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3476B1 -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 - Google Patents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3476B1
KR100853476B1 KR1020070017707A KR20070017707A KR100853476B1 KR 100853476 B1 KR100853476 B1 KR 100853476B1 KR 1020070017707 A KR1020070017707 A KR 1020070017707A KR 20070017707 A KR20070017707 A KR 20070017707A KR 100853476 B1 KR100853476 B1 KR 100853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periodontal
periodontal treatment
treatment action
ac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우
Original Assignee
이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우 filed Critical 이재우
Priority to KR1020070017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3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 개선으로 인해 작용부의 단부가 구강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각도에서의 접근이 용이하며, 치주 등의 진단 목적 외에도 치주염의 치료 등과 같은 치료 목적에도 사용될 수 있어 하나의 도구로서 진단 및 치료를 병행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치아 관리를 위해 보다 효율적이고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막대 형상의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을 형성하되 전체적으로 말발굽 형태를 따라 구부러진 곡선 형상을 갖는 제1 치주 처리 작용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을 형성하되 일직선이 꺾일 때 형성되는 절곡점이 적어도 2군데 이상 형성되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며, 외곽을 연결하는 가상의 원이 상기 제1 치주 처리 작용부의 전체 형상을 이루는 가상의 원 내에 내접하는 제2 치주 처리 작용부를 포함한다.
치과, 도구, 익스플로러, 치주, 진단, 치료, 병행, 눈물방울 모양

Description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Explorer Instrument for Dental Surgery}
도 1은 종래의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에 대한 다양한 예를 보인 이미지,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의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의 사용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에서 제1 치주 처리 작용부의 다양한 설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의 (A) 내지 (C)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에서 제2 치주 처리 작용부의 다양한 설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
20 : 손잡이부
30 : 제1 치주 처리 작용부
40 : 제2 치주 처리 작용부
본 발명은,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 개선으로 인해 작용부의 단부가 구강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각도에서의 접근이 용이하며, 치주 등의 진단 목적 외에도 치주염의 치료 등과 같은 치료 목적에도 사용될 수 있어 하나의 도구로서 진단 및 치료를 병행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치아 관리를 위해 보다 효율적이고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기구는 사용 목적에 따라 진단용 기구, 치주용 기구, 시술용 기구 등으로 나뉜다.
이중에서 치주용 기구에 대한 다양한 이미지가 도 1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이미지들은 소위, 익스플로러(Explorer)라 불리는 치주용 기구이다.
익스플로러 기구는 사용자가 손으로 쥘 수 있는 형태로서 통상 막대기 형태의 긴 손잡이부를 가지며, 손잡이부의 양단에 실제 처리 부분에 접촉하는 작용부가 마련된다. 여기서, 실제 처리 부분이란 치아 또는 치아와 치아 사이의 부분을 가리 킨다.
작용부는 그 형태에 있어서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갖는다. 도 1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갖는 작용부가 구비된 종래의 익스플로러 기구는 보통, 치료 목적보다는 진단 목적, 예컨대, 치주포켓의 깊이와 어태치먼트의 높이, 해부학적 형상, 치은출혈 측정 등의 진단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는 대부분의 익스플로러 기구에서 작용부의 단부는 송곳 형태를 가지기 때문이다.
가장 흔한 예로서, 종래의 익스플로러 기구는 환자의 충치나 기타 치아 모양들을 살필 때 손잡이부를 잡고 작용부로 치아를 긁어보면서 손으로 촉감을 전달받아 느끼면서 치질의 상태 등을 파악하는데 주로 사용되기도 한다. 따라서 치과 의사들에게 있어 익스플로러 기구는 미러(mirror)와 함께 실질적으로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중요한 도구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익스플로러 기구는 주로 좁은 구강 내에서 사용되어야만 하므로, 비록 작용부가 도 1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하더라도 그 끝단 영역이 단순히 둥글기만 하거나 단순하게 꺾인 상태이기 때문에 기능성이 거의 없고, 기존 치주처치용 전문기구는 앵귤레이션(angulation) 또한 미비하여 다양한 각도에서의 접근이 곤란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88962 호의 등록 공보에는, 입체적으로 굴곡진 형태의 효용성을 가진 새로운 형태의 치과용 기구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의 공보와 같이, 비록 좁은 구강 내에서 그리고 필요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작용부의 단부를 적절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 는 입체적인 구조가 가능하다고 할지라도, 이러한 입체적인 구조는, 작용부의 형상이 매우 복잡하게 하며, 제조하기 까다롭고 세척과 보관 등의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한다.
특히, 상기의 공보를 포함하여 이제까지 알려진 종래의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는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치주포켓의 깊이와 어태치먼트의 높이, 해부학적 형상, 치은출혈 측정 등의 진단을 위한 진단 목적으로만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치주염의 치료 등과 같은 치료 목적을 위해서는 또 다른 치과용 기구에 의존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그만큼 사용상 번거롭거나 불편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종래의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에서 작용부는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그 끝단 영역이 단순히 둥글기만 하거나 단순하게 꺾인 상태이기 때문에 기능성이 약하다는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가 가지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 개선으로 인해 작용부의 단부가 구강 내의 원하는 위치에 접근 가능하며, 특히 치아와 치아 사이 인접면에 다양한 각도에서의 접근이 용이하며, 치주 등의 진단 목적 외에도 치주염의 치료 등과 같은 치료 목적에도 사용될 수 있어 하나의 도구로서 진단 및 치료를 병행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치아 관리를 위해 보다 효율적이고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막대 형상의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을 형성하되 전체적으로 말발굽 형태를 따라 구부러진 곡선 형상을 갖는 제1 치주 처리 작용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을 형성하되 일직선이 꺾일 때 형성되는 절곡점이 적어도 2군데 이상 형성되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며, 외곽을 연결하는 가상의 원이 상기 제1 치주 처리 작용부의 전체 형상을 이루는 가상의 원 내에 내접하는 제2 치주 처리 작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치주 처리 작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 영역은 거꾸로 떨어지는 눈물방울 형상으로 샤프닝(sharpening)된 모양, V자 모양 또는 U자 모양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모양으로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치주 처리 작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일측 표면으로부터 함몰되게 가공된 삽기능 홈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기능 홈부는 상기 거꾸로 떨어지는 눈물방울 형상으로 샤프닝(sharpening)된 모양, V자 모양 또는 U자 모양에 각각 대응되는 모양을 가지며, 상기 제1 치주 처리 작용부에, 상기 제1 치주 처리 작용부의 전체 형상을 이루는 가상의 원을 작성하고 상기 가상의 원에 등간격으로 분할된 12시간을 표시할 경우, 상기 삽기능 홈부의 내면 절단면은 9시 방향으로부터 7시 방향으로 갈수록 그 내면 절단면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치주 처리 작용부에, 상기 제1 치주 처리 작용부의 전체 형상을 이루는 가상의 원을 작성하고 상기 가상의 원에 등간격으로 분할된 12시간을 표시할 경우,
상기 제1 치주 처리 작용부의 단부는 상기 12시간 중에서 6시 내지 8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상기 제1 치주 처리 작용부의 제1 네크부(neck)는 상기 12시간 중에서 3시 내지 5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거꾸로 떨어지는 눈물방울 형상으로 샤프닝(sharpening)된 모양이 끝나는 7시의 위치와, 상기 제1 네크부에 대응되는 3시의 위치는 좌우상하로 유연하게 설계 변경 가능하다.
상기 제2 치주 처리 작용부에, 상기 제2 치주 처리 작용부의 전체 형상을 이루는 가상의 원을 작성하고 상기 가상의 원에 등간격으로 분할된 12시간을 표시할 경우, 상기 절곡점은, 상기 12시간 중에서 10시 내지 12시 사이, 그리고 2시 내지 4시 사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상기 제2 치주 처리 작용부의 제2 네크부(neck)는 상기 12시간 중에서 8시 내지 10시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 상기 제1 및 제2 치주 처리 작용부는 티타늄(Ti)이나 혹은 티타늄(Ti) 합금, 강화 세라믹,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중에서 선택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막대 형상의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어느 일단을 형성하되 전체적으로 말발굽 형태를 따라 구부러진 곡선 형상을 갖는 치주 처리 작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치주 처리 작용부의 단부 영역은 거꾸로 떨어지는 눈물방울 형상으로 샤프닝(sharpening)된 모양, V자 모양 또는 U자 모양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모양으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 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한편, 상기 목적은, 막대 형상의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어느 일단을 형성하되 일직선이 꺾일 때 형성되는 절곡점이 적어도 2군데 이상 형성되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치주 처리 작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치주 처리 작용부의 단부 영역은 거꾸로 떨어지는 눈물방울 형상으로 샤프닝(sharpening)된 모양, V자 모양 또는 U자 모양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모양으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예들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의 사용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에서 제1 치주 처리 작용부의 다양한 설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5의 (A) 내지 (C)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에서 제2 치주 처리 작용부의 다양한 설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도 1 참조)의 작용부(미도시)는 그 끝단 영역이 단순히 둥글기만 하거나 단순하게 꺾인 상태이기 때문에 기능성이 약하였다. 특히, 종래의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는 단순한 진단 목적이 주된 기능이었기 때문에 치료 목적으로는 사용하기가 어려워 기능성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예의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10)는 종래와 같이, 제1 및 제2 치주 처리 작용부(30,40)를 가지기는 하되, 제1 및 제2 치주 처리 작용부(30,40)의 단부(tip) 영역에 미세하고 정밀한 소위, 거꾸로 떨어지는 눈물방울 형상으로 샤프닝(sharpening)된 모양(이를 새의 부리, 닭의 부리와 같은 형태라고도 볼 수 있음)의 평면이나 또는 가느다란 형태의 샤프닝(Sharpening)을 가지게 함으로써 그 기능성을 향상시켰다. 특히 끝단이 급격하게 가늘어지되, 유연하게 날카롭게 가공되는 형태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그 기능성을 향상시켰다.
즉, 본 실시예의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10)를 사용하게 되면, 제1 및 제2 치주 처리 작용부(30,40)의 단부가 구강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각도에서의 접근이 용이하다.
또한 치주 등의 진단 목적 외에도 치주염의 치료 등과 같은 치료 목적에도 사용될 수 있어 하나의 도구로서 진단 및 치료를 병행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치아 관리를 위해 보다 효율적이고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의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10)는 치과에서 사용되는 익스플로러(Explorer), 스케일러(Scaler) 및 큐레트(Curette)의 복합체이며, 특히, 기존의 스케일러(Scaler) 및 큐레트(Curette)가 갖는 좁고 구석진 부분에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보완한 기구이다.
이러한 효과를 갖는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10)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10)는 크게, 손잡이부(20)와, 손잡이부(20)의 일단을 형성하는 제1 치주 처리 작용부(30)와, 손잡이부(20)의 타단을 형성하는 제2 치주 처리 작용부(40)를 구비한다.
손잡이부(20)는 본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10)를 잡는 부분이다. 즉, 치과 의사는 손잡이부(20)를 잡고 필요에 따라 그 양쪽 단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치주 처리 작용부(30,40)를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부(20)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수단이 갖춰지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이러한 것으로서 다수의 미끄럼 방지 홈을 손잡이부(20)의 표면에 직접 가공할 수도 있고, 혹은 별도의 미끄럼 방지 패드를 손잡이의 표면에 붙일 수도 있다.
제1 치주 처리 작용부(30)는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어 치료 또는 진단 목적으로 치아(1, 도 3 참조) 또는 잇몸(4, 도 3 참조) 또는 그 사이 등의 위치에 접촉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제1 치주 처리 작용부(30)는 손잡이부(20)의 일단을 형성하되 전체적으로 말발굽 형태를 따라 구부러진 곡선 형상을 갖는다.
제2 치주 처리 작용부(40) 역시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어 치료 또는 진단 목적으로 치아(1, 도 3 참조) 또는 잇몸(4, 도 3 참조) 또는 그 사이 등의 위치에 접촉하는 부분이다. 제2 치주 처리 작용부(40)는 손잡이부(20)의 타단을 형성하되 일직선이 꺾일 때 형성되는 절곡점(40b,40c)이 적어도 2군데 이상 형성되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며, 외곽을 연결하는 가상의 원이 제1 치주 처리 작용부(30)의 전체 형상을 이루는 가상의 원 내에 내접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손잡이부(20), 제1 및 제2 치주 처리 작용부(30,40)는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혹은 분리형으로 제작된 후, 각각 개별적으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만약, 후자와 같은 경우라면 하나의 손잡이부(20)에 대해 여러 형상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치주 처리 작용부(미도시)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10)는 티타늄(Ti)이나 혹은 티타늄(Ti) 합금, 강화 세라믹,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중에서 선택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티타늄(Ti) 합금은, Ti-6Al-4V, Ti-6Al-7Nb, Ti-13Nb-13Zr, Ti-15Mo, Ti-35.3Nb-5.1Ta-7.1Zr, Ti-29Nb-13Ta-4.6Zr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강화 세라믹이란 지르코늄 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기존 치과용 치료 기구에 사용되던 다양한 금속 등을 재료로 사용해도 무방하다.
한편, 손잡이부(20), 제1 및 제2 치주 처리 작용부(30,40)로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10)는 소위, 징(Jeeng)이라는 이름이로 사용될 수도 있는데, 실질적으로 본 실시예의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10)가 사용되는 구강의 위치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의 (A)에는 치아(1)가 치조골(2)에 뿌리(3)를 내리고 있고, 치아(1)와 치아(1) 사이는 치은(4, 잇몸)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도 3의 (B)는 치아(1)의 내부구조를 일부 확대한 단면으로 보여주는 것으로서, 치아(1)는 내부의 상아질(1a)을 가지며, 구강 내에 돌출된 부분은 법랑질(5a)로 덮여있으며, 치조골(2) 및 치은(4)에 묻혀 있는 부분은 백아질(5b)로 덮여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의 (C)에는 본 실시예의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10), 즉 징(Jeeng)의 제1 치주 처리 작용부(30)가 치아(1)와 잇몸(4) 사이에서 작용하는 것임을 직관적으로 보여준다. 물론,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제2 치주 처리 작용부(40) 역시 같은 위치에서 작용한다.
한편, 제1 및 제2 치주 처리 작용부(30,40)의 형상 및 자세한 구조에 대해 도 4a 내지 도 4c 그리고,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제1 치주 처리 작용부(30)에, 제1 치주 처리 작용부(30)의 전체 형상을 이루는 가상의 원을 작성하고 상기 가상의 원에 등간격으로 분할된 12시간(시계)을 표시할 경우에 대해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러한 시계를 기준으로 제1 치주 처리 작용부(30)의 각각의 위치와 그에 따른 특징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제1 치주 처리 작용부(30)는 전체적으로 말발굽 형태를 따라 구부러진 곡선 형상을 갖는다. 즉, 경우에 따라 갈고리 타입이나 호미 형태로 유연하게 디자인 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치주 처리 작용부(30)의 단부 영역에 대한 모양을 살펴볼 때, 제1 치주 처리 작용부(30)의 단부 영역에 대한 모양은 도 4a 내지 도 4c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거꾸로 떨어지는 눈물방울 형상으로 샤프닝(sharpening)된 모양, V자 모양 또는 U자 모양의 팁(tip)을 가진 삼각형 또는 두터운 접시 모양의 단면 형태 등이 될 수 있다.
도 4a와 같이, 제1 치주 처리 작용부(30)의 단부 영역이 새의 부리나 닭의 부리와 유사한 거꾸로 떨어지는 눈물방울 형상으로 샤프닝(sharpening)된 모양이 되는 경우, 새의 부리 형태는 단부가 가느다란 돌출부인 반면에 돌출부의 일단은 통통하게 부풀어 오른 형태이므로 이러한 새의 부리와 같은 형태는 삽과 같은 기능을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10)에 부여할 수 있다. 특히 그 끝단은 급격하게 가늘어지되, 유연하게 날카롭게 가공되는 형태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그 기능성을 향상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10)는, 종래 익스플로러의 진단 목적의 사용에 추가하여 프라그 제거 또는 치주염 제거와 같은 치료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삽의 기능으로서 프라그나 치주염에 의한 염증조직 등을 퍼낼 수 있다.
물론, 다른 형태에서 삽과 같은 기능이 구비되지 않는다면, 삽의 기능을 부가하면 된다. 즉, 위의 기본적인 형상들에 더하여 제1 치주 처리 작용부(30)의 단부에 일측 표면으로부터 함몰되게 가공된 삽기능 홈부(31a)를 더 형성하면 된다.
이러한 경우, 삽기능 홈부(31a)로 인해 프라그나 치주염 등을 퍼낼 수 있게 된다. 다만, 삽기능 홈부(31a)를 형성함에 있어 삽기능 홈부(31a)는 거꾸로 떨어지는 눈물방울 형상으로 샤프닝(sharpening)된 모양, V자 모양 또는 U자 모양에 각각 대응되는 모양을 갖도록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샤프닝(sharpening)의 형태는 유연하면서도 샤프(sharp)한 거꾸로 떨어지는 눈물방울 형상으로 샤프 닝(sharpening)된 모양이며, 그 끝단으로 갈수록 가늘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 4a에서, 삽기능 홈부(31a)의 내면 절단면은 9시 방향으로부터 7시 방향으로 갈수록 그 내면 절단면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를 갖는다(도 4a의 (a) 내지 (d) 참조). 물론, 삽기능 홈부(31a)가 단부(d)까지 연속되게 형성된 것은 아니며, 단부(d)에서 대략 1mm 정도 이격된 방향(c)까지만 형성될 수 있다. 즉, 단부(d)에서 대략 1mm 정도 이격된 위치는 마치 송곳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부(d)는 대략 둥근 형태로 가공된다. 후술하겠지만, 도 4a에서 거꾸로 떨어지는 눈물방울 형상으로 샤프닝(sharpening)된 모양이 끝나는 대략 7시의 위치와 네크부(30b)에 대응되는 대략 3시의 위치는 좌우상하로 유연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a에서 거꾸로 떨어지는 눈물방울 형상으로 샤프닝(sharpening)된 모양이 끝나는 대략 7시의 위치가 좌우상하로 유연하게 변경될 수 있다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예컨대, 도 4a에서 7시의 위치가 좌측으로 변경되면 다른 포인트(위치)는 그대로인 상태에서 원의 크기가 왼쪽으로 커지고, 반대로 7시의 위치가 우측으로 변경되면 다른 포인트(위치)는 그대로인 상태에서 원의 크기가 오른쪽으로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개념으로서, 만약, 7시의 위치가 위쪽으로 변경되면 제1 치주 처리 작용부(30)의 말단이 짧아짐을 의미(아래쪽으로 변경되면 길어짐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예로 인해 7시 및 3시의 위치는 좌우상하로 유연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동일한 개념으로서, 도 4b의 경우, 끝단으로 갈수록 탄력성이 있게 가늘어진 형태를 취하고 있다. 물론, 그 내면에는 얕으면서도 전반적인 형상이 거꾸로 떨어지는 눈물방울 형상으로 샤프닝(sharpening)된 모양의 샤프닝(sharpening)이 추가될 수 있다. 도 4a와 상이한 점은 단부(d)에서 대략 1mm 정도 이격된 위치는 삼각형 형태의 송곳 형상으로 형성된다는 점이다. 앞서 기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도 4b에서 거꾸로 떨어지는 눈물방울 형상으로 샤프닝(sharpening)된 모양이 끝나는 대략 7시의 위치와 네크부(30b)에 대응되는 대략 3시의 위치는 좌우상하로 유연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b의 경우, 삽기능 홈부(31b)가 대략 삼각형 형태로 가공되고 있다는 것을 도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한편, 거꾸로 떨어지는 눈물방울 형상으로 샤프닝(sharpening)된 모양(형태)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9시 방향의 이동에 따라 더 넓게 확장될 수도 있다. 즉, 도 4c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을 정면에서 볼 경우, 샤프닝(sharpening)된 영역(sharpened area)만이 보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끝단부위의 팁(tip)은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송곳 형태가 아닌 숟가락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결국, 도 4a 내지 도 4c는 그 형상에서 차이점이 있을 뿐이며 기능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할 수 있다. 즉, 도 4c의 경우, 도 4a에 비해 보다 넓은 면으로 유연하게 삽기능 홈부(31c)가 가공되고 있는 것을 실시예로써 보여주고 있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할 때, 9시 방향은 제1 치주 처리 작용부(30)의 사이즈(size)를 나타낸다. 예컨대 0.6, 0.7, 0.8, 0.9, 1.0, 1.1, 1.2 mm 등과 같은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사이즈를 갖도록 함으로써 상이한 구강 구조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사이즈와 관련해서 볼 때, 0.6, 0.7, 0.8 mm 정도의 사이즈로 구현될 경우에는 단순진단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0.9, 1.0, 1.1, 1.2 mm 정도의 사이즈로 구현될 경우에는 경도가 강해 치주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사이즈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는 없다.
앞서도 기술하였지만 9시 방향은 거꾸로 떨어지는 눈물방울 형상으로 샤프닝(sharpening)된 모양, V자 모양 또는 U자 모양의 말단이 시작되는 지점이 될 수도 있다. 물론 반드시 9시에서 해당 모양이 시작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시작 위치는 9시 방향을 중심으로 전후로 이동 가능하다.
한편 7시 방향은 거꾸로 떨어지는 눈물방울 형상으로 샤프닝(sharpening)된 모양, V자 모양 또는 U자 모양 등일 수 있는 제1 치주 처리 작용부(30)의 단부가 끝나는 부위를 나타낸다. 이러한 단부의 위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7시 방향일 필요는 없다. 즉, 6시 30분에 배치될 수도 있고, 7시 30분에 배치될 수도 있다. 결국, 제1 치주 처리 작용부(30)의 단부는 12시간 중에서 6시 내지 8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손잡이부(20)와 연결되는 제1 치주 처리 작용부(30)의 제1 네크부(30b, neck)는 손잡이부(20)의 단부에서 시작하여 제1 치주 처리 작용부(30) 단부까지 구부러지는 톨게이트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네크부(30b)는 3시 내지 5시 사이에서 선택될 수 있다. 한편, 3시 위치에서 9시 위치까지의 길이는 15 mm 전후, 12시 위치부터 6시 위치까지의 길이는 17 mm 전후의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말발굽 형태를 갖는 제1 치주 처리 작용부(30)는 중심에서 완만히 가늘어지도록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내지 도 4c와 대응되는 방식으로 도 5에는 제2 치주 처리 작용부(40)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제2 치주 처리 작용부(40)는 손잡이부(20)의 타단을 형성하되 일직선이 꺾일 때 형성되는 절곡점(40b,40c)이 적어도 2군데 이상 형성되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며, 외곽을 연결하는 가상의 원이 제1 치주 처리 작용부(30)의 전체 형상을 이루는 가상의 원 내에 내접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제2 치주 처리 작용부(40)는 전술한 제1 치주 처리 작용부(30)와는 그 형상에서 차이가 있다. 이렇게 구부러진 그 형태가 다른 것은 그 기능이 다름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치주 처리 작용부(40)에 2개의 절곡점(40b,40c)이 형성된다. 하나는 12시간 중에서 10시 내지 12시 사이,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2시 내지 4시 사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11시 부위에서 한번 꺾어지고 다시 3시 위치에서 두 번째 꺾어지는데, 이 때 단독주택의 지붕 끝 봉우리처럼 예각이나 둔각 모두 가능하다. 이러한 꺾어지는 위치인 절곡점(40b,40c)은 반드시 11시이거나 3시일 필요는 없는 것이다. 한편 11시 방향은 제2 치주 처리 작용부(40)의 사이즈를 나타낸다. 예컨대 0.6, 0.7, 0.8, 0.9, 1.0, 1.1, 1.2 mm 등과 같은 사이즈가 가능하다.
손잡이부(20)와 연결되는 제2 치주 처리 작용부(40)의 제2 네크부(40b, neck)는 상기 12시간 중에서 8시 내지 10시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손잡이부(20)의 단부에서부터 9시 방향으로 구부러지기 시작하고 있다. 하지만, 반드시 9시 방향에서 구부러져 제2 치주 처리 작용부(40)가 형성될 필요는 없다. 즉, 시작 위치는 9시 방향을 중심으로 전후로 이동가능하다. 또한 시작 위치로부터 단부로 향하는 모든 구조는 중심에서부터 완만히 가늘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앞서 기술한 마찬가지의 개념으로써, 제2 치주 처리 작용부(40)의 단부 영역의 모양은 도 5의 (A) 내지 (C)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거꾸로 떨어지는 눈물방울 형상으로 샤프닝(sharpening)된 모양, V자 모양 또는 U자 모양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부가 끝나는 위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4시가 될 필요는 없고, 4시보다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한편, 3시 위치에서 9시 위치까지의 길이는 17 mm 전후, 12시 위치부터 6시 위치까지의 길이는 15 mm 전후의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과 치료실에는 치아(1, 도 3 참조)와 치아(1) 주위 연조직 및 경조직의 치료나 위생관리를 위해 이물질이나 병변 물질 제거를 위한 삽과 같은 기구를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각도에서 다양한 형태의 병변이나 그 주위 조직에 접근을 용이하게 하면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의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10), 즉 '징(Jeeng)'은 그 작용부(30,40)의 양 단부가 거꾸로 떨어지는 눈물방울, 새의 부리와 같은 형상과 같이 다양한 샤프닝(Sharpening)으로 구현될 수 있다.
기존 치과 치주치료용 기구들은, 구강 내 복잡한 치아 구조물에 접근하기 어렵고, 복잡한 샤프닝(Sharpening)을 가지기 때문에 전문적인 관리 용구가 필요하다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초기, 중기, 말기, 치주 강도에 따른 다양한 접근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10)는 다음과 같은 기대 효용성을 가진다. 즉, 본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10)는 기본 기구의 중간 단계 샤프닝(Sharpening)으로 고도의 기대효용성을 가진다.
또한 규모가 단순하여 한두 개의 도구로 광범위한 여러 증세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거꾸로 떨어지는 눈물방울 또는 새의 부리와 같은 샤프닝(Sharpening)은 그 정도나 깊이에 따라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10)의 끝단 1/3 부위에서 송곳 아닌 삽의 기능으로 치아 주위의 위생관리에 효용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치은(4) 연상 또는 치은(4) 연하에 잔존 가능한 치석(plaque) 제거, 치은4) 연하에 잔존 가능한 시멘트(cement) 제거, 초음파 스케일링 후, 잔여 치석 제거 및 과민증 환자에 대한 초기 경화단계의 치석 제거 등의 용도로 사용되기에 충분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10)는, 심장질환, 당뇨, 고혈압 등 적극적 치주 처치가 곤란한 환자의 관리적 치주 처치 가능할 뿐만 아니라 관헐적 치주 처치가 어려운 환자의 치주 컨트롤이, 과도한 출 혈(bleeding)이 우려되는 환자의 1차적인 치주 컨트롤이, 과민 반응의 치아 및 치주 조직에 세밀한 치은 염증 치료가, 현존하는 익스플로러와 같은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의 크기로 인해 접근이 어려운 좁고 깊은 치주낭에 접근이 가능하고 치료가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의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10)는 실질적으로 종래기술과는 달리 새로이 개발된 기구임에 분명하다. 하지만, 기구적인 특성이나 기계적 강도, 사용자들의 손 감각 유지를 위해 가급적이면 기존의 익스플로러로부터 개선된 부분만을 극도로 변형, 보강하는 것이 적응하기에 바람직할 것으로 본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구조 개선으로 인해 작용부의 단부가 구강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각도에서의 접근이 용이하며, 치주 등의 진단 목적 외에도 치주염의 치료 등과 같은 치료 목적에도 사용될 수 있어 하나의 도구로서 진단 및 치료를 병행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치아 관리를 위해 보다 효율적이고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손잡이부(20)의 양단에 각각 제1 및 제2 치주 처리 작용부(30,40)가 마련된 것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하지만, 도 6과 같이,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10a)는 손잡이부(20)에 대해 제1 치주 처리 작용부(30)만이 단독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도 7과 같이, 효용성을 가진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10b)는 손잡이부(20)에 대해 제2 치주 처리 작용부(40)만이 단독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과 같은 형태일 지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설명된 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개시된 내용을 기초로 다양한 수정과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예에 의해서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할 것임을 지적해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 개선으로 인해 작용부의 단부가 구강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각도에서의 접근이 용이하며, 치주 등의 진단 목적 외에도 치주염의 치료 등과 같은 치료 목적에도 사용될 수 있어 하나의 도구로서 진단 및 치료를 병행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치아 관리를 위해 보다 효율적이고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막대 형상의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을 형성하되 전체적으로 말발굽 형태를 따라 구부러진 곡선 형상을 갖는 제1 치주 처리 작용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을 형성하되 일직선이 꺾일 때 형성되는 절곡점이 적어도 2군데 이상 형성되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며, 외곽을 연결하는 가상의 원이 상기 제1 치주 처리 작용부의 전체 형상을 이루는 가상의 원 내에 내접하는 제2 치주 처리 작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치주 처리 작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 영역은 거꾸로 떨어지는 눈물방울 형상으로 샤프닝(sharpening)된 모양, V자 모양 또는 U자 모양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모양으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치주 처리 작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일측 표면으로부터 함몰되게 가공된 삽기능 홈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기능 홈부는 상기 거꾸로 떨어지는 눈물방울 형상으로 샤프닝(sharpening)된 모양, V자 모양 또는 U자 모양에 각각 대응되는 모양을 가지며,
    상기 제1 치주 처리 작용부에, 상기 제1 치주 처리 작용부의 전체 형상을 이루는 가상의 원을 작성하고 상기 가상의 원에 등간격으로 분할된 12시간을 표시할 경우, 상기 삽기능 홈부의 내면 절단면은 9시 방향으로부터 7시 방향으로 갈수록 그 내면 절단면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치주 처리 작용부에, 상기 제1 치주 처리 작용부의 전체 형상을 이루는 가상의 원을 작성하고 상기 가상의 원에 등간격으로 분할된 12시간을 표시할 경우,
    상기 제1 치주 처리 작용부의 단부는 상기 12시간 중에서 6시 내지 8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상기 제1 치주 처리 작용부의 제1 네크부(neck)는 상기 12시간 중에서 3시 내지 5시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꾸로 떨어지는 눈물방울 형상으로 샤프닝(sharpening)된 모양이 끝나는 7시의 위치와, 상기 제1 네크부에 대응되는 3시의 위치는 좌우상하로 설계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치주 처리 작용부에, 상기 제2 치주 처리 작용부의 전체 형상을 이루는 가상의 원을 작성하고 상기 가상의 원에 등간격으로 분할된 12시간을 표시할 경우,
    상기 절곡점은, 상기 12시간 중에서 10시 내지 12시 사이, 그리고 2시 내지 4시 사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상기 제2 치주 처리 작용부의 제2 네크부(neck)는 상기 12시간 중에서 8시 내지 10시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상기 제1 및 제2 치주 처리 작용부는 티타늄(Ti)이나 혹은 티타늄(Ti) 합금, 강화 세라믹,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중에서 선택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
  9. 막대 형상의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어느 일단을 형성하되 전체적으로 말발굽 형태를 따라 구부러진 곡선 형상을 갖는 치주 처리 작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치주 처리 작용부의 단부 영역은 거꾸로 떨어지는 눈물방울 형상으로 샤프닝(sharpening)된 모양, V자 모양 또는 U자 모양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모양으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
  10. 막대 형상의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어느 일단을 형성하되 일직선이 꺾일 때 형성되는 절곡점이 적어도 2군데 이상 형성되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치주 처리 작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치주 처리 작용부의 단부 영역은 거꾸로 떨어지는 눈물방울 형상으로 샤프닝(sharpening)된 모양, V자 모양 또는 U자 모양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모양으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
KR1020070017707A 2007-02-22 2007-02-22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 KR100853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707A KR100853476B1 (ko) 2007-02-22 2007-02-22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707A KR100853476B1 (ko) 2007-02-22 2007-02-22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3476B1 true KR100853476B1 (ko) 2008-08-21

Family

ID=39878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707A KR100853476B1 (ko) 2007-02-22 2007-02-22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347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7164A1 (ko) * 2009-03-20 2010-09-23 주식회사 쎄타텍 치과 임플란트용 스케일러 팁 및 그 제조방법
KR101292192B1 (ko) 2012-03-21 2013-08-01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
KR101387562B1 (ko) * 2009-12-10 2014-04-23 유겐가이샤 시에스타 초음파 스케일러 팁
WO2017018853A1 (ko) * 2015-07-30 2017-02-02 주식회사 제노스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KR20220080396A (ko) 2020-12-07 2022-06-14 김정희 의료 부속품용 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9713A (en) 1985-07-25 1988-07-26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Disposable dental tool
US5127833A (en) 1990-01-26 1992-07-07 Kline Joseph M Dental scalers and curettes having improved cutting blade and shank configurations
WO2004017618A1 (de) * 2002-07-23 2004-02-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und verfahren zur migration von teilnehmern eines kommunikationsnetzes von einer ersten vermittlungseinrichtung zu einer zweiten vermittlungseinrichtung
US20050026105A1 (en) 2003-07-30 2005-02-03 Colgate-Palmolive Company. Dental instru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9713A (en) 1985-07-25 1988-07-26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Disposable dental tool
US5127833A (en) 1990-01-26 1992-07-07 Kline Joseph M Dental scalers and curettes having improved cutting blade and shank configurations
WO2004017618A1 (de) * 2002-07-23 2004-02-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und verfahren zur migration von teilnehmern eines kommunikationsnetzes von einer ersten vermittlungseinrichtung zu einer zweiten vermittlungseinrichtung
US20050026105A1 (en) 2003-07-30 2005-02-03 Colgate-Palmolive Company. Dental instrumen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7164A1 (ko) * 2009-03-20 2010-09-23 주식회사 쎄타텍 치과 임플란트용 스케일러 팁 및 그 제조방법
CN102333499B (zh) * 2009-03-20 2014-05-21 赛搭泰克公司 牙科植牙用洁牙机钩针及其制造方法
KR101387562B1 (ko) * 2009-12-10 2014-04-23 유겐가이샤 시에스타 초음파 스케일러 팁
KR101292192B1 (ko) 2012-03-21 2013-08-01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
WO2017018853A1 (ko) * 2015-07-30 2017-02-02 주식회사 제노스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KR20220080396A (ko) 2020-12-07 2022-06-14 김정희 의료 부속품용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6245B2 (en) Methods for cleaning and shaping asymmetrical root canals in an anatomical fashion
Chang et al. Implant supported single‐tooth replacements compared to contralateral natural teeth. Crown and soft tissue dimensions.
US7249948B2 (en) Ergonomic dental instruments for small hands
US20160074135A1 (en) Adjustable dental hand instrument
JP4485037B2 (ja) 歯科用ダイヤモンドバー
US6217335B1 (en) Endodontic systems and methods for the anatomicall, sectional and progressive corono-apical preparation of root canals with minimal apical intrusion
US5913682A (en) Plaque removing tool
KR101501954B1 (ko) 치주 수술용 견인기
Croll Emergence profiles in natural tooth contour. Part II: clinical considerations
KR100853476B1 (ko)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
US20080076089A1 (en) Non-metallic dental scaler
Thakkar et al. Advances in rotary endodontics in pediatric dentistry
US6012921A (en) Endodontic systems for the anatomical, sectional and progressive corono-apical preparation of root canals with three sets of dedicated instruments
Niemiec Extraction techniques
US5674074A (en) Periodontal procedure
US6042375A (en) Endodontic systems for progressively, sectionally and anatomically preparing root canals with specific instruments for each section having predetermined working lengths
US20100248185A1 (en) Dental pin and use thereof
EP3482712A1 (en) Device with millimetric grading for osteotomy
US20190038379A1 (en) Dental retractor
Pretzl Anatomy of Multi‐rooted Teeth and Aetiopathogenesis of the Furcation Defect
Marshall Principles and practice of operative dentistry
RU155559U1 (ru) Насадка инструмента для обработки фуркационной области моляров
RU201626U1 (ru) Укладчик ретракционной нити
CN220988953U (zh) 牙周内窥镜探针头
Ide et al. Procedures in Periodon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