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191B1 - Method and device for character inputt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ouch screen - Google Patents

Method and device for character inputt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ouch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191B1
KR100866191B1 KR1020070018380A KR20070018380A KR100866191B1 KR 100866191 B1 KR100866191 B1 KR 100866191B1 KR 1020070018380 A KR1020070018380 A KR 1020070018380A KR 20070018380 A KR20070018380 A KR 20070018380A KR 100866191 B1 KR100866191 B1 KR 100866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input
selection window
touch screen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3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78363A (en
Inventor
이광용
조경선
타냐래 앤더슨
신근호
조범수
권성
원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8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191B1/en
Publication of KR20080078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3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1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에 표시 가능한 수만큼의 문자열을 일렬로 출력하고 문자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선택창을 제공하여, 터치 입력이 있을 경우 문자열을 좌우로 이동시켜 선택창 안의 문자를 변경시킨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터치 입력을 통해 문자열을 이동시킴으로써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은 키패드가 없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이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input method and apparatu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the number of strings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n a line and provides a selection window for facilitating the selection of a character, thereby changing the characters in the selection window by moving the character string left and right when there is a touch input. . In this way, the user can select and input a desired character by moving the character string through the touch input. Such a method provides an advantage that character inpu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a keypad can be conveniently performed.

문자 입력, 키패드 Character input, keypad

Description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HARACTER INPUTT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OUCH SCREEN}TECHNICAL AND METHOD AND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TOUCH SCREEN {METHOD AND DEVICE FOR CHARACTER INPUTT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OUCH SCREEN}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을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ext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의 예시도,2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for inputting a charac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3 is a control flowchart for inputting a numb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4 is a control flowchart for inputting tex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삭제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5 is a control flowchart for deleting a charact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 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text inpu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e same.

이동 통신 단말기들은 다양한 디자인의 모델들이 개발되면서 점점 소형화되고 경량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최근에는 키패드(Keypad)를 포함하지 않은 시계 타입이나 목걸이 타입 등의 컴팩트한 디자인의 이동 통신 단말기들이 개발되고 있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becoming smaller and lighter as models of various designs are developed. In particular, recentl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ing a compact design such as a watch type or a necklace type that do not include a keypad have been developed.

종래의 키패드가 없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쿼티(QWERTY) 자판이나 키패드 모양을 화면에 그대로 출력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나 광 조이스틱(Optical Joystic)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a keypad outputs a QWERTY keyboard or keypad shape as it is on the screen. The user can then enter characters using a touch screen or optical joystic.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정된 화면 크기로 인하여 문자 입력 방식에 심각한 불편함과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의 크기가 작을 경우 화면 크기의 한계로 인하여 자판이 모두 출력되기가 어렵다. 또한, 자판이 화면에 작게 출력되더라도 너무 작은 자판으로 인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정확한 선택 입력을 받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새로운 입력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limited screen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rious inconvenience and problems are caused in the text input method. For example, when the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mall, it is difficult to output all keyboards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screen size. In addition, even if the keyboard is small on the screen, it is difficult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receive the correct selection input from the user due to the too small keyboard. Therefore, a new input method user interface is required.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키패드를 가지고 있지 않은 이동 통신 단말기는 작은 화면으로 인한 키패드 디스플레이의 한계와 문자 입력에 대한 정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does not have a conventional keypad has a problem that the limitation of the keypad display due to the small screen and the accuracy of character input are deteriorated.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작은 화면을 고려하여 터치 스크린에 키패드를 효율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의 키 입력이 편리하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input method and apparatu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for efficiently displaying a keypad on a touch screen in consideration of a small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or user's key input to be conveniently performed. to provide.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좌우 폭 내에 표시 가능한 수만큼의 문자열을 키 영역에 일렬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된 문자열에서 가운데 위치한 문자를 상기 키 영역 중심에 고정된 선택창에 확대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창을 기준으로 좌우 어느 한쪽에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 있을 경우 상기 문자열을 이동시켜 상기 선택창 안의 문자를 변경시키는 과정과, 상기 선택창 안의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선택창 안의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 있을 경우 상기 선택창 안의 문자를 입력 영역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aracter inpu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the process of outputting as many strings as possible i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a touch screen on a key region in a line; And expanding and outputting a character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output string to a selection window fixed to the center of the key region,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input for selecting a character on either side of the selection window based on the selection window; If there is an input for selecting the character, changing the character in the selection window by moving the character string,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input for selecting a character in the selection window, and determining the character in the selection window. If there is an input for selecting the includes the step of outputting the character in the selection window to the input area It features.

또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키패드를 구성하는 문자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들로 구성된 문자열 및 상기 문자열의 중심에 위치한 문자를 확대 출력하는 선택창이 표시되는 키 영역과 상기 선택창을 통한 입력에 대응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입력 영 역을 표시하며 키 영역에서의 터치 입력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과,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문자열을 이동시켜 상기 선택창 안의 문자를 변경하고, 상기 선택창 안에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 있을 경우 상기 선택창 안의 문자를 상기 입력 영역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character input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comprising: a memory for storing characters constituting a keypad, a character string composed of characters stored in the memory, and a character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haracter string; 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a key area on which a selection window is displayed and an input area for displaying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an input through the selection window, and outputting a signal according to a touch input in the key area; And a controller for changing a character in the selection window by moving the character string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display, and outputting the character in the selection window to the input area when there is an input for selecting a character in the selection window. It is don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에 표시 가능한 수만큼의 문자열을 일렬로 출력하고 문자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선택창을 제공하여, 터치 입력이 있을 경우 문자열을 좌우로 이동시켜 선택창 안의 문자를 변경시킨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터치 입력을 통해 문자열을 이동시킴으로써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은 키패드가 없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이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input method and apparatu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the number of strings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n a line and provides a selection window for facilitating the selection of a character, thereby changing the characters in the selection window by moving the character string left and right when there is a touch input. . In this way, the user can select and input a desired character by moving the character string through the touch input. Such a method provides an advantage that character inpu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a keypad can be conveniently performed.

이하,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을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를 보인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ext inpu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이동 통신 단말기는 메모리(100), 터치 스크린(Touch Screen)(110), 키 입력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메모리(100)는 이동 통신 단말 기의 키패드(Keypad)를 구성하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 영어 알파벳의 대문자와 소문자, 숫자 및 특수 문자들(이하, 문자라 칭함)을 저장한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110)은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100)에 저장된 문자들을 표시하고 선택된 문자를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110)은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이 있을 경우, 터치 입력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130)에 출력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memory 100, a touch screen 110, a key input unit 120, and a controller 130. First, the memory 100 stores consonants and vowels of Korean characters constituting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pper and lower case letters of English alphabet, numbers, and special charact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haracters). The touch screen 110 displays the characters stored in the memory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and outputs the selected characters. In addition, when there is a touch input from the user, the touch screen 110 outputs a signal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to the controller 130.

키 입력부(120)는 메뉴키와 취소키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방향키 및 광 조이스틱(Optical Joystic)도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메뉴키와 취소키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소프트키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key input unit 120 includes a menu key and a cancel key, and may include a direction key and an optical joystic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while, the menu key and the cancel key may be implemented as soft key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30)는 메모리(100)에 저장된 문자들을 일렬로 터치 스크린(110)에 표시 가능한 수만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10)의 터치 입력에 따른 신호 및 광 조이스틱의 입력에 따른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한다. 이어 제어부(130)는 수신된 신호에 대응되는 문자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통신 단말기는 키패드를 일부만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화면 사용에 대한 경제성을 높이고, 터치 입력이 있을 경우 문자열을 이동시켜 사용자에게 원하는 문자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 The controller 130 outputs the characters stored in the memory 100 in the number of lines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0. The controller 130 receives one of a signal according to a touch input of the touch screen 110 and a signal corresponding to an input of an optical joystick. Subsequently,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touch screen 110 to output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ignal on the scr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mproves the economics of using the screen by displaying only a part of the keypad on the screen, and provides the convenience of allowing the user to select a desired character by moving a character string when there is a touch input.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 예시도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의 예시도이다.Hereinafter, a screen examp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2 (a) and 2 (b) are exemplary views of a screen for inputting a charac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a)는 숫자를 입력받기 위한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동 통신 단 말기의 화면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있다. First, FIG. 2A illustrates a screen for receiving a number.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mposed of a touch screen.

도 2(a)를 참조하면, 상단의 입력창(200)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숫자를 출력하며 하단의 키패드창(202)은 키패드를 구성하는 숫자들을 화면에 표시 가능한 수만큼 일렬로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는다. 숫자 입력의 경우, 사용자는 숫자(0~9) 외에도 '_(한칸 띄어 쓰기), .(마침표), ,(쉼표), #, +, *' 등의 특수 문자도 선택할 수 있다. 키패드창(202)의 가운데 위치한 동그라미는 선택창(204)을 나타내며 그 위치는 고정되어 있다. 선택창(204)은 입력된 숫자를 확대 출력하며, 사용자의 해당 숫자 사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선택창(204) 안에 출력된 숫자 '8'을 확대 출력함으로써 입력창(200)에 입력할 것인지의 여부를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체크한다. 이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선택창(204) 안의 터치 입력이 있으면, 사용자가 해당 숫자인 '8'을 사용할 것으로 판단하여 입력창(200)에 '8'을 출력한다. 그리고 선택창 안의 터치 입력 대신에, 키패드창(202)에서 선택창(204)을 중심으로 좌우 어느 한쪽이 터치가 되면 터치된 쪽을 기준으로 선택창(204)이 있는 방향으로 숫자열 전체가 한 개씩 옆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선택창(204) 안의 숫자는 변경이 되고, 사용자는 원하는 숫자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선택창(204) 안의 숫자가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그 선택창(204) 안의 터치 입력을 받아 선택창(204) 안의 숫자를 입력창(200)에 출력한다. 이와 같은 숫자 입력 방식은 키패드를 화면에 모두 표시하지 않고도 사용자에게 숫자가 확대 표시되는 선택창을 제공함으로써 키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 Referring to FIG. 2 (a), the upper input window 200 outputs the numbers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lower keypad window 202 outputs the numbers constituting the keypad in a line as many as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Receive touch input. In the case of numeric input, the user can select special characters such as '_ (single space),. (Period),, (comma), #, +, *' as well as numbers (0-9). The circle in the middle of the keypad window 202 represents the selection window 204 and its position is fixed. The selection window 204 enlarges and outputs the input number and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uses the corresponding number. For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ecks whether or not to input the number '8' outputted in the selection window 204 through the user's touch input by enlarging and outputting the number '8'. In this case, when there is a touch input in the selection window 204,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user will use the corresponding number '8' and outputs '8' to the input window 200. Instead of the touch input in the selection window, when either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keypad window 202 is touched around the selection window 204, the entire number string is arrang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lection window 204 is located based on the touched side. The dog will move side by side. Accordingly, the number in the selection window 204 is changed, the user can select the desired numb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a touch input in the selection window 204 from the user while the number in the selection window 204 is displayed and outputs the number in the selection window 204 to the input window 200. Such a number input method provides a convenience of facilitating key selection by providing a selection window in which numbers are enlarged and displayed to a user without displaying all keypads on the screen.

한편, 숫자의 선택은 터치 입력 외에 광 조이스틱(206)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광 조이스틱(206)은 터치 스크린 외부에 별도로 장착되어 있으며 내장된 센서를 통해 손가락이 움직이는 방향을 감지한다. 그러면 키패드창(202)의 숫자들은 광 조이스틱(206)을 통해 감지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선택창(204) 안의 숫자는 광 조이스틱(206)이 한 번 터치될 경우 입력창(200)에 출력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뉴키(208)는 사용자에게 한글의 자음과 모음, 영어 알파벳의 대문자와 소문자, 숫자(특수 문자 포함)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한다. 그리고 취소키(210)는 입력된 문자를 삭제할 때 사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lection of the number may be performed via the optical joystick 206 in addition to the touch input. The optical joystick 206 is separately mounted outside the touch screen and senses a direction in which a finger moves through a built-in sensor. The numbers in the keypad window 202 then move in the direction detected through the light joystick 206. The number in the selection window 204 is output to the input window 200 when the optical joystick 206 is touched onc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nu key 208 provides a user with a menu for selecting any one of a consonant and a vowel in Korean, upper and lower case letters in English alphabet, and numbers (including special characters). The cancel key 210 is used to delete the input character.

이하,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인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b)에서 문자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 영어 알파벳의 대문자와 소문자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문자가 영어 알파벳의 대문자로 설정된 경우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 2 (b) which is a screen of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text. In FIG. 2 (b), the letter may be any one of a consonant and a vowel of a Korean alphabet and a capital letter and a lowercase letter of an English alphabe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a case where a letter is set to an uppercase letter of an English alphabet.

도 2(b)를 참조하면, 상단의 입력창(212)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선택된 문자를 출력하며, 하단의 키패드창(214)은 키패드를 구성하는 문자들을 일렬로 출력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다. 키패드창(214)의 가운데 위치한 동그라미는 도 2(a)와 마찬가지로 선택창(216)을 의미하며, 문자 입력의 경우 선택창(216) 안에는 3~4개의 그룹 단위로 구성된 문자들이 출력된다. 그리고 선택창(216)을 중심으로 좌우 어느 한쪽이 터치가 되면 'ABC, DEF, GHI, JKL, MNO, PQRS, TUV, WXYZ'의 순서로 구성된 문자열은 그룹 단위로 움직이게 된다. 그러면 선택창(216) 안의 문자들은 문자열의 이동으로 달라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한 번의 터치 입력이 있을 경우 선택창(216) 안의 문자들 중 가장 왼쪽에 있는 첫 번째 문자가 입력창(212)에 출력이 되며, 두 번의 터치 입력이 있을 경우에는 왼쪽에서 두 번째 있는 문자가 출력이 된다. 즉, 선택창(216) 안이 터치된 횟수에 따라 출력되는 문자는 달라지게 된다. 한편, 도 2(a)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는 광 조이스틱(218)을 사용하여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메뉴키(220)와 취소키(222)의 기능도 도 2(a)에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Referring to FIG. 2 (b), the upper input window 212 outputs a selected character through a user's touch input, and the lower keypad window 214 outputs the characters constituting the keypad in a line to touch the user. Take input The circl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keypad window 214 means the selection window 216 as in FIG. 2 (a), and in the case of text input, characters composed of 3 to 4 group units are output in the selection window 216. If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lection window 216 is touched, a string consisting of 'ABC, DEF, GHI, JKL, MNO, PQRS, TUV, WXYZ' moves in groups. Then the characters in the selection window 216 is changed by the movement of the string. At this time, if there is only one touch input from the user, the first character on the left of the characters in the selection window 216 is output to the input window 212, and if there are two touch inputs, the second character from the left is displayed. The character is printed. That is, the output characters vary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inside of the selection window 216 is touched. Meanwhile, as in the case of FIG. 2A, the user may perform character input using the optical joystick 218. Since the functions of the menu key 220 and the cancel key 222 are also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A,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키패드를 화면에 일렬로 표시하는 방식은 키패드를 모두 표시하지 않고도 키 선택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키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As such,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keypads in a line on the screen provides an advantage of allowing the user to efficiently input keys by facilitating key selection without displaying all the keypads.

이하,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인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a)를 참조한다.Hereinafter, a control flowchart for inputting number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n FIG. 3,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reference is made to FIG. 2A.

도 3을 참조하면, 숫자 입력 모드를 수행하고 있는 제어부(130)는 300 단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의 화면의 좌우 폭 내에 표시 가능한 수만큼의 숫자열을 출력한다. 여기서, 숫자열은 0부터 차례대로 일렬로 출력이 되며, 화면에 출력되는 숫자의 개수는 화면의 좌우 폭 크기에 따라 유연하게 변경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in operation 300, the controller 130 performing the numeric input mode outputs as many numeric strings as can be displayed withi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screen of the user interface 110. Here, the number strings are output in a line from 0 in order, and the number of numbers displayed on the screen may be flexibly changed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screen.

제어부(130)는 310 단계로 진행하여 출력된 숫자열에서 가운데 위치한 숫자를 선택창에 확대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320 단계에서 선택창을 중심으로 좌우 어느 한쪽이 터치되었는지 판단하여 터치 입력이 있으면 330 단계로 진행하고, 터치 입력이 없으면 340 단계로 진행한다.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310 and enlarges and outputs the number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outputted numeric string in the selection window. In operation 320,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lection window has been touched, and if so,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330. If there is no touch input,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340.

터치 입력이 있어 330 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30)는 숫자열을 이동시킨다. 한 번의 터치 입력으로 숫자들은 하나씩 옆으로 이동하며, 이동 방향은 현재 터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선택창이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선택창을 기준으로 왼쪽 부분이 터치된 경우를 설명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숫자들을 오른쪽 방향으로 하나씩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340 단계에서 선택창 안의 숫자를 변경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선택창 안에 출력된 숫자는 숫자열의 이동으로 인해 '8'에서 '7'로 바뀌게 된다. 또한 이동하기 전 가장 오른쪽에 위치했던 숫자 '1'은 화면에서 사라지고, 가장 왼쪽에는 화면에 표시되지 않았던 숫자 '4'가 출력이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볼 때 숫자열의 이동은 결과적으로 키패드창의 숫자들 즉, 키패드를 새롭게 변경시키는 기능을 한다. The control unit 130 proceeds to step 330 with a touch input to move the numeric string. With a single touch input, the numbers move side by side,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is in the direction of the selection window around the current touched pos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the left part is touched based on the selection window will be described. Accordingly, the controller 130 moves the numbers one by one in the right direction. Then, the controller 130 changes the number in the selection window in step 3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displayed in the selection window is changed from '8' to '7' due to the movement of the numeric string. In addition, the number '1' located on the right side before the move disappears from the screen, and the number '4', which is not displayed on the left side, is output. Looking at the process like this, the movement of the sequence of numbers results in the change of the numbers of the keypad window, that is, the keypad.

제어부(130)는 350 단계에서 선택창이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선택창이 터치되지 않았으면 제어부(130)는 이전 단계로 되돌아가고, 선택창이 터치 되었으면 360 단계로 진행하여 선택창 안의 숫자를 입력창에 출력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하나의 숫자를 입력할 때마다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터치 스크린에서의 터치 입력 이외에도 광 조이스틱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광 조이스틱을 조정하여 숫자들을 좌우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원하는 숫자가 선택창 안에 표시될 경우 광 조이스틱을 터치하여 해당 숫자가 입력창에 출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보다 편리하게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selection window is touched in step 350. If the selection window is not touched, the controller 130 returns to the previous step, and if the selection window is touched,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360 and outputs the number in the selection window to the input window. This process is repeatedly performed every time a single number is input, and may be performed using the optical joystick in addition to the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In this case, the user adjusts the light joystick with a finger to move the numbers left and right. When the desired number is displayed in the selection window, the user touches the optical joystick to output the number in the input window.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with a variety of interfaces to conveniently perform character input.

이하,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인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서 문자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 영어 알파벳의 대문자와 소문자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b)를 참조한다.Hereinafter, a control flowchart for inputting a tex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In FIG. 4, the letter may be any one of a consonant and a vowel of Korean, an uppercase letter and a lowercase letter of an English alphabet, and refer to FIG. 2B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4를 참조하면, 문자 입력 모드를 수행하고 있는 제어부(130)는 400 단계에서 화면의 좌우 폭 내에 표시 가능한 수만큼의 문자열을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410 단계에서 출력된 문자열에서 가운데 위치한 문자들을 선택창에 확대 출력한다. 문자 입력의 경우 제어부(130)는 3~4개의 문자들 하나의 문자로 간주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설정된 문자가 영어 알파벳의 대문자일 경우에는 'ABC, DEF, GHI, JKL, MNO, PQRS, TUV, WXYZ' 와 같이 문자들이 각각의 그룹 단위로 묶이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선택창에는 3~4개의 문자들이 출력된다.Referring to FIG. 4, in operation 400, the controller 130 outputs as many character strings as can be displayed withi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screen. The controller 130 enlarges and outputs the character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tring output in step 410 to the selection window. In the case of character input, the controller 130 considers and outputs one character among three to four characters. For example, if the set letter is an uppercase letter of the English alphabet, the letters are grouped into groups such as 'ABC, DEF, GHI, JKL, MNO, PQRS, TUV, WXYZ'. For this reason, three to four characters are displayed in the selection window.

제어부(130)는 420 단계에서 선택창을 중심으로 좌우 어느 한쪽이 터치되었는지 판단한다. 그래서 제어부(130)는 터치 입력이 없을 경우 450 단계로 진행하고 터치 입력이 있을 경우 430 단계로 진행한다.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lection window has been touched in step 420. Thus, if there is no touch input,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450 and if there is a touch input, proceeds to step 430.

터치 입력이 있어 430 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30)는 문자열을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왼쪽 방향이 터치된 경우를 설명한다. 430 단계에서 한 번의 터치 입력으로 문자들은 3~4개씩 이동되며, 이동 방향도 전술한 숫자 입력 방법과 마찬가지로 터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선택창이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키패드창에 출력된 문자들이 오른쪽 방향으로 3~4개씩 이동된다. 그러면 44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선택창 안의 문자들을 변경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선택창 안에 출력된 문자는 'PQRS'에서 'MNO'로 바뀌게 된다. 그리고 이동되기 전 'MNO'의 자리에는 화면에 출력되지 않았던 'JKL'이 표시되며 'TUV'는 화면에서 사라지게 된다. The controller 130 moves to the character string in step 430 due to the touch inpu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the left direction is touched will be described. In step 430, the characters are moved three to four by one touch input, and the movement direction is mad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lection window is based on the touched position as in the above-described number input metho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s printed on the keypad window are moved by three to four in the right direction. Then, in step 440, the controller 130 changes the characters in the selection window. That i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output in the selection window is changed from 'PQRS' to 'MNO'. And before moving, 'JKL'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MNO' and 'TUV' disappears from the screen.

문자열의 이동이 끝난 후, 제어부(130)는 450 단계에서 선택창이 터치되었는지 판단하여 터치되었을 경우 460 단계로 진행하고, 터치가 없을 경우 이전 단계로되돌아간다. After the movement of the character string is finished,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selection window is touched in step 450 and proceeds to step 460 when touched, and returns to the previous step when there is no touch.

460 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30)는 터치 횟수를 계산한다. 터치 횟수의 최대값은 선택창 안에 출력된 문자의 개수로 설정되며, 터치 횟수가 최대값을 초과한 경우 제어부(130)는 그 값을 다시 1로 설정하여 계산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선택창 안에 3개의 문자가 출력되었을 경우에 제어부(130)는 터치 횟수의 최대값을 3으로 설정한다. 제어부(130)는 만약 4번의 터치 입력이 있어 터치 횟수가 최대값인 3을 초과한 경우에는, 한 번의 터치 입력이 있을 때와 동일한 문자를 출력한다.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460 and calculates the number of touches. The maximum value of the number of touches is set to the number of characters output in the selection window. When the number of touches exceeds the maximum value, the controller 130 sets the value to 1 again and calculates the value. For example, when the three characters are output in the selection window, the controller 130 sets the maximum value of the number of touches to three. If there are four touch inputs and the number of touches exceeds the maximum value of 3, the controller 130 outputs the same characters as when there is one touch input.

터치 횟수가 파악되었으면 제어부(130)는 470 단계에서 터치 횟수에 대응하는 문자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터치 횟수가 한 번일 경우 선택창 안의 문자열 'MNO'에서 첫 번째 문자인 'M'을 입력창에 출력한다. 그리고 터치 횟수가 두 번일 경우 제어부(130)는 두 번째 문자인 'N'을 출력하고, 터치 횟수가 세 번일 경우 세 번째 문자인 'O'을 출력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전술한 도 3의 경우와 같이 광 조이스틱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If the number of touches is determined, the controller 130 outputs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ouches in operation 47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number of touches is one time, the controller 130 outputs the first letter 'M' from the string 'MNO' in the selection window to the input window. When the number of touches is two times, the controller 130 outputs the second character 'N', and when the number of touches is three times, the controller 130 outputs the third character 'O'. This process may be performed using an optical joystick as in the case of FIG. 3 described above.

전술한 바와 같이 글자 입력의 경우, 3~4개의 글자가 하나로 묶여 이동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글자를 좀 더 손쉽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character input,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character more easily by moving three to four letters into one.

이하,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삭제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인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trol flowchart for deleting a charact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를 참조하면, 문자 입력 모드를 수행하고 있는 제어부(130)는 500 단계에서 문자 입력을 수행한다. 여기서 문자 입력은 한글의 자음과 모음, 영어 알파벳의 대문자와 소문자, 숫자 및 특수 문자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됨을 말하며, 수행되는 입력 과정은 도 3 및 도 4에서 전술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ler 130 performing the text input mode performs text input in step 500. Here, the character input means that any one of consonants and vowels of Korean alphabet, upper and lower case letters, numbers, and special characters of the English alphabet is input. Since the input process i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어부(130)는 510 단계에서 입력창이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입력창이 터치되지 않았다면 제어부(130)는 이전 단계로 되돌아가고, 터치되었다면 520 단계로 진행한다. 520 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30)는 입력창에 편집 표시를 한다. 즉, 제어부(130)는 입력창에 커서를 깜박이는 등의 표시를 하여 사용자에게 입력창이 편집되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다.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window is touched in step 510. If the input window is not touched, the controller 130 returns to the previous step, and if touched,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520. The control unit 130 proceeds to step 520 displays the edit display on the input window. That is, the controller 130 displays a blinking cursor on the input window to inform the user that the input window is edited.

이어 제어부(130)는 530 단계에서 취소키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취소키가 입력되었을 경우 54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모든 과정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입력창의 터치와 취소키의 입력으로 문자 삭제를 수행한다.In operation 530,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a cancel key is input. If the cancel key is input,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540, otherwise, the controller 130 ends all proce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 deletion is performed by a touch of an input window and an input of a cancel key.

입력창의 터치와 취소키의 입력으로 540 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30)는 취소키 눌림 시간을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550 단계에서 산출된 취소키 눌림 시간을 통해 취소키가 길게 눌려졌는지, 짧게 눌려졌는지 판단한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취소키가 눌려진 시간을 산출한 후 산출된 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했는지 체크한다. 산출된 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했을 경우 제어부(130) 는 취소키가 길게 눌려진 것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짧게 눌려진 것으로 판단한다. The control unit 130 proceeds to step 540 by the touch of the input window and the input of the cancel key calculates the cancel key pressed time.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cancel key is long pressed or short pressed through the cancel key pressed time calculated in step 550. That is, the controller 130 calculates the time when the cancel key is pressed by the user and checks whether the calculated time exceeds the reference time. If the calculated time exceeds the reference time,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at the cancel key is pressed long, and if not, determines that the cancel key is pressed shortly.

취소키가 길게 눌려졌을 경우 제어부(130)는 560 단계로 진행하여 입력창의 모든 문자를 삭제한다. 그리고 취소키가 짧게 눌려졌을 경우 제어부(130)는 입력창의 마지막 문자를 삭제한다. 즉, 이 경우 제어부(130)는 가장 늦게 입력창에 출력된 문자를 한 개 삭제한다. 이처럼 입력된 문자를 삭제하는 과정은 사용자에게 문자 입력의 편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준다. If the cancel key is pressed for a long time,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560 to delete all characters of the input window. When the cancel key is shortly pressed, the controller 130 deletes the last character of the input window. That is,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0 deletes one of the most recently displayed characters in the input window. Such a process of deleting the input character gives the user the convenience of making it easier to edit the character input.

한편 본 발명 실시 예에서는 입력창의 터치와 취소키 입력을 통해 문자 삭제를 수행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입력창 터치 및 취소키 입력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문자 삭제를 수행함이 가능하다. 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is deleted through the touch of the input window and the cancel key input, but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may be deleted through any one of the touch of the input window and the cancel key input.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키패드를 한 줄로 출력하는 새로운 입력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키 표시를 명확하게 하여 키 선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별도의 키패드를 추가하지 않음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체적인 디자인이 깔끔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준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input method for outputting the keypad in a single line, thereby providing an advantage of increasing the accuracy of key selection by clarifying the key display.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overall desig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neatly implemented by not adding a separate keypa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키패드가 없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 자판을 화면에 모두 표시하지 않고도 문자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이나 광 조이스틱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문자의 선택을 좀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vantage of facilitating text input without displaying all keypad keypads on a scree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a keypa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venience that makes it easier for the user to select a character by using a touch screen or an optical joystick.

Claims (13)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키패드창에 좌우 폭 내에 표시 가능한 수만큼의 문자열을 일렬로 출력하는 과정과,Outputting as many strings as possible in the left and right width on the keypad window of the touch screen in a row; 상기 출력된 문자열에서 가운데 위치한 문자를 상기 키패드창 중심에 고정된 선택창에 확대 출력하는 과정과,Expanding and outputting a character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outputted text to a selection window fixed to the center of the keypad window; 상기 선택창을 기준으로 좌우 어느 한쪽에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input for selecting a character on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based on the selection window; 상기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 있을 경우 상기 문자열을 이동시켜 상기 선택창 안의 문자를 변경시키는 과정과,Changing a character in the selection window by moving the character string when there is an input for selecting the character; 상기 선택창 안의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input for selecting a character in the selection window; 상기 판단 결과 선택창 안의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 있을 경우 상기 선택창 안의 문자를 입력창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And if there is an input for selecting a character in the selection window, outputting the character in the selection window to the input window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창에 출력된 문자열은,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aracter string output to the keypad window, 한글, 영어 및 숫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Korean, English and number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angul, 자음 및 모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consonants and vowel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어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nglish, 알파벳의 대문자 및 소문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of the alphabe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number is, 특수 문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comprising a special charac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의 이동은,According to claim 1, The movement of the string, 상기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 수신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선택창이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for moving to the direction of the selection window based on the position where the input for selecting the character is receiv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의 이동은,According to claim 1, The movement of the string, 한글 및 영어 중 어느 하나일 경우 미리 지정된 개수만큼의 단위로 이동하고, 숫자일 경우 한 개의 단위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of a unit of a predetermined number if the one of Korean and English, and one unit if the nu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창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lection window, 한글 및 영어 중 어느 하나일 경우 미리 지정된 개수만큼의 문자를 확대 표시하고, 숫자일 경우 한 개의 문자를 확대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In the case of any one of Korean and English, a predetermined number of characters are displayed in an enlarged manner, and in the case of numbers, one character is enlarged and displayed.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창 안의 문자를 입력창에 출력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outputting of the text in the selection window to the input window comprises: 상기 선택창 안의 문자가 한글 및 영어 중 어느 하나일 경우 상기 선택창 안에 상기 선택창 안의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 횟수를 파악하는 과정과,Determining the number of inputs for selecting a character in the selection window in the selection window when the character in the selection window is one of Korean and English; 상기 입력 횟수에 대응되는 위치에 출력된 문자를 상기 입력창에 출력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outputting the character output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number to the input window.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for selecting the character, 상기 선택창을 기준으로 좌우 어느 한쪽 부분의 터치 입력 및 광 조이스틱(Optical Joystick)의 입력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can be performed via any one of the touch input of the left and right of the selection window and the input of the optical joystick (Optical Joystic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창 안의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for selecting a character in the selection window, 상기 선택창 안의 터치 입력 및 광 조이스틱(Optical Joystick)의 입력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can be performed through any one of the touch input in the selection window and the input of the optical joystick (Optical Joystick).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키패드를 구성하는 문자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A memory for storing characters constituting the keypad,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들로 구성된 문자열 및 상기 문자열의 중심에 위치한 문자를 확대 출력하는 선택창이 표시되는 키패드창과 상기 선택창을 통한 입력에 대응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입력창을 표시하며 상기 키패드창에서의 터치 입력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과,And a keypad window displaying a character string composed of characters stored in the memory and a character selection window that enlarges and outputs a character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haracter string, and an input window displaying characters corresponding to an input through the selection window. The touch screen outputting a signal according to a touch input;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문자열을 이동시켜 상기 선택창 안의 문자를 변경하고, 상기 선택창 안에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 있을 경우 상기 선택창 안의 문자를 상기 입력창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A control unit for changing a character in the selection window by moving the character string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touch screen, and outputting a character in the selection window to the input window when there is an input for selecting a character in the selection window. Character input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된 위치 정보들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여 상기 터치 입력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광 조이스틱(Otical Joystick)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further comprising an optical joystick for detecting a movement of a finger and transferring the detected posi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so as to perform the same operation as the touch input. Character input device in.
KR1020070018380A 2007-02-23 2007-02-23 Method and device for character inputt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ouch screen KR1008661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380A KR100866191B1 (en) 2007-02-23 2007-02-23 Method and device for character inputt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380A KR100866191B1 (en) 2007-02-23 2007-02-23 Method and device for character inputt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ouch scr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363A KR20080078363A (en) 2008-08-27
KR100866191B1 true KR100866191B1 (en) 2008-10-30

Family

ID=39880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380A KR100866191B1 (en) 2007-02-23 2007-02-23 Method and device for character inputt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ouch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19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017B1 (en) 2015-12-23 2017-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Input device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8843A (en) * 2003-12-12 2005-06-1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Korean language input method using direction ke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8843A (en) * 2003-12-12 2005-06-1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Korean language input method using direction ke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363A (en) 200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34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character ambiguity during text entry
US9176668B2 (en) User interface for text input and virtual keyboard manipulation
KR100478020B1 (en) On-screen key input device
KR10108566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KR1013910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200201363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phanumeric data entry using a keypad
KR20000064556A (en) Key input device
KR201100180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screen in poratable terminal
JP4602417B2 (en) Character input device
AU2004220994B2 (en) Character arrangements, input methods and input device
WO2003067417A1 (en) Input device, mobile telephone, and mobile information device
JP2012088750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program for electronic apparatus
US8922492B2 (en) Device and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KR20060101367A (en)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number key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KR101039284B1 (en) Touch type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KR20110003130A (en) Method for inputting letter in a mobile phone
KR20100121218A (en) Method for letter inputting of touch screen
JP4886797B2 (en) Software keyboard display method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KR100866191B1 (en) Method and device for character inputt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ouch screen
KR101744124B1 (en) Character and function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to dual fuction of inputs and ouputs in character outputs area
EP1701243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improved display and selection of disambiguation choices, and associated method
EP1701242B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word correction facility
JP2004310543A (e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 input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399150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KR100846042B1 (en) The method of providing more bigger effect of butt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