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9583B1 - 아파트 화재발생시 상층으로의 화염 유입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아파트 화재발생시 상층으로의 화염 유입 차단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9583B1
KR100859583B1 KR1020050112264A KR20050112264A KR100859583B1 KR 100859583 B1 KR100859583 B1 KR 100859583B1 KR 1020050112264 A KR1020050112264 A KR 1020050112264A KR 20050112264 A KR20050112264 A KR 20050112264A KR 100859583 B1 KR100859583 B1 KR 100859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fire
case
cover
a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6066A (ko
Inventor
조남장
Original Assignee
조남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장 filed Critical 조남장
Priority to KR1020050112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583B1/ko
Publication of KR20070096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등의 다세대 주택에서 거실과 방을 확장함에 따라서 발코니가 없어져 화재시 번짐 지연구역이 없어져 발화된 화염이 유리창을 통하여 상층의 거실과 방으로 바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화염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창 내측 천장에 함체형 케이스를 설치하고, 케이스 내부에는 화재시 커버가 분리되는 동시에 유리창 내측 하부로 낙하될 수 있도록 방염차단막이 구비된 화염차단장치를 설치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 또는 외부에서 발생된 화재의 화염이 상층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 및 지연시켜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아파트 화재발생시 상층으로의 화염 유입 차단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아파트 화재발생시 상층으로의 화염 유입 차단장치{Device for preventing flame to be flowed into an upper story of apartment}
본 발명은 아파트 등의 다세대 주택에서 거실과 방을 확장함에 따라서 발코니가 없어져 화재시 화염이 번지는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는 구역이 없어져 내부 또는 외부에서 발화된 화염이 상층의 거실과 방으로 바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화염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 내부에 롤 형태의 방염차단막을 내장하고 케이스와 커버는 소정의 온도에 용해되는 금속물질의 휴즈로 연결하여 화재시 휴즈가 열에 의하여 용해되면 커버가 분리되면서 롤 형태의 방염차단막이 추의 무게에 의하여 하향으로 펼쳐지면서 유리창에 화염 차단막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발생 된 화염이 유리창을 통하여 거실 및 방으로 유입 또는 유출되어 화재가 번지는 것을 지연시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아파트 화재발생시 상층의 화염 유입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아파트 구조를 살펴보면 거실과 베란다가 각각의 독립적인 공간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방중 하나는 발코니가 형성되어 있다.
아파트와 같은 다세대 주택에서는 베란다와 발코니가 화재 발생시 상층 내부로 화염이 유입 확산되는 것을 지연되도록 함으로서 내부에 있는 사람이 대피할 수 있도록 시간을 확보하거나 주방 등 내부에서 화재발생시 현관으로 탈출하지 못하는 극박한 경우에는 베란다로 대피하여 소방차가 올 때까지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아파트의 공간을 최대한 넓게 활용하기 위해 거실과 발코니를 확장함으로써 베란다와 발코니가 없어져 화재시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지연하기 위한 완충 공간이 없어 화재가 급격하게 상층으로 번져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대형할인점, 백화점과 같이 넓은 공간을 사용하는 장소에서는 화재시 연기와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재구역을 설정하여 철로 이루어진 방화셔터를 설치하고 천장에는 화재감지장치와 스프링클러 등이 설치되어 화재시 초기대응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주택의 경우에는 산업현장과 같이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방화시스템이 없는 관계로 곧 바로 인명피해와 재산 피해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다세대의 아파트와 다가구로 이루어진 건물 등은 화재감지 시스템이 정밀하게 설치되지 않거나 또는 방재시설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야간에 화재발생시 베란다와 발코니가 있는 세대는 화염이 외부에서 침투하는 시간이 어느 정도 지연되어 대피할 시간이 있으나, 베란다와 발코니가 없는 세대에서는 화재발생시 유리창을 통하여 거실 또는 방으로 화염이 빨리 번지게 되므로 재산피해는 물론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또한 이 분야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실용신안등록 제363637호 "화염전달방지구"의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하층과, 상기 하층과 결합되며 화염이 전달되지 않도록 석고 재질로 이루어진 석고층을 구비하는 몸체부재;상기 몸체부재가 감아 말려 걸리며, 건물의 벽면에 부착되는 롤러;상기 몸체부재의 끝단에 결합되며, 일정한 중량을 가지는 누름봉; 및상기 누름봉을 지지하여 상기 누름봉이 하방으로 자유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였다가, 회동되어 상기 누름봉이 자유낙하 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걸림쇠로 이루어진 구성이 개시되었으나, 선행기술, 제363637호는 건물 외벽의 층간사이에 롤러형 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의 바람, 비, 눈 등에 간섭을 받게 됨으로 롤러회전부에 녹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화염전달방지구는 몸체부의 말단부에 형성된 누름봉을 걸림쇠가 지지하도록 하고 화재시 걸림쇠는 스위치에 의해 걸림이 해제되어 누름봉의 자중에 의해 화염전달방지구의 몸체부재가 펼쳐지도록 한 이러한 구조는 실제 화재 발생시에는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즉, 화재시에는 화재의 정도에 따라서 전기 전자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도 있고 또는 전기 및 전자기기의 고장으로 인하여 화재경보가 작동되지 않게됨으로 이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으며, 특히 화재시 사람이 인지하여 스위치를 눌어 작동시켜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파트 및 다가구 주택의 거실측 외부 유리창 내측 천장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화재발생시 상층으로 화염이 번지는 것을 차단 및 지연시켜 내부의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시간과 소방차가 출동하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과, 또한, 아파트 등의 다세대 주택에서 거실과 방을 확장함에 따라서 발코니가 없어져 하층에서 화재시 화염이 거실과 방으로 곧바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유리창 내측 천장에 케이스를 설치하고, 케이스 내부에는 화재시 커버가 분리 또는 개방되는 동시에 유리창 내측 하부로 낙하 될 수 있도록 된 방염차단막이 설치된 화염차단장치로서, 본 발명은 내외부에서 발생 된 화염이 상층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 및 지연시켜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된 아파트 화재발생시 상층으로의 화염 유입 차단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화재시 방염차단막(13)이 봉형태의 추의 하중에 의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되어 화염이 전달되지 못하도록 된 화염유입차단장치에 있어서,
유리창 내측 천장에 설치되는 케이스(11)와, 케이스(11) 내부 양측에 샤프트(14)가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15)을 설치하고, 샤프트(14)에는 통상의 불연성을 갖는 방염차단막(13)이 롤 형태로 감겨지며, 케이스 개구부(16)는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휴즈(17)에 의해 커버(12)가 분리될 수 있도록 화염차단장치(10)를 구성한다.
삭제
상기 방염차단막은 말단부에 봉 형태의 추(18)가 설치되어 방염차단막(13)의 낙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는 케이스(11)의 양측 벽의 길이를 다르게 형성하여 커버가 유리창 측으로 경사면(19)이 형성되도록 하여 열과 접촉되는 면적을 크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는 내측으로 완만한 곡면부(20)를 갖고 일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케이스 저단에 결합되는 커버는 일측변은 힌지부(21)로 이루어지고 타측 변은 뜨거운 온도에 용해되는 휴즈(17)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부(21)는 케이스(11)의 일측 단부가 요홈부(22)로 이루어지고 커버(12)의 일측 단은 환봉돌기(23)로 이루어져 요홈부(22)와 환봉돌기(23)가 결합되어 유동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힌지부(21)는 케이스(11)의 일측단과 커버(12)의 일측단이 경첩(24)으로 결합되어 유동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화염차단장치(10)는 유리창(30) 내측의 천장(40)에 설치된다. 화염차단장치(10)를 설치하는 수단은 통상적인 볼트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화염차단장치(10)는 베란다와 발코니가 있는 세대와 없는 세대 모두 다 사용할 수 있는 것이나 베란다와 발코니가 없어 화재가 유리창을 통하여 급격하게 유입되어 확산되는 것을 지연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설치된 본 발명의 화염차단장치(10)는 아파트의 하층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상부로 화염과 연가가 확산되면서 상부에 위치하는 세대의 유리창(30)을 가열시켜 유리가 파손되면 화염이 상층 내부로 유입되어 불이 번지게 된다.
이때 아파트의 거실 또는 발코니가 있는 방을 확장하였을 경우에는 화염이 지체없이 내부로 확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화염방지 장치가 설치된 경우에는 열에 의해 유리창이 파손되는 시간보다 더 빨리 커버(12)가 케이스(11)에서 분리되어 내부의 방염차단막이 하강하여 펼쳐지므로 유리창이 화염에 의해 깨지더라도 내측에 방염차단막(13)이 화염을 차단함으로 화염이 급속히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아파트의 경우 하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화염이 상부로 확산되는 경우 상부세대의 유리창이 금방 파손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시간이 흐른 후 파손되므로 유리창이 파손되기 전까지는 내부의 온도가 80℃ 이상 올라간 후 유리창이 파손됨으로 내부의 온도가 50℃이상 이면 커버(12)가 케이스(11)에서 이탈되도록 하여 케이스(11) 내에 설치된 방염차단막(13)이 낙하되어 유리창(30) 내측에 펼쳐 유리창이 파손되더라도 화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염차단장치의 단면도로서, 케이스(11) 내부에는 베어링(15)에 회전되는 샤프트(14)를 설치하고, 샤프트(14)에는 방염차단막(13)이 감긴 상태이며, 방염차단막(13) 일측 말단부에는 화재시 커버(12)가 이탈되면 즉시 낙하 될 수 있도록 봉 형태의 추(18)가 설치된 것이다.
또한 베어링(15)은 소음이 발생되지 않고 부드럽게 회전되는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커버(12)와 케이스(11)는 화재시 열에 의해 용해될 수 있는 납등으로 이루어진 금속체로 접합되어 휴즈(17) 역할을 한다.
상기 금속체로 이루어진 휴즈(17)는 화재시 내부의 온도가 올라가 공기가 뜨거워지면 녹아서 분리될 수 있는 것으로 50℃, 60℃, 70℃, 80℃ 이상으로 선택적용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화재시 휴즈(17)로 사용되는 금속물질은 소방에서 적용되는 것으로 화재시 커버(17)에 뜨거운 공기가 접촉되어 열이 가해지면 휴즈가 녹아 분리되는 것은 기술적으로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때 휴즈(17)로 접합되는 커버(12)는 길이방향 전체를 접 합할 수도 있고 일정한 간격으로 군데군데 접합 할 수도 있으나, 화재시 신속하게 커버(12)가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커버(12) 양측 길이 방향으로 군데군데 접합시켜 커버가 분리되지 않을 정도로 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염차단장치의 커버가 이탈되어 방염차단막이 설치되는 측면 예시도로서, 화재발생시 화염에 의해 유리창의 온도가 올라가면 유리창 내측 천장에 근접설치된 화염차단장치(10)의 커버(12)가 열을 받아 커버(12)와 케이스(11) 양측 벽 말단부를 결합한 휴즈(17)가 녹아 커버(12)가 분리 되는 동시에 방염차단막(13)은 추(18)의 무게에 의하여 즉시 하강 되면서 샤프트가 회전하여 감긴 방염차단막을 낙하시킨다.
상기 방염차단막의 펼쳐진 길이와 폭은 화염차단장치 제작시 설치되는 세대의 크기에 알맞도록 제작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방염차단막(13)은 직물 또는 합성수지 직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불에 타지 않도록 방제처리된 것이며, 이러한 방제직물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것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염차단장치의 설치구성도로서,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층 또는 세대 내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열에 의해 커버(11)가 이탈되는 동시에 방염차단막(13)이 낙하되어 유리창(30) 전체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케이스(11)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샤프트(14) 양측에는 베어링(15)이 결합되어 샤프트가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양측의 베어링은 케이스(11) 내측에 고정된 상태이다.
따라서, 커버가 이탈되는 동시에 추(18)의 무게에 의하여 샤프트에 감긴된 방염차단막(13)이 풀리면서 샤프트(14)는 회전하게 되며 샤프트의 회전은 양측단에 끼워진 베어링(15)에 의해 신속하게 풀리도록 한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화염차단장치의 케이스와 커버가 휴즈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발취도로서, 케이스(11)의 양측 벽의 길이가 동일한 상태로 형성되어 저부에 설치되는 커버(12)가 바닥과 평행한 수평형태로 결합된 것으로서, 화재발생시 저부의 뜨거운 공기가 수직 상승하면서 수평으로 이루어진 커버와 접촉되도록 한 것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화염차단장치의 커버가 일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상태의 예시도로서, 케이스(11)의 양측 벽의 길이를 상이하도록 형성하여 저단에 휴즈(17)에 의해 접착되는 커버(12)의 저면이 일측으로 기울어져 경사면을 갖도록 함으로서 수직상승하는 열과 측방향의 수평에서 발생되는 기류의 열과 접촉되도록 하여 화재 발생시 보다 신속하게 커버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케이스(11)의 양측벽은 유리창(30) 측의 벽이 내측에 위치한 벽 길이보다 짧게 함으로서 저단에 휴쥬(17)로 지지되는 커버(12)의 경사면(19)이 유리창(30)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서, 화재시 저부에서 수직상승하는 열과 유리창측에서 발생되는 수평열과 접촉되도록 하여 화재시 커버(12)를 신속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화염차단장치의 커버가 오목하도록 곡면부(20)가 형성된 상태의 예시도로서, 상기 도4b의 설명과 동일한 것으로 화재시 수직상승하는 열과 유리창(30)측에서 발생되는 수평 기류열과 접촉되도록하는 동시에 접촉된 열을 곡면부(20)가 보관하도록 함으로서 휴즈(17)를 신속하게 녹여 커버(12)를 분리함으로서 방염차단막(13)을 낙하시켜 유리창(30) 파손시 유입되는 화염을 차단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염차단장치가 화재시 작동되어 설치된 상태의 예시도로서, 하층에서 화재발생시 상층으로 화염이 확산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아파트의 경우 하층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화염이 상부로 향하는 동시에 외부의 기압에 의해 상층의 베란다 측 유리창으로 화염방향이 바뀌면서 상부에 위치한 세대로 화재가 번지게 된다. 이렇게 하층에서 발생 된 화재는 단시간 내에 상층 유리창(30)을 통하여 실내로 확산 되므로 본 발명의 화염차단장치는 실내로 유입되는 화염을 차단하여 불이 번지는 것을 최대한 지연시킴으로서 상층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대피할 시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소방차가 출동하는 동안 화재가 번지는 시간을 지연시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6a, 6b은 본 발명의 화염차단장치의 케이스 커버가 일측은 힌지부로 이루어지고 다른 일측은 휴즈로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케이스(11) 저단에 결합되는 커버(12)는 일측변은 힌지부(21)로 이루어지고 타측 변은 뜨거운 온도에 용해되는 휴즈(17)로 구성된다.
즉, 화재발생시 화염차단장치(10)의 일측변은 힌지부(21)로 구성하고 타측변은 휴즈로 결합되도록하여 화재시 일측변의 휴즈가 녹으며 커버의 링측변이 분리되면서 타측의 힌지부(21)에 의하여 매달린 상태로 케이스가 개방된다.
따라서 케이스(11) 내부에 구비된 방염차단막이 추에 의해 펼쳐질 때 분리된 커버에 방해를 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펼쳐지도록 한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힌지부(21)는 케이스(11)의 일측 단부가 요홈부(22)로 이루어지고 커버(12)의 일측 단은 환봉돌기(23)로 이루어져 요홈부(22)와 환봉돌기(23)가 결합되어 유동되도록 구성하여 커버 일측변의 휴즈가 녹으면 커버의 환봉돌기가 케이스의 요홈부 내에서 회전하면서 커버는 케이스에 지지된 상태로 개방되도록한 것이다.
또한 도 6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로서 힌지부(21)는 케이스(11)의 일일측단과 커버(12)의 일측단이 경첩(24)으로 결합되어 유동 되도록 구성 함으로서 화재시 일측단의 휴즈가 녹으면 개방시 경첩부에 의해 회전되면서 케이스의 일측 단에 커버가 지지되도록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 6a와 도 6b는 다른 실시 예로서 화재시 커버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케이스 일측 지지되는 동시에 케이스는 완전히 개방되어 방염차단막이 낙하되어 펼쳐질 때 커버에 방해받지 않고 펼쳐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유리창 내측 천장에 화염방지 장치를 발코니가 설치된 세대 또는 설치되지 않은 세대 등에 모두 적용함으로서, 내 외부에서 발생된 화염이 상층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지연시켜 사람이 대피하는 시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소방차가 출동하는 시간 동안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지연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특히, 베란다와 발코니 방을 확장하여 베란다와 발코니가 없어 화재발생시 상층의 유리창을 통하여 거실과 방으로 화염이 곧바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염차단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염차단장치의 커버가 이탈되어 방염차단막이 설치되는 측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염차단장치의 설치구성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화염차단장치의 케이스와 커버가 휴즈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발취도.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화염차단장치의 커버가 일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상태의 예시도.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화염차단장치의 커버가 오목하도록 곡면부가 형성된 상태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염차단장치가 화재시 작동되어 설치된 상태의 예시도.
도 6a, 6b은 본 발명의 화염차단장치의 케이스 커버가 일측은 힌지부로 이루어지고 다른 일측은 휴즈로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화염차단장치, 11:케이스
12:커버 13:방염차단막
14:샤프트 15:베어링
16:개구부 17:휴즈
18:추 19:경사면
20:곡면부 21:힌지부
22:요홈부 23:환봉돌기
24:경첩 30:유리창
40:천장

Claims (8)

  1. 삭제
  2. 화재시 방염차단막(13)이 봉형태의 추의 하중에 의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되어 화염이 전달되지 못하도록 된 화염유입차단장치에 있어서,
    유리창 내측 천장에 설치되는 케이스(11)와, 케이스(11) 내부 양측에 샤프트(14)가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15)을 설치하고, 샤프트(14)에는 통상의 불연성을 갖는 방염차단막(13)이 롤 형태로 감겨지며, 케이스 개구부(16)는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휴즈(17)에 의해 커버(12)가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화재발생시 상층으로의 화염 유입 차단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커버는 천장에 설치되는 케이스(11)의 양측 벽 길이를 다르게 형성하여 커버(12)가 유리창 측으로 경사면(19)이 형성되도록 하여 열과 접촉되는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화재발생시 상층으로의 화염 유입 차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커버는 내측으로 완만한 곡면부(20)를 갖고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열과의 접촉시간을 길게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화재발생시 상층으로의 화염 유입 차단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케이스 저단에 결합되는 커버는 일측변은 힌지부(21)로 형성되고 타측 변은 뜨거운 온도에 용해되는 휴즈(1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화재발생시 상층으로의 화염 유입 차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힌지부(21)는 케이스(11)의 일측 단부가 요홈부(22)로 형성되고 커버(12)의 일측 단은 환봉돌기(23)로 이루어져 요홈부(22)와 환봉돌기(23)가 결합되어 유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화재발생시 상층으로의 화염 유입 차단장치.
  8. 삭제
KR1020050112264A 2005-11-23 2005-11-23 아파트 화재발생시 상층으로의 화염 유입 차단장치 KR100859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264A KR100859583B1 (ko) 2005-11-23 2005-11-23 아파트 화재발생시 상층으로의 화염 유입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264A KR100859583B1 (ko) 2005-11-23 2005-11-23 아파트 화재발생시 상층으로의 화염 유입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066A KR20070096066A (ko) 2007-10-02
KR100859583B1 true KR100859583B1 (ko) 2008-09-24

Family

ID=38802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264A KR100859583B1 (ko) 2005-11-23 2005-11-23 아파트 화재발생시 상층으로의 화염 유입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5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407B1 (ko) 2014-11-19 2015-03-17 주식회사 우정유빅스엔지니어링종합감리전문회사 공동주택 건축물의 거주자 대피용 화재 차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76053A (zh) * 2022-05-06 2022-08-09 张怀宇 一种装配式建筑墙体及装配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637Y1 (ko) * 2004-07-19 2004-10-02 이재우 화염전달 방지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637Y1 (ko) * 2004-07-19 2004-10-02 이재우 화염전달 방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407B1 (ko) 2014-11-19 2015-03-17 주식회사 우정유빅스엔지니어링종합감리전문회사 공동주택 건축물의 거주자 대피용 화재 차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066A (ko) 2007-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6681B1 (ko)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
KR200422001Y1 (ko) 내화천을 구비한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
KR100744719B1 (ko)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방화판
KR20060109400A (ko)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KR101503407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거주자 대피용 화재 차단장치
KR102035835B1 (ko) 다층 건물의 환기 및 화재 확산 방지 시스템
KR100859583B1 (ko) 아파트 화재발생시 상층으로의 화염 유입 차단장치
JP2008138476A (ja) 換気装置付き玄関扉ならびに換気パネル
KR101720746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매연을 제거하는 매연제거장치
KR102061008B1 (ko) 화재 대피실용 방화문
KR200411905Y1 (ko) 아파트 화재발생시 화염 확산 차단장치
KR20100133223A (ko) 수막을 이용한 다층 건축물용 방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31652B1 (ko)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방화벽 장치 작동시스템
CN209742732U (zh) 防火防潮卷帘门
CN208106288U (zh) 自动关闭防火隔热窗户
KR200447730Y1 (ko) 아파트용 화염 차단장치
KR102320354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매연을 제거하는 매연제거장치
KR100695685B1 (ko) 건축물 외벽에 설치되는 방화판
KR101691998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유독가스 제거장치
KR101511607B1 (ko) 가정용 방화스크린의 개폐장치
KR100791806B1 (ko) 화염확산 방지 방화판
KR102117090B1 (ko)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
KR101077571B1 (ko) 건축물 층간화재 확산 방지가 가능한 발코니 난간
KR101597890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CN207131289U (zh) 防火卷帘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507

Effective date: 200803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