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661B1 - 청국장 비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청국장 비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661B1
KR100880661B1 KR1020070033755A KR20070033755A KR100880661B1 KR 100880661 B1 KR100880661 B1 KR 100880661B1 KR 1020070033755 A KR1020070033755 A KR 1020070033755A KR 20070033755 A KR20070033755 A KR 20070033755A KR 100880661 B1 KR100880661 B1 KR 100880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kin
soap
natural
alkali hydr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0660A (ko
Inventor
도응선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주)맛가마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주)맛가마식품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주)맛가마식품
Priority to KR1020070033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661B1/ko
Publication of KR20080090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6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0Mixing; Knea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C11D13/16Shaping in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26Dr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피부미용에 효과가 있는 레시틴과 플라보노이드, 각종 미네랄과 비타민 성분이 풍부하여 피부노화를 방지하고 피부의 청정 및 노폐물의 제거에 탁월한 효능을 갖도록, 천연 오일에 수산화 알칼리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수용성 알칼리금속염에 청국장 분말이 천연 오일의 1∼90중량%의 비율로 고르게 분산 함유되어 형성되는 청국장 비누를 제공한다.
청국장, 비누, 천연 오일, 피부, 레시틴, 미네랄, 분말

Description

청국장 비누 및 그 제조방법 {Soap with Fermented Soybean and Process of The Same}
본 발명은 청국장 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미용에 효과가 있는 레시틴과 플라보노이드, 각종 비타민 성분이 풍부한 청국장 분말을 함유시켜 피부노화를 방지하고 피부의 청정 및 노폐물의 제거에 탁월한 효능을 갖는 청국장 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누는 주로 세정에 사용되는 고급지방산의 수용성 알칼리금속염을 총칭하는 용어로 사용하며, 원료유지를 수산화나트륨 등의 수산화 알칼리로 비누화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제조한 지방산을 알칼리로 중화시켜 제조한다.
그런데 공장에서는 일반 비누를 제조할 때에 제조원가를 낮추기 위하여 동물성 기름 등 저급의 오일을 원료로 사용하고, 비누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피부 보습 성분인 글리세린(점성이 높아 대량 생산에 어려움이 있음)을 추출하여 로션이나 크림 등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하며, 세정력을 높이기 위한 합성세제, 보존기간을 높이기 위한 방부제, 응고제, 색소, 인조향 등의 각종 화학 첨가물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공장에서 제조된 일반 비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부가 건 조해져 당기는 느낌이 들고, 각질이 생기며, 가려움증 등을 유발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민감한 사람들은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고, 피부에 남아있어야 할 피부 보호막까지 씻어내어 피부가 더욱 건조하게 되므로 피부의 손상이 더해진다는 문제도 있다.
최근에는 일반 비누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천연 물질을 이용하여 천연 비누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천연 비누는 산성인 고급 식물성 오일(예를 들면, 올리브유, 코코넛유, 팜유, 포도씨유, 피마자유 등)과 수산화나트륨 등의 수산화 알칼리를 혼합하면 비누화 반응이 일어나 만들어지는 비누이며, 천연 보습제인 글리세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천연 비누는 제조 중에 생성되는 천연 보습제 글리세린이 비누 중에 남아 있어서 세안 후 당기는 느낌이 없고, 글리세린은 피부 보호막을 형성하여 촉촉하고 부드럽게 해주므로 세안 후에도 피부의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천연 비누는 고급 식물성 오일을 사용하고 상온에서 제조하므로 오일 자체의 미네랄과 각종 영양소가 그대로 살아 있으며, 허브, 한방 약재 등의 여러가지 첨가제에 따라 기능성 비누를 만들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피부미용에 효과가 있는 레시틴과 플라보노이드, 각종 미네랄과 비타민 성분이 풍부한 청국장 분말을 함유시켜 피부노화를 방지하고 피부의 청정 및 노폐물의 제거에 탁월한 효능을 갖는 청국장 비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연 오일에 청국장 분말을 첨가하여 고르게 혼합한 다음 수산화 알칼리를 첨가하여 비누화를 행하여 피부미용에 효과가 있는 레시틴과 플라보노이드, 각종 미네랄과 비타민 성분이 풍부하여 피부노화를 방지하고 피부의 청정 및 노폐물의 제거에 탁월한 효능을 갖는 청국장 비누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청국장 비누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청국장 비누는 천연 오일에 수산화 알칼리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수용성 알칼리금속염에 청국장 분말이 천연 오일의 1∼90중량%의 비율로 고르게 분산 함유되어 형성된다.
상기 천연 오일로는 올리브유, 코코넛유, 팜유, 포도씨유, 피마자유, 미강유, 동백유, 캐놀라유, 아몬드유, 호호바유, 윗점유, 아보카도유, 코코아버터, 쉬아버터 등에서 하나이상을 선택하여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한다.
상기에서 올리브유(olive oil)는 올리브 열매에서 얻는 오일로 고급비누를 만들 때 사용하는 지방산으로, 매우 부드러우며 우수한 보습효과를 갖고 있고, 모공을 막지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에서 코코넛유(coconut oil)는 코코넛의 건조 과육인 코프라(copra)에서 얻는 오일로 보습기능과 함께 비누의 거품을 잘 일어나게 한다.
상기에서 팜유(palm oil)는 팜 열매에서 얻는 오일로 비누 거품을 풍부하고 빠르게 일게 하며 단단하게 한다.
상기에서 포도씨유(grapeseed oil)는 오일의 끈적임이 적고 순하며, 기름 냄 새가 거의 나지 않는 오일로, 피부에 자극이 없으며, 토코페롤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세포노화 방지에 좋으며 피부를 부드럽게 해준다. 또한 포도씨유를 첨가하면 산폐를 막아 비누의 보존기간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고, 피부와 세포막에 중요한 리놀레인산과 필수 지방산이 풍부하여 마사지나 목욕용으로 사용하면 매우 좋다.
상기 피마자유는 거품을 증가시켜 주며 보습력이 좋고, 피부를 부드럽고 유연하게 하고, 피부병이나 피부염, 화상, 상한 머리카락의 트리트먼트에 매우 좋다. 또 피마자유는 투명비누를 만드는 중요한 원료로 투명도를 높여준다.
상기 수산화 알칼리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을 사용한다.
상기 청국장 분말은 평균입경이 대략 0.01∼500㎛ 정도의 범위를 유지하도록 미세하게 분쇄하여 사용한다.
상기에서 청국장 분말의 평균입경이 너무 크면 사용할 때에 입자가 손이나 피부에 긁히는 느낌이 있어 사용감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너무 작으면 얻어지는 효과에 비하여 제조원가가 너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청국장 비누는 진주, 옥, 초코렛, 백강잠(흰 누에고치), 자초(알카넷, 도쿄 바이올렛), 황백, 해초, 님(margossa), 숯, 쪽(니람), 진피, 당근, 치자, 클로브, 백련초, 오트밀, 육두구, 어성초, 삼백초, 인삼, 당귀, 하수오, 계피, 백봉령, 감초, 은행, 현미, 도인, 살구씨, 녹차, 솔잎, 송진, 인진쑥, 율무, 마치현, 백년초, 토사자, 알로에 베라, 황토, 쑥, 시나몬, 소목, 꼭두서니, 보리, 검은깨, 들깨, 메밀, 녹두, 팥, 울금, 박하, 율피, 백반석, 흑축, 코코아, 루이보 스티, 라벤더, 로즈마리, 캐모마일, 카렌듈라, 자스민, 페퍼민트 등의 분말이나 추출액을 하나이상 선택하여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첨가물로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30중량%의 범위에서 더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진주(pearl)는 20여종의 미네랄과 각종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인체흡수가 매우 빠르고, 진주 분말은 물에 녹는 수용성으로 피부를 약산성으로 유지시켜 피부의 면역력을 높여주며 피부노화를 막고 보습, 혈액순환, 세포재생을 촉진하며, 미백, 세정작용으로 피부를 맑고 깨끗하게 하는 뛰어난 효능이 있다.
상기에서 옥은 세안력을 극대화시키고 피부속 깊이 박혀있는 피지 제거에 특히 효과적이며, 특히 여드름 피부나 아토피성 같은 알레르기 피부에 효과적이고, 지루성 피부의 피지제거에 탁월한 기능을 발휘한다.
상기에서 초코렛은 건성 피부에 좋고 피부에 영양을 공급해 주어 뽀송하고 탱탱한 피부를 가꾸어 준다.
상기에서 백강잠은 흰 누에고치를 말하는데 단백질과 무기질, 기름 성분이 함유되어 고급 보습제 역활을 하며, 피부를 매끄럽게 하고 기미 등 색소가 검게 변한 것을 희게 하는데 널리 사용 되며 미백효과가 뛰어나다.
상기에서 자초는 항균작용을 하므로 피부발진, 여드름에 좋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킨다.
상기에서 황백은 운향과에 속한 황백나무의 수피로, 항균성이 좋아서 민간에서는 갓난 아기의 기저귀 피부염에 가루를 뿌려주기도 한다. 황백은 추출액을 사 용한다.
상기에서 해초는 모세혈관의 기능을 원활히 해주어 보습 및 유연막을 형성하며, 촉촉하고 건강한 피부를 만들어 주고, 각종 미네랄이 들어있어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주며 해조성분이 수분을 공급하여 건조한 피부에 수분과 윤기를 준다. 해초는 건성 피부, 푸석푸석한 피부에 사용하면 좋다.
상기에서 님(Margossa)은 분말로 사용하며, 두피나 피부의 가려움증, 염증이 있는 사람에게 좋으며, 잎에는 살균 및 항균 성분을 함유되어 있다.
상기에서 숯은 다공질로 되어 있어 탈취, 제습, 여과하는 흡착효과를 보이며, 숯의 탄소는 음이온을 발생하여 환원 작용을 하므로 노화를 막을 수 있고, 뛰어난 흡착력으로 피부 깊숙한 곳까지 각종 노폐물을 제거시켜 주며, 각종 미네랄이 풍부한 숯이 피부 순환작용과 피부탄력을 유지시켜 신진대사를 정상화시켜 깨끗하고 건강한 피부로 가꾸어 준다.
상기에서 쪽(니람)은 항균성이 뛰어나 아토피와 같은 피부성 질환의 원인균인 포도당구균 등을 소멸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녹두의 단백질은 피지 제거 기능으로 피부 청정과 보습효과가 우수하며, 피부 해독 작용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며, 항염 및 항산화 효과로 여드름을 가라앉히고 미백 작용과 피부를 유연하게 하고, 자극이 없어 트러블피부나 민감한 피부에 사용한다.
상기에서 진피는 감귤의 껍질을 말린 것으로 진귤피(陳橘皮)라고도 하며, 귤껍질에 함유된 리모넨이란 정유 성분은 피부를 아름답게 해 주는 작용이 크며, 피 부 표면의 수분 증발을 막아 주는 엷은 막을 만들어 윤기와 보습 시간을 오래 유지시켜 주고, 여드름, 화농, 습진, 가려움증, 상처소독,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피부 질환에도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당근은 채소 중에서도 미용의 비타민인 비타민 A가 풍부해, 피부염 등 피부에 트러블이 있는 사람에고 특히 좋으며, 비타민A는 피부를 곱고 매끄럽게 해주는 성분으로 비타민A가 부족하면  살결이 거칠어지고 병균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져 여드름이 돋고 쉽게 잘 곪게 된다.
상기에서 녹차는 세균번식 억제, 살균 및 여드름 예방과 치료에 탁월하며, 녹차의 떫은맛을 내는 성분인 폴리폐놀은 피부수렴, 모공수축, 피부노화방지에 효과적이다. 특히 녹차는 비타민 C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기미, 주근깨, 미백에 효과가 있으며, 녹차에 함유된 비타민A, B2, C, E 등이 유해산을 제거하여 피부탄력을 높여주고, 카테킨 성분이 피지조절을 도와 T존 부위와 뺨 등에 깨끗한 피부를 가꾸어 주며, 기미나 주근깨 등 미백과 여드름을 가라앉히는 진정 및 보습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치자는 사포닌을 함유하여 피부에 진정작용과 진균억제, 소염, 지열작용을 한다.
상기에서 클로브는 강하고 싸하며 자극적인 향이 나고, 살균, 항진균, 소독, 진통작용이 있으며, 피부자극성이 있으므로 소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살구씨는 여러가지 불포화 지방산이 들어 있어 피부에 영양을 공급해 주어 희고 윤기있게 가꾸어 주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피부의 건조를 막아주며, 기미, 주근깨와 잔주름을 억제한다.
상기에서 백련초는 보습성분이 피부를 촉촉하고 부드럽게 해주어 피부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보호해 주며, 피부를 칙칙하게 만드는 각질을 부드럽게 해주어 피부 표면을 깨끗하게 하므로 피부를 밝고 깨끗하게 한다.
상기에서 토사자는 메꽃과에 속하는 새삼 씨앗으로 미백 효과가 뛰어나며, 기미에 특효이며, 주근깨, 노화 피부, 모세혈관, 붉은 피부에 효과적이다.
상기에서 팥은 건조한 피부에 보습효과를 주며, 주근깨의 멜라닌 색소를 감소시킨다.
상기에서 오트밀은 비타민과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어 자극이 없으며 피부에 수렴효과를 주고 피부 탄력을 증가시키며, 민감한 피부에 세안제로 사용해도 좋고, 영양분이 풍부하여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므로 다른 재료와 섞어서 사용하면 자극을 줄여준다.
상기에서 어성초는 몸 속의 온갖 독을 없게 하는 해독초(解毒草)이며, 알레르기성 비염, 피부병, 두드러기, 땀띠, 습진, 부종, 파상풍, 화상, 해열 등에 효과가 있으며, 염증치료, 세포재생촉진, 항균작용이 뛰어나다.
상기에서 알로에 베라는 세포 조직을 신속하게 재생시키고 보호하는 작용을 하며, 피부와 그 내면의 근육을 수축시키므로 결이 곱고 탄력 있고 매끄럽게 하며 잔주름을 없애 젊어지게 한다. 또 알로에는 비유성(非油性) 보습제로서 우수한 효능을 가지고 있어 피부를 촉촉하고 부드럽게 하며, 독성이 없는 표백제로서 살결을 희게 하고, 탁월한 소염제로서 피부에 생긴 염증을 치유하고, 발뒤꿈치나 손가락 마디 같은 데의 굳은 피부나 흉터도 거의 정상으로 회복시켜주며, 사춘기 소녀들의 고민거리인 여드름에도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황토는 입자가 곱고 많은 산소를 함유하고 있어 정화능력이 뛰어나고 탈취,탈지의 성질이 있으며, 황토 1g속에는 2억 마리 이상의 미생물이 살고 있어 다양한 효소들이 복합적으로 순환작용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해독력, 흡수력, 자정력이 뛰어나다.
상기에서 쑥은 강력한 항균 작용과 더불어 피부를 탄력있게 하고 혈액순환을 도우며, 비타민C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 미용에 좋고, 미백효과, 진정작용, 습윤 및 살균 소염작용에 탁월하고 부작용이 없다.
상기에서 계피는 대장균, 포도상구균, 칸디다균 등의 발육을 억제해주는 약효가 있으며, 항알레르기, 화이트닝, 피부진정의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소목은 항염, 살균, 발취 효과가 있고, 피가 막혀 있거나 뭉쳐 있는 것을 풀어준다.
상기에서 감초는 사포닌 성분인 글리시리진, 혈관을 튼튼히 해주는 여러 종류의 플라보노이드, 유기산, 아미노산, 콜린, 검, 과당, 포도당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소염 작용이 뛰어나 염증 방지, 진정 작용이 있어 상처가 빨리 낫고 새살이 빨리 돋게 한다.  또 감초는 다른 물질의 독성을 약화시키는 성분이 들어있어 피부진정, 소염작용, 상처 치료, 피부기능 조절, 대사촉진 등의 효과가 있고, 기미나 주근깨 등 피부가 거칠고 햇빛에 오랜 시간 노출된 경우 효과적이다.  감초는 진정작용, 항알레르기 작용, 항염증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어 여드름피부나 아토피 피부에 많이 애용되고, 묵은 각질과 피지가 함께 세정되어 피부가 매끄럽고 맑아지며 윤기있고 건강해진다.
상기에서 솔잎은 주요성분이 엽록소와 비타민A, 비타민C 이며, 특히 솔잎에 포함된 옥시파르티민산은 세포를 젊어지게 하여 노화를 방지하며 젊음을 유지시켜 주고, 수렴성 소염작용을 한다. 또 솔잎은 단백질, 조지방(粗脂肪)과 인, 철, 효소, 미네랄 등의 특수한 유효성분과 타닌 성분이 클로로필을 분리하여 피부 질환에도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울금은 풍부한 미네랄을 함유하며, 항균성분이 있어서 착색뿐만 아니라 음색을 오래 보존하기 위하여 쓰이고, 여드름 치료 등에 좋다.
상기에서 박하는 소염작용 뛰어나며 피부에 시원한 느낌을 주므로 피지분비가 많은 지성피부나 복합성피부에 사용하면 좋다.
상기에서 율피는 노화 피부나 기미 피부에 큰 효과를 보이고, 탄닌 성분이 풍부해서 모공이 크고 지성인 피부에 사용하며, 주효능으로는 모공 축소 효과, 미백 및 기미 제거, 노화 방지 및 각질 제거에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율무는 트러블을 진정시키는데 사용하며, 피부톤 개선에 효과적이고, 필수 아미노산과 무기질의 함량이 비교적 높으며 유기산 등이 함유 되어 피부에 활기를 넣어주고 피부노화를 방지하는데 도움을 주고, 여드름 자국이나 모공이 큰 경우에 사용하면 좋다.
상기에서 맥반석은 강한 흡착작용으로 화장독, 여드름, 피부질환에 좋으며, 각종 미네랄이 풍부해 피부에 탄력과 노화를 방지한다.
상기에서 흑축은 검은 나팔꽃씨로, 피부를 맑고 청정하게 가꾸어 준다.
상기에서 하수오는 살결을 곱게 하며 머리칼을 검게 하는 약초로도 이름이 높습니다.
상기에서 송진은 여드름 제거후 상처가 아무는데 좋고, 모공수축, 흉터제거에 특히 좋으며 세포재생, 진정작용, 항염증, 항알레르기, 피부기능대사촉진, 방부효과, 항산화효과를 가지고 있고, 비듬제거에 좋다.
상기에서 당귀는 방향유, 비타민, 유기산 및 미량 원소 등 다양한 유기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를 희게 하며, 멜라닌 형성을 억제시고, 황갈색 반점과 주근깨 등의 색소성 피부에 효과적이며, 피부 재생 및 진정 효과, 피부 탄력 효과, 혈액 순환 촉진, 노화방지 효과가 탁월하다.
상기에서 루이보스티는 각종 미네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피부 가려움증, 건조증, 아토피등을 가진 피부에 아주 좋으며, 피부가 매끄러워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청국장 비누 제조방법은 수산화 알칼리를 천연 오일의 30∼40중량%의 물에 넣어 용해시켜 수산화 알칼리용액을 제조하고, 천연 오일에 수산화 알칼리용액을 넣은 다음 고르게 계속하여 교반하고, 교반하는 용액에 트레이스가 발생하면 청국장 분말을 천연 오일의 1∼90중량%의 비율로 첨가하여 고르게 교반 혼합하여 비누 용액을 제조하고, 비누 용액을 성형틀에 주입하여 12∼48시간 정도 보온하고, 성형틀에서 탈형하여 일정 크기로 절단한 다음 건조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수산화 알칼리용액을 제조할 때에 사용하는 수산화 알칼리의 첨가량은 사용하는 천연 오일의 비누화값에 따라 계산한다. 즉 사용하는 천연 오일의 비누화값을 천연 오일의 사용량에 곱하여 구한 값이 수산화 알칼리의 첨가량이다.
예를 들면, 올리브유의 비누화값은 0.1340이며, 코코넛유는 0.1900, 팜유는 0.1410 등이다.
상기와 같이 계산된 수산화 알칼리의 첨가량은 필요에 따라 5∼15%(일반적으로 10% 정도) 감량하여 적게 사용하는 것이 수산화 알칼리가 강알칼리이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천연 오일을 2개 이상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사용량에 각각의 비누화값을 곱하여 각각에 해당하는 수산화 알칼리의 첨가량을 계산한 다음. 이를 전부 더하여 총 사용하는 수산화 알칼리의 첨가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수산화 알칼리를 용해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물의 양은 천연 오일의 30∼40중량% 정도의 비율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름 등 온도가 높을 때에는 물의 사용량을 감량하고, 겨울 등 온도가 낮을 때에는 물의 사용량을 증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물에 수산화 알칼리를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과정에서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25∼80℃ 정도로 약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물에 수산화 알칼리가 용해되는 과정은 발열반응이므로 온도가 급속하게 올라갈 수 있으며, 반응(용해)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온도가 25∼80℃ 정도의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냉각시킨다.
상기 천연 오일을 2개 이상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모두 혼합한 다음, 약간 가열하는 것이 서로 다른 천연 오일이 고르게 잘 혼합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천연 오일을 수산화 알칼리용액을 혼합하기 전에 약한 불에서 25∼80℃ 정도로 가열하여 첨가되는 수산화 알칼리용액의 온도와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 오일에 수산화 알칼리용액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시간은 천연 오일의 사용량과 종류, 온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10∼90분 정도의 범위에서 설정한다.
상기 청국장 분말을 첨가하는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색소, 향료, 한방재료 등의 기타 첨가제를 함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30중량%의 범위에서 더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기타 첨가제로 사용하는 첨가물도 가능하면 천연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기타 첨가제로 진주, 옥, 초코렛, 백강잠(흰 누에고치), 자초(알카넷, 도쿄 바이올렛), 황백, 해초, 님(margossa), 숯, 쪽(니람), 진피, 당근, 치자, 클로브, 백련초, 오트밀, 육두구, 어성초, 삼백초, 인삼, 당귀, 하수오, 계피, 백봉령, 감초, 은행, 현미, 도인, 살구씨, 녹차, 솔잎, 송진, 인진쑥, 율무, 마치현, 백년초, 토사자, 알로에 베라, 황토, 쑥, 시나몬, 소목, 꼭두서니, 보리, 검은깨, 들깨, 메밀, 녹두, 팥, 울금, 박하, 율피, 백반석, 흑축, 코코아, 루이보스티, 라벤더, 로즈마리, 캐모마일, 카렌듈라, 자스민, 페퍼민트 등의 분말이나 추출액을 하나이상 선택하여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한다.
상기에서 비누 용액을 성형틀에 주입하여 보온하는 시간은 12∼48시간 정도가 적당하지만, 48시간 이상을 방치하여도 무방하다.
비누 용액을 성형틀에 주입하여 12∼48시간 정도 보온하고, 성형틀에서 탈형하여 일정 크기로 절단한 다음
상기에서 제조된 청국장 비누를 건조시키는 과정은 자연 통풍 상태에서는 2주에서 2개월 정도 소요되며, 건조하고 서늘하며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오래 숙성시킬수록 더 부드럽고 좋은 비누로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청국장 비누 및 그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천연 오일로 올리브유 300g, 코코넛유 350g, 팜유 350g을 계량하여 혼합하여 40℃ 정도로 유지시키고, 수산화나트륨 148.25g(비누화값에 따른 산출값을 5% 감량한 양)을 물(증류수) 350g에 넣어 용해시켜 수산화 알칼리용액을 제조하여 40℃ 정도로 냉각시키고, 혼합한 천연 오일에 수산화 알칼리용액을 넣은 다음 고르게 계속하여 교반하고, 교반하는 용액에 트레이스가 발생할 때에 청국장 분말을 200g 첨가하여 고르게 교반 혼합하여 비누 용액을 제조하고, 비누 용액을 성형틀에 주입하여 24시간 정도 보온하고, 성형틀에서 탈형하여 일정 크기로 절단한 다음 자연 통풍 상태에서 30일 건조시켜 본 발명에 따른 청국장 비누의 실시예 1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천연 오일로 올리브유 200g, 코코넛유 200g, 팜유 200g, 포도씨유 100g, 호호바유 100g, 쉬아버터 50g, 동백유 50g, 미강유 50g, 피마자유 50g을 계량하여 혼합하여 50℃ 정도로 유지시키고, 수산화나트륨 124g을 물(증류수) 330g에 넣어 용해시켜 수산화 알칼리용액을 제조하여 50℃ 정도로 냉각시키고, 혼합한 천연 오일 에 수산화 알칼리용액을 넣은 다음 고르게 계속하여 교반하고, 교반하는 용액에 트레이스가 발생할 때에 청국장 분말 500g, 첨가물로 어성초 1g, 녹차 2g, 박하 2g을 첨가하여 고르게 교반 혼합하여 비누 용액을 제조하고, 비누 용액을 성형틀에 주입하여 24시간 정도 보온하고, 성형틀에서 탈형하여 일정 크기로 절단한 다음 자연 통풍 상태에서 30일 건조시켜 본 발명에 따른 청국장 비누의 실시예 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천연 오일로 올리브유 300g, 코코넛유 300g, 팜유 300g, 포도씨유 100g을 계량하여 혼합하여 50℃ 정도로 유지시키고, 수산화나트륨 135g을 물(증류수) 350g에 넣어 용해시켜 수산화 알칼리용액을 제조하여 50℃ 정도로 냉각시키고, 혼합한 천연 오일에 수산화 알칼리용액을 넣은 다음 고르게 계속하여 교반하고, 교반하는 용액에 트레이스가 발생할 때에 청국장 분말 100g, 첨가물로 해초 5g, 현미 5g, 라벤더 3㎖, 캐모마일 2㎖를 첨가하여 고르게 교반 혼합하여 비누 용액을 제조하고, 비누 용액을 성형틀에 주입하여 24시간 정도 보온하고, 성형틀에서 탈형하여 일정 크기로 절단한 다음 자연 통풍 상태에서 30일 건조시켜 본 발명에 따른 청국장 비누의 실시예 3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실시예 1∼실시예 3을 피부가 민감한 각각 10대, 20대, 30대의 여성 30명에게 1개월간 사용하게 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90% 이상의 대상자가 피부가 부드러워지고 탄력이 있었다고 응답하였으며, 기미나 주근깨 등이 엷어졌다고 응답하였으며, 피부 트러블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고 응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청국장 비누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청국장 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천연 오일에 수산화 알칼리를 반응시키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글리세린이 그대로 함유되므로 보습력이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국장 비누에 의하면, 인공적인 화학물질이 거의 첨가되지 않으므로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며, 물에 녹으면서 탄산가스와 물로 분해되어 없어지고 환경을 오염시키는 화학물질이 나오지 않으므로 환경친화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청국장 비누 제조방법에 의하면, 100℃ 이하에서 가열이 이루어지므로, 청국장의 유용한 성분 및 기능이 제조과정에서 손상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청국장 비누에 의하면, 청국장에 함유된 레시틴의 구조가 각질 사이 지질 및 수분저지막의 세포막 구조와 유사하여 영양물질을 피부 속까지 침투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신진대사를 활성화하여 여드름, 주름, 거친 피부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청국장 비누에 의하면, 청국장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의 강 한 항산화 활성으로 미백 및 노화방지에 효과적이며, 비타민 C의 흡수를 촉진하여 생리활성물질의 피부 적용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청국장 비누에 의하면, 청국장에 함유된 각종 비타민 성분의 항산화 작용으로 유해산소가 제거되고, 지질의 과산화를 방지하며, 신지대사를 촉진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고, 피부노화를 방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청국장 비누에 의하면, 청국장에 함유된 폴리글루탐산의 보습작용으로 뛰어난 보습력이 확보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청국장 비누에 의하면, 청국장에는 각종 미네랄, 효소, 아미노산, 비타민 B군, 비타민 E, 비타민 K2 등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들 성분의 작용으로 피부가 부드러워지며 탄력있게 하고, 윤기가 나며, 부스럼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청국장 비누에 의하면, 청국장에 함유된 이소플라본, 사포닌의 작용으로 멜라닌 색소의 억제 효과가 있고, 항산화 작용을 하여 피부에 기미나 다크서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청국장 비누에 의하면, 청국장에 리놀렌산 등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므로, 무좀, 각종 피부병에 효과가 있으며, 피부미용에도 좋은 효과를 보인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청국장 비누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다른 기능성 천연 첨가물을 더 첨가하는 것에 의하여 보다 다양한 기능과 효과를 갖는 비누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수산화 알칼리를 천연 오일의 30∼40중량%의 물에 넣어 용해시켜 수산화 알칼리용액을 제조하고,
    천연 오일에 수산화 알칼리용액을 넣은 다음 고르게 계속하여 교반하고,
    교반하는 용액에 트레이스가 발생하면 평균입경이 0.01∼500㎛의 범위를 유지하도록 미세하게 분쇄한 청국장 분말을 천연 오일의 1∼90중량%의 비율로 첨가하여 고르게 교반 혼합하여 비누 용액을 제조하고,
    비누 용액을 성형틀에 주입하여 12∼48시간 정도 보온하고,
    성형틀에서 탈형하여 일정 크기로 절단한 다음 건조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청국장 비누 제조방법.
  7. 삭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청국장 분말을 첨가하는 과정에서 색소, 향료, 한방재료의 기타 첨가제를 함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30중량%의 범위에서 더 첨가하고,
    상기 기타 첨가제로 사용하는 첨가물로는 진주, 옥, 초코렛, 백강잠(흰 누에고치), 자초(알카넷, 도쿄 바이올렛), 황백, 해초, 님(margossa), 숯, 쪽(니람), 진피, 당근, 치자, 클로브, 백련초, 오트밀, 육두구, 어성초, 삼백초, 인삼, 당귀, 하수오, 계피, 백봉령, 감초, 은행, 현미, 도인, 살구씨, 녹차, 솔잎, 송진, 인진쑥, 율무, 마치현, 백년초, 토사자, 알로에 베라, 황토, 쑥, 시나몬, 소목, 꼭두서니, 보리, 검은깨, 들깨, 메밀, 녹두, 팥, 울금, 박하, 율피, 백반석, 흑축, 코코아, 루이보스티, 라벤더, 로즈마리, 캐모마일, 카렌듈라, 자스민, 페퍼민트의 분말이나 추출액을 하나이상 선택하여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하는 청국장 비누 제조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천연 오일로는 올리브유, 코코넛유, 팜유, 포도씨유, 피마자유, 미강유, 동백유, 캐놀라유, 아몬드유, 호호바유, 윗점유, 아보카도유, 코코아버터, 쉬아버터 중에서 하나이상을 선택하여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하는 청국장 비누 제조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산화 알칼리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을 사용하는 청국장 비누 제조방법.
  11. 삭제
KR1020070033755A 2007-04-05 2007-04-05 청국장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0880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755A KR100880661B1 (ko) 2007-04-05 2007-04-05 청국장 비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755A KR100880661B1 (ko) 2007-04-05 2007-04-05 청국장 비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660A KR20080090660A (ko) 2008-10-09
KR100880661B1 true KR100880661B1 (ko) 2009-02-04

Family

ID=40151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755A KR100880661B1 (ko) 2007-04-05 2007-04-05 청국장 비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66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02760A (zh) * 2015-11-06 2016-05-25 周庆莉 一种增肥的养生皂
CN105802770A (zh) * 2016-04-20 2016-07-27 李大兴 一种含青黛及衍生品的冷制手工皂及其制备方法
CN106118924A (zh) * 2016-06-16 2016-11-16 广西南宁诺尔网络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排毒养颜手工皂及其冷制方法
CN106281798A (zh) * 2016-08-18 2017-01-04 杨帆 一种薏仁美白去皱美肤手工皂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378B1 (ko) * 2009-05-07 2011-08-04 이기철 한방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16833B1 (ko) * 2009-09-01 2012-02-29 최현숙 코엔자임 큐텐이 함유된 고래 기름의 추출 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추출된 고래 기름을 이용한 비누의 제조 방법
KR101032316B1 (ko) * 2009-09-07 2011-05-06 정윤교 발 세정용 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26048B1 (ko) * 2009-11-26 2016-06-01 (주)아모레퍼시픽 항균용 세정제 조성물
KR100995379B1 (ko) * 2009-12-30 2010-11-19 이동주 입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38157B1 (ko) * 2010-12-02 2012-04-19 김미량 천연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1245267B1 (ko) * 2010-12-21 2013-03-19 주식회사 솔바이오텍 옻 추출물이 함유된 비누 및 그 비누의 제조 방법
KR101335878B1 (ko) * 2011-06-28 2013-12-02 오경희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
KR101462677B1 (ko) * 2012-03-26 2014-11-20 최미영 청국장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1217495B1 (ko) * 2012-05-31 2013-01-02 김민수 석유 오염물질 세정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세정방법
KR101427099B1 (ko) * 2012-12-31 2014-08-07 주식회사 청화팜 Em발효액과 산야초 분말을 함유하는 발모기능성 샴푸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40410B1 (ko) * 2013-01-29 2015-07-30 구자곤 마사지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928080A (zh) * 2015-04-09 2015-09-23 广西大学 一种薄荷绿茶手工皂制作方法
CN105602768A (zh) * 2016-02-18 2016-05-25 *** 一种青刺尖香皂及其制备方法
CN107523447A (zh) * 2017-10-18 2017-12-29 桂林大创科技有限公司 一种家庭用洗衣粉及其制备方法
CN107739669A (zh) * 2017-10-18 2018-02-27 湖南大三湘茶油电子商务有限公司 经脱敏处理的滋润养护消炎杀菌山茶手工皂及其制备方法
CN111040897A (zh) * 2019-03-28 2020-04-21 铜仁学院 一种手工护手洗碗液体皂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1691A (ja) * 1997-03-07 1998-09-22 Shiga Yoko 洗浄料
KR20050116082A (ko) * 2004-06-04 2005-12-09 함정희 과채류의 착즙액을 이용한 발효콩 제조방법
KR20050119838A (ko) * 2004-06-17 2005-12-22 안은화 화살나무 추출물이 함유된 비누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1691A (ja) * 1997-03-07 1998-09-22 Shiga Yoko 洗浄料
KR20050116082A (ko) * 2004-06-04 2005-12-09 함정희 과채류의 착즙액을 이용한 발효콩 제조방법
KR20050119838A (ko) * 2004-06-17 2005-12-22 안은화 화살나무 추출물이 함유된 비누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02760A (zh) * 2015-11-06 2016-05-25 周庆莉 一种增肥的养生皂
CN105802770A (zh) * 2016-04-20 2016-07-27 李大兴 一种含青黛及衍生品的冷制手工皂及其制备方法
CN106118924A (zh) * 2016-06-16 2016-11-16 广西南宁诺尔网络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排毒养颜手工皂及其冷制方法
CN106281798A (zh) * 2016-08-18 2017-01-04 杨帆 一种薏仁美白去皱美肤手工皂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660A (ko) 200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661B1 (ko) 청국장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0928726B1 (ko) 아토피성 피부 질환 치료용 천연 특수 한방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1592242B1 (ko) 식물성콜라겐을 함유한 화장 제거 및 피부 관리용 다기능성 클렌징 티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96774B1 (ko) 오소리 오일을 이용한 천연비누 제조방법
KR101565778B1 (ko) 나노 산화아연이 함유된 항균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비누
KR102460827B1 (ko) 진피-메밀 복합 발효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천연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CN102949330B (zh) 一种中药美容面膜粉及其制备方法
KR102252604B1 (ko) 코코넛 추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천연 샴푸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65716B1 (ko) 천연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361181A (zh) 一种抗皮肤衰老的玫瑰复方精油
KR101031911B1 (ko) 피부미용 효과를 가지는 천연곡물 혼합분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00308B1 (ko) 한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97083B1 (ko) 싸리나무오일이 첨가된 천연비누 제조 방법
KR101168796B1 (ko)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13679640A (zh) 一种天然滋养净肤护肤祛痘洁面凝露及其制备方法
JP3563021B2 (ja) 化粧用パックの製造方法
CN105816373A (zh) 一种毛孔细致型卸妆水及其制备方法
CN104887602A (zh) 茉莉洗头洗面液
JP2002363065A (ja) 薬草化粧石鹸及びローション
KR100860761B1 (ko) 청국장 샴푸 및 그 제조방법
CN107779320A (zh) 一种核桃青皮洁肤产品及其制备方法
CN113278477A (zh) 一种美白保湿滋润抑菌的沐浴皂及其制备方法
KR100889390B1 (ko) 검은콩 분말이 함유된 흑비누의 제조방법
CN106675859A (zh) 中药皂
CN112156029A (zh) 一种山茶控油除螨氨基酸洁面慕斯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