohr
KR20160024612A (ko)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의 결합방법
JP2021133593A (ja) 複合材料及び複合材料の製造方法
JPS63227319A (ja) 金属製補強材を埋設した樹脂製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