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8909B1 - 낚시추 - Google Patents

낚시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8909B1
KR100858909B1 KR1020070004987A KR20070004987A KR100858909B1 KR 100858909 B1 KR100858909 B1 KR 100858909B1 KR 1020070004987 A KR1020070004987 A KR 1020070004987A KR 20070004987 A KR20070004987 A KR 20070004987A KR 100858909 B1 KR100858909 B1 KR 100858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ishing
buoyancy
coupled
contro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4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7725A (ko
Inventor
홍길표
Original Assignee
홍길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길표 filed Critical 홍길표
Priority to KR1020070004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8909B1/ko
Priority to PCT/KR2008/000295 priority patent/WO2008088173A1/en
Priority to JP2009546321A priority patent/JP2010530213A/ja
Publication of KR20080067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에는 중량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은 부력부가 형성되어 물속에서 서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중량조절부재 및 부력조절부재에 의해 부력 및 중량의 조절이 가능한 낚시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낚시바늘과 낚시찌가 구비된 낚싯줄에 장착되는 낚시추에 있어서, 상기 낚시추의 하부 형상을 형성하며, 물보다 비중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는 중량부; 상기 중량부의 상부와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중량부보다 비중이 낮은 소재로 형성되는 부력부; 상기 부력부의 상부에 제공되며, 상기 부력부를 상기 낚싯줄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량부와 부력부의 사이에는 상기 부력부와 동일소재로 형성되는 부력조절부재 또는 상기 중량부와 동일소재로 형성되는 중량조절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추가 걸려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낚시추, 부력, 중량, 오염

Description

낚시추 { A fishing weight }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의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의 제2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의 제3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의 제4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의 제5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낚싯줄 20. 낚시바늘
30. 낚시찌 40. 고정구
100,200,300,400,500. 낚시추 110,220,510. 중량부
112,212,412. 결합구 120,210,410,520. 부력부
122,222,422. 체결단 130. 부력조절부재
132,142. 조절부재 결합구 134,144. 조절부재 체결단
140. 중량조절부재 150. 고정수단
152. 연결링 154.장착핀
310. 본체 320. 상부본체
330. 하부본체 340. 결합부
342. 상부 나사산 344. 하부나사산
350,420. 중량부재 522. 연결구
본 발명은 낚시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에는 중량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은 부력부가 형성되어 물속에서 서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낚시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위해서는 낚시장소와 대상어종 등을 고려하여 낚시바늘과 낚시찌를 선정하고, 상기 낚시찌의 부력에 맞추에 낚시바늘이 적절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시추를 낚싯줄에 연결하여 낚시채비를 마련하게 된다.
상기 낚시추는 일반적으로 낚싯줄과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낚싯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연결되며, 릴낚시에서와 같이 낚시바늘과 낚시추가 묶음으로 형성되어 낚싯줄에 연결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낚시추는 바닥면 또는 바위, 자갈 등에 닿게 되면, 대부분 길이방향으로 눕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낚싯줄을 당기게 되면, 바위틈이나 자갈 등에 낚시추가 쉽게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낚싯줄을 억지로 당기게 되면, 낚시추가 떨어지게 되며 낚시도중 이러한 문제점은 빈번하게 발생되며, 낚시에 익숙하지 않은 초심자들에게는 그 빈도 가 더욱 잦게 된다.
또한, 낚시추는 물속에 보다 효과적으로 가라앉을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비중이 높은 납으로 형성되는데, 이처럼 빈번하게 낚시추가 떨어지는 경우 물속에 납덩어리가 그대로 방치되어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에는 중량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은 부력부가 형성되어 물속에서 서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낚시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는, 낚시바늘과 낚시찌가 구비된 낚싯줄에 장착되는 낚시추에 있어서, 상기 낚시추의 하부 형상을 형성하며, 물보다 비중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는 중량부; 상기 중량부의 상부와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중량부보다 비중이 낮은 소재로 형성되는 부력부; 상기 부력부의 상부에 제공되며, 상기 부력부를 상기 낚싯줄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량부와 부력부의 사이에는 상기 부력부와 동일소재로 형성되는 부력조절부재 또는 상기 중량부와 동일소재로 형성되는 중량조절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중량부와 부력부는 결합되어 외주면이 곡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부력부의 상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부력조절부재와 중량조절부재는 상하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부력조절부재 또는 중량조절부재는 다수개가 상하로 연속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력조절부재와 중량조절부재는 상기 중량부 또는 부력부와의 결합시 외주면이 동일면을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는, 낚시바늘과 낚시찌가 구비된 낚싯줄에 장착되는 낚시추에 있어서, 상기 낚시추가 상기 낚시바늘과 낚시찌 사이의 낚싯줄에 연결되도록 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이 제공되며,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부력을 가지는 부력부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부력부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부력부 보다 큰 비중을 가지는 소재로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되는 중량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중량부재는 상기 부력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중량부재는 상기 부력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하도록 장착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에 의하면, 낚시추가 바위 또는 자갈 등에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낚시추가 잘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환경오염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의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상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낚싯줄(10)의 단부에는 낚시바늘(20)이 연결되며, 상기 낚시바늘(20)로부터 떨어진 상기 낚싯줄(10)의 일측에는 낚시찌(30)가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낚싯줄(10)은 합사나 나일론, 모노필라멘트가 와이어 형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기 공지된 바와 같이 본줄(원줄)과 목줄로 구성된다. 상기 낚시바늘(20)은 대상 어종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상 및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낚싯줄(10)의 단부에 매듭지어져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낚시찌(30)는 일정한 부력을 유지하면서 낚시추(100)와 미끼를 바닥에 가라앉히고, 낚싯줄(10)을 타고 전해지는 고기의 입질을 전달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낚시바늘(20)과 낚시찌(30)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낚싯줄(10)의 일측에는 낚시추(100)가 연결된다. 상기 낚시추(100)는 낚시바늘(20)이 원하는 위치에 가라앉도록 하는 것으로, 비교적 무거운 소재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낚시추(100)는 낚시장소와 대상 어종에 따라 알맞은 무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기 낚시찌(30)의 부력과 균형을 이룰 수 있는 무게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 2 를 참고로 하여 낚시추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낚시추(100)는 전체적으로 상하길이가 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외주면이 곡면형상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크게 상부와 하부로 이등분 되어 각각 중량부(110)와 부력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중량부(110)는 상기 낚시추(100)의 하부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낚시추(100)가 가라앉을 수 있도록 물보다 비중이 큰 소재 즉, 납과 같은 금속소재나 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량부(110)의 상단에는 상 기 중량부(110)가 아래에서 설명할 부력부(12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구(11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112)는 상기 중량부(110)의 상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11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단(122)과 나사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부력부(120)는 상기 낚시추(100)의 상부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중량부(110)와 결합되어 상기 낚시추(10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부력부(120)는 상기 낚시추(100)가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중량부(110)보다 비중이 낮은 소재로 형성된다.
예컨데, 상기 부력부(120)는 스티로폼소재나 스펀지 또는 나무 등과 같이 상기 중량부(110)보다 비중이 낮은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중량부(110)가 항상 하방을 향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부력부(120)는 부력에 의해 항상 상방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부력부(120)의 하단에는 상기 결합구(112)와 나사결합되는 체결단(12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단(122)은 상기 부력부(12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112)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단(122)의 외주에는 결합구(112)의 내주에 형성된 나사산의 형상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부력부(12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체결단(122)이 상기 결합구(112)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체결단(122)이 상기 결합구(112)와 완전하게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낚시추(100)는 외부에서 봤을 때 전체적으로 원통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중량부(110)와 부력부(120)는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낚시추(100)는 그 외주면이 곡면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며, 전체적인 종방향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낚시추(100)의 부력 또는 중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중량부(110)와 부력부(120)의 사이에 부력조절부재(130) 또는 중량조절부재(140)가 부가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부력조절부재(130)는 상기 낚시추(100)의 부력을 부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부력부(12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부력부(120)의 하측과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부력조절부재(130)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구(112)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조절부재 결합구(132)가 형성되며, 상기 부력조절부재(130)의 하면에는 상기 체결단(122)의 형상과 대응하는 조절부재 체결단(1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낚시추(100)에 부력조절부재(130)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부력부(120)의 체결단(122)과 상기 부력조절부재(130)의 조절부재 결합구(132)가 서로 나사결합되고, 상기 부력조절부재(130)의 조절부재 체결단(134)과 상기 중량부(110)의 결합구(112)가 서로 나사결합된다.
이때, 상기 부력조절부재(130)의 형상은 상기 낚시추(100)의 중앙부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중량조절부재(140)는 상기 낚시추(100)에 무게를 더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낚시추(100)가 더 가라앉을 수 있도록 조절하게 된다. 상기 중량조절 부재(140) 또한, 상기 중량부(11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중량조절부재(140)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조절부재 결합구(142)와 조절부재 체결단(144)이 형성된다.
상기 중량조절부재(140)는 필요에 따라 낚시추(100)의 무게만을 조절하기 위한 경우에는 상기 부력부(120)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낚시추(100)의 부력과 함께 무게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부력조절부재(130)의 하측에 결합된다.
상기 중량조절부재(140) 또한 상기 부력조절부재(130)와 동일한 원통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부력부(120) 및 중량부(110)와의 결합은 물론 상기 부력조절부재(130)와의 결합시에도 전체적인 형상의 통일성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부력조절부재(130)와 중량조절부재(140)는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며, 상기 부력과 무게의 미세조정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그 높이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부력부(120)의 상단에는 고정수단(150)이 장착된다. 상기 고정수단(150)은 상기 낚시추(100)가 상기 낚싯줄(1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부력부(120)의 상단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수단(150)은 상기 낚싯줄(10)이 관통하는 링형상의 연결링(152)과, 상기 연결링(152)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부력부(120)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는 장착핀(154)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링(152)은 상기 장착핀(15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 며, 상기 낚싯줄(10)이 상기 연결링(152)을 관통하도록 연결되면 상기 낚시추(100) 즉, 상기 부력부(120)와 중량부(110)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낚싯줄(10)에 연결되어 상기 낚싯줄(10)이 상기 낚시추(100)에 엉키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150)이 연결되는 낚싯줄(10)의 양측에는 고정구(40)가 더 구비되어 상기 낚시추(100)가 낚싯줄(10)을 따라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구(4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슬 또는 매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부력부(120) 또는 중량부(110)에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150)이 더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 때에는 상기 낚싯줄(10)이 상기 다수의 고정수단(150) 모두를 관통하여 상기 낚싯줄(10)과 낚시추(100)가 엉키지않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의 작용을 도1과 도2를 참고로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는 낚시바늘(20)과 낚시찌(30)가 마련된 낚싯줄(10)에 낚시추(100)를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낚시추(100)는 상기 낚시찌(30)의 부력을 고려하여 상기 낚시바늘(20)이 물속 적절한 위치에 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의 연결링(152)을 관통하도록 상기 낚싯줄(10)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낚시추(100)가 상기 낚시바늘(20)과 낚시찌(30) 사이의 낚싯줄(10) 일측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150)의 양측에 해당하는 상기 낚싯 줄(10)의 양측에는 상기 낚시추(100)가 상기 낚싯줄(10)을 따라 상하로 유동하지 않도록 구슬 또는 매듭과 같은 고정구(40)에 의해 유동이 구속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150)은 상기 부력부(120)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낚시추(100)가 상기 낚싯줄(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낚시추(100)에 낚싯줄(10)이 감기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낚시추(100)를 상기 낚싯줄(10)에 연결시켜 마련된 낚시채비를 이용하여 낚시를 할 때에는 상기 낚시추(100)가 물속에 일정깊이만큼 잠기게 되며 상기 낚시찌(30)와 부력이 평형상태가 되면 상기 낚시바늘(20)이 원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낚시추(100)는 상단의 고정수단(150)에 의해 상기 낚싯줄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고, 비중이 낮은 상기 부력부(120)가 상부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중량부(110)가 하부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낚시추(100)는 필연적으로 중량부(110)가 하방을 향하게 되어 직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낚시추(100)가 바닥에 닿게 되더라도 상기 낚시추(100)는 서있는 상태가 되며, 상기 낚싯줄(10)을 당기게 되면, 직립상태 또는 그와 유사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방으로 올라가게 되어 낚시추(100)가 바위 또는 자갈들의 틈새에 걸리게 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 상기 낚시추(100)의 형상적인 특징에 의해 상기 낚시추(100)가 바위 또는 자갈의 틈새에 걸리게 되는 확률은 더욱 줄어들게 됨은 물론 물살에 의해 요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낚시추(100)는 그 부력 및/또는 무게의 조절이 가능한데 이를 도2를 통하여 살펴보면, 상기 낚시추(100)의 부력 및/또는 무게의 조절을 위해서는 서로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 상기 부력부(120)와 중량부(110)를 회전시켜 분리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부력의 조절을 위한 경우에는 상기 부력조절부재(130)를 상기 부력부(120)와 중량부(110)의 사이에 결합시키게 된다. 즉, 상기 부력부(120) 하면의 체결단(122)과 상기 부력조절부재(130) 상면의 조절부재 결합구(132)를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시킨 후 상기 부력조절부재(130) 하면의 조절부재 체결단(134)을 상기 중량부(110) 상면의 결합구(112)와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부력조절부재(130)는 상기 부력부(12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볼 때 상기 중량부(110)에 비해 비중이 낮은 부분의 체적이 증가하게 되어 상기 낚시추(100)의 부력이 증가하게 된다.
중량의 조절을 위한 경우에는 상기 중량조절부재(140)를 상기 부력부(120)와 중량부(110)의 사이에 결합시키게 된다. 즉, 상기 부력부(120) 하면의 체결단(122)과 상기 중량조절부재(140) 상면의 조절부재 결합구(142)를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시킨 후 상기 중량조절부재(140) 하면의 조절부재 체결단(144)을 상기 중량부(110) 상면의 결합구(112)와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중량조절부재(140)는 상기 중량부(11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볼 때 상기 부력부(120)에 비해 비중이 높은 부분의 체적이 증가하 게 되어 상기 낚시추(100)의 무게가 증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낚시추(100)의 부력과 중량을 모두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부력조절부재(130)와 중량조절부재(140)를 동일한 방식으로 서로 결합시킨 후 상기 부력부(120)와 중량부(110)의 사이게 결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부력 및/또는 중량의 조절시 상기 부력조절부재(130)와 중량조절부재(140)는 다수개가 연결되어 장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때에도 전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서로 결합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는 전술한 제1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이에 제2실시예를 도 3 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낚시추는 전체적으로 전술한 제1실시예의 그것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는 한편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에 의하면, 낚시추(200)는 전체적으로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로 분리되어 각각 부력부(210)와 중량부(22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중량부(220)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물보다 비중이 더 높은 소재로 형성되며, 납과 같은 금속 또는 돌맹이 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낚시추(200)가 가라앉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부력부(210)의 상면에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고정수단(150)이 장착되며, 상기 고정수단(150)은 상기 낚싯줄(1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 기 낚시바늘(20)과 낚시찌(30)의 사이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부력부(21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면이 개구되어 결합구(212)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결합구(212)는 상기 중량부(22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단(222)과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부력부(210)는 상기 중량부(220)보다 더 낮은 비중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며, 스티로폼이나 스펀지, 나무 등과 같이 물에 뜰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서 상기 부력부(210)는 중량부(22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거나 상기 중량부(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 경우 상기 부력부(210)가 상대적으로 큰 부력을 가지도록 내부에 비중이 낮은 공기 또는 다른 물질이 주입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부력부(210)와 중량부(220)의 사이에 부력조절부재(도 2 의 130) 및/또는 중량조절부재(도 2 의 140)가 더 결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200)의 제2실시예의 작용을 도 1 과 도 3 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우선 상기 중량부(220)와 부력부(210)를 결합시켜 상기 낚시추(200)를 형성하게 되며, 이때 필요에 따라 상기 부력부(210)의 내측에 비중이 낮은 물질을 주입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150)을 상기 낚싯줄(10)의 일측, 보다 상 세하게는 상기 낚시바늘(20)과 상기 낚시찌(30)의 사이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연결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낚시추(200)의 장착이 완료되어 낚시채비를 마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낚싯줄(10)에 연결된 상기 낚시바늘(20)과 낚시찌(30) 및 낚시추(200)를 물속에 넣게 되면, 상기 낚시추(200)의 무게에 의해 상기 낚시바늘(20)이 가라앉게 된다. 소정의 위치까지 가라앉게 되면, 상기 낚시추(200)의 무게와 상기 낚시찌(30)의 부력이 평형을 이루게 되어 상기 낚시추(200)가 정지하게 되며, 때에 따라서는 상기 낚시추(200)가 바닥면 또는 바위나 자갈 등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낚시추(200)는 상단이 상기 낚싯줄(10)에 연결된 상태이고, 상기 중량부(220)가 하부에 위치한 상태이므로 무게중심은 당연히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낚시추(200)는 필연적으로 직립상태가 될 수 밖에 없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낚싯줄(10)을 당기게 되면, 상기 낚시추(200)는 직립상태로 상방 또는 다소 기울어진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바위틈 또는 자갈들의 틈새에 상기 낚시추(200)가 걸리지 않고 이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이에 제3실시예를 도 4 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낚시추(300)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중공된 통 형상의 본체(31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310)는 물에 뜰 수 있도록 비중이 낮은 소재로인 스티로폼, 스폰지 또는 나무 등으로 형성되며, 원통 형상 또는 외주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본체(310)는 상부와 하부로 분리되어 각각 상부본체(320)와 하부본체(330)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본체(320)와 하부본체(330)는 서로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본체(320)와 하부본체(330)가 서로 접하는 각각의 단부에는 서로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34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340)는 상기 상부본체(320)의 외주면 하단에 형성된 상부 나사산(342)과 상기 하부본체(330)의 내주면에 형성된 하부 나사산(344)으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상부본체(320)와 하부본체(330)는 필요에 따라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거나 테이프 또는 접착제와 같은 접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310)의 상단에는 고정수단(15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수단(150)은 상기 낚시추(300)가 상기 낚싯줄(1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310)의 상단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한편, 상기 본체(310)의 내측에는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중량부재(350)가 수용된다. 상기 중량부재(350)는 납과 같은 비중이 큰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310)의 내측 중공된 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구 형상 또는 일정 체적을 가지는 블럭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량부재(350)는 상기 본체(31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수용될 수 있을 것이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본체(310)의 내부에 다수개를 넣어 상기 낚시추(300)의 부력 또는 중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낚시찌(30)의 부력 또는 대상 어종에 따라 상기 낚시바늘(20)의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300)의 제3실시예의 작용을 도 1 과 도 4 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낚시추(300)의 무게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상부본체(320)와 하부본체(330)의 결합을 해지하여 분리하고, 상기 본체(310)의 내측에 상기 중량부재(350)를 넣게 된다. 이때, 상기 중량부재(350)의 개수는 상기 낚시찌(30)의 부력과 대상 어종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하게 된다.
상기 중량부재(350)를 넣은 다음 상기 상부본체(320)와 하부본체(330)의 상부 나사산(342)과 하부 나사산(344)이 서로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낚싯줄(10)이 상기 고정수단(150)에 삽입되어 상기 낚싯줄(10)의 일측에 상기 낚시추(30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채비가 마련된 낚싯줄(10)을 물속에 넣게 되면, 상기 낚시추(300)의 무게에 의해 상기 낚시바늘(20)과 낚시추(300)가 가라앉게 되며, 상기 낚시추(300)와 낚시찌(30)의 부력이 평형상태가 되는 지점 또는 바닥면에서 상기 낚시추(300)가 정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낚시추(300)는 상하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며, 상단이 낚싯줄(10)에 고정되는 구조에 의해 상기 중량부재(350)는 상기 본체(31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무게중심이 하부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낚시추(300)는 직립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낚싯줄(10)을 당기게 되면, 상기 낚시추(300)는 상방 또는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낚시추(300)가 바위나 자갈들의 틈새에 걸리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는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이에 제4실시예를 도 5 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낚시추(400)는 부력부(410)와 중량부재(420)로 구성된다.
상기 부력부(410)는 상기 낚시추(400)의 상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대략 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물에 뜰 수 있는 스티로폼이나 스펀지, 나무 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력부(410)의 상단에는 고정수단(150)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150)은 상기 낚시추(400)가 상기 낚싯줄(1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술한 실시예들의 그것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상기 낚시추(400)가 상기 낚싯줄(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부력부(410)의 하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중량부재(420)가 결합되는 결합구(41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412)는 중량부재(420)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상기 부력부(410)의 하단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기 부력부(410)의 하부에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구(41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중량부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량부재(420)는 상기 낚시추(400)의 무게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부력부(410)보다 비중이 큰 소재(예컨데, 납과 같은 금속소재)로 형성되며,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량부재(420)는 무게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중량부재(420)의 상단에는 체결단(42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단(422)은 상기 중량부재(420)가 상기 부력부(410)에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중량부재(420)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412)와 대응하는 나사산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중량부재(420)는 다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부력부(410)에 결합될 때 상기 낚시추(400)의 전체적인 균형을 고려하여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중량부재(420)가 장착될 때에는 상기 중량부재(420)가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결합되어 상기 낚시추(400)가 바닥면 또는 바위와의 접촉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의 제4실시예의 작용을 도 1 과 도 5 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낚시추(400)의 무게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부력부(410)에 상기 중량부재(420)를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중량부재(420)의 개수는 상기 낚시찌(30)의 부력과 대상 어종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하게 된다.
상기 중량부재(420)의 결합을 위해 상기 중량부재(420)의 체결단(422)을 상기 부력부(410)의 결합구(412) 내측에 삽입시킨 후 나사결합 방식으로 돌려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중량부재(420)가 한개만 사용될 때에는 상기 부력부(410)의 하부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구(412)에 상기 중량부재(420)를 결합시키게 되며, 다수의 중량부재(420)가 결합될 때에는 상기 다수의 중량부재(420)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낚시추(400)가 전체적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낚싯줄(10)이 상기 고정수단(150)에 삽입되어 상기 낚싯줄(1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낚시바늘(20)과 상기 낚시찌(30)의 사이의 일측에 상기 낚시추(40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채비가 마련된 낚싯줄(10)을 물속에 넣게 되면, 상기 낚시추(400)의 무게에 의해 상기 낚시바늘(20)과 낚시추(400)가 가라앉게 되며, 상기 낚시추(400)의 부력과 평형이 되는 지점 또는 바닥면에서 상기 낚시추(400)가 정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낚시추(400)는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중량부재(420)가 하부에 위치할 뿐만 아니라 하방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150)에 의해 상기 낚시추(400)의 상단이 낚싯줄(10)과 연결되므로, 상기 낚시추(400)의 무게중심은 자연스럽게 하부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낚시추(400)는 직립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낚싯줄(10)을 당기게 되면, 상기 낚시추(400)는 상방 또는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낚시추(400)가 바위나 자갈들의 틈새에 걸리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는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이에 제5실시예를 도 6 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낚시추(500)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중량부(510)와 부력부(520)로 구성되며, 선택적으로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중량부(510)는 상기 부력부(520)보다 비중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비중이 높은 납과 같은 소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력부(520)의 상부에는 관통형성되는 연결구(522)가 더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522)는 상기 낚시추(500)가 상기 낚싯줄(1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술한 제1실시예의 고정수단(15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연결구(522)를 관통하여 상기 낚싯줄(10)이 삽입되며, 이로써 상기 낚시추(500)는 상기 낚시바늘(도 1 에서 20)과 낚시찌(도 1 에서 30) 사이의 낚싯줄(10)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낚시추(500)가 물속에 잠기게 되면, 비중이 높은 상기 중량부(510)가 하방으로 향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은 상기 부력부(520)는 상기 낚싯줄(10)에 연결된 상태로 상방을 향하게 되어 상기 낚시추(500)가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 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낚시추의 상단이 상기 낚싯줄에 고정되고, 상기 낚시추의 하부가 상부에 비하여 비중이 높게 구성되어 물속에서 상기 낚시추가 필연적으로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낚싯줄을 당기게 되더라도 상기 낚시추는 직립 또는 그에 준하는 상태로 상방 이동하게 되므로, 바위틈이나 자갈들의 틈새에 상기 낚시추가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낚시추가 걸려 떨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불편 및 낚시추의 교체로 인한 비용의 증가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낚시추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납소재의 낚시추가 바다속을 오염시키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낚시추에 부력조절부재와 중량조절부재 또는 중량부재를 부가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낚시추의 부력과 무게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됨은 물론 한번 장착된 낚시추를 부력과 무게를 변경해 가면서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되어 비용 및 환경오염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게 된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낚시바늘과 낚시찌가 구비된 낚싯줄에 장착되는 낚시추에 있어서,
    상기 낚시추의 하부 형상을 형성하며, 물보다 비중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는 중량부;
    상기 중량부의 상부와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중량부보다 비중이 낮은 소재로 형성되는 부력부;
    상기 부력부의 상부에 제공되며, 상기 부력부를 상기 낚싯줄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량부와 부력부의 사이에는 상기 부력부와 동일소재로 형성되는 부력조절부재 또는 상기 중량부와 동일소재로 형성되는 중량조절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와 부력부는 결합되어 외주면이 곡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부력부의 상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조절부재와 중량조절부재는 상하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조절부재 또는 중량조절부재는 다수개가 상하로 연속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조절부재와 중량조절부재는 상기 중량부 또는 부력부와의 결합시 외주면이 동일면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9. 낚시바늘과 낚시찌가 구비된 낚싯줄에 장착되는 낚시추에 있어서,
    상기 낚시추가 상기 낚시바늘과 낚시찌 사이의 낚싯줄에 연결되도록 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이 제공되며,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부력을 가지는 부력부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부력부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부력부 보다 큰 비중을 가지는 소재로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되는 중량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낚시추.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재는 상기 부력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재는 상기 부력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70004987A 2007-01-17 2007-01-17 낚시추 KR100858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987A KR100858909B1 (ko) 2007-01-17 2007-01-17 낚시추
PCT/KR2008/000295 WO2008088173A1 (en) 2007-01-17 2008-01-17 A fishing weight
JP2009546321A JP2010530213A (ja) 2007-01-17 2008-01-17 釣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987A KR100858909B1 (ko) 2007-01-17 2007-01-17 낚시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725A KR20080067725A (ko) 2008-07-22
KR100858909B1 true KR100858909B1 (ko) 2008-09-17

Family

ID=39636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4987A KR100858909B1 (ko) 2007-01-17 2007-01-17 낚시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0530213A (ko)
KR (1) KR100858909B1 (ko)
WO (1) WO20080881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506B1 (ko) * 2013-01-30 2014-10-27 전재훈 낚시추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035B1 (ko) * 2008-12-03 2009-02-23 이동일 주낙용 분리형 낚시추
CN102187851A (zh) * 2010-03-03 2011-09-21 宋基奉 防卡挂用渔坠
KR102190609B1 (ko) * 2018-10-30 2020-12-11 주식회사 코리아마이카 장대 봉돌
KR102167895B1 (ko) * 2019-03-15 2020-10-20 안석필 낚시용 분할추 세트
JP6841456B1 (ja) * 2020-05-08 2021-03-10 冨士灯器株式会社 釣りウキ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9477U (ko) * 1980-11-20 1982-06-02
JPS5934577U (ja) * 1982-08-30 1984-03-03 小野 孝 天秤錘
JPH10248460A (ja) * 1997-03-10 1998-09-22 Kazunori Yamada 投げ釣り用引掛り防止魚釣具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1773U (ko) * 1985-02-02 1986-08-18
JPS62262934A (ja) * 1986-05-08 1987-11-16 李 聰敏 釣用おもり
JP3004818U (ja) * 1994-05-31 1994-11-29 保人 田原 釣り用オモリ
KR20020029269A (ko) * 2000-10-12 2002-04-18 김대성 낚시용 수중추
JP2003235417A (ja) * 2002-02-15 2003-08-26 Yoshihiro Mikami 魚釣りの重り
JP3634804B2 (ja) * 2002-02-15 2005-03-30 義弘 三上 魚釣りの重り
KR200282069Y1 (ko) * 2002-04-06 2002-07-19 남상구 중량조절이 가능한 낚시 추
JP2004057081A (ja) * 2002-07-29 2004-02-26 Seiyu Yu 引っ掛からない釣り用錘
KR200301473Y1 (ko) * 2002-10-29 2003-01-24 홍승건 화물을 운반하는 철도용 대차 연결구
JP3107801U (ja) * 2004-09-17 2005-02-17 モリト株式会社 釣用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9477U (ko) * 1980-11-20 1982-06-02
JPS5934577U (ja) * 1982-08-30 1984-03-03 小野 孝 天秤錘
JPH10248460A (ja) * 1997-03-10 1998-09-22 Kazunori Yamada 投げ釣り用引掛り防止魚釣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506B1 (ko) * 2013-01-30 2014-10-27 전재훈 낚시추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30213A (ja) 2010-09-09
KR20080067725A (ko) 2008-07-22
WO2008088173A1 (en) 2008-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8909B1 (ko) 낚시추
KR200477222Y1 (ko) 다분할 중량체를 구비한 편대 낚시 채비
KR102620407B1 (ko) 낚시용 리그
KR100982541B1 (ko) 낚시추
KR200476223Y1 (ko) 낚싯줄에 관통되어 낚싯줄을 타고 상하 유동하는, 부력구, 밑밥 부착구 및 무게 추 일체형 유동식 집어 봉돌
US8561342B2 (en) Surf fishing rig
US2724206A (en) Fish line float
KR101556764B1 (ko) 낚시용 채비
US3010244A (en) Fishing tackle
US20090019760A1 (en) Hollow fishing lure with internal swimming mechanism
US20110056113A1 (en) Vibrating fishing lure
JP3538196B1 (ja) 魚釣具
KR101967363B1 (ko) 낚시찌
KR200384445Y1 (ko) 사출형 구멍찌
JP3519730B1 (ja) 釣り具
KR102686885B1 (ko) 바다낚시용 채비
AU2010200830A1 (en) Lure arrangement
KR20160044946A (ko) 낚시용 채비
KR20220057394A (ko) 바닥추의 무게조절이 용이한 분할추채비
JP2005348716A (ja) 一網打尽カニ取り君
JP2012161299A (ja) 釣り具
KR200469404Y1 (ko) 낚시용 봉돌
JP2012175939A (ja) 疑似餌の姿勢状態変化制御方法及びそのための重量調整錘
JP3160378U (ja) コマセ保持具
KR200361713Y1 (ko) 부구를 구성한 낚시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