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4697B1 - Cleaner with a wet floorcloth - Google Patents

Cleaner with a wet floorclo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4697B1
KR100864697B1 KR1020080004443A KR20080004443A KR100864697B1 KR 100864697 B1 KR100864697 B1 KR 100864697B1 KR 1020080004443 A KR1020080004443 A KR 1020080004443A KR 20080004443 A KR20080004443 A KR 20080004443A KR 100864697 B1 KR100864697 B1 KR 100864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suction
water
air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4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봉주
Original Assignee
안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봉주 filed Critical 안봉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697B1/en
Priority to PCT/KR2008/00636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057934A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9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 A47L11/30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 A47L11/302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having rotary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2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 A47L11/2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having separate drive for the cleanin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2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3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 A47L11/4016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ollecting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27Filtering or separating contaminants or debr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1Roll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4Accessori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vacuum-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7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Exhaust-air treatment, e.g. air purificat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A cleaner with a wet floorcloth is provid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the cleaning efficiency by separating impurities from air after sucking impurities with water. A cleaner with a wet floorcloth comprises a body(100) having a rotating wet floorcloth, an operating bar(200), a suction unit(300), a suction tank(400), a water supply tank(500), and an auxiliary water tank(600). The operating bar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body and the other end wherein a handle is formed. The suction tank is coupled to the operating bar by sucking air and impurities from the wet floorcloth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unit. The water supply tank collects the separated impurities in the lower part of the suction tank to separate air from impurities through a pair of separating plates as a filter installed in the suction tank, and has a water tank to supply water to the wet floorcloth. The auxiliary water tank is assembled to the lower part of the water supply tank to drop water in the water tank. A discharge pipe(610) connected to the auxiliary water tank supplies water in the auxiliary water tank to the wet floorcloth by the auxiliary pressure in the auxiliary water tank by passing external air into the auxiliary water tank via operation of a lever near the handle.

Description

물걸레 청소기{Cleaner with a wet floorcloth}Mop Cleaner {Cleaner with a wet floorcloth}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련되는 기술로서 특히 진공 흡입력을 이용하되 물이 공급될 수 있는 물걸레를 이용하여 바닥에 떨어진 각종 이물질이나 머리카락, 먼지 등을 물과 함께 흡입시킨 후 오물과 공기를 분리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in particular, by using a vacuum suction force, but by using a mop that can be supplied with water to inhale various foreign substances, hair, dust, etc. dropped on the floor with water to separate the waste and air. It's about mop cleaners.

진공 청소기는 대부분의 가정에서 사용될 정도로 보편화 되어 있는 제품이며 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은지 오래되었다. 진공 청소기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빨리 보다 효율적으로 실내에 떨어진 각종 먼지, 머리카락, 미세한 입자상 물질 등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진공 청소기는 필터를 이용하여 흡입된 이물질들을 공기로부터 분리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필터의 성능은 무엇보다 중요시되는데, 아무리 좋은 필터를 사용하더라도 미세먼지를 걸러주는데에는 한계가 있는 바, 흡입된 미세먼지는 다시 대기로 방출되어 오히려 사용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좋은 필터를 적용하고자 하면 제조원가가 높아져 상품성이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Vacuum cleaners are common enough to be used in most homes and have long been a necessity for life. By using a vacuum cleaner, it is possible to collect and remove various dusts, hairs, fine particulate matters, etc. which fell into the room more quickly and more efficiently. Most vacuum cleaners, however, use filters to separate inhaled debris from the air. Therefore,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is important above all, no matter how good a filter is used to filter out the fine dust, inhaled fine dust is released to the atmosphere is known to adversely affect the user's health. 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apply a good filt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er and the commerciality is lowered.

집안 마루나 방안 혹은 사무실 같은 곳의 실내 청소를 함에 있어서는 보통 진공 청소기로 먼저 먼지를 제거한 후 물걸레 물청소를 하게 된다. 즉, 2번에 걸쳐서 청소를 해야 했는데, 이런 문제점에 착안하여 먼지 등을 흡입함과 동시에 물걸레로 물청소까지 실시할 수 있는 일체화된 청소기도 개발되고 있다. 그 외 스팀청소기도 많이 보급되고 있으며 스팀기능과 물청소 기능 혹은 진공 청소기 기능이 결합된 형태의 청소기도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When cleaning indoors, such as on the floor, in a room, or in an office, you usually use a vacuum cleaner to remove the dust first and then clean the mop. In other words, cleaning had to be performed twice, and with this problem in mind, an integrated vacuum cleaner that can inhale dust and perform cleaning with a mop is also being developed. In addition, a lot of steam cleaners are widely used, and a vacuum cleaner that combines a steam function, a water cleaning function, or a vacuum cleaner function is also being developed.

본 발명과 관련하여 물걸레 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로서 알려진 대표적인 몇가지 종래기술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some representative prior art known as a vacuum cleaner capable of mopping.

먼저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1992-0014002호의 "걸레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의 세척수 공급장치"(이하, 제1종래기술 이라 한다)가 있으며, 도1은 이에 대한 개략적인 전체 사시도를 보여준다.First, the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1992-0014002 has a "washing water supply device for a vacuum cleaner having a mop fun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conventional technology), Figure 1 shows a schematic overall perspective view thereof.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종래기술은 흡입력을 작용시키는 본체(1), 먼지 및 오물등을 흡입하는 흡입구체(6), 흡입구체 하부에 설치되어 물걸레질을 할 수 있는 걸레부재(7), 상기 걸레부재(7)로 세척수를 강제공급시키는 펌프(8), 상기 걸레부재로의 세척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체크밸브(10), 세척수를 저장하는 세척수통(11), 펌프와 연결되는 세척수공급관(12) 및 세척수지지대(1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펌프(8)의 펌핑작용으로 세척수를 걸레부재(7)로 공급하면서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conventional technology includes a main body 1 for exerting suction force, a suction port 6 for sucking dust and dirt, a mop member 7 installed under the suction port, and capable of mopping with water. Pump (8) for forcibly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mop member (7), a check valve (10) for blocking the supply of the washing water to the mop member, the washing water reservoir (11) for storing the washing water,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pump ( 12) and the washing water support 13 was configured to allow cleaning while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mop member 7 by the pumping action of the pump 8.

상기 제1종래기술에서는 흡입구체(6)의 전진에 따라 걸레부재(7)가 바닥을 물걸레질하게 되고 이때 발생되는 오염수는 본체(1) 내부로 흡입 수거되고 상기 걸레부재는 공급되는 세척수에 의해서 세척될 수 있도록 작동되었다.In the first conventional technology, the mop member 7 mops the floor as the suction inlet 6 moves forward, and the contaminated water generated at this time is collected and sucked into the main body 1, and the mop member is supplied to the supplied washing water. It was operated to be cleaned by.

하지만, 상기 걸레부재(7)는 지면과 항상 접촉되어있고 따라서 걸레부재에는 항상 오물이 묻어있게 되며, 오염수가 본체(1)로 흡입된다고 하여도 상기 걸레부재는 제대로 세척이 안 된 상태에서 바닥을 닦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체(1) 내부로 이어지는 흡입호스(3), 접속관(4), 연장관(5) 등을 거쳐서 오염수가 흡입되므로 길다란 관 내부 청소가 쉽지않아 곰팡이가 발생하기도 하므로 위생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주름진 흡입호스(3)로 오염수가 공급되면 오염수가 잔존할 가능성이 높고 청소는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수거된 오염수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본체(1)를 열어서 제거해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도 많다.However, the mop member 7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ground, so that the mop member is always kept with dirt, and even if the polluted water is sucked into the main body 1, the mop member is not properly cleaned. There was a problem polished. In addition, since the contaminated water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hose 3, the connection pipe 4, the extension pipe 5, etc. leading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 it is not easy to clean the inside of the long pipe, so mold may occur, which is not hygienic. there was. In particular, when the contaminated water is supplied to the corrugated suction hose 3, the contaminated water is likely to remain and cleaning is impossible. In addition, in order to discharge the collected polluted water, it is necessary to open and remove the main body 1, so there is much inconvenience in use.

또 하나의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2005-0022924호의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이하, 제2종래기술 이라 한다)가 공개된 바 있으며, 도2는 이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Another conventional technology has been discl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2005-0022924 "collecting unit of the vacuum cleaner combined with water clean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conventional technology), Figure 2 is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s shown.

도시된 것처럼, 제2종래기술에서는 바닥면의 이물을 흡입하는 흡입노즐(100)과 연장관(200), 흡입호스(300) 및 본체(400)을 기본적인 구성요소로 하며, 상기 흡입노즐(100)에서는 이물이 흡입되며 동시에 세제유동관(110)을 통해서 세제가 용해된 물이 분사되고 상기 세제유동관(110)은 세제탱크(410)과 연통되어 세제물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the second conventional technology, the suction nozzle 100 and the extension pipe 200 for suction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bottom surface, the suction hose 300 and the main body 400 as basic components, the suction nozzle 100 In the foreign material is sucked and at the same time the detergent dissolved water is injected through the detergent flow tube 110 and the detergent flow tube 110 is configur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detergent tank 410 to supply the detergent water.

제2종래기술에서는 분사된 세제물은 바닥을 청소한 후에는 다시 흡입되어 본체(400) 내부로 공기와 함께 이동되어 내부에서 공기와 분리되는 원리를 가진다. 특히, 본체(400)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공기와 세제물의 분리는 사이클론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In the second conventional technology, the sprayed detergent is sucked again after cleaning the bottom and moved together with the air into the main body 400 to separate the air from the inside. In particular, the separation of air and detergents made in the main body 400 uses a cyclone method.

제2종래기술에서도 청소 후의 오염된 물과 각종 찌꺼기가 공기와 함께 본체(400) 내부로 흡입된 후 복잡한 사이클론 방식에 의해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흡입호스 등이 쉽게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고, 물걸레로 닦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작다는 문제점도 있었다.In the second conventional technology, the contaminated water and various debris after cleaning are sucked into the main body 400 together with the air and then separated by a complicated cyclone method, so that a suction hose or the like may be easily contaminated.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the effect of wiping is small.

청소기 본체(전원이 공급되어 팬모터 등이 작동되는 곳) 내부로 공기뿐 아니라 오염된 물 및 찌꺼기가 함께 유입되면 물의 누설 등으로 인해 감전 사고 등의 위험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청소도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공기로 부터 오염된 물과 찌꺼기를 분리하기 위한 각종 필터나 사이클론 장치 등이 사용되므로 가격이 비싸지고 구조가 복잡해지며 고장의 가능성도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When contaminated water and debris flows into the cleaner body (where power is supplied and the fan motor is oper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high risk of electric shock due to leakage of water and it is not easy to clean. There was this. In addition, since various filters or cyclone devices for separating polluted water and debris from air are used, the price is expensive,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re are many problems of failur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소비자가 저렴하게 구입이 가능하고 청소의 편리성 및 청소효과도 높일 수 있고, 기존에 보유하는 진공청소기의 본체를 활용할 수도 있는 새로운 개념의 물걸레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과제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p cleaner of a new concept that can be purchased cheaply by the consumer,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cleaning and cleaning effect, and can utilize the main body of the existing vacuum cleaner.

또한, 본 발명에서는 회전되는 물걸레를 이용함으로써 물걸레에 흡착된 오물(물과 각종 찌거기 등)을 즉각 흡입시켜 제거하므로 언제나 깨끗한 걸레로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p cleaner that can be cleaned with a clean mop at all times by removing the dirt (water and various residues) adsorbed on the mop immediately by using a rotating mop.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물걸레를 에어모터나 전기모터로 강제 회전시키면서 사용하므로 사용자가 하방으로 누르지 않아도 자체 무게와 물걸레의 회전력에 의해서 바닥을 깨끗히 청소할 수 있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using the mop forcefully rotated by an air motor or an electric motor to provide a mop cleaner that can clean the floor by its own weight and rotation force of the mop even if the user does not press down.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종래기술과 달리 별도의 특별한 필터 사용 없이도 공기와 오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p cleaner that can effectively separate air and dirt without using a special filter.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물의 사용에 따른 감전사고에 안전한 물걸레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제시한다.And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o provide a mop cleaner that is safe in the electric shock accident according to the use of water.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회전되는 물걸레가 설치된 바디와 상기 바디로부터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작동봉 그리고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수단을 구비하여 공기를 강제흡입하면서 청소를 하게 되는 청소기로서,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problem as described, the body is provided with a rotating mop and one end is connected from the body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working rod is formed with a handle and suction means for sucking the air to force the air As a vacuum cleaner to clean while inhaling,

상기 물걸레로부터 공기 및 오물(물과 먼지 등 입자상 물질 및 머리카락 등이 혼재된 것)이 흡입되어 작동봉을 통해서 상승되면서 상기 작동봉에 결합되는 흡입통으로 유입되되, 필터 역할을 하는 한쌍의 분리판을 거치면서 공기와 오물의 분리가 이루어지고, 공기와 분리된 오물은 하방으로 흘러 물저수조가 구비되는 물공급통의 내부로 모이게 되고, 상기 물저수조에 저수된 물은 보조물통으로 낙하된 후 레버 조작에 의해 외기가 상기 보조물통으로 유입됨에 의해서 상기 물이 배출관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물걸레로 공급됨으로써 물공급조절이 가능하고 미세먼지까지도 공기로부터 제거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안한다.Air and dirt (mixed with particulate matter such as water and dust and hair, etc.) are sucked from the mop and ascended through the operating rod, which flows into the suction tube coupled to the operating rod, and has a pair of separator plates serving as filters. The separation of air and dirt is made through the process, and the dirt separated from the air flows downward to be collected into the water supply tank in which the water reservoir is provided, and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reservoir is dropped into the auxiliary bucket and the lever is operated. It proposes a mop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is moved along the discharge pipe by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auxiliary bucket by the supplied to the mop and the water supply can be adjusted and even fine dust can be removed from the air.

바람직하게 상기 레버는, 손잡이에 인접하여 배치되되, 작동봉 단부에 마련되는 절환챔버 내부에 설치되는 절환밸브와 연결되어져 있고, 상기 절환챔버로부터 상기 흡입통으로 향하는 제1압력관 및 상기 보조물통으로 향하는 제2압력관이 연결되어 상기 레버 조작에 따라 상기 제1압력관과 제2압력관이 서로 연통되거나 제2압력관으로만 외기가 공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안한다.Preferably, the lever is disposed adjacent to the handle, and is connected to a switching valve installed inside the switching chamber provided at the end of the operating rod, the first pressure pipe from the switching chamber to the suction cylinder and the auxiliary bucket facing the first It is proposed that the mop cleaner is connected to the two pressure pipes so that the first pressure pipe and the second pressure pip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r the outside air can be supplied only to the second pressure pipe according to the lever operation.

바람직하게 상기 제1압력관은, 흡입수단에 의해서 흡입통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유로상에 말단부가 위치되어 상기 제1압력관으로 흡입력이 작용되고, 상기 절환밸브에 의해 제1압력관과 제2압력관이 연통될 시에는 상기 제2압력관에도 흡입력이 작용하여 흡입통과 보조물통의 내부 압력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안한다.Preferably, the first pressure pipe, the distal end is located on the flow path for sucking air from the suction cylinder by the suction means, the suction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pressure pipe, the first pressure pipe and the second pressure pipe is communicated by the switching valve. When the suction force is also applied to the second pressure tube when the mop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uction and the auxiliary bucket is formed equal.

바람직하게 상기 물공급통은, 작동봉 상에 상기 흡입통과 보조물통 사이에서 탈부착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흡입통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오물이 수거될 수 있고 물저수조의 물은 보조물통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안한다.Preferably, the water supply tank is coupled to be detachable between the suction bucket and the auxiliary bucket on the operating rod so that dirt flowing down from the suction bucket can be collected and the water of the water reservoir can be supplied to the auxiliary bucket. We propose mop clean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바람직하게 상기 물저수조는, 비닐과 같은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져 물이 상기 보조물통으로 배출됨에 따라 부피가 감소되어 상기 흡입통으로부터 물공급통으로 흘러내리는 오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안한다.Preferably, the water reservoir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vinyl to reduce the volume as water is discharged into the auxiliary bucket so as to secure a space for accommodating dirt flowing from the suction bucket to the water supply bucket. We propose a mop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물통에는, 물공급통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연결핀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핀 하단에 제1밸브가 결합되어 상기 보조물통 내부의 압력변화에 따라 상기 제1밸브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안한다.Preferably, the auxiliary bucket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in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water supply tank and the first valve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i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valve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change in the auxiliary bucket. We propose mop cleaner to be.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물통으로부터 물걸레를 향하여 설치되는 배출관은, 다수개의 분지관들과 연결되고 상기 분지관들은 물걸레와 접촉하는 분산노즐에 결합되어 상기 물걸레 전체에 고루 물을 분산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안한다.Preferably, the discharge pipe installed from the auxiliary bucket toward the mop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ranch pipes and the branch pipes are coupled to the dispersion nozzle in contact with the mop to distribute the water evenly to the entire mop. Suggest a mop cleaner.

바람직하게 상기 분산노즐은, 상기 물걸레를 향하는 면에 부직포와 같은 흡착포가 결합되어 공급되는 물을 상기 물걸레로 전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안한다.Preferably, the dispersion nozzle, mop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deliver the water supplied to the mop, the adsorption cloth such as non-woven fabric is coupled to the surface facing the mop.

바람직하게 상기 분산노즐은, 바디를 구성하는 바닥판과 스프링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상기 물걸레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 소기를 제안한다.Preferably, the dispersion nozzle is proposed to mop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plate constituting the body and the spring is connected to contact the mop surface.

바람직하게 상기 물걸레는, 둥근 원통형으로서 전기모터 또는 에어모터에 의해서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안한다.Preferably, the mop is a rounded cylindrical shape proposes a mop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is made by an electric motor or an air motor.

바람직하게 상기 물걸레는, 전기모터 또는 에어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해 일측단부에 풀리가 형성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끼워져 고정되는 중공체이며 표면부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걸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안한다.Preferably, the mop, the shaft and the pulley is formed on one side end to receive a rotational force from the electric motor or the air motor; A core body fitted into the shaft and fixed to the shaft, the cor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It proposes a mop cleaner comprising a; mop member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core outer surface.

바람직하게 상기 바디에는 상기 작동봉과 일단부가 연결되어 흡입력이 작용되며 타단부는 상기 물걸레 전체폭을 커버하도록 펼쳐진 형태를 이루어 물걸레 표면과 접촉되는 나팔관이 구비되어 상기 물걸레로부터 오물을 흡입하여 상기 흡입통으로 오물이 이동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안한다.Preferably the body is connected to the working rod and one end is applied to the suction force and the other end is formed to form a spread to cover the entire mop is provided with a fallopian tub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mop to suck the dirt from the mop to the suction bucket It proposes a mop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ved.

바람직하게 상기 흡입수단은, 작동봉에 일체로 결합된 것이거나 독립적으로 분리되어져 상기 작동봉과 플렉시블주름관으로 연결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것 중 하나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안한다.Preferably, the suction means proposes a mop cleaner, which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operating rod or independently separated and connected to the operating rod and the flexible corrugated pipe to provide a suction force.

바람직하게 상기 물걸레를 회전시키는 수단으로 에어모터를 사용할 시에는, 상기 작동봉 내부에 다수의 분할 격벽을 두어 에어모터구동용유로를 만들도록 하고, 상기 작동봉과 바디를 연결하는 브라켓의 일측면을 통해서 보조유로를 형성시켜 상기 에어모터의 팬과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에어모터가 흡입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의 일부로 회전되는 것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안한 다.Preferably, when using the air motor as a means for rotating the mop, by placing a plurality of partition partitions in the operating rod to create an air motor drive flow passage, through one side of the bracket connecting the operating rod and the body. By forming an auxiliary flow path and connecting with the fan of the air motor proposes a mop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motor is rotated as part of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means.

바람직하게 상기 물걸레를 회전시키는 수단으로 에어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에어모터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소음기를 더 갖추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안한다.Preferably when using the air motor as a means for rotating the mop, the mop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ilencer that can reduce the noise of the air motor.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관에는, 제2밸브가 연결되어 상기 보조물통으로 외기가 공급될 시에만 열리게 되는 것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안한다.Preferably, the discharge pipe, the second valve is connected to propose a mop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only open when the outside air is supplied to the auxiliary bucket.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관에는, 상기 제2밸브에 연이어 수동차단밸브가 연결되며 상기 수동차단밸브의 상단은 바디 상부로 돌출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안한다.Preferably, the discharge pipe, the manual shutoff valve is connected to the second valve and the upper end of the manual shutoff valve proposes a mop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protruding to the upper body.

바람직하게 상기 흡입통은, 흡입통의 상면 및 흡입구가 형성되는 측면과 이격거리를 두면서 결합되는 분산판이 설치되되 상기 분산판 중 상면분산판에는 다수의 홀이 균등하게 형성되어 상기 분리판에 작용되는 흡입력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여 상기 분리판에서의 공기와 오물의 분리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안한다.Preferably, the suction cylinder is provided with a dispersion plat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uction port is formed in the suction cylinder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ersion plate is a plurality of holes evenly formed to act on the separation plate The mop clean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force is evenly distributed so that the separation of air and dirt from the separation plate can be improved.

바람직하게 상기 바디를 구성하는 바닥판은 상기 작동봉이 연결되는 보조바닥판을 독립적으로 두되 상기 바닥판에 대해 보조바닥판이 회동될 수 있도록 회동핀으로 상호 연결시키도록 하고, 상기 보조바닥판 하면에는 다수의 구름휠을 두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안한다.Preferably, the bottom plate constituting the body is independently placed on the auxiliary bottom plate to which the operating rod i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rotation pin so that the auxiliary bottom plate can be rotated, a plurality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bottom plate We propose a mop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olling wheel.

바람직하게 상기 흡입통은, 작동봉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물공급통의 탈부착시에 상기 흡입통과 보조물통간의 충분한 간격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안한다.Preferably, the suction bucket is proposed to move the mop cleaner up and down along the operating rod to form a sufficient gap between the suction bucket and the auxiliary bucket when the water supply and detachment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바람직하게 상기 물공급통에는, 이동손잡이가 더 구비되고 상기 흡입통과의 결속을 위한 결속후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리판은 상측분리판과 하측분리판이 한쌍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며 다수의 구분격막이 구비되어 상호 결합시 서로 엇갈리어 복잡한 내부공간을 이루고 외측으로 갈수록 유통공간이 확대되어 공기의 흐름이 느려지면서 공기와 혼합된 오수물의 입자가 증대될 수 있도록 하여 공기와 오수물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안한다.
Preferably, the water supply container, a mop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handle is further provided and a binding hook for binding with the suction cylinder is provided.
Preferably, the separator consists of a pair of upper and lower separators coupled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separators are provided to form a complex internal space that is staggered with each other when combined with each other. Whil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op cleaner, which separates air and filthy water by allowing particles of filthy water mixed with air to increase.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는 기존에 보유하던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에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물의 사용으로 인한 감전사고 등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 mop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connecting to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which can be used at low cost, and also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safety accidents such as electric shock due to the use of water. .

또한, 본 발명의 물걸레 청소기는 고가의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공기와 오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므로 공기에 포함될 수 있는 미세먼지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op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separates air and dirt without using an expensive filter, thereby reducing the fine dust that may be included in the air.

그리고 원통형의 회전걸레가 바닥과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되면서 동작되므로 청소시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바닥 청소가 가능한 장점이 있고, 회전되는 물걸레로부터 오물이 곧바로 흡입되어 분리되므로 항상 청결한 물걸레로 바닥을 청소할 수 있어 위생적인 측면에서도 뛰어나다.And since the cylindrical mop operates while rotating in contact with the floor, it has the advantage of cleaning the floor without having to apply great force when cleaning, and since the dirt is sucked in and separated from the rotating mop, the floor can always be cleaned with a clean mop. It is also excellent in hygienic aspects.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물저수조에 물 단독 혹은 물과 세제, 물과 소독제 등을 섞은 것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저장되게 한 후 간단하게 결합하여 청소가 가능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고, 최근에 문제가 되고 있는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즉, 아토피 피부염을 일으키는 요인 중 하나인 진드기 등 바닥에 서식하는 미생물이나 이들의 사체 등 유해한 것들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ater alone or water and detergent, mixed with water and disinfectant in the water reservoir is selected and stored as needed, and then can be easily combined and cleaned, there is a convenience in use, has recently become a problem It can also be an effective way to prevent atopic dermatitis.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harmful substances such as mites, such as mites, which are one of the factors causing atopic dermatitis, and their dead bodies.

또한, 본 발명의 물걸레 청소기는 물저수조에 고온의 물을 넣어서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별도의 스팀기능의 부가 없이도 스팀 청소와 같은 효과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mop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by putting a high temperature water in the water reservoir,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ame effect as steam cleaning without the addition of a separate steam func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전개하기로 하며 관련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단, 여기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이해를 도모하고자 제시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도면 자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지적한다. 따라서 청구항에 제시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단순한 구조적 변경이나 부가, 삭제 혹은 등가적인 요소로의 치환과 같은 실시형태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op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and reference will be made to related drawings. However, it is pointed out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provided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themselve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mbodiments such as simple structural changes, additions, deletions, or substitutions of equivalent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set forth in the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전체적인 개념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를 보여준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overal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schematic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mop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크게 상기 물걸레 청소기는 바디(100), 작동봉(200) 및 흡입수단(300)을 큰 요소로 포함하게 되는데, 상기 흡입수단의 경우 작동봉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분리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수단은 전기공급에 의해 흡입팬 이 회전되면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수단의 경우 공지의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용 본체(흡입팬이 내장되는 부분)를 활용하여 상기 작동봉과 연결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mop cleaner largely includes the body 100, the operating rod 200 and the suction means 300 as a large element, the suction means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operating rod or may be provided in a separate form. have. That is, the suction means may be understood that the suction fan can be generated while the suction fan is rotated by the electricity supply.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suction means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with the operating rod by using a known general vacuum cleaner body (part in which the suction fan is built).

상기 바디(100)라고 명명되는 부분은 회전되는 물걸레(110)가 장착되어 지면과 접촉되는 부위를 말하며, 상기 바디(100)의 후단부로부터 작동봉(200)이 회동가능한 구조로 연결된다. 상기 작동봉(200)의 상단부분에는 손잡이(201)가 형성되며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201)를 잡고서 밀거나 당기면서 상기 바디(100)가 바닥을 이동하면서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한다.The part named body 100 refers to a part in which the rotating mop 110 is contacted with the ground, and the operating rod 200 is connected to the rotatable structure from the rear end of the body 100. A handle 201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rod 200 and the user can clean the body 100 while moving the bottom while pushing or pulling the handle 201.

상기 바디(100)에 설치되는 물걸레(110)는 원통형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물걸레(110)의 회전동작을 위해 바디(100) 내부에는 에어모터(AM) 또는 전기모터(EM)가 마련된다. 한편, 에어모터(AM)나 전기모터(EM)의 사용없이 상기 물걸레(110)가 바닥과 접촉되면서 구름운동되는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물론, 물걸레(110)를 전기모터(EM)나 에어모터(AM)로 강제 회전시키면서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 청소효율 측면에서는 유리하나 제작상의 비용절감 차원에서는 에어모터나 전기모터의 사용없이 물걸레를 단순히 회전가능하게만 설치하여 사용자가 밀거나 당김에 따라 지면과의 마찰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The mop 110 installed in the body 100 may be rotat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n air motor (AM) or an electric motor (EM) is provided inside the body 100 for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mop 110. do. On the other hand, without using the air motor (AM) or the electric motor (EM)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rolling movement while the mop 110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Of course,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leaning efficiency to operate the mop 110 by forcibly rotating the mop 110 with an electric motor (EM) or an air motor (AM), but simply rotating the mop without using an air motor or an electric motor in terms of cost reduction in manufacturing. It may be configured to be only possible to rotate by friction with the ground as the user pushes or pulls.

바디(100)의 후단부에 작동봉(200)의 일단부가 회동될 수 있게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봉(200)에는 위로부터 차례대로 흡입통(400), 물공급통(500) 및 보조물통(600)이 설치된다. 상기 보조물통(600)으로부터 연장되어 물걸레(110)로 향하는 배출관(610)을 통해서 물이 물걸레(110)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물걸레(110)로부터 공기와 오물이 흡입되어 작동봉(200) 내부를 통해서 흡입되어 흡입통(400)으로 강제 유입하게 된다. 한편, 상기 물걸레(110)의 회전동작을 위해서 에어모터(AM)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흡입수단(300)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의 일부를 이용하되 상기 작동봉(200) 내부에 독립적인 유로로서 에어모터구동용유로(R1)를 두도록 하고 흡입수단(300)의 흡입력이 에어모터(AM)에 작용되어 상기 에어모터(AM)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The rear end of the body 100 is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one end of the operating rod 200 can be rotated, the operating rod 200 in order from the suction cylinder 400, the water supply container 500 and the auxiliary Bucket 600 is installed.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mop 110 through the discharge pipe 610 extending from the auxiliary bucket 600 toward the mop 110, the air and dirt is sucked from the mop 110 to operate the rod 200 Suction through the inside is forced to flow into the suction container (400).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sing the air motor (AM) for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mop 110, using a portion of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means 300, but air as an independent flow path inside the operating rod (200) The motor driving passage (R1) is to be placed and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eans 300 is applied to the air motor (AM) so that the air motor (AM) can be driven.

상기 흡입수단(300)에 의한 흡입력을 이용하여 물걸레(110) 표면으로부터 오물과 공기가 동시에 흡입되어 작동봉(200)을 통해서 흡입통(400)으로 유입되는데, 특히 상기 흡입통(400) 내부에는 필터 역할을 하게 되는 새로운 개념의 한쌍의 분리판(410)이 구비되어 느린 속도로 오물과 공기가 혼재되어 작동봉(200)을 따라 이동된 후 상기 분리판(410)을 거쳐서 흡입통(400)으로 배출되며, 이때 오물은 자연적으로 하방으로 흘러내리고 공기는 흡입력을 따라서 흡입통(400)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진다. 상기 흡입통(400) 내부에 설치되는 분리판(410)은 상측분리판(410a)과 하측분리판(410b)이 한쌍으로 결합이 되는데, 상기 상측분리판(410a) 및 하측분리판(410b) 각각에는 다수의 구분격막(411)이 마련되고 이들 구분격막(411)에 의해 분리판(410) 내부에는 복잡한 유동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흡입수단(300)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이 흡입통(400) 상측으로 작용되면 상기 분리판(410)을 거쳐서 작동봉(200) 내부로 흡입력이 작용하고 최종적으로는 바디(100)에 마련되는 물걸레(110) 표면에도 흡입력이 작용되므로 강제적으로 오물과 공기가 흡입통(400)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분리판(410)이 설치되는 작동봉(200)의 해당부위에 는 작동봉(200) 내부와 분리판(410)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는 천공된 공기오물배출구(210)가 구비되며, 상기 분리판(410)을 구성하는 하측분리판(410b)에도 이에 상응하게 천공된 공기오물도입구(412)가 구비된다.Dirt and air are sucked from the surface of the mop 110 at the same time by using the suction force by the suction means 300 is introduced into the suction tube 400 through the operating rod 200, in particular in the suction tube 400 A pair of separator plates 410 having a new concept to serve as a filter is provided so that dirt and air are mixed at a slow speed and moved along the operating rod 200, and then through the separator plate 410, the suction tube 400. The waste is naturally flowed downward and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uction tube 400 along the suction force. The separator 410 installed inside the suction tube 400 is coupled to the upper separator 410a and the lower separator 410b in pairs, and the upper separator 410a and the lower separator 410b. A plurality of separators 411 are provided in each, and the separators 411 form complicated flow spaces in the separator plate 410. When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means 300 is appli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container 400, the suction force acts into the operating rod 200 through the separating plate 410, and finally, the mop provided in the body 100. Suction force is also applied to the surface (110) so that dirt and air will be moved to the suction tube (400). In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operating rod 200, the separation plate 410 is installed is provided with a perforated air discharge outlet 210 that can connect the inside of the operating rod 200 and the separation plate 410, the The lower separation plate 410b constituting the separation plate 410 is also provided with a corresponding air hole inlet 412.

공기 및 오물이 혼재되어 흡입력을 따라서 작동봉(200)을 거치면서 이동되는 과정 중에 공기에 포함된 미세한 먼지까지도 오물에 자연스럽게 흡착이 이루어지며, 분리판(410) 내부로 흡입이 된 후에는 오물이 분리판(410)의 표면을 따라 점차 이동되어 외측으로 움직이며 외측으로 갈수록 유동공간이 확대되어 흡입력이 분산되므로 오물들은 서로 뭉쳐지면서 점차 물입자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으로 공기와 오물은 확실하게 분리가 되며 공기에 포함되었던 미세한 먼지나 유해한 입자상 물질들도 오물에 섞이어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상측분리판(410a) 및 하측분리판(410b) 각각에 구비되는 구분격막(411)의 존재로 인해 오물과 공기의 이동중에 물입자의 증대 및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분리가 더욱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다.Air and dirt are mixed and naturally adsorbed to the dirt even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through the operating rod 200 along the suction force, and the dirt is sucked into the separation plate 410 after Gradually moved along the surface of the separation plate 410 is moved to the outside and the flow space is enlarged toward the outside and the suction force is dispersed, so that the dirt is agglomerated with each other gradually increases the size of the water particles. In this series of processes, air and dirt are separated reliably, and fine dust and harmful particulate matter contained in the air are mixed with the dirt and separated. Due to the presence of the separator 411 provided in each of the upper separator 410a and the lower separator 410b, the increase of water particles and separation of dust contained in the air are more surely performed during the movement of dirt and air. Can be.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물걸레 청소기는 물공급통(500)을 이중구조로 하여 내부에 놓이는 물저수조(520)에는 깨끗한 물이나 물에 소독제 혹은 세제를 혼합한 것을 투입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물저수조(520) 외측에 형성되는 공간으로는 상기 흡입통(400)의 분리판(410)에 의해서 공기와 분리된 오물이 흡입통(400)과 물공급통(500)의 벽면을 타고 흘러내려 물공급통(500)에 채워지게 된다.
도15는 분리판(410)에 의해 분리된 오물이 물공급통(500)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14는 물공급통의 구조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구체화한 사시도에 해당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판(410)을 거치면서 오물은 하방으로 흘러내리며 흡입통(400)과 연결된 물공급통(500)으로 오물은 모이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물저수조(520)는 가요성 재질로 만들어져 보조물통(600)으로 물이 배출되는 만큼 체적이 줄어들어 상기 흡입통(400)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오물의 수용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므로 오물이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nd the mop cleaner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put a mixture of disinfectant or detergent in clean water or water in the water reservoir 520 placed inside the water supply container 500 as a dual structure, the water reservoir ( In the space formed outside the 520, dirt separated from the air by the separating plate 410 of the suction tube 400 flows down the walls of the suction tube 400 and the water supply tube 500 to flow into the water supply tube. 500 will be filled.
1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dirt separated by the separating plate 410 flows in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500, and FIG. 14 corresponds to a perspective view embodied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As shown through the separation plate 410, the dirt flows downward and the dirt is collected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500 connected to the suction container 400. In particular, the water reservoir 52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volume is reduced as the water is discharged to the auxiliary bucket 600 to ensure the receiving space of the dirt flowing from the suction bucket 400, so that the dirt flows Can be prevented.

상기 물공급통(500) 내부에 마련되는 물저수조(520)로부터 보조물통(600)으로 물이 배출된 후에는 상기 보조물통(600)에 구비되는 배출관(610)을 따라서 물걸레(110)로 물이 공급되는데, 상기 배출관(610)으로 통한 물의 공급은 사용자의 레버(202)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설명과 관련하여 첨부되는 도8 내지 도10을 참조하면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보조물통(600)에는 제1밸브(cv1)가 마련되며 상기 제1밸브 상측에는 열림핀(601)이 구비된다. 상기 물공급통(500)의 하단부에는 물저수조 내부와 연결되는 밀폐판(521)이 형성되며 물공급통과 보조물통이 결합되면 상기 열림핀(601)이 밀폐판(521)을 밀어올리게 된다. 상기 밀폐판(521)은 물공급통 내부의 물저수조와 연결되며 따라서 밀폐판(521)이 상승하면 물저수조(520)의 물은 제1밸브(CV1)를 통하여 보조물통(600)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 보조물통(600)에 물공급통(500)을 결합시키기 전에는 상기 제1밸브(cv1)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나 결합시키게 되면 물의 자중에 의해서 제1밸브(cv1)는 열리게 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물통(600)과 흡입통(400) 및 물공급통(500)은 제1압력관(420)과 제2압력관(620)이 절환챔버(220) 내부의 절환밸브(230)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므로 상기 보조물통과 물공급통 및 흡입통 내부의 압력은 동일하다. 그리고 흡입수단(300)을 가동시킨 후 절환밸브의 레버(202)를 당기기 전에는 흡입통(400) 입구에 끝단이 있는 제1압력관(420)에도 흡입력이 작용하게 되고 상기 제1압력관(420)은 제2압력관(620)과 절환밸브(230)를 거쳐서 연결되므로 보조물통(600)에도 동일한 흡입력이 작용하므로 내부 압력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물통(600)에 물공급통(500)을 결합시키게 되면 제1밸브(cv1)는 물의 자중에 의해서 열리게 되어 보조물통(600)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물저수조(520)의 물이 보조물통(600)으로 흐르게 되면 배출관(610)으로 물이 흐르게 되나 보조물통(600)에 형성된 흡입력으로 제2밸브(cv2)는 차단되므로 물은 더 이상 흐르지 않고 보조물통(600)에 모이게 되는 것이다. 즉, 보조물통(600)에 모인 물을 배출관(610)을 통해서 물걸레로 최종 공급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2밸브(cv2)를 열리게 하기 위한 부가적인 힘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보조물통(600) 내부에만 부가적인 별도의 압력을 형성시켜 그 압력에 의해 제2밸브(cv2)가 열리도록 구성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부가적인 압력이란 보조물통(600) 내부로 외기를 유입시켜서 외기압과 물의 자중력으로 제2밸브(cv2)가 열리게 하는 것이다.
상기 보조물통(600)으로의 외기유입은 상기 제2압력관(620)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절환밸브(230)와 연결된 레버(202)를 당김에 의해서 제1압력관(420)과 제2압력관(620)의 연결은 해제되고 제2압력관(620)만이 외기유입구(221)와 연결되어 외기가 보조물통(600) 내부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흡입수단(300)에 의한 흡입력이 작용하다가 절환밸브(230)의 조작으로 제2압력관(620)으로만 외기가 공급되면 흡입통(400) 및 물공급통(500)에는 여전히 동일한 흡입력이 작용하나 보조물통(600) 내부로는 외기가 유입됨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높은 내부압력이 형성되므로 제1밸브(cv1)는 닫히게 되고 제2밸브(cv2)는 열리게 되어 물걸레로 물이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After the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reservoir 520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500 to the auxiliary bucket 600, the water to the mop 110 along the discharge pipe 610 provided in the auxiliary bucket 600. This is supplied, the supply of water through the discharge pipe 610 is selectively mad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of the lever 202.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8 to 10 in connection with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be more readily understood. The auxiliary bucket 600 is provided with a first valve cv1, and an opening pin 601 is provided above the first valve. The lower end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500 is formed with a sealing plate 521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water reservoir, and the opening pin 601 pushes up the sealing plate 521 when the water supply container and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are combined. The sealing plate 521 is connected to the water reservoir inside the water supply tank. Therefore, when the sealing plate 521 is raised, the water of the water reservoir 520 flows to the auxiliary bucket 600 through the first valve CV1. . Before the water supply container 500 is coupled to the auxiliary container 600, the first valve cv1 remains closed but when coupled, the first valve cv1 is opened by the weight of water.
As shown in FIG. 4,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600, the suction container 400, and the water supply container 500 may include a switching valve having a first pressure pipe 420 and a second pressure pipe 620 inside the switching chamber 220. 230, the pressure in the auxiliary water tank, the water supply tank and the suction cylinder is the same because it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fter the suction means 300 is operated and before the lever 202 of the switching valve is pulled, the suction force acts on the first pressure pipe 420 having an end at the inlet of the suction cylinder 400, and the first pressure pipe 420 is Since the second pressure pipe 620 and the switching valve 230 is connected through the same suction force also acts on the auxiliary container 600, the internal pressure may be the same. Therefore, when the water supply container 500 is coupled to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600, the first valve cv1 may be opened by the weight of the water to supply water to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600.
When the water in the water reservoir 520 flows to the auxiliary bucket 600, water flows to the discharge pipe 610, but the second valve cv2 is blocked by the suction force formed in the auxiliary bucket 600, so that water does not flow any more. It will be collected in the auxiliary bucket (600). That is, in order to finally supply the water collected in the auxiliary container 600 to the mop through the discharge pipe 610, an additional force is required to open the second valve cv2.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dditional separate pressure is formed only inside the auxiliary container 600 so that the second valve cv2 is opened by the pressure. The additional pressure here refers to introducing the outside air into the auxiliary container 600 so that the second valve cv2 is opened by the outside pressure and the self-gravity of the water.
The inflow of outside air into the auxiliary container 600 is made through the second pressure pipe 620, and the first pressure pipe 420 and the second pressure pipe 620 are pulled by pulling the lever 202 connected to the switching valve 230. ) Is released and only the second pressure pipe 620 is connected to the outside air inlet 221 so that the outside air acts inside the auxiliary container 600. When the suction force by the suction means 300 is actuated and the outside air is supplied only to the second pressure pipe 620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valve 230, the same suction force is still applied to the suction cylinder 400 and the water supply cylinder 500. Since a relatively high internal pressure is formed by the inflow of outside air into the auxiliary bucket 600, the first valve cv1 is closed and the second valve cv2 is opened to supply water to the mop.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통(400)과 보조물통(600) 내부의 압력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작동봉(200) 상단부 근처에는 절환밸브(230)를 두도록 하며 상기 절환밸브(230)를 사용자가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첨부되는 도8 내지 도10을 참조하면 절환밸브(230)에 의한 제1압력관(420)과 제2압력관(620)의 연결 및 해제 그리고 제2압력관(620)과 외기유입구(221)간 연결 구조를 이해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01)가 형성되는 작동봉(200) 단부 근처에 마련되는 빈 공간의 절환챔버(220)에 절환밸브(230)가 설치되는데 상기 절환밸브(230)는 밸브하우징(230a)과 밸브디스크(230b)로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하우징(230a) 내부에 밸브디스크(230b)가 설치되며 상기 밸브디스크(230b)의 일측단부(도면상 우측단부)는 밸브하우징(230a) 외부로 연장되며 레버(202)가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인 구조를 보면 상기 밸브하우징(230a)은 전체적으로 육면체를 이루며 3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진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처럼 각각 제1블록(231), 제2블록(232) 그리고 제3블록(233)이라 부르기로 한다. 중간에 위치하는 제2블록(232) 내부에 판상의 밸브디스크(230b)가 설치되며 상기 밸브디스크(230b)는 스프링(s)에 의해 지지되어 레버(202)를 당김에 의해 후퇴될 수 있고 외력을 제거하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밸브디스크(230b)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연결홀(234)이 형성된다. 상기 제1블록(231)과 제3블록(233)에는 도면상 좌측단부로부터 각각 상기 연결홀(234)에 이르는 연통구(235)가 구비된다.
상기 제1블록(231)에 형성되는 연통구(235)에는 제2압력관(620)이 연결되며, 제3블록(233)에 형성되는 연통구(235)에는 제1압력관(420)이 연결된다. 상기 밸브디스크(230b)가 제2블록(232) 내부에서 가장 전진되었을 시(레버를 당기기 전 상태)에는 상기 각 연통구(235)는 연결홀(234)에 의해서 서로 소통되게 연결된다. 즉, 각 연통구(235)는 제1블록(231) 또는 제3블록(233)의 좌측단부로부터 시작되어 제2블록(232) 내부에 이르도록 형성되는 것이고, 각 연통구(235)가 끝나는 위치는 서로 달라지게 형성시키도록 한다. 상기 연결홀(234)에 의해서 두개의 연통구(235)가 서로 연결되나 서로 상이한 지점에서 연결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3블록(233)에는 외기유입구(221)가 구비되는데 상기 외기유입구(221)는 도면상 제3블록(233)의 정면측에서 시작되어 제2블록(232)에 이르도록 형성된다. 상기 밸브디스크(230b)가 후방으로 후퇴되도록 레버(202)를 당기게 되면 상기 밸브디스크(230b)에 구비되는 연결홀(234)도 이동되므로 상기 연결홀(234)에 제2압력관(620)과 외기유입구(221)가 연통되어 외기가 상기 제2압력관(620)으로 공급된다. 상기 레버(202)를 당기면 상기 제1압력관(420)과 제2압력관(620)의 연결은 해제되어 압력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As mentioned above, in order to induce a pressure change in the suction container 400 and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600, the switching valve 230 is placed near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rod 200, and the user can easily change the switching valve 230. Configure to operate. 8 to 10, the first pressure pipe 420 and the second pressure pipe 620 are connected and released by the switching valve 230, and the second pressure pipe 620 is connected to the outside air inlet 221. Can understand.
As shown, a switching valve 230 is installed in the switching chamber 220 of the empty space provided near the end of the operating rod 200 in which the handle 201 is formed. The switching valve 230 is a valve housing 230a. And the valve disc 230b. The valve disc 230b is installed inside the valve housing 230a, and one end (right side in the drawing) of the valve disc 230b extends outside the valve housing 230a and the lever 202 is connected.
In a more specific structure, the valve housing 230a is hexahedral and consists of three block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block 231, the second block 232, and the third block 233 will be referred to as shown. The plate-shaped valve disc 230b is installed inside the second block 232 positioned in the middle, and the valve disc 230b is supported by the spring s and can be retracted by pulling the lever 202 and the external force If it is removed to be installe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again, the valve disk 230b is formed with a connecting hole 234 penetrating back and forth. The first block 231 and the third block 233 are provided with communication holes 235 extending from the left end of the drawing to the connection hole 234, respectively.
The second pressure tube 62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hole 235 formed in the first block 231, and the first pressure tube 42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hole 235 formed in the third block 233. . When the valve disc 230b is most advanced in the second block 232 (the state before the lever is pulled), the communication holes 23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on hole 234. That is, each communication port 235 is formed to start from the left end of the first block 231 or the third block 233 to reach the inside of the second block 232, the end of each communication port 235 Position them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two communication ports 23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hole 234, but are connected at different points.
On the other hand, the third block 233 is provided with an outside air inlet 221, the outside air inlet 221 is formed to start from the front side of the third block 233 in the drawing to reach the second block 232. . When the lever 202 is pulled so that the valve disc 230b is retracted backward, the connection hole 234 provided in the valve disc 230b is also moved, so that the second pressure pipe 620 and the outside air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234. Inlet port 221 is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air is supplied to the second pressure pipe (620). When the lever 202 is pull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pressure pipe 420 and the second pressure pipe 620 is released, thereby causing a pressure change.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전체적인 작동원리가 되는 개념에 대해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이러한 원리에 바탕하여 보다 상세히 구체화한 실시예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The concept of the overall operation principle of the mop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se principles.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첨부되는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로 구체화한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보여준다.Attached Figure 4 show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mop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embodied as a mop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제1실시예의 경우 흡입수단(미도시)은 별도로 표시하지 않았으며, 상기 흡입수단으로는 일반적인 흡입팬을 갖춘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손쉽게는 일반적인 가정에 보유하고 있는 진공 청소기의 본체를 흡입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uction means (not shown) is not separately indicated, and the suction means may have any shape as long as it has a general suction fan. It is easy to use the main body of the vacuum cleaner held in a typical home as a suction means.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바디(100), 작동봉(200) 및 흡입수단(미도시)으로 구 성되며, 상기 바디(100)의 후단으로부터 작동봉(200)의 하단부가 회동가능한 구조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봉(200)의 상단부에는 손잡이(201)가 구비되고 흡입수단과 연결하기 위한 플렉시블주름관(203)이 작동봉(200) 상단부 근처에 마련된다. 상기 플렉시블주름관(203)은 대개 일정한 규격을 갖고 있으므로 시판되는 진공 청소기용 플렉시블주름관을 활용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the figure is largely composed of a body 100, the operating rod 200 and the suction means (not shown), the lower end of the operating rod 200 from the rear end of the body 100 is connected in a rotatable structure. And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rod 200 is provided with a handle 201, a flexible wrinkle pipe 203 for connecting with the suction means is provided near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rod 200. Since the flexible corrugated pipe 203 generally has a predetermined standard, it is preferable to utilize a commercially available flexible corrugated pipe for vacuum cleaners.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요소들에 대해 설명하며, 도5는 제1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물걸레 청소기에 있어서 바디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에 해당되며, 도6은 바디의 측면 단면도를 보여준다.In more detail, each elemen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ure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body in the mop cleaner configur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dy Shows.

상기 바디(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C)와 바닥판(BP)을 포함하여 상기 커버(C) 내부에 다수의 기타 구성요소들이 설치된다. 바디(100) 후단부에 작동봉(200)이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되는데, 이를 위해 바닥판(BP)으로부터 돌출되는 브라켓(B)을 두도록 하여 상기 작동봉(200)을 연결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BP)의 전방측으로 회전되는 물걸레(110)가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물걸레(110)를 강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에어모터(AM)를 이용하여 상기 물걸레(110)를 동작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물걸레(110)는 에어모터(AM)의 회전축과 연결시켜서 회전력이 전달되게 구성하기 위해 벨트(V)와 같은 감아걸기전동수단을 활용하도록 한다.The body 100 includes a cover (C) and a bottom plate (BP) as shown, a number of other components are installed in the cover (C). The operating rod 20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body 100 so that the operating rod 200 can be rotated, so that the bracket B protruding from the bottom plate BP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rod 200. And the mop 110 is rotated to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plate (BP) is disposed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o mop 110 by using an air motor (AM) to force the water mop (110). It is configured to work.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p 110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air motor (AM) to utilize a winding motor means such as a belt (V) to configure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걸레(110)는 좌우 두 개로 분리될 수 있는 것으로 하는데, 좌우측 각각의 물걸레(110)는 샤프트(110a), 코어(110b) 및 걸레부재(110c)의 결합으로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110a)의 일측단부(이웃한 샤프트와 마주보는 방향측)는 풀리(P)와 연결되고 상기 풀리(P)는 에어모터(AM)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받게 된다.
상기 샤프트(110a)에 코어(110b)가 끼워져 상호간에 구속되도록 고정너트(N)로 체결이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110b)는 내부가 빈 중공체로서 표면에는 다수의 천공된 통공(111)이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코어(110b)의 외측면(상기 고정너트가 체결되는 면)에도 내부로 통하는 다수의 통공(111)을 두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코어(110b)의 외면에 걸레부재(110c)가 끼워져 하나의 물걸레(11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걸레부재(110c)는 물을 머금고 있을 정도의 부직포와 같은 재질로서 만들어지며 공지의 다양한 소재를 활용할 수 있다. 좌우측 두 개의 물걸레(110)는 하나의 풀리(P)를 공유하면서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풀리(P)의 설치를 위해 상기 바닥판(BP) 전방측 중앙에 풀리고정용 아암(120)을 두도록 한다. 상기 풀리고정용 아암(120)은 바닥판(BP)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데 두 개의 풀리고정용 아암(120) 사이에 풀리(P)를 설치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풀리(P) 표면에 기어이를 형성시키도록 하였으며 이에 결합되는 벨트(V) 역시 기어이가 형성되는 것으로 하여 상호간에 원활한 회전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풀리(P)와 샤프트(110a)의 연결은 상호간에 헛돌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는 구조로서 키(key)결합 방식과 같은 형태를 취하도록 함이 적합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p 110 is to be separated into two left and right, each of the left and right mop 110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he shaft (110a), core (110b) and mop member (110c) and the shaft One side end (direction side facing the adjacent shaft) of (110a) is connected to the pulley (P) and the pulley (P) is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air motor (AM) is provided with a rotational force.
The core 110b is inserted into the shaft 110a and fastened to the fixing nut N so as to be restrained from each other. The core 110b is a hollow body having a hollow inside, and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111 are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It is done.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110b (the surface to which the fixing nut is fastened) may be preferab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1 communicating therein.
And the mop member 110c is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110b) to form a single mop (110). The mop member 110c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nonwoven fabric containing water and can utilize various known materials. The left and right two mops 110 share a single pulley (P) and at the same time rotates, an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pulley (P) is to be unroll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plate (BP) to put the fixing arm 120 . The loosening fixing arm 120 is coupl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bottom plate (BP) to install a pulley (P) between the two loosening fixing arms (120).
In this embodiment, the gear teeth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ulley (P), and the belt (V) coupled thereto is also configured so that the gear teeth are formed so as to enable a smooth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therebetween. The connection of the pulley (P) and the shaft (110a) is a structure that can be restrained so as not to relieve each other is suitable to take the form of a key (key) coupling method.

상기 바닥판(BP) 상면에 에어모터(AM)가 설치되며 상기 에어모터(AM)의 구동을 위해 작동봉(200) 내부에는 독립된 에어모터구동용유로(R1)를 두도록 하며, 상기 에어모터구동용유로(R1)와 에어모터(AM)의 연결을 위한 보조유로(SR1)를 바닥판(BP)에 배치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보조유로(SR1)와 작동봉(200)의 에어모터구동용유로(R1)의 연결은 상기 작동봉(200)을 바디(100)에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 바닥판(BP)으로부터 돌출되는 브라켓(B)의 측면을 통해서 연통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상기 보조유로(SR1)는 에어모터(AM)의 팬으로부터 연결되는 제1연결체(SR1-1)와 상기 제1연결체(SR1-1)와 작동봉(200)의 에어모터구동용유로(R1)를 연결하는 제2연결체(SR1-2)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보조유로(SR1)의 형태 등은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로 변경이 가능하고 에어모터(AM)와 작동봉의 에어모터구동용유로(R1)를 연결하여 공기의 흡입작용이 가능하게만 한다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연결체(SR1-2)의 경우 브라켓(B)과 접촉되는 단부에 후술하게 될 나팔관(150)(물걸레로부터 오물과 공기를 흡입하게 되는 부분)의 연결시 필요한 지지블럭(151)을 브라켓(B) 측면으로 가압시키기 위해 가압작용을 할 수 있도록 이중구조로 함이 바람직하다. 즉, 공기의 유로를 형성할 관체(10)를 내부에 두고 그 외부에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체(20)를 두고 상기 탄성체(20)의 양단부에는 가압판(30)을 하나씩 두어 상기 지지블럭(151)을 브라켓(B)에 밀착되게 하며 동시에 제1연결체(SR1-1)와의 연결부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An air motor AM is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BP, and an independent air motor driving flow passage R1 is provided inside the operating rod 200 to drive the air motor AM, and the air motor driving is performed. An auxiliary flow path SR1 for connecting the flow path R1 and the air motor AM is disposed on the bottom plate BP.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on of the auxiliary flow path SR1 and the air motor driving flow path R1 of the operation rod 200 is a means for coupling the operation rod 200 to the body 100 from the bottom plate BP. It communicates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bracket B which protrudes. The auxiliary flow path SR1 is an air motor driving flow path of the first connector SR1-1 connected to the fan of the air motor AM and the first connector SR1-1 and the operating rod 200. It is assumed that it is composed of a second connector SR1-2 connecting R1). The shape of the auxiliary flow path SR1 can be changed to any number of forms, and as long as the suction path of the air is enabled by connecting the air motor driving flow path R1 of the air motor AM and the operating rod, It's okay.
More preferably, in the case of the second connector SR1-2, a support block required for connecting the fallopian tube 150 (a part which sucks dirt and air from the mop) to an end contacting the bracket B will be described later. In order to pressurize the 151 to the side of the bracket (B), it is preferable to have a dual structure so as to perform a pressing action. That is, the support block 151 is provided with a tubular body 10 for forming an air passage therein and an elastic body 20 such as a coil spring on the outside thereof, and a pressing plate 30 placed at each end of the elastic body 20 one by on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racket (B)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leakage of air to the connection with the first connector (SR1-1).

한편, 상기 물걸레를 강제 회전시키기 위해 에어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음이 심하게 발생될 수 있으므로 에어모터와 연결되는 소음기(SI)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소음기는 알려진 기술의 적용으로 여러 변형 형태가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 소음기는 에어모터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적층된 합성수지 패드와 같은 것을 에어모터의 일측에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여 설치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On the other hand, when using an air motor to forcibly rotate the mop, it is more preferable to install a silencer (SI) connected to the air motor, because the noise may be severely generated. Since the muffler is expected to be modified in various ways by the application of know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at is, the muffler is to reduce the noise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air motor, so it is sufficient to install a separate space such as a laminated synthetic resin pad on one side of the air motor.

상기 바디(100) 내부에는 물걸레(110) 표면으로부터 오물과 공기를 동시에 흡입할 수 있는 나팔관(150)이 설치되는데, 도7은 상기 나팔관의 주요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시된 것처럼 상기 나팔관(150)의 일측단부는 폭이 좁으며 타측단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넓게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한다.
나팔관(150)의 양측단부는 모두 개방되어 있으며 폭이 넓은 단부로부터 오물 등이 흡입되어 폭이 좁은 단부를 통해서 작동봉(200)으로 오물 등이 이동된다. 상기 나팔관(150)은 브라켓(B)에 대해서 회동이 될 수 있는 구조로 연결시킴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의 편리함과 작동봉(200) 내부로 공기 및 오물이 유동될 수 있는 독특한 체결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나팔관(150)의 폭이 좁은 단부 일측면으로 개구부를 두도록 하고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는 측면에 보조이음관(152)을 결합시키도록 한다. 상기 보조이음관(152)은 상기 개구부로부터 돌출되어 브라켓(B) 측면에 대해 회동될 수 있도록 원형 결합부(152a)를 갖추게 된다. 상기 브라켓(B) 측면에는 원형 결합부(152a)에 끼워져 회동축이 될 수 있도록 돌출되어 원형 결합부(152a)에 내접하는 지지테두리(미도시)를 두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이음관(152)의 원형결합부(152a)는 브라켓(B) 측면에 관통된 부분을 거쳐서 작동봉(200) 내부에 형성되는 오물수거유로(R2)와 연결된다.
Inside the body 100, a fallopian tube 150 capable of simultaneously sucking dirt and air from the surface of the mop 110 is installed.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fallopian tube and as shown, one end of the fallopian tube 150 is narrow in width and gradually forms a wider width toward the other end.
Both ends of the fallopian tube 150 are open and dirt and the like are sucked from the wide end, and the dirt and the like are moved to the working rod 200 through the narrow end. The fallopian tube 15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structure that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racket (B), for this purpose, the convenience of fastening and air and dirt can flow into the operating rod 200 in this embodiment It has a unique fastening structure.
The opening of the width of the fallopian tube 150 is narrowed to one side of the end, and the auxiliary joint pipe 152 is coupled to the side connected to the opening. The auxiliary joint pipe 152 is provided with a circular coupling portion 152a so as to protrude from the opening and rotate about the side of the bracket (B). The bracket (B) sid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upport border (not shown) which is fitted into the circular coupling portion 152a and protrudes to be a rotational shaft and inscribes the circular coupling portion 152a. The circular coupling portion 152a of the auxiliary joint pipe 152 is connected to a waste water collecting passage R2 formed inside the operating rod 200 through a portion penetrated by the side of the bracket B.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작동봉(200) 내부에는 독립적인 공간을 이루도록 구분되는 3개의 유로가 형성되는 것으로 하는데, 언급한 에어모터구동용유로(R1)가 있고 다음으로는 오물수거용유로(R2)가 있으며 이들 사이에 물걸레로 물 공급을 위해 설치될 배출관(610) 설치를 위한 배출관유로(R3)가 마련되는 것으로 한다. 특 히, 상기 에어모터구동용유로(R1)와 오물수거용유로(R2)에는 흡입수단에 의한 흡입력이 작용되며 배출관유로(R3)에는 흡입력이 작용되지 않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ree operating flow paths are formed inside the operating rod 200 to form an independent space. There is an air motor driving flow passage R1 mentioned therein and a waste collection flow passage R2 is next. The discharge pipe flow path (R3) for installing the discharge pipe 610 to be installed for water supply with a mop between them is to be provided. In particular, the suction force by the suction means is applied to the air motor driving passage (R1) and the dirt collection passage (R2), it is preferable that the suction force is not applied to the discharge pipe passage (R3).

한편, 상기 나팔관(150)의 폭이 좁은 단부의 다른 측면(보조이음관이 결합되는 반대측면)에는 지지블럭(151)을 연결하여 상기 지지블럭(151)을 이용하여 브라켓(B) 측면과 구속될 수 있도록 한다. 언급한 것처럼 상기 지지블럭(151)은 제2연결체(SR1-2)에 구비되는 가압판(30)에 의해서 브라켓(B)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나팔관(150)은 소정 범위내에서 브라켓(B)에 대한 회동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side of the narrow end of the fallopian tube 150 (the opposite side to which the auxiliary joint is coupled) is connected to the support block 151 to be constrained with the bracket (B) side by using the support block 151 To be able. As mentioned above, the support block 151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bracket B by the pressure plate 30 provided in the second connector SR1-2. With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fallopian tube 150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racket (B)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그리고 상기 오물수거용유로(R2)를 통해서 강제적인 흡입력이 작용하면 보조이음관(152) 및 나팔관(150)으로 흡입력이 작용되고, 이에 따라 상기 물걸레(110) 표면에 접촉하게 되는 폭이 넓은 나팔관 단부로부터 물걸레에 흡착된 오물 및 공기가 강제 흡입되어 작동봉(200) 내부의 오물수거용유로(R2)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상승되는 오물 및 공기는 후술할 흡입통(400) 내부로 이동되어 공기와 오물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forced suction force is applied through the waste water collecting passage R2, the suction force is applied to the auxiliary joint pipe 152 and the fallopian tube 150, and thus, from the end of the wide fallopian tube which contacts the surface of the mop 110. Soil and air adsorbed on the mop is forced to be suctioned to rise along the dirt collection passage (R2) inside the operating rod (200). Soil and air that is raised in this way is moved into the suction tube 40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separated from the air and dirt.

한편, 상기 작동봉(200) 내부에 마련되는 배출관유로(R3)을 통해서 연장되는 배출관(610)은 상기 보조이음관(152)의 원형결합부(152a)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물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관련 부분에서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pipe 610 extending through the discharge pipe flow path (R3) provided in the operating rod 200 is extended through the circular coupling portion (152a) of the auxiliary joint pipe 152 to the outside to supply wa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relevant section.

상기 바디(100) 내부에는 물걸레(11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분산노즐(160) 이 또한 구비되는데 상기 분산노즐(160)은 배출관(610)으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분지관(615)과 연결되어 물을 골고루 분배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산노즐(1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물걸레(110) 전체 길이에 상응하는 정도의 길이를 갖고 있으며 바닥판(BP)과 연결되어 물걸레(110) 표면과 접촉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분산노즐(160)은 나팔관(150)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분산노즐(160)은 바닥판(BP)과 스프링(161)과 같은 것을 매개로 하여 설치되어 소정범위내에서 탄력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노즐(160)은 물걸레(110) 표면과 직접 접촉하므로 물걸레 외경 사이즈의 미세한 변화 등에 자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언급한 바와 같은 탄력적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산노즐(160) 단부(물걸레와 접촉되는 부위)에는 부직포와 같은 흡착포를 두어서 소정의 물을 머금을 수 있는 것을 부착시켜 물걸레로 물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Dispersion nozzle 160 that can supply water to the mop 110 is also provided inside the body 100. The dispersion nozzle 16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ranch pipes 615 extending from the discharge pipe 610. Make sure that water is distributed evenly. The dispersion nozzle 160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entire length of the mop 110 as shown, i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BP) is installed to mak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mop (110). That is, the dispersion nozzle 160 is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fallopian tube 150, and preferably, the dispersion nozzle 160 is installed through the same as the bottom plate BP and the spring 161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to be able to move elastically. Since the dispersion nozzle 16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mop 110, the dispersion nozzle 160 is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movable as mentioned above so as to automatically cope with a minute change in the outer diameter of the mop. In addition, the dispersing nozzle 160 has an end (part in contact with the mop) by placing an adsorbent cloth such as a non-woven fabric that can hold a predetermined water to facilitate the supply of water to the mop.

상기 분산노즐(160) 상부측에 다수의 구멍(162)을 뚫어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분산노즐(160)로 물을 공급하는 다수의 분지관(615)이 결합된다. 상기 분지관(615)은 둘 이상을 두도록 하며 상기 분지관은 배출관과 연결된다. 상기 작동봉(200) 내부의 배출관유로(R3) 및 보조이음관(152)을 거쳐서 바디(100) 내부로 연장되는 배출관(610) 중간에는 제2밸브(cv2)가 결합되는 것으로 하며 상기 제2밸브(cv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개폐되어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100) 내부에 상기 제2밸브(cv2) 다음으로 수동차단밸브(MV)를 더 두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걸레 청소를 일시 중지할 경우 제2밸브(cv2)가 열리는 경우라도 사용자가 수동차단밸브(MV)를 잠그게 되면 더 이상의 물 공급이 중단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수동차단밸브(MV)로부터 다수의 분지관(615)이 분기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동차단밸브(MV)는 사용자가 청소 중에도 간편하게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바디를 구성하는 커버(C) 상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높게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밸브를 비롯한 배출관을 통한 물의 공급원리는 후술하기로 한다.Preferably, a plurality of holes 162 may be dri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dispersion nozzle 160 to supply water, and a plurality of branch pipes 615 may be coupled to supply water to the dispersion nozzle 160. The branch pipe 615 is to have two or more and the branch pipe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The second valve cv2 is coupled to the middle of the discharge pipe 610 extending into the body 100 through the discharge pipe flow path R3 and the auxiliary joint pipe 152 in the operating rod 200, and the second valve. (cv2) is opened and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operation to control the flow of water. On the other hand, more preferably, it is preferable to further put the manual shut-off valve (MV) after the second valve (cv2) in the body (100). When the cleaning of the mop is suspended, even if the second valve cv2 is opened, the water supply can be stopped when the user locks the manual shutoff valve MV. From the manual shutoff valve MV, A plurality of branch pipes 615 may be configured to branch. On the other hand, the manual shut-off valve (MV)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user can be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C) constituting the body in order to enable easy operation even during cleaning. The supply principle of water through the discharge pipe including the second valve will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는 바디(10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동봉(200) 및 상기 작동봉(200)에 설치되는 흡입통(400), 물공급통(500) 및 보조물통(600) 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작동봉(200)은 내부가 빈 공간을 가지는 길다란 부재로서 하단부는 바디(100)와 연결되고 상단부에는 손잡이(201)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봉(200) 상면부에 흡입통(400), 물공급통(500) 및 보조물통(600)이 차례대로 배치된다.Next, the operation rod 200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100 and the suction cylinder 400, the water supply cylinder 500, and the auxiliary water tank 600 installed on the operation rod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 would like to. The operating rod 200 is an elongated member having an empty space therein, the low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body 100, and a handle 201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In addition, the suction cylinder 400, the water supply cylinder 500 and the auxiliary bucket 600 are dispos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ng rod 200 in order.

언급한 것처럼 상기 작동봉(200) 내부에는 3개의 독립된 공간을 이루는 유로가 구비되어 제각각 다른 역할을 하게 된다. 도8 내지 도10은 절환밸브와 제1압력관 및 제2압력관의 연결구조 및 절환밸브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상기 작동봉(200)의 상단부측 손잡이(201) 근처에 형성되는 절환챔버(220)에 절환밸브(230)가 마련되며, 상기 절환밸브(230)는 밸브하우징(230a)과 밸브디스크(230b)로 구성되고 상기 밸브디스크(230b)에는 레버(202)가 연결되어있다.
레버(202) 조작에 따른 제1압력관(420)과 제2압력관(620)간의 연결 및 해제 그리고 제2압력관(620)과 외기유입구(221)간 연결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환챔버(220)와 인접하여 작동봉(200) 하면부에 흡입수단과의 연결을 위한 플렉시블주름관(203)이 연결설치되는 흡입챔버(240)를 두도록 하며 이를 통해서 흡입수단으로부터 생성되는 흡입력이 작동봉 내부 유로를 통해서 전달된다. 상기 작동봉(200) 내부에는 3개의 유로가 형성되는데, 그 중에서 흡입력이 필요한 것은 에어모터구동용유로(R1)와 오물수거용유로(R2)이므로 이 두개의 유로로만 흡입력이 작용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As mentioned above, the operating rod 200 has three independent spaces provided therein for different roles. 8 to 10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witching valve and the first pressure pipe and the second pressure pipe and the structure of the switching valve.
A switching valve 230 is provided in the switching chamber 220 formed near the upper handle 201 of the operating rod 200, and the switching valve 230 includes a valve housing 230a and a valve disc 230b. And a lever 202 is connected to the valve disc 230b.
Connection and release between the first pressure pipe 420 and the second pressure pipe 62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ever 202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second pressure pipe 620 and the outside air inlet 221 are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suction chamber 240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chamber 220 in the lower surface of the operating rod 200, the flexible wrinkle pipe 203 for the connection with the suction means is installed from the suction means through The suction power generated is transmitted through the flow path inside the rod. Three flow paths are formed inside the operating rod 200. Among them, the suction force is required so that the suction force acts only on the two flow paths because the air motor driving flow path R1 and the waste collection flow path R2 are used. .

그리고 상기 절환챔버(220) 내부로는 제1압력관(420)과 제2압력관(620)의 단부가 설치되며, 상기 절환챔버(220) 내부에 배치되는 절환밸브(230)를 이용하여 제1압력관(420) 제2압력관(620)의 연결 또는 연결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언급한 바와 같이 밸브디스크(230b)에 구비되는 연결홀(234)을 매개로 제1압력관(420)과 제2압력관(620)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고 레버(202)를 당김에 의해 밸브디스크(230b)가 전체적으로 후퇴되면 상기 연결홀(234)을 통해서 제2압력관(620)과 외기유입구(221)가 서로 연결되어 외기가 제2압력관(620)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end portions of the first pressure pipe 420 and the second pressure pipe 620 are installed in the switching chamber 220, and the first pressure pipe using the switching valve 230 disposed inside the switching chamber 220. 420 may be connected or disconnected from the second pressure tube 620. That is, as mentioned, the first pressure pipe 420 and the second pressure pipe 6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hole 234 provided in the valve disc 230b, and the valve may be pulled by pulling the lever 202. When the disk 230b is retracted as a whole, the second pressure pipe 620 and the outside air inlet 22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hole 234 so that the outside air can be supplied to the second pressure pipe 620.

상기 제1압력관(420)은 흡입통(400)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제2압력관(620)은 보조물통(600)까지 연장되게 설치된다. 특히, 상기 제1압력관(420)은 작동봉(200) 내부의 3개로 구분된 유로 중 오물수거용유로(R2)를 따라 배설되어 흡입통(400)으로 이어지며, 제2압력관(620)은 배출관유로(R3)를 따라 배설되어 보조물통(600)으로 이어지게 설치된다.The first pressure pipe 420 is extended to the suction cylinder 400 and the second pressure pipe 620 is installed to extend to the auxiliary bucket 600. Particularly, the first pressure pipe 420 is disposed along the waste collection passage R2 among the three flow paths inside the operating rod 200, leading to the suction tube 400, and the second pressure pipe 620 is the discharge pipe. Exposed along the flow path (R3) is installed to lead to the auxiliary bucket (600).

상기 절환챔버(220) 내부에 구비되는 절환밸브(230)의 밸브디스크(230b)는 손잡이(201) 근처에 형성되는 레버(202)와 연결되어져 있어 레버(202)의 조작에 따라 후퇴하거나 전진됨에 의해서 제1압력관(420)과 제2압력관(620)의 연결 및 연결해제를 달성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8 또는 도10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정상상태(레버에 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로 절환밸브가 최대로 전진된 상태를 의미함)일 때에는 제1압력관(420)과 제2압력관(620)이 서로 밸브디스크(230b)에 형성되는 연결홀(234)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202)를 당기게 되면 상기 밸브디스크(230b)가 제한된 위치까지 후퇴되고 이에 따라 제2압력관(620)은 밸브하우징(230a) 일측면에 구비되는 외기유입구(221)와 연결되어 제1압력관(420)과는 연결이 해제된다.
물론 상기 절환챔버(220)에도 상기 외기유입구(221)와 연결되는 개구된 홀이 구비되어 외기가 상기 외기유입구(221)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흡입수단을 가동시키게 되면 제1압력관(420)에는 흡입수단에 의한 흡입력이 계속 작용하게 되나 밸브디스크(230b)가 후퇴된 상태인 경우 제2압력관(620)으로는 외기가 유입되어 압력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압력 차이의 인위적인 유도는 후술할 물의 공급 및 차단과 관련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The valve disc 230b of the switching valve 230 provided in the switching chamber 220 is connected to the lever 202 formed near the handle 201 so as to be retracted or advanc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ever 202. By this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first pressure pipe 420 and the second pressure pipe 620 is achieved.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8 or 10, the first pressure pipe 420 and the second pressure pipe 620 in the normal state (meaning the state where the switching valve is fully advanced without applying external force to the lever). )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onnection hole 234 formed in the valve disk 230b, and when the lever 202 is pulled, the valve disk 230b is retracted to a limited position and thus the second pressure pipe 620 is connected. ) Is connected to the outside air inlet 22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valve housing 230a to be disconnected from the first pressure pipe 420.
Of course, the switching chamber 220 is also provided with an open hole connected to the outside air inlet 221 to allow the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outside air inlet 221. When the suction means is operated, the suction force by the suction means continues to act on the first pressure pipe 420, but when the valve disc 230b is in a retracted state, outside air flows into the second pressure pipe 620 to generate a pressure difference. Done. Artificial induction of this pressure difference is related to the supply and blocking of water to be described lat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작동봉(200) 상면부에는 상측으로부터 흡입통(400), 물공급통(500) 및 보조물통(600)이 차례대로 결합되는데, 먼저 상기 흡입통(400)의 경우 작동봉(200) 내부에 형성되는 오물수거용유로(R2)와 연결되어 오물 및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장소가 된다. 상기 오물수거용유로(R2)는 대략 흡입통(400)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 두 부분으로 구분되어 분리되는 것으로 구성하며, 상부오물수거용유로(R2a)는 제1압력관(420)의 설치장소가 되고 동시에 흡입수단에 의한 흡입력을 흡입통(400)으로 작용되게 하는데 활용된다. 반면에 하부오물수거용유로(R2b)는 물걸레(110)로부터 오물 및 공기의 흡입유로로 활용된다. 물걸레(110)로부터 오물 및 공기가 나팔관(150)을 통해서 흡입된 후 작동봉(200)의 오물수거용유로(R2)를 거쳐서 흡입통(400)으로 유입될 수 있는 흡입력은 상기 상부오물수거용유로(R2a)를 통해서 작용되는 흡입력에 기인하게 된다.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operating rod 200 is coupled to the suction cylinder 400, the water supply cylinder 500 and the auxiliary bucket 600 in order from the upper side, in the case of the suction cylinder 400 inside the operating rod 200 It is connected to the waste collection passage (R2) formed in the to become a place where the intake of dirt and air. The waste collection passage (R2) is divided into two upper and lower parts on the basis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uction tube 400 is separated, the upper waste collection passage (R2a) is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first pressure pipe (420) And at the same time it is utilized to make the suction force by the suction means to act as the suction cylinder (400). On the other hand, the lower waste collection passage R2b is utilized as a suction passage of dirt and air from the mop 110. After the dirt and air are sucked from the mop 110 through the fallopian tube 150, the suction force which can be introduced into the suction tube 400 through the dirt collection channel R2 of the operating rod 200 is the upper dirt collection channel ( This is due to the suction force acting through R2a).

본 발명에 있어서 흡입통(400)에서 공기와 오물의 분리는 유체의 흐름은 유통면적이 좁은 곳에서는 빠르고 넓은 곳에서는 느려진다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상기 흡입통(400) 내부 바닥면에는 분리판(410)이 설치되며 상기 분리판(410)은 흡입되는 오물과 공기를 효율적으로 분리하는 필터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경우 통상적인 필터를 사용치 않고 상기 분리판으로 필터링 기능이 달성될 수 있도록 함에 큰 특징이 있다 할 수 있다. 첨부되는 도11은 작동봉에 결합된 흡입통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에 해당되며, 도12는 상기 분리판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를 보여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of air and dirt in the suction container 400 uses the principle that the flow of the fluid is slow in the place where the flow area is narrow and wide in the narrow area. ) Is installed and the separation plate 410 serves as a filter that effectively separates the sucked dirt and ai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great feature in that the filtering function can be achieved with the separator without using a conventional filter. Attached Figure 11 corresponds to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the suction tube coupled to the operating rod, Figure 12 show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or.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판(410)은 상측분리판(410a)과 하측분리판(410b)이 한쌍을 이루어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측분리판(410b)의 중심부근에 작동봉(200) 내부와 통하는 공기오물도입구(412)가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작동봉(200)에도 오물수거용유로(R2)로부터 개구되는 공기오물배출구(210)가 구비된다. 즉, 상기 공기오물배출구(210)와 공기오물도입구(412)는 서로 연통되는 것이며 흡입되는 오물과 공기는 최초 상기 공기오물도입구(412)를 통해서 흡입통(400)으로 들어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분리판의 보다 구체적인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As shown in the separation plate 410, the upper separation plate 410a and the lower separation plate 410b are coupled in a pair, and the inner working rod 200 inside and near the center of the lower separation plate 410b. An air filth introduction port 412 is formed, and correspondingly, the operating rod 200 is also provided with an air filth outlet 210 that is opened from the filth collection passage R2. That is, the air waste outlet 210 and the air soil inlet 412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soil and air sucked in are first introduced into the suction tube 400 through the air soil inlet 412. A more specific structure of the separator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는 하측분리판(410b)과 상측분리판(410a)을 사각형 형태의 외형을 갖는 것으로 하였으며 하측분리판(410b)의 상면과 상측분리판(410a)의 하면에는 다수의 구분격막(411)이 구비되는 것으로 하고 결합시에 서로 엇갈리게 되도록 하여 복잡한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흡입통(400)의 상부측으로부터 흡입력이 작용되면 상기 분리판(410) 내측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따라 흡입력이 작용하게 되고 상기 공기오물도입구(412)를 통해서 오물과 공기가 유입된다. 공기오물도입구(412)를 통해서 유입되는 오물은 상측분리판(410a) 혹은 하측분리판(410b)의 내면 표면을 따라 점차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과정 중에 공기에 섞인 미세한 먼지 등도 오물과 접촉되어 흡착될 수 있고 외측으로 갈수록 오물의 물입자는 점차 증대된다.
상기 분리판(410)에 있어 공기오물도입구(412)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표면적이 넓어지므로 흡입력이 점차 분산되는 효과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공기와 오물 등의 이동속도가 점차 느려지므로 물 입자의 크기는 갈수록 커지게 되어 최종적으로 분리판(410)을 벗어나면 흡입통(400) 내부의 흡입공기의 흐름이 상부의 분산판(431)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홀(h)을 통하여 흡입통(400) 전체에 고르게 분산되어 상당히 느려지므로 오물 등은 자연스럽게 분리판 외측 벽면을 따라 하방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게 된다.
작동봉(200) 내부의 오물수거용유로(R2) 및 분리판(410) 내부를 거치면서 공기에 포함되었던 미세한 먼지도 오물에 자연스럽게 흡착이 이루어져 분리되는 작용이 일어나고 정화된 공기는 흡입력을 따라 이동되므로 흡입통(400) 외부로 배출된다. 즉, 흡입통(400) 내부로부터 외부로 이동되는 정화된 공기는 작동봉(200) 내부의 상부오물수거용유로(R2a)를 따라 이동되어 플렉시블주름관(203)을 거쳐서 흡입수단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separator 410b and the upper separator 410a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a plurality of separators 411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eparator 410b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eparator 410a. ) Are provided and staggered with each other when combined to form a complex internal space.
When the suction force is appli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tube 400, the suction force acts along the inner space formed inside the separation plate 410, and the dirt and air are introduced through the air dirt inlet 412. The dirt introduced through the air filth introduction hole 412 is gradually moved outwar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eparator 410a or the lower separator 410b, and fine dust mixed with air also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oil during this process. It can be adsorbed and the particles of dirt gradually increase toward the outside.
Since the surface area gradually widens from the air filth introduction hole 412 to the outside in the separating plate 410, the suction force is gradually dispersed, and thus the movement speed of air and dirt gradually decreases, thus the size of the water particles. Is gradually increased so that the flow of the suction air in the suction tube 400 finally exits the separation plate 410 through the hole (h)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upper distribution plate 431, the suction tube 400 Since it is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and considerably slower, dirt and the like naturally flows downward along the separator outer wall.
Since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is naturally adsorbed to the dirt while passing through the waste collection passage R2 and the separator 410 inside the operating rod 200, the purified air is moved along the suction power.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uction container 400. That is, the purified air moved from the inside of the suction tube 400 to the outside is moved along the upper dirt collection passage R2a in the operating rod 200 to be moved to the suction means through the flexible wrinkle pipe 203.

한편, 흡입통(400)의 입구측에는 제1압력관(420)의 말단부가 위치되도록 배치되며 흡입수단에 의해서 생성되는 흡입력 중 일부는 상기 제1압력관(420)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고 상기 제1압력관(420)과 연결되는 제2압력관(620)에도 동일한 압력이 작용하고 상기 제2압력관(620)이 연결되는 보조물통(600)에도 동일한 압력이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통(400) 내부에는 분리판(410)이 설치되는 외에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통(400) 상면 부근 및 흡입력이 작용하도록 개구되는 흡입구(450)와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서 공간적으로 분리되게 하는 분산판(430)을 더 두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상부오물수거용유로(R2a) 내부를 따라 배치되는 제1압력관(420)은 작동봉(200)에 형성되되 흡입통(400)과 연결되는 연결구(460)을 지나서 상기 흡입구(450) 근처에 이르도록 설치함이 적합하다. 따라서 흡입수단에 의한 흡입력은 상부오물수거용유로(R2a)를 통해서 상기 연결구(460), 흡입구(450), 분산판(430), 분리판(410)으로 작용되고 하부오물수거용유로(R2b) 내부로 흡입력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 분산판(430)을 구성하는 상면분산판(431)에는 다수의 천공된 홀(h)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도록 하는데, 상기 홀(h)을 통해서만 공기의 흐름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 분산판(430)을 두게 되면 상부오물수거용유로(R2a)를 통하여 흡입통(400) 내부로 작용하는 흡입력이 흡입통(400) 상부의 분산판(431)에 구비되는 홀(h)을 통하여 흡입통 전체로 균일하게 분산되면서 공기의 흐름은 상당히 느려지고 따라서 분리판(430)을 통과하면서 입자가 커진 오물은 공기와 혼입이 되지않고 자체무게로 흡입통(400) 하부면을 타고 흘러 물공급통(500) 내부로 유입되는데 기여하게 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inlet side of the suction tube 400 is disposed so that the distal end of the first pressure tube 420 is located, and some of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means affects the first pressure tube 420 and the first pressure tube ( The same pressure acts on the second pressure pipe 620 connected to the 420 and the same pressure acts on the auxiliary container 600 to which the second pressure pipe 620 is connected.
As shown in addition to the separation plate 410 is installed in the suction cylinder 400 more preferabl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uction port 450 which is opened near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cylinder 400 and the suction force acts. It is better to leave the distribution plate 430 to be separated spatially.
The first pressure pipe 420 disposed along the inside of the upper dirt collection passage R2a is formed in the operating rod 200 and passes through a connector 460 connected to the suction tube 400 to reach the vicinity of the suction port 450. It is suitable to install it. Therefore, the suction force by the suction means is acted as the connector 460, the suction port 450, the distribution plate 430, the separating plate 410 through the upper waste collection flow passage (R2a) and into the lower waste collection flow passage (R2b). Suction force will act.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h are uniformly formed in the upper dispersion plate 431 constituting the dispersion plate 430, and air flows only through the holes h. When the dispersion plate 430 is placed, the suction force acting inside the suction tube 400 through the upper dirt collection passage R2a is provided through the hole h provided in the dispersion plate 431 on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tube 400.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suction tube, the air flow is considerably slower, and thus, the dirt that has grown while passing through the separator plate 430 does not become mixed with the air and flows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suction tube 400 at its own weight to supply water. (500) will contribute to the inside.

상기와 같은 흡입통(400)의 하부에는 물공급통(500)이 결합되고 물공급통(500) 하부에는 보조물통(600)이 결합되는데, 상기 물공급통(500)의 경우 탈부착이 가능해야 하므로 상기 물공급통(500)을 자유롭고 간편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흡입통(400)은 작동봉(200)에 대해서 소정범위 내에서 유동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통(400)이 작동봉(200)에 대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는 작동봉(200)의 측면에 안내돌기(204)를 두고 이에 대응하여 흡입통(400) 측면에도 상기 안내돌기(204) 보다는 길게 천공된 안내돌기홀(440)을 두어서 일정범위내에서 흡입통(400)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면 된다. 흡입통(400)의 이동은 얼마든지 다양한 구조, 방식으로 변경이 가능한 부분이고 언급한 것은 하나의 실시가능한 예에 불과한 것임을 지적한다.The water supply container 50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tube 400 as described above, and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60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supply cylinder 500. Therefore, in order to allow the water supply container 500 to be freely and easily detachabl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ction container 400 be able to flow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ith respect to the operating rod 200. In order to allow the suction cylinder 400 to be moved relative to the operating rod 200, the guide protrusion 204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operating rod 200, and the guide protrusion 204 is also applied to the side of the suction cylinder 400 correspondingly. Rather than having a perforated guide projection hole 440 to be able to move the suction tube 400 within a certain range. It is pointed out that the movement of the suction container 400 is a part tha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nd structures, and that the above is just one possible example.

이어서 상기 흡입통 하부에 설치되는 물공급통(5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며, 도13은 물공급통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에 해당된다. 도시된 것처럼, 물공급통(500)은 작동봉(200)에 대해 탈부착이 가능한 것이며 이중구조를 이루고 있음에 큰 특징이 있다. 즉, 상기 물공급통(500)은 외형을 이루어 체적의 변화가 없는 외부케이스(510)와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가요성 재질의 물저수조(520)로 구분된다.
상기 물공급통(500)을 이루는 외부케이스(510) 내부로 물저수조(520)가 설치되되, 하단부에서 상호간에 체결이 이루어지며 상기 물저수조(520)에는 청소시 물걸레로 공급하게 될 물(혹은 물에 세제나 소독제를 혼합한 것)이 수용된다. 물저수조(520)에 수용된 물이 배출되면 가요성인 물저수조(520)는 부피가 감소될 수 있으며, 한편으로 상기 흡입통(400)과 연결되는 물공급통(500) 내부(외부케이스와 물저수조 사이공간을 의미함)로 상기 흡입통에서 공기와 분리된 오물이 흘러 내려 저장된다.
상기 물저수조(520)에서 배출된 물의 양만큼 항상 물공급통(500) 내부의 여유 공간이 확보되므로 상기 흡입통(400)으로 유입되는 오물이 저장될 충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어 넘쳐 흐를 가능성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물공급통(500)의 하단부에서 물저수조(520)가 연결되는데 상기 물저수조(520)에는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는 밀폐판(521)이 구비되고 상기 밀폐판(521)은 후술할 보조물통(600)과의 결합에 의해 개방된다.
Next, a water supply container 500 installed below the suction container will be described, and FIG. 13 corresponds to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As shown, the water supply container 500 is detachable with respect to the operating rod 200 and has a great feature in that it forms a double structure. That is, the water supply container 500 is divided into an outer case 510 having no external shape and a flexible water reservoir 520 installed inside the outer case.
The water reservoir 520 is installed inside the outer case 510 constituting the water supply container 500, and the water reservoir 520 is fastened to each other at the lower end, and the water reservoir 520 is supplied with a mop when cleaning. Water or detergents or disinfectants mixed). When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reservoir 520 is discharged, the flexible water reservoir 520 may be reduced in volume, and 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tank 500 connected to the suction tank 400 (outer case and the water reservoir) And the dirt separated from the air flows from the suction tube and is stored therein.
Since the free space inside the water supply container 500 is always secured by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reservoir 520, a sufficient space for storing the dirt introduced into the suction container 400 may be formed, thereby overflowing the possibility of overflowing. You can eliminate it. As shown, the water reservoir 520 is connected 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500. The water reservoir 520 is provided with a sealing plate 521 pressurized by a spring to block the flow of water and the sealing plate ( 521 is opened by the combination with the auxiliary bucket 600 to be described later.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공급통(외부케이스) 외면 일측에는 이동손잡이(530)를 두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작동봉(200)과 연결되는 저면부에는 다수의 돌출된 착탈용바아(540)를 두도록 하고 상기 착탈용바아(540)에 대응하여 작동봉(200) 상면에는 함몰된 다수의 착탈홈(205)을 두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저수조(520)의 상단부에는 물을 채워넣을 수 있는 좁은 주입구(522)를 두도록 하며 상기 주입구(522)는 물공급통(외부케이스) 내면 상단부로부터 연결되는 지지밴드(523)로 구속시키도록 한다. 상기 지지밴드(523)로 주입구를 구속시킴으로서 상기 물저수조의 설치 높이는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물공급통(500)의 상단측면에는 상기 흡입통(400)과의 결속을 위한 결속후크(미도시)를 두도록 하는 것이 적합하고 이에 대응하여 흡입통(400) 하단부에도 짝을 이 루는 결속부재(미도시)를 두도록 한다. 상기 결속후크와 결속부재는 통상적인 걸고리와 같은 것으로 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것으로 함이 적합하다.More preferably, it is preferable to place the movement handle 530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outer case),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and detachable bars 540 are provided on the bottom portion connected to the operating rod 200. Corresponding to the detachable bar 540, a plurality of recessed recesses 205 reces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ng rod 200 is assumed.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water reservoir 520 is to have a narrow inlet 522 for filling the water and the inlet 522 is constrained by a support band 523 connec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outer case) Let's do it. By constraining the inlet with the support band 523,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water reservoir can always be maintained at a constant height. On the other hand, it is suitable to have a binding hook (not shown) for binding with the suction cylinder 400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500, and correspondingly paired to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cylinder 400 correspondingly. Is to put the binding member (not shown). It is preferable that the binding hook and the binding member be the same as a conventional hook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it.

이어서 상기 물공급통(500) 하부에 위치하는 보조물통(6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16은 상기 보조물통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에 해당되며, 상기 보조물통(600)은 작동봉(200)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흡입통(400)과 보조물통(600)은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서 작동봉(200)의 동일한 상면에 설치되고 그 사이에 물공급통(500)이 탈부착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통(500)이 작동봉(200)에 결합되면 상기 물저수조(520)에 구비되는 밀폐판(521)이 열리게 되어 저수된 물이 보조물통(600)으로 공급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하지만 물공급통(500)이 보조물통(600)과 결합되었다고 하여 항상 물이 보조물통으로 흐르지는 않는데, 이것은 보조물통(600)에 구비되는 제1밸브(cv1)의 작동에 기인한다. 상기 보조물통(600) 상부에는 물공급통(500)과의 결합이 이루어져 밀폐판(521)을 열리게 하는 열림핀(601)이 구비되며 상기 열림핀(601) 하부로 제1밸브(cv1)가 설치된다. 상기 제1밸브(cv1)의 개폐 동작은 보조물통(600) 내부에 형성되는 압력변화와 연관이 있다.Subsequently,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600 positioned below the water supply container 500 will be described. Figure 16 corresponds to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uxiliary bucket, the auxiliary bucket 600 is fixed to the operating rod 200 is installed. The suction container 400 and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600 may be installed on the sam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ng rod 20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water supply container 500 may be detached therebetween. When the water supply container 500 is coupled to the operating rod 200, the sealing plate 521 provided in the water reservoir 520 is opened, so that the stored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auxiliary container 600. . However, since the water supply container 500 is combined with the auxiliary container 600, water does not always flow to the auxiliary container, which is due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valve cv1 provided in the auxiliary container 600. An opening pin 601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bucket 600 to be coupled with the water supply container 500 to open the sealing plate 521, and a first valve cv1 is disposed below the opening pin 601. Is installed.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first valve cv1 is related to the pressure change formed in the auxiliary bucket 600.

상기 물공급통(500)의 내부에 위치하는 물저수조(520)로부터 보조물통(600)으로의 물공급 과정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실내 바닥 청소를 위해 물공급통(500)의 물저수조(520)에 물을 채워 넣은 후 흡입통(400)과 보조물통(600) 사이에 물공급통(500)을 결합하고 흡입수단을 가동하게 되면 작동봉(200) 내부로 흡입력이 작용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오물수거용유로(R2a)를 통해서 흡입통(400) 내부 및 제1압력관(420)에도 흡입력이 작용된다.
상기 제1압력관(420)에 흡입력이 작용되면 절환밸브(230)를 구성하는 밸브디스크(230b)의 연결홀(234)에 의해 제1압력관(420)과 연결되어진 제2압력관(620)에도 동일한 흡입력이 작용하게 되고 상기 제2압력관(620)이 다다르는 보조물통(600) 내부에도 흡입력이 작용되어 제2밸브(cv2)가 차단되면서 흡입통(400)과 연통된 물공급통(500) 내부와 보조물통(600) 내부는 동일한 압력을 이루게 된다. 상기 보조물통(600) 내부와 흡입통(400) 내부 압력이 동일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1밸브(cv1)가 물저수조(520)에 담긴 물의 자중에 의해서 열리게 되어 보조물통(600)으로 물이 공급된다.
한편, 상기 보조물통(600) 바닥부에는 배출관(610)이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배출관(610)은 작동봉(200) 내부의 배출관유로(R3)를 따라 바디(100)로 이어지고 나팔관(150)을 구성하는 보조이음관(152)의 원형결합부(152a)를 관통하여 물걸레(110) 표면에 접촉되는 분산노즐(160)까지 연결된다. 물론,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0) 내부에는 배출관(610)과 연결되는 제2밸브(cv2)가 더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밸브(cv2) 다음에는 수동차단밸브(MV)도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동차단밸브(MV)로부터 분기되는 다수의 분지관(615)이 분산노즐(160)과 연결되어 물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조물통(600)의 제1밸브(cv1)가 열려 보조물통(600) 내부로 물이 공급되면 바디 내부의 제2밸브(cv2)는 보조물통(600)에 가해진 흡입력에 의해 닫혀진 상태에 있고 사용자가 물걸레(110)로 물을 공급하고자 할 시에는 작동봉(200) 상단에 마련되는 손잡이(201) 근처의 절환밸브(230)를 이루는 레버(202)를 당김으로써 제1압력관(420)과 제2압력관(620)의 연결을 해제시키고 상기 제2압력관(620)으로 외기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보조물통(600)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어 상기 제2밸브(cv2)가 열리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수동차단밸브(MV)의 조작으로 최종적인 물의 배출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일단 상기 수동차단밸브(MV)가 열린 상태라면 상기 제2밸브(cv2)의 열림에 의해 물은 분지관(615)을 통해서 분산노즐(160)로 이동되어 물걸레(110)로 물을 배출하게 된다. 적정량의 물이 배출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가 레버(202)를 원위치로 복귀시킴에 의해 제2압력관(620)으로의 외기유입이 차단됨과 동시에 제1압력관과 연결되어 보조물통(600)에 가해진 흡입력에 의해 다시 제2밸브(cv2)는 닫히게 되어 물의 배출이 중단되고 제1밸브(cv1)는 열린 상태로 전환된다.
The water supply process from the water reservoir 520 located inside the water supply container 500 to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6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ll the water reservoir 520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500 for indoor floor cleaning, and then combine the water supply container 500 between the suction container 400 and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600 and operate the suction means. When the suction force acts inside the operating rod 200, and more specifically, the suction force acts on the inside of the suction tube 400 and the first pressure pipe 420 through the upper dirt collection passage R2a.
When suction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pressure pipe 420, the same applies to the second pressure pipe 620 connected to the first pressure pipe 420 by the connection hole 234 of the valve disc 230b constituting the switching valve 230. The suction force is applied and the suction force is also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auxiliary water tank 600 to which the second pressure pipe 620 reaches, so that the second valve cv2 is blocked, and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500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ipe 400. Inside the auxiliary container 600 is to achieve the same pressure. In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 inside the auxiliary bucket 600 and the suction tube 400 are the same, the first valve cv1 is opened by the weight of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reservoir 520, and water is supplied to the auxiliary bucket 600. .
Meanwhile, a discharge pipe 610 is connected to a bottom portion of the auxiliary bucket 600, and the discharge pipe 610 is connected to the body 100 along the discharge pipe flow path R3 inside the operating rod 200, and the bugle pipe 15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610. It passes through the circular coupling portion 152a of the auxiliary joint pipe 152 constituting the connection to the dispersion nozzle 160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mop 110. Of course, as mentioned above, the second valve cv2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610 is further coupled inside the body 100, and a manual shutoff valve MV is also provided after the second valve cv2.
In addition, a plurality of branch pipes 615 branching from the manual shut-off valve MV are connected to the dispersion nozzle 160 and configured to discharge water. When the first valve cv1 of the auxiliary bucket 600 is opened and water is supplied into the auxiliary bucket 600, the second valve cv2 inside the body is in a closed state by the suction force applied to the auxiliary bucket 600. When the user wants to supply water to the mop 110, the first pressure pipe 420 and the lever 202 forming the switching valve 230 near the handle 201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rod 200 is pulled out. As the second pressure pipe 620 is disconnected and the outside air is supplied to the second pressure pipe 620, the pressure inside the auxiliary bucket 600 is increased to open the second valve cv2.
At this time, the user can determine whether the final water is discharged by operating the manual shut-off valve (MV), and once the manual shut-off valve (MV) is open, the water is branched by opening of the second valve (cv2) 615. It is moved to the dispersion nozzle 160 through the) to discharge the water to the mop (11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per amount of water has been discharged, the user returns the lever 202 to the original position, thereby blocking the inflow of external air into the second pressure pipe 620, and at the same time, connected to the first pressure pipe to the suction force applied to the auxiliary bucket 600. As a result, the second valve cv2 is closed to stop the discharge of water, and the first valve cv1 is switched to the open state.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사용자는 간편하게 물공급통(500)에 물을 채운 후 작동봉(200)에 결합시키고 손잡이(201) 근처에 형성되는 레버(202)의 조작만으로 물의 공급을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물 청소가 가능하고 흡입되는 오물과 공기는 효율적으로 분리되어 깨끗한 상태의 공기를 배기하게 되고 분리된 오물 등은 다시 물공급통(500) 속으로 저장되므로 청소 후에 간편하게 물공급통을 분리하여 버릴 수 있게 된다.Thus, the user of the mop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mply fills the water supply container 500 and then coupled to the operating rod 200 and freely adjust the supply of water by only operating the lever 202 formed near the handle 201. While the water can be cleaned and the sucked dirt and air are efficiently separated to exhaust the air in a clean state, and the separated dirt is stored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500 again. It becomes possible.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물걸레 청소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100)를 구성할 시에 바닥판(BP)을 두 부분으로 분리하여 소정의 범위내에서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함이 적합하다. 통상적으로 바닥판(BP) 하부면 후방측에는 이동이 원활하도록 구름휠(170)이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바닥판(BP) 후방측 중심부 일부를 절개 분리하여 보조바닥판(BP-1)을 형성시키고 상기 보조바닥판(BP-1) 상면에는 작동봉(200)의 연결을 위한 브라켓(B)을 설치토록 하고 하면에는 구름휠(170)을 두도록 한다. 상기 바닥판(BP)에 대해 보조바닥판(BP-1)을 회동이 가능하게 회동핀(101)을 이용하여 서로 구속시키도록 하며, 보조바닥판(BP-1)의 이러한 연결구조로 인해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작동봉(200)을 밀거나 당기면서 청소가 가능하다. 또한, 보조바닥판(BP-1)에 대해 바닥판(BP)이 소정범위 내에서 회동되므로 청소할 바닥면에 굴곡이 있더라도 큰 장애를 받지 않으면서 청소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Furthermore, in constituting the mop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bottom plate BP is divided into two parts when the body 100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in a rotatable form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 Typically, the rolling wheel 170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bottom plate (BP) to smoothly m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art of the rear side center portion of the bottom plate (BP) is incised and separated to form an auxiliary bottom plate (BP-1). To form a and to install the bracket (B) for the connection of the operating rod 2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bottom plate (BP-1) and to put a rolling wheel 170 on the lower surface. The auxiliary bottom plate (BP-1) with respect to the bottom plate (BP) to be bound to each other using the rotation pin 101 to enable rotation, due to this connection structure of the auxiliary bottom plate (BP-1) The cleaning is possible while pushing or pulling the operating rod 200 more conveniently. In addition, since the bottom plate BP is rot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ith respect to the auxiliary bottom plate BP-1,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lean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a great obstacle even if the bottom surface to be cleaned is curved.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달리 흡입수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핸디타입으로 제작하여 보다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작동봉(200)으로 전기가 공급되어야 하므로 손잡이(201) 단부 등에 전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본 제2실시예와 같이 기본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도록 함에 따라 물걸레(110)의 회전을 위한 수단으로 에어모터 대신에 전기모터(EM)를 두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제1실시예에서는 흡입수단의 흡입력을 이용하기 위해 에어모터를 두도록 하나 상기 에어모터의 경우 소음이 심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본 제2실시예에서는 에어모터 대신에 전기공급으로 동작되는 전기모터를 활용하는 것으로 한다.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means are integrally combined. That is, it is intended to be configured to provide a more convenient use by manufacturing in a handy type, for this purpose, the electricity must be supplied to the operating rod 200, so that the wire 20 and the like should be connected to the handle. As the second embodiment basically supplies electricity, it is preferable to place the electric motor EM instead of the air motor as a means for rotating the mop 110. In the first embodiment, the air motor is provided to use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eans, but in the case of the air motor, the noise is likely to be severe. do.

도17은 제2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물걸레 청소기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18은 바디의 내부 구성도를 보여준다.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overall configuration of a mop cleaner constructe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and FIG. 18 show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body.

제2실시예에 의한 물걸레 청소기는 작동봉(200)을 따라 흡입통(400), 물공급 통(500), 보조물통(600)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흡입통(400) 보다 위에 흡입수단(300)이 일체로 결합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흡입수단(300)은 전기공급에 의해 동작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며, 흡입통(400) 내부 및 제1압력관(420)에 흡입력을 제공하게 된다. 제1실시예에서는 작동봉(200) 내부에 에어모터 구동을 위한 별도의 유로가 필요했으나 본 제2실시예의 경우에는 이러한 독립적인 유로가 필요없게 되고 상기 작동봉 내부로 흡입통으로 오물 등의 유입을 위한 오물수거용유로만을 두어도 무방하다.In the mop clea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suction bucket 400, the water supply bucket 500, and the auxiliary bucket 600 are installed along the operating rod 200, and the suction means (above the suction bucket 400). 300) is integrally coupled. That is, the suction means 300 is operated by an electric supply to generate a suction force, and provides a suction force to the suction cylinder 400 and the first pressure pipe 420. In the first embodiment, a separate flow path for driving the air motor is required in the operating rod 200, but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such an independent flow path is not necessary, and inflow of dirt or the like into the suction rod is introduced into the operating rod. It is also possible to leave only a waste collecting oil.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전기모터(EM)를 사용하므로 바디(100) 측으로 전선을 배설하여 전기모터가 구동될 수 있게만 구성하면 된다. 그 외 물의 공급원리나 사용동작은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바 중복되는 요소에 대한 설명을 생략토록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electric motor (EM) is used, the electric motor needs only to be configured so that the electric motor can be driven by disposing the electric wire toward the body 100. In addition, the principle of supplying water and the operation of using water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description of overlapping elements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부가적으로 바디 내부 등에 전기에 의해 물을 가열시킬 수 있는 히터(미도시)를 두어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고온의 물로서 청소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바디 내부 등에 물을 데울 수 있는 히터의 설치는 공지의 일반기술의 적용으로 구성이 가능한 부분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하겠다.In addition, in configuring the mop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by placing a heater (not shown) capable of heating the water by electricity in the body and the like so that the user can clean as high temperature water as needed. You may. Installation of a heater that can heat water inside the body is a part that can be configured by the application of known general techniques,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는 무엇보다도 새로운 개념의 청소기로 고가의 필터를 필요치 않고도 흡입되는 오물과 공기 및 공기 속에 잔존하여 유동하게 되는 미세한 먼지와 같은 유해 입자상 물질까지도 완전히 분리시켜 최종적으로는 정화된 공기만을 배기하게 되는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기술이다. 즉, 본 발명의 물걸레 청소기는 실내 바닥 청소를 하면서 동시에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는 기술이다.The mop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w concept of vacuum cleaner, which completely removes harmful particles such as dirt and fine particles that remain and flow in the air and air, without requiring expensive filters. It is a technology having excellent characteristics to exhaust the bay. In other words, the mop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that serves to purify the indoor air while cleaning the indoor floor.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물걸레가 회전되면서 나팔관과 접촉하여 오물을 즉시 흡입하여 물걸레로부터 제거시키므로 항상 물걸레는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며 따라서 오랜시간 청소를 하여도 늘 새로운 물걸레로 청소를 하는 것과 같아 위생적인 측면에서도 깨끗하다는 이점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p is rotated in contact with the fallopian tube and immediately sucks in the dirt to remove it from the mop, the mop always keeps a clean state, so even after a long time cleaning always with a new mop in the hygienic aspect It also provides the advantage of being clean.

본 발명에 의한 물걸레 청소기는 기존의 많은 청소기를 대체하여 인체에 전혀 해로움을 주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물걸레 청소기로 폭넓은 보급과 사용이 기대되는 실제 이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우수한 기술이다.The mop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w type of mop cleaner that replaces many existing cleaners and does not harm the human body at all, and is a very high technology that is highly likely to be used in practice.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은 가정용 뿐 아니라 대용량으로 하여 각종 산업현장에서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필터와 같은 부품이 필요없는 바 저렴한 가격대로 공급되어 가격 경쟁력도 높아 소비자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In addition,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ected to be utilized in various industrial sites as well as a large capacity for home use, and it is expected to obtain a good response from consumers because it is supplied at an affordable price without requiring parts such as a filter.

또한, 제시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 제공하면 소비자는 기존에 보유하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수단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활용 가능성이 높은 기술이라 할 것이다.In addition, if provid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aid that the technology is highly available in terms of the consumer can utilize the suction means of the existing vacuum cleaner as it is.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새로운 개념의 기술로 해외출원을 통하여 많은 수출 및 기술수출로 국가 경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national economy through many exports and technology exports through overseas applications with a new concept of technology.

도1은 제1종래기술에 대한 개략적인 전체 사시도.
도2는 제2종래기술에 대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로 구체화한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5는 제1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물걸레 청소기에 있어서 바디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6은 바디의 측면 단면도.
도7은 나팔관에 대한 사시도.
도8은 절환밸브와 제1압력관 및 제2압력관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9는 절환밸브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10은 절환밸브의 밸브디스크가 후퇴된 경우의 제2압력관과 외기유입구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11은 작동봉에 결합된 흡입통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12는 상기 분리판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13은 물공급통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14는 물공급통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15는 흡입통과 물공급통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16은 상기 보조물통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17은 제2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물걸레 청소기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18은 바디의 내부 구성도.
1 is a schematic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first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prior art;
Figure 3 is a schematic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mop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mop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embodied as a mop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body in the mop cleaner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embodiment.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dy.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allopian tube;
Figure 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witching valve and the first pressure pipe and the second pressure pip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witching valve.
10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a second pressure pipe and an outside air inlet when the valve disc of the switching valve is retracted;
1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suction pail coupled to a working rod;
1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or.
Figure 13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1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container and the water supply container are coupled;
1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uxiliary bucket;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overall configuration of a mop cleaner constructe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18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바디 110 : 물걸레
110a: 샤프트 110b: 코어
110c: 걸레부재 111 : 통공
120 : 풀리고정용아암 150 : 나팔관
151 : 지지블럭 152 : 보조이음관
152a: 원형결합부 160 : 분산노즐
170 : 구름휠 200 : 작동봉
201 : 손잡이 202 : 레버
203 : 플렉시블주름관 204 : 안내돌기
205 : 착탈홈 210 :공기오물배출구
300 : 흡입수단 400 : 흡입통
410 : 분리판 420 : 제1압력관
430 : 분산판 412 : 공기오물도입구
500 : 물공급통 510 : 외부케이스
520 : 물저수조 530 : 이동손잡이
540 : 착탈용바아 600 : 보조물통
610 : 배출관 620 : 제2압력관
AM : 에어모터 EM : 전기모터
V : 벨트 P : 풀리
C : 커버 BP : 바닥판
BP-1 : 보조바닥판 B : 브라켓
R1 : 에어모터구동용유로 R2 : 오물수거용유로
R3 : 배출관유로 SR1 : 보조유로
CV1 : 제1밸브 CV2 : 제2밸브
<Description of Major Symbols Used in Drawings>
100: body 110: mop
110a: shaft 110b: core
110c: mop member 111: through hole
120: loosening fixed arm 150: fallopian tube
151: support block 152: auxiliary joint pipe
152a: circular coupling portion 160: dispersion nozzle
170: rolling wheel 200: operating rod
201: handle 202: lever
203: flexible tube 204: guide protrusion
205: removable groove 210: air dirt outlet
300: suction means 400: suction
410: separator plate 420: first pressure pipe
430: dispersion plate 412: air soil inlet
500: water supply container 510: outer case
520: water reservoir 530: moving handle
540: detachable bar 600: auxiliary bucket
610: discharge pipe 620: second pressure pipe
AM: Air Motor EM: Electric Motor
V: Belt P: Pulley
C: Cover BP: Bottom Plate
BP-1: Subplate B: Bracket
R1: Air motor driving oil passage R2: Sewage collecting oil passage
R3: discharge pipe flow path SR1: auxiliary flow path
CV1: first valve CV2: second valve

MV : 수동차단밸브MV: Manual Shut-off Val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Claims (22)

회전되는 물걸레가 설치된 바디와 상기 바디로부터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작동봉 그리고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수단을 구비하여 공기를 강제 흡입하면서 청소를 하게 되는 청소기로서,As a vacuum cleaner for cleaning while forcibly sucking air provided with a rotating mop body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body from the body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handle is formed and a suction means for sucking the air, 상기 흡입수단의 흡입력으로 인해 상기 물걸레로부터 공기 및 오물(물과 먼지 등 입자상 물질 및 머리카락 등이 혼재된 것)이 흡입되어 작동봉을 통해서 상승되면서 상기 작동봉에 결합되는 흡입통으로 유입되되, 상기 흡입통 내부에 설치되어 필터 역할을 하는 한쌍의 분리판을 거치면서 공기와 오물의 분리가 이루어지고, 분리된 오물은 상기 흡입통 하부에 결합되는 물공급통으로 흘러 내부에 모이도록 함으로써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Due to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eans, air and dirt (mixed with particulate matter such as water and dust and hair, etc.) are sucked from the mop and lifted up through the operating rod, and are introduced into the suction tube coupled to the operating rod. Air and dirt are separated through a pair of separation plates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to act as a filter, and the separated dirt flows in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suction container so that the cleaning is performed. , 상기 물걸레로 물을 공급시키기 위해서 상기 물공급통에는 독립적인 공간을 갖는 물저수조를 두도록 하고 상기 물저수조에 저수된 물은 상기 물공급통 하부에 결합되는 보조물통으로 낙하되게 하고 상기 손잡이 근처에 형성되는 레버 조작을 통해서 외기가 상기 보조물통으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상기 보조물통 내부에 부가적인 압력이 형성되어 보조물통의 물이 상기 보조물통과 연결된 배출관을 따라 물걸레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In order to supply water to the mop, the water supply tank has a water reservoir having an independent space, and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reservoir is dropped into an auxiliary bucket coupled to the water supply tank and formed near the handle. Mop mop characterized in that additional pressure is formed inside the auxiliary bucket by allowing the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auxiliary bucket through the lever operation so that the water in the auxiliary bucket can be supplied to the mop along the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auxiliary bucket. vacuum clean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레버는,The lever is 손잡이에 인접하여 배치되되, 작동봉 단부에 마련되는 절환챔버 내부에 설치되는 절환밸브와 연결되어져 있고, 상기 절환챔버로부터 상기 흡입통으로 향하는 제1압력관 및 상기 보조물통으로 향하는 제2압력관이 연결되어 상기 레버 조작에 따라 상기 제1압력관과 제2압력관이 서로 연통되거나 제2압력관으로만 외기가 공급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Arranged adjacent to the handle, it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valve is installed in the switching chamber provided at the end of the operating rod, the first pressure pipe to the suction cylinder from the switching chamber and the second pressure pipe to the auxiliary bucket is connected to the The mop cleaner, wherein the first pressure pipe and the second pressure pip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r the outside air may be supplied only to the second pressure pipe according to a lever operatio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압력관은,The first pressure pipe, 흡입수단에 의해서 흡입통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유로상에 말단부가 위치되어 상기 제1압력관으로 흡입력이 작용되고, 상기 절환밸브에 의해 제1압력관과 제2압력관이 연통될 시에는 상기 제2압력관에도 흡입력이 작용하여 흡입통과 보조물통의 내부 압력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A distal end is positioned on the flow path for sucking air from the suction cylinder by the suction means, and a suction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pressure pipe. When the first pressure pipe and the second pressure pip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the switching valve, the second pressure pipe is also used. Mop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uction bucket and the auxiliary bucket is equally form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물공급통은,The water supply container, 작동봉 상에 상기 흡입통과 보조물통 사이에서 탈부착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흡입통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오물이 수거될 수 있고 물저수조의 물은 보조물통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Mop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be detachable between the suction tank and the auxiliary bucket on the operating rod and the dirt flowing down from the suction bucket can be collected and the water of the water reservoir can be supplied to the auxiliary bucket.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물저수조는,The water reservoir is, 비닐과 같은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져 물이 상기 보조물통으로 배출됨에 따라 부피가 감소되어 상기 흡입통으로부터 물공급통으로 흘러내리는 오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Mop cleaner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vinyl to reduce the volume of water as it is discharged into the auxiliary bucket so as to secure a space for accommodating dirt flowing from the suction bucket to the water supply bucke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조물통에는,The auxiliary bucket, 물공급통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연결핀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핀 하단에 제1밸브가 결합되어 상기 보조물통 내부의 압력변화에 따라 상기 제1밸브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Mop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pin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water supply tank and the first valve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pin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pressure change in the auxiliary bucket.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보조물통으로부터 물걸레를 향하여 설치되는 배출관은,Discharge pipe is installed toward the mop from the auxiliary bucket, 다수개의 분지관들과 연결되고 상기 분지관들은 물걸레와 접촉하는 분산노즐에 결합되어 상기 물걸레 전체에 고루 물을 분산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The mop cleaner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ranch pipes and the branch pipes are coupled to the dispersion nozzle in contact with the mop to distribute the water evenly throughout the mop.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분산노즐은,The dispersion nozzle, 상기 물걸레를 향하는 면에 부직포와 같은 흡착포가 결합되어 공급되는 물을 상기 물걸레로 전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Mop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facing the mop is combined with an adsorption cloth such as a non-woven fabric to transfer the water supplied to the mop.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분산노즐은,The dispersion nozzle, 바디를 구성하는 바닥판과 스프링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상기 물걸레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Mop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by using the bottom plate and the spring constituting the body in contact with the mop surface.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물걸레는,The mop, 둥근 원통형으로서 전기모터 또는 에어모터에 의해서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Mop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is made by an electric motor or an air motor as a round cylinder.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물걸레는,The mop, 전기모터 또는 에어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해 일측단부에 풀리가 형성되는 샤프트와;A shaft having a pulley formed at one end to receive rotational force from an electric motor or an air motor; 상기 샤프트에 끼워져 고정되는 중공체이며 표면부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코어와;A core body fitted into the shaft and fixed to the shaft, the cor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상기 코어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걸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Mop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p member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core outer surface.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바디에는 상기 작동봉과 일단부가 연결되어 흡입력이 작용되며 타단부는 상기 물걸레 전체폭을 커버하도록 펼쳐진 형태를 이루어 물걸레 표면과 접촉되 는 나팔관이 구비되어 상기 물걸레로부터 오물을 흡입하여 상기 흡입통으로 오물이 이동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The body is connected to the working rod and one end is applied to the suction force, the other end is formed to expand the shape to cover the entire mop is provided with a fallopian tub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mop to suck the dirt from the mop and the dirt into the suction tube Mop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ved.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흡입수단은,The suction means, 작동봉에 일체로 결합된 것이거나 독립적으로 분리되어져 상기 작동봉과 플렉시블주름관에 의해 연결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것 중 하나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Mop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which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operating rod or independently separated and connected by the operating rod and the flexible wrinkle tube to provide a suction force.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물걸레를 회전시키는 수단으로 에어모터를 사용할 시에는,When using an air motor as a means for rotating the mop, 상기 작동봉 내부에 다수의 분할 격벽을 두어 에어모터구동용유로를 만들도록 하고, 상기 작동봉과 바디를 연결하는 브라켓의 일측면을 통해서 보조유로를 형성시켜 상기 에어모터의 팬과 연결시킴으로서 상기 에어모터가 흡입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의 일부로 회전되는 것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By placing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in the operating rod to make an air motor drive flow passage, and forming an auxiliary flow path through one side of the bracket connecting the operating rod and the body to connect the fan of the air motor by connecting Mop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is a part of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means.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물걸레를 회전시키는 수단으로 에어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In the case of using an air motor as a means for rotating the mop, 에어모터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소음기를 더 갖추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The mop cleaner further comprises a silencer that can reduce the noise of the air motor.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배출관에는,In the discharge pipe, 제2밸브가 연결되어 상기 보조물통으로 외기가 공급될 시에만 열리게 되는 것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Mop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valve is connected to open only when the outside air is supplied to the auxiliary bucket.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배출관에는,In the discharge pipe, 상기 제2밸브에 연이어 수동차단밸브가 연결되며 상기 수동차단밸브의 상단은 바디 상부로 돌출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The manual shutoff valve is connected to the second valve in succession, and the mop cleaner, wherein an upper end of the manual shutoff valve protrudes from the upper body.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흡입통은,The suction pail, 흡입통의 상면 및 흡입구가 형성되는 측면과 이격거리를 두면서 결합되는 분산판이 설치되되 상기 분산판 중 상면분산판에는 다수의 홀이 균등하게 형성되어 흡입통의 흡입력은 흡입통 전체에 고르게 분산되어 흡입 공기의 흐름이 느려짐에 따라 분리판을 통과하면서 공기와 분리되어 입자가 커진 오물이 공기에 혼입되지 않고 물공급통으로 흘러내려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Dispersion plate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and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of the suction port is formed, the number of holes i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ersion plate is formed evenly, the suction power of the suction bottle is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suction tube Mop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t is separated from the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separation plate as the air flow is slowed down and stored in the water supply tank flows into the water supply tank without being mixed with air.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바디를 구성하는 바닥판은The bottom plate constituting the body 상기 작동봉이 연결되는 보조바닥판을 독립적으로 두되 상기 바닥판에 대해 보조바닥판이 회동될 수 있도록 회동핀으로 상호 연결시키도록 하고, 상기 보조바닥판 하면에는 다수의 구름휠을 두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The auxiliary base plate to which the operating rod is connected to be independent but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otation pin so that the auxiliary bottom plate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plat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olling wheel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bottom plate Mop cleaner.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흡입통은,The suction pail, 작동봉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물공급통의 탈부착시에 상기 흡입통과 보조물통간의 충분한 간격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Mop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operating rod to form a sufficient gap between the suction tank and the auxiliary water bucket when the water supply tank is attached and detached. 제2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물공급통에는,The water supply container, 이동손잡이가 더 구비되고 상기 흡입통과의 결속을 위한 결속후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Mop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handle is further provided and a binding hook for binding with the suction tube is provided.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분리판은,The separator plate, 상측분리판과 하측분리판이 한쌍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며 다수의 구분격막이 구비되어 상호 결합시 서로 엇갈리어 복잡한 내부공간을 이루고 외측으로 갈수록 오물의 입자가 증대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Mop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eparation plate and the lower separation plate is composed of a pair is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separation diaphragm to form a complex internal space alternately when combined with each other to increase the particles of dirt toward the outside.
KR1020080004443A 2007-10-30 2008-01-15 Cleaner with a wet floorcloth KR1008646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6364 WO2009057934A2 (en) 2007-10-30 2008-10-29 Cleaner with a wet floorclo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09476 2007-10-30
KR1020070109476 2007-10-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4697B1 true KR100864697B1 (en) 2008-10-23

Family

ID=40177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443A KR100864697B1 (en) 2007-10-30 2008-01-15 Cleaner with a wet floorcloth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64697B1 (en)
WO (1) WO2009057934A2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934Y1 (en) * 2015-06-24 2016-07-26 주식회사 이노뷰 Water, air separation structure of window washing device
KR200480944Y1 (en) * 2015-06-24 2016-07-27 주식회사 이노뷰 Window washing device
US20230111570A1 (en) * 2016-07-14 2023-04-13 Lg Electronics Inc. Clea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28944A1 (en) * 2009-08-27 2011-03-03 Rudolf Franke Handheld tillage impl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69A (en) * 1993-07-20 1995-02-03 Fujitsu General Ltd Floor face cleaner
JP2003102663A (en) 2001-09-28 2003-04-08 Amano Corp Floor surface washing cleaner
KR20040034390A (en) * 2003-09-19 2004-04-28 박명덕 Vacuum cleaner having water-cleaning function
KR20050091480A (en) * 2004-03-12 2005-09-15 박명덕 Cleaner using water and brush for water clean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4755A (en) * 1996-01-18 1998-07-28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Wet extractor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69A (en) * 1993-07-20 1995-02-03 Fujitsu General Ltd Floor face cleaner
JP2003102663A (en) 2001-09-28 2003-04-08 Amano Corp Floor surface washing cleaner
KR20040034390A (en) * 2003-09-19 2004-04-28 박명덕 Vacuum cleaner having water-cleaning function
KR20050091480A (en) * 2004-03-12 2005-09-15 박명덕 Cleaner using water and brush for water cleani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934Y1 (en) * 2015-06-24 2016-07-26 주식회사 이노뷰 Water, air separation structure of window washing device
KR200480944Y1 (en) * 2015-06-24 2016-07-27 주식회사 이노뷰 Window washing device
US20230111570A1 (en) * 2016-07-14 2023-04-13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864697B2 (en) 2016-07-14 2024-01-09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930973B2 (en) * 2016-07-14 2024-03-19 Lg Electronics Inc.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57934A3 (en) 2009-06-18
WO2009057934A2 (en)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7014Y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717128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210045607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101902947B (en) Cleaning device
CA3054466C (en) Accessory for use with vacuum cleaners
KR100864697B1 (en) Cleaner with a wet floorcloth
US20210127938A1 (en) Accessory for use with vacuum cleaners
JP2004521690A (en) Equipment for cleaning surfaces with automatic plumbing
CN209863648U (en) Water absorption filtering accessory and dust collector with same
CN216854623U (en) Mop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assembly
KR100795820B1 (en) A apparatus for collecting waste oil and cleaning inside the engine of vehicle
GB2583048A (en) Accessory for use with vacuum cleaners
JPS646769B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