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085B1 -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085B1
KR100873085B1 KR1020020035132A KR20020035132A KR100873085B1 KR 100873085 B1 KR100873085 B1 KR 100873085B1 KR 1020020035132 A KR1020020035132 A KR 1020020035132A KR 20020035132 A KR20020035132 A KR 20020035132A KR 100873085 B1 KR100873085 B1 KR 100873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amp
lamps
diffusing member
light diff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0625A (ko
Inventor
김용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5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085B1/ko
Priority to JP2003094262A priority patent/JP2004029738A/ja
Priority to US10/404,806 priority patent/US7259810B2/en
Priority to TW092107642A priority patent/TW200400388A/zh
Priority to CNB031382169A priority patent/CN100378538C/zh
Publication of KR20040000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0625A/ko
Priority to US11/617,259 priority patent/US735241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면서 휘도를 부분적으로 조정을 할 수 있는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광을 발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램프와, 제1 광의 휘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제2 광을 출사하기 위한 광 확산 부재와, 램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광 확산 부재와의 수직 거리가 상이하도록 램프들과 광 확산 부재를 수납하고, 제1 광을 광 확산 부재로 반사하기 위한 수납 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광 확산 부재와 램프들과의 수직 거리를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광 확산 부재의 양단부에서의 휘도를 보상하여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고,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를 부분적으로 조정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BACK LIGHT ASSEMBLY AND DIRECT TYPE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를 절단선 A-A`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C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D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샤시를 채용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 210 : 액정표시패널
300 : 백 라이트 어셈블리 310 : 램프
320, 360, 370, 380 : 램프 반사판 330 : 확산판
350 : 바텀 샤시 400 : 미들 샤시
500 : 탑 샤시 600 : 휘도 분포 곡선
1000, 1100, 1200, 1300 :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
본 발명은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부분적으로 휘도 조정을 할 수 있는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 처리 장치의 기술 개발과 더불어 정보 처리 장치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술 개발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경량, 소형이면서, 풀-컬러, 고해상도 구현 등과 같은 기능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셀의 광학적 성질의 변화를 시각 변화로 변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자체적으로 발광하지 못하므로, 액정표시패널의 후면에 부착된 백 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광을 공급받아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백 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직하형(direct type)과 에지형(edge type)으로 구분된다. 직하형은 액정표시패널의 하부에 광원을 두어 패널 전면을 직접 조광하는 방식으로서, 에지형과 비교하여 여러 개의 광원을 이용할 수 있어 높은 휘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10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패널(110)과, 상기 액정표시패널(110)로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 라이트 어셈블리(120)를 구비한다.
상기 백 라이트 어셈블리(120)는 제1 광을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램프(121)와, 상기 제1 광을 확산시켜 균일한 휘도 분포를 갖는 제2 광을 출사시키기 위한 확산판(123)과, 상기 제1 광을 상기 확산판(123)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램프 반사판(12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램프(121)와, 램프 반사판(122)과, 확산판(123)은 수납 용기에 수납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 용기는 바텀 몰프 프레임(124)과 바텀 샤시(125)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텀 몰드 프레임(124)과 바텀 샤시(125)는 후크로 인해 확실하게 결 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텀 몰드 프레임(124)은 사각 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램프(12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측벽면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또한, 상기 측벽면의 상단에는 상기 확산판(123)이 안착되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바텀 샤시(125)는 상부면이 개구된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바텀 샤시(125)의 내부에는 소정 깊이의 수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 공간에는 상기 램프 반사판(122)이 설치되고, 상기 램프 반사판(122)의 상부에는 상기 램프(121)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램프(121)로부터 발생된 상기 제1 광의 일부는 상기 확산판(123)으로 바로 입사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램프 반사판(122)을 통해 상기 확산판(123) 측으로 반사된다. 상기 제1 광은 상기 확산판(123)에 의해 확산되어 넓은 범위의 각도를 갖는 제2 광으로 출사된다.
한편, 상기 확산판(123) 상에는 어퍼(upper) 몰드 프레임(130)이 배치되고, 상기 어퍼 몰드 프레임(130)에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이 안착된다. 이후, 상기 액정표시패널(110) 위로 상기 바텀 샤시(125)와 대향하여 결합하는 탑 샤시(140)가 제공됨으로써, 상기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100)가 완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프 반사판(122)은 플랫한 판으로 구성되고, 그위로 상기 램프가 배치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램프(121)들 중 중앙부에 배치된 램프를 제1 램프(121a)라 정의하고, 최외각에 배치된 램프를 제2 램프(121b)라고 정의한다. 상기 제1 램프(121a)의 양옆에는 각각 램프가 배치되지만, 상기 제2 램프(121b)의 일측에만 램프가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휘도 분포 곡선(15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의 양단부에서의 휘도가 중앙부에서의 휘도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다. 따라서, 상기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100)는 화면 전체적으로 불균일한 휘도 분포를 갖게되고, 더 나아가서는 상기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100)의 표시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확산판(123)과 램프(121)와의 수직 거리(d1)가 항상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어, 상기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100)의 화면의 휘도를 부분적으로 조정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휘도를 부분적으로 조정을 할 수 있는 백 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백 라이트 어셈블리를 채용한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백 라이트 어셈블리는, 제1 광을 발생하기 위한 다수의 램프, 상기 제1 광의 휘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제2 광을 출사하기 위한 광 확산 부재, 및 상기 램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광 확산 부재와의 수직 거리가 상이하도록 상기 램프들과 상기 광 확산 부재를 수납하고, 상기 제1 광을 상기 광 확산 부재로 반사하기 위한 수납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다른 목적은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광을 발생하기 위한 다수의 램프, 상기 제1 광의 휘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제2 광을 출사하기 위한 광 확산 부재, 상기 램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광 확산 부재와의 수직 거리가 상이하도록 상기 램프들과 상기 광 확산 부재를 수납하고, 상기 제1 광을 상기 광 확산 부재로 반사하기 위한 수납 부재, 상기 제2 광을 제공받아 액정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패널, 및 상기 수납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상기 수납 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한 탑 샤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다수의 램프로부터 발생된 광을 확산판으로 반사하는 램프 반사판은 상기 램프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확산판과의 수직 거리가 상이하도록 상기 램프들을 수납한다. 따라서,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면서 휘도를 부분적으로 조정을 할 수 있는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를 절단선 A-A`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100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200)와, 상기 액정표시 패널 어셈블리(200)로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 라이트 어셈블리(300)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200)는 액정표시패널(210), 데이터 인쇄회로기판(220), 게이트 인쇄회로기판(230), 데이터측 TCP(240) 및 게이트측 TCP(250)로 구성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210)은 화면을 구현하고, TFT 기판(211), 상기 TFT 기판(211)과 마주보는 컬러필터기판(213) 및 상기 TFT 기판(211)과 컬러필터기판(213)과의 사이에 주입된 액정(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TFT 기판(211)은 스위칭 소자인 TFT(미도시)가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투명한 유리기판이다. 상기 TFT들의 소오스 및 게이트 단자에는 각각 데이터 및 게이트 라인이 연결되고, 드레인 단자에는 투명한 도전성 재질인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이하, ITO)로 이루어진 화소전극이 형성된다. 상기 TFT 기판(211)에 대향하여 구비된 상기 컬러필터기판(213)은 통과되는 광에 의해 소정의 색으로 발현되는 색화소인 RGB 화소가 박막공정에 의해 형성된 기판이다. 상기 컬러필터기판(213)의 전면에는 ITO로 이루어진 공통전극이 도포되어 있다.
상기 액정표시패널(21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 라인은 상기 데이터측 TCP(240)를 통해 상기 데이터 인쇄회로기판(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게이트 라인은 상기 게이트측 TCP(250)를 통해 상기 게이트 인쇄회로기판(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수신한 상기 데이터 및 게이트 인쇄회로기판(220, 230)은 상기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200)의 구동 및 구동 시기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 및 타이밍 신호를 상기 데이터측 및 게이트측 TCP(240, 250)를 통해 상기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으로 각각 전송한다.
한편, 상기 백 라이트 어셈블리(300)는 제1 광을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램프(310)와, 상기 제1 광을 확산시켜 균일한 휘도 분포를 갖는 제2 광을 출사시키기 위한 확산판(330)과, 수납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램프(310)와 확산판(330)은 상기 수납 부재에 수납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 부재는 램프 반사판(320)과, 바텀 몰프 프레임(340)과, 바텀 샤시(350)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에는 8개의 램프를 갖는 8등식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램프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텀 몰드 프레임(340)과 바텀 샤시(350)는 후크로 인해 확실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램프 반사판(320)은 상기 바텀 몰드 프레임(340)과 바텀 샤시(350)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위로 안착된다.
상기 바텀 몰드 프레임(340)은 사각 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램프(3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측벽면(341)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또한, 상기 측벽면(341)의 상단에는 상기 확산판(330)이 안착되는 단턱(34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바텀 샤시(350)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측벽들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이 개구된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바텀 샤시(350)의 내부에는 소정 깊이의 수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 공간에는 상기 램프 반사판(320)이 설치되고, 상기 램프 반사판(320)의 상부에는 상기 램프(310)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램프 반사판(320)은 상기 바텀 몰드 프레임(340)의 측벽면을 따라 연장된 제1 및 제2 경사면(322, 323)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바텀 몰드 프레임(340)이 측벽면은 상기 램프 반사판(320)은 상기 제1 및 제2 경사면(322, 323)의 구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램프 반사판(320)과 대면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바텀 몰드 프레임(340)의 측벽면에는 상기 램프(310)의 양단부와 체결되는 고정부(미도시)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램프(310)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텀 몰드 프레임(340)의 측벽면에는 상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램프들(31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 경사면(322) 상에 배치되는 최외각 램프들의 높이가 나머지 램프들의 높이보다 높기 때문에 상기 바텀 몰드 프레임(340)의 측벽면 중 최외각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의 위치도 그에 따라 변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광의 일부는 상기 확산판(330)으로 바로 입사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램프 반사판(320)을 통해 상기 확산판(330) 측으로 반사된다. 상기 제1 광은 상기 확산판(330)에 의해 확산되어 넓은 범위의 각도를 갖는 제2 광으로 출사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프 반사판(320)의 양단부에는 각각 두 개 이상의 경사면(322, 323)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램프 반사판(320)은 상기 확산판(330)과 평행한 플랫면(321)과, 상기 플랫면(321)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제1 각(α1)으로 기울어져 형성된 제1 경사면(322)과, 상기 플랫면(321)과 제2 각 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제1 경사면(322)으로부터 연장된 제2 경사면(323)을 구비한다.
상기 램프(310)는 상기 플랫면(321) 및 상기 제1 경사면(322) 상에 각각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램프(310) 중 상기 플랫면(321) 상에 배치되는 램프를 제1 램프(311)로 정의하고, 상기 제1 경사면(322) 상에 배치되는 램프를 제2 램프(312)로 정의한다. 상기 제1 램프(311)와 상기 확산판(330)과의 수직 거리(d1)는 상기 제2 램프(312)와 상기 확산판(330)과의 수직 거리(d2)보다 넓다. 즉, 상기 제2 램프(312)는 상기 제1 램프(311)보다 상기 확산판(330)과의 이격 거리가 좁기 때문에 상기 확산판(330)의 양단부로 제공되는 상기 제1 광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각(α1)은 상기 제2 각(α2)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각(α2)은 상기 제1 각(α1)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각(α2)을 상기 제1 각(α1)보다 크게 함으로써, 상기 제1 경사면(322) 상에 배치된 상기 제2 램프(312)로부터의 광을 효율적으로 상기 확산판(33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각(α1)은 0°보다는 크고 180°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2 각(α2)은 0°보다는 크고 상기 제1 각(α1)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최외각에 배치된 상기 제1 램프(311)와 상기 확산판(330)과의 수직 거리(d1)를 나머지 램프들(312)과 상기 확산판(330)과의 수직 거리(d2)보다 좁게 함으로써 상기 확산판(330)의 양단부에서의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휘도 분 포 곡선(600)과 같이, 상기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1000)의 화면 전체적으로 휘도가 균일해진다.
여기서, 상기 램프(310)와 상기 램프 반사판(320)과의 수직 거리는 동일하고, 상기 각 램프(310)의 밝기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 부재에 상기 램프(310)와, 확산판(330)이 순차적으로 수납되면, 그 위로 어퍼 몰드 프레임(400)이 제공된다. 상기 어퍼 몰드 프레임(400)은 상기 확산판(330)을 상기 바텀 몰드 프레임(350)에 고정시킨다.
즉, 상기 어퍼 몰드 프레임(400)은 내측벽으로부터 돌출된 안착면이 형성된 사각 띠 형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어퍼 몰드 프레임(400)은 상기 확산판(330)과 면접하여 상기 확산판(330)을 상기 바텀 몰드 프레임(350) 측으로 가압한다. 또한, 상기 어퍼 몰드 프레임(400)의 안착면 상에는 상기 액정표시패널(210)이 안착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210)의 상부에는 상/하면이 개구된 꺽쇠 형상을 갖는 탑 샤시(500)가 제공된다. 상기 탑 샤시(500)는 상기 바텀 샤시(350)와 결합하여서 상기 액정표시패널(210)을 상기 바텀 샤시(350)에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탑 샤시와 상기 바텀 샤시는 후크 또는 스크류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결합 구조로써 상기 탑 샤시와 상기 바텀 샤시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C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 라이트 어셈블리(300)는 하나 이상의 램프(310)와, 확산판(330)과, 이들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재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수납 부재는 램프 반사판(320)과, 바텀 몰프 프레임(340)과, 바텀 샤시(350)로 이루어진다.
도 5에는 8개의 램프를 갖는 8등식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램프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램프 반사판(320)은 플랫면(321)과, 상기 플랫면(321)으로부터 제1 각(α1)으로 기울어진 제1 경사면(322)과, 상기 플랫면(321)으로부터 제2 각(α2)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제1 경사면(322)으로부터 연장된 제2 경사면(32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플랫면(321)은 상기 램프(310)와 램프(310) 사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돌출부(321c)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321c)는 상기 플랫면(321)으로부터 제3 각(α3)으로 기울어진 제3 경사면(321a)과, 상기 플랫면(321)으로부터 제4 각(α4)으로 기울어진 제4 경사면(321b)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3 및 제4 경사면(321a, 321b)이 만나면서 하나의 피치를 형성한다.
상기 돌출부(321c)는 상기 제3 및 제4 경사면(321a, 321b)에 의해 상기 램프(310)로부터의 광을 반사하여 상기 램프(310)와 램프(310) 사이 영역의 휘도를 보상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램프 반사판(320)에 상기 돌출부(321c)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돌출부(321c)와 상기 바텀 샤시(350)와의 사이에 수납 공간을 마련된다.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램프(310)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일단부와 대향하는 타단부까 지 연장되는 리턴 와이어(미도시)를 수납한다. 따라서, 상기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1000)의 조립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D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110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200)와, 상기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200)로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 라이트 어셈블리(300)를 포함한다.
상기 백 라이트 어셈블리(300)는 제1 광을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램프(310)와, 상기 제1 광을 확산시켜 균일한 휘도 분포를 갖는 제2 광을 출사시키기 위한 확산판(330)과, 수납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램프(310)와 확산판(330)은 상기 수납 부재에 수납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 부재는 램프 반사판(360)과, 바텀 몰드 프레임(340)과, 바텀 샤시(350)로 이루어진다.
도 7에는 8개의 램프를 갖는 8등식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램프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램프 반사판(360)은 상기 확산판(330)과 평행한 제1 플랫면(361)과, 상기 제1 플랫면(361)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제1 각(α1)으로 기울어져 형성된 제1 경사면(362)과, 상기 제1 경사면(362)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플랫면(361)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2 플랫면(363)과, 상기 제2 플랫면(363)의 단부로부터 제2 각(α2)으로 기울어져 형성된 제2 경사면(364)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각(α1)과 제2 각(α2)은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각(α1)은 0°보다는 크고 180°보다는 작고, 상기 제2 각(α2)도 0°보다는 크고 180°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램프(310)는 상기 제1 플랫면(361) 및 상기 제2 플랫면(363) 상에 각각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램프(310) 중 상기 제1 플랫면(361) 상에 배치되는 램프를 제1 램프(311)로 정의하고, 상기 제2 플랫면(363) 상에 배치되는 램프를 제2 램프(312)로 정의한다.
이때, 상기 제1 램프(311)와 상기 확산판(330)과의 수직 거리(d1)는 상기 제2 램프(312)와 상기 확산판(330)과의 수직 거리(d3)보다 크다. 즉, 상기 제2 램프(312)와 상기 확산판(330)과의 이격 거리(d3)가 작기 때문에 상기 제2 램프(312)로부터 발생된 광의 조사 거리가 상기 제1 램프(311)로부터 발생된 광의 조사 거리보다 짧아진다. 따라서, 상기 액정표시패널(210)의 양단부로 제공되는 광양이 증가된다. 이로써, 상기 액정표시패널(210)의 양단부 측에서의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으로써 상기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1100)의 전체적인 휘도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텀 몰드 프레임(340)의 측벽면은 상기 램프 반사판의 형상에 상응하여 변경된다.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바텀 몰드 프레임(340)의 측벽면에는 상기 램프(310)의 양단부와 체결되는 고정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 플랫면(322)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제1 램프들(311)의 상기 바텀 샤시(350)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상기 제2 램프들(312)의 높이보다 높기 때문에 상기 바텀 몰드 프레임(340)의 측벽면 중 최외각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의 위치도 그에 따라 변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샤시를 채용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120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200)와, 상기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200)로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 라이트 어셈블리(300)를 포함한다.
상기 백 라이트 어셈블리(300)는 제1 광을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램프(310)와, 상기 제1 광을 확산시켜 균일한 휘도 분포를 갖는 제2 광을 출사시키기 위한 확산판(330)과, 수납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램프(310)와 확산판(330)은 상기 수납 부재에 수납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 부재는 램프 반사판(370)과, 바텀 몰프 프레임(340)과, 바텀 샤시(350)로 이루어진다.
도 9에는 8개의 램프를 갖는 8등식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램프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램프(310)와 상기 확산판(330)의 거리는 상기 확산판(330)의 중앙부로 갈수록 좁아진다. 즉, 상기 램프 반사판(370)은 상기 확산판(330)의 중앙부를 향하여 기울어진 하나 이상의 경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중앙부로부터 출사되는 상기 제2 광을 휘도를 증가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램프 반사판(370)은 상기 확산판(330)으로부터 제1 각(α1)으로 기울어진 제1 경사면(371)과, 상기 확산판(330)으로부터 제2 각(α2)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중앙부에서 상기 제1 경사면(371)과 면접촉하는 제2 경사면(372)과 상기 제2 경사면(372)의 일단부로부터 제3 각(α3)으로 기울어져 연장된 제3 경사면(373)과, 상기 제1 경사면(371)의 일단부로부터 제4 각(α4)으로 기울어져 연장된 제4 경사면(373)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 경사면(371)과 상기 제2 경사면(372)이 만나는 피치(375)는 상기 확산판(330)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경사면(371)은 상기 확산판(330)과 평행한 가상선으로부터 제1 각(α1)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제2 경사면(372)은 상기 가상선으로부터 제2 각(α2)으로 기울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각은 0°보다는 크고 90°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 각은 -90°보다는 크고 0°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각(α1)과 제2 각(α2)의 절대값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3 각(α3)과 제4 각(α4)의 절대값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램프 반사판(370)은 상기 제1 각(α1)과 상기 제2 각(α2)을 서로 다르게 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럴 경우, 상기 제1 경사면(371)과 상기 제2 경사면(372)이 만나는 피치(375)는 상기 확산판(330)의 중앙부로부터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게 된다.
한편, 상기 램프(310)는 상기 제1 경사면(371) 및 상기 제2 경사면(372) 상에 각각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램프(310)와 상기 램프 반사판(370)과의 수직 거 리는 동일하고, 상기 각 램프(310)의 밝기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램프(310) 중 상기 중앙부에 배치된 램프를 제1 램프(311)로 정의하고, 상기 양단부에 배치되는 램프를 제2 램프(312)로 정의하면, 상기 제1 램프(311)와 상기 확산판(330)과의 수직 거리(d4)는 상기 제2 램프(312)와 상기 확산판(330)과의 수직 거리(d5)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제1 램프(312)로부터 발생된 광의 조사 거리가 상기 제2 램프(311)로부터 발생된 광의 조사 거리보다 짧아진다. 이로써, 상기 액정표시패널(210)의 중앙부로 제공되는 광양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로 제시된 상기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120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210)의 중앙부에서의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램프(310)의 양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바텀 몰드 프레임(340)의 측벽면에는 상기 램프(310)의 양단부와 체결되기 위한 고정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상기 램프(310)는 상기 확산판(330)의 중앙부를 향하여 기울어진 상기 램프 반사판(370)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램프(310)와 상기 확산판(330)의 거리도 상기 중앙부로 갈수록 가까워진다. 여기서, 상기 바텀 몰드 프레임(340)의 고정부는 상기 램프(310)의 위치에 상응하여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의 위치도 상기 중앙부로 갈수록 상기 확산판(330)에 가깝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샤시(355)는 상기 램프 반사판(370)과 동일한 표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텀 샤시(355)는 상기 램프 반사판(370)이 안착되는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을 둘러싸고 있는 측벽들로 이루어진 다. 이때, 상기 안착면은 상기 램프 반사판(370)의 제1 경사면(371)과 평행한 제3 경사면(355a)과, 상기 제2 경사면(372)과 평행한 제4 경사면(355b)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제1 경사면(371)은 상기 제3 경사면(355a)과 대면하고, 상기 제2 경사면(372)은 상기 제4 경사면(355b)과 대면한다.
이러한 바텀 샤시(355)를 채용하게 되면, 상기 바텀 샤시(355)의 배면에는 산 형상을 갖는 공간(355c)이 마련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공간(355c)은 상기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1200)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실장할 수 있는 수납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1200)를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회로 기판 등을 상기 수납 공간(355c)에 실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램프 반사판(370)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바텀 샤시(355)를 채용함으로써, 상기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1200)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130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200)와, 상기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200)로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 라이트 어셈블리(300)를 포함한다.
상기 백 라이트 어셈블리(300)는 제1 광을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램프(310)와, 상기 제1 광을 확산시켜 균일한 휘도 분포를 갖는 제2 광을 출사시키기 위한 확산판(330)과, 수납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램프(310)와 확산판(330)은 상기 수 납 부재에 수납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 부재는 램프 반사판(380)과, 바텀 몰프 프레임(340)과, 바텀 샤시(390)로 이루어진다.
도 11에는 8개의 램프를 갖는 8등식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램프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램프 반사판(380)은 상기 제1 광을 상기 확산판(330) 측으로 반사하고, 상기 확산판(330)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일단부와 마주보는 타단부를 향하여 기울어진 하나 이상의 경사면을 구비한다. 상기 제2 광의 휘도를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까지 점차적으로 증가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램프 반사판(380)은 상기 확산판(330)과 제1 각(α1)으로 기울어진 제1 경사면(381)과, 상기 제1 경사면(381)의 제1 단부로부터 제2 각(α2)으로 기울어진 제2 경사면(382)과, 상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1 경사면(381)의 제2 단부로부터 제3 각(α3)으로 기울어진 제3 경사면(383)을 구비한다. 상기 확산판(330)은 상기 제1 경사면(381)과 평행한 가상선으로부터 상기 제1 각(α1)으로 기울어져 있다.
상기 제1 각(α1)은 0°보다는 크고 90°보다는 작은 범위에 존재한다. 또한, 상기 제2 각(α2)은 0°보다는 크고 180°보다는 작은 범위 내에 있고, 상기 제3 각(α3)은 0°보다는 크고 180°보다는 작은 범위 내에 있다.
상기 램프(310)는 상기 제1 경사면(381) 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램프(310)와 상기 램프 반사판(380)과의 수직 거리는 동일하고, 상기 각 램프(310) 의 밝기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확산판(330)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상기 램프(310)와 확산판(330)과의 이격 거리가 짧아짐으로써, 상기 액정표시패널(210)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상기 램프(310)로부터 입사되는 광양이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제5 실시예로써 제시된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130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210)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점차적으로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램프(310)의 양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바텀 몰드 프레임(340)의 측벽면에는 상기 램프(310)의 양단부와 체결되기 위한 고정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상기 램프(310)는 상기 확산판(330)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기울어진 상기 램프 반사판(380)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램프(310)와 상기 확산판(330)의 거리도 상기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가까워진다. 여기서, 상기 바텀 몰드 프레임(340)의 고정부는 상기 램프(310)의 위치에 상응하여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의 위치도 상기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상기 확산판(330)에 가깝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바텀 샤시(390)는 상기 램프 반사판(380)과 동일한 표면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텀 샤시(390)는 상기 램프 반사판(380)이 안착되는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을 둘러싸고 있는 측벽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안착면은 상기 램프 반사판(380)의 제1 경사면(381)과 평행하고 상기 제1 경사면(381)과 대면하는 제3 경사면(391)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바텀 샤시(390)의 배면에는 산 형상을 갖는 공간(395)이 마련 된다. 상기 공간(395)은 상기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1300)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실장할 수 있는 수납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1300)의 전체적인 사이즈가 절감된다.
한편, 도 11에서 상기 램프 반사판(380)의 상기 제1 경사면(381)이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하여 기울어진 것을 제시하였지만, 상기 제1 경사면(381)이 상기 타단부로부터 상기 일단부를 향하여 기울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램프로부터 발생된 광을 확산판으로 반사하는 램프 반사판은 상기 램프와 상기 확산판과의 수직 거리가 상이하도록 상기 램프를 수납한다. 이때, 상기 확산판의 양단부에서 상기 최외각에 배치된 램프와 상기 확산판과의 수직 거리를 다른 램프들과 상기 확산판과의 수직 거리보다 좁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확산판의 양단부에서의 휘도를 보상한다.
이로써 상기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화면의 전체적인 휘도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상기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 반사판의 형상을 변경하여 상기 확산판과 램프와의 수직 거리를 적절하게 변화시키면서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의 중앙부 또는 특성 부위의 휘도를 자유롭게 향상 또는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를 부분적으로 조정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제1 광을 발생하기 위한 다수의 램프들;
    상기 제1 광의 휘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제2 광을 출사하기 위한 광 확산 부재; 및
    상기 램프들과 상기 광 확산 부재를 수납하고, 상기 제1 광을 상기 광 확산 부재로 반사하기 위한 수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 부재는
    상기 광 확산 부재와 평행한 플랫부와, 상기 플랫부로부터 제1 각으로 기울어지고 양단부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연장된 제1 경사부 및 상기 플랫부로부터 상기 제1 각보다 작은 제2 각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제1 경사부로부터 연장된 제2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들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광을 상기 광 확산 부재로 반사하는 램프 반사판;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측벽들로 이루어져, 상기 램프 반사판 및 상기 램프를 수납하는 바텀 샤시; 및
    상기 바텀 샤시와 결합하고, 상기 램프의 양단부와 체결되어 상기 램프를 지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며, 상기 광 확산 부재가 안착되는 몰드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램프들은 상기 플랫부 및 상기 제1 경사부 위에 배치되고, 상기 램프들 중 상기 플랫부 위에 배치된 램프와 상기 광 확산 부재와의 수직 거리는 모두 동일하며, 상기 제1 경사부 위에 배치된 램프와 상기 광 확산 부재와의 거리는 상기 플랫부 위에 배치된 상기 램프의 수직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광을 발생하기 위한 다수의 램프들;
    상기 제1 광의 휘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제2 광을 출사하기 위한 광 확산 부재; 및
    상기 램프들과 상기 광 확산 부재를 수납하고, 상기 제1 광을 상기 광 확산 부재로 반사하기 위한 수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 확산 부재와 평행한 제1 플랫부와, 상기 제1 플랫부로부터 제1 각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양단부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연장된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플랫부와 평행하고 상기 제1 경사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제2 플랫부 및 상기 제2 플랫부로부터 제2 각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제2 플랫부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2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램프들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광을 상기 광 확산 부재로 반사하는 램프 반사판;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측벽들로 이루어져, 상기 램프 반사판 및 상기 램프를 수납하는 바텀 샤시; 및
    상기 바텀 샤시와 결합하고, 상기 램프의 양단부와 체결되어 상기 램프를 지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며, 상기 광 확산 부재가 안착되는 몰드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램프들은 상기 제1 플랫부 및 상기 제2 플랫부 위에 배치되고, 상기 램프들 중 상기 제1 플랫부 위에 배치된 램프와 상기 광 확산 부재와의 수직 거리는 모두 동일하며, 상기 제2 플랫부 위에 배치된 램프와 상기 광 확산 부재와의 거리는 상기 제1 플랫부 위에 배치된 상기 램프의 수직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어셈블리.
  7. 삭제
  8. 제1 광을 발생하기 위한 다수의 램프들;
    상기 제1 광의 휘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제2 광을 출사하기 위한 광 확산 부재; 및
    상기 램프와 상기 광 확산 부재와의 거리가 상기 광 확산 부재의 중앙부로 갈수록 짧아지도록 상기 램프들과 상기 광 확산 부재를 수납하고, 상기 제1 광을 상기 광 확산 부재로 반사하기 위한 수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 부재는
    상기 램프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광을 상기 광 확산 부재 측으로 반사하는 램프 반사판;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측벽들로 이루어져, 상기 램프 반사판 및 상기 램프를 수납하기 위한 바텀 샤시; 및
    상기 바텀 샤시와 결합하고, 상기 램프의 양단부와 체결되어 상기 램프를 지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며, 상기 광 확산 부재가 안착되는 몰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어셈블리.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반사판은,
    상기 광 확산 부재로부터 제1 각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광 확산 부재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중앙부를 향하는 제1 경사부;
    상기 광 확산 부재로부터 제2 각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광 확산 부재의 일단부와 대향하는 타단부로부터 상기 중앙부를 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중앙부에서 상기 제1 경사부와 연결되는 제2 경사부;
    상기 제2 경사부로부터 제3 각으로 기울어져 외측으로 연장된 제3 경사부; 및
    상기 제1 경사부로부터 제4 각으로 기울어져 외측으로 연장된 제4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는 상기 중앙부를 향하여 산 형상으로 돌출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들은 상기 공간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어셈블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과 제2 각의 절대값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어셈블리.
  14. 삭제
  15. 제1 광을 발생하기 위한 다수의 램프;
    상기 제1 광의 휘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제2 광을 출사하기 위한 광 확산 부재;
    상기 램프들과 상기 광 확산 부재를 수납하는 수납 부재;
    상기 제2 광을 제공받고 액정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패널; 및
    상기 수납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상기 수납 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탑 샤시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 부재는 상기 광 확산 부재와 평행한 제1 플랫부와, 상기 플랫부로부터 제1 각으로 기울어지고 양단부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연장된 제1 경사부 및 상기 플랫부로부터 상기 제1 각보다 작은 제2 각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제1 경사부로부터 연장된 제2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들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광을 상기 광 확산 부재로 반사하는 램프 반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램프들은 상기 제1 플랫부 및 상기 제1 경사부 위에 배치되고, 상기 램프들 중 상기 제1 플랫부 위에 배치된 램프와 상기 광 확산 부재와의 수직 거리는 모두 동일하며, 상기 제1 경사부 위에 배치된 램프와 상기 광 확산 부재와의 거리는 상기 제1 플랫부 위에 배치된 상기 램프의 수직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
  16. 삭제
  17. 제1 광을 발생하기 위한 다수의 램프;
    상기 제1 광의 휘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제2 광을 출사하기 위한 광 확산 부재;
    상기 램프와 상기 광 확산 부재와의 거리가 상기 광 확산 부재의 중앙부로 갈수록 짧아지도록 상기 램프들과 상기 광 확산 부재를 수납하고, 상기 제1 광을 상기 광 확산 부재로 반사하기 위한 수납 부재;
    상기 제2 광을 제공받고 액정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패널; 및
    상기 수납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상기 수납 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탑 샤시를 포함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는,
    상기 제1 광을 상기 광 확산 부재 측으로 반사하고, 상기 광 확산 부재의 중앙부를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부를 구비하여 상기 중앙부로부터 출사되는 상기 제2 광의 휘도를 증가시키는 램프 반사판;
    상기 램프 반사판의 표면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측벽들로 이루어져 상기 램프 반사판과, 상기 램프를 수납하기 위한 바텀 샤시; 및
    상기 바텀 샤시와 결합하고, 상기 램프의 양단부와 체결되어 상기 램프를 지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며, 상기 광 확산 부재가 안착되는 몰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
  19. 삭제
KR1020020035132A 2002-06-22 2002-06-22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 KR100873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132A KR100873085B1 (ko) 2002-06-22 2002-06-22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
JP2003094262A JP2004029738A (ja) 2002-06-22 2003-03-31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US10/404,806 US7259810B2 (en) 2002-06-22 2003-04-01 Backlight assembly having particular lamp and reflecting plate arrangement and direct lighting type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TW092107642A TW200400388A (en) 2002-06-22 2003-04-03 Backlight assembly and direct lighting type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NB031382169A CN100378538C (zh) 2002-06-22 2003-05-27 背光组件和直接照明式液晶显示装置
US11/617,259 US7352418B2 (en) 2002-06-22 2006-12-28 Backlight assembly and direct lighting type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132A KR100873085B1 (ko) 2002-06-22 2002-06-22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625A KR20040000625A (ko) 2004-01-07
KR100873085B1 true KR100873085B1 (ko) 2008-12-09

Family

ID=29728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132A KR100873085B1 (ko) 2002-06-22 2002-06-22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259810B2 (ko)
JP (1) JP2004029738A (ko)
KR (1) KR100873085B1 (ko)
CN (1) CN100378538C (ko)
TW (1) TW2004003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068B1 (ko) * 2002-06-28 2008-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TWI257016B (en) * 2003-03-11 2006-06-21 Hannstar Display Corp Direct type backlight unit having liftable frame structure
KR100965183B1 (ko) * 2003-12-30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평판표시장치
DE102004025266A1 (de) * 2004-05-19 2005-12-08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Beleuchtungssystem mit einem Gehäuse und einer darin angeordneten Flachlampe
CN100345048C (zh) * 2004-07-22 2007-10-24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背光组件的固定装置
KR101075593B1 (ko) * 2004-08-27 2011-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60032398A (ko) * 2004-10-12 2006-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KR20060085011A (ko) * 2005-01-21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TWI263098B (en) 2005-02-16 2006-10-0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module
KR101095999B1 (ko) * 2005-02-22 2011-1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CN100386680C (zh) * 2005-02-23 2008-05-07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背光模块
KR20060098912A (ko) 2005-03-09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효율이 우수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JP2006351215A (ja) * 2005-06-13 2006-12-28 Seiko Epson Corp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の製造方法、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
KR100666961B1 (ko) * 2005-08-18 2007-01-10 주식회사 파이컴 백 라이트 장치
US20080247722A1 (en) * 2005-09-19 2008-10-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Waveguide and Lighting Device
KR100667817B1 (ko) * 2005-09-26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직하발광형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적용한 칼라 필터를사용하지 않는 액정표시장치
JP4592549B2 (ja) * 2005-09-26 2010-12-01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4522935B2 (ja) * 2005-09-30 2010-08-11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バックライト照明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192756B1 (ko) * 2005-12-19 2012-10-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JP4244990B2 (ja) * 2005-12-21 2009-03-25 船井電機株式会社 面状光源装置
TWI339293B (en) * 2005-12-23 2011-03-21 Direct type backlight module
KR101299129B1 (ko) 2006-03-16 2013-08-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모듈
TWI353473B (en) * 2006-06-06 2011-12-0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2008003254A (ja) 2006-06-21 2008-01-10 Idemitsu Kosan Co Ltd 光線反射用多層シート、これを用いた反射器、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363587B1 (ko) * 2006-07-19 2014-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4118324B2 (ja) * 2006-10-26 2008-07-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源装置、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
US7690811B2 (en) * 2006-11-17 2010-04-06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for improved backlight illumination uniformity
KR101330374B1 (ko) * 2006-11-29 2013-1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08158432A (ja) * 2006-12-26 2008-07-10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DE202007005456U1 (de) * 2007-04-16 2007-06-28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Beleuchtungssystem mit einer Flachlampe und einem Rahmen
KR101385205B1 (ko) * 2007-07-25 2014-04-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선한 액정표시장치
JP4533414B2 (ja) * 2007-09-05 2010-09-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照明装置および該照明装置を用いた表示装置
WO2009107512A1 (ja) * 2008-02-27 2009-09-03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CN101576684B (zh) * 2008-05-05 2010-12-08 冠捷投资有限公司 直下式背光模块
US20100209082A1 (en) * 2008-05-30 2010-08-19 Alta Devices, Inc. Heating lamp system
JP4530082B2 (ja) * 2008-07-31 2010-08-25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00021094A (ko) * 2008-08-14 2010-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휘도보정방법
JP5047930B2 (ja) * 2008-11-26 2012-10-10 パナソニック液晶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平面プレート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569076B1 (ko) * 2009-09-09 2015-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렌즈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11033835A1 (ja) * 2009-09-15 2011-03-24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CN102498332B (zh) * 2009-09-16 2014-05-07 夏普株式会社 照明装置、显示装置和电视接收装置
CN201983118U (zh) * 2011-03-22 2011-09-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直下式背光源结构和底反射装置
US9752753B2 (en) * 2012-03-14 2017-09-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30108683A (ko) * 2012-03-26 2013-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9140931B2 (en) * 2012-04-18 2015-09-22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172170B1 (ko) * 2014-03-14 2020-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
US9885911B2 (en) 2014-03-14 2018-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JP6273968B2 (ja) * 2014-03-28 2018-02-07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4515043A (zh) * 2014-12-31 2015-04-1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及显示装置
KR102334862B1 (ko) 2015-07-21 2021-12-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395088B1 (ko) * 2015-11-26 2022-05-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547734B1 (ko) * 2016-07-04 2023-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06338039A (zh) * 2016-10-28 2017-01-18 东莞勤上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路灯
KR102046766B1 (ko) * 2017-11-09 2019-1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N108037612A (zh) * 2017-11-30 2018-05-15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CN209087286U (zh) * 2019-01-08 2019-07-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5240541A (zh) * 2021-04-23 2022-10-25 纬联电子科技(中山)有限公司 支撑背板及其薄型化直下式显示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65A (ja) * 1991-02-19 1993-01-08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照明装置
JPH07234405A (ja) * 1994-02-24 1995-09-05 Sony Corp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H08201803A (ja) * 1995-01-31 1996-08-09 Fujimi Koki Kk パネル用バックライト
US5648827A (en) * 1995-06-22 1997-07-15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Backlighting system for liquid crystal displays having a non-planar fluorescent lamp
JP2001272659A (ja) * 2000-03-24 2001-10-05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KR20010095406A (ko) * 2000-03-30 2001-11-07 윤종용 직하타입의 액정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0236A (ja) * 1974-10-29 1976-05-01 Kurihara Shigeru Shinkujochakuhoho
US4242725A (en) 1977-12-01 1980-12-30 Sun Chemical Corporation Light reflector structure
JPH0650766B2 (ja) * 1985-09-27 1994-06-29 株式会社東芝 半導体メモリ装置
JPH06273761A (ja) 1993-03-17 1994-09-30 Sony Corp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DE69423552T2 (de) * 1993-08-10 2000-09-07 Canon Kk Flüssigkristallanzeige
US6269565B1 (en) * 1994-11-28 2001-08-07 Smartlight Ltd. Display device
JP3086609B2 (ja) 1994-12-27 2000-09-11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用照明装置
TW426203U (en) * 1996-09-18 2001-03-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Backlight luminaire
JP3247643B2 (ja) * 1997-09-10 2002-01-21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JPH11311781A (ja) 1998-02-26 1999-11-09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直下式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2124112A (ja) * 2000-08-07 2002-04-26 Sharp Corp バックライト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2082624A (ja) * 2000-09-08 2002-03-22 Advanced Display Inc 面状光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状表示装置
JP3808301B2 (ja) * 2000-10-17 2006-08-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65A (ja) * 1991-02-19 1993-01-08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照明装置
JPH07234405A (ja) * 1994-02-24 1995-09-05 Sony Corp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H08201803A (ja) * 1995-01-31 1996-08-09 Fujimi Koki Kk パネル用バックライト
US5648827A (en) * 1995-06-22 1997-07-15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Backlighting system for liquid crystal displays having a non-planar fluorescent lamp
JP2001272659A (ja) * 2000-03-24 2001-10-05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KR20010095406A (ko) * 2000-03-30 2001-11-07 윤종용 직하타입의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59810B2 (en) 2007-08-21
CN1467551A (zh) 2004-01-14
KR20040000625A (ko) 2004-01-07
US20030234896A1 (en) 2003-12-25
US20070103937A1 (en) 2007-05-10
JP2004029738A (ja) 2004-01-29
CN100378538C (zh) 2008-04-02
TW200400388A (en) 2004-01-01
US7352418B2 (en) 2008-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3085B1 (ko)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
US1022254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0897745B1 (ko)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
KR101232045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60019654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90060748A (ko) 표시 장치, 상부 수납 용기 및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KR20070023271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45558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114759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0923017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88117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0731307B1 (ko)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KR20070011751A (ko) 액정 표시 장치의 샤시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60266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70078467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70120759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60018727A (ko) 표시장치
KR20060044015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70079182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04253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050092245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20040079237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060028535A (ko) 백라이트 유닛
KR20070002153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70030048A (ko) 액정 표시 장치용 수납 부재 및 그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