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087B1 -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087B1
KR100866087B1 KR1020070018485A KR20070018485A KR100866087B1 KR 100866087 B1 KR100866087 B1 KR 100866087B1 KR 1020070018485 A KR1020070018485 A KR 1020070018485A KR 20070018485 A KR20070018485 A KR 20070018485A KR 100866087 B1 KR100866087 B1 KR 100866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liding cam
elastic deformation
tooth
de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8403A (ko
Inventor
모정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8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087B1/ko
Publication of KR20080078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70Comminuted, e.g. emulsified, fish products; Processed products therefrom such as pastes, reformed or compress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레버에 의해 이동가능한 슬라이딩캠(130)에 의해 결합되어 단자를 접속시키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레버(110)에 형성된 제1 치부(111)와 상기 슬라이딩캠(130)에 형성된 제2 치부(131)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해 회전이동 가능한 레버의 회전시에, 상기 슬라이딩캠이 이동하여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시켜 단자를 접속가능하게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캠(130)은 상기 제1 커넥터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함몰된 유도부(132)와, 상기 제2 치부와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탄성부(133)와, 상기 탄성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결합부(13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슬라이딩캠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위치결정홈(101)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캠은 상기 돌출결합부가 상기 위치결정홈과 결합하여 상기 제1 커넥터와의 결합위치가 결정되며, 상기 돌출결합부의 상기 적어도 2개의 위치결정홈들 사이에서의 이동은 상기 탄성부의 탄성변형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커넥터, 슬라이딩캠, 레버, 단자.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캠의 작동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캠의 실시예들의 측면도.
본 발명은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레버에 의해 이동가능한 슬라이더에 의해 결합되어 단자를 접속시키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레버에 형성된 제1 치부와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제2 치부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해 회전이동 가능한 레버의 회전시에,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하여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시켜 단자를 접속가능하게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커넥터와 커넥터, 또는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접속장치들을 결합시켜 통전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커넥터는 내부에 단자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나아가 다수개의 단자들을 한개의 커넥터에 수용하기도 한다.
다수개의 단자를 한개의 커넥터에 수용한 커넥터는 다극 커넥터라고도 하며, 이러한 다극 커넥터는 다수개의 단자들이 결합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결합력을 필요로 한다.
특히 단자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단자들을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때 많은 힘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조립 작업시에 작업자에게 불편을 주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많이 사용되는 기술로 레버와 슬라이딩캠을 사용하여 기구학적인 구조에 의해 과도한 결합력을 감당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있다.
상기 레버와 슬라이딩캠을 사용하는 기술은 회전하는 레버에 연결된 슬라이더가 직선운동을 하며, 슬라이더에 형성된 캠에 의해 커넥터들을 이동시켜 단자들을 접속시킨다.
하지만 상기 기술은 슬라이더의 위치를 제대로 제어하지 못하면 슬라이더의 파손이 오거나 커넥터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으며, 나아가 단자의 파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레버의 작동시에 슬라이더의 과도한 이동이나, 슬라이더의 파손에 의한 오작동으로 상당한 주의를 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슬라이더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탄성체를 형성하여 슬라이더의 파손을 방지하고, 작업편의성을 높인 커넥터와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레버에 의해 이동가능한 슬라이딩캠에 의해 결합되어 단자를 접속시키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레버(110)에 형성된 제1 치부(111)와 상기 슬라이딩캠(130)에 형성된 제2 치부(131)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해 회전이동 가능한 레버의 회전시에, 상기 슬라이딩캠이 이동하여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시켜 단자를 접속가능하게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캠(130)은 상기 제1 커넥터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함몰된 유도부(132)와, 상기 제2 치부와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탄성부(133)와, 상기 탄성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결합부(13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슬라이딩캠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위치결정홈(101)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캠은 상기 돌출결합부가 상기 위치결정홈과 결합하여 상기 제1 커넥터와의 결합위치가 결정되며, 상기 돌출결합부의 상기 적어도 2개의 위치결정 홈들 사이에서의 이동은 상기 탄성부의 탄성변형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레버에 의해 이동가능한 슬라이딩캠에 의해 결합되어 단자를 접속시키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레버에 형성된 제1 치부와 상기 슬라이딩캠에 형성된 제2 치부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해 회전이동 가능한 레버의 회전시에 상기 슬라이딩캠이 이동하여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시켜 단자를 접속가능하게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슬라이딩캠(13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캠은 상기 제1 커넥터를 유도할 수 있는 유도부와, 상기 제2 치부와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캠은 상기 돌출결합부가 상기 제1 커넥터에 형성된 위치결정홈과 결합하여 상기 제1 커넥터와의 결합위치가 결정되며 상기 돌출결합부의 이동은 상기 탄성부의 탄성변형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단자와 와이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하지 않았으며, 설명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에 도시되었듯이, 본 발명은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레버(110)와 슬라이딩캠(130)을 포함하여 구성된 다.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단자가 수용되는 단자플레이트(140)와, 상기 단자플레이트가 수용될 수 있는 플레이트수용공간(102)과 상기 슬라이딩캠(130)이 수용되어 이동가능한 슬라이딩공간(103)을 구비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120)와, 상기 커버(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캠(130)과 결합될 수 있는 레버(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슬라이딩캠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위치결정홈(101)을 더 포함한다.
상기 단자플레이트(140)는 상기 제1 단자들이 수용되는 곳으로 다수개의 직사각기둥형의 관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다. 이는 본체(100)의 중심부에 상하측으로 개방된 직사각형 공간인 플레이트수용공간에 수용된다.
한편 본체(100)에는 후술할 슬라이딩캠(130)이 수용되어 이동가능한 슬라이딩공간(103)을 구비하는데, 상기 슬라이딩공간은 전후방이 개방된 구조일 수도 있으며 일방만이 개방된 구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공간은 상측으로 개방된 개구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레버(110)와 슬라이딩캠(130)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커버(120)는 상기 본체(100)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한 결합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본체(100)의 상부를 덮고 있다. 이는 와이어에 연결된 단자의 결합을 안전하게 보존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커버(120)가 올려져 있을 때에는 상기 레버(110)가 상기 커버(120)에 딸려 같이 회전하기 때문에 레버(110)와 슬라이딩 캠(130)의 결합이 해제되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120)가 상기 본체(100)와 접하여 닫힌 상태에서만 후술할 상기 레버(110)의 제1 치부(111)가 상기 슬라이딩캠(130)의 제2 치부(131)와 맞물릴 수 있게 된다.
상기 레버(110)는 상기 커버(120)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캠(130)에 연결되어 운동을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슬라이딩캠(130)과의 결합에 대해 상기 레버(110)는 상기 커버와의 결합수단 주변에 상기 커버(120)에 대한 회전축과 동축으로 요철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나열된 제1 치부(111)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치부(111)는 레버(110)의 회전에 대해 레버(110)의 회전운동을 슬라이딩캠(13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캠(130)은 도 2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110)의 제1 치부(111)와 맞물리는 제2 치부(131)를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제2 커넥터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함몰된 유도부(132)와, 상기 제2 치부와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탄성부(133)와, 상기 탄성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결합부(134)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 치부(131)는 도 1과 같이 슬라이딩캠(13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도부는 슬라이딩캠(130)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치부(131)는 상기 제1 치부(111)와 맞물리는데, 상기 제1 치부(111)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2 치부(131)는 직선상에 형성되어서, 레버(11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경시킨다.
상기 위치결정홈(101)은 도 2에 도시되었듯이, 상기 슬라이딩공간의 하부에 형성되며, 적어도 상기 슬라이딩캠이 상기 제1 커넥터에 가장 깊게 수용된 위치와 상기 제1 커넥터에 가장 얕게 수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캠은 상기 돌출결합부가 상기 위치결정홈과 결합하여 상기 제1 커넥터와의 결합위치가 결정된다. 레버(110)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딩캠(130)이 도 2의 좌우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되는데, 탄성부(133)가 탄성변형되어 도 2에 도시된 상태로 돌출결합부(134)가 본체(100)의 내측 하벽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그와 같이 이동하다가, 위치결정홈(101)에 도달하면, 탄성부(133)의 탄성 변형이 해제되면서, 돌출결합부(134)가 위치결정홈(101)쪽을 향해 복원되면서 돌출결합부(134)가 위치결정홈(101)에 결합된다.
한편 후술할 피유도부가 상기 슬라이딩캠에 결합되기 위해 상기 제1 커넥터를 통과하는 홈과 상기 위치결정홈(101)의 구별이 되지 않아 오결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위치결정홈과 폭을 다르게 하여 결합이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결정홈의 폭을 더 넓게 하고 상기 피유도부의 폭을 좁게 하면, 상기 돌출결합부(134)는 상기 위치결정홈에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캠의 탄성부(133)는 슬라이딩캠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탄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하며, 양단이 슬라이딩캠에 고정된 탄성변형부(135)와, 상기 탄성변형부의 내측으로 상기 탄성변형부의 탄성변형을 수용할 수 있는 변형공간(1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결합부는 상기 탄성변형부의 외측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변형부(135)는 양단이 슬라이딩캠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중단부분에 변이를 주면 탄성이 발생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탄성변형부에 의해 발생한 탄성은 상기 슬라이딩캠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탄성변형부의 내측으로는 비어있는 변형공간(136)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부의 탄성변형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변형공간에 의해 상기 탄성변형부는 변이가 발생할 수 있어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캠에 상기 변형공간에서 상기 탄성변형부와 대향하는 측면에 상기 탄성변형부의 변형을 제한하는 변형제한부(137)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탄성변형부의 변이에 의해 탄성이 발생하더라도, 탄성변형부(135)가 변형제한부(137)에 맞닿게 되어 과도한 변형시 상기 탄성변형부의 재질적인 변형한계를 벗어나서 영구변형이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변형부의 변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변형제한부(137)의 형상으로는 도 3과 같이 상기 탄성변형부측으로 완만하게 돌출되어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돌출된 부분에 의해 상기 탄성변형부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또 다른 가능한 변형제한부(137)의 형상으로, 도 4와 같이 상기 변형제한부는 상기 탄성변형부측으로 두 개의 완만하게 돌출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두 개의 돌출된 부분은 각각 상기 탄성변형부에서 상기 돌출결합부의 양측의 탄성변형부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탄성변형부가 과도한 변형을 일으키면, 상기 두개의 돌출된 부분은 각각 돌출결합부의 양측의 탄성변형부와 접하게 되어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변형제한부(137)의 위치를 다르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되었듯이, 이런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캠은 상기 변형공간에서 상기 탄성변형부가 있는 측면에서 완만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탄성변형부의 변형을 제한하는 변형제한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이때에도 상기 변형제한부의 기능이나 작용은 전술한 것과 다르지 않다.
또한 상기 변형제한부(137)의 또 다른 가능한 구조로, 도 6과 같이 상기 변형제한부는 상기 변형공간에서 상기 탄성변형부가 있는 측면에서 완만하게 돌출된 부분과, 상기 변형공간에서 상기 탄성변형부와 대향하는 측면에 상기 탄성변형부측으로 두 개의 완만하게 돌출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두 개의 돌출된 부분은 각각 상기 탄성변형부에서 상기 돌출결합부의 양측에 형성된 부분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또한 각각의 기능은 전술한 바와 다르지 않다.
상기 슬라이딩캠(130)의 유도부는 도 1에 도시되었듯이 초입부에서 경사를 가지며 상승하도록 형성되어, 후술할 피유도부가 상기 유도부를 따라 상승하여 상기 피유도부가 형성된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시켜 상기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접속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2 커넥터는 도 1에 도시되었듯이, 제2 단자가 수용되는 단자수용부와, 외측면에 상기 슬라이딩캠(130)의 유도부에 유도될 수 있도록 돌출된 피유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 실시예의 작동을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적으로 제2 커넥터를 제1 커넥터측으로 밀착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피유도부(201)를 상기 유도부(132)측으로 밀어넣는다.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해 상기 피유도부가 상기 유도부에 수용되어야만 상기 레 버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슬라이딩캠이 이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피유도부가 유도부측에 들어오게 되면, 작업자는 상기 레버(110)를 당기게 된다. 다만, 이 때에도 상기 커버(120)가 상기 본체(100)와 접하여 닫힌 상태에서만 상기 레버(110)의 제1 치부(111)는 상기 슬라이딩캠(130)의 제2 치부(131)와 맞물릴 수 있어서 작동이 가능하다.
상기 레버(1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레버(110)의 제1 치부(111)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치부(111)와 맞물려 있는 제2 치부(131)는 운동을 전달받게 되어 슬라이딩캠(130)이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도 2에서 상기 슬라이딩캠(130)은 상기 제2 치부(131)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슬라이딩공간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위치결정홈(101)은 상기 슬라이딩캠이 상기 제1 커넥터에 가장 깊게 수용된 위치와 상기 제1 커넥터에 가장 얕게 수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딩캠(130)은 초기에 상기 본체에서 가장 먼 곳에 위치하게 되었다가,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들어가서 슬라이딩공간의 가장 깊은 곳까지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탄성부의 돌출결합부(134)가 초기위치의 위치결정홈(101)에서 상기 탄성변형부(135)의 탄성변형에 의해 나오게 되고, 상기 탄성변형부가 탄성변형된 상태로 다름 위치결정홈까지 이동된다. 이때 상기 탄성변형부의 내측으로 변형제한부(137)가 있기 때문에 탄성변형부는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캠(130)의 유도부는 초입부에서 경사를 가지며 상승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도부에 의해 유도되는 상기 피유도부는 상기 유도부를 따라 상승하 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커넥터도 상승하게 되어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되고, 상기 제1 단자와 제2 단자가 접속된다.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짐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탄성부를 구비한 슬라이딩캠을 사용함에 따라, 슬라이더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과도한 이동에 의한 슬라이더의 파손을 방지하고, 작업편의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9)

  1. 제1 커넥터와, 제1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레버와,
    상기 제1 치부와 맞물리는 제2 치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가 회전하면 상기 제1 치부와 제2 치부의 맞물림에 의하여 이동하여 제2 커넥터를 제1 커넥터에 접속시키며, 상기 제2 커넥터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함몰된 유도부와, 상기 제2 치부에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결합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캠과,
    상기 슬라이딩캠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위치결정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유도부에 의해 유도될 수 있도록 돌출된 피유도부를 외측면에 포함하며,
    상기 돌출결합부가 상기 위치결정홈에 걸려서 상기 슬라이딩캠의 위치가 결정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위치결정홈들 사이에서의 상기 돌출결합의 이동은 상기 탄성부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커넥터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단자를 수용하는 단자플레이트와,
    상기 단자플레이트가 수용될 수 있는 플레이트수용공간과,
    상기 슬라이딩캠이 수용되어 이동가능한 슬라이딩공간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넥터는,
    제2 단자가 수용되는 단자수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상기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캠과 결합될 수 있도록 배열되며,
    상기 레버의 제1 치부는 커버에 대한 레버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요철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캠의 유도부는 초입부에서 경사를 가지며 상승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피유도부가 상기 유도부를 따라 상승하여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시켜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를 접속가능하게 하며,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와 접하여 닫힌 상태에서만 상기 레버의 제1 치부는 상기 슬라이딩캠의 제2 치부와 맞물릴 수 있으며, 상기 레버가 상기 커버에 대해 회전하면 상기 제1 치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치부가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딩캠이 상기 본체의 슬라이딩공간으로 이동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캠의 탄성부는 양단이 슬라이딩캠에 고정된 탄성변형부와, 상기 탄성변형부의 내측으로 상기 탄성변형부의 탄성변형을 수용할 수 있는 변형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결합부는 상기 탄성변형부의 외측에 형성된, 커넥터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캠에는, 상기 탄성변형부가 탄성변형하면 상기 탄성변형부에 맞닿아 상기 탄성변형부의 변형을 제한하는 변형제한부가, 상기 변형 공간에서 상기 탄성변형부와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변형제한부는 상기 탄성변형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변형제한부는 상기 탄성변형부측으로 돌출한 두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커넥터 어셈블리.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캠은 상기 변형공간에서 상기 탄성변형부가 있는 측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있는 변형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캠은, 상기 탄성변형부가 탄성변형하면 상기 탄성변형부에 맞닿아 상기 탄성변형부의 변형을 제한하는 변형제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형제한부는 상기 변형공간에서 상기 탄성변형부가 있는 측면에서 돌출된 부분과, 상기 변형공간에서 상기 탄성변형부와 대향하는 측면에서 상기 탄성변형부쪽으로 돌출하는 두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070018485A 2007-02-23 2007-02-23 커넥터 어셈블리 KR100866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485A KR100866087B1 (ko) 2007-02-23 2007-02-23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485A KR100866087B1 (ko) 2007-02-23 2007-02-23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403A KR20080078403A (ko) 2008-08-27
KR100866087B1 true KR100866087B1 (ko) 2008-10-30

Family

ID=39880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485A KR100866087B1 (ko) 2007-02-23 2007-02-23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0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2448A (en) 1992-02-17 1994-06-21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0933836A2 (en) 1998-01-30 1999-08-04 The Whitaker Corporation Connector with coupling assist mechanism
KR200223312Y1 (ko) * 1999-12-08 2001-05-1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조작레버가 포함된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JP2003317857A (ja) * 2002-04-17 2003-11-07 Tyco Electronics Corp 電気コネクタ
US6685489B1 (en) 2002-10-24 2004-02-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ircuit board leverage mechanis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2448A (en) 1992-02-17 1994-06-21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0933836A2 (en) 1998-01-30 1999-08-04 The Whitaker Corporation Connector with coupling assist mechanism
KR200223312Y1 (ko) * 1999-12-08 2001-05-1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조작레버가 포함된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US6375481B2 (en) 1999-12-08 2002-04-23 Robert Bosch Gmbh Electrical plug and socket connector having an actuating lever
JP2003317857A (ja) * 2002-04-17 2003-11-07 Tyco Electronics Corp 電気コネクタ
US6685489B1 (en) 2002-10-24 2004-02-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ircuit board leverage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403A (ko) 200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09770B1 (en) Electrical connector
US6168445B1 (en) Two-part electrical connector
EP0483853B1 (en) Connector assembly
JP4593480B2 (ja) コネクタ構造
JP5407959B2 (ja) コネクタ
US8025513B2 (en) Lever-type connector with a housing with plurality of projections for engaging a retaining portion of a lever
KR200223312Y1 (ko) 조작레버가 포함된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JP3887693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20090305537A1 (en) Electrical Safety Socket Device
US20110271507A1 (en) Connector
CN107959180B (zh) 杆式连接器
KR100866087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90073844A (ko) 레버타입 커넥터
US6468104B2 (en) Connector
JP2015092458A (ja) コネクタと相手コネクタの接続及び分離を支援するための装置
KR100866092B1 (ko) 저삽입력 커넥터
JP7290116B2 (ja) コネクタ
US6371785B1 (en) ZIF socket with improved lever mechanism
JP3732667B2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KR20090022372A (ko) 커넥터 조립체
KR100866088B1 (ko) 커넥터 어셈블리
CN101199087A (zh) 双作用机械辅助连接器
JP7252519B2 (ja) コネクタ
JP7252518B2 (ja) コネクタ
KR200448813Y1 (ko) 레버형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