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3275B1 - Thin film entertainment system - Google Patents

Thin film entertain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3275B1
KR100853275B1 KR1020070003026A KR20070003026A KR100853275B1 KR 100853275 B1 KR100853275 B1 KR 100853275B1 KR 1020070003026 A KR1020070003026 A KR 1020070003026A KR 20070003026 A KR20070003026 A KR 20070003026A KR 100853275 B1 KR100853275 B1 KR 100853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output
substrate
printing
thin film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30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65850A (en
Inventor
이택민
신동윤
김충환
조정대
김동수
최병오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03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3275B1/en
Publication of KR20080065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8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2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 B67D1/000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박막의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차례로 하부전극과 유전체층 및 EL층과 상부전극을 적층 인쇄하여 형성되는 EL픽셀의 다수 배열에 의해 마련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기판 상에 차례로 적층된 하측전극과 압전필름 및 상측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출력부와; 미리 입력된 시각적 정보에 대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EL픽셀들을 선택적으로 발광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제어기와, 미리 입력된 청각적 정보에 대한 전기적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출력부로 전달하여 상기 음향출력부의 음향 출력을 제어하는 음향출력제어기와, 상기 디스플레이제어기 및 음향출력제어기를 갖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ertainment system, comprising: a thin film substrate; A display unit provided by a plurality of arrays of EL pixels formed by sequentially laminating and printing a lower electrode, a dielectric layer, and an EL layer and an upper electrode on the substrate; At least one sound output unit formed by a lower electrode, a piezoelectric film, and an upper electrod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substrate; A display controller for selectively emitting and controlling the EL pixels of the display unit so as to correspond to the previously input visual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sound output of the sound output unit by transferring an electric sound signal for the previously input auditory information to the sound output unit. And a controller having the sound output controller and the display controller and the sound output controller.

이에 의하여, 제품의 두께를 현격하게 박막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설치성 및 휴대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박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이 제공된다. As a result, the thickness of the product can be realized in a thin film, and a thin film entertainment system that can significantly improve installation and portability is provided.

EL,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음향, 압전필름, 유전체 EL, Entertainment, Display, Acoustic, Piezoelectric Film, Dielectric

Description

박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Thin film entertainment system}Thin film entertainment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박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n film entertain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은 도 1의 디스플레이부 EL픽셀의 확대단면도,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pixel EL pixel of FIG. 1;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디스플레이부 EL픽셀의 다른 예를 나타낸 확대단면도,3 to 6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display unit EL pixel of FIG. 1;

도 7은 도 1의 음향출력부의 확대단면도.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und output unit of FIG. 1;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박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제조공정 중 프린팅 방법과 경화방법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8 is a view briefly showing a printing method and a curing metho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thin film entertain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기판 20 : 디스플레이부10: substrate 20: display unit

21 : EL픽셀 31 : 하부전극21 EL pixel 31 Lower electrode

32 : 보강층 35 : EL층32: reinforcement layer 35: EL layer

36 : 상부전극 37 : 보호층 36: upper electrode 37: protective layer

40 : 음향출력부 43 : 압전필름40: sound output unit 43: piezoelectric film

50 : 제어부50: control unit

본 발명은, 박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in film entertainment system.

일반적으로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은 문자나 그림 등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디스플레부와 각종 소리 등을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음향출력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음향출력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다. In general, the entertainment system includes a display unit for visually delivering a text or a picture to a user, an audio output unit for audibly delivering various sounds to the us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display unit and the audio output unit. Doing.

이러한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이 적용되는 분야의 예를 들어 보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학습 내용이 표시되고, 음향출력부를 통해 해당 학습 내용이 음성 등의 소리로 출력되는 어학 학습기 등의 학습기기 분야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광고문구가 표시되고, 음향출력부를 통해 광고음성이 출력되는 광고기기 등을 꼽을 수 있다. 물론, 이 외에도 시각 및 청각적 효과를 이용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은 널리 이용되고 있다.Examples of the field to which such an entertainment system is applied include a field of learning apparatus such as a language learner, in which learning contents are displayed through a display unit, and corresponding learning contents are output as sounds such as a voice through a sound output unit; Advertising text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an advertisement device for outputting advertisement voice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may be used. Of course, the entertainment system is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using visual and auditory effects.

그러나, 이러한 종래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하는 액정 및 광원 등의 부품 및 음향출력부를 구성하는 스피커의 진동판 및 엔크로저 등의 부품들에 의해서 제품의 두께를 슬림화 하는데 한계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entertainment system,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product is limited by components such as a liquid crystal and a light source constituting the display unit and components such as a diaphragm and an enclosure of a speaker constituting the audio output unit. .

이에 의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설치공간 확보나 휴대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As a result, a problem arises in that there are many restrictions in securing or carrying an installation system.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의 두께를 현격하게 박막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설치성 및 휴대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박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in film entertainment system that can realize the thickness of the product significantly thin film, and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installation and portability.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 있어서, 박막의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차례로 하부전극과 유전체층 및 EL층과 상부전극을 적층 인쇄하여 형성되는 EL픽셀의 다수 배열에 의해 마련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기판 상에 차례로 적층된 하측전극과 압전필름 및 상측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출력부와; 미리 입력된 시각적 정보에 대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EL픽셀들을 선택적으로 발광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제어기와, 미리 입력된 청각적 정보에 대한 전기적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출력부로 전달하여 상기 음향출력부의 음향 출력을 제어하는 음향출력제어기와, 상기 디스플레이제어기 및 음향출력제어기를 갖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ntertainment system comprising: a thin film substrate; A display unit provided by a plurality of arrays of EL pixels formed by sequentially laminating and printing a lower electrode, a dielectric layer, and an EL layer and an upper electrode on the substrate; At least one sound output unit formed by a lower electrode, a piezoelectric film, and an upper electrod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substrate; A display controller for selectively emitting and controlling the EL pixels of the display unit so as to correspond to the previously input visual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sound output of the sound output unit by transferring an electric sound signal for the previously input auditory information to the sound output unit. It is achieved by a thin film entertainment system comprising a sound output controller and a control unit having the display controller and the sound output controller.

여기서, 상기 기판의 재질은 종이, 라벨지, 코팅지, 라미네이트지, 섬유, 합성수지 시트와, 유기재질, 무기재질, 유무기 복합재질, 금속재질이나 유리, 가시광선에 대해 반사성 또는 투과성을 갖는 재질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material of the substrate is paper, label paper, coated paper, laminated paper, fiber, synthetic resin sheet, 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 organic-inorganic composite material, metal material or glass, material having a reflective or transmissive to visible light It is preferable to provide one.

그리고, 상기 EL픽셀을 형성하는 상기 하부전극과 유전체층 및 EL층과 상부전극은 패드 프린팅, 스크린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 그라비어 프린팅, 플렉소 프린팅 방법 중 어느 하나의 프린팅 방법에 의해 적층 인쇄되거나; 상기 패드 프린팅, 스크린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 그라비어 프린팅, 플렉소 프린팅 방법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적층 인쇄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므로, 특정 프린팅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취지가 훼손되지 않는다. And the lower electrode, the dielectric layer and the EL layer and the upper electrode forming the EL pixel are laminated or printed by any one of pad printing, screen printing, inkjet printing, gravure printing, and flexographic printing; The pad printing, screen printing, inkjet printing, gravure printing, flexographic printing using a combination method is effective to be laminated. Therefo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aired by the specific printing method.

또한, 상기 기판 상에는 수지재의 보강층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층 상에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음향추력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reinforcement layer of a resin material is formed on the substrate, and a display unit and the sound thrust unit are formed on the reinforcement layer.

더불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전극과 상기 음향출력부의 상측전극 상에는 수지재의 보호층이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In addition, it is effective to form a protective layer of a resin material on the upper electrode of the display unit and the upper electrode of the sound output unit.

그리고, 상기 기판은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전극은 전도성 투명 잉크재료에 의해 투명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bstrate is made of a light transmissive material, and the lower electrode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by a conductive transparent ink material.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상부전극 및 하부전극과, 상기 음향출력부의 상측전극 및 하측전극으로부터 상기 기판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정렬되는 버스전극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of the display uni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bus electrode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substrate from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of the sound output unit.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제어기 및 음향출력제어기를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음향출력부의 상기 버스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수단을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is effective to have a connecting mean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display controller and the sound output controller with the bus electrode of the display unit and the sound output unit, respectively.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박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부 EL픽셀의 확대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박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1)은 박막의 기판(10)과, 기판(10) 상에 마 련되어 시각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0)와, 기판(10) 상에 마련되어 청각적 정보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40)와, 디스플레이부(20)와 음향출력부(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n film entertain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 pixel of the display unit of FIG.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thin film entertainment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in film substrate 10, a display unit 20 for displaying visual information on the substrate 10, and a substrate ( And a control unit 5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isplay unit 20 and the sound output unit 40 to output audio information.

기판(10)은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종이나 라벨지, 종이에 코팅, 라미네이션 등의 처리를 행한 코팅지나 라미네이트지 등을 포함하여 섬유나 합성수지 재질 등의 유기재질, 혹은 무기재질, 혹은 유무기 복합재질 등의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금속재질이나 유리 및 필요에 따라서 가시광선에 대해 반사성이 높거나 혹은 투과성이 좋은 재질 등으로 본 발명의 취지를 훼손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재질의 기판(10)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ITO 혹은 투명 전도성 잉크 혹은 투명 카본나노튜브 잉크 등의 다양한 전도성 재료가 하부전극으로써 이미 코팅된 박막 기판(10)이 마련될 수도 있다. The substrate 1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For example, an organic material such as a fiber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n inorganic material, such as a paper or a label, a coated paper or a laminated paper which is subjected to a coating, a lamination, or the like, may be used. It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materials or organic-inorganic composite materials, and may be made of metal or glass and, if necessary,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high reflectivity or visible transparency to visible light. In may be provided as a substrate 10 of various materials. In addition, the thin film substrate 10 may be provided in which various conductive materials such as ITO, transparent conductive ink, or transparent carbon nanotube ink are already coated as the lower electrode.

디스플레이부(20)는 기판(10)의 일영역에 인쇄되는 다수의 EL픽셀(21)들에 의해 형성되며, EL픽셀(21)들은 제어부(50)의 구동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발광하여 소정의 시각적 정보를 표시한다. 각 EL픽셀(21)들은 하부전극(31)과 유전체층(33) 및 EL층(35)과 상부전극(36)이 기판(10) 상에 박막의 형태로 차례로 적층 인쇄된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이들 각 적층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The display unit 20 is formed by a plurality of EL pixels 21 printed on one region of the substrate 10, and the EL pixels 21 selectively emit light by driving control of the controller 50. Display visual information. Each of the EL pixels 21 has a structure in which a lower electrode 31, a dielectric layer 33, and an EL layer 35 and an upper electrode 36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printed on a substrate 10 in the form of a thin film. Look at each laminated structure in more detail.

하부전극(31)과 상부전극(36)은 전도성을 갖는 미립자의 은으로 이루어진 전 도성 잉크재료에 의해 형성되거나, 이외에도 도전성을 갖는 금, 아연, 그래파이트, 구리, ITO, 카본, 카본나노튜브, 전도성 폴리머 등과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투명 혹은 반투명 혹은 불투명 혹은 반사성이 높은 전도성 잉크재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전극(31) 및 상부전극(36)의 잉크재료에는 UV경화성 광개시제를 파장대에 맞게 포함하여 하부전극(31) 및 상부전극(36)이 비교적 저온의 UV경화방법에 의해 경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하부전극(31)과 상부전극(36)은 기판(10)의 재질에 따라서 자연경화 방법이나 열경화 방법 등 경화온도에 의해 기판(10)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경화방법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이들 하부전극(31)과 상부전극(36)은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lower electrode 31 and the upper electrode 36 are formed of a conductive ink material made of silver of conductive fine particles, or in addition to conductive gold, zinc, graphite, copper, ITO, carbon, carbon nanotube, and conductive material. It may be formed by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or opaque or highly reflective conductive ink material made of a polymer or the like or a combination thereof. At this time, the ink material of the lower electrode 31 and the upper electrode 36 includes a UV-curable photoinitiator in accordance with the wavelength band so that the lower electrode 31 and the upper electrode 36 can be cured by a relatively low-temperature UV curing method. It is desirable to. Of course, the lower electrode 31 and the upper electrode 36 are cured by various curing methods in a range in which the substrate 10 is not damaged by a curing temperature such as a natural curing method or a thermal curing method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substrate 10. Can be. These lower electrodes 31 and the upper electrode 36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50.

또한, 하부전극(31)과 기판(10) 사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층(32)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 보강층(32)은 기판(10)이 종이 등의 흡수성 재료로 마련될 때, 각 적층 구조를 형성하는 잉크재료가 기판(10)으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과, 기판(10)과 하부전극(31) 등의 잉크재료 간의 적층 성능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보강층(32)은 후술할 EL층(35)으로부터 발생한 기시광선 영역의 빛을 투과 혹은 반사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EL픽셀(21) 특성의 열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a reinforcement layer 32 may be formed between the lower electrode 31 and the substrate 10. The reinforcement layer 32 may include the substrate 10 made of an absorbent material such as paper. In this case, it is to prevent the ink material forming each stack structure from being absorbed into the substrate 10 and to reinforce the stacking performance between the ink material such as the substrate 10 and the lower electrode 31. In addition, the reinforcing layer 32 may play a role of transmitting or reflecting light in an initial light ray region generated from the EL layer 35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also serv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EL pixel 21. .

더불어, 상부전극(36)의 상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EL픽셀(21)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37)이 적층될 수 있다. 이 보호층(37)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등에 의해 상부전극(36)을 포함한 EL픽셀(21)의 각 적층 구조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절할 강도를 갖는 투명 혹은 반투명 혹은 불투명 수지재를 이용하여 적층 인쇄하거나, 코팅 혹은 라미네이션 등의 방식으로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취지를 훼손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보호층(37)의 패터닝 방식이 포함된다. In addition, a protective layer 37 for protecting the EL pixel 21 can be stacked on the upper electrode 36 as shown in FIG. The protective layer 37 is for protecting each laminated structure of the EL pixel 21 including the upper electrode 36 by an impact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using a transparent, translucent or opaque resin material having an appropriate strength. Patterning methods for various protective layers 37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not impair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ose that are laminated or printed, or provided by coating or lamination.

또한, 이러한 보호층(37)은 EL픽셀(21)의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자체적으로 다양한 색깔의 가지고 있거나, 광을 다양하게 변조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EL픽셀(21)의 발광을 다양한 형태로 표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보호층(37)은 단층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으며, 다층으로 적층하는 구성 등 본 발명의 취지를 훼손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ective layer 37 not only prevents the EL pixel 21 from being damaged, but also has a function of being capable of variously modulating light or having various colors on its own, so that the EL pixel 21 emits light. It can also be express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the protective layer 37 may be formed of a single layer, and may be applied in various forms 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a configuration of stacking in multiple layers.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EL픽셀(21)은 하부전극(31)과 상부전극(36)으로부터 기판(10)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스전극(38)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버스전극(38)은 전술한 하부전극(31)(21) 및 상부전극(36)(26)과 마찬가지로 전도성을 갖는 미립자의 은으로 이루어진 전도성 잉크재료에 의해 형성되거나, 이외에도 도전성을 갖는 금, 아연, 그래파이트, 구리, ITO, 카본, 카본나노튜브, 전도성 폴리머 등과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투명 혹은 반투명 혹은 불투명 혹은 반사성이 높은 전도성 잉크재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EL pixel 21 extends from the lower electrode 31 and the upper electrode 36 to one side of the substrate 1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bus electrode 38 is formed of a conductive ink material made of silver of conductive fine particles, like the lower electrodes 31 and 21 and the upper electrodes 36 and 26 described above. It may be formed by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or opaque or highly reflective conductive ink material composed of zinc, graphite, copper, ITO, carbon, carbon nanotubes, conductive polymer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각 EL픽셀(21)의 버스전극(38)들은 기판(10)의 일측에 일렬로 정렬되어 후술할 제어부(50)의 접속수단(55)에 삽입 등의 방법으로 접속되도록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0)와 제어부(50)의 전기적인 연결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bus electrodes 38 of each EL pixel 21 are preferably arranged in one line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1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ans 55 of the controller 50 to be described later by inserting or the like. Do. As a result,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20 and the controller 50 may be easily perform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박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기판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기판(10)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부전극(31) 역시 투명전극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6, the substrate of the thin film entertain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as a transparent substrate 10, and the lower electrode 31 may also have a structure stacked with transparent electrodes.

이는 디스플레이부의 빛이 기판의 후면이나 전후면 양측으로 발광하는 박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구현할 경우를 고려한 것으로서, 이때, 상부전극(36)은 경우에 따라 투명 또는 반투명, 불투명전극으로 마련되어 디스플레이부의 빛이 후면 또는 전후면으로 발광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This is considered in the case of implementing a thin film entertainment system in which the light of the display unit emits light to both sides of the back or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ubstrate. In this case, the upper electrode 36 may be formed as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and opaque electrode. Light emission can be made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유전체층(33)은 티탄산바륨으로 이루어진 잉크재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이 유전체층(33)의 잉크재료에도 역시 UV경화성 광개시제를 파장대에 맞게 포함하여 비교적 저온의 UV경화방법에 의해 유전체층(33)이 경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유전체층(33) 역시 자연경화 방법이나 열경화 방법 등 경화온도에 의해 기판(10)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경화방법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그리고, 유전체층(33)의 재료 역시 티탄산바륨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취지를 훼손하지 않는 이상 유전체 역할을 하는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유전체층(33)에는 상부전극(36) 및 하부전극(31)으로 전류가 흐르면 전하가 분포된다. The dielectric layer 33 may be formed of an ink material made of barium titanate. In this case, the ink material of the dielectric layer 33 may also include a UV-curable photoinitiator in accordance with the wavelength band, and the dielectric layer 33 may be formed by a relatively low-temperature UV curing method. It is desirable to allow) to be cured. Of course, the dielectric layer 33 may also be cured by various curing methods in a range that does not damage the substrate 10 by a curing temperature such as a natural curing method or a thermal curing method.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dielectric layer 33 may also use a variety of materials serving as a dielectric as long as it does not impair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barium titanate. In this dielectric layer 33, electric charges are distributed when current flows to the upper electrode 36 and the lower electrode 31.

EL층(35)은 루미네선스 잉크재료에 의해 형성되면서 잉크재료에 역시, UV경화성 광개시제가 파장대에 맞게 포함되어 있다. 이에 의해, 비교적 저온의 UV경화에 의해 EL층(35)이 경화될 수 있다. 물론, EL층(35) 역시 자연경화 방법이나 열경화 방법 등 경화온도에 의해 기판(10)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경화방법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이 EL층(35)은 상하부전극(31)층으로 흐르는 전류에 의해 유전체층(33)에 전하가 분포되면 발광하게 된다. The EL layer 35 is formed of a luminescence ink material, and the UV material also includes a UV-curable photoinitiator in accordance with the wavelength band. By this, the EL layer 35 can be cured by relatively low temperature UV curing. Of course, the EL layer 35 can also be cured by various curing methods in a range that does not damage the substrate 10 by the curing temperature such as a natural curing method or a thermal curing method. The EL layer 35 emits light when electric charges are distributed in the dielectric layer 33 by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 31 layers.

이러한 적층구조를 갖는 EL픽셀(21)은 하부전극(31)과 유전체층(33) 및 EL층(35)과 상부전극(36) 등의 각 적층구조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 프린팅(P1), 스크린 프린팅(P2), 잉크젯 프린팅(P3), 그라비어 프린팅(P4), 플렉소 프린팅(P5)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프린팅 방법으로 기판(10)에 적층 인쇄되면서 UV경화(H01) 또는 열경화(H02)나 자연경화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As for the EL pixel 21 having such a laminated structure, each laminated structure such as the lower electrode 31, the dielectric layer 33, the EL layer 35, the upper electrode 36, and the like is shown in FIG. P1), screen printing (P2), inkjet printing (P3), gravure printing (P4), flexographic printing (P5) by at least one of the printing method to be laminated on the substrate 10 while UV curing (H01) or It may be formed by thermal curing (H02) or natural curing.

또는, EL픽셀(21)은 패드 프린팅(P1), 스크린 프린팅(P2), 잉크젯 프린팅(P3), 그라비어 프린팅(P4), 플렉소 프린팅(P5) 방법들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기판(10)에 적층 인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적층 구조를 해당 적층구조의 잉크재료를 이용하여 박막으로 인쇄함으로써 기판(10)상에 다수의 박막 EL픽셀(21)에 의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20)를 마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EL pixel 21 is laminated on the substrate 10 using a combination of pad printing (P1), screen printing (P2), inkjet printing (P3), gravure printing (P4), and flexo printing (P5). Can be printed. Thereby, the display portion 20 formed by the plurality of thin film EL pixels 21 on the substrate 10 can be provided by printing each laminated structure in a thin film using the ink material of the laminated structure.

물론, EL픽셀(21)의 프린팅방법은 전술한 프린팅 방법 이외의 본 발명의 취지를 훼손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프린팅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Of course, the printing method of the EL pixel 21 can use various printing methods in the range which does not impair the meaning of this invention other than the above-mentioned printing method.

한편, 음향출력부(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와 인접한 기판(10) 상에 하측전극(41)과 압전필름(43) 및 상측전극(45)을 차례로 적층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7, the sound output unit 40 sequentially stacks the lower electrode 41, the piezoelectric film 43, and the upper electrode 45 on the substrate 10 adjacent to the display unit 20. It has a structure.

이때, 하측전극(41)과 상측전극(45)은 디스플레이부(20)의 하부전극(31) 및 상부전극(36)과 마찬가지로 전도성을 갖는 미립자의 은으로 이루어진 전도성 잉크재료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전도성을 갖는 금, 아연, 그래파이트, 구리, ITO, 카본, 카본나노튜브 등과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전도성 잉크재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하측전극(41)의 잉크재료에는 UV경화성 광개시제를 파장대에 맞게 포함하여 UV경화(H1) 또는 열경화(H2) 등에 의해 경화되도록 하거나, UV광개시제를 포함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연경화 등의 방법으로 경화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lower electrode 41 and the upper electrode 45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ink material made of silver of conductive fine particles, similar to the lower electrode 31 and the upper electrode 36 of the display unit 20. In addition, it may be formed by a conductive ink material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gold, zinc, graphite, copper, ITO, carbon, carbon nanotubes, and the like having a conductivity. In addition, the ink material of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41 includes a UV-curable photoinitiator in accordance with the wavelength band so as to be cured by UV curing (H1) or thermal curing (H2) or the like, or in the state of not including the UV photoinitiator, such as natural curing. It may be cured by a method.

또한, 디스플레이부(20)와 마찬가지로 하측전극(41)과 기판(10) 사이에 보강층(미도시)을 형성하여 기판(10)이 종이 등의 흡수성 재료로 마련될 때, 각 하측전극(41)의 잉크재료가 기판(10)으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기판(10)과 하측전극(41)의 잉크재료 간 적층 성능을 보강할 수 있다. In addition, similar to the display unit 20, when the substrate 10 is formed of an absorbent material such as paper, a lower reinforcing layer (not shown)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lectrode 41 and the substrate 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bsorbed into the substrate 10 and the lamination performance between the ink material of the substrate 10 and the lower electrode 41 can be enhanced.

더불어, 상측전극(45)의 상부에도 디스플레이부(20)와 마찬가지로 음향출력부(40)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미도시)이 적층될 수 있다. 이 보호층 역시, 적절할 강도를 갖는 투명 혹은 반투명 혹은 불투명 수지재를 이용하여 적층 인쇄하거나, 코팅 혹은 라미네이션 등의 방식으로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취지 를 훼손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패터닝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rotective layer (not shown) for protecting the sound output unit 40 may be stacked on the upper electrode 45 like the display unit 20. The protective layer is also formed by various patterning methods 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lamination printing using a transparent, translucent or opaque resin material having appropriate strength, or provided by a method such as coating or lamination. Can be.

이들 하측전극(41)과 상측전극(45)은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하측전극(41)과 상측전극(45)을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부(20)와 마찬가지로 도 1과 같이, 양 전극으로부터 기판(10)의 일영역으로 연장된 버스전극(48)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wer electrode 41 and the upper electrode 45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50. At this time,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lower electrode 41 and the upper electrode 45 to the controller 50, as in the display unit 20, as shown in FIG. 1, a bus extending from one electrode to one region of the substrate 10. Preferably, the electrode 48 is provided.

압전필름(43)은 피에조필름 등의 소정의 전기적신호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필름으로 마련되며, 하측전극(41)과 상측전극(45) 사이에 개재되어 제어부(50)로부터 양 전극으로 전달되는 전기적 음향 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작용에 의해 음향을 출력시킨다.The piezoelectric film 43 is provided as a film that generates vibration by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such as a piezo film,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electrode 41 and the upper electrode 45 to be transferred from the controller 50 to both electrodes. The sound is output by vibrating act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 sound signal.

여기서, 음향출력부(40)를 구현하는 또다른 방법으로는, 하측전극(41)과 압전필름(43) 및 상측전극(45)을 먼저 만들고, 기판(10)상에 부착하는 방법이 있다. 압전 필름(43)의 양면에 금속전극을 스퍼터링하여 만들거나, 압전 필름(43)의 양면에 전도성 잉크를 프린팅하여, 하측전극(41)과 압전필름(43) 및 상측전극(45)을 먼저 만든 후에, 기판(10)상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거나, 그 위에 보강층을 프린팅하거나, 코팅하거나, 라미네이션하여 부착하는 방법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도 7과 같은 음향 출력부(40)를 구현할 수 있다.Here, as another method for implementing the sound output unit 40, there is a method of making the lower electrode 41, the piezoelectric film 43 and the upper electrode 45 first, and attaching on the substrate 10. Metal electrodes are sputtered on both surfaces of the piezoelectric film 43 or conductive ink is printed on both sides of the piezoelectric film 43 to make the lower electrode 41, the piezoelectric film 43, and the upper electrode 45 first. Thereafter, there is a method of attaching the substrate 10 using an adhesive, or printing a reinforcing layer thereon, coating or laminating it on the substrate 10. As such, the sound output unit 40 as shown in FIG. 7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제어부(50)는 디스플레이부(20)의 발광작용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제어기(51)와, 음향출력부(40)의 음향출력을 제어하는 음향출력제어기(53)와, 디스플 레이제어기(51) 및 음향출력제어기(53)를 각각 디스플레이부(20)와 음향출력부(4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수단(55)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50 is a display controller 51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of the display unit 20, a sound output controller 53 for controlling the sound output of the sound output unit 40, and a display controller ( 51 and the sound output controller 53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ans 55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display unit 20 and the sound output unit 40, respectively.

디스플레이제어기(51)는 미리 입력된 시각적 정보에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부(20)의 EL픽셀(21)들을 발광시키는 것으로서, 도시하지 않은 전원공급부로부터 다수의 EL픽셀(21) 중 시각적 정보에 대응하도록 선택된 EL픽셀(21)들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해당 EL픽셀(21)들을 발광시킴으로써, 시각적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시각적 정보는 고정적인 시각적 정보를 포함하여 실시간 변화하는 유동적인 시각적 정보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EL픽셀(21)의 선택적 발광 역시 고정적이거나 유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The display controller 51 emits the EL pixels 21 of the display unit 20 so as to correspond to the previously input visual information, and is selected to correspond to the visual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EL pixels 21 from a power supply (not shown). Visual information is displayed by causing the EL pixels 21 to emit power so that the EL pixels 21 are powered. In this case, the visual information may be flexible visual information that changes in real time including the fixed visual information. Accordingly, selective light emission of the EL pixel 21 may also be fixed or fluidly changed.

그리고, 디스플레이제어기(51)는 자체적으로 시각적 정보를 입력하거나, 외부로부터 시각적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시각적 정보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동적인 스캔 형식, 능동적인 스캔형식, 1:1 On/Off 형식 등의 구동의 방식에 본 발명의 취지가 훼손되지 않는다. The display controller 51 may include visual information input means for inputting visual information by itself or visual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and includes a passive scan type, an active scan type, 1: 1 on /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aired by the driving mode such as the Off type.

음향출력제어기(53)는 미리 입력된 청각적 정보에 대한 전기적 음향신호를 음향출력부(40)로 전달함으로써, 음향출력부(40)에서 청각적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음향출력제어기(53)는 경우에 따라 음향을 증폭시키는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출력제어기(53) 역시, 자체적으로 청각적 정보를 입력하거나, 외부의 음향기기로부터 청각적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청각적 정보 입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controller 53 transmits an electric sound signal for the previously input auditory information to the sound output unit 40, so that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auditory information is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40. In this case, the sound output controller 53 may include an amplifier to amplify the sound in some cases. The sound output controller 53 may also include audio information input means for inputting audio information by itself or inputting an audio signal from an external sound device.

접속수단(55)은 제어부(50)의 디스플레이제어기(51) 및 음향출력제어기(53)를 각각 디스플레이부(20) 및 음향출력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판(10)의 일측으로 연장 정렬된 디스플레이부(20) 및 음향출력부(40)의 버스전극(38,48)들에 대응하는 접속부(57)를 가지고 있다. The connecting means 55 i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display controller 51 and the sound output controller 53 of the controller 50 to the display unit 20 and the sound output unit 40, respectively. The display unit 20 extends to one side and has a connection portion 57 corresponding to the bus electrodes 38 and 48 of the audio output portion 40.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박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1)은 디스플레이부(20)에서 시각적 정보를 발광 표시하면서 음향출력부(40)에서는 청각적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려고 하는 정보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정보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The thin-film entertainment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visually and audibly displays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a user by outputting audio information from the audio output unit 40 while displaying and displaying visual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20. It delivers information in a public way so that users can quickly and effectively recognize the information.

그 적용 예로는 디스플레이부(20)로 학습 내용이 발광 표시되고, 음향출력부(40)를 통해서는 해당 학습 내용이 음성 등의 소리로 출력되는 어학 학습기 등의 학습기기 분야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또는 디스플레이부(20)를 통해 광고문구가 발광 표시되고, 음향출력부(40)를 통해 광고음성이 출력되는 광고기기 등에 적용될 수도 있다. Application examples thereof may be applied to a field of a learning device such as a language learner in which the learning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and the corresponding learning content is output as a sound such as a voice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40; Alternatively, the advertisement text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20 and the advertisement voice may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40.

또한, 각종 판매상품의 가격을 디스플레이부(20)에서 발광표시하고 상품에 대한 정보를 음향출력부(40)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자극하는 판촉기기로 이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by displaying the price of the various sale products on the display unit 20 and outputs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40, it can be used as a promotional device to stimulate the consumer's desire to buy.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박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1)은 디스플레이정보와 음성정보의 출력을 필요로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thin-film entertainment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requiring the output of display information and voice inform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박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은 박막의 기판상에 EL픽셀을 인쇄하여 디스플레이부 역시 박막으로 형성하고, 또한 박막의 기판상에 박막의 압전필름을 이용하여 음향출력부를 형성함으로써, 시스템을 현격하게 박막으로 구현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hin film entertain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ints an EL pixel on a thin film substrate to form a display portion as a thin film, and also forms a sound output portion using a thin film piezoelectric film on the thin film substrate. It can be realized in a thin film significantly.

이에 의해, 다양한 설치 공간에 평면상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휴대시 무게 및 두께의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박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이 제공된다. As a result, a thin film entertainment system that can be installed in a variety of installation spaces in a planar manner can be free from the burden of weight and thickness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installation spac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의 두께를 현격하게 박막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설치성 및 휴대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박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이 제공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product can be realized in a thin film, a thin film entertainment system that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installation and portability is provided.

Claims (8)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 있어서, In the entertainment system, 박막의 기판과;A thin film substrate; 상기 기판 상에 차례로 하부전극과 유전체층 및 EL층과 상부전극을 적층 인쇄하여 형성되는 EL픽셀의 다수 배열에 의해 마련된 디스플레이부와;A display unit provided by a plurality of arrays of EL pixels formed by sequentially laminating and printing a lower electrode, a dielectric layer, and an EL layer and an upper electrode on the substrate; 상기 기판 상에 차례로 적층된 하측전극과 압전필름 및 상측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출력부와;At least one sound output unit formed by a lower electrode, a piezoelectric film, and an upper electrod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substrate; 미리 입력된 시각적 정보에 대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EL픽셀들을 선택적으로 발광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제어기와, 미리 입력된 청각적 정보에 대한 전기적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출력부로 전달하여 상기 음향출력부의 음향 출력을 제어하는 음향출력제어기와, 상기 디스플레이제어기 및 음향출력제어기를 갖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A display controller for selectively emitting and controlling the EL pixels of the display unit so as to correspond to the previously input visual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sound output of the sound output unit by transferring an electric sound signal for the previously input auditory information to the sound output unit. And a controller having a sound output controller and a display controller and a sound output controll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판의 재질은 종이, 라벨지, 코팅지, 라미네이트지, 섬유, 합성수지 시트와, 유기재질, 무기재질, 유무기 복합재질, 금속재질이나 유리, 가시광선에 대해 반사성 또는 투과성을 갖는 재질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The material of the substrate may be any one of paper, label paper, coated paper, laminate paper, fiber, synthetic resin sheet, 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 organic / inorganic composite material, metal material, glass, and material having reflective or transmissive light to visible light. Thin film entertain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EL픽셀을 형성하는 상기 하부전극과 유전체층 및 EL층과 상부전극은 패드 프린팅, 스크린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 그라비어 프린팅, 플렉소 프린팅 방법 중 어느 하나의 프린팅 방법에 의해 적층 인쇄되거나;The lower electrode and the dielectric layer and the EL layer and the upper electrode forming the EL pixel are laminated or printed by any one of pad printing, screen printing, inkjet printing, gravure printing, and flexographic printing; 상기 패드 프린팅, 스크린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 그라비어 프린팅, 플렉소 프린팅 방법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적층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Thin film entertain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laminated printing using a combination of the pad printing, screen printing, inkjet printing, gravure printing, flexographic printing method.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기판 상에는 수지재의 보강층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층 상에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음향추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The reinforcement layer of the resin material is formed on the substrate, the thin film entertain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portion and the sound thrust portion is formed on the reinforcement layer.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전극과 상기 음향출력부의 상측전극 상에는 수지재의 보호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A thin film entertain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protective layer of a resin material is formed on the upper electrode of the display unit and the upper electrode of the sound output unit.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기판은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전극은 전도성 투명 잉크재료에 의해 투명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조명장치.The substrate is made of a light-transmissive material, the lower electrode is an electroluminescent illumin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s a transparent electrode by a conductive transparent ink material.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상부전극 및 하부전극과, 상기 음향출력부의 상측전극 및 하측전극으로부터 상기 기판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정렬되는 버스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And an upper electrode and a lower electrode of the display unit, and bus electrodes exten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of the sound output unit to one side of the substrate.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제어기 및 음향출력제어기를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음향출력부의 상기 버스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And the control unit includes connecting mean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display controller and the audio output controller to the bus electrodes of the display unit and the audio output unit, respectively.
KR1020070003026A 2007-01-10 2007-01-10 Thin film entertainment system KR1008532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026A KR100853275B1 (en) 2007-01-10 2007-01-10 Thin film entertain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026A KR100853275B1 (en) 2007-01-10 2007-01-10 Thin film entertainmen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850A KR20080065850A (en) 2008-07-15
KR100853275B1 true KR100853275B1 (en) 2008-08-20

Family

ID=39816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3026A KR100853275B1 (en) 2007-01-10 2007-01-10 Thin film entertain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327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7140B2 (en) * 2009-03-30 2016-04-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of making a multi-touch input device for detecting touch on a curved surfa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7805A (en) * 2001-04-04 2003-01-2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Sound and vision system
KR20030089618A (en) * 2002-05-16 2003-11-22 주식회사 지에이코리아테크 Self light-emitting flexible sheet used for making signboard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7805A (en) * 2001-04-04 2003-01-2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Sound and vision system
KR20030089618A (en) * 2002-05-16 2003-11-22 주식회사 지에이코리아테크 Self light-emitting flexible sheet used for making signboard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850A (en) 200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0254B2 (en) Electronics
KR20200114915A (en) Display apparatus
US7615785B2 (en) Light emitting device
KR20190126955A (en) Display device
JP5381729B2 (en) Electro-optic device
JP2001503565A (en) Device with electroluminescent backlight
US20180269426A1 (en) Electroluminescence device
JP2023107249A (en) Display device
KR100853275B1 (en) Thin film entertainment system
JP2016090783A (en) Display panel, method of making display panel,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N201066422Y (en) Electronic paper display
US11445297B2 (en) Display device
US8300859B2 (en) Speaker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0395821Y1 (en) Advertising information board
WO2003061338A1 (en) Light exhibiting speaker
JP2016031927A (en) Stacked structure, input/outpu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tacked structure
KR101047480B1 (en) Display device using electronic ink layer
WO2010038180A2 (en) Passive matrix display
JP2015132668A (en) Light sign board and light sign board device
KR20100069890A (en) Film type advertising device
US20240165665A1 (en) Vibration apparatus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873220B1 (en) A lighting display apparatus
KR101008961B1 (en) Electronic books using electronic ink
TWI277939B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0872396B1 (en) Luminous advertisement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