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493B1 - 가열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가열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493B1
KR100880493B1 KR1020070007199A KR20070007199A KR100880493B1 KR 100880493 B1 KR100880493 B1 KR 100880493B1 KR 1020070007199 A KR1020070007199 A KR 1020070007199A KR 20070007199 A KR20070007199 A KR 20070007199A KR 100880493 B1 KR100880493 B1 KR 100880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unit
burner system
gas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9449A (ko
Inventor
이대래
류정완
양대봉
류상민
정용기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7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493B1/ko
Priority to US11/927,319 priority patent/US20080173296A1/en
Priority to CN2007101599528A priority patent/CN101230992B/zh
Publication of KR20080069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72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per heating z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okers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신뢰성을 가지는 경고장치가 구비되어 안전성이 향상되는 가열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열조리기기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덮는 세라믹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놓이며, 연료의 혼합 공간을 제공하는 버너포트와, 상기 버너포트의 측방에 놓이며, 버너포트의 내부 공간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혼합관 유닛과 상기 버너포트의 상측에 위치하여, 연료의 연소 공간과 연소 가스의 배기유로를 제공하는 버너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버너시스템; 상기 버너시스템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버너시스템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오프 동작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스위치의 온 동작과 상기 온도센서 온 동작 중 어느 하나라도 감지되었을 때, 상기 스위치의 동작과 상기 온도센서의 동작에 의해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가열조리기기에 의하면, 신뢰성과 안전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가열조리기기, 경고부, 경고신호, 시퀀스, 써모스탯, 발광부

Description

가열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Heating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열조리기기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세라믹 플레이트가 제거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부분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다른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부분 상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동작을 나타낸 블럭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세라믹 플레이트 120. 탑 프레임
140. 배기그릴 160. 조작스위치
200. 케이스 210. 버너포트
212. 개공 220. 혼합관 유닛
222. 혼합관 230. 버너프레임
240. 적열플레이트 250. 메인공급관
252. 가스밸브 254. 가스공급관
260. 배기부 270. 점화트랜스
272. 점화플러그 280. 경고부
281. 램프 282. 발광체
본 발명은 가열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신뢰성을 가지는 경고장치가 구비되어 안전성이 향상되는 가열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가열조리기기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사람이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는 상태로 요리하기 위한 주방기기로써, 이러한 가열조리기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방법과, 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방법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방법은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는 혼합가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열로써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가스를 연소시키는 방법으로 동작되는 가열조리기기에는 연소유닛이 구비된다. 상기 연소유닛은 가스를 공기와 혼합하여 연소시키게 되며, 내부 공간으로 가스를 분사하고, 분사된 가스의 부근에서 가스가 공기와 함께 연소유닛의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연소유닛의 내부로 유입되는 혼합가스는 연소유닛의 내부에서 균일하게 혼합되고, 균일하게 혼합된 다음에는 점화되어 가스가 연소하게 되며, 가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열이 복사 및 전도에 의하여 열이 전달됨으로써 음식물이 가열되면서 요리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가열조리기기에서는 상기 연소유닛의 내부로 가스와 공기가 유입된 뒤에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연소유닛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가스가 토출됨에 따라 연소유닛의 전체적인 높이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연소유닛의 높이가 높아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연소유닛의 측방에서 연소유닛의 내부를 향하여 가스외 공기가 토출되는 방식도 적용된 바가 있으나, 이러한 측방분사방식은 연소유닛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추기 위하여 단순하게 연소유닛의 측방에 혼합가스의 유입구가 형성되기 때문에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는 상세구성은 연소유닛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일정 수준 이상의 연소유닛 높이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연소유닛의 내부에서 혼합가스가 원활하게 혼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혼합관에서 분사되는 가스가 좁은 버너의 내부 공간에서 연소되도록 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마련되는 구성이었다.
만약, 상기 연소유닛이 일정 이상의 크기를 가지지 아니하면, 가스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부족하여 연소유닛의 내부에서 가스와 공기가 원활하게 혼합되지 못하고, 불완전 연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소유닛의 크기가 일정 정도의 크기가 아니하면 혼합 공기의 유동저항이 증대되고, 충분히 혼합될 수 없기 때문에 균일하게 혼합가스가 제공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소유닛의 크기는 동일하게 하고 연소유닛으로 유입되는 가스의 양을 줄임으로써 가스의 연소 효율을 높일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발열량이 감소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가열조리기기는 상면이 세라믹 플레이트에 의해 차폐되어 있어 사용자가 가열조리기기의 사용상태를 잘 인지하지 못하여 인체에 상해를 입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사용자가 가열조리기기의 사용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더라도 연소유닛의 온도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인식하게 함으로써 일정 온도 이하가 되면 사용자가 위험성을 인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더구나, 사용자가 요리 중 잠시 자리를 비우는 상황에서 다른 사람이 인식하지 못하고 신체의 일부를 가열조리기기와 근접하게 되는 경우 인체에 심각한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는 경고장치가 구비되는 가열조리기기를 제공하여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는 조작스위치와 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라도 감지되면, 사용자에게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여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외부로 경고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하여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가열조리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가열조리기기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덮는 세라믹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놓이며, 연료의 혼합 공간을 제공하는 버너포트와, 상기 버너포트의 측방에 놓이며, 버너포트의 내부 공간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혼합관 유닛과 상기 버너포트의 상측에 위치하여, 연료의 연소 공간과 연소 가스의 배기유로를 제공하는 버너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버너시스템; 상기 버너시스템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버너시스템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오프 동작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스위치의 온 동작과 상기 온도센서 온 동작 중 어느 하나라도 감지되었을 때, 상기 스위치의 동작과 상기 온도센서의 동작에 의해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제어 방법은, 조작 동작에 의해 버너시스템이 동작되는 단계; 상기 조작 동작이 감지되면,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기 위하여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발광체인 경고부에서 제1시퀀스가 수행되는 단계; 및 상기 버너시스템이 동작되어 버너시스템이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사용자가 상기 버너시스템의 동작 사실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제2시퀀스가 수행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이처럼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 및 제어방법에 의하면, 크기가 소형화되며, 사용의 안전성과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삭제
삭제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가열조리기기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세라믹 플레이트가 제거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를 살펴보면, 하측을 보호하면서 하측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루고 상면이 개구되어 있는 케이스(200)와 상기 케이스(200)의 상면을 덮도록 케이스(200)의 상면에 안착되어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지지하게 되는 세라믹 플레이트(100)와,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00)의 테두리 부분을 커버하는 탑 프레임(120)이 포함된다.
그리고, 가열조리기기의 추가적인 외관 구성으로는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00)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그릴(140)과, 세라믹 플레이트(100)의 대략 전방부에 형성되어 가스의 연소를 온/오프 제어하는 조작스위치(160)가 있다. 상기 배기그릴(140) 및 조작스위치(160)는 그 위치 또는 형상이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으나,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기부와 가스의 연소를 온/오프 제어하는 스위치가 제공되어아 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00)와 케이스(200)로 정의되는 내부 공간에는 가스의 연소, 배기를 위한 다수의 부품이 수용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그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공간에는 가스와 공기의 혼합이 충분하게 일어나서 균일하게 연소하게 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버너포트(210)가 세 개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상기 버너포트(210) 측면에는 혼합관 유닛(220)이 놓여서 버너포트(210)의 측면을 통하여 가스와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관 유닛(220)의 유입구와 일정 정도의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노즐유닛(도시되지 않음)이 놓여서 혼합관 유닛(220)의 유입구를 향하여 가스를 고압으로 분사하게 된다.
상기 버너포트(210)의 상측에는 버너프레임(230)이 놓이게 되며, 상기 버너프레임(230)은 버너포트(210)의 위치를 지지하고 다음에 설명할 적열플레이트(240) 상에서 발생하게 되는 연소가스의 배기 유로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버너프레임의 후방에는 연소가스가 외부 공간을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부(260)가 위치하게 되 며, 상기 배기부(260)의 상측에는 상기 배기그릴(140)이 놓이게 된다.
상기 버너포트(210)의 상면은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개구된 상면에는 상기 적열플레이트(240)가 놓이며, 적열플레이트(240)는 가스와 공기가 연소하게 될 때 발생하는 연소열에 의해서 가열된다. 적열플레이트(240)가 가열되면 적열플레이트(240)의 물성에 맞는 주파수 대역의 복사에너지가 방사된다.
상기 적열플레이트(240)의 복사에너지는 적어도 가시광선 대역의 주파수가 포함되어 있고, 그 가시광선에 의해서 본 발명의 가열조리기기가 동작 중임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다. 물론, 적열플레이트(240)에서 발생하게 되는 복사열과 적열플레이트(240)에서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00)로 전달되는 전도열에 의해 음식물이 가열되어 요리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하에서는 가열조리기기로 가스가 공급되는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가열조리기기의 외부에서 내부로는 메인공급관(250)에에 의해 가스가 안내되고, 상기 조작스위치(160)에 의해서 조절되는 가스밸브(252)에 의해서 각각의 버너시스템으로 향하는 가스의 공급이 조절된다. 상기 가스밸브(252)를 경유한 다음에는 각각의 버너시스템과 연결되는 가스공급관(254)을 통하여 가스가 노즐유닛으로 공급된다.
상기 노즐유닛으로 공급되는 가스는 노즐유닛에 의해 상기 혼합관 유닛(220)의 유입구를 향해 고압으로 분사된다. 이때 혼합관 유닛(220)의 유입구를 향하여 분사되는 가스는 고속이기 때문에 베르누이 정리에 의해 혼합관 유닛(220)의 유입구와 인접된 공간은 저압분위기가형성된다.
그러므로, 외부의 공기도 상기 혼합관 유닛(220)의 내부로 함께 유입되고, 혼합관 유닛(220)을 통과하는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면서 혼합가스를 형성하게 된다. 혼합관 유닛(220)을 통과하면서 형성되는 혼합가스는 상기 버너포트(2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다음 이차적으로 혼합되어 상기 적열플레이트(240) 상에서 연소된다.
상기 적열플레이트(240)는 미세한 홀이 무수히 가공되는 망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홀을 혼합가스가 통과하면서 연소하게 된다. 혼합가스가 연소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연소가스는 버너프레임(230)에 의해 제공되는 배기 유로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배기그릴(140)을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유로는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00)의 하부와 버너프레임(230)의 상부 사이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공간에는 서로 다른 발열량을 가지는 상기 버너포트(210)가 놓이게 되어 사용자는 버너포트(210)의 발열량에 맞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00)의 상측에 놓아서 음식물을 요리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공간 양측편에는 비교적 큰 두 개의 버너포트(210)가 놓이고, 그 사이에는 작은 크기의 버너포트(21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200)의 가운데 놓이는 작은 크기의 버너포트(210)로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가스와 공기가 공급되고 이차적으로 가스와 공기의 혼합이 완벽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적열플레이트(240)에서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가스가 연소된 다음 후방으로 배기부(260)를 향하여 배기된다.
이와 달리,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공간 양측편에 놓이는 비교적 큰 두 개의 상기 버너포트(210)로는 가열조리기기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향하여 가스가 공급되어 연소되고, 버너포트(210)의 내부에서 이차적으로 혼합가스가 혼합된 뒤에 상기 적열플레이트(240) 상에서 연소된 다음 연소가스는 버너포트(210)의 후방을 향하여 배기된다.
이와 같은 버너포트(210)의 배치는 최적의 가열 버너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다른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은 버너포트의 높이를 낮추면서도 가스에 대비되는 공기의 양―이하에서는 공기비라고 한다―을 증대시키고,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는 혼합가스의 유동 저항을 줄일 수 있는 특징적인 구조로 제공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버너포트(210)가 제공되며, 버너포트(210)의 측면에는 혼합관 유닛(220)이 배치된다. 상기 혼합관 유닛(220)과 일정 간격을 둔 상태에서 혼합관 유닛(220)의 유입구와 인접된 위치에는 노즐유닛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혼합관 유닛(220)은 상기 버너포트(210)의 측면에 형성되는 개공(212)과 정렬되어 있다. 그리고, 혼합관 유닛(220)에 제공되는 혼합관(222)과 상 기 개공(212)은 서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최대가 된다. 이러한 혼합관 유닛(220)과 개공(212)의 정렬상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개공(212)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상기 버너포트(21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개공(212)은 상기 혼합관 유닛(220)에서 상기 혼합관(222)의 연장 방향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개공(212)의 지름은 버너포트(210)의 내부 공간에서 가스와 공기가 충분히 혼합될 수 있는 공간의 상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제공되도록 하여 최대한으로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가스가 버너포트(210)의 내부에서 확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개공(212)과 버너포트(210)의 높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버너포트(210)의 내부 공간에서 혼합가스의 확산을 증진시킬 수 있고, 버너포트(210)의 높이가 최대한 낮아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혼합관(222)은 혼합관(222)의 유입구를 출발점으로 하여 처음에는 그 단면적이 감소되는 노즐의 형태로 제공되고, 최소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부분을 통과한 다음에는 디퓨져의 형태로서 그 단면적이 증가하게 되는 양상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관(222)의 디퓨져 부분과 상기 개공(212)의 단면적 부분의 증가 양상은 상호 간에 연속적인 것이 유체의 유동 저항을 감소시키는 면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즉, 개공(212)과 혼합관(222)의 확산각은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버너포트(210)의 일측에는 상기 혼합관 유닛(220)이 결합되어 있다. 혼합관 유닛(220)에는 복수개의 혼합관(222)이 제공되며, 버너포트(210)에는 혼합관(222)과 정렬되는 복수개의 상기 개공(2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혼합관 유닛(220)의 유입구에는 노즐유닛이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서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노즐유닛은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이는 상기 혼합관 유닛(220)의 전체적인 형상이 직선형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로써 버너시스템의 배치 상태가 보다 컴팩트해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혼합관 유닛(220)에는 복수개의 상기 혼합관(222)의 수평으로 나란하게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노즐유닛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 다시 말하면 공기비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혼합관(222)이 설치됨으로써 각각의 혼합관(222)을 통해서 가스와 함께 공기가 다량 유입된다.
이처럼, 다량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것은 단일의 상기 혼합관(222)을 통하여 가스가 흡입되는 경우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의 혼합관(222)을 통하여 가스가 흡입되는 경우에는 단일의 혼합관(222)을 통하여 가스가 흡입되는 경우에는 단일의 혼합관(222) 주위에서 저압 분위기가 조성되어 혼합관(222)으로 공기가 유입되지만 복수개의 혼합관(222)으로 가스가 흡입되면 전체적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이 증대되기 때문에 전체의 공기 유입량을 합산함으로써 혼합관(222)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증가하게 된 다.
또한, 상기 혼합관 유닛(220)에는 상기 혼합관(222)이 다수 구비되고, 동일한 높이에서 나란하게 마련되어 있다. 물론, 상하 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 그 중심이 어긋날 수도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나란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혼합관(222)이 나란하게 제공됨으로써 상기 버너포트(2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혼합가스가 서로 충돌하여 난류의 발새이 증대되고, 가스와 공기의 혼합이 증진됨으로써 가스의 연소효율이 향상된다. 혼합관(222)의 상하 높이가 달라지는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혼합관(222)이 놓일 수 있는 노이는 상기 개공(212)이 형성될 수 있는 범위로 제한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혼합관(222)이 연장되는 방향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혼합관(222) 각각의 연장선은 서로 만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됨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버너포트(210)의 내부에서 서로 다른 혼합관(222)에서 유출되는 혼합가스의 난류 발생을 증진시킬 수 있고, 상기 혼합관 유닛(220)의 제작 공정이 간단해지고, 혼합관 유닛(220)과 정렬되는 노즐유닛의 장착이 간단하고 편리해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관 유닛(220)에 제공되는 상기 혼합관(222)은 도면에 제시된 바와 같이 다섯 개이며, 이는 다수의 실험에 따른 것이다. 실험에 의하면, 혼합관(222)의 수가 한 개에서 다섯 개로 증진되는 과정에서 공기비의 증가량은 급격하게 증가하다가 다섯 개를 넘어선 다음에는 현저하게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혼합관(222)의 수를 하나 늘리는 것에 의한 제조비에 비하여 공기비의 효율은 미미하게 증가하므로 혼합관(222)의 수는 다섯 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혼합관(222)이 배치되는 범위는 상기 버너포트(210)의 측면에 균등하게 분배되어 있고, 가장 마지막 끝 부분에 배치되는 혼합관(222)은 실질적으로 버너포트(210)의 전체 지름의 끝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버너포트(210)로 유입되는 혼합가스의 혼합 효율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버너포트(210)의 내부 공간에서 난류의 발생이 원활해지기 때문이다.
상기 버너포트(210)의 내부 면에서 접선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동하는 혼합가스의 유동에 따르면, 혼합가스가 서로 충돌하는 지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혼합가스의 충돌지점이 발생됨으로써 많은 난류가 발생하게 되고, 난류에 의해서 버너포트(210)의 내부에는 전체적으로 혼합가스가 퍼지게 되고, 버너포트(210)의 내부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버너포트(210)의 내부에서 균일하게 가스와 공기가 혼합됨으로써 버너포트(210)의 높이가 낮아지더라도 균일한 혼합가스의 생성 및 추후의 균일한 연소 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버너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부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공간 전방부에는 버너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부품이 장착된다. 이러한 제어부품이 장착되는 공간에는 상기 조작스위치(160)에 의해 조작되는 상기 가스밸브(252)가 놓이며, 사용자가 조작스위치(160) 를 조작하게 되면, 가스밸브(252)에 의해 상기 메인공급관(250)에 의해 버너시스템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가스밸브(252)의 측방에는 버너프레임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는 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하여 불꽃이 발생되도록 전류를 공급하는 점화트랜스(27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적열플레이트(240)의 상측에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점화트랜스(270)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불꽃을 발생시키는 점화플러그(272)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적열플레이트(240)를 통과하게 되는 혼합가스가 점화플러그(272)에서 발생하게 되는 점화 불꽃에 의해 점화되어 적열플레이트(240) 상에서 연소되고, 적열플레이트(240)에서 복사에너지가 방출된다.
상기 버너시스템에는 버너시스템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온 동작되고, 설정온도 이하가 되면, 오프 동작되는 온도센서가 더 구비된다. 상기 온도센서는 가열조리기기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써모스탯(thermostat)이 사용되며, 써모스탯은 온도를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조절하는 장치의 일종이다.
써모스탯은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아지게 되면 온 동작되고,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아지게 되면 오프 동작되도록 작용하며, 이러한 써모스탯에는 바이메탈이 사용되어 설정온도 및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바이메탈은 선팽창계수가 다른 두 장의 합금을 서로 맞붙여져 있는 구성을 가지며, 온도 변화에 따라 서로 다른 선팽창계수에 의해 설정 온도가 되면, 선팽창계수가 큰 금속이 더 팽창하게 되어 활 모양으로 굽는 정도가 변화하게 됨에 따라 이것을 이용하여 온/오프 동작된 다.
써모스탯의 구체적인 형상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처럼, 형성되는 상기 써모스탯은 버너시스템의 어느 부분에 위치하게 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나, 버너시스템의 온도를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상기 버너포트(210)의 주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점화트랜스(270)의 반대편에는 사용자가 가열조리기기의 사용 여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가열조리기기에서 발생하게 되는 열에 의해 버너시스템이 가지는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지 이하인지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경고부(280)가 구비된다.
상기 경고부(280)는 상기 조작스위치(160)의 온 동작 및 상기 온도센서의 온 동작 중 어느 하나라도 감지되었을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경고부(280)는 조작스위치(160)가 동작되어도 경고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온도센서에서 설정 온도 이상으로 감지되어도 경고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조작스위치(160)의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가스밸브(252)에는 조작스위치(160)의 조작에 의해 상기 경고부(280)로 신호를 전달하도록 마이크로스위치와 같은 일종의 신호전달장치가 더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가열조리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조작스위치(160)를 회전시키게 되면, 그 회전에 의해 마이크로스위치 등과 같은 신호전달장치가 작동하게 됨으로써 경고부(280)로 가열조리기기가 작동되는 신호를 발생시켜 경고부(280)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경고부(280)는 사용자가 가열조리기기의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다 수의 램프(281)로 구성되며, 상기 램프(281)는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공간 전방부에 마련되고, 상측에는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00)에 의해 상면이 덮이게 된다. 이처럼, 경고부(280)는 버너시스템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감지되면, 점등하게 되면서 사용자가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조작스위치(160)가 조작됨으로써 버너시스템이 사용됨과 동시에 점등되어 사용자가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고부(280)에 사용되는 램프는 점등되는 빛이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00)를 투과할 수 있는 램프가 사용되는 것이 당연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버너시스템의 수와 동일하거나 더 많은 수가 구비되어 각각의 버너시스템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각각의 버너시스템 가운데 어느 하나가 작동되거나, 어느 하나의 버너시스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감지되어도 점등되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경고부(280)에 사용되는 램프가 서로 다른 빛으로 발광하게 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에는 상기 조작스위치(160)가 조작될 때 발광되는 빛과 설정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감지될 때 서로 다른 경고신호가 발생하도록 형성하여 사용자가 가열조리기기의 상태에 따라 인식하는 정도가 다르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스위치(160)가 조작될 때에는 푸른 색 계통의 빛이 발광되도록하며, 설정온도 이상으로 감지되면 붉은 색 계통의 빛이 발광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조작스위치(160)가 조작될 때에는 램프가 점등되고, 설정온도 이상 으로 감지되면 경고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한편,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를 살펴보면, 가열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을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너시스템이 구비되고, 상기 버너시스템의 온/오프 동작을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구비되는 조작스위치(160)가 형성되며, 버너시스템의 동작 시에 온도를 감지하여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온도감지부 및 상기 버너시스템의 동작을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경고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온도감지부의 온 신호와 상기 조작스위치(160)의 온 동작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도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작된다.
따라서, 상기 경고부(280)에서는 상기 조작스위치(160)의 온 동작과 온도감지부의 온 신호를 수신하여 어느 하나라도 감지되면, 경고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온도감지부는 상기 적열플레이트(240)와 일정 간격 이격된 상측에 위치하게 되어 가스가 연소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연소열에 의해 버너시스템 가운데 가장 높은 온도를 가지는 부분의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
이는 버너시스템에서 가장 높은 온도를 가지는 부분의 온도를 감지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다른 부분에 의해 인체에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버너시스템에서는 상기 적열플레이트(240) 상에서 가스가 연소하게 되며, 가스의 연소로 인하여 발생하게 되는 연소열에 의해 가장 높은 열을 받으면서 적열플레이트(240)에서 발산되는 복사열이 발생하게 되는 부분에 온도감지부가 위치하면서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온도감지부가 위치하게 되는 부분이 가장 높은 온도를 가지는 부분이되며, 이와 같이 가장 높은 온도를 가지는 부분의 온도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하게 됨으로써 다른 부분에 의한 사용자의 피해를 더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가열조리기기는 조작 동작에 의해서 적어도 하나의 버너시스템이 동작되는 단계(S100)에 의해 버너시스템이 동작되고, 상기 조작동작이 감지되면,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기 위해 상기 경고부(280)에서 제1시퀀스가 수행되는 단계(S200)가 수행된다.
또한, 버너시스템이 동작되는 단계에 의해 버너시스템이 동작되어 버너시스템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경고부(280)에서 제2시퀀스가 수행되어 버너시스템의 동작 사실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단계(S300)가 포함된다.
여기에서 가열조리기기의 조작 동작은 사용자가 의도한 바에 의해 조작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조작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아닌 다른 외부 요인에 의해서도 조작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어린아이의 호기심에 의한 조작동작 및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조작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그 어떠한 경우라도 상기 조작스위치(160)가 조작되면 상기 경고부(280)에서는 제1시퀀스가 수행된다. 상기 제1시퀀스가 수행되면 경고부(280)에 형성되는 발광체(282)로 전원이 인가되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발광체(282)가 발광하여 발광체(282)의 빛이 외부로 투시된다.
따라서, 상기 제1시퀀스에는 상기 발광체(282)로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 및 발광체(282)가 발광하여 빛이 외부로 투시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스위치(160)를 조작하여 버너시스템이 가동됨으로써 버너시스템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경고부(280)에서는 제2시퀀스가 수행됨으로써 버너시스템의 동작 사실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2시퀀스는 상기 제1시퀀스와 동일하게 수행된다.
또한, 상기 경고부(280)는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상기 버너시스템의 수와 대응되는 수량 또는 그 이상의 수량으로 제공되어 각각의 버너시스템에서 발생하게 되는 신호를 각각의 경고부(280)가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버너시스템의 동작 여부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1시퀀스와 제2시퀀스는 각각의 버너시스템에 대응되는 상기 경고부(280)가 동작될 때 개별적으로 수행되도록 형성된다. 즉, 비교적 큰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이 동작되면, 그 버너시스템과 대응되는 경고부(280)의 각각의 시퀀스가 개별적으로 수행된다.
한편,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를 살펴보면, 상기 경고부(280)에 사용되는 상기 램프(281)는 발광다이오드로 형성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반도체의 접합구조를 이용하여 주입된 전자 또는 양공의 재결합에 의하여 발광시키는 것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라고도 한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는 비교적 소형이고, 수명이 길며 전기에너지가 빛에너지로 직접 변환하기 때문에 전력이 적게 소모되고, 효율이 좋으며 고속 응답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널리 사용되 고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여서 다음과 같은 다른 실시예를 더 제안할 수 있게 된다.
먼저, 온도센서가 장착되는 위치가 상기 적열플레이트(240)의 상측이 아닌 상기 버너프레임(230)의 일측에 장착되어 버너시스템의 온도를 감지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며, 별도의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음원이 구비되어 음원과 램프에 의해 경고신호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경고신호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은 기재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고, 상기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서로 부분적으로 병합하는 것에 의해서 다양한 제안을 할 수 있으나, 그 역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가열조리기기에서는, 버너시스템에서 가스의 연소효율이 증대되고, 가스 및 공기의 유동저항이 감소되고, 흡입되는 혼합가스에서 공기비가 증대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열조리기기의 전체 크기 특히, 버너시스템의 높이가 줄어들게 되어서, 설치의 편의성, 재료비의 절감, 사용의 편의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열원을 제공하는 버너시스템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스위치와 버너시스템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의 어느 하나라도 감지되었을 때 경고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경고부의 경고 신호에 의해 사용자에게 보다 안전한 가열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작스위치의 조작 또는 온도센서의 온도감지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도 경고신호를 발생시키게 됨으로써 어느 하나가 이상이 발생되더라도 경고신호는 계속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사용자의 인체에 대한 피해가 예방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설정온도로만 경고신호를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0)

  1.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덮는 세라믹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놓이며, 연료의 혼합 공간을 제공하는 버너포트와, 상기 버너포트의 측방에 놓이며, 버너포트의 내부 공간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혼합관 유닛과 상기 버너포트의 상측에 위치하여, 연료의 연소 공간과 연소 가스의 배기유로를 제공하는 버너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버너시스템;
    상기 버너시스템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버너시스템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오프 동작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스위치의 온 동작과 상기 온도센서 온 동작 중 어느 하나라도 감지되었을 때, 상기 스위치의 동작과 상기 온도센서의 동작에 의해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열조리기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는 상기 스위치의 온 동작에 의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부분과, 상기 온도센서의 온 동작에 의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열조리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의 온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경고 신호와, 상기 온도센서의 온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경고 신호가 서로 다르게 발생하게 되는 가열조리기기.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버너시스템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일 경우 온 동작되고,
    상기 버너시스템의 온도가 설정 온도 미만일 경우 오프 동작되는 가열조리기기.
  8. 음식물을 가열하여 요리하기 위한 버너시스템;
    상기 버너시스템의 온/오프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부;
    상기 버너시스템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일부 또는 전체가 상기 버너시스템에 고정되는 온도감지부; 및
    상기 조작부의 온 동작과 상기 온도감지부의 온 신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대하여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작되는 가열조리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시스템은,
    가스와 공기의 재혼합 공간을 제공하는 버너포트;
    상기 버너포트의 측방에서, 상기 버너포트로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유닛;
    상기 노즐유닛과 상기 버너포트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가스와 공기를 혼합시키는 혼합관 유닛;
    상기 버너포트의 상방에 놓이며, 버너포트에서 재혼합된 가스와 공기의 연소에 의해 복사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적열플레이트; 가 포함되는 가열조리기기.
  10. 삭제
  11. 조작 동작에 의해 버너시스템이 동작되는 단계;
    상기 조작 동작이 감지되면,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기 위하여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발광체인 경고부에서 제1시퀀스가 수행되는 단계;
    상기 버너시스템이 동작되어 버너시스템이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사용자가 상기 버너시스템의 동작 사실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제2시퀀스가 수행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가열조리기기의 제어방법.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퀀스 또는 상기 제2시퀀스는,
    상기 발광체로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 및
    상기 발광체가 발광하여 빛이 외부로 투시되는 단계인 가열조리기기의 제어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는, 상기 버너시스템과 동일한 수량으로 제공되는 가열조리기기의 제어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는, 상기 경고부와 대응되는 상기 조작부와 상기 버너시스템의 조작과 동작에 의해 개별적인 시퀀스가 수행되는 가열조리기기의 제어방법.
  18.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덮는 세라믹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버너시스템;
    상기 버너시스템의 온/오프를 조작하는 조작부;
    상기 버너시스템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써모스탯;
    상기 스위치의 온 동작과 상기 써모스탯의 온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온 상태이면,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발광부가 포함되는 가열조리기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발광 다이오드인 가열조리기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버너시스템과 동일한 수량으로 구비되는 가열조리기기.
KR1020070007199A 2007-01-23 2007-01-23 가열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880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199A KR100880493B1 (ko) 2007-01-23 2007-01-23 가열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US11/927,319 US20080173296A1 (en) 2007-01-23 2007-10-29 Heating cook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07101599528A CN101230992B (zh) 2007-01-23 2007-12-20 加热炊具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199A KR100880493B1 (ko) 2007-01-23 2007-01-23 가열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449A KR20080069449A (ko) 2008-07-28
KR100880493B1 true KR100880493B1 (ko) 2009-01-29

Family

ID=39822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199A KR100880493B1 (ko) 2007-01-23 2007-01-23 가열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80493B1 (ko)
CN (1) CN1012309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436B1 (ko) 2015-09-03 2017-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조리기기
KR101705462B1 (ko) 2015-09-03 2017-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조리기기
US20170097159A1 (en) * 2015-10-06 2017-04-06 Illinois Tool Works Inc. Open top range and associated gas distribution system
KR101851862B1 (ko) 2016-08-26 2018-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벤트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1870526B1 (ko) * 2016-09-28 2018-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식 조리기기
KR102481604B1 (ko) * 2016-09-28 2022-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식 조리기기
KR101867176B1 (ko) * 2016-09-29 2018-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US20190230742A1 (en) * 2018-01-25 2019-07-25 Regal Ware, Inc. Cooking Apparatus with Resistive Coat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6844A (ko) * 2005-05-25 2005-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복사 조리기
KR20060073222A (ko) * 2004-12-24 2006-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오븐레인지의 디스플레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3222A (ko) * 2004-12-24 2006-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오븐레인지의 디스플레이방법
KR20050086844A (ko) * 2005-05-25 2005-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복사 조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30992A (zh) 2008-07-30
KR20080069449A (ko) 2008-07-28
CN101230992B (zh)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493B1 (ko) 가열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US7766005B2 (en) Gas radiation bur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231948B1 (ko) 실드 더블 버너
US9416978B2 (en) Cooker and burner assembly thereof
US20100108053A1 (en) Heating cooking appliance
KR100826711B1 (ko) 가열조리기기 및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KR100738696B1 (ko) 실드 더블 버너
KR100738697B1 (ko) 실드 더블 버너
KR100829628B1 (ko) 가열조리기기
US20080173296A1 (en) Heating cook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829624B1 (ko) 가열조리기기
KR100826712B1 (ko) 가열조리기기의 버너 시스템
KR100809747B1 (ko) 가열조리기기의 버너 시스템
KR101681771B1 (ko) 가스 조리기기
KR20150075523A (ko) 조리기기 및 버너 유닛
KR100829626B1 (ko) 가열조리기기
KR100829629B1 (ko) 빌트 인 가열조리기기
KR20020056254A (ko) 가스복사 조리기의 콘트롤박스 냉각장치
KR100826710B1 (ko) 가열조리기기 및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KR100829625B1 (ko) 가열조리기기
KR100786072B1 (ko) 가스 복사 조리기기
KR100809746B1 (ko) 가열조리기기 및 그 조립 방법
KR20070053926A (ko) 실드 더블 버너
KR20060032359A (ko) 가스 복사 조리기기
JP4085047B2 (ja) ガスコン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506

Effective date: 200810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