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3209B1 -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3209B1
KR100863209B1 KR1020070063106A KR20070063106A KR100863209B1 KR 100863209 B1 KR100863209 B1 KR 100863209B1 KR 1020070063106 A KR1020070063106 A KR 1020070063106A KR 20070063106 A KR20070063106 A KR 20070063106A KR 100863209 B1 KR100863209 B1 KR 100863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access
information
termin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3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석
최원석
배복태
윤봉섭
Original Assignee
(주)오픈베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픈베이스 filed Critical (주)오픈베이스
Priority to KR1020070063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32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3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3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2Network node acting on behalf of an other network entity, e.g. prox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통적인 접속 경로를 통한 단말기의 접속 요청을 개인 및 그룹을 기반으로 연동시킬 수 있도록 한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접속자가 속한 그룹에서 미리 구성한 맵핑 테이블을 프락시 서버에서 활용하도록 하여 공통 접속 경로로 접속하더라도 해당 그룹의 맵핑 테이블에 설정된 곳으로 리다이렉션 되도록 하여 접속자에 따라 상이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로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접속을 원하는 상이한 서버에 대한 접속 경로를 외우지 않아도 쉽게 접속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접속을 원하는 서버를 그룹 단위 설정을 통해 다양하고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COMMON PATH ACCESSING SYSTEM BASED ON TERMINAL IDENTIFICATION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인터넷 접속 서비스 시스템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맵핑 테이블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종류의 접속 시스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서비스 선택 사용 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이동통신 단말기 110: PLMN
115: IWF 120: 프락시 서버
130: 맵핑정보부 140: 인터넷망
150,151,152: 서버 160: 이메일 서버
165: 변환부 170: 공통관리 서버
본 발명은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통적인 접속 경로를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 요청을 개인 및 그룹을 기반으로 연동시킬 수 있도록 한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통신망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가입자 망들이 패킷 기반 통신의 인터넷 망과 연동되는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이러한 유선, 무선, 방송 및 인터넷이 융합된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정보통신망의 구축은 IP 기반 단일망을 전달 계층으로 하여 다양한 가입자 망들의 연계와 여러 부가적인 응용 서비스들의 용이한 접근성을 보장하며, 다양한 접속 단말들을 포괄하는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차세대망(NGN)을 도입한 후 이를 국내 사정에 맞추어 개량한 한국형 차세대망(NGcN)을 거쳐 품질 보장과 개방형 구조를 가진 차세대 통합망(BcN)의 구축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어떠한 가입자 망을 이용하더라도 다른 가입자 망에 위치하는 단말과의 통신이 가능해지고 있으며, 다양한 지능망 서비스를 통해 임의의 단말기를 이용할 경우에도 복합적이고 범용적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량되고 있다.
특히, 다양한 접속 가능성에 따라 전통적인 통신 접속 방식과 다른 새로운 접속 방식들도 생겨나게 되었으며, 새로운 서비스의 등장이나 서비스 영역의 확장에 따라 더 새로운 접속 인터페이스들도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망의 경우 전통적인 음성 통화 기능에 데이터 통신 기능이 부가되면서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한 후 접속에 따라 제공되는 여러 서비스들 중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적용되었으며, 이러한 방식에서 보다 범용적인 인터넷 접속 기능을 부가하여 직접 원하는 접속 주소를 입력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용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방식도 제공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선택 방식의 접속은 원하는 서비스를 검색하기 어렵고 검색을 위한 비용이 발생하며, 직접 주소 입력 방식은 인터페이스의 제한으로 인해 주소를 입력하는 것이 대단히 불편하다. 따라서, 특정한 서비스 제공 서버에 대한 용이한 접속을 위해서 특정한 고유 번호 조합을 먼저 입력한 후 인터넷 접속 키를 누르는 방식의 단축 접속 방식이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는 목적은 단순한 음성 통화만이 아닌 데이터 통신, 인터넷 접속, 특정 서비스의 활용 등으로 그 범위가 점차 방대해져 가고 있으며, 기술의 발전과 다양한 통신의 접목에 힘입어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음악 재생 기능, 영상 재생 기능, 게임 기능, 스케쥴 관리 기능, 방송 수신 기능, 이메일 수신 기능, 영상 생성 기능 등의 부가 기능이 이미 적용되어 널리 사용중에 있다. 한편, 이러한 일반화 된 기능 외에도 더욱 혁신적인 인터페이스, 고속 연산기 및 대형 표시부의 접목을 통한 추가적인 기능도 속속 통합되고 있 어 향후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활용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서비스의 종류와 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들의 수는 대단히 방대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복잡한 온라인 응용 서비스의 개발 과정 역시 범용적인 미들웨어의 적용이나 개방형 망 구성에 의해서 보다 용이해져가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응용 서비스 서버의 수는 급속히 증가할 것이며, 현재는 단순하게 개인용 컴퓨터의 접속을 위한 홈페이지나 웹서비스 등을 제공하던 기업들 역시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전용 서비스 서버를 운영할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인터넷 서버 접속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이동통신망인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20)의 회선 교환 방식을 인터넷망(40)의 패킷 교환 방식으로 상호 변환해주는 IWF(Inter Working Function)(30)에 의해서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인터넷망(40)에 연결된 검색서버(50)에 접속하는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시된 예는 무선 인터넷 전화번호 검색을 위한 기본적인 구성을 보인 것으로, 상기 검색서버(50)에 접속하여 성명, 상호, 지역 등과 같은 검색어를 통해 전화번호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국내 이동통신망은 다양한 개선 단계를 거쳐 발전하고 있는데, 2세대 방식에서 2.5세대를 거쳐 3세대망과 현재 서비스 중인 3.5세대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들이 등장하게 되면서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망과 공용 패킷망(인터넷망 포함)에 대한 접속 방식이 하향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다양하게 혼재되어 있다.
도 1에서는 2세대 방식 이후로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IWF(30)를 이용한 인터 넷 접속 방식을 예로 든 것이며, 이 외에도 다양한 인터넷 접속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나, 광의의 기능은 유사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즉, PLMN(20)은 게이트웨이를 거쳐 인터넷망(40)과 접속되며, 상기 인터넷망(40)에 존재하는 특정한 서버(검색 서버(50))와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접속은 다양한 방식으로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서버는 검색 서버(50)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위한 전용 무선 규약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로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규격을 따르게 된다.
상기 검색 서버(50)는 인터넷망(40)에 연결된 구성이기 때문에 URL을 가지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해당 URL을 근거로 상기 검색 서버(50)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무선 인터넷 접속을 실시하여 URL을 입력는 것으로 상기 검색 서버(50)에 접속 한 후 상기 검색 서버(50)가 제공하는 WAP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다른 방식으로, 무선 포탈에 접속 한 후 해당 서비스를 선택하는 방식도 가능하며, 단축 방식의 접속도 가능하다.
상기 방식들 중에서 단축 방식의 접속은 특정한 서비스 제공자들의 수가 급증함에 따라 무선 포탈 접속과 검색 과정이 어려워지게 됨과 아울러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과금을 줄이기 위한 방편으로, 특정한 문자열을 입력한 후 인터넷 접속 키를 누르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114"를 입력한 후 인터넷 접속 키(예를 들어, "매직엔"(KTF), "네이트"(SKT), "이지아이"(LGT) 등) 를 누르면 곧바로 상기 검색 서버(50)와 접속되게 된다.
도 1의 구성에서, 이러한 단축 접속 방식은 IWF(30)가 수행하거나 혹은 IWF(30)와 인터넷망(40) 사이의 무선통신 사업자가 구축한 프락시 서버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해당 프락시 서버는 미리 등록된 단축 숫자와 실제 URL의 매칭을 통해 이러한 접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하지만, 점차 유사한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고, 다양한 접속 방식이 이러한 단축 방식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각 서비스마다 고유의 단축 숫자를 제공하는 현재의 방식으로는 곧 한계에 이를 것이 자명하다. 즉, 숫자로 이루어진 접속 경로는 사용자들이 기억하기 어렵고,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단축 숫자를 기억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서비스와 연결하여 기억하는 것도 쉽지 않다.
만일, 이러한 접속 숫자들도 전화번호처럼 별도로 관리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구성된다 할지라도 이러한 접속 숫자들에 대한 입력, 편집, 삭제 등과 같은 관리가 필요하여 단말기 측면에서는 추가적인 기능이 필요하게 되고 사용자는 불편함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접속 방식은 점차 유선 전화기에서도 무선 전화기의 고유한 기능을 수용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유선 전화기를 이용한 웹 접속이나 지능망 서비스 접속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단말기의 공통 경로 접속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새롭게 제안하는 본 발명 실시예의 목적은 공통적인 접속 경로를 이용하더라도 개인에 따라 특정한 서비스 서버로 자동 연결되도록 하여 접속의 용이성을 극대화하도록 한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접속자가 속한 그룹에서 미리 구성한 맵핑 테이블을 프락시 서버에서 활용하도록 하여 공통 접속 경로로 접속하더라도 해당 그룹의 맵핑 테이블에 설정된 곳으로 리다이렉션(redirection) 되도록 하여 접속자에 따라 상이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로 접속되도록 한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접속자가 속한 그룹의 관리자가 접속자에 따라 다른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접속 정보를 설정하도록 하여 동일한 접속 경로를 이용하더라도 상이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비스의 종류와 등급, 혹은 보안 관리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접속자가 속한 그룹이 변경될 경우에도 접속자는 접속 경로나 자신의 정보를 변경하지 않고서도 변경된 그룹을 위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한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접속자가 속한 그룹의 관리자가 해당 접속자에 대한 보안 레벨을 설정하여 그에 대응되는 접속 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부가적인 인증 과정이나 접속 과정의 암호화 적용을 통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그룹에 속한 접속자의 접속 우선 순위를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접속자에 대한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접속 우선 순위를 변경할 수도 있도록 하여 단일 경로를 이용하더라도 다양한 종류의 개인화된 서비스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한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은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 사이의 정보를 상호 변환하며 해당 정보를 관리하고 인증을 수행하는 망간 인터페이스 수단에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공통 접속 경로에 따라 접속 단말기의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접속 경로 정보를 구비한 맵핑 정보부와;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접속 단말기의 고유 정보와 공통 접속 경로를 근거로 상기 맵핑 정보부에서 상기 접속 단말기에 대한 실제 접속 경로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실제 접속 경로로 접속하도록 하는 프락시 서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공통 접속 경로는 소정의 문자 조합과 무선 인터넷 접속 버튼을 누르는형태의 경로 주소를 가지며, 상기 공통 접속 경로를 통한 서비스 접속 요청은 상기 프락시 서버를 경유한다.
상기 맵핑 정보부에 저장된 접속 단말기의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접속 경로 정보는 상기 접속 단말기가 포함된 그룹 단위의 맵핑 테이블로 분리되어 관리되며, 상기 그룹 단위의 맵핑 테이블은 상기 그룹의 관리자에 의해 수정될 수 있 다.
상기 프락시 서버부는 상기 접속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근거로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인증되는 경우에만 상기 실제 접속 경로로 접속을 허용한다.
상기 프락시 서버부는 상기 접속 단말기에 대한 인증과정을 수행한 후 인증이 완료되면, 후속되는 통신 정보를 암호화하여 송수신한다.
상기 프락시 서버부는 상기 접속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맵핑 정보부로부터 검색하지 못한 경우 공용 서비스 서버에 대한 기본 접속을 제공하고, 접속 단말기에 대해 복수의 맵핑 정보를 검색한 경우 상기 접속 단말기에 선택을 요청하여 그 결과에 따라 접속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은 무선 통신 수단을 구비하여 인터넷 서버에 접속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 사이의 정보를 상호 변환하며 해당 정보를 관리하고 인증을 수행하는 망간 인터페이스 수단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접속 경로 정보를 그룹 단위의 맵핑 테이블 형태로 구비한 맵핑 정보부와; 상기 망간 인터페이스 수단의 내부 혹은 외부에 연동 구성되어 소정의 공통 접속 경로를 통해 접속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근거로 상기 맵핑 정보부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속한 그룹과 맵핑된 실제 접속 경로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해당 실제 접속 경로로 접속하도록 하는 프락시 서버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방법은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 사이의 정보를 상호 변환하며 해당 정보를 관리하고 인증을 수행하는 망간 인터페이스 수단에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접속 방법에 있어서, 접속 단말기의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접속 경로 정보를 그룹 단위의 매핑 테이블로 구성하여 상기 망간 인터페이스 수단에 구성된 맵핑 정보부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공통 접속 경로를 통한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 요청을 수신한 상기 망간 인터페이스 수단에 구성된 프락시 서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근거로 상기 맵핑 정보부의 매핑 테이블에서 실제 접속 경로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프락시 서버는 검출된 접속 경로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실제 서버와 접속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제 접속 경로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복수 그룹의 맵핑 테이블에서 검출하는 경우 해당 그룹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여 접속 그룹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과정으로 선택된 접속 그룹의 맵핑 테이블에서 실제 접속 경로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접속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을 보인 구성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101)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대한 호 처리를 수행하는 이동통신망(PLMN)(110)과, 무선 인터넷 접속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1) 를 위한 복수의 서버들(150, 151, 152)이 연결된 인터넷망(140)과, 상기 이동통신망(110)과 인터넷망(140)을 연동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들(115, 120, 130)로 구성된다.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들은 IWF(Inter Working Function)(115)과 프락시 서버(120)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통 접속 경로를 통해 접속하는 개별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대한 실제 접속 경로의 정보가 대응된 맵핑 테이블을 구비한 맵핑 정보부(130)가 더 구성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맵핑 정보부(130)는 프락시 서버(120)의 내부적인 구성일 수 있으며, 다른 종류의 인터페이스 수단에 부가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상기 IWF(115)는 2세대 이동통신망에서부터 회선교환 방식의 이동통신망(110)과 패킷교환 방식의 인터넷망(140)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해 사용된 인터페이스로서, 일종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는 2.5세대, 3세대망을 거쳐 최근 적용되고 있는 3.5세대나 향후 구현될 4세대망의 구성 방향에 따라 다른 종류의 게이트웨이들로 보완되거나 대체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게이트웨이의 종류나 변경들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게이트웨이의 종류나 변경들에 따른 회선 교환 방식과 패킷 교환 방식의 연동이나, 혹은 이동통신망(110)을 구성하는 기지국과 직접 연동되는 데이터 코어망(Data Core Network)의 적용 등에 무관하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1)가 인터넷망(140)과 연결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이동통신망(110)을 경유하여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들을 통해서 인터넷망(140)에 접속된다는 기본 구성은 변화되지 않으며, 이러한 인터페이스 수단들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1)를 인증하고, 데이 터 통신 내용을 확인하여 송수신한 패킷의 내용이나 양을 파악하며 이를 근거로 과금을 처리하는 기본적이면서 필수적인 처리 방식은 그대로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통신망(110)과 인터넷망(140)의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IWF(115)를 언급하고 있지만, 이러한 구체적인 구성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에 주의한다.
상기 프락시 서버(120)는 상기 이동통신망(110)과 인터넷망(140)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수단의 하나로 적용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접속 요구를 확인하는 수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접속을 위한 요청 정보의 처리 과정에서 실제 경로 접속 처리를 수행하기에 앞서서 접속 요청을 처리한다는 측면에서 "프락시"로 통칭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프락시 서버"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이며, 이러한 용어 자체의 제한된 의미가 아닌 접속 요청의 전처리 수단이라는 광의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상기 프락시 서버(120)는 모든 통신 내용에 대해 목적지 주소를 변환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특정한 목적지 주소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알려주는 리다이렉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인증 기능이나 암호화 처리 기능 혹은 범용적인 접속을 통해 맵핑 정보부(130)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기능도 처리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이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할 것이다.
상기 맵핑 정보부(130)에는 복수의 맵핑 테이블들이 존재하게 되는데, 상기 맵핑 테이블은 공통 접속 경로에 따라 접속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접속 경로 정보의 대응 테이블을 그룹별로 설정한 것으로, 그룹 단위의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소정 그룹에서 자신의 그룹에 속한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특정한 서비스를 공통 접속 경로를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해당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실제 접속 경로를 결정해 둔 것이다.
예를 들어, "갑 회사"의 관리자는 자신이 관리하는 그룹에 속한 이동통신 단말기들에 대한 실제 접속 경로를 해당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근거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맵핑 정보부(130)는 복수의 가입자 그룹들에 대한 복수의 맵핑 테이블들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서비스는 이동통신 사업자나 망 사업자등과 같은 망 연동 인터페이스를 운영하는 사업자가 특정한 그룹원을 가진 응용 서버(이동통신 단말기가 접속할 수 있는 서버) 운영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가 될 수 있다.
만일, "갑 회사"가 자사의 직원들에 대해서 직원 전화번호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할 경우, 자사의 직원들에 대한 이동통신 단말기 고유정보와 자사가 운영하는 직원 전화번호 검색 서버의 접속 경로(즉, URL 정보)를 맵핑한 맵핑 테이블을 상기 맵핑 정보부(130)에 제공하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며, 이후, 상기 "갑 회사"의 직원들은 공통 경로(예를 들어, "**114+인터넷 접속 키")를 통해 접속하더라도 자사에서 제공하는 직원 전화번호 검색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게 되어 보다 간단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을 회사"는 자사의 직원들에 대해 고객 전화번호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접속 경로를 자사의 직원들이 접속할 경우 제공하도록 맵핑 테이블을 구성하여 상기 맵핑 정보부(130)에 제공했다면, 상기 " 을 회사"의 직원들은 "갑 회사"의 직원들과 동일한 공통경로를 통해 접속하더라도 자사에서 제공하는 고객 전화번호 검색 서버에 접속하게 된다.
즉, 다양한 그룹에서 그룹별로 지정된 맵핑 테이블의 구성 방식에 따라서, 공통 접속 경로를 이용하더라도 각각 다른 서버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불특정 다수의 고객에 대한 접속을 원하는 대중적인 서비스의 경우 기억하기 좋은 접속 경로를 획득하기 위한 경쟁이 심하고 비용이 높지만, 고정된 고객이나 고정된 로컬 가입자들을 가진 그룹들은 본 실시예와 같은 시스템을 운영하는 사업자의 서비스에 가입함으로써 낮은 비용을 통해서 기억하기 좋은 접속 경로를 활용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소규모 회원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특정한 기업의 그룹웨어를 모바일 형태로 제공하고자 할 때 기억하기 좋은 접속 경로를 얻기 위해서 높은 비용을 제공하지 않더라도 단일한 접속 경로를 통해서 그룹별 실제 접속 경로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되며, 하나의 접속 경로를 통한 서비스의 종류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웹서버의 구현 및 서비스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웹서버에 대한 활용성이 낮은 이유 중 하나가 접속의 어려움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단축 접속 방식을 활용하고자 할 경우 해당 접속 경로를 단일 웹서버가 점유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하였으나, 본 실시예를 이용할 경우 다양한 그룹들이 단일한 공통 경로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비용을 통해서도 다양하게 세분화된 그룹별 접속 경로 설정을 간단한 공통 접속 경로로 단일화 시킬 수 있게 된 다.
도 3은 간단한 맵핑 테이블의 구성을 보인 예로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맵핑 테이블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경우는 접속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근거로 복수 그룹에 대해 설정된 맵핑 테이블 정보를 재정렬하여 하나의 테이블로 구성한 경우이다. 도시한 바와 같은 전화번호 등의 특정한 식별자(예를 들어, 단말기의 고유 번호, 특정한 인증 번호 등)를 근거로 사용자가 실제 접속할 접속 경로들을 설정한 경우를 보인 것이다. 도시한 경우는 공통 접속 경로들 중에서 복수의 공통 접속 경로를 프락시 서버(120)에서 관리하는 경우 특정한 공통 접속 경로(예를 들어 전화번호 검색을 위한 공통 접속 경로, 자원 관리를 위한 공통 접속 경로, 포탈 접속을 위한 공통 접속 경로 등)를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가 실제 접속할 서버의 경로 정보(URL)를 설정한 맵핑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달리, 하나의 맵핑 테이블이 하나의 공통 접속 경로에 대해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그룹에 대해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이러한 공통 접속 경로별 맵핑 테이블의 구성이나 복수 공통 접속 경로에 대한 일괄 맵핑 테이블 구성은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및 서비스의 제공자가 마련한 정책이나 시스템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맵핑 테이블 구성은 특정한 공통접속 경로에 대해서 복수로 대응되는 가입 단말기의 예도 나타나 있다. 이 경우 우선 순위를 이용하여 접속할 실제 경로들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그룹에 가입된 단말기가 공통 접속 경로를 이용할 경우, 상기 각 그룹에서 설정한 실제 접속 주소들이 상이할 수 있기 때 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우선 순위를 근거로 접속이 이루어지거나, 접속을 위한 목록 나열시 우선 순위를 적용하여 접속 가능한 목록을 나열할 수 있다. 이러한 우선 순위 설정 방식이나 나열에 의한 접속 경로 선택 방식 등은 이후 도 7을 통해 좀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4는 공통 접속 경로를 이용한 개별적 접속 과정을 보인 화면의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1)를 조작하여 기억하기 좋은 짧은 접속 문자(예를 들어 직접 키패드 조작을 통한 입력이 가능한 '0~9, *, #'의 조합)를 입력한 후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별로 지정된 소정의 인터넷 접속 키(102)를 눌러 소정의 공통 경로로 접속을 실시한다.
만일, 접속을 시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복수의 그룹에 중복하여 속한 경우(예를 들어, 직장 그룹, 친구 그룹, 동문회 그룹, 지역 그룹 등)에는 도시된 화면(103)과 같이 복수의 그룹들 중에서 어떠한 그룹에 대한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단일 그룹에 속한 경우에나 상기 소정의 그룹을 선택한 경우에는 실제 접속 경로를 통해 소정의 기 설정된 서비스 화면(104)이 제공되게 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소정의 그룹에 속한 구성원일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원에 대한 실제 접속 경로의 제공은 그룹 단위로 이루어지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단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복수의 그룹에 속한 구성원일 수도 있을 뿐 아니라, 이러한 경우에 대해서도 간단한 선택 과정을 통해서 원하는 그룹에 대한 서비스로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복수 그룹에 속한 사용자가 원하는 그룹을 선택하는 과정은 다양한 우선 순위 정렬 방식을 통해서 보다 용이한 접속이 가능해 질 수 있는데, 이는 이후 도 7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망(110)과 인터넷망(140)을 연동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 구성부에 프락시 서버(120) 및 맵핑 정보부(130)를 구성하여 공통 접속 경로를 통해 접속을 시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고유 정보를 근거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1)가 속한 그룹에서 지정한 접속 경로에 대한 접속이 가능해져 간단한 접속 경로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다양한 부가적인 효과들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접속 경로의 단일화를 통한 접속의 용이성을 통해 실제 모바일 서비스의 활성화를 유도하고,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와 활용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가입자가 그룹을 변경하는 경우라도 동일한 접속 경로를 통해서 새로운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게 되는 사용자 지향의 접속 서비스 제공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간단한 예를 들면, 이직을 한 후에도 동일한 공통 접속 경로를 통해서 이직한 업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는 등의 사용자 지향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그룹을 관리하는 그룹 관리자는 구성원에 대한 접속 경로 지정을 달리하는 것으로 접근 가능한 레벨의 차이를 부여하여 보안성을 높일 수 있고, 구성원의 지역적인 특징을 감안하여 우선 접속되는 서버의 경로를 해당 구성원이 위치한 곳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경로로 설정하는 것으로 구성원의 환경 정보에 특화시킨 접속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기업에서 보안 등급에 따라 검색이나 정보의 억세스에 차등을 둔 어플리케이션 서버들을 구성하고, 보안 등급에 따라 상이한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주소를 제공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서울 지사에 근무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서울 지사의 정보를 우선 억세스 할 수 있는 서버의 경로를 설정하고, 부산 지사에 근무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부산 지사의 정보를 우선 억세스 할 수 있는 서버의 경로를 설정하는 방식을 활용할 수도 있는 등, 그 활용은 대단히 다양해질 수 있다.
이러한 접속 경로의 활용 외에도, 프락시 서버(120)와 맵핑 정보부(130)를 이용하는 서비스를 한번 개발할 경우 이를 재활용하기 용이하며, 그룹 지정을 활용하는 그룹의 관리자는 해당 맵핑 테이블 정보를 다른 망 사업자가 진행하거나 다른 공통 접속 번호를 사용하는 다른 서비스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등 정보의 활용도가 높다는 특징도 있다.
그 외에, 상기 프락시 서버(120)가 특정한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환경 정보를 경로 설정과 함께 서버에 제공해 줄 수 있도록 구성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접속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실제 접속되는 서버에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등,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여러 환경 정보를 활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다른 구성을 보인 구성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서버들이 추가된 예를 보인 것이다. 여기서, 도시된 공통 관리 서버(170)는 동일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에 가입한 그룹 관리자들이 보다 용이하게 맵핑 정보부(130)의 맵핑 테이블에 접근하여 기 설정된 내용을 변경하도록 한다. 상기 공통 관리서버(170)는 다양한 인증과정(아이디와 비밀번호, 일반적이지 않은 접속 포트 번호 사용, 고유한 정보 교환 방법, 고정 IP를 이용한 패킷 필터링 방법 등)이나 암호화 방식(각종 암호화 키 사용 방식, VPN 등)을 통해 허용된 그룹 관리자들에 대한 접속만을 허용하며, 이러한 접속을 통해서 자신이 등록하거나 자신이 편집할 수 있도록 허용된 영역에 대해서만 맵핑 테이블을 관리할 수 있어 보안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맵핑 정보부(130)는 각각 개별적인 이동통신망 사업자가 관리할 수 있으나, 이동통신 단말기가 가입된 통신망 사업자에 무관하게 범용적으로 공통 접속 서비스를 활용하기 위해서 해당 맵핑 정보부(130)를 별도의 서버 형태로 구성한 후 여러 통신망 사업자가 해당 서버에 접속하여 맵핑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각 사업자들은 각각 서비스를 운영하되, 맵핑 정보는 서로 공유하도록 하여 접속자가 가입한 통신망 사업자에 무관하게 공통 접속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단말기 접속에 의한 보안성 역시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단말기 접속에 의한 보안 취약성도 보강할 수 있는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접속은 소정의 서버에 대한 직접 연결을 의미하게 되므로 이러한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101) 접속 과정이 해킹되는 경우 이를 모방한 에뮬레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대해서만 접속이 허용된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정보들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특정한 인증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이를 활용하도록 하는 보안 방식(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용 OTP(One time password)나, 비밀키, 공개키 등)을 적용할 수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101)와 프락시 서버(120) 사이에 SSL을 적용하는 등의 보안 대책을 강구할 수 있다.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한 후에 프락시 서버(120)와 실제 접속을 위한 데이터 통신 내용을 암호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접속이나 운영에 관련된 암호화 방식 외에도 접속이 가능한 서비스의 종류들 역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경로 접속을 통해서 자신이 속한 그룹이 제공하는 이메일 서비스도 가능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이메일 서버군(160)이 존재할 경우, 이에 관련된 변환부(165)에 대한 접속 경로를 제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1)가 접속할 경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하는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이메일 메세지를 획득한 후 모바일 규격에 맞도록 변형하여 제공해 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항상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간단한 공통 접속 경로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자신의 이메일을 확인해 볼 수 있게 되어 업무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그 외에 그룹별로 다양한 서버들에 대한 접속을 가능하도록 설정하고, 해당 서버들에 대해 그룹의 운영에 필요한 각종 기능들을 제공하도록 설정한다면 모바일 기반으로도 사용자의 활발한 참여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곧 특정 그룹의 효율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된다. 예를 들어, 모바일 그룹웨어를 정착시켜 다양한 자원(회의실 예약, 미팅 시간 예약, 자원 사용 예약, 스케줄 공지, 그룹내 계시판 활성화, 공지사항 전달, 그룹 연락처나 그룹 원 위치 확인 등)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비지니스 편의를 향상(재고 확인, 서류 확인, 업무 진행 파악, 이메일 확인, 이메일 발송, 연락처 확 인 등)시킬 수도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모바일 그룹웨어의 활성화 외에도 특정한 가입자들에 대한 고품질 서비스(예를 들어, VIP 고객에 대한 모바일 예약 서비스나 정보 제공 서비스, 쿠폰 제공 서비스 등)를 제공하거나, 온라인 고객 등록을 한 고객들에 대한 서비스 제공 등과 같은 기존의 PC 기반 온라인 서비스의 모바일 서비스 확대 등도 접속자의 접속 편의를 개선함에 따라 실현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도 6내지 도 7은 본 실시예를 이용한 공통경로 접속 방식의 과정을 보인 순서도로서, 도 6은 전체적인 동작 과정을 보인 것이고, 도 7은 단일 사용자가 복수 그룹에 속한 경우의 그룹 정렬 방식의 예를 보인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서비스 제공 과정은 도시한 바와 같이 그룹 관리자가 구성원에 대한 실제 접속 경로의 대응을 맵핑 테이블로 구성하여 맵핑 정보부에 등록하는 설정 과정(A)과, 상기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공통 접속 경로를 통해 접속한 개별 접속자들을 설정된 실제 접속 경로로 접속하도록 하는 과정(B) 및 상기 실제 접속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C)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공통 경로 접속에 따른 맵핑 과정(B)은 우선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잘 알려진 공통 경로로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과정을 통한 접속 요청을 수신한 프락시 서버가 인증 과정을 수행하여 유효한 접속자(과금 내역이나 망 사용에 관련된 인증을 확인하여 인증을 통과한 접속자, 혹은 이러한 접속자들 중에서 해당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에 추가로 등록한 사용자인지를 파악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음)인지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인증 단계에서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이거나 맵핑 테이블에서 검색이 실패한 사용자인 경우, 혹은 해당 서비스의 사용이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인 경우 기본적인 서비스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예를 들어, 공통 관리 서버)와 연결하거나, 프락시 서버가 자체적으로 기본 서비스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구성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인증 단계를 통과하여 인증된 접속자임이 확인되면 해당 접속자에 대응되는 실제 경로를 맵핑 테이블을 통해 획득한다.
이때, 단일 접속자가 복수의 그룹에 등록된 경우라면 해당 그룹들을 리스팅하여 원하는 그룹을 선택하도록 한 후 선택된 그룹에 대한 실제 경로를 획득하는 단계를 부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과정을 통해 얻어진 실제 접속 경로로 접속 단말기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통해서 접속 단말기가 해당 접속 단말기가 속한 그룹에서 지정한 서버와 접속하도록 한다.
도 7은 상기 단일 접속자가 복수의 그룹에 등록된 경우, 보다 용이하게 원하는 그룹을 선택하여 접속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가적인 과정을 보인 것으로, 해당 접속자가 등록된 복수의 그룹들을 나열하면서 그 정렬 방식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그룹에 접속 단말기가 등록된 경우 기 선택된 방식의 정렬 방법을 통해 등록 그룹들을 나열하고, 해당 나열된 그룹들 중에서 임의의 그룹을 선택할 경우 선택된 그룹에 설정된 접속 경로를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만일, 정렬 방식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다양한 정렬 방식들 중에서 원하는 정렬 방식을 선택하여 설정하도록 하며, 이렇게 설정된 정렬 방식은 다음 접속 시에도 유효하게 된다.
만일, 나열된 그룹들 중에서 소정 시간 동안 특정 그룹을 선택하지 않을 경우 선택된 나열 방식들 중에서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그룹을 자동으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정렬 방식은 직장 우선, 지역 우선, 등록일이 빠른 그룹 우선, 등록일이 늦은 그룹 우선, 그룹 명칭의 순서가 빠른 그룹 우선, 접속 지역에서 근접한 그룹 우선, 접속자의 이전 접속시 선택한 그룹 우선, 재접속 시간이 일정 시간 이하인 경우 이전 선택한 그룹 우선, 누적된 그룹 선택 횟수가 높은 그룹 우선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렬 방식들 중에서 일부 방식들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다양한 시스템의 변경들이나, 맵핑 테이블의 구성들, 적용 서버나 접속 서비스의 종류들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접속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가적인 정렬 방식이나 복수 그룹에 대한 처리 방식들 역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를 통해서 이동통신망과 패킷망 사이의 접속 과정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공통경로 접속 방식에 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유선 통신망을 이용한 공통 경로 접속시에도 유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근거로 공통 경로 접속을 시도한 경우에도 그룹별 맵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고유한 서비스로 리다이렉션할 수 있다는 것은 상기 상세히 설명한 내용을 통해 자명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공통적인 접속 경로를 이용하더라도 개인에 따라 특정한 서비스 서버로 자동 연결되도록 하여 접속의 용이성을 극대화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이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접속자가 속한 그룹에서 미리 구성한 맵핑 테이블을 프락시 서버에서 활용하도록 하여 공통 접속 경로로 접속하더라도 해당 그룹의 맵핑 테이블에 설정된 곳으로 리다이렉션 되도록 하여 접속자에 따라 상이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로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접속을 원하는 서버가 다르더라도 해당 서버에 대한 접속 경로를 외우지 않아도 쉽게 접속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접속을 원하는 서버를 그룹 단위 설정을 통해 다양하고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접속자가 속한 그룹의 관리자가 접속자에 따라 다른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접속 정보를 설정하도록 하여 동일한 접속 경로를 이용하더라도 상이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복잡한 설정이나 내부 필터링 등의 과정이 없더라도 서비스의 종류와 등급, 혹은 보안 관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접속자가 속한 그룹이 변경될 경우에도 접속자는 접속 경로나 자신의 정보 를 변경하지 않고서도 변경된 그룹을 위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어 사용자의 접속 편의성이 극대화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접속자가 속한 그룹의 관리자가 해당 접속자에 대한 보안 레벨을 설정하여 그에 대응되는 접속 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부가적인 인증 과정이나 접속 과정의 암호화를 적용을 통해 보안성을 높여 접속 용이성과 보안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접속 방식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복수의 그룹에 속한 접속자의 접속 우선 순위를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접속자에 대한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접속 우선 순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단일 경로를 이용하더라도 다양한 종류의 개인화된 서비스를 적절하고 빠르게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삭제
  2.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 사이의 정보를 상호 변환하며 해당 정보를 관리하고 인증을 수행하는 망간 인터페이스 수단에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공통 접속 경로에 따라 접속 단말기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실제 접속할 서버의 경로 정보(URL)를 구비한 맵핑 정보부와;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접속 단말기의 식별자와 공통 접속 경로를 근거로 상기 맵핑 정보부에서 상기 접속 단말기에 대한 실제 접속할 서버의 경로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실제 접속할 서버의 경로로 접속하도록 하는 프락시 서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통 접속 경로는 소정의 문자 조합과 무선 인터넷 접속 버튼을 누르는 형태의 경로 주소를 가지며, 상기 공통 접속 경로를 통한 서비스 접속 요청은 상기 프락시 서버부를 경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3.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 사이의 정보를 상호 변환하며 해당 정보를 관리하고 인증을 수행하는 망간 인터페이스 수단에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공통 접속 경로에 따라 접속 단말기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실제 접속할 서버의 경로 정보(URL)를 구비한 맵핑 정보부와;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접속 단말기의 식별자와 공통 접속 경로를 근거로 상기 맵핑 정보부에서 상기 접속 단말기에 대한 실제 접속할 서버의 경로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실제 접속할 서버의 경로로 접속하도록 하는 프락시 서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맵핑 정보부에 저장된 접속 단말기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실제 접속할 서버의 경로 정보(URL)는 상기 접속 단말기가 포함된 그룹 단위의 맵핑 테이블로 분리되어 관리되며, 상기 그룹 단위의 맵핑 테이블은 상기 그룹의 관리자에 의해 수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 정보부의 정보를 인증된 그룹 관리자들만이 접속하여 각 그룹 관리자들에게 허용된 맵핑 정보만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공통관리 서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5.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 사이의 정보를 상호 변환하며 해당 정보를 관리하고 인증을 수행하는 망간 인터페이스 수단에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공통 접속 경로에 따라 접속 단말기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실제 접속할 서버의 경로 정보(URL)를 구비한 맵핑 정보부와;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접속 단말기의 식별자와 공통 접속 경로를 근거로 상기 맵핑 정보부에서 상기 접속 단말기에 대한 실제 접속할 서버의 경로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실제 접속할 서버의 경로로 접속하도록 하는 프락시 서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락시 서버부는 상기 접속 단말기의 식별자를 근거로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인증되는 경우에만 상기 실제 접속할 서버의 경로로 접속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6.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 사이의 정보를 상호 변환하며 해당 정보를 관리하고 인증을 수행하는 망간 인터페이스 수단에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공통 접속 경로에 따라 접속 단말기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실제 접속할 서버의 경로 정보(URL)를 구비한 맵핑 정보부와;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접속 단말기의 식별자와 공통 접속 경로를 근거로 상기 맵핑 정보부에서 상기 접속 단말기에 대한 실제 접속할 서버의 경로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실제 접속할 서버의 경로로 접속하도록 하는 프락시 서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락시 서버부는 상기 접속 단말기에 대한 인증과정을 수행한 후 인증이 완료되면, 후속되는 통신 정보를 암호화하여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7.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 사이의 정보를 상호 변환하며 해당 정보를 관리하고 인증을 수행하는 망간 인터페이스 수단에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공통 접속 경로에 따라 접속 단말기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실제 접속할 서버의 경로 정보(URL)를 구비한 맵핑 정보부와;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접속 단말기의 식별자와 공통 접속 경로를 근거로 상기 맵핑 정보부에서 상기 접속 단말기에 대한 실제 접속할 서버의 경로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실제 접속할 서버의 경로로 접속하도록 하는 프락시 서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락시 서버부는 상기 접속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맵핑 정보부로부터 검색하지 못한 경우 공용 서비스 서버에 대한 기본 접속을 제공하고, 접속 단말기에 대해 복수의 맵핑 정보를 검색한 경우 상기 접속 단말기에 선택을 요청하여 그 결과에 따라 접속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말기에 대해 복수의 맵핑 정보를 검색하는 경우 상기 프락시 서버부는 상기 검색된 접속 대상을 소정의 방식 혹은 우선 순위로 정렬하며, 상기 정렬 방식이나 우선 순위 선택 방식을 상기 접속 단말기로부터 지정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락시 서버부는 상기 접속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 접속 시간 정보, 이전 접속과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근거로 하는 정렬 방식이나 우선 순위 선택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10. 삭제
  11. 통신 수단을 구비하여 인터넷 서버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가 가입된 통신망과 인터넷망 사이의 정보를 상호 변환하며 해당 정보를 관리하고 인증을 수행하는 망간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단말기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실제 접속할 서버의 경로 정보(URL)를 그룹 단위의 맵핑 테이블 형태로 구비한 맵핑 정보부와;
    상기 망간 인터페이스 수단의 내부 혹은 외부에 연동 구성되어 소정의 공통 접속 경로를 통해 접속하는 상기 단말기의 식별자를 근거로 상기 맵핑 정보부로부터 상기 단말기가 속한 그룹과 맵핑된 실제 접속할 서버의 경로 정보(URL)를 파악하여 상기 단말기가 해당 실제 접속할 서버의 경로로 접속하도록 하는 프락시 서버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맵핑 정보부의 정보를 인증된 그룹 관리자들만이 접속하여 각 그룹 관리자들에게 허용된 그룹의 맵핑 테이블 정보만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공통관리 서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12. 통신 수단을 구비하여 인터넷 서버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가 가입된 통신망과 인터넷망 사이의 정보를 상호 변환하며 해당 정보를 관리하고 인증을 수행하는 망간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단말기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실제 접속할 서버의 경로 정보(URL)를 그룹 단위의 맵핑 테이블 형태로 구비한 맵핑 정보부와;
    상기 망간 인터페이스 수단의 내부 혹은 외부에 연동 구성되어 소정의 공통 접속 경로를 통해 접속하는 상기 단말기의 식별자를 근거로 상기 맵핑 정보부로부터 상기 단말기가 속한 그룹과 맵핑된 실제 접속할 서버의 경로 정보(URL)를 파악하여 상기 단말기가 해당 실제 접속할 서버의 경로로 접속하도록 하는 프락시 서버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프락시 서버부는 상기 단말기에 대한 인증과정을 수행한 후 인증이 완료되면, 후속되는 통신 정보를 암호화하여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13. 삭제
  14.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 사이의 정보를 상호 변환하며 해당 정보를 관리하고 인증을 수행하는 망간 인터페이스 수단에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접속 방법에 있어서,
    접속 단말기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실제 접속할 서버의 경로 정보(URL)를 그룹 단위의 매핑 테이블로 구성하여 상기 망간 인터페이스 수단에 구성된 맵핑 정보부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공통 접속 경로를 통한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 요청을 수신한 상기 망간 인터페이스 수단에 구성된 프락시 서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자를 근거로 상기 맵핑 정보부의 매핑 테이블에서 실제 접속할 서버의 경로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프락시 서버는 검출된 접속 경로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실제 서버와 접속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제 접속할 서버의 경로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자를 복수 그룹의 맵핑 테이블에서 검출하는 경우 해당 그룹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여 접속 그룹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 그룹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에서 선택된 접속 그룹의 맵핑 테이블에서 실제 접속할 서버의 경로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방법.
KR1020070063106A 2007-06-26 2007-06-26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63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106A KR100863209B1 (ko) 2007-06-26 2007-06-26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106A KR100863209B1 (ko) 2007-06-26 2007-06-26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591A Division KR101258508B1 (ko) 2008-08-26 2008-08-26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3209B1 true KR100863209B1 (ko) 2008-10-13

Family

ID=40153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106A KR100863209B1 (ko) 2007-06-26 2007-06-26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32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189A (ko) * 2002-12-05 2004-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과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망간의 아이피 할당 방법
KR20060119519A (ko) * 2005-05-20 2006-11-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189A (ko) * 2002-12-05 2004-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과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망간의 아이피 할당 방법
KR20060119519A (ko) * 2005-05-20 2006-11-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5360B2 (en) Provision of services over a common delivery platform such as a mobile telephony network
US8291077B2 (en) Provision of services over a common delivery platform such as a mobile telephony network
US20080013712A1 (en) Unified Communication Directory Service
MXPA03008509A (es) Seudonimos de usuario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
US20150056963A1 (en) Provision of services over a common delivery platform such as a mobile telephony network
US200900195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stricting Access of One or More Users to a Service
US20100222085A1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creating a virtual relationship
KR20120040231A (ko)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와 단문 메시지 서비스 간의 연동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2011507393A (ja) 呼生成のシステムと方法
CN103841077A (zh) 社区用户呼叫方法和***、社区平台
US20060161616A1 (en) Provision of services over a common delivery platform such as a mobile telephony network
US20100255825A1 (en) Im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for internet communities
CA2657094C (en) Identifying network entities in a peer-to-peer network
KR2006009893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소록을 이용하여 프리젠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87719B1 (ko) 개방형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전자명함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CN101790254B (zh) 支持集团通信的移动电话终端和***以及方法
JP2004535141A (ja) オープンサービスアクセスのための拡張された遠隔通信システムアーキテクチャ
US20070254637A1 (en)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Readable Medium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Session
CN100518344C (zh) 支持应用程序接口的多业务生成***
EP1681832A1 (en) Provision of services over a common delivery platform such as a mobile telephony network
US9992638B1 (en) System and method of facilitating management of common channel based services
EP1374522A1 (en) A method and a system of remotely controlling data transfer via a data transfer network
KR100863209B1 (ko)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8508B1 (ko)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JP4579592B2 (ja) 情報提供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