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614B1 - 패킷 데이터 통신망의 호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패킷 데이터 통신망의 호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614B1
KR100857614B1 KR1020070030275A KR20070030275A KR100857614B1 KR 100857614 B1 KR100857614 B1 KR 100857614B1 KR 1020070030275 A KR1020070030275 A KR 1020070030275A KR 20070030275 A KR20070030275 A KR 20070030275A KR 100857614 B1 KR100857614 B1 KR 100857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etup
call
node
internet protocol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0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필수
박성래
김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70030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Landscapes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킷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호 설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킷 교환 지원 노드는 패킷 관문 지원 노드의 IP 주소를 저장하고 호 설정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관리하여 호 설정이 가능한 상태인 경우에 해당 패킷 관문 지원 노드의 IP 주소를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한 IP 주소로 패킷 교환 지원 노드와 패킷 관문 지원 노드의 세션 설정을 위한 패킷 호 설정을 요청한다. 또한, 호 설정시 장애가 발생한 경우의 해당 패킷 관문 지원 노드의 상태는 호 설정 불가 상태로 변경하여 상태를 감시한다.
따라서, 패킷 관문 지원 노드의 IP 주소 선택 과정시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호 설정 연결 성공율을 높이고 원활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패킷 데이터 통신망, 패킷 교환 지원 노드, 패킷 관문 지원 노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Description

패킷 데이터 통신망의 호 설정 장치 및 그 방법{Device for setting up call in packet data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설정이 적용되는 패킷 데이터 통신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데이터 통신망의 호 설정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데이터 통신망의 호 설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데이터 통신망의 호 설정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설정 장치가 패킷 관문 지원 노드의 상태 관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패킷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호 설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패킷 데이터 통신망의 패킷 교환 지원 노드(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가 패킷 관문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로 호를 설정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킷 데이터 통신망은 단말장치와 호 접속되어 그 입·출력되는 호 신호를 처리하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 패킷 교환 지원 노드와 인터넷 사이에 연결되어 패킷 데이터를 변환 처리하는 패킷 관문 지원 노드를 구비한다.
패킷 교환 지원 노드는 단말장치로부터 데이터 호 접속이 시도되면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억세스 포인트 네임(Access Point Name)에 해당되는 접속할 패킷 관문 지원 노드의 아이피(IP, Internet Protocol) 주소를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한 아이피 주소에 해당하는 패킷 관문 지원 노드와 사용자 세션을 위한 터널을 할당하기 위해 PDP 컨텍스트(Packet Data Protocol Context)를 설정한다.
여기서, 패킷 교환 지원 노드는 패킷 관문 지원 노드에게 PDP 컨텍스트 설정을 요청하여 응답이 수신되면 호 접속을 완료하고 이후 단말장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패킷 관문 지원 노드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일정시간 대기하였다가 PDP 컨텍스트 설정 요청을 재시도한다. 그래도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다른 패킷 관문 지원 노드의 아이피 주소를 획득하여 다시 PDP 컨텍스트 설정 절차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호 설정 과정에서는 선택한 아이피 주소의 패킷 관문 지원 노드로부터의 응답 신호 유무를 확인하지 않고서는 해당 패킷 관문 지원 노드의 호 설정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호 설정이 불가한 패킷 관문 지원 노드로 불필요한 호 접속이 이루어져 자원의 낭비 및 호 설정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패킷 관문 지원 노드의 상태 정보를 관리하고 이를 이용하여 호 설정을 수행하는 패킷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호 설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호 설정 장치는,
패킷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1 노드 및 패킷 서비스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하는 제2 노드를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 통신망에서 상기 제1 노드의 호 설정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노드의 정적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및 상기 제2 노드의 정적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와 매핑되는 각각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호 설정 요청을 통해 획득한 억세스 포인트 네임에 정적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방식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호 설정이 가능한 상태인 상기 제2 노드의 정적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선택하여 상기 제2 노드의 정적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로 제2 호 설정을 요청하는 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호 설정 방법은,
패킷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1 노드 및 패킷 서비스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하는 제2 노드를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 통신망에서 상기 제1 노드의 호 설정 방법에 있어서, (a)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제1 호 설정 요청을 통해 획득한 억세스 포인트 네임에 정적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방식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억세스 포인트 네임에 정적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방식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각각의 상태 정보가 매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노드의 정적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검색하는 단계; (c) 매핑된 상태 정보가 호 설정이 가능한 상태인 상기 제2 노드의 정적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선택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선택한 상기 제2 노드의 정적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로 제2 호 설정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데이터 통신망의 호 설정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설정이 적용되는 패킷 데이터 통신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패킷 데이터 통신망은 단말장치(100), 무선접속망(200), 패킷 교환 지원 노드(300),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 및 인터넷망(500)을 포함한다.
이때, 패킷 데이터 통신망은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을 실시예로 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말장치(100)는 패킷 데이터 통신망으로부터의 세션 설정 요청에 따라 자동적으로 세션 설정 절차를 수행하고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기이다. 단말 장치(100)는 패킷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데이터 저장 공간을 포함한다. 그리고,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하여 단말 장치(100)는 무선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인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에 기반한 MIE(Microsoft Internet Explorer), 핸드헬드 디바이스 트랜스포트 프로토콜(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 FTP(File transfer protocol) 기능 등을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 통신망으로의 패킷 데이터 수신 및 송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접속망(Radio Access Network)(200)은 기존의 WCDMA를 지원하기 위해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규격의 무선 접속 규격을 수용한 기지국 전송기(Radio Transceiver Subsystem)(210)와 무선망제어부(Radio Network Controller)(220)을 포함한다.
무선접속망(200)은 단말장치(100)로부터의 통신 요청 신호, 데이터 전송 요청 신호 및 업로딩 데이터를 수신하여 패킷 교환 지원 노드(300)로 전송하고, 패킷 교환 지원 노드(300)으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여 단말장치(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 전송기(210)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무선 접속 규격에 따르는 단말장치(100)와의 무선 접속 종단 기능을 수행하고, 음성, 영상 및 데이터 트래픽(Traffic)을 WCDMA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기능과 송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단말장치(100)와의 정보를 송수신한다. 일반적으로 기지국 전송기(210)의 내부 서브시스템은 기지국 정합 서브 시스템(Base-station Interconnection Subsystem), 기저 대역 서브시스템(Base Band Subsystem) 및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Radio Frequency Subsystem)으로 구성된다. 또한, 기지국 전송기(210)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무선 접속 규격에서 'Node B'라는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무선망제어부(Radio Network Controller)(220)는 유무선 채널 관리, 단말 장치(100)의 프로토콜 정합, 기지국의 프로토콜 정합.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처리, 핵심망(Core Network)과의 프로토콜 정합, 지피알에스(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망 접속, 장애 관리, 시스템 로딩(Loading) 등과 같은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패킷 교환 지원 노드(300) 및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이하 'IP'라 칭함)망에서 호환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의된 지피알에스 망을 구성하여 단말장치(100)과 인터넷망(500) 사이에 패킷 데이터를 전달하고 라우팅하는 역할을 한다.
패킷 교환 지원 노드(300)(또는 제1 노드)는 서빙 지피알에스 지원 노드(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이라고도 하며 단말장치(100)가 보내온 패킷을 수신하여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로 전송하고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로부터 수신된 패킷을 단말장치(100)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지피알에스 서빙 노드이다. 패킷 교환 지원 노드(300)는 지피알에스 서비스를 위하여 단말장치(100)의 이동성 관리, 발/착신호 처리 절차 및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하기 위한 세션(Sesson) 관리, 인증 및 과금 기능, 패킷 데이터의 라우팅 처리 기능을 가진다.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또는 제2 노드)는 게이트웨이 지피알에스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라고도 하며 패킷 교환 지원 노드(300)로부터 수신된 패킷을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 Packet Data Protocol) 형식으로 변환하여 인터넷망(500)으로 전송한다.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는 액세스 포인트 네임(Access Point Name, 이하 'APN' 라 칭함)을 통해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망 및 접속되는 망을 결정하고, 인터넷망(500)과의 게이트웨이(Gateway)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APN은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가 단말장치(100)에 할당하는 IP 주소를 포함하고 있는 구분자로서, 특정 서비스를 위한 구분자로 활용되어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들을 구별한다.
인터넷망(500)은 단말장치(100)가 요청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외부 서버(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연결되고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를 통해 단말장치(100)와 접속된다.
여기서, 단말장치(100)는 이용하고자 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상응하는 패킷 호 설정을 요구하여 세션을 설정한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300)와의 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제1 호 설정 요청을 하고, 패킷 교환 지원 노드(300)는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와의 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제2 호 설정 요청을 한다. 이 과정을 통상적으로 "PDP Context Request"라고 한다.
이때, 제1 호 설정 요청 과정은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컨텍스트 활성화(PDP Context Activation)"이고 제2 호 설정 요청 과정은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컨텍스트 생성 요청(PDP Context Creation)"이다. 한편, "PDP Context Request", "PDP Context Activation" 및 "PDP Context Creation"은 통상의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패킷 교환 지원 노드(300)는 이러한 제1 호 설정 요청 과정 및 제2 호 설정 요청 과정을 수행하는 호 설정 장치를 포함한다.
패킷 교환 지원 노드(300)의 호 설정 장치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제1 호 설정이 요청되면 요청된 APN 정보를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한 APN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패킷 데이터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의 IP 주소를 획득하여 제2 호 설정을 요청한다. 이때, 제2 호 설정을 요청한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에 고장이 발생하였으면 지피알에스 서비스가 불가능하고 특히 정적(Static) IP 방식인 경우는 세션 설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의 호 설정 장치는 선택한 APN 정보를 이용하여 정적(Static) IP 방식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그러한 경우 선택한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정상 상태 즉 활성화(Active) 상태인 경우에 이를 선택하여 제2 호 설정을 요청한다.
패킷 교환 지원 노드(300)의 호 설정 장치는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의 상태를 관리하여 제2 호 설정시, 정상 상태의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로 범위를 좁혀 그 중에서 호 설정을 수행할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선택한다.
그러면, 이러한 호 설정 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데이터 통신망의 호 설정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패킷 교환 지원 노드(300)의 호 설정 장치의 구성은 패킷 관문 지원 노드(도 1의 400)의 IP 주소 및 그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10) 및 호 설정이 가능한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의 IP 주소로 호 설정을 요청하는 호 처리부(320)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데이터베이스(310)는 IP 주소 DB(312) 및 상태 정보 DB(314)를 포함한다. IP 주소 DB(3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의 IP 주소를 저장한다. 상태 정보 DB(314)는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의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의 정상 운용 여부, 호 설정 가능 여부 등의 상태를 나타낸다.
호 처리부(32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1 호 설정 요청에 따라 요청된 APN 정보와 패킷 교환 지원 노드(300)의 내부에 저장된 가입자 프로파일에서 PDP context 정보를 비교하여 APN을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한 APN 정보를 이용하여 정적 IP 주소 할당 방식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의 상태 정보를 확인한 후 선택한 IP 주소로 제2 호 설정을 요청한다.
이러한 호 처리부(320)는 보다 세부적으로 IP 주소 선택부(322), 호 설정부(324) 및 상태 관리부(326)를 포함한다.
IP 주소 선택부(322)는 제1 호 설정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310)를 검색하여 호 설정이 가능한 상태의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의 IP 주소를 선택한다.
호 설정부(324)는 IP 주소 선택부(322)로부터 전달받은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의 IP 주소로 제2 호 설정 요청을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
상태 관리부(326)는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 IP에 매핑된 상태 정보의 초기값 설정 및 선택된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로부터의 제2 호 설정 요청에 대한 응답 수신 여부에 따라 호 설정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해당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의 상태 정보를 갱신한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토대로 패킷 데이터 통신망에서 호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데이터 통신망의 호 설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 따르면, 단말장치(도 1의 100)가 패킷 교환 지원 노드(도 1의 300)로 패킷 데이터의 서비스 요청을 전송(S101)하여 그에 대한 응답이 수신(S103)되면 PDP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을 전송(S105)한다.
패킷 교환 지원 노드(300)는 데이터베이스(도 2의 310)를 검색(S107)하여 호 설정을 요청할 패킷 관문 지원 노드(도 1의 400)의 IP 주소를 선택한다(S109).
이때, 단계(S109)에서 선택한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의 상태를 확인(S111)하여 활성화 상태인지를 확인한다(S113).
단계(S113)의 확인 결과 활성화 상태인 경우 단계(S109)에서 선택한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의 IP 주소로 PDP 컨텍스트 생성 요청을 전송한다(S115).
또는 단계(S113)의 확인 결과 활성화 상태가 아닌 경우 단계(S107)로 되돌아가 단계(S109, S111, S113)를 다시 수행한다.
이후, 패킷 교환 지원 노드(300)는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로부터 PDP 컨텍스트 생성 응답을 수신(S117)하거나 또는 수신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S119).
여기서, 패킷 교환 지원 노드(300)는 PDP 컨텍스트 생성 응답의 수신 여부를 확인(S121)하여 수신되지 않은 경우 단계(S109)에서 선택한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의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한다(S123).
그리고 단계(S107)로 되돌아가 이후 단계(S109, S111, S113, S115, S117 또는 S119)를 수행한다.
또는 PDP 컨텍스트 생성 응답을 수신한 경우 패킷 교환 지원 노드(300)는 PDP 컨텍스트 활성화 응답을 단말장치(100)로 전송한다(S125).
그러면 단말장치(100)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300) 및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를 통해 인터넷망(도 1의 500)에 접속되어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패킷 교환 지원 노드(300)의 호 설정 장치가 호 설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데이터 통신망의 호 설정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따르면, PDP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이 수신(S201)되면 요청된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APN을 선택(S203)한다. 이때, 선택은 단말장치(도 1의 100)로부터 제공된 APN과 해당 가입자의 프로파일에 등록된 APN을 검색하여 동일한 APN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한 APN을 이용하여 정적 IP의 설정 여부를 확인(S205)한다. 통상 단말장치(100)는 PDP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에 정적 주소를 사용할 것인지 또는 동적 주소를 사용할 것인지 택일한 정보를 수록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확인한다.
이때, 단계(S205)의 확인 결과 정적 IP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외부의 도메인 네임 서버로 쿼리(S207)하여 패킷 관문 지원 노드(도 1의 400)의 IP 주소를 획득한다(S209). 여기서 도메인 네임 서버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으로 사전에 APN에 따른 정보에 바인딩되어 있는 패킷 관문 지원 노드의 IP 주소를 저장한다.
그리고 단계(S209)에서 획득한 IP 주소로 PDP 컨텍스트 생성 요청을 전송(S211)한다. 그리고 그에 대한 응답이 수신(S213)되면 PDP 컨텍스트 활성화 응답을 단말장치(100)로 전송(S235)하고 호 설정 절차를 완료한다.
한편, 단계(S205)의 확인 결과 정적 IP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데이터베이스(310)를 검색하여 패킷 관문 지원 노드의 IP 주소를 선택한다(S215). 여기서 선택 방식은 프라이머리(Primary)/세컨더리(Secondary) 방식 또는 라운드 로빈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프라이머리(Primary)/세컨더리(Secondary) 방식은 프라이머리와 세컨더리의 순서로 구분되어 프라이머리 순서에서 장애가 발생한 경우 세컨더리의 순서를 적용한다. 그리고 라운드 로빈 방식은 동일한 순서를 적용하는 것으로 순차적으로 설정된 IP 주소를 선택하는 방식이다.
다음, 단계(S215)에서 선택한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의 상태를 확인한다(S217).
이때, 확인한 상태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단계(S215)로 되돌아가 이후 단계를 수행한다.
또한, 확인한 상태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선택한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의 IP 주소로 PDP 컨텍스트 생성 요청을 송신한다(S219).
그리고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단계(S219)에서 송신한 PDP 컨텍스트 생성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S221).
단계(S221)의 확인 결과 응답이 수신되면 PDP 컨텍스트 활성화 응답을 단말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단계(S221)의 확인 결과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PDP 컨텍스트 생성 요청을 재송신한다.
단계에서 재송신한 PDP 컨텍스트 생성 요청에 대한 응답의 수신 여부를 체크 하여 수신되지 않으면 선택(S215)한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의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고 단계(S215)로 되돌아가 이후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재송신한 PDP 컨텍스트 생성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PDP 컨텍스트 활성화 응답을 단말장치(100)로 전송하고 호 설정 절차를 완료한다.
다음,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의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세부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설정 장치가 패킷 관문 지원 노드의 상태 관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상태 관리부(도 2의 326)의 상태 관리 방법을 보인 것이다.
도 5에 따르면, 상태 관리부(326)는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의 초기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설정한다(S301).
상태 관리부(324)는 호 설정부(도 2의 324)로부터 PDP 컨텍스트 생성 응답이 미수신 정보의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S303). 즉 호 설정부(324)로부터 PDP 컨텍스트 생성 응답의 미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정보의 수신 여부를 체크한다.
단계(S303)의 확인 결과 수신된 경우 IP 주소 선택부(도 2의 322)가 선택한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의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하여 상태 정보 DB(도 2의 320)에 저장한다(S305).
그리고 기 설정된 기간에 해당하는 타이머를 설정(S307)하여 패킷 관문 지원 노드(400)의 상태 감시 모드를 시작한다. 이후 타이머가 만료(S309)되면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한다(S311).
또한, 단계(S303)의 확인 결과 PDP 컨텍스트 생성 응답의 미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즉 PDP 컨텍스스 생성 응답이 수신된 경우에는 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S313).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패킷 관문 지원 노드의 선택 과정시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호 설정 연결 성공율을 높이고 월활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호 설정이 가능한 상태의 패킷 관문 지원 노드에 대해서만 호 접속을 시도하므로 불필요한 호 접속의 시도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6)

  1. 패킷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1 노드 및 패킷 서비스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하는 제2 노드를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 통신망에서 상기 제1 노드의 호 설정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노드의 정적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및 상기 제2 노드의 정적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와 매핑되는 각각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호 설정 요청을 통해 획득한 억세스 포인트 네임에 정적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방식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호 설정이 가능한 상태인 상기 제2 노드의 정적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선택하여 상기 제2 노드의 정적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로 제2 호 설정을 요청하는 호 처리부
    를 포함하는 호 설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처리부는,
    상기 제1 호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호 설정이 가능한 상태의 상기 제2 노드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선택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선택부;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선택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제2 노드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로 상기 제2 호 설정 요청을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호 설정부; 및
    상기 호 설정부로부터 확인된 상기 제2 호 설정 요청에 대한 응답 수신 여부에 따라 호 설정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제2 노드의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상태 관리부
    를 포함하는 호 설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관리부는,
    상기 호 설정부의 확인 결과, 상기 제2 호 설정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2 노드의 현재 상태 정보를 유지하고 상기 제2 호 설정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노드의 상태 정보를 호 설정 불가로 변경하는 호 설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관리부는,
    상기 제2 노드의 상태 정보를 호 설정 불가로 변경시 기 설정된 시간의 타이머를 설정하고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상태 정보를 호 설정 가능으로 변경하는 호 설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선택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획득한 상기 제2 노드의 정적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의 상태 정보가 호 설정 불가 상태인 경우 또는 상기 호 설정부의 확인 결과 상기 제2 호 설정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재검색을 수행하는 호 설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설정부는,
    상기 제2 호 설정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호 설정 요청 전송을 재전송하여 그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그 결과를 상기 상태 관리부 및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선택부로 전달하는 호 설정 장치.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드의 상태에 관한 초기 정보는 호 설정 가능 상태로 설정되는 호 설정 장치.
  9. 패킷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1 노드 및 패킷 서비스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하는 제2 노드를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 통신망에서 상기 제1 노드의 호 설정 방법에 있어서,
    (a)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제1 호 설정 요청을 통해 획득한 억세스 포인트 네임에 정적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방식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억세스 포인트 네임에 정적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방식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각각의 상태 정보가 매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노드의 정적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검색하는 단계;
    (c) 매핑된 상태 정보가 호 설정이 가능한 상태인 상기 제2 노드의 정적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선택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선택한 상기 제2 노드의 정적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로 제2 호 설정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호 설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 이후,
    상기 제2 호 설정 요청에 대한 응답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선택한 제2 노드의 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호 설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호 설정 요청에 대한 응답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응답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호 설정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선택한 제2 노드의 상태 정보를 호 설정 불가로 변경하고 상기 (b)단계, 상기 (c)단계 및 상기 (d)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호 설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호 설정 요청을 재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상태 정보를 호 설정 불가로 변경하는 호 설정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설정 불가로 변경된 상태 정보는 기 설정된 타이머에 해당하는 시간동안 유지되고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호 설정 가능으로 상태 정보가 변경되는 호 설정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검색한 제2 노드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호 설정 가능한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b)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호 설정 가능한 상태인 경우 상기 검색한 제2 노드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호 설정 방법.
  15. 삭제
  16.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드의 초기 상태 정보는 호 설정 가능 상태로 설정되는 호 설정 방법.
KR1020070030275A 2007-03-28 2007-03-28 패킷 데이터 통신망의 호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857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275A KR100857614B1 (ko) 2007-03-28 2007-03-28 패킷 데이터 통신망의 호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275A KR100857614B1 (ko) 2007-03-28 2007-03-28 패킷 데이터 통신망의 호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7614B1 true KR100857614B1 (ko) 2008-09-09

Family

ID=40022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275A KR100857614B1 (ko) 2007-03-28 2007-03-28 패킷 데이터 통신망의 호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6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210A (ko) * 2002-08-16 200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데이터 통신시스템에서의 호 설정 장치 및 방법
KR20040056486A (ko) * 2002-12-23 2004-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ggsn을 가지는 gprs 시스템 및 ggsn선택방법
KR20060032313A (ko) * 2004-10-12 2006-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피 기반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망에서 단말의 기능에따라 서빙 호 세션 제어기능부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210A (ko) * 2002-08-16 200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데이터 통신시스템에서의 호 설정 장치 및 방법
KR20040056486A (ko) * 2002-12-23 2004-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ggsn을 가지는 gprs 시스템 및 ggsn선택방법
KR20060032313A (ko) * 2004-10-12 2006-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피 기반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망에서 단말의 기능에따라 서빙 호 세션 제어기능부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3997B2 (en) User equipment registration method for network slice selection and network controller and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US7733824B2 (en) Fixed access point for a terminal device
KR101002810B1 (ko) 패킷 스위칭 도메인에서 단말의 위치 등록 방법 및 장치
US11659621B2 (en) Selection of IP version
CN100486382C (zh) 通信***中的时效处理设备和方法
WO2013131472A1 (zh) 消息处理方法、装置和***
US20040186850A1 (en) Discovery of application server in an IP network
TW2004029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roaming lis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10392458A1 (en) Method for location service control and communications unit
WO2016000172A1 (zh) 网络设备及分配接入点名称的方法
WO2014205621A1 (zh) 一种过载控制方法及装置
JP2004528783A (ja) コンテキスト起動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端末装置
US9560583B2 (en) Gateway selection based on geographical location
JP7265640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コンポーネント及びサービス要求を処理する方法
US20140355547A1 (en) Network-Initiated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Data Communication Using IP With a Wireless Terminal
WO2006090233A1 (en) Provision of ser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857614B1 (ko) 패킷 데이터 통신망의 호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929491B1 (ko)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이동 단말
RU265624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сообщ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шлюза
KR20130023971A (ko) 트래픽 제어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트래픽 제어 방법
KR20130023970A (ko) 트래픽 제어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트래픽 제어 방법
CN113259929B (zh) 漫游用户会话建立方法、应用服务器、nssf及ue
WO2024032041A1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KR100800821B1 (ko) 모바일 인터넷프로토콜 가입자의 해제 방법
KR100489200B1 (ko) 패킷 서빙 노드 간의 도먼트 핸드오프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