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961B1 - 컵을 갖는 용기 - Google Patents

컵을 갖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961B1
KR100877961B1 KR1020010003865A KR20010003865A KR100877961B1 KR 100877961 B1 KR100877961 B1 KR 100877961B1 KR 1020010003865 A KR1020010003865 A KR 1020010003865A KR 20010003865 A KR20010003865 A KR 20010003865A KR 100877961 B1 KR100877961 B1 KR 100877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up
drink
bottle cap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3317A (ko
Inventor
김이남
Original Assignee
김이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이남 filed Critical 김이남
Priority to KR1020010003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961B1/ko
Publication of KR20020063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6Caps or cap-like cover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55Lid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을 갖는 용기에 관한것으로, 병마개(200)가 구비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병마개(200)가 체결되는 방향의 용기(100) 병목 아래 외벽에 원형의 요홈인 돌기 수용홈(101,121)이 용기의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개 형성되고, 이 돌기 수용홈(101,121)에 수용되는 돌기부(301,321)가 돌기 수용홈의 수만큼 형성되는 컵(300,320)이 병마개(200)를 감싸며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용기 제조시 컵을 용기에다 부착함으로 해서, 음료와 별도로 컵을 준비하거나 구매하지 않아도 편리하게 음료를 마실 수 있으며 특히 야외에서 음료를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병마개, 용기, 컵, 돌기 수용홈

Description

컵을 갖는 용기{a case having cup}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이 병마개를 덮고 있는 용기의 요부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컵이 병마개를 덮고 있는 용기의 요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컵이 용기의 하단에 부착된 상태의 요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컵이 용기의 하단에 부착된 상태의 요부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컵이 용기의 상단에 삽입된 상태의 요부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도 5a의 용기가 병마개와 분리된 상태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컵보관구가 갖추어진 용기의 조립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용기, 101 --- 돌기 수용홈,
200 --- 병마개, 300 --- 컵,
301 --- 돌기부.
본 발명은 음료수 내지는 기타 액체상태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컵이 용기를 수용하고 있어 용기를 개봉한 후 이 용기에 수용된 컵을 이용하여 용기의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된 컵을 갖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음료수나 주류 등은 플라스틱 내지는 유리병이나 알루미늄캔 등의 용기 내에 채워져 유통된다. 특히 근래에는 제조가 간단하고 제조원가가 저렴한 플라스틱 용기가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플라스틱 용기는 내용물이 충만된 후 마개로 밀봉하므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내용물이 충만된 플라스틱 용기는 소비자가 언제든지 마개를 딴 후 내용물을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용기는 여러 명이 마시고자 할 때에는 컵이 필요하게 되고 따라서 소비자는 별도의 컵을 준비하거나 일회용 컵을 구입해서 마셔야만되기 때문에 용기에 수용된 음료를 마시고자 할 경우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컵을 구하기 힘든 야외에서 음료를 여러 명이 마실 경우, 컵이 준비되 지 않으면 여러 명이 용기에다 입을 대고서 마셔야만 되므로 보기에도 좋치 않고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컵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용기에다 컵을 수용함에 따라 별도로 컵을 준비하거나 구입할 필요가 없게 되는 컵을 갖는 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병마개가 구비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병마개가 체결되는 방향의 용기 병목 아래 외벽에 원형의 요홈인 돌기 수용홈이 용기의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개 형성되고, 이 돌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돌기부가 돌기 수용홈의 수만큼 형성되는 컵이 병마개를 감싸며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컵을 통해 용기에 수용된 음료를 편리하게 마실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이 병마개를 덮고 있는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100)의 병목 아래부근의 외벽에 원형의 요홈인 돌기 수용홈(101)이 용기의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 수용홈(101)에 수용되는 돌기부(301)가 돌기 수용홈의 수만큼 형성되는 컵(300)이 갖추어진다. 상기 용기(100)의 밀봉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병마개(200)가 용기의 병목부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의 조립 및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기(100)의 병목에 성형된 나선을 통해 병마개(200)가 연결되어 고정되고, 이어 돌기부(301)가 내벽 단부에 형성된 컵(300)이 병마개(200)을 덮으면서 돌기부(301)가 돌기 수용홈(101)에 끼워져 고정되면서 조립은 완료된다.
한편 소비자가 용기에 수용된 음료수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컵(300)의 중심부를 살짝 눌러서 돌기 수용홈(101)에 끼워진 돌기부(301)를 탈락시킨 후 당기게 되면, 컵(300)이 용기(100)로부터 분리된다. 이어 병마개(200)를 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용기에 형성된 나선부를 타고서 병마개가 용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분리된 컵을 통해 용기에 수용된 음료수 내지 주류를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컵(310)이 병마개(200)를 덮고 있는 용기(110)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시예의 용기(110)의 돌기 수용홈(101)이 삼각 단면으로 된 돌기부(111)로 대체되어 있고, 이 돌기부(111)에 체결되는 걸림부(311)가 내벽단에 형성된 컵(310)이 갖추어지게 된다.
따라서 용기의 조립 및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기(110)의 병목에 성형된 나선을 통해 병마개(200)가 연결되어 고정되고, 이어 걸림부(311)가 내벽 단부에 형성된 컵(310)이 병마개(200)을 덮으면서 걸림부(311)가 돌기부(111)를 타고 넘으면서 고정되어 조립은 완료된다.
한편 소비자가 용기에 수용된 음료수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컵(310)의 중심부를 살짝 누르게 되면, 걸림부(311)가 돌기부(111)의 턱을 넘게 되고, 이어 컵(200)을 당기게 되면, 컵(300)이 용기(100)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병마개(200)를 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용기에 형성된 나선부를 타고서 병마개가 용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분리된 컵을 통해 용기에 수용된 음료수 내지 주류를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100)는 플라스틱 내지 유리로 제작되되, 이를 테면 음료수병, 생수병, 막걸리병, 약병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컵(320)이 용기(120)의 하단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 수용홈(121)을 용기(120)의 하단부에 형성하고, 여기서 용기(120)에 형성된 상기 돌기 수용홈(121)으로 도시된 컵(320)의 개방 단부를 결합시킨다.
여기서 용기의 조립 및 사용상태는 도 1에 형성된 용기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컵(330)이 용기(130)의 하단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30)의 돌기부(131)를 용기 하단부에 형성시키고, 여기서 형성된 돌기부(131)에 도시된 컵(330)을 결합시킨다.
여기서 용기의 조립 및 사용상태는 도 2에 형성된 용기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컵이 용기의 상단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40)에 결합되는 병마개(200)의 내부 저면에 접혀지는 컵(340)이 부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립된 상태의 도 5a의 용기가 병마개(200)를 분리하게 되면,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혀있던 컵(340)이 펼쳐지게 되므로, 이 컵(340)을 통해 용기에 수용된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컵보관구가 갖추어진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용기(150)의 병목 내부에 수용물 배출구(151)와, 컵보관구(15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컵보관구(152)에는 일회용 종이컵과 같이 쉽게 접혀지거나 말리면서 부피가 적게 차지하는 컵(350)이 다수개 수용되게 된다.
따라서 소비자는 병마개(200)를 개방한 후, 컵보관구(152)에 수용된 컵(350)을 빼내어서 용기의 수용물 배출구(151)를 통해 음료를 컵(350)에 받아서 편리하게 마실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제조시 컵을 용기에 갖춤으로 해서, 음료와 별도로 컵을 준비하거나 구매하지 않아도 편리하게 음료를 마실 수 있으며 특히 야외에서 음료를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병마개(200)가 구비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병마개(200)의 저면에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는 컵(340)을 부착시켜 용기(100)에 대해 병마개(200) 체결시 컵(340)이 용기(100) 내에 수용되도록 하고, 상기 병마개(200)가 체결되는 방향의 용기(100) 병목 아래 외벽 및 용기(100) 하단에 각각 삼각 단면의 돌기부(111,131)를 용기의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개 형성하고, 이 돌기부(111,131)에 체결되는 걸림부(311,331)가 상기 돌기부의 수만큼 내벽단에 형성된 컵(310,320)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컵을 갖는 용기.
  4. 삭제
KR1020010003865A 2001-01-27 2001-01-27 컵을 갖는 용기 KR100877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865A KR100877961B1 (ko) 2001-01-27 2001-01-27 컵을 갖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865A KR100877961B1 (ko) 2001-01-27 2001-01-27 컵을 갖는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317A KR20020063317A (ko) 2002-08-03
KR100877961B1 true KR100877961B1 (ko) 2009-01-12

Family

ID=27692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865A KR100877961B1 (ko) 2001-01-27 2001-01-27 컵을 갖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9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261A (ko) * 1992-09-05 1994-04-26 이헌조 세탁기의 탈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940007261Y1 (en) * 1992-05-26 1994-10-17 Ye Byong Hui Drinking water container with a cup
JP3015142U (ja) * 1995-02-24 1995-08-29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計量カップ付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261Y1 (en) * 1992-05-26 1994-10-17 Ye Byong Hui Drinking water container with a cup
KR940007261A (ko) * 1992-09-05 1994-04-26 이헌조 세탁기의 탈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3015142U (ja) * 1995-02-24 1995-08-29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計量カップ付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317A (ko) 200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3423A (en) Snap-on package
US5301833A (en) Liquid dispenser with cup holder
US20100163559A1 (en) Single serving beverage container
US20110024311A1 (en) Liquid container with storage compartment
KR20010043691A (ko) 개별 음료수 용기용 마개
US20080011748A1 (e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And Method Of Use
US20090065503A1 (en) Multi-chambered beverage container
JP2020506124A (ja) ディスペンサを備えた飲料容器
RU2182878C1 (ru) Гибридный контейнер для напитков (варианты)
KR101376289B1 (ko) 혼합음료제조키트
KR100877961B1 (ko) 컵을 갖는 용기
GB2370555A (en) Multi-function container
JP2006321540A (ja) 飲料用ボトル
KR200446283Y1 (ko) 세로접이선이 구비된 용기
KR200261100Y1 (ko) 다단으로 적층되는 음료용기
KR200268257Y1 (ko) 페트병
KR200262021Y1 (ko) 미끄럼을 방지하는 뚜껑
JP2002347767A (ja) 市販ボトル用アダプタ
KR200475233Y1 (ko) 주류 용기
KR200325536Y1 (ko) 착탈 가능한 이중 음료수병
KR200314066Y1 (ko) 이중 분할 공간 구조의 음료수병 및 그 뚜껑
JP7442232B1 (ja) 飲料容器
KR200284872Y1 (ko) 이중 유출구를 갖는 음료용기
KR20140091383A (ko)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
KR200391817Y1 (ko) 컵이 부착된 음료수 용기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