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784B1 - 배낭형 완강기 - Google Patents

배낭형 완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784B1
KR100873784B1 KR1020070089494A KR20070089494A KR100873784B1 KR 100873784 B1 KR100873784 B1 KR 100873784B1 KR 1020070089494 A KR1020070089494 A KR 1020070089494A KR 20070089494 A KR20070089494 A KR 20070089494A KR 100873784 B1 KR100873784 B1 KR 100873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backpack
knapsack
type
fasten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주현
Original Assignee
노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주현 filed Critical 노주현
Priority to KR1020070089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6Life-saving ropes or bel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낭형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와 하부에 홀이 형성되고, 적어도 한 면에는 다수의 결합홀이 설치된 배낭; 상기 배낭의 양 측면부에 각각 결합하며, 체결시 사람을 지지할 수 있는 메인벨트; 상기 배낭의 내측에 순차적으로 풀리도록 설치되는 로프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프부는 상기 배낭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양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로프와, 상기 배낭의 내측에 상기 로프가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로프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로프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형 완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비상탈출 시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쉽게 탈출할 수 있고, 층간 높이에 따라 조절가능하여 대피하는 인원의 다양한 대피경로를 확보할 수 있으며, 비상탈출 시 여러 명을 동시에 수용하여 비상시 신속한 대피를 도모할 수 있는 배낭형 완강기를 제공한다..
배낭, 완강기, 비상탈출, 층간이동, 대피경로

Description

배낭형 완강기{Knapsack For Descending Device}
본 발명은 배낭형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 사람을 고층 건물에서 하강시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배낭형 완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대부분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탈출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므로 주로 비상구로서 계단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법은 대량의 인명 참사를 초래할 수 있다.
즉, 고층건물의 화재 발생시 탈출자가 집밖으로 나와 계단을 통해 탈출을 시도할 경우 유독가스나 정전에 의해 시야 확보는 물론 숨쉬기가 곤란함으로 탈출 도중에 변을 당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비상구와 같이 통풍이 되지 않는 밀폐된 공간으로 탈출하는 것보다는 비상 탈출장치가 마련되어 있다면 베란다나 문을 통하여 탈출하는 방법이 보다 안전하다.
이러한 종래의 비상 탈출장비들에는 흔히 소방장비 중의 하나인 고가 사다리 와 고층에서 탈출자를 뛰어내리게 하여 탈출시키는 공기매트 및 탈출자가 로프에 의존하여 한 사람씩 탈출하는 완강기 등의 탈출장비들이 있다.
이러한 고가 사다리와 같은 탈출장비는, 설치시 넓은 공간이 요구되는 장소적 제한이 있고, 고가 사다리가 미치지 못하는 고층인 경우에는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가 있으며, 고가 사다리를 장착한 고가 사다리 차가 대형차이므로 좁은 길은
원천적으로 진입이 어려우며, 길가에 주차된 차량에 의해 화재지역에 진입조차 못하는 경우가 허다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기매트와 같은 탈출장비는, 설치시 많은 인원과 넓은 공간이 요구되며, 고층인 경우에는 탈출자의 심리적 불안으로 인하여 탈출시간이 지연됨과 아울러 바람 등의 저항에 의해서 공기매트로의 정확한 착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실제적으로는 비상탈출시 탈출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완강기가 가장 효율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완강기는 건물의 내벽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고정형과 사람의 몸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휴대형 등으로 구분된다.
먼저, 고정형의 경우 완강기를 건물 내벽에 고정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최초 설정해 놓은 하강속도를 조작하기 위해서 순서를 기다리는 사람이 선 하강자의 하강속도를 살피면서 조절해야만 하고, 하강자가 혼자인 경우 이미 설정해 놓은 속도로만 하강할 수 있어 하강 중 하강 경로에 불길이나 연기가 올라올 경우 멈추거나 이동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고정형 완강기가 설치된 곳으로만 하강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부분으로 불길이나 연기가 올라올 경우 고층 건물용 고정형 완강기 자체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휴대형 완강기는 일반적으로 복잡한 로프 또는 와이어를 아래쪽으로 늘어뜨리고 탈출자의 체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비교적 간단한 기계장치를 조작하여 탈출자가 탈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비상시 긴박한 순간에 잘못된 조작에 의해 오히려 탈출자가 제대로 탈출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비상탈출 시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쉽게 탈출할 수 있는 배낭형 완강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비상탈출 시 다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배낭형 완강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과제를 위한 수단으로서, 상부와 하부에 홀이 형성되고, 적어도 한 면에는 다수의 결합홀이 설치된 배낭; 상기 배낭의 양 측면부에 각각 결합하며, 체결시 사람을 지지할 수 있는 메인벨트; 상기 배낭의 내측에 순차적으로 풀리도록 설치되는 로프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프부는 상기 배낭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양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로프와, 상기 배낭의 내측에 상기 로프가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로프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로프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형 완강기를 해결수단으로 제시한다.
또한, 상기 배낭의 결합홀에 결합하는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와, 상기 로프부의 일측에 결합하는 제3체결부와, 사람의 몸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체결부, 제2체결부 및 제3체결부로부터 연장된 몸통지지부와, 사람의 다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통지지부로부터 연장된 다리지지부를 포함하는 보조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로프는 사람이 양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두 줄로 마련되며 서로 맞닿는 부분에 언폴딩(unfolding)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언폴딩(unfolding)부재는 벨크로 패스너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로프의 양 단에는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로프의 양단을 쉽게고정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해결수단으로 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배낭형 완강기는 비상탈출 시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쉽게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낭형 완강기는 층간 높이에 따라 조절가능하여 대피하는 인원의 다양한 대피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낭형 완강기는 비상탈출 시 여러 명을 동시에 수용하여 비상시 신속한 대피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낭형 완강기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낭형 완강기의 배낭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낭형 완강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낭형 완강기는 배낭(10), 메인벨트(20), 로프부(30), 보조벨트(40)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배낭(10)을 설명한다. 배낭(10)은 소정의 섬유 또는 이와 비등한 수준의 재질로서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 및 하부에 홀(1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11)(12)은 각각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로 구성되어 있지만, 후술할 로프(31)가 통과할 때 안정적으로 통과하기 위해 두 개의 홀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낭(10) 전면의 세로로 긴 중앙영역에는 후술할 로프부가 설치될 관통홀(13)이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다수 개가 형성되어 있고, 관통홀(13)의 좌우 양측에는 하나씩 결합홀(14)(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홀(14)(15)에는 결합홀(14)(15)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강부재(14')(15')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배낭(10)의 후면에는 전면의 결합홀(14)(15)과 대응되는 형태의 결합홀(14a)(15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결합홀(14a)(15a)에도 전면 결합홀(14)(15)과 대응되는 보강부재(14a')(15a')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배낭(10)의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되는 결합홀은 본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경우에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벨트(20)는 좌측벨트(21)와 우측벨트(22)의 한 쌍으로 마련되어 배낭(10)의 양쪽 측면부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좌측벨트(21)와 우측벨트(22)의 각 단부에는 상호간에 결합시 결합이 용이할 수 있도록 소정의 결합부재(21a)(22a)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인벨트(20)는 사람의 몸통 또는 허 리에 감겨져 상호간에 결합됨으로써 사람의 몸을 단단히 지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로프부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낭형 완강기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낭형 완강기의 로프체결부의 확대도이다.
로프부(30)는 로프(31)와 로프체결부(32)로 구성되어 있다. 로프(31)는 사람이 양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두 줄로 마련되어 배낭(10)의 내측에 순차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적층되어 있고, 상부 및 하부의 양 단부는 배낭(1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홀(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 각각의 단부에는 고정부재(35a)(35b)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낭(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고정부재(35a)(35b)까지의 길이는 소정의 길이조절 수단(미도시)에 의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고정부재(35a)(35b)는 일반적으로 등산용으로 사용되는 카라비너(Karabiner)일 수 있다.
또한, 로프(31)는 배낭(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은 대략 "U"자를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것과 같이 이중으로 겹쳐지도록 적층되고, 좌측은 우측과 대칭되도록 적층된다. 이때, 상기 로프(31)는 서로 마주보게 되고, 이 마주보는 면에는 언폴딩부재(Unfolding)부재(31a)가 설치될 수 있다. 언폴딩부재(Unfolding)부재(31a)는 로프(31)가 펼쳐질 때 동시에 펼쳐지지 않고 점진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언폴딩부재(Unfolding)부재(31a)로서는 벨크로 패스너(Velcro fastener)인 것이 바람직하다.
로프체결부(32)는 로프결합부재(33)와 로프고정부재(34)로 구성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로프결합부재(33)는 두 줄의 로프(31)를 수용할 수 있는 홀(3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후술할 램프고정부재(34)에 결합되는 돌출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33a)에는 램프고정부재(34)와의 결합시 후술할 램프고정부재(34)의 결합핀(34d)이 수용될 수 있는 홈(33c)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로프결합부재(33)는 로프(31)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도 2참조). 이때, 상기 일정한 간격은 건물의 한층 높이에 대응되는 간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로프고정부재(34)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배낭(10) 전면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고정몸체(34a)와 풀림버튼(34b)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몸체(34a)는 배낭(10)에 형성된 관통홀(13)에 대응되는 부분에 홈(34c)이 형성되어 상술한 로프결합부재(33)의 돌출부(33a)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풀림버튼(34b)은 상술한 결합핀(34d)과 연동하여 움직이도록 구성되어지며, 풀림버튼(34b)을 사용자가 누르면 결합핀(34d)는 좌측으로 이동하여 결합되어 있던 로프결합부재(33)의 돌출부(33a)가 이탈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때, 결합핀(34d)은 소정의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램프고정부재(34)의 홈(34c)의 내측 소정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로프부(30)는 순차적으로 풀릴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람이 배낭에 부착된 로프체결부의 로프고정부재의 버튼을 하나씩 누를 때마다 점진적으로 천천히 하강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보조벨트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낭형 완강기의 보조벨트를 나타낸 것이다. 보조벨트(40)는 배낭(10)과 별도로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사람의 체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메인벨트(20)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벨트(40)는 상기 배낭(10)의 결합홀(14a)(15a)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제1체결부(41) 및 제2체결부(42)와, 상기 로프부(30)의 두 줄의 로프(31)에 결합하는 제3체결부(45)와, 사람의 몸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체결부(41), 제2체결부(42) 및 제3체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사람의 몸통 또는 허리에 감아서 지지할 수 있는 몸통지지부(43)와, 사람의 양측 다리에 감아서 양측 다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통지지부(43)로부터 연장된 다리지지부(44)로 구성되어 배낭으로부터 사람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체결부(41), 제2체결부(42) 및 제3체결부(45)는 각각 상부측 단부에 상술한 로프(31)의 단부에 결합되는 카라비너(Karabiner)와 같은 결합부재(41a)(42a)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배낭에 결합할 때 손쉽게 결합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체결부(41), 제2체결부(42), 제3체결부(45), 몸통지지부(43), 다리지지부(44)의 길이는 소정의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벨트(40)는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므로 다수 개 구비되면 동시에 여러 명이 하나의 배낭을 이용하여 탈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술한 설명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배낭형 완강기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낭형 완강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로프부(30)의 고정부재(35a)를 단단히 지지될 수 있는 부분(A)에 건 후, 로프부(30)의 최상측 풀림버튼(34b)를 눌러 로프(31)를 배낭(10)의 상부로 뽑아낸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몸통에 배낭의 메인벨트(20)를 자신의 몸통 또는 허리부분에 체결하여 배낭이 자신의 몸에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보조벨트(40)의 몸통지지부(43)를 사용자의 몸으로부터 보조벨트(40)가 떨어지지 않도록 몸통 또는 허리부분에 체결한다. 이때, 메인벨트(20)와 겹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사용자를 제대로 지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다리지지부(44)를 양 다리에 각각 감아서 체결함으로써 보조벨트(40)가 완전히 사용자에게 밀착되어 사용자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이후, 제1체결부(41) 및 제2체결부(42)는 각각 배낭(10) 후면의 결합홀(14a)(15a)에 결합시켜 탈출자의 좌우균형을 유지하도록 하고, 제3체결부(45)는 배낭(10)의 상부 외측으로 노출된 두 줄의 로프(31)에 걸어서 상기 두 줄의 로프(31)와 배낭(10)으로부터 탈출자가 이탈되지 않도록 유지시키고, 배낭(10)의 하부로 노출되어 있는 로프(31)와 고정부재(35b)는 몸통지지부(43)에 걸어 놓으면 원하는 층까지 이동하고 난 후, 탈출자가 고정부재(35b)를 쉽게 소정의 고정부에 걸 수 있어 바람직하다. 즉, 메인벨트(20)와 보조벨트(40)를 탈출자에 체결함으로써 배낭(10)으로부터 탈출자가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후, 탈출자는 두 줄의 로프(31)를 양손 각각에 파지한 상태에서 건물 외측으로 하강하면 된다.
이후, 안전한 높이까지 하강하였다면 몸통지지부(43)에 걸어두었던 고정부재(35b)를 소정의 고정부에 걸어서 배낭의 흔들림을 방지한 후, 탈출자는 건물 내측으로 이동하여 메인벨트 및 보조벨트를 해체하여 안전하게 대피하면 된다.
또한, 다수의 탈출 인원을 위해 보조벨트(40)는 별도로 다수 개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보조벨트를 착용한 후 결합홀(14)(15) 및 로프(31)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결합하여 동시에 탈출이 가능하게 된다.
일례로, 20층에서 불이나서 탈출을 시도하고자 한다면, 최초에 풀린 로프의 길이는 로프결합부재(33)의 이격거리에 해당하므로 탈출자는 19층까지 이동이 가능할 것이다. 그런데 만약 불이 20층으로부터 19층으로 번져있는 상태라고 한다면, 탈출자는 18층까지 이동을 해야할 것이다. 이때는 최상위의 로프고정부재(34)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로프고정부재(34)의 버튼(34b)을 한번 더 눌러 로프(31)를 한 층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더 풀어서 18층으로 이동을 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로프(31)는 한꺼번에 풀리는 것이 아니고 서로 맞닿고 있는 부분의 언폴딩부재(31a)에 의해 서서히 풀리게 되므로, 탈출자는 서서히 하강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층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비상시 다양한 대피경로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발생한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초고층 건물에서는 종래 완강기가 무용지물이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배낭형 완강기를 이용하여 건물의 최하층 또는 안전한 층으로의 대피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변형할 수 있는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낭형 완강기의 배낭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낭형 완강기의 내부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낭형 완강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낭형 완강기의 로프체결부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낭형 완강기의 보조벨트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낭형 완강기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낭형 완강기를 탈출자가 착용한 상태의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낭형 완강기를 탈출자가 착용한 상태의 정면도
※ 도면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10 : 배낭 20 : 메인벨트 30 : 로프부
31 : 로프 32 : 로프체결부 33 : 로프결합부재
34 : 로프고정부재 35a, 35b : 고정부재 40 : 보조벨트
41 : 제1체결부 42 : 제2체결부 43 : 몸통지지부
44 : 다리지지부 45 : 제3체결부

Claims (6)

  1. 상부와 하부에 홀이 형성되고, 적어도 한 면에는 다수의 결합홀이 설치된 배낭;
    상기 배낭의 양 측면부에 각각 결합하며, 체결시 사람을 지지할 수 있는 메인벨트;
    상기 배낭의 내측에 순차적으로 풀리도록 설치되는 로프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프부는 상기 배낭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양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로프와, 상기 배낭의 내측에 상기 로프가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로프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로프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형 완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낭의 결합홀에 결합하는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와, 상기 로프부의 일측에 결합하는 제3체결부와, 사람의 몸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체결부, 제2체결부 및 제3체결부로부터 연장된 몸통지지부와, 사람의 다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통지지부로부터 연장된 다리지지부를 포함하는 보조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형 완강기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는 사람이 양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두 줄로 마련되며 서로 맞닿는 부분에 언폴딩(unfolding)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형 완강기
  5. 제 4항에 있어서,
    언폴딩(unfolding)부재는 벨크로 패스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형 완강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의 양 단에는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형 완강기
KR1020070089494A 2007-09-04 2007-09-04 배낭형 완강기 KR100873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494A KR100873784B1 (ko) 2007-09-04 2007-09-04 배낭형 완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494A KR100873784B1 (ko) 2007-09-04 2007-09-04 배낭형 완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3784B1 true KR100873784B1 (ko) 2008-12-15

Family

ID=40372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494A KR100873784B1 (ko) 2007-09-04 2007-09-04 배낭형 완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7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0530A (zh) * 2017-12-29 2018-05-01 胡早阳 一种新型高楼逃生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318Y1 (ko) * 2001-11-02 2002-04-10 스왈록아시아 주식회사 인명 추락시 충격흡수장치
US20030136610A1 (en) 2002-01-24 2003-07-24 Kabushiki Kaisha Sato Seisakusho Refuge device from high pla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318Y1 (ko) * 2001-11-02 2002-04-10 스왈록아시아 주식회사 인명 추락시 충격흡수장치
US20030136610A1 (en) 2002-01-24 2003-07-24 Kabushiki Kaisha Sato Seisakusho Refuge device from high pl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0530A (zh) * 2017-12-29 2018-05-01 胡早阳 一种新型高楼逃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1877B2 (en) Fire fighter's personal escape system
US5671822A (en) Self-belaying descending apparatus
KR100860286B1 (ko) 개인용 라펠 탈출 안전장치
KR100873784B1 (ko) 배낭형 완강기
US20160206902A1 (en) Fire escape emergency descent system (eds)
KR101548010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기능을 갖춘 베란다 휀스장치
KR20160143606A (ko) 응급탈출용 비상사다리
KR101913093B1 (ko) 건물용 비상 탈출장치
US20030000017A1 (en) Cinch cord rescue device
US5871066A (en) Rescue device
CN212187498U (zh) 轻型折叠式家用高空逃生通道
US4341285A (en) Emergency escape device
CN212187497U (zh) 折叠式高空逃生通道
CN201959429U (zh) 高楼逃生保护装备
KR101952410B1 (ko) 탈출용 구조대 및 이를 이용한 건물 탈출 방법
KR200466838Y1 (ko) 긴급 대피용 구조기구
KR20100080984A (ko)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
KR200493565Y1 (ko) 비상탈출 장비보관용 기능성 가방
DE3019376A1 (de) Abstandhalter
CN111375148B (zh) 轻型折叠式家用高空逃生通道
KR102112588B1 (ko) 오토 셀프 스윙 아웃 대피구조물
CN212914236U (zh) 一种稳定性好的消防逃生梯
KR102386887B1 (ko) 소방용 캐리어
RU19054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асения людей из зданий в аварийных ситуациях
CN220667432U (zh) 一种火灾逃生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