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608B1 - 전동작업기 - Google Patents

전동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608B1
KR100873608B1 KR1020020047461A KR20020047461A KR100873608B1 KR 100873608 B1 KR100873608 B1 KR 100873608B1 KR 1020020047461 A KR1020020047461 A KR 1020020047461A KR 20020047461 A KR20020047461 A KR 20020047461A KR 100873608 B1 KR100873608 B1 KR 100873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wer
relay member
electric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7330A (ko
Inventor
시마다켄조
코바야시타카오
이이다테츠오
타키자와토시아키
히로세요시히사
야마모토야수노리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52045A external-priority patent/JP377677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5203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61438A/ja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7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6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 A01D34/78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2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01D34/6806Driving mechanisms
    • A01D34/6812Braking or clutch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8Safety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롤부(31)의 청소가 용이하며, 단순한 구조로써 키 스위치 기구의 세이프티 기능과 충전기의 접속에 관련된 세이프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향상된 전동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 전동작업기에서 스크롤부(31)는 기체부(11)의 좌 또는 우측의 어느 일방에 배치되며, 파워 온/오프 키(41)가 출입하는 릴레이 부재(42)는 기체부(11)의 좌 또는 우측의 타방에 배치된다. 릴레이 부재(42)는 배터리(26)와 제어부(24; 64) 사이에 배치되어 그것들 간의 전기적 중계를 담당하여, 배터리(26)와 제어부(24; 64)는 릴레이 부재(42)에 접속부재(41)를 삽입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릴레이 부재(42)로부터 접속부재(41)를 제거함으로써 분리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조작위치의 변동없이 파워 온/오프 키를 삽입하고 뽑는 작업과 기체부를 횡도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스크롤부의 청소가 용이하고, 또한 배터리유닛과 제어부는 릴레이 부재에 파워 온/오프 키를 삽입하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거하면 단절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전동작업기의 비작동시의 불필요한 방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배터리의 수명이 연장된다.
Figure R1020020047461
전동작업기, 릴레이 부재, 접속부재, 스크롤부

Description

전동작업기{ELECTRIC WORK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예초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살표 2번 방향에서의 전동예초기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화살표 3번 방향에서의 전동예초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전동예초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5-5선을 따라 취해진 전동예초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6-6선을 따라 취해진 전동예초기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전동예초기의 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하드웨어 블록 다이어그램이고;
도 8은 도 1의 전동예초기에 채용되는 배터리유닛의 수명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9는 전동예초기의 배터리유닛의 메모리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0a와 10b는 전동예초기의 작용설명도이고;
도 11은 전동예초기에 채용된 릴레이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릴레이 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전동예초기에 채용된 파워 온/오프 키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파워 온/오프 키의 정면도이고;
도 15는 전동예초기에 사용되는 충전기의 충전용 플러그의 평면도이고;
도 16은 충전기의 충전용 플러그의 정면도이고; 및
도 17은 모터제어부와 릴레이 부재가 변형된 전동예초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동작업기(전동예초기) 11: 기체부
21: 커터하우징 22: 전동모터
23: 커터블레이드 24, 64: 제어부
26: 배터리 41: 접속부재(파워 온/오프 키, 메인키)
42: 릴레이 부재(릴레이 부재) 51: 충전기
본 발명은 본체에 파워 온/오프 키를 꽂고 빼고 하는 것으로 전동모터를 온/오프 제어하며, 그 전동모터로 커터하우징내의 커터블레이드를 회전시켜 풀을 자르며, 잘려진 풀들은 커터하우징내의 스크롤부를 통하여 본체의 후방으로 보내져서 그 잘려진 풀들이 결국 잔디 빽에 수집되는 방식의 전동예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배터리로 전동모터를 회전시키며, 그 전동모터를 제어부에서 제어하여 본체의 주행과 각종작업을 수행하는 전동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전동예초기와 전동작업기가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2,837,960호 공보에는 "배터리 구동형 예초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일본국 특개평 10-191750호 공보에는 "전동작업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일본국 특개평 9-65752호 공보에는 "배터리식 전동작업기기의 충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제2,837,960호 특허에 개시되어 있는 "배터리 구동형 예초기"는 차량 샤시에 탑재되며 하우징에 의해 커버되는 전동모터 및 하우징에 수납되는 배터리팩을 포함하는데, 배터리팩의 후방에 있는 하우징의 상방에 파워 온/오프 키가 삽탈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일본국 특개평 10-19175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전동작업기"는 커터 하우징 커버의 후단부에 설비되는 모터스위치를 포함하는데, 모터스위치는 스위치에 삽입되는 파워 온/오프 키를 회전시킴으로서 작동된다.
일반적으로, 잘려진 풀들이 스크롤부를 통하여 본체의 후방으로 보내져서 잔디 빽에 수집되는 방식의 전동예초기에서는, 잘려진 풀들이 스크롤부의 표면에 부착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스크롤부를 청소해 주어야 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에서 언급된 "배터리 구동형 예초기"에서는 파워 온/오프 키가 후상방에 있으므로, 스크롤부를 청소하는 경우 작업자는 하우징으로부터 파워 온/오프 키를 뽑기 위해서는 본체의 후방으로 움직여야 하고, 그 후에 스크롤부로의 접근을 위해 본체를 횡도(橫倒; 옆으로 쓰러뜨림)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본체의 측방으로 다시 이동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언급된 "전동작업기"에서도 모터스위치가 커터 하우징 커버의 후단부에 있으므로, 스크롤부를 청소하는 경우 작업자는 모터스위치로부터 파워 온/오프 키를 뽑기 위해서는 본체의 후방으로 이동하여야 하고, 그 후에 스크롤부에의 접근을 위해 본체를 횡도(橫倒)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본체의 측방으로 다시 이동하여야 한다. 즉 기지의 "배터리 구동형 예초기" 나 "전동작업 기"에서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스크롤부를 청소 가능하게 하는 파워 온/오프 키의 배치가 요구된다.
게다가, 일본국 특개평 10-19175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전동작업기"에서는 모터스위치는 지지판상에 설비되는데, 지지판상에는 충전 콘넥터가 취부되며, 이들 모터스위치와 충전 콘넥터는 하우징 커버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그래서, 모터스위치에 삽입된 파워 온/오프 키를 회전시킴으로써 작업기를 시동시킬 때, 파워 온/오프 키의 조작부는 충전콘넥터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덮음으로써 작업기의 동작 중에 충전기가 작업기에 잘못 연결되는 것을 방지한다. 나아가, 일본국 특개평 9-65752호 공보에 개시된 "배터리식 전동작업기기의 충전장치"에서는 충전소켓과 전원공급회로의 온/오프 전환을 위한 인터로크 스위치는 모두 충전 조작 판넬상에 설비되며, 커버부재도 충전 조작 판넬상에 설비되어 소켓과 인터로크 스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한다. 여기에서 커버부재는 커버부재가 소켓을 덮을 때 인터로크 스위치를 온시키며, 커버부재가 소켓을 개방할 때에는 오프시키는 돌기를 가진다.
그러나, 일본국 특개평 10-19175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전동작업기"는 비록 모터스위치와 파워 온/오프 키에 의해 수행되는 주된 세이프티 기능뿐 아니라 충전기가 작업기의 작동 중에 작업기에 잘못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가지지만, 단일의 단순한 구조에 의해서 이 두 가지 세이프티 기능을 수행할 수는 없다; 즉, 주된 세이프티 기능과 충전기의 잘못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른 기능은 별개의 구성요소에 의해서 수행되어야만 한다. 나아가, 일본국 특개평 9-65752호 공보에 개시된 "배터리식 전동작업기기의 충전장치"에서 돌기는 커버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기는 키 스위치 기구에 의해서만 시동가능하며 필요한 세이프티 기능은 손상된다; 즉, 키 스위치 기구의 세이프티 기능과 충전기의 접속에 관련된 세이프티 기능은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없고, 따라서 개시된 전동작업기는 세이프티 기능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할 수 밖에 없다.
전술한 종래의 기술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롤부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향상된 전동예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일의 단순한 구조로써, 키 스위치 기구의 세이프티 기능과 충전기의 접속에 관련된 세이프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향상된 전동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음을 포함하는 전동예초기가 제공된다: 본체부; 본체부에 탑재되어 본체부의 릴레이 부재(즉 파워 스위치)에 메인 키를 삽입함으로써 온되며, 릴레이 부재로부터 파워 온/오프 키를 제거함으로써 오프되는 전동모터; 커터 하우징내에 설비되어 전동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풀을 자르는 커터 블레이드; 커터 하우징내에 설비되어 커터 블레이드에 의해 베어진 풀들을 스크롤부를 통해 본체부의 후단에 부착되는 잔디 빽(grass bag)으로 운반하는 스크롤부를 포함한다. 이 예초기에서 스크롤부는 본체의 좌 또는 우측의 어느 일방에 배치되며, 파워 온/오프 키가 출입하는 릴레이 부재는 본체의 좌 또는 우측의 타방에 배치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잘려진 풀들이 스크롤부를 통하여 본체의 후방으로 보내져서 잔디 빽에 수집되는 방식의 전동예초기에서는, 잘려진 풀들이 스크롤부의 표면에 부착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스크롤부를 청소해 주어야 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스크롤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고안된 전동예초기에 대한 요구가 있어 왔다. 이러한 요구는, 스크롤부는 본체의 좌 또는 우측의 어느 일방에 배치되며, 파워 온/오프 키가 출입하는 릴레이 부재(즉, 파워 스위치)는 본체의 좌 또는 우측의 타방에 배치되는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 전동예초기에 의해 만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본체부의 일 측방에서 본체부의 릴레이 부재로부터 파워 온/오프 키를 뽑는 작업과 본체부를 횡도(橫倒)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조작위치의 변동없이 두 가지의 필요한 작업, 즉 파워 온/오프 키를 삽입하고 뽑는 작업과 본체부를 횡도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크롤부의 청소작업에 대한 작업성 향상을 가져온다. 나아가 릴레이 부재와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은 전동예초기의 조립성 향상을 가져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다음을 포함하는 전동작업기가 제공된다: 본체부; 본체부에 탑재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 배터리에 의하여 회전 가능한 전동모터; 전동모터가 본체의 주행과 다른 각종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파워 스위치로서의 주된 기능과 배터리와 제어부 사이에 배치되어 그것들 간의 전기적 중계를 담당하는 릴레이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배터리와 제어부는 릴레이 부재에 파워 온/오프 키 등의 접속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릴레이 부재로부터 접속부재를 제거함으로써 분리된다.
릴레이 부재로부터 접속부재를 제거함으로써 배터리와 콘트롤부는 완전차단 가능하므로 전동작업기의 비작동시의 불필요한 방전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장기보관시의 과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는 배터리의 수명이 연장된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 릴레이 부재는 접속부를 포함하는데 이는 릴레이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배터리 충전을 위해 충전기와의 접속을 위한 것인데, 그 결과 동일한 릴레이 부재가 필요에 따라 파워 온/오프 키와 같은 접속부재 또는 충전기와 선택적으로 접속 가능하다. 즉 전동작업기가 예초작업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파워 온/오프 키와 같은 접속부재가 릴레이 부재에 삽입되어 접속되며, 배터리의 충전시에는 충전기가 릴레이 부재에 삽입되어 접속된다. 그 결과 전동작업기의 배터리의 방전시(즉, 예초작업시)나 충전시의 작업성과 편의성의 향상을 가져오며, 접속부재 혹은 충전기의 오삽입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채용되는 배터리는 니켈계 또는 리튬계 배터리이다. 일반적으로 니켈계 혹은 리튬계 배터리는 충전시의 온도 관리가 용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니켈계 또는 리튬계 배터리를 사용함으로써 충전작업의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게다가, 제어부는 배터리의 온도 관리 및 제어기능을 가지므로, 배터리의 충전시의 신뢰성의 향상을 가져온다. 그 결과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전동작업기에서 릴레이 부재는 배터리의 양극(positive pole)에 접속되는 양극 단자를 가지며, 릴레이 부재의 그 양극단자는 충전기를 배터리의 양극에 접속시키는 충전용 양극단자로서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 이로써 제어부와 릴레이 부재의 간소화가 가능하다. 그 결과, 전동작업기의 전체적인 코스트가 상당히 저감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주로 전동예초기로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다른 종류의 전동작업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전", "후", "좌", "우", "상" 및 "하"는 전동예초기 또는 전동작업기의 작업자가 보는 방향에 따른다. 도면에서 "Fr"은 전방, "Rr"은 후방 "L"은 좌측 및 "R"은 우측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예초기의 사시도이다. 전동예초기(10)는 본체부(11), 전륜(12), 후륜(13), 잔디 빽(grass bag, 14), 배출구 커버(15), 핸들(16), 커터하우징(21), 커버부재(27) 및 스위치 조작기구(28)를 포함한다. 전동예초기(10)는 또한 파워 온/오프 키(메인 키, 41)를 가지는데, 이는 소켓 또는 파워스위치로서 기능하는 릴레이 부재(42)에 출입하는 접속부재 또는 플러그로써 기능하여 전동예초기(10)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위치 조절기구(28)는 전동모터(22)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비접촉식 리드 스위치(36), 리드 스위치(36)의 온/오프 상태를 설정하기 위하여 핸들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팬(fan)형상의 시동부재(72), 시동부재(72)를 선회시키는 조작레버(73) 및 클러치기구(74)를 포함한다.
본 발명 전동예초기(10)는 본체부(11)의 좌, 우측의 어느 일방에는 스크롤부를, 본체부(11)의 타방에는 파워 온/오프 키(41)가 출입하는 소켓 또는 파워 스위치(즉, 릴레이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스크롤부의 청소가 능률적이고 용이하도록 설계되었다. 나아가, 전동예초기(10)에서 모터구동 배터리유닛(26)과 제어부(24)는 릴레이 부재(42)에 파워 온/오프 키(41)를 삽입하면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되고, 릴레이 부재(42)로부터 파워 온/오프 키(41)를 제거하면 단절된다. 이러한 중요한 특징들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2번 방향에서의 전동예초기(10)의 측면도이다. 이 전동예초기(10)는 후방 배출식 예초기이다. 즉 전동모터는 파워 온/오프 키(41)가 본체부(11)에 설비된 릴레이 부재(또는 파워스위치, 42)에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제거됨으로써 온/오프 된다. 커터하우징(21)내의 커터블레이드(23)는 전동모터(22)에 의해 회전되어 풀을 자르고, 잘려진 풀들은 커터하우징(21)내의 스크롤부(31)를 통하여 본체(11)의 후방으로 보내어져서 결국 잘려진 풀들은 잔디 빽(14)에 수집된다.
도 3은 도 1의 화살표 3번 방향에서의 전동예초기(10)의 평면도이다. 릴레이 부재(42)에 파워 온/오프 키(41)를 삽입하고, 도 1에 도시된 스위치 조절기구(28)로 전동모터(22)를 온시키면, 이렇게 활성화된 모터(22)가 커터블레이드(23)를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시켜 풀을 자르게 된다. 잘려진 풀들은 커터블레이드(23)의 회전에 따른 와류(소용돌이)에 의해서 스크롤부(31)를 통하여 화살표 "b"로 표시된 바와 같이 잔디 빽(14)으로 이송된다. 즉 이와 같은 후방 배출식 전동예초기(10)에서 스크롤부(31)는 본체부(11) 좌 또는 우측의 어느 일방에 배치되며, 파워 온/오프 키(41)가 출입하는 릴레이 부재(42)는 본체(11)의 좌 또는 우측의 타방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후방 배출식 전동예초기에서 잘려진 풀들은 스크롤부를 통하여 본체부의 후방으로 이송되어 결국 잔디 빽에 수집되는데, 잘려진 풀들은 스크롤부의 표면에 부착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스크롤부를 청소해 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스크롤부의 청소가 용이하도록 설계된 전동예초기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롤부(31)를 본체부(11)의 좌 또는 우측의 어느 일방에 배치하고, 타방에는 취부 브라켓(29)을 통하여 릴레이 부재(42)를 배치하였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작업자는 본체부의 일측에서 릴레이 부재(42)로부터 파워 온/오프 키(41)를 뽑고, 본체부의 일측(스크롤부 측)이 위로 향하도록 본체부를 횡도한 후에 스크롤부(31)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파워 온/오프 키(41)를 뽑는 것과 본체부를 횡도하는 조작을 동일한 조작위치에서 수행 가능하므로, 청소작업의 작업성 및 편의성의 향상을 가져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후방 배출식 전동예초기(1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4는 전동예초기(10)의 분해사시도로서, 전동예초기(10)의 주요 구성부품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모터(22)는 커터하우징(21)에 탑재되어 있으며, 커터블레이드(23)는 모터(22)의 회전축(22a)에 연결되어 있고, 제어부(24)는 모터(22) 위에 배치된다. 전동예초기(10)는 또한 모터(22) 위에서 커터하우징(21)에 부착되는 배터리 브라켓(25)과 배터리 브라켓(25)상에 지지되는 배터리유닛(26)을 포함한다. 커버부재(27)는 전동모터(22), 제어부(24), 배터리 브라켓(25) 및 배터리유닛(26)을 덮고 있으며, 전동모터(22)는 스위치 조절기구(28)를 통하여 온/오프 제어된다. 바람직하게는, 배터리 브라켓(25)은 커터하우징(21)에 고정되며, 모터(22)도 커터하우징(21)에 고정되도록 한다.
커터하우징(21)은 상대적으로 큰 상부 개구(21b)를 가지는데, 여기에 모터(22)의 기저부를 수용하며, 그리고 또한 다수의 보스(21c)를 가지는데, 이에 의해 모터(22)가 커터하우징(21)의 바디(21a)에 고정된다. 커터블레이드(23)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는 하우징 바디(21a)의 내부에는 잘려진 풀들이 후방의 잔디 빽(14)으로 이송되게 하는 스크롤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전동모터(22)를 커터하우징 보스(21c)로 고정하는 경우 커터하우징(21)의 내외부를 연통하는 연통홀(32, 도 4에서는 하나만 도시됨)이 형성된다.
제어부(24)는 케이스(34) 및 케이스(34)에 수납되는 제어기판(35)을 포함한다. 제어기판(35)은 모터(22)를 제어하는 스위치 조작기구(28)의 중요한 부분을 구성하는 비접촉식 리드 스위치(36)와 연결된다. 또한 제어기판(35)에는 본체(11)의 주행과 또는 각종 작업시에 상시 울리는 부저(38)뿐 아니라, 전동예초기(10)가 작업 가능하다는 것을 작업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상시 점등되어 있는 표시등(37)이 접속된다. 또한, 제어부(24)는 전기(前記)의 파워 온/오프 키(41) 및 전동예초기(10)를 온시키는 릴레이 부재(42)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릴레이 부재(42)는 배터리유닛(26)의 충전을 위한 콘넥터로서의 기능도 수행한다.
배터리 브라켓(25)은 금속제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동모터(22)의 측방과 상부를 덮는 본체부(25a), 본체부(25a)로부터 전방으로 평행하게 신장하는 연장부(25b) 및 릴레이 부재(42)를 취부(取付)하는 취부브라켓(29)을 포함한다. 전기한 바와 같이, 배터리 브라켓(25)은 모터(22)와 함께 커터하우징(21)에 고정된다. 본체부(25a)는 통풍구(25c와 25d)를 가지며, 연장부(25b)는 통풍구(25e)를 가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전동예초기(10)는 커터하우징(21)에 함께 고정되는 배터리 브라켓(25)과 전동모터(22)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전동예초기(10)의 조립성의 향상을 가져온다.
커터하우징(21)의 상부에 탑재되며 바람직하게는 니켈-카드뮴 배터리유닛인 배터리유닛(26)은 전(前)배터리(43) 및 제1, 제2 상부배터리(44, 45)를 포함한다. 전(前)배터리(43)는 정격전압 1.2V인 셀(cell; 46)의 복수조합으로서, 배터리 브라켓(25)의 연장부(25b)에 각각의 셀이 직립하도록 탑재된다. 제1과 제2 상부배터리(44, 45)는 각각 전(前)배터리(43)와 유사하게 정격전압 1.2V 셀(46)을 복수조합한 것으로서, 이들 상부 배터리들(44, 45)은 배터리 브라켓(25)의 본체부(25a)에 각각의 셀이 가로 방향으로 평행하도록 탑재된다.
배터리유닛(26)은 니켈-카드뮴계 배터리보다 고성능인 니켈계 또는 리튬계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니켈계 또는 리튬계 배터리는 충전 작업중에 온도를 제어하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니켈계 또는 리튬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유닛(26)을 사용함으로써 충전작업의 작업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커버부재(27)는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전방하부에는 커버부재(27)의 내외로 공기를 통하게 하게 하는 개구(47a)를 가지는 루버(louver, 47)를 포함한다. 또한, 커버부재(27)는 그 후단부에 형성된 통풍공(27a)을 가지며, 그 좌측방에 릴레이 부재(42)를 외부로 개방하기 위한 리세스(27b)를 가진다.
도 5는 도 1의 5-5선을 따라 취해진 전동예초기(10)의 측단면도이다. 도 5에는 커터블레이드(23)가 커터하우징(21) 내부에 포함되는 전동예초기(10)에서 전동모터(22)는 커터하우징(21)의 상부에 탑재되고, 전동모터(22)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유닛(26)에 의해 구동되며, 배터리유닛(26)은 모터(22)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상부배터리(44, 45)와 모터(22)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배터리(43)를 포함하는 것이 잘 나타나 있다. 제1 및 제2 상부배터리(44, 45)는 모터(22)의 상부에 배치되고, 전배터리(43)는 모터(22)의 전방에 배치되므로, 전동예초기(10)의 중량밸런스의 확보가 용이하며 따라서 전동예초기(10)의 조작성의 향상을 가져온다.
또한, 충전 가능한 배터리유닛(26)이 본체부(11)에 탑재되어 전동모터(22)를 구동시켜 커터하우징(21)내에서 커터블레이드(23)를 회전시키는 전동예초기(10)에서, 모터(22)와 배터리유닛(26)은 커버부재(27)에 의해 일괄하여 커버되고, 커버부재(27)의 앞부분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동예초기(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감에 따라 점차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며, 본체의 전방하부에는 루버 개구(47a)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상부에는 통풍공(27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배터리유닛(26)과 모터(22)는 전방의 루버 개구(47a)로부터 커버부재(27)에 도입되어 후방의 통풍공(27a)에 의해 배출되는 외부공기에 의해 효과적으로 냉각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배터리유닛(26)과 모터(22)의 과열이 방지되며 따라서 전동예초기(10)의 장시간 연속사용이 가능해진다.
도 6은 도 1의 6-6선을 따라 취해진 전동예초기(10)의 단면도로서, 커버부재(27, 도 5 참조)를 벗긴 상태의 전동예초기(10)를 나타낸다. 이 도면은 커터하우징(21)이 배터리 브라켓(25)을 취부하고 있음을 명확하게 나타내는데, 배터리 브라켓(25)은 전동모터(22)의 상부와 측부를 커버하고 있는 본체부(25a)와, 본체부(25a)의 전방으로 신장하는 연장부(25b)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상부배터리(44, 45)와 전배터리(43)는 본체부(25a)와 연장부(26b)에 각각 분산 배치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배터리(44, 45 및 43)를 분산하여 배치함으로써 냉각공기가 배터리(44, 45 및 43)와 모터(22)사이를 용이하게 흐르게 하여, 그 결과 배터리(44, 45 및 43)와 모터(22)의 방열을 촉진한다.
또한, 배터리 브라켓(25)은 금속재의 소재로 형성하며, 배터리(44, 45 및 43)의 탑재위치에 통풍공(25c, 25d, 25e)을 형성하므로, 배터리(44, 45 및 43)와 모터(22)의 방열을 더욱 촉진시킨다. 참조번호 49a, 49b, 49c는 배터리(44, 45 및 43)를 배터리 브라켓(25)에 고정하는 탄성벨트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1에서 도 6과 관련하여 상기 설명된 전동예초기(10)의 제어시스템의 블록 다이아그램이다. 제어시스템(50)은 대략 전동모터(22)를 제어하는 상기 설명된 제어부(24) 및 배터리유닛(26)을 충전하는 충전기(51)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부(24)는 과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과전류 차단회로(55), 전동예초기(1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 블록(56), 충전중에 배터리유닛(26)의 온도를 감시하기 위한 서미스터(57), 서미스터(57)의 신호를 기초로 충전을 중단하기 위한 써멀 브레이커(58, thermal breaker)를 포함한다. 제어부(24)는 또한 파워 온/오프 키(41) 또는 충전기(51)의 플러그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상기 언급된 릴레이 부재(42)를 포함한다.
제어부(24)는 충전시에 서미스터(57)를 통하여 배터리유닛(26)의 온도를 계속 감시한다; 즉, 제어부(24)는 배터리유닛(26)의 온도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제어부(24)가 그러한 배터리 온도 제어기능을 가짐으로써 배터리유닛(26)의 충전시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그 결과 배터리유닛(26)의 수명이 연장 가능하다.
콘트롤 블록(56)은 전동모터(22)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모터제어회로(61), 상기 언급된 표시등(37)을 점등시키기 위한 점등회로(62) 및 부저(38)를 구동시키기 위한 부저구동회로(63)를 포함하는데, 표시등(37)으로는 발광다이오드(LED)가 바람직하다. 모터제어회로(61)에는 전동모터(22)의 온/오프 작동을 위한 스위치조작기구(28, 도 4 참조)의 비접촉식 리드 스위치(36)가 연결된다. 점등회로(62)는 배터리유닛(26)의 전압이 후술하는 메모리효과를 유도하기 직전의 예정된 전압보다 높은 경우에는 표시등(37)을 상시 점등시키며, 배터리유닛(26)의 전압이 예정된 전압보다 낮아지면 표시등(37)을 소등시킨다. 즉 점등회로는 배터리유닛(26)의 전압이 예정된 전압, 가령 0.97 volts/cell보다 낮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표시등(37)을 상시 점등시킨다.
배터리유닛(26)의 전압이 메모리효과 유도 직전의 예정된 전압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표시등(37)을 상시 점등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표시등(37)이 점등되어 있는 한 안심하고 작업을 계속할 수 있고, 표시등(37)이 소등되면 작업을 중단하게 된다. 즉 표시등(37)은 작업자에게 배터리유닛(26)의 충전에 적당한 시기에 대한 정보를 준다. 결과적으로 배터리유닛(26)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부저구동회로(63)는 전동모터(22)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부저(38)를 계속 울리게 하며, 배터리유닛(26)의 전압이 예정된 전압보다 낮아지면 울리지 않게 한다. 즉, 충전 가능한 배터리유닛(26)이 본체(11)에 탑재되며, 그 배터리유닛(26)을 모터(22)의 구동원으로 하여 본체(11)의 주행과 각종의 작업을 수행하는 본 발명 전동예초기(10)에 있어서, 부저(38)는 작업자에게 전동예초기(10)가 작동중에 있음을 알려준다.
일반적으로, 전동모터로 구동되는 모터구동방식 전동예초기는 엔진 구동방식의 예초기 보다 훨씬 적은 소음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그러한 전동예초기가 소음이 큰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 작업자는 청각을 통해 전동예초기가 작동중에 있는지를 판가름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전동모터(22)가 회전하여 본체(11)의 주행과 각종의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계속 울리도록 한 부저를 설비함에 따라 작업자에게 전동예초기(10)가 작동중에 있음을 알게 함으로써 전동예초기(10)의 작업성과 취급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부저(38)는 배터리유닛(26)의 전압이 예정된 전압 보다 낮아지면 자동적으로 작동이 중지되므로, 배터리유닛(26)의 동력 낭비가 방지된다.
상기 언급된 릴레이 부재(42)는 6개의 접속단자 C1∼C6(도면에서는 간단히 "1"∼"6"으로 도시함)을 가지는 콘넥터인데, 양극 단자로서 기능하는 제1접속단자 C1은 과전류 차단 회로(55)를 통해 배터리유닛(26)의 양극(positive pole)에 접속되며, 제2접속단자 C2는 배터리유닛(26)의 음극과 콘트롤 블록(56)의 두 개의 입력단자중 하나에 접속되며, 제3접속단자 C3는 콘트롤 블록(56)의 두 개의 입력단자중 다른 하나에 접속되며, 제4접속단자 C4는 써멀 브레이커(58)의 일단에 접속되며, 제5접속단자 C5는 서미스터(57)의 일단에 접속되며 및 제6접속단자 C6는 써멀 브레이커(58)의 타단과 서미스터(57)의 타단에 각각 접속된다.
파워 온/오프 키(41)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핀 P1 및 P3(도면에서는 지면관계상 "1" 및 "3"으로 표시)을 가지는 플러그 형태를 가지며, 릴레이 부재(42)에 삽입되어 릴레이 부재(42)의 제1 및 제3 접속단자 C1, C3에 각각 접속되어 터미널 C1 및 C3 사이를 단락(short-circuit)시킨다.
충전기(51)는 릴레이 부재(42)에 접속되는 충전용 플러그(52)와 전원(AC line)에 접속되는 전원플러그(53)를 포함한다. 배터리유닛(26)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용플러그(52)는 릴레이 부재(42)의 제1, 제2, 제4, 제5 및 제6접속단자 C1, C2, C4, C5 및 C6에 각각 접속하기 위한 핀 R1, R2, R4, R5 및 R6를 가진다.
이상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릴레이 부재(42)는 파워 온/오프 키(41) 또는 충전기의 충전용 플러그(52)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콘넥터이다. 다시 말해, 전동예초기(10)의 동일한 릴레이 부재(42)에 배터리유닛(26) 충전을 위한 충전기(51)와 파워 온/오프 키(41)가 적절하게 접속 가능하다; 즉, 동일한 릴레이 부재(42)는 두 개의 별개의 접속부분을 가지는데 이는 일체로 설비되며, 그중 하나는 파워 온/오프 키(41)와의 접속을 위한 것이고, 나머지 하나는 충전기(51)와의 접속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전동예초기(10)가 예초작업을 수행하는 때에는 파워 온/오프 키(41)가 릴레이 부재(42)에 삽입되어 접속되며, 배터리유닛(26)의 충전시에는 충전기(51)가 삽입되어 릴레이 부재(42)에 접속된다. 그러므로 파워 온/오프 키(41)나 충전기(51)의 잘못된 삽입이나 잘못된 접속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전동예초기(10)는 방전시(즉 예초작업시)나 배터리유닛(26)의 충전시의 편리성 및 효율성이 증가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동예초기(10)에서 배터리유닛(26)의 양극에 직접 접속되는 릴레이 부재(42)의 양극접속단자 C1은 또한 배터리유닛(26)의 양극에 충전기(51)를 접속시키기 위한 충전용 양극단자로서도 기능한다. 릴레이 부재(42)의 양극접속단자 C1이 배터리유닛(26)의 양극에 충전기(51)를 접속시키기 위한 충전용 양극단자로서도 기능하므로, 제어부(24)와 릴레이 부재(42)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전동예초기(10)의 전체 단가를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에 탑재되어 본체(11)의 주행과 각종 작업의 구동원으로 작용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유닛(26)을 포함하는 본 발명 전동예초기(10)에서 릴레이 부재(42)는 제어부(24)와 배터리유닛(26) 사이의 접속을 위해 개재되며, 접속부재(파워 온/오프 키; 41)가 릴레이 부재(42)에 삽입되어 제어부(24)와 배터리유닛(26)을 접속시킨다. 그리고 접속부재(파워 온/오프 키,41)를 릴레이 부재(42)로부터 제거하면 제어부(24)를 배터리유닛(26)으로부터 완전 차단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므로 전동예초기(1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배터리유닛(26)의 불필요한 방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동예초기(10)의 장기 보관시의 과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배터리유닛(26)의 수명은 연장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 전동예초기(10)에 채용되는 배터리유닛(26)의 수명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가로축은 방전심도(%)를 세로축은 충전과 방전의 사이클 수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방전심도"는 배터리유닛의 방전의 깊이를 나타내며 퍼센트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배터리용량을 100이라고 가정할 때 완전방전을 행한 경우의 방전심도는 100%로 표시한다. 또한 충전과 방전의 사이클 수는 배터리유닛(26)의 충전과 방전 가능횟수를 나타낸다. 알려진 바와 같이, 니켈-카드뮴계 배터리는 완전 방전이후에도 용량회복이 가능하므로 납전지 등에 비하여 과방전에 강한 배터리이다. 그러나, 완전방전을 반복하면 배터리의 수명은 단축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0% 심도로 방전을 반복하면 충전과 방전 사이클 수는 500∼800회인데, 50% 심도로 방전을 반복하면 충전과 방전 사이클 수는 1700∼1800회로 증가된다.
도 9는 본 발명 전동예초기(10)의 배터리유닛(26)의 메모리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가로축은 방전시간(min)을 세로축은 전압(V)을 나타낸다. 알려진 바와 같이, 니켈-카드뮴계 배터리에서는 얕은 방전을 반복한 후에, 깊은 방전을 행하면 그 깊은 방전중에 이 단계의 전압강하가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현상은 메모리효과라고 불리어진다. 그래프에서 보면, 방전개시후 처음 60분이 될 때까지는 전압이 1.3V에서 1.1V로 서서히 감소한다. 그러나, 처음 60분이 경과한 후에는 전압의 급격한 감소가 나타난다.
도 8 및 도 9의 그래프로부터, 배터리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1)반복하여 완전방전을 하지 않는 것과 2)메모리효과를 일으키는 얕은 방전만을 반복하지 않는 것에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알 수 있다. 즉, 적절한 심도로 충전과 방전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험적으로는 정격 전압 1.2V 배터리에서는 메모리효과를 일으키는 방전 전압이 1.1V/cell로 예상되므로, 본 발명 전동예초기(10)는 메모리효과를 일으키는 방전전압이 1.1V/cell 이하로 설정되는 것으로 기대하여, 배터리 전압이 9.7volts/cell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한 상시 점등되어 있는 표시등(37; 도 5)을 설비한다.
즉, 전동예초기(10)에는 배터리유닛(26)의 전압이 메모리효과를 일으키는 예정된 전압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시 점등되는 표시등(37)이 설비된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표시등(37)을 설비함에 따라 배터리유닛(26)의 충전시기를 작업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부적절한 충전으로 인해 배터리유닛(26)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이 방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언급된 전동예초기(10)에 채용되는 방열기구의 일예가 설명된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예초기(10)의 작용설명도인데, 도 10a는 전동예초기(10)가 작동중일 때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며, 도 10b는 전동예초기가 정지한 직후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10a에서와 같이 전동예초기(10)가 작동중일 때에는 회전하는 커터블레이드(23)에 의해 커터하우징(21)의 내부에 부압(negative pressure)이 발생된다. 따라서, 외부공기가 루버 개구(47a, 도 4 참조)를 통하여 빨려 들어와 전배터리(43)의 측방을 경유하여 모터(22)의 아래에 형성된 연통홀(32)을 따라 화살표①과 같이 커터하우징(21)의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커버부재(27)의 통풍공(27a)으로 빨려 들어온 외부공기는 제1 및 제2 상부배터리(44, 45)의 측방을 경유하여, 화살표 ② 및 ③으로 나타낸바와 같이, 연통홀(32)을 통하여 커터하우징(21)의 내부로 유입된다. 화살표 ①∼③으로 도시된 공기의 흐름으로, 전배터리(43), 제1 및 제2 상부배터리(44, 45) 및 전동모터(22)는 강제 냉각이 가능하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예초기(10)의 정지 직후에는 전배터리(43), 제1 및 제2 상부배터리(44, 45) 및 전동모터(22)는 가열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런데, 연통공(32)으로부터 인입되어, 화살표 ④∼⑥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배터리(43), 제1 및 제2 상부배터리(44, 45) 및 전동모터(22)의 주위를 통과하는 공기의 자연대류에 의해 전배터리(43), 제1 및 제2 상부배터리(44, 45) 및 전동모터(22)는 방열 가능하다. 또한, 그러한 공기의 흐름은 루버 개구(47a, 도 4 참조)를 통하여 인입되어 배터리(43, 44 및 45) 및 모터(22) 주위를 통과하여 커버부재(27)의 통풍공(27a)을 통하여 빠져나가는, 화살표 ⑦과 같은, 또 다른 외부 공기의 흐름도 일으킴으로써, 배터리(43, 44 및 45) 및 모터(22)의 방열이 촉진된다.
즉, 커터하우징(21)에 커버부재(27)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연통홀(32)을 설비하는 전동 예초기(10)에서, 커터블레이드(23)의 회전을 통하여 루버 개구(47a, 도 4 참조)와 통풍공(27a)으로부터 커터하우징(21)의 내부로의 기 류를 형성한다. 반면에, 커터블레이드(23)의 정지중에는 전동모터(22) 또는 전배터리(43), 제1 및 제2 상부배터리(44, 45)의 열에 의한 커터하우징(21)의 내부로부터 통풍공(27a)으로의 역류를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파워 온/오프 키(41), 릴레이 부재(42) 및 충전용 플러그(52)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예초기에 채용되는 릴레이 부재(42)의 평면도이며, 도 12는 릴레이 부재(42)의 정면도이다. 릴레이 부재(42)는 하우징(42a), 하우징(42a)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언급된 6개의 연결단자(C1∼C6), 단자 C1∼C6으로부터 신장하는 하네스(42c)를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C1∼C6은 도면의 우측상단위치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단자의 번호가 증가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단자들 C1∼C6은 도7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네스(42c)를 통하여 제어부(24)의 제어기판(35)에 연결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예초기에 채용되는 파워 온/오프 키(41)의 평면도이며, 도 14는 파워 온/오프 키(41)의 정면도이다. 파워 온/오프 키(41)는 하우징(41a), 하우징(41a)내부에 배치되며 릴레이 부재(42)의 연결단자(C1, C3, C4 및 C6)에 각각 연결되는 네 개의 연결핀(P1, P3, P4 및 P6)을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P1, P3, P4 및 P6은 도면의 우측하단위치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핀의 번호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배치된다. 릴레이 부재(42, 도 12 참조)의 C2 및 C5단자에 대응하는 파워 온/오프 키(41)의 N2 및 N5위치는 그러한 연결핀이 없는 비어있는 부분이다. 게다가, 제1 및 제3 연결핀(P1 및 P3)은 하우징(41a) 내부에서 쇼트되며, 제4 및 제6 연결핀(P4 및 P6)은 더미(dummy) 핀이다.
도 15는 본 발명 전동예초기에 채용되는 충전용 플러그(52)의 평면도이며, 도 16은 충전용 플러그(52)의 정면도이다. 충전용 플러그(52)는 하우징(52a), 하우징(52a) 내부에 배치되며 릴레이 부재(42)의 연결단자(C1, C2, C4, C5 및 C6)에 각각 연결되는 다섯 개의 연결핀(R1, R2, R4, R5 및 R6) 및 연결핀 R1, R2, R4, R5 및 R6으로부터 신장하는 하네스(52c)를 포함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R1, R2, R4, R5 및 R6은 도면의 우측하단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핀의 번호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배치된다. 릴레이 부재(42, 도 12 참조)의 C3 단자에 상당하는 충전용 플러그(52)의 N3 위치는 연결핀이 없는 빈 부분이다.
도 17은 전동예초기(10)의 변형예의 사시도로서, 특히 변형된 제어부{64, 즉, 상기 언급된 제어부(24)의 변형} 및 변형된 릴레이 부재{67, 즉, 상기 언급된 릴레이 부재(42)의 변형}을 나타낸다. 제어부(64)는 콘트롤 케이스(65), 콘트롤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는 제어기판(66) 및 제어기판(66)상에 직접적으로 장착되며 그 내부에 파워 온/오프 키(41)가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는 본체측의 소켓으로서 기능하는 릴레이 부재(67)를 포함한다. 이 변형예에서도 표시등(37)과 부저(38)는 제어부(64)에 연결된다.
즉, 도 17의 변형예는 릴레이 부재(67)가 전동모터(22, 도 5 참조)를 제어하는 제어부(24)와 일체로 형성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한 구조로 인해 릴레이 부재(67)와 제어부(64)의 연결을 위한 별개의 하네스 등이 필요없게 되어, 전동예초기(10)의 조립성의 향상을 가져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크롤부(31)가 본체부(11)의 좌측에, 그리고 본체측의 릴레이 부재(relay member; 42 또는 67)는 본체부(11)의 우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스크롤부(31) 및 본체측의 릴레이 부재(42 또는 67)의 위치는 변화 가능하다. 즉, 스크롤부(31)는 본체부(11)의 우측에, 그리고 릴레이 부재(42 또는 67)는 본체부(11)의 좌측에 설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파워 온/오프 키(41)가 본체측의 릴레이 부재(릴레이 부재 42 또는 67)에 해제 가능하게 삽입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파워 온/오프 키(41)는 본체측의 릴레이 부재(42 혹은 67)에 해제 가능하게 삽입되어, 전동예초기 또는 전동작업기를 온/오프 시키는 다른 종류의 접속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 전동예초기는 스크롤부가 본체부의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일방에 설비되고 그 내부에 파워 온/오프 키가 해제 가능하게 삽입되는 릴레이 부재(릴레이 부재 또는 본체측 파워스위치)는 본체부의 좌측 또는 우측의 타방에 설비되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작업자는 본체부의 동일 측방에서 본체부의 릴레이 부재로부터 파워 온/오프 키를 뽑는 작업과, 본체부를 횡도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조작위치의 변동 없이 두 가지의 필요한 작업, 즉 파워 온/오프 키를 삽입하고 뽑는 작업과 본체부를 횡도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크롤부의 청소작업에 대한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게다가, 본 발명 전동작업기계는 릴레이 부재가 모터구동 배터리유닛과 제어부의 사이에 설비됨으로써 배터리유닛과 제어부는 릴레이 부재에 파워 온/오프 키를 삽입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릴레이 부재로부터 접속부재를 제거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서로 단절된다.
그러한 구조로 인해, 전동작업기의 비 작동시의 불필요한 방전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장기보관시의 과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는 배터리의 수명이 연장된다.

Claims (11)

  1. 본체부(11);
    상기 본체부(11)에 탑재되는 충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26; 43, 44, 45);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26; 43, 44, 45)에 의하여 회전 가능한 전동모터(22);
    상기 전동모터(22)가 상기 본체부(11)의 주행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4; 64);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26; 43, 44, 45)와 상기 제어부(24; 64)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간 전기적 접속을 위한 하나의 커넥터를 가지는 릴레이 부재(42; 67)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26; 43, 44, 45)와 상기 제어부(24; 64)는 상기 커넥터에 파워 온/오프 키(41)를 삽입함으로써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고, 상기 커넥터로부터 상기 파워 온/오프 키(41)를 제거함으로써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 해제되어 전동모터(22)가 작동되지 않게 하는
    전동 작업기에 있어서,
    배터리 충전기(51)가 릴레이 부재(42; 67)의 상기 하나의 커넥터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파워 온/오프 키(41)가 그로부터 제거될 때 그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26; 43, 44, 45)가 충전되며, 상기 파워 온/오프 키(41)와 상기 배터리 충전기(51)가 릴레이 부재(42; 67)의 상기 하나의 커넥터 내에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작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부재(42; 67)의 커넥터가 암 소켓(socket)이고, 상기 파워 온/오프 키(41)는 상기 암 소켓에 삽입될 수 있는 숫 플러그(plug)이며, 상기 배터리 충전기(51)는 상기 파워 온/오프 키(41)가 제거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26; 43, 44, 45)를 재충전하도록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암 소켓에 삽입될 수 있는 숫 플러그(plug)인 전동작업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26; 43, 44, 45)는 니켈계 또는 리튬계 배터리인 전동작업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4; 64)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26; 43, 44, 45)의 온도를 추적 감시(monitoring) 및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는 전동작업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부재(42; 67)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26; 43, 44, 45)의 양극(positive pole)에 접속되는 양극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릴레이 부재(42; 67)의 양극단자는 재충전기(51)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26; 43, 44, 45)의 양극에 접속시키기 위한 충전용 양극단자로서 아울러 기능하는 전동작업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작업기가 전동예초기이며, 상기 본체부(11)에 탑재되는 커터하우징(21), 커터하우징(21)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전동모터(22)에 의해 회전되어 풀을 자르는 커터 블레이드(23) 및, 상기 커터하우징(21)내에 배치되어 상기 커터 블레이드(23)에 의해 베어진 풀들이 상기 본체부(11)의 후방부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잔디 빽(14, grass bag) 내로 통과 운반시키는 스크롤부(31)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스크롤부(31)는 상기 커터 블레이드(23)에 의해 절단된 베어진 풀들을 잔디 빽(14) 안으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11)의 좌우 측면 쪽 어느 일방에 배치되고, 상기 파워 온/오프 키(41)가 그에 제거 가능하게 삽입되는 릴레이 부재(42; 67)의 상기 단일 커넥터는 상기 본체부(11)의 좌우 측면 쪽 다른 일방에 배치되며, 그에 의해 예초기의 조작자는 상기 커넥터로부터 상기 파워 온/오프 키(41)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전동모터(22)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본체부(11)를 옆으로 눕혀 본체부(11)의 일 측면 쪽은 하방으로 향하게 하고 본체부(11)의 타 측면 쪽은 세워 놓은 동안 상기 스크롤부(31)에 대한 접근 및 청소를 가능하게 하는 전동작업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부재(67)가 상기 제어부(64)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전동작업기.
  10. 제8항에 있어서, 전방부, 후방부 및 좌우 측면을 가지는 상기 전동모터(22)용 커버(27)를 더욱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릴레이 부재(42; 67)는 상기 커버(27)와 상기 커터하우징(21) 사이에서 상기 커버(27)의 좌측 또는 우측의 리세스(recess; 27b)를 통해 외측으로 개방되어 있는 전동작업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26; 43, 44, 45) 장착용 배터리 브라켓(25)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브라켓(25)은 상기 커터하우징(21)에 장착되고, 릴레이 부재(42; 67)가 상기 배터리 브라켓(25)상에 설치된 장착 브라켓(29)에 장착되는 전동작업기.
KR1020020047461A 2001-08-22 2002-08-12 전동작업기 KR1008736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52039 2001-08-22
JP2001252045A JP3776771B2 (ja) 2001-08-22 2001-08-22 電動作業機
JP2001252039A JP2003061438A (ja) 2001-08-22 2001-08-22 電動芝刈機
JPJP-P-2001-00252045 2001-08-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330A KR20030017330A (ko) 2003-03-03
KR100873608B1 true KR100873608B1 (ko) 2008-12-11

Family

ID=26620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461A KR100873608B1 (ko) 2001-08-22 2002-08-12 전동작업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40132B2 (ko)
EP (2) EP1285567B1 (ko)
KR (1) KR100873608B1 (ko)
CN (2) CN1253070C (ko)
DE (2) DE60231277D1 (ko)
TW (1) TWI2487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615241D0 (en) 2006-08-01 2006-09-06 Bosch Gmbh Robert Lawn-care apparatus
US8732896B2 (en) 2006-10-17 2014-05-27 Mtd Products Inc Hybrid electric cleaning device
WO2008048615A2 (en) 2006-10-17 2008-04-24 Desa Ip, Llc Hybrid electric device
US7884560B2 (en) * 2006-10-17 2011-02-08 Mtd Products Inc Hybrid electric device
US8076873B1 (en) 2007-06-01 2011-12-13 Mtd Products Inc Hybrid outdoor power equipment
US8429885B2 (en) * 2008-04-25 2013-04-30 Black & Decker Inc. Cordless mower including cooling air flow arrangement
US8653786B2 (en) * 2008-04-25 2014-02-18 Black & Decker Inc. Cordless mower including battery with two charging connectors
US8191343B1 (en) 2009-06-26 2012-06-05 Hydro-Gear Limited Partnership Systems and methods for cooling a controller assembly
US20110043143A1 (en) * 2009-08-24 2011-02-24 Alter Daniel J Speed and Power Control Mechanisms for Battery Powered DC Motor
JP5545476B2 (ja) 2010-06-08 2014-07-09 日立工機株式会社 電動工具
CN102687626B (zh) * 2011-03-22 2016-02-17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割草机
US8727233B2 (en) 2011-10-17 2014-05-20 Champion Power Equipment, Inc. Pressure spray washer and control
US9127658B2 (en) 2011-11-04 2015-09-08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cluding starting system powered by lithium-ion battery
US8733072B2 (en) 2011-11-04 2014-05-27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Starter system for an engine
US8857138B2 (en) 2011-11-04 2014-10-14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Starter system for an engine
US9241441B2 (en) 2012-02-22 2016-01-26 Husqvarna Ab Robotic lawnmower
EP2636295B1 (en) * 2012-03-07 2014-09-10 Robert Bosch GmbH Lawn-care apparatus
CN103650754B (zh) * 2012-09-07 2016-08-03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割草机
US10130962B2 (en) 2013-10-10 2018-11-20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Wirelessly controlled trigger start and chemical tank change-over for pressure washers
EP2875711B1 (en) * 2013-11-21 2017-01-11 Robert Bosch Gmbh Lawnmower electronics housing
EP2875712B1 (en) * 2013-11-21 2016-10-19 Robert Bosch Gmbh Lawnmower battery arrangement
EP3114717A1 (en) 2014-03-06 2017-01-11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Rechargeable battery system for replacement of lead-acid battery
CN105794388A (zh) * 2014-12-30 2016-07-27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动力工具
CN106258180B (zh) * 2015-05-20 2019-03-08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手推式割草机
USD795181S1 (en) 2016-06-15 2017-08-22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Battery
US10765061B2 (en) * 2018-07-31 2020-09-08 Honda Motor Co., Ltd. Cover attachment for lawnmower cutter housing
CN109463098B (zh) * 2018-12-25 2024-01-02 格力博(江苏)股份有限公司 动力组件和园林工具
US11140821B2 (en) 2019-03-14 2021-10-12 Honda Motor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lawnmower components
US11490566B2 (en) * 2019-04-08 2022-11-08 Honda Motor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lawnmower components
WO2020230208A1 (ja) * 2019-05-10 2020-11-19 カーツ株式会社 刈刃付き電動作業機
US11787034B2 (en) * 2020-11-02 2023-10-17 Globe (jiangsu) Co., Ltd. Power head and outdoor power equipment us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00383A2 (en) * 1987-07-24 1989-01-25 Yamaha Motor Co., Ltd. Walk-behind lawn mower
JPH08322357A (ja) * 1995-02-14 1996-12-10 Briggs & Stratton Corp 電気草刈り機用パワーヘッド組立体
US5619845A (en) * 1993-09-22 1997-04-15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Battery-powered lawn cutt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4186A (en) * 1968-09-04 1971-02-16 Toro Mfg Corp Switch control mechanism
US3924389A (en) * 1973-03-27 1975-12-09 Stanley B Kita Automatic lawn mower
US4458472A (en) * 1982-05-26 1984-07-10 The Toro Company Lawn mower zone start system
DE3937158A1 (de) * 1989-11-08 1991-05-16 Bosch Gmbh Robert Kontrolleinrichtung fuer batteriegeraet
DE4137162A1 (de) * 1991-11-12 1993-05-13 Wolf Dietrich Zinck Rasenmaeher
EP0817352A2 (en) * 1992-08-18 1998-01-07 Black & Decker Inc. Improvements in battery operated electric machines
US5526633A (en) * 1994-08-12 1996-06-18 Black & Decker Inc. Lawn mower having improved deck height adjustment mechanism
GB2303719B (en) * 1995-07-26 2000-01-26 Black & Decker Inc An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a cordless vegetation cutter
JPH0965752A (ja) 1995-09-01 1997-03-11 Makita Corp バッテリー式電動機器の充電装置
JPH10191750A (ja) * 1997-01-14 1998-07-28 Honda Motor Co Ltd 電動作業機
JP3433069B2 (ja) * 1997-01-14 2003-08-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芝刈機
USD458277S1 (en) * 1999-03-18 2002-06-04 Black & Decker Inc. Lawn mower
US6651900B1 (en) * 1999-11-29 2003-11-25 Fuji Jakogyo Kabushiki Kaisha Control apparatus for a fire pump, operation display apparatus for a fire pump and operation mode control apparatus for a fire pump
JP3776772B2 (ja) * 2001-08-22 2006-05-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芝刈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00383A2 (en) * 1987-07-24 1989-01-25 Yamaha Motor Co., Ltd. Walk-behind lawn mower
US5619845A (en) * 1993-09-22 1997-04-15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Battery-powered lawn cutting system
US5819513A (en) * 1993-09-22 1998-10-13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Power head assembly for electric grass cutting device
JPH08322357A (ja) * 1995-02-14 1996-12-10 Briggs & Stratton Corp 電気草刈り機用パワーヘッド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85567B1 (en) 2009-02-25
EP1797752A1 (en) 2007-06-20
EP1797752B1 (en) 2010-03-10
DE60235659D1 (de) 2010-04-22
CN1402961A (zh) 2003-03-19
CN1253070C (zh) 2006-04-26
US20030037523A1 (en) 2003-02-27
EP1285567A1 (en) 2003-02-26
TWI248783B (en) 2006-02-11
KR20030017330A (ko) 2003-03-03
DE60231277D1 (de) 2009-04-09
CN2567955Y (zh) 2003-08-27
US7540132B2 (en) 2009-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3608B1 (ko) 전동작업기
JP3776773B2 (ja) 電動芝刈機
JP3776772B2 (ja) 電動芝刈機
EP1285570B1 (en) Electric lawn mower
WO2014119115A1 (ja) 電動芝刈機
GB2303530A (en) Battery powered grass cutting device
CN220400799U (zh) 一种电池包、电动工具及充电***
WO2022267913A1 (zh) 户外行走设备
CN2755933Y (zh) 电动工作机
JP2003070168A (ja) 電動作業機
JP3776770B2 (ja) 電動芝刈機
JP3776771B2 (ja) 電動作業機
JP2003061432A (ja) 電動芝刈機
JP2004357573A (ja) 電動作業機の電源キー差込み口構造
JP2003061435A (ja) 電動作業機
JP2003061433A (ja) 電動芝刈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