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2562B1 - Hard-coated antiglare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optical devic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 Google Patents

Hard-coated antiglare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optical devic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562B1
KR100852562B1 KR1020070029982A KR20070029982A KR100852562B1 KR 100852562 B1 KR100852562 B1 KR 100852562B1 KR 1020070029982 A KR1020070029982 A KR 1020070029982A KR 20070029982 A KR20070029982 A KR 20070029982A KR 100852562 B1 KR100852562 B1 KR 100852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coat
film
glare
layer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9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97361A (en
Inventor
히로유키 다카오
다이스케 하마모토
가쓰노리 다카다
세이이치 구스모토
유이치 기무라
다카유키 시게마쓰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7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73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5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particulat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1Esters; Ether-esters of a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6Silicon- containing compou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Abstract

경도, 내찰상성 및 방현성이 우수한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은,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를 포함하고, 미립자를 함유하는 하드코팅층이 상기 투명 플라스틱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형성되며, 상기 하드코팅층은 15 내지 30㎛의 범위의 두께를 갖고, 상기 미립자는 상기 하드코팅층 두께의 30 내지 75% 범위의 중량평균 입경을 갖고, 상기 하드코팅층 표면의 요철 형상의 평균 경사각 θa가 0.4 내지 1.5도의 범위이며, 상기 하드코팅층이 특정한 3종류의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하드코팅 형성용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It provides an anti-glare hard coating film excellent in hardness, scratch resistance and anti-glare. The anti-glare hard coat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a hard coating layer containing fine particles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transparent plastic base material, the hard coating layer has a thickness in the range of 15 to 30㎛ The fine particles have a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the range of 30 to 75% of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ing layer, and the average inclination angle θ a of the uneven shape on the surface of the hard coating layer is in the range of 0.4 to 1.5 degrees, and the hard coating layer is specified in three types. It is formed using the resin for hard coat formation containing a resin component.

Description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광학 소자,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HARD-COATED ANTIGLARE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OPTICAL DEVIC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nti-glare hard coat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of anti-glare hard coating film, optical element,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HARD-COATED ANTIGLARE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OPTICAL DEVIC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도 1은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an example of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is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다른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It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other example of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is invention.

도 3은 조도 곡선, 높이 h 및 기준 길이 L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elationship between an illuminance curve, a height h, and a reference length L. FIG.

본 발명은,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광학 소자,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glare hard coat film, a method for producing an anti-glare hard coat film, an optical element, a polarizing plat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최근의 기술의 진보에 따라, 화상 표시 장치는 종래의 CRT(Cathode Ray Tube)에 더하여,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및 전기발광 디스플레이(ELD) 등이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이 중에서, LCD는 고시야각화, 고세밀화, 고속 응답성, 색재현성 등에 관한 기술 혁신에 따라, 그것을 이용하는 용도도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나 모니터로부터 텔레비전으로 변화되고 있다. LCD의 기본적인 구성은, 각각 투명 전극을 갖춘 평판상의 유리 기판을, 일정 간격의 갭이 되도록 스페이서를 통해서 대향 배치하고, 상기 유리 기판 사이에 액정 재료를 주입하고 밀봉하여 액정셀로 하고, 추가로 상기 한 쌍의 유리 기판의 외측면에 각각 편광판을 설치한 구성이다. 종래는, 상기 액정셀 표면에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커버 플레이트를 장착하여, 상기 액정셀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편광판에의 흠집 방지를 도모하였다. 그러나,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장착하면, 비용 및 중량 면에서 불리하다. 따라서, 하드코팅 처리는 점차로 상기 편광판 표면에 실시되게 되어 왔다. 상기 하드코팅 처리에는, LCD에의 광원의 반영 등의 방지를 겸하여,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With the recent advances in technology, image display apparatuses have been developed and put into practice in addition to conventional CRTs (Cathode Ray Tubes),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plasma displays (PDPs), electroluminescent displays (ELDs), and the like. Among them, LCDs have been changed from notebook personal computers and monitors to televisions according to technological innovations related to high viewing angle, high resolution, high-speed response, color reproducibility, and the like.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LCD is that the flat glass substrates each having a transparent electrode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rough spacers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gap therebetween, and a liquid crystal material is injected and sealed between the glass substrates to form a liquid crystal cell. It is the structure which provided the polarizing plate in the outer side surface of a pair of glass substrate, respectively. Conventionally, a cover plate made of glass or plastic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cell to prevent scratches on the polarizing plat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cell. However, mounting the cover plate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and weight. Therefore, hard coating treatment has gradually been per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In the hard coating process, an anti-glare hard coating film is generally used to serve as prevention of reflection of a light source on the LCD and the like.

상기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은,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 열경화성 수지나 자외선경화형 수지 등의 수지 및 미립자를 이용하여 2 내지 10㎛ 정도의 얇은 하드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하드코팅층의 표면은 상기 미립자에 의해서 요철 형상이 되고, 이에 의해 방현성(防眩性; antiglare property)이 발휘된다. 상기 수지를 유리 상에 도공하여 하드코팅층을 설치한 경우에는, 연필 경도로 4H 이상의 경도를 나타낸다. 그러나 베이스가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인 경우에는,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가 충분하지 않으면,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영향을 받아, 상기 연필 경도가 3H 이하로 저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is obtained by forming a thin hard coat layer of about 2 to 10 탆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using resins such as thermosetting resins and ultraviolet curable resins and fine particles. The surface of the hard coat layer is concave-convex by the fine particles, whereby antiglare property is exhibited. When the said resin is coated on glass and a hard coat layer is provided, hardness of 4H or more is shown by pencil hardness. However, when the base is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if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is not sufficient, it is generally affected by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and the pencil hardness is generally lowered to 3H or less.

LCD의 용도가 가정용 텔레비전으로 이행함으로써, 일반적인 가정용 텔레비전의 사용자는 LCD를 사용한 텔레비전이더라도 종래의 유리제 CRT를 이용한 텔레비전과 동일한 취급을 할 것이 용이하게 상정된다. 상기 유리제 CRT의 연필 경도는 9H 정도이다. 이 때문에, LCD에 사용하는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에 대하여 경도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By shifting the use of LCDs to home televisions, users of ordinary home televisions can easily assume the same handling as conventional televisions using glass CRTs, even if they are televisions using LCDs. The pencil hardness of the said glass CRT is about 9H. For this reason, the improvement of hardness is calculated | required with respect to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used for LCD.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경도의 향상은, 하드코팅층의 층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가능해진다. 그러나, 층 두께를 증대시키면, 하드코팅층에 포함되고 있는 입자가 상기 하드코팅층 내부에 완전히 매입(埋入)하여, 충분한 방현성을 발휘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미립자의 첨가량을 증가시키는 방법도 있지만, 이 경우, 층 방향에서의 입자수가 증대하여, 그 결과 헤이즈(haze)값이 커진다는 문제도 있다.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고경도화 및 그에 따른 방현성이나 헤이즈값의 문제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공개 제1999-28608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0-326447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1-194504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 제2001-264508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Improvement of the hardness of an anti-glare hard coat film becomes possible by increasing the layer thickness of a hard coat layer. However, when the layer thickness is increased, the particles contained in the hard coat layer are completely embedded in the hard coat layer, and there is a fear that sufficient anti-glare property cannot be exhibit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lso a method of increasing the amount of the fine particles added, but in this case,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number of particles in the layer direction increases and, as a result, the haze value increases. As for the high hardness of the anti-glare hard coating film and the problems of anti-glare property and haze valu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999-286083,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0-326447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194504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264508 have been proposed.

일본 특허공개 제1999-286083호 공보는, 투명 기재 필름 상에, 평균 입경 0.6 내지 20㎛의 입자와 평균 입경 1 내지 500nm의 미립자와 하드코팅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하드코팅층을 형성한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공보는,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가 상기 입자의 입경 이하,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 경의 80% 이하(구체적으로는 16㎛ 이하)인 것도 개시하고 있다.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999-286083 discloses an anti-glare hard coating comprising a hard coating layer mainly composed of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6 to 20 µm,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 to 500 nm, and a hard coating resin on a transparent substrate film. The film is disclosed. The publication also discloses that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is not more than the particle size of the particles, preferably not more than 80% of the average particle size (specifically, 16 µm or less).

일본 특허공개 2000-326447호 공보는, 플라스틱 기재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적어도 1층의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하드코팅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공보는,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를 3 내지 30㎛로 하는 것, 및 2차 입경이 20㎛ 이하인 무기 미립자를 상기 하드코팅층에 첨가하는 것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공보는, 하드코팅층의 표면을 요철상으로 하여 방현성을 부여하는 것도 개시하고 있다.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0-326447 discloses a hard coat film formed by forming at least one hard coat layer on at least one side of a plastic substrate film. The publication also discloses that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is 3 to 30 µm, and that inorganic fine particles having a secondary particle diameter of 20 µm or less are added to the hard coating layer. The publication also discloses providing the anti-glare property by making the surface of the hard coat layer into an irregular shape.

일본 특허공개 2001-194504호 공보는, 플라스틱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하드코팅 피막층과 금속 알콕사이드 및 그 가수분해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반사방지 박막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진 반사방지 필름으로서, 하드코팅층의 파괴 변형 이하에서의 탄성률이 0.7 내지 5.5GPa인 반사방지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공보는, 하드코팅층의 막 두께가 0.5㎛ 이상 20㎛ 이하인 것, 및 상기 하드코팅층에 포함되는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 0.01 내지 10㎛인 것도 개시하고 있다.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194504 discloses an antireflection film formed by laminating a hard coat coating layer, an anti-reflective thin film layer composed mainly of a metal alkoxide and a hydrolyzate thereof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plastic film, which is less than a breakdown deformation of the hard coat layer An antireflection film having an elastic modulus of from 0.7 to 5.5 GPa is disclosed. The publication also discloses that the film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is 0.5 µm or more and 20 µm or less, an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hard coating layer is 0.01 to 10 µm.

일본 특허공개 2001-264508호 공보는, 투명 지지체 상에 평균 입경 1 내지 10㎛의 입자를 함유하고 있는 방현성 하드코팅층과, 평균 입경 0.001 내지 0.2㎛의 무기 미립자, 광경화성의 오가노실레인의 가수분해물 및/또는 그 부분 축합물, 그리고 함불소 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굴절률이 1.35 내지 1.49의 범위에 있는 저굴절률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방현성 반사방지 필름으로서, 헤이즈값이 3 내지 20%의 범위에 있고, 450nm에서 650nm의 평균 반사율이 1.8% 이하인 방현성 반사방지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공보는, 방현성 하드코팅층의 막 두께 가 1 내지 10㎛인 것도 개시하고 있다.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264508 discloses an anti-glare hard coating layer containing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 to 10 탆 on a transparent support, inorganic fine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001 to 0.2 탆, and a photocurable organosilane. An anti-glare antireflection film in which a layer of low refractive index having a refractive index in the range of 1.35 to 1.49 is sequentially laminated from a decomposition product and / or a partial condensate thereof and a composition containing a fluorine-containing polymer, having a haze value of 3 to 20%. The anti-glare anti-reflective film which exists in the range of and whose average reflectance of 450 nm-650 nm is 1.8% or less is disclosed. The publication also discloses that the anti-glare hard coat layer has a film thickness of 1 to 10 m.

그러나 이들 종래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에서는, 경도 및 방현성의 쌍방의 문제가 충분히 해결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일본 특허공개 제1999-286083호 공보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가 상기 정도이면, 충분한 경도를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0-326447호 공보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하드코팅층 표면의 표면 조도가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고, 상기 무기 미립자가 상기 하드코팅층 내부에 완전히 매입하는 것 같은 구성인 경우에는, 충분한 방현성을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1-194504호 공보에 기재된 반사방지 필름은, 경도 및 내찰상성에 관해서는 개선되어 있지만, 예컨대 평균 입경이 1.8㎛ 정도인 미립자를 막 두께가 20㎛ 정도인 하드코팅층에 첨가한 경우에는, 미립자가 상기 하드코팅층 내부에 완전히 매입되어 버려, 충분한 방현성을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1-264508호 공보에 기재된 방현성 반사방지 필름은, 내찰상성, 방현성 등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고 있지만, 충분한 경도가 얻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se conventional anti-glare hard coat films, the problem of both hardness and anti-glare cannot be said to be fully solv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999-286083, there is a problem that sufficient hardness cannot be exhibited if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is about the above.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326447,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surface of the hard coating layer is not considered at all, and the inorganic fine particles are completely embedded in the hard coating layer,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exhibit sufficient anti-glare property. The antireflection film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194504 improves in terms of hardness and scratch resistance, but, for example, when fine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about 1.8 μm are added to a hard coating layer having a film thickness of about 20 μ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ne particles are completely embedded in the hard coat layer, so that sufficient anti-glare property cannot be exhibited. Although the anti-glare antireflection film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1-264508 aims at the improvement of abrasion resistance, anti-glare, etc., there exists a problem that sufficient hardness is not obtained.

본 발명은, 경도, 내찰상성 및 방현성이 우수한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 그것을 이용한 광학 소자,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glare hard coat film having excellent hardness, scratch resistance and anti-glare property, an optical element, a polarizing plate,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n anti-glare hard coat film us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은,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미립자를 함유하는 하드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하드코팅층은 15 내지 30㎛ 범위의 두께를 갖고, 상기 미립자는 상기 하드코팅층 두께의 30 내지 75% 범위의 중량평균 입경을 갖고, 상기 하드코팅층 표면의 요철 형상의 평균 경사각 θa가 0.4 내지 1.5도의 범위이며, 상기 하드코팅층이 하기의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을 포함하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nti-glare hard coat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a hard coating layer containing fine particles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the hard coating layer is 15 To 30 μm, the fine particles have a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the range of 30 to 75% of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ing layer, and the average inclination angle θ a of the uneven shape on the surface of the hard coating layer is in the range of 0.4 to 1.5 degrees. A hard coat layer is formed using the resin for hard coat layer formation containing the following (A) component, (B) component, and (C) component.

(A) 성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A) component: At least one of urethane acrylate and urethane methacrylate

(B) 성분: 폴리올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올 메타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Component (B): at least one of polyol acrylate and polyol methacrylate

(C) 성분: 하기 (C1) 및 하기 (C2)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형성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또는 상기 중합체와 공중합체의 혼합 중합체Component (C): A polymer or copolymer formed from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C1) and the following (C2), or a mixed polymer of the polymer and the copolymer

(C1): 하이드록실기 및 아크릴로일기 중 적어도 한쪽의 기를 갖는 알킬기를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C1): alkyl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at least one of a hydroxyl group and acryloyl group

(C2): 하이드록실기 및 아크릴로일기 중 적어도 한쪽의 기를 갖는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C2): Alkyl methacrylate which has an alkyl group which has at least one group of a hydroxyl group and acryloyl group.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은,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미립자를 함유하는 하드코팅층이 형성된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 상기 하드코팅층 두께의 30 내지 75% 범위의 중량평균 입경을 갖는 미립자, 및 용매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층 형성 재료를 준비하는 공정,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 재료를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도공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도막을 경화시켜, 그 두께가 15 내지 30㎛의 범위이며, 그 표면의 요철 형상의 평균 경사각 θa가 0.4 내지 1.5도의 범위인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가 하기의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을 포함한다.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is invention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in which the hard coat layer containing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was formed i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The resin for hard-coat layer formation, and the said hard coat layer. Preparing a hard coat layer forming material comprising fine particles having a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the range of 30 to 75% of the thickness, and a solvent; coating the hard coat layer forming material on at least one side of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substrate to form a coating film And hardening the coating film to form a hard coating layer having a thickness in the range of 15 to 30 µm and having an average inclination angle θ a of the uneven surface of the surface in the range of 0.4 to 1.5 degrees. Resin for coating layer formation contains the following (A) component, (B) component, and (C) component.

(A) 성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A) component: At least one of urethane acrylate and urethane methacrylate

(B) 성분: 폴리올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올 메타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Component (B): at least one of polyol acrylate and polyol methacrylate

(C) 성분: 하기 (C1) 및 하기 (C2)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형성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또는 상기 중합체와 공중합체의 혼합 중합체Component (C): A polymer or copolymer formed from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C1) and the following (C2), or a mixed polymer of the polymer and the copolymer

(C1): 하이드록실기 및 아크릴로일기 중 적어도 한쪽의 기를 갖는 알킬기를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C1): alkyl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at least one of a hydroxyl group and acryloyl group

(C2): 하이드록실기 및 아크릴로일기 중 적어도 한쪽의 기를 갖는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C2): Alkyl methacrylate which has an alkyl group which has at least one group of a hydroxyl group and acryloyl group.

본 발명의 광학 소자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 부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상기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이 형성된다. The optical element of this invention contains an optical member, and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is invention is formed i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aid optical member.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 및 상기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포함한다. The polarizing plate of this invention contains a polarizer and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e said invention.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포함 한다.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본 발명의 광학 소자를 포함한다. Another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optical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본 발명의 편광판을 포함한다. Another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가 상기 소정의 범위이기 때문에, 경도가 충분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의 입경이 상기 소정의 범위이고, 또한 상기 하드코팅층 표면의 요철 형상의 상기 평균 경사각 θa가 상기 소정의 범위이기 때문에, 방현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찰상성도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적용한 화상 표시 장치는, 화면이 적절히 보호되고 취급성이 우수하며, 방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화상 표시 특성도 우수하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에서는, 상기 하드코팅층이, 상기 3성분을 포함하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도가 보다 향상되어, 하드코팅층의 균열이 방지되고, 또한 하드코팅층의 경화 수축에 기인하는 컬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러한 고성능의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은 상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 가능하다. 단,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은, 다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더라도 좋다. In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the hardness is sufficient. In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fine particles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and the average inclination angle θ a of the concave-convex shape on the surface of the hard coating layer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the anti-glare property is excellent. It is also excellent in scratch resistance. Therefor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to which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is invention is applied is excellent in image display characteristic, since a screen is appropriately protected, excellent in handleability, and excellent in anti-glare property. In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ard coat layer is formed by using the hard coat layer-forming resin containing the three components, the hardness is further improved, and the crack of the hard coat layer is prevented, and the hard Curl generation due to cure shrinkage of the coating layer is effectively prevented. Such a high-performanc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by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is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by another manufacturing method.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B) 성분은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아크릴레이트 및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보다 경도가 향상되고, 가요성을 유지하면서, 또한 컬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the component (B) preferably contains at least one of pentaerythritol triacrylate and 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This is because the hardness can be more improved, and the curling can be prevented more effectively while maintaining the flexibility.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 상에 반사방지층이 형성되어 있는 태양이더라도 좋다. 상기 반사방지층은, 중공(中空)이고 구상(球狀)인 산화규소 초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aspect in which an antireflection layer is formed on the hard coat lay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antireflection layer contains hollow and spherical silicon oxide ultrafine particles.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에 있어서, JIS K 7105에 의한 광택도가 50 내지 9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택도는 JIS K 7105(1981년도판)의 60도 경면 광택도를 의미한다. In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lossiness according to JIS K 7105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50 to 95. The glossiness means 60 degree mirror surface glossiness of JIS K 7105 (1981 edition).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아세트산 에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얻어지는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에 있어서, 하드코팅층과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밀착성이 향상되어, 하드코팅층의 박리가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아세트산 에틸의 함유 비율은 상기 용매 전체에 대하여 2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solvent contains ethyl acetate. This is because in the obtained anti-glare hard coat film, the adhesion between the hard coat layer and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can be improved, and peeling of the hard coat layer can be preven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ent rate of the said ethyl acetate is 20 weight% or more with respect to the said whole solvent.

이어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기재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Next,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concretely. However, this invention is not restrict | limite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은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 하드코팅층을 갖는 것이다.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ard coat layer on one or both sides of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substrate.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는, 가시광의 광선 투과율이 우수하고(바람직하게는 광선 투과율 90% 이상), 투명성이 우수한 것(바람직하게는 헤이즈값 1% 이하)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형성 재료는, 예컨대 폴리에스터계 중합체, 셀룰로스계 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계 중합체, 아크릴계 중합체 등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스터계 중합체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상기 셀룰로스계 중합체는, 예컨대 다이아세틸 셀룰로스,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TAC) 등을 포함한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예컨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형성 재료는, 예컨대 스타이렌계 중합체, 올레핀계 중합체, 염화바이닐계 중합체, 아마이드계 중합체 등도 포함한다. 상기 스타이렌계 중합체는, 예컨대 폴리스타이렌, 아크릴로나이트릴-스타이렌 공중합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환상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노보넨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아마이드계 중합체는, 예컨대 나일론,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등을 포함한다.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형성 재료는, 예컨대 이미드계 중합체, 설폰계 중합체, 폴리에터 설폰계 중합체, 폴리에터 에터 케톤계 중합체, 폴리페닐렌 설파이드계 중합체, 바이닐 알코올계 중합체, 염화바이닐리덴계 중합체, 바이닐 뷰티랄계 중합체, 알릴레이트계 중합체, 폴리옥시메틸렌계 중합체, 에폭시계 중합체나 상기 중합체의 블렌드물 등도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 광학적으로 복굴절이 적은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은, 예컨대 보호 필름으로서 편광판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로서는, 트라이아세틸 셀룰로 스,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계 중합체, 환상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노보넨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등으로부터 형성된 필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는 편광자 자체이더라도 좋다. 이러한 구성이면, TAC 등으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필요로 하지 않아 편광판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편광판 또는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수를 감소시켜, 생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이면, 편광판을 보다 박층화할 수 있다.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가 편광자인 경우에는, 상기 하드코팅층이 종래의 보호층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이면,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은 액정셀 표면에 장착되는 커버 플레이트로서의 기능을 겸하게 된다.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is excellent in the light transmittance of visible light (preferably 90% or more of light transmittance), and excellent in transparency (preferably haze value 1% or less). The formation material of the said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contains a polyester polymer, a cellulose polymer, a polycarbonate polymer, an acrylic polymer, etc., for example. The polyester polymer includes, for exampl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the like. The cellulose polymers include, for example, diacetyl cellulose, triacetyl cellulose (TAC) and the like. The said acrylic polymer contains polymethyl methacrylate etc., for example. The forming material of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also includes, for example, a styrene polymer, an olefin polymer, a vinyl chloride polymer, an amide polymer, and the like. The styrene polymer includes, for example, polystyrene, acrylonitrile-styrene copolymer, and the like. The olefin polymer includes, for exampl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olefin containing cyclic structure, polyolefin containing norbornene structure, ethylene-propylene copolymer and the like. The amide polymer includes, for example, nylon, aromatic polyamide, and the like.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may be, for example, an imide polymer, a sulfone polymer, a polyether sulfone polymer, a polyether ether ketone polymer, a polyphenylene sulfide polymer, a vinyl alcohol polymer, or vinylidene chloride. Polymers, vinyl butyral polymers, allylated polymers, polyoxymethylene polymers, epoxy polymers, blends of the above polymers, and the like. Of these, those having a low optical birefringence are suitably used.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is invention can also be used for a polarizing plate, for example as a protective film. In this case, as said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the film formed from triacetyl cellulose, a polycarbonate, an acrylic polymer, the polyolefin containing a cyclic structure, the polyolefin containing a norbornene structure, etc. is prefer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y be the polarizer itself. With such a configuration, a protective layer made of TAC or the like is not required and the structure of the polarizing plate can be simplified. Thereby, the number of manufacturing processes of a polarizing plate or an image display apparatus can be reduced, and produ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Moreover, if it is such a structure, a polarizing plate can be thinned more. When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is a polarizer, the hard coating layer serves as a conventional protective layer.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also serves as a cover plate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cel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두께는, 예컨대 강도, 취급성 등의 작업성 및 박층성 등의 점을 고려하면, 10 내지 5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의 범위이며, 최적으로는 30 내지 200㎛의 범위이다.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굴절률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굴절률은, 예컨대 1.30 내지 1.80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70의 범위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thickness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 to 500 µ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to 300 µm, considering the point of workability such as strength, handleability, thinness, and the like, and most preferably 30 to It is the range of 200 micrometer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refractive index is, for example, in the range of 1.30 to 1.80, preferably in the range of 1.40 to 1.70.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드코팅층은, 예컨대 하기의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을 포함하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As mentioned above, the said hard coat layer is formed using the resin for hard-coat layer formation containing the following (A) component, (B) component, and (C) component, for example.

(A) 성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A) component: At least one of urethane acrylate and urethane methacrylate

(B) 성분: 폴리올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올 메타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Component (B): at least one of polyol acrylate and polyol methacrylate

(C) 성분: 하기 (C1) 및 하기 (C2)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형성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또는 상기 중합체와 공중합체의 혼합 중합체Component (C): A polymer or copolymer formed from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C1) and the following (C2), or a mixed polymer of the polymer and the copolymer

(C1): 하이드록실기 및 아크릴로일기 중 적어도 한쪽의 기를 갖는 알킬기를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C1): alkyl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at least one of a hydroxyl group and acryloyl group

(C2): 하이드록실기 및 아크릴로일기 중 적어도 한쪽의 기를 갖는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C2): Alkyl methacrylate which has an alkyl group which has at least one group of a hydroxyl group and acryloyl group.

상기 (A) 성분인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에스터, 메타크릴산 에스터, 폴리올 및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를 구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 사용된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및 상기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은, 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에스터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 중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와, 폴리올을 이용하여, 하이드록실기를 1개 이상 갖는 하이드록시아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실기를 1개 이상 갖는 하이드록시메타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을 제작하고, 이것을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A) 성분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및 상기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A) 성분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및 상기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는 2종류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As said urethane acrylate and urethane methacrylate which are said (A) component, what contain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acrylic acid ester, methacrylic acid ester, a polyol, and diisocyanate as a component is used. At least one of the urethane acrylate and the urethane methacrylate is, for example, at least one monomer of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acrylic acid ester and methacrylic acid ester and a hydroxyl having at least one hydroxyl group using a polyol. It can manufacture by making at least one of the hydroxy acrylate and the hydroxy methacrylate which has one or more hydroxyl groups, and reacting this with diisocyanate. In the said (A) component, the said urethane acrylate and the said urethane methacrylate may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In the said (A) component, the said urethane acrylate and the said urethane methacrylate can also use 2 or more types together.

상기 아크릴산 에스터는, 예컨대 알킬 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알킬 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는, 예컨대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아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뷰틸 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상기 사이클로알킬 아크릴레이트는, 예컨대 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한 다.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터는, 예컨대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상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는, 예컨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아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뷰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상기 사이클로알킬 메타크릴레이트는, 예컨대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The acrylic acid ester includes, for example, alkyl acrylate, cycloalkyl acrylate and the like. The alkyl acrylates include, for example,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isopropyl acrylate, butyl acrylate and the like. The cycloalkyl acrylate includes, for example, cyclohexyl acrylate. The methacrylic acid ester includes, for example, alkyl methacrylate, cycloalkyl methacrylate, and the like. The alkyl methacrylates include, for exampl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isopropyl methacrylate, butyl methacrylate and the like. The cycloalkyl methacrylate includes, for example, cyclohexyl methacrylate.

상기 폴리올은 하이드록실기를 적어도 2개 갖는 화합물이다. 상기 폴리올은, 예컨대 에틸렌 글라이콜, 1,3-프로필렌 글라이콜, 1,2-프로필렌 글라이콜,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다이프로필렌 글라이콜, 네오펜틸 글라이콜, 1,3-뷰테인다이올, 1,4-뷰테인다이올, 1,6-헥세인다이올, 1,9-노네인다이올, 1,10-데케인다이올, 2,2,4-트라이메틸-1,3-펜테인다이올, 3-메틸-1,5-펜테인다이올, 하이드록시피발산 네오펜틸 글라이콜 에스터, 트라이사이클로데케인 다이메틸올, 1,4-사이클로헥세인 다이올, 스파이로글라이콜, 트라이사이클로데케인 다이메틸올, 수첨 비스페놀 A,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트라이메틸올에테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글리세린, 3-메틸펜테인-1,3,5-트라이올, 펜타에리트리톨,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펜타에리트리톨, 글루코스류 등을 포함한다. The polyol is a compound having at least two hydroxyl groups. The polyol is, for example, ethylene glycol, 1,3-propylene glycol, 1,2-prop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neopentyl glycol, 1,3- Butanediol, 1,4-butanediol, 1,6-hexanediol, 1,9-nonanediol, 1,10-decanediol, 2,2,4-trimethyl- 1,3-pentanediol, 3-methyl-1,5-pentanediol, hydroxypivalic acid neopentyl glycol ester, tricyclodecane dimethylol, 1,4-cyclohexane diol , Spiroglycol, tricyclodecane dimethylol, hydrogenated bisphenol A, ethylene oxide added bisphenol A, propylene oxide added bisphenol A, trimethylolethane, trimethylolpropane, glycerin, 3-methylpentane- 1,3,5-triol, pentaerythritol, dipentaerythritol, tripentaerythritol, glucose, and the like.

상기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로서는, 예컨대 방향족, 지방족 또는 지환족의 각종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는, 예컨대 테트라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아이소포론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2,4-톨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4,4-다이페닐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5-나프탈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3,3-다이메틸-4,4-다이페닐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자일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트라이메틸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4,4-다이페닐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 및 이들의 수첨물 등을 포함한다. As said diisocyanate, various diisocyanates of aromatic, aliphatic or alicyclic can be used, for example. The diisocyanate is, for example, tetramethylene diisocyanate, hexamethylene d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2,4-tolylene diisocyanate, 4,4-di Phenyl diisocyanate, 1,5-naphthalene diisocyanate, 3,3-dimethyl-4,4-diphenyl diisocyanate, xylene diisocyanate, trimethylhexamethylene dia Isocyanate,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and the like, and hydrogenated materials thereof.

상기 (A) 성분의 배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A) 성분의 사용에 의해, 형성되는 하드코팅층의 유연성 및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들의 점 및 하드코팅층의 경도의 관점 등에서, 상기 (A) 성분의 배합 비율은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 재료 중의 수지 성분 전체에 대하여 예컨대 15 내지 55중량%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5중량%의 범위이다. 상기 수지 성분 전체란,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의 합계량, 또는 그 외의 수지 성분을 이용하는 경우는, 상기 3성분의 합계량과 상기 수지 성분의 합계량을 합친 양을 의미하고, 이하 마찬가지이다. The blending ratio of the component (A)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y use of the said (A) component, the softness of the hard coat layer formed and adhesiveness with respect to a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can be improved. From the viewpoint of these points and the hardness of the hard coat layer, etc., the blending ratio of the component (A) is, for example, in the range of 15 to 55% by weight relative to the entire resin component in the hard coat layer forming material, preferably 25 to 45% by weight. Range. The whole said resin component means the quantity which added together the total amount of the said three components, and the total amount of the said resin component, when using the total amount of (A) component, (B) component, and (C) component, or another resin component, The same applies to the following.

상기 (B) 성분은, 예컨대 펜타에리트리톨 다이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1,6-헥세인다이올 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다이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타크릴레이트, 1,6-헥세인다이올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은 2종류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폴리올 아크릴레이트로서는,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아크릴레이트와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의 중합물로 이루어진 단량체 성분 및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아크릴레이트와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혼합 성분이 바람직하다. The (B) component is, for example, pentaerythritol diacrylate, pentaerythritol tri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1,6-hexanediol acrylate, pentaerythrate Lithol dimethacrylate, pentaerythritol trimeth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meth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methacrylate, 1,6-hexanediol methacrylate,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These can also use two or more types together. For example, as said polyol acrylate, the monomer component which consists of a polymer of pentaerythritol triacrylate and 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and the mixed component containing pentaerythritol triacrylate and 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are preferable.

상기 (B)의 배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B) 성분의 배합 비율은 상기 (A) 성분에 대하여 70 내지 180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중량%의 범위이다. 상기 (B) 성분의 배합 비율이 상기 (A) 성분에 대하여 180중량% 이하이면, 형성되는 하드코팅층의 경화 수축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컬을 방지할 수 있고, 굴곡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B) 성분의 배합 비율이 상기 (A) 성분의 70중량% 이상이면, 형성되는 하드코팅층의 경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어, 내찰상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The blending ratio of the above (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blending ratio of the component (B)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70 to 180% by weight with respect to the component (A),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0 to 150% by weight. When the compounding ratio of the said (B) component is 180 weight% or less with respect to the said (A) component, hardening shrinkage of the hard coat layer formed can be prevented effectively. As a result, the curl of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can be prevented, and the fall of bendability can be prevented. If the compounding ratio of the said (B) component is 70 weight% or more of the said (A) component, the hardness of the hard coat layer formed can be improved more, and it becomes possible to improve scratch resistance.

상기 (C) 성분에 있어서, (C1) 및 (C2)의 알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알킬기는 예컨대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다. 상기 알킬기는 직쇄상일 수도 있다. 상기 알킬기는 분지상일 수도 있다. 상기 (C)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하기 화학식 1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상기 중합체 및 상기 공중합체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In the component (C), the alkyl groups of (C1) and (C2)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alkyl group is, for example, an alkyl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The alkyl group may be linear. The alkyl group may be branched. As said (C) component, the polymer, copolymer, or mixture of the said polymer and the said copolymer containing the repeating unit of following General formula (1) is mentioned, for example.

Figure 112007024093818-pat00001
Figure 112007024093818-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H 또는 -CH3이고, R2는 -CH2CH2OX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기이며, 상기 X는 -H 또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크릴로일기이다. In Formula 1, R 1 is -H or -CH 3 , R 2 is -CH 2 CH 2 OX or a group represented by the formula (2), wherein X is -H or acryl represented by the formula (3) It is a diary.

Figure 112007024093818-pat00002
Figure 112007024093818-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 상기 X는 -H 또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크릴로일기이고, 상기 X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In Formula 2, X is -H or an acryloyl group represented by Formula 3 below, and X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igure 112007024093818-pat00003
Figure 112007024093818-pat00003

상기 (C)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2,3-다이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3-다이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3-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3-다이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2,3-다이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3-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2-아크릴로일옥시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로부터 형성된 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상기 중합체 및 상기 공중합체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component (C) include 2,3-dihydroxypropyl acrylate, 2,3-diacryloyloxypropyl acrylate, 2-hydroxy-3-acryloyloxypropyl acrylate, and 2-acrylic. Royloxy-3-hydroxypropyl acrylate, 2,3-dihydroxypropyl methacrylate, 2,3-diacryloyloxypropyl methacrylate, 2-hydroxy-3-acryloyloxypropyl Methacrylate, 2-acryloyloxy-3-hydroxypropyl methacrylate, 2-hydroxyethyl acrylate, 2-acryloyloxyethyl acrylate, 2-hydroxyethyl methacrylate and 2-acrylic Polymers, copolymers or mixtures of such polymers and copolymers formed from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oyloxy methacrylates.

상기 (C) 성분의 배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C) 성분의 배합 비율은 상기 (A) 성분에 대하여 25 내지 110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85중량%의 범위이다. 상기 (C) 성분의 배합 비율이 110중량% 이하이면, 하드코팅층 형성 재료의 도공성이 우수하게 된다. 상기 (C) 성분의 배합 비율이 25중량% 이상이면, 형성되는 하드코팅층의 경화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에 있어서, 컬 발생을 방지 가능해진다. The blending ratio of the component (C)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mixing ratio of the component (C)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5 to 110% by weight,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45 to 85% by weight based on the component (A). If the compounding ratio of the said (C) component is 110 weight% or less, the coating property of a hard coat layer forming material will become excellent. When the compounding ratio of the said (C) component is 25 weight% or more, hardening shrinkage of the hard coat layer formed can be prevented. As a result, curl generation can be prevented in an anti-glare hard coat film.

상기 하드코팅층은, 그 표면 구조를 요철 구조로 하여 방현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미립자를 함유하고 있다. 상기 미립자로서는, 예컨대 무기 미립자와 유기 미립자가 있다. 상기 무기 미립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무기 미립자는, 예컨대 산화규소 미립자, 산화타이타늄 미립자, 산화알루미늄 미립자, 산화아연 미립자, 산화주석 미립자, 탄산칼슘 미립자, 황산바륨 미립자, 탈크 미립자, 카올린 미립자, 황산칼슘 미립자 등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 미립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유기 미립자는, 예컨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아크릴레이트 수지 분말(PMMA 미립자), 실리콘 수지 분말, 폴리스타이렌 수지 분말, 폴리카보네이트 수 지 분말, 아크릴-스타이렌 수지 분말, 벤조구아나민 수지 분말, 멜라민 수지 분말, 폴리올레핀 수지 분말, 폴리에스터 수지 분말, 폴리아마이드 수지 분말, 폴리이미드 수지 분말, 폴리불화에틸렌 수지 분말 등을 포함한다. 이들 무기 미립자 및 유기 미립자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무기 미립자 및 유기 미립자는 2종류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The said hard coat layer contains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in order to provide anti-glare property by making the surface structure into an uneven structure. Examples of the fine particles include inorganic fine particles and organic fine particles. The said inorganic fine particle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he inorganic fine particles include silicon oxide fine particles, titanium oxide fine particles, aluminum oxide fine particles, zinc oxide fine particles, tin oxide fine particles, calcium carbonate fine particles, barium sulfate fine particles, talc fine particles, kaolin fine particles, calcium sulfate fine particles and the like. The said organic fine particle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he organic fine particles are, for example,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powder (PMMA fine particles), silicone resin powder, polystyrene resin powder, polycarbonate resin powder, acrylic-styrene resin powder, benzoguanamine resin powder, melamine resin powder And polyolefin resin powder, polyester resin powder, polyamide resin powder, polyimide resin powder, polyfluoroethylene resin powder and the like. These inorganic fine particles and organic fine particles may be used alone. These inorganic fine particles and organic fine particles can also use 2 or more types together.

상기 미립자의 중량평균 입경은, 상기 하드코팅층의 막 두께의 30 내지 75%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의 범위이다. 상기 미립자의 중량평균 입경이 30% 이상이면, 상기 하드코팅층 표면에 충분한 요철 형상을 형성할 수 있어, 충분한 방현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미립자의 중량평균 입경이 75% 이하이면, 표면의 요철 차이를 적절한 크기로 할 수 있어, 외관이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반사광의 산란을 적절한 것으로 할 수 있다.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ne particles is in the range of 30 to 75% of the film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and preferably in the range of 30 to 50%. If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aid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is 30% or more, sufficient uneven | corrugated shape can be formed in the surface of the said hard coat layer, and sufficient anti-glare function can be provided. If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aid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is 75% or less, the difference in the unevenness | corrugation of a surface can be made into an appropriate magnitude | size, an external appearance can be made favorable and scattering of reflected light can be made suitable.

상기 미립자의 중량평균 입경은, 예컨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aid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can be measured, for example by the method as described in the Example mentioned later.

상기 미립자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미립자의 형상은, 예컨대 비드상의 대략 구형이더라도 좋다. 상기 미립자의 형상은, 예컨대 분말 등의 부정형의 것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는 평균 입경이 2종류 이상인 복수 종류의 미립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상기 미립자는, 하나의 중량평균 입경을 가지는 복수의 미립자가 모인 그룹(미립자분)이 둘 이상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미립자로서는, 대략 구형의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어스펙트비(aspect ratio)가 1.5 이하인 대략 구형의 미립 자이다. 어스펙트비가 1.5 이하이면, 상기 하드코팅층 표면의 요철 형상에 있어서, 상기 평균 경사각 θa를 보다 더 바람직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shape of the fine particl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shape of the fine particles may be, for example, a substantially spherical bead. The shape of the fine particles may be in an amorphous form such as powder. In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are plural types of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whos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two or more types. In this case, the fine particles means that there are two or more groups (particulate particles) in which a plurality of fine particles having on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are collected. As mentioned above, as said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a substantially spherical thing is preferable, More preferably, it is a substantially spherical fine particle whose aspect ratio is 1.5 or less. If the aspect ratio is 1.5 or less, the average inclination angle θ a can be more preferably controlled in the concave-convex shape on the surface of the hard coat layer.

상기 미립자의 배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미립자의 배합 비율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미립자의 배합 비율은, 상기 수지 성분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2 내지 70중량부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0중량부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중량부의 범위이다. The blending ratio of the fine particl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blending ratio of the fine particles can be appropriately set. The blending ratio of the fine particles is, for example, in the range of 2 to 70 parts by weight, preferably in the range of 4 to 50 parts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5 to 4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resin component.

상기 하드코팅층 표면의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평균 경사각 θa는 0.4 내지 1.5도의 범위이다. 상기 평균 경사각 θa가 0.4도 이상이면, 방현성이 우수하다. 상기 평균 경사각 θa가 1.5도 이하이면, 헤이즈값을 적당한 범위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평균 경사각 θa는 0.5 내지 1.2도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1도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평균 경사각 θa는, 예컨대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의 종류,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 상기 미립자의 종류, 상기 미립자의 평균 입경 등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고, 당업자라면 과도한 시행 착오 없이 본 발명의 소정 범위의 상기 평균 경사각 θa로 할 수 있다. The average inclination angle θ a in the uneven shape of the surface of the hard coat layer is in the range of 0.4 to 1.5 degrees. If the said average inclination-angle (theta) a is 0.4 degree or more, anti-glare property is excellent. Haze value can be made into an appropriate range as the said average inclination-angle (theta) a is 1.5 degrees or les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verage inclination angle θ a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5 to 1.2 degree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6 to 1.1 degree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verage inclination angle θ a can be adjusted by appropriately selecting, for example, the kind of the resin for forming the hard coat layer,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ing layer, the kind of the fine particle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ne particles, and the like. It is possible to set the average inclination angle θ a in the predetermined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trial and erro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평균 경사각 θa는 하기 수학식 1로 정의되는 값이다. 상기 평균 경사각 θa는, 예컨대 후술의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되 는 값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verage inclination angle θ a is a value defined by Equation 1 below. The said average inclination-angle (theta) a is a value measured by the method as described in the Example mentioned later, for example.

Figure 112007024093818-pat00004
Figure 112007024093818-pat00004

상기 수학식 1에 있어서, Δa는 하기 수학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JIS B 0601(1994년도판)에 규정되는 조도 곡선의 기준 길이 L에서, 이웃이 되는 산(peak)의 정점과 골(trough)의 최하점의 차이(높이 h)의 합계(h1+ h2+ h3···+ hn)를 상기 기준길이 L로 나눈 값이다. 상기 조도 곡선은, 단면 곡선으로부터, 소정의 파장보다 긴 표면파 성분을 위상차 보상형 고역 필터로 제거한 곡선이다. 상기 단면 곡선이란, 대상면에 직각인 평면으로 대상면을 절단했을 때에, 그 단면에 나타나는 윤곽이다. 도 3에 상기 조도 곡선, 높이 h 및 기준선 L의 일례를 나타낸다. In the above Equation 1, Δ a is the vertex and the valley of the peak (neighboring peak) at the reference length L of the roughness curve specified in JIS B 0601 (1994 edition),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2 The sum (h1 + h2 + h3 ... + hn) of the difference (height h) of the lowest point of trough) is obtained by dividing the reference length L. The illuminance curve is a curve obtained by removing a surface wave component longer than a predetermined wavelength from the cross-sectional curve with a phase difference compensation type high pass filter. The cross-sectional curve is a contour appearing in the cross section when the target surface is cut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target surface. An example of the said roughness curve, height h, and reference line L is shown in FIG.

Figure 112007024093818-pat00005
Figure 112007024093818-pat00005

상기 하드코팅층의 요철 형상에 있어서, 표면 조도의 하나인 산술 평균 조도 Ra(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는, 예컨대 0.05 내지 0.3㎛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0.07 내지 0.2㎛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9 내지 0.15㎛의 범위이다. 상기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는, JIS B 0601(1994년도판)에 규정된 것이다. 상기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는, 예컨대 후술되는 실시예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는, 예컨대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의 종류,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 상기 미립자의 종류, 상기 미립자의 중량평균 입경 등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어, 당업자라면 과도의 시행 착오 없이 상기 소정 범위의 상기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로 할 수 있다. In the concavo-convex shape of the hard coat layer,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arithmetic mean surface roughness Ra), which is one of surface roughness, is, for example, in the range of 0.05 to 0.3 µm, preferably in the range of 0.07 to 0.2 µm, more preferably Is in the range of 0.09 to 0.15 µm. The arithmetic mean surface roughness Ra is defined in JIS B 0601 (1994 version). The arithmetic mean surface roughness Ra is measured by the method of the Example mentioned later,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rithmetic mean surface roughness Ra can be adjusted by appropriately selecting, for example, the kind of the resin for forming the hard coat layer,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the kind of the fine particles,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ne particles, and the like. Ramen arithmetic averag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said predetermined range can be used without trial and error of ramen excessive.

상기 미립자와 상기 하드코팅층의 계면에 생기는 광 산란이나 간섭 줄무늬를 방지하는 등의 관점에서, 상기 미립자와 상기 하드코팅층과의 굴절률 차이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섭 줄무늬는, 하드코팅 필름에 입광한 외광의 반사광이 무지개 빛의 색상을 나타내는 현상이다. 최근, 사무실 등에서는 명료성이 우수한 삼파장 형광등이 다용되고 있다. 상기 삼파장 형광등 아래에서는, 간섭 줄무늬가 현저히 나타난다. 상기 하드코팅층의 굴절률은 1.4 내지 1.6의 범위가 일반적이기 때문에, 이 굴절률의 범위에 가까운 굴절률의 미립자가 바람직하다. 상기 미립자와 상기 하드코팅층의 굴절률의 차이는 0.0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o reduce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fine particles and the hard coating layer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light scattering or interference fringes occurring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fine particles and the hard coating layer. The interference fringe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reflected light of external light incident on the hard coat film exhibits the color of iridescent light. In recent years, three-wavelength fluorescent lamps excellent in clarity have been used in offices and the like. Under the three-wavelength fluorescent lamps, interference fringes appear remarkably. Sinc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hard coat layer is generally in the range of 1.4 to 1.6, fine particles having a refractive index close to the range of this refractive index are preferable.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fine particles and the hard coat layer is preferably less than 0.05.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굴절률과 상기 하드코팅층의 굴절률의 차이를 d로 한 경우, 상기 d는 0.0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가 0.04 이하이면, 간섭 줄무늬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d는 0.0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hard coat layer is d, the d is preferably 0.04 or less. If d is 0.04 or less, interference fringes can be suppressed. As for said 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0.02 or less.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는 15 내지 30㎛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5㎛의 범위이다. 상기 두께가 상기 소정의 범위이면, 상기 하드코팅층의 경도도 충분한 것으로 된다(예컨대, 연필 경도로 4H 이상). 상기 두께가 상기 소정의 범위이면, 컬의 발생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 가능하다. The hard coating layer has a thickness in the range of 15 to 30 μm, preferably in the range of 18 to 25 μm. If the thickness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the hardness of the hard coat layer is also sufficient (for example, 4H or more in pencil hardness). If the thickness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curling can also be prevented more effectively.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은, 예컨대 상기 3성분을 포함하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 상기 미립자 및 용매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층 형성 재료를 준비하 고,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 재료를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도공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도막을 경화시켜 상기 하드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o prepare a hard coating layer forming material containing the three components, the hard coating layer forming material containing the fine particles and a solvent, the hard coating layer forming material is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substrate It can be manufactured by coating on at least one surface of and forming a coating film, and hardening the said coating film to form the said hard coat layer.

상기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매는, 예컨대 다이뷰틸 에터, 다이메톡시메테인, 다이메톡시에테인, 다이에톡시에테인, 프로필렌 옥사이드, 1,4-다이옥세인, 1,3-다이옥솔레인, 1,3,5-트라이옥세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다이에틸 케톤, 다이프로필 케톤, 다이아이소뷰틸 케톤, 사이클로펜탄온, 사이클로헥산온, 메틸사이클로헥산온, 폼산 에틸, 폼산 프로필, 폼산 n-펜틸,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프로피온산 메틸, 프로피온산 에틸, 아세트산 n-펜틸, 아세틸아세톤, 다이아세톤알코올, 아세토아세트산 메틸, 아세토아세트산 에틸,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뷰탄올, 2-뷰탄올, 1-펜탄올, 2-메틸-2-뷰탄올, 사이클로헥산올, 아세트산 아이소뷰틸, 메틸 아이소뷰틸 케톤(MIBK), 2-옥탄온, 2-펜탄온, 2-헥산온, 2-헵탄온, 3-헵탄온, 에틸렌 글라이콜 모노에틸 에터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라이콜 모노에틸 에터, 에틸렌 글라이콜 모노뷰틸 에터, 에틸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등을 포함한다. 이들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은 2종류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용매는,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와 상기 하드코팅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전체의 20중량% 이상의 비율로 아세트산 에틸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체의 25중량% 이상의 비율로 아세트산 에틸을 함유하는 것이며, 최적으로는 전체의 30 내지 70중량%의 비율로 아세트산 에틸을 함유하는 것이다. 상기 용매 중의 아세트산 에틸의 비율이 70중량% 이하이면, 용매의 휘발 속도를 적당한 것으로 할 수 있어, 도공 불균일이나 건조 불균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아세트산 에틸과 병용하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용매는, 예컨대 아세트산 뷰틸, 메틸 에틸 케톤, 에틸렌 글라이콜 모노뷰틸 에터,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등을 포함한다. The solv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solvent is, for example, dibutyl ether, dimethoxymethane, dimethoxyethane, diethoxyethane, propylene oxide, 1,4-dioxane, 1,3-dioxolane, 1,3,5-tri Oxane, tetrahydrofuran, acetone, methyl ethyl ketone, diethyl ketone, dipropyl ketone, diisobutyl ketone, cyclopentanone, cyclohexanone, methylcyclohexanone, ethyl formic acid, formic acid propyl, formic acid n-pentyl,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methyl propionate, ethyl propionate, n-pentyl acetate, acetylacetone, diacetone alcohol, methyl acetoacetate, ethyl acetoacetate, methanol, ethanol, 1-propanol, 2-propanol, 1-butanol, 2 Butanol, 1-pentanol, 2-methyl-2-butanol, cyclohexanol, isobutyl acetate, methyl isobutyl ketone (MIBK), 2-octanone, 2-pentanone, 2-hexanone, 2 -Heptanone, 3-heptanone, ethylene glycol And the like furnace ethyl ether acetate, 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These can also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These can also use two or more types together.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adhesion between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and the hard coat layer, the solvent preferably contains ethyl acetate in a proportion of 20% by weight or more of the whole, and more preferably in a proportion of 25% by weight or more of the whole. It contains ethyl acetate and optimally contains ethyl acetate in the ratio of 30 to 70 weight% of the whole. If the ratio of ethyl acetate in the said solvent is 70 weight% or less, the volatilization rate of a solvent can be made moderate and it becomes possible to prevent coating nonuniformity and dry nonuniformity effectively. The kind of solvent used together with ethyl acetate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he solvent includes, for example, butyl acetate, methyl ethyl ketone, 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nd the like.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 재료에는 각종 레벨링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레벨링제로서는, 예컨대 불소계 또는 실리콘계의 레벨링제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리콘계 레벨링제이다. 상기 실리콘계 레벨링제는, 예컨대 반응성 실리콘,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 폴리에터 변성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 폴리메틸알킬실록세인 등을 포함한다. 이들 실리콘계 레벨링제 중에서, 상기 반응성 실리콘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성 실리콘을 첨가함으로써 표면에 윤활성(lubricity)이 부여되어 내찰상성이 장기간에 걸쳐 지속되게 된다. 상기 반응성 실리콘으로서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것을 이용하면, 반사방지층(저굴절률층)으로서 실록세인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상기 하드코팅층 상에 형성한 경우, 상기 반사방지층과 상기 하드코팅층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Various leveling agents may be added to the hard coat layer forming material. Examples of the leveling agent include fluorine or silicon leveling agents, and are preferably silicon leveling agents. The silicone leveling agent includes, for example, reactive silicone, polydimethylsiloxane, polyether modified polydimethylsiloxane, polymethylalkylsiloxane, and the like. Of these silicone-based leveling agents, the reactive silicones are particularly preferred. By adding the reactive silicone, lubricity is imparted to the surface so that the scratch resistance lasts for a long time. When using the thing which has a hydroxyl group as said reactive silicone, when the thing containing a siloxane component as an antireflection layer (low refractive index layer) was formed on the said hard coat layer, the adhesiveness of the said antireflection layer and the said hard coat layer improves.

상기 레벨링제의 배합량은, 상기 수지 성분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5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중량부의 범위이다. The blending amount of the leveling agent is, for example, 5 parts by weight or less, preferably 0.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resin component.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 재료에는, 필요에 따라, 성능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로 안료, 충전제, 분산제, 가소제, 자외선흡수제,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요변성화 제 등이 첨가되더라도 좋다. 상기 첨가제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첨가제는 2종류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If necessary, pigments, fillers, dispersants, plasticizers, ultraviolet absorbers, surfactants, antioxidants, thixotropic agents and the like may be added to the hard coat layer forming material 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performance. The said additive may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The said additive can also use 2 or more types together.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 재료에는, 종래 공지된 광중합개시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개시제로서는, 예컨대 2,2-다이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아세토페논, 벤조페논, 잔톤, 3-메틸아세토페논, 4-클로로벤조페논, 4,4'-다이메톡시벤조페논, 벤조인 프로필 에터, 벤질 다이메틸 케탈, N,N,N',N'-테트라메틸-4,4'-다이아미노벤조페논, 1-(4-아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등을 들 수 있고, 그 외에 싸이옥산토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As the hard coat layer forming material, a conventionally known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can be used. Examples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acetophenone, benzophenone, xanthone, 3-methylacetophenone, 4-chlorobenzophenone, 4,4'-dimethoxybenzophenone , Benzoin propyl ether, benzyl dimethyl ketal, N, N, N ', N'-tetramethyl-4,4'-diaminobenzophenone, 1- (4-isopropylphenyl) -2-hydroxy-2 -Methylpropan-1-one etc. can be mentioned, In addition, a thioxanthone type compound etc. can be used.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 재료를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 상에 도공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파운틴 코팅법, 다이 코팅법, 스핀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그라비어 코팅법, 롤 코팅법, 바 코팅법 등의 도공법을 이용할 수 있다. As a method of coating the hard coat layer forming material on a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for example, coating methods such as a fountain coating method, a die coating method, a spin coating method, a spray coating method, a gravure coating method, a roll coating method and a bar coating method It is available.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 재료를 도공하여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 상에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도막을 경화시킨다. 상기 경화에 앞서서, 상기 도막을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는, 예컨대 자연 건조라도 좋고, 바람을 불어넣은 공기 중에서의 건조이더라도 좋고, 가열 건조이더라도 좋고, 이들을 조합시킨 방법이더라도 좋다. The hard coat layer forming material is coated to form a coating film on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and the coating film is cured. Prior to the curing, it is preferable to dry the coating film. The drying may be, for example, natural drying, drying in blown air, heat drying,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 재료의 도막의 경화 수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경화 수단은 전리 방사선 경화가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 수단에는 각종 활성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는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에너지선원으로서는, 예컨대 고압 수은 램프, 할로겐 램프, 크세논 램프, 메탈할라이드 램프, 질소 레이저, 전자선 가속 장치, 방사성 원소 등의 선원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너지선원의 조사량은, 자외선 파장 365nm에서의 적산(積算) 노광량으로서 50 내지 5000mJ/cm2가 바람직하다. 상기 조사량이 50mJ/cm2 이상이면, 경화가 보다 충분하게 되어, 형성되는 하드코팅층의 경도도 보다 충분하게 된다. 상기 조사량이 5000mJ/cm2 이하이면, 형성되는 하드코팅층의 착색을 방지할 수 있어,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hardening means of the coating film of the said hard coat layer forming material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he curing means is preferably ionizing radiation curing. Various activation energy can be used for the said hardening means. The active energy is preferably ultraviolet light. As the energy source, for example, a source such as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a halogen lamp, a xenon lamp, a metal halide lamp, a nitrogen laser, an electron beam accelerator, or a radioactive element is preferable. As for the irradiation amount of the said energy source, 50-5000mJ / cm <2> is preferable as integrated exposure amount in an ultraviolet-ray wavelength 365nm. When the said irradiation amount is 50 mJ / cm <2> or more, hardening becomes more enough and the hardness of the hard coat layer formed becomes more enough. When the said irradiation amount is 5000 mJ / cm <2> or less, coloring of the hard coat layer formed can be prevented, and transparency can be improved.

이상과 같이 하여,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상기 하드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은, 전술된 방법 이외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경도는, 연필 경도로 예컨대 4H 이상의 경도를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by forming the hard coat layer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In addition,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is invention can also be manufactured by manufacturing methods other than the method mentioned above. The hardness of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ardness of, for example, 4H or more in pencil hardness.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일례를 도 1의 단면 모식도에 나타낸다. 도시와 같이, 이 예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4)은,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1)의 한쪽 면에, 미립자(3)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층(2)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 1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1)의 양면에 하드코팅층(2)이 형성된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이더라도 좋다. 이 예의 하드코팅층(2)은 단층이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하드코팅층(2)은 2층 이상이 적층된 복수층 구조이더라도 좋다. An example of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is invention i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of FIG.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4 of this example, the hard coat layer 2 including the fine particles 3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1.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FIG. 1, The anti-glare hard-coating film in which the hard-coating layer 2 was formed in both surfaces of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1 may be sufficient. The hard coat layer 2 of this example is a single layer. However,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hard coat layer 2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layers are laminated.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 상에 반사방지 층(저굴절률층)을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반사방지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일례를 도 2의 단면 모식도에 나타낸다. 도시와 같이, 이 예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6)은,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1)의 편면에, 미립자(3)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층(2)이 형성되고, 이 하드코팅층(2) 상에 반사방지층(5)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빛은 물체에 입사하면, 그 계면에서의 반사, 내부에서의 흡수, 산란이라는 현상을 반복하여 물체의 배면으로 투과해 나간다. 예컨대, 화상 표시 장치에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장착한 경우, 화상의 시인성을 저하시키는 요인 중 하나로, 공기와 하드코팅층의 계면에서의 빛의 반사를 들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층은 그 표면 반사를 저감시키는 것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6)에서는, 상기 하드코팅층(2) 및 상기 반사방지층(5)은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1)의 편면에 형성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에서는,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1)의 양면에 상기 하드코팅층(2) 및 상기 반사방지층(5)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6)에서는, 상기 하드코팅층(2) 및 상기 반사방지층(5)은 각각 단층이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하드코팅층(2) 및 상기 반사방지층(5)은 각각 2층 이상이 적층된 복수층 구조이더라도 좋다. In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ntireflection layer (low refractive index layer) may be disposed on the hard coat layer. An example of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antireflection layer is shown in a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of FIG. 2. As shown, in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6 of this example, a hard coat layer 2 containing fine particles 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1, and on the hard coat layer 2. The antireflection layer 5 is formed in the structure. When light enters an object, it repeats the phenomenon of reflection at its interface, absorption in the inside, and scattering, and passes through the back of the object. For example, when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is attach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one of the factors that lower the visibility of the image is the reflection of light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air and the hard coat layer. The antireflection layer reduces surface reflection. In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6 shown in FIG. 2, the hard coat layer 2 and the antireflection layer 5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1. However,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n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rd coat layer 2 and the antireflection layer 5 may be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1. In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6 shown in FIG. 2, the hard coat layer 2 and the antireflection layer 5 are single layers, respectively. However,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hard coat layer 2 and the antireflection layer 5 may each have a multilayer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layers are stack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층은, 두께 및 굴절률을 엄밀히 제어한 광학 박막 또는 상기 광학 박막을 2층 이상 적층한 것이다. 상기 반사방지층은, 빛의 간섭 효과를 이용하여 입사광과 반사광의 역전한 위상을 서로 상쇄시킴으로써 반사방지 기능을 발현한다. 반사방지 기능을 발현시키는 가시 광선의 파장 영역 은, 예컨대 380 내지 780nm이며, 특별히 시감도가 높은 파장 영역은 450 내지 650nm의 범위이며, 그 중심 파장인 550nm의 반사율을 최소로 하도록 반사방지층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reflection layer is formed by stacking two or more layers of the optical thin film or the optical thin film in which thickness and refractive index are strictly controlled. The antireflection layer exhibits an antireflection function by canceling the inverted phases of the incident light and the reflected light with each other by using the interference effect of light. The wavelength region of visible light for expressing the antireflection function is, for example, 380 to 780 nm, and the wavelength region with high visibility is particularly in the range of 450 to 650 nm, and it is preferable to design the antireflection layer to minimize the reflectance of its central wavelength of 550 nm. desirable.

광의 간섭 효과에 근거하는 상기 반사방지층의 설계에 있어서, 그 간섭 효과를 향상시키는 수단으로서는, 예컨대 상기 반사방지층과 상기 하드코팅층의 굴절률차이를 크게 하는 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2 내지 5층의 광학 박층(두께 및 굴절률을 엄밀히 제어한 박막)을 적층한 구조의 다층 반사방지층에서는, 굴절률이 다른 성분을 소정의 두께만큼 복수층 형성함으로써, 반사방지층의 광학 설계의 자유도가 올라가, 보다 반사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분광 반사 특성도 가시광 영역에서 균일(플랫)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광학 박막에 있어서, 높은 두께 정밀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각 층의 형성은 건식 방식인 진공 증착, 스퍼터링, CVD 등으로 실시된다. In the design of the antireflection layer based on the interference effect of light, as a means for improving the interference effect, for example, there is a method of increasing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the antireflection layer and the hard coating layer. In general, in a multilayer antireflection lay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wo to five optical thin layers (thin films with tight control of thickness and refractive index) are laminated, a plurality of component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re formed by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reby providing an optical design of the antireflection layer. The degree of freedom increases, and the antireflection effect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e spectral reflection characteristic can also be made uniform (flat) in the visible light region. In the above optical thin film, since high thickness precision is required, the formation of each layer is generally performed by dry deposition, vacuum deposition, sputtering, CVD, or the like.

상기 다층 반사방지층으로서는, 굴절률이 높은 산화타이타늄층(굴절률: 약 1.8) 상에 굴절률이 낮은 산화규소층(굴절률: 약 1.45)을 적층한 2층 구조의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산화타이타늄층 상에 산화규소층을 적층하고, 이 산화규소층 상에 산화타이타늄층을 적층하며, 이 산화타이타늄층 상에 산화규소층을 적층한 4층 구조의 것이다. 이들 2층 반사방지층 또는 4층 반사방지층을 형성함으로써 가시 광선의 파장 영역(예컨대, 380 내지 780nm의 범위)의 반사를 균일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multilayer antireflection layer is preferably a two-layer structure in which a silicon oxide layer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refractive index: about 1.45) is laminated on a titanium oxide layer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refractive index: about 1.8), and more preferably a titanium oxide layer. The silicon oxide layer is laminated on the layer, the titanium oxide layer is laminated on the silicon oxide layer, and the silicon oxide layer is laminated on the titanium oxide layer. By forming these two-layer antireflection layers or four-layer antireflection layers, it is possible to uniformly reduce the reflection in the wavelength region of visible light (for example, in the range of 380 to 780 nm).

상기 하드코팅층 상에 단층의 광학 박막(반사방지층)을 형성함으로써도 반사 방지 효과를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단층 반사방지층의 형성에는, 예컨대 습식 방식인 파운틴 코팅, 다이 코팅, 스핀 코팅, 스프레이 코팅, 그라비어 코팅, 롤 코팅, 바 코팅 등의 도공법이 채용된다. It is also possible to express the antireflection effect by forming a single optical thin film (antireflection layer) on the hard coat layer. Generally, the coating method of the wet type fountain coating, die coating, spin coating, spray coating, gravure coating, roll coating, bar coating etc. is employ | adopted for formation of a single layer antireflection layer.

상기 단층 반사방지층의 형성 재료는, 예컨대 자외선경화형 아크릴 수지 등의 수지계 재료, 수지 중에 콜로이달 실리카 등의 무기 미립자를 분산시킨 하이브리드계 재료, 테트라에톡시실레인, 타이타늄테트라에톡사이드 등의 금속 알콕사이드를 이용한 졸-겔계 재료 등을 포함한다. 상기 형성 재료에 있어서, 표면의 방오염성 부여를 위해 불소기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성 재료에 있어서, 내찰상성 등의 이유에서, 무기 성분 함유량이 많은 형성 재료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졸-겔계 재료이다. 상기 졸-겔계 재료는 부분 축합시켜 이용할 수 있다.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single-layer antireflection layer is, for example, a resin material such as an ultraviolet curing acrylic resin, a hybrid material in which inorganic fine particles such as colloidal silica are dispersed in the resin, and metal alkoxides such as tetraethoxysilane and titanium tetraethoxide. Sol-gel materials and the like. In the above-mentioned forming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contain a fluorine group for imparting antifouling properties to the surface. In the forming material, a forming material having a high inorganic component content is preferable for reasons of scratch resistance and the like, and more preferably the sol-gel material. The sol-gel material may be used by partial condensation.

상기 반사방지층(저굴절률층)으로서는, 에틸렌 글라이콜 환산 수평균 분자량500 내지 10000의 범위의 실록세인 올리고머와, 폴리스타이렌 환산 수평균 분자량5000 이상이고, 플루오로알킬 구조 및 폴리실록세인 구조를 갖는 불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재료(일본 특허공개 제2004-167827호 공보에 기재된 재료)로부터 형성된 것이, 내찰상성과 저반사가 양립할 수 있는 것 등에 의해 바람직하다. As said antireflection layer (low refractive index layer), the fluorine compound which has the siloxane oligomer of the range of ethylene glycol conversion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s 500-10000, the polystyrene conversion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5000 or more, and has a fluoroalkyl structure and a polysiloxane structur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from a material containing the material (the material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167827) because of its compatibility with scratch resistance and low reflection.

반사방지층(저굴절률층)에는, 막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무기 졸을 함유시키더라도 좋다. 상기 무기 졸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무기 졸은, 예컨대 실리카, 알루미나, 불화마그네슘 등을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 실리카 졸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졸의 배합 비율은, 예컨대 상기 반사방지층 형성 재료의 전 체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80중량부의 범위이다. 상기 무기 졸 중의 무기 미립자의 입경은 2 내지 50n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5 내지 30nm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The antireflection layer (low refractive index layer) may contain an inorganic sol in order to improve film strength. The inorganic so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inorganic sol includes, for example, silica, alumina, magnesium fluoride and the like. Of these, silica sol is preferred. The mixing ratio of the inorganic sol is, for example, in the range of 10 to 8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solid of the antireflection layer forming material.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inorganic fine particles in the inorganic sol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 to 50 nm,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5 to 30 nm.

상기 반사방지층의 형성 재료에는, 중공이고 구상인 산화규소 초미립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규소 초미립자는, 평균 입자 직경이 5 내지 300n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200nm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규소 초미립자는, 세공을 갖는 외각의 내부에 공동(空洞)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 구상이며, 그 공동 내에 상기 산화규소 초미립자의 조제시의 용매 및 기체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한 것이다. 또한, 상기 산화규소 초미립자의 상기 공동을 형성하기 위한 전구체 물질이 상기 공동 내에 잔존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각의 두께는 1 내지 50nm 정도의 범위이며, 또한 상기 산화규소 초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의 1/50 내지 1/5 정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각은, 복수의 피복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규소 초미립자에 있어서, 상기 세공이 폐색되고, 상기 공동이 상기 외각에 의해 밀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반사방지층 중에 상기 산화규소 초미립자의 다공질 또는 공동이 유지되어 있어, 상기 반사방지층의 굴절률을 보다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중공이고 구상인 산화규소 초미립자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제2000-233611호 공보에 개시된 실리카계 미립자의 제조방법이 적합하게 채용된다.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antireflection layer preferably contains hollow, spherical silicon oxide ultrafine particles. It is preferable that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about 5-300 nm, and, as for the said silicon oxide ultrafine particle, the range of 10-200 nm is more preferable. The silicon oxide ultrafine particles are hollow spheres in which a cavity is formed inside an outer shell having pores, and contain at least one of a solvent and a gas during preparation of the silicon oxide ultrafine particles in the cavity.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recursor material for forming the cavity of the silicon oxide ultrafine particles remains in the cavity. The thickness of the outer shell is in the range of about 1 to 50 nm, and preferably in the range of 1/50 to 1/5 o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ilicon oxide ultrafine particles.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outer shell is formed by the some coating layer. In the silicon oxide ultrafine particles, the pores are preferably blocked, and the cavity is sealed by the outer shell. This is because the porous or cavities of the ultrafine silicon oxide particles are held in the antireflection layer, so that the refractive index of the antireflection layer can be further reduced. As a method for producing such hollow, spherical silicon oxide ultrafine particles, for example, a method for producing silica-based fine particle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0-233611 is suitably employed.

상기 반사방지층(저굴절률층)을 형성할 때의 건조 및 경화의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건조 및 경화의 온도는, 예컨대 60 내지 150℃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30℃의 범위이다. 상기 건조 및 경화의 시간은, 예컨대 1 내지 30분의 범위이며, 생산성을 생각한 경우에는 1 내지 10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 및 경화 후, 추가로 가열 처리를 함으로써, 반사방지층을 갖는 고경도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이 얻어진다. 상기 가열 처리의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가열 처리의 온도는, 예컨대 40 내지 130℃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의 범위이다. 상기 가열 처리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가열 처리 시간은, 예컨대 1분 내지 100시간, 내찰상성 향상의 관점에서는 10시간 이상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 처리는 핫 플레이트, 오븐, 벨트로 등을 이용한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of drying and curing at the time of forming the antireflection layer (low refractive index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temperature of the said drying and hardening is a range of 60-150 degreeC, for example, Preferably it is the range of 70-130 degreeC. The time of the said drying and hardening is a range of 1 to 30 minutes, for example, and when considering productivity, the range of 1 to 10 minutes is preferable. Further, after the drying and curing, heat treatment is further performed to obtain a high hardness anti-glare hard coat film having an antireflection layer. The temperature of the heat treat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temperature of the said heat processing is the range of 40-130 degreeC, for example, Preferably it is the range of 50-100 degreeC. The heat treatment tim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for the said heat processing time, it is more preferable to carry out 10 hours or more from a viewpoint of 1 minute-100 hours and abrasion resistance improvement, for example. The heat treatment can be performed by a method using a hot plate, an oven, a belt furnace or the like.

상기 반사방지층을 포함하는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화상 표시 장치에 장착하는 경우, 상기 반사방지층이 최외층이 되는 빈도가 높다. 이 때문에, 상기 반사방지층은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오염을 받기 쉽다. 상기 반사방지층은 단순한 투명판 등과 비교하여 오염이 눈에 띄기 쉽다. 상기 반사방지층은, 예컨대 지문, 손때, 땀이나 이발 재료 등의 오염물의 부착에 의해서 표면 반사율이 변화되거나, 부착물이 희게 떠올라 보여 표시 내용이 선명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오염물의 부착 방지 및 부착된 상기 오염물의 제거 용이성의 향상을 위해, 불소기 함유 실레인계 화합물 또는 불소기 함유 유기 화합물 등으로부터 형성되는 오염방지층을 상기 반사방지층 상에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including the anti-reflection layer is mount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the frequency of the anti-reflection layer becoming the outermost layer is high. For this reason, the antireflection layer is susceptible to contamination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antireflection layer is more prone to contamination as compared to a simple transparent plate. For example, the antireflection layer may have a change in surface reflectance due to adhesion of contaminants such as fingerprints, fingerprints, sweats, haircut materials, or the like. In order to prevent adhesion of the contaminants and to improve the ease of removal of the adhered contaminants, it is preferable to laminate an antifouling layer formed from a fluorine group-containing silane compound or a fluorine group-containing organic compound on the antireflection layer.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에 있어서,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 및 상기 하드코팅층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표면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 표면을 표면 처리하면, 상기 하드코팅층 또는 편광자 또는 편광판과의 밀착성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 하드코팅층 표면을 표면 처리하면, 상기 반사방지층 또는 편광자 또는 편광판과의 밀착성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 표면 처리로서는, 예컨대 저압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코로나 처리, 화염 처리, 또는 산 또는 알칼리 처리를 들 수 있다.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로서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 필름을 이용한 경우의 표면 처리로서는, 알칼리 처리가 바람직하다. 이 알칼리 처리는, 예컨대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 필름 표면을 알칼리 용액에 접촉시킨 후, 수세하고 건조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용액으로서는, 예컨대 수산화칼륨 용액 또는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용액의 수산화물 이온의 규정 농도(몰 농도)는 0.1 내지 3.0N(몰/L)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N(몰/L)의 범위이다. In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perform surface treatment on at least one of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and the hard coat layer. When surface-treating the said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surface, adhesiveness with the said hard coat layer, a polarizer, or a polarizing plate further improves. Surface treatment of the surface of the hard coat layer further improves adhesion to the antireflection layer, the polarizer or the polarizing plate. Examples of the surface treatment include low pressure plasma treatment, ultraviolet irradiation treatment, corona treatment, flame treatment, or acid or alkali treatment. As surface treatment in the case of using a triacetyl cellulose film as said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alkali treatment is preferable. This alkali treatment can be performed by, for example, contacting the triacetyl cellulose film surface with an alkaline solution, followed by washing with water and drying. As the alkaline solution, for example, a potassium hydroxide solution or a sodium hydroxide solution can be used. The prescribed concentration (molar concentration) of hydroxide ions in the alkali solution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1 to 3.0 N (mol / L),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5 to 2.0 N (mol / L).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한쪽 면에 상기 하드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에 있어서, 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른 쪽의 면에 대하여 용제 처리를 하더라도 좋다. 상기 용제 처리는,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를 용해 가능한 용제 또는 팽윤 가능한 용제에 접촉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용제 처리에 의해, 상기 다른 쪽의 면에도 컬하고자 하는 힘을 부여하여, 이것에 의해서 상기 하드코팅층의 형성에 의해 컬하고자 하는 힘을 상쇄함으로써, 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한쪽 면에 상기 하드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에 있어서, 컬 발 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른 쪽의 면에 투명 수지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투명 수지층으로서는,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 방사선경화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또는 그 외의 반응형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이 바람직하다. In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in which the hard coat layer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a solvent treatment may be performed on the other surface in order to prevent curling. The solvent treatment can be carried out by bringing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into contact with a soluble solvent or a swellable solvent. By the said solvent process, the force which wants to curl is provided also to the said other surface, and the curling generation can be prevented by canceling the force to curl by formation of the said hard coat layer by this. Similarly, in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in which the hard coat lay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substrate, in order to prevent curling, a transparent resin layer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As said transparent resin layer, the layer which has a thermoplastic resin, a radiation curable resin, a thermosetting resin, or other reactive resin as a main component is mentioned, for example. Among these, especially the layer which has a thermoplastic resin as a main component is preferable.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은, 보통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측을 점착제나 접착제를 통해서, LCD나 ELD에 사용되고 있는 광학 부재에 접합할 수 있다. 이 접합에 임하여,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 표면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각종 표면 처리를 하더라도 좋다.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is invention can be normally bonded to the said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side to the optical member used for LCD and ELD through an adhesive or an adhesive agent. In this bonding, the surface treatment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상기 광학 부재로서는, 예컨대 편광자 또는 편광판을 들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자의 편측 또는 양측에 투명 보호 필름이 형성된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편광자의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설치하는 경우는, 표리의 투명 보호 필름은, 같은 재료이더라도 좋고, 다른 재료이더라도 좋다. 상기 편광판은, 보통 액정셀의 양측에 배치된다. 상기 편광판은, 2장의 편광판의 흡수축이 서로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As said optical member, a polarizer or a polarizing plate is mentioned, for example. The polarizing plate includes a polarizer, and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s generally us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er. When providing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on both surfaces of the said polarizer,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of front and back may be the same material, and may be a different material. The polarizing plate is usual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iquid crystal cell. The said polarizing plates ar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absorption axes of two polarizing plates may b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each other.

이어서,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적층한 광학 부재에 대하여, 편광판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접착제나 점착제 등을 이용하여 편광자 또는 편광판과 적층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능을 갖는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Next, the polarizing plate is demonstrated as an example about the optical member which laminated | stacked the anti-glare hard-coating film of this invention. The polarizing plate which has the function of this invention can be obtained by laminating | stacking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is invention with a polarizer or a polarizing plate using an adhesive agent, an adhesive, etc.

상기 편광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편광자로서는, 예컨대 폴리바이닐 알코올계 필름, 부분 폼알화 폴리바이닐 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 바 이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2색성 염료 등의 2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축 연신한 것, 폴리바이닐 알코올의 탈수처리물이나 폴리염화바이닐의 탈염산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바이닐 알코올계 필름과 요오드 등의 2색성 물질로 이루어진 편광자가, 편광 2색비가 높아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편광자의 두께는 예컨대 5 내지 80㎛ 정도이다. The polariz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said polarizer, a dichroic substance, such as an iodine or a dichroic dye, is made to adsorb | suck to hydrophilic polymer films, such as a polyvinyl alcohol-type film, a partially foamed polyvinyl alcohol-type film, and an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ization partial saponification film, for example. And polyene oriented films such as uniaxially stretched, dehydrated products of polyvinyl alcohol, and dehydrochloric acid treated products of polyvinyl chloride. Among these, the polarizer which consists of a divinyl substance, such as a polyvinyl alcohol-type film and iodine, is preferable because it has a high polarization dichroic ratio.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is, for example, about 5 to 80 µm.

폴리바이닐 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여 1축 연신한 편광자는, 예컨대 폴리바이닐 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의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염색하고, 원 길이의 3 내지 7배로 연신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요오드의 수용액은, 필요에 따라 붕산이나 황산아연, 염화아연 등을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별도로, 붕산이나 황산아연, 염화아연 등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폴리바이닐 알코올계 필름을 침지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염색 전에 폴리바이닐 알코올계 필름을 물에 침지하고 수세할 수도 있다. 폴리바이닐 알코올계 필름을 수세함으로써, 폴리바이닐 알코올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록킹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고, 그 외에, 폴리바이닐 알코올계 필름을 팽윤시킴으로써 염색의 불균일 등의 불균일을 방지한다는 효과도 있다. 연신은, 요오드로 염색한 후에 행할 수도 있고, 염색하면서 연신할 수도 있고, 또한 연신하고 나서 요오드로 염색할 수도 있다. 붕산이나 요오드화칼륨 등의 수용액 중이나 수욕 중에서도 연신할 수 있다. The polarizer which uniaxially stretched the polyvinyl alcohol-type film by iodine can be produced by dyeing the polyvinyl alcohol-type film by immersing it in the aqueous solution of iodine, and extending | stretching 3 to 7 times the original length, for example. The aqueous solution of iodine may contain boric acid, zinc sulfate, zinc chloride or the like as necessary. In addition,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may be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boric acid, zinc sulfate, zinc chloride or the like. If necessary,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may be dipped in water and washed with water before dyeing. By wash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with water, the contamination of the surfac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and the antiblocking agent can be washed. In addition,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swollen to prevent the nonuniformity such as unevenness of dyeing. Stretching may be performed after staining with iodine, stretching may be performed while dyeing, or dyeing with iodine after stretching. It can extend | stretch also in aqueous solution, such as a boric acid and potassium iodide, or in a water bath.

상기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설치되는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위상차값의 안정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예컨대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As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provided in the single side |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said polarize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excellent in transparency, mechanical strength, thermal stability, moisture shielding property, stability of retardation value, etc. As a material which forms the sai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the same thing as the said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is mentioned, for example.

상기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는, 일본 특허공개 제2001-343529호 공보(WO 01/37007)에 기재된 고분자 필름을 들 수 있다. 상기 공보에 기재된 고분자 필름은, 예컨대 (A) 측쇄에 치환 이미드기 및 비치환 이미드기 중 적어도 한쪽의 이미드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B) 측쇄에 치환 페닐기 및 비치환 페닐기 중 적어도 한쪽의 페닐기 및 나이트릴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고분자 필름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고분자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아이소뷰틸렌과 N-메틸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진 교대 공중합체와 아크릴로나이트릴-스타이렌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고분자 필름을 들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필름은, 상기 수지 조성물을 필름상으로 압출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필름은, 위상차가 작고, 광탄성계수가 작기 때문에, 편광판 등의 보호 필름에 적용한 경우에는, 변형에 의한 불균일 등의 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필름은 투습도가 작기 때문에 가습 내구성이 우수하다. As sai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the polymer film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1-343529 (WO 01/37007) is mentioned. The polymer film described in the above publication is, for example,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t least one imide group of a substituted imide group and an unsubstituted imide group in the (A) side chain, and at least one phenyl group of the substituted phenyl group and an unsubstituted phenyl group in the (B) side chain. And a polymer film formed from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nitrile group. As a polymer film formed from the said resin composition, the polymer film formed from th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alternating copolymer which consists of isobutylene and N-methyl maleimide, and an acrylonitrile- styrene copolymer is mentioned, for example. The said polymer film can be manufactured by extrusion molding the said resin composition into a film form. Since the said polymer film has a small phase difference and a small photoelastic coefficient, when applied to protective films, such as a polarizing plate, defects, such as a nonuniformity by a deformation | transformation, can be eliminated. The polymer film is excellent in humidification durability because of its low moisture permeability.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은, 편광 특성이나 내구성 등의 점에서,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계 수지제의 필름 및 노보넨계 수지제의 필름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시판품으로서는, 예컨대 상품명 「후지타크(FUJITAC)」(후지사진필름사(Fuji Photo Film Co., Ltd.) 제품), 상품명 「제오노아(ZEONOA)」(니폰제온사(Nippon Zeon Co., Ltd.) 제품), 상품명 「아톤(ARTON)」(JSR사 제 품) 등을 들 수 있다. As for the sai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the film made of cellulose resins, such as triacetyl cellulose, and the film made of norbornene-type resin are preferable from a point of polarization characteristic, durability, etc. As a commercial item of the sai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a brand name "FUJITAC" (made by Fuji Photo Film Co., Ltd.), a brand name "ZEONOA" (Nippon Zeon, for example) are mentioned. Co., Ltd.), a brand name "ARTON" (made by JSR Corporation), etc. are mentioned.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두께는 강도, 취급성 등의 작업성, 박층성 등의 점에서, 예컨대 1 내지 500㎛의 범위이다. 상기 범위이면, 편광자를 기계적으로 보호하여, 고온고습하에 노출되더라도 편광자가 수축하지 않아, 안정한 광학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의 범위이다.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s, for example, in the range of 1 to 500 µm in terms of workability such as strength, handleability, thinness, and the like. If it is the said range, a polarizer will be mechanically protected and a polarizer will not shrink even if it is exposed to high temperature, high humidity, and can maintain stable optical characteristics. The thickness of the sai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the range of 5-200 micrometers, More preferably, it is the range of 10-150 micrometers.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적층한 편광판의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편광판은, 예컨대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 상에 투명 보호 필름, 편광자 및 투명 보호 필름을 이 순서로 적층한 구성이라도 좋다. 상기 편광판은, 예컨대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 상에 편광자 및 투명 보호 필름을 이 순서로 적층한 구성이라도 좋다. The structure of the polarizing plate which laminated | stacked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he said polarizing plate may be the structure which laminated | stacked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the polarizer,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n this order, for example on the anti-glare hard-coating film. The said polarizing plate may be the structure which laminated | stacked the polarizer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n this order, for example on the anti-glare hard-coating film.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 및 이것을 이용한 편광판 등의 각종 광학 부재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각종 화상 표시 장치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이용하는 것 이외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은 구성이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예컨대 액정셀, 편광판 등의 광학 부재, 및 필요에 따라 조명 시스템(백라이트 등) 등의 각 구성 부품을 적당히 조립하여 구동 회로를 조립하는 것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액정셀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TN형, STN형, π형 등의 다양한 타입을 사용할 수 있다. Various optical members, such as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is invention and the polarizing plate using this, can be used suitably for various image display apparatus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this invention is the same structure as the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xcept using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is inventi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for example, assembling a drive circuit by appropriately assembling each component such as an optical member such as a liquid crystal cell, a polarizing plate, and an illumination system (backlight, etc.) as necessary. The liquid crystal cel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types such as TN type, STN type, and π type can be used.

본 발명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예컨대 액정셀의 편측 또는 양측에 상기 광학 부재를 배치한 액정 표시 장치, 조명 시스템에 백라이트 또는 반사판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등을 포함한다. 이들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광학 부재는 액정셀의 편측 또는 양측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액정셀의 양측에 광학 부재를 배치하는 경우, 그들은 동일하더라도 좋고, 다르더라도 좋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는, 예컨대 확산판, 방현(antiglare)층, 반사방지층, 보호판, 프리즘 어레이, 렌즈 어레이 시트, 광확산판, 백라이트 등의 각종 광학 부재 및 광학 부품을 배치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which the optical member is dispos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liquid crystal cell,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a backlight or a reflecting plate in an illumination system, and the like. In thes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the optica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spos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liquid crystal cell. When arrange | positioning an optical member on both sides of the said liquid crystal cell, they may be same or different.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for example, various optical members and optical components such as a diffusion plate, an antiglare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 protective plate, a prism array, a lens array sheet, a light diffusion plate, a backlight,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실시예Example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비교예와 더불어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Next,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a comparative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하기에 나타내는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과 광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수지 성분을, 아세트산 에틸 및 아세트산 뷰틸의 하기 혼합 용매에 고형분 농도 66중량%로 포함하는 수지 원료(다이니폰잉크사(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orporated) 제품, 상품명 GRANDIC PC1071)를 준비했다. 이 수지 원료 100중량부에, PMMA 입자(중량평균 입경 10㎛, 굴절률 1.49) 30중량부 및 레벨링제 0.5중량부를 가했다. 그 후, 상기 PMMA 입자 및 레벨링제를 가한 수지 원료를, 아세트산 뷰틸:아세트산 에틸(중량비)=55:45(전 용매에 대한 아세트산 에틸 비율 45중량%)이며, 고형분 농도가 55중량%가 되도록 아세트산 에틸을 이용하여 희석했다. 이렇게 하여 하드코팅층 형성 재료를 조제했다. 상기 레벨링제는, 다이메틸실록세인:하이드록시프로필실록세인:6-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실 아이소사이아누르산:지방족 폴리에스터=6.3:1.0:2.2:1.0의 몰비로 공중합시킨 공중합물이다. Resin raw material (Dinipon) which contains the resin component containing (A) component, (B) component, and (C) component shown below, and a photoinitiator in solid content concentration 66weight% in the following mixed solvent of ethyl acetate and butyl acetate Ink company (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orporated), a brand name GRANDIC PC1071) was prepared. 30 weight part of PMMA particles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refractive index 1.49) and 0.5 weight part of leveling agents were added to 100 weight part of this resin raw materials. Then, the resin raw material which added the said PMMA particle | grains and a leveling agent was acetic acid so that butyl acetate: ethyl acetate (weight ratio) = 55: 45 (45 weight% of ethyl acetate with respect to all the solvent), and a solid content concentration might be 55 weight%. Diluted with ethyl. In this way, a hard coat layer forming material was prepared. The leveling agent is a copolymer copolymerized in a molar ratio of dimethylsiloxane: hydroxypropyl siloxane: 6-isocyanate hexyl isocyanuric acid: aliphatic polyester = 6.3: 1.0: 2.2: 1.0.

(A) 성분: 펜타에리트리톨계 아크릴레이트와 수첨 자일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로 이루어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100중량부)(A) component: urethane acrylate consisting of pentaerythritol-based acrylate and hydrogenated xylene diisocyanate (100 parts by weight)

(B) 성분: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이하, B1 성분(단량체)) 49중량부,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이하, B4 성분(단량체)) 41부 및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아크릴레이트(이하, B5 성분(단량체)) 24중량부(B) component: 49 parts by weight of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mponent B1 (monomer)), 41 parts of 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mponent B4 (monomer)) and pentaerythritol triacrylate ( Hereinafter, 24 weight part of B5 component (monomer))

(C) 성분: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상기 중합체 및 공중합체의 혼합물(59중량부)Component (C): a polymer, a copolymer having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or a mixture of the polymer and copolymer (59 parts by weight)

광중합개시제: 상품명 이르가큐어(Irgacure) 184(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Ciba Specialty Chemicals) 제품) 3중량부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3 parts by weight of Irgacure 184 (produced by Chiba Specialty Chemicals)

혼합 용제: 아세트산 뷰틸:아세트산 에틸(중량비)=89:11Mixed solvent: Butyl acetate: ethyl acetate (weight ratio) = 89: 11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 재료를,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두께 80㎛의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 필름, 굴절률: 1.48) 상에 바 코터를 이용하여 도공하여 도막을 형성했다. 상기 도공 후, 100℃에서 1분간 가열하는 것에 의해 상기 도막을 건조시켰다. 상기 건조 후의 상기 도막에 메탈할라이드 램프로 적산 광량 300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 처리를 실시하여, 두께 20㎛의 하드코팅층을 형성했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제작했다. The hard coat layer forming material was coated on a transparent plastic film substrate (80 탆 thick triacetyl cellulose film, refractive index: 1.48) using a bar coater to form a coating film. The said coating film was dried by heating at 100 degreeC for 1 minute after the said coating. The said coating film after drying was hardened | cured by irradiating the ultraviolet-ray of accumulated light quantity 300mJ / cm <2> with a metal halide lamp, and the hard coat layer of 20 micrometers in thickness was formed. Thus, the anti-glare hard coat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as produced.

실시예 2Example 2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PMMA 입자의 첨가량을 15중량부에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제작했다. In the present Example,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was produced by the method similar to Example 1 except having changed the addition amount of PMMA particle into 15 weight part.

실시예 3Example 3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중량평균 입경 15㎛의 PMMA 입자(굴절률 1.49)를 30중량부 첨가하고, 또한 고형분 농도를 35%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제작했다. In the present Example, 30 weight part of PMMA particles (refractive index 1.49) of 15 micrometers of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s were added, and the anti-glare hard-coating film was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1 except having changed solid content concentration to 35%. Made.

실시예 4Example 4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중량평균 입경 8㎛의 PMMA 입자(굴절률 1.49)를 30중량부 첨가하고, 하드코팅층의 막 두께를 16㎛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제작했다. In the present Example, 30 weight part of PMMA particles (refractive index 1.49) of 8 micrometers of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s were added, and the anti-glare hard-coating was performed by the same method as Example 1 except having changed the film thickness of the hard-coat layer into 16 micrometers. The film was produced.

실시예 5Example 5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드코팅층의 막 두께를 16㎛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제작했다. In the present Example,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was produced by the method similar to Example 1 except having changed the film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into 16 micrometers.

실시예 6Example 6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드코팅층의 막 두께를 29㎛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제작했다. In the present Example,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was produced by the method similar to Example 1 except having changed the film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into 29 micrometers.

실시예 7Example 7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중량평균 입경 15㎛의 PMMA 입자(굴절률 1.49)를 30중량부 첨가하고, 하드코팅층의 막 두께를 23㎛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제작했다. In the present Example, 30 weight part of PMMA particles (refractive index 1.49) of 15 micrometers of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s were added, and the anti-glare hard-coating was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1 except having changed the film thickness of the hard-coat layer to 23 micrometers. The film was produced.

실시예 8Example 8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드코팅층 상에 반사방지층을 설치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제작했다. In the present Example,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was produced by the method similar to Example 1 except having provided the antireflective layer on the hard coat layer.

반사방지층의 형성은 다음과 같이 하여 실시했다. 우선, 반사방지층의 형성 재료로서, 에틸렌 글라이콜 환산에 의한 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10000인 실록세인 올리고머(콜코트(Colcoat) N103(콜코트(주)(Colcoat Co., Ltd.) 제품, 고형분 2중량%))를 준비했다. 이어서, 상기 실록세인 올리고머의 수평균 분자량을 측정했다. 그 결과, 상기 수평균 분자량은 950이었다. 이어서, 폴리스타이렌 환산에 의한 수평균 분자량이 5000 이상이고, 플루오로알킬 구조 및 폴리실록세인 구조를 갖는 불소 화합물로서, 상품명 옵스타(Opstar) JTA105(JSR(주)제, 고형분 5중량%)를 준비했다. 이어서, 상기 불소 화합물의 수평균 분자량을 측정했다. 그 결과, 폴리스타이렌 환산에 의한 수평균 분자량은 8000이었다. 경화제로서는 상품명 JTA105A(JSR(주)제, 고형분 5중량%)를 준비했다. The antireflection layer was formed as follows. First, as a material for forming the antireflection layer, a siloxane oligomer (Colcoat N103 (Colcoat Co., Ltd.) product, solid content) having an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 to 10,000 in terms of ethylene glycol 2% by weight)). Next,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said siloxane oligomer was measured. As a result,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was 950. Subsequently, the brand name Opstar JTA105 (made by JSR Corporation, 5 weight% of solid content) was prepared as a fluorine compound whos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by polystyrene conversion is 5000 or more, and has a fluoroalkyl structure and a polysiloxane structure. . Next,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fluorine compound was measured. As a result,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in terms of polystyrene was 8000. As a hardening | curing agent, the brand name JTA105A (made by JSR Corporation, 5 weight% of solid content) was prepared.

이어서, 상기 옵스타 JTA105를 100중량부, 상기 JTA105A를 1중량부, 상기 콜코트 N103을 590중량부 및 아세트산 뷰틸을 151.5중량부 혼합하여 상기 반사방지층 형성 재료를 조제했다. 이 반사방지층 형성 재료를 하드코팅층 상에 다이 코팅으로써 하드코팅층과 같은 폭이 되도록 하여 도공했다. 상기 도공 후, 120℃에서 3 분간 가열함으로써 건조·경화하여 반사방지층(저굴절률층, 두께 0.1㎛, 굴절률 1.43)을 형성했다. Subsequently, 100 parts by weight of the Opstar JTA105, 1 part by weight of the JTA105A, 590 parts by weight of the Colcot N103 and 151.5 parts by weight of butyl acetate were mixed to prepare the antireflection layer forming material. The antireflection layer forming material was coated on the hard coat layer by die coating so as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hard coat layer. After the coating, the mixture was dried and cured by heating at 120 ° C. for 3 minutes to form an antireflection layer (low refractive index layer, 0.1 μm in thickness, and a refractive index of 1.43).

실시예 9Example 9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하드코팅층 상에 반사방지층을 형성하여 방현성 반사방지 하드코팅 필름을 제작했다. In this example, an antireflection layer was formed on the hard coat layer of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btained in Example 1 to produce an antiglare antireflection hard coat film.

반사방지층은 다음과 같이 하여 형성했다. 즉, 다이펜타에리트리톨계 아크릴레이트 100중량부, 메타크릴옥시프로필기 및 뷰틸기를 갖는 실리콘계 중합체 15중량부, 헥세인다이올 아크릴레이트 2.5중량부, 루시린(Lucirin)형 광중합개시제 6중량부, 및 아크릴기를 갖는 실레인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를 하여 소수화한 직경 60nm의 중공이고 구상인 산화규소 초미립자를, 혼합 용제(IPA/MIBK/부틸 셀로솔브/톨루엔(80/9/10.5/0.5))에서 분산시켜 고형분이 3중량%가 되도록 조정하여 반사방지층 형성 재료를 수득했다. 이 반사방지층 형성 재료를 이용하여,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하드코팅층 상에 반사방지층을 형성했다. The antireflection layer was formed as follows. That is, 100 parts by weight of a dipentaerythritol acrylate, 15 parts by weight of a silicone polymer having a methacryloxypropyl group and a butyl group, 2.5 parts by weight of hexanediol acrylate, 6 parts by weight of a lucirin typ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hollow, spherical silicon oxide ultrafine particle having a diameter of 60 nm and hydrophobized by surface treatment with a silane coupling agent having an acryl group, in a mixed solvent (IPA / MIBK / butyl cellosolve / toluene (80/9 / 10.5 / 0.5)). The dispersion was adjusted so that the solid content was 3% by weight to obtain an antireflection layer forming material. Using this antireflection layer forming material, an antireflection layer was formed on the hard coat layer by the same method as in Example 7.

실시예 10Example 10

우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제작했다. 이어서,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 필름의 비하드코팅면(하드코팅층의 형성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후술하는 도공액을 와이어 바로써 습윤시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공하여 도막을 형성했다. 상기 도공 후, 상기 도막에 80℃에서 1분간의 건조 처리를 했다. 상기 도공액으로서는, 아세톤:아세트산 에틸:IPA(아이소프로필알코올)=37:58:5(중량비)의 혼합 용매를 이용했다. First,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which concerns on a present Example was produced like Example 1. Subsequently, the coating liquid mentioned later was applied to the non-hard-coating surface (surface opposite to the formation surface of a hard-coating layer) of a triacetyl cellulose film so that the thickness at the time of wet may be set to 20 micrometers with a wire bar, and the coating film was formed. After the coating, the coating film was subjected to drying treatment at 80 ° C. for 1 minute. As the coating solution, a mixed solvent of acetone: ethyl acetate: IPA (isopropyl alcohol) = 37: 58: 5 (weight ratio) was used.

실시예 11Example 11

우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제작했다. 이어서,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 필름의 비하드코팅면(하드코팅층의 형성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후술하는 도공액을 와이어 바로써 습윤시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공하여 도막을 형성했다. 상기 도공 후, 상기 도막에 80℃에서 1분간의 건조 처리를 했다. 상기 도공액으로서는, 아세톤:아세트산 에틸:IPA(아이소프로필알코올)=37:58:5(중량비)의 혼합 용매에 대하여 다이아세틸 셀룰로스를 고형분 농도가 0.5중량%가 되도록 배합한 것을 이용했다. First,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which concerns on a present Example was produced like Example 1. Subsequently, the coating liquid mentioned later was applied to the non-hard-coating surface (surface opposite to the formation surface of a hard-coating layer) of a triacetyl cellulose film so that the thickness at the time of wet may be set to 20 micrometers with a wire bar, and the coating film was formed. After the coating, the coating film was subjected to drying treatment at 80 ° C. for 1 minute. As said coating liquid, what mix | blended diacetyl cellulose so that solid content concentration might be 0.5weight% with respect to the mixed solvent of acetone: ethyl acetate: IPA (isopropyl alcohol) = 37: 58: 5 (weight ratio) was used.

실시예 12Example 12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레벨링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제작했다. In this Example,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was produced by the method similar to Example 1 except not having used a leveling agent.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경화형 수지 100중량부, 중량평균 입자 직경이 3.5㎛인 폴리스타이렌 입자(굴절률: 1.59) 15중량부, 레벨링제(상품명; 메가파크(MEGAFAC) F-470N, 다이니폰잉크화학공업(주)제) 0.5중량부, 합성 스멕타이트 2.5중량부, 광중합개시제(상품명; 이르가큐어 907,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품) 5중량부를, 아세트산 뷰틸과 톨루엔의 혼합 용매(아세트산 뷰틸:톨루엔=13:87, 중량비)에 의해 고형분 농도가 35중량%로 되도록 희석하여 하드코팅층의 형성 재료를 조제했다. 100 parts by weight of urethane acrylate-based UV-curable resin, 15 parts by weight of polystyrene particles having a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3.5 μm (refractive index: 1.59), leveling agent (trade name; MEGAFAC F-470N, Dainippon Ink and Chemicals Co., Ltd.) Ltd.) 0.5 part by weight, 2.5 parts by weight of synthetic smectite, 5 parts by weight of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trade name; Irgacure 907, Chiba Specialty Chemicals Co., Ltd.), a mixed solvent of butyl acetate and toluene (butyl acetate: toluene = 13: 87, weight ratio) so as to obtain a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35% by weight to prepare a material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이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의 형성 재료를,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두께 80 ㎛의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 필름, 굴절률: 1.48) 상에 바 코터로써 도공하여 도장막을 형성했다. 상기 도공 후, 상기 도장막을 100℃에서 1분간 가열하여 건조했다. 상기 건조 후, 상기 도장막에 메탈할라이드 램프로써 적산 광량 300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 처리하여 두께 5㎛의 하드코팅층을 형성했다. 이것에 의해, 본 비교예에 따른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제작했다. Subsequently,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hard coat layer was coated on a transparent plastic film substrate (a triacetyl cellulose film having a thickness of 80 µm, with a refractive index of 1.48) with a bar coater to form a coating film. After the said coating, the said coating film was heated and dried at 100 degreeC for 1 minute. After the drying, the coating film was irradiated with a UV light having a cumulative amount of light of 300 mJ / cm 2 using a metal halide lamp to form a hard coating layer having a thickness of 5 μm. This produced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which concerns on this comparative example.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본 비교예에 있어서는, PMMA 입자의 첨가량을 3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본 비교예에 따른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수득했다. In this comparative example,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which concerns on this comparative example was obtained by the method similar to Example 1 except having changed the addition amount of PMMA particle into 3 weight part.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본 비교예에 있어서는, PMMA 입자의 첨가량을 70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본 비교예에 따른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수득했다. In this comparative example,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which concerns on this comparative example was obtained by the same method as Example 1 except having changed the addition amount of PMMA particle into 70 weight part.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본 비교예에 있어서는, 미립자를 중량평균 입경 3㎛의 PMMA 입자(굴절률: 1.49)로 하고, 그 첨가량을 30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본 비교예에 따른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수득했다. In this comparative example, the anti-glare hardening according to this comparative example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except that the fine particles were PMMA particles having a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3 μm (refractive index: 1.49), and the addition amount thereof was changed to 30 parts by weight. A coating film was obtained.

평가evaluation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 있어서의 각종 특성은 하기의 방법에 의해 평가 또는 측정했다. Various characteristics in each Example and each comparative example were evaluated or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하드코팅층의 두께)(Thickness of hard coating layer)

미쯔토요사(Mitsutoyo Corporation) 제품의 마이크로게이지식 두께계를 이용하여,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전체 두께를 측정했다. 상기 전체 두께로부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두께를 뺐다. 이것에 의해 하드코팅층의 두께를 산출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The total thickness of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was measured using a microgauge thickness gauge manufactured by Mitsutoyo Corporation.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was subtracted from the said overall thickness. This calculated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반사방지층의 두께)(Thickness of the antireflection layer)

반사방지층의 두께는, 오츠카전자(주)(Otsuka Electronics Co., Ltd.) 제품의 순간 멀티측광시스템인 MCPD2000(상품명)을 이용하여, 간섭 스펙트럼의 파형으로부터 산출했다. The thickness of the antireflection layer was calculated from the waveform of the interference spectrum using MCPD2000 (trade name), which is an instantaneous multi-photometric system manufactured by Otsuka Electronics Co., Ltd ..

(헤이즈) (Haze)

JIS K 7136(1981년 판)의 헤이즈(담도; 曇度)에 준하여, 상품명 헤이즈 미터 HR300(무라카미색채기술연구소사(Murakami Color Research Laboratory) 제품)을 이용하여 헤이즈를 측정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Haze was measured using the brand name haze meter HR300 (Murakami Color Research Laboratory) according to the haze of JISK7136 (1981 edition).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광택도)(Glossiness)

광택도는, 측정 각도를 60°로 하여, JIS K 7105(1981년 판)에 준하여, 상품명 디지털변각광택계 UGV-5DP(스가시험기사(Suga Test Instrument Co., Ltd.) 제품)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The glossiness was measured at 60 °, and according to JIS K 7105 (1981 edition), using the trade name digital variable gloss meter UGV-5DP (manufactured by Suga Test Instrument Co., Ltd.).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연필 경도)(Pencil hardness)

하드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을 아래로 하여,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유리판 상에 실었다. 그 후, 상기 하드코팅층 표면에 대하여, JIS K-5400에 기재된 연필 경도 시험에 따라서(단, 하중 500g) 연필 경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was mounted on the glass plate with the surface where the hard coat layer was not formed face down. Then, the pencil hardness was measured about the surface of the said hard coat layer according to the pencil hardness test of JISK-5400 (but load 500g).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내찰상성)(Scratch resistance)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내찰상성은 이하의 시험 내용으로써 평가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The scratch resistance of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was evaluated by the following test contents.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1) 시료를 적어도 폭 25mm, 길이 100mm 이상의 크기로 절단하여, 이것을 유리판에 실었다. (1) The sample was cut | disconnected to the magnitude | size more than width 25mm and length 100mm or more, and this was mounted on the glass plate.

(2) 직경 25mm의 원주의 평활한 단면에, 스틸 울 #0000을 균일하게 부착하고, 하중 1.5kg에서 시료 표면을 매초 약 100mm의 속도로 30 왕복했다. 그 후, 이하의 지표에 의해 육안 평가로써 판정했다. (2) The steel wool # 0000 was uniformly affixed on the smooth cross section of the circumference of 25 mm in diameter, and the sample surface was reciprocated 30 at a speed of about 100 mm per second at a load of 1.5 kg. Then, it determined by visual evaluation by the following indicators.

A: 흠집이 전혀 없다. A: There are no scratches.

B: 잔 흠집이 있지만 시인성에 영향이 없다. B: There is a scratch, but it does not affect visibility.

C: 분명한 흠집이 있어 시인성을 손상한다. C: Clear scratches damage the visibility.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 및 평균 경사각 θa)(Arithmetic mean surface roughness Ra and mean tilt angle θ a )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하드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에, 마츠나미사(Matsunami Glass Ind., Ltd.) 제품의 유리판(두께 1.3mm)을 점착제로 접합하여, 고정밀도 미세형상측정기(상품명; 서프코더(Surfcorder) ET4000, 고사카연구소사(Kosaka Laboratory Ltd.) 제품)를 이용하여 상기 하드코팅층의 표면 형상을 측정하여, 상기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값 및 상기 평균 경사각 θa값을 구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고정밀도 미세형상측정기는, 상기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 및 상기 평균 경사각 θa를 자동산출한다. On the surface where the hard coating layer of the anti-glare hard coating film was not formed, a glass plate (1.3 mm) made by Matsunami Glass Ind., Ltd. was bonded with an adhesive, and a high-precision fine shape measuring instrument (brand name; The surface shape of the hard coat layer was measured using a Surfcoder ET4000, manufactured by Kosaka Laboratory Ltd., to obtain the arithmetic average surface roughness Ra value and the average tilt angle θ a value.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The high-precision microshape automatically calculates the arithmetic mean surface roughness Ra and the average tilt angle θ a .

(반사율)(reflectivity)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하드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에 흑색 아크릴판(두께 2.0mm, 미쓰비시레이온사 제품)을, 두께 약 20㎛의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접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이면의 반사를 없게 했다. 이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에 대하여, 하드코팅층 표면의 반사율을 구했다. 상기 반사율은, 시마즈제작소사(Shimadzu Corporation) 제품의 상품명 UV2400PC(8°경사적분구 부착)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분광 반사율(경면 반사율+확산 반사율)을 측정하여, C 광원/2°시야의 전반사율(Y값)을 계산에 의해 구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The anti-glare hard coating is formed by bonding a black acrylic plate (thickness 2.0 mm, manufactured by Mitsubishi Rayon Co., Ltd.) to an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0 μm on a surface where the hard coating layer of the anti-glare hard coating film is not formed. We lost reflection of the back of the film. About this anti-glare hard coat film, the reflectance of the hard coat layer surface was calculated | required. The reflectance was measured using a brand name UV2400PC (with an 8 ° inclination sphere) spectrophotometer manufactured by Shimadzu Corporation, and measured the spectral reflectance (mirror reflectance + diffuse reflectance), thereby measuring the total length of the C light source / 2 ° field of view. The reflectance (Y value) was calculated by calculation.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하드코팅층의 굴절률)(Refractive Index of Hard Coating Layer)

하드코팅층의 굴절률은, 다파장아베굴절계(주식회사 아타고사(Atago Co., Ltd.) 제품, 상품명: DR-M2/1550)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The refractive index of the hard coat layer was measured using a multi-wavelength Abbe refractometer (Atago Co., Ltd. product, brand name: DR-M2 / 1550).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미립자의 굴절률)(Refractive index of fine particles)

미립자를 슬라이드 글래스 위에 싣고, 굴절률 표준액을 미립자 상에 적하하고, 커버 유리를 씌워 시료를 제작했다. 그 시료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미립자의 윤곽이 굴절률 표준액과의 계면에서 가장 보기 어렵게 되는 굴절률 표준액의 굴절률을 미립자의 굴절률로 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The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were mounted on the slide glass, the refractive index standard liquid was dripped on the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and the cover glass was covered and the sample was produced. The sample was observed under a microscope,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refractive index standard solution in which the outline of the fine particles was most difficult at the interface with the refractive index standard solution was defined a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ne particles.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밀착성)(Adhesiveness)

하드코팅층의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에 대한 밀착성은, JIS K 5400에 기재된 바둑판눈 박리 시험을 함으로써 평가했다. 즉, 100회의 박리 시험을 하고, 하드코팅층이 필름 기재로부터 박리한 수를 세어, 박리수/100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The adhesiveness with respect to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of a hard coat layer was evaluated by performing the board | substrate peeling test of JISK5400. That is, 100 peel tests were performed, the number which the hard-coat layer peeled from the film base material was counted, and it was shown by peeling number / 100.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미립자의 중량평균 입경)(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fine particles)

콜터(Coulter) 카운트법에 의해, 세공(細孔; pore) 전기저항법을 이용한 입도분포 분석장치(상품명: 콜터 멀티사이저(multisizer), 벡맨·콜터사(Beckman Coulter, Inc.) 제품)를 사용하여, 상기 미립자가 상기 세공을 통과할 때의 미립자의 체적에 상당하는 전해액의 전기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미립자의 수와 체적을 측정하여 상기 미립자의 중량평균 입경을 측정했다.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alyzer (brand name: Coulter multisizer, Beckman Coulter, Inc.) using a pore electrical resistance method by Coulter count method By measuring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electrolyte 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volume of the fine particles when the fine particles passed through the pores, the number and volume of the fine particles were measured to measure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ne particles.

Figure 112007024093818-pat00006
Figure 112007024093818-pat00006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은 경도, 내찰상성, 방현성 및 밀착성의 모든 특성이 우수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비교예 1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은 경도가 불충분하고, 비교예 2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은 방현성이 불량하며, 비교예 3 및 4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은 내찰상성이 뒤떨어졌다. As shown in Table 1,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e present Example was excellent in all properties of hardness, scratch resistance, anti-glare and adhesion. In contrast,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Comparative Example 1 had insufficient hardness,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Comparative Example 2 was poor in anti-glare, and the anti-glare hard coat films of Comparative Examples 3 and 4 had scratch resistance. Lagged behind.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기 상세한 설명에 많은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백히 알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clearly appreciate that many changes can be made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가 상기 소정의 범위이기 때문에, 경도가 충분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의 입경이 상기 소정의 범위이고, 또한 상기 하드코팅층 표면의 요철 형상의 상기 평균 경사각 θa가 상기 소정의 범위이기 때문에, 방현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찰상성도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적용한 화상 표시 장치는, 화면이 적절히 보호되고 취급성이 우수하며, 방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화상 표시 특성도 우수하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에서는, 상기 하드코팅층이, 상기 3성분을 포함하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도가 보다 향상되어, 하드코팅층의 균열이 방지되 고, 또한 하드코팅층의 경화 수축에 기인하는 컬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In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the hardness is sufficient. In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fine particles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and the average inclination angle θ a of the concave-convex shape on the surface of the hard coating layer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the anti-glare property is excellent. It is also excellent in scratch resistance. Therefor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to which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is invention is applied is excellent in image display characteristic, since a screen is appropriately protected, excellent in handleability, and excellent in anti-glare property. In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ard coat layer is formed by using the resin for forming the hard coat layer containing the three components, the hardness is further improved, and cracking of the hard coat layer is prevented, and Curl generation due to cure shrinkage of the hard coat layer is effectively prevented.

Claims (14)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으로서, As anti-glare hard coating film,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를 포함하고, Including a transparent plastic film substrate,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미립자를 함유하는 하드코팅층이 형성되고, On at least one side of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a hard coat layer containing fine particles is formed, 상기 하드코팅층은 15 내지 30㎛ 범위의 두께를 갖고, The hard coating layer has a thickness in the range of 15 to 30㎛, 상기 미립자는 상기 하드코팅층 두께의 30 내지 75% 범위의 중량평균 입경을 갖고, The fine particles have a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the range of 30 to 75% of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상기 하드코팅층 표면의 요철 형상의 평균 경사각 θa가 0.4 내지 1.5도의 범위이며, The average inclination angle θ a of the uneven shape of the surface of the hard coating layer is in the range of 0.4 to 1.5 degrees, 상기 하드코팅층이 하기의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을 포함하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 An anti-glare hard coating film wherein the hard coating layer is formed using a resin for forming a hard coating layer containing the following components (A), (B) and (C): (A) 성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A) component: At least one of urethane acrylate and urethane methacrylate (B) 성분: 폴리올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올 메타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Component (B): at least one of polyol acrylate and polyol methacrylate (C) 성분: 하기 (C1) 및 하기 (C2)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형성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또는 상기 중합체와 공중합체의 혼합 중합체Component (C): A polymer or copolymer formed from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C1) and the following (C2), or a mixed polymer of the polymer and the copolymer (C1): 하이드록실기 및 아크릴로일기 중 적어도 한쪽의 기를 갖는 알킬기를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C1): alkyl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at least one of a hydroxyl group and acryloyl group (C2): 하이드록실기 및 아크릴로일기 중 적어도 한쪽의 기를 갖는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C2): Alkyl methacrylate which has an alkyl group which has at least one group of a hydroxyl group and an acryloyl group.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B) 성분이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아크릴레이트 및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in which the said (B) component contains at least one of pentaerythritol triacrylate and 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드코팅층 상에 반사방지층이 형성되어 있는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 An anti-glare hard coating film having an anti-reflection layer formed on the hard coating layer.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반사방지층이, 중공이고 구상인 산화규소 초미립자를 함유하는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 The anti-reflection layer is an anti-glare hard coating film containing ultra-fine silicon oxide fine particles of hollow.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JIS K 7105에 의한 광택도가 50 내지 95의 범위인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 Anti-glare hard coating film whose glossiness according to JIS K 7105 is in the range of 50 to 95.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미립자를 함유하는 하드코팅층이 형성된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 A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in which the hard coat layer containing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was formed i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 상기 하드코팅층 두께의 30 내지 75% 범위의 중량평균 입경을 갖는 미립자, 및 용매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층 형성 재료를 준비하는 공정, Preparing a hard coat layer forming material comprising a hard coat layer forming resin, fine particles having a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the range of 30 to 75% of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and a solvent,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 재료를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도공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 및 Coating the hard coat layer forming material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to form a coating film, and 상기 도막을 경화시켜, 그 두께가 15 내지 30㎛의 범위이며, 그 표면의 요철 형상의 평균 경사각 θa가 0.4 내지 1.5도의 범위인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Hardening the said coating film, the thickness is the range of 15-30 micrometers, and the process of forming the hard-coating layer whose average inclination-angle (theta) a of the uneven | corrugated shape of the surface is a range of 0.4-1.5 degree,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용 수지가 하기의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을 포함하는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Method for producing an anti-glare hard coating film wherein the hard coating layer-forming resin comprises the following (A) component, (B) component and (C) component: (A) 성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A) component: At least one of urethane acrylate and urethane methacrylate (B) 성분: 폴리올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올 메타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Component (B): at least one of polyol acrylate and polyol methacrylate (C) 성분: 하기 (C1) 및 하기 (C2)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형성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또는 상기 중합체와 공중합체의 혼합 중합체Component (C): A polymer or copolymer formed from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C1) and the following (C2), or a mixed polymer of the polymer and the copolymer (C1): 하이드록실기 및 아크릴로일기 중 적어도 한쪽의 기를 갖는 알킬기를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C1): alkyl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at least one of a hydroxyl group and acryloyl group (C2): 하이드록실기 및 아크릴로일기 중 적어도 한쪽의 기를 갖는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C2): Alkyl methacrylate which has an alkyl group which has at least one group of a hydroxyl group and an acryloyl group.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B) 성분이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아크릴레이트 및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nti-glare hard-coating film whose said (B) component contains at least one of pentaerythritol triacrylate and 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용매가 아세트산 에틸을 포함하는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Method for producing an anti-glare hard coating film wherein the solvent comprises ethyl acetate.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아세트산 에틸의 함유 비율이 상기 용매 전체에 대하여 20중량% 이상인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A method of producing an anti-glare hard coat film in which the content ratio of ethyl acetate is 20% by weight or more based on the entire solvent. 광학 부재를 포함하고, Including an optical member, 상기 광학 부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제 1 항에 따른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이 배치된 광학 소자. An optical element, wherein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claim 1 is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optical member. 편광자 및 제 1 항에 따른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A polarizer comprising a polarizer and an anti-glar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claim 1. 제 1 항에 따른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An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anti-glar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claim 1. 제 10 항에 따른 광학 소자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An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optical element according to claim 10. 제 11 항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An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1.
KR1020070029982A 2006-03-28 2007-03-27 Hard-coated antiglare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optical devic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KR10085256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87662 2006-03-28
JP2006087662 2006-03-28
JPJP-P-2006-00239138 2006-09-04
JP2006239138 2006-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361A KR20070097361A (en) 2007-10-04
KR100852562B1 true KR100852562B1 (en) 2008-08-18

Family

ID=3880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982A KR100852562B1 (en) 2006-03-28 2007-03-27 Hard-coated antiglare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optical devic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52562B1 (en)
TW (1) TWI359834B (en)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3991B2 (en) 2012-05-31 2016-08-02 Lg Chem, Ltd. Hard coating composition
US9529122B2 (en) 2012-09-03 2016-12-27 Lg Chem, Ltd. Polarizing plate including hard coating film
US9567479B2 (en) 2012-08-23 2017-02-14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US9765234B2 (en) 2012-08-23 2017-09-19 Lg Chem, Ltd. Laminated hard coating film
US9778398B2 (en) 2012-05-31 2017-10-03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9777186B2 (en) 2012-08-23 2017-10-03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US9783698B2 (en) 2012-08-23 2017-10-10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US9902868B2 (en) 2012-08-23 2018-02-27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US9909026B2 (en) 2012-08-23 2018-03-06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US9926461B2 (en) 2012-05-31 2018-03-27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CN107884849A (en) * 2016-11-04 2018-04-06 江苏日久光电股份有限公司 Complex optical film
US10280330B2 (en) 2012-08-23 2019-05-07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79229B2 (en) * 2008-03-11 2013-04-10 日東電工株式会社 Laser pointer visibility improving film,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device, and laser pointer display method
JP6049645B2 (en) * 2013-03-27 2016-12-21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JP6328984B2 (en) 2013-05-22 2018-05-23 日東電工株式会社 Double-side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touch panel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731A (en) * 1994-09-02 1996-04-20 넬리 루지오 Process for producing acrylic polymer based molded article coated with scratch resistant and wear resistant film
KR20000021809A (en) * 1998-09-30 2000-04-25 장용균 Ultraviolet curable composition and release film utilizing it
JP2005186576A (en) 2003-12-26 2005-07-14 Sony Corp Anti-fouling hard coat,anti-fouling substrate, anti-fouling and electrically conductive substrate and touch panel
JP2006030837A (en) 2004-07-21 2006-02-02 Toppan Printing Co Ltd Antireflective lamination film and display medium using the same
KR20060069326A (en) * 2004-12-17 2006-06-2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Hard coating film and manufacturig method thereof
KR20060072072A (en) * 2004-12-22 2006-06-2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Anti-glare hard coating film and manufacturing mehtod theref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731A (en) * 1994-09-02 1996-04-20 넬리 루지오 Process for producing acrylic polymer based molded article coated with scratch resistant and wear resistant film
KR20000021809A (en) * 1998-09-30 2000-04-25 장용균 Ultraviolet curable composition and release film utilizing it
JP2005186576A (en) 2003-12-26 2005-07-14 Sony Corp Anti-fouling hard coat,anti-fouling substrate, anti-fouling and electrically conductive substrate and touch panel
JP2006030837A (en) 2004-07-21 2006-02-02 Toppan Printing Co Ltd Antireflective lamination film and display medium using the same
KR20060069326A (en) * 2004-12-17 2006-06-2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Hard coating film and manufacturig method thereof
KR20060072072A (en) * 2004-12-22 2006-06-2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Anti-glare hard coating film and manufacturing mehtod therefor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6461B2 (en) 2012-05-31 2018-03-27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US10294387B2 (en) 2012-05-31 2019-05-21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US9896597B2 (en) 2012-05-31 2018-02-20 Lg Chem, Ltd. Method of preparing hard coating film
US9884977B2 (en) 2012-05-31 2018-02-06 Lg Chem, Ltd. Hard coating composition
US9403991B2 (en) 2012-05-31 2016-08-02 Lg Chem, Ltd. Hard coating composition
US9778398B2 (en) 2012-05-31 2017-10-03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9701862B2 (en) 2012-05-31 2017-07-11 Lg Chem, Ltd. Method of preparing hard coating film
US9567479B2 (en) 2012-08-23 2017-02-14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US9783698B2 (en) 2012-08-23 2017-10-10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US9777186B2 (en) 2012-08-23 2017-10-03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US9909026B2 (en) 2012-08-23 2018-03-06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US9765234B2 (en) 2012-08-23 2017-09-19 Lg Chem, Ltd. Laminated hard coating film
US10000655B2 (en) 2012-08-23 2018-06-19 Lg Chem, Ltd. Hard coating composition
US10087340B2 (en) 2012-08-23 2018-10-02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US10280330B2 (en) 2012-08-23 2019-05-07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US9902868B2 (en) 2012-08-23 2018-02-27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US9529122B2 (en) 2012-09-03 2016-12-27 Lg Chem, Ltd. Polarizing plate including hard coating film
CN107884849A (en) * 2016-11-04 2018-04-06 江苏日久光电股份有限公司 Complex optical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59834B (en) 2012-03-11
TW200745229A (en) 2007-12-16
KR20070097361A (en)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562B1 (en) Hard-coated antiglare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optical devic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KR100852561B1 (en) Hard-coated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optical device, and image display
KR100917949B1 (en) Hard-coated antiglare film,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ard-coated antiglare film
JP5252811B2 (en) Anti-glare hard coat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5220286B2 (en) Anti-glare hard coat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4080520B2 (en) Antiglare hard coat film, method for producing antiglare hard coat film, optical element,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1052709B1 (en) Anti-glare hard coat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7963660B2 (en) Antiglare hard-coated film
US8124215B2 (en) Hard-coated antiglare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optical devic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JP5014240B2 (en) Flat panel display and antiglare film for flat panel display
CN100523875C (en) Hard-coated antiglare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optical devic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JP2008032763A (en) Hard coat film,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CN100582818C (en) Hard-coated antiglare film,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ard-coated antiglare film
JP2008151998A (en) Manufacturing method of hard coat film, hard coat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JP2009288655A (en) Antiglare hard coat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method for evaluat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9288650A (en) Antiglare hard coat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5470433B2 (en) Anti-glare hard coat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5552516B2 (en) Anti-glare hard coat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1