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3233B1 - 기능성 워터인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기능성 워터인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3233B1
KR100863233B1 KR1020030063475A KR20030063475A KR100863233B1 KR 100863233 B1 KR100863233 B1 KR 100863233B1 KR 1020030063475 A KR1020030063475 A KR 1020030063475A KR 20030063475 A KR20030063475 A KR 20030063475A KR 100863233 B1 KR100863233 B1 KR 100863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powder
water
cosmetic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7180A (ko
Inventor
이경록
Original Assignee
이경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록 filed Critical 이경록
Priority to KR1020030063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3233B1/ko
Publication of KR20050027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3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32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C2∼C6 저급 모노알코올 또는 폴리올 0.01 내지 20 중량%가 함유된 친수성 액체 캐리어; (B) 겔화제 0.01 내지 10 중량%; 및 (C) 70m2/g 내지 130m2/g의 비표면적을 가진 무기 또는 금속물질 0.01 내지 20 중량%;로 이루어지되, 상기 친수성 액체 캐리어가 순수 물 또는 하이드로졸이고, 상기 순수 물 또는 하이드로졸 성분이 100에서 다른 상의 모든 성분들의 합을 뺀 잔량으로 이루어진, 기능성 워터인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말 형태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 유효성분과 기능성 성분을 적절히 고배합함으로써, 열, 빛, 수분 및 공기 등에 의한 산화에 의해 파괴되기 쉬운 기능성 성분을 안정화시켜 양호한 상태의 분말형태로 유지하면서 사용할 때, 즉, 손으로 문지를 경우에도 기능성 성분이 파괴되지 않으면서 액상으로 녹아 각각의 기능성 성분이 갖는 기능을 극대화하고, 동시에 분말 형태의 조성물에 다량의 수분 및 보습 성분을 함유하여 보습 기능이 우수한 분말 형태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분말, 겔화제, 보습, 비표면적, 기능성

Description

기능성 워터인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FUNCTIONAL WATER-IN-POWDER FORMULATION FOR COSMETIC APPLICATION}
본 발명은 수분 및 보습 성분을 다량 함유하여 동시에 기능성 성분이 함유된 워터인 파우더(water in powder)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미세하게 분쇄된 물분자의 외주면을 파우더가 덮어 씌워지는 형상을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말 형태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 유효성분과 기능성 성분을 적절히 배합함으로써, 열, 빛, 수분 및 공기 등에 의한 산화에 의해 파괴되기 쉬운 기능성 성분을 안정화시켜 양호한 상태의 분말형태로 유지하면서 사용할 때, 즉 손으로 문지를 경우에도 기능성 성분이 파괴되지 않으면서 액상으로 녹아 각각의 기능성 성분이 갖는 기능을 극대화하고, 동시에 다량의 수분 및 보습 성분을 분말에 함유시킴으로써 적용시 보습 특성이 우수한 분말 형태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의 기능성 특성이 더욱 강조되어, 특히 주름개선 및 피부 탄력, 미백, 보습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와 함께 기능성 성분의 사용은 화장품을 연구하는 개발자에게 커다란 연구 과제가 되어 왔으며, 이러한 기능성 성분으로 태반, 아부틴(Arbutin), 레시틴(Lecithin), 감초산, 플라보노이드, 클로로필린, 에톡시퀴인, 구아노신, 토코페롤 및 이의 유도체,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β-카로텐, 비타민 E 및 이의 유도체, 비타민 C 및 이의 유도체, 및 비타민 A 및 이의 유도체 등에 대한 효능 및 효과에 대한 이론이 이미 일반저널을 통해 널리 알려져 있으며, 화장품 성분으로 폭넓게 응용되고 있다.
상기 기능성 성분을 화장품에 함유시키는 종래 기술로는 기능성 성분과 화장수를 별도로 두고, 사용할 때마다 각각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과 또 다른 기술로는 기능성 성분을 에멀젼 및 화장수에 함유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공정이 복잡하여 사용이 불편하고 기능성 성분의 고배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처방 내에 고배합시 열, 빛, 수분 및 공기 등에 의하여 산화 및 파괴되는 등 안정성이 양호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장 유효성분과 기능성 성분을 적절히 고배합함으로써, 열, 빛, 수분 및 공기 등에 의한 산화에 의해 파괴되기 쉬운 기능성 성분을 안정화시켜 양호한 상태의 분말형태로 유지하면서 사용할 때, 즉 손으로 문지를 경우에도 기능성 성분이 파괴되지 않으면서 액상으로 녹아 각각의 기능성 성분이 갖는 기능을 극대화하고, 동시에 수분 및 보습 성분을 다량 함유하여 보습 특성이 우수한 파우더 성상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조성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국부 적용시 액상으로 녹는 피부 보호 분말 형태인, 기능성 워터인 파우더(water-in powder)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 C2∼C6 저급 모노알코올 또는 폴리올 0.01 내지 20 중량%가 함유된 친수성 액체 캐리어;
(B) 겔화제 0.01 내지 10 중량%; 및
(C) 70m2/g 내지 130m2/g의 비표면적을 가진 무기 또는 금속물질 0.01 내지 20 중량%;로 이루어지되, 상기 친수성 액체 캐리어가 순수 물 또는 하이드로졸이고, 상기 순수 물 또는 하이드로졸 성분이 100에서 다른 상의 모든 성분들의 합을 뺀 잔량으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본 발명의 기능성 워터인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은 플라보노이드, 클로로필린, 에톡시퀴인, 구아노신, 토코페롤 및 이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β-카로텐, 비타민 E 및 이의 유도체, 비타민 C 및 이의 유도체 및 비타민 A 및 이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기능성 성분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하, 각 성분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A) 친수성 액체 캐리어
친수성 액체 캐리어는 보습 특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전체 조성물의 50 내지 약 95 중량%로 함유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약 90 중량%로 함유된다.
친수성 액체 캐리어 중의 C2∼C6 저급 모노알코올 및(또는) 폴리올로는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글리세롤, 부틸렌 글리콜, 이소프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이소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절히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습 또는 습윤제를 함유하며, 예컨대 히알루론산 및 이의 소듐 염, β-글리세로포스페이트, 소르비톨 또는 판테놀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 종 이상이 적절히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친수성 액체 캐리어는 순수 물 뿐만 아니라, 식물을 이용하여 정유(Essential Oil) 을 추출할 때 생성되는 천연 워터인 하이드로졸(Hydrosol)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라벤더 워터, 로즈 워터, 티트리 워터, 캐모마일 워더, 오렌지 플라워 워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B) 겔화제
겔화제는 워터인 파우더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전체 조성물의 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로 함유된다. 겔화제의 양이 0.01 중량% 보다 적으면 파우더가 액체 캐리어, 즉 물을 제대로 둘러싸지 못하게 되며, 겔화제의 양이 10 중량% 보다 많으면 파우더가 형성된 파우더를 피부에 적용시 분말이 미세한 외력에 의해 액체 상으로 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겔화제는 카르복실산 중합체,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 중합체, 폴리아크릴아미드 중합체, 다당류, 가교된 비닐 에테르/말레인 무수물 공중합체, 가교된 폴리(N-비닐피롤리돈)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절히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친수성 중합체, 예를 들어 아크릴산/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카르복시비닐 중합체이다. 그와 같은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예는 특히 상표명 Carbopol (Goodrich Co.) 으로 시판되고 있는 '카르보머(carbomer)'(CTFA), 또는 상표명 Lubragel (Guardian Co.) 으로 시판되고 있는 폴리글리세릴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상표명 Hispagel (Hispano Chimica Co.) 으로 시판되고 있는 폴리글리세릴 아크릴레이트 또는 상표명 Sepigel (SEPPIC Co.) 로 시판되고 있는 폴리아크릴 아미드/C13-14 이소파라핀/Laureth 7 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겔화제로서, 하기를 언급할 수 있다: 폴리사카라이드 유도체, 예컨대 셀룰로오스 유도체,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또는 미세결정형 셀룰로오스; 크산탄 중합체, 겔란 중합체, 람산(rhamsan) 중합체, 알기네이트, 말토덱스트린, 전분 및 이의 유도체, 히알루론산 및 이의 염, 카라야 검, 카르보 분말, 및 구아르 유도체, 특히 히드록시프로필구아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및 이의 유도체를 친수성 중합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C) 70m2/g 내지 130m2/g 의 비표면적을 가진 무기 또는 금속 물질
본 발명은 조성물의 0.01 내지 20 중량%의 70m2/g 내지 130m2/g의 비표면적을 가진 무기 또는 금속 물질을 함유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를 함유한다. 함량이 0.01 중량% 보다 작을 경우에는, 수상 성분을 충분히 분말화 시키지 못하게 되며, 20 중량% 보다 클 경우에는, 도포시 충분히 액화되지 않으며 적용 후 과다한 입자에 의한 백탁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비표면적이 70m2/g 보다 작은 경우에는 수상 성분을 충분히 분말화 시키지 못하게 되며, 비표면적이 130m2/g 보다 큰 경우에는 도포시 충분히 액화되지 않으며 적용 후 과다한 입자에 의한 백탁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70m2/g 내지 130m2/g의 비표면적을 가진 무기 또는 금속 물질로는 실리카, 티타늄 디옥시드, 지르코늄 디옥시드, 세륨 디옥시드, 아연 옥시드, 산화철, 산화크롬, 나노티타늄, 나노아연 및 페릭 블루 등을 들 수 있다.
(D) 기능성 성분
본 발명은 3가지 성분들, 즉 (A) 친수성 액체 캐리어, (B) 겔화제, (C) 70m2/g 내지 130m2/g의 비표면적을 가진 무기 또는 금속 물질로 분말 형태의 파우더인 워터를 제조한 후에, 이렇게 제조된 분말 형태 파우더를 다른 기능성 성분들과 혼합함으로써, 기능성 성분이 안정적으로 첨가된 분말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분말 상에서 기능성 성분의 보관 안정성 및 효능의 유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기능성 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 클로로필린, 에톡시퀴인, 구아노신, 토코페롤 및 이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β-카로텐, 비타민 E 및 이의 유도체, 비타민 C 및 이의 유도체, 비타민 A 및 이의 유도체, 분말 형태의 식물 추출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화장 유효성분을 사용하여 파우더 성상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공정을 상세히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70m2/g 내지 130m2/g의 비표면적을 가진 무기 또는 금속 물질 혼합물이 적절히 배합된 혼합물을 믹서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여기에 친수성 액체 캐리어를 서서히 투입하고 다시 겔화제를 추가로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워터인 파우더 형태의 분말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다음에 다시 상기 기능성 성분을 투입하여 추가 교반하여 분말 형태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
여러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화장료의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화장료를 제조하고, 각각에 대하여 분말화, 경시안정도, 충격강도, 액화성, 보습특성을 하기의 방법과 판단 기준으로 판단하여 그 결과를 다음에 나타내었다.
측정 방법 및 판단기준
(가) 분말화 : 250 ㎛ 을 통과시켜 실시하였다.
○ : 95 % 이상 통과
△ : 70 % 이상 통과
× : 50 % 이상 통과
(나) 경시안정도 : 40℃에서 7 일간 방치 후 체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 : 외관변화 없음
△ : 약간의 색깔변화
× : 분리현상(수상층이 아래부분에 있음)
(다) 충격강도 : 내용량 40 ㎖ 시료병에 30 g을 충진하여 50 cm의 높이에서 떨어뜨 리는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 외관변화 없음
△ : 약간의 분리현상 보임
× : 분리현상 보임(수상층이 아래부분에 있음)
(라) 액화성 : 내용량 1g을 덜어 손을 문지르는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 빠르게 액화됨
△ : 느리게 액화됨
× : 액화가 느리고 하얗게 남음
(마) 보습특성
수분 보유능 평가 실험
각질층 내의 수분보유능을 측정하여 보습력을 평가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 에 대한 수분보유능(Water Holding Capacity Test) 시험을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피시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수분량 측정기인 Skicon-200을 사용하였으며 정확한 실험을 위해 항온조 25℃, 50% 상대습도를 유지하면서 평가하였다. 피부도포량을 피부 9cm2당 시료 0.03g으로 하여 피부에 도포하고, 도포 후 즉시(0초, 30초, 60초, 120초) 및 1시간 후(0초, 30초, 60초, 90초, 120초)에 각각의 전기전도도(Conductance)를 측정하여 수분보유능을 측정한 후, 그의 변화량으로 각 실험에 대해 평가하였다.
수분보유능(W.H.C.) = (30, 60, 90, 120초시 전기전도도의 합)/(0, 30, 60, 90, 120초시 전기전도도의 합) × 100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표와 같다.
원료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A 정제수 to 1001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3 5 10 - - 10
프로필렌글리콜 7 5 - - 10 -
소듐히아루로네이트 2 2 2 2 2 2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0.1 0.1 0.1 0.1 0.1 0.1
B 카르보머(carbomer) 3 2 - 3 - -
폴리아크릴아미드/C13-14 이소파라핀/Laureth 7 - 1 3 - - 3
C 실리카 (비표면적 100m2/g) 3 1.5 - 3 - -
이산화티탄 (비표면적 90m2/g) - 1.5 3 - 3 -
이산화티탄 (비표면적 60m2/g) - - - - - 3
D 아스코르빈산 3 3 3 3 3 3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1 1 1 1 1 1
1. 상 A의 물성분을 나타내며, 상A의 물성분을 제외한 모든 다른 상들의 모든 성분들의 합을 취하여 100 에서 뺀 값, 즉 상 A의 물 성분 = 100 - (다른 상들의 모든 성분들의 합)
A : 친수성 액체 캐리어
B : 겔화제
C : 70m2/g 내지 130m2/g 의 비표면적을 가진 무기 또는 금속 물질
D : 기능성 성분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물성 평가 결과는 하기 표와 같다.
원료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분말화 ×
경시 안정도 ×
충격강도 × ×
액화성 × ×
상기한 바에 따르면, 실시예 1-3의 경우는 비교예에 비하여 우수한 물성 특성 결과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1은 기능성 성분의 경시안정도가 저하되면 액화성이 저화된다. 비교예 2는 분말화가 제대로 되지 않았으며 액화성도 용이하지 않아 백탁이 남는다. 비교예 3은 분말은 형성되었으나 액화성이 용이하지 않으며 경시 안정도 및 충격 강도 내특성이 저하된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보습 특성 평가 결과는 하기표와 같다.
구 분 무도포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W.H.C (%) 도포후즉시 32.72 31.55 35.42 33.27 37.18 33.38 35.17
1시간 후 28.95 32.35 37.82 37.52 34.08 30.38 31.57
△W.H.C -3.77 0.80 2.40 4.25 -3.10 -3.00 -3.60
무도포 대비 △W.H.C - 5.57 7.17 3.85 0.67 0.77 0.17
실시예 1-3 의 경우 비교예 1 - 3 에 비해 수분 보유능이 우수한 결과를 나타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장 유효성분과 기능성 성분을 적절히 고배합함으로써, 열, 빛, 수분 및 공기 등에 의한 산화에 의해 파괴되기 쉬운 기능성 성분을 안정화시켜 양호한 상태의 분말형태의 워터인 파우더로 유지하면서 사용할 때, 즉 손으로 문지를 경우에도 기능성 성분이 파괴되지 않으면서 액상으로 녹아 각각의 기능성 성분이 갖는 기능을 극대화하고 동시에 다량의 수분 및 보습 성분을 함유하여 수분 보습력을 증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로의 응용을 제시한다.

Claims (5)

  1. (A) C2∼C6 저급 모노알코올 또는 폴리올 0.01 내지 20 중량%가 함유된 친수성 액체 캐리어; (B) 겔화제 0.01 내지 10 중량%; 및 (C) 70m2/g 내지 130m2/g의 비표면적을 가진 무기 또는 금속물질 0.01 내지 20 중량%;로 이루어지되, 상기 친수성 액체 캐리어가 순수 물 또는 하이드로졸이고, 상기 순수 물 또는 하이드로졸 성분이 100에서 다른 상의 모든 성분들의 합을 뺀 잔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워터인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2∼C6 저급 모노알코올 또는 폴리올이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글리세롤, 부틸렌 글리콜, 이소프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이소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및 헥실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능성 워터인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겔화제가 카르복실산 중합체,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 중합체, 폴리아크릴아미드 중합체, 다당류, 가교된 비닐 에테르/말레인 무수물 공중합체 및 가교된 폴리(N-비닐피롤리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능성 워터인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70m2/g 내지 130m2/g의 비표면적을 가진 무기 또는 금속 물질이 실리카, 티타늄 디옥시드, 지르코늄 디옥시드, 세륨 디옥시드, 아연 옥시드, 산화철, 산화크롬, 나노티타늄, 나노아연 및 페릭 블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능성 워터인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워터인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이 플라보노이드, 클로로필린, 에톡시퀴인, 구아노신, 토코페롤,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β-카로텐, 비타민 E, 비타민 C 및 비타민 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기능성 성분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능성 워터인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KR1020030063475A 2003-09-13 2003-09-13 기능성 워터인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KR100863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475A KR100863233B1 (ko) 2003-09-13 2003-09-13 기능성 워터인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475A KR100863233B1 (ko) 2003-09-13 2003-09-13 기능성 워터인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180A KR20050027180A (ko) 2005-03-18
KR100863233B1 true KR100863233B1 (ko) 2008-10-15

Family

ID=3738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475A KR100863233B1 (ko) 2003-09-13 2003-09-13 기능성 워터인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32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5212A (ja) * 1991-03-11 1993-03-19 Kose Corp 含水粉末化粧料
KR19980070544A (ko) * 1997-01-24 1998-10-26 고바야시야스키요 미백 파우더
KR20000050464A (ko) * 1999-01-09 2000-08-05 윤동한 파우더 성상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020060164A (ko) * 1999-08-24 2002-07-16 가부시키 가이샤 고세 함수 분말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그 분말 조성물을함유하는 화장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5212A (ja) * 1991-03-11 1993-03-19 Kose Corp 含水粉末化粧料
KR19980070544A (ko) * 1997-01-24 1998-10-26 고바야시야스키요 미백 파우더
KR20000050464A (ko) * 1999-01-09 2000-08-05 윤동한 파우더 성상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020060164A (ko) * 1999-08-24 2002-07-16 가부시키 가이샤 고세 함수 분말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그 분말 조성물을함유하는 화장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180A (ko) 200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20238B (zh) 唇部产品配方、施用器和用于制备唇部产品的方法
EP2921164A1 (en) Sticky hydrogel cosmetic composition
US6322798B1 (en) Cosmetic and/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with a hydrophilic carrier and vitamin C which can be mixed immediately before use
CA2625725C (en) Surfactant-free dispersions comprising glyceryl acrylate polymers, and use thereof in topical formulations
US9849089B2 (en) Hydrogel particle coated with lipi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3209677B (zh) 皮肤增湿剂和老化抑制配制剂
KR20140045397A (ko) 립 스틱
KR20080025036A (ko) 피부 미백 조성물
EA025223B1 (ru) Состав для местного ухода за кожей и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целостности дермально-эпидермаль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тканей кожи
JPH0587482B2 (ko)
EP2772270A1 (en) Emulsified hydrogel composition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EP2913046A1 (en) Oil-in-water form organogel cosmetic composition having variable transparency
KR20170033483A (ko) 화장품용 천연 계면활성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07169A (ko) 유사지질 복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20078530A (ko) 안정성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
CN111568778B (zh) 具有修饰肤色和养肤功效的三层精华液、制备方法与应用
CN107233262A (zh) 一种保湿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863233B1 (ko) 기능성 워터인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KR101839826B1 (ko) 천연보습인자를 담지한 각질세포 모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59152A (ko) 그래픽이 도입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425260B1 (ko) 파우더 성상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596556B1 (ko) 립글로스
CN105030572A (zh) 一种小分子团水爽肤水
CA2661454A1 (en) Anhydrous, dermatological or cosmetic preparation containing urea
US20190201298A1 (en) Product and method for local cleansing, beautifying, promoting attractiveness or altering appearance of a su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